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9581A - 근접도에 기초하여 관리되는 무선 라디오 - Google Patents

근접도에 기초하여 관리되는 무선 라디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9581A
KR20170049581A KR1020177009434A KR20177009434A KR20170049581A KR 20170049581 A KR20170049581 A KR 20170049581A KR 1020177009434 A KR1020177009434 A KR 1020177009434A KR 20177009434 A KR20177009434 A KR 20177009434A KR 20170049581 A KR20170049581 A KR 201700495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dpoint
wigig
mobile device
radio system
wireless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9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0511B1 (ko
Inventor
앤드류 토마스 배론
앨리어트 존 플래너리
노엘 앤더슨
미테쉬 케이 데사이
지안루이지 누스카
Original Assignee
마이크로소프트 테크놀로지 라이센싱,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이크로소프트 테크놀로지 라이센싱, 엘엘씨 filed Critical 마이크로소프트 테크놀로지 라이센싱,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700495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95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05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05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20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 H04B17/27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for locating or positioning the transmit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5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 H04W52/025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detecting a user operation or a tactile contact or a motion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7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witching on or off the equipment or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5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received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user profile, e.g. mobile speed, priority or network state, e.g. standby, idle or non transmission
    • H04W52/283Power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mobi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04W88/10Access point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e.g. multi-mode access points
    • Y02B60/50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근접도에 기초하여 관리되는 무선 라디오의 실시형태에서, 모바일 디바이스, 예컨대 이동 전화, 태블릿 컴퓨터, 또는 다른 휴대형 디바이스는, 다수의 상이한 무선 통신을 위해 구현된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제1 무선 통신 기술을 위해 구현된 제1 라디오 시스템, 및 제2 무선 통신 기술을 위해 구현된 제2 라디오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매니저는, 제1 무선 통신 기술에 기초하여, 제2 무선 통신 기술을 위해 구현된 엔드포인트에 근접한 영역에 모바일 디바이스가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연결 매니저는, 모바일 디바이스가 엔드포인트에 근접한 영역에 있을 때, 엔드포인트와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제2 라디오 시스템을 턴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연결 매니저는, 모바일 디바이스가 엔드포인트에 근접한 영역에 있지 않을 때 제2 라디오 시스템을 턴오프할 수 있고, 여느 때 같으면 엔드포인트를 스캔하기 위해 활용될 전력을 절약할 수 있다.

Description

근접도에 기초하여 관리되는 무선 라디오{WIRELESS RADIOS MANAGED BASED ON PROXIMITY}
휴대형 전자 및 컴퓨팅 디바이스, 예컨대 이동 전화, 태블릿 컴퓨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등등은, 무선 통신을 위한 다수의 상이한 시스템, 예컨대 와이파이, Bluetooth™, 및 모바일 브로드밴드를 종종 포함한다. 보다 최근에는, WiGig이 일반적인 소비자 전자장치에 적용가능한 신규의 무선 기술이며, 다른 종래의 무선 통신 시스템과는 상이하게, 미인가의(unlicensed) 60 Ghz 주파수 대역 위에서 동작한다. WiGig이 60 Ghz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기 때문에, 신규의 라디오(radio) 디바이스, 안테나, 및 라디오 칩셋은, 신규의 무선 기술을 구현하는 소비자 디바이스에 라디오 시스템으로서 포함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배터리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는 모바일 디바이스에서의 더 많은 하드웨어 컴포넌트의 추가는, 무선 통신 기술의 상이한 라디오 시스템이 무선 통신을 위해 인에이블되는 경우 및 엔드포인트 연결을 스캐닝하는 경우 둘 다에서, 전력과 밀접한 관계를 갖는다. 예를 들면, 유저는, 디바이스 및 엔드포인트가 통신 범위 이내로 들어오는 경우 무선 독(dock)에 자동적으로 연결하도록 자신의 모바일 디바이스를 구성할 수도 있고, 자동으로 연결하기 위해, 모바일 디바이스의 라디오 시스템은 통신 링크를 확립할 엔드포인트를 연속적으로 또는 빈번하게 스캔한다. 배터리에 대한 이 연속적인 전력 소비(draw)는, 모바일 디바이스가 배터리 충전들 간에 사용될 수 있는 시간의 양을 감소시킨다.
이 개요는 근접도에 기초하여 관리되는 무선 라디오의 특징 및 개념을 도입하는데, 하기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서 추가로 설명되고 및/또는 도면에서 도시된다. 이 개요는 청구된 주제의 본질적 특징을 설명하는 것으로 간주되지 않아야 하면, 또한 특허 대상의 범위를 결정 또는 제한하도록 사용되지 않아야 한다.
근접도에 기초하여 관리되는 무선 라디오가 설명된다. 실시형태에서, 모바일 디바이스, 예컨대 이동 전화, 태블릿 컴퓨터, 또는 다른 휴대형 디바이스는, 예컨대 와이파이, Bluetooth™, 모바일 브로드밴드, 및 WiGig을 위해, 다수의 상이한 무선 통신 시스템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제1 무선 통신 기술을 위해 구현된 제1 라디오 시스템, 및 제2 무선 통신 기술을 위해 구현된 제2 라디오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바일 디바이스는, 와이파이 및 WiGig 무선 통신 둘 다를 위한 라디오 시스템과 함께 구현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와이파이 라디오 시스템은 WiGig 라디오 시스템보다 더 큰 통신 범위를 갖는다. 제1 무선 통신 기술(예를 들면, 와이파이)에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가 제2 무선 통신 기술(예를 들면, WiGig)을 위해 구현된 엔드포인트에 근접한 또는 그 엔드포인트를 포함하는 영역에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연결 매니저가 구현된다. 연결 매니저는, 모바일 디바이스가 엔드포인트에 근접한 영역에 있을 때, 엔드포인트와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제2 라디오 시스템을 턴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연결 매니저는, 모바일 디바이스가 엔드포인트에 근접한 영역에 있지 않을 때 제2 라디오 시스템을 턴오프할 수 있고, 여느 때 같으면(otherwise) 엔드포인트를 스캔하기 위해 제2 라디오 시스템에 의해 활용될 전력을 절약할 수 있다.
연결 매니저는, 제2 무선 통신 기술을 위해 구현된 엔드포인트에 근접한 또는 포함하는 영역의 위치 시그너처를 생성하도록 구현된다. 위치 시그너처는, 제1 라디오 시스템이 제1 무선 통신 기술의 하나 이상의 스테이션의 통신 범위 내에 있는 것에 기초하여, 그리고 제2 라디오 시스템이 무선 통신을 위해 엔드포인트에 통신가능하게 링크될 때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특정한 영역의 위치 시그너처는, WiGig 라디오 시스템이 무선 통신을 위해 WiGig 엔드포인트에 통신가능하게 링크될 때, 그리고 와이파이 라디오 시스템이 하나 이상의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의 통신 범위 내에 있을 때 생성될 수 있다. 연결 매니저는, WiGig 엔드포인트의 디스크립터(descriptor) 및 모바일 디바이스의 와이파이 라디오 시스템의 통신 범위 내에 있는 하나 이상의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의 식별자를 포함하도록 위치 시그너처를 생성할 수 있다. 그 다음, 연결 매니저는, 영역의 위치 시그너처에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가 WiGig 엔드포인트에 근접한 영역에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근접도에 기초하여 관리되는 무선 라디오의 실시형태가 다음의 도면을 참조로 설명된다. 도면에서 도시되는 유사한 피쳐 및 컴포넌트를 가리키기 위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번호가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근접도에 기초하여 관리되는 무선 라디오의 실시형태가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시스템을 예시한다.
도 2는, 근접도에 기초하여 관리되는 무선 라디오의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라 생성되는 바와 같은 위치 시그너처에 대응하는 무선 통신 영역의 예를 예시한다.
도 3은, 근접도에 기초하여 관리되는 무선 라디오의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라 생성되는 바와 같은 위치 시그너처에 대응하는 무선 통신 영역의 다른 예를 예시한다.
도 4는,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른, 근접도에 기초하여 관리되는 무선 라디오의 예시적인 방법(들)을 예시한다.
