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6538A - 탄화규소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저장 장치 - Google Patents

탄화규소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저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6538A
KR20170046538A KR1020150146998A KR20150146998A KR20170046538A KR 20170046538 A KR20170046538 A KR 20170046538A KR 1020150146998 A KR1020150146998 A KR 1020150146998A KR 20150146998 A KR20150146998 A KR 20150146998A KR 20170046538 A KR20170046538 A KR 201700465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licon carbide
core
shell
carbide composite
carb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6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승권
강석민
김은진
박정욱
황민영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469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46538A/ko
Priority to PCT/KR2016/011918 priority patent/WO2017069574A1/en
Publication of KR201700465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65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01B31/36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90Carbides
    • C01B32/914Carbides of single elements
    • C01B32/956Silicon carbide
    • C01B32/963Preparation from compounds containing silicon
    • C01B32/984Preparation from elemental silic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22Electrodes
    • H01G11/24Electrod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the materials making up or comprised in the electrodes, e.g. form, surface area or porosity;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powders or particles used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22Electrodes
    • H01G11/30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10Solid dens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 Carbon And Carbon Compounds (AREA)
  • Electric Double-Layer Capacitors Or The Like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탄화규소 복합체는 코어(core) 및 상기 코어를 둘러싸는 쉘(shell)을 포함하고, 상기 코어와 상기 쉘의 밀도는 다를 수 있다.

Description

탄화규소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저장 장치{SILICON CARBIDE COMPOSITE AND POWER STRAGE DIVICE}
실시예는 탄화규소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저장 장치에 관한 것이다.
탄화규소 분말은 최근에 다양한 전자 소자 및 목적을 위한 반도체 재료로서 사용되고 있다. 탄화규소 분말은 특히 물리적 강도 및 화학적 공격에 대한 높은 내성으로 인해 유용하다. 탄화규소 분말은 또한 방사 경도(radiation hardness), 비교적 넓은 밴드갭, 높은 포화 전자 드리프트 속도(saturated electron drift velocity), 높은 조작 온도, 및 스펙트럼의 청색(blue), 보라(violet), 및 자외(ultraviolet) 영역에서의 높은 에너지 양자의 흡수 및 방출을 포함하는 우수한 전자적 성질을 가진다.
탄화규소 분말의 제조방법으로는 다양한 방법이 있으며, 일례로, 애치슨법, 탄소열환원공법, 액상고분자열분해법 또는 CVD 공법 등을 이용하고 있다. 특히 고순도의 탄화규소 분말 합성 공법은 액상고분자열분해법 또는 탄소열환원공법을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탄화규소 분말은 단독 또는 다른 물질과 혼합하여 탄화규소 복합체를 형성하고, 이러한 탄화규소 복합체는 슈퍼캐패시터, 울트라캐패시터 등의 다양한 전기 저장 장치의 전극층에 적용될 수 있다.
이때, 이러한 전극층에 적용되는 경우, 비표면적 및 단위체적당 용량 등이 전기 저장 장치의 효율 및 저장 용량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향상된 비표면적 및 단위 체적당 용량이 향상된 탄화규소 복합체가 요구된다.
