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8205A - Display shelf assembling structure and component thereof - Google Patents

Display shelf assembling structure and component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8205A
KR20170048205A KR1020160138531A KR20160138531A KR20170048205A KR 20170048205 A KR20170048205 A KR 20170048205A KR 1020160138531 A KR1020160138531 A KR 1020160138531A KR 20160138531 A KR20160138531 A KR 20160138531A KR 20170048205 A KR20170048205 A KR 201700482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
receiving groove
engaging member
engaging
she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853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지로 세라타
아키라 이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세라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세라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세라다
Publication of KR201700482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820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5/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A47F5/10Adjustable or foldable or dismountable display stands
    • A47F5/101Display racks with slotted uprights
    • A47F5/103Display shelving racks with the uprights aligned in only one plan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A47B96/1408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regularly perforated

Landscapes

  • Display Racks (AREA)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ssembling structure capable of automatically achieving an optimum holding state capable of a single transfer operation irrespective of a difference in dimensions of attachment holes of a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ssembling structure comprises: a support (1) having an attachment hole (HO); a shelf supporting member (2) which horizontally protrudes from a support piece (BS) as a starting point, holding a display shelf board (3); and a coupling member (4) mounted on a mounting portion (FX) of the shelf supporting member (2) to elastically be movable. The mounting portion (FX) has a receiving groove (GV) and an escape preventing protrusion (PR) forming a narrow opening in the receiving groove (GV), and the coupling member (4) includes a pair of gripping pieces (10) and an insertion piece (11) formed between the pair of gripping pieces (10)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GV). The insertion piece (11) is provided with a latching piece (13) which rises from a base end toward a releasing end of the receiving groove (GV).

Description

진열 선반의 조립 구조 및 그 구성 부재{DISPLAY SHELF ASSEMBLING STRUCTURE AND COMPONENT THEREOF}DISPLAY SHELF ASSEMBLING STRUCTURE AND COMPONENT THEREOF [0002]

본 발명은, 진열 선반판을 유지하는 선반 받침 부재의 기단부를, 지주의 각형 구멍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진열 선반의 조립 구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ssembly structure of a shelf rack which detachably fixes a base end portion of a shelf support member holding a shelf board to a square hole of a column.

세로로 긴 각형 구멍을 갖고 수직 방향으로 연달아 설치되는 복수 개의 지주와, 각형 구멍에 삽입되는 지지편을 기점으로 하여 수평 방향으로 돌출되어 진열 선반판의 하면을 유지하는 선반 받침 부재와, 선반 받침 부재의 장착 홈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결합 부재(빠짐 방지구)로 실현되는 조립 구조에 관하여, 각종 발명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특허문헌 3).A shelf supporting member which is horizontally protruded from a supporting piece inserted into the rectangular hole and holds the lower surface of the shelf plate; (Releasing section) which is movably mounted on a mounting groove of a mounting portion of a mounting surface of a mounting portion of the mounting portion.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10-187745호 공보Patent Document 1: JP-A-2010-187745 특허문헌 2: 일본 실용 공개 평성01-128627호 공보Patent Document 2: Japanese Utility Laid-Open Publication No. Hei 01-128627 특허문헌 3: 일본 실용 공고 소화50-3784호 공보Patent Document 3: Japanese Utility Bulletin 50-3784 특허문헌 4: 일본 실용 공개 소화61-199248호 공보Patent Document 4: Japanese Utility Laid Open No. 61-199248 특허문헌 5: 미국 특허 제5022621호 명세서Patent Document 5: U.S. Patent No. 5022621 특허문헌 6: 미국 특허 제4406374호 명세서Patent Document 6: U.S. Patent No. 4,406,374

예컨대, 특허문헌 1의 발명은, 장착 홈의 하측 단부면을 상측 단부면보다 길게 돌출시키고, 하측 단부면의 선단에 빠짐 방지 돌기를 형성하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특허문헌 1의 도 7). 그 때문에, 빠짐 방지구를 똑바로는 삽입할 수 없고, 경사 상방으로부터 경사 자세로 삽입할 수밖에 없다는 조작성의 문제가 있다. 또, 이 구성에서는, 장착 홈의 상측 단부면의 선단에 빠짐 방지 돌기를 형성하면, 이미 빠짐 방지구를 삽입할 수 없다.For example, the invention of Patent Document 1 adopt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mounting groove is protruded longer than the upper end surface, and the falling preventing protrusion is formed at the tip end of the lower end surface (FIG. 7 of Patent Document 1).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of operability in that it is impossible to insert the dropout stopper in a straight manner and it is inevitable to insert the dropout stopper in an inclined posture from above. Further, in this configuration, if the slip prevention protrusion is formed at the end of the upper end surface of the mounting groove, it is not possible to insert the slip stopper already.

한편, 장착 홈의 상측 단부면과 하측 단부면에, 한 쌍의 빠짐 방지 돌기를 형성하는 구성을 채용하는 경우(특허문헌 1의 도 14)에는, 빠짐 방지구를 똑바로 삽입할 수 있고, 이러한 의미에서 조작성이 우수하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dopt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 pair of slip prevention protrusions are formed on the upper end surface and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mounting groove (FIG. 14 of Patent Document 1), the slip stopper can be inserted straightly, .

그러나, 이 구성을 채용하는 경우에는, 한 쌍의 빠짐 방지 돌기에 걸리도록, 빠짐 방지구에, 상하 한 쌍의 탄성편을 형성하며, 또한 이 탄성편의 해방단에 각각 돌기를 형성할 필요가 있어, 빠짐 방지구의 구조가 복잡해진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한 쌍의 빠짐 방지 돌기의 돌출 높이의 정밀도가 필요해져, 돌출 높이가 지나치게 높으면 빠짐 방지구를 삽입할 수 없고, 반대로 지나치게 낮으면 빠짐 방지부가 빠져 버릴 우려가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adopting this configuration, it is necessary to form a pair of upper and lower elastic pieces in the releasing groove so as to be caught by the pair of slip prevention protrusions, respectively, and to form projections at the releasing end of the elastic pieces ,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tructure of the exiting zone is complicated. In addition, the projection height of the pair of slip prevention protrusions is required to be precise, and if the protrusion height is excessively high, the slip prevention part can not be inserted, and conversely, if it is excessively low, the slip prevention part may be lost.

또한, 특허문헌 1의 구성에서는, 코일 스프링(23)의 기단부를, 보스부[스프링 받침 돌기(28)]에 밀착하게 끼울 필요가 있기 때문에, 코일 스프링(23)의 조립 작업이 매우 번거로웠다. 또, 코일 스프링(23)의 기단부가, 보스부에 밀착하게 끼워져 있지 않으면, 장착 홈에 빠짐 방지구를 장착하기 이전까지, 빠짐 방지구로부터 코일 스프링이 쉽게 빠진다.In addition, in the structure of the patent document 1, since the base end portion of the coil spring 23 needs to be fitted closely to the boss portion (the spring support projection 28), the assembling work of the coil spring 23 is very troublesome . If the proximal end portion of the coil spring 23 is not closely fitted to the boss portion, the coil spring is easily detached from the slip-off preventing opening until the releasing protrusion is fitted to the mounting recess.

또한, 특허문헌 1~인용문헌 3 중의 어느 것에도, 지주의 각형 구멍(부착 구멍)의 치수가 상이하더라도, 최적 위치에 자동적으로 위치 결정되는 빠짐 방지구(결합 부재)의 구성은 시사되어 있지 않다. 또, 특허문헌 4~6에는, 선반 받침 부재에 관련하여, 단차형 또는 테이퍼형의 부재가 마련되어 있는데, 이들 부재는, 모두 탄발 이동 가능한 부재가 아니기 때문에, 자동적으로 최적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는 있을 수 없다.In addition, none of Patent Documents 1 to 3 suggests a configuration of a releasing restraint (joining member) that is automatically positioned at the optimum position even if the dimensions of the prism hole (attachment hole) are different . In Patent Documents 4 to 6, a stepped or tapered member is provided with respect to the lathe supporting member. Since these members are not members that can move freely, there is a case where they automatically move to the optimum position I can not.

