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4531A - 스마트폰 연결용 소구경 내시경 장치 - Google Patents

스마트폰 연결용 소구경 내시경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4531A
KR20170044531A KR1020150144344A KR20150144344A KR20170044531A KR 20170044531 A KR20170044531 A KR 20170044531A KR 1020150144344 A KR1020150144344 A KR 1020150144344A KR 20150144344 A KR20150144344 A KR 20150144344A KR 20170044531 A KR20170044531 A KR 201700445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small
image
unit
endosco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43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71201B1 (ko
Inventor
김영진
Original Assignee
김영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진 filed Critical 김영진
Priority to KR10201501443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1201B1/ko
Publication of KR201700445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45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12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12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6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105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characterised by modular constru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12Connection or coupl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63Optical arrangements
    • A61B1/00165Optical arrangements with light-conductive means, e.g. fibre op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8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mounted on external non-worn devices, e.g. non-medical devices
    • A61B5/6898Portable consumer electronic devices, e.g. music players, telephones, tablet comput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Multimedia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내시경을 사용할 경우에, 별도의 카메라, 영상수집시스템, 영상출력 시스템, 광소스 시스템 등의 많은 장비가 요구되기 때문에, 휴대가 힘들뿐 만 아니라, 특정 장소로 가야만이 내시경촬영을 할 수가 있어, 장소 접근성의 문제점과, 대부분 내시경촬영비용이 고가인 문제점과, 기존의 내시경 끝단이 딱딱하여 검사객체를 촬영시, 부주의로 인해 검사객체에 상처를 내는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어댑터모듈(100), 소구경 내시경모듈(200)로 구성됨으로서, 스마트폰의 카메라모듈에 탈부착식으로 거치되고, 카메라모듈을 기준으로 X축, Y축으로 조절되면서 헤드부에서 촬영된 검사이미지를 광섬유의 이미지 가이드를 지나 집속(集束)시킨 후, 스마트폰의 카메라모듈 자체에 디스플레이시킬 수 있어, 부피가 적고, 가벼워서 휴대성이 좋아 언제 어디서나 사용할 수 있고, 소구경 내시경모듈에서 영상촬영 후, 바로 스마트폰의 카메라모듈을 통해 디스플레이시키기 때문에, 별도의 이미지 필터링이 없어도, 영상이미지 선명도를 기존보다 70% 향상시킬 수 있으며, 스마트폰의 카메라모듈에 장착만 하면, 바로 검사객체의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시키기 때문에, 기존보다 2~4배의 속도로 향상시킬 수 있으며, 동물의 검이경, 후두경 역할을 하는 동물용 내시경, 인체의 관절내시경, 구조물 및 기기검사장비, 두피 및 피부검사장비로 널리 활용시킬 수가 있으며, 무엇보다 내시경 끝단 돌출되는 길이가 200mm이상이 되면, 광섬유의 신축성으로 인해 휘어져서, 검사객체에 상처를 내지 않고, 안전하게 내시경촬영을 할 수 있는 스마트폰 연결용 소구경 내시경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스마트폰 연결용 소구경 내시경 장치{THE APPARATUS OF MULTI VIEW TO CONNECT A SMART PHONE}
본 발명에서는 스마트폰의 카메라모듈에 탈부착식으로 거치되고, 카메라모듈을 기준으로 X축, Y축으로 조절되면서 헤드부에서 촬영된 검사이미지를 광섬유의 이미지 가이드를 지나 집속(集束)시킨 후, 스마트폰의 카메라모듈 자체에 디스플레이시킬 수 있어, 동물의 검이경, 후두경 역할을 하는 동물용 내시경, 인체의 관절내시경, 구조물 및 기기검사장비, 두피 및 피부검사장비로 널리 활용시킬 수 있는 스마트폰 연결용 소구경 내시경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리지드(Rigid) 내시경의 렌즈 구경은 4.5mm~3.5mm로 구성된다.
이러한 리지드(Rigid) 내시경은 동물용 의료기기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즉, 동물은 그 대상에 따라 크기가 다양하지만 소규모의 동물에 사용하기에는 특히 적합하지 않다.
