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7826A - Camera lens module - Google Patents

Camera lens modu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7826A
KR20170047826A KR1020150148367A KR20150148367A KR20170047826A KR 20170047826 A KR20170047826 A KR 20170047826A KR 1020150148367 A KR1020150148367 A KR 1020150148367A KR 20150148367 A KR20150148367 A KR 20150148367A KR 20170047826 A KR20170047826 A KR 201700478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oke
magnet
fluid
optical axis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83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64733B1 (en
Inventor
김정수
변광석
박치영
황영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48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4733B1/en
Priority to US15/331,805 priority patent/US9910288B2/en
Publication of KR201700478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782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47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473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64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3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permitting adjustmen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64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 G02B27/646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compensating for small deviations, e.g. due to vibration or shak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1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for more than one le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5/02Lateral adjustment of lens
    • H04N5/23287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9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for automatic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1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 G02B7/1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controlled by a microcomput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28Systems for automatic generation of focusing signa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07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 G03B2205/0015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by displacing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normal to the optical axi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46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zoom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53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 G03B2205/0069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using electromagnetic actuators, e.g. voice co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djustment Of Camera Lenses (AREA)
  • Lens Barrels (AREA)
  • Studio Devi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Abs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ing to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camera lens module, an electronic device (terminal) comprises: a base; a first flow portion receiving a lens assembly coupled to the base to flow in a plane perpendicular to an optical axis of the lens assembly; and a second flow portion disposed on a lower portion of the base, moving in an optical axis direction of the lens assembly, wherein the second flow portion is able to form a variable gap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flow portions through the movement. In addition, various other embodiments are able to be implemented.

Description

카메라 렌즈 모듈{CAMERA LENS MODULE}Camera lens module {CAMERA LENS MODUL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전자장치에 장착되는 카메라 렌즈 모듈의 손떨림 보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rected to an image stabilization device of a camera lens module mounted on an electronic device.

일반적인 카메라는 피사체의 영상을 포착하여 영상 데이터화 하고, 적정의 파일 형태로 기록하는 것으로, 촬영자의 손떨림이나 주변 진동에 의한 흔들림 등이 촬영된 이미지 내에 그대로 반영되면 영상이 번지거나 흐려지는 등의 화질 저하가 발생하게 된다.In general, a camera captures an image of an object to form an image data, and records the image in a proper file format. If the camera shake or vibration due to peripheral vibration is reflected in the captured image as it is, the image quality deteriorates .

카메라 렌즈 모듈의 성능 향상을 위한 기술로서, 손떨림 보정 기술이 있다. 손떨림 보정 기술은 촬영 중, 사용자의 손떨림과 같은 인체의 진동 등에 따른 피사체 상의 흔들림을 보상하는 기술이다. 이러한 손떨림 보정은, 예를 들면, 카메라 등의 전자 기기에 탑재된 다수의 각속도 센서 등을 통해 기기에 가해지는 진동을 검출하고, 검출되는 진동의 각속도 및 방향에 따라 렌즈 또는 이미지 센서를 이동시킴으로써 가능하다.As a technique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the camera lens module, there is a technique for compensating for the shaking motion. The camera-shake correction technique is a technique for compensating for shaking on a subject due to vibration of a human body, such as a camera shake of a user, during shooting. Such a camera-shake correction can be performed, for example, by detecting vibration applied to an apparatus through a plurality of angular velocity sensors mounted on an electronic device such as a camera, and moving the lens or the image sensor according to the angular velocity and direction of the detected vibration Do.

최근에는 카메라의 흔들림을 자동으로 보정해주는 다양한 영상 안정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의 흔들림에 상응하는 적정의 이동량만큼 광학렌즈를 구동 제어함으로써 이미지 센서 상의 결상 위치를 고정시켜 주는 방식이 고려될 수 있다. 이때, 광학렌즈를 구동하기 위하여 마그네트와 구동코일 간의 전자기적인 상호작용을 이용하는 VCM(Voice Coil Motor) 액츄에이터가 적용될 수 있다.In recent years, various image stabilization techniques have been developed to automatically correct camera shake. For example, a method of fixing the imaging position on the image sensor by driving and controlling the optical lens by an appropriate amount of movement corresponding to the camera shake can be considered. In this case, a VCM (Voice Coil Motor) actuator using an electromagnetic interaction between the magnet and the drive coil may be used to drive the optical lens.

카메라 렌즈 모듈에 성능이 향상된 손떨림 보정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선 손떨림 보정각의 확대가 요구된다. 상기 보정각의 확대를 위해선 구동원의 사이즈를 키우거나 공진주파수를 낮게 하여 DC감도를 증가시켜야 한다. 그러나, 구동원 사이즈의 증가는 소형, 경량화 추세의 카메라 렌즈 모듈에 적합하지 않으며, 공진주파수를 낮게 설계하여 고정된 모듈을 설계하는 것은 낮은 복원력 및 흡착력으로 인하여 외부 충격에 매우 취약해지는 문제점이 있다.In order to implement the camera shake correction function that improves the performance of the camera lens module, it is required to increase the camera shake correction angle. In order to increase the correction angle, the DC sensitivity should be increased by increasing the size of the driving source or decreasing the resonance frequency. However, the increase of the size of the driving source is not suitable for a camera lens module of a small and lightweight trend, and designing a fixed module with a low resonance frequency has a problem that it is very vulnerable to external shocks due to low restoring force and attracting force.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손떨림 보정 기능이 탑재되면서도 소형, 경량화 기능을 갖추며, 공진주파수 가변 가능한 카메라 렌즈 모듈을 제공하고자 한다.Therefor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provide a camera lens module which is equipped with an image stabilization function and is small in size, light weight, and capable of varying the resonance frequency.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렌즈 모듈은 베이스(base); 렌즈 조립체를 수용하고, 상기 베이스에 결합하여 상기 렌즈 조립체의 광축에 수직 평면에서 유동하는 제 1유동부; 및 상기 베이스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렌즈 조립체의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 2유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2유동부의 이동을 통하여 상기 제 1유동부 및 제 2유동부 사이에 가변 가능한 간극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camera lens module comprises: a base; A first fluid reservoir for receiving the lens assembly and coupled to the base to flow in a vertical plane to the optical axis of the lens assembly; And a second flow portion disposed under the base and moving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of the lens assembly, wherein a gap that is variabl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flow portions is formed through movement of the second flow portion . ≪ / RTI >

여기서 상기 베이스와 상기 제 1유동부 중 하나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자석(magnet); 및 상기 자석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 2유동부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요크(yoke)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자석과 요크는, 상기 제 2유동부가 상기 제 1유동부 또는 베이스에 대응하여 상기 광축 방향의 자기력을 생성할 수 있다.At least one magnet mounted on one of the base and the first fluid portion; And at least one yoke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magnet and mounted to the second fluid portion, wherein the magnet and the yoke are arranged such that the second flow portion corresponds to the first fluid portion or the base The magnetic force in the direction of the optical axis can be generated.

또한, 상기 베이스 또는 제 2유동부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 2유동부를 상기 광축 방향으로 진퇴 운동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riv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driving unit disposed on one side of the base or the second moving unit and moving the second moving unit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또한, 상기 구동부의 구동에 의하여, 제 2유동부의 상기 광축 방향 진퇴운동은, 상기 제 1유동부와 상기 제 2유동부와의 상기 간극을 가변하고, 이에 따라 상기 제 1유동부와 상기 제 2유동부 사이의 공진 주파수가 변경될 수 있다.Further, by the driving of the driving unit, the optical axis direction back and forth motion of the second flow portion varies the gap between the first fluid portion and the second fluid portion, and thereby the first fluid portion and the second fluid portion The resonance frequency between the moving parts can be changed.

또한, 상기 제 1유동부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 1유동부 상측을 커버하는 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는 상기 자석과 대면되도록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코일을 장착할 수 있다.The cover unit may include at least one driving coil disposed to face the magnet. The cover unit may be disposed on the first moving unit to cover the upper side of the first moving unit.

또한, 상기 자석은 적어도 두 쌍이 상기 광축에 대하여 대칭을 이루게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two pairs of the magnets may be arrang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optical axis.

더욱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코일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석은 서로 대면 배치되며, 상기 구동코일과 자석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제 1유동부가 유동 가능한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Further, the at least one coil and the at least one magnet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and the driving force capable of flowing the first flow portion by the interaction of the driving coil and the magnet can be generated.

그리고 상기 자석과 상기 요크 사이 간극의 가변에 따라, 상기 자석과 상기 요크의 흡착력, DC감도 및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의 중력에 의한 처짐량이 가변될 수 있다.The attraction force of the magnet and the yoke, the DC sensitivity, and the amount of deflection by the gravity of the camera lens module can be varied according to the variation of the gap between the magnet and the yoke.

또한 상기 제 2유동부는 적어도 하나의 요크가 안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요크홈을 구비하고, 상기 요크, 상기 자석, 상기 코일의 중심은 동일 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The second flow por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yoke groove for receiving at least one yoke, and the centers of the yoke, the magnet, and the coils may be disposed in the same line.

그리고 상기 요크홈은 상기 요크가 안착시, 상기 요크와 상기 자석의 상호작용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상기 요크홈의 중심에 요크홀을 포함할 수 있다.The yoke groove may include a yoke hole in the center of the yoke groove to generate an interaction between the yoke and the magnet when the yoke is seated.

또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제 2유동부의 요크 홈에 안착된 상기 요크가 상기 광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 홀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 홀은 상기 요크홈이 좌우 유동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요크홈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Further, the base may have a guide hole for guiding the yoke mounted in the yoke groove of the second flow portion to move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and the guide hole may be formed in a space in which the yoke groove can move left and right So that it can be formed larger than the yoke groove.

또한, 상기 베이스를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로드는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상기 제 2유동부 안내할 수 있으며, 상기 로드 외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 2유동부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자석과 상기 요크 사이에서 가변하는 간극의 범위를 설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And at least one rod disposed to penetrate the base, wherein the at least one rod is capable of guiding the second fluid portion moving in the direction of the optical axis, and is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rod, And may include an elastic member that sets a range of a gap that varies between the magnet and the yoke as it moves.

그리고 상기 커버부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아울러 전원을 공급하는 연성회로기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 flexible circuit board provided on the cover part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riving part and supplying power.

