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9431A - 이어폰잭 플러그인 블루투스 메모리 장치 - Google Patents

이어폰잭 플러그인 블루투스 메모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9431A
KR20170049431A KR1020160140985A KR20160140985A KR20170049431A KR 20170049431 A KR20170049431 A KR 20170049431A KR 1020160140985 A KR1020160140985 A KR 1020160140985A KR 20160140985 A KR20160140985 A KR 20160140985A KR 20170049431 A KR20170049431 A KR 201700494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uetooth
unit
casing
memory device
mem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09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움
Priority to PCT/KR2016/014756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8079932A1/ko
Publication of KR201700494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94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2Physical layout of the record carrier
    • G06K19/07732Physical layout of the record carrier the record carrier having a housing or construction similar to well-known portable memory devices, such as SD cards, USB or memory sti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49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58Contacts spaced along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8Access secu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50Secure pairing of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30Security of mobile devices; Security of mobile applications
    • H04W12/33Security of mobile devices; Security of mobile applications using wearable devices, e.g. using a smartwatch or smart-glas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루투스 메모리 장치를 개시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와 무선통신방식을 통해 연동하여 탑재된 메모리부의 데이터 접근을 구현한 이어폰잭 플러그인 블루투스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블루투스 메모리 장치에 오디오단자를 이용하여 구동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으므로, 전원 공급에 구애 받지 않고 어디에서나 손쉽게 사용이 가능한 메모리 드라이브로 이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어폰잭 플러그인 블루투스 메모리 장치{EARPHON JACK PLUGGED-IN BLUETOOTH MEMORY DEVICE}
본 발명은 블루투스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용 단말기와 무선통신방식을 통해 연동하여 탑재된 메모리부의 데이터 접근을 구현한 이어폰잭 플러그인 블루투스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스마트기기에 사용되는 저장장치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 SSD)로서 고속의 쓰기/읽기가 가능한 비휘발성 플래시 메모리를 집적한 것이다. 그러나, 현재 상용화된 SSD는 가격 대비 저용량으로 대용량 스토리지로 사용하기에는 가격부담이 크기 때문에 클라우드 드라이브 등의 보조 스토리지 수단을 필요로 한다.
그리나, 클라우드 드라이브는 데이터를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하는 방식임에 따라 네트워크에 접속되야만 읽기 및 쓰기가 가능하다는 한계가 있고, 인증서 등의 자료는 보안상의 이유로 활용하기 곤란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일반적인 소비자의 경우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아직까지 USB메모리나 이동식 하드디스크 등의 휴대용 물리 저장장치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으며, 스마트기기의 저장장치로서 USB 연결방식의 메모리장치나 이동식 하드디스크 등의 휴대용 물리적 저장장치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국내 등록특허 제10-1386438호(공고일: 2014.04.22.)는 스마트폰 (2)의 스마트폰 블루투스 모듈(21)과의 근거리 통신을 위한 USB 블루투스 모듈(13), 외부 단말기와의 접속을 위한 USB 커넥터(11), USB 커넥터(11)를 통해 외부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14), USB 블루투스 모듈(13)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2), 스마트폰(2)의 특정 어플을 실행하기 위한 연동버튼(17), USB 블루투스 모듈(13)의 제어로 구동되는 부저(15) 및 USB 블루투스 모듈(13)의 제어로 구동되는 LED(16)를 포함하고, USB 블루투스 모듈(13)은 스마트 폰 블루투스 모듈(21)에 의해 자동으로 연동되며, 스마트폰(2)으로부터 무선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부저(15)와 LED(16)를 구동시키고, 스위칭 소자(19)를 '오프' 하여 USB 커넥터(11)와 메모리(14) 사이에 전원을 차단하고, 스마트폰(2)은 상기 USB 블루투스 모듈(13)로부터 무선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알람음을 출력하도록 하는 스마트폰과 연동되는 USB 메모리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인용기술은 스마트폰과 같은 스마트기기와 USB 메모리를 블루투스와 같은 무선 근거리 통신 규격으로 연결함으로써 USB 포트를 가지지 않는 스마트폰의 경우에도 