그리고 또한, 어느 특허문헌에도, 빠짐 방지구를 장착 홈에 장착한 상태에서, 선반 받침 부재를 진열 선반판에 일체화한 채로, 단번에 지주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구성은, 개시도 시사도 되어 있지 않다.In addition, none of the patent documents disclose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shelf support member can be detached from the support post at a time while integrating the shelf support member with the display shelf plate in a state where the exit stop is mounted in the mounting groove.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빠짐 방지구의 조립 조작에 있어서의 조작성이 우수하며, 또한 빠짐 방지 돌기를 형성하는 경우에도, 빠짐 방지 돌기의 형성에 특단의 공작 정밀도를 필요로 하지 않는 진열 선반의 조립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지주의 부착 구멍의 치수의 차이에 상관없이, 자동적으로 최적의 유지 상태를 실현 가능하고, 또한 일체적인 이송 작업도 가능한 조립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And to provide an assembling structure of a shelf for a shelf without a shelf. 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ssembly structure capable of automatically achieving an optimum holding state and capable of a single transfer operation irrespective of the difference in dimension of attachment holes of the support.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부착 구멍을 갖고, 제1 방향으로 연달아 설치되는 복수 개의 지주(1)와, 상기 부착 구멍에 삽입되는 지지편을 기점으로 하여 제2 방향으로 돌출되어 진열 부재를 유지하는 선반 받침 부재(2)와, 상기 선반 받침 부재(2)의 일부를 절제하여 형성된 장착부(FX)에 대하여, 제2 방향으로 직진하는 탄발 이동을 허용하여 장착되는 결합 부재(4)를 가지고 구성되며, 상기 장착부(FX)는, 제1 방향의 높이가 균일한 수납폭을, 개방단으로부터 폐색단을 향하여, 제2 방향으로 형성하는 수용 홈(GV)과, 상기 수용 홈(GV)의 개방단에, 상기 수납폭보다 좁은 입구폭을 형성하는 빠짐 방지 돌기(PR)와, 상기 수용 홈(GV)의 폐색단에 근접하여, 상기 수납폭보다 치수가 넓거나 좁은 변형폭을 형성하는 임시 고정부(LK)를 가지고 구성되어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lurality of pillars (1) having attachment holes and being arranged in a first direction and being projected in a second direction starting from a support piece inserted into the attachment hole A lathe supporting member 2 for holding a display member and a mounting portion FX formed by cutting off a part of the lathe supporting member 2 are provided with a coupling member 4 , Wherein the mounting portion (FX) comprises: a receiving groove (GV) for forming a uniform receiving width in a first direction in a second direction from an open end to a closing end; (GV) having a narrower or narrower deformation width than the retention width of the receiving groove (GV), and a deformation preventing projection (LK) to form a temporary fixing portion (LK).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하면, 빠짐 방지구의 조립 조작에 있어서의 조작성이 우수하며, 또한 빠짐 방지 돌기를 형성하는 경우에도, 빠짐 방지 돌기의 형성에 그다지 공작 정밀도를 필요로 하지 않는 진열 선반의 조립 구조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지주의 부착 구멍의 치수의 차이에 상관없이, 자동적으로 최적의 유지 상태를 실현 가능하고, 일체적인 이송 작업도 가능한 조립 구조를 제공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assembling structure of a shelf shelf that does not require much machining accuracy in forming the slip prevention protrusions even when the slip prevention protrusions are formed, Can be realized. 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n assembling structure capable of automatically achieving an optimal holding state, and capable of a single transfer operation, irrespective of differences in dimensions of attachment holes of the support.

도 1은 제1 실시예의 진열 선반의 조립 구조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조립 구조를 실현하는 결합 부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제1 실시예의 결합 부재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선반 받침 부재를 다른 부재와 일체화한 상태인 채로 이동하는 이설(移設) 작업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제2 실시예의 선반 받침 부재의 구성과 효과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제1 실시예의 결합 부재의 변형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제1 실시예의 결합 부재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선반 받침 부재의 변형 형상과, 결합 부재의 또 다른 변형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n assembling structure of a display shelf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ngaging member for realizing the assembling structure shown in Fig. 1.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using the engaging member of the first embodiment.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transfer operation in which the lathe supporting member moves while remaining in unison with another member.
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and effects of the lathe supporting member of the second embodiment.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modification of the engaging member of the first embodiment.
7 is a view showing another modification of the engaging member of the first embodiment.
8 is a view for explaining a deformed shape of the lathe supporting member and another modification of the engaging member.

이하, 실시예에 대하여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실시예에 관련된 진열 선반의 조립 구조에 대하여, 그 구성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Hereinafter, th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ssembling structure of a shelf r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조립 구조는, 세로로 긴 형상의 각형 구멍(HO)을, 동일 피치(Pi)로 복수 개 형성한 단면 コ자형의 지주(1)와, 세로로 긴 각형 구멍(HO)에 삽입되는 지지편(BS)을 기점으로 하여 수평 방향으로 판형으로 돌출되는 선반 받침 부재(선반 받침 바)(2)와, 복수 개의 선반 받침 부재(2)에 의해 하면이 지지되는 진열 선반판(3)과, 선반 받침 부재(2)에 절결 형성된 장착부(FX)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결합 부재(4)로 실현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 (a), this assembling structure is constituted by a support 1 having a square U-shaped cross section in which a plurality of vertically elongated rectangular holes HO are formed at the same pitch Pi, A shelf support member (shelf support bar) 2 protruding in the form of a plate horizontally from a support piece BS inserted into the long rectangular hole HO; And a joining member 4 movably mounted on a mounting portion FX formed in the shelf support member 2 by being cut out.

도 1의 (b)는, 선반 받침 부재(2)의 장착부(FX)에, 결합 부재(4)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도 1의 (a)의 화살표 참조], 결합 부재(4)는, 탈락이 확실하게 방지된 상태에서, 수평 방향의 탄발 이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후술하는 바와 같이, 결합 부재(4)는, 소위 끼워 고정한 상태에서, 선반 받침 부재(2)에 장착될 필요는 반드시 없고, 지그를 사용하지 않는 인위적인 인출 조작만으로, 선반 받침 부재(2)로부터 제거하는 구성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1 (b) shows a state in which the engaging member 4 is mounted on the mounting portion FX of the lathe supporting member 2 (see the arrow in Fig. 1 (a)), Can be elastically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 the dropout being reliably prevented. As described later, the engaging member 4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mounted on the lathe supporting member 2 in a so-called fixed state, and the lathe supporting member 2 can be held by only an artificial pull- It is also possible to employ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light source is removed from the light source.

도 1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반 받침 부재(2)에는, 각형 구멍(HO)의 배치 피치(Pi)에 대응하여, 반전 J자형으로 형성된 한 쌍의 지지편(BS, BS)이, 상하 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반전 J자 형상의 꺾임 내면은 각각, 수평 방향으로 평탄한 정지면(F1, F2)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지지편(BS, BS)에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평탄 상면(U1, U2)과, 평탄 하면(L1, L2)이 형성되어 있다.1 (a), a pair of support pieces BS and BS formed in an inverted J-shape in correspondence with the arrangement pitch Pi of the rectangular holes HO are formed in the lathe supporting member 2, , And are formed continuously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shown in the figure, the inverted J-shaped bent surfaces form flat stop surfaces F1 and F2 in the horizontal direction, respectively. The support pieces BS and BS are formed with flat upper surfaces U1 and U2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flat surfaces L1 and L2.

도 1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탄 상면(U1, U2)의 이격 거리와, 평탄 하면(L1, L2)의 이격 거리와, 정지면(F1, F2)의 이격 거리는 전부, 배치 피치(Pi)와 동일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지지편(BS, BS)의 상하 높이(H)는, 각형 구멍(HO)의 상하 높이보다 적절히 낮게 설정되어 있어, 각형 구멍(HO, HO)에 지지편(BS, BS)을 삽입하는 작업이 용이화되어 있다.The spacing distance between the flat top surfaces U1 and U2 and the spacing distance between the flat bottom surfaces L1 and L2 and the spacing distance between the stopping surfaces F1 and F2 are all Pi). The vertical height H of the support pieces BS and BS is set to be lower than the vertical height of the rectangular hole HO so that the support pieces BS and BS are inserted into the rectangular holes HO and HO The work is facilitated.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편(BS, BS)의 정지면(F1, F2)에 대략 직교하여, 각각, 수직 하강면(D1, D2)이 형성되어 있다. 하방측의 수직 하강면(D2)은, 지주(1)의 판두께에 대응하여 형성되고, 조립 상태에서, 지주(1)에 거의 접촉하는 위치에서 수직 하강하고 있다[도 3의 (c) 참조]).As shown in the drawings, the vertically descending surfaces D1 and D2 are formed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stop surfaces F1 and F2 of the support pieces BS and BS, respectively. The vertically descending surface D2 on the lower side is formed corresponding to the plate thickness of the column 1 and is vertically lowered at a position substantially in contact with the column 1 in the assembled state (see FIG. 3C) ]).

한편, 상방측의 수직 하강면(D1)은, 조립 상태에서도, 지주(1)에 접촉하지 않는 위치에서 수직 하강하고 있어[도 3의 (c) 참조], 조립 작업의 용이화를 도모하고 있다. 상방측의 수직 하강면(D1)은, 그 하측에 위치하는 빠짐 방지 돌기(PR)에 연속되어 있고, 빠짐 방지 돌기(PR)의 상하 단부면은, 조립 상태에서, 지주(1)에 거의 접촉 가능한 위치에서 수직 하강하고 있다(도 3 참조).On the other hand, the vertical lowering surface D1 on the upper side is vertically lowered at a position not contacting the column 1 even in the assembled state (see Fig. 3 (c)), thereby facilitating the assembling work . The vertical lowering surface D1 on the upper side is continuous with the falling preventing projections PR located on the lower side and the upper and lower end surfaces of the falling preventing projections PR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See Fig. 3).

다음으로, 장착부(FX)는, 하방측의 평탄 상면(U2)에 연속하여 대략 동일한 수납폭(상하 높이)을 형성하는 수용 홈(GV)과, 수용 홈(GV)의 개방단에, 수납폭보다 좁은 입구폭을 형성하는 빠짐 방지 돌기(PR)를 가지고 구성되어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빠짐 방지 돌기(PR)의 상하 단부면은, 하방측의 수직 하강면(D2)의 위치에 대응하고 있다.Next, the mounting portion FX is provided with a receiving groove GV which is continuous with the flat upper surface U2 on the lower side and which has substantially the same receiving width (vertical height) And a slip prevention protrusion PR which forms a narrower entrance width. As described above, the upper and lower end surfaces of the slip prevention projections PR correspond to the positions of the vertically descending surfaces D2 on the lower side.

