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8287A - 가상 헤어 스타일링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 Google Patents

가상 헤어 스타일링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8287A
KR20170048287A KR1020170051858A KR20170051858A KR20170048287A KR 20170048287 A KR20170048287 A KR 20170048287A KR 1020170051858 A KR1020170051858 A KR 1020170051858A KR 20170051858 A KR20170051858 A KR 20170051858A KR 20170048287 A KR20170048287 A KR 201700482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ject
line
image
model data
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1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87749B1 (ko
Inventor
나승원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518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7749B1/ko
Publication of KR201700482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82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77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77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8/00Pattern recognition
    • G06K9/0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conom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렌더링을 이용한 가상 헤어 스타일링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렌더링을 위한 양호한 영상을 수집할 수 있도록 피사체를 정렬할 수 있는 라인을 지원하여 실사에 가까운 모델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헤어 오브젝트를 적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가상 헤어 스타일링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METHOD AND APPARATUS FOR VIRTUAL HAIR STYLING SERVICE}
본 발명은 가상 헤어 스타일링 서비스 지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양호한 영상을 수집할 수 있도록 피사체를 정렬할 수 있는 라인을 지원하여 실사에 가까운 모델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헤어 오브젝트를 적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가상 헤어 스타일링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통신 기술과 반도체 기술 등의 눈부신 발전에 힘입어 다양한 단말기의 보급과 이용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최근의 단말기 중 휴대 단말기는 각자의 전통적인 고유 영역에 머무르지 않고 다른 단말기들의 영역까지 아우르는 모바일 융/복합(mobile convergence) 단계에 이르고 있다. 대표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경우에는 음성통화나 메시지 송수신과 같은 일반적인 통신 기능 외에도 TV 시청 기능(예컨대,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나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와 같은 이동 방송), 음악 재생 기능(예컨대, MP3(MPEG Audio Layer-3), 사진 촬영 기능, 인터넷 접속 기능 등 다양한 기능들이 부가되고 있다.
한편, 통신망의 발달과 보급 확대에 힘입어 인터넷 인구가 급격한 속도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인터넷의 성장과 함께 전자상거래, 포털(portal) 등을 위시한 다양한 컨텐츠(contents)가 등장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온라인 및 오프라인 영역의 경계가 파괴되어 기존의 오프라인 서비스를 온라인 서비스로 대체해 나가고 있다. 그리고 생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삶의 질과 개성이 중요시되고 있으며, 헤어 스타일 관리에 대한 욕구 및 관심이 크게 증대되고 있다. 그러나 실생활에서는 헤어 스타일의 선택이나 관리가 체계적이지 못하고 불편하여 자신에게 맞는 헤어 스타일을 선택하고 유지하는데 많은 애로 및 시행착오를 거치게 된다. 실제로 헤어샵 이용자는 미용협회에서 제공되는 잡지 또는 인기 연예인의 사진을 통해 자신의 헤어 스타일을 선택하거나 미용사의 자문을 통해 자신의 헤어 스타일을 결정하기 때문에 미용 작업 전에는 자신에게 맞는 헤어 스타일을 파악하기 힘들었다. 또한, 자신에게 맞는 헤어 스타일을 찾았다 하더라도 미용사에 따라 미용 방법 및 미용기술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헤어샵을 바꾸거나 미용사가 바뀔 경우 원하는 헤어 스타일을 유지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애로 사항을 개선하기 위하여 일부 헤어샵에서 도입하였던 기술로, 헤어샵을 찾은 고객의 얼굴을 정면에서 디지털카메라로 촬영한 후, 그 영상 데이터를 컴퓨터에 입력하고 미리 컴퓨터에 저장되어 있는 몇 종류의 헤어 스타일을 고객의 얼굴 영상에 맞춰보는 시뮬레이션 시스템이 있었다.
그러나 종래 헤어 스타일을 제공하는 시뮬레이션 시스템은 2D 영상을 기반으로 정면에서의 헤어 스타일에 대한 정보만을 제공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전체적인 헤어 스타일의 형태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보다 정확하고 사실적인 정보 제공을 위해, 3D 영상을 기반으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고자 할 경우, 3D 영상 획득을 위해 고가의 3D 영상 촬영 장비가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9-0106040호, 2009년 10월 08일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피사체의 두부(머리와 얼굴을 포함)에 대한 사실적인 모델 데이터 획득을 위해 필요한 적절한 영상을 수집하고, 수집된 영상을 기반으로 실물과 유사한 모델 데이터를 생성함으로써 다양한 헤어 오브젝트의 적용을 보다 사실적으로 묘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가상 헤어 스타일링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상 헤어 스타일링 서비스 시스템은 화면 상에 일정한 라인을 출력하고, 라인에 머리와 얼굴을 포함하는 두부의 피사체의 영상이 정렬되도록 유도하여 라인 정렬된 복수의 피사체 관련 영상을 수집한 후, 수집된 피사체 관련 영상을 서비스 장치에 전송하여, 서비스 장치로부터 해당 피사체에 대한 모델 데이터와 모델 데이터에 적용할 적어도 하나의 헤어 오브젝트를 수신하고, 수신한 모델 데이터와 헤어 오브젝트를 결합하여 출력하는 단말기, 단말기로부터 라인 정렬된 피사체 관련 영상을 수신하여 모델 데이터를 생성하며, 모델 데이터에 적용할 적어도 하나의 헤어 오브젝트와 모델 데이터를 단말기에 전송하는 서비스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단말기로부터 라인에 피사체를 정렬하여 획득하는 적어도 하나의 라인 정렬된 피사체 관련 영상을 수신하고, 해당 라인 정렬된 피사체 관련 영상으로부터 생성된 모델 데이터 및 모델 데이터에 적용할 적어도 하나의 헤어 오브젝트를 단말기로 전송하는 접속 장치, 접속 장치가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라인 정렬된 피사체 관련 영상을 기반으로 모델 데이터를 생성하여 접속 장치에 전달하는 모델 생성 장치, 모델 데이터에 적용할 적어도 하나의 헤어 오브젝트를 접속 장치로 제공하는 헤어 오브젝트 지원 장치를 포함하는 가상 헤어 스타일링 서비스를 지원하는 서비스 장치의 구성을 개시한다.