데이터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그러나, 상기 인용기술은 USB 메모리의 구동을 위한 충전수단을 포함하기 때문에 USB 메모리의 부피가 커지고, 충전 전력이 없을 시에는 사용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안정적인 데이터 접근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저장장치는 데이터 이동을 위해 주로 표준 USB 단자를 이용하는 데 반해, 최근의 스마트기기는 경박단소화에 따라 표준 USB 단자가 아닌 Micro 단자가 적용되어 있으며, 이에 해당 형식의 젠더 또는 커넥터를 이용해야지만 USB 메모리 장치에 연결할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스마트 기기 내지 블루투스 통신규격을 가진 단말과 무선 데이터 이동이 가능하고, 기기 내지 단말에 마련되는 오디오단자를 이용하여 구동전원을 공급받음으로써 별도의 충전지나 전원공급장치가 불필요한 이어폰잭 플러그인 블루투스 메모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메모리에 대한 접근을 제한하여 보안성을 강화한 이어폰잭 플러그인 블루투스 메모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잭 플러그인 블루투스 메모리 장치는, 데이터 저장용 메모리 장치에 있어서, 수납공간을 가지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에 구비되고, 데이터 읽기 및 쓰기가 가능한 메모리부; 상기 메모리부에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무선 송수신하도록 마련되는 통신모듈; 상기 케이싱의 외부 일측면에 구비되고, 외부기기 USB 커넥터에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USB커넥터; 상기 케이싱의 외부 타측면에 구비되고, 휴대용 단말기의 오디오 단자에 연결되는 오디오잭; 전원을 저장 및 공급하는 내장 전원부;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프로토콜을 결정하고, USB 커넥터 및 오디오잭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전원을 상기 내장 전원부에 공급하도록 하는 데이터가 기록된 펌웨어; 및 상기 펌웨어를 참조하여 상기 통신모듈 또는 USB 커넥터를 거쳐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부에 읽거나 쓰도록 하고, 상기 오디오잭 또는 USB 커넥터를 통해 인가되는 전원을 상기 내장 전원부에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메인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모듈은, 블루투스 모듈 및 WiFi 모듈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싱은, 상기 메모리부 또는 상기 블루투스 모듈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도록 외부 일측면에 구비되는 LED램프; 및 상기 블루투스 모듈 또는 WiFi 모듈과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페어링시키기 위한 페어링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외부와의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기록매체에 기록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상기 오디오잭이 상기 오디오단자에 연결되면 신호를 수신하여 장치 신호를 수신 및 확인하는 장치 확인부; 및 상기 통신부를 작동하여 상기 통신모듈과 페어링 또는 접속하고, 통신포트를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디오잭이 상기 오디오단자에 연결되면, 상기 메모리부에 인증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메인 콘트롤러는, 타 외부기기가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무선으로 상기 메모리부에 접근하고자 할 시 상기 타 외부기기의 인증정보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인증정보가 일치하는지를 확인하고, 일치 시에만 접근을 허용하는 보안인증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및 진동을 발생시키는 모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연동된 장치로부터 장치신호를 주기적으로 수신하고, 상기 장치신호의 크기에 따라 상기 연동된 장치간 거리를 산출하여 임계치를 벗어나는 경우, 디스플레이 또는 모터부를 통해 알림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싱은, 외부 일측에 열쇠고리 또는 스트랩이 결합될 수 있는 고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싱은, 일단에 상기 오디오잭이 구비되고, 타측에 상기 USB커넥터가 구비되는 원통형 몸체를 이루도록 마련되고, 상기 USB커넥터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USB커넥터가 보호되도록 마련되는 커넥터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싱이 수납되는 수납부; 및 상기 오디오잭이 결합되어 상기 전원공급부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연결단자가 구비되는 외장형 배터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싱 내부에 내장되고, 음성 내지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메모리부에 디지털신호로 저장하는 보이스 레코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싱은, 외측면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외부기기를 수동 호출할 수 있는 호출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 콘트롤러는, 상기 호출버튼이 조작되면,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호출신호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에 따른 이어폰 플러그인 블루투스 메모리 장치에 의하면, 블루투스 메모리 장치에 오디오단자를 이용하여 구동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으므로, 전원 공급에 구애 받지 않고 어디에서나 손쉽게 사용이 가능한 메모리 드라이브로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오디오단자는 USB포트에 비해 일반화된 장치로서 주변에서 쉽게 찾을 수 있어 메모리 이용이 용이하다.