실시예는 향상된 밀도를 가지는 탄화규소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저장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에 따른 탄화규소 복합체는 코어(core) 및 상기 코어를 둘러싸는 쉘(shell)을 포함하고, 상기 코어와 상기 쉘의 밀도는 다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탄화규소 복합체는 전극 물질의 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코어로서, 분자량이 큰 탄화규소 결정이 형성됨에 따라, 탄화규소 복합체의 전체적인 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탄화규소 복합체는 전극 물질의 비표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즉, 쉘에, 기공을 포함하는 탄소 결정이 형성됨에 따라, 탄화규소 복합체의 전체적인 비표면적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예에 따른 탄화규소 복합체가 슈퍼 캐패시터 또는 울트라 캐패시터 등의 전기 저장 장치에 적용될 때, 전기 용량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대용량의 전기 저장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탄화규소 복합체가 도전재의 역할을 동시에 할 수 있어, 전극층 형성시 별도의 도전재가 첨가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탄화규소 복합체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탄화규소 복합체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A 영역의 투사전자현미경(TEM) 사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탄화규소 복합체 제조 방법의 공정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탄화규소 복합체가 적용되는 전기 저장 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전기 저장 장치의 양극 전극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실시예들 및 비교예들에 따른 전기 저장 장치의 용량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이 기판, 각 층(막), 영역, 패드 또는 패턴들의 “상/위(on)”에 또는 “하/아래(under)”에 형성된다는 기재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층을 개재하여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각 층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면에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하여 변형될 수 있으므로,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탄화규소 복합체는 코어(100) 및 쉘(2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어(100)는 탄소 및 규소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코어(100)는 탄화규소(SiC)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코어(100)는 베타상 탄화규소 및 알파상 탄화규소 중 적어도 하나의 탄화규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어(100)는 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코어(100)는 삼각형, 사각형 등의 다각형 형상, 원형, 타원형 등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코어(100)의 입경은 수 마이크로미터(㎛)일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코어(100)의 입경은 약 1㎛ 내지 약 100㎛일 수 있다. 상기 코어(100)의 크기가 약 1㎛ 미만인 경우, 탄화규소 복합체의 전체적인 밀도가 감소되어, 탄화규소 복합체가 전기 저장 장치에 적용될 때, 단위체적당 용량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어(100)의 크기가 약 100㎛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탄화규소 복합체가 전극층에 적용될 때, 전도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쉘(200)은 상기 코어(1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쉘(200)은 상기 코어(100)를 둘러싸며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쉘(200)은 상기 코어(100)와 접촉하며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코어(100)와 상기 쉘(200)은 계면을 형성하며, 또한, 서로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쉘(200)은 상기 코어(100)와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쉘(200)은 탄소(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쉘(200)에는 불규칙적으로 자가조립된 탄소 구조체에 의해 기공(P)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쉘(200)은 다공성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코어(100)의 비표면적과 상기 쉘(200)의 비표면적은 상이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쉘(200)의 비표면적은 상기 코어(100)의 비표면적보다 클 수 있다. 즉, 다공성 구조를 가지는 상기 쉘(200)은 기공에 의해 비표면적이 증가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쉘(200)의 비표면적은 상기 코어(100)의 비표면적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코어(100)의 밀도와 상기 쉘(200)의 밀도는 상이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코어(100)의 밀도는 상기 쉘(200)의 밀도보다 클 수 있다. 즉, 탄화규소를 포함하는 상기 코어(100)의 밀도는 탄소를 포함하는 상기 쉘(200)의 밀도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코어(100)의 분자량과 상기 쉘(200)의 분자량은 상이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코어(100)의 분자량은 상기 쉘(200)의 분자량보다 클 수 있다. 즉, 탄화규소를 포함하는 상기 코어(100)의 분자량은 탄소를 포함하는 상기 쉘(200)의 분자량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코어(100)와 상기 쉘(200)은 일정한 중량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코어(100)와 상기 쉘의 중량비는 약 2:8 내지 약 8:2일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코어(100)는 상기 탄화규소 복합체 전체에 대해 약 20 중량% 내지 약 80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코어(100)의 중량비가 상기 탄화규소 복합체 전체에 대해 약 20 중량% 미만인 경우, 탄화규소 복합체의 전체적인 밀도가 감소되어, 탄화규소 복합체가 전기 저장 장치에 적용될 때, 단위체적당 용량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어(100)의 중량비가 상기 탄화규소 복합체 전체에 대해 약 80 중량% 를 초과하는 경우, 즉, 상기 쉘(200)의 중량비가 약 20 중량% 미만인 경우, 탄화규소 복합체의 비표면적이 감소되어, 탄화규소 복합체가 전기 저장 장치에 적용될 때, 단위체적당 용량이 저하될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탄화규소 복합체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탄화규소 복합체는 탄소원 및 규소원을 준비하는 단계(ST10), 상기 탄소원을 탄화하는 단계(ST20) 및 상기 탄소원과 규소원을 합성하는 단계(ST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소원 및 규소원을 준비하는 단계(ST10)에서는, 상기 탄화규소 복합체를 제조하기 위한 원료를 준비할 수 있다.