도 5는,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른, 근접도에 기초하여 관리되는 무선 라디오의 예시적인 방법(들)을 예시한다.
도 6은, 근접도에 기초하여 관리되는 무선 라디오의 실시형태를 구현할 수 있는 예시적인 디바이스를 갖는 예시적인 시스템을 예시한다.
근접도에 기초하여 관리되는 무선 라디오의 실시형태가 설명되며, 배터리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는 그리고 무선 통신을 위한 하나보다 많은 무선 통신 기술을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배터리 전력을 절약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바일 디바이스, 예컨대 이동 전화, 태블릿 컴퓨터, 또는 다른 휴대형 디바이스는, 다수의 상이한 무선 통신 시스템을 위한, 예컨대 와이파이, Bluetooth™, 모바일 브로드밴드, 및 WiGig을 위한 상이한 라디오 시스템의 라디오 디바이스, 안테나, 칩셋을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라디오 시스템을 턴오프 상태로 유지하고, 그 다음, 모바일 디바이스가 엔드포인트 연결의 범위 내에 있는 영역에 있을 때 엔드포인트와의 무선 통신을 위해 라디오 시스템을 선택적으로 턴온하는 것에 의해, 여느 때 같으면 엔드포인트 연결을 연속적으로 또는 빈번하게 스캔하기 위해 라디오 시스템 중 하나에 의해 활용될 전력을 절약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 무선 통신 기술 중 하나를 위해 구현된 엔드포인트에 근접한 또는 그 엔드포인트를 포함하는 영역에 모바일 디바이스가 있는지의 여부를, 무선 통신 기술 중 다른 상이한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하도록, 모바일 디바이스의 연결 매니저가 구현된다. 예를 들면, 모바일 디바이스는, 와이파이 및 WiGig 무선 통신 둘 다를 위한 라디오 시스템과 함께 구현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와이파이 라디오 시스템은 WiGig 라디오 시스템보다 더 큰 통신 범위를 갖는다. 모바일 디바이스의 연결 매니저는, 모바일 디바이스가 WiGig 엔드포인트에 근접한 영역에 있을 때까지, 따라서 WiGig 무선 통신 범위 내에 있을 때까지, WiGig 라디오 시스템을 턴오프하는 것에 의해 배터리 전력을 절약할 수 있다. 연결 매니저는, 특정한 영역에 대한 위치 시그너처에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가 WiGig 엔드포인트에 근접한 영역에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연결 매니저는, WiGig 라디오 시스템이 무선 통신을 위해 WiGig 엔드포인트에 통신가능하게 링크될 때, 그리고 와이파이 라디오 시스템이 하나 이상의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의 통신 범위 내에 있을 때, 영역에 대한 위치 시그너처를 생성할 수 있다. 연결 매니저는, WiGig 엔드포인트의 디스크립터 및 모바일 디바이스의 와이파이 라디오 시스템의 통신 범위 내에 있는 하나 이상의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의 식별자를 포함하도록 위치 시그너처를 생성할 수 있다. 그 다음, 연결 매니저는, 영역의 위치 시그너처에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가 WiGig 엔드포인트에 근접한 영역에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 예에서, WiGig 엔드포인트(예를 들면, 무선 독)는 배터리의 최소의 전력 소비로 발견될 수 있고, WiGig 라디오 시스템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유저가, 디바이스를 연결하기 위한 임의의 추가적인 수동의 액션을 취하지 않고도, 무선 독을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가능한 한 빨리 WiGig 엔드포인트의 위치를 결정하여 연결할 수 있다.
근접도에 기초하여 관리되는 무선 라디오의 피쳐 및 개념이 임의의 수의 상이한 디바이스, 시스템, 네트워크, 환경, 및/또는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지만, 근접도에 기초하여 관리되는 무선 라디오의 실시형태는 다음의 예시적인 디바이스, 시스템, 및 방법의 맥락에서 설명된다.
도 1은, 근접도에 기초하여 관리되는 무선 라디오의 실시형태가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시스템(100)을 예시한다. 예시적인 시스템(100)은, 모바일 디바이스(102), 예컨대 이동 전화(104), 태블릿 컴퓨터(106), 또는 무선 통신을 위해 구현되는 임의의 다른 컴퓨팅, 게이밍, 미디어 재생, 엔터테인먼트, 및/또는 전자 미디어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모바일 디바이스(102)는, 다양한 컴포넌트, 예컨대 프로세싱 시스템(108) 및 메모리(110), 디바이스 컴포넌트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112)(예를 들면, 배터리), 및 도 6에서 도시되는 예시적인 디바이스를 참조로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은 임의의 수 및 조합의 상이한 컴포넌트와 함께, 구현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2)는, 다수의 상이한 무선 통신 시스템을 위한, 예컨대 와이파이, Bluetooth™-, 모바일 브로드밴드, 및 WiGig을 위한 무선 라디오 시스템(114)을 포함한다. 이 예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2)는, 와이파이 라디오 시스템(116), WiGig 라디오 시스템(118), 및 Bluetooth™ 라디오 시스템(120)을 포함한다. 상이한 라디오 시스템의 각각은, 특정한 무선 통신 기술을 위해 구현되는 라디오 디바이스, 안테나, 및 칩셋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활성화되거나 또는 턴온되는 경우, 무선 라디오 시스템(114)은, 스테이션 또는 엔드포인트 연결을 스캐닝할 때, 그리고 무선 통신을 위해 통신가능하게 링크될 때, 모바일 디바이스(102)의 배터리 전력을 소비한다. 예를 들면, 와이파이 라디오 시스템(116)은, 통신 범위 내에 있으며 와이파이를 통한 무선 통신을 위해 액세스 포인트(122)에 통신가능하게 링크하는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를 스캔하도록 구현된다. 마찬가지로, WiGig 라디오 시스템(118)은, 통신 범위 내에 있으며 WiGig을 통한 무선 통신을 위해 엔드포인트에 통신가능하게 링크하는 WiGig 엔드포인트(124)(예를 들면, WiGig 도킹 디바이스)를 스캔하도록 구현된다.
WiGig 라디오 시스템은, 미인가 60 GHz 주파수 대역을 통한 다중 기가비트 속도 무선 데이터 통신을 위한 와이기그 연합(Wireless Gigabit Alliance)의 IEEE 802.11ad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구현한다. WiGig 프로토콜은, 오디오, 비디오, 및 이미지 데이터의 고성능 무선 데이터 통신을 제공하고, 현존하는 와이파이 디바이스와 호환성을 또한 유지하면서, 훨씬 더 빠른 속도에서 무선 LAN 통신의 능력을 보충하도록 활용될 수 있다. WiGig 60 GHz 주파수는, 단거리 무선 통신 솔루션이며, 일반적으로 서로의 단거리 내에서 홈 엔터테인먼트 및 오피스 컴퓨팅 디바이스를 통신가능하게 링크하도록 구현된다. 비교적으로, 와이파이 라디오 시스템(116)과 같은 다른 무선 통신 기술은, WiGig 엔드포인트(124) 통신 범위를 둘러싸는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122)의 상대적으로 더 큰 통신 범위에 의해 예시되는 바와 같이, WiGig 라디오 시스템(118)보다 더 큰 통신 범위를 갖는다.
