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7107A -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7107A
KR20170047107A KR1020150147556A KR20150147556A KR20170047107A KR 20170047107 A KR20170047107 A KR 20170047107A KR 1020150147556 A KR1020150147556 A KR 1020150147556A KR 20150147556 A KR20150147556 A KR 20150147556A KR 20170047107 A KR20170047107 A KR 201700471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vel
user
information service
service providing
travel destin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7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71576B1 (ko
Inventor
가욱현
Original Assignee
가욱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욱현 filed Critical 가욱현
Priority to KR10201501475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1576B1/ko
Publication of KR201700471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71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15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15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4Travel agenc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1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 G06K19/0602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using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3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4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 및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여행카드에 인쇄된 여행지 코드를 인식하는 여행지 코드 인식 모듈, 상기 인식된 여행지 코드를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인식된 여행지 코드에 대응되는 여행지 정보를 전송받는 단말기 통신부, 및 상기 전송받은 여행지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말기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서버 통신부, 상기 인식된 여행지 코드에 대응되는 여행지 정보들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및 상기 서버 통신부를 통해 전송받은 여행지 코드에 대응되는 여행지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서 추출하여 상기 서버 통신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서버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SYSTEM FOR PROVIDING TRAVEL INFORMATION SERVIC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여행지 코드가 인쇄된 여행카드를 사용자 단말기로 인식하여 직관적이고 편리하게 여행계획을 세울 수 있고, 다른 사용자와 여행계획을 공유하여 수정할 수 있는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여행이란 일이나 유람을 목적으로 다른 고장이나 외국에 가는 일을 말한다. 최근에는 우리나라의 소득 수준이 높아지고 웰빙 트렌드가 확산되면서 많은 사람들이 국내나 해외로 여행을 하는 추세이다.
일반적으로 여행을 준비하는 사람들은 여행지에 대한 정보를 관광가이드북과 같은 책, 인터넷이나 여행사 등의 다양한 경로를 통해 얻게 된다. 그러나, 너무 많은 여행 정보를 수집하는 경우 오히려 여행 계획을 세우는 데 많은 어려움과 번거로움이 생기게 되며, 여행사를 통하여 여행을 하는 경우에도 자신의 취향에 맞게 구체적인 여행계획을 수정하고 결정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최근에는, 인터넷 웹사이트를 이용하여 본인이 직접 여행 스케줄을 결정할 수 있는 서비스도 많이 제공되고 있으나, 이러한 서비스는 서비스 관리자가 제공하는 온라인 웹사이트 상에서 복잡한 방법으로 여행계획을 생성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10-2014-0060628 A KR 10-2014-0108608 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여행지 코드가 인쇄된 여행카드를 사용자 단말기로 인식하여 직관적이고 편리하게 여행계획을 세울 수 있고, 다른 사용자와 여행계획을 공유하여 수정할 수 있는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 및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여행카드에 인쇄된 여행지 코드를 인식하는 여행지 코드 인식 모듈, 상기 인식된 여행지 코드를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인식된 여행지 코드에 대응되는 여행지 정보를 전송받는 단말기 통신부, 및 상기 전송받은 여행지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말기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서버 통신부, 상기 인식된 여행지 코드에 대응되는 여행지 정보들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및 상기 서버 통신부를 통해 전송받은 여행지 코드에 대응되는 여행지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서 추출하여 상기 서버 통신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서버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전송받은 여행지 정보를 거리, 소요 시간 및 사용자 선호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순서대로 나열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전송받은 여행지 정보를 상기 여행카드 형태로 나열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말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여행지 선택 입력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여행카드 형태 중에서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여행카드 형태에 대응되는 여행지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여행계획으로 추가하고, 상기 사용자의 여행지 제외 입력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여행카드 형태 중에서 상기 사용자가 제외한 여행카드 형태에 대응되는 여행지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여행계획에서 제외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말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여행계획을 상기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로 