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5147A - 수신 확장 기능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수신 확장 기능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5147A
KR20170045147A KR1020167014141A KR20167014141A KR20170045147A KR 20170045147 A KR20170045147 A KR 20170045147A KR 1020167014141 A KR1020167014141 A KR 1020167014141A KR 20167014141 A KR20167014141 A KR 20167014141A KR 20170045147 A KR20170045147 A KR 201700451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
interface
receive
extension function
displa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4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인 주
첸 왕
란 리
Original Assignee
시아오미 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아오미 아이엔씨. filed Critical 시아오미 아이엔씨.
Publication of KR201700451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51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M1/7252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57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the number of the calling subscriber at the called subscriber's s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04M1/7258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42Graphical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68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with means for recording information, e.g. telephone number during a convers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신 확장 기능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방법은 제 1 단말에 적용되며: 제 2 단말과의 통화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통화 인터페이스 상에서 사용자로부터의 수신 확장 동작을 검출하는 경우, 대응하는 수신 확장 기능을 결정하는 단계; 및 통화 인터페이스 상에서 수신 확장 기능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을 이용하면,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는 사용자로부터의 수신 확장 동작에 따라 즉시 통화 인터페이스 상에서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으며, 이는, 사용자가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하는데 편리하고, 사용자 동작을 간략화하며, 또한, 사용자의 개인화된 필요성들을 충족시키고, 사용자 경험을 개선시킨다.

Description

수신 확장 기능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ANSWER EXTENSION FUNCTION}
본 출원은, 2015년 9월 17일자로 출원된 중국 특허 출원 제 201510595610.5호에 기초하고 그 특허 출원을 우선권으로 주장하며, 그 특허 출원의 전체 내용들은 본 명세서에 인용에 의해 통합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수신(answer) 확장 기능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통신 기술의 계속적인 발전으로, 스마트 단말들은 더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들은 스마트 단말들에 대해 점점 더 많은 요구들을 갖게 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전화를 걸기 위해 스마트 단말을 사용하는 경우, 그는 통화 내용을 기록(record)하는 것을 필요로 할 수도 있으며, 또한, 자신의 위치 정보를 다른 상대방(party)에게 통지하는 것을 필요로 할 수도 있다. 종래 기술에서, 사용자가 통화(call)에 수신하는 경우, 통화 동안 사용자의 수신 확장 요구에 대해, 현재의 통화를 백그라운드로 이동시키고 그 후, 수신 확장 요구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오픈(open)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필요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통화 내용을 기록하는 것을 필요로 하면, 노트와 같은 애플리케이션이 정보를 기록하기 위해 오픈되고; 사용자가 자신의 위치 정보를 다른 상대방에게 통지하는 것을 필요로 하면, 맵과 같은 애플리케이션이 그 자신의 위치를 다른 상대방과 공유하기 위해 오픈된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서, 수신 확장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다수의 애플리케이션들 사이에서의 스위칭이 요구되며, 이는, 사용자 동작의 복잡성을 감소시키고 사용자 경험을 감소시킨다.
종래 기술에 존재하는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수신 확장 기능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제 1 양상에 따르면, 제 1 단말에 적용되는 수신 확장 기능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되며, 그 방법은,
제 2 단말과의 통화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통화 인터페이스 상에서 사용자로부터의 수신 확장 동작을 검출하는 경우, 대응하는 수신 확장 기능을 결정하는 단계; 및
통화 인터페이스 상에서 수신 확장 기능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통화 인터페이스 상에서 사용자로부터의 수신 확장 동작을 검출하는 경우, 대응하는 수신 확장 기능을 결정하는 단계는:
통화 인터페이스 상에서 사용자로부터의 수신 확장 동작을 검출하는 경우, 수신 확장 기능들과 대응하는 수신 확장 동작들 사이의 미리 셋팅된 바인딩 관계에 따라 대응하는 수신 확장 기능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수신 확장 기능을 셋팅하는 단계;
수신 확장 기능에 대응하는 수신 확장 동작을 셋팅하는 단계; 및
수신 확장 기능을 대응하는 수신 확장 동작과 바인딩시켜, 수신 확장 기능들과 대응하는 수신 확장 동작들 사이의 미리 셋팅된 바인딩 관계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수신 확장 동작은, 제 1 방향으로의 슬라이딩 동작 또는 제 2 방향으로의 슬라이딩 동작을 포함하며; 수신 확장 기능들과 대응하는 수신 확장 동작들 사이의 미리 셋팅된 바인딩 관계에 따라 대응하는 수신 확장 기능을 결정하는 단계는:
수신 확장 동작이 제 1 방향으로의 슬라이딩 동작인 경우, 미리 셋팅된 바인딩 관계에 따라 수신 확장 기능을 제 1 수신 확장 기능으로서 결정하는 단계; 및
수신 확장 동작이 제 2 방향으로의 슬라이딩 동작인 경우, 미리 셋팅된 바인딩 관계에 따라 수신 확장 기능을 제 2 수신 확장 기능으로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제 1 수신 확장 기능은 정보 기록 기능이고, 제 2 수신 확장 기능은 위치 공유 기능이고: 또는 제 1 수신 확장 기능은 위치 공유 기능이고, 제 2 수신 확장 기능은 정보 기록 기능이다.
대안적으로, 통화 인터페이스 상에서 수신 확장 기능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통화 인터페이스 상에서 오픈된 확장 기능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 확장 기능을 조달하여 사용하고, 통화 인터페이스 상에서 수신 확장 기능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수신 확장 기능은 정보 기록 기능이며; 통화 인터페이스 상에서 오픈된 확장 기능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 확장 기능을 조달하여 사용하고, 통화 인터페이스 상에서 수신 확장 기능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통화 인터페이스 상에서 오픈된 정보 기록 인터페이스를 통해 정보 기록 기능을 조달하여 사용하고, 통화 인터페이스 상에서 정보 기록 기능에 대응하는 정보 기록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방법은:
통화 인터페이스 상에서 수신 확장 기능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한 이후에, 제 2 단말과의 통화가 종료했다고 검출하는 경우, 정보 기록 인터페이스 중의 기록된 정보를 노트에 저장하며, 노트 리마인더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수신 확장 기능은 위치 공유 기능이며; 통화 인터페이스 상에서 오픈된 확장 기능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 확장 기능을 조달하여 사용하고, 통화 인터페이스 상에서 수신 확장 기능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통화 인터페이스 상에서 오픈된 위치 공유 인터페이스를 통해 위치 공유 기능을 조달하여 사용하고, 통화 인터페이스 상에서 위치 공유 기능에 대응하는 위치 공유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방법은:
통화 인터페이스 상에서 위치 공유 기능에 대응하는 위치 공유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한 이후, 위치 공유를 결정한 경우 위치 공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 1 위치 공유 정보를 제 2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여기서, 제 1 위치 공유 정보는 제 1 단말의 지리적 위치를 휴대한다.
대안적으로, 방법은:
통화 인터페이스 상에서 위치 공유 기능에 대응하는 위치 공유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한 이후, 제 2 단말에 의해 전송된 제 2 위치 공유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제 2 위치 공유 정보는 제 2 단말의 지리적 위치를 휴대함 -; 및
위치 공유 인터페이스 상에서 제 2 단말의 지리적 위치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위치 공유 인터페이스 상에서 제 2 단말의 지리적 위치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제 2 위치 공유 정보에 따라 공유 제시를 수행하는 단계 - 공유 제시는 공유 수용(accepting sharing) 및 공유 거절(refusing sharing)을 포함함 -; 및
공유 수용을 결정하는 경우, 위치 공유 인터페이스 상에서 제 2 단말의 지리적 위치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제 2 양상에 따르면, 제 1 단말에 적용되는 수신 확장 기능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바이스가 제공되며, 그 디바이스는:
제 2 단말과의 통화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제 1 디스플레잉 모듈;
통화 인터페이스 상에서 사용자로부터의 수신 확장 동작이 검출되는 경우, 대응하는 수신 확장 기능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수신 확장 기능 결정 모듈; 및
통화 인터페이스 상에서 수신 확장 기능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제 2 디스플레잉 모듈을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수신 확장 기능 결정 모듈은:
통화 인터페이스 상에서 사용자로부터의 수신 확장 동작이 검출되는 경우, 수신 확장 기능들과 대응하는 수신 확장 동작들 사이의 미리 셋팅된 바인딩 관계에 따라 대응하는 수신 확장 기능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 1 수신 확장 기능 결정 서브-모듈을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수신 확장 기능을 셋팅하도록 구성된 제 1 셋팅 모듈;
수신 확장 기능에 대응하는 수신 확장 동작을 셋팅하도록 구성된 제 2 셋팅 모듈; 및
수신 확장 기능을 대응하는 수신 확장 동작과 바인딩시켜, 수신 확장 기능들과 대응하는 수신 확장 동작들 사이의 미리 셋팅된 바인딩 관계를 획득시키도록 구성된 바인딩 모듈을 더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수신 확장 동작은 제 1 방향으로의 슬라이딩 동작 또는 제 2 방향으로의 슬라이딩 동작을 포함하며; 제 1 수신 확장 기능 결정 서브-모듈은:
수신 확장 동작이 제 1 방향으로의 슬라이딩 동작인 경우, 미리 셋팅된 바인딩 관계에 따라 수신 확장 기능을 제 1 수신 확장 기능으로서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 2 수신 확장 기능 결정 서브-모듈; 및
수신 확장 동작이 제 2 방향으로의 슬라이딩 동작인 경우, 미리 셋팅된 바인딩 관계에 따라 수신 확장 기능을 제 2 수신 확장 기능으로서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 3 수신 확장 기능 결정 서브-모듈을 포함하며,
여기서, 제 1 수신 확장 기능은 정보 기록 기능이고, 제 2 수신 확장 기능은 위치 공유 기능이고: 또는 제 1 수신 확장 기능은 위치 공유 기능이고, 제 2 수신 확장 기능은 정보 기록 기능이다.