도 2는 결합 부재(4)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 부재(4)는, 일체 성형된 합성 수지제의 본체부(BY)와, 본체부(BY)에 삽입되는 코일형의 탄성 스프링(SP)으로 크게 나뉜다. 본체부(BY)는, 선반 받침 부재(2)의 판두께에 대응하는 이격 거리를 가지고 대면하는 한 쌍의 파지편(10, 10)과, 파지편(10, 10) 사이에 형성된 삽입편(11)을 가지고 구성되어 있다.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engaging member 4. Fig. As shown in the figure, the coupling member 4 is roughly divided into a main body BY made of a synthetic resin and a coil-like elastic spring SP inserted into the main body BY. The main body BY includes a pair of gripping pieces 10 and 10 facing each other at a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plate thickness of the lathe supporting member 2 and an insertion piece 11).

또, 실시예의 결합 부재(4)는, 파지편(10)의 최대 높이(H)가 8 ㎜ 정도, 삽입편(11)으로부터 파지편(10)까지의 최대 치수(L)가 20 ㎜ 정도로서, 총중량이 1 g 정도로 경량화된 소형의 부재이다.The maximum engaging member 4 of the embodiment has a maximum height H of about 8 mm and a maximum dimension L from the insertion piece 11 to the gripping piece 10 of about 20 mm, It is a small member with a gross weight of about 1 g.

또한, 한 쌍의 파지편(10, 10)은, 결합 부재(4)를 수용 홈(GV)에 장착하는 경우, 및 지주(1)에 선반 받침 부재(2)를 고정한 후, 지주(1)로부터 선반 받침 부재(2)를 분리하는 경우에, 조작자가 파지하여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부분이다.The pair of gripping pieces 10 and 10 can be attached to the supporting post 1 after the engaging member 4 is mounted in the receiving groove GV and after the rack supporting member 2 is fixed to the supporting post 1, Which is gripped by the operator and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shown in the figure when the shelf receiving member 2 is detached.

파지편(10)은, 그 용도를 고려하여, 사용 상태에서 대략 수직면을 형성하는 판형부(10a)와, 장착 방향을 향하여 융기 형상을 형성하는 융기부(10b)로 구성되어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장착시의 이동 방향을 향하여 서서히 두꺼워지는 융기부(10b)를 형성함으로써[도 2의 (d) 참조], 수평 방향의 이동 조작을 용이화하고 있다.In consideration of its use, the gripping piece 10 is composed of a plate-like portion 10a which forms a substantially vertical surface in use and a raised portion 10b which forms a protruding shape toward the mounting direction. That is, in this embodiment, the protruding portion 10b which gradually increases in the moving direction at the time of mounting is formed (see Fig. 2 (d)), thereby facilitating the moving opera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또한, 파지편(10)의 상하 높이는 수용 홈(GV)의 상하 높이(수납폭)보다 높게 설정되고, 파지편(10)의 수평 길이는 수용 홈(GV)의 절입 깊이(좌우폭)보다 적절히 길게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결합 부재(4)가 수용 홈(GV)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결합 부재(4)의 이동 위치에 상관없이, 수용 홈(GV)은 파지편(10)에 의해 덮이게 된다[도 1의 (b) 참조].The vertical length of the gripping piece 10 is set to be higher than the vertical height (storage width) of the receiving groove GV and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gripping piece 10 is appropriately longer than the depth of insertion Respectively. Therefore, in the state in which the engaging member 4 is mounted in the receiving groove GV, the receiving groove GV is covered by the gripping piece 10 regardless of the moving position of the engaging member 4 1 (b)].

다음으로, 삽입편(11)에 대하여 설명하면, 삽입편(11)의 기단측에는, 탄성 스프링(SP)을 유지하는 원통형의 개구 구멍(수용 원통 구멍)(12)이 형성되어 있다[도 2의 (d) 참조].Next, the insertion piece 11 will be described. In the base end side of the insertion piece 11, a cylindrical opening hole (accommodating cylindrical hole) 12 for holding the elastic spring SP is formed (see Fig.

여기서, 개구 구멍(12)은, 탄성 스프링(SP)의 외경보다 약간 큰 내경을 갖는 대직경 원통 구멍(12a)과, 탄성 스프링(SP)의 외경과 거의 동일하고 약간 작은 안쪽 저부를 형성하는 소직경 원통 구멍(12c)과, 테이퍼 형상의 연락 구멍(12b)으로 구분된다[도 2의 (f) 참조]. 그리고, 예컨대, 탄성 스프링(SP)의 내부에 둥근 막대형의 지그를 삽입한 상태인 채로, 탄성 스프링(SP)을 개구 구멍(12)의 안쪽 저부[소직경 원통 구멍(12c)]에 압입함으로써, 탄성 스프링(SP)의 기단을 개구 구멍(12)의 안쪽 저부에 고정한다.The opening hole 12 has a large-diameter cylindrical hole 12a having an inner diameter slightly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resilient spring SP and a small-diameter cylindrical hole 12b having almost the same outer diameter as the resilient spring SP, Diameter cylindrical hole 12c, and a tapered communication hole 12b (see FIG. 2 (f)). Then, the elastic spring SP is press-fitted into the inner bottom portion (small-diameter cylindrical hole 12c) of the opening hole 12, for example, while the round bar-shaped jig is inserted into the elastic spring SP , The base end of the elastic spring (SP) is fixed to the inner bottom of the opening hole (12).

예컨대, 특허문헌 1과 같은 종래 구성에서는, 결합 부재에 형성한 돌기부에, 스프링의 종단부를 밀착하게 끼울 필요가 있고, 간단히 수축되어 버리는 스프링을 돌기부에 밀착하게 끼우는 것이 용이하지 않았지만, 본 실시예의 구성에서는, 개구 구멍(12)의 소직경 원통 구멍(12c) 속에, 탄성 스프링(SP)을 강하게 압입하면 족하기 때문에, 부착 작업이 매우 용이하다. 게다가, 본 실시예의 경우, 대직경 원통 구멍(12a)과 탄성 스프링(SP) 사이에는, 적절한 간극이 형성되기 때문에, 탄성 스프링(SP)의 확실한 신축 동작이 담보된다.For example, in the conventional structure as in Patent Document 1, it is necessary to fit the end portion of the spr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projection formed on the coupling member, and it is not easy to fit the spring which is simply contracted into close contact with the projection. , It is sufficient to strongly press the elastic spring SP into the small-diameter cylindrical hole 12c of the opening hole 12, so that the attachment work is very easy. Further,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since a proper clearance is formed between the large-diameter cylindrical hole 12a and the elastic spring SP, the reliable expansion and contraction action of the elastic spring SP is ensured.

또한, 개구 구멍(12)의 깊이는, 자연 상태의 탄성 스프링(SP)의 전체 길이의 1/3~2/5 정도를 수납 가능한 깊이로 형성되어 있고, 개구 구멍(12)의 깊이분만큼, 탄성 스프링(SP)의 전체 길이를 길게 확보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스프링 계수가 작은 분만큼, 장기간의 가압 상태[도 3의 (e) 참조]에서 축적되는 수축 스트레스가 적고,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탄성 스프링(SP)의 전체 길이가 길기 때문에, 최적의 치수로 수축 설정하는 것이 용이하고, 원하는 반발력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The depth of the opening hole 12 is set to a depth capable of accommodating about 1/3 to 2/5 of the total length of the elastic spring SP in its natural state. The entire length of the elastic spring SP can be secured. Therefore, in this embodiment, the shrinkage stress accumulated in the long-time pressurized state (see FIG. 3 (e)) is reduced by an amount corresponding to a small spring coefficient, and the durability can be increased. In addition, since the entire length of the elastic spring SP is long, it is easy to set the shrinkage to an optimum dimension, and desired repulsive force can be easily realized.

구체적으로 확인하면, 실시예의 경우, 개구 구멍(12)의 깊이는, 자연 상태의 탄성 스프링(SP)의 전체 길이의 1/3~2/5 정도이기 때문에, 종래 구성(예컨대 특허문헌 1)의 결합 부재에서 사용하는 스프링과 비교한 경우, 그 전체 길이를 2배 또는 그 이상으로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동일 재료로, 동일 선직경, 동일 개구경, 동일 피치의 스프링을 구성한 경우, 그 스프링 계수가 권수에 반비례하게 되고, 최적의 반발력에 대응하는 수축 거리의 설정이 용이하며, 최적의 수축 상태를 실현할 수 있다.Specifically, in the case of the embodiment, since the depth of the opening 12 is about 1/3 to 2/5 of the total length of the elastic spring SP in the natural state, In comparison with the spring used in the coupling member, the total length can be doubled or more. Therefore, when a spring having the same line diameter, the same opening diameter, and the same pitch as the same material is used, the spring coefficient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number of turns, the contraction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optimum repelling force is easily set, State can be realized.