업로드하고, 상기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에 업로드된 여행계획은, 다른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공유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말기 제어부는, 상기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를 통해 다른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사용자의 여행계획을 공유하고 서로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여행지 코드는, 상기 여행카드에 인쇄된 바코드 또는 QR 코드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 단말기가 여행카드에 인쇄된 여행지 코드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인식된 여행지 코드를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인식된 여행지 코드에 대응되는 여행지 정보를 전송받는 단계, 및 상기 전송받은 여행지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 단말기의 데이터베이스 버전을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의 데이터베이스 버전과 비교한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데이터베이스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여행카드에 인쇄된 여행지 코드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인식된 여행지 코드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되는 경우, 상기 인식된 여행지 코드를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인식된 여행지 코드에 대응되는 여행지 정보를 전송받는 단계, 및 상기 전송받은 여행지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전송받은 여행지 정보를 거리, 소요 시간 및 사용자 선호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순서대로 나열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전송받은 여행지 정보를 상기 여행카드 형태로 나열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사용자의 여행지 선택 입력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여행카드 형태 중에서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여행카드 형태에 대응되는 여행지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여행계획으로 추가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여행지 제외 입력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여행카드 형태 중에서 상기 사용자가 제외한 여행카드 형태에 대응되는 여행지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여행계획에서 제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사용자의 여행계획을 상기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로 업로드하는 단계, 및 상기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에 업로드된 여행계획을 다른 사용자 단말기가 접속하여 공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를 통해 다른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사용자의 여행계획을 공유하고 서로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여행지 코드는, 상기 여행카드에 인쇄된 바코드 또는 QR 코드이거나, 상기 여행카드에 내장된 NFC 태그 또는 RFID 태그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상기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은, 여행지 코드가 인쇄된 여행카드를 사용자 단말기로 인식하여 직관적이고 편리하게 여행계획을 세울 수 있고, 다른 사용자와 여행계획을 공유하여 수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Flowchart)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110), 여행카드(130) 및 사용자 단말기(1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다른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서버 통신부(111), 데이터베이스부(113) 및 서버 제어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 통신부(111)는, 사용자 단말기(150) 및 다른 사용자 단말기(16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서버 통신부(111)는 TCP/I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인터넷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고, 유선 또는 무선으로 사용자 단말기(150) 및 다른 사용자 단말기(160)와 통신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부(113)는, 여행카드(130) 및 여행카드(130)에 표시된 여행지 코드(137)에 대응되는 여행지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부(113)는 여행지 명칭, 여행지 설명, 여행지 지도, 여행지 코드, 여행지 사진, 여행지 주소, 여행지 연락처 등 각 여행지에 관한 다양한 정보들이 저장될 수 있다.
서버 제어부(115)는, 서버 통신부(111)를 통해 전송받은 여행지 코드(137)에 대응되는 여행지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부(113)에서 추출하여 서버 통신부(111)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50)로 전송할 수 있다.
여행카드(130)는 여행지 명칭(131), 여행지 지도(133), 여행지 설명(135) 및 여행지 코드(137)가 인쇄된 카드로서, 종이나 플라스틱 재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고 신용카드와 같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여행지 코드(137)는 사각형의 가로세로 격자무늬에 다양한 정보를 담고 있는 2차원(매트릭스) 형식의 코드인 QR(Quick Response) 코드 또는 영숫자나 특수글자를 기계가 읽을 수 있는 형태로 표현하기 위해 굵기가 다른 수직 막대들을 조합한 바코드 또는 마이크로소프트 태그(스마트 태그)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여행지 코드(137)는 QR 코드나 바코드 이외에도 일련의 문자나 숫자로 표시될 수 있고, 이 경우 사용자는 일련의 문자나 숫자를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150)에 입력하여 여행카드(130)에 대응되는 여행지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5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여행카드(130)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그나 RFID 태그와 같은 전자태그가 내장될 수 있고, 상기 여행지 코드(137)는 상기 NFC 태그나 RFID 태그 등에 저장될 수도 있다.