상기 탄소원(C source)은 유기탄소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탄소원은 메탄 가스, 에탄 가스, 프로판 가스, 부탄 가스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덱스트린, 셀룰로오스, 리그닌, 피치, 자일렌, 폴리우레탄,폴리아크릴로니트릴 및 폴리비닐알콜, 폴리비닐아세테이트 중 적어도 하나의 유기 탄소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으나,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기 규소원(Si source)은 규소를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규소원은 실리카(silica)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리카 이외에도, 상기 규소원으로는 실리카 분말, 실리카 솔(sol), 실리카 겔(gel), 석영 분말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규소를 포함하는 유기 규소 화합물을 규소원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탄소원을 탄화하는 단계(ST20)에서는, 상기 탄소원을 탄화하여 탄소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챔버 내에 상기 규소원을 배치한 후, 상기 탄소원은 에어로졸(areosol) 형태로 상기 챔버 내로 주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소원은 비활성 가스 분위기 및 약 1400℃의 온도의 조건에서 상기 챔버 내로 주입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탄소원과 규소원을 합성하는 단계(ST30)에서는 주입된 탄소원은 분해되어 탄소 기체 또는 재결정과정을 통해 탄소 미립자로 변형되며 변형된 탄소원은 두가지 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자세하게, 규소입자와 접촉하여 규소를 탄화시켜 탄화규소를 생성하는 반응 및 규소 또는 탄화규소 표면에 과량으로 접촉된 탄소원의 불규칙적인 형태의 자가조립에 의한 다공성 흑연(graphite), 그래핀(grapgene),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 tube) 등의 탄소 결정 구조체로 변환될 수 있다.
상기 쉘에는 상기 탄소 결정 구조체들 사이의 기공이 형성되고, 이에 따라, 상기 쉘은 전체적으로 다공성 결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탄소원과 상기 규소원을 합성하는 단계는 약 1000℃ 이상의 온도에서 진행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탄소원과 상기 규소원을 합성하는 단계는 약 1000℃ 내지 약 1700℃의 온도에서 진행될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탄소원과 상기 규소원을 합성하는 단계는 약 1000℃ 내지 약 1400℃의 온도에서 진행될 수 있다.
상기 탄소원과 상기 규소원을 합성하는 단계를 약 1000℃ 미만의 온도에서 진행하는 경우, 반응 단계에서, 탄화규소 또는 미반응 규소 즉, 코어만 형성되고, 이에 따라, 쉘에 의해 증가되는 비표면적 증가 효과가 없으므로, 이에 의해 제조되는 탄화규소 복합체가 전기 저장 장치에 적용될 때, 단위 체적 당 용량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소원과 상기 규소원을 합성하는 단계를 약 1700℃를 초과하는 온도에서 진행하는 경우, 반응 중 규소원이 모두 기화되고, 탄화규소를 포함하는 코어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탄화규소 복합체가 적용되는 전기 저장 장치를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전기 저장 장치는 양극 전극 및 음극 전극, 상기 양극 전극 및 상기 음극 전극 사이에 배치되는 전해질 및 세퍼레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양극 전극 및 상기 음극 전극은 기판(10) 및 상기 기판(10) 상의 전극층(20)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탄화규소 복합체는 상기 전극층(20)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기판(10)은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기판(10)은 알루미늄(Al), 구리(Cu), 니켈(Ni) 또는 이들의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기판(10) 상에 탄화규소 복합체, 바인더를 혼합한 전극 물질을 인쇄, 코팅 또는 연신하여 