KR20170049866A -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메뉴 생성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메뉴 생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9866A
KR20170049866A KR1020150150724A KR20150150724A KR20170049866A KR 20170049866 A KR20170049866 A KR 20170049866A KR 1020150150724 A KR1020150150724 A KR 1020150150724A KR 20150150724 A KR20150150724 A KR 20150150724A KR 20170049866 A KR20170049866 A KR 201700498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menu
display device
user
display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0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4975B1 (ko
Inventor
장원일
신덕문
전진수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507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4975B1/ko
Publication of KR201700498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9866A/ko
Priority to KR1020210160449A priority patent/KR202101431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49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49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메뉴 생성 방법은, 근거리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을 통해 단말기의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의 접근을 감지하여 상기 단말기의 위치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의 위치 및 상기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할 사용자 메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사용자 메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메뉴 생성 방법{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MENU OF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메뉴 생성 방법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 근접하는 단말기를 인식하고 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표시될 메뉴를 생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 및 테이블 탑 디스플레이(Table Top Display)와 같이 다수의 사용자가 활용 가능한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가 보급되고 있으며, 이러한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을 보다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사용자 각각의 단말기와 연동을 통해 다양한 활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디스플레이 장치가 위치된 장소에 카메라를 설치하여 단말기를 인식하는 방법이 있으나, 이는 별도의 영상 입력 장치를 필요로 하고 단말기를 인증할 때에 마커(marker)와 같은 별도 패턴을 등록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터치 패턴에 기반하여 단말기를 인식하는 방법이 있으나, 이는 별도의 터치 패턴을 단말기에 부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2015-0059915 (2015.06.03.공개)
본 발명은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보다 효과적으로 다수의 사용자 및 해당 사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단말기를 인식하고, 각 사용자에게 적절한 메뉴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메뉴 생성 방법은, 근거리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을 통해 단말기의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의 접근을 감지하여 상기 단말기의 위치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의 위치 및 상기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할 사용자 메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사용자 메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화면,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하나 이상의 NFC 태그를 구비하는 베젤(Bezel),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할 사용자 메뉴를 생성하는 제어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NFC 태그를 이용하여 단말기의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으로의 접근을 감지하여 상기 단말기의 위치를 인식하고,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단말기의 위치 및 상기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할 사용자 메뉴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베젤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NFC 태그를 이용하여 단말기의 위치를 인식하게 되므로, 추가적인 사용자 인식 장치 없이도 효과적으로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인식된 단말기의 위치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할 메뉴를 생성하게 되므로,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서 각각의 사용자에게 편리한 위치에 적절한 배열 패턴의 메뉴가 제공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부가하여, 디스플레이 장치가 근거리 통신을 통하여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고 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할 메뉴를 생성하게 되므로, 각각의 사용자의 설정 및 콘텐츠를 반영한 메뉴가 제공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단말기 및 서버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메뉴 생성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정보 및 단말기의 위치에 기반한 메뉴 생성 방법을 보다 자세히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생성된 메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화면의 여유 공간이 클 시에 생성된 메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화면의 여유 공간이 작을 시에 생성된 메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본 발명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여기에서,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의 범주를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공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 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인 것으로, 이는 사용자, 운용자 등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쳐 기술되는 기술사상을 토대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 단말기(200) 및 서버(300)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 메뉴 및 콘텐츠 정보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화면(110)과, 디스플레이 화면(110)의 외주면에 형성된 베젤(120)과, 디스플레이 화면(110)에 표시될 이미지를 생성하는 제어기(140)를 포함한다. 한편, 도 1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어기(140)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제어기(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포함되지 않고 별도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베젤(120)은 하나 이상의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그(130)를 구비한다. NFC 태그(130)는 전자태그의 일종으로 특정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비 접촉식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을 통해, 가까운 거리에서 장치간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게 한다. NFC 태그(130)가 내장된 장치를 능동형(Active) 모드로 작동시킴으로써, 태그로서의 기능뿐만 아니라, 태그를 읽는 리더(Reader), 태그에 정보를 입력하는 라이터(Writer)의 기능까지 수행할 수 있고, 장치와 장치 간 P2P(Peer to Peer) 통신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NFC 태그(130)는 자신의 위치 정보를 기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화면(110)은 직사각형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각형, 원형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화면(110)을 둘러싸는 베젤(120)의 각 변에 NFC 태그(130)는 하나 이상 위치할 수 있으며, 베젤(120)의 각 변이 복수 개의 NFC 태그(130)를 구비하는 경우, NFC 태그(130) 사이의 간격은 일정할 수 있다. 베젤(120)이 복수의 NFC 태그(130)를 구비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단말기(200)가 접근하는 경우 단말기(200)가 디스플레이 장치(100) 주변의 어느 위치에 존재하는지를 인식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하나의 단말기(200)를 도시하고 있으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의 NFC 태그(130)를 이용하여 근접한 복수의 단말기(200)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단말기(200)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랩탑 컴퓨터(laptop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단말기는 무선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무선 통신부는 단말기(2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단말기(200)와 다른 장치간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해당 통신 모듈에는 근거리 통신 모듈이 포함될 수 있다. 단말기(200)는 해당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베젤(120)에 위치한 NFC 태그(130)를 인식하고 NFC 태그 근접 이벤트가 발생했음을 알리는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기(140)에 전달할 수 있다.
