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5601A - 안테나 복합체 - Google Patents

안테나 복합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5601A
KR20170045601A KR1020150145390A KR20150145390A KR20170045601A KR 20170045601 A KR20170045601 A KR 20170045601A KR 1020150145390 A KR1020150145390 A KR 1020150145390A KR 20150145390 A KR20150145390 A KR 20150145390A KR 20170045601 A KR20170045601 A KR 201700456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sheet layer
dielectric substrate
antenna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5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원모
지정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Priority to KR10201501453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45601A/ko
Publication of KR201700456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56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7/00Loop antennas with a substantially uniform current distribution around the loop and having a directional radiation pattern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loo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208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associated with components used in interrogation type services, i.e. in systems for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an interrogator/reader and a tag/transponder, e.g. i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485Dielectric resonator antennas

Landscapes

  • Details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테나 복합체에 관한 것으로서, 소정 면적을 갖도록 형성된 제1 시트층, 상기 제1 시트층의 상면에 적층되는 유전체 기판, 상기 유전체 기판의 외곽을 따라 일면에 형성된 제1 코일 및 상기 유전체 기판 타면의 중심부에 형성된 제2 코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WPC용 코일과 NFC용 코일을 하나의 기판상에 동시에 형성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 내부 공간을 적게 차지하여 부품 실장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제1 시트층과 제2 코일의 변형된 실시 예에 의해 하나의 복합체로 형성된 두 안테나가 기존에 존재하던 장애요소들을 극복하고 최대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안테나 복합체{ANTENNA COMPLEX}
본 발명은 안테나 복합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코일을 하나의 기판에 형성한 안테나 복합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단말기의 소형화 및 슬림화 추세에 따라 보다 작고 얇아지고 있으며, 그로 인해 이동통신 단말기에 실장되는 부품들 역시, 보다 작고 얇아지는 추세에 있다. 아울러, 이동통신 단말기의 소형화 및 슬림화 추세에 따라 한정된 단말기 내부 공간에 부품을 효율적으로 실장하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는바, 그로 인해 복수의 부품을 하나의 복합체로 형성해야 할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복수의 부품을 개별적으로 실장하는 것보다, 이를 하나의 복합체로 형성하여 실장하는 것이 이동통신 단말기 내부 공간을 적게 차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렇듯 복수의 부품을 하나의 복합체로 형성해야 할 필요성은, 안테나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되며, 최근에는 무선충전용 WPC(Wireless Power Charge) 안테나(이하, WPC 안테나)와 비접촉 근거리 통신용 NFC(Near Frequency Communication) 안테나(이하, NFC 안테나)를 하나의 복합체(Complex)로 형성하는 연구가 당해 기술분야에서 이슈(Issue)화되고 있다. WPC 안테나와 NFC 안테나는 코일(패턴)의 구체적인 형상은 상이하나, 두 안테나 모두 연성회로기판(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상에 형성되는바, 각 안테나의 성능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이를 하나의 연성회로기판상에 형성하게 된다면 그만큼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공간을 적게 차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WPC 안테나와 NFC 안테나를 하나의 복합체로 형성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공간을 적게 차지할 수 있는 것과 별개로, 하나의 복합체로 형성된 두 안테나는 개별적으로 최대 성능을 발휘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두 안테나가 사용하는 주파수의 상이함, 무선충전용 안테나에 전력을 공급하는 송신단(Tx단)에 의한 영향, 두 안테나에 의해 개별적으로 형성되는 자기장끼리의 간섭 현상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하나의 복합체로 형성된 두 안테나는 개별적인 최대 성능을 발휘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이를 해결하는 것 역시 당해 기술분야가 직면한 중요한 기술적 과제이다.