전극층(2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전극층(20)은 상기 기판(10) 상에 약 100㎛ 내지 약 500㎛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인더는 상기 탄화규소 복합체를 상기 기판 상에 인쇄, 코팅 또는 연신하기 위한 물질로서 Polyvinylidene Fluoride(PVDF), Polytetrafluoroethylene(PTFE), carboxymethyl cellulose(CMC) 및 styrene-butadiene rubbe(SBR) 중 적어도 하나의 바인더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전극층(20)은 상기 기판(10) 상에 약 100㎛ 내지 약 300㎛의 두께(T)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극층(20)의 두께가 약 100㎛ 미만으로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전기 저장 장치의 용량이 감소될 수 있고, 저항이 증가하여 전기 저장 장치의 출력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전극층(20)은 도전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전재는 상기 전극층의 전자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전극층(20)은 도전재를 포함하지 않고, 상기 탄화규소 복합체가 도전재 역할을 함께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양극 전극(21) 및 상기 음극 전극(22) 사이에는 전해질(30) 및 상기 양극 전극(21)과 상기 음극 전극(22)의 접촉을 방지하는 세퍼레이터(40)가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탄화규소 복합체는 전극 물질의 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코어로서, 분자량이 큰 탄화규소 결정이 형성됨에 따라, 탄화규소 복합체의 전체적인 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탄화규소 복합체는 전극 물질의 비표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즉, 쉘에, 기공을 포함하는 탄소 결정이 형성됨에 따라, 탄화규소 복합체의 전체적인 비표면적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예에 따른 탄화규소 복합체가 슈퍼 캐패시터 또는 울트라 캐패시터 등의 전기 저장 장치에 적용될 때, 전기 용량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대용량의 전기 저장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탄화규소 복합체가 도전재의 역할을 동시에 할 수 있어, 전극층 형성시 별도의 도전재가 첨가되지 않을 수 있다.
이하, 실시예들 및 비교예들에 따른 탄화규소 복합체의 제조 방법을 통하여 본 발명을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로 제시한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규소원으로서 실리콘 분말을 탄소원으로서 에탄올 기체를 준비하였다.
이어서, 실리콘 분말을 챔버 내에 투입한 후, 주입구를 통해 에탄올을 에어로졸 형태로 주입하였다. 이때, 에탄올은 약 1000℃의 온도 및 아르곤(Ar) 가스 분위기하에서 주입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챔버의 온도를 약 1000℃의 온도까지 상승시킨 후, 탄소원과 규소원의 합성 반응을 시킨 후, X선 회절 분석기를 통해 성분을 분석하였고, 반응 후 탄화규소 복합체의 비표면적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챔버의 온도를 약 1400℃의 온도까지 상승시킨 후, 탄소원과 규소원의 합성 반응을 시켰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탄소원과 규소원의 합성 반응을 시킨 후, X선 회절 분석기를 통해 성분을 분석하였고, 반응 후 탄화규소 복합체의 비표면적을 측정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챔버의 온도를 약 800℃의 온도까지 상승시킨 후, 탄소원과 규소원의 합성 반응을 시켰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탄소원과 규소원의 합성 반응을 시킨 후, X선 회절 분석기를 통해 성분을 분석하였고, 반응 후 탄화규소 복합체의 비표면적을 측정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챔버의 온도를 약 1700℃의 온도까지 탄소원과 규소원의 합성 반응을 시킨 후, X선 회절 분석기를 통해 성분을 분석하였고, 반응 후 탄화규소 복합체의 비표면적을 측정하였다.