여기서 모델 생성 장치는 생성된 모델 데이터를 헤어 오브젝트 지원 장치에 전달할 수 있으며, 헤어 오브젝트 지원 장치는 단말기에 제공하는 헤어 오브젝트를 모델 데이터에 맞도록 변경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어 오브젝트 지원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헤어 오브젝트와 관련된 이미지가 배치되는 웹 페이지를 상기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서비스 장치는 접속 장치, 헤어 오브젝트 지원 장치 및 모델 생성 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가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으로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피사체 관련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화면을 출력하는 표시부, 화면에 서로 다른 가이드 라인을 출력하고, 가이드 라인들에 카메라로 촬영한 피사체 관련 영상이 정렬되도록 유도하여, 가이드 라인들에 피사체가 정렬되는 위치에서의 복수의 라인 정렬된 피사체 관련 영상을 수집한 후, 해당 라인 정렬된 피사체 관련 영상들을 기반으로 모델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모델 데이터에 헤어 오브젝트를 적용하여 표시부에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가상 헤어 스타일링 서비스를 지원하는 단말기의 구성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의한 단말기에 있어서, 제어부는 가이드 라인을 출력하는 라인 정보 출력부, 가이드 라인을 기반으로 획득하는 라인 정렬된 피사체 관련 영상을 기반으로 모델 데이터를 생성하는 모델 생성부, 모델 데이터를 상기 표시부에 출력하도록 지원하는 모델 재생부, 모델 데이터에 헤어 오브젝트를 적용하여 표시부에 출력하도록 지원하는 헤어 오브젝트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단말기는, 라인 정렬된 피사체 관련 영상, 이를 기반으로 생성된 모델 데이터 및 모델 데이터에 적용할 적어도 하나의 헤어 오브젝트 중에서 하나 이상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단말기는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는 통신부를 통하여 서비스 장치에 접속하여 서비스 장치가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헤어 오브젝트를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단말기에 있어서, 라인 정보 출력부는 화면 중앙 영역에 배치되는 기준 라인, 상기 기준 라인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라인을 출력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어부는 기준 라인에 피사체의 중심선이 정렬되고, 가이드 라인에 피사체의 경계 영역이 정렬되는 경우의 피사체의 정면 영상을 수집하며, 기준 라인에 피사체의 측면 중심선이 정렬되고, 가이드 라인에 피사체의 경계 영역이 정렬되는 경우의 적어도 하나의 피사체 측면 영상을 수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단말기에 있어서, 제어부는 피사체 관련 영상이 기준 라인 및 가이드 라인에 정렬되도록 피사체와 라인들과의 이격 거리에 따른 안내 메시지 또는 안내음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며, 또한 표시부에 출력되는 영상과 기준 라인 및 가이드 라인을 비교 분석하여 피사체가 라인 정렬된 경우 해당 영상을 자동으로 촬영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또한 단말기가,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라인을 화면에 출력하는 출력 단계, 출력된 가이드 라인에 피사체를 정렬하여 라인 정렬된 피사체 영상들을 획득하는 수집 단계, 라인 정렬된 피사체 영상들을 기반으로 모델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모델 데이터에 특정 헤어 오브젝트를 적용하는 적용 단계, 헤어 오브젝트가 적용된 모델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상 헤어 스타일링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가상 헤어 스타일링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출력 단계는 기준 라인을 화면의 중앙 영역에 출력하는 단계, 기준 라인과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의 화면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라인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수집 단계는 기준 라인에 피사체의 얼굴 중앙선을 정렬하는 단계, 가이드 라인에 피사체의 경계 영역을 정렬하는 단계, 정렬된 피사체와 카메라 사이의 거리 정보를 포함하는 정면 영상을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은 상술한 가상 헤어 스타일링 서비스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상 헤어 스타일링 서비스 시스템과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에 따르면, 본 발명은 피사체의 두부에 대한 촬영 가이드 라인을 제공하여 렌더링을 위한 적절한 영상을 얻을 수 있도록 유도하고, 이렇게 얻어진 영상을 기반으로 실사와 유사한 모델 데이터를 생성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사실적인 모형에 다양한 헤어 스타일을 적용해 볼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이드 라인에 따라 피사체 촬영을 수행하는 단말기와 피사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단말기 구성 중 제어부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상 헤어 스타일링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상 헤어 스타일링 서비스 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스템 각 구성들 간의 신호 흐름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가상 헤어 스타일링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가상 헤어 스타일링 서비스 과정에서 운용되는 화면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상 헤어 스타일링 서비스 지원을 위한 피사체(50)의 영상을 수집하는 단말기(1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카메라(170), 표시부(140) 및 제어부(160)의 구성을 포함하며, 그 외 통신부(110), 입력부(120), 오디오 처리부(130) 및 저장부(150)의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기(100)로 본 실시 예에서는 통신부(110)로 무선통신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를 예시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단말기(100)는 다양한 통신 시스템들에 대응되는 통신 프로토콜들(communication protocols)에 의거하여 동작하는 모든 이동통신 단말기들(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을 비롯하여,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디지털방송 플레이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음악 재생기(예컨대, MP3 플레이어), 휴대게임단말,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Notebook), PC 및 태블릿 PC 등 모든 정보통신기기와 멀티미디어기기 및 그에 대한 응용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단말기(100)는 카메라(170)를 운용하여 피사체(50)에 대한 다양한 각도의 영상을 수집하되, 피사체(50) 촬영 시 피사체(50)가 표시부(140)에 맺히는 영상에 대하여 일정한 기준 라인(141) 및 가이드 라인(143)을 제공하여 렌더링을 위한 적절한 영상을 수집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때 단말기(100)는 피사체(50)의 다양한 측면에 대한 가이드 라인(143)을 제공함으로써 최적의 렌더링을 위하여 사용자가 피사체(50)에 대한 적절한 영상을 수집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개선된 모델 데이터 생성을 위한 단말기(100)의 각 구성들의 역할과 기능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모델 데이터는 예를 들어 3D 모델 데이터를 포함한다.
통신부(110)는 단말기(100)의 통화 기능 지원을 위한 통신 채널의 형성 및 데이터 전송을 위한 통신 채널의 형성 등을 제어부(160)의 제어 하에 수행한다. 즉, 통신부(110)는 음성 통화 채널, 데이터 통신 채널 및 화상 통화 채널 등을 네트워크를 통해 다양한 장치들과 형성할 수 있다. 특히 통신부(110)는 렌더링을 위해 수집할 영상의 참고점들이 될 수 있는 기준 라인(141)과 가이드 라인(143)에 대한 정보를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기준 라인(141) 및 가이드 라인(143)에 대한 정보는 제어부(160) 제어에 따라 저장부(15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0)는 단말기(100)가 렌더링을 외부 장치를 통해서 처리하는 경우 렌더링을 위해 수집한 라인 정렬된 피사체(50) 관련 영상들을 해당 장치에 전달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숫자 또는 다양한 문자 정보를 입력 받고, 각종 기능들의 설정 및 단말기(100)의 기능 제어를 위한 입력키 및 기능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입력부(120)는 단말기(100) 기능 지원에 따라 음성 통화 요청을 위한 통화키, 화상 통화 요청을 위한 화상 통화키, 음성 통화 또는 화상 통화 종료 등을 요청하는 종료키, 오디오 신호의 출력 볼륨을 조정할 수 있는 볼륨키 및 방향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입력부(12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헤어 스타일링 기능 활성화를 위한 입력 신호, 카메라(170) 제어를 위한 입력 신호, 모델 데이터(153) 저장을 위한 입력 신호, 헤어 오브젝트(155) 선택을 위한 입력 신호 등을 사용자 제어에 따라 생성할 수 있다. 이렇게 생성된 입력 신호는 제어부(160)에 전달되어 본 발명의 가상 헤어 스타일링 서비스를 위한 명령어로 변환될 수 있다. 이러한 입력부(120)는 단말기(100)의 제공 형태에 따라 터치패드(Touch-pad), 터치스크린(Touch-screen), 일반적인 키 배열의 버튼식 키패드, 쿼티 방식의 버튼식 키패드 등과 같은 입력 장치들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30)는 단말기(100)의 운용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오디오 데이터의 출력과 단말기(100)의 통화 기능 지원에 필요한 오디오 데이터 수집 등을 담당하기 위하여 스피커(SPK)와 마이크(MIC)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오디오 처리부(130)는 카메라(170) 운용 과정에 필요한 효과음을 스피커(SPK)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으며, 모델 데이터(153) 및 헤어 오브젝트(155)의 출력과 관련된 효과음을 출력할 수 있다. 효과음 출력 기능은 사용자 선택에 따라 생략될 수 도 있다.