따라서 본 발명을 통해 WPC 안테나와 NFC 안테나를 동시에 형성하여 이동통신 단말기 내부 공간을 적게 차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두 안테나의 최대 성능을 효과적으로 발휘할 수 있는 안테나 복합체를 제안하고자 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39659호(2013.04.22)
본 발명은 WPC 안테나와 NFC 안테나를 하나의 유전체 기판에 동시에 형성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 내부 공간을 적게 차지하여 부품 실장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안테나 복합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하나의 복합체로 형성된 두 안테나의 최대 성능을 발휘함에 있어서, 이를 저해하는 다양한 원인들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두 안테나의 최대 성능을 효과적으로 발휘할 수 있는 안테나 복합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복합체는 소정 면적을 갖도록 형성된 제1 시트층, 상기 제1 시트층의 상면에 적층되는 유전체 기판, 상기 유전체 기판의 외곽을 따라 일면에 형성된 제1 코일 및 상기 유전체 기판 타면의 중심부에 형성된 제2 코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전체 기판은, 에프피씨비(FPCB)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코일은, NFC용 코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코일은, WPC용 코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코일은, 십자가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코일은, 상기 유전체 기판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2 코일과 간접적으로 교차하는 부분의 각도가 90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시트층은, 상기 제1 시트층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유전체 기판이 적층된 방향으로 소정 높이 상승하여 형성된 제1-1 시트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1 시트층은, 상기 제1 시트층과 일체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1 시트층이 상승하여 형성된 소정 높이는, 상기 제1 시트층의 상면에 일면이 적층되는 유전체 기판의 두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WPC용 코일과 NFC용 코일을 하나의 기판상에 동시에 형성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 내부 공간을 적게 차지하여 부품 실장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 시트층과 제2 코일의 변형된 실시 예에 의해 하나의 복합체로 형성된 두 안테나가 기존에 존재하던 장애요소들을 극복하고 최대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복합체의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복합체의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제1 코일이 도 1과 같은 형상일 경우와 제2 실시 예에 따른 형상일 경우에 유전체 기판, 보다 넓게 안테나 복합체의 크기 차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복합체에 있어서, 제1 코일과 제2 코일의 배치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복합체의 측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제1-2 시트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복합체의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복합체의 측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제1-2 시트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설명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으며,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에 표현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쉽게 설명하기 위해 도식화된 도면으로 실제로 구현되는 형태와 상이할 수 있으며,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는 표현은, '개방형의 표현'으로서 해당 구성요소들이 존재하는 것을 단순히 지칭하는 표현이며, 추가적인 구성요소들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복합체(100)의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안테나 복합체(100)는 제1 시트층(10), 유전체 기판(20), 제1 코일(30) 및 제2 코일(40)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함에 있어 필요한 부가적인 기타 구성들 역시 모두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시트(Sheet)란 자성(Magnetic) 소재를 함유한 시트를 의미하는 것으로써 자성 시트라고도 하며, 복수의 안테나를 포함하는 안테나 복합체(100)에선 전자파 흡수 및 차폐재로 많이 이용된다. 또한, WPC 안테나의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근처에 배치될 때 발생하는 와전류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많이 이용되기도 한다. 즉,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복합체(100)에 있어서 시트는 개별적인 안테나가 최대 성능을 발휘함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인바, 이하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제1 시트층(10)은 소정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며, 여기서 소정 면적은 안테나 복합체(100)가 실장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종류에 따라 상이해질 수 있으나, 시트 형상의 안테나 복합체(100)가 부착되는 부품의 면적 이하인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 그 이상이 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제1 시트층(10)의 형상은 사각형인 것이 일반적이나, 필요에 따라 일부가 절단된 형상을 가질 수도 있으며, 모서리와 변이 많은 다각형 형상일 수도 있다. 제1 시트층(10)의 형상 역시 안테나 복합체(100)가 실장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종류에 따라 상이해질 것이다.
