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5139A - 통신 네트워크용 테스트 장치 및 테스트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 네트워크용 테스트 장치 및 테스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5139A
KR20170045139A KR1020160134165A KR20160134165A KR20170045139A KR 20170045139 A KR20170045139 A KR 20170045139A KR 1020160134165 A KR1020160134165 A KR 1020160134165A KR 20160134165 A KR20160134165 A KR 20160134165A KR 20170045139 A KR20170045139 A KR 201700451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bb
sub
sdr
uplink
s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4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파올로 마리니 미스터
로도비코 빈다 미스터
루이지 트라바글리니 미스터
엔리코 벤디넬리 미스터
Original Assignee
프리즈마 텔레콤 테스팅 에세.에레.엘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리즈마 텔레콤 테스팅 에세.에레.엘레. filed Critical 프리즈마 텔레콤 테스팅 에세.에레.엘레.
Publication of KR201700451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51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50Tes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2Traffic simulation tools or mod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6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simulated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14Network analysis or design
    • H04L41/145Network analysis or design involving simulating, designing, planning or modelling of a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Exchange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통신 네트워크를 위한 테스트 장치는 각각의 비트 스트림들(BS1, ..., BSM)을 제공하는 모의 이동 단말기들(11); 및 각각의 기지국들(3)과 통신하는 각각의 모의 단말기들(11)의 비트 스트림들(BS1, ..., BSM)을 수신하고 각각의 SDR 업링크 스테이지들(14.1, ..., 14.N)과 SDR 다운링크 스테이지들(15.1, ..., 15.N)을 구비한다. SDR 업링크 스테이지(14.1)는 각 모의 단말기(11)의 비트 스트림(BS11, ..., BS1M)을 기저 대역 신호(SBB11, ..., SBB1M)로 변환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브랜치(17); 기저 대역 신호들(SBB11, ..., SBB1M)의 매핑을 통해 각각의 업링크 서브-캐리어 벡터(SAU1, ..., SAUN)를 생성시키는 매핑 모듈(25); 서브-캐리어 벡터(SAU1)를 다른 SDR 스테이지들(12.2, ..., 12.N)의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서브-캐리어 벡터들(SAU2, ..., SAUN)과 조합시키는 셀간 간섭 모듈(27); 및 기저 대역 신호들의 역변환을 수행하는 역변환 모듈(28);을 구비한다.

Description

통신 네트워크용 테스트 장치 및 테스트 방법{TEST APPARATUS FOR A TELECOMMUNICATION NETWORK AND METHOD FOR TESTING A TELECOMMUNICATION NETWORK}
본 발명은 통신 네트워크를 위한 테스트 장치 및 통신 네트워크를 테스트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알려진 바와 같이, 무선 통신 시스템은 네트워크 인프라(network infrastructure) 및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s)를 포함한다. 네트워크 인프라는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상호 접속되는 관리 센터(management centre)와, 소정 영역(territory)의 커버리지(coverage)를 보장하기 위해 구성되어 각 관리 센터와 통신하는 무선 기지국(radio base stations)을 포함한다. 이동 단말기는 하나 이상의 무선 기지국을 통해 네트워크 인프라에 링크되며, 예컨대 셀폰(cellphones), 휴대용 컴퓨터(portable computers), 또는 무선 주파수 연결 기능을 가진 팜탑(palmtops with radiofrequency connection functions)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프라는 그것의 적절한 동작을 검증할 수 있을 테스트를 받을 필요가 있다. 다양한 이유로 전체 네트워크 인프라 또는 그 일부의 테스트가 필요하게 될 수 있다. 예컨대, 설계 및 구현(implementation) 단계에서, 통신 프로토콜(protocol)에서 실패 또는 에러의 상황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해 그 거동(behaviour)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한 하나 이상의 단말기와 연결될 때 무선 기지국의 기능들을 검증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또한, 동시에 활성화되는 사용자 단말기들의 수에 의해 결정되는 네트워크 부하(network load)의 존재 하에서 무선 기지국의 예상 거동을 검증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또한, 무선 기지국의 가장 중요한 기능들 중의 하나는 더욱 더 무선 자원의 관리에 있는 바, 즉 이용 가능한 밴드폭의 사용을 최적화하고, 간섭 및 재전송 요청을 최소화하며, 복수의 단말기에서 얻어질 수 있는 성능을 최대화하는 능력에 놓여 있다. 가장 중요한 상황들은 사용자들이 셀(cell)에 의해 커버되는 지역 내에, 특히 소위 셀-경계 지역(cell-boundary area)에, 즉 인접한 셀들 사이의 경계 영역에 분포되어 있을 때 발생한다. 이 상황들은 전체의 단말기 모집단(the entire population of terminals)에 대해 기존의 단일 채널 시뮬레이터(a single conventional channel simulator)의 사용으로는 창출될 수 없는 현실적인 조건에서 정확한 검증을 요구한다.
이동 무선-통신 시스템에 대한 테스트들의 설계 및 구현에서 고려할 필요가 있는 주요 문제들 중의 하나는 전송 처리량(transmission throughput)에 불이익을 주지 않기 위해 흔히 인접 셀들이 동일 자원 블록들(resource blocks)(즉, 소정 타임슬롯(timeslot)에 대한 서브-캐리어들(sub-carriers)의 세트)을 사용할 권한이 있다는 사실로부터 파생한다. 이동 단말기는 흔히 움직이는 상태로 되며, 흔히 셀간 간섭의 위험에 노출되는 셀-경계 영역에 놓여질 수 있다. 실제로, 셀-경계 영역에서 이동 단말기의 서빙 셀(serving cell)과의 통신은 동일 자원 블록들을 사용하는 인접한 셀로부터 나오는 신호들에 의해 교란될 수 있다.
물론, 테스트 캠페인(test campaigns)을 더 신뢰성있게 만들기 위해, 적당한 시뮬레이션들에 의해 셀간 간섭 현상을 조사하는 것이 또한 편리하다. 다른 것들 중에서, 실제 사용 조건에서, 하나의 통신 네트워크에서 다른 이동 프로파일(movement profile)을 가진 많은 이동 단말기가 하나의 동일 셀에 동시에 연결될 수 있다.
변조의 양상(the modality of modulation) 및 무선 자원들의 관리에 모두 기인하는 OFDM 변조에 기반하는 전기통신 네트워크(telecommunication networks)의 복잡성은 서로 독립적인 다양한 이동 단말기로 무선 환경의 시뮬레이션에 기초한 검증 및 확인 기술을 요구한다.