대안적으로, 제 2 디스플레잉 모듈은:
통화 인터페이스 상에서 오픈된 확장 기능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 확장 기능을 조달하여 사용하고, 통화 인터페이스 상에서 수신 확장 기능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제 1 디스플레잉 서브-모듈을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수신 확장 기능은 정보 기록 기능이며, 제 1 디스플레잉 서브-모듈은:
통화 인터페이스 상에서 오픈된 정보 기록 인터페이스를 통해 정보 기록 기능을 조달하여 사용하고, 통화 인터페이스 상에서 정보 기록 기능에 대응하는 정보 기록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제 2 디스플레잉 서브-모듈을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제 1 디스플레잉 서브-모듈은:
제 2 단말과의 통화가 종료했다는 것이 검출된 경우, 정보 기록 인터페이스중의 기록된 정보를 노트에 저장하고, 노트 리마인더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저장 서브-모듈을 더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수신 확장 기능은 위치 공유 기능이며, 제 1 디스플레잉 서브-모듈은:
통화 인터페이스 상에서 오픈된 위치 공유 인터페이스를 통해 위치 공유 기능을 조달하여 사용하고, 통화 인터페이스 상에서 위치 공유 기능에 대응하는 위치 공유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제 3 디스플레잉 서브-모듈을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제 1 디스플레잉 서브-모듈은:
위치 공유가 결정되는 경우, 위치 공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 1 위치 공유 정보를 제 2 단말에 전송하도록 구성된 전송 서브-모듈을 더 포함하며, 여기서, 제 1 위치 공유 정보는 제 1 단말의 지리적 위치를 휴대한다.
대안적으로, 제 1 디스플레잉 서브-모듈은:
제 2 단말에 의해 전송된 제 2 위치 공유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서브-모듈 - 제 2 위치 공유 정보는 제 2 단말의 지리적 위치를 휴대함 -; 및
위치 공유 인터페이스 상에서 제 2 단말의 지리적 위치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제 4 디스플레잉 서브-모듈을 더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제 4 디스플레잉 서브-모듈은:
제 2 위치 공유 정보에 따라 공유 제시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공유 제시 서브-모듈 - 공유 제시는 공유 수용 및 공유 거절을 포함함 -; 및
공유 수용이 결정되는 경우, 위치 공유 인터페이스 상에서 제 2 단말의 지리적 위치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제 5 디스플레잉 서브-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제 3 양상에 따르면, 제 1 단말에 적용되는 수신 확장 기능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바이스가 제공되며, 그 디바이스는: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제 2 단말과의 통화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고;
통화 인터페이스 상에서 사용자로부터의 수신 확장 동작을 검출하는 경우, 대응하는 수신 확장 기능을 결정하며; 그리고
통화 인터페이스 상에서 수신 확장 기능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해 제공되는 기술적인 솔루션들은 다음의 유리한 효과들을 가질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제 1 단말이 제 2 단말로부터 통화를 수신하는 경우, 제 2 단말과의 통화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되며; 통화 인터페이스 상에서 사용자로부터의 수신 확장 동작이 검출되는 경우, 대응하는 수신 확장 기능이 결정될 수도 있고, 수신 확장 기능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가 통화 인터페이스 상에서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어서, 제 1 단말은 사용자의 수신 확장 동작에 따라 통화 인터페이스 상에서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를 즉시(directly)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으며, 이는, 사용자가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하는데 편리하고, 사용자 동작을 간략화시키며, 또한 사용자의 개인화된 필요성들을 만족시키고 사용자 경험을 개선시킨다.
본 발명에서, 제 1 단말은, 미리 셋팅된 바인딩 관계를 획득하고 미리 셋팅된 바인딩 관계에 따라 검출된 수신 확장 동작에 대응하는 수신 확장 기능을 결정하기 위해, 상이한 수신 확장 기능들 및 대응하는 수신 확장 동작들을 셋팅하고, 수신 확장 기능을 대응하는 수신 확장 동작과 바인딩시킬 수도 있어서, 제 1 단말이 수신 확장 기능의 타입을 신속하게 결정할 수도 있으며, 따라서 수신 확장 기능을 디스플레이하는 속도를 향상시킨다.
본 발명에서, 제 1 단말이 제 1 방향으로의 슬라이딩 동작 또는 제 2 방향으로의 슬라이딩 동작을 검출하는 경우, 제 1 단말은 미리 셋팅된 바인딩 관계에 따라, 대응하는 수신 확장 기능을 정보 기록 기능 또는 위치 공유 기능으로서 결정할 수도 있어서, 제 1 단말이 사용자의 단축(shortcut) 동작, 즉 제 1 방향으로의 슬라이딩 동작 또는 제 2 방향으로의 슬라이딩 동작에 따라 통화 인터페이스 상에서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으며, 이는, 사용자가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하는데 편리하고 사용자 경험을 개선시킨다.
본 발명에서, 제 1 단말은, 통화 인터페이스 상에서 오픈된 확장 기능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 확장 기능을 조달하여 사용하고, 통화 인터페이스 상에서 수신 확장 기능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으며, 이는, 사용자가 수신 확장 기능을 실현하는데 편리하고, 사용자 경험을 개선시킨다.
본 발명에서, 제 1 단말은, 통화 인터페이스 상에서 오픈된 정보 기록 인터페이스를 통해 정보 기록 기능을 조달하여 사용하고, 통화 인터페이스 상에서 정보 기록 기능에 대응하는 정보 기록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어서, 제 1 단말이 노트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으며, 이는, 사용자의 노트하기(note-taking) 요구를 충족시키고, 사용자 경험을 개선시킨다.
본 발명에서, 제 1 단말은, 통화 인터페이스 상에서 오픈된 위치 공유 인터페이스를 통해 위치 공유 기능을 조달하여 사용하고, 통화 인터페이스 상에서 위치 공유 기능에 대응하는 위치 공유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으며, 이는, 사용자의 위치 공유 요구를 충족시키고, 사용자 경험을 개선시킨다.
본 발명에서, 제 1 단말은 제 1 위치 공유 정보를 제 2 단말에 전송할 수도 있으며 - 제 1 위치 공유 정보는 제 1 단말의 위치 정보를 휴대함 -, 제 2 단말에 의해 전송된 제 2 위치 공유 정보를 또한 수신하고 - 제 2 위치 공유 정보는 제 2 단말의 지리적 위치를 휴대함 -, 위치 공유 인터페이스 상에서 제 2 단말의 지리적 위치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어서, 제 1 단말은 사용자 요구에 따라 제 2 단말과의 위치 공유를 실현하고, 위치 공유 인터페이스 상에서 가시적으로 제 2 단말의 지리적 위치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으며, 이는, 사용자 경험을 추가적으로 개선시킨다.
전술한 일반적인 설명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 둘 모두가 예시적이고 예시적일 뿐이며, 청구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을 제한하지는 않음을 이해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포함되고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는 첨부한 도면들은, 본 발명과 일치하는 실시예들을 도시히며,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들을 설명하도록 기능한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수신 확장 기능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수신 확장 기능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다른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수신 확장 기능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다른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수신 확장 기능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다른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a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수신 확장 기능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다른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b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수신 확장 기능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다른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수신 확장 기능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다른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a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수신 확장 기능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이 적용되는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7b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수신 확장 기능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에서 통화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7c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수신 확장 기능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에서 전화 노트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7d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수신 확장 기능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에서 노트 리마인더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7e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수신 확장 기능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에서 제 1 위치 공유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7f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수신 확장 기능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에서 공유 제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7g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수신 확장 기능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에서 제 2 위치 공유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8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수신 확장 기능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9a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수신 확장 기능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다른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9b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수신 확장 기능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다른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10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수신 확장 기능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다른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11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수신 확장 기능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다른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12a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수신 확장 기능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다른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12b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수신 확장 기능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다른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13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수신 확장 기능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다른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14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수신 확장 기능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다른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15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수신 확장 기능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다른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16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수신 확장 기능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다른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17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수신 확장 기능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이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대한 참조가 상세히 행해질 것이며, 그 실시예들의 예들은 첨부한 도면들에 도시되어 있다. 다음의 설명은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며, 도면에서, 상이한 도면들 내의 동일한 번호들은 그렇지 않다고 표현되지 않으면, 동일하거나 유사한 엘리먼트들을 표현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다음의 설명에 기재된 구현들은 본 발명과 일치하는 모든 구현들을 표현하지는 않는다. 대신, 그들은, 첨부된 청구항들에서 인용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관련된 양상들과 일치하는 디바이스들 및 방법들의 예들일 뿐이다.