일예로, 고양의 귀 또는 입을 확인 하기 위해서는 3.5mm 구경이하의 검이경을 사용하여야 하지만 현재는 사람이 사용하는 내시경을 그대로 사용하기 때문에 효율적 진단을 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기존의 내시경을 사용할 경우에, 별도의 카메라, 영상수집시스템, 영상출력 시스템, 광소스 시스템 등의 많은 장비가 요구되기 때문에, 휴대가 힘들뿐 만 아니라, 특정 장소로 가야만이 내시경촬영을 할 수가 있어, 장소 접근성의 문제점과 대부분 내시경촬영비용이 고가인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내시경 끝단이 딱딱하여 검사객체를 촬영시, 부주의로 인해 검사객체에 상처를 내는 문제점이 있었다.
1.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113730호 2.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67710호 3.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274303호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스마트폰의 카메라모듈에 탈부착식으로 거치되고, 카메라모듈을 기준으로 X축, Y축으로 조절되면서 헤드부에서 촬영된 검사이미지를 광섬유의 이미지 가이드를 지나 집속(集束)시킨 후, 스마트폰의 카메라모듈 자체에 디스플레이시킬 수 있고, 소구경 내시경모듈에서 영상촬영 후, 바로 스마트폰의 카메라모듈을 통해 디스플레이시킬 수 있으며, 스마트폰의 카메라모듈에 장착만 하면, 바로 검사객체의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시킬 수 있으며, 내시경 끝단 돌출되는 길이가 200mm이상이 되면, 광섬유의 신축성으로 인해 휘어지는 스마트폰 연결용 소구경 내시경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연결용 소구경 내시경 장치는
스마트폰의 카메라모듈에 탈부착식으로 거치되고, 카메라모듈을 기준으로 X축, Y축으로 조절되면서 헤드부에서 촬영된 검사이미지를 광섬유의 이미지 가이드를 지나 집속(集束)시킨 후, 스마트폰의 카메라모듈 자체에 디스플레이시키도록 구성됨으로서 달성된다.
상기 스마트폰 어댑터 거치형 소구경 내시경장치는 보다 구체적으로,
스마트폰의 카메라모듈에 탈부착식으로 거치되면서 소구경 내시경모듈이 카메라모듈과 수평의 동일선상에 위치되도록 지지하는 어댑터모듈(100)과,
스마트폰의 카메라모듈과 수평의 동일선상인 어댑터모듈의 전면방향 상단 일측에 위치되면서, 1.5mm~3.5mm의 소구경 렌즈를 통해 촬영된 검사이미지를 광섬유의 이미지 가이드를 지나 집속(集束)시킨 후, 스마트폰의 카메라모듈에 디스플레이시키는 소구경 내시경모듈(2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첫째, 스마트폰의 카메라모듈에 탈부착식으로 거치될 수 있어, 부피가 적고, 가벼워서 휴대성이 좋아 언제 어디서나 사용할 수 있다.
둘째, 소구경 내시경모듈에서 영상촬영 후, 바로 스마트폰의 카메라모듈을 통해 디스플레이시키기 때문에, 별도의 이미지 필터링이 없어도, 영상이미지 선명도를 기존보다 70%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스마트폰의 카메라모듈에 장착만 하면, 바로 검사객체의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시키기 때문에, 기존보다 2~4배의 속도로 향상시킬 수 있다.
넷째, 동물의 검이경, 후두경 역할을 하는 동물용 내시경, 인체의 관절내시경, 구조물 및 기기검사장비, 두피 및 피부검사장비로 널리 활용시킬 수가 있다.