그러나, 현재 이용 가능한 이동-단말 시뮬레이터들은 그것들의 구조, 기능, 그리고 요구되는 계산 부하(computational load)와 관련하여 이동 단말기의 충분히 많은 모집단(populations)으로 셀간 간섭 현상(inter-cell interference phenomena)을 시뮬레이션하기에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에 기재된 한계를 극복할 수 있을 OFDM 또는 SC-FDMA 기술에 기반하는 전기통신 네트워크를 위한 테스트 장치 및 OFDM 또는 SC-FDMA 기술에 기반하는 전기통신 네트워크를 테스트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통신 규격(communication standard)에 따른 각각의 비트 스트림(bit streams)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모의 이동 단말기(simulated mobile terminal);
각 모의 이동 단말기들의 상기 비트 스트림들을 수신하고 통신 네트워크(telecommunication network)의 각각의 기지국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하도록 구성되며, 각각의 SDR 업링크 스테이지들(uplink stages)과 각각의 SDR 다운링크 스테이지들(downlink stages)을 포함하는 복수의 SDR 스테이지;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SDR 업링크 스테이지는;
상기 대응 비트 스트림을 수신하기 위해 상기 모의 이동 단말기들 중의 각 하나에 연결되고, 상기 각 비트 스트림을 시간 간격에 대해 할당된 각 서브-캐리어(sub-carrier)와 연관되는 진폭과 위상을 나타내는 주파수 도메인(frequency domain)에서의 각각의 기저 대역 신호(baseband signal)로 변환시키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병렬 프로세싱 브랜치(parallel processing branch);
각 기저 대역 신호가 변조를 위해 하나의 서브-캐리어로 할당되는 상기 기저 대역 신호들의 매핑(a mapping)을 통해 각각의 업링크 서브-캐리어 벡터(vector)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매핑 모듈(mapping module);
상기 각 SDR 스테이지의 업링크 서브-캐리어 벡터를 상기 다른 SDR 스테이지들 중의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서브-캐리어 벡터들과 조합시키도록 구성되는 업링크 셀간 간섭 모듈(uplink inter-cell interference module); 및
상기 기저 대역 신호들의 역변환(inverse transform)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역변환 모듈(inverse-transform modul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FDM 또는 SC-FDMA 기술에 기반하는 통신 네트워크를 위한 테스트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따르면, 통신 규격에 따른 각 모의 이동 단말기를 대표하는 복수의 비트 스트림을 제공하고;
상기 비트 스트림들을 처리하고; 그리고
처리된 비트 스트림들의 각각의 세트들로부터 도출되는 신호들을 복수의 기지국으로 송신하며;
상기 처리 단계는
상기 비트 스트림들을 시간 간격에 대해 할당된 각각의 서브-캐리어(sub-carrier)와 연관되는 진폭과 위상을 나타내는 주파수 도메인(frequency domain)에서의 각각의 기저 대역 신호(baseband signal)로 변환시키고;
각 기저 대역 신호가 변조를 위해 서브-캐리어에 할당되는 상기 각 기저 대역 신호들의 매핑(a mapping)을 통해 각 기지국에 대해 각각의 업링크 서브-캐리어 벡터(vector)를 생성시키고;
한 기지국과 연관된 상기 업링크 서브-캐리어 벡터를 상기 다른 기지국들 중의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서브-캐리어 벡터들과 조합시키고; 그리고
상기 기저 대역 신호들의 역변환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FDM 또는 SC-FDMA 기술에 기반하는 통신 네트워크를 테스트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아래에서 실시예의 제한되지 않는 몇몇 실예들을 도시한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기술된다.
도 1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단순화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OFDM 또는 SC-FDMA 기술에 기반하는 통신 네트워크를 위한 테스트 장치 및 OFDM 또는 SC-FDMA 기술에 기반하는 통신 네트워크를 테스트하기 위한 방법의 단순화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테스트 장치에 통합되는 SDR (Software Defined Radio) 트랜스미터 스테이지의 더 상세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의 SDR 업링크 스테이지의 일부의 더 상세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3의 SDR 업링크 스테이지의 제1 구성요소의 더 상세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3의 SDR 업링크 스테이지의 제2 구성요소의 더 상세한 블록도이다.
도 7은 도 2의 테스트 장치에 통합되는 SDR 다운링크 스테이지의 더 상세한 블록도이다.
도 8은 도 7의 SDR 다운링크의 일부의 더 상세한 블록도이다.
도 9는 도 7의 SDR 다운링크 스테이지의 제1 구성요소의 더 상세한 블록도이다.
도 10은 도 7의 SDR 다운링크 스테이지의 제2 구성요소의 더 상세한 블록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네트워크(telecommunication network)(1)를 단순화된 방식으로 나타낸 것이다. 통신 네트워크(1)는 주파수 분할 또는 그 밖의 시간 분할 다중 접속 무선 통신 네트워크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예컨대 통신 네트워크(1)는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기술 또는 SC-FDMA(Single Carrier-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싱글 캐리어-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기술, 특히 LTE 네트워크이다. 통신 네트워크(1)는 네트워크 서브시스템(NETWORK SUBSYSTEM)(2), 복수의 무선 기지국(radio base station) 또는 eNodeBs(3) 및 복수의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4)를 포함한다. 여기서 및 아래에서, "무선 통신 시스템(wireless telecommunication system)"은 적어도 상기 이동 단말기들과 하나의 네트워크 인프라(neckwork infrastructure) 사이의 링크가 고주파 연결(radio-frequency connection)에 의해 얻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에 기재된 실예에서, 이동 단말기들(4)이 연결될 수도 있는 네트워크 인프라는 영구적으로 그것에 연결되는 네트워크 서브시스템(2)에 의해, 그리고 eNodeBs(3)에 의해 정의된다. 특히, 이동 단말기들(4)은 이행되는 규격에 의해 규정된 양식(modalities)에 따른 신호 전송 및 수신을 최적화하기 위해 선택되는 eNodeBs(3)들 중의 하나를 통해 하나의 링크를 수립할 수 있다. 도 1은 또한 통신 시스템(1) 또는 그 일부의 기능의 테스트들을 수행하기 위해 eNodeBs(3)들 중의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는 이동 단말기 시뮬레이터(mobile-terminal simulator)(5)를 나타낸다.
특히, 이동 단말기 시뮬레이터(5)는 이동 단말기들의 모집단(a population), 통신 채널에 의해 야기되는 방해, 그리고 다수의 다른 조건 하에 있는 상기 모집단의 각 멤버에 대한 셀간 간섭의 시뮬레이션을 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 시뮬레이터(5)는 제어 유닛(control unit)(7), 프로토콜-시뮬레이터 스테이지(8), 그리고 SDR (Software-Defined Radio) 유닛(10)을 포함한다.
프로토콜-시뮬레이터 스테이지(8)는 각각 모의 이동 단말기(simulated mobile terminal)(11)를 정의하는 복수의 시뮬레이션 엔진(simulation engine)을 창출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시뮬레이션 엔진들의 세트는 통신 시스템(1)의 하나 이상의 eNodeBs(3)와 통신하는 모의 이동 단말기들(11)의 모집단을 정의한다. 시뮬레이션은 통신 규격의 프로토콜 스택(protocol stacks)을 구현함으로써 얻어진다. 모의 이동 단말기들(11)은 더욱 등록(registration), 전화(call) 및 데이터 전송과 같이 이동 단말기의 전형적인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각 모의 이동 단말기(11)는 실행되는 통신 규격에 따른 데이터 시퀀스 및 제어 시퀀스들을 포함하는 각각의 비트 스트림을 제공한다.
SDR 유닛(10)은 각각의 송신기/수신기(transmitter/receiver) 스테이지(13.1, ..., 13.N)를 통해 업링크 및 다운링크에서 각각의 eNodeB(3)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SDR 스테이지(12.1, ..., 12.N)를 창출하도록 구성된다. 각 SDR 스테이지(12.1, ..., 12.N)는 모의 이동 단말기들(11)의 (단지 하나의 요소를 포함할 수 있는) 세트와 모의 이동 단말기들(11)의 상기 세트를 위한 서빙 셀(serving cell)로서 기능하는 각각의 eNodeB(3) 사이에서 통신 채널들을 시뮬레이션한다. 특히, 각 SDR 스테이지(12.1, ..., 12.N)는 각각의 SDR 업링크 스테이지(uplink stage)(14.1, ..., 14.N) 및 각각의 SDR 다운링크 스테이지(downlink stage)(15.1, ..., 15.N)를 포함한다.