또한, 무선으로 접속하기 위한 보안절차가 마련됨으로써 사전에 인증과정을 거치거나 비밀번호를 알 경우에만 메모리에 접근할 수 있으므로, 무선 사용으로 인한 보안 취약성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USB포트를 가지지 않는 스마트폰과 같은 스마트기기에 대용량 저장소를 제공함으로써 손쉽게 데이터를 백업하거나 추가적인 저장용량 확장이 가능하므로 저장공간이 부족한 스마트기기의 활용성을 높힐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이어폰잭 플러그인 블루투스 메모리 장치 및 이와 연결되는 휴대용 단말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잭 플러그인 블루투스 메모리 장치의 충전을 위한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잭 플러그인 블루투스 메모리 장치 및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잭 플러그인 블루투스 메모리 장치의 구동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잭 플러그인 블루투스 메모리 장치의 경고 제공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설명에 앞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구비" 또는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장치"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결합에 의해 독립적인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를 가리킬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식으로 이해 되어야 하고,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블루투스 메모리 장치를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이어폰잭 플러그인 블루투스 메모리 장치 및 이와 연결되는 휴대용 단말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잭 플러그인 블루투스 메모리 장치(100)는 케이싱(110), 페어링 버튼(111), LED 램프(112), 고리부(113), 호출버튼(114), USB커넥터(140), 메인 콘트롤러(150), 오디오잭(170), 커넥터캡(180) 및 MIC(190a)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싱(110)은 내측에 수납공간을 가지며 외관을 이루는 것으로서, 블루투스 메모리 장치(100)의 몸체 역할을 하도록 마련된다. 케이싱(110)은 다양한 재질과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케이싱(110)은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일측에 오디오잭(170)이 돌출되고 타측단에 USB커넥터(140)가 구비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케이싱(110)은 정방형이나 장방형의 육면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타원형이나 원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케이싱(110)의 일측에는 페어링 버튼(111) 및 LED램프(112)가 마련될 수 있다. 페어링 버튼(111)은 작동 시 블루투스 메모리(100)와 휴대용 단말기(200)간에 블루투스 또는 WiFi 프로토콜이 상호 활성화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LED램프(112)는 블루투스 메모리 장치(100)의 작동 상태, 페어링 또는 접속 상태를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고리부(113)는 케이싱(110)의 외측에 형성되어 열쇠고리나 스트랩을 연결할 수 있는 역할을 한다. 고리부(113)는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110)의 외측면에 돌출되어 형성될 수도 있고, 케이싱(110)의 표면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고리 형태로 제공됨으로써 휴대성을 높이도록 할 수도 있다.
호출버튼(114)은 블루투스 페어링 또는 WiFi 접속된 휴대용 단말기(200)를 호출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연동된 휴대용 단말기(200)를 분실하였을 시 근거리에서 호출할 수 있다.
오디오 잭(170)은, 휴대용 단말기(200)의 오디오 단자(201)에 삽입되어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표준 3.5 mm의 규격을 갖는 단자일 수 있다.
또한, 커넥터캡(180)은 케이싱(110)에서 외부로 돌출되는 USB커넥터(140)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커넥터캡(180)은 케이싱(110)의 일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USB커넥터(140)가 휴대시 보호되도록 하고, 사용 시에는 분리할 수 있다.
이러한 커넥터캡(180)은 별도의 스트랩을 이용하여 고리부(113)에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분리하여 사용 시에 분실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커넥터 캡(180)에 연장스트랩(미도시)이나 스트랩을 달 수 있는 고리가 더 형성될 수 있다.
MIC(190a)는 본 발명의 블루투스 메모리 장치(100)의 부가기능인 주변소리를 녹음할 수 있는 보이스 레코딩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마이크의 역할을 한다.
전술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이어폰잭 플러그 인 블루투스 메모리 장치(100)는 구비된 표준 3.5mm의 오디오 잭(170)이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200)에 구비되는 이어폰 단자(201)에 삽입되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별도의 결합수단이 없어도 휴대용 단말기(200)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는 동시에, 오디오 잭(170)으로부터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잭 플러그인 블루투스 메모리 장치의 충전을 위한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잭 플러그인 블루투스 메모리 장치(100)는 오디오 잭(170) 뿐만 아니라, USB커넥터(140)를 통해 전원을 충전할 수 있으며, 외부의 전원공급장치(300)와 연결된 USB 케이블(340)의 USB 단자(341)와 연결되어 전원공급장치(3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메모리 장치(100)는 전별도의 외장형 배터리(400)와 더 연결되어 USB 컨넥터(140)가 아닌 오디오 잭(170)을 통해서도 전원의 충전을 진행할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외장형 배터리(400)는 블루투스 메모리(100)가 내측에 수납될 수 있는 수납공간(400a)이 형성되고, 오디오 잭(170)이 결합되어 블루투스 메모리 장치(100)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는 연결단자(410)가 구비될 수 있다. 외장형 배터리(200)는 내부에 충전식 배터리가 내장되어 블루투스 메모리 장치(100)에 전원을 공급하고, 외측면 일측에 구비되는 충전단자, 일례로 USB 포트단자(420)를 이용하여 충전용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잭 플러그인 블루투스 메모리 장치 및 이와 연동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잭 플러그인 블루투스 메모리 장치 및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잭 플러그인 블루투스 메모리 장치(100)는, 페어링 버튼(111), LED 램프(112), 메모리부(120), 블루투스 모듈(130), WiFi 모듈(135), USB 커넥터(140), 메인 콘트롤러(150), 내장 전원부(160), 펌웨어(170), MIX(190a) 및 AD 컨버터(190b)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이어폰잭 플러그인 블루투스 메모리 장치(100)의 페어링 버튼(111)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블루투스 메모리 장치(100)와 휴대용 단말기(200)간의 페어링을 개시하는 역할을 한다.
