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8275A - 외부의 충전이 없이 24시간 자체에서 전력을 생산하면서 주행하는 전기자동차의 구성방법 - Google Patents

외부의 충전이 없이 24시간 자체에서 전력을 생산하면서 주행하는 전기자동차의 구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8275A
KR20170048275A KR1020170048786A KR20170048786A KR20170048275A KR 20170048275 A KR20170048275 A KR 20170048275A KR 1020170048786 A KR1020170048786 A KR 1020170048786A KR 20170048786 A KR20170048786 A KR 20170048786A KR 20170048275 A KR20170048275 A KR 201700482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generator
electric motor
output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8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제영
Original Assignee
원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제영 filed Critical 원제영
Priority to KR10201700487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48275A/ko
Publication of KR201700482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82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51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characterised by AC-motors
    • B60L11/1803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2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comprising more than one electric motor
    • B60L11/180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52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characterised by DC-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20/00Electrical machine types; Structures or applications thereof
    • B60L2220/10Electrical machine types
    • B60L2220/12Induction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20/00Electrical machine types; Structures or applications thereof
    • B60L2220/50Structural details of electrical machines
    • B60L2220/58Structural details of electrical machines with more than three ph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2Electric energy management in electromo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전기자동차(100)에 있어서 제1전동기(10)와, 다상 발전기(20)와, 정류기(30)와, 다단자 2차 전지(40)와, 인버터(50)와, 컨트롤러(60)와, 전기자동차(100)를 구동하는 제2전동기(70)와, 전기자동차(100)의 차체에 부착되는 방전부(90)로 구성하는데, 다상 발전기(20)의 출력구성은, 다상 발전기(20)의 개별권에서 생산되는 전기에너지의 순시값과 순시누적값은 전동기(10)에서 소모하는 순시값과 순시누적값보다 적지만, 다상 발전기(20)에서 개별권에서 생산되는 전기에너지의 순시누적값을 합산한 전체누적값은 전동기(10)에서 소모하는 순시누적값을 합산한 전체누적값보다 많게 구성하면, 외부의 충전이 없이 24시간 자체에서 전력을 생산하면서 주행을 한다.

Description

외부의 충전이 없이 24시간 자체에서 전력을 생산하면서 주행하는 전기자동차의 구성방법{HOW TO CONFIGURE AN ELECTRIC VEHICLE PRODUCE ELECTRICITY INTERNALLY 24 HOURS A DAY WITHOUT EXTERNAL CHARGE}
석유 사용을 줄이거나, 신에너지를 사용하여 배기가스를 저감하는 차량을 친환경 자동차라 하며, 친환경 자동차는 발전기의 회생제동을 이용하는 하이브리드 (HIV),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Plug in HIV)와 수소를 이용하는 수소연료차 (FCEV), 그리고 순수 전기만을 이용하여 구동하는 전기자동차 (EV)로 구분하는데,
본 발명은 순수 전기만을 이용하여 구동하는 전기자동차(EV)에 관한 것으로 외부의 충전이 없이 24시간 자체에서 전력을 생산하면서 주행하는 전기자동차의 구성 및 방법에 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다단자 2차 전지에서 제1전동기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면 제1전동기가 회전하며,
동시에 제1전동기와 기계적으로 연결한 다상 발전기(등록특허 10-1384596호, 공개특허 10-2016-0108263호)가 회전을 진행하면서 출력을 발생하는데,
다상 발전기의 출력구성을
제1전동기의 소비전력보다 다상 발전기의 출력을 많게 구성하여,
출력의 일부는 2차 전지와 제1전동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동시에,
잉여출력을 제2전동기에 전력을 공급함으로 전기자동차는 제2전동기의 회전력으로 주행하는 것으로, 그에 대한 구성과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을 서술하기 이전에, 도 1을 설명한 다음에 배경의 되는 기술을 서술하기로 하며, 도 1을 설명한다.
도 1은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전기자동차의 충전방법을 도시한 것으로,
도 1-1은 3상 교류발전기에서 생산하는 전기에너지를 3상 선로를 이용하여 공급하고 있는 형상을 도시한 것이며,
도 1-2는 충전기는 3상 전원을 직류로 변환하여 전기자동차에 충전을 하는 형상을 도시한 것이며,
도 1-3은 전기자동차가 충전을 진행하고 있는 형상을 도시한 것으로, 전기자동차는 방전부(80)에 의하여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면, 다량의 2차 전지(40)에 충전이 되며, 2차 전지(40)에 충전된 전기에너지는 인버터(50)를 통하여 전동기(70)가 회전하며, 그 회전력으로 자동차가 구동하는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부터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을 서술한다.
도 1-2에서, 등록특허 10-0963530호에 의하면, 저탄소 녹색성장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기본 내연기관 자동차에 대비하여 효율이 높고 배출가스가 적은 친환경 신기술 자동차를 일컫는 그린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그린카에는 하이브리드차를 비롯해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차, 클린 디젤차, 연료전지자, 전기자동차 등이 포함되고, 최근 정부가 전기자동차를 2011년 양산하는 계획을 발표하는 등 전기자동차의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이 되는 상황이며, 이러한 전기자동차 등 전기충전이 필요한 그린카의 경우 전문적인 충전소 이외에도 직장 및 가정의 주차장 등에 서 충전이 가능한데 1회 충전 시 일반적으로 4 ~ 6시간 이상 소요되고 급속 충전시에도 30분시간 이상 충전이 필요하고, 일반적인 주행자가 그린카를 운행하지 않는 출근 전이나 퇴근 후 시간대에 대부분 충전이 집중적으로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그런데 현재 일반 가정에서 전력의 피크부하는 약 3㎾수준으로 설계가 되어 있으며 1일 100㎞를 운행하는 전기차에는 약 20㎾h급 용량의 배터리가 장착된다.
만일 이 전기차 1대를 1시간 동안 급속충전할 경우 일반 가정용으로 설계된 피크 부하의 약 7배에 달하는 20㎾ 이상의 전력이 1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공급되어야 원만한 충전이 이루어질 것이고 이는 차량 100대가 동시에 출전하는 경우 약 2 ㎿급 발전시설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현재상태에서 이와 같이 단시간에 많은 차량이 한꺼번에 충전함으로써 각 발전소에서 공급되는 전원이 불충분하여 계통전원에 무리가 발생하는 등 안정성에 심각한 문제를 야기할 염려가 있다. 그렇다고 전기자동차 충전에 소요되는 일시적인 피크 전력을 감당하기 위해 새로운 발전소를 건설하는 일 및 새로운 송배전 시스템을 건설하는 것은 온실가스를 유발하는 현재의 발전시스템을 증가시키는 것이자 엄청난 비용의 투자가 필요한 일로 현실적으로 쉽지 않은 일이며,
등록특허 10-1261165호에 의하면, 자동차는 가솔린이나 디젤을 연료로 사용하는 데, 가솔린이나 디젤은 연소시 유해한 가스를 발생하여 대기오염을 일으킬 뿐만 아니라 가솔린이나 디젤을 만드는 원유가 지구상에 얼마 남아있지 않기 때문에 각 산업분야에서 대체에너지 개발을 서두르고 있으며, 그 해결책의 일환으로 개발되는 것이 전기자동차이다.
현재 개발된 전기자동차는 한 번의 축전지 충전으로 기존의 자동차보다 먼 거리를 달릴 수 없으므로 자주 축전지를 충전시켜야 하고 그 때문에 운행이 자주 중단되며, 축전지 충전에 소요되는 시간도 기존의 가솔린 또는 디젤의 주유 시간보다 많이 소요되므로 운행에 큰 지장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고 서술하였으며,
도 1-3에서 등록특허 10-0890779호에 의하면, 외부전원을 공급받도록 되어 있는 종래의 배터리 충전방식은 충전 플러그 등 물리적인 수단에 의해 외부전원과 배터리를 연결하여야 하므로, 운행 중에는 충전이 불가능하고, 따라서 원할 때마다 수시로 배터리를 충전할 수 없는 운용 상의 불편이 따르며, 특히 주행거리를 충분히 길게 확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수시로 배터리를 충전할 수 없기 때문에, 배터리의 최대방전량이 커지고, 따라서 1회 충전량이 커지므로, 배터리 수명이 그만큼 단축되는 문제점도 있었다고 서술하였다.
즉, 상기의 문제점을 종합하여 간략하게 서술하면
전기자동차는 배출가스가 없는 친환경인 운송수단이지만,
공급이 확대될수록 계통전원이 불안정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충전소를 확충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주행시간에 비례하여 이차전지를 설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설치한 이차 전지의 충전량에 비례하여 주행하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수시로 배터리(2차 전지)를 충전할 수 없기 때문에, 배터리의 최대방전량이 커지고, 따라서 1회 충전량이 커지므로, 배터리 수명이 그만큼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 10-1155124호 등록특허 10-1218474호 등록특허 10-1342481호 등록특허 10-1384596호 공개특허 10-2016-0108263호 특허출원 10-2017-004697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외부의 계통전원과 충전소를 이용하지 않고, 자체에서 생산하는 전력으로 전기자동차를 구동하게 하는 구성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제1 목적이 있고,
운휴중에는 자체에서 생산하는 전력으로 충전소를 이용하지 않는 기존의 전기자동차에 전력을 공급하는 구성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제2 목적이 있다.
도 2-2에서 등록특허 10-0963530호에 의하면, 계통전력을 보조하기 위한 보조전력을 제시하되 발전소 및 거대 발전소 및 송배전 시스템의 건설이 필요 없이 충전소마다 간단히 설치 가능한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 발전기를 보조 전력원으로 제안하고자 한 것으로,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는 높은 발전효율을 가지고 있으며, 빠르게 부하를 충당할 수 있으며, 발전된 전력의 송배전 비용도 상대적으로 낮은 우수한 보조전력원이 될 수 있고, 나아가 상기 보조전력원을 충전소 외부와도 전력을 송배전 할 수 있는 분산발전원으로서도 활용할 수 있어 국지적인 계통전력의 부하 집중을 해결하는 방안이 될 수 있다고 서술하였으며,
등록특허 10-1261165호에 의하면 전기자동차 자가충전기를 이용하거나 대형 충전스테이션이 설치되기 어려운 곳에서 자연에너지를 이용하여 전기자동차를 항상 편리하게 충전할 수 있도록 한 자연에너지를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장치를 제공하고, 다른 목적은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해 별도의 충전 전원선 가설 및 추가 발전소의 설치 없이 간단하게 설치하여,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편리하게 충전할 수 있도록 한 자연에너지를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장치를 제공하고 또 다른 목적은 하루 종일 에너지를 저장하였다가 차량이 주차되는 상태(특히, 밤)에서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한 자연에너지를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장치를 제공하였으며,
도 2-3에서 등록특허 10-0890779호에 의하면 전기자동차를 운행하는 동안에도 수시로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배터리 충전에 따른 전기자동차 사용상의 불편을 줄이고, 전기자동차의 주행거리를 보다 연장하며, 배터리의 최대방전량을 최소화하여 배터리의 장수명화를 도모하고, 전기자동차에 태양전지판을 적용함에 있어 태양전지판의 태양광 집광효율을 높임으로써, 동일한 일조 조건 하에서 태양전지판에 의해 단위시간당 획득할 수 있는 전기에너지의 양을 늘려 태양전지판의 전기에너지 수득율을 높이고자 하며, 배터리를 하나 이상으로 분할하고, 이 배터리에 대응하도록 분할된 하나 이상의 얼터네이터에의해 배터리를 수시로 충전함에 있어서, 배터리와 얼터네이터를 모듈화함으로써 얼터네이터와 배터리, 더 나아가 동력계의 유지관리를 저렴한 비용으로 보다 편리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고 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전기자동차(100)에 있어서, 전기에너지를 회전에너지로 변환하는 제1전동기 (10)와, 제1전동기의 회전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다상 발전기(20)와, 다상 발전기(20)가 생산하는 교류전기를 직류로 변환하는 정류기(30)와, 변환된 직류의 전기에너지를 축적하며, 동시에 직류로 출력하는 다단자 2차전지(40)와, 다단자 2차 전지(40)에서 출력하는 직류전기를 교류로 변환하는 인버터(50)와, 인버터 (50)에 의하여 변환된 교류전기를 제어하는 컨트롤러(60)와, 전기자동차를 구동하는 제2전동기(70)와, 전기자동차의 차체에 부착되는 방전부(90)로 구성을 하는데,
제1전동기(10)와 다상 발전기(20)는 연결대(15)로 하여 기계적으로 연결을 하고, 다상 발전기(20)와 정류기(30), 정류기(30)와 다단자 2차 전지(40), 다단자 2차 전지(40)와 인버터(50), 인버터(50)와 컨트롤러(60), 컨트롤러(60)와 제2전동기(70)와 방전부 (90)는 전기적으로 연결을 하며,
다상 발전기(20)의 구성은
비자성체이며 비금속 재질로서, 회전축에 부착되며,
가로(W), 세로(H1), 높이(L)를 갖는 복수개의 자석으로 구성하는 회전자와,
비자성체이며 비금속 재질로서, 가로(W), 세로(H2), 높이(L)의 슬롯과,
각 슬롯 내부에 실장하는 개별권으로 권선한 발전코일뭉치로 이루어지는 고정자와,
그 고정자를 감싸는 고정자 커버로 구성하되,
발전기의 수직선상을 2등분 하여 형성되는 좌측의 자력과 우측의 자력이 서로를 상쇄하도록, 몸체 내부에 상기 자석의 수보다 적어도 하나 많은 갯수로 슬롯을 포함하여, 개별권으로 권선한 발전코일뭉치를 구성하며,
다상 발전기(20)의 출력구성은
다상 발전기(20)의 개별권에서 생산되는 전기에너지의 순시값과 순시누적값은 제1전동기(10)에서 소모하는 순시값과 순시누적값보다 적지만,
다상 발전기(20)에서 개별권에서 생산되는 전기에너지의 순시누적값을 합산한 전체누적값은 제1전동기(10)에서 소모하는 순시누적값을 합산한 전체누적값보다 많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전기자동차(100)가 주행중에는
컨트롤러(60)는 다상 발전기(20)와 정류기(20)와 다단자 2차 전지(40)와 인버터(50)에 의하여 발생하는 전기에너지를 다단자 2차 전지(40)에 공급하고, 잔여분의 전기에너지는 제2전동기(70)에 공급하고,
전기자동차(100)가 정지 중에는
컨트롤러(60)는 다상 발전기(20)와 정류기(20)와 다단자 2차 전지(40)와 인버터(50)에 의하여 발생하는 전기에너지를 다단자 2차 전지(40)와 제1전동기(10)에 공급하고 잔여분의 전기에너지는 방전부(90)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정류기(30)는 다상 발전기(20)의 개별권으로 권선한 발전코일뭉치와 동일한 수량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전기자동차는 외부의 충전이 없이 자체에서 생산하는 전기에너지로 구동을 할 수 있다.
도 1 : 화력발전소의 간략한 구성도와 본 발명의 과제를 설명하는 도면
도 2 : 본 발명에서 용어에 관한 도면,
도 3 : 본 발명의 구성도
도 5, 6, 7, 8 : 3상 발전기의 입력과 출력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
도 9, 10, 11, 12 : 3상 전동기의 입력과 출력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
도 13, 14, 15, 16, 17, 18 : 다상 발전기에서 입력과 출력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
도 19, 20, 21 : 전동기의 소비전력보다 다상 발전기의 출력을 적게 하는 구성과 방법(제 1 실시예)
도 22, 23, 24, 25 : 전동기의 소비전력보다 다상 발전기의 출력을 적게 하는 구성과 방법(제 2 실시예)
도 26, 27, 28, 29 : 전동기의 소비전력보다 다상 발전기의 출력을 많게 하는 구성과 방법(제 3 실시예)
도 30 : 본 발명의 제1과제로 외부의 계통전원과 충전소를 이용하지 않고, 자체에서 생산하는 전력으로 전기자동차를 구동하게 하는 방법(제 4 실시예)
도 31, 32 : 본 발명의 제2과제로 운휴중에 자체에서 생산하는 전력으로 충전소를 이용하지 않는 기존의 전기자동차에 전력을 공급하는 방법(제 5 실시예)
도 3a는 본 발명의 개념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a에서 제1전동기(10)와 다상 발전기(20)는 연결대(15)에 의하여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형상으로 2차 전지(40)는 제1전동기(10)에 전원을 공급하면 제1전동기(10)와 다상 발전기(20)가 구동을 한다.
이때에 다상 발전기(20)의 출력인 ①의 전기에너지는, 2차 전지와 제1전동기(10)에 ②의 전기에너지 공급하고, 잔여분인 ③의 전기에너지를 제2전동기에 공급하는 것으로, 간략하게 서술하면,
다상 발전기(20) 출력①=제1전동기 소모전력②+제2전동기 소모전력③이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 다상 발전기(20)의 출력①은 제1전동기 소모전력②보다 많아야, 본 발명의 과제를 이룰 수 있다.
따라서,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서술하기 이전에
1. 본 발명에 한정하여 사용하는 용어를 서술하고,
2. 본 발명의 구성도에 대하여 설명을 하고,
3. 다상 발전기(20)의 출력을 제1전동기(10)의 소모전력보다 많게 하는, 다상 발전기(2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 다음에,
4.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서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서술한다.
본 발명에 한정하여 사용하는 용어를 서술한다.