본 발명의 설명의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려는 목적을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본 발명의 설명 및 첨부된 청구항들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들의 관사는, 문맥상 달리 명확하게 표시되지 않으면, 복수 형태들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연관된 리스트된 아이템들의 임의의 하나 및 모든 가능한 바인딩들을 표현 및 포함함을 이해해야 한다.
"제 1", "제 2" 및 "제 3"과 같은 용어들이 다양한 정보를 설명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지만, 이들 정보가 그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지 않아야 함을 이해해야 한다. 이들 용어들은 동일한 타입의 정보를 구별하기 위해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정보는 제 2 정보로 또한 지칭될 수도 있고, 유사하게, 제 2 정보는 제 1 정보로 또한 지칭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라면(if)"은 문맥에 의존하여, "경우(when)" 또는 "시에(upon)" 또는 "결정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를 의미하도록 해석될 수도 있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수신 확장 기능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법은 제 1 단말에 적용될 수도 있으며,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110)에서, 제 2 단말과의 통화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된다.
본 발명에서 제 1 단말 또는 제 2 단말은, 인터넷 기능을 갖는 임의의 스마트 단말, 예를 들어, 모바일 폰, 태블릿 컴퓨터, 개인 휴대 정보 단말(PDA), 개인용 컴퓨터(PC) 등일 수도 있다. 단말은,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를 통해 라우터에 액세스할 수도 있고, 라우터를 통해 공용 네트워크에서 서버들에 액세스할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 1 단말이 제 2 단말로부터 통화를 수신하는 경우, 제 1 단말의 디스플레이는 제 1 단말과 제 2 단말 사이의 통화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할 것이다.
단계(120)에서, 통화 인터페이스 상에서 사용자로부터의 수신 확장 동작이 검출되는 경우, 대응하는 수신 확장 기능이 결정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 1 단말과 제 2 단말 사이의 통화 동안, 제 1 단말의 사용자는 다양한 수신 확장 요구들을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통화 내용을 기록하는 것을 필요로 할 수도 있으며, 또한, 자신의 위치 정보를 다른 상대방에게 통지하는 것을 필요로 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의 다양한 수신 확장 요구들에 대해, 제 1 단말은, 대응하는 수신 확장 기능들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수신 확장 기능에 대응하는 수신 확장 동작을 통해 수신 확장 기능을 트리거링할 수도 있다.
수신 확장 동작은 사용자의 슬라이딩 동작 또는 다른 동작들일 수도 있다. 수신 확장 동작이 사용자의 슬라이딩 동작이면, 그 동작은, 좌측으로 슬라이딩, 우측으로 슬라이딩, 위쪽으로 슬라이딩 및 아래쪽으로 슬라이딩 중 임의의 하나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통화 내용을 기록하는 것을 필요로 하면, 사용자는 통화 인터페이스 상에서 좌측으로 슬라이딩할 수도 있으며, 따라서, 대응하는 정보 기록 기능을 트리거링한다.
단계(130)에서, 수신 확장 기능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가 통화 인터페이스 상에서 디스플레이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자의 수신 확장 동작에 대응하는 수신 확장 기능이 결정된 이후, 대응하는 인터페이스는 통화 인터페이스 상에서 즉시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수신 확장 기능이 정보 기록 기능으로서 결정되면, 정보 기록 인터페이스(즉, 노트하기 인터페이스)는 통화 인터페이스 상에서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으며, 이는, 사용자가 통화 동안 정보를 기록하기에 편리하다.
제 1 단말이 제 2 단말로부터의 통화에 수신한 이후, 제 2 단말과의 통화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된다는 것이 상기 실시예로부터 관측될 수도 있다. 통화 인터페이스 상에서 사용자의 수신 확장 동작이 검출되는 경우, 대응하는 수신 확장 기능이 결정될 수도 있고, 수신 확장 기능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가 통화 인터페이스 상에서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어서, 제 1 단말은 사용자의 수신 확장 동작에 따라 통화 인터페이스 상에서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를 즉시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으며, 이는, 사용자가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하는데 편리하고, 사용자 동작을 간략화시키며, 또한 사용자의 개인화된 필요성들을 만족시키고 사용자 경험을 개선시킨다.
도 2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수신 확장 기능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다른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법은 제 1 단말에 적용될 수도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방법에 기초하여, 통화 인터페이스 상에서 사용자로부터의 수신 확장 동작을 검출하는 경우 대응하는 수신 확장 기능을 결정하는 단계(단계(120))는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단계(210)에서, 검출된 수신 확장 동작에 대응하는 수신 확장 기능은, 통화 인터페이스 상에서 사용자로부터의 수신 확장 동작이 검출되는 경우, 수신 확장 기능들과 대응하는 수신 확장 동작들 사이의 미리 셋팅된 바인딩 관계에 따라 결정된다.
수신 확장 기능들과 대응하는 수신 확장 동작들 사이의 미리 셋팅된 바인딩 관계는 제 1 단말에 의해 사전에 셋팅되며,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1) 적어도 하나의 수신 확장 기능이 셋팅된다.
본 발명에서, 제 1 단말은, 정보 기록 기능 및 위치 공유 기능과 같은 복수의 수신 확장 기능들을 셋팅할 수도 있다.
(2) 수신 확장 기능에 대응하는 수신 확장 동작이 셋팅된다.
본 발명에서, 제 1 단말은, 그 자신의 설계 요구에 따라 또는 사용자의 사용 습관들에 따라 수신 확장 기능에 대응하는 수신 확장 동작을 셋팅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정보 기록 기능에 대응하는 수신 확장 동작은 좌측으로 슬라이딩으로서 셋팅되고, 위치 공유 기능에 대응하는 수신 확장 동작은 우측으로 슬라이딩으로서 셋팅된다.
(3) 수신 확장 기능은, 수신 확장 기능들과 대응하는 수신 확장 동작들 사이의 미리 셋팅된 바인딩 관계를 획득하기 위해, 대응하는 수신 확장 동작과 바인딩된다.
본 발명에서, 미리 셋팅된 바인딩 관계는 표의 형태로 로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 확장 동작들에서의 좌측으로 슬라이딩은 정보 기록 기능과 바인딩되고, 수신 확장 동작들에서의 우측으로 슬라이딩은 위치 공유 기능과 바인딩된다.
표1
Figure pct00001
부가적으로, 본 발명의 수신 확장 동작은, 좌측으로, 우측으로 또는 위쪽으로 슬라이딩과 같은 슬라이딩 동작일 수도 있을 뿐만 아니라 클릭 동작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수신 확장 동작들과 수신 확장 기능들 사이의 대응도가 사전에 셋팅되는 한, 특정한 형태의 수신 확장 동작은 제한되지 않는다.
제 1 단말은, 미리 셋팅된 바인딩 관계를 획득하고 미리 셋팅된 바인딩 관계에 따라 검출된 수신 확장 동작에 대응하는 수신 확장 기능을 결정하기 위해, 상이한 수신 확장 기능들 및 대응하는 수신 확장 동작들을 셋팅하고, 수신 확장 기능을 대응하는 수신 확장 동작과 바인딩시킬 수도 있어서, 제 1 단말이 수신 확장 기능의 타입을 신속하게 결정할 수도 있으며, 따라서 수신 확장 기능을 디스플레이하는 속도를 향상시킨다는 것이 상기 실시예로부터 관측될 수도 있다.
도 3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수신 확장 기능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다른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법은 제 1 단말에 적용될 수도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방법, 및 제 1 단말에 의해 검출된 수신 확장 동작이 제 1 방향으로의 슬라이딩 동작 또는 제 2 방향으로의 슬라이딩 동작을 포함하고, 예를 들어, 제 1 방향은 좌측이고 제 2 방향은 우측이라는 사실에 기초하여, 수신 확장 기능들과 대응하는 수신 확장 동작들 사이의 미리 셋팅된 바인딩 관계에 따라 대응하는 수신 확장 기능을 결정하는 단계(단계(210))는 또한,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단계(310)에서, 수신 확장 동작이 제 1 방향으로의 슬라이딩 동작인 경우, 수신 확장 기능들과 대응하는 수신 확장 동작들 사이의 미리 셋팅된 바인딩 관계에 따라 결정된 수신 확장 기능은 제 1 수신 확장 기능이다.
단계(320)에서, 수신 확장 동작이 제 2 방향으로의 슬라이딩 동작인 경우, 수신 확장 기능들과 대응하는 수신 확장 동작들 사이의 미리 셋팅된 바인딩 관계에 따라 결정된 수신 확장 기능은 제 2 수신 확장 기능이다.
제 1 수신 확장 기능은 정보 기록 기능이고, 제 2 수신 확장 기능은 위치 공유 기능이다. 대안적으로, 제 1 수신 확장 기능은 위치 공유 기능이고, 제 2 수신 확장 기능은 정보 기록 기능이다.
제 1 단말이 제 1 방향으로의 슬라이딩 동작 또는 제 2 방향으로의 슬라이딩 동작을 검출하는 경우, 제 1 단말은 미리 셋팅된 바인딩 관계에 따라, 대응하는 수신 확장 기능을 정보 기록 기능 또는 위치 공유 기능으로서 결정할 수도 있어서, 제 1 단말이 사용자의 단축(shortcut) 동작, 즉 제 1 방향으로의 슬라이딩 동작 또는 제 2 방향으로의 슬라이딩 동작에 따라 통화 인터페이스 상에서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으며, 이는, 사용자가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하는데 편리하고 사용자 경험을 개선시킨다는 것이 상기 실시예로부터 관측될 수도 있다.
