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4482A - 매립형 구조물 시공장치 및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매립형 구조물 시공장치 및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4482A
KR20170044482A KR1020150144250A KR20150144250A KR20170044482A KR 20170044482 A KR20170044482 A KR 20170044482A KR 1020150144250 A KR1020150144250 A KR 1020150144250A KR 20150144250 A KR20150144250 A KR 20150144250A KR 20170044482 A KR20170044482 A KR 201700444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er
buried structure
housing
buried
water distribu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4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휘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명에이씨케이
채휘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명에이씨케이, 채휘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명에이씨케이
Priority to KR1020150144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44482A/ko
Publication of KR201700444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44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5/00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 E04G15/06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for cavities or channels in walls of floors, e.g. for making chimne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도 분배기 또는 전기분전함 등과 같은 콘크리트 벽내에 매립되는 매립형 구조물 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거푸집에 의해 형성되는 벽면에 매립 시공되는 매립형 구조물의 시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 내측에 배치되는 상기 매립형 구조물의 하우징 전면에 결합되는 제1 체결구와, 상기 거푸집 외측에서 상기 제1 체결구와 체결되는 제2 체결구를 포함하는 매립형 구조물 시공장치 및 상기 거푸집 내측에 배치되는 상기 매립형 구조물의 하우징에 제1 체결구를 결합하고, 상기 거푸집 외측에서 상기 제1 체결구에 제2 체결구를 체결하여 상기 매립형 구조물을 고정하고, 상기 거푸집 내측에 벽면 재료를 타설하여 벽면을 형성하고, 상기 거푸집을 상기 벽면에서 제거하고, 상기 제1 체결구 및 제2 체결구를 상기 매립형 구조물의 하우징에서 제거하고, 상기 매립형 구조물의 하우징에 전면커버를 부착하는 매립형 구조물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매립형 구조물 시공장치 및 시공방법 {DEVICE AND METHOD FOR IMPLANTING STRUCTURE IN A WALL}
본 발명은 수도 분배기 또는 전기분전함 등과 같은 콘크리트 벽내에 매립되는 매립형 구조물 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건축물의 벽면 형성시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하더라도 설치 위치가 유지될 수 있는 매립형 구조물 시공장치 및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에는 기둥과 벽 및 지붕 외에도, 수도, 전기, 가스 등의 생활을 위한 부대 시설들이 시공되어야 한다. 특히 수도 및 전기는 건축물의 벽 내를 통해 용처로 공급되며, 이를 위해서는 배선, 배관 등이 벽이나 바닥을 통과하여야 한다.
통상, 배선 및 배관이 사용되는 곳은 한군데 만이 아니므로, 전기배전반 또는 수도 분배기를 이용하여 여러 곳으로 분기 또는 분배된다. 이러한 전기배전반 및 수도분배기는 벽 내에 매립 설치될 필요가 있다.
종래에는 이러한 매립형 구조물을 철근에 타이 등으로 묶어 고정한 후 콘크리트 타설하여 시공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으로 시공하는 경우 해당 매립형 구조물이 콘크리트의 압력 및 저항 때문에 그 위치가 일정하게 유지되기 어려우며, 콘크리트 양생 완료 후에는 그 위치를 교정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매립협 구조물의 위치가 유지된다 하더라도 회전하여 원하는 자세로 매립되지 않을 수도 있으므로 교정 작성을 하는 등 추가작업이 필요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매립형 구조물이 콘크리트 타설시에도 정확한 위치를 유지할 수 있어서 해당 구조물의 위치 또는 자세가 일정하게 유지된 채로 매립 시공할 수 있게 하는 시공 장치 및 방버블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거푸집에 의해 형성되는 벽면에 매립 시공되는 매립형 구조물 시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 내측에 배치되는 구조물 하우징 전면에 결합되는 제1 체결구와, 상기 거푸집 외측에서 상기 제1 체결구와 체결되는 제2 체결구를 포함하는 매립형 구조물 시공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1 체결구는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결합되며 중앙부에 체결용 돌출부가 형성된 시공용 커버이며, 상기 제2 체결구는 상기 거푸집 경계를 관통하여 노출되는 상기 체결용 