모바일 디바이스(102)는, 근접도에 기초하여 관리되는 무선 라디오의 실시형태를 구현하기 위해 모바일 디바이스의 프로세싱 시스템(108)을 통해 실행될 수 있는 실행가능한 소프트웨어 명령어(예를 들면,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와 같은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또는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는 연결 매니저(126)를 포함한다. 연결 매니저(126)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구현되는 임의의 적절한 메모리 디바이스 또는 전자 데이터 스토리지와 같은 컴퓨터 판독가능 스토리지 메모리(예를 들면, 메모리(110)) 상에 저장될 수 있다. 구현예에서, 연결 매니저(126)는 디바이스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컴포넌트이거나,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 상에서 무선 기술 고유의 서비스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 연결 매니저(126)는, 라디오 시스템을 턴오프 상태로 유지하고, 그 다음, 모바일 디바이스(102)가 엔드포인트 연결의 범위 내에 있는 영역(128)에 있을 때 엔드포인트와의 무선 통신을 위해 라디오 시스템을 선택적으로 턴온하는 것에 의해, 여느 때 같으면 엔드포인트 연결을 연속적으로 또는 빈번하게 스캔하기 위해 무선 라디오 시스템(114) 중 하나에 의해 활용될 배터리 전력을 절약하도록 구현된다. 연결 매니저(126)는, 무선 통신 기술 중 하나를 위해 구현된 엔드포인트에 근접한 영역(128)에 모바일 디바이스가 있는지의 여부를, 무선 통신 기술 중 다른 상이한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하도록 구현된다. 예를 들면, 모바일 디바이스(102)는, 와이파이 및 WiGig 무선 통신 둘 다를 위한 라디오 시스템과 함께 구현되는데, 이 경우 와이파이 라디오 시스템(116)은 WiGig 라디오 시스템(118)보다 더 큰 통신 범위를 갖는다. 연결 매니저(126)는, 모바일 디바이스가 WiGig 엔드포인트(124)에 근접한 또는 WiGig 엔드포인트(124)를 포함하는 영역(128)에 있을 때까지, 따라서 WiGig 무선 통신 범위 내에 있을 때까지, WiGig 라디오 시스템(118)을 턴오프하는 것에 의해 배터리 전력을 절약할 수 있다. 연결 매니저(126)는, 특정한 영역에 대한 위치 시그너처(130)에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02)가 WiGig 엔드포인트(124)에 근접한 영역(128)에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연결 매니저(126)는, WiGig 라디오 시스템(118)이 무선 통신을 위해 WiGig 엔드포인트(124)에 통신가능하게 링크될 때, 그리고 와이파이 라디오 시스템(116)이 하나 이상의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 예컨대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122)의 통신 범위 내에 있을 때, 영역(128)에 대한 위치 시그너처(130)를 생성하도록 구현된다. 연결 매니저(126)는, WiGig 엔드포인트(124)의 엔드포인트 디스크립터(132) 및 모바일 디바이스의 와이파이 라디오 시스템(116)의 통신 범위 내에 있는 하나 이상의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의 스테이션 식별자(134)를 포함하도록 위치 시그너처(130)를 생성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위치 시그너처(130)는, 모바일 디바이스 주위의 또는 근처의 하나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그 다음, 연결 매니저(126)는, 특정한 영역의 위치 시그너처(130)에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02)가 WiGig 엔드포인트(124)에 근접한 영역에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연결 매니저(126)는, 모바일 디바이스(102)가 특정한 영역에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와이파이 라디오 시스템(116)의 통신 범위에 있는 하나 이상의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를, 영역에 대한 위치 시그너처(130)에 비교할 수 있다. 이 예에서, WiGig 엔드포인트(124)(예를 들면, 무선 독)는 디바이스의 배터리(예를 들면, 전원(112))의 최소의 전력 소비로 발견될 수 있고, WiGig 라디오 시스템(118)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유저가, 디바이스를 연결하기 위한 임의의 추가적인 수동의 액션을 취하지 않고도, 무선 독을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가능한 한 빨리 WiGig 엔드포인트(124)의 위치를 결정하여 연결할 수 있다.
연결 매니저(126)는 또한, 와이파이 무선 라디오 시스템(116) 외에, 다른 무선 통신 기술에 기초하여 영역(128)에 대한 위치 시그너처(130)를 생성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위치 시그너처(130)는, 모바일 디바이스(102)의 Bluetooth™ 라디오 시스템(120)이, WiGig 엔드포인트(124)에 근접한 영역(128) 내에 있는 하나 이상의 Bluetooth™ 엔드포인트와의 통신 범위에 있는 것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고, 위치 시그너처(130)는, WiGig 엔드포인트(124)의 엔드포인트 디스크립터(132), 와이파이 라디오 시스템(116)의 통신 범위 내에 있는 하나 이상의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122)의 스테이션 식별자(134), 및/또는 Bluetooth™ 라디오 시스템(120)의 통신 범위 내에 있는 하나 이상의 Bluetooth™ 엔드포인트의 식별자를 포함한다.
다른 구현예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2)는 포지셔닝 시스템(136), 예컨대 전지구 포지셔닝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을 포함할 수 있고, 연결 매니저(126)는, WiGig 엔드포인트(124)에 근접한 또는 WiGig 엔드포인트(124)를 포함하는 영역(128)에서의 모바일 디바이스(102)의 결정된 위치(138)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위치 시그너처(130)를 생성할 수 있다. 위치 시그너처(130)를 생성하기 위한 기초로서 또는 위치 시그너처(130)를 생성하기 위해 부분적으로 사용되는 포지셔닝 시스템 및/또는 무선 통신 기술은, 여느 때 같으면 엔드포인트 연결을 연속적으로 또는 빈번하게 스캔하기 위해 턴온된 상태로 남아 있을 무선 라디오 시스템보다 더 많은 전력을 사용하지 않는다는 것이 인식되어야 한다.
도 2는, 근접도에 기초하여 관리되는 무선 라디오의 실시형태에서 도 1을 참조로 설명되는 위치 시그너처(130)에 대응하는 무선 통신 영역(202)의 예(200)를 예시한다. 예(200)는, 이동 전화(104)(예를 들면, 모바일 디바이스(102)의 예)의 유저는 집(204)이 있고, 그 집(204)에서, 유저는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206) 및 WiGig 엔드포인트(208)(예를 들면, 무선 독) 둘 다를 갖는다는 것을 예시한다. 이동 전화(104)의 WiGig 라디오 시스템(118)이 무선 통신을 위해 WiGig 엔드포인트(208)에 통신가능하게 링크되는 경우, 연결 매니저(126)는, 이 예에서는 와이파이인 다른 무선 통신 기술에 의해 둘러싸이는 영역을 정의하는 유일한(unique) "풋프린트"와 아주 유사하게, 영역(202)의 위치 시그너처(130)를 생성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위치 시그너처(130)는, 이동 전화 주위의 또는 근처의 하나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위치 시그너처(130)는 WiGig 엔드포인트(208)의 엔드포인트 디스크립터(132)를 포함하고, 이동 전화(104)의 와이파이 라디오 시스템(116)의 통신 범위 내에 있는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의 스테이션 식별자(134)를 포함한다. 이 예에서, 통신 범위 내에 있는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는, 회사(214) 근처의 액세스 포인트(210 및 212)뿐만 아니라, 인근 거주지(218)의 액세스 포인트(216) 및 다른 인근 거주지(222)의 액세스 포인트(220)를 포함한다. 위치 시그너처(130)는, 통신 범위 내에 있는 인근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의 전체에 기초할 수도 있거나, 또는 인근 액세스 포인트 중 단지 하나, 또는 임의의 조합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도 있다. WiGig 엔드포인트(208)를 포함하는 영역(202)은, 정의된 영역의 WiGig 엔드포인트에 근접한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 및/또는 식별에 의해 유일하게 정의된다. 그 다음, 연결 매니저(126)는, 특정한 영역의 위치 시그너처(130)에 기초하여, 이동 전화(104)가 WiGig 엔드포인트(208)에 근접한 영역(202)에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3은, 근접도에 기초하여 관리되는 무선 라디오의 실시형태에서 도 1을 참조로 설명되는 위치 시그너처(130)에 대응하는 무선 통신 영역(302)의 예(300)를 예시한다. 예(300)는 또한, 이동 전화(104)(예를 들면, 모바일 디바이스(102)의 예)의 유저가 오피스 빌딩(306)에 사무실(304)을 가지고 있고, 유저가 자신의 사무실에 WiGig 엔드포인트(308)(예를 들면, 무선 독)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예시한다. 이동 전화(104)의 WiGig 라디오 시스템(118)이 무선 통신을 위해 WiGig 엔드포인트(308)에 통신가능하게 링크되는 경우, 연결 매니저(126)는, 이 예에서는 와이파이인 다른 무선 통신 기술에 의해 둘러싸이는 영역을 유일하게 정의하는 영역(302)의 위치 시그너처(130)를 생성할 수 있다.