먼저, 순시누적값과 전체누적값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다상 발전기(20)의 출력은 1회전을 기준으로 산출하는데, 1회전 동안, 1개의 상(출력) 중에서, 각각의 지점에 대한 순시값을 연결하여 파형으로 도시하는 것을 순시누적값이라 하고, 각각의 순시누적값을 합산하는 것을 전체누적값(예를 들어 각각의 상에서 출력하는 크기가 다르면 합산을 하여야하나, 설명을 간단하게 하기 위하여 그의 크기가 동일한 것으로 하여, 3상일 경우에는 3개의 순시누적값이 발생하므로 순시누적값*3이 전체누적값이고, 13상일 경우에는 13개의 순시누적값이 발생하므로 순시누적값*13이 전체누적값임)이라고 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누적값을 순시누적값과 전체누적값으로 구분한다.
참고로, 다상 발전기(20)는 순시적으로 입력 회전에너지를 출력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손실(동손 등)에 의하여 감소하기 때문에 출력 전기에너지의 순시값과 순시누적값은 손실되는 크기만큼 감소한다.
이와 같이 순시적으로 입력보다 출력이 손실에 의하여 감소하는 것을, 통상적으로 "자연의 법칙" 또는 "물리의 법칙" 또는 "에너지 보존의 법칙" 또는 "열역학 제1, 2 법칙" 등 다양하게 표현하기도 하며,
참고로, 에너지 보존의 법칙은 발전기가 개발되기 이전인 1842년에 독일의 로버트 마이어(Robert Meyer)가 에너지 보존의 법칙을 발표하였고. 발전기는 40년 후인 1882년에 웨스팅하우스(Westinghouse)사에 의하여 출력이 3개인 교류발전기(3상 발전기)가 상업화되었으며, 출력이 3개인 발전기(3상 발전기)가 국내에 도입된 시기는 1898년으로, 현재까지도 전 세계적으로 공급방식을 3상으로 한정하였기에 출력이 3개인 발전기를 주로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도 상기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다상 발전기(20)도 입력 회전에너지보다 출력 전기에너지가 손실 등에 의하여 순시값과 순시누적값이 적어지는 것은 문제점으로 제기하지 않지만,
각각의 순시누적값을 합산한 전체누적값이 입력 회전에너지보다 적어지면, 외부의 충전이 없이 24시간 자체에서 전력을 생산하면서 주행하는 전기자동차의 구성하는 방법인 본 발명의 과제를 이룰 수 없으므로,
전체누적값인 출력 전기에너지가 입력 회전에너지보다 적어지는 것을,
본 발명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추가의 문제점"으로 제기를 하고,
이 추가의 문제점을 해결한 다음에, 본 발명의 문제점을 해결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무부하 전기에너지와 부하 전기에너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중, 도 3b에서 전동기(4000)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면 전동기는 전기에너지를 회전에너지로 변환하여 회전축을 회전시키고 발전기(5000)는 회전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것으로 현상태를 본 발명에서는 무부하 전기에너지라고 하며,
도 3c는 발전기(5000)가 부하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형상으로 이때에 전동기(4000)는 추가의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이를 회전에너지로 변환하여 발전기에 공급하고 발전기는 추가의 회전에너지를 공급받은 만큼 부하에 추가의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며, 본 발명에서는 이를 부하전기에너지라 하고, 이후에서부터는 특별히 서술하지 않는 한 무부하 전기에너지는 제외하고 부하 전기에너지(이하에서부터는 "전기에너지라"함)를 기준으로 설명하며, 도 19 이후부터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한정하여 사용하는 용어를 서술하였다.
다음으로 2. 본 발명의 구성도에 대하여 설명을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구성도로, 4a는 기존의 전기자동차에서 사용하는 2차 전지이며, 4b는 본 발명의 전기자동차에서 사용하는 다단자 2차 전지이며, 도 4c는 구성에 대한 단선도면이며, 도 4d는 전기자동차(100)에서 기기의 배치도이다.
4a에서, 2차 전지는 통상적으로 양극단자와 음극단자를 이용하여 충전과 방전을 반복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충전과 방전을 동시에 사용하는 것으로, 1개의 양극단자(41)와 1개의 음극단자(42)로 구성되어 있으나,
4b에서 2차 전지는,
충전단자로 양극단자(41)와 음극단자(42)로 구성하고
방전단자로 양극단지(45)와 음극단자(46)로 구성한 것으로, 충전단자와 방전단자를 분리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이를 다단자 2차 전지(40)라 하며, 이는 다상 발전기에서 출력하는 전압은 부하에 의하여 전압강하가 발생하는데 본 발명의 실험에 의하면 무부하대비 정격부하에서 약 30%~40%의 전압강하가 발생하므로, 정전압을 유지하기 위하여 충전단자와 방전단자를 분리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도 4c, d에서, 전기에너지를 회전에너지로 변환하는 제1전동기(10)와, 전동기의 회전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다상 발전기(20)와, 다상 발전기(20)가 생산하는 교류전기를 직류로 변환하는 정류기(30)와, 변환된 직류의 전기에너지를 축적하며, 동시에 직류로 출력하는 다단자 2차 전지(40)와, 다단자 2차 전지(40)에서 출력하는 직류전기를 교류로 변환하는 인버터(50)와, 인버터(50)에 의하여 변환된 교류전기를 제어하는 컨트롤러(60)와, 전기자동차를 구동하는 제2전동기(70)와, 전기자동차의 차체에 부착되는 방전부(90)로 구성을 하는데,
제1전동기(10)는 전류가 흐르는 도체가 자기장에서 받는 힘을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역학적 에너지로 바꾸는 장치로, 전원의 종류에 따라 직류 전동기와 교류 전동기로 분류되며, 교류 전동기는 다시 3상 교류용과 단상 교류용으로 구분하는 것으로 설명은 3상 유도전동기로 하며, 본 발명에서는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으나 효율이 증가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며,
연결대(15)는 제1전동기(10)와 다상 발전기(20)을 기계적으로 회전축을 연결하여 일체화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으나 비중이 낮은 비금속으로 하는 것이며,
다상 발전기(20)는 등록특허 10-1384596호, 공개특허 10-2016-0108263호로,
등록특허 10-1384596호는,
비금속 재질로서 회전축에 부착되며, 동일한 높이를 갖는 복수개의 영구자석을 외측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하여 부착하는 회전자와, 상기 회전자의 회전반경 외측과 일정 간격의 공극을 유지하는 비금속 재질로서, 몸체 내부에 상기 영구자석의 수보다 적어도 하나 많은 개수의 슬롯을 포함하고 각 슬롯 내부에 개별적으로 권선한 발전코일뭉치를 실장하여, 발전기의 수직선 상을 2등분하여 형성되는 좌측의 자력과 우측의 자력이 서로를 상쇄하도록 하는 고정자와, 상기 고정자 외측에 발전코일뭉치의 수량과 동일한 갯수로 부착되며, 상기 발전코일뭉치와 입력단자를 연결하고, 고정자 커버에 부착된 부스바와 출력단자를 연결하는 정류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특징이 있고,
상기 고정자는 개별적으로 권선한 복수개의 발전코일뭉치의 코일 단면적 직경을 소정 배수로 축소하고, 그 대신 코일의 권선수를 소정 배수로 증가시켜 부착하는 특징이 있고,
동일한 회전축에 일정한 위상각을 유지하며 다상 직류 발전기를 복수개 설치하는 특징이 있고,
발전코일뭉치끼리의 결선을 직렬, 병렬 또는 직,병렬로 하여 부스바에 연결하는 특징이 있고,
부스바끼리 결선을 직렬, 병렬 또는 직,병렬로 하는 특징이 있으며,
공개특허 10-2016-0108263호는
비자성체이며 비금속 재질로서, 회전축에 부착되며, 가로(W), 세로(H1), 높이(L)를 갖는 복수개의 자석에서, 세로(H1)는 동일하게 유지하고, 가로(W)를 일정배수로 감소하고, 높이(L)를 일정배수로 증가하여, 외측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하여 부착하는 회전자와, 상기 회전자의 회전반경 외측에 일정 간격의 공극을 유지하고, 비자성체이며 비금속 재질로서, 가로(W), 세로(H2), 높이(L)의 슬롯과, 각 슬롯 내부에 실장하는 개별권으로 권선한 발전코일뭉치에서, 세로(H2)는 동일하게 유지하고, 가로(W)를 일정배수로 감소하고, 높이(L)를 일정배수로 증가하고, 슬롯의 단면적 축소로 인하여 확보되는 고정자의 빈공간에 일정한 갯수의 슬롯을 포함하고, 그 슬롯 내부에 개별권으로 권선한 발전코일뭉치를 실장하는 고정자에, 개별권으로 권선한 발전코일뭉치에 대응하는 정류기를 구성하며, 그 고정자를 감싸는 고정자 커버로 구성하는 특징이 있고,
발전기의 수직선상을 2등분 하여 형성되는 좌측의 자력과 우측의 자력이 서로를 상쇄하도록, 몸체 내부에 상기 자석의 수보다 적어도 하나 많은 갯수로 슬롯을 포함하여, 개별권으로 권선한 발전코일뭉치를 구성하는 특징이 있고,
상기 고정자 커버에 부착되며, 개별권으로 권선한 발전코일뭉치에 대응하는 정류기와 부스바를 실장하는 정류기박스로 구성하는 특징이 있고,
개별권 홀더를 사용하는 특징이 있고,
동일한 회전축에 일정한 위상각을 유지하며 다상 직류 발전기를 복수개 설치하는 특징이 있고,
정류기박스 내에서 발전코일뭉치들의 결선을 직렬, 병렬 또는 직,병렬로 하여 부스바에 연결한 후, 부스바들의 결선을 직렬, 병렬 또는 직,병렬로 하는 특징이 있는 것으로,
청구항을 포함하여, 이하에서부터 "다상 발전기(20)"라고 서술하면 전술한 특징을 포함하는 것으로 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등록특허 10-1384596호와 공개특허 10-2016-0108263호의 명세서로 대신하기로 하되,
다상 발전기(20)의 출력은 제1전동기(10)의 소비전력보다 많게 구성하며,
정류기(30)는 브릿지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교류를 직류(맥류)로 변환하는 것으로 다상 발전기(20) 출력의 개소와 동일하게 하여야 하며,
다단자 2차 전지(40)는 충전단자와 방전단자를 분리한 것으로 화학적 에너지를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기기로 연 축전지, 리튬이온전지등 다양하며, 본 발명에서는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으나 효율이 증가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며,
인버터(50)는 반도체로 구성하여 직류를 교류로 변화하면서 동시에 주파수를 설정하는 기기로, 본 발명에서는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으나 효율이 증가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며,
컨트롤러(60)는 반도체와 반도체 스위치들로 구성한 것으로 제1전동기(10)의 소비전력과 다상 발전기(20)의 출력을 비교함과 동시에, 제1전동기(10)의 소비전력보다 다상 발전기(20)의 출력이 적으면 제1전동기(10)에 전력을 차단하여 다단자 2차 전지(40)의 방전을 보호하고, 제1전동기(10)의 소비전력보다 다상 발전기(20)의 출력이 많으면 다상 발전기(20)에서 생산하는 전기에너지를 다단자 2차 전지(40)와 제1전동기(10)에 공급하면서 동시에 잉여의 전기에너지를 전기자동차를 구동하는 제2전동기(70) 또는 전기자동차의 차체에 부착되는 방전부(90)에 공급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며,
제1전동기(10)와 다상 발전기(20)는 연결대(15)로 하여 기계적으로 연결하고, 다상 발전기(20)와 정류기(30), 정류기(30)와 다단자 2차 전지(40), 다단자 2차 전지(40)와 인버터(50), 인버터(50)와 컨트롤러(60), 컨트롤러(60)와 제1전동기(10), 제2전동기(70), 방전부(90)는 전기적으로 연결한 구성도이다.
이상으로 2. 본 발명의 구성도에 대하여 설명을 하였다.
다음으로 3. 다상 발전기(20)의 출력을 제1전동기(10)의 소모전력보다 많게 하는, 다상 발전기(20)의 구성과 방법에 대하여 설명을 한다.
상기의 설명을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도 5, 6, 7, 8에서 3상 발전기의 입력과 출력에 대하여 설명을 하고,
도 9, 10, 11, 12에서 3상 유도전동기의 입력과 출력에 대하여 설명을 하고,
도 13, 14, 15, 16, 17, 18에서 다상 발전기의 입력과 출력에 대하여 설명을 한 다음에,
다상 발전기(20)의 출력을 전동기(10)의 소모전력보다 많게 하는, 다상 발전기(20)의 구성과 방법에 대하여 설명을 하는데, 설명하는 방법으로,
도 19, 20, 21에서 제 1실시예를 실시하여 다상 발전기(20)의 출력과 전동기(10)의 소모전력을 산출하여 다상 발전기(20)의 출력이 전동기(10)의 소모전력보다 적으면 본 발명의 과제를 이룰 수 없으므로,
도 22, 23, 24, 25에서 제 2실시예를 실시하여 다상 발전기(20)의 출력과 전동기(10)의 소모전력을 산출하고, 또다시 다상 발전기(20)의 출력이 전동기(10)의 소모전력보다 적으면 본 발명의 과제를 이룰 수 없으므로,
도 26, 27, 28, 29에서 제 3실시예를 실시하여 다상 발전기(20)의 출력이 전동기(10)의 소모전력보다 많아지게 하는 방법, 즉 다상 발전기(2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5, 6, 7, 8에서 3상 발전기의 입력과 출력에 대하여 설명을 한다.
도 5~8은 3상 발전기에 관한 것으로, 상기에 대한 설명은 광범위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3상 발전기는 입력값인 회전에너지(합성토크)와 출력값인 전기에너지(생산전력)에 대하여만 설명하기로 하며, 참고로 회전에너지는 토크이며, 단위는 N.m으로, 전기에너지는 입력 또는 출력으로, 단위는 W로 표기하며 이를 혼용하여 사용하기로 하며, 이하에서부터 설명한다.
발전기란, 전기에너지(W)가 생산되는 파형에 따라서 변화하는 동일한 크기인 자장의 세기(A/m)로 회전자를 억제하기 때문에, 이에 대응하는 회전에너지(N.m)를 공급하여야, 전기에너지(W)를 생산하는 기기로, 이를 더욱 간략하게 설명하면,
출력의 교류 전기에너지(W)와 동일한 입력의 회전에너지(N.m)와 동일한 자력(A/m)을 소모하는 기기이며, 이를 다시 서술하면, 후술하지만 출력의 교류 파형을 순시적으로 합산한 출력값(순시값) 만큼 회전에너지(N.m)와 자력(A/m)을 소모하는 기기로,
이를 3상 발전기를 예로 들어, 서술하면, 발전기의 출력은 120도 위상의 차이로 N극과 S극에 의하여 3개의 교류 파형을 생산하는데, 입력인 회전에너지(N.m)와 자력(A/m)은 3개의 교류 파형을 순시적으로 합산한 출력값(순시값)이며, 회전에너지(N.m)와 자력(A/m)는 단위는 다르지만 동일한 크기이므로 회전에너지(N.m)만 사용하기로 하며, 참고로, 입력 값인 회전에너지 (N.m)와 출력값인 전기에너지(W)를 산출하는데 효율은 100%로 가정하여 설명하며, 효율에 대한 적용은 이하 실시예에서부터 적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최신자동차공학시리즈 중 첨단자동차 전기전자 5장 3절 3항(156쪽)의 3상 전파정류에서 인용한 것으로,
3상 발전기에서 3상 전파정류 브릿지회로에 관한 도면으로, 그에 내용은 직류(맥류)로 변환된 후의 3상이 합성된 직류(맥류)의 크기를 설명하는 도면이나,
본 발명에 한정하여 도면은 인용하되 일부분을 수정 변경하여 도시하였으며,본 도면을 설명하는 목적은 3상 발전기에서 입력과 출력을 산출하는 것을 쉽게 이해기 위하여 설명하는 것으로, 이하에서부터 설명한다.
도 5는 3상 발전기를 Y결선과 △결선으로 구분하여 Up=1V, R=1Ω, I=1A일 때에 Y결선에서는 3개의 120도의 위상차가 있는 U, V, W의 교류를 3상 브릿지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1개의 직류 전압으로, △결선에서는 3개의 120도의 위상차가 있는 U, V, W의 교류를 3상 브릿지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1개의 직류 전류로 표기하는 것으로, 각각의 등가회로를 참고하면 Y결선에서는 전압과 전류는 90도 지점에서는 순시값이 1.5V와 1A 그리고 300도 지점에서는 순시값이 1.72V와 0,86A로 산출되며, △결선에서는 전압과 전류는 90도 지점에서는 1V와 1.5A 그리고 300도 지점에서는 0.86V와 1.72A로 산출된다.
이는 30도 마다 반복되므로 이를 반복하여 연결하여 교류는 3개의 파형을 중첩하고, 직류는 1개의 파형으로 하여 1회전 동안의 누적값을 파형으로 도시하되,Y결선에서는 전압의 파형으로 △결선에서는 전류의 파형으로 도시하였다.
본 도면을 설명하는 목적은, 본 발명에서 필요한 입력 회전에너지와 출력 전기에너지의 순시값, 순시누적값과 전체누적값을 산출하기 위함이다.
