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8919A - 사용자 맞춤형 멤버십 및 쿠폰 정보 제공 방법과 제공 장치 - Google Patents

사용자 맞춤형 멤버십 및 쿠폰 정보 제공 방법과 제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8919A
KR20170048919A KR1020150149614A KR20150149614A KR20170048919A KR 20170048919 A KR20170048919 A KR 20170048919A KR 1020150149614 A KR1020150149614 A KR 1020150149614A KR 20150149614 A KR20150149614 A KR 20150149614A KR 20170048919 A KR20170048919 A KR 201700489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ser
unit
product
sw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9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성현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496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48919A/ko
Priority to US15/290,620 priority patent/US20170103166A1/en
Publication of KR201700489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89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07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ther than blood
    • A61B5/14517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ther than blood for sweat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13/00Producing acoustic tim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맞춤형 멤버십 및 쿠폰 정보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a) 센서부가 서비스 디바이스를 착용한 사용자의 신체에서 분비되는 땀을 인식하는 단계, (b) 센서부가 상기 인식한 땀의 성분비를 측정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와 함께 제1 정보로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단계, (c) 통신부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제1 정보를 정보 제공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d) 통신부가 상기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제1 정보 분석결과인 제2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e) 제어부가 상기 제2 정보를 디스플레이부, 스피커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땀의 성분비를 측정하여 사용자 신체의 항상성을 유지할 수 있는 상품 및 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제공하는 상품에 대한 정보는 적용되는 멤버십 포인트의 종류, 할인쿠폰, 적립쿠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바, 사용자에 의한 상품 구입을 유도할 수 있으며,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의 입장에서는 일종의 마케팅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사용자 맞춤형 멤버십 및 쿠폰 정보 제공 방법과 제공 장치{METHOD AND SERVER FOR PROVIDING PERSONALIZED MEMBERSHIP AND COUPON INFORMATION}
본 발명은 사용자 맞춤형 멤버십 및 쿠폰 정보 제공 방법과 제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땀의 성분비를 측정하여 맞춤형 멤버십 및 쿠폰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웨어러블(Wearable) 디바이스란 말 그대로 인간의 몸에 착용할 수 있는 디바이스를 의미하며, 착용 부위에 따라 안경(Glasses), 워치(Watch), 팔찌, 신발, 반지, 벨트, 밴드(Band), 목걸이, 헤드셋(Headset), 의류 등 매우 다양한 종류가 존재한다. 이러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현재 빠른 보급화 단계에 있으며, 그 중에서 인간의 생활과 매우 밀접하게 연관됨과 동시에 착용이 용이한 웨어러블 안경, 웨어러블 워치 그리고 웨어러블 밴드가 가장 많은 제품군을 형성하고 있다.
한편,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다른 말로 스마트(Smart) 디바이스라고도 한다. 사용자의 입력에 의한 구동개시가 필요하지만, 일단 구동이 개시되면 그 이후부터는 자동으로 다양한 추가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워치를 착용한 사용자가 자신의 심박수를 측정하고 싶다면 사용자가 심박수 측정 입력 버튼을 누름과 동시에 웨어러블 워치는 사용자의 심박수를 측정하게 되며, 측정한 심박수를 기초로 다양한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해줄 수 있다. 한편, 최근에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한 구동개시가 필요하지 않은 웨어러블 디바이스도 많이 출현하고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밴드의 경우 사용자의 입력에 의한 구동개시가 없더라도 사용자의 심박수를 지속적으로 측정할 수 있으며, 앞으로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한 구동개시가 필요하지 않는 방향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사용자의 입력이 필요 없는 만큼, 디바이스 구동의 편의성이 증대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다양한 추가 정보의 근원은 사용자로부터 측정한 정보들이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로부터 다양한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Sensor)를 필수적으로 실장해야 하며, 실장되는 센서의 종류가 많을수록 사용자로부터 많은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최근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에는 심박수 측정 센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센서, 도보 수 측정 센서는 필수적으로 실장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제한된 디바이스 내부의 공간에 다양한 센서를 실장하기 위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실장된 센서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측정한 이후, 이를 기초로 다양한 추가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측정하여 사용자의 관심사에 관련된 근처 매장이나 상품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추가 정보의 제공은 웨어러블 디바이스 자체의 기능을 통해 제공될 수도 있지만, 하나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각기 다른 사용자에게 필요한 모든 추가 정보를 제공하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최근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이 함께 개발되고 있다. 여기서 애플리케이션은 일종의 응용 프로그램으로 볼 수 있는바, 웨어러블 디바이스 자체의 기능을 통해 측정된 정보를 기초로 다양한 추가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예에서 사용자의 관심사에 관련된 근처 매장이나 상품들에 대한 정보의 제공 모두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즉,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이 개발될 때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추가 정보는 다양해질 수밖에 없으며, 애플리케이션의 개발은 웨어러블 디바이스 자체의 개발과 함께 앞으로 나아가는 동반자로 볼 수 있다.
한편,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해야 하므로 신체와 맞닿는 부분에 센서를 실장하여 사용자로부터 다양한 정보를 측정할 수 있으며, 다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비해 사용자의 신체와 가깝게 착용할 수밖에 없는 스마트 워치나 스마트 밴드의 경우 정보 측정의 효용성이 보다 높아진다. 아울러, 신체와 가깝게 착용함으로써 사용자로부터 측정할 수 있는 대상 중에는 땀(Sweat)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37306호(2010.12.30)
본 발명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사용자 땀의 성분비를 측정하여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사용자 땀의 성분비를 측정하여 유용한 정보를 제공함과 동시에 소정의 마케팅 효과까지 얻을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멤버십 및 쿠폰 정보 제공 방법은 (a) 센서부가 서비스 디바이스를 착용한 사용자의 신체에서 분비되는 땀을 인식하는 단계, (b) 센서부가 상기 인식한 땀의 성분비를 측정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와 함께 제1 정보로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단계, (c) 통신부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제1 정보를 정보 제공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d) 통신부가 상기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제1 정보 분석결과인 제2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e) 제어부가 상기 제2 정보를 디스플레이부, 스피커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비스 디바이스는, 스마트 워치, 스마트 글래스, 스마트 밴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디바이스가 스마트 워치인 경우, 상기 센서부는 스마트 워치의 본체 뒷면, 스트랩의 안쪽 면 중 하나 이상에 실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디바이스가 스마트 글래스인 경우, 상기 센서부는 스마트 글래스의 코패드, 템플의 안쪽 면, 엔드 피스의 안쪽 면 중 하나 이상에 실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제1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땀의 성분비와 관련하여 사용자에게 추천할 상품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정보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로부터 상기 사용자에게 추천할 상품을 취급하는 가장 가까운 장소에 대한 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d)단계 이후에, (d-1) 제어부가 상기 수신한 제2 정보를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멤버십 및 쿠폰 정보 제공 장치는 땀의 성분 중 성분비가 높은 성분 별로 사용자에게 추천할 상품과 그에 대한 정보가 리스트화되어 저장되어 있는 상품 정보부, 업데이트 가능한 지도가 저장되어 있는 지도부 및 통신부로부터 수신한 제1 정보를 분석하여 제2 정보를 생성하는 제2 정보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품에 대한 정보는, 상품의 명칭, 가격, 취급장소를 포함하며,
적용되는 멤버십 포인트의 종류, 할인쿠폰, 적립쿠폰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정보 생성부는, 제1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상품 정보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품에 대한 정보 중 분석결과에 부합하는 어느 하나 이상을 리스트로부터 선택하여 제2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정보 생성부는, 상기 리스트로부터 선택한 하나 이상의 상품에 대한 정보에 포함되는 상품을 취급하는 장소를 상기 지도부로부터 선택하여 제2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정보 생성부가 선택한 장소는, 제1 정보에 포함되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와 가장 가까운 장소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땀의 성분비를 측정하여 사용자 신체의 항상성을 유지할 수 있는 상품 및 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에 제공하는 상품에 대한 정보는 적용되는 멤버십 포인트의 종류, 할인쿠폰, 적립쿠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바, 사용자에 의한 상품 구입을 유도할 수 있으며,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의 입장에서는 일종의 마케팅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서비스 디바이스의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멤버십 및 쿠폰 정보 제공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은 센서부가 스마트 워치의 스트랩 안쪽 면에 실장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센서부가 스마트 워치의 본체 뒷면에 실장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제2 정보가 스마트 워치를 통해 출력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스마트 밴드를 착용한 사용자가 보유한 스마트폰을 통해 제2 정보가 출력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센서부가 스마트 글래스의 코패드, 템플의 안쪽 면, 엔드 피스의 안쪽 면에 실장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제2 정보가 스마트 글래스를 통해 출력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스마트 밴드를 착용한 사용자가 보유한 스마트 글래스를 통해 제2 정보가 출력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센서부가 스마트 밴드의 스트랩 안쪽 면에 실장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멤버십 및 쿠폰 정보 제공 방법이 스마트 밴드를 통해 수행되는 경우의 순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멤버십 및 쿠폰 정보 제공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땀을 구성하는 나머지 성분 중 성분비가 높은 성분 별로 사용자에게 추천할 상품과 그에 대한 정보가 리스트화 되어 저장되어 있는 상품 정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사용자에게 추천할 상품을 취급하는 장소가 표시된 지도부에 저장된 지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제2 정보 생성부가 사용자의 현재 위치로부터 가장 가까운 상품 취급 장소를 선택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설명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으며,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에 표현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쉽게 설명하기 위해 도식화된 도면으로 실제로 구현되는 형태와 상이할 수 있으며,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는 표현은, '개방형의 표현'으로서 해당 구성요소들이 존재하는 것을 단순히 지칭하는 표현이며, 추가적인 구성요소들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멤버십 및 쿠폰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에 앞서, 각 단계를 수행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멤버십 및 쿠폰 정보 제공 서비스 디바이스(100, 이하 "서비스 디바이스"라 한다)의 구성을 간단히 살펴보기로 한다. 이하 도 1을 참조하며 설명한다.