도 4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수신 확장 기능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다른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법은 제 1 단말에 적용될 수도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방법에 기초하여, 통화 인터페이스 상에서 수신 확장 기능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단계(130))는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단계(410)에서, 수신 확장 기능은, 통화 인터페이스 상에서 오픈된 확장 기능 인터페이스를 통해 조달하여 사용되고, 수신 확장 기능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는 통화 인터페이스 상에서 디스플레이된다.
본 발명에서, 수신 확장 기능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는 통화 인터페이스 상에서 디스플레이되며, 여기서,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는 수신 확장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수신 확장 인터페이스는 대응하는 수신 확장 기능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제 1 단말은, 통화 인터페이스 상에서 오픈된 확장 기능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 확장 기능을 조달하여 사용하고, 통화 인터페이스 상에서 수신 확장 기능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어서, 사용자가 확장 기능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 확장 기능을 실현할 수도 있으며, 이는, 사용자가 수신 확장 기능을 실현하는데 편리하고, 사용자 경험을 개선시킨다는 것이 상기 실시예로부터 관측될 수도 있다.
도 5a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수신 확장 기능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다른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법은 제 1 단말에 적용될 수도 있으며, 도 3 또는 4에 도시된 방법에 기초하여, 결정된 수신 확장 기능은 정보 기록 기능이고, 통화 인터페이스 상에서 오픈된 확장 기능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 확장 기능을 조달하여 사용하고, 통화 인터페이스 상에서 수신 확장 기능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단계(410))는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510)에서, 정보 기록 기능은, 통화 인터페이스 상에서 오픈된 정보 기록 인터페이스를 통해 조달하여 사용되고, 정보 기록 기능에 대응하는 정보 기록 인터페이스는 통화 인터페이스 상에서 디스플레이된다.
부가적으로, 통화 인터페이스 상에서 정보 기록 기능에 대응하는 정보 기록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단계(510))를 실행한 이후, 방법은 다음의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단계(520)에서, 제 2 단말과의 통화가 종료했다고 검출된 이후, 정보 기록 인터페이스 중의 기록된 정보는 노트에 저장되며, 노트 리마인더가 수행된다.
제 1 단말은, 통화 인터페이스 상에서 오픈된 정보 기록 인터페이스를 통해 정보 기록 기능을 조달하여 사용하고, 통화 인터페이스 상에서 정보 기록 기능에 대응하는 정보 기록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어서, 제 1 단말이 노트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으며, 이는, 사용자의 노트하기 요구를 충족시키고, 사용자 경험을 개선시킨다는 것이 상기 실시예로부터 관측될 수도 있다.
도 5b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수신 확장 기능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다른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법은 제 1 단말에 적용될 수도 있으며, 도 3 또는 4에 도시된 방법에 기초하여, 결정된 수신 확장 기능은 위치 공유 기능이고, 통화 인터페이스 상에서 오픈된 확장 기능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 확장 기능을 조달하여 사용하고, 통화 인터페이스 상에서 수신 확장 기능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단계(410))는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530)에서, 위치 공유 기능은 통화 인터페이스 상에서 오픈된 위치 공유 인터페이스를 통해 조달하여 사용되고, 위치 공유 기능에 대응하는 위치 공유 인터페이스는 통화 인터페이스 상에서 디스플레이된다.
본 발명에서, 제 1 단말은, 통화 인터페이스 상에서 오픈된 위치 공유 인터페이스를 통해 위치 공유 기능을 조달하여 사용하고, 통화 인터페이스 상에서 위치 공유 기능에 대응하는 위치 공유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으며, 이는, 사용자의 위치 공유 요구를 충족시키고, 사용자 경험을 개선시킨다는 것이 상기 실시예로부터 관측될 수도 있다.
도 6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수신 확장 기능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다른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법은 제 1 단말에 적용될 수도 있으며, 도 5b에 도시된 방법에 기초하여, 결정된 수신 확장 기능은 위치 공유 기능이고, 통화 인터페이스 상에서 위치 공유 기능에 대응하는 위치 공유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단계(530))를 실행한 이후, 방법은 다음의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단계(610)에서, 위치 공유가 결정되는 경우, 제 1 위치 공유 정보는 위치 공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 2 단말에 전송되며, 여기서, 제 1 위치 공유 정보는 제 1 단말의 위치 정보를 휴대한다.
단계(620)에서, 제 2 단말에 의해 전송된 제 2 위치 공유 정보가 수신되며, 여기서, 제 2 위치 공유 정보는 제 2 단말의 지리적 위치를 휴대한다.
단계(630)에서, 제 2 단말의 지리적 위치는 위치 공유 인터페이스 상에서 디스플레이된다.
일 실시예에서, 통화 인터페이스 상에서 위치 공유 기능에 대응하는 위치 공유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단계(530))를 실행한 이후, 단계(610)가 그 후에 실행되며, 절차는 종료한다.
일 실시예에서, 통화 인터페이스 상에서 위치 공유 기능에 대응하는 위치 공유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단계(530))를 실행한 이후, 단계(620 및 630)가 그 후에 실행되며, 절차는 종료한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수신 확장 요구를 더 양호하게 충족시키기 위해, 위치 공유 인터페이스 상에서 제 2 단말의 지리적 위치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단계(630))가 실행된 경우, 공유 제시가 제 2 위치 공유 정보에 따라 먼저 수행될 수도 있으며, 여기서, 공유 제시는 공유 수용 및 공유 거절을 포함한다. 공유 수용이 결정되는 경우, 제 2 단말의 지리적 위치는 위치 공유 인터페이스 상에서 디스플레이된다.
본 발명에서, 제 1 단말은 제 1 위치 공유 정보를 제 2 단말에 전송할 수도 있으며 - 제 1 위치 공유 정보는 제 1 단말의 위치 정보를 휴대함 -, 제 2 단말에 의해 전송된 제 2 위치 공유 정보를 또한 수신하고 - 제 2 위치 공유 정보는 제 2 단말의 지리적 위치를 휴대함 -, 위치 공유 인터페이스 상에서 제 2 단말의 지리적 위치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어서, 제 1 단말은 사용자 요구에 따라 제 2 단말과의 위치 공유를 실현하고, 위치 공유 인터페이스 상에서 가시적으로 제 2 단말의 지리적 위치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으며, 이는, 사용자 경험을 추가적으로 개선시킨다는 것이 상기 실시예로부터 관측될 수도 있다.
도 7a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수신 확장 기능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이 적용되는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는 제 1 단말 및 제 2 단말을 포함한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단말로부터 통화를 수신한 이후, 제 1 단말은 제 2 단말과의 통화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한다.
제 1 시나리오: 사용자는 정보를 기록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단말이 통화 인터페이스 상에서 사용자의 좌측으로 슬라이딩을 검출하는 경우, 제 1 단말은, 좌측으로 슬라이딩 동작에 따른 정보 기록 기능으로서 대응하는 확장 기능을 결정하고, 통화 인터페이스 상에서 정보 기록 기능에 대응하는 정보 기록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전화 노트)를 디스플레이한다. 사용자는, 정보 기록 인터페이스에서 기록될 정보를 입력할 수도 있다.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단말과의 통화가 종료했다는 것을 검출하는 경우, 제 1 단말은, 정보 기록 인터페이스 중의 기록된 정보를 노트에 저장하고, 노트 리마인더를 수행한다.
제 2 시나리오: 사용자는 위치 공유를 필요로 한다.
도 7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단말이 통화 인터페이스 상에서 사용자의 우측으로 슬라이딩을 검출하는 경우, 제 1 단말은, 우측으로 슬라이딩 동작에 따른 위치 공유 기능으로서 대응하는 확장 기능을 결정하고, 통화 인터페이스 상에서 위치 공유 기능에 대응하는 위치 공유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며, 여기서, 위치 공유 인터페이스는 제 1 단말의 위치 정보 및 위치 공유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도 7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단말은, 제 2 단말에 의해 전송된 제 2 위치 공유 정보를 수신하고, 제 2 위치 공유 정보에 따라 공유 제시를 수행하며, 여기서, 제 2 위치 공유 정보는 제 2 단말의 지리적 위치를 포함하고, 공유 제시는 공유 수용 및 공유 거절을 포함한다.
도 7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공유를 수용하도록 결정하는 경우, 제 2 단말의 지리적 위치는 위치 공유 인터페이스 상에서 디스플레이된다.
수신 확장 기능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의 상기 실시예들에 대응하여, 본 발명은 또한, 수신 확장 기능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도 8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수신 확장 기능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는 제 1 단말에 적용되며, 도 1에 도시된 수신 확장 기능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을 실행하기 위해 구성된다. 디바이스는, 제 1 디스플레잉 모듈(81), 수신 확장 기능 결정 모듈(82) 및 제 2 디스플레잉 모듈(83)을 포함한다.
제 1 디스플레잉 모듈(81)은 제 2 단말과의 통화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다.
수신 확장 기능 결정 모듈(82)은, 통화 인터페이스 상에서 사용자로부터의 수신 확장 동작이 검출되는 경우, 대응하는 수신 확장 기능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제 2 디스플레잉 모듈(83)은, 통화 인터페이스 상에서 수신 확장 기능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다.