서버(300)는 클라우드 서버 형태로 단말기(200) 외부에 존재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서버(300)는 복수의 단말기(200) 각각의 사용자 설정 정보 및 콘텐츠를 저장하고, 단말기(200)에 의해 NFC 태그 근접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 해당 단말기(200)의 사용자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기(140)에 전송할 수 있다. 단말기(200)의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설정 정보, 사용자가 작업하고 있는 파일, 사용자가 보관하고 있는 컨텐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 예에서 서버(300)의 역할을 단말기(200) 각각이 수행할 수도 있다. 즉, 단말기(200)에 의해 NFC 태그 근접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 해당 단말기(200)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가 해당 단말기(200)로부터 제어기(140)로 직접 전송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메뉴 생성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생성된 메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2와 도 4에 대해 함께 설명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단말기(200)가 접근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상대적인 단말기(200)의 위치를 인식한다 (S110). 도 4에서 디스플레이 화면(110)의 좌측에 단말기(200)가 접근하는 경우 베젤(120)의 좌측에 위치한 NFC 태그(130)에 의해 해당 단말기(200)의 위치가 인식되며, 디스플레이 화면(110)의 하단에 다른 단말기(200)가 접근하는 경우 베젤(120)의 하단에 위치한 NFC 태그(130)에 의해 해당 다른 단말기(200)의 위치가 인식된다.
이후에,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단말기(200)의 사용자 정보를 수신한다 (S120). 일 예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기(140)가 사용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는 단말기(200) 로부터 직접 수신될 수도 있고 단말기(200) 외부에 위치된 단말기(200)와는 별도의 서버(300)로부터 수신될 수도 있다. 단말기(200)의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설정 정보, 사용자가 작업하고 있는 파일, 사용자가 보관하고 있는 컨텐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기(140)는 단말기(200)의 위치 및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화면(110)에 표시될 사용자 메뉴를 생성한다 (S130). 사용자 메뉴를 생성하는 자세한 방법은 도 3과 관련하여 설명한다.