도 3에서, SDR 유닛(10)의 구조가 업링크 모드에서의 동작을 참조로 더 상세하게 나타나 있다. 단순화를 위해, 도 3은 오직 업링크 동작에 연관되는 SDR 유닛(10)의 일부만을 나타낸 것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SDR 업링크 스테이지들(14.1, ..., 14.N)은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아래에서는 오직 SDR 업링크 스테이지(14.1)만이 상세하게 기재될 것이다. 그러나, 또한 기재된 것은 모두 존재하는 모든 다른 SDR 업링크 스테이지들(14.2, ..., 14.N)에 적용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각각 각각의 비트 스트림(BS11, ..., BS1M)을 제공하는 M개의 모의 이동 단말기들(11)의 각각의 세트는 SDR 업링크 스테이지(14.1)와 연관된다.
SDR 업링크 스테이지(14.1)는 복수의 병렬 프로세싱 브랜치(17)와 매핑(mapping) 및 변환 스테이지(transformation stage)(18)를 포함하고, 각각의 송신기/수신기 모듈(13.1)에 접속된다. 각 병렬 프로세싱 브랜치(17)는 대응하는 비트 스트림(BS11, ..., BS1M)을 수신하기 위해 각각의 모의 이동 단말기(11)에 접속된다.
더 상세하게는, 각 병렬 프로세싱 브랜치(17)는 직렬-대-병렬 변환기(serial-to-parallel converter)(20), 심볼-생성기 (symbol-generator) 모듈(21), DFT (Discrete Fourier Transform; 이산 푸리에 변환) 모듈(22) 및 채널-시뮬레이터 (channel-simulator) 모듈(23)을 포함한다.
각 병렬 프로세싱 브랜치(17)의 직렬-대-병렬 변환기(20)는 입력부(input)에서 각각의 비트 스트림(BS11, ..., BS1M)을 수신하여 사용되는 변조 체계(modulation scheme)(예컨대, BPSK, 16QAM, 64QAM)에 따라 각각 K 비트의 단어를 형성한다. 이 단어들은 그 자체가 알려진 방식으로 하나의 (PSK 또는 QAM) 무리(constellation)에서 하나의 매핑을 수행하고 이러한 방식에서 변조된 비트 스트림을 나타내는 복합 샘플(complex sample)들을 생성시키는 심볼-생성기 모듈(21)로 제공된다. 실제로, 각각 진폭 및 위상 (또는 등가적으로 실수부(real part) 및 허수부(imaginary part))을 가지는 2K 복합 포인트들(심볼들)의 무리는 무선 기지국(3)에 의해 소정의 이동 단말기에 할당되는 서브-캐리어들 중의 하나에서 전송되는 K 비트들을 대표하기 위해 사용된다. K 비트들의 특정 조합(a specific combination)은 진폭 및 위상의 (또는 실수부 및 허수부의) 값들의 각 쌍과 연관된다. 이 비트 스트림은 이 무리의 각 심볼들에 대응하는 진폭 및 위상의 (또는 실수부 및 허수부의) 값들의 쌍들의 시퀀스들에 의해 인코딩된다. 할당된 각 서브-캐리어는 전송될 K 비트들의 시퀀스와 연관된 심볼에 따라 시간 간격에 대해 진폭 및 위상으로 변조된다.
따라서 심볼-생성기 모듈들(16)의 출력들(outputs)은 기저 대역(baseband)에서 각 모의 이동 단말기(11)와 연관된 스펙트럼 내용물(spectral content)을 정의한다.
아래에서, 심볼-생성기 모듈들(16)에 의해 제공되는 복합 샘플들은 샘플들(IQ)로 언급될 것이다. 따라서 심볼-생성기 모듈들(16)은 모의 이동 단말기들(11)에 의해 제공되는 비트 스트림들(BS11, ..., BS1M)이 인코딩되는 샘플들(IQ11, ..., IQ1M)의 각각의 시퀀스들을 제공한다. 특히, 샘플들(IQ11, ..., IQ1M)은 각각의 비트 스트림들(BS11, ..., BS1M)의 부분들의 기저 대역 표현(baseband representation)이다.
(SC-FDMA 변조의 경우에만 요구되는) DFT 모듈(22)은 샘플들(IQ11, ..., IQ1M)의 세트들에서 이산 푸리에 변환을 계산한다. 실제로, DFT 모듈(22)의 출력은 연결되는 모의 이동 단말기(11)에 할당된 대역폭(bandwidth)에 대해 각각의 기저 대역 신호(SBB11, ..., SBB1M)를 제공한다. DFT 모듈(22)들은 PAPR(Peak-to-Average Power Ratio; 피크-대-평균 전력비)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각 기저 대역 신호(SBB11, ..., SBB1M)는 시간 간격에 대해 할당된 서브-캐리어와 연관된 진폭 및 위상을 표현한다.
OFDM 변조의 경우, DFT 모듈(22)은 존재하지 않으며, 기저 대역 신호들(SBB11, ..., SBB1M)은 샘플들(IQ11, ..., IQ1M)에 의해 직접 표현된다.
따라서, 아래에서 "기저 대역 신호들(SBB11, ..., SBB1M)"은 SC-FDMA 변조의 경우에는 DFT 모듈들(22)에 의해 변형된 샘플들(IQ) 및 OFDM 변조의 경우에는 샘플들(IQ)을 의미한다.
실제로, 각 병렬 프로세싱 브랜치(17)에서, 직렬-대-병렬 변환기(20), 심볼-생성기 모듈(21) 및 (SC-FDMA 변조의 경우에) DFT 모듈(22)은 각각의 비트 스트림(BS11, ..., BS1M)을 주파수 도메인(frequency domain)에서 대응하는 기저 대역 신호(SBB11, ..., SBB1M)로 변환시키는 변환 스테이지(conversion stage)를 형성한다.
채널-시뮬레이터 모듈(23)은 각각의 조건에서 채널 모델에 기반한다. 다양한 병렬 프로세싱 브랜치들(17)의 채널-시뮬레이터 모듈들(23)은 실예로서 구상되는 많은 상황에 대응하는 (예컨대, 폐쇄된 환경에서 정지된 상태로, 폐쇄된 환경 또는 문 밖에서 도모로 이동할 때, 느리고 불규칙한 움직임을 가진 운송 수단에서, 빠르고 실질적으로 일정한 움직임을 가진 운송 수단 등에서, 이동 단말기의 사용에 대응하는) 각각의 뚜렷한 채널 상태(distinct channel conditions)를 구현한다. 이후에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채널-시뮬레이터 모듈(23)은 eNodeB와 소정의 상태에서 그것에 연결되는 이동 단말기 사이에서 통신 채널의 효과를 시뮬레이션하기 위해 각각의 기저 대역 신호(SBB1I)에서 동작한다.
채널-시뮬레이터 모듈들(23)은 각각의 변형된 기저 대역 신호들(SBB11', ..., SBB1M')을 제공한다.