또한, 상기 베이스, 상기 제 1유동부 및 상기 제 2유동부는 상기 렌즈 조립체의 측면을 따라 병렬로 배치될 수 있다.The base, the first fluid portion, and the second fluid portion may be arranged in parallel along the side surface of the lens assembly.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렌즈 모듈은, 모듈 내의 자석과 요크 사이의 간극을 가변 가능하도록 구현하여, 공진주파수를 가변을 통한 손떨림 보정각의 조절을 통하여 손떨림 보정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camera lens module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the gap between the magnet and the yoke in the module can be changed so as to improve the camera shake correction performance by adjusting the camera shake correction angle by varying the resonance frequency hav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렌즈 모듈은, 공진주파수를 가변형으로 설계하여, 촬영 상황에 따라, 예들 들어, 정지 영상/ 동영상 및 각 촬영 모드별 상황에 따라 변경되는 손떨림에 대하여 실시간으로 대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camera lens modu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esigned to have a variable resonance frequency so as to cope with camera shake which is changed according to a photographing situation such as a still image /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렌즈 모듈은, 가변 가능한 공진주파수를 일정 수준이상으로 높임으로써 손떨림 락킹(Locking)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camera lens modu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realizing a camera-shake locking function by increasing the variable resonance frequency to a certain level or mor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렌즈 모듈의 주요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렌즈 모듈의 베이스 및 제 2유동부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렌즈 모듈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렌즈 모듈의 제 2유동부를 상측에서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렌즈 모듈 내 자석과 요크 사이의 상호 관계를 나타낸 간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력에 의한 카메라 렌즈 모듈의 처짐량을 설명하는 카메라 렌즈 모듈의 상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크가 자석에 가깝게 이동한 카메라 렌즈 모듈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크가 자석에 멀리 이동한 카메라 렌즈 모듈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석과 요크 사이의 간극에 따른 손떨림 구동의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렌즈 모듈의 손떨림 락킹을 구현하기 이한 요크의 위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렌즈 모듈의 손떨림 정지 영상 촬영을 위한 요크의 위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렌즈 모듈의 손떨림 동영상 촬영을 위한 요크의 위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main part of a camera lens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a base and a second flow portion of a camera lens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in part of a camera lens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top view of the second flow portion of the camera lens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above.
5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orrelation between a magnet and a yoke in a camera lens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top view of a camera lens module illustrating a deflection amount of a camera lens module by grav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amera lens module in which a yoke moves close to a magn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amera lens module in which a yoke moves away from a magn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graph illustra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haking motion according to the gap between the magnet and the yok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position of a yoke for realizing camera-shake locking of a camera lens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position of a yoke for camera-shake still image pickup of a camera lens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position of a yoke for photographing a shaking motion of a camera lens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문서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ocu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is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but includes various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 or alternatives of the embodiments of this document . In connection with the description of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may be used for similar components.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In this document, the expressions "having," " having, "" comprising," or &Quot;, and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f additional features.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In this document, the expressions "A or B," "at least one of A or / and B," or "one or more of A and / or B," etc. may include all possible combinations of the listed items . For example, "A or B," "at least one of A and B," or "at least one of A or B" includes (1) at least one A, (2) Or (3) at least one A and at least one B all together.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 1," "제 2," "첫째," 또는 "둘째,"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 1 사용자 기기와 제 2 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As used herein, the terms "first," "second," "first," or "second," and the like may denote various components, regardless of their order and / or importance, But is used to distinguish it from other components and does not limit the components. For example, the first user equipment and the second user equipment may represent different user equipment, regardless of order or importance.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rights described in this document, the first component can be named as the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can also be named as the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 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Or functional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 / to "another component (eg, a second component), or a component (eg, a second component) Quot; connected to ", it is to be understood that any such elem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or may be connected through another element (e.g., a third element).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omponent (e.g., a first compon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e.g., a second component)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re is no other component (e.g., a third component) between other components.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 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As used herein, the phrase " configured to " (or set) to be "configured according to circumstances may include, for example, having the capacity to, To be designed to, "" adapted to, "" made to, "or" capable of ". The term " configured to (or set up) "may not necessarily mean" specifically designed to "in hardware. Instead, in some situations, the expression "configured to" may mean that the device can "do " with other devices or components. For example, a processor configured (or configured) to perform the phrases "A, B, and C" may be implemented by executing one or more software programs stored in a memory device or a dedicated processor (e.g., an embedded processor) , And a generic-purpose processor (e.g., a CPU or an application processor) capable of performing the corresponding operations.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other embodiments. The singular expressions may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may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e general predefined terms used in this document may be interpreted in the same or similar sense as the contextual meanings of the related art and, unless expressly defined in this document, include ideally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 In some cases, even the terms defined in this document can not be construed as excluding the embodiments of this document.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카메라(camera), 또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영상 전화기, 전자책 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탑 PC(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서버,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장치는 액세서리형(예: 시계, 반지, 팔찌, 발찌, 목걸이, 안경, 콘택트 렌즈, 또는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직물 또는 의류 일체형(예: 전자 의복), 신체 부착형(예: 스킨 패드(skin pad) 또는 문신), 또는 생체 이식형(예: implantable circui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ocument may be, for example, a camera or a wearable device, a smartphone, a tablet personal computer, a mobile phone, A video phone, an e-book reader, a desktop personal computer, a laptop personal computer, a netbook computer, a workstation, a server,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an MP3 player, and a mobile medical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wearable device may be of the accessory type (e.g., a watch, a ring, a bracelet, a bracelet, a necklace, a pair of glasses, a contact lens or a head-mounted-device (HMD) (E. G., Electronic apparel), a body attachment type (e. G., A skin pad or tattoo), or a bioimplantable type (e.g., implantable circuit).

어떤 실시예들에서, 전자 장치는 가전 제품(home appliance)일 수 있다. 가전 제품은, 예를 들면, 텔레비전, DVD(digital video disk) 플레이어, 오디오,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공기 청정기, 셋톱 박스(set-top box), 홈 오토매이션 컨트롤 패널(home automation control panel), 보안 컨트롤 패널(security control panel), TV 박스(예: 삼성 HomeSyncTM, 애플TVTM, 또는 구글 TVTM), 게임 콘솔(예: XboxTM, PlayStationTM), 전자 사전, 전자 키, 캠코더(camcorder), 또는 전자 액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electronic device may be a home appliance. Home appliances include, for example, televisions, digital video disc (DVD) players, audio, refrigerators, air conditioners, vacuum cleaners, ovens, microwaves, washing machines, air cleaners, set- Such as a home automation control panel, a security control panel, a TV box such as Samsung HomeSync TM , Apple TV TM or Google TV TM , a game console such as Xbox TM and PlayStation TM , , An electronic key, a camcorder, or an electronic frame.

다른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는, 각종 의료기기(예: 각종 휴대용 의료측정기기(혈당 측정기, 심박 측정기, 혈압 측정기, 또는 체온 측정기 등), MRA(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CT(computed tomography), 촬영기, 또는 초음파기 등),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위성 항법 시스템(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DR(event data recorder), FDR(flight data recorder), 자동차 인포테인먼트(infotainment) 장치, 선박용 전자 장비(예: 선박용 항법 장치, 자이로 콤파스 등), 항공 전자기기(avionics), 보안 기기, 차량용 헤드 유닛(head unit), 산업용 또는 가정용 로봇, 금융 기관의 ATM(automatic teller's machine), 상점의 POS(point of sales), 또는 사물 인터넷 장치(internet of things)(예: 전구, 각종 센서, 전기 또는 가스 미터기, 스프링클러 장치, 화재경보기, 온도조절기(thermostat), 가로등, 토스터(toaster), 운동기구, 온수탱크, 히터, 보일러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alternative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may be any of a variety of medical devices (e.g., various portable medical measurement devices such as a blood glucose meter, a heart rate meter, a blood pressure meter, or a body temperature meter), 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A) Navigation system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s (GNSS), event data recorders (EDRs), flight data recorders (FDRs), infotainment (infotainment) systems, ) Automotive electronic equipment (eg marine navigation systems, gyro compass, etc.), avionics, security devices, head units for vehicles, industrial or home robots, automatic teller's machines (ATMs) Point of sale, or internet of things (eg, light bulbs, various sensors, electrical or gas meters, sprinkler devices, fire alarms, thermostats, street lights, Of the emitter (toaster), exercise equipment, hot water tank, a heater, boiler, etc.) may include at least one.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가구(furniture) 또는 건물/구조물의 일부, 전자 보드(electronic board), 전자 사인 수신 장치(electronic signature receiving device), 프로젝터(projector), 또는 각종 계측 기기(예: 수도, 전기, 가스, 또는 전파 계측 기기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는 전술한 다양한 장치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 전자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기술 발전에 따른 새로운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the electronic device is a piece of furniture or a part of a building / structure, an electronic board, an electronic signature receiving device, a projector, Water, electricity, gas, or radio wave measuring instruments, etc.). In various embodiments, the electronic device may be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various devices described above.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may be a flexible electronic device. Further, th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document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devices, and may include a new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echnological advancement.

더불어, 상기 전자 장치에 적용되는 카메라 렌즈 모듈(camera lens module)은 카메라에 탈착 가능한 교환렌즈로서, 피사체와의 거리에 따라 이미지 센서의 전방에 위치되는 렌즈 또는 이미지 센서를 광축 방향을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이미지 센서의 결상면에서 선명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자동 초점조절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손떨림과 같은 인체의 진동 등에 따른 피사체 상의 흔들림을 보상하는 손떨림 보정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a camera lens module applied to the electronic device is a replaceable lens detachable to a camera. The camera lens module moves a lens or an image sensor positioned in front of the image sensor along the optical axis direction according to the distance to the subject,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automatic focus adjustment function capable of acquiring a clear image from the image plane of the image sensor.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image stabilization function that compensates for the shaking of the subject due to the vibration of the human body, such as the shaking of the user.

본 실시예에서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은 교환렌즈에서 사용하는 손떨림 보정 기술(OIS)에 관련된 내용을 예들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스마트 폰에서 적용되는 카메라 등과 같이, 휴대용 전자장치에 사용되는 카메라 렌즈 모듈(10)이라면,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자석(magnet)과 요크(York) 사이 간극을 가변하여 공진주파수를 변경할 수 있는 카메라 렌즈 모듈을 적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amera lens modul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camera shake correction technique (OIS) used in an interchangeable len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a camera used in a smart phone, The lens module 10 may be variously applied. In this embodiment, a camera lens module capable of changing the resonance frequency by changing the gap between the magnet and the yoke York will be described.

본 문서에서, 사용자라는 용어는 카메라 렌즈 모듈과 같은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사람 또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장치(예: 인공지능 전자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In this document, the term user may refer to a person using an electronic device such as a camera lens module or a device using an electronic device (e.g., an artificial intelligence electronic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렌즈 모듈의 주요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렌즈 모듈의 베이스 및 제 2유동부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렌즈 모듈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렌즈 모듈의 제 2유동부를 상측에서 나타내는 상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main part of a camera lens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a base and a second flow portion of a camera lens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in part of a camera lens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top view showing the second flow portion of the camera lens module from ab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4를 참조하여, 카메라 렌즈 모듈(10)을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구성 부품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Referring to Figs. 1 to 4, the components of th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camera lens module 10 will be described.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렌즈 모듈(10)은, 베이스(100), 제 1유동부(200), 제 2유동부(300), 커버부(40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1 to 4, a camera lens modul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100, a first fluid unit 200, a second fluid unit 300, and a cover unit 400 .

카메라 렌즈 모듈(10)은 교환렌즈에 구현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피사체의 영상을 촬영자의 손떨림이나 주변 진동에 의한 흔들림없이 안정적으로 포착하여 카메라 내부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The camera lens module 10 is implemented in an interchangeable lens, so that the user can stably capture an image of a desired subject without shaking due to a camera shake or ambient vibration of the photographer, and transmit the captured image to the inside of the camera.

베이스(100)는 제 1유동부(200) 및 제 2유동부(300) 사이에 배치되어, 제 1유동부(200) 및 제 2유동부(300)의 이동시 기준점을 제공하면서 각 카메라 렌즈 모듈(10)에 배치되는 부품들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The base 100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fluid unit 200 and the second fluid unit 300 and provides a reference point when the first fluid unit 200 and the second fluid unit 300 are moved, (Not shown).