제 2 단말과의 통화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통화 인터페이스 상에서 사용자로부터의 수신 확장 동작이 검출되는 경우 대응하는 수신 확장 기능이 결정될 수도 있고, 수신 확장 기능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가 통화 인터페이스 상에서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어서, 제 1 단말은 사용자의 수신 확장 동작에 따라 통화 인터페이스 상에서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를 즉시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으며, 이는, 사용자가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하는데 편리하고, 사용자 동작을 간략화시키며, 또한 사용자의 개인화된 필요성들을 만족시키고 사용자 경험을 개선시킨다는 것이 상기 실시예로부터 관측될 수도 있다.
도 9a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수신 확장 기능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다른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실시예는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 기초하며, 수신 확장 기능 결정 모듈(82)은 제 1 수신 확장 기능 결정 서브-모듈(91)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 1 수신 확장 기능 결정 서브-모듈(91)은, 통화 인터페이스 상에서 사용자로부터의 수신 확장 동작이 검출되는 경우, 수신 확장 기능들과 대응하는 수신 확장 동작들 사이의 미리 셋팅된 바인딩 관계에 따라 대응하는 수신 확장 기능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도 9b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수신 확장 기능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다른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실시예는 도 8 또는 9a에 도시된 실시예에 기초하며, 디바이스는 제 1 셋팅 모듈(92), 제 2 셋팅 모듈(93) 및 바인딩 모듈(94)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제 1 셋팅 모듈(92)은 적어도 하나의 수신 확장 기능을 셋팅하도록 구성된다.
제 2 셋팅 모듈(93)은 수신 확장 기능에 대응하는 수신 확장 동작을 셋팅하도록 구성된다.
바인딩 모듈(94)은 수신 확장 기능을 대응하는 확장 동작과 바인딩시켜, 수신 확장 기능들과 대응하는 수신 확장 동작들 사이의 미리 셋팅된 바인딩 관계를 획득시키도록 구성된다.
상이한 수신 확장 기능들 및 대응하는 수신 확장 동작들이 셋팅될 수도 있으며, 수신 확장 기능은, 미리 셋팅된 바인딩 관계를 획득하기 위해 대응하는 수신 확장 동작과 바인딩될 수도 있으며, 검출된 수신 확장 동작에 대응하는 수신 확장 기능은 미리 셋팅된 바인딩 관계에 따라 결정될 수도 있어서, 제 1 단말이 수신 확장 기능의 타입을 신속하게 결정할 수도 있고, 따라서 수신 확장 기능을 디스플레이하는 속도를 향상시킨다는 것이 상기 실시예로부터 관측될 수도 있다.
도 10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수신 확장 기능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다른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실시예는 도 9a에 도시된 실시예에 기초하며, 수신 확장 동작은 제 1 방향으로의 슬라이딩 동작 또는 제 2 방향으로의 슬라이딩 동작을 포함하고, 예를 들어, 제 1 방향은 좌측이고, 제 2 방향은 우측이며, 제 1 수신 확장 기능 결정 서브-모듈(91)은, 제 2 수신 확장 기능 결정 서브-모듈(101) 및 제 3 수신 확장 기능 결정 서브-모듈(102)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 2 수신 확장 기능 결정 서브-모듈(101)은, 수신 확장 동작이 제 1 방향으로의 슬라이딩 동작인 경우, 미리 셋팅된 바인딩 관계에 따라 수신 확장 기능을 제 1 수신 확장 기능으로서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제 3 수신 확장 기능 결정 서브-모듈(102)은, 수신 확장 동작이 제 2 방향으로의 슬라이딩 동작인 경우, 미리 셋팅된 바인딩 관계에 따라 수신 확장 기능을 제 2 수신 확장 기능으로서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제 1 수신 확장 기능은 정보 기록 기능이고, 제 2 수신 확장 기능은 위치 공유 기능이고; 또는, 제 1 수신 확장 기능은 위치 공유 기능이고, 제 2 수신 확장 기능은 정보 기록 기능이다.
제 1 방향으로의 슬라이딩 동작 또는 제 2 방향으로의 슬라이딩 동작이 검출되는 경우, 대응하는 수신 확장 기능은, 미리 셋팅된 바인딩 관계에 따라 정보 기록 기능 또는 위치 공유 기능으로서 결정될 수도 있어서, 제 1 단말이 사용자의 단축 동작, 즉 제 1 방향으로의 슬라이딩 동작 또는 제 2 방향으로의 슬라이딩 동작에 따라 통화 인터페이스 상에서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으며, 이는, 사용자가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하는데 편리하고 사용자 경험을 개선시킨다는 것이 상기 실시예로부터 관측될 수도 있다.
도 11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수신 확장 기능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다른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실시예는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 기초하며, 결정된 수신 확장 기능은 정보 기록 기능이고, 제 2 디스플레잉 모듈(82)은 제 1 디스플레잉 서브-모듈(111)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 1 디스플레잉 서브-모듈(111)은, 통화 인터페이스 상에서 오픈된 확장 기능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 확장 기능을 조달하여 사용하고, 통화 인터페이스 상에서 수신 확장 기능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다.
수신 확장 기능은, 통화 인터페이스 상에서 오픈된 확장 기능 인터페이스를 통해 조달하여 사용될 수도 있고, 수신 확장 기능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는 통화 인터페이스 상에서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으며, 이는, 사용자가 수신 확장 기능을 실현하는데 편리하고, 사용자 경험을 개선시킨다는 것이 상기 실시예로부터 관측될 수도 있다.
도 12a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수신 확장 기능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실시예는 도 10 또는 11에 도시된 실시예에 기초하며, 결정된 수신 확장 기능은 정보 기록 기능이고, 제 1 디스플레잉 모듈(111)은 제 2 디스플레잉 서브-모듈(121)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 2 디스플레잉 서브-모듈(121)은, 통화 인터페이스 상에서 오픈된 정보 기록 인터페이스를 통해 정보 기록 기능을 조달하여 사용하고, 통화 인터페이스 상에서 정보 기록 기능에 대응하는 정보 기록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다.
정보 기록 기능은 통화 인터페이스 상에서 오픈된 정보 기록 인터페이스를 통해 조달하여 사용될 수도 있고, 정보 기록 기능에 대응하는 정보 기록 인터페이스는 통화 인터페이스 상에서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어서, 제 1 단말이 노트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으며, 이는, 사용자의 노트하기 요구를 충족시키고, 사용자 경험을 개선시킨다는 것이 상기 실시예로부터 관측될 수도 있다.
도 12b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수신 확장 기능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실시예는 도 12a에 도시된 실시예에 기초하며, 제 1 디스플레잉 서브-모듈(111)은 저장 서브-모듈(122)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저장 서브-모듈(122)은, 제 2 단말과의 통화가 종료했다는 것이 검출된 경우, 정보 기록 인터페이스 중의 기록된 정보를 노트에 저장하고, 노트 리마인더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위치 공유 기능은 통화 인터페이스 상에서 오픈된 위치 공유 인터페이스를 통해 조달하여 사용될 수도 있고, 위치 공유 기능에 대응하는 위치 공유 인터페이스는 통화 인터페이스 상에서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으며, 이는, 사용자의 위치 공유 요구를 충족시키고, 사용자 경험을 개선시킨다는 것이 상기 실시예로부터 관측될 수도 있다.
도 13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수신 확장 기능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다른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실시예는 도 10 또는 11에 도시된 실시예에 기초하며, 결정된 수신 확장 기능은 위치 공유 기능이고, 제 1 디스플레잉 서브-모듈(111)은 제 3 디스플레잉 서브-모듈(131)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 3 디스플레잉 서브-모듈(131)은, 통화 인터페이스 상에서 오픈된 위치 공유 인터페이스를 통해 위치 공유 기능을 조달하여 사용하고, 통화 인터페이스 상에서 위치 공유 기능에 대응하는 위치 공유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다.
도 14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수신 확장 기능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다른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실시예는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에 기초하며, 제 1 디스플레잉 서브-모듈(111)은 전송 서브-모듈(141)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전송 서브-모듈(141)은, 위치 공유가 결정되는 경우, 위치 공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 1 위치 공유 정보를 제 2 단말에 전송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제 1 위치 공유 정보는 제 1 단말의 지리적 위치를 휴대한다.
도 15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수신 확장 기능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다른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실시예는 도 13 또는 14에 도시된 실시예에 기초하며, 제 1 디스플레잉 서브-모듈(111)은 수신 서브-모듈(151) 및 제 4 디스플레잉 서브-모듈(152)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수신 서브-모듈(151)은, 제 2 단말에 의해 전송된 제 2 위치 공유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제 2 위치 공유 정보는 제 2 단말의 지리적 위치를 휴대한다.
제 4 디스플레잉 서브-모듈(152)은, 위치 공유 인터페이스 상에서 제 2 단말의 지리적 위치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다.
제 2 단말에 의해 전송된 제 2 위치 공유 정보가 수신될 수도 있고 - 제 2 위치 공유 정보는 제 2 단말의 지리적 위치를 휴대함 -, 제 2 단말의 지리적 위치는 위치 공유 인터페이스 상에서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어서, 제 1 단말은 사용자 요구에 따라 제 2 단말과의 위치 공유를 실현하고, 위치 공유 인터페이스 상에서 가시적으로 제 2 단말의 지리적 위치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으며, 이는, 사용자 경험을 추가적으로 개선시킨다는 것이 상기 실시예로부터 관측될 수도 있다.