돌출부에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결용 돌출부 외면에는 제1 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체결구는 내면에 상기 체결용 돌출부 외면의 상기 제1 나사에 대응하는 제2 나사가 형성된 플랜지너트이며, 상기 제1 나사 및 제2 나사가 체결되어 상기 제1 체결구와 상기 제2 체결구가 체결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너트는 제2 나사가 형성되는 제1 세그먼트와, 상기 거푸집 경계면에 접촉하는 제2 세그먼트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체결구 및 제2 체결구는 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구조물은 수도분배기 이거나, 전기배전함(예컨대, pull box)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거푸집에 의해 형성되는 벽면에 구조물을 매립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 내측에 배치되는 매립형 구조물의 하우징에 제1 체결구를 결합하고, 상기 거푸집 외측에서 상기 제1 체결구에 제2 체결구를 체결하여 상기 매립형 구조물을 상기 거푸집에 고정하고, 상기 거푸집 내측에 벽면 재료를 타설하여 벽면을 형성하고, 상기 거푸집을 상기 벽면에서 제거하고, 상기 제1 체결구 및 제2 체결구를 상기 매립형 구조물의 하우징에서 제거하고, 상기 매립형 구조물의 하우징에 전면커버를 부착하는 매립형 구조물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매립형 구조물의 내장 부품을 외부와 연결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전면커버에는 상기 내장 부품이 연통되는 연통홀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거푸집을 형성하는 R 폼에 일시적으로 부착되는 체결용 돌출부를 매립형 구조물에 결합하고 R 폼 외부에서 체결용 돌출부에 결합되는 플랜지를 체결함으로써 콘크리트 타설등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매립형 구조물이 R 폼에 고정되어 위치 및 자세가 유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매립형 수도분배기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도 분배기 시공장치와 수도분배기의 결합과정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수도분배기 시공 장치에 의해 수도분배기가 R폼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평단면도,
도 5은 도 2 내지 도 4의 수도분배기 시공 장치를 수도분배기로부터 제거한 후 수도분배기 하우징 전면에 커버를 닫아 시공을 완료하는 과정을 도시한 평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도분배기 시공 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도분배기 시공장치를 수도분배기에 결합 후 R폼에 고정한 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8은 도 6 및 도 7의 수도분배기 시공장치를 제거한 후 수도분배기 하우징 전면에 커버를 닫아 시공을 완료하는 과정을 도시한 평단면도, 그리고
도 9는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수도분배기가 시공되어 수전을 분배한 상태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의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이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구비할 수 있는 것을 의미 한다.
본 발명의 도면 및 상세한 설명에서, 매립형 구조물은 "수도분배기"의 예를 들어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매립형 구조물은 수도분배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하우징을 갖는 박스형 구조물, 예컨대, 수도분배기, 전기배전함, 가스 계량기 등 다양한 매립형 구조물에 적용가능하다.
도 1은 매립형 구조물의 일 예인 수도분배기의 내부를 도시한 예로서, 하우징(21) 내에 유입 및 유출 유로가 설치되고, 유입 및 유출 유로 사이의 연결은 케이스 내의 공간에 배치되는 배관(25) 또는 챔버에 의해 연결된다 배관 또는 챔버의 형태는 방향 및 유량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유입 유로는 제1 연결캡(22)에 의해 연결되며, 유출 유로는 제2 연결캡(23)에 의해 연결된다. 유입 유로와 유출유로 사이의 배관(25)은 제3 연결캡(24)에 의해 연결된다. 제1 연결캡(22)의 후단에는 해당 분배기가 설치된 위치에 수전을 형성할 수 있는 배관이 연결되는 제4 연결캡(26)이 구비된다. 제4 연결캡(26)는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추가 배관을 연결하여 새로운 수전을 형성할 수 있는 연결캡이다. 전술한 연결캡 내에는 나사가 형성되어 있고, 각 배관의 단부에는 연결캡의 나사에 대응하는 나사가 형성되어 서로 나사결합하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도분배기(20)의 하우징(21)에는 단열쿠션(30, 40)이 안착될 수 있다. 단열쿠션은 스티로폼, 우레탄 등의 발포수지일 수 있고, 면화, 솜, 나이론과 같이 공기를 내포할 수 있는 보온성 재료일 수 있다. 단열쿠션(30, 40)은 보온재로서, 내부에 전술한 기포성 재료 포함하고 외부는 방수 재질 (예컨대, 비닐 등)로 코팅될 수 있다. 이는 기포성 재질이 물에 젖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도분배기(20)의 하우징(21)에는 유입/유출 배관이 통과할 수 있는 배관 슬리브(25)가 형성되며, 제4 연결캡(26)에 분기배관(도시하지 않음)을 연결하여 수전을 형성할 수 있다. 시공 전 수도분배기(20)의 전면은 개방된다.