다음으로, 삽입편(11)에 대하여 설명하면, 삽입편(11)의 저면(BT)은, 파지편(10)의 저면보다 상측에 위치하고, 평탄한 수평면을 형성하고 있다[도 2의 (c), 도 2의 (g) 참조]. 삽입편(11)의 저면(BT)은, 결합 부재(4)의 장착시나, 지주(1)로부터 선반 받침 부재(2)를 분리할 때에, 수용 홈(GV)의 평탄 상면(U2)을 미끄럼 이동하는 부분이고, 삽입편(11)의 저면(BT)이 평탄면으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조작성이 좋은 수평 방향의 이동이 실현된다.Next, referring to the insertion piece 11, the bottom surface BT of the insertion piece 11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holding piece 10 and forms a flat horizontal surface (Fig. 2 (c) , See Fig. 2 (g)]. The bottom surface BT of the insertion piece 11 is formed so that the flat upper surface U2 of the receiving groove GV is slid when the engaging member 4 is mounted or when the lathe supporting member 2 is detached from the support 1. [ And the bottom surface BT of the insertion piece 11 is formed as a flat surface, the movemen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 good operability is realized.

또한, 삽입편(11)은, 저면(BT)으로부터의 높이의 차이에 기초하여, 최저 높이의 선단부(11a)와, 1단 높은 중앙부(11b)와, 최고 높이의 기단부(11c)로 크게 나뉘고, 전체적으로 단차 형상을 형성하고 있다.The insertion piece 11 is largely divided into a distal end portion 11a having the lowest height, a middle portion 11b having the higher height and a proximal end portion 11c having the highest height on the basis of the difference in height from the bottom surface BT , Thereby forming a stepped shape as a whole.

또, 도 2의 (a)~(d)에서는, 선단부(11a)와 중앙부(11b)의 판두께가 동일하게 기재되어 있지만, 중앙부(11b)로부터 선단부(11a)를 향하여 판두께를 변화시킴으로써, 선단 테이퍼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2의 (g)의 평면도 참조]. 이러한 구성을 채용하면, 탄성 스프링(SP)의 압박력에 기초하여, 삽입편(11)이, 지주(1)의 각형 구멍(HO)에 자동 삽입되는 진입 동작이 원활화되고, 최적 위치까지 용이하게 진입한다.2 (a) to 2 (d), the thicknesses of the front end portion 11a and the center portion 11b are the same. However, by changing the plate thickness from the central portion 11b toward the front end portion 11a, It is preferable to adopt a tip tapered shape (see a plan view of FIG. 2 (g)). With this configuration, the insertion operation for automatically inserting the insertion piece 11 into the rectangular hole HO of the support post 1 is facilitated based on the urging force of the resilient spring SP, do.

그리고, 기단부(11c)에는, 중앙부(11b)를 향하여 원호형으로 솟구쳐 오르는 걸림편(13)이 형성되어 있다. 걸림편(13)의 솟구침 높이는, 수용 홈(GV)의 상하 방향의 수납폭에 대응하여 설정되어 있고, 결합 부재(4)가 수용 홈(GV)에 장착된 상태에서, 걸림편(13)의 돌출 선단이 수용 홈(GV)의 상면에 도달하는 정도로 형성되어 있다.The base end portion 11c is formed with a latching piece 13 which is raised in an arcuate shape toward the central portion 11b. The escape height of the engaging piece 13 is set corresponding to the accommodating width of the receiving groove GV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And the protruding tip reaches the upper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GV.

또한, 이 걸림편(13)은, 적절한 탄성을 발휘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탄성 스프링(SP)의 탄성에 대항하여, 결합 부재(4)를 수용 홈(GV)에 장착할 때에는[도 2의 (a)의 화살표 참조], 빠짐 방지 돌기(PR)에 가압되어 항복 변형함으로써, 원활한 장착 조작이 실현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결합 부재(4)의 장착시에는, 삽입편(11)의 저면(BT)이, 수용 홈(GV)의 평탄 상면(U2)을 원활히 미끄럼 이동하는데, 이 미끄럼 이동에 맞춰, 걸림편(13)이 항복 변형함으로써, 수평 방향의 원활한 장착 동작이 실현된다.When the engaging member 4 is attached to the receiving groove GV against the elasticity of the elastic spring SP (see Fig. 2 ( (see arrows in a)], and is subjected to yield deformation by being pressed against the dropout preventing projection PR, a smooth mounting operation is realized. The bottom surface BT of the insertion piece 11 smoothly slides on the flat upper surface U2 of the receiving groove GV at the time of mounting the engaging member 4, By the yielding deformation of the engaging piece 13, a smooth horizontal mounting operation can be realized.

또, 이러한 항복 변형을 실현함에 있어서, 빠짐 방지 돌기(PR)의 돌출량이나, 걸림편(13)의 솟구침 높이의 정밀도는, 특별히 문제가 되지 않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는, 선반 받침 부재(2), 특히 빠짐 방지 돌기(PR)의 공작 정밀도가 특별히 요구되지 않는다는 이점이 있다.In order to realize such a yielding deformation, the protrusion amount of the slip-off preventing projection PR and the accuracy of the breaking-out height of the latching piece 13 are not particularly problematic. Therefore, in this embodiment, ), In particular, that the work accuracy of the slip-preventing projection PR is not particularly required.

빠짐 방지 돌기(PR)를 통과한 걸림편(13)은, 이전의 솟구침 형상으로 되돌아가, 그 돌출 선단이 수용 홈(GV)의 상면에 거의 도달하게 된다. 또, 이러한 장착 조작을 끝내고, 조작자가 파지편(10, 10)을 손에서 놓으면, 탄성 스프링(SP)의 탄성에 기초하여, 결합 부재(4)가 분리 방향으로 이동하지만, 걸림편(13)의 돌출 선단이 빠짐 방지 돌기(PR)에 접촉됨으로써, 그 이상의 이동이 확실하게 저지된다.The retaining piece 13 that has passed through the retaining projection PR returns to the previous escape shape and its projecting tip almost reaches the upper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GV. When the operator releases the gripping pieces 10 and 10 from the hand after completing the mounting operation, the engaging member 4 moves in the separating direction based on the elasticity of the elastic spring SP, The protrusion tip of the protrusion PR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lip prevention protrusion PR, so that further movement is reliably prevented.

또한, 어떠한 이유로 강한 외력을 받은 경우에도, 걸림편(13)의 돌출 선단이 빠짐 방지 돌기(PR)에 확실하게 접촉됨으로써, 결합 부재(4)가 수용 홈(GV)으로부터 빠지는 것이 확실하게 방지된다. 또, 이러한 빠짐 방지 동작을 실현함에 있어서도, 빠짐 방지 돌기(PR)나 걸림편(13)의 공작 정밀도가 거의 문제가 되지 않는다.Also, even when a strong external force is applied for some reason, the projecting end of the engaging piece 13 is surely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escape projection PR, thereby reliably preventing the engaging member 4 from being disengaged from the receiving groove GV . In addition, in realizing such a slip-off preventing operation, the work accuracy of the slip-off preventing projection PR and the engaging piece 13 hardly becomes a problem.

그런데, 도시한 예에서는, 걸림편(13)이, 역원호형으로 솟구쳐 오르도록 형성되어 있지만, 직선적으로 상승하는 직선 형상으로 형성하고, 그 돌출 선단을 적절한 둥근형으로 하면, 약간 강한 인출 조작만으로, 걸림편(13)의 돌출 선단이 빠짐 방지 돌기(PR)를 타고 넘기 때문에, 걸림편(13)을 인출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 끼워 고정하는 구조는 주지되어 있어도, 확실한 유지 상태를 확보하는 한편, 필요시에는 인위적인 제거도 가능한 구성은 주지되어 있지 않다.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latching piece 13 is formed so as to rise up in a counter-arc shape. However, when the latching piece 13 is formed in a linear shape rising linearly, and the projecting end is formed into a proper round shape, The projection end of the piece 13 rides over the slip prevention projection PR, so that the latch piece 13 can be pulled out. Further, although a structure for fitting and fixing is well known, a configuration capable of ensuring a reliable holding state and capable of artificial removal when necessary is not known.

도 3은, 제1 실시예의 조립 구조의 동작 순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우선, 결합 부재(4)를 장착한 선반 받침 부재(2)를, 지주(1)의 각형 구멍(HO)에 대응하여 수평 자세로 위치 결정하고[도 3의 (a)], 선반 받침 부재(2)의 지지편(BS, BS)을, 각형 구멍(HO, HO)에 삽입한다. 그렇게 하면, 도 3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편(BS, BS)이 각형 구멍(HO, HO)에 진입하는 것에 대응하여, 지주(1)의 비개구부가, 결합 부재(4)에 접촉하여, 결합 부재(4)를 도시 우방향으로 가압한다.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procedure of the assembling structure of the first embodiment. First, the lathe supporting member 2 having the engaging member 4 mounted thereon is positioned in a horizontal posture corresponding to the rectangular hole HO of the post 1 (Fig. 3 (a)), and the lathe supporting member 2 2 are inserted into the rectangular holes HO, HO. 3 (b), corresponding to the entry of the support pieces BS and BS into the square holes HO and HO, the non-opening portion of the support 1 is engaged with the engaging member 4, So that the engaging member 4 is urged in the right-and-left direction.