3개의 출력이 120도의 위상의 차가 있는 3상 발전기는,
Y결선에서 전압과 전류는
90도 지점에서는 순시값이 1.5V와 1A로 순시 출력값은 1,5W
300도 지점에서는 순시값이 1.72V와 0,86A로 순시 출력값은 1,4792W이고,
△결선에서 전압과 전류는
90도 지점에서는 순시값이 1V와 1.5A로 순시 출력값은 1.5W
300도 지점에서는 순시값이 0.86V와 1.72A로 순시 출력값은 1.4792W
로 산출된다. 상기 설명을 표 1로 정리하며,
구 분 Y결선 △결선
지 점 90도 300도 90도 300도
전압(V) 1.5 1.72 1 0.86
전류(A) 1 0.86 1.5 1.72
전력(W)= 전압 * 전류 1.5 1.4792 1.5 1.4792
등가회로를 참조하여 각상별의 전력과 합성 전력을 표 2에 산출하여 정리한다.
구 분 Y결선 △결선
지 점 90도 300도 90도 300도
U상 전력(W) 1V*1A=1W 0.86V*0,86A=0.7396W 1V*1A=1W 0.86V*0,86A=0.7396W
V상 전력(W) 0.5V*0.5A=0.25W 0V*0V=0W 0.5V*0.5A=0.25W 0V*0V=0W
W상 전력(W) 0,5V*0.5A=0.25W 0.86V*0,86A=0.7396W 0,5V*0.5A=0.25W 0.86V*0,86A=0.7396W
소계(W) 1.5W 1.4792W 1.5W 1.4792W
표 1과 표 2를 비교하여 설명하면, Y결선과 △결선은 전압과 전류의 크기는 각각 다르지만, 순시출력인 전기에너지(W)는 동일하다는 설명이다.
도 6은 도 5를 인용하여 변경한 도면으로, 개별권으로 권선을 한 3개의 출력을 120도의 위상의 차가 있도록 구성한 3상 발전기로,
각개의 개별권이 Up=1V, R=1Ω, I=1A일 때에 출력되는 교류의 3개 파형을 중첩하여 도시한 것이며, 합성 전압인 직류는 각개의 개별권으로 분리가 되어, 합성 직류전압을 산출할 수 없기에 도시를 할 수 없으나,
3개의 U, V, W의 각각의 등가회로에서 순시값의 출력을 산출하면,
90도에서 U상의 순시값은 1V와 1A로 1W이며 V상의 순시값은 0.5V와 0,5A로 0.25W이며 W상의 순시값은 0.5V와 0,5A로 0.25W로 산출되고,
300도에서 U상의 순시값은 0.86V와 0.86A로 0.7396W이며 V상의 순시값은 0V와 0A로 0W이며 W상의 순시값은 0.86V와 0.86A로 0.7396W로 산출되며 각각의 순시값의 소계는 1.5W와 1.4792W로, 이를 표 3으로 정리한다.
구 분 3상 개별권
지 점 90도 300도
U상 전력(W) 1V*1A=1W 0.86V*0,86A=0.7396W
V상 전력(W) 0.5V*0.5A=0.25W 0V*0V=0W
W상 전력(W) 0,5V*0.5A=0.25W 0.86V*0,86A=0.7396W
소계(W) 1.5W 1.4792W
도 7은 도 5를 인용하여 변경한 도면으로, 정류기를 부착한 개별권으로 권선을 한 3개의 출력을 120도의 위상의 차가 있도록 구성한 3상 발전기로,
정류기를 부착한 각개의 개별권이 Up=1V, R=1Ω, I=1A일 때에 출력되는 직류의 3개 파형을 중첩하여 도시한 것이며, 합성 전압인 직류는 정류기를 부착한 각개의 개별권으로 분리가 되어 합성 직류전압을 산출할 수 없기에 도시를 할 수는 없으나,
3개의 U, V, W의 각각의 등가회로에서 순시값의 출력을 산출하면,
90도에서 U상의 순시값은 1V와 1A로 1W이며 V상의 순시값은 0.5V와 0,5A로 0.25W이며 W상의 순시값은 0.5V와 0,5A로 0.25W로 산출되고,
300도에서 U상의 순시값은 0.86V와 0.86A로 0.7396W이며 V상의 순시값은 0V와 0A로 0W이며 W상의 순시값은 0.86V와 0.86A로 0.7396W로 산출되며 각각의 순시값의 소계는 1.5W와 1.4792W로, 이를 표 4로 정리한다.
구 분 정류기를 부착한 3상 개별권
지 점 90도 300도
U상 전력(W) 1V*1A=1W 0.86V*0,86A=0.7396W
V상 전력(W) 0.5V*0.5A=0.25W 0V*0V=0W
W상 전력(W) 0,5V*0.5A=0.25W 0.86V*0,86A=0.7396W
소계(W) 1.5W 1.4792W
표 1, 2, 3, 4를 비교하여 설명하면, 3개의 출력이 120도의 위상차가 있는 3상 발전기는 Y결선, △결선, 개별권 또는 개별권에 정류기를 부착하여도 순시값은 동일하다는 것을 설명하기 위함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한정하여 3상 발전기의 입력과 출력을 산출하는 도면으로,
도 8a는 도 5, 6, 7과 표 1, 2 ,3, 4의 90도에서의 순시값과 300도에서의 순시값을 누적한 출력 그래프(순시누적값)이며,
도 8b는 "A"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8a에서 90도 지점의 순시 출력값은 0.25W+0.25W+1W=1.5W로 최고치이며,
300도 지점에서 순시 출력값은 0.7396W+0W+0.7396W=1.4792W로 최저치이며,
도면의 복잡성을 감안하여 2개소만 산정하였을 뿐이며, 도 8b의 확대도를 참조하면 30도의 위치에서 순시 출력값이 1.5W의 최고치로, 다음의 30도 위치에서 순시 출력의 최저값이 1.4792W로, 30도 마다 최고치와 최저치가 반복된다.
도 8c는 입력과 출력을 정리한 도면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발전기는 출력 전기에너지(W)와 입력의 회전에너지(N.m)와 자력의 세기(A/m)는 동일한 것(효율 100%)이므로,
출력 전기에너지는,
90도에서 1,5(W)로, 300도에서 1.4792(W)로, 평균값은 1.4896(W)로,
입력인 자력의 세기는 90도에서 1.5(A/m)로, 300도에서 1.4792(A/m)로 평균값은 1.4896(A/m)로,
입력인 회전에너지는 90도에서 1,5(N.m)로, 300도에서 1.4792(N.m)로 평균값은 1.4896(N.m)로 표기하여야 하나,
이는 상전압이 1V, 상전류는 1A, 부하는 1Ω으로 산정하였으므로,
이 후에서부터는,
입력 또는 출력 전압(V)은 a라는 상수를 사용하여 aV로,
입력 또는 출력에서 전기에너지(W)는 a라는 상수를 사용하여 a(W)로,
입력 또는 출력에서 자력의 세기(A/m)는 H라는 상수를 사용하여 H(A/m)으로,
입력 또는 출력에서 회전에너지(N.m)는 T라는 상수를 적용하여 T(N.m)으로 사용하며, 도 8c로 정리하고, 이를 표 5로 정리한다.
지 점 90도
(순시 최대값)
300도
(순시 최소값)
360도 평균값
(1회전 순시 평균값)
입력 : 회전 순시에너지(N.m) 1.5T 1,4792T (1.5+1.4792)/2=1.4896T
자력의 세기(A/m) 1.5H 1.4792H (1.5+1.4792)/2=1.4896H
출력 : 순시 출력값(W) 1.5a 1.4792a (1.5+1.4792)/2=1.4896a
도 8d는 본 발명에서 평균값을 산출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것이다.
3상은 최고치가 6회 최저치가 6회 발생하여,
평균값은 [(1.5*6)+(1.4792*6)]/12=1.4896이 되며,
도시한 공식에 의하여 평균값을 산출하면 (1.5+1.4792)/2=1.4896으로 동일하며, 이는 도 8c와 표 5에서 산출한 평균값이 동일하다.
이후의 실시예에서 적용할 7상 발전기와 13상 발전기 혹은 다상(n상)발전기는 최고값과 최저값이 동일하면 평균값은 3상 발전기와 동일하다는 것을 설명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평균값에 대하여 설명하는 목적은,
발전기는 출력하는 전기에너지의 파형에 따라 특성상 리플 즉, 최고치와 최저치가 발생하는데, 최고치와 최저치의 크기가 동일하면 발전코일의 상수에 관계없이, 즉 3상 발전기와 다상(n상) 발전기는 평균값이 동일하여 발전기에 회전에너지를 공급하는 공급원, 본 발명에서는 전동기이므로 전동기의 입력값이 동일하다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8e, 8f는 본 발명에 한정하여 입력과 출력을 구분하여 설명하는 도면으로
본 발명을 간단하게 이해하기 위하여 작성한 도면이다.
도 8e에 도시한 그래프를 본 발명에 한정하여 다음과 같이 서술한다.
"1회전 동안에 평균 1.4896T(N.m)의 회전에너지를 3상 발전기에 공급한다."
도 8f에 도시한 그래프를 본 발명에 한정하여 다음과 같이 서술한다.
"1회전 동안에 A면적이며 h폭의 출력이 3개 발생한다."
본 설명은 본 발명에서 발전기, 전동기 또는 발전기를 1회전을 기준으로 설명하는 것이므로 도 8e와 도 8f를 종합하여 다시 서술하면,
"3상 발전기에 평균 1.4896T(N.m)의 회전에너지를 공급하면, A*h의 출력이 3개 발생하며, 전체 누적값은 (A*h)*3=3Ah 이다." 라고 표현한다.
참고로 상기의 표현은
1. 각각의 출력이 동일하다는 조건이며,
2. 효율을 100%로 가정하여 설명하였으며,
3. 무부하 회전에너지를 제외한 표현이며,
이하의 실시예에서(도 18~29) 부터 각각의 출력은 동일하다는 조건하에 효율과 무부하 회전에너지를 적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상으로 3상 발전기의 입력과 출력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3상 발전기의 출력은 3상 전원으로, 이하에서부터는 3상 발전기의 출력과 3상 전원을 특별히 구분하지 않는 한 동일한 내용으로 하며, 이하에서부터 전동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 10, 11, 12는 전동기에 관한 것으로, 설명을 간단히 하기 위하여 3상 유도전동기(이하에서부터는 전동기라 함)로 설명을 한다.
우선, 3상 유도 전동기에 대하여 본 발명에 한정하여 간략하게 설명한다.
3상 유도 전동기는 입력인 교류 전기에너지(W)의 파형에 따라서 변화하는 자장의 세기(A/m)로 회전자를 유도하여 출력인 회전에너지(N.m)로 변환하는 기기로,
이를 다시 서술하면, 3상 유도 전동기는 발전기에서 생산하는 120도 위상의 차이로 N극과 S극에 의하여 3개의 교류 파형 공급하면, 3개의 교류 파형을 순시적으로 합산한 출력값(순시값)이 출력인 회전에너지(N.m)와 자력(A/m)의 순시값이며,
전동기 또한, 회전에너지(N.m)와 자력(A/m)는 단위는 다르지만 동일한 크기이므로 회전에너지(N.m)만 사용하기로 한다.
도 9, 10, 11,12는 네이버 구글등 각종 포털검색한 자료를 도시한 것이며,
도 12는 입력과 출력을 구분한 것으로 이하에서부터 설명한다.
도 9a는 3상 유도 전동기를 도시한 것으로 균일환을 내장한 회전자(10)에 고정자(20)는 120도의 위상각으로 R, S, T에 권선코일(21)을 권선한 형상이며,
도 9b는 권선코일(21)을 전개한 상태로 R상은 R과 R'로 S상은 S와 S'로 T상은 T와 T'로 표시하였으며,
도 9c는 전술한 3상 발전기에서 교류 전원으로 각상에 120도의 위상차이로 전동기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형상이며,
도 9d는 각각의 R, S, T의 권선 코일이 1a(W)를 소모하면 R과 R', S와 S', T와 T'의 권선 코일은 자력의 세기 1H(A/m)과 회전에너지 1T(N.m)가 형성된다는 것을 표현하는 도면이며,
도 9e는 유도 전동기의 회전자를 중심으로 R과 R', S와 S', T와 T'의 권선 코일에 각각 자력의 세기 1/2H(A/m)과 회전에너지 1/2T(N.m)가 형성되어 회전자를 유도하여 회전자가 회전하는 형상을 표현한 것으로, 도면에는 권선코일 전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교류 전기에너지(W)의 파형에 따라서 형성되는 것이다.
도 10과 11은 회전에너지의 크기에 따라 회전자가 유도되는 위치를 설명하는 것으로 도 10a-1, 10b-1, 10c-1, 11a-1, 11b-1, 11c-1은 입력 소모전력 W(watt)와 출력인 회전 에너지 T(N.m)와 자력의 세기 H(A/m)를 도시하고, 도 10a-2, 10b-2, 10c-2, 11a-2, 11b-2, 11c-2는 이를 정리하여 도시하였으며, 도 10a-3, 10b-3, 10c-3, 11a-3, 11b-3, 11c-3은 교류 전원의 파형에 의하여 변화하는 회전 에너지 T(N.m)의 크기에 따라, 유도된 회전자의 위치를 도시한 도면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11c-1에 대하여 설명한다. 11c-1은 1회전 하였을 때에 교류 전원의 파형과 회전에너지의 파형을 도시한 것으로 120도의 위상차로 R, S, T에 입력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면 출력으로 회전에너지가 발생하는 그래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은 전동기에서 입력과 출력의 산출을 쉽게 이해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12a는 도 9, 10, 11에서 30도 마다 순시 입력값과 순시 출력값을 누적한 입,출력 그래프로 순시 입력값은 전압의 파형으로 도시하였으며(전술한 바와 같이 전압의 파형을 근거로 출력의 파형을 작성하므로 동일하게 취급함),
도 12b는 "A"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2a에서 0도 지점의 순시 출력값은 0.25W+0.25W+1W=1.5W로 최고치이며,
30도 지점에서 순시 출력값은 0.7396W+0W+0.7396W=1.4792W로 최저치로, 도 12b의 확대도를 참조하면 30도의 위치에서 순시 출력값이 1.5W의 최고치로, 다음의 30도 위치에서 순시 출력의 최저값이 1.4792W로, 30도 마다 최고치와 최저치가 반복된다.
도 12c는 입력과 출력을 정리한 도면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발전기는 출력의 교류 전기에너지(W)와 입력의 회전에너지(N.m)와 자력 의세기(A/m)는 동일한 것으로,
순시 출력값은 30도에서 1,5(W)로 60도에서 1.4792(W)로 평균값은 1.4896(W)로, 순시 자력의 세기는 30도에서 1.5(A/m)로 60도에서 1.4792(A/m)로 평균값은 1.4896(A/m)로, 순시 입력값은 30도에서 1,5(N.m)로 60도에서 1.4792(N.m)로 평균값은 1.4896(N.m)로 표기하여야 하나, 이는 상전압이 1V, 상전류는 1A, 부하는 1Ω으로 산정하였으므로, 이 후에서부터는 순시 결과값에 상수를 적용하여 도 12c로 정리하고, 이를 표 6으로 정리한다.
지 점 30도
(순시 최대값)
60도
(순시 최소값)
380도 평균값
(1회전 순시 평균값)
입력 : 순시 입력값(W) 1.5a 1.4792a (1.5+1.4792)/2=1.4896a
자장의 세기(A/m) 1.5H 1.4792H (1.5+1.4792)/2=1.4896H
출력 : 회전 순시에너지(N.m) 1.5T 1.4792T (1.5+1.4792)/2=1.4896T
도 12d와 도 12e는 본 발명에 한정하여 입력과 출력을 구분하여 설명하는 도면으로
도 12d에 도시한 그래프를 본 발명에 한정하여 다음과 같이 서술한다.
"1회전 동안에 전동기에 A면적이며 h폭의 입력을 3개 즉, (A*h)*3=3Ah를 공급한다."
도 12e에 도시한 그래프에서 평균값을 표 6에 서술한 30도와 60도의 2개소로 평균값을 산정하였는데 12개소에서 최대값과 최소값이 교번으로 발생하므로 12개소를 적용하여 평균값을 산정하면 [(1.5*6)+(1.4792*6)]/12=1.4896T(N.m)으로 동일하며, 본 발명에 한정하여 다음과 같이 서술한다.
"1회전 동안에 평균 1.4896T(N.m)의 회전에너지를 발생한다."
본 발명의 설명은 발전기, 전동기의 1회전을 기준으로 설명하는 것이므로 도 12d와 도 12e를 종합하여 다시 서술하면,
"전동기에 A*h의 입력을 3개 즉, (A*h)*3=3Ah를 공급하면, 평균 1.4896T(N.m)의 회전에너지를 발생한다." 라고 표현한다.
도 8d에서 발전기가 3상일 때에는 최대값이 3*2로 6회, 최소값이 3*2로 6회로 총 12회의 리플이 발생하여 평균값을 산정하였으나, 도 12f는 발전기가 7상일 경우에 평균값을 산출한 것을 도시한 것이며, 도 12g는 발전기가 13상일 때에 경우에 평균값을 산출한 것을 도시한 것으로 평균값은 동일한 1,4896T(N.m)이다.
이를 후술하지만, 이하의 실시예에 적용하여 설명하면, 다상 발전기에서, 전동기는 다상 발전기에 회전에너지를 공급하는데 다상 발전기의 출력개소에 관계없이 1.4896T(N.m)를 공급하면 발전기는 다상에서 출력이 발생한다는 것을 설명하기 위함이다.