매핑 및 변환 스테이지(18)는 매핑 모듈(mapping module)(25), 셀간 간섭 모듈(inter-cell interference module)(27),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역 고속 푸리에 변환) 모듈(28), 인코딩(encoding) 모듈(29) 및 병렬-대-직렬 변환기(parallel-to-serial converter)(30)를 포함한다.
매핑 모듈(25)은 병렬 프로세싱 브랜치들(17)의 채널-시뮬레이터 모듈들(23)의 출력을 수신하고 변조를 위해 각 서브-캐리어에 할당하는, 입력(input)에서 변형된 기저 대역 신호들(SBB11', ..., SBB1M')의 매핑을 수행한다. 매핑 모듈(25)의 입력과 출력 사이의 대응의 법칙(the law of correspondence)은 어떤 대역과 어떤 서브-캐리어들이 사용될 것인지를 선택하고 각 시간 간격에 대해 각 이동 단말기와 통신하는, eNodeB(3) 내의 무선-자원 관리기(radio-resource manager)에 의해 수립된다. 실제로, 매핑 모듈(25)은 eNodeB(3)에 의해 제공되는 세팅(settings)에 의해 제어되는 멀티플렉서(multiplexer)로서 동작한다. 매핑 모듈(25)의 출력(outputs)(그리고 따라서 IFFT 모듈(28)의 입력(inputs))에서의 변환(translation)은 이동 단말기(여기서는 모의 이동 단말기(11))에 할당된 대역폭에 의한 주파수에서의 변환과 동등하다.
매핑 모듈(25)에 의해 수행되는 프로세싱의 결과는 SDR 업링크 스테이지(14.1)의 셀간 간섭 모듈(27)에 제공되는 업링크 서브-캐리어 벡터(SAU1)이다. 도 4에 더 분명하게 나타낸 바와 같이, SDR 업링크 스테이지(14.1)의 업링크 서브-캐리어 벡터(SAU1)는 또한 다른 SDR 업링크 스테이지들(14.2, ..., 14.N)의 셀간 간섭 모듈들(27)에 제공된다. 또한, 셀간 간섭 모듈(27)은 다른 SDR 업링크 스테이지들(14.2, ..., 14.N)의 업링크 서브-캐리어 벡터들(SAU2, ..., SAUN)을 수신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SDR 업링크 스테이지(14.1)의 업링크 서브-캐리어 벡터(SAU1)는 다른 SDR 업링크 스테이지들(14.2, ..., 14.N)의 단지 일부의 셀간 간섭 모듈들(27)에 제공될 수도 있다. 대신, SDR 업링크 스테이지(14.1)의 셀간 간섭 모듈(27)은 다른 SDR 업링크 스테이지들(14.2, ..., 14.N)의 단지 일부(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서브-캐리어 벡터들(SAU2, ..., SAUN)을 수신할 수도 있다.
셀간 간섭 모듈(27)은 각각의 통신 채널들과 통신하는 인접한 eNodeBs(3)에 의해 서빙되는 이동 단말기들에 기인한 셀간 간섭의 현상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해 각 SDR 업링크 스테이지(14.1)의 업링크 서브-캐리어 벡터(SAU1)를 다른 SDR 업링크 스테이지들(14.2, ..., 14.N)의 업링크 서브-캐리어 벡터들(SAU2, ..., SAUN)과 조합하도록 구성된다. 간섭 이동 단말기들(interfering mobile terminals)은 SDR 업링크 스테이지들(14.2, ..., 14.N)을 통해 각각의 eNodeBs(3)와 통신하는 모의 이동 단말기들(11)에 의해 정의된다. 이 간섭은 업링크 서브-캐리어 벡터(SAU1)에 대해 가중된 SDR 업링크 스테이지들(14.2, ..., 14.N)의 업링크 서브-캐리어 벡터들(SAU2, ..., SAUN)에 의해 표현되는, 인접한 셀들로부터 나오는 신호들의 중첩(superposition)에 의해 야기된다.
다시 한번 도 3을 참조하면, 셀간 간섭 모듈(27)은 변형된 업링크 서브-캐리어 벡터(SAU1')를 IFFT 모듈(28)에 제공한다.
IFFT 모듈(28)은 역 푸리에 변환을 계산하고 주파수 도메인에서 시간 도메인으로의 처리를 전송한다.
인코딩 모듈(29)은 심볼간 간섭(intersymbol interference)을 최소로 하기 위해 사이클릭 프리픽스(cyclic prefix)를 신호에 도입한다.
직렬-대-병렬 변환기(23)는 인코딩 모듈(29)에 의해 수신된 신호들을 송신기/수신기 모듈(13.1, ..., 13.N)에 제공하는 샘플들(BST)의 업링크 스트림으로 변환시킨다.
eNodeB(3)과 통신 상태로 접속되는 송신기/수신기 모듈(13.1, ..., 13.N)은 디지털-대-아날로그 변환, 필터링 동작(filtering operations), 그리고 eNodeB(3)에 의해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폭으로의 직렬-대-병렬 변환기(23)에 의해 제공되는 신호들의 변환을 수행한다.
각 eNodeB(3)와의 송신기/수신기 모듈(13.1, ..., 13.N)의 연결은 유선 모드(wired mode)로 또는 그 밖의 무선 통신을 위한 안테나를 통해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는 통신 포트(communication port)(미도시)에 의해 수행된다. eNodeB(3)와의 연결은 또한 주파수 변환에 대한 어떠한 요구 없이 기저 대역에서 직접 수행될 수도 있다.
도 5는 SDR 업링크 스테이지(14.1)의 병렬 프로세싱 브랜치들(17) 중의 하나의 채널-시뮬레이터 모듈(23)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모든 다른 SDR 업링크 스테이지들(14.2, ..., 14.N)의 다른 병렬 프로세싱 브랜치들(17)의 채널-시뮬레이터 모듈들(23)은 동일 구조를 가지며, 실행되는 통신 채널의 모델에 관하여 다를 수도 있다는 것으로 이해된다.
채널-시뮬레이터 모듈(23)은 채널 필터(channel filter)(30), 승수기 노드(multiplier node)(31), 복합-노이즈 생성기(complex-noise generator)(32) 및 가산기 노드(adder node)(33)를 포함한다.
채널 필터(30)는 시간-가변 계수들(time-variable coefficients)(예컨대, 이득(gain), 폴(poles) 및 제로(zeroes))의 세트에 의해 식별되는 시변 전달 함수(time-variant transfer function)에 의해 통신 채널의 타입의 모델을 구현한다. 예컨대, 전달 함수들은 폐쇄된 환경에서 정지된 상태에서, 폐쇄된 환경 또는 문 밖에서 도보로 이동할 때, 느리고 불규칙적인 움직임을 가진 운송 수단에서, 빠르고 실질적으로 일정한 움직임을 가진 운송 수단 등에서 이동 단말기의 사용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해 특징화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채널 필터(30)는 각각 통신 채널의 각각의 타입에 대응하는 다른 전달 함수들을 구현하기 위해 프로그래밍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채널 필터(30)는 대응 전달 함수들을 식별하고 매번 수행되는 테스트에 따라 선택되는 계수들의 다른 세트들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 요소를 구비한다.
승수기 노드(31)는 채널-시뮬레이터 모듈(23)의 업스트림(upstream)의 처리 모듈들(processing modules)로부터 할당된 서브-캐리어에 대한 각각의 기저 대역 신호(SBB11, ..., SBB1M)를 수신하고, 또한 채널 필터(30)의 전달 함수를 정의하는 계수들의 세트를 수신한다. 할당된 서브-캐리어에 대한 기저 대역 신호(SBB11, ..., SBB1M)와 전달 함수는 함께 곱해지며, 이는 시간 도메인에서 그것의 콘볼류션 연산(computing convolution)에 해당한다.