여행카드(130)의 테두리 색은 각 여행카드에 대응되는 여행지 정보의 분류에 따라 서로 다른 색으로 지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여행정보를 제공하고자 하는 여행지역을 복수 개의 구역으로 분할한 후, 각 분할 구역에 따라 여행카드(130)의 테두리 색을 서로 다른 색으로 지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여행카드(130)의 테두리 색만으로도 여행카드(130)에 대응되는 여행지가 어느 구역에 위치한 곳임을 쉽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에는 한 장의 여행카드(130)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사용자는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150)를 통해 여러 장의 여행카드를 인식시켜 여행정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50)는, 여행지 코드 인식 모듈(151), 단말기 통신부(153) 및 단말기 제어부(15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기(150)는 디스플레이부(157) 및 인터페이스부(15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50)는,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 PC, 사용자 컴퓨터(PC) 등 유무선으로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단말기를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여행지 코드 인식 모듈(151)은 여행카드(130)에 인쇄된 여행지 코드(137)를 인식할 수 있다. 여행지 코드 인식 모듈(151)은 여행지 코드(137)가 QR 코드인 경우에는 QR 코드를 인식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일 수 있으며, 여행지 코드(137)가 바코드인 경우에는 바코드를 인식할 수 있는 바코드 인식 모듈일 수 있다. 또한, 여행지 코드(137)가 여행카드(130)에 내장된 NFC 태그나 RFID 태그와 같은 전자태그에 저장된 경우, 상기 여행지 코드 인식 모듈(151)은 여행카드(130)에 근접되어 NFC 태그나 RFID 태그와 같은 전자태그에 저장된 여행지 코드(137)를 읽거나 쓸 수 있는 전자태그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전자태그 모듈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단말기 통신부(153)는, 여행카드(130)에서 인식된 여행지 코드(137)를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11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 통신부(153)는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110)로부터 상기 여행지 코드(137)에 대응되는 여행지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다. 단말기 통신부(153)는, TCP/IP, 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및 WiFi(Wireless Fidelity) 등과 같은 다양한 유무선 통신방법을 지원하는 통신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단말기 통신부(153)는 상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통신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지원하는 통신모듈로 구현될 수 있으며,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단말기 제어부(155)는, 여행카드(130)에서 인식된 여행지 코드(137)를 분석한 후 단말기 통신부(153)를 통해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11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 통신부(153)를 통해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110)로부터 상기 여행지 코드(137)에 대응되는 여행지 정보를 전송받고, 전송받은 여행지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50)의 디스플레이부(157)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말기 제어부(155)는, 전송받은 여행지 정보를 거리, 소요 시간 및 사용자 선호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순서대로 나열하여 디스플레이부(157)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 제어부(155)는, 상기 전송받은 여행지 정보를 상기 여행카드와 같은 형태로 나열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57)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단말기 제어부(155)는, 사용자 단말기(150)의 데이터베이스 버전을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110)의 데이터베이스 버전과 비교한 결과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150)의 데이터베이스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고, 여행카드(130)에서 인식된 여행지 코드(137)가 사용자 단말기(150)의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되는 경우, 인식된 여행지 코드(137)를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11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단말기 제어부(155)는, 사용자의 여행지 선택 입력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7)에 표시된 여행카드 형태 중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여행카드 형태에 대응되는 여행지 정보를 사용자의 여행계획으로 추가하고, 사용자의 여행지 제외 입력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7)에 표시된 여행카드 형태 중에서 사용자가 제외한 여행카드 형태에 대응되는 여행지 정보를 사용자의 여행계획에서 제외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 제어부(155)는, 단말기 통신부(153)를 통해 사용자의 여행계획을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110)로 업로드할 수 있고,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110)에 업로드된 여행계획은 다른 사용자 단말기(160)에 의해 공유될 수 있다. 또한, 단말기 제어부(155)는,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110)를 통해 다른 사용자 단말기(160)와 사용자의 여행계획을 공유하고 서로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 제어부(155)는, 사용자 단말기(150)의 다양한 구성요소를 제어하고 다양한 데이터를 처리하는 구성요소로서, CPU 프로세서와 같은 중앙처리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단말기 제어부(155)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서는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술하기로 하고 여기에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디스플레이부(157)는, 단말기 제어부(155)로부터 입력받은 신호에 따라 화면을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7)는, 사용자 단말기(150)의 외면에 형성되거나 외부장치로 연결될 수 있으며,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바와 같이, CRT 모니터, 액정표시장치(LCD), 발광다이오드(LED),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등 사용자 단말기(150)에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59)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신호를 단말기 제어부(155)로 전송할 수 있다. 