전술한 도 8c를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전동기에 대하여 평균값에 대하여 설명하는 목적은,
전동기는 입력인 전기에너지의 파형에 따른 특성상 6회의 리플 즉, 최고치와 최저치가 각 6회씩 발생하는데, 최고치와 최저치의 크기가 동일하면 1회전 동안에 리플의 회수에 관계없이, 즉 본 발명에서는 전동기의 부하인 발전기를 3상, 7상,13상을 적용하여 리플이 각 6회, 14회, 26회로 3상은 최고치 6회 최저치 6회, 7상은 최고치 14회 최저치 14회, 13상은 최고치 26회 최저치 26회가 발생하나 그에 대한 평균값이 동일하여 입력인 전기에너지의 소모가 동일하다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참고로 상기의 표현은
1. 효율을 100%로 가정하여 설명하였으며,
2. 이하의 실시예에서 부터는 효율을 적용하여 설명한다.
이상으로 3상 유도전동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부터 다상 발전기에 대하여 설명을 하는데 상세한 설명은 등록특허 10-1384596호, 공개특허 10-2016-0108263호로 대신하고 필요한 부분만 부분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3, 14, 15, 16, 17, 18은 개별권으로 권선한 다상발전기에 관한 것으로,
도 13a, b는 발전기에서 회전억제저항 관한 것이며, 본 발명에 한정하여 가로를 W, 세로를 H, 높이를 L로 표기한다. 따라서 단면적은 가로*세로로 W*H이며, 체적(부피)는 가로*세로*높이로 W*H*L로 표기한다. 또한, 특허등록 10-1155124호 10쪽 104줄과 도9-10에서 자석의 폭(본 발명에서는 가로 W)과 발전코일뭉치의 폭(본 발명에서는 가로 W)이 동일할 때에 부하공급시 회전저항의 시간이 가장 적다고 서술하였으며, 본 발명에서도 발전코일뭉치의 가로 W와 자석의 가로 W는 동일한 것으로 한다.
도 13a에서 회전자(100)에 부착한 가로 W, 세로 H1, 높이 L의 자석, 즉 W*H1*L 체적(부피)인 자석(126)이 형성하는 자력을 b라하고, 일정한 길이와 일정한 단면적의 코일이 복수개로 이루어진 발전코일뭉치(132)은 가로 W, 세로 H2, 높이 L, 즉 W*H2*L 체적인 발전코일뭉치(132)을 L이라 하고, 회전자의 자석(126)이 v의 각속도로 회전을 하면, 발전코일뭉치(132)에서는 e(V)=blv의 유도기전력을 형성하고, 미도시 하였지만 회전자(100)를 회전시키는 전동기는 Pin=P1+P2의 무부하소비전력을 소비하고 있는 것, 즉, W*H1*L체적(부피)인 자석(126)이, W*H2*L 체적인 발전코일뭉치(132)에 대하여 각속도 v로 이동하면, blv의 유도기전력이 형성되고, 각속도 v의 소비전력은 Pin이며, 크기는 P1+P2이다. 이때에 발전기 효율은 Pout/Pin으로 0/P1+P2로 분모가 0(zero)이므로 효율은 0이다.
도 13b는 발전기에서 회전억제저항을 산출하는 도면으로,
도 13b에서 W*H1*L체적(부피)인 자석(126)이, W*H2*L 체적인 발전코일뭉치(132)에 대하여 각속도 v로 이동하면, blv의 유도기전력이 형성되고, 각속도 v의 소비전력은 Pin이며, 크기는 P1+P2이나, W*H2*L 체적인 발전코일뭉치(132)에 부하를 연결하면 E*i의 출력, 즉 Pout이 발생하며, 이때 도체에 흐르는 전류에 의하여 W*H2*L 체적인 발전코일뭉치(132)에는 자력이 발생하고, 이 자력이 회전자의 자석(126)에 대하여 회전을 억제하는 회전억제저항이 발생하며,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회전억제저항을 GF라고 한다.
즉, GF는 b*i*l의 크기 만큼 발생하며 GF를 유지하기 위한 전동기의 소비전력을 P3로 입력은 Pin=P1+P2+P3이고, 발전기 출력 Pout은 E*i다. 이때에 발전기 효율은 Pout/Pin으로 E*i/P1+P2+P3이나, 공개특허 10-2016-0108263호에서 도 2,3의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면, P1+P2의 소비전력은 회전자의 중량과 공기저항 및 베어링의 마찰력에 따라서 가변하고, 본 실험 결과에 의하면 단독운전 전력 P1과 무부하운전 전력 P2의 합은 전부하 소비전력의 8~15%를 점유하므로, GF의 변화와 동일하게 전동기의 P3가 변화하여 발전기의 효율이 변화한다고 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GF와 P3를 동일하게 취급하기로 하며, 참고로 GF는 발전코일뭉치(132)와 자석(126)이 일직선상에 위치하는 지점이 가장 크게 작용한다, 즉 최대의 회전억제저항이 발생한다.
따라서, 이하에서부터는 발전기의 효율을 Pout/Pin으로 산출하되, 전동기의 입력인 Pin을 P3만 적용하여 GF로 하고, Pout은 E*i 또는 blv로 산출하기로 한다.
즉, 본 발명에서 발전기의 효율 산출은 E*i/GF 또는 blv/GF로 하기로 한다.
도 13c, d, e는 본 발명에서 효율을 증가시키는 기본 개념이다.
본 개념은 자석(126)의 단면적(W*H1)과 발전코일뭉치(132)의 단면적(W*H2)이 변화하여도, 자석(126)의 체적(W*H1*L)과 발전코일뭉치(132)의 체적(W*H2*L)이 동일하면, 발전기의 출력 E*i와 전동기의 입력 GF는 동일하다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c에서
단면적은 W*H2이고, 체적은 W*H2*L인 발전코일뭉치(132A)에,
단면적은 W*H1이고, 체적은 W*H1*L인 자석(126A)이,
각속도 v로 이동하면,
발전기출력은 E*i이고, 전동기입력은 GF이며, 발전기효율은 E*i/GF이다.
도 13d에서
단면적은 1/2W*H2이고, 체적은 1/2W*H2*2L=W*H2*L인 발전코일뭉치(132B)에,
단면적은 1/2W*H1이고, 체적은 1/2W*H1*2L=W*H1*L인 자석(126B)이,
각속도 v로 이동하면,
발전기출력은 E*i이고, 전동기입력은 GF로 발전기효율은 E*i/GF이다.
도 13e에서
단면적은 1/4W*H2이고, 체적은 1/4W*H2*4L=W*H2*L인 발전코일뭉치(132C)에,
단면적은 1/4W*H1이고, 체적은 1/4W*H1*4L=W*H1*L인 자석(126C)이,
각속도 v로 이동하면,
발전기출력은 E*i이고, 전동기입력은 GF로 발전기효율은 E*i/GF로,
도 13c, d, e를 표 7로 정리한다.
구 분 자석의 체적 발전코일뭉치의 체적 출력 회전억제
저항(입력)
효율 비고
도 11c W*H1*L W*H2*L E*i GF E*i/GF
동일
도 11d 1/2W*H1*2L = W*H1*L 1/2W*H2*2L = W*H2*L E*i GF E*i/GF
도 11e 1/4W*H1*4L = W*H1*L 1/4W*H2*4L = W*H2*L E*i GF E*i/GF
도 13c, d, e를 종합하여 간략하게 서술하면,
발전코일뭉치(132)의 동일한 새로 H2에서, 가로 W가 일정배수로 감소하여, 단면적 W*H2는 일정배수로 감소하지만, 높이 L이 동일한 일정배수로 증가하면, 체적 W*H2*L은 동일하여, 코일의 연장길이와 중량이 동일하고,
자석(126)의 동일한 새로 H1에서, 가로 W가 일정배수로 감소하여, 단면적 W*H1는 일정배수로 감소하지만, 높이 L이 동일한 일정배수로 증가하면, 체적 W*H1*L은 동일하여, 자력 b와 자석의 중량이 동일하여, 가속도 v로 이동하면, 출력 E*i와 입력 GF는 동일하다는 표현이다.
도 13c를 참고하면 GF는 발전코일뭉치(132)와 자석(126)이 일치하는 지점에서 최대로 발생한다고 서술하였다.
따라서, 각각의 실시예에서 후술하지만, 도 13b, c, d, e를 종합하여 간략하게 본 발명의 개념을 다시 정리하면,
발전코일뭉치(132)는 동일한 새로 H2에서, 가로 W가 일정배수로 감소하면, 단면적 W*H2는 일정배수로 감소하지만, 고정자에서 슬롯과 발전코일뭉치(132)를 설치하는 일정한 면적에서, 발전코일뭉치(132)의 단면적 감소로 인하여 확보되는 공간에, 동일한 규격의 슬롯과 발전코일뭉치(132)를 일정배수로 추가로 설치할 수 있으며, 높이 L이 동일한 일정배수로 증가하면, 체적 W*H2*L은 동일하여, 코일의 연장길이와 중량이 동일하지만, 일정배수로 증가하는 발전코일뭉치(132)에 비례하여 발전기의 출력은 증가하고,
자석(126)은 동일한 새로 H1에서, 가로 W가 일정배수로 감소하면, 단면적 W*H1는 일정배수로 감소하지만, GF는 발전코일뭉치(132)와 자석(126)이 일치하는 지점에서 최대로 발생하므로 자석(126)의 수량은 변동이 없이 유지하고, 높이 L이 동일한 일정배수로 증가하면, 체적 W*H1*L은 동일하여, 자력 b와 자석의 중량이 동일하고, GF도 동일하여, 각속도 v로 이동하여도, 출력 E*i는 증가하고, 입력 GF는 동일하다는 표현이다.
참고로, 도 13을 설명하는 이유는 도 14에 인용을 하기 위함이다.
도 14는 다상 발전기에서 효율을 적용하여 표현하는 도면이다.
발전기의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현재도 많은 연구가 진행중이며,
본 발명에서는 발전기의 효율을 70%로 적용하기로 하고,
상기에서 서술하였듯이, 본 발명에 한정하여, 도 8f를
"1회전 동안에 A면적이며 h폭의 출력이 3개 발생한다."라고 표현하였으며,
본 발명의 설명은 발전기, 전동기 또는 발전기는 1회전을 기준으로 설명하는 것이므로 도 8e와 도 8f를 종합하여 다시 서술하면,
"3상 발전기에 평균 1.4896T(N.m)의 회전에너지를 공급하면, A*h의 출력이 3개 발생하며, 전체 누적값은 (A*h)*3=3Ah 이다." 라고 표현하였다.
도 14a-1에서
단면적은 W*H2이고, 체적은 W*H2*L인 발전코일뭉치(132A)에,
단면적은 W*H1이고, 체적은 W*H1*L인 자석(126A)이,
회전에너지 T(N.m)을 소모하며 각속도 v로 시간 t간 이동하면,
도 14a-2의 표현을
회전에너지 T(N.m)를 공급하면 A*h=Ah의 출력이 발생하는데 효율이 70%로,
"(A*h)*0.7=0.7Ah의 출력이 발생한다."
도 14b-1에서
단면적은 1/2W*H2이고, 체적은 1/2W*H2*2L=W*H2*L인 발전코일뭉치(132B)에,
단면적은 1/2W*H1이고, 체적은 1/2W*H1*2L=W*H1*L인 자석(126B)이,
회전에너지 T(N.m)을 소모하며 각속도 v로 시간 1/2t간 이동하면,
도 14b-2의 표현을
회전에너지 T(N.m)를 공급하면 1/2A*2h=Ah의 출력이 발생하는데 효율이 70%로,
"(1/2A*2h)*0.7=0.7Ah의 출력이 발생한다."
도 14c-1에서
단면적은 1/4W*H2이고, 체적은 1/4W*H2*4L=W*H2*L인 발전코일뭉치(132C)에,
단면적은 1/4W*H1이고, 체적은 1/4W*H1*4L=W*H1*L인 자석(126C)이,
회전에너지 T(N.m)을 소모하며 각속도 v로 시간 1/4t간 이동하면,
도 14c-2의 표현을
회전에너지 T(N.m)를 공급하면 1/4A*4h=Ah의 출력이 발생하는데 효율이 70%로,
"(1/4A*4h)=0.7Ah의 출력이 발생한다."
참고로, 도 14a-2의 출력은 A*0,7h=0.7Ah, 14b-2의 출력은 1/2A*1,4h=0.7Ah, 14c-2의 출력은 1/4A*2.8h=0.7Ah로 동일하며, 이를 표 8로 정리한다.
구 분 도 14a-2 도 14b-2 도 14c-2 비 고
1개의 출력 누적값 A*0.7h=0.7Ah 1/2A*1.4h=0.7Ah 1/4A*2.8h=0.7Ah 동 일
도 15는 개별권으로 권선한 다상 발전기(20)의 전기에너지(출력)에 관한 도면으로,
도 15a는 개별권을 3개로 배열한 다상 발전기(20)로, 정상운전상태에서 회전자가 일정속도 v로 회전을 하는 상태이며, 도 15b는 1회전 동안에 1개의 파형을 도시한 것으로, 도 15b를 본 발명에서 설명하면,
"(A*h)=Ah의 출력이 3개 발생하는데 효율을 70%로 적용하면"
"(A*h)*0.7=0.7Ah의 출력이 3개 발생한다."
도 15c는 개별권을 7개로 배열한 다상 발전기(20)로, 정상운전상태에서 회전자가 일정속도 v로 회전을 하는 상태이며, 도 15d 1회전 동안에 1개의 파형을 도시한 것으로, 도 15d를 본 발명에서 설명하면,
"(1/2A*2h)=Ah의 출력이 3개 발생하는데 효율을 70%로 적용하면"
"(1/2A*2h)*0.7=1/2A*1.4h=0.7Ah의 출력이 7개 발생한다."
도 15e는 개별권을 13개로 배열한 다상 발전기(20)로, 정상운전상태에서 회전자가 일정속도 v로 회전을 하는 상태이며, 도 15f 1회전 동안에 1개의 파형을 도시한 것으로, 도 15f를 본 발명에서 설명하면,
"(1/4A*4h)=Ah의 출력이 13개 발생하는데 효율을 70%로 적용하면"
"(1/4A*4h)*0.7=1/4A*2.8h=0.7Ah의 출력이 13개 발생한다."
참고로, 표 8에서 서술하였듯이 3종류 출력의 크기는 동일하다는 설명이다.
도 16은 다상 발전기(20)의 입력인 회전에너지와 출력인 전기에너지 그리고 전체 누적값을 설명하는 도면으로, 다상 발전기(20)는 비자성체이며 비금속 재질로서, 회전축에 부착되며, 가로(W), 세로(H1), 높이(L)를 갖는 복수개의 자석으로 구성하는 회전자와, 비자성체이며 비금속 재질로서, 가로(W), 세로(H2), 높이(L)의 슬롯과, 각 슬롯 내부에 실장하는 개별권으로 권선한 발전코일뭉치로 이루어지는 고정자와, 그 고정자를 감싸는 고정자 커버로 구성하되, 발전기의 수직선상을 2등분 하여 형성되는 좌측의 자력과 우측의 자력이 서로를 상쇄하도록, 몸체 내부에 상기 자석의 수보다 적어도 하나 많은 갯수로 슬롯을 포함하여, 개별권으로 권선한 발전코일뭉치를 구성한 것으로,
도 16a는 개별권을 3개로 배열한 다상 발전기(20)로, 일정속도 v로 회전하는 상태의 도면이며,
도 16b는 1회전 동안에 3개의 전압 파형과 평균 1.4896a(W)의 합성출력을 도시한 것이며,
도 16c는 "A"를 확대한 도면으로, 3개의 위상차이는 360/3도와 합성출력의 최대값은 1,5a(W)로 최소값은 1.4792a(W)로 평균값은 1.4896a(W)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6d는 입력으로 합성출력의 평균값과 크기가 동일한 1.4896T(N.m)의 회전에너지가 1회전 동안 공급하는 형상이며,
도 16e는 A*0.7h의 전기에너지를 3개 생산하는 형상으로
도 16d와 16e를 종합하여 서술하면,
"효율이 70%이며 출력이 3개인 3상 발전기에
평균 1.4896T(N.m)의 회전에너지를 공급하면,
(A*h)*0.7=0.7Ah의 출력이 3개 발생하며, 전체 누적값은 0.7Ah*3=2.1Ah 이다."