위치 시그너처(130)는 WiGig 엔드포인트(308)의 엔드포인트 디스크립터(132)를 포함하고, 이동 전화(104)의 와이파이 라디오 시스템(116)의 통신 범위 내에 있는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의 스테이션 식별자(134)를 포함한다. 이 예에서, 통신 범위 내에 있는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는, 오피스 빌딩(306) 인근에 있는 액세스 포인트(310, 312, 및 314)를 포함한다. 위치 시그너처(130)는, 오피스 빌딩의 통신 범위 내에 있는 인근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의 전체에 기초할 수도 있거나, 또는 인근 액세스 포인트 중 단지 하나, 또는 임의의 조합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도 있다. WiGig 엔드포인트(308)를 포함하는 영역(302)은, 정의된 영역의 WiGig 엔드포인트에 근접한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 및/또는 식별에 의해 유일하게 정의된다. 그 다음, 연결 매니저(126)는, 특정한 영역의 위치 시그너처(130)에 기초하여, 이동 전화(104)가 WiGig 엔드포인트(308)에 근접한 영역(302)에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근접도에 기초하여 관리되는 무선 라디오의 실시형태에 따른 각각의 도 4 및 도 5를 참조로, 예시적인 방법(400 및 500)이 설명된다. 일반적으로, 본원에서 설명되는 컴포넌트, 모듈, 방법, 및 동작 중 임의의 것은, 소프트웨어, 펌웨어, 하드웨어(예를 들면, 고정된 로직 회로부(circuitry)), 수동 프로세싱,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예시적인 방법의 몇몇 동작은, 컴퓨터 프로세싱 시스템에 로컬인 및/또는 원격인 컴퓨터 판독가능 스토리지 메모리 상에 저장되는 실행가능 명령어의 일반적인 맥락에서 설명될 수도 있고, 구현예는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함수, 및 등등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본원에서 설명되는 기능성(functionality) 중 임의의 것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로직 컴포넌트, 예컨대, 그리고 비제한적으로,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programmable Gate Array; FPGA),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애플리케이션 고유의 표준 제품(Application-specific Standard Product; ASSP), 시스템 온 칩 시스템(System-on-a-chip system; SoC), 복합 프로그래머블 로직 디바이스(Complex Programmable Logic Device; CPLD), 및 등등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4는 근접도에 기초하여 관리되는 무선 라디오의 예시적인 방법(들)(400)을 예시하며, 도 1에서 도시되는 예시적인 시스템을 참조로 일반적으로 설명된다. 방법이 설명되는 순서는 제한으로서 해석되도록 의도되지 않으며, 방법, 또는 대안적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임의의 수 또는 조합의 방법 동작이 임의의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402에서, 제1 라디오 시스템의 통신 범위 내에 있는 제1 무선 통신 기술의 하나 이상의 스테이션이 결정된다. 예를 들면, 모바일 디바이스(102)(도 1)는, 통신 범위 내에 있는 하나 이상의 스테이션, 예컨대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122)를 결정하는 와이파이 라디오 시스템(116)을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이동 전화(104)(도 2)는, 집(204)의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206)뿐만 아니라, 통신 범위 내에 있는 다른 스테이션, 예컨대 집 인근의 회사(214)에 있는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210 및 212), 및 인근 거주지(218 및 222)의 각각의 액세스 포인트(216 및 220)를 결정하는 와이파이 라디오 시스템(116)을 포함한다. 다른 예에서, 이동 전화(104)(도 3)는, 오피스 빌딩(306)의 사무실(304) 인근의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310, 312, 및 314)를 결정하는 와이파이 라디오 시스템(116)을 포함한다.
404에서, 제2 무선 통신 기술을 위해 구성된 엔드포인트 및 제2 라디오 시스템 사이의 무선 통신을 위한 통신 링크가 확립된다. 예를 들면, 모바일 디바이스(102)(도 1)는, WiGig 무선 통신을 위해 WiGig 엔드포인트(124)와의 통신 링크를 확립하는 WiGig 라디오 시스템(118)을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이동 전화(104)(도 2)는, WiGig 무선 통신을 위해 집(204)의 WiGig 엔드포인트(208)와의 통신 링크를 확립하는 WiGig 라디오 시스템(118)을 포함한다. 다른 예에서, 이동 전화(104)(도 3)는, WiGig 무선 통신을 위해 사무실(304)의 WiGig 엔드포인트(308)와의 통신 링크를 확립하는 WiGig 라디오 시스템(118)을 포함한다.
406에서, 엔드포인트에 근접한 또는 엔드포인트를 포함하는 영역의 위치 시그너처가 생성된다. 예를 들면, 모바일 디바이스(102)에 의해 구현되는 연결 매니저(126)는, WiGig 엔드포인트(124)에 근접한 또는 WiGig 엔드포인트(124)를 포함하는 영역(128)의 위치 시그너처(130)를 생성한다. 위치 시그너처(130)는 WiGig 엔드포인트(124)의 엔드포인트 디스크립터(132) 및 모바일 디바이스의 와이파이 라디오 시스템(116)의 통신 범위 내에 있는 하나 이상의 스테이션(예를 들면,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122))의 스테이션 식별자(134)를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위치 시그너처(130)는, 제3 무선 통신 기술의 제3 라디오 시스템이, 제3 무선 통신 기술을 위해 구성된 하나 이상의 엔드포인트와의 통신 범위에 있는 것에 기초하여, 연결 매니저(126)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와이파이 라디오 시스템(116) 외에, 위치 시그너처(130)는, 모바일 디바이스(102)의 Bluetooth™ 라디오 시스템(120)이, WiGig 엔드포인트(124)에 근접한 또는 WiGig 엔드포인트(124)를 포함하는 영역(128) 내에 있는 하나 이상의 Bluetooth™ 엔드포인트와의 통신 범위 내에 있는 것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도 있다.
408에서, 위치 시그너처에 기초하여, 제1 라디오 시스템이 엔드포인트에 근접한 영역에 있는지의 여부에 관한 결정이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연결 매니저(126)는, 특정한 영역의 위치 시그너처(130)에 기초하여, WiGig 엔드포인트(124)에 근접한 또는 WiGig 엔드포인트(124)를 포함하는 영역(128)에 모바일 디바이스(102)의 와이파이 라디오 시스템(116)이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연결 매니저(126)는, 모바일 디바이스(102)가 특정한 영역에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와이파이 라디오 시스템(116)의 통신 범위에 있는 하나 이상의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를, 영역에 대한 위치 시그너처(130)에 비교할 수 있다.
위치 시그너처에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1 라디오 시스템이 엔드포인트에 근접한 영역에 있다면(즉, 408로부터 "예"이면), 410에서, 엔드포인트와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제2 라디오 시스템은 턴온된다. 예를 들면, WiGig 엔드포인트(124)에 근접한 또는 WiGig 엔드포인트(124)를 포함하는 영역(128)에 모바일 디바이스의 와이파이 라디오 시스템(116)이 있는 경우, 연결 매니저(126)는 WiGig 라디오 시스템(118)을 턴온한다. 이 예에서, WiGig 엔드포인트(124)(예를 들면, 무선 독)는 디바이스의 배터리(예를 들면, 전원(112))의 최소의 전력 소비로 발견될 수 있고, WiGig 라디오 시스템(118)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유저가 무선 독을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가능한 한 빨리 WiGig 엔드포인트(124)의 위치를 결정하여 연결할 수 있다.
위치 시그너처에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1 라디오 시스템이 엔드포인트에 근접한 영역에 있지 않으면(즉, 408로부터 "아니오"이면), 412에서, 여느 때 같으면 엔드포인트를 스캔하기 위해 활용될 전력을 절약하기 위해, 제2 라디오 시스템은 턴오프된다. 예를 들면, WiGig 라디오 시스템(118)이 엔드포인트를 스캔하기 위해 활용할 전력을 절약하기 위해, 와이파이 라디오 시스템(116)이 WiGig 엔드포인트(124)에 근접한 영역(128)에 있지 않으면, 연결 매니저(126)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WiGig 라디오 시스템(118)을 턴오프한다.