일례로서, 사용자로부터 여행계획 생성이나 공유 등과 관련된 인터페이스 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입력받은 인터페이스 신호를 단말기 제어부(155)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59)는, 터치스크린, 키보드 및 마우스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인터페이스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입력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사용자 단말기(150)는 메모리부(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메모리부(미도시)는, 사용자 단말기(150)를 구동하는 운영체제(OS), 사용자에 의해 메모리부(미도시)에 저장되어 실행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응용프로그램 및 여행카드(130)에 대응되는 여행지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으며,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바와 같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메모리 저장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Flowchart)이다.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200)은 도 1을 참조하여 상술한 사용자 단말기(15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즉, 상기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200)은, 사용자에 의해 메모리부(미도시)에 저장되고 단말기 제어부(155)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와 같은 응용프로그램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200)은, 사용자 단말기(150)가 여행카드(130)에 인쇄된 여행지 코드(137)를 인식하는 단계(S2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여행지 코드(137)는 QR 코드 또는 바코드 등일 수 있고, 사용자 단말기(150)는 여행지 코드 인식 모듈(151)을 통해 상기 여행지 코드(137)를 인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200)은, 상기 인식된 여행지 코드(137)를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110)로 전송하는 단계(S2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기 제어부(155)는 여행지 코드 인식 모듈(151)을 통해 인식된 여행지 코드(137)를 단말기 통신부(153)를 통해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110)로 전송할 수 있다.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110)의 서버 제어부(115)는, 서버 통신부(111)를 통해 전송받은 여행지 코드(137)에 대응되는 여행지 정보가 데이터베이스부(113)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여행지 코드(137)에 대응되는 여행지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부(113)에서 추출하여 서버 통신부(111)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50)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150)로 전송한 여행지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150)의 사용자 정보와 함께 데이터베이스부(113)에 저장할 수 있다. 만약, 여행지 코드(137)에 대응되는 여행지 정보가 데이터베이스부(113)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서버 제어부(115)는 에러 메시지를 생성하여 서버 통신부(111)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50)로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200)은,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110)로부터 상기 인식된 여행지 코드(137)에 대응되는 여행지 정보를 전송받는 단계(S2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기 제어부(155)는 단말기 통신부(153)를 통해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110)로부터 상기 인식된 여행지 코드(137)에 대응되는 여행지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200)은, 상기 전송받은 여행지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50)의 디스플레이부(157)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S24)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 제어부(155)가 여행지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57)에 표시하는 내용은 도 1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만약 사용자 단말기(150)가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110)로부터 에러 메시지를 전송받은 경우에는, 단말기 제어부(155)는 디스플레이부(157)를 통해 정상적인 여행카드를 인식시키라는 안내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300)은 도 1을 참조하여 상술한 사용자 단말기(15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즉, 상기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300)은, 사용자에 의해 메모리부(미도시)에 저장되고 단말기 제어부(155)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와 같은 응용프로그램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300)은, 사용자 단말기(150)의 데이터베이스 버전을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110)의 데이터베이스 버전과 비교한 결과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150)의 데이터베이스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단계(S31)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단말기 제어부(155)는,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실행시키는 경우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110)로부터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110)의 데이터베이스 버전을 전송받을 수 있고, 사용자 단말기(150)의 데이터베이스 버전이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110)의 데이터베이스 버전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110)로부터 최신 데이터베이스를 다운로드하여 사용자 단말기(150)의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단말기 제어부(155)는, 사용자 단말기(150)의 데이터베이스 버전이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110)의 데이터베이스 버전과 일치하는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기(150)의 데이터베이스가 최신 버전이므로 업데이트를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50)의 데이터베이스는 메모리부에 저장될 수 있으며,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110)에 저장된 여행지 코드를 포함할 수 있고, 여행지 코드에 관련된 여행지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300)은, 사용자 단말기(150)가 여행카드(130)에 인쇄된 여행지 코드(137)를 인식하는 단계(S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S32 단계는 도 2를 참조하여 상술한 S21 단계와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300)은, 상기 인식된 여행지 코드(137)가 사용자 단말기(150)의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되는 경우(S33->YES), 인식된 여행지 코드(137)에 대응되는 여행지 정보가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110)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인식된 여행지 코드(137)를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110)로 전송하는 단계(S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S34 단계는 도 2를 참조하여 상술한 S22 단계와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인식된 여행지 코드(137)가 사용자 단말기(150)의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되지 않는 경우(S33->NO), 인식된 여행지 코드(137)에 대응되는 여행지 정보가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110)에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여, 단말기 제어부(155)는 정상적인 여행카드를 인식시키라는 안내 메시지를 디스플레이부(157)로 출력할 수 있다(S37).