시공 전 수도분배기(20)에는 중앙부에 체결용 돌출부(51)를 갖는 시공용 커버(50)가 결합된다. 거푸집을 형성하는 R폼(80)에는 분배기 고정 위치에 분배기 고정용 홀이 형성되고, 분배기 고정용 홀을 통해 체결용 돌출부(51)가 R폼(80) 외부로 돌출된다.
체결용 돌출부(51)의 측면에는 나사가 형성되며, 내부에 나사가 형성된 플랜지너트(60)가 R폼(80) 외부에서 체결용 돌출부(51)와 나사결합한다. 체결용 돌출부(51)와 플랜지너트(60) 사이에는 보양커버(70)가 삽입될 수 있다. 체결용 돌출부(51)와 플랜지너트(60)의 결합에 의해 도 3의 화살표 방향으로 R폼(80)으로 형성된 거푸집 내에 콘크리트가 타설된다 하더라도 분배기(20)가 R폼(80)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플랜지너트(60)는 체결용 돌출부(51)와 나사결합하도록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원통형 제1 세크먼트(61)와 R폼(80)에 접촉하도록 제1 세그먼트(61)의 단부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된 디스크 형상의 제2 세그먼트(62)를 포함한다. 제2 세그먼트(62)에 의해 플랜지너트(60)가 R폼(80)에 접촉하는 면적이 넓어져 플랜지너트와 시공용 커버(50) 및 이와 연결된 수도분배기(20)의 체결력이 극대화 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가 양생되어 굳으면 거푸집을 형성한 R폼(80)과 시공용 커버(50)가 제거된다. 따라서 수도분배기(20)가 벽(90) 외부로 노출된다. 분배기 커버(27)를 하우징(21)에 결합하면 분배기가 완성된다.
수도분배기(20)에서 해당 위치에 수전을 형성하기 위한 분기부인 제4 연결캡(26)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커버(27)에는 제4 연결캡(26)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해당 부분에 배관분기홀(28)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4 연결캡(26)에서 배관분기홀(28)을 통해 분기배관을 연결하여 새로운 수전을 분기시킬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수도분배기 시공 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 유입관 및 유출관을 연결하기 위한 제1 및 제2 연결캡(122, 123)외에 하우징(121) 내의 배관들 사이를 연결하는 제4 연결캡(124)을 더 포함한다. 제4 연결캡(124)을 이용하여 분배기 내의 유로를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도 1 내지 도 5의 수도분배기(20) 보다 다소 크기가 큰 경우이다. 이 실시예에서 수도분배기 시공전 수도분배기(120)의 하우징(121) 전방에 체결용 돌출부(151)가 두 개 (또는 그 이상) 형성된 시공용 커버가 결합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을 형성하는 R폼(180)에는 분배기 고정위치에 두 개의 분배기 고정용 홀이 형성되고, 시공용 커버(150)의 두 개의 이상의 체결용 돌출부가(151) 고정용 홀을 통해 R폼(180) 외부로 돌출된다.
각 체결용 돌출부(151)의 측면에는 나사가 형성되며, 두 개의 플랜지너트(160)가 각 R폼(180) 외부에서 각 체결용 돌출부(151)와 나사결합하여 결합한다. 체결용 돌출부가 하나인 경우에는 외력에 작용시 위치는 고정되더라도 체결용 돌출부를 회전축으로 한 회전이 일어날 수 있다. 반면에, 체결용 돌출부(151)가 둘 이상인 경우에는 콘크리트 타설시 수도분배기의 하우징(120)의 위치뿐만 아니라 회전도 방지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도 체결용 돌출부(151) 및 플랜지너트(160) 사이에 보양커버(170)가 삽입될 수 있다.