도 5는 근접도에 기초하여 관리되는 무선 라디오의 예시적인 방법(들)(500)을 예시하며, 도 1에서 도시되는 예시적인 시스템을 참조로 일반적으로 설명된다. 방법이 설명되는 순서는 제한으로서 해석되도록 의도되지 않으며, 방법, 또는 대안적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임의의 수 또는 조합의 방법 동작이 임의의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502에서, 모바일 디바이스의 WiGig 라디오 시스템이 무선 통신을 위해 WiGig 엔드포인트에 통신가능하게 링크된다. 예를 들면, 이동 전화(104)(도 2)는, WiGig 무선 통신을 위해 집(204)의 WiGig 엔드포인트(208)와의 통신 링크를 확립하는 WiGig 라디오 시스템(118)을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102)(도 1)의 예이다. 마찬가지로, 이동 전화(104)(도 3)는, WiGig 무선 통신을 위해 오피스 빌딩(306)의 사무실(304)의 WiGig 엔드포인트(308)와의 통신 링크를 확립하는 WiGig 라디오 시스템(118)을 포함한다.
504에서, 모바일 디바이스의 와이파이 라디오 시스템의 통신 범위 내에 있는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가 결정된다. 예를 들면, 이동 전화(104)(도 2)는, 집(204)의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206)뿐만 아니라, 통신 범위 내에 있는 다른 스테이션, 예컨대 집 인근의 회사(214)에 있는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210 및 212), 및 인근 거주지(218 및 222)의 각각의 액세스 포인트(216 및 220)를 결정하는 와이파이 라디오 시스템(116)을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이동 전화(104)(도 3)는, 오피스 빌딩(306)의 사무실(304) 인근의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310, 312, 및 314)를 결정하는 와이파이 라디오 시스템(116)을 포함한다.
506에서, WiGig 엔드포인트에 근접한 또는 WiGig 엔드포인트를 포함하는 영역의 위치 시그너처가 생성된다. 예를 들면, 이동 전화(104)에 의해 구현되는 연결 매니저(126)는, 집(204)의 WiGig 엔드포인트(208)에 근접한 또는 그 WiGig 엔드포인트(208)를 포함하는 영역(202)(도 2)의 위치 시그너처(130)를 생성한다. 위치 시그너처(130)는 WiGig 엔드포인트(208)의 엔드포인트 디스크립터(132) 및 이동 전화의 와이파이 라디오 시스템(116)의 통신 범위 내에 있는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의 스테이션 식별자(134)를 포함한다. 위치 시그너처(130)는, 통신 범위 내에 있는 인근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의 전체에 기초할 수도 있거나, 또는 인근 액세스 포인트 중 단지 하나, 또는 임의의 조합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도 있다. 다른 예에서, 연결 매니저(126)는, 오피스 빌딩(306)의 WiGig 엔드포인트(308)에 근접한 또는 그 WiGig 엔드포인트(308)를 포함하는 영역(302)(도 3)의 위치 시그너처(130)를 생성한다. 위치 시그너처(130)는 WiGig 엔드포인트(308)의 엔드포인트 디스크립터(132) 및 이동 전화의 와이파이 라디오 시스템(116)의 통신 범위 내에 있는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의 스테이션 식별자(134)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연결 매니저(126)는, 이동 전화(104)가, WiGig 엔드포인트에 근접한 영역에 있는 하나 이상의 Bluetooth™ 엔드포인트와의 통신 범위에 있는 것에 기초하여, 위치 시그너처(130)를 생성하고, 위치 시그너처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Bluetooth™ 엔드포인트의 스테이션 식별자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위치 시그너처(130)는, WiGig 엔드포인트에 근접한 영역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4)의 위치를 결정하는 포지셔닝 시스템에 기초하여 생성되고, 위치 시그너처는 포지셔닝 시스템으로부터 결정되는 바와 같은 위치를 포함한다. 실시형태에서, 위치 시그너처(130)는, WiGig 엔드포인트에 근접한 또는 WiGig 엔드포인트를 포함하는 영역에서의 결정된 위치 및 다양한 무선 통신 기술 엔드포인트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도록 생성될 수 있다.
508에서, 위치 시그너처에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가 WiGig 엔드포인트에 근접한 영역에 있는지의 여부에 관한 결정이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연결 매니저(126)는, 특정한 영역의 위치 시그너처(130)에 기초하여, WiGig 엔드포인트(208)에 근접한 또는 WiGig 엔드포인트(208)를 포함하는 영역(202)에 이동 전화(104)의 와이파이 라디오 시스템(116)이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연결 매니저(126)는, 이동 전화(104)가 특정한 영역에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와이파이 라디오 시스템(116)의 통신 범위에 있는 회사 및 거주지 인근으로부터의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를, 영역(202)에 대한 위치 시그너처(130)에 비교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연결 매니저(126)는, 특정한 영역의 위치 시그너처(130)에 기초하여, WiGig 엔드포인트(308)에 근접한 또는 WiGig 엔드포인트(308)를 포함하는 영역(302)에 이동 전화(104)의 와이파이 라디오 시스템(116)이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연결 매니저(126)는, 이동 전화(104)가 특정한 영역에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와이파이 라디오 시스템(116)의 통신 범위에 있는 오피스 빌딩(306) 내에서부터의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를, 영역(302)에 대한 위치 시그너처(130)에 비교할 수 있다.
위치 시그너처에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가 WiGig 엔드포인트에 근접한 영역에 있으면(즉, 508로부터 "예"이면), 510에서, WiGig 엔드포인트와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모바일 디바이스의 WiGig 라디오 시스템은 턴온된다. 예를 들면, 이동 전화의 와이파이 라디오 시스템(116)이 집(204)의 WiGig 엔드포인트(208)에 근접한 영역(202)에 있으면, 연결 매니저(126)는 이동 전화(104)의 WiGig 라디오 시스템(118)을 턴온하는데, WiGig 라디오 시스템(118)을 턴온하는 것은, WiGig 엔드포인트(208)의 위치를 결정하고 WiGig 엔드포인트(208)에 통신가능하게 링크하는 WiGig 라디오 시스템(118)을 개시시킨다. 마찬가지로, 오피스 빌딩(306)의 WiGig 엔드포인트(308)에 근접한 영역(302)에 이동 전화의 와이파이 라디오 시스템(116)이 있으면, 연결 매니저(126)는 이동 전화(104)의 WiGig 라디오 시스템(118)을 턴온한다.
위치 시그너처에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가 WiGig 엔드포인트에 근접한 영역에 있지 않으면(즉, 508로부터의 "아니오"이면), 512에서, WiGig 라디오 시스템은, 여느 때 같으면 WiGig 엔드포인트를 스캔하기 위해 활용될 전력을 절약하기 위해, 턴오프된다. 예를 들면, 여느 때 같으면 엔드포인트를 스캔하기 위해 활용될 전력을 절약하기 위해, 연결 매니저(126)는, 와이파이 라디오 시스템(116)이 WiGig 엔드포인트(208)에 근접한 영역(202)에 있지 않으면, 이동 전화(104)의 WiGig 라디오 시스템(118)을 턴오프한다. 마찬가지로, 여느 때 같으면 엔드포인트를 스캔하기 위해 활용될 전력을 절약하기 위해, 연결 매니저(126)는, 와이파이 라디오 시스템(116)이 WiGig 엔드포인트(308)에 근접한 영역(302)에 있지 않으면, 이동 전화(104)의 WiGig 라디오 시스템(118)을 턴오프한다.