그 후, 선반 받침 부재(2)를 더욱 진입시켜, 선반 받침 부재(2)의 하측 수직 하강면(D2)을, 지주(1)의 비개구부에 접촉시킨 후, 선반 받침 부재(2)를 강하시킨다[도 3의 (c) 참조]. 그렇게 하면, 선반 받침 부재(2)와 함께 강하한 결합 부재(4)의 전방에, 각형 구멍(HO)이 위치한다. 그 때문에, 그 후에는, 탄성 스프링(SP)의 탄발력에 기초하여, 결합 부재(4)가 도시 좌방향으로 이동하여, 결합 부재(4)의 삽입편(11)이, 각형 구멍(HO) 속으로 진입하게 된다.Thereafter, the lathe supporting member 2 is further advanced so that the lower vertical descending surface D2 of the lathe supporting member 2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non-opening portion of the supporting strut 1, (See Fig. 3 (c)). Then, the rectangular hole HO is located in front of the engaging member 4 which is lowered together with the lathe supporting member 2. The engaging member 4 is moved in the leftward direction in the drawing and the insertion piece 11 of the engaging member 4 is inserted into the rectangular hole HO on the basis of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spring SP, .

그리고, 결합 부재(4)가 어느 정도까지 각형 구멍(HO)에 진입하면, 걸림편(13)의 돌출 선단이, 빠짐 방지 돌기(PR)에 접촉됨으로써, 그 이상의 진입이 저지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는, 삽입편(11)의 선단부(11a)는, 여유를 가지고 각형 구멍(HO)에 진입하는 치수로 구성되어 있지만, 중앙부(11b)는, 각형 구멍(HO)의 상측 내면에 근접하는 치수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 3의 (c)의 정지 위치에서 조립 작업이 완료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걸림편(13)이 솟구침 형상을 갖고 있기 때문에, 결합 부재(4)의 수용 홈(GV)으로부터의 빠짐이 확실하게 방지된다. 또한, 중앙부(11b)는, 진입 상태에서, 각형 구멍(HO)의 상측 내면에 근접하는 정도의 치수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조립 후의 덜걱거림이 확실하게 방지된다.When the engaging member 4 enters the rectangular hole HO to some extent, the protruding end of the engaging piece 13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lip prevention protrusion PR, thereby preventing further entry. The distal end portion 11a of the insertion piece 11 has a dimension allowing a margin to enter the rectangular hole HO as shown in the figure, The assembling operation is completed at the stop position in Fig. 3 (c). 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engaging piece 13 has a breaking-out shape, the engagement member 4 can be surely prevented from coming out of the receiving groove GV. Further, since the center portion 11b is set to a dimension close to the upper inner surface of the rectangular hole HO in the entering state, the rattling after assembly is reliably prevented.

그런데, 제1 실시예의 결합 부재(4)는, 그 삽입편(11)이, 선단부(11a)와 중앙부(11b)에서 단차 형상을 갖고 있기 때문에, 지지편(BS)이나 각형 구멍(HO)의 치수가 상이한 경우에도 사용할 수 있다. 도 3의 (d)~(e)는, 이 관계를 도시한 것으로, 지지편(BS)의 상하 높이가, 도 3의 (a)의 H로부터 h로 소형화되고, 이 상하 높이(h)에 대응하여, 각형 구멍(HO)의 상하 치수가 소형화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Since the engaging member 4 of the first embodiment has a stepped shape at the distal end portion 11a and the central portion 11b of the engaging member 11, It can also be used when the dimensions are different. 3 (d) to 3 (e) show this relationship. The vertical height of the support piece BS is reduced from H to h in FIG. 3 (a) And the vertical dimension of the rectangular hole HO is correspondingly reduced.

도 3의 (d)는, 선반 받침 부재(2)의 지지편(BS, BS)을, 각형 구멍(HO, HO)에 삽입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각 부재는, 도 3의 (a)나 (b)와 동일하게 동작한다. 다만, 삽입편(11)의 선단부(11a)는, 소형화된 각형 구멍(HO)의 상측 내면에 근접하는 정도의 치수로 구성되고, 중앙부(11b)는, 소형화된 각형 구멍(HO)에 진입 불가능한 치수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 3의 (e)의 상태에서 정지한다.3 (d) shows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pieces BS and BS of the lathe supporting member 2 are inserted into the rectangular holes HO and HO, (b). The distal end portion 11a of the insertion piece 11 has a dimension close to the upper inner surface of the miniaturized rectangular hole HO and the central portion 11b has a dimension that is not allowed to enter the miniaturized rectangular hole HO 3 (e) because it is made up of dimensions.

즉, 본 실시예의 결합 부재(4)에 의하면, 지지편(BS)이나 각형 구멍(HO)의 치수의 차이에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 제1 실시예에서는, 2단계의 단차 형상을 갖고 있기 때문에, 도 3의 (c)와 (e)의 2 패턴의 조립 구조밖에 실현할 수 없지만, 다단의 단차 형상으로 하거나, 혹은 단차 형상 대신에, 직선적 또는 곡선적인 테이퍼 형상으로 하면, 다수 패턴의 조립 구조를 실현할 수 있다.That is, with the engaging member 4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used irrespective of the difference in dimension of the support piece BS and the rectangular hole HO. In addition, in the first embodiment, since the stepped shape is formed in two steps, only the assembly structure of two patterns (c) and (e) in FIG. 3 can be realized. However, A tapered shape that is linear or curved, it is possible to realize an assembly structure of a plurality of patterns.

이러한 점을 확인하면, 테이퍼 형상을 채용하는 구성이어도, 지주(1)의 각형 구멍(HO, HO)에 선반 받침 부재(2)의 지지편(BS, BS)을 삽입하여 선반 받침 부재(2)를 강하시키면, 탄성 스프링(SP)의 압박력에 의해 삽입편(11)이 최적 위치까지 돌출되기 때문에, 삽입편(11)의 상면이, 각형 구멍(HO)의 상측 내면을 최적 위치에서 유지하게 된다. 즉, 직선형 또는 원호형의 테이퍼 형상에 의해, 지주(1)의 각형 구멍(HO)의 높이 방향의 치수차를 흡수하여, 지주(1)와 선반 받침 부재(2)를 최적 위치에서 일체화시켜 덜걱거림을 방지할 수 있다.The support pieces BS and BS of the lathe supporting member 2 are inserted into the rectangular holes HO and HO of the column 1 to form the lathe supporting member 2, The insertion piece 11 protrudes to the optimum position by the urging force of the elastic spring SP so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insertion piece 11 maintains the upper inner surface of the square hole HO at the optimum position . That is, the tapered shape of the linear or arcuate shape absorbs the dimensional difference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rectangular hole HO of the column 1, and integrally supports the column 1 and the rack receiving member 2 at the optimum positions, It is possible to prevent stumbling.

한편, 선반 받침 부재(2)를 지주(1)로부터 분리시키는 경우에는, 파지편(10)을 유지하여, 결합 부재(4)를 수용 홈(GV)의 안쪽 저부측(도 3의 우측)으로 후퇴시키고, 그 유지 상태인 채로, 선반 받침 부재(22)를 도 3의 (b)의 위치까지 들어올린 후, 지주(1)의 각형 구멍(HO)으로부터, 선반 받침 부재(2)의 지지편(BS)을 인출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separating the shelf supporting member 2 from the support 1, the holding piece 10 is held and the engaging member 4 is moved to the inner bottom side (the right side in Fig. 3) of the receiving groove GV The shelf support member 22 is lifted up to the position of FIG. 3 (b), and the support member 2 is lifted up from the rectangular hole HO of the support 1, (BS).

그런데, 이 인출 작업에 있어서, 선반 받침 부재(2)를 1개씩 인출하는 것은 매우 번거로워, 단번에 인출 작업을 끝내고 싶은 경우도 많다. 예컨대, 도 4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 한 쌍의 선반 받침 부재(2, 2)의 위에 진열 선반판(3)을 배치한 상태인 채로, 지주(1, 1)의 각형 구멍(HO, HO)으로부터, 좌우의 선반 받침 부재(2, 2)를 단번에 인출하고 싶은 경우가 있다. 또한, 도 4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반 받침 부재(2, 2)의 위에 진열 선반판(3)을 배치한 채로, 각형 구멍(HO, HO)에 대한 장착 위치를, 상하 어느 쪽으로 수개의 단만큼 이동시키고 싶은 경우도 있다.In this drawing operation, it is very troublesome to draw the shelf supporting members 2 one by one, and there are many cases where the drawing operation is finished at a tim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a), while the shelf board 3 is placed on a pair of right and left shelf receiving members 2, 2, HO, HO) of the right and left shelf receiving members 2, 2 at a time. 4 (b), while the shelf board 3 is arranged on the shelf support members 2, 2, the mounting positions for the square holes HO, HO are set to be either upward or downward You may want to move by several stages.