도 1은 서비스 디바이스(100)의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서비스 디바이스(100)는 센서부(10), 메모리부(20), 통신부(30) 및 제어부(40)를 포함한다. 그러나 이는 하나의 실시 예일 뿐이며,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이 삭제되거나 추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센서부(10)는 서비스 디바이스(100)에 실장되어 사용자로부터 다양한 정보를 측정한다. 여기서 센서부(10)가 포함하는 센서의 종류는 제한이 없으며, 측정하는 정보 역시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센서부(10)는 동작인식 센서, 카메라 센서, 적외선 센서, GPS 센서, 자이로(Gyro) 센서, 변위 센서, 압력 센서, 토크 센서, 근접 센서, 중력 센서, 이미지 센서, 땀 센서, 그 밖에 공지된 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센서들의 경우 각 센서마다 측정할 수 있는 정보가 정해져 있기 때문에, 사용자로부터 분비되는 땀의 성분비를 측정해야 하는 서비스 디바이스(100)의 센서부(10)는 땀의 성분비를 측정할 수 있는 땀 센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모리부(20)는 센서부(10)가 생성한 사용자로부터 측정한 다양한 정보, 구체적으로 사용자로부터 분비된 땀의 성분비를 제1 정보로 저장한다. 여기서 메모리부(20)는 공지된 저장매체를 이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ROM, PROM, EPROM, EEPROM, RAM 등과 같이 공지된 저장매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할 수 있다. 하지만 서비스 디바이스(100)에서 메모리부(20)는 센서부(10)가 측정한 새로운 정보를 지속적으로 저장해야 하며, 이 경우 메모리부(20)의 용량에 따라 기존에 저장된 정보는 삭제해야 할 필요가 있으므로, 정보의 입력 및 삭제가 가능한 저장매체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신부(30)는 메모리부(20)에 저장된 제1 정보를 정보 제공 장치(50)에 전송하며, 정보 제공 장치가 제1 정보를 분석하여 생성한 제2 정보를 수신한다. 즉, 통신부(30)는 서비스 디바이스(100)와 정보 제공 장치(50) 사이에서 정보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하며, 통신부(30)가 이용하는 통신방식은 CDMA, WCDMA, GSM, 3G, 4G 등과 같이 공지된 어떤 것이라도 무방하다. 따라서 통신부(30)는 예를 들어, 스마트폰 등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실장되는 통신수단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
제어부(40)는 통신부(30)가 정보 제공 장치(50)로부터 수신한 제2 정보를 디스플레이부(46) 또는 스피커부(47) 중 어느 하나에 출력한다. 따라서 제어부(40)는 디스플레이부(42)와 스피커부(43)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으며, 아울러 센서부(10), 메모리부(20) 및 통신부(30)의 구동을 제어할 수도 있다. 즉, 제어부(40)는 서비스 디바이스(100)의 전반적인 구동을 제어하는 일종의 CPU(Central Processing Unit)로 볼 수 있다.
상기 간단하게 설명한 센서부(10), 메모리부(20), 통신부(30) 및 제어부(40)에 의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멤버십 및 쿠폰 정보 제공 방법에 대한 설명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며 설명하도록 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멤버십 및 쿠폰 정보 제공 방법의 순서도이다.
이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함에 있어서 가장 바람직한 단계들을 포함하는 하나의 실시 예일 뿐이며, 일부 단계가 수정되거나 추가 또는 삭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우선, 센서부(10)가 서비스 디바이스(100)를 착용한 신체에서 분비되는 땀을 인식한다(S210). 여기서 서비스 디바이스(1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스마트 워치, 스마트 글래스, 스마트 밴드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이하, 서비스 디바이스(100)가 스마트 워치인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는 서비스 디바이스(100)의 역할을 수행하는 스마트 워치를 손목에 착용하며, 센서부(10)는 사용자의 손목과 맞닿는 부분에 실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센서부(10)는 도 3과 같이 스마트 워치의 스트랩 안쪽 면에 실장되거나, 도 4와 같이 스마트 워치 본체의 뒷면에 실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센서부(10)는 사용자의 손목에서 분비되는 땀을 직접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스마트 워치의 스트랩 안쪽 면, 스마트 워치 본체의 뒷면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손목에서 분비되는 땀을 직접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적절한 위치 어디든 센서부(10)가 실장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센서부(10)는 하나 이상이 실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10)가 스마트 워치의 스트랩 안쪽 면과 스마트 워치 본체의 뒷면에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손목의 특정 부위에 따라 차등적으로 분비될 수 있는 땀을 보다 정확히 인식하여 성분비를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센서부(10)가 사용자의 신체에서 분비되는 땀을 인식했다면, 인식한 땀의 성분비를 측정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와 함께 제1 정보로 메모리부(20)에 저장한다(S220). 여기서 센서부(10)는 땀의 성분비를 측정해야 하기 때문에 다양한 센서 중 땀 센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땀 센서는 접촉식 센서로써 땀을 인식하고 성분비를 분석할 수 있는바, 땀 센서에 의해 사용자로부터 분비된 땀을 구성하고 있는 성분들의 성분비를 측정할 수 있다. 땀 센서는 예를 들어 사용자로부터 분비된 땀을 인식하고 물 99%, 나트륨 0.4%, 염소 0.1%, 칼륨 0.1%, 질소 함유물 0.2%, 젖산 0.1%, 요소 0.1% 등과 같이 성분비를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기재한 땀의 성분비는 하나의 실시 예일 뿐이며, 사용자마다, 사용자 신체의 현재 상태에 따라 성분비가 다르게 측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일부 성분은 구성비가 0일 수도 있다.
센서부(10)는 측정한 사용자 땀의 성분비를 사용자의 현재 위치와 함께 제1 정보로 메모리부(20)에 저장한다. 여기서 사용자의 현재 위치는 다양한 수단을 통해 획득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등을 통해 획득할 수 있다.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GPS 모듈을 통해 획득했다면 제1 정보는 물 99%, 나트륨 0.4%, 염소 0.1%, 칼륨 0.1%, 질소 함유물 0.2%, 젖산 0.1%, 요소 0.1% 등과 같은 사용자 땀의 성분비와 (43.943 °, 4.805 °)와 같은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의 현재 위치는 GPS 모듈이 아닌 다른 수단을 이용한 경우 해당 수단에 맞는 제1 정보에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센서부(10)가 메모리부(20)에 저장하는 제1 정보는 하나 이상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 99%, 나트륨 0.4%, 염소 0.1%, 칼륨 0.1%, 질소 함유물 0.2%, 젖산 0.1%, 요소 0.1% 등과 같은 사용자 땀의 성분비와 (43.943 °, 4.805 °) 와 같은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포함하는 제1 정보가 저장된 이후, 물 99%, 나트륨 0.4%, 염소 0.2%, 칼륨 0.1%, 질소 함유물 0.1%, 젖산 0.2% 등과 같은 사용자 땀의 성분비와 (22.452 °, 7.245 °) 와 같은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포함하는 새로운 제1 정보가 추가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종전에 저장되었던 제1 정보는 삭제될 수 있으며, 메모리부(20)의 용량에 따라 삭제되지 않고 누적하여 새로운 제1 정보가 저장될 수도 있다. 아울러, 메모리부(20)는 제1 정보가 누적하여 저장되는 경우 용량이 초과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일정 용량 이상 제1 정보가 저장된 경우부터 새로운 제1 정보가 저장될 때 종전의 제1 정보는 삭제되게 할 수도 있다. 즉, 메모리부(20)는 다양한 저장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제1 정보가 메모리부(20)에 저장되면, 통신부(30)가 메모리부(20)에 저장된 제1 정보를 정보 제공 장치(50)에 전송한다(S230). 여기서 정보 제공 장치(50)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멤버십 및 쿠폰 정보 제공 장치(200)로써 구성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통신부(3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CDMA, WCDMA, GSM, 3G, 4G 등과 같이 공지된 통신방식 중 어떤 것을 사용하여 제1 정보를 전송해도 무방하다.