도 6은, 근접도에 기초하여 관리되는 무선 라디오의 실시형태를 구현할 수 있는 예시적인 디바이스(602)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시스템(600)을 예시한다. 예시적인 디바이스(602)는, 임의의 타입의 디바이스, 이동 전화, 태블릿, 컴퓨팅, 통신, 엔터테인먼트, 게이밍, 미디어 재생, 및/또는 다른 타입의 디바이스와 같은, 도 1 내지 도 5를 참조로 설명되는 컴퓨팅 디바이스 중 임의의 것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에서 도시되는 모바일 디바이스(102) 및/또는 이동 전화(104)는 예시적인 디바이스(602)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디바이스(602)는, 위치 시그너처 데이터, 포지셔닝 시스템 데이터, 및/또는 무선 라디오 시스템 데이터와 같은, 디바이스 데이터(606)의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 디바이스(604)를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디바이스는 임의의 타입의 오디오, 비디오, 및/또는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디바이스(604)는 또한, 셀룰러 폰 통신을 위한 그리고 네트워크 데이터 통신을 위한 트랜스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602)는 또한, 디바이스, 데이터 네트워크, 및 다른 디바이스 사이의 연결 및/또는 통신 링크를 제공하는 데이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와 같은, 입/출력(input/output; I/O) 인터페이스(608)를 포함한다. I/O 인터페이스는 디바이스를, 임의의 타입의 컴포넌트, 주변장치, 및/또는 액세서리 디바이스에 커플링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I/O 인터페이스는 또한, 디바이스에 대한 유저 입력뿐만 아니라, 임의의 컨텐츠 및/또는 데이터 소스로부터 수신되는 임의의 타입의 오디오, 비디오, 및/또는 이미지 데이터와 같은, 임의의 타입의 데이터, 미디어 컨텐츠, 및/또는 입력이 수신될 수 있는 데이터 입력 포트를 포함한다.
디바이스(602)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드웨어로, 예컨대 실행가능 명령어를 프로세싱하는 임의의 타입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컨트롤러, 및 등등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는 프로세싱 시스템(610)을 포함한다. 프로세싱 시스템은, 집적 회로, 프로그래머블 로직 디바이스, 하나 이상의 반도체를 사용하여 형성되는 로직 디바이스, 및 실리콘 및/또는 하드웨어의 다른 구현예, 예컨대 시스템 온 칩(SoC)으로서 구현되는 프로세서 및 메모리 시스템의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디바이스는, 프로세싱 및 제어 회로로 구현될 수도 있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펌웨어, 또는 고정된 로직 회로부 중 임의의 하나 또는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디바이스(602)는 디바이스 내의 다양한 컴포넌트를 커플링하는 임의의 타입의 시스템 버스 또는 다른 데이터 및 커맨드 전송 시스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 버스는, 제어 및 데이터 라인뿐만 아니라, 상이한 버스 구조체 및 아키텍쳐 중 임의의 하나 또는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602)는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스토리지 메모리(612), 예컨대,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그리고 데이터 및 실행가능 명령어(예를 들면,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함수, 및 등등)의 영구적인 저장을 제공하는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컴퓨터 판독가능 스토리지 메모리(612)의 예는, 휘발성 메모리 및 불휘발성 메모리, 고정식 미디어 디바이스 및 착탈식 미디어 디바이스, 및 컴퓨팅 디바이스 액세스를 위한 데이터를 유지하는 임의의 적절한 메모리 디바이스 또는 전자 데이터 스토리지를 포함한다. 컴퓨터 판독가능 스토리지 메모리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리드 온리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플래시 메모리, 및 다양한 메모리 디바이스 구성의 다른 타입의 저장 매체의 다양한 구현예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스토리지 메모리(612)는, 디바이스 데이터(606) 및 다양한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614), 예컨대, 컴퓨터 판독가능 스토리지 메모리를 사용하여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으로 유지되는 그리고 프로세싱 시스템(610)에 의해 실행되는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저장을 제공한다. 이 예에서,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은, 예컨대 예시적인 디바이스(602)가 도 1에서 도시되는 모바일 디바이스(102), 이동 전화(104), 또는 태블릿 컴퓨터(106)로서 구현되는 경우, 근접도에 기초하여 관리되는 무선 라디오의 실시형태를 구현하는 연결 매니저(616)를 포함한다. 연결 매니저(616)의 예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102)에 의해 구현되는 연결 매니저(126)이다.
디바이스(602)는 또한, 오디오 디바이스(620)에 대한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하는 및/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622)에 대한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생성하는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시스템(618)을 포함한다. 오디오 디바이스 및/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오디오, 비디오, 디스플레이, 및/또는 이미지 데이터를 프로세싱, 디스플레이, 및/또는 다르게는 렌더링하는 임의의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구현예에서, 오디오 디바이스 및/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예시적인 디바이스(602)의 통합 컴포넌트이다. 대안적으로, 오디오 디바이스 및/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예시적인 디바이스 외부에 있는 주변장치 컴포넌트이다.
실시형태에서, 근접도에 기초하여 관리되는 무선 라디오에 대해 설명되는 기술 중 적어도 일부는, 예컨대 플랫폼(626)의 "클라우드"(624)를 통해, 분산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클라우드(624)는 리소스(630) 및/또는 서비스(628)에 대한 플랫폼(626)을 포함하고 및/또는 대표한다. 플랫폼(626)은 하드웨어의 기저의(underlying) 기능성, 예컨대 서버 디바이스(예를 들면, 서비스(628)에 포함됨) 및/또는 소프트웨어 리소스(예를 들면, 리소스(630)에 포함됨)을 추상화하고, 예시적인 디바이스(602)를 다른 디바이스, 서버, 등등과 연결한다. 리소스(630)는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602)로부터 원격인 서버 상에서 컴퓨터 프로세싱이 실행되고 있는 동안 활용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및/또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서비스(628) 및/또는 리소스(630)는, 예컨대 인터넷, 셀룰러 네트워크, 또는 와이파이 네트워크를 통해, 가입자 네트워크 서비스를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플랫폼(626)은 또한, 예컨대 시스템(600) 전체에 걸쳐 분산되는 기능성을 갖는 인터커넥트된 디바이스 실시형태에서, 플랫폼을 통해 구현되는 리소스(630)에 대한 요구를 서비스하기 위해 리소스를 추상화하고 스케일링하도록 기능한다. 예를 들면, 기능성은 예시적인 디바이스(602)에서뿐만 아니라 클라우드(624)의 기능성을 추상화하는 플랫폼(626)을 통해서도 부분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근접도에 기초하여 관리되는 무선 라디오의 실시형태가 피쳐 및 방법에 특정한 언어로 설명되었지만, 첨부의 청구범위는, 설명된 특정한 피쳐 또는 방법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대신, 특정한 피쳐 및 방법은 근접도에 기초하여 관리되는 무선 라디오의 예시적인 구현예로서 개시되며, 다른 등가적인 피쳐 및 방법이 첨부의 청구범위의 범위 내에 있도록 의도된다. 또한, 다양하고 상이한 실시형태가 개시되며, 각각의 설명된 실시형태는, 독립적으로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설명된 실시형태와 연계하여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되어야 한다. 본원에서 논의되는 기술, 피쳐, 및/또는 방법의 추가적인 양태는, 다음의 실시형태 중 하나 이상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구현되는 방법은, 와이파이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1 라디오 시스템 - 제1 라디오 시스템은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와의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됨 - 과 통신하는 것; WiGig 엔드포인트에 근접한 영역의 위치 시그너처 - 위치 시그너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1 라디오 시스템이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 중 하나 이상의 통신 범위 내에 있는 것에 기초함 - 를 생성하는 것; 위치 시그너처에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가 WiGig 엔드포인트에 근접한 영역에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것; 및 WiGig을 통한 WiGig 엔드포인트와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2 라디오 시스템을 턴온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설명된 방법에 대해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다음 중 임의의 하나 또는 조합: 제2 라디오 시스템이 무선 통신을 위해 WiGig 엔드포인트에 통신가능하게 링크될 때 위치 시그너처의 상기 생성; 위치 시그너처는 WiGig 엔드포인트의 디스크립터 및 하나 이상의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의 식별자를 포함함; 제2 라디오 시스템의 상기 턴온은, 모바일 디바이스에 근접한 영역에 있는 WiGig 엔드포인트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 및 WiGig 엔드포인트에 통신가능하게 링크하는 것을 개시함; 모바일 디바이스가 엔드포인트에 근접한 영역에 있지 않을 때, 제2 라디오 시스템을 턴오프하여, 여느 때 같으면 WiGig 엔드포인트를 스캔하기 위해 제2 라디오 시스템에 의해 활용될 전력을 절약하는 것; 모바일 디바이스가 WiGig 엔드포인트에 근접한 영역에 있는지의 여부의 상기 결정은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3 라디오 시스템이, WiGig 엔드포인트에 근접한 영역에 있는 하나 이상의 Bluetooth™ 엔드포인트와의 통신 범위에 있는 것에 기초함.