표시부(140)는 단말기(100)의 각종 메뉴를 비롯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정보를 표시한다. 즉, 표시부(140)는 단말기(100)의 이용에 따른 다양한 화면 예를 들면, 표시부(140)는 대기 화면, 메뉴 화면, 메시지 작성 화면, 통화 화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부(140)는 피사체(50)에 대한 영상 수집을 위하여 활성화되는 카메라(170) 관련 화면 예를 들면 피사체(50)에 대한 프리뷰 이미지 출력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40)는 피사체(50) 영상을 기반으로 생성된 모델 데이터(153) 및 모델 데이터(153)에 적용할 헤어 오브젝트(155)가 적용된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표시부(140)는 최적의 모델 데이터(153) 생성을 위한 렌더링 과정을 지원하기 위하여 피사체(50)에 대한 적절한 영상을 수집할 수 있도록 영상 촬영 시 가이드 라인(143)과 기준 라인(141)을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피사체(50) 촬영 시 해당 기준 라인(141)과 가이드 라인(143)을 바탕으로 피사체(50)와 카메라(170) 간의 거리나 각도 및 기타 위치를 조절한 후 영상을 촬영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표시부(140)에 출력되는 기준 라인(141) 및 가이드 라인(143)에 대한 예시 화면은 도 7을 참조하여 예시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이러한 표시부(140)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OLED(Organic Light Emitted Diode),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ed Diode)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40)가 터치스크린으로 형성되는 경우 입력부(120)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저장부(150)는 단말기(100)의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를 비롯하여, 기타 옵션(options) 기능 예컨대, 소리 재생 기능, 이미지 또는 동영상 재생 기능 등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비롯하여, 사용자 데이터 및 송수신되는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저장부(150)는 본 발명의 모델링을 위한 피사체(50)의 영상 수집을 지원하는 모델 생성 프로그램(151)을 저장할 수 있으며, 생성된 모델 데이터(153) 및 헤어 오브젝트(155)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헤어 오브젝트(155)는 통신부(110) 등을 통하여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하거나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수신하여 저장될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에 의하여 제작되거나 편집에 의하여 변경되어 새로운 형태로 재생산될 수 있다.
모델 생성 프로그램(151)은 본 발명의 가상 헤어 스타일링 서비스 지원을 위한 모델 데이터(153) 생성을 위한 카메라(170) 및 표시부(140) 제어를 수행하는 구성이다. 특히 모델 생성 프로그램(151)은 가상 헤어 스타일링 서비스 기능 활성화를 위한 입력 신호가 발생하는 경우 카메라(170)를 활성화하도록 제어하는 루틴, 활성화된 카메라(170)를 기반으로 피사체(50)에 대한 일정 영상을 수집하도록 유도하는 영상 수집 루틴, 수집된 피사체(50) 관련 영상을 기반으로 렌더링을 수행하여 모델 데이터(153)를 생성하는 루틴, 생성된 모델 데이터(153)에 사전 저장된 또는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헤어 오브젝트(155)를 적용하여 표시부(140)에 출력하는 출력 루틴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 수집 루틴은 표시부(140) 상에 기준 라인(141) 및 가이드 라인(143)을 출력하는 서브 루틴, 출력된 기준 라인(141) 및 가이드 라인(143)을 기반으로 피사체(50)의 영상 촬영을 보조하는 보조 서브 루틴을 포함할 수 있다. 보조 서브 루틴은 피사체(50) 특히 얼굴에 대한 얼굴 인식을 수행하여 해당 피사체(50)가 기준 라인(141)의 중앙 영역에 적절하게 위치하였는지를 검지하고 그에 따라 피사체(50)의 움직임 방향 정보 예를 들면 좌 또는 우 방향 안내를 표시부(140) 또는 오디오 처리부(130) 등을 통하여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보조 서브 루틴은 피사체(50)의 얼굴 외곽선이 가이드 라인(143) 영역에 적절하게 위치하였는지를 검지하고 그에 따라 피사체(50)의 움직임 방향 정보 예를 들면 카메라(17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또는 가까워지는 방향으로의 안내를 표시부(140) 또는 오디오 처리부(130) 등을 통하여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보조 서브 루틴은 해당 피사체(50)가 기준 라인(141) 및 가이드 라인(143) 내에 위치하는 경우 자동 촬영을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도 있다. 이러한 보조 서브 루틴은 결과적으로 피사체(50)에 대한 렌더링을 보다 양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으로 피사체(50)의 일정 크기 정면 영상, 피사체(50)의 일정 크기 좌측면 및 우측면 중 적어도 한 영상을 수집하도록 지원한다. 이러한 모델 생성 프로그램(151)은 제어부(160)에 로드되어 이하에서 설명하는 다양한 제어부 구성으로 변환될 수 있다.
모델 데이터(153)는 모델 생성 프로그램(151)에 의하여 생성되어 저장부(150)에 저장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모델 데이터(153)는 제어부(160) 제어에 따라 표시부(140)에 출력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60) 제어에 따라 모델 데이터(153)는 저장부(150)에 사전 저장된 또는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헤어 오브젝트(155)가 적용되어 출력될 수 있다.
카메라(170)는 피사체(50) 촬영을 위한 장치이다. 이러한 카메라(170)는 이미지 센서와 이미지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피사체를 전기적인 영상 신호로 변환하는 센서이다. 이러한 이미지 센서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방식 또는 CCD(Charge Coupled Device) 방식의 이미지 센서일 수 있다. 이미지 처리부는 이미지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을 가공하여 출력하는 장치이다. 즉, 이미지 처리부는 이미지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을 리사이즈(Resize), 메모리간 이동, RGB 신호 변환, A/D 변환, 잡음 제거, 디지털 줌(Digital Zoom), 회전(Rotation), 인코딩(Encoding) 등의 이미지 처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170)는 가이드 라인(143)과 기준 라인(141) 내에 위치한 피사체(50)에 대한 적어도 둘 이상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촬영된 영상은 제어부(160)에 전달될 수 있다.
제어부(160)는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단말기(100)의 내부 블록들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60)는 가상 헤어 스타일링 서비스 기능을 지원하기 위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단말기(100)는 저장부(150)에 피사체 관련 모델 관련 데이터 및 모델 데이터에 적용할 적어도 하나의 헤어 오브젝트를 저장하는 예를 개시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단말기(100)는 피사체 관련 모델 관련 데이터 및 모델 데이터에 적용할 적어도 하나의 헤어 오브젝트를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100)의 제어부(160)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어부(160)는 카메라 제어부(161), 영상 분석부(162), 라인 정보 출력부(163), 모델 생성부(164), 모델 재생부(165), 헤어 오브젝트 처리부(166)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제어부(161)는 가상 헤어 스타일링 서비스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입력 신호가 입력부(120)로부터 발생하면 카메라(170)를 활성화하도록 제어하는 구성이다. 특히 카메라 제어부(161)는 영상 분석부(162)의 영상 분석에 따라 현재 수집되고 있는 프리뷰 영상을 자동 촬영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라인 정보 출력부(163)는 표시부(140) 상에 기준 라인 및 가이드 라인을 각각 출력하도록 지원하며, 영상 분석부(162)는 영상 분석을 통해 해당 기준 라인(141) 및 가이드 라인(143)가 출력된 환경에서 피사체(50)가 적절한 위치에 배치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 분석부(162)가 해당 라인들에 피사체(50)가 적절히 배치된 것으로 판단하면 카메라 제어부(161)는 해당 영상을 자동 촬영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카메라 제어부(161)가 카메라(170)를 제어하여 촬영 영상은 모델 생성부(164)에 전달될 수 있다.
영상 분석부(162)는 카메라(170)가 수집하는 영상 또는 프리뷰 영상에 포함된 피사체(50)의 얼굴 인식을 수행하여 피사체(50)의 참조 값 예를 들면 눈, 코, 입, 귀 등의 참조 값을 검출하고, 참조 값을 기반으로 피사체(50)와 카메라(170)와의 거리를 계산한다. 영상 분석부(162)가 계산한 각 참조 값들의 거리 정보는 모델 생성부(164)에 전달될 수 있다.