페어링 버튼(111)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통신모듈, 즉 블루투스 모듈(130) 및 WiFi 모듈(135) 중, 어느 하나를 활성화하여 휴대용 단말기(200)와의 연동을 개시하는 역할을 한다.
LED 램프(112)는 블루투스 메모리 장치(100)의 작동 상태, 페어링 및 접속상태를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LED 램프(112)는 블루투스 메모리 장치(100)가 페어링된 이후, 휴대용 단말기(200)와 일정거리이상으로 멀어지면 소정주기로 점멸 및 점등이 반복되는 형태로 거리가 멀어지는 것을 알려주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호출버튼(114)는 연동된 휴대용 단말기(200)를 호출하는 것으로, 두 장치가 인증정보가 공유된 상태에서 호출버튼(114)이 작동되면, 메인 콘트롤러(150)에서 블루투스 모듈(130)을 통해 휴대용 단말기(200)에 호출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블루투스 통신규격에 따른 통신범위 내에 휴대용 단말기(200)가 존재할 경우 호출신호를 수신받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제어부(213)가 음향이나 진동을 출력하도록 제어함으로써 휴대용 단말기(200)의 위치가 인지되도록 할 수 있다.
메모리부(120)는 블루투스 메모리 장치(100)가 외부 기기와 주고 받는 데 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수단으로 쓰기와 읽기가 가능하고,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에서도 데이터가 보존되는 플래시 메모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메모리부(120)는 데이터의 읽기와 쓰기를 실행하는 메인 콘트롤러(150)에 의해 운영된다.
블루투스 모듈(130) 및 WiFi 모듈(135)는 메인 콘트롤러(150)의 제어에 따라, 페어링 버튼(111)이 조작되면 휴대용 단말기(200)와의 접속을 시도하고, 접속이 완료되어 두 장치(100, 200)가 서로 연동되면, 장치간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한다.
여기서, 블루투스 모듈(130) 및 WiFi 모듈(135)은 설정에 따라 어느 하나의 모듈만이 활성화될 수 있는데, 일 예로서, 페어링 버튼(111)이 1회 눌리면 블루투스(130) 모듈이 우선적으로 활성화되어 페어링을 시도하고, 페어링 버튼(111)이 2회 이상 눌리면 WiFi 모듈(135)이 우선적으로 활성화되어 접속을 시도하는 방식으로 설정될 수 있다.
USB 커넥터(140)는 컴퓨팅 장치(미도시)와 연결되면 메모리부(120)에 접근하여 데이터를 읽거나 쓸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또한, USB 커넥터(140)는 전원공급 장치(미도시)와 연결되는 경우, 내장 전원부(160)의 전원을 충전하는 역할을 한다.
메인 콘트롤러(150)는 페어링 버튼(111)의 조작에 따라, 블루투스 모듈(130) 및 WiFi 모듈(135) 중 어느 하나를 활성화하여 휴대용 단말기(200)와의 접속을 시도하고, 접속후에는 메모리부(150)의 해당 모듈을 통해 휴대용 단말기(2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받거나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콘트롤러(150)는 USB 커넥터(140) 또는 오디오 잭(170)을 통해 공급되는 전력을 각 구성요소에 공급함으로써 블루투스 메모리 장치(100)가 구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메인 컨트롤러(150)는 오디오잭(17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를 정류하거나 증폭하기 위한 정류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만약, USB 커넥터(140) 또는 오디오잭(170)가 연결되지 않는 상태에서 블루투스 메모리 장치(100)가 구동되면, 메인 콘트롤러(150)는 내장 전원부(160)에 충전된 전력을 각 구성요소 공급되도록 제어한다.
뿐만 아니라, 메인 콘트롤러(150)는 USB 커넥터(140) 및 오디오잭(170) 중, 어느 하나가 외부의 컴퓨팅 장치와 연결되는 경우, 그로부터 인가되는 전력은 내장 전원부(160)에 공급되도록 하여 내장 전원부(160)를 충전하도록 제어한다.
내장 전원부(160)는 충전이 가능한 2차 전지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별도의 외부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일 때, 블루투스 메모리 장치(100)의 구동을 위한 전력을 각 구성요소에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펌웨어(170)는 블루투스 메모리 장치(100)의 구동에 필요한 설정값, 명령어 및 로직 등을 포함하는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으며, 메인 콘트롤러(150)는 장치의 구동시 펌웨어(170)에 기록된 데이터를 참조하여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게 된다. 이러한 펌웨어(170)에 기록되는 데이터로는, 페어링 버튼의 조작에 따라 블루투스 모듈(130) 또는 WiFi 모듈(135) 중, 활성화되는 모듈을 선택하는 통신 선택부(171) 와, 블루투스 메모리 장치(100)의 현재 연결상태를 인식하고, USB 커넥터(140), 내장 전원부(160) 및 오디오잭(170)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전원을 충전 또는 공급하는 지 결정하는 전원설정부(172) 등이 있다.