이 후에, 제어기(140)는 생성된 사용자 메뉴를 디스플레이 화면(110) 상에 표시한다 (S140). 도 4에서 디스플레이 화면(110)은 좌측의 단말기(200)와 근접한 부분에 2열의 부채 형상으로 배열된 사용자 메뉴를 표시하고 있다. 사용자 메뉴는 사용자 선택 메뉴(301), 사용자 작업 파일(302) 및 컨텐츠(303)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사용자 선택 메뉴(301)는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메뉴를 표시하는 것으로 음악을 듣기 위한 아이콘, 동영상을 재생하기 위한 아이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아이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작업 파일(302)은 사용자가 단말기(200)에서 작업하고 있던 파일을 표시하는 것으로 문서 파일, 이미지 파일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컨텐츠(303)는 사용자 단말기(200)에 저장되어 있는 동영상, 이미지를 메뉴화한 것에 해당된다. 디스플레이 화면(100) 상에 표시되는 사용자 메뉴는 사용자의 선호도 및 우선 순위를 고려하여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메뉴의 위치, 크기 및 배열 패턴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2열의 부채 형상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정보 및 단말기(200)의 위치에 기반한 메뉴 생성 방법을 보다 자세히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와 관련하여 설명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기(140)가 단말기(200) 또는 단말기와는 별도의 서버(300)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게 되면, 제어기(140)는 수신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메뉴에 포함될 아이템을 생성한다 (S210). 사용자 메뉴에 포함될 아이템은 사용자 선택 메뉴(301), 사용자 작업 파일(302) 및 컨텐츠(303)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기(140)는 NFC 태그(130)를 통하여 단말기(200)의 위치를 인식하고, 인식된 단말기 위치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화면(110)상의 여유 공간을 확인한다 (S220). 예를 들어, 단말기(200)가 디스플레이 화면(110)의 하단에 위치한 경우 그 근방의 디스플레이 화면(100)에 메뉴를 표시할 공간이 어느 정도 되는지를 확인한다. 일 예로, 단말기(200)가 디스플레이 화면(110)의 하단의 중간 부근에 위치하는 경우 단말기(200)가 디스플레이 화면(110)의 모서리 부근에 위치하는 경우에 비하여 메뉴 표시 공간이 넓다.
제어기(140)는 디스플레이 화면(110)상의 여유 공간을 확인한 뒤, 사용자 메뉴의 위치, 크기 및 배열 패턴 중 하나 이상을 결정한다 (S230). 사용자 메뉴는 인식된 단말기(200)의 위치에 근접하도록 디스플레이 화면(110) 상에 배치된다. 한편, 디스플레이 화면(110)상의 여유 공간이 큰 경우 메뉴를 구성하는 아이콘의 크기가 커지고, 아이콘 사이의 간격이 넓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단말기(200)가 디스플레이 화면(110)의 모서리 부근에 위치하는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 화면(110)상의 여유 공간이 작은 경우에는, 메뉴를 구성하는 아이콘의 크기가 작아지고, 아이콘 사이의 간격이 좁게 배치될 수 있다.
제어기(140)가 사용자 메뉴에 포함될 아이템과 해당 아이템을 어떻게 배치할지에 대해 결정하게 되면 제어기(140)는 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화면(120)에 표시될 메뉴 이미지를 생성한다 (S240). 생성된 메뉴 이미지는 디스플레이 화면(120)에 표시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화면의 여유 공간이 클 시에 생성된 메뉴 이미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서 사용자 메뉴의 아이콘은 2열의 부채 형상으로 배열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2열 이상의 열로 배열될 수도 있고, 직사각형 등의 형상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화면의 여유 공간이 작을 시에 생성된 메뉴 이미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서 메뉴를 구성하는 아이콘은 바둑판 형상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아이콘 사이의 간격이 좁게 배열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베젤(120)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NFC 태그(130)를 이용하여 단말기(200)의 위치를 인식하고 이에 따른 사용자 메뉴를 디스플레이 화면(110) 상에 표시하게 되므로 단말기(200)를 보유하고 있는 다수의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0) 주변의 어느 위치에서나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인식된 단말기(200)의 위치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표시할 메뉴를 생성하게 되므로, 디스플레이 화면(120) 상에서 각각의 사용자에게 편리한 위치에 적절한 배열 패턴의 메뉴가 제공될 수 있다.
부가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단말기(200)의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고 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표시할 메뉴를 생성하게 되므로, 각각의 사용자의 설정 및 콘텐츠를 반영한 메뉴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품질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보다 효과적으로 다수의 사용자 및 해당 사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단말기를 인식하고, 각 사용자에게 적절한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100: 디스플레이 장치 110: 디스플레이 화면
120: 베젤 130: NFC 태그
140: 제어기 200: 단말기
300: 서버

Claims (6)

  1. 디스플레이 장치의 메뉴 생성 방법으로서,
    근거리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을 통해 단말기의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의 접근을 감지하여 상기 단말기의 위치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의 위치 및 상기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할 사용자 메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사용자 메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메뉴 생성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화면과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의 외주면에 형성된 베젤(Bezel)을 구비하고,
    상기 베젤은 하나 이상의 NFC 태그를 구비하고,
    상기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NFC 태그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의 위치를 인식하는 것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메뉴 생성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선택 메뉴, 사용자 작업 파일 및 컨텐츠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 메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메뉴 생성 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메뉴의 위치, 크기 및 배열 패턴 중 하나 이상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메뉴 생성 방법.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하거나 단말기와는 별도의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메뉴 생성 방법.