라인 정보 출력부(163)는 모델 생성부(164) 제어에 따라 기준 라인(141) 및 가이드 라인(143)을 표시부(140) 일측에 출력하도록 지원하는 구성이다. 특히 기준 라인(141)는 표시부(140)의 정 중앙에 배치될 수 있으며, 가이드 라인(143)는 기준 라인과 좌우 또는 상하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출력될 수 있다. 기준 라인과 가이드 라인이 출력되는 위치는 모델 데이터(153) 생성을 위한 렌더링 과정에서 이용한 적절한 위치의 피사체(50)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지점이 될 수 있다.
모델 생성부(164)는 카메라(170)가 수집하여 전달한 피사체(50) 영상들을 기반으로 모델을 생성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모델 생성부(161)는 피사체(50)에 대한 다양한 각도의 영상 촬영을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촬영된 영상을 기반으로 렌더링 과정을 수행하여 모델 데이터(153)를 생성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모델 생성부(164)는 피사체(50)가 카메라(170)를 정면으로 바라보는 제1 위치에서 피사체(50)의 두부를 촬영하도록 카메라 제어부(161)를 제어하며, 제1 위치에서 카메라(170)와 피사체(50) 두부의 복수 참조 값들까지의 거리 정보가 포함된 제1 영상 정보를 저장부(150)에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모델 생성부(164)는 제1 위치에서 피사체(50)의 두부가 기 설정된 방향 및 거리만큼 이동하였을 경우의 위치인 제2 위치를 나타내는 제1 가이드 라인을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라인 정보 출력부(163)를 제어한다. 그리고 모델 생성부(164)는 제1 가이드 라인에 맞도록 피사체(50)가 제2 위치에 배치되면 카메라(170)와 피사체(50) 두부의 복수의 참조 값들까지의 거리 정보가 포함된 제2 영상 정보를 수집하고, 제2 영상 정보를 저장부(150)에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참조 값들은 피사체(50) 두부, 예를 들면 얼굴의 다양한 참조 지점들이 될 수 있다. 또한 모델 생성부(164)는 제1 위치에서 피사체(50)의 두부를 기 설정된 방향 및 거리만큼 이동하였을 경우의 위치인 제3 위치를 나타내는 제2 가이드 라인을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라인 정보 출력부(163)를 제어한다. 그리고 피사체(50)가 제2 가이드 라인에 맞도록 배치되면 모델 생성부(164)는 제3 위치에서 카메라(170)와 피사체(50) 두부의 복수의 참조 값들까지의 거리 정보가 포함된 제3 영상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저장부(150)에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모델 생성부(164)는 제1 영상 정보 내제 제3 영상 정보를 조합하여 렌더링 과정을 수행하여 피사체(50) 두부의 모델 데이터(153)를 생성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생성된 모델 데이터(153)는 저장부(150)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모델 생성부(164)가 3개의 영상 정보를 수집 및 저장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모델 생성부(164)는 가이드 라인을 표시하여 적어도 2개의 방향에서 피사체(50) 두부를 촬영하고, 촬영에서 얻어진 영상 정보를 기반으로 렌더링을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모델 재생부(165)는 저장부(150)에 저장된 모델 데이터(153)를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지원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모델 재생부(165)는 렌더링 된 모델 데이터(153) 출력을 위하여 고속 그래픽 엔진을 운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모델 재생부(165)는 피사체(50)와 카메라(170) 사이의 거리 변화에 따라 출력되는 모델 데이터(153)의 크기를 변경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헤어 오브젝트 처리부(166)는 저장부(15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헤어 오브젝트(155)를 모델 데이터(153)에 적용하여 출력하도록 지원하는 구성이다. 실질적으로 모델 데이터(153)에 적용되는 헤어 오브젝트(155)는 3D로 구성된 정보가 될 수 있다. 헤어 오브젝트 처리부(166)는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 아이템을 선택할 수 있도록 다양한 헤어 오브젝트(155)의 멀티 이미지를 포함하는 화면을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특정 헤어 오브젝트(155)를 선택하는 경우 헤어 오브젝트 처리부(166)는 선택된 헤어 오브젝트(155)를 해당 모델 데이터(153)에 적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헤어 오브젝트 처리부(166)는 모델 데이터(153)의 크기 정보를 획득하고, 해당 크기 정보에 따라 헤어 오브젝트(155)의 크기를 변경하여 모델 데이터(153)가 적절한 크기의 헤어 오브젝트(155)를 적용한 형태로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헤어 오브젝트 처리부(166)는 피사체(50)와 카메라(170) 간의 거리 값 변화에 따라 헤어 오브젝트(155)의 크기 변경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모델 재생부(165) 및 헤어 오브젝트 처리부(166)는 참조 값 변화를 통하여 피사체(50)의 거리 변화에 따른 모델 데이터(153) 및 헤어 오브젝트(155)의 크기 변경을 제어할 수 도 있다. 한편 헤어 오브젝트 처리부(166)는 사용자 요청 또는 일정 주기에 따라 헤어 오브젝트 지원 장치(303)에 접속하여, 헤어 오브젝트 지원 장치(303)가 제공하는 다양한 헤어 오브젝트(155)를 수신하여 저장부(150)에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헤어 오브젝트 처리부(166)는 헤어 오브젝트 편집기를 제공하여 사용자 제어에 따라 특정 헤어 오브젝트(155)를 사용자 스타일에 맞도록 변경하거나 조정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상 헤어 스타일링 서비스는 단말기(100)를 기반으로 모델 생성과 헤어 오브젝트(155) 적용을 지원함으로써 일정한 가상 헤어 적용 서비스를 지원받을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가상 헤어 스타일링 서비스 기능 지원을 수행하는 단말기(100)의 구성과 각 구성들의 역할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온라인 기반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가상 헤어 스타일링 서비스 기능 지원을 위한 시스템 구성과 각 구성들의 역할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가상 헤어 스타일링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상 헤어 스타일링 서비스 시스템(10)은 피사체(50), 단말기(100), 네트워크(200), 서비스 장치(300)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가상 헤어 스타일링 서비스 시스템(10)은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피사체(50)의 특정 부위 예를 들면 피사체(50)의 두부 중 적어도 두 방향에서의 영상을 수집하고, 수집된 영상을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서비스 장치(300)에 제공한다. 그러면 서비스 장치(300)는 해당 피사체(50) 관련 영상을 기반으로 모델을 생성함과 아울러, 모델에 적용할 다양한 스타일의 헤어 오브젝트를 모델 데이터와 함께 단말기(100)에 전달할 수 있다. 단말기(100)는 서비스 장치(300)가 전달한 모델 및 헤어 오브젝트를 합성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어떠한 헤어 오브젝트가 잘 어울리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하 가상 헤어 스타일링 서비스 시스템(10)의 각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피사체(50)는 눈과, 코, 입과 귀 등을 얼굴 인식의 참조 값으로 가지는 인체의 얼굴과 머리를 포함하는 두부가 될 수 있다. 이러한 피사체(50)는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단말기(100)에 장착된 카메라(170)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카메라(170) 제어에 따라 두부에 대한 적어도 두 방향의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피사체(50)는 사용자 제어에 따라 카메라(170)를 기준으로 정면 영상 및 적어도 하나의 측면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단말기(100)는 장착된 카메라(170)를 이용하여 모델 생성을 위한 피사체(50)의 영상을 수집하고, 수집된 영상을 서비스 장치(300)에 전달할 수 있다. 특히 단말기(100)는 표시부(140)에 라인을 출력하여 피사체(50)에 대한 특정 각도에서의 영상을 복수 개 수집하도록 제어하고, 복수 개의 라인 정렬된 피사체(50) 관련 영상을 서비스 장치(300)에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기(100)는 앞서 설명한 도 1 내지 도 3에서의 피사체(50) 영상 수집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여 다양한 방향의 라인 정렬된 피사체(50) 관련 영상을 수집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100)는 서비스 장치(300)로부터 피사체(50)에 관련된 모델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100)는 본 발명의 가상 헤어 스타일링 서비스를 지원하는 서비스 장치(300)로부터 다양한 스타일의 헤어 오브젝트를 다운로드한 후 모델 데이터 출력 시 헤어 오브젝트를 적용하여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때 단말기(100)는 서비스 장치(300) 중 접속 장치(301)에 접속하여, 헤어 오브젝트 지원 장치(303)가 제공하는 다양한 헤어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웹 페이지를 표시부(140)에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선택에 따라 선택된 헤어 오브젝트를 헤어 오브젝트 지원 장치(303)로부터 수신하여 저장부(150)에 임시 저장하고, 모델 데이터 출력 시 해당 모델 데이터에 적용하여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네트워크(200)는 단말기(100)와 서비스 장치(300)를 연결하여, 데이터 송수신 기능을 지원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네트워크(200)은 다양한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네트워크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인터넷 프로토콜(IP)을 통하여 대용량 데이터의 송수신 서비스 및 끊기는 현상이 없는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아이피망으로, 아이피를 기반으로 서로 다른 망을 통합한 아이피망 구조인 All IP망, 유선망, Wibro(Wireless Broadband)망, WCDMA를 포함하는 3 세대 이동통신망,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망 및 LTE망을 포함하는 3.5세대 이동통신망, LTE advanced를 포함하는 4세대 이동통신망, 위성통신망 및 와이파이(Wi-Fi)망을 포함하는 무선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서비스 장치(300)는 다양한 장치들(301, 303, 305)을 포함하여 내부적으로 각각 정보의 전달과 공유, 정정과 삭제 및 폐기 등의 과정을 통하여 단말기(100)가 요청하는 가상 헤어 스타일링 서비스 시스템(10)을 지원하는 구성이다. 즉 서비스 장치(300)는 가상 헤어 스타일링 서비스 지원을 위하여 접속 장치(301), 헤어 오브젝트 지원 장치(303), 모델 생성 장치(305)를 포함할 수 있다.