MIC(190a) 및 AD 컨버터(190b)는 외부기기와 연결되지 않고도 내부 메모리부(120)를 이용하여 음성이나 음향을 녹음하는 보이스 레코더를 구현하는 것으로, MIC(190a)는 케이싱(도 1의 110) 일측면에 구비되고, AD 컨버터(190b)는 MIC(190a)에 입력되는 음성 내지 음향을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AD 컨버터(190b)에서 변환된 음성 내지 음향신호는 메인 콘트롤러(150)를 거쳐 메모리부(120)에 저장되며, 저장된 변환 데이터는 USB 커넥터(140)에 연결되는 컴퓨팅 장치(미도시)를 통해 접근되거나, 블루투스 모듈(130) 또는 WiFi 모듈(140)을 통해 휴대용 단말기(100)에 의해 접근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구조를 갖는 블루투스 메모리 장치(100)와 연동하는 휴대용 단말기(200)는 오디오 단자(201),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210), 디스플레이(220), WiFi 통신부(235), 블루투스 통신부(230) 및 모터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단자(201)는 일반적인 이어폰 등이 연결되면 재생되는 음원을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오디오 단자(201)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메모리 장치(100)의 오디오잭(170)이 삽입되면 이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100)의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기록매체에 기록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210)은 휴대용 단말기(200)에 탑재되는 기록매체상에 쓰여진 프로그램으로서, 본 발명의 블루투스 메모리 장치(100)와의 연동을 위한 기능을 구현한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210)은 그 기능에 따라, 장치확인부(210), 제어부(213) 및 거리산출부(215)로 구분될 수 있다.
장치확인부(210)는 본 발명의 블루투스 메모리 장치(100)가 오디오 단자(201)에 물리적으로 연결되면, 이를 감지하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13)는 블루투스 메모리 장치(100)의 오디오 잭(170)이 오디오 단자(101)에 연결되거나, 블루투스 모듈(130) 또는 WiFi 모듈(135)로부터 페어링 또는 접속 시도가 발생하면 장치정보를 이용하여 장치를 식별하고, 인증정보를 이용하여 기기 인증을 요청하며, 인증이 완료되면 데이터 통신용 포트를 설정하여 데이터 통신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제어부(213)는 블루투스 메모리 장치(100)의 호출버튼(114)이 조작됨에 따라 메인 콘트롤러(150)에 의해 호출신호가 송출되면, 이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220) 및 모터부(250)를 제어하여 알림 또는 진동을 출력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거리산출부(215)는 장치의 연결 이후, 블루투스 메모리 장치(100)로부터 송출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장치간 이격거리를 산출하고, 그 거리가 특정 임계치 이하로 낮아진 경우, 디스플레이(220) 및 모터부(250)를 통해 알림을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디스플레이(220)는 거리산출부(215)에 의해 산출된 장치간 거리가 임계치 이하일 때, 텍스트 또는 이미지 형태의 알림 메시지를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디스플레이(220)는 전술한 알림 메시지 표시 뿐만 아니라, 휴대용 단말기(200)의 구동화면을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블루투스 통신부(230) 및 WiFi 통신부(235)는 각각 블루투스 메모리 장치(100)의 블루투스 모듈(130) 및 WiFi 모듈(135)과 해당 프로토콜로 통신을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모터부(250)는 거리산출부(215)에 의해 산출된 장치간 거리가 임계치 이하일 때, 소정의 진동을 발생시켜 사용자가 블루투스 메모리 장치(100)의 위치가 멀어지는 것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잭 플러그인 블루투스 메모리 장치의 구동방법을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3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잭 플러그인 블루투스 메모리 장치의 구동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 및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메모리 장치(100)의 구동방법은, 먼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실행 단계(S100)로서, 연동하고자 하는 휴대용 단말기(200)에 본 발명의 블루투스 메모리 장치(100)와 연동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210)이 설치 되면, 소정의 조건에 따라 그 프로그램(210)을 실행하게 된다. 이때,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210)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고, 블루투스 메모리 장치의 오디오 잭(170)을 휴대용 단말기의 오디오 단자(201)에 삽입하면 자동으로 실행되는 형태일 수 있다.
이어서, 장치 신호 확인단계(S110)로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210)이 블루투스 메모리 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장치신호를 수신하여 블루투스 메모리 장치(100)로부터 접속요청되는 프로토콜이 블루투스 또는 WiFi 인지 확인하고, 이에 매칭되는 통신부(230, 235)를 통해 접속을 시도하는 단계이다.