베이스(100)는 광축(O)을 포함하는 중심홀(C)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중심홀(C) 주변부에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홀(10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2유동부(300)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500)가 실장될 수 있는 구동부 안착공간(102)을 포함할 수 있다.The base 100 has a center hole C including an optical axis O and at least one guide hole 101 at the periphery of the center hole C. [ In addition, it may include a driving part seating space 102 in which a driving part 500 for transmitting power to the second fluid part 300 may be mounted.

상기 베이스(100)의 중심홀(C)은 베이스(10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원형으로 마련되며, 렌즈 조립체(210)에 제공하는 광의 통로 역할을 할 수 있다. The center hole C of the base 100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base 100 and may serve as a path of light provided to the lens assembly 210.

상기 가이드 홀(101)은 요크(310)가 렌즈 조립체(210)의 광축(O)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안내하는 역할을 하며, 요크(310)가 실장된 공간에 대응하여 이를 가이드하는 모양 및 구조로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가이드 홀(101)은 네 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중심홀(C)을 기준으로 서로 동일한 간격 및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시한 가이드 홀(101)의 개수 및 배치에 한정된 것을 아니며,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손 떨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필요한 다양한 개수로 마련되거나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The guide hole 101 serves to guide a space in which the yoke 310 can move in the optical axis O direction of the lens assembly 210. The guide hole 101 has a shape that guides the space corresponding to the space in which the yoke 310 is mounted And structures. For exampl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uide holes 101 are formed of four pieces and can be disposed at the same intervals and corresponding positions with respect to the center hole C, respectively.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number and arrangement of the guide holes 101, and it may be provided in various numbers or may be arranged at various positions necessary to prevent hand tremble which is to be achieved in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구동부 안착공간(102)은 베이스(100) 외측에 배치되며, 구동부(500)가 안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구동부(500)는 베이스(100) 및 제 2유동부(300)에 걸쳐 배치되는바, 구동부 안착공간(102)은 제 2유동부(300)의 공간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driving part seating space 102 is disposed outside the base 100 and can provide a space for the driving part 500 to be seated. The driving unit 500 is disposed over the base 100 and the second fluid unit 300 and the driving unit seating space 102 may include the space of the second fluid unit 300.

이 외에 베이스(100)는 제 1유동부(200) 및 제 2유동부(300)와 결속 가능한 홈 및 홀 등의 형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ase 100 may have various structures including a shape such as a groove and a hole that can be coupled with the first and second fluid dynamic portions 200 and 300.

제 1유동부(200)는 렌즈 조립체(210)를 수용하고 상기 베이스(100)에 상부에 결합하며, 유동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예를 들면, 제 1유동부(200)는 사용자의 손떨림 등에 따라 상기 제 1유동부(200)가 렌즈 조립체(210)의 광축(O)에 수직인 평면(예:X-Y 평면)에서 유동함으로써, 손떨림 보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The first fluid part 200 receives the lens assembly 210 and is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base 100 and configured to flow. For example, the first fluid flow unit 20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first fluid flow unit 200 flows in a plane (e.g., an XY plane)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O of the lens assembly 210, The camera shake correction operation can be performed.

상기 렌즈 조립체(210)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하며, 상기 제 2유동부(300)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 2유동부(300)가 상기 광축(O) 방향에 수직인 평면(예:X-Y 평면)에서 유동함에 따라, 상기 렌즈 조립체(210) 또한 상기 광축(O)에 수직인 평면에서 유동하면서 손떨림 보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The lens assembly 210 includes at least one lens and may be accommodated in the second fluid reservoir 300. The lens assembly 210 also moves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O as the second fluid 300 flows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O (e.g., XY plane) A correction operation can be performed.

제 1유동부(200)는 렌즈 조립체(210) 주변부에 적어도 하나의 자석(magnet)(220)을 장착할 수 있다. The first fluid unit 200 may mount at least one magnet 220 on the periphery of the lens assembly 210.

자석(220)은 상부에 배치된 구동코일(410)과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조립되며 전자기적 상호 작용을 수행함으로써, 예를 들어, VCM(Voice Coil Motor) 액츄에이터를 구성하게 된다. 구동코일(410)의 양단은 제어된 구동 전원을 인가해주는 회로기판(420)에 접속될 수 있다. 제 1유동부(200)는 자석(220)과 구동코일(410) 간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따라 광축(O)에 수직인 평면(예:X-Y 평면)에서 구동되며 보정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The magnets 220 are assembled at positions facing each other with the driving coils 410 arranged at the upper portion and perform electromagnetic interaction to constitute a VCM (Voice Coil Motor) actuator, for example. Both ends of the driving coil 410 may be connected to a circuit board 420 for applying controlled driving power. The first fluid 200 may be driven in a plane (e.g., the X-Y plane)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O according to the electromagnetic interaction between the magnet 220 and the drive coil 410, and may perform a correction operation.

따라서 제 1유동부(200)는 상기 렌즈 조립체(210)를 수용하기 위한 렌즈 안착부(202)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석(220)을 장착하기 위한 자석 안착부(201)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fluid 200 may include a lens mount 202 for receiving the lens assembly 210 and a magnetic mount 201 for mounting the at least one magnet 220.

상기 렌즈 안착부(202)는 렌즈 조립체(210)가 안전하게 결합 또는 지지되어 안착될 수 있도록 중심홀(C) 주변부에 단턱 등과 같은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lens mount 202 may include a structure such as a step or the like at the periphery of the center hole C so that the lens assembly 210 can be securely coupled or supported and seated.

상기 자석 안착부(201)는 상기 렌즈 안착부(202)를 중심으로 주변부에 배치되며, 자석(220)이 안착시 안전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자석(220) 가장자리를 감싸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자석 안착부(201)에 자석(220)이 안착되는 경우, 상측에 배치된 구동코일(410)과 상호 작용이 가능하도록 상측이 개구되도록 구성되며, 하측에 배치된 요크(310)와 상호 작용이 가능하도록 하측 중심부에 자석 안착홀(201a)를 구비할 수 있다. The magnet mounting part 201 may be disposed around the lens mounting part 202 and surround the magnet 220 so that the magnet 220 can be safely supported when the magnet mounting part 201 is seated. When the magnet 220 is seated on the magnet mounting portion 201, the upper side is opened so as to interact with the driving coil 410 disposed on the upper side, and the yoke 310 A magnet mounting hole 201a may be provided in the lower center portion.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렌즈 안착부(202)는 광축(O)을 포함하는 중심홀(C) 가장자리 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자석 안착부(201)은 네 개의 자석(220)을 안착할 수 있도록 네 개로 구성되어 있고, 중심홀(C)을 기준으로 서로 동일한 간격 및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코일(410), 자석(220)의 중심은 동일 선상에 배치되어 서로 상호 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For exampl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ns seating portion 202 is disposed at the edge of the center hole C including the optical axis O, and the magnet seating portion 201 includes four magnets 220, And can be disposed at the same interval and corresponding positions with respect to the center hole C, as shown in FIG. Here, the centers of the driving coils 410 and the magnets 220 may be arranged on the same line, and may interact with each other.

또한, 자석 안착부(201)는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자석(220)을 안착 배치할 수 있도록 상부면은 개구되고 하부면의 적어도 일부가 폐쇄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석 안착부(201)에 안착된 자석(220)과 상, 하면에서 구동코일(410) 또는 요크(310)가 서로 상호 작용할 수 있도록 하부면의 일부는 홀(안착홀(201a))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다만,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시한 자석 안착부(201)의 개수 및 배치에 한정된 것을 아니며,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손 떨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필요한 다양한 개수로 마련되거나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자석(220)을 하측에서 상측방향으로 안착 배치할 수 있는 구조의 경우 하면이 개구되고 상면에 안착홀(201a)을 구성할 수 도 있으며, 안착홀(201a)도 설계 변경에 따라 다양한 개수 및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The magnet mounting part 201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upper surface thereof is opened and at least a part of the lower surface thereof is closed so that the magnet 220 can be seated and arranged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A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magnet 220 mounted on the magnet mounting portion 201 is formed with a hole (seating hole 201a) so that the driving coil 410 or the yoke 310 can interact with each other. .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number and arrangement of the above-mentioned magnet seating portions 20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but may be provided in various numbers or may be arranged at various positions necessary for preventing hand tremble that is to be achiev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a structure in which the magnets 220 can be seated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the lower surface can be opened and the seating hole 201a can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lso, And may be located at various locations.

제 2유동부(300)는 상기 베이스(100)의 하부에 결합하며 유동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예를 들면, 제 2유동부(300)는 사용자의 손떨림 등에 따라 상기 제 2유동부(300)가 렌즈 조립체(210)의 광축(O) 방향으로 유동함으로써, 손떨림 보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The second fluid unit 300 is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base 100 and to flow. For example, the second fluid unit 300 can move the second fluid unit 300 in the direction of the optical axis O of the lens assembly 210 according to the shaking of the user, thereby performing the camera-shake correction operation.

제 2유동부(300)는 광축(O)을 포함하는 중심홀(C) 주변부에 적어도 하나의 요크(yoke)를 장착할 수 있다.The second fluid unit 300 may mount at least one yoke on the periphery of the center hole C including the optical axis O. [

요크(310)는 상부에 배치된 제 1유동부(200)의 자석(220)과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조립되며, 상기 자석(220)과의 간극(g)이 가변됨에 따라 광축(O) 방향의 자기력 생성되며, 공진주파수(f)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공진주파수(f)의 가변에 따라 수행되는 손떨림 보정 동작과정은 후술하도록 한다.The yoke 310 is assembled at a position facing each other with the magnet 220 of the first moving part 200 disposed at the upper part of the yoke 310. As the gap g with respect to the magnet 220 is varied, And the resonance frequency f can be adjusted. An operation of correcting the shaking motion performed according to the variation of the resonance frequency f will be described later.

제 2유동부(30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요크(310)를 장착하기 위한 요크홈(301)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fluid unit 300 may include a yoke groove 301 for mounting the at least one yoke 310.

상기 요크홈(301)는 상기 중심홀(C)을 중심으로 주변부에 배치되며, 요크(310)가 안착될 때, 안전하기 지지될 수 있도록 요크(310) 가장자리를 감싸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요크홈(301)에 요크(310)가 안착되는 경우, 상측에 배치된 자석(220)과 상호 작용하도록 상측이 개구되도록 상측에 요크홀(301a)을 포함할 수 있다. 요크홈(301) 하단에는, 하측에서 상측방향으로 요크가 안착되고 하측으로 요크(310)가 이탈되지 않도록, 요크마개(301b)를 포함할 수 있다.The yoke groove 301 is disposed at a peripheral portion around the center hole C and may be configured to surround the edge of the yoke 310 so that the yoke 310 can be securely supported when the yoke 310 is seated. When the yoke 310 is seated in the yoke groove 301, the yoke hole 301a may be formed on the upper side so that the upper side thereof is opened so as to interact with the magnet 220 disposed on the upper side. A yoke stopper 301b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end of the yoke groove 301 so that the yoke is seated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and the yoke 310 is not released downward.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요크홈(301)는 네 개의 요크(310)를 수용할 수 있도록 네 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중심홀(C)을 기준으로 서로 동일한 간격 및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코일(410), 자석(220) 및 요크(310)의 중심은 동일 선상에 배치되어 서로 상호 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For exampl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yoke groove 301 is formed of four yokes 310 to accommodate four yokes 310, . Here, the center of the driving coil 410, the magnet 220, and the yoke 310 may be disposed on the same line, and may interact with each other.