다섯째, 내시경 끝단 돌출되는 길이가 200mm이상이 되면, 광섬유의 신축성으로 인해 휘어져서, 검사객체에 상처를 내지 않고, 안전하게 내시경촬영을 할 수 있어, 국내 내시경시장을 활성화시킬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연결용 소구경 내시경 장치의 구성요소를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의 카메라모듈의 위치에 일치하도록 결합되는 어댑터모듈의 형상을 나타낸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어댑터모듈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어댑터모듈의 구성요소를 도시하고, x축 이동조절부와, y축 이동조절부가 x, y축 방향으로 왕복이동될 수 있는 방향을 화살표로 도시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LM가이드 액츄에이터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LM가이드 액츄에이터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소구경 내시경모듈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소구경 내시경모듈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가 선단에 맺혀지도록 오목렌즈구조로 형성되어, 광파이버에 영상이 맺히도록 구성된 헤드렌즈부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헤드렌즈부와 멀티모드 광섬유부 사이의 거리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모드 광섬유부와 집속렌즈부 사이의 거리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X축 이동조절부를 통해 소구경 내시경모듈을 X축 방향으로 이동조절시키는 실시예를 나타낸 실시예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Y축 이동조절부를 통해 소구경 내시경모듈을 Y축 방향으로 이동조절시키는 실시예를 나타낸 실시예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카메라모듈에 길이가 짧은 소구경 내시경모듈이 장착된 어댑터모듈이 탈부착식으로 거치된 상태를 나타낸 실시예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카메라모듈에 길이가 긴 소구경 내시경 모듈이 장착된 어댑터모듈이 탈부착식으로 거치된 상태를 나타낸 실시예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연결용 소구경 내시경 장치를 이용해 고양이의 귀 내부를 관찰하고, 관찰된 고양이 귀 내부 영상을 스마트폰을 통해 확인하는 실시예를 나타낸 실시예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첨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연결용 소구경 내시경 장치(1)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구성도에 관한 것으로, 이는 스마트폰의 카메라모듈에 탈부착식으로 거치되고, 카메라모듈을 기준으로 X축, Y축으로 조절되면서 헤드부에서 촬영된 검사이미지를 광섬유의 이미지 가이드를 지나 집속(集束)시킨 후, 스마트폰의 카메라모듈 자체에 디스플레이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스마트폰 연결용 소구경 내시경 장치(1)는 보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댑터모듈(100), 소구경 내시경모듈(200)로 구성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어댑터모듈(1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어댑터모듈(100)은 스마트폰의 카메라모듈에 탈부착식으로 거치되면서 소구경 내시경모듈이 카메라모듈과 수평의 동일선상에 위치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듈몸체(110), 거치틀부재(120), X축 이동조절부(130), Y축 이동조절부(140), 소구경 내시경모듈 안착부(150), 배터리부(160)로 구성된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모듈몸체(11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모듈몸체(110)는 사각프레임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단면 일측에 거치틀부재가 형성되고, 상부 측면 일측과 하부 측면 일측에 X축 이동조절부가 형성되며, 좌측면 일측과 우측면 일측에 Y축 이동조절부가 형성되고, 전면 방향 상단 일측에 소구경 내시경모듈 안착부가 형성되며, 내부공간 일측에 배터리부가 포함되어 형성된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거치틀부재(12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거치틀부재(120)는 모듈몸체의 하단면에 위치되어, 스마트폰의 측면프레임 및 상면 프레임에 맞춤형으로 끼워져 탈부착식으로 거치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집게구조 또는 슬라이드구조로 구성된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X축 이동조절부(13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X축 이동조절부(130)는 모듈몸체의 상단 테두리 일측에 위치되어, 소구경 내시경모듈을 X축 방향으로 이동조절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제1 LM가이드 액츄에이터(131)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제1 LM가이드 액츄에이터(131)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LM가이드(131a), 제1 볼나사(131b), X축 이동바(131c)를 조합한 고강성, 고정도 컴팩트 액츄에이터로서, 볼나사 리드로 1mm~10mm로 이동되도록 구성되어, 소구경 내시경모듈을 X축 방향으로 이동조절시킨다.
상기 제1 LM가이드(131a)는 X축 이동바를 볼나사 리드로 1mm~10mm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볼나사(131b)는 제1 LM가이드 상에서 회전하면서 일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X축 이동바(131c)는 일측 끝단이 소구경 내시경모듈의 상부 측면 일측과 연결되고, 타측 끝단이 제1 LM가이드와 연결되어, X축 방향으로 소구경 내시경모듈 1mm~10mm로 이동조절시키는 역할을 한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른 Y축 이동조절부(14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Y축 이동조절부(140)는 모듈몸체의 측면 테두리 일측에 위치되어, 소구경 내시경모듈을 Y축 방향으로 이동조절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제2 LM가이드 액츄에이터(141)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제2 LM가이드 액츄에이터(141)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LM가이드(141a), 제2 볼나사(141b), Y축 이동바(141c)를 조합한 고강성, 고정도 컴팩트 액츄에이터로서, 볼나사 리드로 1mm~10mm로 이동되도록 구성되어, 소구경 내시경모듈을 Y축 방향으로 이동조절시킨다.
상기 제2 LM가이드(141a)는 Y축 이동바를 볼나사 리드로 1mm~10mm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 볼나사(141b)는 제2 LM가이드 상에서 회전하면서 일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Y축 이동바(141c)는 일측 끝단이 소구경 내시경모듈의 좌측면 일측 또는 우측면 일측과 연결되고, 타측 끝단이 제2 LM가이드와 연결되어, Y축 방향으로 소구경 내시경모듈 1mm~10mm로 이동조절시키는 역할을 한다.