접속 장치(301)는 가상 헤어 스타일링 서비스 지원을 위하여 단말기(100)와의 데이터 송수신과, 데이터의 저장 및 이력 관리를 수행한다. 그리고 접속 장치(301)는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모델 생성 장치(305) 및 헤어 오브젝트 지원 장치(303)에 전달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접속 장치(301)는 단말기(100)가 접속을 시도하는 경우 인증 정보 확인을 통하여 해당 단말기(100)가 가상 헤어 스타일링 서비스 이용 가입자인지 확인할 수 있다. 해당 단말기(100)가 유효한 단말기인 경우 접속 장치(301)는 해당 단말기(100)가 전송하는 피사체(50) 관련 영상을 모델 생성 장치(305) 및 헤어 오브젝트 지원 장치(303)에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접속 장치(301)는 헤어 오브젝트 지원 장치(303)에 단말기(100) 정보만을 전송할 수 도 있다. 그리고 접속 장치(301)는 모델 생성 장치(305)가 전달하는 모델 데이터 및 헤어 오브젝트 지원 장치(303)가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헤어 오브젝트를 단말기(10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접속 장치(301)는 해당 단말기(100)에 전송한 모델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단말기(100)가 선택한 특정 오브젝트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접속 장치(301)는 추후 해당 단말기(100)가 접속하는 경우 모델 데이터를 새로 생성하지 않고 기 저장된 모델 데이터를 해당 단말기(100)에 전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접속 장치(301)는 헤어 오브젝트에 대하여 이전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선택한 헤어 오브젝트와 유사한 헤어 스타일의 헤어 오브젝트들을 우선적으로 단말기(100)에 전송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헤어 오브젝트 지원 장치(303)는 다양한 헤어 오브젝트를 분류, 저장하며, 접속 장치(301)를 통하여 단말기(100)가 요청하는 특정 헤어 오브젝트들을 제공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하여 헤어 오브젝트 지원 장치(303)는 다양한 헤어 오브젝트를 열람할 수 있는 웹 페이지를 단말기(100)에 제공할 수 있다. 헤어 오브젝트 지원 장치(303)는 또한 헤어 오브젝트 지원뿐만 아니라, 제공된 헤어 오브젝트의 편집 기능을 웹 상에서 처리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그리고 헤어 오브젝트 지원 장치(303)는 단말기(100)에 의하여 특정 헤어 오브젝트가 일정 값 이상으로 변경된 경우, 변경된 해당 헤어 오브젝트를 새로운 스타일의 헤어 오브젝트로 자동 등록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헤어 오브젝트 지원 장치(303)는 관리자가 업데이트 하는 다양한 스타일의 헤어 오브젝트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와, 저장된 헤어 오브젝트를 단말기(100)에 제공할 수 있는 통신 채널 형성을 위한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모델 생성 장치(305)는 접속 장치(301)를 통하여 단말기(100)가 전달한 피사체(50) 관련 영상을 기반으로 모델을 생성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모델 생성 장치(305)는 단말기(100)가 기준 라인 및 가이드 라인을 기반으로 촬영한 라인 정렬된 피사체(50) 관련 영상을 기반으로 모델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특히 모델 생성 장치(305)는 피사체(50) 영상 중 정면 영상에 대하여 명암 정보 및 특징점 추출 등을 기반으로 깊이 정보를 추출함과 아울러, 해당 영상의 색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모델 생성 장치(305)는 라인을 기반으로 촬영된 피사체(50)의 측면 영상과 피사체(50)의 정면 영상을 통합하여 깊이 정보와 색 정보를 보강할 수 있다. 특히 모델 생성 장치(305)는 피사체(50)의 좌측면 영상과 우측면 영상을 정면 영상 기준으로 배치함으로써 전체적인 모델을 실사에 가깝게 구성할 수 있으며, 구성된 모델에 각 영상에서 추출한 색 정보를 적용하여 모델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모델 생성 장치(305)가 생성한 모델 데이터는 접속 장치(301)에 임시 저장될 수 있으며, 접속 장치(301)를 통하여 단말기(100)에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는 모델 데이터를 단말기(100)가 모델 생성 장치(305)로부터 수신하여 출력하는 형태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모델 데이터는 실시간으로 서비스 장치(300) 특히 모델 생성 장치(305)로부터 단말기(100)가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단말기(100)가 화면 구성을 위한 별도의 데이터 연산을 수행하지 않고, 서비스 장치(300)를 기반으로 모델 데이터 및 헤어 오브젝트 출력을 운용되는 경우에 해당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상 헤어 스타일링 서비스 시스템(10)은 단말기(100)가 라인을 기반으로 촬영한 피사체(50) 관련 영상을 서비스 장치(300)에 전달하여 모델 데이터와 모델에 적용할 다양한 헤어 오브젝트를 수신하여 출력하도록 지원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가상 헤어 스타일링 서비스 시스템(10)은 모델 생성에 필요한 고속 엔진을 장착한 하드웨어를 장치에서 처리하도록 함으로써 단말기(100)가 모델 생성을 수행하는 부담을 줄일 수 있으며, 서비스 장치(300)로부터 다양한 헤어 스타일의 헤어 오브젝트를 수신하여 모델에 적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서비스 장치(300)는 서버 기반 컴퓨팅 방식 또는 클라우드 컴퓨팅 방식으로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서비스 장치(300)는 접속 장치(301), 모델 생성 장치(305) 및 헤어 오브젝트 지원 장치(303)들이 각각 독립된 하나 이상의 서버로 구현되거나, 다수의 장치(301 내지 305)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서비스 장치(300)는 단말기(100)에 대하여 클라우드 컴퓨팅 방식으로 멀티 코드 운용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인터넷 기술을 활용하여 가상화된 IT 자원, 예를 들어, 하드웨어(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등), 소프트웨어(데이터베이스, 보안, 웹 서버 등), 서비스, 데이터 등을 온 디맨드(on demand) 방식으로 서비스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즉, 서비스 장치(300)는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헤어 스타일링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필요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서비스, 데이터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컴퓨팅 자원을 단말기(100)에 제공한다. 예를 들어, 서비스 장치(300)는 단말기(100)에 대하여 모델 데이터 및 헤어 오브젝트가 유통되는 가상의 컴퓨팅 공간을 제공하고, 컴퓨팅 공간을 다양한 헤어 오브젝트의 교환과 공유에 따라 보다 다양한 헤어 오브젝트를 단말기(100)에 서비스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장치(300)는 모델 데이터와 관련된 데이터 및/또는 소프트웨어를 저장하는 저장 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저장 공간을 통해 상술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상 헤어 스타일링 서비스 시스템(10)의 각 구성과 각 구성들의 역할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단말기(100)의 가상 헤어 적용 방법과, 가상 헤어 스타일링 서비스 시스템(10)의 가상 헤어 적용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각각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상 헤어 스타일링 서비스를 위한 가상 헤어 스타일링 서비스 시스템(10)의 대표 구성들 간의 신호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가상 헤어 스타일링을 위한 시스템 운용 방법은 먼저, 단말기(100)가 501 단계에서 가상 헤어 스타일링 기능 활성화를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는 단말기(100)의 입력부(120) 및 터치스크린 기능의 표시부(140)를 이용하여 메뉴 항목으로 제공되는 가상 헤어 스타일링 기능을 활성화하는 입력신호를 생성하거나, 해당 기능 지원을 위해 할당되어 표시부(140)에 출력 중인 아이콘을 선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단말기(100)는 가상 헤어 스타일링 기능 활성화를 위한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카메라(170)를 활성화하여 피사체(50)에 대한 영상을 수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말기(100)는 503 단계에서 라인을 표시부(140)에 출력하고, 라인을 기반으로 피사체(50)의 영상을 수집할 수 있다. 