복합-노이즈 생성기(32)는 제1 난수 생성기(random-number generator)(34a)와 제2 난수 생성기(34b), 그리고 필터(filter)(35)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난수 생성기(34a, 34b)는 각각 노이즈의 실수부와 허수부를 위한 난수를 독립적으로 제공한다. 필터(35)는 주파수 도메인(제1 및 제2 승수기 노드 36a, 36b)에서 콘볼류션을 통해 제1 및 제2 난수 생성기(34a, 34b) 모두의 출력(outputs)에 적용되며, 노이즈 스펙트럼 밀도(noise spectral density)는 전체의 도메인에 걸쳐 완전하게 균일한 것으로 간주될 수 없다는 사실을 고려한다. 노이즈의 실수부 및 허수부는 이때 가산기 노드(35)에 의해 함께 가산된다.
가산기 노드(35)는 가산적(additive) 방식으로 기저 대역 신호와 복합-노이즈 생성기(33)에 의해 제공되는 노이즈를 조합한다. 따라서 가산기 노드의 출력은 이동 단말기들로부터(본 경우에는 이동-단말기 시뮬레이터들(6)로부터) 나오는 신호들에서 통신 채널의 효과를 고려하는 주파수 도메인에 기저 대역 신호를 제공한다.
셀간 간섭 모듈(27)은 도 6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으며, 또한 제어 유닛(7)도 나타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셀간 간섭 모듈(27)은 가산기 노드(38)와 복수의 처리 모듈(processing module)(39.2, ..., 39.N)을 포함한다.
가산기 노드(38)의 입력부(input)는 메인 신호, 즉 가산기 노드(38)가 속하는 (그리고 따라서 SDR 업링크 스테이지(14.1)의 서빙 셀에 연결되는 이동 단말기들의 통신을 가리키는) SDR 업링크 스테이지(14.1)의 업링크 서브-캐리어 벡터(SAU1)를 수신한다.
가산기 노드(38)의 추가 입력부들(inputs)은 각각의 간섭 신호들(IS2, ..., ISN)을 수신한다. 간섭 신호들(IS2, ..., ISN)은 한 간섭 이동 단말기와 SDR 업링크 스테이지(14.1)의 eNodeB(3)에 연결되는 모의 이동 단말기들 사이에서 감쇠(attenuation)를 나타내는 각각의 업링크 전달 함수들(TFU2, ..., TFUN)을 제공하는 처리 모듈들(39.2)에 의해 각각의 업링크 서브-캐리어 벡터들(SAU2, ..., SAUN)로부터 얻어진다.
가산기 노드(38)는 변형된 업링크 서브-캐리어 벡터(SAU1')를 결정하기 위해, 입력부(input)에서 수신된 간섭 신호들(IS2, ..., ISN)을 가산기 노드(38)가 속하는 SDR 업링크 스테이지(14.1)의 업링크 서브-캐리어 벡터(SAU1)에 더한다.
업링크 전달 함수들(TFU2, ..., TFUN)은 사용되는 특정 서브-캐리어에 좌우되며 시간이 다를(vary in time)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업링크 전달 함수들(TFU2, ..., TFUN)은 선형이고, 이득 매개변수들(gain parameters)에 의해, 그리고 폴(poles)과 제로(zeroes)의 시간 상수들에 의해 정의된다. 업링크 전달 함수들(TFU2, ..., TFUN)의 매개변수들은 예컨대 경험적 방법으로 차례로 결정될 수도 있는 허용 가능한 간격들 내에서 랜덤 방식으로, 제어 유닛(7)에 의해 선택되고 설정된다. 업링크 전달 함수들(TFU2, ..., TFUN)의 일부는 제로로 될 수도 있다(예컨대, 이득 매개변수가 제로로 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대응하는 모의 이동 단말기들(11)은 어떠한 간섭도 발생시키지 않는다. 선택은 테스트 시나리오의 기초하에 한 동작기(operator)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예컨대, 셀 경계에 놓여진 모의 이동 단말기, 마크로(macro-셀들 내에서 설정된 피코(pico)-셀들 또는 펨토(femto)-셀들 등). 제어 유닛(7)을 통해 매개변수들을 설정하는 가능성은 어떤 셀들 및 어떤 간섭 모의 이동 단말기들의 선택이 각 서빙 셀에 대한 시뮬레이션에 구비할 수 있게 한다.
다운스트림(downstream)에 매핑 모듈(25)을 위치시키고 업스트림(upstream)에 IFFT 모듈(28)을 위치시키면 유리하게 계산 부하(computational load)에서 무시할만한 증가와 함께 셀간 간섭의 시뮬레이션을 도입하게 한다.
도 7에서, 다운링크 동작 모드를 참조하여 SDR 유닛(10)의 구조가 나타나 있다. 단순화를 위해, 도 7은 오직 다운링크 동작과 연관되는 SDR 유닛(10)의 일부만을 나타낸 것이다. 그 하나(15.1)가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SDR 다운링크 스테이지들(15.1, ..., 15.N)은 실질적으로 SDR 업링크 스테이지들(14.1, ..., 14.N)에 반사된다. 이하에서, 오직 SDR 다운링크 스테이지(15.1)만이 상세하게 설명되며, 그것은 다른 SDR 다운링크 스테이지들(15.2, ..., 15.N)가 동일 구조를 가지며, 아래의 설명은 또한 동등하게 그것들에 적용된다는 것이 어떠한 경우에서도 이해될 것이다.
전술된 실시예에 있어서, SDR 다운링크 스테이지(15.1)는 eNodeB(3)에서 나오는 신호들을 수신하고 시간 도메인에서 샘플들의 시퀀스를 형성하는 각 수신기 모듈(13.1)에 연결되며, 직렬-대-병렬 변환기(serial-to-parallel converter)(40)와, FFT 모듈(42)과, 셀간 간섭 모듈(inter-cell interference module)(43)과, 디매핑(demapping) 모듈(44)과, 각각 각각의 모의 이동 단말기(11)에 연결되는 복수의 병렬 프로세싱 브랜치(parallel processing branch)(45)를 포함한다. 직렬-대-병렬 변환기(40)와 FFT 모듈(42)과 셀간 간섭 모듈(43)과 디매핑 모듈(44)은 변환 및 디매핑 스테이지(50)를 형성한다.
수신기 모듈(40)은 수신된 신호들의 고주파-대-기저 대역 변환 및 아날로그-대-디지털 변환을 수행한다.
수신기 모듈(40)에 의해 처리된 샘플들의 스트림은 사이클릭 프리픽스들(cyclic prefixes)을 제거하고 FFT 모듈(42)을 제공하는 직렬-대-병렬 변환기(40)에 제공된다.
결국, FFT 모듈(42)은 다운링크 서브-캐리어 벡터들(SAD1, ..., SADN)을 셀간 간섭 모듈(43)에 제공한다.