모바일 디바이스는, 제1 무선 통신 기술을 위해 구성된 제1 라디오 시스템; 제2 무선 통신 기술- 제1 무선 통신 기술은 제2 무선 통신 기술보다 더 큰 통신 범위를 가짐 - 을 위해 구성된 제2 라디오 시스템; 제1 무선 통신 기술에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가 제2 무선 통신 기술을 위해 구현된 엔드포인트에 근접한 영역에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도록; 그리고 모바일 디바이스가 엔드포인트에 근접한 영역에 있는 경우 엔드포인트와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제2 라디오 시스템을 턴온하도록 실행가능하며 구성되는 연결 매니저를 구현하는 프로세싱 시스템을 포함한다.
상기 설명된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해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다음 중 임의의 하나 또는 조합: 연결 매니저는 제2 무선 통신 기술을 위해 구현된 엔드포인트에 근접한 영역의 위치 시그너처 - 제1 라디오 시스템에 기초한 위치 시그너처는 제1 무선 통신 기술의 하나 이상의 스테이션의 통신 범위 내에 있음 - 를 생성하도록, 그리고 위치 시그너처에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가 엔드포인트에 근접한 영역에 있는지의 여부의 상기 결정을 행하도록 구성됨; 연결 매니저는, 제2 라디오 시스템이 무선 통신을 위해 엔드포인트에 통신가능하게 연결될 때 위치 시그너처를 생성하도록 구성됨; 위치 시그너처는 엔드포인트의 디스크립터 및 제1 무선 통신 기술의 하나 이상의 스테이션의 식별자를 포함함; 연결 매니저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근접한 영역에 있는 엔드포인트의 위치를 결정하고 그 엔드포인트에 통신가능하게 링크하는 제2 라디오 시스템의 상기 턴온을 행하도록 구성됨; 연결 매니저는, 모바일 디바이스가 엔드포인트에 근접한 영역에 있지 않으면, 제2 라디오 시스템을 턴오프시키도록 그리고 여느 때 같으면 엔드포인트를 스캔하기 위해 제2 라디오 시스템에 의해 활용될 전력을 보존하도록 구성됨; 제1 무선 통신 기술은 와이파이이고, 제2 무선 통신 기술은 WiGig이고, 엔드포인트는 WiGig 엔드포인트로서 구현됨; 연결 매니저는, WiGig 엔드포인트에 근접한 영역의 위치 시그너처 - 위치 시그너처는 제1 라디오 시스템이 하나 이상의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의 통신 범위 내에 있는 것에 기초함 - 를 생성하도록, 그리고 위치 시그너처에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가 WiGig 엔드포인트에 근접한 영역에 있는지의 여부의 상기 결정을 행하도록 구성됨; 및 연결 매니저는 또한, 추가적인 무선 통신 기술에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가 엔드포인트에 근접한 영역에 있는지의 여부의 상기 결정을 행하도록 구성됨.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구현되는 방법은, 제1 라디오 시스템의 통신 범위 내에 있는 제1 무선 통신 기술의 하나 이상의 스테이션을 결정하는 것; 제2 무선 통신 기술을 위해 구성된 엔드포인트와 제2 라디오 시스템 사이의 무선 통신을 위한 통신 링크를 확립하는 것; 엔드포인트에 근접한 또는 엔드포인트를 포함하는 영역의 위치 시그너처 - 위치 시그너처는 엔드포인트의 디스크립터 및 제1 라디오 시스템의 통신 범위 내에 있는 하나 이상의 스테이션의 식별자를 포함함 - 를 생성하는 것; 및 제1 라디오 시스템이 엔드포인트에 근접한 영역에 있지 않을 때 제2 라디오 시스템을 턴오프하고 여느 때 같으면 엔드포인트를 스캔하기 위해 제2 라디오 시스템에 의해 활용될 전력을 절약하는 것; 또는 제1 라디오 시스템이 엔드포인트에 근접한 영역에 있을 때, 엔드포인트와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제2 라디오 시스템을 턴온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설명된 방법에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다음 중 임의의 하나 또는 조합: 위치 시그너처에 기초하여, 제2 라디오 시스템이 엔드포인트에 근접한 또는 엔드포인트를 포함하는 영역에 있는지의 여부 및 제1 무선 통신 기술의 하나 이상의 스테이션이 제1 라디오 시스템의 통신 범위 내에 있는지의 여부, 및 제2 라디오 시스템의 상기 턴오프 또는 턴온 중 하나를 결정하는 것; 제1 무선 통신 기술은 와이파이이고, 제2 무선 통신 기술은 WiGig이고, 엔드포인트는 WiGig 엔드포인트로서 구현되고; 엔드포인트에 근접한 또는 엔드포인트를 포함하는 영역의 위치 시그너처의 상기 생성은, 제1 라디오 시스템이 하나 이상의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의 통신 범위 내에 있는 것에 기초함; 및 엔드포인트에 근접한 또는 엔드포인트를 포함하는 영역의 위치 시그너처의 상기 생성은 또한, 추가적인 무선 통신 기술에 기초함.

Claims (15)

  1. 방법에 있어서,
    와이파이(Wi-Fi)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1 라디오 시스템 - 상기 제1 라디오 시스템은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와의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됨 - 과 통신하는 단계;
    WiGig 엔드포인트에 근접한 영역의 위치 시그너처를 생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위치 시그너처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상기 제1 라디오 시스템이 상기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 중 하나 이상의 통신 범위 내에 있는 것에 기초하는 것인, 상기 생성하는 단계;
    상기 위치 시그너처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WiGig 엔드포인트에 근접한 상기 영역에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WiGig을 통한 상기 WiGig 엔드포인트와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2 라디오 시스템을 턴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시그너처의 상기 생성은, 상기 제2 라디오 시스템이 무선 통신을 위해 상기 WiGig 엔드포인트에 통신가능하게 링크될 때 발생하는 것인,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시그너처는 상기 WiGig 엔드포인트의 디스크립터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라디오 시스템의 상기 턴온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근접한 상기 영역에 있는 상기 WiGig 엔드포인트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 및 상기 WiGig 엔드포인트에 통신가능하게 링크하는 것을 개시하는 것인,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엔드포인트에 근접한 상기 영역에 있지 않을 때, 상기 제2 라디오 시스템을 턴오프하여, 여느 때 같으면(otherwise) 상기 WiGig 엔드포인트를 스캔하기 위해 상기 제2 라디오 시스템에 의해 활용될, 전력을 절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WiGig 엔드포인트에 근접한 상기 영역에 있는지의 여부의 상기 결정은 또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3 라디오 시스템이, 상기 WiGig 엔드포인트에 근접한 상기 영역에 있는 하나 이상의 블루투스(Bluetooth)™ 엔드포인트와의 통신 범위에 있는 것에 기초하는 것인, 방법.