이때 단말기(100)는 기준 라인(141)과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라인(143)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라인(141)은 피사체(50)의 중심 또는 중앙을 정렬하기 위한 정보로서 표시부(140)의 중앙에 점선이나 기타 다양한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 라인(143)은 기준 라인(141)이 출력된 지점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표시부(140) 영역에 출력되는 정보로서 피사체(50)의 경계 영역을 가이드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해당 라인에 맞도록 피사체(50)가 표시부(140) 상에 영상을 맺히도록 피사체(5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피사체(50)에 해당하는 두부를 전후, 좌우, 상하 등으로 움직여 라인 내에 피사체(50)가 위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단말기(100)는 사용자 제어에 따라 피사체(50) 관련 영상을 라인을 기반으로 촬영할 수 있다. 특히 단말기(100)는 피사체(50)에 대한 다양한 영상 중 정면 영상과 측면 영상을 획득할 수 있으며, 측면 영상은 좌측면 영상 및 우측면 영상 중 적어도 하나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100)는 사용자 제어에 따라 정면을 중심으로 일정 방향으로 일정 각도만큼 회전된 피사체(50) 영상을 촬영할 수 도 있다. 예를 들면 단말기(100)는 사용자 제어에 따라 정면 중심에서 좌측 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된 피사체(50) 영상을 수집하거나, 우측 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된 피사체(50) 영상을 수집할 수 있다.
이후 단말기(100)는 505 단계에서 수집된 피사체(50) 관련 영상을 서비스 장치(3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단말기(1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해서 서비스 장치(300), 특히 접속 장치(301)에 접속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100)는 사용자 인증 과정을 수행하고, 유효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면 접속 장치(301)를 통하여 모델 생성 장치(305)에 라인 정렬된 피사체(50) 관련 영상을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접속 장치(301)는 단말기(100) 접속 정보를 헤어 오브젝트 지원 장치(303)에 전달할 수 있다.
그러면 서비스 장치(300)는 507 단계에서 수신된 피사체(50) 관련 영상을 기반으로 모델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특히 서비스 장치(300) 중 모델 생성 장치(305)는 단말기(100)가 전달하는 라인 기반으로 수집된 피사체(50) 관련 영상을 이용하여 모델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라인을 기반으로 수집된 피사체(50) 관련 영상은 단말기의 표시부(140)에 출력된 라인에 맞도록 피사체(50)가 배치되면 카메라(170)와 피사체(50) 두부의 복수 참조 값들까지의 거리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델 생성 장치(305)는 정면 및 측면 또는 좌측면 및 우측면 등 피사체(50)의 복수의 위치에서 수집된 영상에서 각각 거리 정보와 영상 정보를 기반으로 모델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생성된 모델 데이터는 509 단계에서 단말기(100)에 전송될 수 있으며, 이때 헤어 오브젝트도 함께 전송될 수 있다. 즉 모델 생성 장치(305)는 모델 데이터가 생성되면 접속 장치(301)를 통하여 피사체(50) 영상을 전송한 단말기(100)에 모델 데이터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헤어 오브젝트 지원 장치(303)는 모델 생성 장치(305)와 독립적으로 단말기(100)와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적어도 하나의 헤어 오브젝트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러면 단말기(100)는 수신된 모델 데이터에 헤어 오브젝트를 적용하여 511 단계에서 해당 데이터들을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단말기(100)는 모델 데이터 출력 시 헤어 오브젝트를 모델 데이터에 맞도록 변경을 가하고, 변경된 헤어 오브젝트를 모델 데이터에 적용하여 표시부(140)에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헤어 오브젝트 또한 모델 데이터에 적용되기 위하여 타입으로 제작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한편 헤어 오브젝트는 모델 데이터에 맞추어진 형태로 수신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모델 생성 장치(305)는 모델 데이터가 생성되면, 해당 모델 데이터를 단말기(100)뿐만 아니라 헤어 오브젝트 지원 장치(303)에도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헤어 오브젝트 지원 장치(303)는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헤어 오브젝트에 대하여 모델 생성 장치(305)가 전달한 모델 데이터에 맞도록 크기나 방향 등을 조정한 후, 변경된 헤어 오브젝트를 단말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단말기(100)는 별도의 헤어 오브젝트 변경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 수신된 데이터들을 출력하는 역할만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단말기(100)는 수신된 모델 데이터 및 헤어 오브젝트를 저장부(150)에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상 헤어 스타일링 서비스 지원을 위한 단말기의 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운용 방법은 먼저 단말기(100)에 전원이 공급되면 제어부(160)는 공급된 전원을 이용하여 단말기(100)의 각 구성을 초기화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초기화 과정이 완료되면 기 설정된 스케줄 정보에 따라 601 단계에서와 같이 대기 화면을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60)는 입력부(120) 또는 터치스크린 기능의 표시부(140)로부터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603 단계로 분기하여 해당 입력 신호가 가상 헤어 스타일링 기능을 활성화하도록 하기 위한 입력 신호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 단계에서 제어부(160)는 해당 입력 신호가 가상 헤어 스타일링 기능 활성화를 위한 입력 신호가 아닌 경우 605 단계로 분기하여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단말기(100)의 사용자 기능 예를 들면 단말기(100) 지원 여부에 따라 파일 재생 기능, 파일 검색 기능, 방송 수신 기능, 통화 기능 등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603 단계에서 가상 헤어 스타일링 기능 활성화를 위한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제어부(160)는 607 단계로 분기하여 라인 기반의 피사체(50) 영상을 수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어부(160)는 가이드 라인(143)을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가이드 라인(143)에 맞도록 배치된 피사체(50)에 대한 복수의 영상을 수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60)는 제1 가이드 라인을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제1 가이드 라인에 맞도록 피사체(50)의 제1 위치가 정해지면 제1 위치에서의 제1 영상을 수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획득되는 제1 영상은 제1 위치에서의 피사체(50)의 다양한 참조점들과 카메라(170) 사이의 거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제2, 제3 의 가이드 라인을 표시부(140)에 출력하고, 해당 가이드 라인에 맞도록 피사체(50)가 배치된 위치에서의 영상 정보를 획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어부(160)는 표시부(140) 상에 복수의 가이드 라인을 출력하고, 각 가이드 라인에 정렬되도록 피사체(50)가 위치한 지점에서 각각의 영상을 수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6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준 라인을 표시부(140)에 출력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기준 라인은 가이드 라인의 한 종류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피사체(50)가 가이드 라인에 정렬되는 위치에 배치되면 영상 인식을 통하여 피사체(50)의 해당 위치에서의 영상을 자동 촬영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60)는 609 단계로 분기하여 수집된 피사체(50) 영상을 렌더링함으로써 모델 데이터(153)를 생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60)는 수집된 피사체(50)의 각 영상에 포함된 거리 정보와 각 영상의 색 정보, 각 영상에서의 피사체(50)의 경계 정보 등을 추출하고, 경계 정보를 연결하여 모형을 구성하되, 거리 정보를 토대로 모형을 보강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즉 제어부(160)는 라인을 기반으로 수집된 