다음으로, 장치등록을 확인하는 단계로서(S115),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210)이 현재 접속 시도하는 장치가 이전에 이미 등록되어 있는 장치인지 확인하고, 이전에 등록되지 않은 새로운 장치라고 판단되면, 인증정보 전송단계(S120)에 따라 인증정보를 수신하여 접속권한이 있는 정상적인 블루투스 메모리 장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메모리 장치(100)는 블루투스 또는 WiFi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근거리 무선 접근이 가능하기 때문에 보안성 강화 수단이 요구된다. 메인 콘트롤러(150)는 휴대용 단말기(200)가 블루투스 모듈을 통해 무선으로 접근하고자 할 때, 사전에 인증된 기기에 대해서만 접근을 허용하는 보안인증모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보안인증모듈은 블루투스 메모리 장치(100)에 무선 접근하는 휴대용 단말기(200)를 포함하는 모든 외부기기에 대해, 사전에 메모리부(120)에 저장된 인증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거나, 사전에 설정된 식별번호를 요구하여 일치된 식별번호가 입력될 시에만 접근을 허용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식별번호는 숫자 및 알파벳으로 이루어지는 비밀번호일 수 있으며, 인증정보와 비밀번호는 블루투스 메모리 장치(100)에 함께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식별번호 입력단계(S130)가 진행된다.
즉,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20)은 오디오 잭(170)이 휴대용 단말기(200)의 오디오 단자(201)에 물리적으로 연결되거나,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블루투스 모듈(130) 또는 WiFi(135) 모듈이 활성화되면, 인증정보를 생성하여 블루투스 메모리 장치(100)에 상기 인증정보를 전송한다. 블루투스 메모리 장치(100)의 메인 콘트롤러(150)는 상기 인증정보를 메모리부(120)에 저장함으로써 향후 무선 접속을 시도하는 휴대용 단말기(200)로부터 접속을 인증받게 된다.
일 예로서, 휴대용 단말기(200)를 통해 블루투스 메모리 장치(100)에 물리적으로 연결되지 않고 최초로 접근하고자 할 시에는, 먼저 제어부(213)가 휴대용 단말기(200)의 블루투스 통신부(230)를 통하여 블루투스 페어링을 시도한다. 이때 블루투스 메모리 장치(100)는 별도의 장치 내지 기기에 연결되어 전원공급을 받음으로써 작동되고 있는 상태일 수 있다. 블루투스 메모리 장치(100)내의 메인 콘트롤러(150)는 블루투스 모듈(130)을 통해 접근하는 휴대용 단말기(200)를 인지하고, 그로부터 인증정보를 요청하거나 비밀번호를 요청할 수 있다. 만약 휴대용 단말기(200)가 사전에 인증된 기기 인증 정보를 가지지 않은 경우, 그 휴대용 단말기(200)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210)을 통해 비밀번호를 블루투스 메모리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비밀번호가 전송되면, 메인 콘 트롤러(150)는 이를 메모리부(120)에 저장된 비밀번호와 일치여부를 확인하여 해당 휴대용 단말기(200)의 접근을 허용하거나 거부할 수 있다.
블루투스 메모리 장치(100)의 일측단에 구비되는 USB커넥터(140)를 이용하면 통상적인 USB메모리와 같이 컴퓨팅 장치의 USB포트에 블루투스 메모리 장치(100)를 삽입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어서, 통신 방식 선택 단계(S140)로서, 이미 등록된 장치이거나, 인증이 완료된 장치일 경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20)은 블루투스 또는 WiFi 중 어느 하나의 통신방식을 선택하여 블루투스 통신부(230) 또는 WiFi 통신부(235)의 통신포트를 활성화한다.
다음으로, 저장공간 정보 제공단계(S150)로서, 메인 콘트롤러(150)가 메모리부(120)에 대한 저장공간 정보를 휴대용 단말기(200)에 제공함으로써, 두 장치간 데이터의 읽기, 쓰기 및 지우기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준비를 한다.
이어서, 데이터 전송단계(S160)로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210)이 메모리부(120)에 직접 접근하여 해당 데이터의 전송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잭 플러그인 블루투스 메모리 장치는 연동된 휴대용 단말기와 일정거리 떨어졌을 때 이에 대한 알림 및 경고신호를 제공하게 되며,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메모리 장치의 경고 제공방법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잭 플러그인 블루투스 메모리 장치의 경고 제공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 및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메모리 장치 (100)의 경고 제공방법은, 먼저, 장치신호 식별단계(S200)로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210)이 연동된 블루투스 메모리 장치(100)로부터 주기적으로 장치신호를 수신하여 정상적으로 연결되어 있는지 식별하는 단계이다.