도 16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수신 확장 기능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다른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실시예는 도 15에 도시된 실시예에 기초하며, 제 4 디스플레잉 서브-모듈(152)은 공유 제시 서브-모듈(161) 및 제 5 디스플레잉 서브-모듈(162)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공유 제시 서브-모듈(161)은, 제 2 위치 공유 정보에 따라 공유 제시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공유 제시는 공유 수용 및 공유 거절을 포함한다.
제 5 디스플레잉 서브-모듈(162)은, 공유 수용이 결정되는 경우, 위치 공유 인터페이스 상에서 제 2 단말의 지리적 위치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다.
도 8에 대응하여, 본 발명은, 수신 확장 기능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다른 디바이스를 추가적으로 제공한다. 디바이스는 제 1 단말에 적용되며,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하고, 여기서, 프로세서는:
제 2 단말과의 통화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고;
통화 인터페이스 상에서 사용자로부터의 수신 확장 동작을 검출하는 경우, 대응하는 수신 확장 기능을 결정하며; 그리고
통화 인터페이스 상에서 수신 확장 기능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실시예들에서 디바이스들 내의 개별 유닛의 기능 및 동작의 구현에 관여하여, 상기 방법들의 대응하는 단계들의 구현에 대한 참조가 행해지며, 이는 본 명세서에서 상세히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디바이스 실시예들이 방법 실시예들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므로, 디바이스 실시예들에서 기재되지 않은 세부사항들에 대해 방법 실시예들의 설명에 대한 참조가 행해진다. 상술된 디바이스 실시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한 것일 뿐이다. 분리된 컴포넌트들로서 설명된 그들 유닛들은 물리적으로 분리될 수도 있거나 분리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디스플레이 컴포넌트로서 설명된 그들 유닛들은 물리 유닛일 수도 있고 물리 유닛이 아닐 수도 있으며, 즉 하나의 장소에 로케이팅되거나 복수의 네트워크 유닛들 상에 분산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실시적인 요건들에 따라 모듈들의 일부 또는 전부에 의해 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창조적인 노력 없이 당업자들에 의해 인식 및 실행가능할 것이다.
도 17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수신 확장 기능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바이스(단말 디바이스)의 다른 블록도이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700)는, 모바일 폰, 컴퓨터, 디지털 브로드캐스트 단말, 메시징 디바이스, 게이밍 콘솔, 태블릿, 의료용 디바이스, 운동 장비, 개인 휴대 정보 단말 등일 수도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디바이스(1700)는 다음의 컴포넌트들, 즉 프로세싱 컴포넌트(1702), 메모리(1704), 전력 컴포넌트(1706), 멀티미디어 컴포넌트(1708), 오디오 컴포넌트(1710), 입력/출력(I/O) 인터페이스(1712), 센서 컴포넌트(1714), 및 통신 컴포넌트(1716) 중 하나 또는 그 초과를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싱 컴포넌트(1702)는 통상적으로, 디스플레이, 전화 통화들, 데이터 통신들, 카메라 동작들, 및 기록 동작들과 같은 디바이스(1700)의 전체 동작들을 제어한다. 프로세싱 컴포넌트(1702)는, 위에서 설명된 방법들 내의 단계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수행하도록 명령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세서들(1720)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싱 컴포넌트(1702)는, 프로세싱 컴포넌트(1702)와 다른 컴포넌트들 사이의 상호작동을 용이하게 하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모듈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싱 컴포넌트(1702)는, 멀티미디어 컴포넌트(1708)와 프로세싱 컴포넌트(1702) 사이의 상호작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을 포함할 수도 있다.
메모리(1704)는, 디바이스(1700)의 동작을 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타입들의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그러한 데이터의 예들은, 디바이스(1700) 상에서 동작되는 임의의 애플리케이션들 또는 방법들에 대한 명령들, 연락처 데이터, 전화번호부 데이터, 메시지들, 사진들, 비디오 등을 포함한다. 메모리(1704)는,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RAM), 전기적으로 소거가능한 프로그래밍가능 판독-전용 메모리(EEPROM), 소거가능한 프로그래밍가능 판독-전용 메모리(EPROM), 프로그래밍가능 판독-전용 메모리(PROM), 판독-전용 메모리(ROM), 자기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자기 또는 광학 디스크와 같은 임의의 타입의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 디바이스들, 또는 이들의 바인딩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전력 컴포넌트(1706)는 디바이스(1700)의 다양한 컴포넌트들에 전력을 제공한다. 전력 컴포넌트(1706)는, 전력 관리 시스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전력 소스들, 및 디바이스(1700)에서의 전력의 생성, 관리, 및 분배와 연관된 임의의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컴포넌트(1708)는, 디바이스(1700)와 사용자 사이에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스크린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스크린은, 액정 디스플레이(LCD) 및 터치 패널(TP)을 포함할 수도 있다. 스크린이 터치 패널을 포함하면, 스크린은 사용자로부터 입력 신호들을 수신하기 위해 터치 스크린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터치 패널은, 터치 패널 상에서 터치들, 스와이프(swipe)들, 및 제스쳐들을 감지하기 위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센서들을 포함한다. 터치 센서들은, 터치 또는 스와이프 동작의 경계를 감지할 뿐만 아니라, 터치 또는 스와이프 동작과 연관된 시간 기간 및 압력을 감지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멀티미디어 컴포넌트(1708)는 전면 카메라 및/또는 후방 카메라를 포함한다. 전면 카메라 및/또는 후방 카메라는, 디바이스(1700)가 촬영 모드 또는 비디오 모드와 같은 동작 모드에 있는 동안, 외부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있다. 전면 카메라 및 후방 카메라 각각은, 고정된 광학 렌즈 시스템일 수도 있거나, 포커스 및 광학 줌 능력을 가질 수도 있다.
오디오 컴포넌트(1710)는 오디오 신호들을 출력 및/또는 입력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오디오 컴포넌트(1710)는, 디바이스(1700)가 통화 모드, 기록 모드, 및 음성 인식 모드와 같은 동작 모드에 있는 경우, 외부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마이크로폰("MIC")을 포함한다. 수신된 오디오 신호는, 메모리(1704)에 추가적으로 저장되거나 통신 컴포넌트(1716)를 통해 송신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오디오 컴포넌트(1710)는 오디오 신호들을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를 더 포함한다.
I/O 인터페이스(1712)는 프로세싱 컴포넌트(1702)와 주변 인터페이스 모듈들 사이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키보드, 클릭 휠, 버튼들 등이다. 버튼들은, 홈 버튼, 음량 버튼, 시작 버튼, 및 잠금 버튼을 포함할 수도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센서 컴포넌트(1714)는, 디바이스(1700)의 다양한 양상들의 상태 평가들을 제공하기 위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센서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센서 컴포넌트(1714)는, 디바이스(1700)의 오픈/클로즈(close) 상태, 디바이스(1700)의 컴포넌트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및 키패드의 상대적인 포지셔닝, 디바이스(1700) 또는 디바이스(1700)의 컴포넌트의 포지션에서의 변화, 디바이스(1700)와의 사용자 접촉의 존재 또는 부존재, 디바이스(1700)의 배향 또는 가속/감속, 및 디바이스(1700)의 온도에서의 변화를 검출할 수도 있다. 센서 컴포넌트(1714)는, 임의의 물리적인 접촉 없이 근방의 오브젝트들의 존재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근접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센서 컴포넌트(1714)는 또한, 이미징 애플리케이션들에서의 사용을 위한 CMOS 또는 CCD 이미지 센서와 같은 광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센서 컴포넌트(1714)는 또한, 가속도 센서, 자이로스코프 센서, 자기 센서, 압력 센서, 또는 온도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통신 컴포넌트(1716)는, 디바이스(1700)와 다른 디바이스들 사이의 통신을 유선으로 또는 무선으로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디바이스(1700)는, WiFi, 2G, 또는 3G, 또는 이들의 바인딩과 같은 통신 표준에 기초하여 무선 네트워크에 액세스할 수 있다.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통신 컴포넌트(1716)는,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통해 외부 브로드캐스트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브로드캐스트 신호 또는 브로드캐스트 연관된 정보를 수신한다.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통신 컴포넌트(1716)는, 단거리 통신들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근접장 통신(NFC) 모듈을 더 포함한다. 예를 들어, NFC 모듈은, 라디오 주파수 식별(RFID) 기술, 적외선 데이터 연관(IrDA) 기술, 울트라-광대역(UWB) 기술, 블루투스(BT) 기술, 및 다른 기술들에 기초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디바이스(1700)는, 위에서 설명된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주문형 집적 회로(ASIC)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 디바이스(DSPD)들, 프로그래밍가능 로직 디바이스(PLD)들, 필드 프로그래밍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들, 제어기들, 마이크로-제어기들,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다른 전자 컴포넌트들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위에서-설명된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해, 예컨대, 메모리(1704)에 포함되고, 디바이스(1700) 내의 프로세서(1720)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가 또한 제공된다. 예를 들어, 비-일시적인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학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 등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명세서의 고려사항 및 본 발명의 실시로부터 당업자들에게 명백할 것이다. 본 출원은, 본 발명의 일반적인 원리들에 따르고 당업계에 알려진 또는 관례적인 실시 내에 있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그러한 벗어남들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임의의 변경들, 사용들, 또는 적응들을 커버하도록 의도된다. 명세서 및 예들은 예시적인 것으로서만 고려됨이 의도되며, 본 발명의 실제 범위 및 사상은 다음의 청구항들에 의해 표시된다.