또한, 요크홈(301)은 하측에서 상측방향으로 요크(310)를 배치하되, 상기 요크(310)가 자석(220)과 상호 작용으로 위치가 변동되지 않도록 요크홀(301a)의 크기를 요크(310)의 크기보다 작게 구성하고 요크(310)의 가장자리를 가이드하여, 요크(310)의 상하, 좌우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다만,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시한 요크홈(301)의 개수 및 배치에 한정된 것을 아니며,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손 떨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필요한 다양한 개수로 마련되거나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The yoke groove 301 is formed by arranging the yoke 310 in a direction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so that the size of the yoke hole 301a is adjusted to the yoke 310 so that the position of the yoke 310 is not changed by interaction with the magnet 220 310 and guide the edge of the yoke 310 so that the vertical movement and the lateral movement of the yoke 310 can be restrict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number and arrangement of the yoke grooves 30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nd may be arranged in various numbers or in various positions necessary to prevent hand tremor that is to be achieved in the present invention.

제 2유동부(300)는 중심부에 요크 중심축(330) 배치되어, 광축(O)으로 운동하는 제 2유동부(300)를 안내할 수 있다. 요크 중심축(330)은 복수개의 요크홈(301)의 중앙에서 제 2유동부(300)가 안전하게 구동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The second moving part 300 is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yoke center shaft 330 and can guide the second moving part 300 moving along the optical axis O. [ The yoke center axis 330 can help the second fluid section 300 to be safely driven from the center of the plurality of yoke grooves 301.

커버부(400)는 상기 제 1유동부(200) 상부에 배치되며, 카메라 렌즈 모듈(10)의 상측을 덮을 수 있도록 구성한다. 예를 들면, 커버부(400)는 렌즈 조립체(210), 베이스(100), 제 1유동부(200), 제 2유동부(300) 등의 각각의 구동장치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렌즈 조립체(210)를 위한 촬영용 개구(예를 들어, 중심홀)를 제외하고, 상부에서 개방된 부분을 모두 폐쇄함으로써, 각 구성요소들을 보호할 수 있다.The cover part 400 is disposed on the first moving part 200 and covers the upper side of the camera lens module 10. For example, in a state where the respective driving devices such as the lens assembly 210, the base 100, the first fluid unit 200, and the second fluid unit 300 are coupled, Each component can be protected by closing all the open portions at the top except for the imaging opening (e.g., the center hole) for assembly 210.

커버부(400) 하측면에 배치되는, 광축(O)을 포함하는 중심홀(C) 주변부에 적어도 하나의 구동코일(410)을 장착할 수 있다.At least one driving coil 410 may be mounted on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center hole C including the optical axis O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cover portion 400. [

구동코일(410)은 하부에 배치된 제 1유동부(200)의 자석(220)과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조립되며, 상기 자석과 전자기적 상호 작용을 수행하므로써, VCM(Voice Coil Motor) 액츄에이터를 구성하게 된다. 구동코일(410)의 양단은 제어된 구동 전원을 인가해주는 회로기판(420)에 접속될 수 있다. 구동코일(410)은 커버부(400) 하단에 고정 배치되고, 자석(220)이 장착된 제 1유동부(200)는 자석(220)과 구동코일(410) 간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따라 광축(O)에 수직인 평면(예:X-Y 평면)에서 구동되며 보정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자석(220)이 고정되고 구동코일(410)이 광축(O)에 수직인 평면(예:X-Y 평면)에서 구동되며 보정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The driving coil 410 is assembled at a position facing the magnet 220 of the first moving part 200 disposed at the lower part and performs an electromagnetic interaction with the magnet so that a voice coil motor Respectively. Both ends of the driving coil 410 may be connected to a circuit board 420 for applying controlled driving power. The driving coil 410 is fixedly disposed on the lower end of the cover part 400 and the first moving part 200 on which the magnet 220 is mounted is moved along the optical axis (E.g., an XY plane)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O and can perform a correction opera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magnet 220 may be fixed and the driving coil 410 may be driven in a plane (e.g., the X-Y plane)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O,

구동코일(410)은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며, 각각의 구동코일(410)들은 상기 제 1유동부에 장착된 자석(220)들과 각각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코일(410)로 각각 전기 신호를 인가하기 위해 주변부에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420)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구동코일(410)은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420)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420)에는, 예를 들어, 위치를 감지하는 홀 센서(미도시)가 장착되어 상기 제 1유동부(200) 또는 상기 제 1유동부(200)에 수용된 렌즈 조립체(210)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제 1방향(X)으로 장축을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구동코일(410)에 전기 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제 1유동부(200)와 렌즈 조립체(210)는 상기 광축(O)에 수직인 평면에서 상기 제 1방향(X)으로 유동하고, 상기 제 2방향(Y)으로 장축을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구동코일(410)에 전기 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제 1유동부(200)와 렌즈 조립체(210)는 상기 광축(O)에 수직인 평면에서 제 2방향(Y)으로 유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손떨림 등 외력에 의한 진동에 따라 상기 구동코일(410)들 중 적어도 하나에 전기 신호가 인가되어 상기 제 1유동부(200)와 렌즈 조립체(210)를 유동시킴으로써 진동에 의한 촬상 이미지의 흐트러짐 등을 억제, 완화할 수 있다. The driving coils 410 may be at least one, and each of the driving coils 410 may be arranged to face each of the magnets 220 mounted on the first moving part.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420 may be provided at the periphery to apply electrical signals to the drive coils 410 and the drive coils 410 may be connected to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420 .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420 is provided with a hole sensor (not shown) for sensing a position of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420 and a lens assembly (not shown) accommodated in the first fluid unit 200 or the first fluid unit 200 210 can be detected. When the electric signal is applied to the driving coil 410 arranged to form a long axis in the first direction X, the first fluid 200 and the lens assembly 210 are moved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O When the electric signal is applied to the driving coil 410 which flows in the first direction X and is arranged to form a long axis in the second direction Y, the first fluid 200 and the lens assembly 210 are rotated, May flow in a second direction (Y)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O). In this way, an electric signal is applied to at least one of the drive coils 410 according to the vibration of the user, such as camera shake, to flow the first fluid 200 and the lens assembly 210, It is possible to suppress and alleviate the image distortion and the like.

따라서 커버부(40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코일(410)을 장착하기 위한 구동코일 안착부(402)를 구비할 수 있으며, 구동코일(410)에 전기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가요성 인쇄회로기판(420)을 구비할 수 있다.The cover unit 400 may include a drive coil receiving portion 402 for mounting the at least one drive coil 410 and may include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420).

상기 구동코일 안착부(402)는 커버부(400) 하면에 상기 중심홀(C)을 중심으로 주변부에 배치되며, 상기 구동코일(410)이 안착될 때, 안전하기 지지되고 고정될 수 있도록 구동코일(410) 가장자리를 감싸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구동코일 안착부(402)에 구동코일(410)이 안착되는 경우, 하측에 배치된 자석(220)과 상호 작용하도록 하측이 개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driving coil receiving portion 402 is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over portion 400 around the center hole C so as to be securely supported and fixed when the driving coil 410 is seated. And may be configured to surround the edge of the coil 410. Further, when the drive coil 410 is mounted on the drive coil receiving portion 402, the lower side may be opened to interact with the magnet 220 disposed on the lower side.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구동코일 안착부(402)는 네 개의 구동코일(410)을 수용할 수 있도록 네 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중심홀(C)을 기준으로 서로 동일한 간격 및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구동코일(410) 중 상기 제 1방향(X)으로 장축을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구동코일(410)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 1유동부(200)와 렌즈 조립체(210)가 상기 광축(O)에 수직인 평면에서 제 1유동부(200)가 상기 제 1방향(X)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돕는다. 또한, 구동코일 중 상기 제 2방향(Y)으로 장축을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구동코일(410)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 1유동부(200)와 렌즈 조립체(210)가 상기 광축(O)에 수직인 평면에서 제 1유동부(200)가 제 2방향(Y)으로 유동시킬 수 있도록 돕는다. 여기서 상기 구동코일(410), 자석(220)의 중심은 동일 선상에 배치되어 서로 상호 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For exampl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coil seat 402 is formed of four pieces to accommodate the four driving coils 410, As shown in FIG. A pair of driving coils 410 arranged to form a long axis in the first direction X of the driving coil 410 are arranged parallel to each other so that the first moving part 200 and the lens assembly 210 So that the first flow portion 200 can flow in the first direction X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O. [ The driving coil 410 arranged to form a long axis in the second direction Y of the driving coils is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driving coil 410 so that the first moving part 200 and the lens assembly 210 move along the optical axis O In the second direction (Y)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Y). Here, the centers of the driving coils 410 and the magnets 220 may be arranged on the same line, and may interact with each other.

다만,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시한 구동코일(410)의 개수 및 배치에 한정된 것을 아니며,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손 떨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필요한 다양한 개수로 마련되거나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number and arrangement of the drive coils 41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nd may be provided in various numbers or may be arranged at various positions necessary to prevent hand tremor which is to be achieved in the present invention.

커버부(400) 상측에는 구동코일(410)에 전기를 인가하기 위하여 가요성 인쇄회로기판(420)을 배치할 수 있다.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기판(420)은 카메라 모듈을 구성하는 부품들의 형상과 같이, 광축(O)을 포함하는 중심홀(C)에 영향을 가하지 않도록 링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420 may be disposed on the cover 400 to apply electricity to the drive coil 410.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420 may be formed in a ring shape so as not to affect the center hole C including the optical axis O, like the shape of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camera module.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10)은 제 2유동부(300)를 구동할 수 있는 구동부(500), 광축(O) 방향 흡착력을 보상하기 위한 탄성부재(510) 및 로드(5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amera lens module 10 may further include a driving unit 500 capable of driving the second fluid unit 300, an elastic member 510 for compensating for the attraction force in the optical axis O direction, have.

상기 구동부(500)는 상기 베이스(100) 또는 제 2유동부(300)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 2유동부(300)를 상기 광축(O) 방향으로 진퇴 운동시킬 수 있는 구동력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구동부(500)의 구동력으로 상기 제 1유동부(200)와 제 2유동부(300) 사이의 간극(g)을 제어하여 상기 자석(220)과 요크(310) 사이의 공진주파수(f)를 가변시킴으로 손 떨림 보정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동부(500)는 상기 간극(g)을 제어하기 위하여 설치되며, 예를 들어, 제 2유동부(300)의 구동을 위한 샤프트(shaft), 클립(clip), 브라켓(bracket) 등이 연결된 DC 또는 스텝 모터 어셈블리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driving unit 500 is disposed at one side of the base 100 or the second moving unit 300 and provides a driving force that allows the second moving unit 300 to move back and forth in the optical axis O direction. The gap g between the first fluid 200 and the second fluid 300 may be controlled by a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unit 500 to increase the resonance frequency between the magnet 220 and the yoke 310 (f) can be varied to improve the hand shake correction performance. The driving unit 500 is provided to control the gap g and is connected to a DC connected to a shaft, a clip, a bracket, or the like for driving the second moving unit 300. For example, Or a step motor assembly or the like.