다섯째, 본 발명에 따른 소구경 내시경모듈 안착부(15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소구경 내시경모듈 안착부(150)는 모듈몸체의 전면방향 상단 일측에 위치되어, 소구경 내시경모듈을 안착시켜 정위치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사각형상의 삽입홈이 형성되고, 삽입홈의 내부공간에 탄성스프링과 걸림턱이 형성되어, 소구경 내시경모듈이 탄성력과 걸림턱에 의해 탈부착식으로 안착시킨다.
여섯째,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부(16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배터리부(160)는 모듈몸체의 내부공간 일측에 위치되어, 소구경 내시경모듈로 전원을 공급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환형상 또는 사각막대형상의 리튬이온배터리로 구성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소구경 내시경모듈(2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소구경 내시경모듈(200)은 스마트폰의 카메라모듈과 수평의 동일선상인 어댑터모듈의 전면방향 상단 일측에 위치되면서, 1.5mm~3.5mm의 소구경 렌즈를 통해 촬영된 검사이미지를 광섬유의 이미지 가이드를 지나 집속(集束)시킨 후, 스마트폰의 카메라모듈에 디스플레이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시경모듈몸체(210), 헤드렌즈부(220), 멀티모드 광섬유부(230), 집속렌즈부(240), 광소스부(250)로 구성된다.
상기 내시경모듈몸체(210)는 일자형상으로 이루어져, 각 기기를 외압으로부터 보호하고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부상에 헤드렌즈부가 형성되고, 헤드렌즈부의 후단 일측에 멀티모드 광섬유부가 형성되며, 멀티모드 광섬유부 후단 끝단에 집속렌즈부가 형성되고, 집속렌즈부 후단 일측에 스마트폰의 카메라모듈이 형성된다.
상기 헤드렌즈부(220)는 내시경모듈몸체의 헤드부상에 위치되어, 검사할 객체를 확대 또는 넓게 펼쳐서 영상촬영시킨 후, 멀티모드 광섬유부 선단에 이미지를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대물렌즈부(221), 화각광뷰렌즈부(222)로 구성된다.
상기 대물렌즈부(221)는 내시경모듈몸체의 헤드부상에 탈부착식으로 연결되어 검사객체를 확대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화각광뷰렌즈부(222)는 내시경모듈몸체의 헤드부상에 탈부착식으로 연결되어 검사객체를 1°~235°화각으로 넓게 펼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헤드렌즈부(220)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광각을 가지고 선단에서 초점이 이루어지므로 이미지가 선단에 맺혀지도록 오목렌즈구조로 형성되어, 광파이버에 영상이 맺히도록 구성된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렌즈부와 멀티모드 광섬유부 사이의 거리를 초점거리라 하며, f1으로 표기하였다.
f1의 범위는 0.5mm~1.5mm 이내에서 맞추어진다.
멀티모드 광섬유부의 배율 M = L/f1 이다.
이때, 멀티모드 광섬유부의 이미지 가이드로서의 설정 배율은 2X로 구성된다.
상기 멀티모드 광섬유부(230)는 헤드렌즈부의 후단 일측에 위치되어, 헤드렌즈부에서 촬영된 검사 이미지를 광섬유를 통해 이미지 가이드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광섬유 다발로 구성된다.
여기서, 광섬유는 빛으로 데이터의 전송을 행하는 섬유상의 도파관으로서, 정 가운데에 코어, 그 주위를 감싸는 크레딩으로 이루어지는 2중 원주의 외면을 다시 합성수지로 피복된 구성이며, 외부에서의 전자파장애나 혼선이 일어나지 않고 도청하기도 어려운 특성을 가진다.
상기 헤드렌즈부에서 촬영된 검사 이미지는 700~900㎛로 입사된다.
상기 집속렌즈부(240)는 멀티모드 광섬유부 끝단에 위치되어, 멀티모드 광섬유부로부터 획득된 검사 이미지를 집속(集束)시켜 영상확대시킨 후, 스마트폰의 카메라모듈로 디스플레이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볼록형상의 렌즈로 형성되어, 멀티모드 광섬유부로부터 획득된 검사 이미지를 하나로 모아 집속(集束)시킨다.
이렇게 집속된 검사이미지를 후단방향에 위치한 스마트폰의 카메라모듈로 전달한 후, 일예로, 35mm로 보여지게 하기 위해서, 볼록형상의 렌즈로 확대시켜준다.