본 발명이 위에서 설명되고 첨부한 도면들에서 도시된 정확한 구성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형들 및 변화들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행해질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청구항들에 의해서만 제한됨이 의도된다.

Claims (23)

  1. 제 1 단말에 적용되는 수신 확장 기능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제 2 단말과의 통화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통화 인터페이스 상에서 사용자로부터의 수신 확장 동작을 검출하는 경우, 대응하는 수신 확장 기능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통화 인터페이스 상에서 상기 수신 확장 기능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신 확장 기능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인터페이스 상에서 사용자로부터의 수신 확장 동작을 검출하는 경우, 상기 대응하는 수신 확장 기능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통화 인터페이스 상에서 사용자로부터의 상기 수신 확장 동작을 검출하는 경우, 수신 확장 기능들과 대응하는 수신 확장 동작들 사이의 미리 셋팅된 바인딩 관계에 따라 상기 대응하는 수신 확장 기능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신 확장 기능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수신 확장 기능을 셋팅하는 단계;
    상기 수신 확장 기능에 대응하는 상기 수신 확장 동작을 셋팅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 확장 기능을 상기 대응하는 수신 확장 동작과 바인딩시켜, 상기 수신 확장 기능들과 상기 대응하는 수신 확장 동작들 사이의 상기 미리 셋팅된 바인딩 관계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수신 확장 기능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확장 동작은, 제 1 방향으로의 슬라이딩 동작 또는 제 2 방향으로의 슬라이딩 동작을 포함하며,
    상기 수신 확장 기능들과 상기 대응하는 수신 확장 동작들 사이의 미리 셋팅된 바인딩 관계에 따라 상기 대응하는 수신 확장 기능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 확장 동작이 상기 제 1 방향으로의 슬라이딩 동작인 경우, 상기 미리 셋팅된 바인딩 관계에 따라 상기 수신 확장 기능을 제 1 수신 확장 기능으로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 확장 동작이 상기 제 2 방향으로의 슬라이딩 동작인 경우, 상기 미리 셋팅된 바인딩 관계에 따라 상기 수신 확장 기능을 제 2 수신 확장 기능으로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수신 확장 기능은 정보 기록 기능이고, 상기 제 2 수신 확장 기능은 위치 공유 기능이고: 또는 제 1 수신 확장 기능은 위치 공유 기능이고, 제 2 수신 확장 기능은 정보 기록 기능인, 수신 확장 기능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인터페이스 상에서 상기 수신 확장 기능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통화 인터페이스 상에서 오픈된(open) 확장 기능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수신 확장 기능을 조달하여 사용하고, 상기 통화 인터페이스 상에서 상기 수신 확장 기능에 대응하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신 확장 기능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확장 기능은 정보 기록 기능이며;
    상기 통화 인터페이스 상에서 오픈된 확장 기능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수신 확장 기능을 조달하여 사용하고, 상기 통화 인터페이스 상에서 상기 수신 확장 기능에 대응하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통화 인터페이스 상에서 오픈된 정보 기록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정보 기록 기능을 조달하여 사용하고, 상기 통화 인터페이스 상에서 상기 정보 기록 기능에 대응하는 정보 기록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신 확장 기능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인터페이스 상에서 상기 수신 확장 기능에 대응하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한 이후에, 상기 제 2 단말과의 통화가 종료했다고 검출하는 경우, 상기 정보 기록 인터페이스 중의 기록된 정보를 노트에 저장하며, 노트 리마인더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수신 확장 기능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
  8.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확장 기능은 위치 공유 기능이며;
    상기 통화 인터페이스 상에서 오픈된 확장 기능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수신 확장 기능을 조달하여 사용하고, 상기 통화 인터페이스 상에서 상기 수신 확장 기능에 대응하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통화 인터페이스 상에서 오픈된 위치 공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위치 공유 기능을 조달하여 사용하고, 상기 통화 인터페이스 상에서 상기 위치 공유 기능에 대응하는 위치 공유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신 확장 기능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인터페이스 상에서 상기 위치 공유 기능에 대응하는 상기 위치 공유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한 이후, 위치 공유를 결정한 경우 상기 위치 공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 1 위치 공유 정보를 상기 제 2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위치 공유 정보는 상기 제 1 단말의 지리적 위치를 휴대하는, 수신 확장 기능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인터페이스 상에서 상기 위치 공유 기능에 대응하는 상기 위치 공유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한 이후, 상기 제 2 단말에 의해 전송된 제 2 위치 공유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 2 위치 공유 정보는 상기 제 2 단말의 지리적 위치를 휴대함 -; 및
    상기 위치 공유 인터페이스 상에서 상기 제 2 단말의 지리적 위치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수신 확장 기능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공유 인터페이스 상에서 상기 제 2 단말의 지리적 위치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위치 공유 정보에 따라 공유 제시를 수행하는 단계 - 상기 공유 제시는 공유 수용 및 공유 거절(refusing sharing)을 포함함 -; 및
    상기 공유 수용을 결정하는 경우, 상기 위치 공유 인터페이스 상에서 상기 제 2 단말의 지리적 위치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신 확장 기능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
  12. 제 1 단말에 적용되는 수신 확장 기능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바이스로서,
    제 2 단말과의 통화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제 1 디스플레잉 모듈;
    상기 통화 인터페이스 상에서 사용자로부터의 수신 확장 동작이 검출되는 경우, 대응하는 수신 확장 기능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수신 확장 기능 결정 모듈; 및
    상기 통화 인터페이스 상에서 상기 수신 확장 기능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제 2 디스플레잉 모듈을 포함하는, 수신 확장 기능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바이스.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확장 기능 결정 모듈은, 상기 통화 인터페이스 상에서 사용자로부터의 수신 확장 동작이 검출되는 경우, 수신 확장 기능들과 대응하는 수신 확장 동작들 사이의 미리 셋팅된 바인딩 관계에 따라 상기 대응하는 수신 확장 기능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 1 수신 확장 기능 결정 서브-모듈을 포함하는, 수신 확장 기능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바이스.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수신 확장 기능을 셋팅하도록 구성된 제 1 셋팅 모듈;
    상기 수신 확장 기능에 대응하는 상기 수신 확장 동작을 셋팅하도록 구성된 제 2 셋팅 모듈; 및
    상기 수신 확장 기능을 상기 대응하는 수신 확장 동작과 바인딩시켜, 상기 수신 확장 기능들과 상기 대응하는 수신 확장 동작들 사이의 상기 미리 셋팅된 바인딩 관계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바인딩 모듈을 더 포함하는, 수신 확장 기능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바이스.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확장 동작은 제 1 방향으로의 슬라이딩 동작 또는 제 2 방향으로의 슬라이딩 동작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수신 확장 기능 결정 서브-모듈은,
    상기 수신 확장 동작이 상기 제 1 방향으로의 슬라이딩 동작인 경우, 상기 미리 셋팅된 바인딩 관계에 따라 상기 수신 확장 기능을 제 1 수신 확장 기능으로서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 2 수신 확장 기능 결정 서브-모듈; 및
    상기 수신 확장 동작이 상기 제 2 방향으로의 슬라이딩 동작인 경우, 상기 미리 셋팅된 바인딩 관계에 따라 상기 수신 확장 기능을 제 2 수신 확장 기능으로서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 3 수신 확장 기능 결정 서브-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수신 확장 기능은 정보 기록 기능이고, 상기 제 2 수신 확장 기능은 위치 공유 기능이고: 또는 제 1 수신 확장 기능은 위치 공유 기능이고, 제 2 수신 확장 기능은 정보 기록 기능인, 수신 확장 기능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바이스.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디스플레잉 모듈은, 상기 통화 인터페이스 상에서 오픈된 확장 기능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수신 확장 기능을 조달하여 사용하고, 상기 통화 인터페이스 상에서 상기 수신 확장 기능에 대응하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제 1 디스플레잉 서브-모듈을 포함하는, 수신 확장 기능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바이스.
  17.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확장 기능은 상기 정보 기록 기능이며,
    상기 제 1 디스플레잉 서브-모듈은, 상기 통화 인터페이스 상에서 오픈된 정보 기록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정보 기록 기능을 조달하여 사용하고, 상기 통화 인터페이스 상에서 상기 정보 기록 기능에 대응하는 정보 기록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제 2 디스플레잉 서브-모듈을 포함하는, 수신 확장 기능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바이스.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스플레잉 서브-모듈은, 제 2 단말과의 통화가 종료했다는 것이 검출된 경우, 상기 정보 기록 인터페이스 중의 기록된 정보를 노트에 저장하고, 노트 리마인더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저장 서브-모듈을 더 포함하는, 수신 확장 기능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바이스.