통신부(30)가 제1 정보를 정보 제공 장치(50)에 전송하면 정보 제공 장치(50)는 제1 정보를 분석하여 제2 정보를 생성하고, 통신부(30)는 정보 제공 장치(50)가 전송하는 제2 정보를 수신한다(S240). 수신한 제2 정보는 제어부(40)에 의해 메모리부(20)에 저장될 수 있으며(S241), 이 경우 제2 정보는 정보 생성의 근원이 되는 제1 정보와 대응되는 위치 또는 제1 정보와 병합하여 저장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부(20)의 A라는 위치에 제1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면, 제2 정보는 A'에 저장될 수 있으며 또는 A에 함께 저장될 수도 있다. 아울러, 메모리부(20)의 용량에 따라 기존의 제1 정보를 삭제하고, 삭제된 위치에 제2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부(20)의 A라는 위치에 제1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면, 제어부(40)는 통신부(30)가 제2 정보를 수신한 것을 감지하여 A에서 제1 정보를 삭제하고 그 자리에 제2 정보를 새롭게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제2 정보는 제1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땀의 성분비와 관련하여 사용자에게 추천할 상품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현재 위치로부터 사용자에게 추천할 상품을 취급하는 가장 가까운 장소에 대한 정보가 더 포함되어 있는 정보이나,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 역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멤버십 및 쿠폰 정보 제공 장치(200)와 함께 후술하기로 한다.
통신부(30)가 제2 정보를 수신하면, 제어부(40)가 제2 정보를 디스플레이부(42), 스피커부(43)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출력한다(S250). 도 5를 참조하면, 제2 정보가 스마트 워치를 통해 출력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는바, 제2 정보는 디스플레이부(42)와 스피커부(43)에 동시에 출력될 수도 있고, 이 경우 서비스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부(42)와 스피커부(43) 모두를 구비해야 한다. 서비스 디바이스(100)가 스마트 워치인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42)와 스피커부(43)를 모두 구비하므로 문제되지 않으나, 디스플레이부(42)와 스피커부(43)를 구비하지 않는 서비스 디바이스(100), 예를 들어 스마트 밴드 등의 경우에는 제2 정보의 출력이 문제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40)는 스마트 밴드와 블루투스(Bluetooth) 등과 같은 일정 수단을 통해 연동(Pairing)할 수 있는 다른 디바이스를 통해 제2 정보를 출력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다른 디바이스의 종류는 제한이 없으며, 블루투스 기능을 지원하는 이어폰, 스마트폰, 스마트 글래스 등 시각 또는 청각적인 출력 수단을 구비하는 디바이스는 어떤 것이라도 무방하다. 도 6을 참조하면, 스마트 밴드(300)를 착용한 사용자가 보유한 스마트폰(400)을 통해 제2 정보가 출력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설명한 S210 내지 S250 단계에 의해 사용자 땀의 성분비를 분석하여 현재 사용자의 신체 상태에 따른 유용한 정보를 스마트 워치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스마트 워치는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하는 대표적인 웨어러블 디바이스인바, 사용자로부터 분비되는 땀을 직접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위치에 착용되므로 본 발명인 사용자 맞춤형 멤버십 및 쿠폰 정보 제공 방법을 구현함에 있어서 최적의 서비스 디바이스(100)에 해당한다. 이하, 또 다른 실시 예로 서비스 디바이스(100)가 스마트 글래스인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센서부(10)가 서비스 디바이스(100)를 착용한 신체에서 분비되는 땀을 인식한다(S210'). 여기서 서비스 디바이스(1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스마트 워치, 스마트 글래스, 스마트 밴드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으나, 이하의 설명에선 스마트 글래스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사용자는 서비스 디바이스(100)의 역할을 수행하는 스마트 글래스를 안면에 착용하며, 센서부(10)는 사용자의 피부와 맞닿는 부분에 실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센서부(10)는 스마트 글래스의 코패드 템플의 안쪽 면, 엔드 피스의 안쪽 면 중 하나 이상에 실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센서부(10)는 사용자의 안면에서 분비되는 땀을 직접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스마트 글래스의 코패드, 템플의 안쪽 면, 엔드 피스의 안쪽 면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안면에서 분비되는 땀을 직접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적절한 위치 어디든 센서부(10)가 실장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센서부(10)는 하나 이상이 실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10)가 도 7과 같이 스마트 글래스의 코패드, 템플의 안쪽 면, 엔드 피스의 안쪽 면에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안면의 특정 부위에 따라 차등적으로 분비될 수 있는 땀을 보다 정확히 인식하여 성분비를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센서부(10)가 사용자의 신체에서 분비되는 땀을 인식했다면, 인식한 땀의 성분비를 측정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와 함께 제1 정보로 메모리부(20)에 저장한다(S220'). 여기서 센서부(10)는 땀의 성분비를 측정해야 하기 때문에 다양한 센서 중 땀 센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땀 센서는 접촉식 센서로써 땀을 인식하고 성분비를 분석할 수 있는바, 땀 센서에 의해 사용자로부터 분비된 땀을 구성하고 있는 성분들의 성분비를 측정할 수 있다. 땀 센서는 예를 들어 사용자로부터 분비된 땀을 인식하고 물 99%, 나트륨 0.4%, 염소 0.1%, 칼륨 0.1%, 질소 함유물 0.2%, 젖산 0.1%, 요소 0.1% 등과 같이 성분비를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기재한 땀의 성분비는 하나의 실시 예일 뿐이며, 사용자마다, 사용자 신체의 현재 상태에 따라 성분비가 다르게 측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일부 성분은 구성비가 0일 수도 있다.
센서부(10)는 측정한 사용자 땀의 성분비를 사용자의 현재 위치와 함께 제1 정보로 메모리부(20)에 저장한다. 여기서 사용자의 현재 위치는 다양한 수단을 통해 획득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등을 통해 획득할 수 있다.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GPS 모듈을 통해 획득했다면 제1 정보는 물 99%, 나트륨 0.4%, 염소 0.1%, 칼륨 0.1%, 질소 함유물 0.2%, 젖산 0.1%, 요소 0.1% 등과 같은 사용자 땀의 성분비와 (43.943 °, 4.805 °)와 같은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의 현재 위치는 GPS 모듈이 아닌 다른 수단을 이용한 경우 해당 수단에 맞는 제1 정보에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센서부(10)가 메모리부(20)에 저장하는 제1 정보는 하나 이상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 99%, 나트륨 0.4%, 염소 0.1%, 칼륨 0.1%, 질소 함유물 0.2%, 젖산 0.1%, 요소 0.1% 등과 같은 사용자 땀의 성분비와 (43.943 °, 4.805 °) 와 같은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포함하는 제1 정보가 저장된 이후, 물 99%, 나트륨 0.4%, 염소 0.2%, 칼륨 0.1%, 질소 함유물 0.1%, 젖산 0.2% 등과 같은 사용자 땀의 성분비와 (22.452 °, 7.245 °) 와 같은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포함하는 새로운 제1 정보가 추가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종전에 저장되었던 제1 정보는 삭제될 수 있으며, 메모리부(20)의 용량에 따라 삭제되지 않고 누적하여 새로운 제1 정보가 저장될 수도 있다. 아울러, 메모리부(20)는 제1 정보가 누적하여 저장되는 경우 용량이 초과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일정 용량 이상 제1 정보가 저장된 경우부터 새로운 제1 정보가 저장될 때 종전의 제1 정보는 삭제되게 할 수도 있다. 즉, 메모리부(20)는 다양한 저장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제1 정보가 메모리부(20)에 저장되면, 통신부(30)가 메모리부(20)에 저장된 제1 정보를 정보 제공 장치(50)에 전송한다(S230'). 여기서 정보 제공 장치(50)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멤버십 및 쿠폰 정보 제공 장치(200)로써 구성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통신부(3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CDMA, WCDMA, GSM, 3G, 4G 등과 같이 공지된 통신방식 중 어떤 것을 사용하여 제1 정보를 전송해도 무방하다.