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300)은,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110)로부터 상기 인식된 여행지 코드(137)에 대응되는 여행지 정보를 전송받는 단계(S35) 및 상기 전송받은 여행지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50)의 디스플레이부(157)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S3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S35 단계 및 S36 단계는 도 2를 참조하여 상술한 S23 단계 및 S24 단계와 각각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300)은, 여행카드(130)를 통해 인식된 여행지 코드(137)가 사용자 단말기(150)의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는 경우에만 인식된 여행지 코드(137)를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110)로 전송하므로, 사용자 단말기(150)의 통신 데이터 사용량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400)은 도 1을 참조하여 상술한 사용자 단말기(15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즉, 상기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400)은, 사용자에 의해 메모리부(미도시)에 저장되고 단말기 제어부(155)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와 같은 응용프로그램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400)은, 전송받은 여행지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50)의 디스플레이부(157)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S41)를 포함할 수 있다. S41 단계는 도 2를 참조하여 상술한 S24 단계 및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한 S36 단계와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400)은 S41 단계 이전에 도 2를 참조하여 상술한 S21 내지 S23 단계가 수행될 수 있고,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한 S31 내지 S35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400)은, 단말기 제어부(155)가 인터페이스부(159)를 통한 사용자 입력을 분석한 후(S42) 상기 사용자 입력이 여행지 선택 입력인 것으로 판단되면, 디스플레이부(157)에 표시된 여행카드 형태 중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여행카드 형태에 대응되는 여행지 정보를 사용자의 여행계획으로 추가하는 단계(S43)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400)은, 단말기 제어부(155)가 인터페이스부(159)를 통한 사용자 입력을 분석한 후(S42) 상기 사용자 입력이 여행지 제외 입력인 것으로 판단되면, 디스플레이부(157)에 표시된 여행카드 형태 중에서 사용자가 제외한 여행카드 형태에 대응되는 여행지 정보를 사용자의 여행계획에서 제외하는 단계(S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여행지 선택 입력 또는 여행지 제외 입력을 통해 S43 단계 또는 S44 단계를 수행하여 자신의 여행계획에 여행카드에 대응되는 여행지 정보를 추가하거나 제외할 수 있다. S43 단계 및 S44 단계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상술하기로 하고 여기에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400)은, 단말기 제어부(155)가 인터페이스부(159)를 통한 사용자 입력을 분석한 후(S42) 상기 사용자 입력이 여행계획 업로드 입력인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 단말기(150)가 사용자의 여행계획을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110)로 업로드하고,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110)에 업로드된 여행계획을 다른 사용자 단말기(160)가 접속하여 공유하는 단계(S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50)를 통해 복수 개의 여행카드(130)를 인식하여 여행지 정보들을 추가한 후 추가된 여행지 정보들을 선택하거나 제외하여 자신의 여행계획을 생성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자신의 여행계획을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110)에 업로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여행계획은 암호가 설정된 상태로 업로드되어 암호를 알고 있는 사용자만 접근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 여행계획 업로드 시 사용자가 다른 회원을 선택하여 초대할 수도 있다.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110)에 업로드된 사용자의 여행계획은, 다른 사용자가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160)를 통해 접속하여 공유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여행계획을 공유하는 다른 사용자는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160)를 통해 업로드된 여행계획을 열람할 수 있고 수정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110)는 사용자 단말기(150)에서 선택되거나 제외된 여행지 정보들을 다른 사용자 단말기(160)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함께 여행을 가기로 한 사람들이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110)에 접속하여 여행계획을 공유하면서 서로 의견을 교환하고 여행지를 선택하거나 수정할 수 있어 편리하게 여행계획을 합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110)는, 업로드된 사용자의 여행계획이 다른 사용자 단말기(160)에 의해 수정되는 경우 여행계획을 업로드한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150)로 수정된 여행계획을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400)은, 단말기 제어부(155)가 인터페이스부(159)를 통한 사용자 입력을 분석한 후(S42) 상기 사용자 입력이 여행계획 실시간 공유 입력인 것으로 판단되면,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110)를 통해 다른 사용자 단말기(160)와 사용자의 여행계획을 공유하고 서로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단계(S4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기(150)와 다른 사용자 단말기(160)는 사용자의 여행계획 및 실시간 메시지 송수신창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와 다른 사용자는 서로 실시간으로 메시지를 주고 받으면서 사용자의 여행계획을 수정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400)은, S43 내지 S46 단계가 수행된 후에 사용자로부터 추가 입력이 있는지 판단하여(S47) 추가 입력이 있는 경우 다시 S42 단계를 수행할 수 있고, 추가 입력이 없는 경우에는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을 종료할 수 있다(S48).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다.