다음으로, 장치신호의 크기에 따른 거리 산출단계(S210)로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210)이 수신한 장치신호의 크기에 따라 블루투스 메모리 장치(100)와 휴대용 단말기(200)간의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S210)이다.
이어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210)은 장치신호를 임계치와 비교하여(S220), 장치신호가 임계치 이하인 경우, 즉 두 장치간 거리가 멀어진 경우 디스플레이(220) 및 모터부(250)를 통해 알림 및 경고신호를 출력하게 된다(S230). 만약 S220 단계에서 장치신호가 임계치 이하인 경우, 두 장치간 거리가 멀리 떨어진 것이 아닌 것으로 판단됨에 따라, 상기 장치신호 식별단계(S200)를 반복하게 된다.
전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이어폰잭 플러그인 블루투스 메모리 장치는, 별도의 전원공급용 충전지를 내장하지 않고 오디오 단자를 이용하여 구동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으므로, 전원 공급에 구애 받지 않고 어디에서나 손쉽게 사용이 가능한 메모리 장치로 이용할 수 있다. 오디오 단자는 USB포트에 비해 일반화된 장치로서 주변에서 쉽게 찾을 수 있어 메모리 이용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무선으로 접속하기 위한 보안절차가 마련됨으로써 사전에 인증과정을 거치거나 비밀번호를 알 경우에만 메모리에 접근할 수 있으므로, 무선 사용으로 인한 보안 취약성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USB포트를 가지지 않는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에 대용량 저장소를 제공함으로써 손쉽게 데이터를 백업하거나 추가적인 저장용량 확장이 가능하므로 저장공간이 부족한 휴대용 단말기의 활용성을 높힐 수 있다.
또한, 탈부착 가능한 외장형배터리가 제공됨에 따라, 별도의 외부 기기에 연결하여 전원을 공급받지 않더라도 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또한, 외장형배터리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별도의 외부 기기의 연결없이 보이스 레코더로 활용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한편 블루투스 통신규격을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기를 호출하거나, 장치간 이격거리에 따른 알림 및 경고신호를 제공함으로써 휴대용 단말기를 분실하였을 경우 쉽게 위치를 확인할 수 있어 장치의 분실을 예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 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러한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블루투스 메모리 장치 110 : 케이싱
112 : LED 램프 113 : 고리부
114 : 호출버튼 140 : USB커넥터
150 : 메인컨트롤러 170 : 오디오잭
180 : 커넥터캡 190a : MIC
200 : 휴대용 단말기 201 : 이어폰 단자

Claims (11)

  1. 데이터 저장용 메모리 장치에 있어서,
    수납공간을 가지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에 구비되고, 데이터 읽기 및 쓰기가 가능한 메모리부;
    상기 메모리부에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무선 송수신하도록 마련되는 통신모듈;
    상기 케이싱의 외부 일측면에 구비되고, 외부기기 USB 커넥터에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USB커넥터;
    상기 케이싱의 외부 타측면에 구비되고, 휴대용 단말기의 오디오 단자에 연결되는 오디오잭;
    전원을 저장 및 공급하는 내장 전원부;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프로토콜을 결정하고, USB 커넥터 및 오디오잭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전원을 상기 내장 전원부에 공급하도록 하는 데이터가 기록된 펌웨어; 및
    상기 펌웨어를 참조하여 상기 통신모듈 또는 USB 커넥터를 거쳐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부에 읽거나 쓰도록 하고, 상기 오디오잭 또는 USB 커넥터를 통해 인가되는 전원을 상기 내장 전원부에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메인 콘트롤러
    를 포함하는 이어폰잭 플러그인 블루투스 메모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듈은,
    블루투스 모듈 및 WiFi 모듈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잭 플러그인 블루투스 메모리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상기 메모리부 또는 상기 블루투스 모듈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도록 외부 일측면에 구비되는 LED램프; 및
    상기 블루투스 모듈 또는 WiFi 모듈과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페어링시키기 위한 페어링 버튼
    을 포함하는 이어폰잭 플러그인 블루투스 메모리.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외부와의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기록매체에 기록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상기 오디오잭이 상기 오디오단자에 연결되면 신호를 수신하여 장치 신호를 수신 및 확인하는 장치 확인부; 및
    상기 통신부를 작동하여 상기 통신모듈과 페어링 또는 접속하고, 통신포트를 설정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이어폰잭 플러그인 블루투스 메모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디오잭이 상기 오디오단자에 연결되면, 상기 메모리부에 인증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메인 콘트롤러는,
    타 외부기기가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무선으로 상기 메모리부에 접근하고자 할 시 상기 타 외부기기의 인증정보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인증정보가 일치하는지를 확인하고, 일치 시에만 접근을 허용하는 보안인증모듈
    을 더 포함하는 이어폰잭 플러그인 블루투스 메모리.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및 진동을 발생시키는 모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연동된 장치로부터 장치신호를 주기적으로 수신하고, 상기 장치신호의 크기에 따라 상기 연동된 장치간 거리를 산출하여 임계치를 벗어나는 경우, 디스플레이 또는 모터부를 통해 알림신호를 출력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잭 플러그인 블루투스 메모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외부 일측에 열쇠고리 또는 스트랩이 결합될 수 있는 고리부가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잭 플러그인 블루투스 메모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일단에 상기 오디오잭이 구비되고, 타측에 상기 USB커넥터가 구비되는 원통형 몸체를 이루도록 마련되고,