도 17은 개별권을 7개로 배열한 다상 발전기(20)의 입력인 회전에너지와 출력인 전기에너지 그리고 전체 누적값을 설명하는 도면으로, 다상 발전기(20)는 비자성체이며 비금속 재질로서, 회전축에 부착되며, 가로(W), 세로(H1), 높이(L)를 갖는 복수개의 자석에서, 세로(H1)는 동일하게 유지하고, 가로(W)를 일정배수로 감소하고, 높이(L)를 일정배수로 증가하여, 외측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하여 부착하는 회전자와, 상기 회전자의 회전반경 외측에 일정 간격의 공극을 유지하고, 비자성체이며 비금속 재질로서, 가로(W), 세로(H2), 높이(L)의 슬롯과, 각 슬롯 내부에 실장하는 개별권으로 권선한 발전코일뭉치에서, 세로(H2)는 동일하게 유지하고, 가로(W)를 일정배수로 감소하고, 높이(L)를 일정배수로 증가하고, 슬롯의 단면적 축소로 인하여 확보되는 고정자의 빈공간에 일정한 갯수의 슬롯을 포함하고, 그 슬롯 내부에 개별권으로 권선한 발전코일뭉치를 실장하는 고정자와 그 고정자를 감싸는 고정자 커버로 구성을 하며, 발전기의 수직선상을 2등분 하여 형성되는 좌측의 자력과 우측의 자력이 서로를 상쇄하도록, 몸체 내부에 상기 자석의 수보다 적어도 하나 많은 갯수로 슬롯을 포함하여, 개별권으로 권선한 발전코일뭉치를 구성하였으며,
도 17a는 개별권을 7개로 배열한 다상 발전기(20)로, 일정속도 v로 회전하는 상태의 도면이며,
도 17b는 1회전 동안에 7개의 전압 파형과 평균 1.4896a(W)의 합성출력을 도시한 것이며,
도 17c는 "B"를 확대한 도면으로, 7개의 위상차이는 360/7도와 합성출력의 최대값은 1,5a(W)로 최소값은 1.4792a(W)로 평균값은 1.4896a(W)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7d는 입력으로 합성출력의 평균값과 크기가 동일한 1.4896T(N.m)의 회전에너지가 1회전 동안 공급하는 형상이며,
도 17e는 1/2A*1.4h의 전기에너지를 7개 생산하는 형상으로
도 17d와 17e를 종합하여 서술하면,
"효율이 70%이며 출력이 7개인 7상 발전기에
평균 1.4896T(N.m)의 회전에너지를 공급하면,
(1/2A*2h)*0.7=0.7Ah의 출력이 7개 발생하며, 전체 누적값은 0.7Ah*7=4.9Ah이다."
도 18은 개별권을 13개로 배열한 다상 발전기(20)의 입력인 회전에너지와 출력인 전기에너지 그리고 전체 누적값을 설명하는 도면으로, 다상 발전기(20)는 비자성체이며 비금속 재질로서, 회전축에 부착되며, 가로(W), 세로(H1), 높이(L)를 갖는 복수개의 자석에서, 세로(H1)는 동일하게 유지하고, 가로(W)를 일정배수로 감소하고, 높이(L)를 일정배수로 증가하여, 외측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하여 부착하는 회전자와, 상기 회전자의 회전반경 외측에 일정 간격의 공극을 유지하고, 비자성체이며 비금속 재질로서, 가로(W), 세로(H2), 높이(L)의 슬롯과, 각 슬롯 내부에 실장하는 개별권으로 권선한 발전코일뭉치에서, 세로(H2)는 동일하게 유지하고, 가로(W)를 일정배수로 감소하고, 높이(L)를 일정배수로 증가하고, 슬롯의 단면적 축소로 인하여 확보되는 고정자의 빈공간에 일정한 갯수의 슬롯을 포함하고, 그 슬롯 내부에 개별권으로 권선한 발전코일뭉치를 실장하는 고정자와 그 고정자를 감싸는 고정자 커버로 구성을 하는데, 발전기의 수직선상을 2등분 하여 형성되는 좌측의 자력과 우측의 자력이 서로를 상쇄하도록, 몸체 내부에 상기 자석의 수보다 적어도 하나 많은 갯수로 슬롯을 포함하여, 개별권으로 권선한 발전코일뭉치를 구성하였으며,
도 18a는 개별권을 13개로 배열한 다상 발전기(20)로, 일정속도 v로 회전하는 상태의 도면이며,
도 18b는 1회전 동안에 13개의 전압 파형과 평균 1.4896a(W)의 합성출력을 도시한 것이며,
도 18c는 "C"를 확대한 도면으로, 13개의 위상차이는 360/13도와 합성출력의 최대값은 1,5a(W)로 최소값은 1.4792a(W)로 평균값은 1.4896a(W)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8d는 입력으로 합성출력의 평균값과 크기가 동일한 1.4896T(N.m)의 회전에너지가 1회전 동안 공급하는 형상이며,
도 18e는 1/4A*2.8h의 전기에너지를 13개 생산하는 형상으로
도 18d와 18e를 종합하여 서술하면,
"효율이 70%이며 출력이 13개인 13상 발전기에
평균 1.4896T(N.m)의 회전에너지를 공급하면,
(1/4A*4h)*0.7=0.7Ah의 출력이 13개 발생하며, 전체누적값은 0.7Ah*13=9.1Ah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도 16, 17, 18의 입력과 출력을 표 9로 정리한다.
구분 효율이 70%인 다상 발전기

출력
출력 수량 3 7 13
1개의 순시누적값 0.7Ah 0.7Ah 0.7Ah
전체 누적값 2.1Ah 4.9Ah 9.1Ah
입력 회전에너지 T(N.m) 평균값 1.4896
이상으로 다상 발전기의 입력과 출력에 대하여 설명을 하였다. 상기에서 서술하였듯이 다상 발전기(20)는 가로(W), 세로(H1), 높이(L)를 갖는 복수개의 자석에서, 세로(H1)는 동일하게 유지하고, 가로(W)를 일정배수로 감소하고, 높이(L)를 일정배수로 증가하여, 외측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하여 부착하는 회전자와, 상기 회전자의 회전반경 외측에 일정 간격의 공극을 유지하고, 비자성체이며 비금속 재질로서, 가로(W), 세로(H2), 높이(L)의 슬롯과, 각 슬롯 내부에 실장하는 개별권으로 권선한 발전코일뭉치에서, 세로(H2)는 동일하게 유지하고, 가로(W)를 일정배수로 감소하고, 높이(L)를 일정배수로 증가하고, 슬롯의 단면적 축소로 인하여 확보되는 고정자의 빈공간에 일정한 갯수의 슬롯을 포함하고, 그 슬롯 내부에 개별권으로 권선한 발전코일뭉치를 실장하는 고정자와 그 고정자를 감싸는 고정자 커버로 구성을 하는데, 발전기의 수직선상을 2등분 하여 형성되는 좌측의 자력과 우측의 자력이 서로를 상쇄하도록, 몸체 내부에 상기 자석의 수보다 적어도 하나 많은 갯수로 슬롯을 포함하여, 개별권으로 권선한 발전코일뭉치를 구성을 반복할수록 동일한 입력에서 전체누적값은 증가한다.
이하에서부터,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서술하는데,
도 19~21은 전동기의 소비전력보다 다상 발전기의 출력을 많게 하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고,
도 22~25은 전동기의 소비전력보다 다상 발전기의 출력을 많게 하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고,
도 26~29은 전동기의 소비전력보다 다상 발전기의 출력을 많게 하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고,
도 30은 본 발명의 제1 과제인 제 4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31, 32는 본 발명의 제2 과제인 제 5 실시예를 설명한다.
또한, 실시예에 대하여 서술하기 이전에 우선, 전동기와 발전기 그리고 정류기, 2차전지, 인버터, 무부하 전기에너지 그리고 변압기에 대하여 적용하는 효율에 대해 서술한다.
상기에서 서술한 기기들의 효율은 각각의 제조사마다 상의하고,
또한, 효율의 적용에 따라서 결과치가 상의하므로,
각각의 기기들에 효율을 제시하기는 어려움이 있다.
그러나, 다상 발전기의 결과에 대한 결과치를 제시하여야 본 발명의 과제에 대한 결과를 산출할 수 있으므로,
전동기와 발전기는 효율을 각각 70%로 적용하고, 정류기, 축전지와 인버터 그리고 무부하 전기에너지를 종합하여 효율을 80%로 적용하고, 변압기는 효율을 90%로 적용하기로 한다.
예를 들면, 전동기는 "a(W)"의 전기에너지를 회전에너지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손실이 30%가 발생하고, 발전기는 회전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30%의 손실이 발생하여,
발전기에서 생산하는 전기에너지는 a(W)*0.7*0.7=0.49a(W)로 표시하며,
2차전지와 인버터 그리고, 도 2에서 서술한 무부하 전기에너지를 종합하여 20%의 손실이 발생하여 0.49a(W)*0.8=0.392a(W)로,
변압기는 10%의 손실이 발생하여 0.392a(W)*0.9=0.3528a(W)로,
즉, 초기 입력은 a(W)이나 에너지의 변환과정에서 손실로 인하여 0.3528a(W)의 출력이 발생하는 것으로, 이는 순시값 및 순시 누적값에 대한 결과이며, 전체 누적값에 대하여는 실시예에서 후술하기로 하며, 적용하는 효율에 대하여 표 10으로 정리한다.
구 분 전동기 발전기 정류기,2차전지,인버터
,무부하 전기에너지
변압기 종합효율
적용효율 70% 70% 80% 90% 0.7*0.7*0.8*0.9=35.28%
참고로, 전동기는 90% 이상의 초고효율을 목표로 국가적으로 막대한 지원하에 각각의 제조사에서 많은 투자와 연구가 진행중에 있으며,
본 발명에 적용하는 다상 발전기는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특허등록 10-1155124호 14~15쪽에 서술하였듯이 전동뭉치에서 고정자의 전동코일을 연속적으로 여자시킴을 방지하고,
특허등록 10-1384596호 17쪽에 서술하였듯이 자력이 서로 상쇄하도록 배열을 하며,
특허등록 10-1342481호 3쪽 7행에 서술하였듯이 고정자를 비자성체이며 비금속인 재질을 사용하고,
특허등록 10-1218474호 10쪽에 서술하였듯이 회전자를 비중이 1.1~1.3인 비자성체이며 비금속인 재질을 사용하여 중량을 감소시켰다.
그리고 정류기, 축전지, 인버터, 변압기도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많은 지원으로 제조사들의 많은 투자와 연구가 진행중에 있으며,
이하에서부터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서술한다.
도 19, 20, 21은 제1전동기의 소비전력보다 다상 발전기의 출력을 많게 하는 제 1 실시예이다.
도 19a는 제 1실시예의 구성도로,
전기자동차에서 전기에너지를 회전에너지로 변환하는 제1전동기(10)와, 전동기의 회전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다상 발전기(20)와, 다상 발전기(20)가 생산하는 교류전기를 직류로 변환하는 정류기(30)와, 변환된 직류의 전기에너지를 축적하며, 동시에 직류로 출력하는 다단자 2차 전지(40)와, 다단자 2차 전지(40)에서 출력하는 직류전기를 교류로 변환하는 인버터(50)와, 인버터(50)에 의하여 변환된 교류전기를 제어하는 컨트롤러(60)와, 전기자동차를 구동하는 제2전동기(70)와, 전기자동차의 차체에 부착되는 방전부(90)로 구성을 하는데,
제1전동기(10)와 다상 발전기(20)는 연결대(15)로 하여 기계적으로 연결하고, 다상 발전기(20)와 정류기(30), 정류기(30)와 다단자 2차 전지(40), 다단자 2차 전지(40)와 인버터(50), 인버터(50)와 컨트롤러(60), 컨트롤러(60)와 제1전동기(10), 제2전동기(70), 방전부(90)는 전기적으로 연결을 한다. 이때에,
전동기(10)는 전류가 흐르는 도체가 자기장에서 받는 힘을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역학적 에너지로 바꾸는 장치로, 전원의 종류에 따라 직류 전동기와 교류 전동기로 분류되며, 교류 전동기는 다시 3상 교류용과 단상 교류용으로 구분하는 것으로 설명은 3상 유도전동기로 하며, 본 발명에서는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으나 효율이 증가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정류기(30)는 브릿지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교류를 직류(맥류)로 변환하는 것으로 다상 발전기(20) 출력의 개소와 동일하게 하여야 한다.
충전부와 방전부를 분리한 다단자 2차 전지(40)는 화학적 에너지를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시켜는 기기로 연 축전지, 리튬이온전지등 다양하며, 본 발명에서는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으나 효율이 증가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인버터(50)는 반도체로 구성하여 직류를 교류로 변화하면서 동시에 주파수를 설정하는 기기로 본 발명에서는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으나 효율이 증가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연결대(15)는 전동기(10)와 다상 발전기(20)을 기계적으로 회전축을 연결하여 일체화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으나 비중이 낮은 비금속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2전동기(70)는 전기자동차(100)를 구동하는 것으로 전원의 종류에 따라 직류 전동기와 교류 전동기로 분류되며, 교류 전동기는 다시 3상 교류용과 단상 교류용으로 구분하는 것으로 설명은 3상 유도전동기로 하며, 본 발명에서는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으나 효율이 증가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방전부(90)는 전기자동차(100)가 운휴중에 기존의 전기자동차가 충전소를 이용하지 않고 충전이 필요한 경우에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가진 콘센트로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으나 충전용량에 적합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컨트롤러(60)는 반도체와 반도체 스위치들로 구성한 것으로 제1전동기(10)의 소비전력과 다상 발전기(20)의 출력을 비교함과 동시에, 제1전동기(10)의 소비전력보다 다상 발전기(20)의 출력이 적으면 제1전동기(10)에 전력을 차단하여 다단자 2차 전지(40)의 방전을 보호하고, 제1전동기(10)의 소비전력보다 다상 발전기(20)의 출력이 많으면 다상 발전기(20)에서 생산하는 전기에너지를 다단자 2차 전지(40)와 제1전동기(10)에 공급하면서 동시에 잉여의 전기에너지를 전기자동차를 구동하는 제2전동기(70) 또는 전기자동차의 차체에 부착되는 방전부(90)에 공급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며,
다상 발전기(20)는 비자성체이며 비금속 재질로서, 회전축에 부착되며, 가로(W), 세로(H1), 높이(L)를 갖는 복수개의 자석으로 구성하는 회전자와, 비자성체이며 비금속 재질로서, 가로(W), 세로(H2), 높이(L)의 슬롯과, 각 슬롯 내부에 실장하는 개별권으로 권선한 발전코일뭉치로 이루어지는 고정자와, 그 고정자를 감싸는 고정자 커버로 구성하되, 발전기의 수직선상을 2등분 하여 형성되는 좌측의 자력과 우측의 자력이 서로를 상쇄하도록, 몸체 내부에 상기 자석의 수보다 적어도 하나 많은 갯수로 슬롯을 포함하여, 개별권으로 권선한 발전코일뭉치를 구성을 하는데 본 도면에서는 출력을 3개로 구성을 하였으며,
도 19b는 제1전동기(10)와 다상 발전기(20)은 연결대(15)로 하여 기계적으로 연결한 측면도이다.
도 19c는 본 발명의 기동 순서도로, 컨트롤러(60)는 다단자 2차 전지(40)의 정상일 경우에 직류전기를 교류로 변환하는 인버터(50)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고, 인버터는 직류전기를 교류로 변환하여 제1전동기(10)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면 연결대(15)로 하여 기계적으로 연결한 다상 발전기(20)를 구동을 하여 전기에너지를 발생하는데, 교류전기를 직류로 변환하는 정류기(30)를 거처, 변환된 직류의 전기에너지를 축적하며, 동시에 직류로 출력하는 다단자 2차 전지로, 다단자 2차 전지에서 출력하는 직류전기를 교류로 변환하는 인버터와, 인버터에 의하여 변환된 교류전기를 제어하는 컨트롤러에 의하여 제2전동기(70) 또는 방전부(90)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데,
컨트롤러(60)는 제1전동기(10)의 소모전력과 다상 발전기(20)의 출력이
제1전동기(10)의 소모전력보다 다상 발전기(20)의 출력이 적을 경우에는 컨트롤러에 내장한 스위치를 차단하여 제1전동기(10)를 정지시키고,
제1전동기(10)의 소모전력보다 다상 발전기(20)의 출력이 많을 경우에는 컨트롤러에 내장한 스위치를 연결하여 제2전동기(70) 또는 방전부(90)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것으로, 본 도는 기동을 시작하였다.
도 20a는 제1전동기(10)와 다상 발전기(20)는 연결대(15)로 하에 기계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일정속도 v로 회전하는 정상운전 상태로 전동기는 입력인 전기에너지를 회전에너지로 변환하는 상태이며, 다상 발전기(20)는 회전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출력을 3개소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도 20b는 제1전동기(10)의 입력으로, 제1전동기(10)는 Ah*3=3Ah의 전기에너지를 소모하는 것이며,
도 20c에서 제1전동기(10)의 출력과 동시에 다상 발전기(20)의 입력으로 평균 1,4896T(N.m)의 회전에너지를 발생하며,
도 20d는 출력이 3개인 다상 발전기(20)의 출력으로 제1전동기와 다상 발전기의 효율을 각각 70%로 적용하여 출력 1개에 대한 순시누적값은 (A*h)*0.7*0.7= 0.49Ah 이며, 전체누적값은 0.49Ah*3=1.47Ah이며,
도 20을 종합하여 서술하면 제1전동기(10)와 출력이 3개소인 다상발전기(20)를 연결대(15)로 하여 기계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일정속도 v로 회전을 하면, 제1전동기(10)는 3Ah의 전기에너지를 소모하며, 출력이 3개소인 다상 발전기(20)는 1.47Ah의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 것으로, 결과치로 서술하면 다상 발전기(20)에서 출력을 3개로 구성하면 1.53Ah의 전기에너지를 소모하는 결과가 발생하며, 이를 표 11로 정리한다.