XRD 분석 성분 비표면적(㎡/g) 밀도(g/cc)
실시예 1 실리콘, 탄화규소 1044 0.83
실시예 2 탄화규소 1590 0.81
비교예 1 실리콘, 탄화규소 187 1.2
비교예 2 탄소 10 0.5
표 1을 참조하면, 실시예 1 내지 실시예2는 탄소원과 규소원이 충분히 반응하여 탄화규소를 포함하는 코어 및 탄소를 포함하며 기공이 형성된 쉘이 형성되며, 쉘에 의해 충분한 비표면적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비교예 1을 참조하면, 쉘이 충분하게 형성되지 않아, 비표면적이 작은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비교예2의 경우, 고온 공정에 의해 탄소원과 규소원이 반응 전에 규소원이 기화되어 탄화규소가 형성되지 않으며, 비표면적이 작은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 의해 제조되는 탄화규소 복합체, 바인더로서 Polyvinylidene Fluoride를 혼합하고, 상기 혼합 물질을 알루미늄 기재 상에 도포하여, 양극 및 음극의 전극층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양극 전극 및 음극 전극 사이에 수계 또는 비수계 전해질 및 세퍼래이터를 배치하여, 전기 저장 장치를 제조하였다.
이어서, 상기 전기 저장 장치의 단위 체적당 용량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2에 의해 제조되는 탄화규소 복합체를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전기 저장 장치를 제조하였다.
이어서, 상기 전기 저장 장치의 단위 체적당 용량을 측정하였다.
비교예 3
비교예 1에 의해 제조되는 탄화규소 복합체를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전기 저장 장치를 제조하였다.
이어서, 상기 전기 저장 장치의 단위 체적당 용량을 측정하였다.
비교예 4
비교예 2에 의해 제조되는 탄화규소 복합체를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전기 저장 장치를 제조하였다.
이어서, 상기 전기 저장 장치의 단위 체적당 용량을 측정하였다.
비교예 5
전극 물질로서, 활성탄 및 카본블랙, 바인더를 혼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전기 저장 장치를 제조하였다.
이어서, 상기 전기 저장 장치의 단위 체적당 용량을 측정하였다.
단위체적당 전기용량(F/cc)
실시예 3 10
실시예 4 18
비교예 3 3
비교예 4 1
비교예 5 14
표 4 및 도 7을 참조하면, 실시예 4 및 실시예 4의 전기 저장 장치의 단위 체적당 전기 용량은 비교예들에 따른 전기 저장 장치의 단위 체적당 전기 용량에 비해 큰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3)

  1. 코어(core); 및
    상기 코어를 둘러싸는 쉘(shell)을 포함하고,
    상기 코어와 상기 쉘의 밀도는 서로 다른 탄화규소 복합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의 밀도는 상기 쉘의 밀도보다 큰 탄화규소 복합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는 탄화규소를 포함하고,
    상기 쉘은 탄소를 포함하는 탄화규소 복합체.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와 상기 쉘의 중량비는 2:8 내지 8:4인 탄화규소 복합체.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쉘에는 복수 개의 기공이 형성되는 탄화규소 복합체.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의 분자량과 상기 쉘의 분자량은 상이한 탄화규소 복합체.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의 분자량은 상기 쉘의 분자량보다 큰 탄화규소 복합체.
  8. 탄소원 및 규소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탄소원을 열 분해하여 탄소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탄소와 상기 규소원을 합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합성하는 단계는 1000℃ 내지 1700℃의 온도에서 진행되는 탄화규소 복합체 제조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원은 메탄 가스, 에탄 가스, 프로판 가스, 부탄 가스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덱스트린, 셀룰로오스, 리그닌, 피치, 자일렌, 폴리우레탄,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또는 폴리비닐알콜, 폴리비닐아세테이트를 포함하는 탄화규소 복합체 제조 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규소원은 실리카, 실리카 분말, 실리카 솔(sol), 실리카 겔(gel) 또는 석영 분말을 포함하는 탄화규소 복합체 제조 방법.
  11. 양극 전극 및 음극 전극; 및
    상기 양극 전극 및 상기 음극 전극 사이의 전해질을 포함하고.
    상기 양극 전극 및 음극 전극은,
    기판;
    상기 기판 상의 전극층을 포함하고,
    상기 전극층은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탄화규소 복합체를 포함하는 전기 저장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층은 도전재를 더 포함하는 전기 저장 장치.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탄화규소 복합체의 밀도는 0.5g/cc 내지 1.5g/cc인 전기 저장 장치.