영상들의 경계 영역을 잇는 작업과, 각 영상들의 깊이 정보를 추출하는 작업, 추출된 깊이 정보와 해당 영상의 색 정보 등을 바탕으로 얼굴 윤곽과 얼굴 색상 등 모델 데이터(153) 생성을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이렇게 생성된 모델에 색 정보를 추가하여 모델 데이터(153)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611 단계로 분기하여 모델 데이터(153)에 특정 헤어 오브젝트(155)를 적용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단말기(100)는 적어도 하나의 헤어 오브젝트(155)를 저장부(150)에 사전 저장하거나 헤어 오브젝트(155)를 제공하는 장치로부터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특정 헤어 오브젝트(155)에 대하여 모델 데이터(153)에 맞도록 변형을 가하고, 변경된 헤어 오브젝트(155)를 모델 데이터(153)에 적용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613 단계로 분기하여 본 발명의 가상 헤어 스타일링 기능을 종료하기 위한 입력 신호 발생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해당 입력 신호 발생이 없는 경우, 제어부(160)는 611 단계 이전으로 분기하여 이하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60)는 기능 종료를 위한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601 단계 이전으로 분기하여 이하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상 헤어 스타일링 서비스 운용 방법은 단말기(100)가 라인을 기반으로 다수의 피사체 영상을 획득하면 장치를 기반으로 모델 데이터를 생성함과 아울러 헤어 오브젝트를 적용하도록 지원하거나, 단말기(100) 자체적으로 모델 데이터를 생성하고 헤어 오브젝트를 적용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환경의 제한 받지 않고 자신이 원하는 시점에 실사에 가까운 모델 데이터를 기반으로 다양한 헤어 오브젝트를 적용 및 관찰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상 헤어 스타일링 서비스 방법의 경우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상 헤어 스타일링 기능 운용 시 라인이 출력되는 표시부(140)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701 화면에서와 같이 표시부(140)는 기준 라인(141)과 제1 가이드 라인(143)을 화면 일측에 출력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피사체(50)의 중심선 예를 들면 미간과 인중을 잇는 가상의 선을 기준 라인(141)에 맞추도록 피사체(50) 위치를 조정하여 정면 영상을 획득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제1 가이드 라인(143)과 피사체(50)의 경계가 정렬되도록 피사체(50)의 위치를 조정할 수 도 있다. 이러한 방식을 통하여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모델 데이터(153) 생성을 위한 일정한 크기와 배치를 가지는 피사체(50)의 정면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표시부(140)는 703 화면에서와 같이 기준 라인(141)과 제2 가이드 라인(145)을 화면 일측에 출력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피사체(50)의 측면 중심선 예를 들면 머리 중심과 귀를 잇는 가상의 선을 기준 라인(141)에 맞추도록 피사체(50) 위치를 조정하여 좌측면 및 우측면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 영상을 획득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제2 가이드 라인(145)과 피사체(50)의 경계가 정렬되도록 피사체(50)의 위치를 조정하여 모델 데이터(153) 생성에 필요한 크기의 영상이 획득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 단말기(100)는 기준 라인(141)과 가이드 라인들(143,145)에 피사체(50)가 정렬되면 해당 피사체(50) 영상을 자동으로 수집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단말기(100)는 라인 정렬에 대한 영상 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설명에서는 좌측면 또는 우측면, 정면 영상을 획득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모델 생성을 수행하는 구성의 요청에 따라 피사체(50)의 얼굴 정면을 중심으로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일정 각도 회전된 상태의 영상을 수집하기 위한 가이드 라인이 표시부(140)에 출력될 수 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적절한 피사체(50)의 위치 조정을 위하여 피사체(50)가 기준 라인 및 가이드 라인 내에 위치될 수 있도록 안내 메시지를 표시부(140)에 출력하거나 안내음을 오디오 처리부(130)를 통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상 헤어 스타일링 서비스 운용에 대하여 본 명세서 및 도면을 통해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가상 헤어 스타일링 서비스 시스템과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시간과 공간이 제약 없이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과 환경에서 실사에 가까운 피사체의 모델 데이터를 기반으로 보다 정확한 헤어 스타일을 가지는 헤어 오브젝트를 선별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이를 기반으로 헤어 관리에 보다 높은 만족도를 제공할 수 있다.
10: 가상 헤어 스타일링 서비스 시스템 100: 단말기
110: 통신부 120: 입력부 130: 오디오 처리부
140: 표시부 150: 저장부 151: 모델 생성 프로그램
153: 모델 데이터 155: 헤어 오브젝트 160: 제어부
161: 카메라 제어부 162: 영상 분석부 163: 라인 정보 출력부
164: 모델 생성부 165: 모델 재생부 166: 헤어 오브젝트 처리부
170: 카메라 200: 네트워크 300: 서비스 장치
301: 접속 장치 305: 모델 생성 장치
303: 헤어 오브젝트 지원 장치

Claims (8)

  1. 피사체 관련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화면을 출력하는 표시부; 및
    상기 표시부에 피사체의 중심을 정렬하기 위한 기준 라인 및 상기 기준 라인과 좌우 또는 상하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존재하여 상기 피사체의 경계 영역을 가이드하는 서로 다른 가이드 라인을 적어도 하나 이상 출력하고, 상기 카메라로 촬영하는 피사체에 대하여, 다수의 방향에 대한 복수의 피사체 관련 영상을 수집하되, 상기 기준 라인 및 가이드 라인에 정렬되도록 유도하여 수집하고, 라인 정렬된 다수의 방향의 복수의 피사체 관련 영상들을 기반으로 3D 모델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3D 모델 데이터에 헤어 오브젝트를 적용하여 상기 표시부에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헤어 스타일링 서비스를 지원하는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화면 중앙 영역에 배치되는 기준 라인 및 상기 기준 라인과 좌우 또는 상하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출력하는 라인 정보 출력부;
    피사체에 대하여, 상기 기준 라인 및 가이드 라인에 정렬하여 다수의 방향에 대한 복수의 피사체 관련 영상을 수집하고, 라인 정렬된 피사체 관련 영상을 기반으로 3D 모델 데이터를 생성하는 모델 생성부; 및
    상기 3D 모델 데이터를 상기 표시부에 출력하도록 지원하는 모델 재생부;
    상기 3D 모델 데이터에 상기 헤어 오브젝트를 적용하여 상기 표시부에 출력하도록 지원하는 헤어 오브젝트 처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헤어 스타일링 서비스를 지원하는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 정렬된 다수의 방향의 복수의 피사체 관련 영상, 3D 모델 데이터를 생성을 위한 모델 생성 프로그램, 이를 기반으로 생성된 3D 모델 데이터 및 상기 3D 모델 데이터에 적용할 적어도 하나의 헤어 오브젝트를 저장하는 저장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헤어 스타일링 서비스를 지원하는 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준 라인에 피사체의 중심선이 정렬되고, 상기 가이드 라인에 상기 피사체의 경계 영역이 정렬되는 경우의 피사체의 정면 영상을 수집하고,
    상기 기준 라인에 피사체의 측면 중심선이 정렬되고, 상기 가이드 라인에 상기 피사체의 경계 영역이 정렬되는 경우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피사체 측면 영상을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헤어 스타일링 서비스를 지원하는 단말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피사체 관련 영상이 상기 기준 라인 및 상기 가이드 라인에 정렬되도록 상기 피사체와 상기 라인들과의 이격 거리에 따른 안내 메시지 또는 안내음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헤어 스타일링 서비스를 지원하는 단말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에 출력되는 영상과 상기 기준 라인 및 가이드 라인을 비교 분석하여 피사체가 상기 기준 라인 및 가이드 라인에 정렬된 경우, 해당 영상을 자동으로 촬영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헤어 스타일링 서비스를 지원하는 단말기.