구 분 출력이 3개인 다상 발전기
입력 전기에너지 3Ah
출력 전기에너지(전체누적값) 1.47Ah
전기에너지 생산량 -
결 과 전기에너지 소모기기
도 21은 제 1 실시예에 의하여 전기에너지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컨트롤러(60)는 다단자 2차 전지(40)가 정상일 경우에 직류전기를 교류로 변환하는 인버터(50)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고, 인버터는 직류전기를 교류로 변환하여 3Ah의 전기에너지를 제1전동기(10)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면 연결대(15)로 하여 기계적으로 연결한 다상 발전기(20)를 구동을 하여 1.47Ah의 전기에너지를 발생하는데,
컨트롤러(60)는 제1전동기(10)의 소모전력과 다상 발전기(20)의 출력을 비교하여, 제1전동기(10)의 소모전력보다 다상 발전기(20)의 출력이 적으므로 다단자 2차 전지의 방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장한 스위치를 차단하여 전동기를 정지하였다
즉, 외부의 계통전원과 충전소를 이용하지 않고, 자체에서 생산하는 전력으로 전기자동차를 구동하게 하는 구성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제1 과제이고,
운휴중에는 자체에서 생산하는 전력으로 충전소를 이용하지 않는 기존의 전기자동차에 전력을 공급하는 구성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제2 과제이나.
다상 발전기(20)의 출력을 3개소로 구성하면 제1전동기의 소모전력보다 다상 발전기의 출력이 1.53Ah 적어 본 과제를 해결할 수 없는 추가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도 22, 23, 24, 25는 전동기의 소비전력보다 다상 발전기의 출력을 많게 하는 것으로 제 1 실시예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제 2 실시예로,
도 22는 제 2실시예의 구성도로,
전기자동차에서 전기에너지를 회전에너지로 변환하는 제1전동기(10)와, 전동기의 회전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다상 발전기(20)와, 다상 발전기(20)가 생산하는 교류전기를 직류로 변환하는 정류기(30)와, 변환된 직류의 전기에너지를 축적하며, 동시에 직류로 출력하는 다단자 2차 전지(40)와, 다단자 2차 전지(40)에서 출력하는 직류전기를 교류로 변환하는 인버터(50)와, 인버터(50)에 의하여 변환된 교류전기를 제어하는 컨트롤러(60)와, 전기자동차를 구동하는 제2전동기(70)와, 전기자동차의 차체에 부착되는 방전부(90)로 구성을 하는데,
제1전동기(10)와 다상 발전기(20)는 연결대(15)로 하여 기계적으로 연결하고, 다상 발전기(20)와 정류기(30), 정류기(30)와 다단자 2차 전지(40), 다단자 2차 전지(40)와 인버터(50), 인버터(50)와 컨트롤러(60), 컨트롤러(60)와 제1전동기(10), 제2전동기(70), 방전부(90)는 전기적으로 연결을 한다. 이때에,
전동기(10)는 전류가 흐르는 도체가 자기장에서 받는 힘을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역학적 에너지로 바꾸는 장치로, 전원의 종류에 따라 직류 전동기와 교류 전동기로 분류되며, 교류 전동기는 다시 3상 교류용과 단상 교류용으로 구분하는 것으로 설명은 3상 유도전동기로 하며, 본 발명에서는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으나 효율이 증가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정류기(30)는 브릿지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교류를 직류(맥류)로 변환하는 것으로 다상 발전기(20) 출력의 개소와 동일하게 하여야 한다.
충전부와 방전부를 분리한 다단자 2차 전지(40)는 화학적 에너지를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시켜는 기기로 연 축전지, 리튬이온전지등 다양하며, 본 발명에서는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으나 효율이 증가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인버터(50)는 반도체로 구성하여 직류를 교류로 변화하면서 동시에 주파수를 설정하는 기기로 본 발명에서는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으나 효율이 증가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연결대(15)는 전동기(10)와 다상 발전기(20)을 기계적으로 회전축을 연결하여 일체화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으나 비중이 낮은 비금속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2전동기(70)는 전기자동차(100)를 구동하는 것으로 전원의 종류에 따라 직류 전동기와 교류 전동기로 분류되며, 교류 전동기는 다시 3상 교류용과 단상 교류용으로 구분하는 것으로 설명은 3상 유도전동기로 하며, 본 발명에서는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으나 효율이 증가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방전부(90)는 전기자동차(100)가 운휴중에 기존의 전기자동차가 충전소를 이용하지 않고 충전이 필요한 경우에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가진 콘센트로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으나 충전용량에 적합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컨트롤러(60)는 반도체와 반도체 스위치들로 구성한 것으로 제1전동기(10)의 소비전력과 다상 발전기(20)의 출력을 비교함과 동시에, 제1전동기(10)의 소비전력보다 다상 발전기(20)의 출력이 적으면 제1전동기(10)에 전력을 차단하여 다단자 2차 전지(40)의 방전을 보호하고, 제1전동기(10)의 소비전력보다 다상 발전기(20)의 출력이 많으면 다상 발전기(20)에서 생산하는 전기에너지를 다단자 2차 전지(40)와 제1전동기(10)에 공급하면서 동시에 잉여의 전기에너지를 전기자동차를 구동하는 제2전동기(70) 또는 전기자동차의 차체에 부착되는 방전부(90)에 공급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며,
다상 발전기(20)는 비자성체이며 비금속 재질로서, 회전축에 부착되며, 가로(W), 세로(H1), 높이(L)를 갖는 복수개의 자석에서, 세로(H1)는 동일하게 유지하고, 가로(W)를 일정배수로 감소하고, 높이(L)를 일정배수로 증가하여, 외측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하여 부착하는 회전자와, 상기 회전자의 회전반경 외측에 일정 간격의 공극을 유지하고, 비자성체이며 비금속 재질로서, 가로(W), 세로(H2), 높이(L)의 슬롯과, 각 슬롯 내부에 실장하는 개별권으로 권선한 발전코일뭉치에서, 세로(H2)는 동일하게 유지하고, 가로(W)를 일정배수로 감소하고, 높이(L)를 일정배수로 증가하고, 슬롯의 단면적 축소로 인하여 확보되는 고정자의 빈공간에 일정한 갯수의 슬롯을 포함하고, 그 슬롯 내부에 개별권으로 권선한 발전코일뭉치를 실장하는 고정자와 그 고정자를 감싸는 고정자 커버로 구성을 하는데,
발전기의 수직선상을 2등분 하여 형성되는 좌측의 자력과 우측의 자력이 서로를 상쇄하도록, 몸체 내부에 상기 자석의 수보다 적어도 하나 많은 갯수로 슬롯을 포함하여, 개별권으로 권선한 발전코일뭉치를 구성한 것으로, 본 도면에서는 출력을 7개로 구성을 하였으며,
도 22b는 제1전동기(10)와 다상 발전기(20)은 연결대(15)로 하여 기계적으로 연결한 측면도이다.
도 22c는 본 발명의 기동 순서도로, 컨트롤러(60)는 다단자 2차 전지(40)가 정상일 경우에 직류전기를 교류로 변환하는 인버터(50)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고, 인버터는 직류전기를 교류로 변환하여 제1전동기(10)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면, 연결대(15)로 하여 기계적으로 연결한 다상 발전기(20)를 구동을 하여 전기에너지를 발생하는데, 교류전기를 직류로 변환하는 정류기(30)를 거처, 변환된 직류의 전기에너지를 축적하며, 동시에 직류로 출력하는 다단자 2차 전지로, 다단자 2차 전지에서 출력하는 직류전기를 교류로 변환하는 인버터와, 인버터에 의하여 변환된 교류전기를 제어하는 컨트롤러에 의하여 전동기와 외부의 부하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데, 다상 발전기(20)의 출력개소와 동일한 수량으로 정류기(30)를 설치하여야 하며
컨트롤러(60)는 제1전동기의 소모전력과 다상 발전기의 출력을 비교하여,
제1전동기(10)의 소모전력보다 다상 발전기(20)의 출력이 적을 경우에는 컨트롤러(60)에 내장한 스위치를 차단하여 제1전동기(10)를 정지시키고,
제1전동기(10)의 소모전력보다 다상 발전기(20)의 출력이 많을 경우에는 컨트롤러(60)에 내장한 스위치를 연결하여 제2전동기(70) 또는 방전부(90)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것으로, 본 도는 기동을 시작하였다.
도 23a는 제1전동기(10)와 다상 발전기(20)는 연결대(15)로 하여 기계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일정속도 v로 회전하는 정상운전 상태로 제1전동기(10)는 입력인 전기에너지를 회전에너지로 변환하는 상태이며, 다상 발전기(20)는 회전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출력을 발생하는 것으로,
도 23b는 제1전동기(10)의 입력으로 전동기는 Ah*3=3Ah의 전기에너지를 소모하는 것이며,
도 23c에서 제1전동기(10)의 출력과 동시에 다상 발전기(20)의 입력으로 평균 1,4896T(N.m)의 회전에너지를 발생하며,
도 23d는 출력이 7개인 다상 발전기(20)의 출력으로 제1전동기(10)와 다상 발전기(20)의 효율을 각각 70%로 적용하여 출력 1개에 대한 순시누적값은 1/2A*0.96h=0.49Ah 이며, 전체누적값은 0.49Ah*7=3.43Ah이다.
도 23을 종합하여 서술하면 제1전동기(10)와 출력이 7개소인 다상 발전기 (20)를 연결대(15)로 하여, 기계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일정속도 v로 회전하면 제1전동기(10)는 3Ah의 전기에너지를 소모하며, 출력이 7개소인 다상 발전기(20)는 3.43Ah의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 것으로, 결과치로 서술하면 다상 발전기(20)에서 출력을 7개로 구성하면 3.43Ah-3Ah=0.43Ah의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 결과가 발생하며, 이를 표 12로 정리한다.
구 분 출력이 7개인 다상 발전기
입력 전기에너지 3Ah
출력 전기에너지(전체누적값) 3.43Ah
전기에너지 생산량 0.43Ah
결 과 전기에너지 생산기기
그러나, 다상 발전기(20)의 출력은 7개이며 각각의 위상차이는 360도/7이다.
도 24는 위상을 일치하게 하고 주파수를 같게 하는 것으로, 도 23d의 출력이 7개인 다상 발전기(20)의 전체누적값은 7*0.49Ah=3.43Ah을, 정류기(30)로 직류로 변환한 후, 다단자 2차 전지(40)를 거처 인버터(50)에서 3상(R, S, T)으로 변환하는 과정을 진행하여야 하며, 전술한 바와 같이 정류기, 축전지 그리고 인버터의 효율을 80%로 적용하기로 하였으므로,
전체 누적값 3.43Ah*0.8로 2,744Ah이며, 이를 R, S, T상으로 3등분 하여 반올림하여 2.744Ah/3≒0.915Ah로 이를 표 13으로 정리한다.
구 분 출력이 7개인 다상 발전기
입력 전기에너지 3Ah
출력 전기에너지(전체누적값) 3.43Ah
정류기, 2차전지, 인버터 변환후
출력 전기에너지(전체누적값)
2.744Ah
전기 생산량 -
결 과 전기에너지 소모기기
도 25는 제 2 실시예의 결과에 의하여 전기에너지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으로, 컨트롤러(60)는 다단자 2차 전지(40)의 정상일 경우에 직류전기를 교류로 변환하는 인버터(50)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고, 인버터는 직류전기를 교류로 변환하여 ①번 3Ah의 전기에너지를 제1전동기(10)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면 연결대(15)로 하여 기계적으로 연결한 다상 발전기(20)를 구동을 하여 ②번 3.43Ah의 전기에너지를 발생하는데,
위상을 일치하게 하고 주파수를 같게 하려고 정류기(30)로 직류로 변환한 후, 다단자 2차 전지(40)를 거처 인버터(50)에서 3상(R, S, T)으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손실이 20% 발생하여, 출력이 7개인 다상 발전기(20)의 전체누적값 ③번 3.43Ah*0.8로 2,744Ah이며, 이를 R, S, T상으로 3등분 하여 반올림하여 2.744Ah/3≒0.915Ah로 되어,
제1전동기(10)의 소모전력 3Ah이고 출력이 7개소인 다상 발전기(20)의 전체누적값은 2.744Ah로, 컨트롤러(60)는 전동기(10)의 소모전력과 출력이 7개소인 다상 발전기(20)의 출력을 비교하여 제1전동기의 3Ah의 소모전력보다 다상 발전기의 출력이 3Ah-2.744Ah=0.256Ah적으므로 다단자 2차 전지(40)의 방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컨트롤러에 내장한 스위치를 차단하여 전동기가 정지하였다.
즉, 외부의 계통전원과 충전소를 이용하지 않고, 자체에서 생산하는 전력으로 전기자동차를 구동하게 하는 구성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제1 과제이고,
운휴중에는 자체에서 생산하는 전력으로 충전소를 이용하지 않는 기존의 전기자동차에 전력을 공급하는 구성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제2 과제이나.
다상 발전기(20)의 출력을 7개소로 구성하면 제1전동기의 소모전력보다 다상 발전기(20)의 출력이 0.256Ah 적어 본 과제를 해결할 수 없는 추가의 문제점이 또다시 발생하였다
도 26, 27, 28, 29는 전동기의 소비전력보다 다상 발전기의 출력을 많게 하는 것으로 제 2 실시예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제 3 실시예로,
도 26은 제 3실시예의 구성도로,
전기자동차에서 전기에너지를 회전에너지로 변환하는 제1전동기(10)와, 전동기의 회전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다상 발전기(20)와, 다상 발전기(20)가 생산하는 교류전기를 직류로 변환하는 정류기(30)와, 변환된 직류의 전기에너지를 축적하며, 동시에 직류로 출력하는 다단자 2차 전지(40)와, 다단자 2차 전지(40)에서 출력하는 직류전기를 교류로 변환하는 인버터(50)와, 인버터(50)에 의하여 변환된 교류전기를 제어하는 컨트롤러(60)와, 전기자동차를 구동하는 제2전동기(70)와, 전기자동차의 차체에 부착되는 방전부(90)로 구성을 하는데,
제1전동기(10)와 다상 발전기(20)는 연결대(15)로 하여 기계적으로 연결하고, 다상 발전기(20)와 정류기(30), 정류기(30)와 다단자 2차 전지(40), 다단자 2차 전지(40)와 인버터(50), 인버터(50)와 컨트롤러(60), 컨트롤러(60)와 제1전동기(10), 제2전동기(70), 방전부(90)는 전기적으로 연결을 한다. 이때에,
전동기(10)는 전류가 흐르는 도체가 자기장에서 받는 힘을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역학적 에너지로 바꾸는 장치로, 전원의 종류에 따라 직류 전동기와 교류 전동기로 분류되며, 교류 전동기는 다시 3상 교류용과 단상 교류용으로 구분하는 것으로 설명은 3상 유도전동기로 하며, 본 발명에서는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으나 효율이 증가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정류기(30)는 브릿지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교류를 직류(맥류)로 변환하는 것으로 다상 발전기(20) 출력의 개소와 동일하게 하여야 한다.
충전부와 방전부를 분리한 다단자 2차 전지(40)는 화학적 에너지를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시켜는 기기로 연 축전지, 리튬이온전지등 다양하며, 본 발명에서는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으나 효율이 증가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인버터(50)는 반도체로 구성하여 직류를 교류로 변화하면서 동시에 주파수를 설정하는 기기로 본 발명에서는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으나 효율이 증가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연결대(15)는 전동기(10)와 다상 발전기(20)을 기계적으로 회전축을 연결하여 일체화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으나 비중이 낮은 비금속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2전동기(70)는 전기자동차(100)를 구동하는 것으로 전원의 종류에 따라 직류 전동기와 교류 전동기로 분류되며, 교류 전동기는 다시 3상 교류용과 단상 교류용으로 구분하는 것으로 설명은 3상 유도전동기로 하며, 본 발명에서는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으나 효율이 증가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방전부(90)는 전기자동차(100)가 운휴중에 기존의 전기자동차가 충전소를 이용하지 않고 충전이 필요한 경우에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가진 콘센트로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으나 충전용량에 적합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컨트롤러(60)는 반도체와 반도체 스위치들로 구성한 것으로 제1전동기(10)의 소비전력과 다상 발전기(20)의 출력을 비교함과 동시에, 제1전동기(10)의 소비전력보다 다상 발전기(20)의 출력이 적으면 제1전동기(10)에 전력을 차단하여 다단자 2차 전지(40)의 방전을 보호하고, 제1전동기(10)의 소비전력보다 다상 발전기(20)의 출력이 많으면 다상 발전기(20)에서 생산하는 전기에너지를 다단자 2차 전지(40)와 제1전동기(10)에 공급하면서 동시에 잉여의 전기에너지를 전기자동차를 구동하는 제2전동기(70) 또는 전기자동차의 차체에 부착되는 방전부(90)에 공급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며,
다상 발전기(20)는 비자성체이며 비금속 재질로서, 회전축에 부착되며, 가로(W), 세로(H1), 높이(L)를 갖는 복수개의 자석으로 구성하는 회전자와, 비자성체이며 비금속 재질로서, 가로(W), 세로(H2), 높이(L)의 슬롯과, 각 슬롯 내부에 실장하는 개별권으로 권선한 발전코일뭉치로 이루어지는 고정자와, 그 고정자를 감싸는 고정자 커버로 구성하되, 발전기의 수직선상을 2등분 하여 형성되는 좌측의 자력과 우측의 자력이 서로를 상쇄하도록, 몸체 내부에 상기 자석의 수보다 적어도 하나 많은 갯수로 슬롯을 포함하여, 개별권으로 권선한 발전코일뭉치를 구성을 하는데 출력을 7개로 구성한 다상 발전기(20)를 비자성체이며 비금속 재질로서, 회전축에 부착되며, 가로(W), 세로(H1), 높이(L)를 갖는 복수개의 자석에서, 세로(H1)는 동일하게 유지하고, 가로(W)를 일정배수로 감소하고, 높이(L)를 일정배수로 증가하여, 외측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하여 부착하는 회전자와, 상기 회전자의 회전반경 외측에 일정 간격의 공극을 유지하고, 비자성체이며 비금속 재질로서, 가로(W), 세로(H2), 높이(L)의 슬롯과, 각 슬롯 내부에 실장하는 개별권으로 권선한 발전코일뭉치에서, 세로(H2)는 동일하게 유지하고, 가로(W)를 일정배수로 감소하고, 높이(L)를 일정배수로 증가하고, 슬롯의 단면적 축소로 인하여 확보되는 고정자의 빈공간에 일정한 갯수의 슬롯을 포함하고, 그 슬롯 내부에 개별권으로 권선한 발전코일뭉치를 실장하는 고정자와 그 고정자를 감싸는 고정자 커버로 구성을 하는데,
발전기의 수직선상을 2등분 하여 형성되는 좌측의 자력과 우측의 자력이 서로를 상쇄하도록, 몸체 내부에 상기 자석의 수보다 적어도 하나 많은 갯수로 슬롯을 포함하여, 개별권으로 권선한 발전코일뭉치를 구성한 것으로, 본 도면에서는 출력을 13개로 구성을 하였으며, 다상 발전기(20)의 출력개소와 동일한 수량으로 정류기(30)를 설치하여야 하며,
도 26b는 제1전동기(10)와 다상 발전기(20)는 연결대(15)로 하여 기계적으로 연결한 측면도이다.