    상기 USB커넥터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USB커넥터가 보호되도록 마련되는 커넥터캡을 더 포함하는 이어폰잭 플러그인 블루투스 메모리.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이 수납되는 수납부; 및
    상기 오디오잭이 결합되어 상기 내장 전원부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연결단자가 구비되는 외장형 배터리
    를 더 포함하는 이어폰잭 플러그인 블루투스 메모리.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 내부에 내장되고, 음성 내지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메모리부에 디지털신호로 저장하는 보이스 레코더부를 더 포함하는 이어폰잭 플러그인 블루투스 메모리.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외측면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외부기기를 수동 호출할 수 있는 호출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 콘트롤러는,
    상기 호출버튼이 조작되면,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호출신호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잭 플러그인 블루투스 메모리.
KR1020160140985A 2015-10-27 2016-10-27 이어폰잭 플러그인 블루투스 메모리 장치 KR201700494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6/014756 WO2018079932A1 (ko) 2015-10-27 2016-12-15 이어폰잭 플러그인 블루투스 메모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9805 2015-10-27
KR20150149805 2015-10-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9431A true KR20170049431A (ko) 2017-05-10

Family

ID=58743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0985A KR20170049431A (ko) 2015-10-27 2016-10-27 이어폰잭 플러그인 블루투스 메모리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70049431A (ko)
WO (1) WO20180799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26911B (zh) * 2018-09-13 2020-12-29 Oppo(重庆)智能科技有限公司 连接器及充电数据线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2941A (ko) * 2006-09-08 2008-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기능확장형 usb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기기
KR20100018910A (ko) * 2008-08-07 2010-02-1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usb 단말기
KR101386438B1 (ko) * 2012-08-02 2014-04-22 이수중 스마트폰과 연동되는 usb 메모리 장치
KR20140005167U (ko) * 2013-03-22 2014-10-01 원휘연 휴대단말기용 이어캡 겸용 유에스비 메모리
KR101659294B1 (ko) * 2015-02-12 2016-09-26 안동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콘 신호를 이용한 보안 usb 메모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79932A1 (ko) 2018-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05264B1 (ko) 무선 오디오 출력 디바이스
US9680986B2 (en) Automatically disabling the on-screen keyboard of an electronic device in a vehicle
KR100594127B1 (ko) 블루투스 기기에서 본딩 프로세스 방법 및 장치
US9241357B2 (en) Electronic device,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1040870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ecking sealing state of housing
TWI541655B (zh) 使用近場通訊(nfc)之多無線電無線快閃驅動器
JP5810192B1 (ja) 撮像装置、通信システム、撮像装置の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70013346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signal using the same
US20150288215A1 (en) Charger device with network connectivity
KR20140137848A (ko) 배터리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과 사용자 단말
US10735054B2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transferring communication rights between electronic devices
KR20140032622A (ko)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동하는 차량용 어플리케이션 구동 장치 및 방법
KR101195637B1 (ko) 온-보드 진단을 위한 정보 처리 어댑터
CN113473291A (zh) 通信方法、耳机仓以及wifi耳机
KR20170049431A (ko) 이어폰잭 플러그인 블루투스 메모리 장치
KR102472405B1 (ko) 차량용 avn과 사용자 단말기 간 멀티 미러링 방법
KR101659294B1 (ko) 비콘 신호를 이용한 보안 usb 메모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001223B1 (ko) 외부 디바이스와 연결되는 휴대 단말 인증 시스템 및 인증 방법, 휴대 단말을 인증하는 외부 디바이스
US20120081069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signal processing method
KR102297797B1 (ko) 전자 장치간 트리거 동작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이를 지원하는 잭 액세서리
KR102621895B1 (ko) 분실 방지 기능을 갖는 무선 이어폰 보호 케이스, 이를 포함하는 분실 방지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CN103151063A (zh) 防遗失u盘及实现方法
CN203352579U (zh) 一种改进型对讲机
KR101130676B1 (ko) 디지털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US20120196550A1 (en) Apparatus for vehicle and signal process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