통신부(30)가 제1 정보를 정보 제공 장치(50)에 전송하면 정보 제공 장치(50)는 제1 정보를 분석하여 제2 정보를 생성하고, 통신부(30)는 정보 제공 장치(50)가 전송하는 제2 정보를 수신한다(S240'). 수신한 제2 정보는 제어부(40)에 의해 메모리부(20)에 저장될 수 있으며(S241'), 이 경우 제2 정보는 정보 생성의 근원이 되는 제1 정보와 대응되는 위치 또는 제1 정보와 병합하여 저장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부(20)의 A라는 위치에 제1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면, 제2 정보는 A'에 저장될 수 있으며 또는 A에 함께 저장될 수도 있다. 아울러, 메모리부(20)의 용량에 따라 기존의 제1 정보를 삭제하고, 삭제된 위치에 제2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부(20)의 A라는 위치에 제1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면, 제어부(40)는 통신부(30)가 제2 정보를 수신한 것을 감지하여 A에서 제1 정보를 삭제하고 그 자리에 제2 정보를 새롭게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제2 정보는 제1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땀의 성분비와 관련하여 사용자에게 추천할 상품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현재 위치로부터 사용자에게 추천할 상품을 취급하는 가장 가까운 장소에 대한 정보가 더 포함되어 있는 정보이나,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 역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멤버십 및 쿠폰 정보 제공 장치(200)와 함께 후술하기로 한다.
통신부(30)가 제2 정보를 수신하면, 제어부(40)가 제2 정보를 디스플레이부(42), 스피커부(43)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출력한다(S250'). 도 8을 참조하면, 제2 정보가 스마트 글래스를 통해 출력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는바, 제2 정보는 디스플레이부(42)와 스피커부(43)에 동시에 출력될 수도 있고, 이 경우 서비스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부(42)와 스피커부(43) 모두를 구비해야 한다. 서비스 디바이스(100)가 스마트 글래스인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42)와 스피커부(43)를 모두 구비하므로 문제되지 않으나, 디스플레이부(42)와 스피커부(43)를 구비하지 않는 서비스 디바이스(100), 예를 들어 스마트 밴드 등의 경우에는 제2 정보의 출력이 문제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40)는 스마트 밴드와 블루투스(Bluetooth) 등과 같은 일정 수단을 통해 연동(Pairing)할 수 있는 다른 디바이스를 통해 제2 정보를 출력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다른 디바이스의 종류는 제한이 없으며, 블루투스 기능을 지원하는 이어폰, 스마트폰, 스마트 글래스 등 시각 또는 청각적인 출력 수단을 구비하는 디바이스는 어떤 것이라도 무방하다. 도 9를 참조하면, 스마트 밴드(100)를 착용한 사용자가 보유한 스마트 글래스(100)를 통해 제2 정보가 출력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설명한 S210' 내지 S250' 단계에 의해 사용자 땀의 성분비를 분석하여 현재 사용자의 신체 상태에 따른 유용한 정보를 스마트 글래스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스마트 글래스는 사용자의 안면에 착용하는 대표적인 웨어러블 디바이스인바, 사용자로부터 분비되는 땀을 직접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위치에 착용되므로 본 발명인 사용자 맞춤형 멤버십 및 쿠폰 정보 제공 방법을 구현함에 있어서 스마트 워치와 더불어 최적의 서비스 디바이스(100)에 해당한다. 이하, 또 다른 실시 예로 서비스 디바이스(100)가 스마트 밴드인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센서부(10)가 서비스 디바이스(100)를 착용한 신체에서 분비되는 땀을 인식한다(S210''). 여기서 서비스 디바이스(1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스마트 워치, 스마트 글래스, 스마트 밴드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으나, 이하의 설명에선 스마트 밴드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사용자는 서비스 디바이스(100)의 역할을 수행하는 스마트 밴드를 손목이나 팔등에 착용하며, 센서부(10)는 사용자의 피부와 맞닿는 부분에 실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센서부(10)는 도 10과 같이 스마트 밴드의 스트랩 안쪽 면에 실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센서부(10)는 사용자의 손목이나 팔등에서 분비되는 땀을 직접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스마트 밴드는 스마트 워치, 스마트 글래스 등과 같은 다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비해 그 구성이 비교적 단순한바, 센서부(10)가 실장되는 위치에 제한이 있을 수밖에 없으나, 스마트 밴드의 스트랩 안쪽 면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손목이나 팔등에서 분비되는 땀을 직접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적절한 위치 어디든 센서부(10)가 실장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센서부(10)는 하나 이상이 실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10)가 스마트 밴드의 안쪽 면에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손목이나 팔등의 특정 부위에 따라 차등적으로 분비될 수 있는 땀을 보다 정확히 인식하여 성분비를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센서부(10)가 사용자의 신체에서 분비되는 땀을 인식했다면, 인식한 땀의 성분비를 측정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와 함께 제1 정보로 메모리부(20)에 저장한다(S220''). 여기서 센서부(10)는 땀의 성분비를 측정해야 하기 때문에 다양한 센서 중 땀 센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땀 센서는 접촉식 센서로써 땀을 인식하고 성분비를 분석할 수 있는바, 땀 센서에 의해 사용자로부터 분비된 땀을 구성하고 있는 성분들의 성분비를 측정할 수 있다. 땀 센서는 예를 들어 사용자로부터 분비된 땀을 인식하고 물 99%, 나트륨 0.4%, 염소 0.1%, 칼륨 0.1%, 질소 함유물 0.2%, 젖산 0.1%, 요소 0.1% 등과 같이 성분비를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기재한 땀의 성분비는 하나의 실시 예일 뿐이며, 사용자마다, 사용자 신체의 현재 상태에 따라 성분비가 다르게 측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일부 성분은 구성비가 0일 수도 있다.
센서부(10)는 측정한 사용자 땀의 성분비를 사용자의 현재 위치와 함께 제1 정보로 메모리부(20)에 저장한다. 여기서 사용자의 현재 위치는 다양한 수단을 통해 획득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등을 통해 획득할 수 있다.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GPS 모듈을 통해 획득했다면 제1 정보는 물 99%, 나트륨 0.4%, 염소 0.1%, 칼륨 0.1%, 질소 함유물 0.2%, 젖산 0.1%, 요소 0.1% 등과 같은 사용자 땀의 성분비와 (43.943 °, 4.805 °)와 같은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의 현재 위치는 GPS 모듈이 아닌 다른 수단을 이용한 경우 해당 수단에 맞는 제1 정보에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스마트 밴드는 GPS 모듈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 경우도 있는바, 이 경우 스마트 밴드와 연동되는 다른 디바이스를 통해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전송 받아 제1 정보로 메모리부(20)에 저장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센서부(10)가 메모리부(20)에 저장하는 제1 정보는 하나 이상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 99%, 나트륨 0.4%, 염소 0.1%, 칼륨 0.1%, 질소 함유물 0.2%, 젖산 0.1%, 요소 0.1% 등과 같은 사용자 땀의 성분비와 (43.943 °, 4.805 °) 와 같은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포함하는 제1 정보가 저장된 이후, 물 99%, 나트륨 0.4%, 염소 0.2%, 칼륨 0.1%, 질소 함유물 0.1%, 젖산 0.2% 등과 같은 사용자 땀의 성분비와 (22.452 °, 7.245 °) 와 같은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포함하는 새로운 제1 정보가 추가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종전에 저장되었던 제1 정보는 삭제될 수 있으며, 메모리부(20)의 용량에 따라 삭제되지 않고 누적하여 새로운 제1 정보가 저장될 수도 있다. 아울러, 메모리부(20)는 제1 정보가 누적하여 저장되는 경우 용량이 초과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일정 용량 이상 제1 정보가 저장된 경우부터 새로운 제1 정보가 저장될 때 종전의 제1 정보는 삭제되게 할 수도 있다. 즉, 메모리부(20)는 다양한 저장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제1 정보가 메모리부(20)에 저장되면, 통신부(30)가 메모리부(20)에 저장된 제1 정보를 정보 제공 장치(50)에 전송한다(S230''). 여기서 정보 제공 장치(50)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멤버십 및 쿠폰 정보 제공 장치(200)로써 구성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통신부(3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CDMA, WCDMA, GSM, 3G, 4G 등과 같이 공지된 통신방식 중 어떤 것을 사용하여 제1 정보를 전송해도 무방하다.