도 26c는 본 발명의 기동 순서도로, 컨트롤러(60)는 다단자 2차 전지(40)가 정상일 경우에 직류전기를 교류로 변환하는 인버터(50)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고, 인버터는 직류전기를 교류로 변환하여 제1전동기(10)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면, 연결대(15)로 하여 기계적으로 연결한 다상 발전기(20)를 구동을 하여 전기에너지를 발생하는데, 교류전기를 직류로 변환하는 정류기(30)를 거처, 변환된 직류의 전기에너지를 축적하며, 동시에 직류로 출력하는 다단자 2차 전지로, 다단자 2차 전지에서 출력하는 직류전기를 교류로 변환하는 인버터와, 인버터에 의하여 변환된 교류전기를 제어하는 컨트롤러에 의하여 전동기와 외부의 부하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데, 다상 발전기(20)의 출력개소와 동일한 수량으로 정류기(30)를 설치하여야 하며
컨트롤러(60)는 제1전동기의 소모전력과 다상 발전기의 출력을 비교하여,
제1전동기(10)의 소모전력보다 다상 발전기(20)의 출력이 적을 경우에는 컨트롤러(60)에 내장한 스위치를 차단하여 제1전동기(10)를 정지시키고,
제1전동기(10)의 소모전력보다 다상 발전기(20)의 출력이 많을 경우에는 컨트롤러(60)에 내장한 스위치를 연결하여 제2전동기(70) 또는 방전부(90)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것으로, 본 도는 기동을 시작하였다.
도 27a는 제1전동기(10)와 출력을 13개로 구성한 다상 발전기(20)는 연결대(15)로 하여 기계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일정속도 v로 회전하는 정상운전 상태로 제1전동기는 입력인 전기에너지를 회전에너지로 변환하는 상태이며, 다상 발전기(20)는 회전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출력을 발생하는 것으로,
도 27b는 제1전동기(10)의 입력으로 제1전동기(10)는 Ah*3=3Ah의 전기에너지를 소모하는 것이며,
도 27c에서 제1전동기(10)의 출력과 동시에 다상 발전기(20)의 입력으로 평균 1,4896T(N.m)의 회전에너지를 발생하며,
도 27d는 출력이 13개인 다상 발전기(20)의 출력으로 제1전동기(10)와 다상 발전기(20)의 효율을 각각 70%로 적용하여 출력 1개에 대한 순시누적값은 1/4A*1.96h=0.49Ah 이며, 전체누적값은 0.49Ah*13=6.37Ah이다.
도 27을 종합하여 서술하면,
제1전동기(10)와 출력이 13개소인 다상 발전기(20)를 연결대(15)로 하여 기계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일정속도 v로 회전하면, 제1전동기(10)는 3Ah의 전기에너지를 소모하며, 출력이 13개소인 다상 발전기(20)는 6.37Ah의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 것으로, 결과치로 서술하면 다상 발전기(20)에서 출력을 13개로 구성하면 6.37Ah-3Ah=3.37Ah의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 결과가 발생하며, 이를 표 14로 정리한다.
구 분 출력이 13개인 다상 발전기
입력 전기에너지 3Ah
출력 전기에너지(전체누적값) 6.37Ah
전기에너지 생산량 3.37Ah
결 과 전기에너지 생산기기
그러나, 다상 발전기(20)의 출력은 13개이며 각각의 위상차이는 360도/13이다.
도 28은 위상을 일치하게 하고 주파수를 같게 하는 것으로, 도 27d의 출력이 13개인 다상 발전기(20)의 전체누적값 13*0.49Ah=6.37Ah을, 정류기(30)로 직류로 변환한 후, 다단자 2차 전지(40)를 거처 인버터(50)에서 3상(R, S, T)으로 변환하는 과정을 진행하여야 3상 선로에 병렬로 연결할 수 있으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정류기, 축전지 그리고 인버터의 효율을 80%로 적용하기로 하였으므로,
전체 누적값 6.37Ah*0.8로 5.096Ah이며, 이를 R, S, T상으로 3등분 하여 반올림하여 5.096Ah/3≒1.699Ah로 이를 표 15로 정리한다.
구 분 출력이 13개인 다상 발전기
입력 전기에너지 3Ah
출력 전기에너지(전체누적값) 6.37Ah
정류기, 2차전지, 인버터 변환후
출력 전기에너지(전체누적값)
5.096Ah
전기에너지 생산량 5.096Ah-3Ah=2.096Ah
결 과 전기에너지 생산기기
도 29는 제 3 실시예의 결과에 의하여 전기에너지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으로, 컨트롤러(60)는 다단자 2차 전지(40)가 정상일 경우에 직류전기를 교류로 변환하는 인버터(50)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고, 인버터는 직류전기를 교류로 변환하여 ①번 3Ah의 전기에너지를 제1전동기(10)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면 연결대(15)로 하여 기계적으로 연결한 다상 발전기(20)를 구동하여 ②번 (1/4A*1.69h)*13=6.37Ah의 전기에너지를 발생하며,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위상을 일치하게 하고 주파수를 같게 하려고 정류기(30)로 직류로 변환한 후, 다단자 2차 전지(40)를 거처 인버터(50)에서 3상(R, S, T)으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손실이 20% 발생하여 전체누적값 6.37Ah*0.8로 각각의 순시누적값은 5.096Ah/3≒1.699Ah이며 전체누적값 ③번 5.096Ah를 컨트롤러(60)에 공급하는데,
컨트롤러(60)는 제1전동기(10)의 소모전력과 출력이 13개소인 다상 발전기(20)의 출력을 비교하여, 제1전동기의 3Ah의 소모전력보다 다상 발전기의 출력이 5.096Ah-3Ah=2.096Ah 많으므로 컨트롤러에 내장한 스위치를 연결하여 3Ah의 전기에너지는 제1전동기(10)에 공급하고, 2.096Ah의 전기에너지는 제2전동기(70)에 공급하는데 이를 R, S, T상으로 3등분 하여 반올림하여 2.096Ah/3≒0.699Ah로,
3Ah의 전기에너지를 공급받는 제1전동기(10)는 24시간 연속적으로 운전을 진행하며,
2.096Ah의 전기에너지를 공급받는 제2전동기(10)는 24시간 연속적으로 회전하여, 그 회전력으로 전기자동차(100)는 24시간 구동을 진행한다.
즉, 외부의 계통전원과 충전소를 이용하지 않고, 자체에서 생산하는 전력으로 전기자동차를 구동하게 하는 구성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제1 과제이며,
운휴중에는 자체에서 생산하는 전력으로 충전소를 이용하지 않는 기존의 전기자동차에 전력을 공급하는 구성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제2 과제이다.
다상 발전기(20)의 출력을 13개소로 구성을 하면 제1전동기의 소모전력보다 다상 발전기(20)의 출력이 2.096Ah 많아, 본 과제 중 제1 과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이를 표 16으로 정리한다.

구분
①번
제1전동기 공급
②번
다상발전기 출력
③번
인버터 출력
④번
제2전동기
R 1Ah
1/4A*1.96h*13=6.37Ah
1.699Ah 0.699Ah
S 1Ah 1.699Ah 0.699Ah
T 1Ah 1.699Ah 0.699Ah
소계 3Ah 6.37Ah 5.097Ah 2.097Ah
도 30은 제 4실시예로, 외부의 계통전원과 충전소를 이용하지 않고, 자체에서 생산하는 전력으로 전기자동차를 구동하게 하는 구성 및 방법을 제공하는 제 1 과제를 해결하는 도면이다.
전기자동차(100)에서 전기에너지를 회전에너지로 변환하는 제1전동기(10)와, 전동기의 회전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다상 발전기(20)와, 다상 발전기(20)가 생산하는 교류전기를 직류로 변환하는 정류기(30)와, 변환된 직류의 전기에너지를 축적하며, 동시에 직류로 출력하는 다단자 2차 전지(40)와, 다단자 2차 전지(40)에서 출력하는 직류전기를 교류로 변환하는 인버터(50)와, 인버터(50)에 의하여 변환된 교류전기를 제어하는 컨트롤러(60)와, 전기자동차를 구동하는 제2전동기(70)와, 전기자동차의 차체에 부착되는 방전부(90)로 구성을 하는데,
제1전동기(10)와 다상 발전기(20)는 연결대(15)로 하여 기계적으로 연결하고, 다상 발전기(20)와 정류기(30), 정류기(30)와 다단자 2차 전지(40), 다단자 2차 전지(40)와 인버터(50), 인버터(50)와 컨트롤러(60), 컨트롤러(60)와 제1전동기(10), 제2전동기(70), 방전부(90)는 전기적으로 연결을 한다. 이때에,
전동기(10)는 전류가 흐르는 도체가 자기장에서 받는 힘을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역학적 에너지로 바꾸는 장치로, 전원의 종류에 따라 직류 전동기와 교류 전동기로 분류되며, 교류 전동기는 다시 3상 교류용과 단상 교류용으로 구분하는 것으로 설명은 3상 유도전동기로 하며, 본 발명에서는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으나 효율이 증가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정류기(30)는 브릿지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교류를 직류(맥류)로 변환하는 것으로 다상 발전기(20) 출력의 개소와 동일하게 하여야 한다.
충전부와 방전부를 분리한 다단자 2차 전지(40)는 화학적 에너지를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시켜는 기기로 연 축전지, 리튬이온전지등 다양하며, 본 발명에서는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으나 효율이 증가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인버터(50)는 반도체로 구성하여 직류를 교류로 변화하면서 동시에 주파수를 설정하는 기기로 본 발명에서는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으나 효율이 증가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연결대(15)는 전동기(10)와 다상 발전기(20)을 기계적으로 회전축을 연결하여 일체화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으나 비중이 낮은 비금속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2전동기(70)는 전기자동차(100)를 구동하는 것으로 전원의 종류에 따라 직류 전동기와 교류 전동기로 분류되며, 교류 전동기는 다시 3상 교류용과 단상 교류용으로 구분하는 것으로 설명은 3상 유도전동기로 하며, 본 발명에서는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으나 효율이 증가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방전부(90)는 전기자동차(100)가 운휴중에 기존의 전기자동차가 충전소를 이용하지 않고 충전이 필요한 경우에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가진 콘센트로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으나 충전용량에 적합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컨트롤러(60)는 반도체와 반도체 스위치들로 구성한 것으로 제1전동기(10)의 소비전력과 다상 발전기(20)의 출력을 비교함과 동시에, 제1전동기(10)의 소비전력보다 다상 발전기(20)의 출력이 적으면 제1전동기(10)에 전력을 차단하여 다단자 2차 전지(40)의 방전을 보호하고, 제1전동기(10)의 소비전력보다 다상 발전기(20)의 출력이 많으면 다상 발전기(20)에서 생산하는 전기에너지를 다단자 2차 전지(40)와 제1전동기(10)에 공급하면서 동시에 잉여의 전기에너지를 전기자동차를 구동하는 제2전동기(70) 또는 전기자동차의 차체에 부착되는 방전부(90)에 공급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며,
다상 발전기(20)는 비자성체이며 비금속 재질로서, 회전축에 부착되며, 가로(W), 세로(H1), 높이(L)를 갖는 복수개의 자석으로 구성하는 회전자와, 비자성체이며 비금속 재질로서, 가로(W), 세로(H2), 높이(L)의 슬롯과, 각 슬롯 내부에 실장하는 개별권으로 권선한 발전코일뭉치로 이루어지는 고정자와, 그 고정자를 감싸는 고정자 커버로 구성하되, 발전기의 수직선상을 2등분 하여 형성되는 좌측의 자력과 우측의 자력이 서로를 상쇄하도록, 몸체 내부에 상기 자석의 수보다 적어도 하나 많은 갯수로 슬롯을 포함하여, 개별권으로 권선한 발전코일뭉치를 구성을 하는데 출력을 13개로 구성한 것으로,
도 29의 제 3 실시예의 결과에 의한 전기에너지의 흐름도를 참조하면,
컨트롤러(60)는 다단자 2차 전지(40)가 정상일 경우에 직류전기를 교류로 변환하는 인버터(50)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고, 인버터는 직류전기를 교류로 변환하여 ①번 3Ah의 전기에너지를 제1전동기(10)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면 연결대(15)로 하여 기계적으로 연결한 다상 발전기(20)를 구동하여 ②번 (1/4A*1.69h)*13=6.37Ah의 전기에너지를 발생하며, 위상을 일치하게 하고 주파수를 동일하게 하기 위하여 정류기(30)로 직류로 변환한 후, 다단자 2차 전지(40)를 거처 인버터(50)에서 3상(R, S, T)으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손실이 20% 발생하여 전체누적값 6.37Ah*0.8로 각각의 순시누적값은 5.096Ah/3≒1.699Ah이며 전체누적값 ③번 5.096Ah를 컨트롤러(60)에 공급하는데, 컨트롤러(60)는 제1전동기(10)의 소모전력과 출력이 13개소인 다상 발전기(20)의 출력을 비교하여, 제1전동기의 3Ah의 소모전력보다 다상 발전기의 출력이 5.096Ah-3Ah=2.096Ah 많으므로 컨트롤러에 내장한 스위치를 연결하여 3Ah의 전기에너지는 제1전동기(10)에 공급하고, 2.096Ah의 전기에너지는 제2전동기(70)에 공급하여,
3Ah의 전기에너지를 공급받는 제1전동기(10)는 24시간 연속적으로 운전을 진행하며, 동시에 2.096Ah의 전기에너지를 공급받는 제2전동기(10)는 24시간 연속적으로 회전하여, 그 회전력으로 전기자동차(100)는 24시간 구동을 진행한다.
즉, 외부의 계통전원과 충전소를 이용하지 않고, 자체에서 생산하는 전력으로 전기자동차를 구동하게 하는 구성 및 방법을 제공하는 제 1 과제를 해결하였다.
도 31, 32는 제 5 실시예로, 운휴중에는 자체에서 생산하는 전력으로 충전소를 이용하지 않는 기존의 전기자동차에 전력을 공급하는 구성 및 방법을 제공하는 제 2 과제를 해결하는 도면이다.
도 31은 제 5 실시예로, 전기에너지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으로,
컨트롤러(60)는 다단자 2차 전지(40)가 정상일 경우에 직류전기를 교류로 변환하는 인버터(50)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고, 인버터는 직류전기를 교류로 변환하여 ①번 3Ah의 전기에너지를 제1전동기(10)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면 연결대(15)로 하여 기계적으로 연결한 다상 발전기(20)를 구동하여 ②번 (1/4A*1.69h)*13=6.37Ah의 전기에너지를 발생하며, 위상을 일치하게 하고 주파수를 동일하게 하기 위하여 정류기(30)로 직류로 변환한 후, 다단자 2차 전지(40)를 거처 인버터(50)에서 3상(R, S, T)으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손실이 20% 발생하여 전체누적값 6.37Ah*0.8로 각각의 순시누적값은 5.096Ah/3≒1.699Ah이며 전체누적값 ③번 5.096Ah를 컨트롤러(60)에 공급하는데, 컨트롤러(60)는 제1전동기(10)의 소모전력과 출력이 13개소인 다상 발전기(20)의 출력을 비교하여, 제1전동기의 3Ah의 소모전력보다 다상 발전기의 출력이 5.096Ah-3Ah=2.096Ah 많으므로 컨트롤러에 내장한 스위치를 연결하여 3Ah의 전기에너지는 제1전동기(10)에 공급하고, 2.096Ah의 전기에너지는 방전부(90)에 공급하는 도면으로 이를 표 17로 정리한다.