도 8에 더 분명하게 나타낸 바와 같이, SDR 다운링크 스테이지(15.1)의 다운링크 서브-캐리어 벡터(SAD1)는 또한 다른 SDR 다운링크 스테이지들(15.2, ..., 15.N)의 셀간 간섭 모듈들(43)에 제공된다. 또한, 셀간 간섭 모듈(43)은 다른 SDR 다운링크 스테이지들(15.2, ..., 15.N)의 다운링크 서브-캐리어 벡터들(SAD2, ..., SADN)을 수신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SDR 다운링크 스테이지(15.1)의 다운링크 서브-캐리어 벡터(SAD1)는 다른 SDR 다운링크 스테이지들(15.2, ..., 15.N)의 오직 일부의 셀간 간섭 모듈(43)에 제공될 수도 있다. 대신, SDR 다운링크 스테이지(15.1)의 셀간 간섭 모듈(27)은 다른 SDR 다운링크 스테이지들(15.2, ..., 15.N)의 오직 일부(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서브-캐리어 벡터들(SAD2, ..., SADN)을 수신할 수도 있다.
셀간 간섭 모듈(27)은 각각의 통신 채널들을 통해 그것들에 연결되는 이동 단말기들과 통신하는 이웃 eNodeBs(3)들에 기인하는 셀간 간섭의 현상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해 각각의 SDR 다운링크 스테이지(15.1)의 다운링크 서브-캐리어 벡터(SAD1)를 다른 SDR 다운링크 스테이지들(15.2, ..., 15.N)의 다운링크 서브-캐리어 벡터들(SAD2, ..., SADN)과 조합하도록 구성된다. 간섭은 다운링크 서브-캐리어 벡터(SAD1)에 대해 가중되는 SDR 다운링크 스테이지들(15.2, ..., 15.N)의 다운링크 서브-캐리어 벡터들(SAD2, ..., SADN)에 의해 표현되는, 인접한 셀들로부터 나오는 신호들의 중첩(superposition)에 의해 주어진다.
셀간 간섭 모듈(43)의 구조는 특정 서브-캐리어의 주파수에 좌우되고 시간이 변수이며 인접한 eNodeB(3)와 SDR 다운링크 스테이지(15.1)의 eNodeB(3)에 연결되는 모의 이동 단말기들(11) 사이에서 감쇠(attenuation)를 나타내는 각각의 다운링크 전달 함수들(TFD1, ..., TFDN)과 함께 처리 모듈들(61.2, ..., 62.N)에 의해 가중되는, 서빙하는 eNodeB(3)의 다운링크 서브-캐리어 벡터(SAD1)와 다른 SDR 다운링크 스테이지들(15.2, ..., 15.N)의 다운링크 서브-캐리어 벡터들(SAD2, ..., SADN)을 조합하는 가산기 노드(60)(도 9)를 가진 셀간 모듈(27)의 구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셀간 간섭 모듈(43)은 변경된 다운링크 서브-캐리어 벡터(SAD1')를 디매핑 모듈(44)에 제공한다.
디매핑 모듈(44)은 변경된 다운링크 서브-캐리어 벡터(SAD1')를 수신하고, eNodeB(3)에 의해 수립된 할당에 따라 병렬 프로세싱 브랜치들(45)에 기저 대역 신호들(SBB11, ..., SBB1M)을 제공한다.
병렬 프로세싱 브랜치들(45)은 각각의 모의 이동 단말기들(11)에 연결되고, 각 병렬 프로세싱 브랜치는 디댐핑 모듈(44)로부터 심볼들의 각각의 시퀀스를 수신하는 채널-시뮬레이터 모듈(46)과, DFT 모듈(47)과, 복조기(demodulator)(48)와, 병렬-대-직렬 변환기(parallel-to-serial converter)(49)를 포함한다.
각 병렬 프로세싱 브랜치(45)에서, 채널-시뮬레이터 모듈(46)은 SDR 업링크 스테이지(14.1)의 병렬 프로세싱 브랜치들(17)의 채널-시뮬레이터 모듈들(23)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동일한 방식으로 동작한다. 병렬-대-직렬 변환기(48)는 복조된 샘플들을 각각의 모의 이동 단말기들(11)에 제공되는 비트들의 시퀀스로 변환한다.
특히 (도 10), 각 채널-시뮬레이터 모듈(46)은 채널 필터(channel filter)(50)와, 승수기 노드(51)와, 복합-노이즈 생성기(52)와, 가산기 노드(53)를 포함한다.
채널 필터(50)는 시간-변수 계수들(예컨대, 이득, 폴(poles) 및 제로(zeroes))의 세트에 의해 식별되는 시변(time-variant) 전달 함수에 의해 통신 채널의 타입의 모델을 구현한다.
승수기 노드(51)는 할당된 서브-캐리어에 대한 각각의 기저 대역 신호(SBB11, ..., SBB1M)를 디댐핑 모듈(44)로부터 수신하고, 채널 필터(50)의 전달 함수를 정의하는 상기 계수들의 세트를 더 수신한다. 할당된 서브-캐리어에 대한 기저 대역 신호와 전달 함수는 함께 곱해지며, 이는 시간 도메인에서 그것의 콘볼류션 연산(computing convolution)에 해당한다.
복합-노이즈 생성기(52)는 제1 난수 생성기(55a) 및 제2 난수 생성기(55b)와, 필터(56)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난수 생성기(55a, 55b)는 각각 노이즈의 실수 성분과 허수 성분을 위해 독립해서 난수를 제공한다. 필터(56)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콘볼류션(제1 및 제2 승수기 노드 57a, 57b)에 의한 난수 생성기(55a, 55b) 모두의 출력(outputs)에 적용되고, 노이즈 스펙트럼 밀도(noise spectral density)는 전체의 도메인에 걸쳐 완전하게 균일한 것으로 간주될 수 없다는 사실을 고려한다. 노이즈의 실수부 및 허수부는 이때 가산기 노드(58)에 의해 함께 가산된다.
가산기 노드(53)는 가산적(additive) 방식으로 기저 대역 신호(SBB11, ..., SBB1M)와 복합-노이즈 생성기(33)에 의해 제공되는 노이즈를 조합한다. 따라서 가산기 노드(53)의 출력은 eNodeB(3)에서 나오는 신호들에서 통신 채널의 효과를 고려하는 주파수 도메인에 변경된 기저 대역 신호(SBB11', ..., SBB1M')를 제공한다.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셀간 간섭 모듈들은 무시할만한 계산 부하를 더하여 이동 단말기와 각각의 서빙 셀 사이의 양방향 통신에서 인접한 셀들의 간섭의 시뮬레이션을 할 수 있다. 셀간 간섭 모듈들의 구조 및 위치 덕분으로 프로세싱은 실질적으로 기저 대역에서 수행된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들의 다수 집단과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다른 eNodeBs를 수반하는 현실적인 시뮬레이션들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끝으로, 첨부 청구항들에서 한정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전술된 테스트 장치 및 테스팅 방법에 변경과 변형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는 것은 분명하다.