또, 도 4의 (a)에 있어서, 선반 받침 부재(2)의 선단에는, 진열 선반판(3)의 미끄러져 떨어짐을 방지하는 빠짐 방지 돌기(51)가 형성되고, 진열 선반판(3)의 하면에는, 2개의 가로 바(52)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좌우의 선반 받침 부재(2, 2)가, 진열 선반판(3)의 하면의 가로 바(52)를 협지한 상태에서, 진열 선반판(3)과 선반 받침 부재(2, 2)의 전체가 일체화되어 있고, 이 전체를 통합하여 이동할 수 있으면, 별도의 진열 위치로의 이송 작업이나, 진열 높이의 조정 작업에 있어서 매우 편리하다. 또, 이러한 점들은, 진열 선반판(3)과 일체화된 선반 받침 부재(2, 2)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도 4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행거 파이프(HG)의 양단을 한 쌍의 선반 받침 부재(2, 2)가 협지하는 경우도 마찬가지이다.4 (a), a shelf support member 2 is provided at its front end with a stop protrusion 51 for preventing the display shelf plate 3 from slipping off, And two horizontal bars 52 are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rame. The left and right shelf receiving members 2 and 2 are disposed on the side of the display shelf plate 3 and the shelf receiving members 2 and 2 in a state in which the horizontal bars 52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helf board 3 are sandwiched. If the entire structure is integrated and can be moved integrally, it is very convenient in the transfer operation to the separate display position and the height adjustment of the display height. These points are not limited to the shelf supporting members 2 and 2 integrally formed with the display shelf plate 3. 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c), both ends of the hanger pipe HG are connected to a pair This is the same in the case where the shelf support members 2, 2 are sandwiched.

그래서,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제2 실시예의 선반 받침 부재(2)는, 수용 홈(GV)의 안쪽 저부측에, 결합 부재(4)의 걸림편(13)을 일시 유지하는 임시 고정부(LK)를 형성하고 있다. 임시 고정부(LK)는, 예컨대, 걸림편(13)의 돌출 선단을 걸 수 있는 걸림 돌기(LKa)[도 5의 (a)]나, 돌출 선단을 수용할 수 있는 걸림 구멍(LKb)[도 5의 (b)]에 의해 실현된다.Therefore, in consideration of this point, the lathe supporting member 2 of the second embodiment is provided with a temporary fixing portion (not shown) for temporarily retaining the engaging piece 13 of the engaging member 4 on the inner bottom side of the receiving groove GV LK). The temporary fixing section LK is provided with a locking protrusion LKa (FIG. 5A) capable of hanging the projecting end of the locking piece 13 and a locking hole LKb (B) of Fig. 5).

또한, 임시 고정부(LK)는, 수용 홈(GV)의 안쪽 저부측을 협폭으로 한 긴밀부(LKc)에 의해 실현할 수도 있다[도 5의 (c) 참조]. 또, 도 5의 (c)의 구성에서는, 긴밀부(LKc)의 돌출 높이는, 걸림편(13)의 탄성력에 대응하여, 빠짐 방지 돌기(PR)의 돌출 높이와, 거의 동일하거나, 약간 높게 형성되어 있다.The temporary fixing portion LK can also be realized by the tight portion LKc with the narrower inner bottom portion of the receiving groove GV (see Fig. 5 (c)). 5 (c), the protruding height of the tight fitting portion LKc is substantially equal to or slightly higher than the protruding height of the slip preventing protrusion PR corresponding to the elastic force of the latching piece 13 .

어느 것으로 하든, 본 실시예에서는, 결합 부재(4)의 걸림편(13)이, 적절한 탄성을 갖고, 빠짐 방지 돌기(PR)를 향하여 상승하기 때문에, 도 5의 (a)~(c) 어느 구성이든, 결합 부재(4)의 선단면(FT)을, 빠짐 방지 돌기(PR)의 상하 단부면(수직 하강면)보다 수용 홈(GV)의 안쪽 저부측으로 후퇴시킨 임시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In any case,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engaging piece 13 of the engaging member 4 has appropriate elasticity and rises toward the slip-off preventing projection PR, any one of Figs. 5 (a) to 5 (c)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temporarily fixed state in which the front end face FT of the engaging member 4 is retracted toward the inner bottom side of the receiving groove GV than the upper and lower end faces (vertical lower face) of the escape projection PR .

즉, 도 5의 (a)나 (b)의 구성에 있어서, 파지편(10)을 유지하여, 결합 부재(4)를 수용 홈(GV)의 안쪽 저부 방향(우방향)으로 적절히 후퇴시키면, 걸림편(13)이 임시 고정부(LK)를 타고 넘기 때문에, 그 후에는, 파지편(10)을 손에서 놓아도, 걸림편(13)의 돌출 선단이 걸림 돌기(LKa)에 걸리거나, 혹은 걸림편(13)의 돌출 선단이 걸림 구멍(LKb)에 몰입됨으로써, 결합 부재(4)의 걸림 유지 상태가 유지되고, 삽입편(11)의 선단면(FT)이 수용 홈(GV)의 내부에서 안정적으로 정지한다.5 (a) and 5 (b), when the gripping piece 10 is held and the engaging member 4 is appropriately retreated in the inner bottom direction (rightward direction) of the receiving groove GV, The protruding end of the latching piece 13 is caught by the latching protrusion LKa even when the holding piece 10 is released from the hand because the latching piece 13 passes over the temporary fixing portion LK, The projecting end of the engaging piece 13 is immersed in the engaging hole LKb so that the retaining state of the engaging member 4 is maintained and the distal end face FT of the insertion piece 11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GV .

또한, 도 5의 (c)의 구성에서는, 파지편(10)을 유지하여, 결합 부재(4)를 수용 홈(GV)의 안쪽 저부 방향으로 한계 위치까지 후퇴시키면, 탄성을 갖는 걸림편(13)이, 협폭의 긴밀부(LKc)의 내벽을 가압함으로써, 그 유지 상태가 유지된다.5 (c), when the gripping piece 10 is held and the engaging member 4 is retracted to the limit position in the inner bottom direction of the receiving groove GV, the engaging piece 13 having elasticity ) Is pressed against the inner wall of the narrow width portion LKc, the holding state is maintained.

그리고, 어느 구성이든, 결합 부재(4)가, 임시 고정부(LK)에 유지된 상태에서는, 삽입편(11)의 선단 수직 하강면(SF)은, 빠짐 방지 돌기(PR)의 상하 단부면보다 내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선반 받침 부재(2)의 자유로운 상하 이동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도 5에 나타내는 제2 실시예의 선반 받침 부재(2)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 4의 (a)~(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단번에 실행되는 인출 작업이 가능해진다.In any configuration, in a state in which the engaging member 4 is held in the provisional fixing portion LK, the tip vertically descending surface SF of the insertion piece 11 is located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upper and lower end surfaces of the detachment projection PR The lathe supporting member 2 can be freely moved up and down. Therefore, in the case of using the lathe supporting member 2 of the second embodiment shown in Fig. 5, the draw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at one time as shown in Figs. 4 (a) to 4 (c).

작업 내용을 구체적으로 확인하면, 우선 결합 부재(4)의 파지편(10)을 유지하고, 이것을 수용 홈(GV)의 안쪽 저부 방향으로 이동시켜, 임시 고정부(LK)를 기능시킴으로써, 도 4의 (a)~(c)에 나타내는 일시 유지 상태를 실현한다.By confirming the details of the operation, the gripping piece 10 of the engaging member 4 is first held and moved in the inner bottom direction of the receiving groove GV to function as the temporary fixing portion LK, (A) to (c) of Fig.

이와 같이 하여, 선반 받침 부재(2, 2)에 장착된 2개의 결합 부재(4, 4)를 압입하여 일시 유지하는 임시 고정 작업을 끝내면, 좌우 한 쌍의 선반 받침 부재(2, 2)의 자유 이동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후에는, 진열 선반판(3)이나 행거 파이프(HG)와 일체화된 선반 받침 부재(2, 2)를 단번에 인출할 수 있고, 그 일체화 상태인 채로, 다른 부착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When the two fixing members 4 and 4 attached to the shelf supporting members 2 and 2 are pressed and temporarily held in this way, the freeing of the pair of left and right shelf supporting members 2 and 2 The shelf supporting members 2 and 2 integrated with the display shelf plate 3 and the hanger pipe HG can be taken out at one time and moved to another mounting position while maintaining the integrated state .

그리고, 이동 완료 후에는, 선반 받침 부재(2, 2)를 강하시킨 상태[도 3의 (c) 참조]에서 파지편(10)을 유지하여, 결합 부재(4)를 수용 홈(GV)의 입구 방향으로 유도하면, 임시 고정부(LK)를 타고 넘은 걸림편(13)의 돌출 선단이, 이번에는 빠짐 방지 돌기(PR)에 걸림으로써, 본래의 정지 위치에서 안정된다. 따라서, 그 후에는, 선반 받침 부재(2)가 지주(1)의 각형 구멍(HO)으로부터 빠지는 경우가 없다.After the completion of the movement, the gripping piece 10 is held in a state in which the shelf receiving members 2 and 2 are lowered (see Fig. 3 (c) The projecting end of the retaining piece 13 that has passed over the temporary fixing portion LK is stuck at the original stop position by engaging with the retaining projection PR this time. Therefore, thereafter, the lathe supporting member 2 does not come off from the rectangular hole HO of the support post 1.

이상과 같이, 제2 실시예의 선반 받침 부재(2)에 의하면, 진열 선반판(3)과 일체화된 선반 받침 부재(2, 2)를, 하나의 작업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 이러한 구성을 채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진열 선반판(3)이나 행거 파이프(HG)를 선반 받침 부재(2, 2)와 분리하지 않는 한, 선반 받침 부재(2)를 각형 구멍(HO)으로부터 인출할 수 없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shelf support member 2 of the second embodiment, the shelf support members 2, 2 integrated with the display shelf board 3 can be moved in one operation. When the shelf support member 2 is not separated from the shelf support members 2 and 2 by the rectangular holes HO, Can not be withdrawn.