먼저 도 5의 (a)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150)를 통해 제1 여행카드(130_1)를 인식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150)의 여행지 코드 인식 모듈(151)은 제1 여행카드(130_1)에 인쇄된 여행지 코드를 인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의 (b)를 참조하면, 단말기 제어부(155)는 제1 여행카드(130_1)에서 인식된 여행지 코드를 단말기 통신부(153)를 통해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110)로 전송할 수 있고,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110)로부터 상기 여행지 코드에 대응되는 여행지 정보를 전송받고, 전송받은 여행지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50)의 디스플레이부(157)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단말기 제어부(155)는,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여행카드(130_1)에 대응되는 여행지 정보를 제1 여행카드(130_1)와 같은 카드형태(139_1)로 디스플레이부(157)에 표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의 (c)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150)를 통해 제2 여행카드(130_2)를 인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의 (d)를 참조하면, 단말기 제어부(155)는, 도 5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여행카드(130_2)에 대응되는 여행지 정보를 제2 여행카드(130_2)와 같은 카드형태(139_2)로 디스플레이부(157)에 표시할 수 있다. 즉, 이와 같은 방식으로, 사용자는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150)에 다양한 여행카드(130_1, 130_2 등)를 등록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기(150)는 상기 여행카드들(130_1, 130_2)에 대응되는 여행지 정보들을 저장하여 디스플레이부(157)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단말기 제어부(155)는, 각 여행카드에 대응되는 여행지 정보를 거리, 소요 시간 및 사용자 선호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순서대로 나열하여 디스플레이부(157)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제1 여행카드(130_1)에는 붉은색 테두리가 표시되고, 제2 여행카드(130_2)에는 초록색 테두리가 표시되어 있어, 제1 여행카드(130_1)와 제2 여행카드(130_2)는 서로 다른 구역의 여행지에 대응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150)의 디스플레이부(157)에 표시되는 여행카드 형태(139_1, 139_2)는 여행지 코드가 생략된 형태처럼 여행카드(130_1, 130_2)와 동일한 형태가 아닌 서로 다른 형태로 표현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사용상태도는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기(15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여행계획을 생성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50)를 통해 여행계획의 명칭을 설정하고 여행계획 생성 명령을 입력하면,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제어부(155)는 디스플레이부(157)를 화면 중앙의 여행지 표시 영역(157_1), 화면 상단의 선택 영역(157_2) 및 화면 하단의 제외 영역(157_3)으로 분할하여 표시할 수 있다.
여행지 표시 영역(157_1)에는 사용자가 여행카드(130)를 인식하여 입력한 여행지 정보들이 여행카드 형태로 표시될 수 있고, 사용자가 좌우로 여행카드 형태를 드래그(Drag)하여 이동시키는 경우 이전 여행카드나 다음 여행카드에 대응되는 여행지 정보가 차례대로 디스플레이부(157)에 표시될 수 있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여행지 표시 영역(157_1)에 표시된 제1 여행카드 형태(139_1)에 대응되는 여행지를 자신의 여행계획에 포함시키려는 경우, 상기 제1 여행카드 형태(139_1)를 화면 상단의 선택 영역(157_2)으로 드래그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단말기 제어부(155)는 사용자가 제1 여행카드 형태(139_1)를 상단으로 드래그하였으므로, 사용자 입력이 여행지 선택 입력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의 (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선택한 제1 여행카드 형태(139_1)가 화면 상단의 선택 영역(157_2)으로 이동되고 화면 중앙의 여행지 표시 영역(157_1)에서 제거될 수 있으며, 제1 여행카드 형태(139_1)에 대응되는 여행지 정보가 사용자의 여행계획에 추가될 수 있다.