Claims (12)

  1. OFDM 또는 SC-FDMA 기술에 기반하는 통신 네트워크를 위한 테스트 장치에 있어서,
    통신 규격에 따른 각각의 비트 스트림들(BS1, ..., BSM)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모의 이동 단말기(11);
    각 모의 이동 단말기들(11)의 비트 스트림들(BS1, ..., BSM)을 수신하고 통신 네트워크의 각각의 기지국들(3)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하도록 구성되며, 각각의 SDR 업링크 스테이지들(14.1, ..., 14.N)과 각각의 SDR 다운링크 스테이지들(15.1, ..., 15.N)을 포함하는 복수의 SDR 스테이지(12.1, ..., 12.N);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SDR 업링크 스테이지(14.1)는;
    상기 대응 비트 스트림(BS11, ..., BS1M)을 수신하기 위해 상기 모의 이동 단말기들(11) 중의 각 하나에 연결되고, 상기 각 비트 스트림(BS11, ..., BS1M)을 시간 간격에 대해 할당된 각 서브-캐리어와 연관되는 진폭과 위상을 나타내는 주파수 도메인에서의 각각의 기저 대역 신호(SBB11, ..., SBB1M)로 변환시키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병렬 프로세싱 브랜치(17);
    각 기저 대역 신호(SBB11, ..., SBB1M)가 변조를 위해 하나의 서브-캐리어로 할당되는 상기 기저 대역 신호들(SBB11, ..., SBB1M)의 매핑을 통해 각각의 업링크 서브-캐리어 벡터(SAU1, ..., SAUN)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매핑 모듈(25);
    상기 각 SDR 스테이지(12.1)의 업링크 서브-캐리어 벡터(SAU1)를 상기 다른 SDR 스테이지들(12.2, ..., 12.N) 중의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서브-캐리어 벡터들(SAU2, ..., SAUN)과 조합시키도록 구성되는 업링크 셀간 간섭 모듈(27); 및
    상기 기저 대역 신호들(SBB11, ..., SBB1M)의 역변환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역변환 모듈(2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셀간 간섭 모듈(27)은 각각의 업링크 전달 함수들(TFU2, ..., TFUN)을 상기 업링크 셀간 간섭 모듈(27)의 SDR 스테이지(12.1) 이외의 다른 상기 SDR 스테이지들(12.2, ..., 12.N)의 업링크 서브-캐리어 벡터들(SAU2, ..., SAUN)에 적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전달 함수들(TFU2, ..., TFUN)은 각각의 서브-캐리어들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전달 함수들(TFU2, ..., TFUN)은 시간에서 변수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전달 함수들(TFU2, ..., TFUN)은 각각의 매개변수들에 의해 정의되고, 상기 테스트 장치는 상기 업링크 전달 함수들(TFU2, ..., TFUN)의 상기 매개변수들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유닛(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셀간 간섭 모듈(27)은
    각각의 업링크 전달 함수들(TFU2, ..., TFUN)에 의해 각각의 업링크 서브-캐리어 벡터들(SAU2, ..., SAUN)로부터의 간섭 신호들(IS2, ..., ISN)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처리 모듈(39.2, ..., 39.N); 및
    상기 각 SDR 스테이지(12.1)의 업링크 서브-캐리어 벡터(SAU1)를 상기 간섭 신호들(IS2, ..., ISN)에 가산하도록 구성되는 가산기 노드(3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각 SDR 업링크 스테이지(14.1)는
    상기 대응 비트 스트림들(BS11, ..., BS1M)을 수신하기 위해 각각의 모의 이동 단말기들(11)에 연결되고, 상기 각 비트 스트림들(BS11, ..., BS1M)을 주파수 도메인에서 각각의 기저 대역 신호들(SBB11, ..., SBB1M)로 변환시키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각 병렬 프로세싱 브랜치(17);
    각 기저 대역 신호(SBB11, ..., SBB1M)가 변조를 위해 서브-캐리어에 할당되는 상기 각 기저 대역 신호들(SBB11, ..., SBB1M)의 매핑을 통해 각각의 업링크 서브-캐리어 벡터(SAU1, ..., SAUN)를 생성시키도록 구성되는 각각의 매핑 모듈(25);
    상기 각 SDR 스테이지(12.1)의 업링크 서브-캐리어 벡터(SAU1)가 상기 다른 SDR 스테이지들(12.2, ..., 12.N)의 업링크 서브-캐리어 벡터(SAU2, ..., SAUN)와 조합하도록 구성되는 각각의 업링크 셀간 간섭 모듈(27); 및
    상기 각 기저 대역 신호들(SBB11, ..., SBB1M)의 역변환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각각의 역변환 모듈(2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SDR 다운링크 스테이지(15.1)는
    각각의 모의 이동 단말기들(11)에 연결되는 복수의 다운링크 병렬 프로세싱 브랜치(45);
    상기 통신 네트워크의 기지국(3)으로부터 나오는 신호를 수신하고, 고주파-대-기저 대역 변환, 아날로그-대-디지털 변환, 그리고 수신된 상기 신호의 직렬-대-병렬 변환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수신기 스테이지(13.1, 40);
    상기 수신기 스테이지(13.1, 40)지에 의해 제공되고, 각각의 다운링크 서브-캐리어 벡터(SAD1)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변환 모듈(42);
    상기 각 SDR 스테이지(12.1)의 다운링크 서브-캐리어 벡터(SAD1)와 상기 다른 SDR 스테이지들(12.2, ..., 12.N) 중의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서브-캐리어 벡터들(SAD2, ..., SADN)의 조합으로부터 각각의 변경된 다운링크 서브-캐리어 벡터(SAD1')를 생성시키도록 구성되는 다운링크 셀간 간섭 모듈(43); 및
    상기 변경된 다운링크 서브-캐리어 벡터(SAD1')로부터 기저 대역 신호들(SBB11, ..., SBB1M)을 결정하고, 각각의 기저 대역 신호(SBB11, ..., SBB1M)를 각 모의 이동 단말기(11)에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디매핑 모듈(4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링크 셀간 간섭 모듈(43)은 각각의 다운링크 전달 함수들(TFD2, ..., TFDN)을 상기 다운링크 셀간 간섭 모듈(43)의 SDR 스테이지(12.1) 이외의 상기 SDR 스테이지(12.2, ..., 12.N)의 다운링크 서브-캐리어 벡터들(SAD2, ..., SADN)에 적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각 SDR 다운링크 스테이지(15.1)는
    각각의 모의 이동 단말기들(11)에 연결되는 복수의 각 다운링크 병렬 프로세싱 브랜치(45);
    상기 통신 네트워크의 각각의 기지국(3)으로부터 나오는 신호를 수신하고, 고주파-대-기저 대역 변환, 아날로그-대-디지털 변환, 그리고 수신된 상기 신호의 직렬-대-병렬 변환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각각의 수신기 스테이지(13.1, 40);
    상기 각 수신기 스테이지(13.1, 40)지에 의해 제공되고, 각각의 다운링크 서브-캐리어 벡터(SAD1)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각각의 변환 모듈(42);
    상기 각 SDR 스테이지(12.1)의 다운링크 서브-캐리어 벡터(SAD1)와 상기 다른 SDR 스테이지들(12.2, ..., 12.N) 중의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서브-캐리어 벡터들(SAD2, ..., SADN)의 조합으로부터 각각의 변경된 다운링크 서브-캐리어 벡터(SAD1')를 생성시키도록 구성되는 각각의 다운링크 셀간 간섭 모듈(43); 및
    상기 각 변경된 다운링크 서브-캐리어 벡터(SAD1')로부터 기저 대역 신호들(SBB11, ..., SBB1M)을 결정하고, 각각의 기저 대역 신호(SBB11, ..., SBB1M)를 각각의 모의 이동 단말기(11)에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각각의 디매핑 모듈(4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 장치.