  6. 디스플레이 화면;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하나 이상의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태그를 구비하는 베젤(Bezel); 및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할 사용자 메뉴를 생성하는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NFC 태그를 이용하여 단말기의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으로의 접근을 감지하여 상기 단말기의 위치를 인식하고,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단말기의 위치 및 상기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할 사용자 메뉴를 생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50150724A 2015-10-29 2015-10-29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메뉴 생성 방법 KR1023449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0724A KR102344975B1 (ko) 2015-10-29 2015-10-29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메뉴 생성 방법
KR1020210160449A KR20210143152A (ko) 2015-10-29 2021-11-19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메뉴 생성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0724A KR102344975B1 (ko) 2015-10-29 2015-10-29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메뉴 생성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0449A Division KR20210143152A (ko) 2015-10-29 2021-11-19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메뉴 생성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9866A true KR20170049866A (ko) 2017-05-11
KR102344975B1 KR102344975B1 (ko) 2021-12-29

Family

ID=5874096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0724A KR102344975B1 (ko) 2015-10-29 2015-10-29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메뉴 생성 방법
KR1020210160449A KR20210143152A (ko) 2015-10-29 2021-11-19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메뉴 생성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0449A KR20210143152A (ko) 2015-10-29 2021-11-19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메뉴 생성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4497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37669A (ja) * 2011-12-28 2013-07-11 Ntt Docomo Inc 画面共有装置及び画面共有方法
KR20140026968A (ko) * 2012-08-24 2014-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한 장치의 제어방법 및 그 장치
KR20150059915A (ko) 2013-11-25 2015-06-03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대형 벽면 환경과 연동 가능한 스마트 테이블을 이용한 대형 벽면 활용형 대화형 영상컨텐츠 디스플레이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37669A (ja) * 2011-12-28 2013-07-11 Ntt Docomo Inc 画面共有装置及び画面共有方法
KR20140026968A (ko) * 2012-08-24 2014-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한 장치의 제어방법 및 그 장치
KR20150059915A (ko) 2013-11-25 2015-06-03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대형 벽면 환경과 연동 가능한 스마트 테이블을 이용한 대형 벽면 활용형 대화형 영상컨텐츠 디스플레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4975B1 (ko) 2021-12-29
KR20210143152A (ko) 2021-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6165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split view in portable device
US9294596B2 (en) Display of an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multiple operation modes
US2016016224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structing multi-screen display
US20140315489A1 (en) Method for performing wireless display sharing, and associated apparatus and associated computer program product
EP2889739A1 (en) User interface device, user interface method, and program
US9377901B2 (en) Display method, a display control method and electric device
EP3182651B1 (en)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of cataloged smart devices
US20170046040A1 (en) Terminal device and screen content enlarging method
WO2015010570A1 (en) A method, device, and terminal for hiding or un-hiding content
KR102274944B1 (ko) 오브젝트를 식별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EP2677413B1 (en) Method for improving touch recognition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20150092995A (ko) 전자장치에서 사용자 입력 방법 및 장치
US10488977B2 (en) Content display apparatus, program, and content providing system
EP270440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user input
EP2908234A1 (en) User interface device, user interface method and program
JP6411067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入力方法
KR102475336B1 (ko) 사용자 장치, 그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234497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메뉴 생성 방법
KR101799413B1 (ko) 스크롤 입력 기반 인터랙티브 노선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사용자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JP2015049837A (ja) 携帯端末装置
KR20140020108A (ko) 터치 펜 식별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1332661B1 (ko) 인식 대상 영역을 설정할 수 있는 단말기
KR102205842B1 (ko) 전자 장치의 아이템 표시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40105311A (ko)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전자장치 및 그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