이상, 제2 실시예의 선반 받침 부재(2)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지주(1)나 결합 부재(4)에 대해서도, 그 형상 변경이 가능하다. 도 6은, 1개의 지주(1)에, 2개의 선반 받침 부재(2, 2)를 인접 배치하여, 보다 무거운 전시물을 유지 가능한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경우, 각형 구멍(HO)의 인접 거리를 크게 취한 것에서는, 지주(1)가 대형화되어 버리는 폐해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lathe supporting member 2 of the second embodiment has been described. The shape of the support member 1 and the engaging member 4 can also be changed. Fig. 6 shows a configuration in which two shelf support members 2, 2 are disposed adjacent to one strut 1 to hold heavier exhibits. In such a case, if the adjacent distance of the square holes HO is increased, the post 1 may become larger.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각형 구멍(HO, HO)의 인접 거리를 필요 최소한의 치수로 하는 한편, 결합 부재(4)의 파지편(10)에 대하여, 그 상하 반분을 절제하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도 6의 (b)는, 이 결합 부재(4)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좌우 한 쌍의 파지편(10R, 10L)에 있어서, 한쪽의 파지편(10R)의 상반분의 융기부(10b)를 절제하여, 수평부(10a)에 대략 연속하는 상측 연속면을 형성하는 한편, 다른쪽의 파지편(10L)의 하반분의 융기부(10b)를 절제하여, 수평부(10a)에 대략 연속하는 하측 연속면을 형성하고 있다.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a configuration is employed in which the adjacent distance between the two rectangular holes HO and HO is set to the minimum required size, while the upper and lower halves of the gripping piece 10 of the engaging member 4 are cut off . 6B is a view showing this engaging member 4 in which the upper half of the raised portion 10b of one of the gripping pieces 10R in the pair of right and left gripping pieces 10R, The upper continuous surface substantially continuous to the horizontal portion 10a is formed while the raised portion 10b of the lower half of the other gripping piece 10L is cut off to form a substantially continuous continuous surface on the horizontal portion 10a, And a lower continuous surface is formed.

이 형상을 바꿔 말하면, 수평부(10a)가, 파지편(10R, 10L)의 수평 방향 전체에 미침으로써, 한 쌍의 기단면(SL, SR)의 한쪽의 기단면(SR)이 L자 형상인 데 반하여, 다른쪽의 기단면(SL)이 L자 형상을 반시계 방향으로 180도 회전시킨 반전 L자형으로 되어 있다.In other words, when the horizontal portion 10a touches the entir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gripping pieces 10R, 10L, one of the base end faces SR, SR of the pair of base end faces SL, While the other base end face SL has an inverted L shape in which the L shape is rotated counterclockwise by 180 degrees.

그 때문에, 삽입편(11)의 수평폭(W1)과, 수평부(10a)의 좌우폭(W2)과, 융기부(10b)의 최대 좌우폭(W3)의 총합(W)(=W1+W2+W3)을, 2개의 각형 구멍(HO, HO)의 좌우 피치(W)에 일치시킴으로써, 필요 최소한의 치수로 설정된 각형 구멍(HO, HO)에 대응할 수 있다[도 6의 (d) 참조].Therefore, the sum W (= W1 + W2 + W2) of the horizontal width W1 of the insertion piece 11, the width W2 of the horizontal portion 10a and the maximum width W3 of the ridge 10b, (See Fig. 6 (d)) set to the minimum required dimension by matching the width W3 of the two holes HO and HO to the left and right pitches W of the two rectangular holes HO and HO.

이 구성에 의하면, 좌우 한 쌍의 지주(1, 1)에 대하여, 합계 4개의 선반 받침 부재(2)를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전시물의 총중량의 무게에 상관없이, 이들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도 6의 (c) 참조]. 또한, 2개의 각형 구멍(HO, HO)의 인접 거리를 필요 최소한의 치수(W)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지주(1)가 과도하게 대형화되는 경우도 없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a total of four shelf receiving members 2 can be arranged on the pair of pillars 1, 1 on the left and right, so that they can be stably maintained regardless of the weight of the total weight of the exhibits [ See Fig. 6 (c)]. In addition, since the adjacent distance between the two rectangular holes HO and HO can be maintained at the minimum required dimension W, the post 1 does not become excessively large.

그런데, 도 1이나 도 2에 나타내는 제1 실시예에서는, 삽입편(11)의 선단측을, 단차 형상이나 테이퍼 형상으로 하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지주(1)의 각형 구멍(HO)의 높이 방향이 공통화되어 있는 경우에는, 삽입편(11)을 직선적인 형상으로 해도 좋다. 도 7은, 이러한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삽입편(11)은, 상면 및 하면 모두 똑바로 연장되는 수평면을 형성하고 있고, 상면의 도중에, 직선적으로 상승하는 걸림편(13)이 형성되어 있다. 또, 도시한 예에서는, 직선적인 걸림편(13)을 형성하고 있지만, 상기한 실시예와 동일한, 곡선적인 솟구침 형상으로 해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In the first embodiment shown in Figs. 1 and 2, the tip end side of the insertion piece 11 has a stepped shape or a tapered shape. However, the height of the prismatic hole HO of the post 1 When the directions are common, the insertion piece 11 may have a linear shape. Fig. 7 shows such a configuration. In the insertion piece 11, a horizontal plane extending straightly on both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is formed, and a catching piece 13 linearly rising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linear catching piece 13 is formed, but it is needless to say that it may be a curved breaking-out shape as in the above embodiment.

또한, 상기한 제1 실시예에서는, 단일의 빠짐 방지 돌기(PR)를 형성했지만,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걸림편(13)을 상하 2개소에 형성하는 것에 대응하여, 빠짐 방지 돌기(PR)를 상하 2개소에 형성해도 좋다. 또, 빠짐 방지 돌기(PR)를 복수 개로 하는지의 여부에 상관없이, 걸림편(13)은 반드시 필수는 아니고, 이것을 생략해도 좋다. 도 8은, 이러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8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반 받침 부재(2)에는, 수용 홈(GV)의 입구부의 상하 2개소에, 빠짐 방지 돌기(PR)가 대향하여 형성되어 있다.In the above-described first embodiment, a single slip prevention protrusion PR is formed, but not always limited thereto. For example, in the case where the slip prevention protrusion PR (PR) ) May be formed 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In addition, regardless of whether a plurality of slip prevention protrusions PR are provided, the latching pieces 13 are not necessarily required and may be omitted. 8 (b), the shelf support member 2 is provided with the slip prevention protrusions PR at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inlet portion of the receiving groove GV, As shown in Fig.

또한, 도 8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결합 부재(4)는 일체 성형품이 아니라, 제1 부재(4a)와 제2 부재(4b)를 따로따로 제조하고, 그 후, 선반 받침 부재(2)에 대한 조립시에, 일체화시키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부재(4a)에는, 삽입편(11)과 제1 파지편(100a)이 형성되고, 제2 부재(4b)에는, 돌출 핀(14)과 제2 파지편(100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삽입편(11)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한 선단부(11a) 및 중앙부(11b)와, 빠짐 방지 돌기(PR)에 대응하여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단부(11c)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기단부(11c)에는, 탄성 스프링(SP)을 수용하는 개구 구멍(12)과, 돌출 핀(14)을 수용하는 감합 구멍(15)이 형성되어 있다.8 (a), the engaging member 4 is not a one-piece molded product but the first member 4a and the second member 4b are manufactured separately, (2) are integrated with each other. As shown in the drawing, the first member 4a is provided with the insertion piece 11 and the first gripping piece 100a, and the second member 4b is provided with the projecting pin 14 and the second gripping piece 100b Is formed. The insertion piece 11 is formed of the same distal end portion 11a and central portion 11b as the first embodiment and a proximal end portion 11c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slip prevention protrusion PR. An opening hole 12 for accommodating the elastic spring SP and an engagement hole 15 for accommodating the projecting pin 14 are formed in the base end portion 11c.

선반 받침 부재(2)에 대한 조립 작업시에는, 개구 구멍(12)에 탄성 스프링(SP)을 배치한 상태에서, 수용 홈(GV)을 협지하도록, 제1 부재(4a)와 제2 부재(4b)를 배치한다. 그리고, 돌출 핀(14)을 감합 구멍(15)에 압입하면, 결합 부재(4)가 일체화되고, 결합 부재(4)의 선반 받침 부재(2)에 대한 조립 작업이 완료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결합 부재(4)를 수용 홈(GV)으로부터 제거하는 것이 곤란하지만, 예컨대 박판형의 제거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압입 상태를 해제하면, 제거 가능하다.The first member 4a and the second member 4b are arranged so as to sandwich the receiving groove GV in a state in which the elastic springs SP are disposed in the opening hole 12 at the time of assembling the shelf supporting member 2, 4b. When the projecting pin 14 is press-fitted into the fitting hole 15, the engaging member 4 is united and the assembling work of the engaging member 4 to the lathe supporting member 2 is completed. In this embodiment, it is difficult to remove the engaging member 4 from the receiving groove GV, but it can be removed by using a thin plate-type removing plate and releasing the press-fitting state.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했지만, 구체적인 기재 내용은, 특별히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적절한 변경이 가능하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but the detailed description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any way, and appropriate modifications are possible.