제1 시트층(10)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제1 시트층(10)은 저손실 및 고투자율을 갖는 페라이트(Ferrite) 시트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Ni-Zn형 페라이트 시트일 수 있다. 여기서 Ni-Zn형 페라이트 시트는 비교적 낮은 포화 자화 값을 갖지만 평면상에 제1 자성 시트층(10)만 존재하는 경우 자성체가 쉽게 포화되어 자기장이 바깥으로 퍼지게 되고 결과적으로 통신 효율이 떨어져 통신장애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고 자기 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고 포화 자화 값을 갖는 금속 성분으로 형성된 어트랙터가 추가적으로 필요한바, 이 경우 제1 자성 시트층(10)의 중심부에 여러 장 적층한 아몰포스 재질의 시트를 삽입하면 어트랙터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유전체 기판(20)은 제1 시트층(10)의 상면에 적층된다. 여기서 유전체 기판(20)은 안테나 코일을 실장하는데 이용되는 일반적인 유전체 기판을 의미하는바, 구체적으로 에프피씨비(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인 것이 바람직하다. 에프피시비의 경우 연성을 가지는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져 있는바, 일반적인 피씨비(PCB, Printed Circuit Board)에 비해 두께가 얇고 충격에 강하며 부착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 일반적인 피씨비 등과 같은 유전체 기판을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유전체 기판(20)의 면적은 제1 시트층(10)의 면적을 초과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며 동시에 후술할 제1 코일(30) 및 제2 코일(40)을 모두 포함할 수 있을 정도의 면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제1 코일(30)과 제2 코일(40)은 유전체 기판(20)의 일면과 타면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 코일(30)은 유전체 기판(20)의 외곽을 따라 일면에 형성되며, 제2 코일(40)은 유전체 기판(20) 타면의 중심부에 형성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선으로 표시된 제1 코일(30)이 유전체 기판(20)의 외곽을 따라 일면에 루프(Loop)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점선으로 표시된 제2 코일(40)은 제1 코일(30)이 형성한 루프 안쪽, 그리고 유전체 기판(20) 타면의 중심부에 제1 코일(30)과 마찬가지로 루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하나의 실시 예일 뿐이며, 제1 코일(30)과 제2 코일(40)이 유전체 기판(20)의 동일한 면에 동시에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제1 코일(30)은 NFC(Near Frequency Communication, 비접촉식 근거리 통신)용 코일일 수 있으며, 제2 코일(40)은 WPC(Wiress Power Charge, 무선충전)용 코일일 수 있다. 여기서 NFC용 코일과 WPC용 코일은 각각 송/수신하는 주파수 범위가 상이하므로, 그에 대응하는 길이값을 갖도록 적절한 루프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일을 루프 형상으로 형성하는 경우 코일의 최외곽 루프로부터 안쪽으로 휘어 들어가 결과적으로 전체 길이값이 길어지기 때문에 제한된 면적 내에서 충분한 길이값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제1 코일(30) 및 제2 코일(40)은 NFC용 코일 및 WPC용 코일뿐만 아니라 다중대역 안테나를 형성하기 위한 일반적인 안테나 코일로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설명한 유전체 기판(20)에 제1 코일(30) 및 제2 코일(40)이 동시에 형성되며, 유전체 기판(20)이 제1 시트층(10) 상면에 적층 형성되므로 전자파 흡수 및 차폐의 효과가 우수한 안테나 복합체(100)를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복합체(100)는 제1 코일(30) 및 제2 코일(40)의 형상을 달리한 제2 실시 예 및 제3 실시 예로 구현할 수 있는바, 이하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복합체(100)의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2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복합체(100) 역시 제1 시트층(10), 유전체 기판(20), 제1 코일(30) 및 제2 코일(40)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함에 있어 필요한 부가적인 기타 구성들 역시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복합체(100) 역시 기본적인 구성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복합체(100)와 동일하다. 