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3357A - 지능형 인재 발굴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지능형 인재 발굴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3357A
KR20170043357A KR1020150143019A KR20150143019A KR20170043357A KR 20170043357 A KR20170043357 A KR 20170043357A KR 1020150143019 A KR1020150143019 A KR 1020150143019A KR 20150143019 A KR20150143019 A KR 20150143019A KR 20170043357 A KR20170043357 A KR 201700433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ic
job
candidates
competency
job see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3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연희
신상진
Original Assignee
차연희
신상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연희, 신상진 filed Critical 차연희
Priority to KR10201501430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43357A/ko
Publication of KR201700433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33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5Human resources
    • G06F17/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구직자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구직자 정보 DB에서 구직자가 원하는 전문 능력 - 자격증 또는 경력 - 을 가진 제1 후보자들을 선택하는 단계; 구직자 직업기초 역량을 저장하고 있는 구직자 직업기초 역량 DB에서, 구인자 측에서 원하는 부서에 대한 기초능력 - 부서별로 갖추어야 할 기초 능력 - 을 가진 제2후보자들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후보자들과 상기 제2후보자들에 모두 해당된 후보자들을 구인자에게 추천할 인재들로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인재 발굴 서비스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지능형 인재 발굴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intelligent searching talented person}
본 발명은 지능형 인재 발굴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구직자와 구인자를 연결시켜주는 기술들은 종래 많이 존재하여 왔다.
종래 기술로서, 한국특허공개공보 2010-0095132(구인구직 중개 운영시스템 및 그 방법)에 개시된 기술이나, 한국특허공개공보 2002-0067755(전문가 추천 구인구직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통한 구인구직 서비스 방법)에 개시된 기술들을 예로 들 수 있다.
한편, 국가에서는 국가직무능력 표준(https://www.ncs.go.kr/)을 공개하여 채용시 활용하도록 하였는데, 이러한 표준을 활용하여 자동적이고 정확하게 인재를 발굴하여 구인자에게 연결시켜주는 기술은 존재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국가직무능력 표준을 활용하여 자동적이고 정확하게 인재를 발굴하여 구인자에게 연결시켜 주는 지능형 인재 발굴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직자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구직자 정보 DB에서 구직자가 원하는 전문 능력 - 자격증 또는 경력 - 을 가진 제1 후보자들을 선택하는 단계; 구직자 직업기초 역량을 저장하고 있는 구직자 직업기초 역량 DB에서, 구인자 측에서 원하는 부서에 대한 기초능력 - 부서별로 갖추어야 할 기초 능력 - 을 가진 제2후보자들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후보자들과 상기 제2후보자들에 모두 해당된 후보자들을 구인자에게 추천할 인재들로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인재 발굴 서비스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구직자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구직자 정보 DB; 구직자 직업기초 역량을 저장하고 있는 구직자 직업기초 역량 DB; 및 상기 구직자 정보 DB에서 구인자가 원하는 전문 능력 - 자격증 또는 경력 - 을 가진 제1 후보자들을 선택하고, 상기 구직자 직업기초 역량 DB에서 구인자가 원하는 부서에 대한 기초능력 - 부서별로 갖추어야 할 기초 능력 - 을 가진 제2후보자들을 선택하고, 제1후보자들과 상기 제2후보자들에 모두 해당된 후보자들을 구인자에게 추천할 인재들로 선택하는 지능형 인재 발굴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인재 발굴 서비스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국가가 인정한 기초능력을 구비한 인재들을 기업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구직자가 임의적으로 기재한 기초 역량에 대하여 검증을 하고, 자기 소개서나 이력서로부터 자동적으로 기초 역량에 대한 데이터를 생성하고 검증함으로써 구인자 측에서 원하는 인재들을 정확히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인재 발굴 서비스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인재 발굴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초능력데이터를 생성하고 검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사용되는 기초능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게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인재 발굴 서비스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인재 발굴 서비스 시스템은 지능형 인재 발굴 서비스 서버(10)와 지능형 인재 발굴하는데 사용되는 DB 시스템들(20, 30, 40, 50, 60)와 단말기(70)들을 포함한다.
지능형 인재 발굴 서비스 서버(10)는, 구인자가 원하는 전문 능력 - 자격증 또는 경력- 을 가진 후보자들(이하, '제1후보자들')을 선택하고, 구인자가 원하는 부서에 근무하기 위해서 필요한 기초능력 - 부서별로 갖추어야 할 기초능력 - 을 가진 후보자들(이하, '제2후보자들')을 선택하고, 제1후보자들과 제2후보자들에 모두 해당된 후보자들을 구인자에게 추천할 인재들로 선택한다.