플랜지너트(160)는 체결용 돌출부(151)와 나사결합하도록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원통형 제1 세크먼트(161)와 R폼(180)에 접촉하도록 제1 세그먼트(161)의 단부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된 디스크 형상의 제2 세그먼트(162)를 포함한다. 제2 세그먼트(162)에 의해 플랜지너트(160)가 R폼(180)에 접촉하는 면적이 넓어져 플랜지너트(160)와 시공용 커버 및 이와 연결된 수도분배기(120)의 체결력이 극대화 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가 양생되어 굳으면 거푸집을 형성한 R폼(180)과, 시공용 커버가 제거되며, 수도분배기(120)가 벽(190) 외부로 노출된다. 분배기 커버(127)를 하우징(121)에 결합하면 수도분배기(120)가 완성된다.
수도분배기(120)에서 해당 위치에 수전을 형성하기 위한 제4 연결캡(126)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커버(127)에는 제4 연결캡(126)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해당 부분에 배관분기홀(128)이 형성된다. 따라서, 배관분기홀(128)을 통해 분기배관을 제4 연결캡(126)에 연결하여 새로운 수전을 분기시킬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도분배기는 예컨대, 공용욕실(B) 및 부부욕실(C)의 벽면에 매립 시공될 수 있다. 도 9의 배관 구성이나, 분배기 위치는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시적인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 공용욕실 및 부부욕실의 수도분배기(120)는 온수분배기(120a) 및 냉수분배기(120b)를 별도로 구배하여 계량기에서 공급되는 냉수를 공급받아 분배하고 보일러에서 공급되는 온수를 공급받아 분배한다.
계량기에서 공급된 공용욕실(B)의 냉수분배기(120b)에 공급된다. 공용욕실(B)의 냉수분배기(120b)는 세탁실(A)의 손빨래 수전(a), 세탁기 수전(b), 공용욕실(B)의 욕조수전(c), 세면기수전(d), 양변기 수전(e), 및 부부욕실(C)의 냉수분배기(120b)에 냉수를 분배한다. 부부욕실(C)의 냉수분배기(120b)는 부부욕실의 욕조 수전(f), 세면기수전(g), 양변기 수전(h), 보일러실(D)의 보일러 수전(i), 주방의 주방수전(j), 및 발코니(F)의 발코니 수전(k)에 냉수를 공급하여 건물에 설치된 냉수 수전에 냉수가 공급될 수 있다.
보일러실(D)에서는 온수가 만들어서 보일러 수전에서 부부욕실(C)의 온수분배기(120a)로 공급된다. 부부욕실(C)의 온수분배기(120a)는 욕조 수전(f), 세면기 수전(g), 주방(D)의 주방 수전(i), 및 공용욕실(B)의 온수분배기(120a)로 온수를 분배한다. 공용욕실(B)의 온수분배기(120a)는 욕조 수전(c), 세면기 수전(d), 세탁실(A)의 손빨래 수전(a) 및 세탁기 수전(b)에 온수를 공급하여 건물에 설치된 온수 수전에 온수가 공급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배관의 분배는 배관의 길이를 줄이면서도 각 수전에서의 수압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는 적절한 경로로 선택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매립형 구조물은 수도, 전기, 가스의 효율적인 분배를 가능하게 하므로, 매립형 구조물의 시공을 용이하게 하는 경우 해당 배관, 배선 등의 수리, 교체, 점검이 용이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20, 120: 수도분배기 21, 121: 하우징
22, 23, 24, 122, 123, 125: 연결캡
25, 125: 배관 26: 재4 연결캡 (분기부)
27, 127: 커버 28, 128: 배관분기홀
30, 40: 단열쿠션 50, 150: 시공용 커버
51, 151: 배관분기홀 60, 160: 플랜지너트
70, 170: 보양커버 80, 180: R폼
90, 190: 콘크리트 벽

Claims (9)

  1. 거푸집에 의해 형성되는 벽면에 매립 시공되는 매립형 구조물의 시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 내측에 배치되는 상기 매립형 구조물의 하우징 전면에 결합되는 제1 체결구와,
    상기 거푸집 외측에서 상기 제1 체결구와 체결되는 제2 체결구
    를 포함하는 매립형 구조물 시공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구는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결합되며 중앙부에 체결용 돌출부가 형성된 시공용 커버이며,
    상기 제2 체결구는 상기 거푸집 경계를 관통하여 노출되는 상기 체결용 돌출부에 결합하는
    매립형 구조물 시공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체결용 돌출부 외면에는 제1 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체결구는 내면에 상기 체결용 돌출부 외면의 상기 제1 나사에 대응하는 제2 나사가 형성된 플랜지너트이며,
    상기 제1 나사 및 제2 나사가 체결되어 상기 제1 체결구와 상기 제2 체결구가 체결되는
    매립형 구조물 시공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너트는 제2 나사가 형성되는 제1 세그먼트와, 상기 거푸집 경계면에 접촉하는 제2 세그먼트를 구비하는
    매립형 구조물 시공장치.