KR1020150146998A 2015-10-21 2015-10-21 탄화규소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저장 장치 KR2017004653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6998A KR20170046538A (ko) 2015-10-21 2015-10-21 탄화규소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저장 장치
PCT/KR2016/011918 WO2017069574A1 (en) 2015-10-21 2016-10-21 Silicon carbide composite and power storage device includ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6998A KR20170046538A (ko) 2015-10-21 2015-10-21 탄화규소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저장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6538A true KR20170046538A (ko) 2017-05-02

Family

ID=58557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6998A KR20170046538A (ko) 2015-10-21 2015-10-21 탄화규소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저장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70046538A (ko)
WO (1) WO20170695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06977B (zh) * 2018-06-04 2021-11-02 陕西固勤材料技术有限公司 一种反应烧结碳化硅的装炉方法
CN115106106B (zh) * 2022-06-23 2023-03-14 广东工业大学 用于可见光制氢的石墨烯负载碳化硅光催化剂及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200316A1 (en) * 2012-08-10 2015-07-16 Dimerond Technologies, Inc. Solar cells having nanowire titanium oxide and/or silicon carbide cores and graphene exterio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69574A1 (en) 2017-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hang et al. High rate electrochemical capacitors from three-dimensional arrays of vanadium nitride functionalized carbon nanotubes
US9824828B2 (en) High specific capacitance and high power density of printed flexible micro-supercapacitors
EP2537801B1 (en) Method for producing a carbon material
US8202505B2 (en) Aligned carbon nanotube bulk aggregate,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nd uses thereof
JP6599106B2 (ja) リチウム二次電池用負極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該負極材料を用いたリチウム二次電池用の負極活物質層用組成物、リチウム二次電池用負極及びリチウム二次電池
Zhang et al. Growth of hierarchical 3D mesoporous NiSix/NiCo2O4 core/shell heterostructures on nickel foam for lithium‐ion batteries
Wang et al. Intertwined Nanocarbon and Manganese Oxide Hybrid Foam for High‐Energy Supercapacitors
Zhao et al. Precise synthesis of N-doped graphitic carbon via chemical vapor deposition to unravel the dopant functions on potassium storage toward practical K-ion batteries
EP3593371B1 (en) Deposited carbon film on etched silicon for on-chip supercapacitor
EP3398906A1 (en) Carbon nanotube joining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carbon nanotube joining sheet
JP2009078956A (ja) 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複合体、これを用いたエネルギーデバイス及び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複合体の製造方法
JP4696751B2 (ja) 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を用いた電極の製造方法
US10546698B2 (en) Structure for electric energy storage using carbon nanotubes
US11365123B2 (en) Method for producing graphene nanospheres
WO2012129690A1 (en) Cnt composites
Ghazinejad et al. Synchronous chemical vapor deposition of large-area hybrid graphene–carbon nanotube architectures
KR20170046538A (ko) 탄화규소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저장 장치
Peng et al. Three-dimensional honeycomb-like porous carbon strutted nickel phosphide grown by analogous gel blowing for aqueous asymmetric supercapacitor
Ohzawa et al. Preparation of negative electrodes for lithium-ion rechargeable battery by pressure-pulsed chemical vapor infiltration of pyrolytic carbon into electro-conductive forms
Gullapalli et al. 2D material integrated macroporous electrodes for Li-ion batteries
US11271206B2 (en) Method for controllable synthesis of carbon based battery electrode material
KR20170046537A (ko) 탄소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저장 장치
Zhang et al. Si/graphene composite as high-performance anode materials for Li-ion batteries
Ohzawa et al. Structures and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pyrolytic carbon films infiltrated from gas phase into electro-conductive substrates derived from wood
CN117480119A (zh) 作为储能装置中的电极材料的石墨烯纳米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