  19.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확장 기능은 상기 위치 공유 기능이며,
    상기 제 1 디스플레잉 서브-모듈은, 상기 통화 인터페이스 상에서 오픈된 위치 공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위치 공유 기능을 조달하여 사용하고, 상기 통화 인터페이스 상에서 상기 위치 공유 기능에 대응하는 위치 공유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제 3 디스플레잉 서브-모듈을 포함하는, 수신 확장 기능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바이스.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스플레잉 서브-모듈은, 위치 공유가 결정되는 경우, 상기 위치 공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 1 위치 공유 정보를 상기 제 2 단말에 전송하도록 구성된 전송 서브-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위치 공유 정보는 상기 제 1 단말의 지리적 위치를 휴대하는, 수신 확장 기능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바이스.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스플레잉 서브-모듈은, 상기 제 2 단말에 의해 전송된 제 2 위치 공유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서브-모듈 - 상기 제 2 위치 공유 정보는 상기 제 2 단말의 지리적 위치를 휴대함 -; 및
    상기 위치 공유 인터페이스 상에서 상기 제 2 단말의 지리적 위치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제 4 디스플레잉 서브-모듈을 더 포함하는, 수신 확장 기능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바이스.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디스플레잉 서브-모듈은, 상기 제 2 위치 공유 정보에 따라 공유 제시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공유 제시 서브-모듈 - 상기 공유 제시는 공유 수용 및 공유 거절을 포함함 -; 및
    상기 공유 수용이 결정되는 경우, 상기 위치 공유 인터페이스 상에서 상기 제 2 단말의 지리적 위치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제 5 디스플레잉 서브-모듈을 포함하는, 수신 확장 기능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바이스.
  23. 제 1 단말에 적용되는 수신 확장 기능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바이스로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제 2 단말과의 통화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통화 인터페이스 상에서 사용자로부터의 수신 확장 동작을 검출하는 경우, 대응하는 수신 확장 기능을 결정하며; 그리고
    상기 통화 인터페이스 상에서 상기 수신 확장 기능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구성되는, 수신 확장 기능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바이스.
KR1020167014141A 2015-09-17 2015-12-30 수신 확장 기능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KR2017004514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510595610.5 2015-09-17
CN201510595610.5A CN105162982A (zh) 2015-09-17 2015-09-17 接听扩展功能显示方法及装置
PCT/CN2015/099687 WO2017045307A1 (zh) 2015-09-17 2015-12-30 接听扩展功能显示方法及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5147A true KR20170045147A (ko) 2017-04-26

Family

ID=54803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4141A KR20170045147A (ko) 2015-09-17 2015-12-30 수신 확장 기능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70085697A1 (ko)
EP (1) EP3145164A1 (ko)
JP (1) JP6464261B2 (ko)
KR (1) KR20170045147A (ko)
CN (1) CN105162982A (ko)
MX (1) MX2017013084A (ko)
RU (1) RU2654506C2 (ko)
WO (1) WO20170453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62982A (zh) * 2015-09-17 2015-12-16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接听扩展功能显示方法及装置
CN105677160A (zh) * 2016-02-16 2016-06-15 上海斐讯数据通信技术有限公司 在通话挂断时跳转到指定应用程序的装置和方法
CN105871826A (zh) * 2016-03-28 2016-08-17 乐视控股(北京)有限公司 一种终端间共享地理位置的方法及装置
CN107295151A (zh) * 2016-03-31 2017-10-24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多路通话控制方法及装置
CN106686220A (zh) * 2016-09-05 2017-05-17 贵州财富之舟科技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记事本调用方法
CN107809517B (zh) 2016-09-08 2020-07-10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事件展示方法及装置
CN106791019A (zh) * 2016-11-30 2017-05-31 上海斐讯数据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智能移动终端及其在通话过程中发送信息的方法
CN109525710B (zh) * 2018-10-22 2021-06-2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访问应用程序的方法和装置
CN110113480A (zh) * 2019-04-15 2019-08-0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显示方法及终端设备
CN111711725B (zh) * 2020-06-12 2021-07-30 海能达通信股份有限公司 一种通话界面的操作扩展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12087706B (zh) * 2020-08-05 2022-05-1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位置的处理方法以及相关设备
CN114035724A (zh) * 2021-11-11 2022-02-11 深圳传音控股股份有限公司 应用界面显示方法、智能终端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45013B2 (ja) * 1995-03-15 2003-09-08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9292111B2 (en) * 1998-01-26 2016-03-22 Apple Inc. Gesturing with a multipoint sensing device
JP3806642B2 (ja) * 2001-11-15 2006-08-09 三洋電機株式会社 携帯通信機器及び通信方法
JP2004080608A (ja) * 2002-08-21 2004-03-11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呼制御方法及び装置並びに呼制御プログラム及び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US7411575B2 (en) * 2003-09-16 2008-08-12 Smart Technologies Ulc Gesture recognition method and touch system incorporating the same
KR20080073872A (ko) * 2007-02-07 2008-08-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정보 입력 방법
US8528023B2 (en) * 2008-08-14 2013-09-03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Extended television reminders
KR101737829B1 (ko) * 2008-11-10 2017-05-2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모션 입력 장치 및 그의 운용 방법
US20130190057A1 (en) * 2010-07-09 2013-07-25 Nokia Corporatio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engaged in a call,
US9553974B2 (en) * 2010-08-11 2017-01-24 Apple Inc. Media/voice binding protocol and related user interfaces
US20120214551A1 (en) * 2011-02-22 2012-08-23 Research In Motion Limited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call notes in a wireless device
CN102664984A (zh) * 2012-04-20 2012-09-12 上海合合信息科技发展有限公司 语音笔记的创建方法及系统
KR101315957B1 (ko) * 2012-05-21 2013-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9124712B2 (en) * 2012-06-05 2015-09-01 Apple Inc. Options presented on a device other than accept and decline for an incoming call
CN102694923A (zh) * 2012-06-12 2012-09-26 上海量明科技发展有限公司 手机静音发送提示信息的方法及终端
KR101960306B1 (ko) * 2012-07-13 2019-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US9173086B2 (en) * 2012-07-17 2015-10-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screen off during automatic response system service in electronic device
KR101901919B1 (ko) * 2012-08-27 2018-09-2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메신저 영상 서비스 운용 방법
CN103034413A (zh) * 2012-11-30 2013-04-10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信息记录的方法、装置及移动终端
US9225850B2 (en) * 2012-12-18 2015-12-29 Acer Incorporated Handheld electronic apparatus and incoming call processing method thereof
KR102049855B1 (ko) * 2013-01-31 2019-1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US20140235295A1 (en) * 2013-02-21 2014-08-21 Tencent Technology (Shenzhen) Company Limited Incoming call processing method of mobile terminal, mobile terminal and storage medium
CN103246533B (zh) * 2013-04-11 2017-03-29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在通讯录中添加插件的方法、装置和设备
US9369500B2 (en) * 2013-10-31 2016-06-14 Sony Corporation Call handling using IP multimedia subsystem
KR102133014B1 (ko) * 2014-01-20 2020-07-10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이용한 통화 장치, 방법 및 시스템
US20150207926A1 (en) * 2014-01-23 2015-07-23 Microsoft Corporation Entity-linked reminder notifications
CN103793175A (zh) * 2014-02-14 2014-05-14 深圳市汇顶科技股份有限公司 触摸屏通信终端及其在通话状态下的触控响应方法、系统
CN104158972A (zh) * 2014-08-19 2014-11-19 北京百纳威尔科技有限公司 在通话过程中调用第三方应用的方法及用户终端
CN104348978A (zh) * 2014-11-12 2015-02-11 天津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移动终端的通话处理方法和装置
CN105162982A (zh) * 2015-09-17 2015-12-16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接听扩展功能显示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464261B2 (ja) 2019-02-06
MX2017013084A (es) 2017-12-04
EP3145164A1 (en) 2017-03-22
CN105162982A (zh) 2015-12-16
US20170085697A1 (en) 2017-03-23
RU2654506C2 (ru) 2018-05-21
RU2016140117A (ru) 2018-04-13
WO2017045307A1 (zh) 2017-03-23
JP2017536718A (ja) 2017-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45147A (ko) 수신 확장 기능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US11086482B2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history pages in application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medium
CN105955607B (zh) 内容分享方法和装置
US9967811B2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WIFI list
US9819856B2 (en) Shooting parameter adjustment method and device
US9667774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sending virtual information card
CN107908351B (zh) 应用界面的显示方法、装置及存储介质
US20170344192A1 (en) Method and device for playing live videos
CN105975166B (zh) 应用控制方法及装置
WO2016192324A1 (zh) 单手模式下的按键操作处理方法及装置、电子设备
CN109600303B (zh) 内容分享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07992257B (zh) 分屏方法及装置
CN109324846B (zh) 应用显示方法及装置、存储介质
CN105912450B (zh) 应用的状态信息显示方法及装置
US20180144546A1 (en) Method, device and terminal for processing live shows
CN105511777B (zh) 触控显示屏上的会话显示方法及装置
JP6276863B2 (ja) モバイルルータのトラフィック制御方法及び装置
US9924334B1 (en) Message pushing method, terminal equipment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KR20150122574A (ko) 사용자 명령 실행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KR101688176B1 (ko) 호출 전환 방법, 장치, 단말기,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CN105677164A (zh) 页面选择方法和装置
CN107491238B (zh) 推送信息的显示方法和装置
WO2019080105A1 (zh) 网络接入方法及装置
CN113692067A (zh) 一种设备的连接方法、装置及可读存储介质
CN112130787A (zh) 电子设备、显示信号的传输系统、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1362;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0328

Effective date: 201907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