구분
①번
제1전동기 공급
②번
다상발전기 출력
③번
인버터 출력
④번
방전부
R 1Ah
1/4A*1.96h*13=6.37Ah
1.699Ah 0.699Ah
S 1Ah 1.699Ah 0.699Ah
T 1Ah 1.699Ah 0.699Ah
소계 3Ah 6.37Ah 5.097Ah 2.097Ah
도 32에서 운휴중인 전기자동차(100)에서,
전기에너지를 회전에너지로 변환하는 제1전동기(10)와, 전동기의 회전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다상 발전기(20)와, 다상 발전기(20)가 생산하는 교류전기를 직류로 변환하는 정류기(30)와, 변환된 직류의 전기에너지를 축적하며, 동시에 직류로 출력하는 다단자 2차 전지(40)와, 다단자 2차 전지(40)에서 출력하는 직류전기를 교류로 변환하는 인버터(50)와, 인버터(50)에 의하여 변환된 교류전기를 제어하는 컨트롤러(60)와, 전기자동차를 구동하는 제2전동기(70)와, 전기자동차의 차체에 부착되는 방전부(90)로 구성을 하는데,
제1전동기(10)와 다상 발전기(20)는 연결대(15)로 하여 기계적으로 연결하고, 다상 발전기(20)와 정류기(30), 정류기(30)와 다단자 2차 전지(40), 다단자 2차 전지(40)와 인버터(50), 인버터(50)와 컨트롤러(60), 컨트롤러(60)와 제1전동기(10), 제2전동기(70), 방전부(90)는 전기적으로 연결을 한다. 이때에,
전동기(10)는 전류가 흐르는 도체가 자기장에서 받는 힘을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역학적 에너지로 바꾸는 장치로, 전원의 종류에 따라 직류 전동기와 교류 전동기로 분류되며, 교류 전동기는 다시 3상 교류용과 단상 교류용으로 구분하는 것으로 설명은 3상 유도전동기로 하며, 본 발명에서는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으나 효율이 증가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정류기(30)는 브릿지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교류를 직류(맥류)로 변환하는 것으로 다상 발전기(20) 출력의 개소와 동일하게 하여야 한다.
충전부와 방전부를 분리한 다단자 2차 전지(40)는 화학적 에너지를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시켜는 기기로 연 축전지, 리튬이온전지등 다양하며, 본 발명에서는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으나 효율이 증가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인버터(50)는 반도체로 구성하여 직류를 교류로 변화하면서 동시에 주파수를 설정하는 기기로 본 발명에서는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으나 효율이 증가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연결대(15)는 전동기(10)와 다상 발전기(20)을 기계적으로 회전축을 연결하여 일체화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으나 비중이 낮은 비금속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2전동기(70)는 전기자동차(100)를 구동하는 것으로 전원의 종류에 따라 직류 전동기와 교류 전동기로 분류되며, 교류 전동기는 다시 3상 교류용과 단상 교류용으로 구분하는 것으로 설명은 3상 유도전동기로 하며, 본 발명에서는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으나 효율이 증가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방전부(90)는 전기자동차(100)가 운휴중에 기존의 전기자동차가 충전소를 이용하지 않고 충전이 필요한 경우에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가진 콘센트로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으나 충전용량에 적합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컨트롤러(60)는 반도체와 반도체 스위치들로 구성한 것으로 제1전동기(10)의 소비전력과 다상 발전기(20)의 출력을 비교함과 동시에, 제1전동기(10)의 소비전력보다 다상 발전기(20)의 출력이 적으면 제1전동기(10)에 전력을 차단하여 다단자 2차 전지(40)의 방전을 보호하고, 제1전동기(10)의 소비전력보다 다상 발전기(20)의 출력이 많으면 다상 발전기(20)에서 생산하는 전기에너지를 다단자 2차 전지(40)와 제1전동기(10)에 공급하면서 동시에 잉여의 전기에너지를 전기자동차를 구동하는 제2전동기(70) 또는 전기자동차의 차체에 부착되는 방전부(90)에 공급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며,
다상 발전기(20)는 비자성체이며 비금속 재질로서, 회전축에 부착되며, 가로(W), 세로(H1), 높이(L)를 갖는 복수개의 자석으로 구성하는 회전자와, 비자성체이며 비금속 재질로서, 가로(W), 세로(H2), 높이(L)의 슬롯과, 각 슬롯 내부에 실장하는 개별권으로 권선한 발전코일뭉치로 이루어지는 고정자와, 그 고정자를 감싸는 고정자 커버로 구성하되, 발전기의 수직선상을 2등분 하여 형성되는 좌측의 자력과 우측의 자력이 서로를 상쇄하도록, 몸체 내부에 상기 자석의 수보다 적어도 하나 많은 갯수로 슬롯을 포함하여, 개별권으로 권선한 발전코일뭉치를 구성을 하는데 출력을 13개로 구성한 것으로,
도 31의 제 3 실시예의 결과에 의한 전기에너지의 흐름도를 참조하면,
컨트롤러(60)는 다단자 2차 전지(40)가 정상일 경우에 직류전기를 교류로 변환하는 인버터(50)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고, 인버터는 직류전기를 교류로 변환하여 ①번 3Ah의 전기에너지를 제1전동기(10)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면 연결대(15)로 하여 기계적으로 연결한 다상 발전기(20)를 구동하여 ②번 (1/4A*1.69h)*13=6.37Ah의 전기에너지를 발생하며, 위상을 일치하게 하고 주파수를 동일하게 하기 위하여 정류기(30)로 직류로 변환한 후, 다단자 2차 전지(40)를 거처 인버터(50)에서 3상(R, S, T)으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손실이 20% 발생하여 전체누적값 6.37Ah*0.8로 각각의 순시누적값은 5.096Ah/3≒1.699Ah이며 전체누적값 ③번 5.096Ah를 컨트롤러(60)에 공급하는데, 컨트롤러(60)는 제1전동기(10)의 소모전력과 출력이 13개소인 다상 발전기(20)의 출력을 비교하여, 제1전동기의 3Ah의 소모전력보다 다상 발전기의 출력이 5.096Ah-3Ah=2.096Ah 많으므로 컨트롤러에 내장한 스위치를 연결하여 3Ah의 전기에너지는 제1전동기(10)에 공급하고, ④번 2.096Ah의 전기에너지는 방전부(90)에 공급하여, 3Ah의 전기에너지를 공급받는 제1전동기(10)는 24시간 연속적으로 운전을 진행하며, 동시에 2.096Ah의 전기에너지를 공급받는 방전부(90)는
충전소를 이용하지 않는 기존의 전기자동차에 전력을 24시간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것을 도시한 것으로,
즉, 운휴중에는 자체에서 생산하는 전력으로 충전소를 이용하지 않는 기존의 전기자동차에 전력을 공급하는 구성 및 방법을 제공하는 제 2 과제를 해결하였다.
참고로, 상기의 표 16 또는 표 17에서 적용한 효율이 실제의 효율과 차이가 있어, 제1전동기(10)의 소모전력보다 다상 발전기(20)의 출력이 적어지면 본 발명의 1, 2과제를 이룰 수가 없다.
그러나, 이때에는 다상 발전기(20)를 비자성체이며 비금속 재질로서, 회전축에 부착되며, 가로(W), 세로(H1), 높이(L)를 갖는 복수개의 자석에서, 세로(H1)는 동일하게 유지하고, 가로(W)를 일정배수로 감소하고, 높이(L)를 일정배수로 증가하여, 외측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하여 부착하는 회전자와, 상기 회전자의 회전반경 외측에 일정 간격의 공극을 유지하고, 비자성체이며 비금속 재질로서, 가로(W), 세로(H2), 높이(L)의 슬롯과, 각 슬롯 내부에 실장하는 개별권으로 권선한 발전코일뭉치에서, 세로(H2)는 동일하게 유지하고, 가로(W)를 일정배수로 감소하고, 높이(L)를 일정배수로 증가하고, 슬롯의 단면적 축소로 인하여 확보되는 고정자의 빈공간에 일정한 갯수의 슬롯을 포함하고, 그 슬롯 내부에 개별권으로 권선한 발전코일뭉치를 실장하는 고정자와 그 고정자를 감싸는 고정자 커버로 구성을 하는데,
발전기의 수직선상을 2등분 하여 형성되는 좌측의 자력과 우측의 자력이 서로를 상쇄하도록, 몸체 내부에 상기 자석의 수보다 적어도 하나 많은 갯수로 슬롯을 포함하여, 개별권으로 권선한 발전코일뭉치를 구성하고 다상 발전기(20)의 출력개소와 동일한 수량으로 정류기(30)를 설치하면,
전동기(10)의 소모전력보다 다상 발전기(20)의 출력이 많아진다.
즉, 상기에서 서술한 실시예를 반복하여 제1전동기(10)의 동일한 소비전력으로 다상 발전기(20)는 더욱 많은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도록 하여야 하며,
또한, 더욱 많은 전기에너지가 필요한 경우에도 상기에서 서술한 구성과 방법을 시행하여야 한다.
상기의 4, 5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외부의 계통전원과 충전소를 이용하지 않고, 자체에서 생산하는 전력으로 전기자동차를 구동하게 하는 구성 및 방법을 제공하는 제 1 과제와, 운휴중에는 자체에서 생산하는 전력으로 충전소를 이용하지 않는 기존의 전기자동차에 전력을 공급하는 구성 및 방법을 제공하는 제 2 과제를 달성하였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외부의 계통전원과 충전소를 이용하지 않고, 자체에서 생산하는 전력으로 전기자동차를 24시간 연속적으로 구동하는 것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10 : 제1전동기, 15 : 연결대, 20 : 다상 발전기, 30 : 정류기,
40 : 다단자 2차 전지, 50 : 인버터, 60 : 컨트롤러 70 : 제2전동기
90 : 방전부
100 : 전기자동차

Claims (4)

  1. 전기자동차(100)에 있어서 전기에너지를 회전에너지로 변환하는 제1전동기(10)와, 전동기의 회전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다상 발전기(20)와, 다상 발전기(20)가 생산하는 교류전기를 직류로 변환하는 정류기(30)와, 변환된 직류의 전기에너지를 축적하며, 동시에 직류로 출력하는 다단자 2차 전지(40)와, 다단자 2차 전지(40)에서 출력하는 직류전기를 교류로 변환하는 인버터(50)와, 인버터(50)에 의하여 변환된 교류전기를 제어하는 컨트롤러(60)와, 전기자동차(100)를 구동하는 제2전동기(70)와, 전기자동차(100)의 차체에 부착되는 방전부(90)로 구성을 하는데,
    제1전동기(10)와 다상 발전기(20)는 연결대(15)로 하여 기계적으로 연결하고, 다상 발전기(20)와 정류기(30), 정류기(30)와 다단자 2차 전지(40), 다단자 2차 전지(40)와 인버터(50), 인버터(50)와 컨트롤러(60), 컨트롤러(60)와 제1전동기(10), 제2전동기(70), 방전부(90)는 전기적으로 연결을 하며,

    다상 발전기(20)의 구성은
    비자성체이며 비금속 재질로서, 회전축에 부착되며,
    가로(W), 세로(H1), 높이(L)를 갖는 복수개의 자석으로 구성하는 회전자와,
    비자성체이며 비금속 재질로서, 가로(W), 세로(H2), 높이(L)의 슬롯과,
    각 슬롯 내부에 실장하는 개별권으로 권선한 발전코일뭉치로 이루어지는 고정자와,
    그 고정자를 감싸는 고정자 커버로 구성하되,
    발전기의 수직선상을 2등분 하여 형성되는 좌측의 자력과 우측의 자력이 서로를 상쇄하도록, 몸체 내부에 상기 자석의 수보다 적어도 하나 많은 갯수로 슬롯을 포함하여, 개별권으로 권선한 발전코일뭉치를 구성하며,

    다상 발전기(20)의 출력구성은,
    다상 발전기(20)의 개별권에서 생산되는 전기에너지의 순시값과 순시누적값은 전동기(10)에서 소모하는 순시값과 순시누적값보다 적지만,

    다상 발전기(20)에서 개별권에서 생산되는 전기에너지의 순시누적값을 합산한 전체누적값은 전동기(10)에서 소모하는 순시누적값을 합산한 전체누적값보다 많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의 충전이 없이 24시간 자체에서 전력을 생산하면서 주행하는 전기자동차의 구성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다상 발전기(20)는 비자성체이며 비금속 재질로서, 회전축에 부착되며, 가로(W), 세로(H1), 높이(L)를 갖는 복수개의 자석에서,
    세로(H1)는 동일하게 유지하고, 가로(W)를 일정배수로 감소하고, 높이(L)를 일정배수로 증가하여, 외측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하여 부착하는 회전자와,
    상기 회전자의 회전반경 외측에 일정 간격의 공극을 유지하고, 비자성체이며 비금속 재질로서, 가로(W), 세로(H2), 높이(L)의 슬롯과, 각 슬롯 내부에 실장하는 개별권으로 권선한 발전코일뭉치에서,
    세로(H2)는 동일하게 유지하고, 가로(W)를 일정배수로 감소하고, 높이(L)를 일정배수로 증가하고,
    슬롯의 단면적 축소로 인하여 확보되는 고정자의 빈공간에 일정한 갯수의 슬롯을 포함하고,
    그 슬롯 내부에 개별권으로 권선한 발전코일뭉치를 실장하는 고정자와 그 고정자를 감싸는 고정자 커버로 구성을 하는데,
    발전기의 수직선상을 2등분 하여 형성되는 좌측의 자력과 우측의 자력이 서로를 상쇄하도록, 몸체 내부에 상기 자석의 수보다 적어도 하나 많은 갯수로 슬롯을 포함하여, 개별권으로 권선한 발전코일뭉치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의 충전이 없이 24시간 자체에서 전력을 생산하면서 주행하는 전기자동차의 구성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컨트롤러(60)는 다상 발전기(20)와 정류기(20)와 다단자 2차 전지(40)와 인버터(50)에 의하여 발생하는 전기에너지를 다단자 2차 전지(40)와 제1전동기(10)에 공급하고 잉여분의 전기에너지를 제2전동기에 공급하여 전기자동차(100)가 주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의 충전이 없이 24시간 자체에서 전력을 생산하면서 주행하는 전기자동차의 구성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운휴중에는 컨트롤러(60)가 다상 발전기(20)와 정류기(20)와 다단자 2차 전지(40)와 인버터(50)에 의하여 발생하는 전기에너지를 다단자 2차 전지(40)와 제1전동기(10)에 공급하고 잉여분의 전기에너지를 충전부(90)에 공급하여 기존의 전기자동차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의 충전이 없이 24시간 자체에서 전력을 생산하면서 주행하는 전기자동차의 구성방법
KR1020170048786A 2017-04-14 2017-04-14 외부의 충전이 없이 24시간 자체에서 전력을 생산하면서 주행하는 전기자동차의 구성방법 KR201700482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8786A KR20170048275A (ko) 2017-04-14 2017-04-14 외부의 충전이 없이 24시간 자체에서 전력을 생산하면서 주행하는 전기자동차의 구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8786A KR20170048275A (ko) 2017-04-14 2017-04-14 외부의 충전이 없이 24시간 자체에서 전력을 생산하면서 주행하는 전기자동차의 구성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8275A true KR20170048275A (ko) 2017-05-08

Family

ID=60164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8786A KR20170048275A (ko) 2017-04-14 2017-04-14 외부의 충전이 없이 24시간 자체에서 전력을 생산하면서 주행하는 전기자동차의 구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4827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5113B1 (ko) 2022-08-26 2023-05-30 원제영 이차전지 충전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5113B1 (ko) 2022-08-26 2023-05-30 원제영 이차전지 충전시스템 및 방법
WO2024043679A1 (ko) * 2022-08-26 2024-02-29 원제영 이차전지 충전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33039B2 (en) Electric vehicle system for charging and supplying electrical power
CN102549876B (zh) 车辆用电源系统
Hu et al. Solar PV-powered SRM drive for EVs with flexible energy control functions
US20180254732A1 (en) A controller for an inductive load having one or more inductive windings
CN103906650B (zh) 电气系统
KR20130090678A (ko)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장치 및 이를 포함한 전기 자동차
WO2013182211A1 (en) Electrical apparatus and method for charging a battery
KR101959498B1 (ko) 풍력 기반 부하 분리 전기 충전 시스템
CN110999016A (zh) 用于提供各种电压并进行各种充电的具有包括电池单元组和转换模块的组合件的电池
US11050373B2 (en) Rotary electric system
CN103085676B (zh) 增程式电动汽车发电系统
US20120274246A1 (en) Electric drive and battery charging power electronic system
EP2323243A2 (en) Power module and vehicle having the same
Khan Automotive electrical systems: architecture and components
CN204392134U (zh) 一种新型的电气系统
KR20170048275A (ko) 외부의 충전이 없이 24시간 자체에서 전력을 생산하면서 주행하는 전기자동차의 구성방법
JP2009033891A (ja) 電動車両
CN102303540A (zh) 电动车辆的电机驱动控制装置
KR20170027324A (ko) 연속적으로 운전하는 태양광발전소
Hu et al. Tri-port converter for flexible energy control of PV-fed electric vehicles
KR20190134392A (ko) 전기 자동차용 전력 공급 장치
Fathabadi Recovering waste vibration energy of an automobile using shock absorbers included magnet moving-coil mechanism and adding to overall efficiency using wind turbine
Schofield et al. Operation of a hybrid PM generator in a series hybrid EV power-train
CN202150831U (zh) 电动车辆的电机驱动控制装置
JP2012100436A (ja) 車両用電源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1002268;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90707

Effective date: 202006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