즉, 도 1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멀티모드 광섬유부와 집속렌즈부 사이의 거리를 후단거리라 하며, f2로 표기하였다.
후단의 배율 M = L/f2로 구성된다. 설정 배율은 50X 로 구성된다.
이로 인해, 700~900㎛로 입사된 이미지는 최종 스마트폰의 카메라모듈 디스플레이 상에 35mm로 보여지게 된다.
상기 광소스부(250)는 멀티 렌즈부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광원으로부터 전달받은 빛을 광섬유 다발을 통해 검사객체쪽으로 반사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광원은 LED 모듈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어댑터 거치형 소구경 내시경장치의 구체적인 동작과정에 관해 설명한다.
먼저,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마트폰의 카메라모듈에 어댑터모듈이 탈부착식으로 거치된다.
다음으로, 소구경 내시경모듈 안착부로 소구경 내시경모듈을 안착시켜 정위치되도록 지지한다.
다음으로, 배터리부를 통해 소구경 내시경모듈로 전원을 공급시킨다.
다음으로, 소구경 내시경모듈의 광소스부가 구동되어, 광원으로부터 전달받은 빛을 광섬유 다발을 통해 검사객체쪽으로 반사시킨다.
다음으로, 헤드렌즈부에서 검사할 객체를 확대 또는 넓게 펼쳐서 영상촬영시킨 후, 멀티모드 광섬유부 선단에 이미지를 형성시킨다.
다음으로, 멀티모드 광섬유부에서 헤드렌즈부에서 촬영된 검사 이미지를 광섬유를 통해 이미지 가이드시킨다.
다음으로, 집속렌즈부에서 멀티모드 광섬유부로부터 획득된 검사 이미지를 집속(集束)시켜 영상확대시킨 후, 스마트폰의 카메라모듈로 디스플레이시킨다.
끝으로,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X축 이동조절부를 통해 소구경 내시경모듈을 X축 방향으로 이동조절시키고,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Y축 이동조절부를 통해 소구경 내시경모듈을 Y축 방향으로 이동조절시켜 검사객체의 위치를 조절하면서 영상촬영시킨다.
이러한 동작과정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어댑터 거치형 소구경 내시경장치는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물의 검이경, 후두경 역할을 하는 동물용 내시경으로 응용되어 사용된다.
1 : 스마트폰 연결용 소구경 내시경 장치 100 : 어댑터모듈
110 : 모듈몸체 120 : 거치틀부재
130 : X축 이동조절부 140 : Y축 이동조절부
150 : 소구경 내시경모듈 안착부 160 : 배터리부
200 : 소구경 내시경모듈

Claims (5)

  1. 스마트폰의 카메라모듈에 탈부착식으로 거치되고, 카메라모듈을 기준으로 X축, Y축으로 조절되면서 헤드부에서 촬영된 검사이미지를 광섬유의 이미지 가이드를 지나 집속(集束)시킨 후, 스마트폰의 카메라모듈 자체에 디스플레이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어댑터 거치형 소구경 내시경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 어댑터 거치형 소구경 내시경장치는
    스마트폰의 카메라모듈에 탈부착식으로 거치되면서 소구경 내시경모듈이 카메라모듈과 수평의 동일선상에 위치되도록 지지하는 어댑터모듈(100)과,
    스마트폰의 카메라모듈과 수평의 동일선상인 어댑터모듈의 전면방향 상단 일측에 위치되면서, 1.5mm~3.5mm의 소구경 렌즈를 통해 촬영된 검사이미지를 광섬유의 이미지 가이드를 지나 집속(集束)시킨 후, 스마트폰의 카메라모듈에 디스플레이시키는 소구경 내시경모듈(2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어댑터 거치형 소구경 내시경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모듈(100)은
    사각프레임구조로 이루어진 모듈몸체(110)와,
    모듈몸체의 하단면에 위치되어, 스마트폰의 측면프레임 및 상면 프레임에 맞춤형으로 끼워져 탈부착식으로 거치시키는 거치틀부재(120)와,
    모듈몸체의 상단 테두리 일측에 위치되어, 소구경 내시경모듈을 X축 방향으로 이동조절시키는 X축 이동조절부(130)와,
    모듈몸체의 측면 테두리 일측에 위치되어, 소구경 내시경모듈을 Y축 방향으로 이동조절시키는 Y축 이동조절부(140)와,
    모듈몸체의 전면방향 상단 일측에 위치되어, 소구경 내시경모듈을 안착시켜 정위치되도록 지지하는 소구경 내시경모듈 안착부(150)와,
    모듈몸체의 내부공간 일측에 위치되어, 소구경 내시경모듈로 전원을 공급시키는 배터리부(16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어댑터 거치형 소구경 내시경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구경 내시경모듈(200)은
    일자형상으로 이루어져, 각 기기를 외압으로부터 보호하고 지지하는 내시경모듈몸체(210)와,
    내시경모듈몸체의 헤드부상에 위치되어, 검사할 객체를 확대 또는 넓게 펼쳐서 영상촬영시킨 후, 멀티모드 광섬유부 선단에 이미지를 형성시키는 헤드렌즈부(220)와,