DB 시스템들(20, 30, 40, 50, 60)은 예를 들면, 구직자 직업기초역량 데이터 관리 시스템(20), 기업 직업기초역량 데이터 관리 시스템(30), 구직자 정보 관리 시스템(40), 기업 정보 관리 시스템(50), 및 국가 직무능력 표준 관리 시스템(6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직자 직업기초역량 데이터 관리 시스템(20)은 구직자 기초역량 DB 운영 서버(21)와 구직자 직업기초역량 데이터 DB(23)을 포함할 수 있다. 구직자 기초역량 DB 운영 서버(21)는 구직자 직업기초역량 데이터 DB(23)을 저장 및 관리(삭제, 수정, 및 추가)한다.
구직자 기초역량 DB 운영 서버(21)는 구직자들 각각에 대한 기초 능력 데이터를 생성하여 구직자 직업기초역량 데이터 DB(23)에 저장한다.
구직자 직업기초 역량 DB(23)는 각 구인자가 구비한 기초 능력을 정의한 데이터 - 기초 능력 데이터 -를 포함하고 있다.
구직자 직업 기초 역량 DB는, 또한, i) 구인자가 제출한 이력서 및 자기 소개서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생성된 기초 능력 데이터, 및 ii) 구인자로부터 입력받은 기초 능력 정보로부터 생성된 기초 능력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구직자 기초역량 DB 운영 서버(21)는, 또한, 기초 능력을 나타내는 키워드를 이력서 및/또는 자기 소개서에서 검색하고, 검색된 키워드가 적어도 1개 이상 포함된 이력서 및 자기 소개서를 제출한 구직자를 해당 기초 능력을 가진 것으로 판단한다.
본원의 명세서에서는 발명의 설명의 목적을 위해서, 구직자 기초역량 DB 운영 서버(21)가 기초 능력을 나타내는 키워드를 이용하여 기초 능력 데이터를 자동적으로 생성한 데이터를 '자동 기초 능력 데이터'라고 부르기로 한다.
구직자 기초역량 DB 운영 서버(21)는, 또한, 구직자로부터 기초 능력 정보를 직접 입력받을 수 있으며, 이처럼 구직자가 입력한 기초 능력 정보를 반영하여 생성된 기초 능력 데이터를 본원 명세서에서는 발명의 설명의 목적을 위해서 '수동 기초 능력 데이터'라고 부르기로 한다.
구직자 직업 기초 역량 운영 서버(21)는, 또한, 기초 능력을 나타내는 키워드를 이용하여 검색된 결과와 구직자로부터 직접 입력 받은 기초 능력 정보를 반영하여 기초 능력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구직자는 통상 취업에 유리하기 위해서, 자신의 기초 능력 정보를 과장하거나 허위로 기재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구직자 직업 기초 역량 운영 서버(21)는, 구직자로부터 입력받은 기초 능력 정보에 대한 진실 또는 거짓을 판단하기 위해서, 구직자가 제출한 이력서에 포함된 경력 및 자격증을 참조하여 구직자가 입력한 기초 능력 정보에 대한 진실 또는 거짓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직자 직업 기초 역량 운영 서버(21)는, 또한, 자동으로 생성된 기초 능력 데이터에 대한 진실 또는 거짓을 판단하기 위해서, 구직자가 제출한 이력서에 포함된 경력 및 자격증을 참조하여 구직자로부터 입력 받은 기초 능력 정보로부터 생성한 수동 기초 능력 데이터에 대한 진실 또는 거짓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구직자 직업 기초 역량 운영 서버(21)는, 자동 기초 능력 데이터와 수동 기초 능력 데이터에 대한 진위 여부를 판별하는 검증 동작을 수행하며, 검증 동작의 완료되면 최종 기초 능력 데이터로서 확정한다.
한편, 본원 명세서에서, 용어 '기초 능력 데이터'는 '자동 기초 능력 데이터', '수동 기초 능력 데이터' , 및 검증이 완료된 '기초 능력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지칭하거나 또는 이들 모두를 통칭하는 의미로서 사용된다.
구직자 직업 기초 역량 운영 서버(21)는 구직자 마다 검증된 기초 능력 데이터를 생성하며, 구직자가 취업을 원한 부서가 있으면(이력서에 기재되어 있을 수 있음) 그 부서에 근무하기 위해서 필요한 기초 능력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데데이터를 생성한다. 즉, 구직자 직업 기초 역량 운영 서버(21)는, 구직자가 지원한 부서에 근무하기 위해서 갖추어야 할 기초 능력들을 목록으로 생성하여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목록은 구직자 직업기초 역량 DB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구직자 직업기초 역량 DB에는, 구직자가 구비한 기초 역량들의 목록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즉, 각각의 구직자가 구비한 기초 역량들의 목록이 포함되어 있다.
구직자 직업기초 역량 DB에는, 또한, 구직자가 지원한 부서에 근무하는데 필요한 기초 역량들의 목록이 포함되어 있다. 즉, 각각의 구직자가 자신이 지원한 부서에 근무하는데 필요한 기초 역량들을 구비하고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목록이 포함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회계 감사' 분야와 관련된 부서에 근무하기 위해서 필요한 기초 역량을 예시적으로 나타내었다. 즉, 전표관리, 사람관리, 원가계산, 결산관리, 회계정보 시스템 운영, 재무분석, 회계감사, 사업결합회계, 비영리회계 등과 같은 능력들이 '회계 감사'분야와 관련된 부서에 근무하는데 필요로 하는 기초역량이다.