구동부(500)는 상기 구성요소 이외에도 구동커버(530)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커버(530)는 베이스(100) 또는 제 2유동부(300)에 배치된 구동부(500)의 주변을 감싸도록 구성하여 구동부(500)가 외부 충격에 의하여 손상되는 것을 보호할 수 있다. The driving unit 500 may include a driving cover 530 in addition to the above components. The drive cover 530 may be configured to surround the periphery of the drive unit 500 disposed in the base 100 or the second fluid unit 300 to protect the drive unit 500 from being damaged by an external imp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구동부(500)는 베이스(100) 및 제 2유동부(300)에 걸쳐 배치되는 동시에 각 베이스(100) 및 제 2유동부(300)의 가장자리에 맞닿아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구동커버(530)는 상기 구동부(500)의 상부를 보호할 수 있도록 베이스(100)에도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구동부(500)의 하부를 보호할 수 있도록 제 2유동부(300)에도 설치될 수 있다. 다만,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시한 구동부(500)의 수 및 배치에 한정된 것을 아니며,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손 떨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필요한 다양한 개수로 마련되거나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The driving unit 500 is disposed over the base 100 and the second moving unit 300 and is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edges of the base 100 and the second moving unit 300 . The driving cover 530 may be installed on the base 100 to protect the upper portion of the driving unit 500 and may include a second moving unit 300 to protect the lower portion of the driving unit 500. [ .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number and arrangement of the driving units 5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nd it is obvious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ovided in various numbers or in various positions necessary for preventing hand tremble .

상기 탄성부재(510)는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10) 내부에 배치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탄성부재(510)는 제 2유동부(300)가 구동부(500)에 의하여 광축(O) 방향으로 상, 하 운동을 하는 경우, 자석(220)과 요크(310) 사이의 간극(g)의 최대 간극과 최소 간극의 범위를 설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The elastic member 510 may be disposed inside the camera lens module 10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or more elastic members. The elastic member 510 is disposed between the magnet 220 and the yoke 310 when the second moving unit 300 moves upward and downward in the optical axis O direction by the driving unit 500 And can set the range of the maximum gap and the minimum gap.

예를 들면, 탄성부재(510)는 베이스(100) 내부에 배치되며, 로드(520)를 통하여 제 2유동부(300)와 연결되어 제 2유동부(300)의 이동을 안내한다. 자석(220)과 요크(310)의 간극(g)이 최소가 될 때, 탄성부재(510)는 최대로 압축되며, 후술할 복원력(R)의 크기와 방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자석(220)과 요크(310)의 간극이 최대가 될 때, 탄성부재(510)는 최대로 인장되며, 역시 후술할 복원력(R)의 크기와 방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탄성부재(510)는 판스프링, 코일스프링 등과 같은 압축과 인장이 작용하여, 탄성력이 구현가능한 다양한 부재를 사용할 수 있으며, 카메라 렌즈 모듈(10)을 관통하는 로드(520) 외면에 배치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elastic member 510 is disposed inside the base 100 and connected to the second fluid flow unit 300 through the rod 520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second fluid flow unit 300. When the gap g between the magnet 220 and the yoke 310 is minimized, the elastic member 510 is compressed to the maximum and may affect the magnitude and direction of the restoring force R described later. Also, when the gap between the magnet 220 and the yoke 310 is maximized, the elastic member 510 is pulled to the maximum, which may also affect the magnitude and direction of the restoring force R,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elastic member 510 may be formed of various members capable of realizing an elastic force by compression and tensile action such as a leaf spring and a coil spring and may be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rod 520 passing through the camera lens module 10 .

상기 로드(520)는 상기 탄성부재(510)가 인장 또는 수축이 일어날 때, 인장 또는 수축의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하며, 탄성부재(510) 내측으로 배치될 수 있다. 로드(520)는 상기 중심홀(C)을 중심으로 주변부에 적어도 하나로 구비될 수 있다. The rod 520 serves to guide the movement of tension or contraction when the elastic member 510 is stretched or contracted, and may be disposed inside the elastic member 510. The rod 520 may be provided on at least one peripheral portion around the center hole C.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로드(520)는 네 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중심홀(C)을 기준으로 동일한 간격 및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로드(520) 외면 상에 탄성부재(510)가 배치되는 것 이외에도 베이스(100) 또는 제 2유동부(300)를 관통하도록 배설되어, 제 2유동부(300)의 광축(O) 방향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다만,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시한 로드(520)의 개수 및 배치에 한정된 것을 아니며,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손 떨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필요한 다양한 개수로 마련되거나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ds 520 are formed of four pieces, and may be disposed at the same intervals and corresponding positions with respect to the center hole C. The elastic member 510 may be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rod 520 so as to penetrate the base 100 or the second fluid portion 300 so that the elasticity of the elastic member 510 in the direction of the optical axis O of the second fluid portion 300, It can guide the movement.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number and arrangement of the above-described rods 52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nd may be provided in various numbers or may be arranged at various positions necessary to prevent hand tremor that the present invention intends to achiev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1)에 구비된 카메라 렌즈 모듈(10)은 자석(220)과 요크(310)의 간극을 가변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종래 구성보다 부품의 수를 절약하여 손떨림 구동 락킹을 구현하는 동시에 촬영 상황에 따라 적절한 손떨림 구동을 제어하여 부품비 절감 및 전자장치의 슬림화를 이룰 수 있다.The camera lens module 10 included in the electronic device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ructed so that the gap between the magnet 220 and the yoke 310 can be varied to save the number of parts, Driving lock is implemented and at the same time an appropriate shaking motion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shooting situation, thereby reducing the parts cost and slimming the electronic device.

또한, 본 발명의 카메라 렌즈 모듈(10)은 제 1유동부(200) 및 제 2유동부(300) 간의 발생하는 상호 작용을 통하여 손떨림 보정량을 매우 향상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제 1유동부(200)에 장착된 자석(220)과 제 2유동부(300)에 장착된 요크(310)는 마주보는 위치에 조립되어 서로에 대해 자기적인 인력이 작용한다. 일반적으로, 자석(220)과 요크(310) 간의 인력을 이용하여 렌즈 조립체(210)와 제 2유동부(300)가 서로에 대해 밀착되도록 하며, 구동 전원이 차단되었을 시에 자석(220)의 중심을 요크(310)의 중심과 일치시킴으로써 렌즈 조립체(210)를 정 위치로 복귀시킨다. 그러나 본 발명의 카메라 렌즈 모듈(10)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일반적인 자석(220)과 요크(310)의 상호 관계 이외에도, 자석(220)과 요크(310) 사이, 광축(O) 방향의 간극(g) 조절을 통하여 보정각 확대를 통한 손떨림 보정량을 변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자석(220)과 요크(310)의 간극(g)을 가변함으로써, 자석(220)과 요크(310) 사이의 상호 작용을 통해 발생하는 공진주파수(f)를 가변할 수 있으며, 이와 연관된 흡착력(A), 복원력(R) 및 DC감도(D)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각 용어들은 손떨림 보정각을 확대와 관련된 주파수 및 힘들이다. 이하, 흡착력(A), 복원력(R), 공진주파수(f) 및 DC감도(D)의 설명과 각 발생하는 주파수 및 힘들의 제어를 통한 손떨림 보정각을 조절하는 과정을 설명한다.In addition, the camera lens modul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greatly improve the correction of the shaking motion through the interac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fluid dynamic sections 200 and 300. Generally, the magnets 220 mounted on the first moving part 200 and the yokes 310 mounted on the second moving part 300 are assembled in opposite positions and a magnetic attracting force is applied to each other. Generally, the lens assembly 210 and the second fluid part 300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by using the attraction force between the magnet 220 and the yoke 310, and when the driving power is cut off, Aligning the center with the center of the yoke 310 to return the lens assembly 210 to its home position. Howev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camera lens modul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ap between the magnet 220 and the yoke 310 in the direction of the optical axis O, as well a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eneral magnet 220 and the yoke 310, (g),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amount of camera shake correction through the correction angle enlargement. For example, by varying the gap g between the magnet 220 and the yoke 310, the resonance frequency f generated through the interaction between the magnet 220 and the yoke 310 can be varied , The attraction force (A), the restoring force (R), and the DC sensitivity (D) associated therewith can be controlled. Each of these terms is the frequency and forces associated with magnifying the correction of the shake correction angle. Hereinafter,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the attraction force (A), the restoring force (R), the resonance frequency (f) and the DC sensitivity (D), and the process of adjusting the camera shake correction angle by controlling the frequencies and forces generated.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카메라 렌즈 모듈 내 자석과 요크 사이의 상호 관계를 나타낸 간략도이다.5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orrelation between a magnet and a yoke in a camera lens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는 자석(220)과 요크(310) 상호 간에 발생하는 흡착력(A)을 간략히 나타낸 것이며, 도 5(b)는 자석(220)과 요크(310) 상호 간에 발생하는 복원력(R)을 간략히 나타낸 것이다.5 (a) schematically shows the attraction force A generated between the magnets 220 and the yoke 310, and FIG. 5 (b) shows the restoring force R generated between the magnets 220 and the yokes 310 ).

종래 기술은 자석(220)과 요크(310) 사이의 간극(g)이 고정 설계되어 전원 차단에 의하여 자석(220)과 요크(310) 사이의 정 위치 복귀만을 위해 상기 구성요소들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자석(220)과 요크(310) 사이의 간극(g)을 조절할 수 있도록 설계하여, 자석(220)과 요크(310) 사이에 발생하는 상호 작용에 따른 힘들을 조절하여 손떨림 보정각 제어에 활용할 수 있다.The prior art has used a fixed design of the clearance g between the magnet 220 and the yoke 310 to only return the magnet 220 and the yoke 310 to the fixed position due to power interruption. 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learance g between the magnet 220 and the yoke 310 can be adjusted to adjust the forces due to the interaction between the magnet 220 and the yoke 310, It can be used for control.

우선, 도 5(a)를 참조하면, 자석(220)과 요크(310) 사이에 발생하는 흡착력(A), 예를 들면, 요크(310)가 자석(220)을 요크(310)쪽으로 당기는 힘에 관하여 도시하고 있다. 자석(220)과 요크(310)는 서로 상호 인력이 작용하여, 자석(220)이 장착된 제 1유동부(200)와 요크(310)가 장착된 제 2유동부(300) 간에 서로 유기적인 관계를 가진 움직임이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유동부(200)는 광축(O)에 수직인 평면(예를 들어 X,Y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기 때문에 구동이 일어나지 않지만, 제 2유동부(300)는 광축(O)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흡착력(A)에 의하여 구동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 5(a)와 같이 사이즈가 고정 설계된 경우, 요크(310)가 자석(220)으로 이동시 흡착력(A)은 증가되며, 요크(310)가 자석(220)과 멀어지는 쪽으로 이동시 흡착력(A)은 감소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A, the attraction force A generated between the magnet 220 and the yoke 310, for example, the yoke 310, is a force that pulls the magnet 220 toward the yoke 310 . ≪ / RTI > The magnets 220 and the yokes 310 are mutually attra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moving parts 200 and 300 having the magnets 220 mounted thereon and the second moving parts 300, Relational movements can occur. Since the first fluid unit 200 can move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O (e.g., in the X and Y directions), the second fluid unit 300 does not move in the direction of the optical axis O It can be driven by the attraction force (A). 5 (a), when the yoke 310 is moved to the magnet 220, the attracting force A is increased, and when the yoke 310 moves toward the side away from the magnet 220, ) Can be reduced.