1: 지주 2: 선반 받침 부재
4: 결합 부재 10: 파지편
11: 삽입편 12: 개구 구멍
13: 걸림편 HO: 부착 구멍
BS: 지지편 FX: 장착부
GV: 수용 홈 PR: 빠짐 방지 돌기
LK: 임시 고정부 SP: 탄성 스프링
1: support 2: shelf support member
4: coupling member 10:
11: insertion piece 12: opening hole
13: Retaining HO: Mounting hole
BS: Supporting part FX: Mounting part
GV: receiving groove PR: dropout protrusion
LK: temporary fixing station SP: elastic spring

Claims (7)

부착 구멍을 갖고, 제1 방향으로 연달아 설치되는 복수 개의 지주(1)와,
상기 부착 구멍에 삽입되는 지지편을 기점으로 하여 제2 방향으로 돌출되어 진열 부재를 유지하는 선반 받침 부재(2)와,
상기 선반 받침 부재(2)의 일부를 절제하여 형성된 장착부(FX)에 대하여, 제2 방향으로 직진하는 탄발 이동을 허용하여 장착되는 결합 부재(4)
를 가지고 구성되며,
상기 장착부(FX)는,
제1 방향의 높이가 균일한 수납폭을, 개방단으로부터 폐색단을 향하여, 제2 방향으로 형성하는 수용 홈(GV)과,
상기 수용 홈(GV)의 개방단에, 상기 수납폭보다 좁은 입구폭을 형성하는 빠짐 방지 돌기(PR)와,
상기 수용 홈(GV)의 폐색단에 근접하여, 상기 수납폭보다 치수가 넓거나 좁은 변형폭을 형성하는 임시 고정부(LK)
를 가지고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열 선반의 조립 구조.
A plurality of struts (1) having attachment holes (1) successively installed in a first direction,
A shelf supporting member (2) protruding in a second direction from the supporting piece inserted into the mounting hole to hold the display member,
The engaging member 4 mounted on the mounting portion FX formed by cutting off part of the shelf supporting member 2 to allow the elastic member to move elastically in the second direction,
Respectively,
The mounting portion (FX)
(GV) for forming a storage width uniform in height in the first direction from the open end toward the closed end in the second direction,
A slip prevention projection (PR) for forming an entrance width narrower than the storage width at an open end of the receiving groove (GV)
(LK) which forms a deformation width that is wider or narrower than the accommodating width, close to an occluding end of the receiving groove (GV)
And an assembly structure of the display shel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4)는,
상기 수용 홈(GV)을 덮도록 상기 선반 받침 부재(2)를 협지하는 한 쌍의 파지편과,
한 쌍의 파지편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수용 홈에 삽입 가능하게 형성된 삽입편과,
상기 삽입편에 형성된 정해진 깊이의 개구 구멍에 수용되는 탄성 스프링
을 가짐으로써, 제2 방향의 탄발 이동이 실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인 조립 구조.
2. The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ngaging member (4)
A pair of gripping pieces for holding the lathe supporting member 2 so as to cover the receiving groove GV,
An insertion piece formed between the pair of gripping pieces and formed to be insertable into the receiving groove,
An elastic spring accommodated in an opening hole of a predetermined depth formed in the insertion piece;
So that the movement of the elastic body in the second direction can be realized.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편에는,
상기 수용 홈의 폐색단으로부터 개방단을 향하여 상승하는 걸림편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편의 지주측은, 제1 방향의 높이가 전체적으로 균일화된 균일 형상, 또는 제1 방향의 높이가, 전체적으로 균일하지 않은 변형 형상을 갖고, 자유 상태에서는, 상기 수용 홈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걸림편은, 상기 수용 홈으로의 도입시에, 상기 빠짐 방지 돌기에 의해 항복 변형하는 한편, 상기 빠짐 방지 돌기를 통과한 후에는, 상기 빠짐 방지 돌기로부터의 도출을 저지하는 상승 자세로 복귀하고,
상기 수용 홈에 더 진입하여 상기 임시 고정부에 이르거나, 상기 임시 고정부를 통과한 후에는, 상기 걸림편의 돌출 선단이 상기 임시 고정부와 결합함으로써, 상기 결합 부재가, 그 위치에 유지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결합 부재가 유지된 상태에서는, 상기 결합 부재의 전체가, 상기 수용 홈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인 조립 구조.
3. The medical instrument according to claim 1 or 2,
A retaining piece rising from the closed end of the receiving groove toward the open end is formed,
The holding side of the insertion piece has a uniform shape in which the height in the first direction is uniform as a whole or a height in the first direction is a non-uniformly deformed overall shape, and is protruded from the receiving groove in a free state,
Wherein the engaging piece is deformed by a breakage preventing projection at the time of introduction into the receiving groove, and after passing through the catching protrusion, returns to a rising posture in which the catching piece is prevented from being pulled out from the catching protrusion ,
The protruding distal end of the engaging piece is engaged with the temporary fixing portion so that the engaging member can be held at the position after the protruding distal end of the engaging piece comes into contact with the temporary fixing portion, Respectively,
And the engaging member is configured so that the entire engaging member is located inside the receiving groove when the engaging member is hel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편은, 수용 홈의 폐색단으로부터 개방단을 향하여 직선적으로 상승하는 형상을 가지고 구성되며,
상기 수용 홈으로의 도입시에, 상기 빠짐 방지 돌기를 통과한 후에는, 상기 걸림편이 직선적인 상승 자세로 복귀하여, 그 돌출 선단이 상기 빠짐 방지 돌기에 걸림으로써, 이동 조작을 거치지 않는 한, 상기 지주의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인 조립 구조.
The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ngaging piece has a shape linearly rising from the closed end of the receiving groove toward the open end,
After the retaining protrusion has passed through the retaining protrusion, the retaining piece is returned to the linear rising posture, and the protruding end is caught by the retaining protrusion, so that, unless the moving operation is performed, And is configured not to move in the direction of the pillar.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조립 구조를 실현하는 결합 부재.An engaging member for realizing the assembling structur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조립 구조를 실현하는 선반 받침 부재.A lathe supporting member for realizing the assembling structur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조립 구조를 실현하는 지주.5. A pillar for realizing the assembling structur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KR1020160138531A 2015-10-26 2016-10-24 Display shelf assembling structure and component thereof KR20170048205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210145 2015-10-26
JP2015210145 2015-10-26
JP2016001899A JP5936295B1 (en) 2015-10-26 2016-01-07 Display shelf assembly structure and components thereof
JPJP-P-2016-001899 2016-01-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8205A true KR20170048205A (en) 2017-05-08

Family

ID=56184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8531A KR20170048205A (en) 2015-10-26 2016-10-24 Display shelf assembling structure and component thereof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2) JP5936295B1 (en)
KR (1) KR20170048205A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76939A (en) * 2018-03-30 2019-10-17 棚橋工業株式会社 Retention member and bracket with the same
JP7463030B2 (en) 2020-03-18 2024-04-08 日東工業株式会社 L-shaped rail mounting structure
JP7475657B2 (en) 2020-06-19 2024-04-30 株式会社ロイヤル Shelf support with anti-fall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831523A1 (en) * 1988-09-16 1990-03-22 Koenig Verbindungstech Ag METHOD FOR SEALING A HOLE
US5494246A (en) * 1994-06-17 1996-02-27 Haworth, Inc. Passive lock for end panel assembly
JPH1041016A (en) * 1996-07-18 1998-02-13 Sumitomo Wiring Syst Ltd Connector
JP2010051341A (en) * 2008-08-26 2010-03-11 Pearl Mannequin:Kk Display for goods, and stopper used for the same
JP5356856B2 (en) * 2009-02-16 2013-12-04 株式会社ロイヤル Shelf receiving stopper, shelf holder and display shelf using the same
JP2011089590A (en) * 2009-10-22 2011-05-06 Kitagawa Ind Co Ltd Fix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7080373A (en) 2017-05-18
JP5936295B1 (en) 2016-06-22
JP2017080379A (en) 2017-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48205A (en) Display shelf assembling structure and component thereof
KR101494941B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associated disassembly release tool
EP1380786B1 (en) Clamp for holding elongated article
US7574784B2 (en) Bare die tray clip
US11032932B1 (en) Mount assembly for expansion card and circuit assembly
JPH02227974A (en) Double lock structure of connector housing
US20170315308A1 (en) Optical connector, pin keeper, pin insertion jig, expansion member, and pin insertion tool
KR101408398B1 (en) Plating Rack
US6582243B2 (en) Connector provided with lock ensuring mechanism
US7003208B2 (en) Optical fiber connecting tool, connector holder, connector holder equipped optical connector, and tool equipped optical connector
JP2009106657A (en) Device and structure body for exercise
US9065208B2 (en) Method for unlatching an electronic module
JP6158347B2 (en) Slider assembly and zipper including the same
JP4442575B2 (en) connector
JP7343967B2 (en) Buckle plug and buckle
JP2007234421A (en) Connector
US20150247983A1 (en) Optical connector ferrule
JP2006158485A (en) Fall prevention device
JP2008064895A (en) Optical fiber connecting tool
JP6249694B2 (en) Parts removal jig
KR100448317B1 (en) Buckle
JP4786435B2 (en) Optical fiber holder, optical fiber connection tool, optical fiber holding method
JP4635640B2 (en) Optical component fixing ferrule mold and mold adjustment method
KR102191891B1 (en) Clip and connector assembly
JP2837085B2 (en) Connector locking struc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