  7. 모바일 디바이스에 있어서,
    제1 무선 통신 기술을 위해 구성된 제1 라디오 시스템;
    제2 무선 통신 기술을 위해 구성된 제2 라디오 시스템으로서, 상기 제1 무선 통신 기술은 상기 제2 무선 통신 기술보다 더 큰 통신 범위를 갖는 것인, 상기 제2 라디오 시스템; 및
    연결 매니저를 구현하는 프로세싱 시스템
    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매니저는,
    상기 제1 무선 통신 기술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무선 통신 기술을 위해 구현된 엔드포인트에 근접한 영역에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엔드포인트에 근접한 영역에 있을 때, 상기 엔드포인트와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기 제2 라디오 시스템을 턴온하도록
    실행가능하고 구성되는 것인, 모바일 디바이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매니저는,
    상기 제2 무선 통신 기술을 위해 구현된 상기 엔드포인트에 근접한 상기 영역의 위치 시그너처 - 상기 위치 시그너처는, 상기 제1 라디오 시스템이 상기 제1 무선 통신 기술의 하나 이상의 스테이션의 통신 범위 내에 있는 것에 기초함 - 를 생성하고,
    상기 위치 시그너처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엔드포인트에 근접한 상기 영역에 있는지의 여부의 상기 결정을 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모바일 디바이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매니저는, 상기 제2 라디오 시스템이 상기 무선 통신을 위해 상기 엔드포인트에 통신가능하게 링크될 때 상기 위치 시그너처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모바일 디바이스.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시그너처는, 상기 엔드포인트의 디스크립터 및 상기 제1 무선 통신 기술의 상기 하나 이상의 스테이션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인, 모바일 디바이스.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매니저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근접한 상기 영역에 있는 상기 엔드포인트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엔드포인트에 통신가능하게 링크하는 상기 제2 라디오 시스템의 상기 턴온을 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모바일 디바이스.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매니저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엔드포인트에 근접한 영역에 있지 않으면, 상기 제2 라디오 시스템을 턴오프하여, 여느 때 같으면 상기 엔드포인트를 스캔하기 위해 상기 제2 라디오 시스템에 의해 활용될, 전력을 절약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모바일 디바이스.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통신 기술은 와이파이이고,
    상기 제2 무선 통신 기술은 WiGig이며,
    상기 엔드포인트는 WiGig 엔드포인트로서 구현되는 것인, 모바일 디바이스.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매니저는,
    상기 WiGig 엔드포인트에 근접한 상기 영역의 위치 시그너처 - 상기 위치 시그너처는, 상기 제1 라디오 시스템이 하나 이상의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의 통신 범위 내에 있는 것에 기초함 - 를 생성하고,
    상기 위치 시그너처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WiGig 엔드포인트에 근접한 상기 영역에 있는지의 여부의 상기 결정을 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모바일 디바이스.
  15.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매니저는 또한, 추가적인 무선 통신 기술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엔드포인트에 근접한 상기 영역에 있는지의 여부의 상기 결정을 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모바일 디바이스.
KR1020177009434A 2014-09-08 2015-09-07 근접도에 기초하여 관리되는 무선 라디오 KR1023705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479,954 US9794886B2 (en) 2014-09-08 2014-09-08 Wireless radios managed based on proximity
US14/479,954 2014-09-08
PCT/US2015/048743 WO2016040197A1 (en) 2014-09-08 2015-09-07 Wireless radios managed based on proximit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9581A true KR20170049581A (ko) 2017-05-10
KR102370511B1 KR102370511B1 (ko) 2022-03-03

Family

ID=54150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9434A KR102370511B1 (ko) 2014-09-08 2015-09-07 근접도에 기초하여 관리되는 무선 라디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794886B2 (ko)
EP (1) EP3192284B1 (ko)
JP (1) JP2017532840A (ko)
KR (1) KR102370511B1 (ko)
CN (1) CN106664524B (ko)
WO (1) WO20160401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27616B2 (en) 2016-07-18 2018-07-17 Plexus Meet, Inc. Proximity discovery system and method
US10979974B2 (en) 2016-12-15 2021-04-13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ystems and methods for reducing device power consumption through usage context operation
CN108024210B (zh) * 2017-12-28 2021-01-19 上海传英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智能终端的无线网络控制方法及无线网络控制系统
US11509733B2 (en) * 2019-08-29 2022-11-22 Qualcomm Incorporated Determining a location context of a device
US11632655B1 (en) * 2022-01-14 2023-04-18 Bandwidth Inc. Techniques for registering an internet protocol (IP) endpoint for emergency services callin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28753A (ja) * 2008-07-24 2010-02-04 Toshiba Corp 通信装置および通信制御方法
US20140073246A1 (en) * 2012-09-11 2014-03-13 Acer Incorporated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establishing wireless connection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71216B1 (en) 2001-04-19 2007-01-30 Cisco Technology, Inc.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a preferred wireless network for a mobile device
US7466986B2 (en) 2006-01-19 2008-12-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On-device mapping of WIFI hotspots via direct connection of WIFI-enabled and GPS-enabled mobile devices
US7929964B2 (en) 2007-06-08 2011-04-19 Alcatel-Lucent Usa Inc. Managing mobile station Wi-Fi communications
US8547887B2 (en) * 2007-12-31 2013-10-01 Shoretel, Inc. Wireless interface control to reduce power consumption
US20100172274A1 (en) 2009-01-07 2010-07-08 Microsoft Corporation Energy saving using cellular footprint for mobile device Wi-Fi access point discovery
US9155017B2 (en) 2009-02-03 2015-10-06 Kyocera Corporation Access point detection for wireless networking
US9775046B2 (en) * 2009-06-26 2017-09-26 Qualcomm, Incorporated Power management
US8891442B2 (en) 2009-06-30 2014-11-18 Clearwire Ip Holdings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dual-mode operation
CN102238693B (zh) * 2010-04-20 2015-03-11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WiFi热点自动搜索系统及方法
US9113305B2 (en) * 2012-05-17 2015-08-18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stimating location of user equipment in wireless network
US20130331118A1 (en) 2012-06-10 2013-12-12 Apple Inc. Performing enhanced background location scans to facilitate location-based geo-fencing
US8909151B2 (en) 2012-06-25 2014-12-09 Inte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to avoid saturation of an associating WiGig station
CN103582076A (zh) * 2012-08-07 2014-02-1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Wlan热点搜索的控制方法及装置
CN103687056B (zh) * 2012-09-26 2017-06-06 宏碁股份有限公司 移动通信装置及其无线连接建立方法
US9055543B2 (en) 2012-11-30 2015-06-09 Lenovo (Singapore) Pte. Ltd. Reduced power wireless wake on connection
CN103906173B (zh) * 2012-12-24 2018-09-11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的控制方法
US10372396B2 (en) 2013-02-21 2019-08-06 Lenovo ( Singapore) Pte. Ltd. Discovery and connection to wireless displays
EP2950558B1 (en) * 2014-05-30 2020-03-25 Appl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nitiating a high-power connection via a low-power interfa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28753A (ja) * 2008-07-24 2010-02-04 Toshiba Corp 通信装置および通信制御方法
US20140073246A1 (en) * 2012-09-11 2014-03-13 Acer Incorporated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establishing wireless connection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664524A (zh) 2017-05-10
EP3192284A1 (en) 2017-07-19
EP3192284B1 (en) 2020-04-01
US20160073352A1 (en) 2016-03-10
WO2016040197A1 (en) 2016-03-17
JP2017532840A (ja) 2017-11-02
KR102370511B1 (ko) 2022-03-03
US9794886B2 (en) 2017-10-17
CN106664524B (zh) 2020-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429279B2 (ja) ピアツーピアデバイスに関するクラウドベースの近接ペアリング及び切り替え
EP3873118B1 (en) Bluetooth (tm) low-energy scanning and ranging
US20180098372A1 (en) Extending Use of a Cellular Communication Capabilities in a Wireless Device to Another Device
KR102370511B1 (ko) 근접도에 기초하여 관리되는 무선 라디오
US11671809B2 (en) Bluetooth profile fast connect
EP2974458B1 (en) Intelligent beaconing by software-enabled access point
US9894616B2 (en) Delegating WiFi network discovery and traffic monitoring
US11224027B2 (en) Cell registration method and device
WO2014190004A1 (en) Wireless communication in radar transmission channels
KR20100130608A (ko) 무선 멀티 통신 장치에서의 공유 리소스의 관리 기술
US20140066059A1 (en) Method and apparatus determining white space information
US20160073347A1 (en) Device Proximity Detection Implemented In Hardware
JP2017507604A (ja) ワイヤレスネットワークにおいてアクセスポイント(ap)を発見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05684475A (zh) 基于邻近的服务
JP2013191933A (ja) 無線通信端末装置
US1027804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mitting and managing communication on dedicated short-range communication channels
US914881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outing cellular network calls or data using a communications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