  5.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구 및 제2 체결구는 둘 이상인 매립형 구조물 시공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매립형 구조물은 수도분배기인 매립형 구조물 시공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매립형 구조물은 전기배전함인 매립형 구조물 시공장치.
  8. 거푸집에 의해 형성되는 벽면에 매립형 구조물을 매립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 내측에 배치되는 상기 매립형 구조물의 하우징에 제1 체결구를 결합하고,
    상기 거푸집 외측에서 상기 제1 체결구에 제2 체결구를 체결하여 상기 매립형 구조물을 고정하고,
    상기 거푸집 내측에 벽면 재료를 타설하여 벽면을 형성하고,
    상기 거푸집을 상기 벽면에서 제거하고,
    상기 제1 체결구 및 제2 체결구를 상기 매립형 구조물의 하우징에서 제거하고,
    상기 매립형 구조물의 하우징에 전면커버를 부착하는
    매립형 구조물 시공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매립형 구조물에서 내장 부품을 외부와 연결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전면커버에는 상기 내장 부품이 연통되는 연통홀을 형성하는
    수도분배기 시공방법.
KR1020150144250A 2015-10-15 2015-10-15 매립형 구조물 시공장치 및 시공방법 KR201700444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4250A KR20170044482A (ko) 2015-10-15 2015-10-15 매립형 구조물 시공장치 및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4250A KR20170044482A (ko) 2015-10-15 2015-10-15 매립형 구조물 시공장치 및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4482A true KR20170044482A (ko) 2017-04-25

Family

ID=58703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4250A KR20170044482A (ko) 2015-10-15 2015-10-15 매립형 구조물 시공장치 및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4448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4973A (ko) * 2020-07-30 2022-02-08 강옥수 수전함 설치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4973A (ko) * 2020-07-30 2022-02-08 강옥수 수전함 설치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44482A (ko) 매립형 구조물 시공장치 및 시공방법
KR101716876B1 (ko) 조립식 욕실 바닥판
KR100742352B1 (ko) 급수 분배기함 및 이를 이용한 급수 배관방법
KR101564993B1 (ko) 배수 일체형 욕실 바닥판
KR100684256B1 (ko) 화장실 천장매립형 냉,온수 분배기
KR100644429B1 (ko) 벽체 매입형 분배용 수전함
KR100721213B1 (ko) 수전 연결장치
KR100886360B1 (ko) 벽체 매립형 수전장치 및 벽체 매립형 수전장치용 챔버
KR200470623Y1 (ko) 세탁기가 설치되는 장소에 마련되는 급수 장치
KR102173209B1 (ko) 벽체 매립형 냉온수 공급관 분기 함체
KR20090009359U (ko) 벽체매립형 냉,온수분배기
KR100320082B1 (ko) 세면기 카운터의 급수 및 급탕배관 시스템
KR200475757Y1 (ko) 수전 고정대
KR100886361B1 (ko) 벽체 매립형 수전함
WO2019093516A1 (ja) 浴室ユニットの排水構造及び施工方法
KR200446534Y1 (ko) 화장실 변기용 배수장치
KR100751728B1 (ko) 분배기함의 슬래브 하부 노출 수직하향배관구조
KR20090009360U (ko) 벽체매립형 냉,온수분배기
KR100741571B1 (ko) 개폐밸브가 일체화 된 욕실용 분배유니트
AU2018202693B2 (en) Bathroom fixture drainage outlet and attachment means
KR20090009361U (ko) 벽체매립형 냉,온수분배기
KR100977637B1 (ko) 욕실용 건식 바닥체
KR20000022673A (ko) 세탁기용 바닥팬
JP2002372173A (ja) 壁貫通配管具
KR200487843Y1 (ko) 수전매립형 다목적 급수부 선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