또한, 여행지 표시 영역(157_1)에는 제2 여행카드 형태(139_2)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여행지 표시 영역(157_1)에 표시된 제2 여행카드 형태(139_2)에 대응되는 여행지를 자신의 여행계획에서 제외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제2 여행카드 형태(139_2)를 화면 하단의 제외 영역(157_3)으로 드래그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단말기 제어부(155)는 사용자가 제2 여행카드 형태(139_2)를 하단으로 드래그하였으므로, 사용자 입력이 여행지 제외 입력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의 (c)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제외한 제2 여행카드 형태(139_2)가 화면 하단의 제외 영역(157_3)으로 이동되고 화면 중앙의 여행지 표시 영역(157_1)에서 제거될 수 있으며, 제2 여행카드 형태(139_2)에 대응되는 여행지 정보가 사용자의 여행계획에서 제외될 수 있다.
또한, 여행지 표시 영역(157_1)에는 제3 여행카드 형태(139_3)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여행지 표시 영역(157_1)에 표시된 제3 여행카드 형태(139_3)에 대응되는 여행지를 자신의 여행계획에 포함시키려는 경우, 상기 제3 여행카드 형태(139_3)를 화면 상단의 선택 영역(157_2)으로 드래그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단말기 제어부(155)는 사용자가 제3 여행카드 형태(139_3)를 상단으로 드래그하였으므로, 사용자 입력이 여행지 선택 입력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의 (d)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선택한 제3 여행카드 형태(139_3)가 화면 상단의 선택 영역(157_2)으로 이동될 수 있고, 제3 여행카드 형태(139_1)에 대응되는 여행지 정보가 사용자의 여행계획에 추가될 수 있다.
또한, 여행지 표시 영역(157_1)에는 제4 여행카드 형태(139_2)가 표시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여행지 선택 입력 또는 여행지 제외 입력을 통해 자신의 여행계획에 여행카드에 대응되는 여행지 정보를 추가하거나 제외하는 방법으로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식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자신의 여행계획을 세울 수 있게 된다.
도 6을 참조하여 상술한 여행계획 생성 및 수정 화면은, 여러 명의 사용자가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공유할 수 있으며, 추가로 화면 하단에 메시지 송수신창이 표시되어 사용자와 다른 사용자가 서로 실시간으로 메시지를 주고 받으면서 여행계획을 수정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은,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을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하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저장되고 실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 111: 서버 통신부
113: 데이터베이스부 115: 서버 제어부
130: 여행카드 131: 여행지 명칭
133: 여행지 지도 135: 여행지 설명
137: 여행지 코드 150: 사용자 단말기
151: 여행지 코드 인식 모듈 153: 단말기 통신부
155: 단말기 제어부 157: 디스플레이부
159: 인터페이스부 160: 다른 사용자 단말기

Claims (16)

  1. 사용자 단말기 및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하는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여행카드에 인쇄된 여행지 코드를 인식하는 여행지 코드 인식 모듈;
    상기 인식된 여행지 코드를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인식된 여행지 코드에 대응되는 여행지 정보를 전송받는 단말기 통신부; 및
    상기 전송받은 여행지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말기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서버 통신부;
    상기 인식된 여행지 코드에 대응되는 여행지 정보들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및
    상기 서버 통신부를 통해 전송받은 여행지 코드에 대응되는 여행지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서 추출하여 상기 서버 통신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서버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전송받은 여행지 정보를 거리, 소요 시간 및 사용자 선호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순서대로 나열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전송받은 여행지 정보를 상기 여행카드 형태로 나열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여행지 선택 입력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여행카드 형태 중에서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여행카드 형태에 대응되는 여행지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여행계획으로 추가하고, 상기 사용자의 여행지 제외 입력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여행카드 형태 중에서 상기 사용자가 제외한 여행카드 형태에 대응되는 여행지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여행계획에서 제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여행계획을 상기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로 업로드하고,
    상기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에 업로드된 여행계획은, 다른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공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제어부는,
    상기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를 통해 다른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사용자의 여행계획을 공유하고 서로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행지 코드는,
    상기 여행카드에 인쇄된 바코드 또는 QR 코드이거나, 상기 여행카드에 내장된 NFC 태그 또는 RFID 태그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8. 사용자 단말기가 여행카드에 인쇄된 여행지 코드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인식된 여행지 코드를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인식된 여행지 코드에 대응되는 여행지 정보를 전송받는 단계; 및
    상기 전송받은 여행지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9. 사용자 단말기의 데이터베이스 버전을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의 데이터베이스 버전과 비교한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데이터베이스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여행카드에 인쇄된 여행지 코드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인식된 여행지 코드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되는 경우, 상기 인식된 여행지 코드를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인식된 여행지 코드에 대응되는 여행지 정보를 전송받는 단계; 및