통신부(30)가 제1 정보를 정보 제공 장치(50)에 전송하면 정보 제공 장치(50)는 제1 정보를 분석하여 제2 정보를 생성하고, 통신부(30)는 정보 제공 장치(50)가 전송하는 제2 정보를 수신한다(S240''). 수신한 제2 정보는 제어부(40)에 의해 메모리부(20)에 저장될 수 있으며(S241''), 이 경우 제2 정보는 정보 생성의 근원이 되는 제1 정보와 대응되는 위치 또는 제1 정보와 병합하여 저장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부(20)의 A라는 위치에 제1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면, 제2 정보는 A'에 저장될 수 있으며 또는 A에 함께 저장될 수도 있다. 아울러, 메모리부(20)의 용량에 따라 기존의 제1 정보를 삭제하고, 삭제된 위치에 제2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부(20)의 A라는 위치에 제1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면, 제어부(40)는 통신부(30)가 제2 정보를 수신한 것을 감지하여 A에서 제1 정보를 삭제하고 그 자리에 제2 정보를 새롭게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제2 정보는 제1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땀의 성분비와 관련하여 사용자에게 추천할 상품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현재 위치로부터 사용자에게 추천할 상품을 취급하는 가장 가까운 장소에 대한 정보가 더 포함되어 있는 정보이나,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 역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멤버십 및 쿠폰 정보 제공 장치(200)와 함께 후술하기로 한다.
스마트 밴드는 다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달리 그 구성이 비교적 단순하므로 디스플레이부(42)와 스피커부(43)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경우도 빈번하다. 따라서 스마트 워치와 스마트 글래스를 통해 수행된 S250 또는 S250' 단계에 있어서 제2 정보 출력방식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는바, 제2 정보를 수신한 통신부(30)는 이를 스마트 밴드와 연동된 다른 디바이스에 전송하며(S250''), 연동된 디바이스가 제2 정보를 디스플레이부(42), 스피커부(43)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출력한다(S260''). 즉, S260''단계를 스마트 워치와 스마트 글래스를 통해 수행된 S250 또는 S250'단계로 볼 수 있으며, 스마트 밴드의 특성으로 인해 연동된 디바이스에 제2 정보를 전송하는 S250''단계가 추가된 것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멤버십 및 쿠폰 제공 방법이 스마트 밴드를 통해 수행되는 경우의 순서도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최근에는 디스플레이부(42)와 스피커부(43)를 구비한 스마트 밴드도 출시되고 있는바, 이 경우 연동된 디바이스에 제2 정보를 전송하는 S250''단계는 수행되지 않아도 무방하며, 제어부(40)가 제2 정보를 디스플레이부(42), 스피커부(43)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그대로 출력할 수 있다.
지금까지 스마트 워치, 스마트 글래스. 스마트 밴드를 통해 구현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멤버십 및 쿠폰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였다. 서비스 디바이스(100)에 따라 일부 차이가 있지만, 사용자 맞춤형 멤버십 및 쿠폰 정보 제공 방법은 센서부(10)가 땀을 인식하는 단계, 센서부(10)가 땀의 성분비를 측정하여 제1 정보로 메모리부(20)에 저장하는 단계, 통신부(30)가 제1 정보를 정보 제공 장치(50)에 전송하는 단계, 통신부(30)가 제2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제어부(40)가 제2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이를 통해 사용자의 현재 신체 상태에 따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멤버십 및 쿠폰 정보 제공 방법은 웨어러블 디바이스, 보다 구체적으로 스마트 워치, 스마트 글래스, 스마트 밴드가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기능으로 탑재할 수 있으며, 다운로드 가능한 애플리케이션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종류와 상관없이, 애플리케이션 마켓에 애플리케이션을 등록시켜 놓으면 누구든지 다운로드 받아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멤버십 및 쿠폰 정보 제공 방법을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상태에서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시키거나, 프로그램 제공 서버를 통해 배포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멤버십 및 쿠폰 정보 제공 장치(200)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멤버십 및 쿠폰 정보 제공 장치(2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사용자 맞춤형 멤버십 및 쿠폰 정보 제공 장치(200)는 상품 정보부(60), 지도부(70) 및 제2 정보 생성부(80)를 포함하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는데 필요한 다른 구성들 역시 얼마든지 포함 가능함은 물론이다. 사용자 맞춤형 멤버십 및 쿠폰 정보 제공 장치(200)는 예를 들면 해당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상품 정보부(60)는 땀의 성분 중 성분비가 높은 성분 별로 사용자에게 추천할 상품과 그에 대한 정보가 리스트화되어 저장되어 있다. 일반적인 땀의 성분은 물이 99%를 차지하고 있으며 나트륨(Na), 염소(Cl), 칼륨(K), 질소 함유물, 젖산, 요소 등(이하, "나머지 성분"이라고 한다)이 나머지 1%를 차지하고 있는바, 상품 정보부(60)는 나머지 성분 중 성분비가 높은 성분 별로 사용자에게 추천할 상품과 그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나트륨의 성분비가 높을 경우 사용자에게 추천할 상품과 그에 대한 정보, 염소의 성분비가 높을 경우 사용자에게 추천할 상품과 그에 대한 정보, 칼륨의 성분비가 높을 경우 사용자에게 추천할 상품과 그에 대한 정보, 질소 함유물의 성분비가 높을 경우 사용자에게 추천할 상품과 그에 대한 정보, 젖산의 성분비가 높을 경우 사용자에게 추천할 상품과 그에 대한 정보, 요소의 성분비가 높을 경우 사용자에게 추천할 상품과 그에 대한 정보가 리스트화되어 있다. 여기서 특정 성분의 성분비가 높을 경우 사용자에게 추천할 상품은 해당 성분의 성분비를 낮춰줄 수 있는 상품이다. 예를 들어, 나트륨의 성분비가 높을 경우 사용자에게 추천할 상품은 나트륨의 성분비를 낮춰줄 수 있는 상품일 것이다. 그러나 상품 정보부(60)에 땀의 성분 중 성분비가 낮은 성분 별로 사용자에게 추천할 상품과 그에 대한 정보가 리스트화되어 저장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에게 추천할 상품은 해당 성분의 성분비를 높여줄 수 있는 상품일 것이다. 상품 정보부(60)는 저장공간의 크기에 따라 저장할 수 있는 정보의 한계가 존재하지만, 상기 설명한 땀의 성분 중 성분비가 높은 성분 별로 사용자에게 추천할 상품과 그에 대한 정보, 땀의 성분 중 성분비가 낮은 성분 별로 사용자에게 추천할 상품과 그에 대한 정보 모두가 리스트화되어 저장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한편, 리스트는 성분비가 높은 성분 별로 우선순위를 두는 것은 아니며, 땀을 구성하는 복수의 나머지 성분 중 특정 성분의 성분비가 높을 경우에 사용자에게 추천할 상품과 그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는 것인바, 각각의 성분은 독립적으로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나트륨의 성분비가 높을 경우 사용자에게 추천할 상품과 그에 대한 정보와 염소의 성분비가 높을 경우 사용자에게 추천할 상품과 그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고 하여 나트륨 또는 염소 중 어느 하나가 나머지 하나보다 성분비가 높을 필요는 없다. 두 성분은 리스트 내에서 독립적으로 다뤄지기 때문이다. 이는 리스트가 땀의 성분 중 성분비가 낮은 성분 별로 사용자에게 추천할 상품과 그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는 경우와 땀의 성분 중 성분비가 높은 성분 별로 사용자에게 추천할 상품과 그에 대한 정보 및 땀의 성분 중 성분비가 낮은 성분 별로 사용자에게 추천할 상품과 그에 대한 정보를 모두 담고 있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저장되어 있는 리스트는 업데이트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나트륨의 성분비가 높을 경우 사용자에게 추천할 상품이 A이며, 그에 대한 정보 a가 저장되어 있다면, 새로운 상품 B와 그에 대한 정보 b를 추가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기존 상품 A와 그에 대한 정보 a는 그대로 남겨놓을 수도 있고 삭제할 수도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땀을 구성하는 나머지 성분 중 성분비가 높은 성분 별로 사용자에게 추천할 상품과 그에 대한 정보가 리스트화 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품에 대한 정보는 상품의 명칭, 가격, 취급장소를 포함하며, 적용되는 멤버십 포인트의 종류, 할인쿠폰, 적립쿠폰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품에 대한 정보는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사용자의 상품 구입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기타 유용한 정보 모두를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품은 식품뿐만 아니라 약국에서 취급하는 건강 보조제 등과 같이 사용자가 먹고 마실 수 있는 것은 어떠한 것이라도 무방하며 종류에 제한이 없다.