    헤드렌즈부의 후단 일측에 위치되어, 헤드렌즈부에서 촬영된 검사 이미지를 광섬유를 통해 이미지 가이드시키는 멀티모드 광섬유부(230)와,
    멀티모드 광섬유부 끝단에 위치되어, 멀티모드 광섬유부로부터 획득된 검사 이미지를 집속(集束)시켜 영상확대시킨 후, 스마트폰의 카메라모듈로 디스플레이시키는 집속렌즈부(240)와,
    멀티 렌즈부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광원으로부터 전달받은 빛을 광섬유 다발을 통해 검사객체쪽으로 반사시키는 광소스부(2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어댑터 거치형 소구경 내시경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렌즈부(220)는
    내시경모듈몸체의 헤드부상에 탈부착식으로 연결되어 검사객체를 확대시키는 대물렌즈부(221)와,
    내시경모듈몸체의 헤드부상에 탈부착식으로 연결되어 검사객체를 1°~235°화각으로 넓게 펼치는 화각광뷰렌즈부(22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어댑터 거치형 소구경 내시경장치.
KR1020150144344A 2015-10-15 2015-10-15 스마트폰 연결용 소구경 내시경 장치 KR1017712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4344A KR101771201B1 (ko) 2015-10-15 2015-10-15 스마트폰 연결용 소구경 내시경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4344A KR101771201B1 (ko) 2015-10-15 2015-10-15 스마트폰 연결용 소구경 내시경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4531A true KR20170044531A (ko) 2017-04-25
KR101771201B1 KR101771201B1 (ko) 2017-08-24

Family

ID=58703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4344A KR101771201B1 (ko) 2015-10-15 2015-10-15 스마트폰 연결용 소구경 내시경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1201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89985B2 (ja) * 2004-07-21 2011-06-01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内視鏡装置
KR101371610B1 (ko) * 2012-06-15 2014-03-07 전선호 휴대폰용 이미지 커플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1201B1 (ko) 2017-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99792B2 (en) Phone adapter for flexible laryngoscope and rigid endoscopes
US20170119250A1 (en) Portable hardware fixture for fundoscopy
CN109381158B (zh) 适配器、包含适配器的眼底照相系统及其使用方法
CN1946332B (zh) 内窥镜系统
US20120320340A1 (en) Smart-phone adapter for ophthalmoscope
JP5613059B2 (ja) 屈折率分布型レンズ(grinlens)顕微鏡システム
US20220361737A1 (en) Fluorescence Imaging Scope With Dual Mode Focusing Structures
KR20020065531A (ko) 자동 초점 조정 수단을 구비하는 망원경형 안경 형태의시각 보조물
US20150099983A1 (en) Tapered Optical Guide
CN104323757A (zh) 用于具有闪光灯和摄像头的便携智能设备的内窥镜
CN109640788A (zh) 基于手机的眼底相机的广角光瞳中继器
CN104363817B (zh) 用于特别是医疗用途的内窥镜设备
CN202078293U (zh) 便携式眼底相机
JP2015135511A (ja) 医療用の光学観察装置のカメラアダプタおよびカメラ/アダプタ複合体
EP3649913A1 (en) Medical observation device
CN203885474U (zh) 有闪光功能的裂隙灯照相机
US9594242B2 (en) Light source device for endoscope system
KR101771201B1 (ko) 스마트폰 연결용 소구경 내시경 장치
US20150099981A1 (en) Tubular Light Guide
US20150098216A1 (en) Fan Light Element
CN213097817U (zh) 一种可更换镜头的手持式数字诊断系统
KR20080027187A (ko) 3차원 영상데이터를 제공하는 내시경
CN204655092U (zh) 一种可变焦的手术用内窥镜
CN112946885A (zh) 近眼显示与取像头戴装置
TWM520876U (zh) 手術用耳鏡及其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