    상기 전송받은 여행지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8항 또는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전송받은 여행지 정보를 거리, 소요 시간 및 사용자 선호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순서대로 나열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11. 제8항 또는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전송받은 여행지 정보를 상기 여행카드 형태로 나열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사용자의 여행지 선택 입력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여행카드 형태 중에서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여행카드 형태에 대응되는 여행지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여행계획으로 추가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여행지 제외 입력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여행카드 형태 중에서 상기 사용자가 제외한 여행카드 형태에 대응되는 여행지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여행계획에서 제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사용자의 여행계획을 상기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로 업로드하는 단계; 및
    상기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에 업로드된 여행계획을 다른 사용자 단말기가 접속하여 공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를 통해 다른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사용자의 여행계획을 공유하고 서로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15. 제8항 또는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여행지 코드는,
    상기 여행카드에 인쇄된 바코드 또는 QR 코드이거나, 상기 여행카드에 내장된 NFC 태그 또는 RFID 태그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16. 제8항 또는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50147556A 2015-10-22 2015-10-22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 KR1017715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7556A KR101771576B1 (ko) 2015-10-22 2015-10-22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7556A KR101771576B1 (ko) 2015-10-22 2015-10-22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2378A Division KR20170088803A (ko) 2017-07-21 2017-07-21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7107A true KR20170047107A (ko) 2017-05-04
KR101771576B1 KR101771576B1 (ko) 2017-08-25

Family

ID=58743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7556A KR101771576B1 (ko) 2015-10-22 2015-10-22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15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7352A (ko) 2020-04-14 2021-10-22 지용규 유사 또는 관련 업종 종사자를 대상으로 하는 상품 할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18545A (ja) * 2013-06-11 2015-01-29 株式会社ジェイティービー 旅行情報管理装置及び旅行情報管理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7352A (ko) 2020-04-14 2021-10-22 지용규 유사 또는 관련 업종 종사자를 대상으로 하는 상품 할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1576B1 (ko) 2017-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077749A (zh) 优化媒体的视觉显示
CN104508684A (zh) 使用照片来设置操作系统颜色
CN105683900B (zh) 可穿戴地图和图像显示器
CN110300951A (zh) 媒体项附接系统
CN106548105A (zh) 一种新型扫码识别控制方法及装置
JP6938494B2 (ja) 花壇受発注システム及び配植計画支援プログラム
EP3182651A1 (en)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of cataloged smart devices
CN103562957A (zh) 信息提供装置、信息提供方法、信息提供处理程序、记录了信息提供处理程序的记录介质以及信息提供系统
JP2018128955A (ja) スクリーンショット画像解析装置、スクリーンショット画像解析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7092634A (zh) 页面预览的实现方法和装置
KR102082146B1 (ko) 로또복권 추천번호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029193B1 (ko) 관광정보 안내 시스템
KR101771576B1 (ko)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
US20130070111A1 (en) Image communication system, terminal device, management device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KR20220027101A (ko) 전자 지도상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수목을 관리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30012188A (ko)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70088803A (ko) 여행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
US20150178567A1 (en) System for providing guide service
CN105190575B (zh) 信息处理设备、信息处理方法和信息处理系统
US9569075B2 (en) Information-processing device, information-processing system, storage medium, and information-processing method
CN105701431A (zh) 拍摄qr码时适用图像处理的展览信息提供系统及其方法
CN113362443B (zh) 刺绣效果图的生成方法和装置、存储介质、电子设备
KR20190098869A (ko) 비콘을 이용한 관광시스템
KR20150093263A (ko) 개인 컨텐츠에 기반하여 동영상을 생성하는 컨텐츠 생성 서비스 장치, 개인 컨텐츠에 기반하여 동영상을 생성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210125454A (ko) 유행 색상 정보를 이용한 의류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