지도부(70)는 업데이트 가능한 지도가 저장되어 있다. 여기서 지도부(70)에 저장되어 있는 지도는 웹상에서 제공하는 일반적인 지도일 수 있으나, 상품을 취급하는 장소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표시된 지도이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 14와 같이 편의점, 대형 슈퍼마켓, 백화점 등과 같이 사용자에게 추천할 상품을 취급하는 장소는 모두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저장된 지도는 업데이트 가능해야 하는바, 상품을 취급하는 장소에 변경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A라는 상품을 취급하는 a라는 편의점의 위치가 변경되거나, a라는 편의점 자체가 없어진 경우 사용자에게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지도의 수정이 필요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지도부(70)에 저장된 지도는 업데이트 가능해야 하며, 업데이트는 일정한 시간 간격을 두고 주기적으로 또는 실시간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제2 정보 생성부(80)는 서비스 디바이스(100)의 통신부(30)로부터 수신한 제1 정보를 분석하여 제2 정보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멤버십 및 쿠폰 정보 제공 방법에 대한 설명에서 제1 정보는 센서부(10)가 측정한 사용자 땀의 성분비와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모두 포함하고 있으며, 통신부(30)가 정보 제공 장치(50)로부터 제2 정보를 수신한다는 내용을 언급했던바, 여기서 정보 제공 장치(50)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멤버십 및 쿠폰 정보 제공 장치(200)이며, 제1 정보를 분석하여 제2 정보를 생성하는 구성이 제2 정보 생성부(80)이다. 이하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제2 정보 생성부(80)는 제1 정보를 분석하여 상품 정보부(60)에 저장되어 있는 상품에 대한 정보 중 분석결과에 부합하는 어느 하나 이상을 리스트로부터 선택하여 제2 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제1 정보의 분석은 사용자 땀의 성분비와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모두 포함하고 있는 제1 정보로부터 사용자 땀의 성분비에 대한 정보만을 추출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제1 정보가 사용자 땀의 성분비인 물 99%, 나트륨 0.4%, 염소 0.1%, 칼륨 0.1%, 질소 함유물 0.2%, 젖산 0.1%, 요소 0.1%와 사용자의 현재 위치인 (43.943 °, 4.805 °)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제2 정보 생성부(80)는 여기서 사용자 땀의 성분비인 물 99%, 나트륨 0.4%, 염소 0.1%, 칼륨 0.1%, 질소 함유물 0.2%, 젖산 0.1%, 요소 0.1% 만을 추출할 수 있다. 제2 정보 생성부(80)는 제1 정보로부터 추출한 정보를 기초로 상품 정보부(60)에 저장되어 있는 상품에 대한 정보 중 분석결과에 부합하는 어느 하나 이상을 리스트로부터 선택하는바, 선택에 있어서 소정의 비교절차가 요구된다. 이는 어떠한 기준을 통해 리스트로부터 선택하는지에 대한 문제인바, 따라서 제2 정보 생성부(80)에는 정상적인 신체 상태에서 땀의 성분비에 대한 정보가 기 저장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정상적인 신체 상태에서 땀의 성분비가 물 99%, 나트륨 0.2%, 염소 0.1%, 칼륨 0.2%, 질소 함유물 0.2%, 젖산 0.1%, 요소 0.2%로 저장되어 있다면, 제2 정보 생성부(80)가 제1 정보로부터 추출한 정보인 사용자 땀의 성분비 물 99%, 나트륨 0.4%, 염소 0.1%, 칼륨 0.1%, 질소 함유물 0.2%, 젖산 0.1%, 요소 0.1% 와 비교하여 나트륨의 성분비가 높고, 칼륨과 요소의 성분비가 낮음을 인지할 수 있다. 한편, 정상적인 신체 사태에서 땀의 성분비는 상기 실시 예와 같이 일정한 수치가 아니라 소정의 수치 범위로 기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정상적인 신체 상태에서 땀의 성분비가 물 99%, 나트륨 0.1 내지 0.2%, 염소 0.1 내지 0.2%, 칼륨 0.1 내지 0.2%, 질소 함유물 0.05 내지 0.2%, 젖산 0.1 내지 0.2%, 요소 0.1 내지 0.2% 등과 같이 소정의 수치 범위로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 땀의 성분비 중 수치 범위를 벗어나는 성분에 대한 정보를 인지할 수 있다.
기 저장되어 있는 정상적인 신체 상태에서 땀의 성분비와 제1 정보로부터 추출한 사용자 땀의 성분비를 비교하여 차이가 나는 땀의 성분을 인지한 제2 정보 생성부(80)는 상품 정보부(60)에 저장되어 있는 상품에 대한 정보 중 분석결과에 부합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제2 정보를 생성한다. 상품 정보부(60)에는 물을 제외한 나머지 성분 중 성분비가 높은 성분 별로 사용자에게 추천할 상품과 그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음은 앞서 설명한바, 예를 들어, 나트륨의 성분비가 높을 경우 사용자에게 추천할 상품과 그에 대한 정보, 염소의 성분비가 높을 경우 사용자에게 추천할 상품과 그에 대한 정보, 칼륨의 성분비가 높을 경우 사용자에게 추천할 상품과 그에 대한 정보, 질소 함유물의 성분비가 높을 경우 사용자에게 추천할 상품과 그에 대한 정보, 젖산의 성분비가 높을 경우 사용자에게 추천할 상품과 그에 대한 정보, 요소의 성분비가 높을 경우 사용자에게 추천할 상품과 그에 대한 정보가 리스트화되어 있으며, 성분비가 낮은 성분 별로 사용자에게 추천할 상품과 그에 대한 정보가 리스트화되어 저장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 예에서 제2 정보 생성부(80)가 나트륨의 성분비가 높고, 칼륨과 요소의 성분비가 낮음을 인지한 경우, 나트륨의 성분비가 높을 경우 사용자에게 추천할 상품과 그에 대한 정보, 칼륨의 성분비가 낮을 경우 사용자에게 추천할 상품과 그에 대한 정보, 요소의 성분비가 낮을 경우 사용자에게 추천할 상품과 그에 대한 정보를 리스트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정보 생성부(80)가 리스트에서 선택한 상품 및 그에 대한 정보는 나트륨의 성분비를 낮춰줄 수 있는 상품과 그에 대한 정보, 칼륨의 성분비를 높여줄 수 있는 상품과 그에 대한 정보, 요소의 성분비를 높여줄 수 있는 상품과 그에 대한 정보일 것이다. 한편, 상품에 대한 정보는 상품의 명칭, 가격, 취급장소를 포함하며, 적용되는 멤버십 포인트의 종류, 할인쿠폰, 적립쿠폰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함은 앞서 설명한바, 이러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일종의 마케팅 효과까지 얻을 수 있다.