그러나 제1 코일(30)의 형상이 상이하며 그로부터 도출되는 현저한 효과가 존재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코일(30)이 도 1과 다르게 십자가 형상으로 유전체 기판(20)의 일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타면에는 제2 코일(40)이 도 1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제1 코일(30)을 십자가 형상으로 형성하면 전체 안테나 복합체(100)의 크기가 작아질 수 있는바, 제1 코일(30)이 유전체 기판(20)의 외곽에 배치되므로 전체 안테나 복합체(100)의 크기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십자가 형상의 제1 코일(30)의 권선수를 최초 길이값을 만족시킬 수 있도록 십자가 안쪽으로 반복하여 감음으로써 제1 코일(30)이 차지하는 면적이 제2 코일(40)의 면적을 일부 초과하는 정도로 줄일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유전체 기판(20)의 면적은 제1 코일(30)이 차지하는 면적만큼만 확보하면 무방하므로 전체 안테나 복합체(100)의 크기가 작아질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코일(30)이 도 1과 같은 형상일 경우와 십자가 형상일 경우에 유전체 기판(20), 보다 넓게 안테나 복합체(100)의 크기 차이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복합체(100)의 경우, 제1 코일(30)과 제2 코일(40)은 반드시 유전체 기판(20)의 서로 다른 면에 배치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코일(30)이 유전체 기판(20)의 일면에 형성되었다면 제2 코일(40)은 타면에 형성되어야 한다. 동일한 면에 형성된다면 제1 코일(30) 및 제2 코일(40)이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부분이 발생하기 때문에 안테나 복합체(100) 성능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제1 코일(30)과 제2 코일(40)을 유전체 기판(20)의 서로 다른 면에 배치한다 하여도 간접적으로 교차하는 부분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 이 경우 제1 코일(30)과 제2 코일(40)의 간섭 현상이 문제될 수 있는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전체 기판(20)을 사이에 두고 제1 코일(30)과 제2 코일(40)이 간접적으로 교차하는 부분의 각도가 90도가 되도록 배치한다면 간섭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설명한 제1 코일(30)을 제외하고 나머지 구성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복합체(100)와 동일한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복합체(100)의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2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복합체(100) 역시 제1 시트층(10), 유전체 기판(20), 제1 코일(30) 및 제2 코일(40)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함에 있어 필요한 부가적인 기타 구성들 역시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복합체(100) 역시 기본적인 구성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복합체(100)와 동일하나 제1 코일(30) 및 제2 코일(40)이 유전체 기판의 동일한 면에 배치됨과 동시에 제2 코일(40)의 형상이 상이하며 그로부터 도출되는 현저한 효과가 존재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 코일(40)이 도 1과 다르게 십자가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제2 코일(40)의 중심으로부터 각 말단에 이르는 거리(d)가 동일하다. 제2 코일(40)을 십자가 형상으로 형성한 경우 제1 코일(30)과의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두 코일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간섭 효과가 현저하게 줄어들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2 코일(40)이 도 1과 같은 사각형 형상일 경우와 십자가 형상일 경우에 제1 코일(30)과 제2 코일(40) 사이의 거리를 확인할 수 있는바, 코일 사이의 거리를 나타낸 화살표의 길이를 살피면 제2 코일(40)이 십자가 형상인 경우에 제1 코일(30)과의 거리가 먼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제1 코일(30)과 제2 코일(40) 사이의 거리는 제2 코일(40)의 중심으로부터 각 말단에 이르는 거리가 동일한 경우에 가장 멀기 때문에, 두 코일 사이의 간섭 효과가 가장 현저하게 줄어들 수 있다.