  11. OFDM 또는 SC-FDMA 기술에 기반하는 통신 네트워크를 테스트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각각의 모의 이동 단말기들(11)을 대표하는 통신 규격에 따른 복수의 비트 스트림(BS1, ..., BSM)을 제공하고;
    상기 비트 스트림들(BS1, ..., BSM)을 처리하고; 그리고
    처리된 비트 스트림들(BS1, ..., BSM)의 각각의 세트들로부터 도출되는 신호들을 복수의 기지국(3)으로 송신하며;
    상기 처리 단계는
    상기 비트 스트림들(BS11, ..., BS1M)을 시간 간격에 대해 할당된 각각의 서브-캐리어들과 연관되는 진폭과 위상을 나타내는 주파수 도메인에서의 각각의 기저 대역 신호들(SBB11, ..., SBB1M)로 변환시키고;
    각 기저 대역 신호(SBB11, ..., SBB1M)가 변조를 위해 서브-캐리어에 할당되는 상기 각 기저 대역 신호들(SBB11, ..., SBB1M)의 매핑(a mapping)을 통해 각 기지국(3)에 대해 각각의 업링크 서브-캐리어 벡터(SAU1, ..., SAUN)를 생성시키고;
    한 기지국(3)과 연관된 상기 업링크 서브-캐리어 벡터(SAU1)를 상기 다른 기지국들(3) 중의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서브-캐리어 벡터들(SAU2, ..., SAUN)과 조합시키고; 그리고
    상기 기저 대역 신호들(SBB11, ..., SBB1M)의 역변환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네트워크의 기지국들(3)에서 나와서 각각의 모의 이동 단말기들(11)로 향하는 신호들의 세트들을 수신하고;
    고주파-대-기저 대역 변환, 아날로그-대-디지털 변환, 그리고 수신된 신호들의 세트들의 직렬-대-병렬 변환을 수행하고;
    각 세트의 신호들로부터 각각의 다운링크 서브-캐리어 벡터(SAD1)를 생성시키고;
    신호들의 상기 세트들 중의 하나의 다운링크 서브-캐리어 벡터(SAD1)와 신호들의 상기 다른 세트들의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서브-캐리어 벡터들(SAD2, ..., SADN)의 조합으로부터 각각의 변경된 다운링크 서브-캐리어 벡터(SAD1')를 생성시키고;
    상기 변경된 다운링크 서브-캐리어 벡터(SAD1')로부터 기저 대역 신호들(SBB11, ..., SBB1M)을 결정하고; 그리고
    각각의 기저 대역 신호(SBB11, ..., SBB1M)를 각 모의 이동 단말기(11)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 방법.
KR1020160134165A 2015-10-16 2016-10-17 통신 네트워크용 테스트 장치 및 테스트 방법 KR2017004513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UB2015A004969A ITUB20154969A1 (it) 2015-10-16 2015-10-16 Apparecchiatura di test di una rete di telecomunicazioni e metodo per testare una rete di telecomunicazioni
IT102015000062692 2015-10-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5139A true KR20170045139A (ko) 2017-04-26

Family

ID=55237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4165A KR20170045139A (ko) 2015-10-16 2016-10-17 통신 네트워크용 테스트 장치 및 테스트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264479B2 (ko)
EP (1) EP3157283B1 (ko)
JP (1) JP6931525B2 (ko)
KR (1) KR20170045139A (ko)
CN (1) CN106603268B (ko)
CA (1) CA2945908C (ko)
IT (1) ITUB20154969A1 (ko)
PL (1) PL3157283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12018006728T5 (de) * 2017-12-29 2020-10-29 Keysight Technologies Singapore (Sales) Pte. Ltd. Testvorrichtung zum testen eines telekommunikationsnetzes und verfahren zum testen einer telekommunikation
US11496228B2 (en) 2020-05-22 2022-11-08 Keysight Technologies, Inc. Beam aquisition and configuration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252989C (zh) * 2004-04-30 2006-04-19 清华大学 接收多媒体电视广播的移动终端
GB0706781D0 (en) * 2007-04-05 2007-05-16 Vodafone Plc Telecommunications networks and devices
US20090037163A1 (en) * 2007-07-30 2009-02-05 Hong Wei Kong Fast and Flexible Communication System Simulation
ATE541424T1 (de) * 2007-11-20 2012-01-15 Prisma Engineering S R L Mobiles-endgerät-simulator für ein drahtloses kommunikationsnetz
EP2330843A1 (en) * 2009-12-03 2011-06-08 Nomor Research GmbH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control signal
EP2523494B1 (en) * 2011-05-11 2014-01-29 Prisma Engineering S.r.l. Mobile terminal simulator for a wireless telecommunications network and method to simulate a mobile terminal
US9596166B2 (en) * 2013-04-26 2017-03-14 Ixia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testing inter-cell interference coordination capabilities of wireless access access nod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264479B2 (en) 2019-04-16
ITUB20154969A1 (it) 2017-04-16
CA2945908A1 (en) 2017-04-16
US20170111808A1 (en) 2017-04-20
EP3157283B1 (en) 2020-04-08
EP3157283A1 (en) 2017-04-19
JP6931525B2 (ja) 2021-09-08
CN106603268A (zh) 2017-04-26
PL3157283T3 (pl) 2020-10-05
CA2945908C (en) 2023-08-15
CN106603268B (zh) 2021-10-08
JP2017112599A (ja) 2017-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05216B2 (en) Mobile terminal simulator for a wireless telecommunications network and method of simulating a mobile terminal
CN105531949B (zh) 增强下行ue特定解调参考信号以促进小区间干扰抑制的设备和方法
Medjahdi et al. Performance analysis in the downlink of asynchronous OFDM/FBMC based multi-cellular networks
Xu et al. Waveform and space precoding for next generation downlink narrowband IoT
KR20170081918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 제어를 위한 방법 및 장치
Font-Bach et al. When SDR meets a 5G candidate waveform: Agile use of fragmented spectrum and interference protection in PMR networks
Wunder et al. System-level interfaces and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ology for 5G physical layer based on non-orthogonal waveforms
CN105992221A (zh) 跳频方法及装置
US10264479B2 (en) Test apparatus for a telecommunication network and method for testing a telecommunication network
Tariq et al. Design of simulation system for lte-u using 5 ghz band in matlab
Vesga et al. Real-time emulation methodologies for centralized radio access networks
US20230171009A1 (en) Over-the-air (ota) channel equalization in millimeter wave testing
George et al. Physical Layer Frame Structure in 4G LTE/LTE-A Downlink based on LTE System Toolbox
US11996969B2 (en) Guard interval in delay-Doppler domain
US20240056344A1 (en) Guard interval in delay-doppler domain
CN114868345B (zh) 毫米波测试中的空中(ota)信道均衡
Martins Two-Tier Cellular Networks: Secondary Node MIMO Configuration, Applied to LTE-A
Dridi et al. Uplink Joint Detection: From theory to practice
Šimko Pilot pattern optimization for doubly-selective MIMO OFDM transmissions
García Sanz Performance analysis of the New Radio in 5G
Ramazan Multi-User Detection (MUD) Scheme for Mitigating Co-Channel-Interference in Heterogeneous 5G Networks
CN117880974A (zh) 传输信号的频谱扩展
Aido MIMO Processing Techniques for Heterogeneous Cellular Systems
Islam Channel Estimation And Correction Methods For Ofdma Based Lte Downlink System
Nagle Channel Estimation in Uplink of Long Term Evolu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