도 5(b)를 참조하면, 자석(220)과 요크(310)사이에 발생하는 복원력(R), 예를 들면 자석(220)이 이동 전 초기위치로 복귀하는 힘에 관하여 도시하고 있다. 자석(220)과 구동코일(410) 간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발생된 VCM구동력(D)에 의해 자석(220)이 광축(O)에 수직인 평면 상을 이동하게 되면, 자석(220)은 자석(220)이 이동하기 전의 초기 위치로, 자석(220)의 중심이 요크(310)의 중심을 향하여 이동하게 되는데 이를 복원력(R)이라 한다.Referring to FIG. 5B, the restoring force R generated between the magnet 220 and the yoke 310, for example, the force of returning the magnet 220 to its initial position before movement is shown. When the magnet 220 moves o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O by the VCM driving force D generated by the interaction between the magnet 220 and the driving coil 410, The center of the magnet 220 moves toward the center of the yoke 310. This is called the restoring force (R).

상기 흡착력(A) 및 복원력(R)은 손떨림 보정각과 상호 작용하는 힘들이며, 흡착력(A), 복원력(R)이 작아질수록 공진주파수(f)가 작아지며, 손떨림 보정각 및 구동략은 증가하게 된다.The attraction force A and the restoring force R are forces interacting with the camera shake correction angle and the smaller the attraction force A and the restoring force R are, the smaller the resonance frequency f is. .

이하, 공진주파수(f)는 공진이 일어날 때, 물체에서 발생하는 주파수를 말하며, 하기 공진주파수(f)의 수학식을 도시하였다.Hereinafter, the resonance frequency f refers to a frequency generated in the object when resonance occurs, and the following equation for the resonance frequency f is shown.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f는 공진주파수f is the resonance frequency

k는 스프링 상수k is a spring constant

m은 움직이는 물체의 질량m is the mass of the moving object

ΔF는 복원력의 변화량DELTA F is the change amount of the restoring force

Δx는 변위량? X is the displacement amount

상기에 제시된 수학식 1을 참고하면, 공진주파수(f)는 움직이는 물체(Moving part) 전체의 질량과 복원력(R) 관계에 의하여 결정됨을 알 수 있다. 상기 VCM 구동력에 의해 이동되어지는 움직이는 물체의 질량이 고정된 경우, 스프링 상수(k)에 의해 공진주파수(f)는 결정되며, 스프링 상수(k) 값이 커질수록 공진주파수(f)는 높아지며, 스프링 상수(k) 값이 작아질수록 공진주파수(f)는 낮아지게 된다. Referring to Equation (1), it can be seen that the resonant frequency f is determined by the mass of the moving part as a whole and the restoring force (R). The resonance frequency f is determined by the spring constant k when the mass of the moving object moved by the VCM driving force is fixed and the resonance frequency f is increased as the spring constant k is larger, As the value of the spring constant (k) becomes smaller, the resonance frequency f becomes lower.

또한, 상기 스프링 상수(k)는 복원력(R)이 변화략과 연관관계에 따라, 복원력(R)의 변화량에 따라 공진주파수(f)를 제어할 수 있다.The spring constant k can control the resonance frequency f according to the change amount of the restoring force R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in the restoring force R. [

본 발명에서 움직이는 물체를 제 2유동부(300)로 설정하고, 상기 제 2유동부(300)의 질량은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공진주파수(f)는 k값에 의하여 결정된다. 상기 k는 복원력(R)의 비례하기 때문에 상기 자석(220)과 요크(310) 간의 복원력(R)의 변화량에 따라 공진주파수(f)를 가변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ing object is set as the second fluid unit 300, and the mass of the second fluid unit 300 is fixed, so that the resonance frequency f is determined by the k value. The resonance frequency f can be vari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change of the restoring force R between the magnet 220 and the yoke 310 because k is proportional to the restoring force R. [

DC감도(DC Sensitivity)(D)는 스프링 상수(k)에 반비례하며, 단위는 [mm/V]이며, 단위 V에 해당하는 수치를 입력시 손떨림 구동장치가 구동 가능한 거리를 나타낸다. DC감도(D)가 높을수록 더 큰 손떨림 보정량에 대응하는 손떨림 구동장치가 구동될 수 있다.DC Sensitivity (D)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spring constant (k), and the unit is [mm / V]. The higher the DC sensitivity (D), the more the camera shake drive device corresponding to the larger shake correction amount can be driven.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력에 의한 카메라 렌즈 모듈의 처짐량을 설명하는 카메라 렌즈 모듈의 상면도이다.6 is a top view of a camera lens module illustrating a deflection amount of a camera lens module by grav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10)을 중력 방향으로 세우면, 중력의 영향으로 처짐이 발생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when the camera lens module 10 is installed in the direction of gravity, deflection may occur due to gravity.

카메라 렌즈 모듈(10)에서 발생하는 중력에 의한 처짐량(X)은 보정하면, 별도의 손떨림 락킹 구조를 사용한 것과 동일한 효과를 낼 수 있는바, 상기 처짐량(X)과 상호 관련된 힘들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Correction of the deflection X due to gravity generated in the camera lens module 10 can produce the same effect as using a separate camera-shake locking structure, and it is necessary to examine forces related to the deflection amount X .

중력에 의한 처짐량(X)의 수학식은 다음과 같다.The equation of deflection (X) due to gravity is as follows.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x는 중력에 의한 처짐량x is the deflection due to gravity

f는 공진주파수f is the resonance frequency

상기 수학식 2를 참조하면, 처짐량(X)은 공진주파수(f)와 반비례 관계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공진주파수(f)를 높이면 카메라 렌즈 모듈(10)에서 발생하는 중력 처짐량(X)을 낮출 수 있다. 이는 종래 기술에서 별도로 구비하던 손떨림 락킹 구조를 사용하지 않고 이와 동등한 설계가 구현되는 것을 의미하며, 더욱이, 중력에 의해 이동한 카메라 렌즈 모듈(10)의 구성요소 들을 다시 정위치로 옮기기 위한 전력이 소비되지 않는 소비절감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외부 충격에 의한 떨림량이 감소하게 되므로 카메라 렌즈 모듈(10)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현저히 감소하고 파손 우려도 감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Referring to Equation (2), it can be confirmed that deflection amount X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resonance frequency f. For example, by increasing the resonance frequency f, the gravitational deflection X generated in the camera lens module 10 can be reduced. This means that the equivalent design is implemented without using the hand-held locking structure separately provided in the prior art, and moreover, the power for moving the components of the camera lens module 10 moved by the gravity back to the correct position is consumed It is possible to have a consumption saving effect that does not occur. In addition, since the shaking amount due to the external impact is reduced, the noise generated in the camera lens module 10 is remarkably reduced and the fear of damage is reduced.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렌즈 모듈(10)을 설계함에 있어서, 공진주파수(f)를 조절하여 중력의 처짐량(X)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구현함에 따라, 이에 따라 별도의 부품없이 손떨림 락킹을 구현가능함을 알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amera lens module 10 is designed, the deflection amount X of the gravity can be minimized by adjusting the resonance frequency f, It can be seen that the shaking lock can be implemented.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크가 자석에 가깝게 이동한 카메라 렌즈 모듈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크가 자석에 멀리 이동한 카메라 렌즈 모듈을 나타낸 단면도이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amera lens module in which a yoke moves close to a magn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amera lens module in which a yoke moves away from a magn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 및 8을 참조하면, 상기 구동부(500)의 구동에 의해 요크(310)가 장착된 제 2유동부(300)가 광축(O)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요크(310)와 자석(220) 간의 간극(g)을 제어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S. 7 and 8, as the second moving unit 300 mounted with the yoke 310 moves in the optical axis O direction by driving the driving unit 500, the yoke 310 and the magnet 220 Can be controlled by controlling the gap g.

우선, 요크(310)가 장착된 제 2유동부(300)가 광축(O)의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면, 요크(310)가 장착된 제 2유동부(300)와 자석(220)이 장착된 제 1유동부(200)와의 간극(g)이 최소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요크(310)와 자석(220)이 최소 간극(g)을 유지할 수 있도록 탄성부재(510)가 배치될 수 있다. First, when the second fluid unit 300 with the yoke 310 mounted thereon is moved in the upward direction of the optical axis O, the second fluid unit 300 with the yoke 310 mounted thereon and the magnet 220 mounted thereon The gap g with respect to the first flow portion 200 can be minimized. Here, the elastic member 510 may be disposed so that the yoke 310 and the magnet 220 can maintain the minimum clearance g.

요크(310)가 자석(220)으로 가장 가깝게 이동하게 되면, 요크(310)와 자석(220) 사이의 간극(g)은 최소가 되며, 상기 설명한 흡착력(A) 및 공진주파수(f)는 가장 높아지게 된다. DC감도(D)는 가장 낮아질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510)의 압축량이 최대가 되며, 복원력(R)이 흡착력(A)의 반대 방향으로 작용할 수 있다.The gap g between the yoke 310 and the magnet 220 is minimized and the attraction force A and the resonance frequency f described above are minimized when the yoke 310 moves closest to the magnet 220 . The DC sensitivity (D) can be lowest. Further, the compression amount of the elastic member 510 becomes the maximum, and the restoring force R can act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attraction force A.

그리고 요크(310)가 장착된 제 2유동부(300)가 광축(O)의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면, 요크(310)가 장착된 제 2유동부(300)와 자석(220)이 장착된 제 1유동부(200)와의 간극(g)이 최대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요크(310)와 자석(220)이 최대 간극(g)의 한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탄성부재(510)가 배치될 수 있다.When the second fluid unit 300 mounted with the yoke 310 moves in the downward direction of the optical axis O, the second fluid unit 300 with the yoke 310 and the second fluid unit 300 with the magnet 220 mounted thereon The gap g with respect to the first moving part 200 can be maximized. Here, the elastic member 510 may be disposed so that the yoke 310 and the magnet 220 can maintain the maximum gap g.

요크(310)가 자석(220)으로 가장 멀게 이동하게 되면, 요크(310)와 자석(220) 사이의 간극(g)은 최대가 되며, 상기 설명한 흡착력(A) 및 공진주파수(f)는 가장 낮아지게 된다. DC감도(D)는 가장 높아질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510)의 압축량은 최소가 되며, 복원력(R)이 흡착력(A)의 반대 방향으로 작용할 수 있다.The gap g between the yoke 310 and the magnet 220 is maximized and the attracting force A and the resonance frequency f described above are maximized when the yoke 310 is moved farthest to the magnet 220 . The DC sensitivity (D) can be the highest. Further, the amount of compression of the elastic member 510 is minimized, and the restoring force R can act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attraction force A.