한편, 도 5 내지 7은 제1 코일(30) 및 제2 코일(40)이 유전체 기판(20)의 동일한 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기준으로 도시했지만, 제1 코일(30)과 제2 코일(40)이 반드시 동일한 면에 배치될 필요는 없으며, 제2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유전체 기판(20)의 일면에 제1 코일(30)이, 타면에 제2 코일(40)이 배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설명한 제2 코일(40)을 제외하고 나머지 구성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복합체(100)와 동일한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및 제3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복합체(100)는 제1 코일(30) 또는 제2 코일(40)을 십자가 형상으로 형성하여 안테나 복합체(100)의 크기를 작게 하거나 간섭 효과를 줄일 수 있으므로, 이동통신 단말기 내부 공간을 적게 차지하여 부품 실장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음과 동시에 두 안테나의 최대 성능을 효과적으로 발휘할 수 있다. 이하, 제1 시트층(10)의 형상을 달리한 제4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복합체(100)의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4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복합체(100) 역시 제1 시트층(10), 유전체 기판(20), 제1 코일(30) 및 제2 코일(40)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함에 있어 필요한 부가적인 기타 구성들 역시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복합체(100) 역시 기본적인 구성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복합체(100)와 동일하다. 그러나 제1 시트층(10)의 형상이 상이하며 그로부터 도출되는 현저한 효과가 존재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시트층이 바구니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제1 시트층(10)의 일단으로부터 유전체 기판(20)이 적층된 방향으로 소정 높이 상승하여 형성된 제1-1 시트층(15)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제1-1 시트층은 제1 시트층(10)의 일단으로부터 소정 높이 상승하여 형성되므로, 제1 시트층(10)이 사각형인 경우 네개의 제1-1 시트층(15)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시트층(10)이 다각형인 경우 그에 맞는 개수의 제1-1 시트층(15)이 형성될 수 있다. 제1-1 시트층(15)이 유전체 기판(20)이 적층된 방향으로 소정 높이 상승하여 형성되면 전자파 흡수재로서의 효과가 더 극대화될 수 있는바, 기존 평면 형상이던 제1 시트층(10)에 따라 사방으로 분산되던 전자파가 제1-1 시트층(15)에 부딪혀 한곳으로 응집되기 때문에 응집한 전자파만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제1-1 시트층(15)이 상승하여 형성된 소정 높이는 제1 시트층(10)의 상면에 일면이 적층되는 유전체 기판(20)의 두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복합체(100)의 단면도를 확인할 수 있는바, 제1-1 시트층(15)의 높이가 유전체 기판(20)의 두께 이상이 되어야 전자파 응집의 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전자파 응집의 효과를 보다 극대화하기 위해 제1-1 시트층(15)의 말단에 제1-2 시트층(17)을 더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2 시트층(17)은 제1 시트층(10)과 평행하게 형성하여 전자파를 제1 시트층(10) 중앙으로 응집하게 할 수 있는바, 도 9를 참조하면 제1-2 시트층(17)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제1-1 시트층(15)은 제1 시트층(10)과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 제조공정의 측면에서 바람직하나 별개로 형성하여 접착할 수도 있다. 그러나 별개로 형성하여 접착하는 경우 극도로 얇은 시트의 특성상 접착과정에서 파손될 수 있으므로 주의를 요할 것이다. 제1-1 시트층(15)을 제1 시트층(10)과 일체로 형성하는 경우 제1-1 시트층(15)의 종류는 제1 시트층(10)과 동일할 수밖에 없는바, 제1 시트층(10)이 저손실 및 고투자율을 갖는 페라이트 시트인 경우 제1-1 시트층(15) 역시 저손실 및 고투자율을 갖는 페라이트 시트일 것이며, 제1 시트층(10)이 Ni-Zn형 페라이트 시트라면 제1-1 시트층(15) 역시 Ni-Zn형 페라이트 시트일 것이다. 그러나 이는 하나의 실시 예일 뿐이며, 제1-1 시트층(15)은 제1 시트층(10)과 동일한 종류의 시트이기만 하면 어떠한 시트라도 무방할 것이다. 또한, 제1-2 시트층(17)을 형성하는 경우 역시 제1 시트층(10) 및 제1-1 시트층(15)과 동일한 종류의 시트를 일체로 형성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설명한 제1 시트층(10)을 제외하고 나머지 구성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복합체(100)와 동일한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4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복합체(100)에 의해 NFC용 코일과 WPC용 코일을 하나의 유전체 기판(20)에 동시에 형성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 내부 공간을 적게 차지하여 부품 실장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아울러, 제2 및 제3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복합체(100)에 의해 하나의 유전체 기판(20)에 동시에 형성한 두 코일에 의해 발생하는 간섭 효과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으며, 제4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복합체(100)에 의해 전자파 흡수재로서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제1 내지 제3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복합체(100)체에 제4 실시 예가 적용될 수도 있다.