  7. 단말기가,
    피사체의 중심을 정렬하기 위한 기준 라인을 화면 중앙에 출력하고, 상기 기준 라인과 좌우 또는 상하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존재하여 상기 피사체의 경계 영역을 가이드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라인을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
    하나의 피사체에 대하여 다수의 방향에 대한 복수의 피사체 관련 영상을 수집하되, 상기 기준 라인 및 가이드 라인에 정렬되도록 유도하여 라인 정렬된 다수의 방향의 복수의 피사체 관련 영상들을 획득하는 수집 단계;
    상기 라인 정렬된 다수의 방향의 복수의 피사체 관련 영상들을 기반으로 3D 모델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3D 모델 데이터에 특정 헤어 오브젝트를 적용하는 단계; 및
    상기 헤어 오브젝트가 적용된 3D 모델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가상 헤어 스타일링 서비스 방법.
  8. 제7항에 기재된 가상 헤어 스타일링 서비스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70051858A 2017-04-21 2017-04-21 가상 헤어 스타일링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KR1019877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1858A KR101987749B1 (ko) 2017-04-21 2017-04-21 가상 헤어 스타일링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1858A KR101987749B1 (ko) 2017-04-21 2017-04-21 가상 헤어 스타일링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1613A Division KR20120103363A (ko) 2011-03-11 2011-03-11 가상 헤어 스타일링 서비스 시스템과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8287A true KR20170048287A (ko) 2017-05-08
KR101987749B1 KR101987749B1 (ko) 2019-06-11

Family

ID=60163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1858A KR101987749B1 (ko) 2017-04-21 2017-04-21 가상 헤어 스타일링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774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0633A (ko) * 2017-10-11 2019-04-19 네이버랩스 주식회사 개인용 디지털 영상 기기를 이용한 투사형 디스플레이의 이미지 왜곡 보정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90052832A (ko) * 2017-11-09 2019-05-17 (주)코아시아 쓰리디 시뮬레이션이 가능한 가상헤어스타일피팅미러 장치 및 시스템
KR20190052824A (ko) * 2017-11-09 2019-05-17 (주)코아시아 증강현실을 이용한 가상 의류 피팅 미러 장치 시스템
WO2020036343A1 (en) * 2018-08-17 2020-02-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70193A (ko) 2021-06-22 2022-12-29 알비에치 주식회사 가상 헤어 스타일링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52999A (ja) * 1992-01-22 2004-09-09 Konica Minolta Holdings Inc 顔画像印刷システム,顔画像印刷方法及び顔画像印刷物
KR20040083652A (ko) * 2003-03-24 2004-10-0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3차원 입체 영상의 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050093692A (ko) * 2004-03-18 2005-09-23 주식회사 뷰티비지 전자 헤어 코디네이션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60020999A (ko) * 2004-09-02 2006-03-07 (주)제니텀 엔터테인먼트 컴퓨팅 얼굴 인식기반 헤어스타일 성형 방법 및 시스템
KR20090106040A (ko) 2008-04-04 2009-10-08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다중 감각 인터페이스에 기반한 가상의 3차원 얼굴메이크업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52999A (ja) * 1992-01-22 2004-09-09 Konica Minolta Holdings Inc 顔画像印刷システム,顔画像印刷方法及び顔画像印刷物
KR20040083652A (ko) * 2003-03-24 2004-10-0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3차원 입체 영상의 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050093692A (ko) * 2004-03-18 2005-09-23 주식회사 뷰티비지 전자 헤어 코디네이션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60020999A (ko) * 2004-09-02 2006-03-07 (주)제니텀 엔터테인먼트 컴퓨팅 얼굴 인식기반 헤어스타일 성형 방법 및 시스템
KR20090106040A (ko) 2008-04-04 2009-10-08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다중 감각 인터페이스에 기반한 가상의 3차원 얼굴메이크업 시스템 및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김종찬 외 4인."적은 수의 특징점을 이용한 얼굴 사진의 3차원 모델링 시스템".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2001.04.30.,제28권 제1호(B),(제628면 내지 제630면) *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0633A (ko) * 2017-10-11 2019-04-19 네이버랩스 주식회사 개인용 디지털 영상 기기를 이용한 투사형 디스플레이의 이미지 왜곡 보정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90052832A (ko) * 2017-11-09 2019-05-17 (주)코아시아 쓰리디 시뮬레이션이 가능한 가상헤어스타일피팅미러 장치 및 시스템
KR20190052824A (ko) * 2017-11-09 2019-05-17 (주)코아시아 증강현실을 이용한 가상 의류 피팅 미러 장치 시스템
WO2020036343A1 (en) * 2018-08-17 2020-02-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986265B2 (en) 2018-08-17 2021-04-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7749B1 (ko) 2019-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7749B1 (ko) 가상 헤어 스타일링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US11503377B2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processing data
KR101874895B1 (ko) 증강 현실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CN109874021B (zh) 直播互动方法、装置及系统
KR101768980B1 (ko) 가상 동영상 통화 방법 및 단말
CN110213616B (zh) 视频提供方法、获取方法、装置及设备
KR20200032055A (ko) 반응형 영상 생성방법 및 생성프로그램
CN111010610B (zh) 一种视频截图方法及电子设备
CN105190511A (zh) 图像处理方法、图像处理装置和图像处理程序
RU2745737C1 (ru) Способ видеозаписи и видеозаписывающий терминал
CN110533585B (zh) 一种图像换脸的方法、装置、系统、设备和存储介质
KR20130056529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WO2017157135A1 (zh) 媒体信息处理方法及媒体信息处理装置、存储介质
CN114390193B (zh) 图像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1539882A (zh) 辅助化妆的交互方法、终端、计算机存储介质
WO2023040844A9 (zh) 视频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CN113938620B (zh) 图像处理方法、移动终端及存储介质
CN110086998B (zh) 一种拍摄方法及终端
KR102058190B1 (ko) 캐릭터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캐릭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KR20120103363A (ko) 가상 헤어 스타일링 서비스 시스템과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KR20160128272A (ko) 가상 헤어 적용 서비스 시스템과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WO2023182937A2 (zh) 特效视频确定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20120102275A (ko) 가상 헤어 적용 서비스 시스템과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CN112449098A (zh) 一种拍摄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KR20120119244A (ko) 컨텐츠 제작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0360;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0125

Effective date: 20190520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