그리고 자석(220)과 요크(310)의 흡착력(A)과 탄성부재(510)의 복원력(R)이 상호 유사하도록 설계하여 상호간 힘의 평형을 이룰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요크(310)가 장착된 제 2유동부(300)의 이동이 정밀하고 원할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The attraction force A between the magnets 220 and the yoke 310 and the restoring force R of the elastic member 510 are designed to be similar to each other to balance the forces therebetween, 2 moving unit 300 can be precisely and smoothly performed.

상기 설명한 대로,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렌즈 모듈(10)은 제 2유동부(300)의 광축(O) 방향 이동을 통하여 자석(220)과 요크(310) 상호간의 간극(g)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간극(g)의 크기에 따라 공진주파수(f), 흡착력(A), 복원력(R), DC감도(D)의 제어가 가능하며, 이와 연관된 손떨림 보정각을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 상황에 따라 조절 가능한 전자장치의 구현이 가능하다.The camera lens modul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rol the gap g between the magnet 220 and the yoke 310 through the movement of the second moving part 300 in the optical axis O direction have. The resonance frequency f, the attraction force A, the restoring force R and the DC sensitivity D can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gap g, and the camera shake correction angle associated therewith can be adjusted Possible implementation of an electronic device is possible.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석과 요크 사이의 간극에 따른 손떨림 구동의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9 is a graph illustra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haking motion according to the gap between the magnet and the yok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a)는 자석(220)과 요크(310) 사이의 가변하는 간극(g)에 따른, 공진주파수(f) 및 DC감도(D) 변화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9A is a graph showing changes in the resonance frequency f and the DC sensitivity D according to the variable gap g between the magnet 220 and the yoke 310. FIG.

그래프를 살펴보면, 자석(220)과 요크(310) 사이의 간극(g)이 커질수록, 공진주파수(f)의 크기는 줄어들고, DC감도(D)는 증가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반대로 자석(220)과 요크(310) 사이의 간극(g)이 작아질수록, 공진주파수(f)의 크기는 증가하고, DC감도(D)는 감소함을 알 수 있다. 이는 앞서 본 수학식을 통해서도 설명될 수 있으며, 상기 가변하는 간극(g)을 가진 카메라 렌즈 모듈(10)을 이용하여 공진주파수(f), DC감도(D)를 제어하여 피사체를 촬영함에 있어 뛰어난 손떨림 방지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The graph shows that as the gap g between the magnet 220 and the yoke 310 increases, the magnitude of the resonance frequency f decreases and the DC sensitivity D increases. Conversely, as the gap g between the magnet 220 and the yoke 310 becomes smaller, the magnitude of the resonance frequency f increases and the DC sensitivity D decreases. This can be also explained by the above equation. The camera lens module 10 having the variable gap g is used to control the resonance frequency f and the DC sensitivity D, An image stabilization function can be implemented.

도 9(b)는 자석(220)과 요크(310) 사이의 가변하는 간극(g)에 따른, 흡착력(A)과 처짐량(X)의 변화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9B is a graph showing a change amount of the attraction force A and the deflection amount X in accordance with the variable gap g between the magnet 220 and the yoke 310. FIG.

그래프를 살펴보면, 자석(220)과 요크(310) 사이의 간극(g)이 커질수록, 흡착력(A)의 크기는 줄어들고, 처짐량(X)은 증가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반대로 자석(220)과 요크(310) 사이의 간극(g)이 작아질수록, 흡착력(A)의 크기는 증가하고, 처짐량(X)은 감소함을 알 수 있다. 이는 앞서 본 수학식을 통해서도 설명될 수 있으며, 상기 가변하는 간극(g)을 가진 카메라 렌즈 모듈(10)을 이용하여 피사체를 촬영함에 있어 뛰어난 손떨림 방지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It can be seen from the graph that as the gap g between the magnet 220 and the yoke 310 increases, the magnitude of the attraction force A decreases and the amount of deflection X increases. Conversely, as the gap g between the magnet 220 and the yoke 310 becomes smaller, the magnitude of the attraction force A increases and the deflection amount X decreases. This can be also explained by the above equation, and an excellent camera shake prevention function can be realized in photographing a subject by using the camera lens module 10 having the variable gap g.

이하에서는, 상기 간극(g)을 가변함에 따라, 카메라 렌즈 모듈(10)이 촬영 상황에 따라, 예들 들어, 정지 영상/ 동영상 등의 각 촬영 모드별 상황에 따라 변경되는 손떨림에 대하여 실시간으로 대처할 수 있는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s the gap g varies, the camera lens module 10 can cope with the camera shake which is changed according to the photographing situation, for example, the state of each photographing mode such as still image / moving image in real time The effect of which is explained.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렌즈 모듈의 손떨림 락킹을 구현하기 이한 요크의 위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렌즈 모듈의 손떨림 정지 영상 촬영을 위한 요크의 위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렌즈 모듈의 손떨림 동영상 촬영을 위한 요크의 위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10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position of a yoke for realizing camera-shake locking of a camera lens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position of a yoke for camera-shake still image pickup of a camera lens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position of a yoke for photographing a shaking motion of a camera lens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별도의 추가 전자장치 없이, 손떨림 구동 락킹(OIS Locking)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카메라 렌즈 모듈(10)을 나타낸다. 전술한 것처럼, 수학식 2를 보면, 처짐량(X)은 공진주파수(f)와 반비례 관계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처짐량(X)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공진주파수(f)를 증가시킬 필요가 있다.Referring to FIG. 10, there is shown a camera lens module 10 for implementing an OIS Locking function, without a separate additional electronic device. As described above, the deflection amount X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resonance frequency f in Expression (2).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resonance frequency (f) in order to minimize the deflection amount (X).

자석(220)과 요크(310) 사이의 거리를 최소 간극(g)으로 형성하려면, 광축(O)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요크(310)를 장착한 제 2유동부(300)를 상승시켜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구동부(500)를 구동하여 요크(310)를 탄성부재(510)가 허용하는 범위에서 자석(220)과 가깝게 상승시켜 간극(g)을 최소화하고, 이에 따른 공진주파수(f)는 최대가 되어 처짐량(X)을 최대 수치로 낮출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공진주파수(f)가 50Hz이상에서 처짐량(X)이 0.1mm이하로 낮아짐을 알 수 있다.The distance between the magnet 220 and the yoke 310 may be set to a minimum gap g by moving the second moving part 300 mounted on the yoke 310 in the direction of the optical axis O have. The gap g is minimized by driving the driving unit 500 to raise the yoke 310 close to the magnet 220 within a range allowed by the elastic member 510 so that the resonance frequency f is maximized The deflection amount (X) can be reduced to the maximum valu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flection amount X is reduced to 0.1 mm or less at a resonance frequency f of 50 Hz or more.

이렇게 카메라 렌즈 모듈(10)의 자석(220)과 요크(310) 사이의 간극(g)의 가변을 통하여 중력에 의한 처짐량(X)을 낮춤에 따라 손떨림 구동 락킹(OIS Locking) 기능이 가능한 발명을 만들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기능 구현으로 종래와 달리, 락킹(Locking) 모드 진입 시 손떨림 구동장치가 중심을 유지하기 위한 별도의 전력이 소모되지 않으며 높은 복원력(R)을 갖고 있어 외부의 충격에도 다른 기구물과 부딪혀 소음이 발생되거나 파손될 우려가 매우 낮아지는 효과가 있다.An invention capable of OIS locking can be realized by reducing the deflection amount X due to gravity by varying the gap g between the magnet 220 and the yoke 310 of the camera lens module 10 Can be made. Further, unlike the conventional case, unlike the prior art, when the locking mode is entered, the power is not consumed to maintain the center of the camera shake driving device and the high restoring force (R) is applied. There is an effect that the possibility of occurrence or breakage is very low.

도 11을 참조하면, 정지 영상을 촬영하는 경우, 손떨림 구동 장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카메라 렌즈 모듈(10)을 나타낸다. 전술한 그래프를 살펴보면(도 9참조) 공진주파수(f)가 너무 높을 경우, DC감도(D)가 급격히 감소하기 때문에 광학장치에서 요구하는 손떨림 보정각을 보정하기 위한 이동량을 구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공진주파수(f)를 조절하여, 필요한 DC감도(D)를 설정하여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Referring to FIG. 11, a camera lens module 10 for implementing a camera-shake drive device function when photographing a still image is shown. When the resonance frequency f is excessively high (see FIG. 9),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C sensitivity D rapidly decreases, and therefore, a movement amount for correcting the camera shake correction angle required by the optical device can not be implemented .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 above problem by adjusting the resonance frequency f and setting the required DC sensitivity D.

예를 들면, 자석(220)에 대한 요크(310)의 간극(g)을 손떨림 락킹에 구현된 간극(g)보다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간극(g)의 증가로 인하여 공진주파수(f)는 낮아지면서 DC감도(D)는 높아지므로 정상적인 손떨림 구동을 통해 흔들림없는 촬상이 가능해진다.For example, the gap g of the yoke 310 with respect to the magnet 220 can be adjusted in a direction to increase the gap g as compared with the gap g implemented in the camera-shake locking. As the gap g increases, the resonance frequency f becomes lower and the DC sensitivity D becomes higher, so that the image can be captured without shaking through normal shaking motion.

도 12를 참조하면, 동영상을 촬영하는 경우, 손떨림 구동 장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카메라 렌즈 모듈(10)을 나타낸다.Referring to FIG. 12, a camera lens module 10 for implementing a camera-shake drive device function when capturing a moving image is shown.

사용자가 촬영하는 도중 이동(예를 들면, 걷거나 계단을 오르는 행동과 같은)에 카메라를 잡은 손은 움직임 일어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는 정지 영상을 촬영하는 경우보다 좀 더 큰 손떨림이 일어날 수 있다. 이에 발생된 더 큰 손떨림을 보정하기 위해선 더 큰 손떨림 보정량이 요구된다.A hand holding the camera during movement (for example, walking or stair climbing) during a user's photographing may occur frequently. In this case, a larger shaking motion may occur than when a still image is shot.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larger camera shake, a larger camera shake correction amount is required.