한편, 제2 정보 생성부(80)는 리스트로부터 선택한 하나 이상의 상품에 대한 정보에 포함되는 상품을 취급하는 장소를 지도부(70)로부터 선택하여 제2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 예에서 나트륨의 성분비가 높고, 칼륨과 요소의 성분비가 낮음을 인지한 경우, 나트륨의 성분비가 높을 경우 사용자에게 추천할 상품 A를 취급하는 장소 a를, 칼륨의 성분비가 낮을 경우 사용자에게 추천할 상품B를 취급하는 장소 b를, 요소의 성분비가 낮을 경우 사용자에게 추천할 상품C를 취급하는 장소 c를 지도부에서 선택할 수 있다(여기서 a, b, c는 상품에 대한 정보에 포함되는 상품의 취급장소이다). 또한, 제2 정보 생성부(80)가 선택한 상품을 취급하는 장소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와 가장 가까운 장소에 해당한다. 제1 정보는 사용자 땀의 성분비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현재 위치까지 포함하고 있으므로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로부터 가장 가까운 취급 장소를 제공함으로써 일종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나트륨의 성분비가 높을 경우 사용자에게 추천할 상품 A를 취급하는 장소가 a, b, c라면, 제2 정보 생성부(80)는 제1 정보로부터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추출하여 a, b, c 중에 가장 가까운 장소를 선택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현재 위치로부터 가장 가까운 상품 취급 장소를 선택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설명한 사용자 맞춤형 멤버십 및 쿠폰 정보 제공 장치(200)에 의해, 서비스 디바이스(100)를 착용한 사용자는 자신의 신체 상태의 항상성(Homeostasis)을 유지할 수 있는 상품을 추천 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해당 상품을 취급하는 가장 가까운 취급 장소에 대한 정보까지 제공받을 수 있다. 아울러, 추천 상품에 대한 정보와 더불어 상품 구매에 도움이 되는 멤버십 포인트의 종류, 할인쿠폰, 적립쿠폰 중 하나 이상의 정보까지 부가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는바, 일석이조의 효과를 누릴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서비스 디바이스(100)인 스마트 워치의 디스플레이부(42)에 제2 정보가 출력되는 구체적인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멤버십 및 쿠폰 정보 제공 방법은 애플리케이션(이하, "제1 애플리케이션"이라 한다)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은 앞서 설명한바, 더 나아가 다른 애플리케이션(이하, "제2 애플리케이션"이라 한다)과 연동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 구현된 사용자 맞춤형 멤버십 및 쿠폰 정보 제공 방법을 통해 서비스 디바이스(100)에 제2 정보가 출력되면, 이와 연동된 제2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추천 상품을 취급하는 장소에 사용자가 방문하여 구입하지 않고도 제2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해당 상품을 미리 구입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에게 추천된 상품이 커피 전문점에서 판매하고 있는 커피라 한다면 제1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커피에 대한 정보와 취급 장소, 멤버십 포인트, 할인쿠폰, 적립쿠폰 등을 확인하고 제2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미리 결제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해당 취급 장소를 방문하여 결제할 필요가 없으며 방문하자마자 상품을 받을 수 있는바,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아울러, 제2 애플리케이션 자체적으로 멤버십 포인트 적립, 할인쿠폰, 적립쿠폰 제공 서비스를 마련하여 별도의 마케팅 및 고객 유치 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그 범위를 제한해놓은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순서도들은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가장 바람직한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도시된 순차적인 순서에 불과하며, 다른 추가적인 단계들이 제공되거나, 일부 단계가 삭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한 기술적 특징과 이를 실행하는 구현물은 디지털 전자 회로로 구현되거나,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구조 및 그 구조적인 등가물 등을 포함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구현 가능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한 기술적 특징을 실행하는 구현물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다시 말해 처리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또는 이것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유형의 프로그램 저장매체 상에 인코딩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에 관한 모듈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기판, 메모리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전파형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의 조성물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장치"라 함은 예를 들어, 프로세서, 컴퓨터 또는 다중 프로세서나 컴퓨터를 포함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모든 기구, 장치 및 기계를 모두 포함한다.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스크립트 또는 코드 등으로 알려진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파일 되거나 해석된 언어 또는 선험적, 절차적 언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어떠한 형태로도 작성될 수 있으며, 독립형 프로그램이나 모듈, 컴포넌트, 서브루틴 또는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유닛을 포함하여 어떠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컴퓨터 프로그램은 파일 시스템의 파일에 반드시 대응되는 것은 아니며, 요청된 프로그램에 제공되는 단일 파일 내에 또는 다중의 상호 작용하는 파일(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모듈, 하위 프로그램 또는 코드의 일부를 저장하는 파일)내에, 또는 다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보유하는 파일의 일부(예를 들어, 마크업 언어 문서 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립트)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 위치하거나 복수의 사이트에 걸쳐서 분산되어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접속된 다중 컴퓨터나 하나 이상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예를 들어 EPROM, EEPROM 및 플래시메모리 장치와 같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 예컨대 내부 하드디스크나 외장형 디스크와 같은 자기 디스크, 자기광학 디스크 및 CD와 DVD 디스크를 포함하여 모든 형태의 비휘발성 메모리, 매체 및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와 메모리는 특수 목적의 논리 회로에 의해 보충되거나, 그것에 통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한 기술적 특징을 실행하는 구현물은 예를 들어, 데이터 서버와 같은 백엔드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서버와 같은 미들웨어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예컨대 사용자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구현물과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웹 브라우저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갖는 클라이언트 컴퓨터와 같은 프론트엔드 컴포넌트 혹은 그러한 백엔드, 미들웨어 혹은 프론트엔드 컴포넌트의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연산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시스템의 컴포넌트는 예를 들어, 통신 네트워크와 같은 디지털 데이터 통신의 어떠한 형태나 매체에 의해서도 상호 접속 가능하다.
이하, 상기 기술한 내용과 더불어 본 명세서에 기술한 사용자 맞춤형 멤버십 및 쿠폰 정보 제공 방법이 포함하는 구성들을 구현할 수 있는 보다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하여 자세히 기술하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한 사용자 맞춤형 멤버십 및 쿠폰 정보 제공 방법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또는 웹 기반의 스토리지 시스템과 관련된 서버 또는 서버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Processor) 상에서 컴퓨터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코드 또는 명령어를 실행하는 수단을 통해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는 서버,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인프라 구조, 모바일 컴퓨팅 플랫폼, 고정 컴퓨팅 플랫폼 등과 같은 컴퓨팅 플랫폼 중 일부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프로그램 명령어, 코드 등을 실행할 수 있는 컴퓨터 또는 프로세싱 디바이스의 한 종류일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사용자 맞춤형 멤버십 및 쿠폰 정보 제공 방법, 명령어, 코드 및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메모리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별도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 맞춤형 멤버십 및 쿠폰 정보 제공 방법, 명령어, 코드 및 프로그램이 저장된 CD-ROM, DVD, 메모리, 하드 디스크, 플래시 드라이브, RAM, ROM, 캐시 등과 같은 스토리지 디바이스에 접근(Access)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한 사용자 맞춤형 멤버십 및 쿠폰 정보 제공 방법은 서버, 클라이언트, 게이트웨이, 허브, 라우터 또는 네트워크 하드웨어 상의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장치를 통해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소프트웨어는 파일 서버, 프린트 서버, 도메인 서버, 인터넷 서버, 인트라넷 서버, 호스트 서버, 분산 서버 등과같이 다양한 종류의 서버에서 실행될 수 있으며, 상기 언급한 서버들은 메모리, 프로세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 스토리지 매체, 통신 디바이스, 포트, 클라이언트 그리고 다른 서버들을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접근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맞춤형 멤버십 및 쿠폰 정보 제공 방법, 명령어, 코드 등 역시 서버에 의해 실행될 수 있으며, 사용자 맞춤형 멤버십 및 쿠폰 정보 제공 방법을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다른 디바이스들은 서버와 연관된 계층구조의 일 부분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울러, 서버는 클라이언트, 다른 서버, 프린터, 데이터베이스 서버, 프린트 서버, 파일 서버, 통신 서버, 분산 서버 등을 제한 없이 포함하는 다른 디바이스에게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인터페이스를 통한 연결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프로그램의 원격 실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버에 연결된 디바이스 중 어느 것이라도 사용자 맞춤형 멤버십 및 쿠폰 정보 제공 방법, 명령어, 코드 등을 저장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스토리지 디바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서버의 중앙 프로세서는 상이한 디바이스 상에서 실행될 명령어, 코드 등을 디바이스에 제공하여 스토리지 디바이스에 저장되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기술한 사용자 맞춤형 멤버십 및 쿠폰 정보 제공 방법은 네트워크 인프라구조를 통해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 인프라구조는 컴퓨팅 디바이스, 서버, 라우터, 허브, 방화벽, 클라이언트, 개인용 컴퓨터, 통신 디바이스, 라우팅 디바이스 등과 같은 디바이스와 각각의 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 별도의 모듈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언급한 디바이스와 모듈 외에 스토리 플래시 메모리, 버퍼, 스택, RAM, ROM 등과 같은 스토리지 