그러나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이들에 의하여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대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을 가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수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안테나 복합체
10: 제1 시트층
15: 제1-1 시트층
17: 제1-2 시트층
20: 유전체 기판
30: 제1 코일
40: 제2 코일
50: 제2 시트층
60: 제3 시트층

Claims (9)

  1. 소정 면적을 갖도록 형성된 제1 시트층;
    상기 제1 시트층의 상면에 적층되는 유전체 기판;
    상기 유전체 기판의 외곽을 따라 일면에 형성된 제1 코일; 및
    상기 유전체 기판 타면의 중심부에 형성된 제2 코일;
    을 포함하는 안테나 복합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 기판은,
    에프피씨비(FPC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복합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일은,
    NFC용 코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복합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코일은,
    WPC용 코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복합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일은,
    십자가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복합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일은,
    상기 유전체 기판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2 코일과 간접적으로 교차하는 부분의 각도가 9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복합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트층은,
    상기 제1 시트층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유전체 기판이 적층된 방향으로 소정 높이 상승하여 형성된 제1-1 시트층;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복합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1 시트층은,
    상기 제1 시트층과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복합체.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1 시트층이 상승하여 형성된 소정 높이는,
    상기 제1 시트층의 상면에 일면이 적층되는 유전체 기판의 두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복합체.
KR1020150145390A 2015-10-19 2015-10-19 안테나 복합체 KR201700456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5390A KR20170045601A (ko) 2015-10-19 2015-10-19 안테나 복합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5390A KR20170045601A (ko) 2015-10-19 2015-10-19 안테나 복합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5601A true KR20170045601A (ko) 2017-04-27

Family

ID=58702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5390A KR20170045601A (ko) 2015-10-19 2015-10-19 안테나 복합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4560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03585A (zh) * 2018-07-10 2018-12-28 深圳市科迪诺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nfc和wpc双线圈天线及生产工艺
US10205487B1 (en) * 2017-11-20 2019-02-12 Avary Holding (Shenzhen) Co., Limited. Wireless power consortium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05487B1 (en) * 2017-11-20 2019-02-12 Avary Holding (Shenzhen) Co., Limited. Wireless power consortium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09103585A (zh) * 2018-07-10 2018-12-28 深圳市科迪诺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nfc和wpc双线圈天线及生产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43088B2 (en) Antenna device and method of setting resonant frequency of antenna device
US10658740B2 (en) Antenna unit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including same
US9997834B1 (en) Antenna device and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US9577334B2 (en) Antenna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9653797B2 (en) Antenna module for near field communication
US9627764B2 (en) Antenna device and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KR20170045601A (ko) 안테나 복합체
JP6081783B2 (ja) アンテナ、アンテナ構造体及び電子機器
KR101758133B1 (ko) 적층 구조물 및 이를 구비하는 모바일 단말기
JP2014027389A (ja) アンテナ装置
KR101597956B1 (ko) 이동통신용 안테나 복합체
US10903557B2 (en) Antenna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10116280B2 (en) Coil component
US9905924B2 (en) Antenna device
US20180342345A1 (en) Coil module for wireless communication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6187097B2 (ja) アンテナ装置
JP2017098469A (ja) 複合コイルモジュー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