전술한 그래프를 살펴보면(도 9참조), 자석(220)과 요크(310)의 간극(g)이 커질수록, 공진주파수(f)는 감소하고 DC감도(D)가 증가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정지 촬영시보다 더 DC감도(D)의 증가가 요구되는 동영상 촬영시에는 상기 간극(g)을 최대로 하여 DC감도(D)를 최대로 증가시켜 촬영을 하는 방법을 채택할 수 있다. 따라서 움직이면서 화면을 촬상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에 따라 흔들림 없는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9, the resonance frequency f decreases and the DC sensitivity D increases as the gap g between the magnet 220 and the yoke 310 increases. Therefore, at the time of capturing a moving image in which the DC sensitivity D is required to be increased more than that at the time of still photographing, the gap g may be maximized to increase the DC sensitivity D to the maximum. Therefore, even in the case of capturing a screen while moving, it is possible to obtain an image without blu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 외에도 다양한 상황에서 손떨림 보정량 변경 대응이 필요한 경우, 간극(g)을 가변하면서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10)을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it is necessary to cope with the change of the shaking motion correction amount in various situations, the camera lens module 10 can be advantageously applied while varying the gap g.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카메라 렌즈 모듈은 전술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전자장치 : 1
카메라 렌즈 모듈 : 10
베이스 : 100
제 1유동부 : 200
제 2유동부 : 300
커버부 : 400
구동부 : 500
렌즈 조립체 : 210
자석 : 220
요크 : 310
구동코일 : 410
연성회로기판 : 420
탄성부재 : 510
광축 : O
공진주파수 : f
중심홀 : C
Electronic devices: 1
Camera lens module: 10
Base: 100
First fluid section: 200
Second fluid section: 300
Cover part: 400
Driving part: 500
Lens assembly: 210
Magnets: 220
York: 310
Driving coil: 410
Flexible circuit board: 420
Elastic member: 510
Optical axis: O
Resonant frequency: f
Center hole: C

Claims (19)

카메라 렌즈 모듈에 있어서,
베이스;
렌즈 조립체를 수용하고, 상기 베이스에 결합하여 상기 렌즈 조립체의 광축에 수직인 평면에서 유동하는 제 1유동부; 및
상기 베이스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렌즈 조립체의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 2유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2유동부는 상기 이동을 통하여 상기 제 1유동부 및 제 2유동부 사이에 가변 가능한 간극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모듈.
A camera lens module comprising:
Base;
A first fluid chamber for receiving the lens assembly and coupled to the base to flow in a plane perpendicular to an optical axis of the lens assembly; And
And a second flow portion disposed below the base and moving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of the lens assembly,
And the second flow portion forms a variable gap between the first fluid portion and the second fluid portion through the movemen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와 상기 제 1유동부 중 하나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자석; 및
상기 자석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 2유동부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요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자석과 요크는, 상기 제 2유동부가 상기 제 1유동부 또는 베이스 사이에서 상기 광축 방향의 자기력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t least one magnet mounted on one of the base and the first fluid passage; And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yoke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magnet and mounted to the second fluid portion,
Wherein the magnet and the yoke generate the magnetic force in the direction of the optical axis between the second fluid portion and the bas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또는 제 2유동부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 2유동부를 상기 광축 방향으로 진퇴 운동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모듈.
3. The method of claim 2,
Further comprising a driving unit disposed on one side of the base or the second fluid part for moving the second fluid part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의 구동에 의하여, 제 2유동부의 상기 광축 방향 진퇴운동은,
상기 제 1유동부와 상기 제 2유동부와의 상기 간극을 가변하고, 이에 따라 상기 제 1유동부와 상기 제 2유동부 사이의 공진 주파수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모듈.
The method of claim 3,
By the driving of the driving unit, the optical axis direction back and forth movement of the second flow portion,
Wherein the gap between the first fluid unit and the second fluid unit is varied to change the resonance frequency between the first fluid unit and the second fluid unit.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유동부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 1유동부 상측을 커버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는 상기 자석과 대면되도록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코일을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모듈.
5. The method of claim 4,
And a cover portion disposed on the first fluid portion and covering the upper side of the first fluid portion,
Wherein the cover portion mounts at least one drive coil arranged to face the magnet.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은 적어도 두 쌍이 상기 광축에 대하여 대칭을 이루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모듈.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at least two pairs of magnets are arrang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optical axis.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코일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석은 서로 대면 배치되며, 상기 코일과 자석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제 1유동부가 유동 가능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at least one drive coil and the at least one magnet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and generate a driving force by which the first flow portion can flow by the interaction of the coil and the magnet.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과 상기 요크의 흡착력은, 상기 자석과 상기 요크 사이 간극의 가변에 따라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모듈.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attracting force of the magnet and the yoke is variable according to a variation of a gap between the magnet and the yoke.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과 상기 요크의 DC감도는, 상기 자석과 상기 요크 사이 상기 간극의 가변에 따라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모듈.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DC sensitivity of the magnet and the yoke is variable according to a variation of the gap between the magnet and the yoke.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의 중력에 의한 처짐량은 상기 자석과 상기 요크 사이 상기 간극의 가변에 따라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모듈.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n amount of deflection of the camera lens module due to gravity is variable according to a variation of the gap between the magnet and the yoke.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유동부는 적어도 하나의 요크가 안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요크홈을 구비하고,
상기 요크, 상기 자석, 상기 코일의 중심은 동일 선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모듈.
6. The method of claim 5,
The second flow portion has at least one yoke groove for receiving at least one yoke,
And the center of the yoke, the magnet, and the coil are arranged on the same line.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요크홈은 상기 요크가 안착시, 상기 요크와 상기 자석의 상호작용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상기 요크홈의 중심에 요크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모듈.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yoke groove includes a yoke hole in the center of the yoke groove to generate an interaction between the yoke and the magnet when the yoke is seated.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제 2유동부의 요크 홈에 안착된 상기 요크가 상기 광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 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모듈.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base includes a guide hole for guiding the yoke mounted in the yoke groove of the second flow portion to move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홀은 상기 요크홈이 좌우 유동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요크홈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모듈.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guide hole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yoke groove so as to secure a space in which the yoke groove can move left and right.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를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로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로드는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상기 제 2유동부를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모듈.
6. The method of claim 5,
And at least one rod disposed to pass through the base,
Wherein the at least one rod guides the second flow portion moving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 외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 2유동부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자석과 상기 요크 사이에서 가변하는 간극의 범위를 설정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모듈.
16. The method of claim 15,
Further comprising an elastic member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rod and configured to set a range of a gap that varies between the magnet and the yoke as the second flow portion moves.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아울러 전원을 공급하는 연성회로기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모듈.
6. The method of claim 5,
And a flexible circuit board provided on the cover to electrically connect to the driving unit and to supply power.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상기 제 1유동부 및 상기 제 2유동부는 상기 렌즈 조립체의 측면을 따라 병렬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모듈.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base, the first fluid flow portion, and the second flow portion are arranged in parallel along a side surface of the lens assembly.
카메라 렌즈 모듈에 있어서,
베이스;
렌즈 조립체의 광축에 수직인 평면에서 유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자석; 및
상기 자석 하부에 대면 배치되며, 상기 렌즈 조립체의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요크를 포함하며,
상기 요크는 상기 이동을 통하여 상기 자석 및 요크 사이에 가변 가능한 간극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모듈.
A camera lens module comprising:
Base;
At least one magnet that flows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of the lens assembly; And
And at least one yoke disposed to face the lower portion of the magnet and moving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of the lens assembly,
Wherein the yoke forms a variable gap between the magnet and the yoke through the movement.
KR1020150148367A 2015-10-23 2015-10-23 Camera lens module KR102564733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8367A KR102564733B1 (en) 2015-10-23 2015-10-23 Camera lens module
US15/331,805 US9910288B2 (en) 2015-10-23 2016-10-21 Camera lens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8367A KR102564733B1 (en) 2015-10-23 2015-10-23 Camera lens modu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7826A true KR20170047826A (en) 2017-05-08
KR102564733B1 KR102564733B1 (en) 2023-08-09

Family

ID=58558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8367A KR102564733B1 (en) 2015-10-23 2015-10-23 Camera lens modul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910288B2 (en)
KR (1) KR10256473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28062A1 (en) 2016-01-26 2017-08-03 SZ DJI Technology Co., Ltd. A stabilizing platform and camera
KR102029532B1 (en) * 2017-06-12 2019-10-07 삼성전기주식회사 Lens dri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WO2018229865A1 (en) * 2017-06-13 2018-12-20 オリンパス株式会社 Optical unit and endoscope
CN113422898B (en) * 2021-07-26 2023-10-1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Camera module and electronic equipment
WO2023185437A1 (en) * 2022-03-29 2023-10-05 宁波舜宇光电信息有限公司 Lens driving device and photographing modul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8338A (en) * 2008-08-06 2010-02-17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Lens barrel assembly
KR101411904B1 (en) * 2008-01-30 2014-06-25 삼성전자주식회사 System for driving lens of camera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20140128906A (en) * 2014-09-24 2014-11-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Camera module
KR20140142053A (en) * 2013-06-03 2014-12-11 삼성전자주식회사 Image stabilizer and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34832B2 (en) * 1990-03-15 1998-12-14 松下電工株式会社 Attitude control device
JP4630565B2 (en) * 2004-03-31 2011-02-09 キヤノン株式会社 Optical equipment
KR101265824B1 (en) * 2008-02-21 2013-05-24 쉔젠 뉴 일렉트릭 사이언스 앤드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Inner magnetic transducer with multiple magnectic gaps and multiple coils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N101986192A (en) * 2009-07-28 2011-03-16 株式会社腾龙 Image stabilizing apparatus, lens apparatus, imaging apparatus, and correction optical apparatus
JP2013250468A (en) * 2012-06-01 2013-12-12 Ricoh Co Ltd Lens drive device
KR20140035672A (en) 2012-09-14 2014-03-24 삼성전자주식회사 Image stabilizer and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JP2014126668A (en) * 2012-12-26 2014-07-07 Mitsumi Electric Co Ltd Lens drive device, camera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with camera
JP2015075704A (en) * 2013-10-10 2015-04-20 江西磊源永磁材料有限公司Jiangxi Leiyuan Permanent Magnetic Materials Co.,Ltd Lens drive device
US9766426B2 (en) * 2014-10-20 2017-09-19 Summing Technologies (HK) Limited Miniature lens driv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1904B1 (en) * 2008-01-30 2014-06-25 삼성전자주식회사 System for driving lens of camera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20100018338A (en) * 2008-08-06 2010-02-17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Lens barrel assembly
KR20140142053A (en) * 2013-06-03 2014-12-11 삼성전자주식회사 Image stabilizer and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KR20140128906A (en) * 2014-09-24 2014-11-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Camera mod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115501A1 (en) 2017-04-27
US9910288B2 (en) 2018-03-06
KR102564733B1 (en) 2023-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64733B1 (en) Camera lens module
CN105446053B (en) Camera lens module
KR102426513B1 (en) Lens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with the same
KR102406869B1 (en) Camera module including multi-lens,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of the camera module
US9864192B2 (en) Image display device, computer program, and image display system
US10078196B2 (en) Camera module including multi-lens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KR102489948B1 (en) Electronic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073617B1 (en) Camera module and camera device
CN107407807A (en) Compressible eyecup component in virtual reality helmet
KR20180094247A (en) Camera module having lens barrells
KR20140140329A (en) Camera module
KR102451114B1 (en) Wearable acoustic device with microphone
CN107807446B (en) Head-mounted display device adjusting method and head-mounted display device
US11245820B2 (en) Camera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me
KR101928773B1 (en) Camera apparatus
US10412306B1 (en) Optical image stabilization method and apparatus
CN105144694A (en) Anti-shake correction system for curved optical sensor
KR20170130148A (en) Camera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0646560B1 (en) Stabilizer of shift type using the image sensor
CN116405761A (en) Camera device, assembling method thereof and wristband system
JP2010128029A (en) Blur correction device, lens barrel, and optical appliance
KR102498278B1 (en) A lens moving unit, and camera module and optical instrument including the same
JP2008286929A (en) Shake correction device and imaging apparatus
US20230213780A1 (en) Camera device assembled with lens-to-sensor distance that reduces auto-focusing actuation power in macro mode
KR102142560B1 (en) Vibration actu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