매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맞춤형 멤버십 및 쿠폰 정보 제공 방법, 명령어, 코드 등 역시 네트워크 인프라구조가 포함하는 디바이스, 모듈, 스토리지 매체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실행 및 저장될 수 있으며, 사용자 맞춤형 멤버십 및 쿠폰 정보 제공 방법을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다른 디바이스 역시 네트워크 인프라구조의 일 부분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한 사용자 맞춤형 멤버십 및 쿠폰 정보 제공 방법은 하드웨어 또는 특정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에 적합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하드웨어는 개인용 컴퓨터, 이동통신 단말기 등과 같은 범용 컴퓨터 디바이스와 기업형 특정 컴퓨터 디바이스를 모두 포함하며, 컴퓨터 디바이스는 메모리, 마이크로프로세서, 마이크로콘트롤러,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애플리케이션 집적 회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 프로그래머블 어레이 조직 등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에서 기술한 컴퓨터 소프트웨어, 명령어, 코드 등은 판독 가능한 디바이스에 의해 저장 또는 접근될 수 있으며, 여기서 판독 가능한 디바이스는 일정 시간 간격 동안 컴퓨팅하는데 사용되는 디지털 데이터를 구비하는 컴퓨터 컴포넌트, RAM 또는 ROM과 같은 반도체 스토리지, 광디스크와 같은 영구적인 스토리지, 하드 디스크, 테이프, 드럼 등과 같은 대용량 스토리지, CD 또는 DVD와 같은 광 스토리지, 플래시 메모리, 플로피 디스크, 자기 테이프, 페이퍼 테이프, 독립형 RAM 디스크, 컴퓨터로부터 착탈 가능한 대용량 스토리지와 동적 메모리, 정적 메모리, 가변 스토리지, 클라우드와 같은 네트워크 접속형 스토리지 등과 같은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여기서 명령어와 코드 등은 SQL, dBase 등과 같은 데이터 지향 언어, C, Objective C, C++, 어셈블리 등과 같은 시스템 언어, Java, NET 등과 같은 아키텍처 언어, PHP, Ruby, Perl, Python 등과 같은 애플리케이션 언어 등과 같은 언어들을 모두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진 언어들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실행을 위해 명령어를 프로세서로 제공하는데 기여하는 모든 매체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스토리지 디바이스, 광디스크, 자기 디스크 등과 같은 비휘발성 매체, 동적 메모리 등과 같은 휘발성 매체와 데이터를 전송하는 동축 케이블, 구리 와이어, 광섬유 등과 같은 전송 매체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한편,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블록도와 순서도에 포함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실행하는 구성들은 상기 구성들 사이의 논리적인 경계를 의미한다. 그러나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의 실시 예에 따르면, 도시된 구성들과 그 기능들은 독립형 소프트웨어 모듈, 모놀리식 소프트웨어 구조, 코드, 서비스 및 이들을 조합한 형태로 실행되며,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 명령어 등을 실행할 수 있는 프로세서를 구비한 컴퓨터에서 실행 가능한 매체에 저장되어 그 기능들이 구현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모든 실시 예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과 그에 대한 기술은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설명하기는 하나, 이러한 기술적 특징을 구현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특정 배열이 분명하게 언급되지 않는 한, 단순히 추론되어서는 안된다. 즉, 이상에서 기술한 다양한 실시 예들이 존재할 수 있으며, 그러한 실시 예들이 본 발명과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보유하면서 일부 변형될 수 있으므로, 이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또한, 순서도의 경우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가장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것으로서, 도시된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반드시 실행되어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반드시 실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 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아울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본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의해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실시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서비스 디바이스
10: 센서부
20: 메모리부
30: 통신부
40: 제어부
42: 디스플레이부 43: 스피커부
200: 사용자 맞춤형 멤버십 및 쿠폰 정보 제공 장치
60: 상품 정보부
70: 지도부
80: 제2 정보 생성부

Claims (11)

  1. (a) 센서부가 서비스 디바이스를 착용한 사용자의 신체에서 분비되는 땀을 인식하는 단계;
    (b) 센서부가 상기 인식한 땀의 성분비를 측정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와 함께 제1 정보로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단계;
    (c) 통신부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제1 정보를 정보 제공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d) 통신부가 상기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제1 정보 분석결과인 제2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e) 제어부가 상기 제2 정보를 디스플레이부, 스피커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사용자 맞춤형 멤버십 및 쿠폰 정보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디바이스는,
    스마트 워치, 스마트 글래스, 스마트 밴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형 멤버십 및 쿠폰 정보 제공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디바이스가 스마트 워치인 경우,
    상기 센서부는 스마트 워치의 본체 뒷면, 스트랩의 안쪽 면 중 하나 이상에 실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형 멤버십 및 쿠폰 정보 제공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디바이스가 스마트 글래스인 경우,
    상기 센서부는 스마트 글래스의 코패드, 템플의 안쪽 면, 엔드 피스의 안쪽 면 중 하나 이상에 실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형 멤버십 및 쿠폰 정보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제1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땀의 성분비와 관련하여 사용자에게 추천할 상품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형 멤버십 및 쿠폰 정보 제공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로부터 상기 사용자에게 추천할 상품을 취급하는 가장 가까운 장소에 대한 정보가 더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형 멤버십 및 쿠폰 정보 제공 방법
  7. 땀의 성분 중 성분비가 높은 성분 별로 사용자에게 추천할 상품과 그에 대한 정보가 리스트화되어 저장되어 있는 상품 정보부;
    업데이트 가능한 지도가 저장되어 있는 지도부; 및
    통신부로부터 수신한 땀의 성분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정보를 분석하여 추천 상품에 대한 제2 정보를 생성하는 제2 정보 생성부;
    를 포함하는 사용자 맞춤형 멤버십 및 쿠폰 정보 제공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에 대한 정보는,
    상품의 명칭, 가격, 취급장소를 포함하며,
    적용되는 멤버십 포인트의 종류, 할인쿠폰, 적립쿠폰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형 멤버십 및 쿠폰 정보 제공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 생성부는,
    제1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상품 정보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품에 대한 정보 중 분석결과에 부합하는 어느 하나 이상을 리스트로부터 선택하여 제2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형 멤버십 및 쿠폰 정보 제공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 생성부는,
    상기 리스트로부터 선택한 하나 이상의 상품에 대한 정보에 포함되는 상품을 취급하는 장소를 상기 지도부로부터 선택하여 제2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형 멤버십 및 쿠폰 정보 제공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 생성부가 선택한 장소는,
    제1 정보에 포함되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와 가장 가까운 장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형 멤버십 및 쿠폰 정보 제공 장치
KR1020150149614A 2015-10-13 2015-10-27 사용자 맞춤형 멤버십 및 쿠폰 정보 제공 방법과 제공 장치 KR2017004891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9614A KR20170048919A (ko) 2015-10-27 2015-10-27 사용자 맞춤형 멤버십 및 쿠폰 정보 제공 방법과 제공 장치
US15/290,620 US20170103166A1 (en) 2015-10-13 2016-10-11 Wearable device for providing service according to measurement of blood alcohol level and management server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9614A KR20170048919A (ko) 2015-10-27 2015-10-27 사용자 맞춤형 멤버십 및 쿠폰 정보 제공 방법과 제공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8919A true KR20170048919A (ko) 2017-05-10

Family

ID=58743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9614A KR20170048919A (ko) 2015-10-13 2015-10-27 사용자 맞춤형 멤버십 및 쿠폰 정보 제공 방법과 제공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4891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15344A (zh) * 2020-06-20 2020-11-10 武汉海云健康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医疗大数据的新会员催熟方法和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15344A (zh) * 2020-06-20 2020-11-10 武汉海云健康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医疗大数据的新会员催熟方法和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10178B2 (en) Data mesh visualization
US11100564B2 (en) Regional item recommendations
AU2015324030B2 (en) Identifying temporal demand for autocomplete search results
US20150339726A1 (en) Advertising for sensor-enabled clothing
US20140279341A1 (en) Method and system to utilize an intra-body area network
KR20170049996A (ko) 디바이스를 이용한 상품 결제 방법 및 서버
US11157562B2 (en) Determining apparel-based recommendations for a user
KR20170048921A (ko) 식습관 패턴에 따른 건강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48919A (ko) 사용자 맞춤형 멤버십 및 쿠폰 정보 제공 방법과 제공 장치
US20190197584A1 (en) Tracking time and context of use of a communication device
KR20170049219A (ko)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결제 정보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결제 정보 제공 방법
KR20170050662A (ko)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네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560553B1 (ko) 진열 상품의 위치 정보 구축방법 및 구축장치
JP2015219529A (ja) 商品情報提示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