예를 들면, 구직자 직업 기초 역량 운영 서버(21)는, '회계 감사' 분야와 관련된 부서에 근무하기를 지원한 구직자가 존재하면, 그러한 구직자에 대한 기초 능력 데이터를 생성할 때, 전표관리, 사람관리, 원가계산, 결산관리, 회계정보 시스템 운영, 재무분석, 회계감사, 사업결합회계, 비영리회계 등과 같은 능력들을 가지고 있는지 여부를 반영하여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구직자 직업 기초 역량 운영 서버(21)는 '회계 감사' 분야와 관련된 부서에 근무하기를 지원한 구직자가 자기 소개서와 이력서를 제출하였다고 가정하면, 자기 소개서와 이력서에 '전표관리, 사람관리, 원가계산, 결산관리, 회계정보 시스템 운영, 재무분석, 회계감사, 사업결합회계, 비영리회계 등과 같은 능력들'을 나타내거나, 그러한 능력들이 있다고 추측할 수 있는 키워드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검색한다. 예를 들면, 자기 소개서나 이력서에, '전표' 와 '관리' 키워드가 포함되어 있으면, 그러한 구직자는 '전표 관리' 능력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같은 방식으로, 각 기초 능력들을 나타내거나 그러한 능력들이 있다고 추측할 수 있는 키워드가 자기 소개서나 이력서에 있는지를 검색하고, 있는 경우에 해당 능력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이후, 구직자 직업 기초 역량 운영 서버(21)는 각 판단들을 반영하여, 자동 기초 능력 데이터를 생성한다.
구직자 직업 기초 역량 운영 서버(21)는, 자동 기초 능력 데이터에 대한 진위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 검증 동작을 수행한다. 구직자 직업 기초 역량 운영 서버(21)는 전문 능력을 고려하여 검증 동작을 수행한다. 검증 동작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예를 들면, 구직자 직업 기초 역량 운영 서버(21)는 '회계 감사' 분야와 관련된 부서에 근무하기를 지원한 구직자가 자신이 가지고 있는 기초 역량을 나타내는 정보를 제출하였다고 가정한다. 이러한 경우, 구직자 직업 기초 역량 운영 서버(21)는 구직자가 제출한 기초 역량 정보를 반영한 수동 기초 능력 데이터를 생성한다.
구직자 직업 기초 역량 운영 서버(21)는, 수동 기초 능력 데이터에 대한 진위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 검증 동작을 수행한다. 구직자 직업 기초 역량 운영 서버(21)는 전문 능력을 고려하여 검증 동작을 수행한다. 검증 동작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구직자 직업 기초 역량 운영 서버(21)는 '회계 감사' 분야와 관련된 부서에 근무하기를 지원한 구직자가 자기 소개서와 이력서를 제출하고, 추가적으로 구직자가 자신이 가지고 있는 기초 역량을 알려주는 정보도 같이 제출하였다고 가정한다. 이러한 경우, 상술한 방법들에 따라서 자동 기초 능력 데이터와 수동 기초 능력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들을 통합한다.
구직자 직업 기초 역량 운영 서버(21)는, 통합된 기초 능력 데이터에 대한 진위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 검증 동작을 수행한다. 구직자 직업 기초 역량 운영 서버(21)는 전문 능력을 고려하여 검증 동작을 수행한다.
이하에서는, 전문 능력을 고려하여 검증하는 동작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원 명세서에서, 전문 능력은, 자격증이 있거나 또는 객관적으로 증명할 수 있는 경력을 가진 경우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24시 편의점에서 6개월 근무하였다는 경력으로부터 성실성과 관련된 기초 능력이 있다고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예를 들면, '특허'를 받았다면, 특허를 받는데 필요한 능력과 관련된 기초 능력(예를 들면, 창작성)이 있다고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예를 들면, '재고관리' 업무를 특정 기간 이상 종사한 경력을 가지고 있다면, 재고 관리와 관련된 기초 능력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공인회계사 자격증 가지고 있다면, 회계와 관련된 기초 능력이 있다고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직자 직업 기초 역량 운영 서버(21)는 전문 능력을 분석하여, 부서별로 필요한 기초 능력들의 구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기업 직업기초역량 데이터 관리 시스템(30)은 기업 직업기초역량 DB 운영 서버(31)와 기업 직업기초역량 DB(33)를 포함한다. 기업 직업기초역량 DB 운영 서버(31)는 기업으로부터 직업기초역량 데이터를 획득하여 기업 직업기초역량 DB(23)를 생성하여 관리할 수 있다.
구직자 정보 관리 시스템(40)은 구직자 정보 운영 서버(41)와 구직자 정보 DB(43)를 포함한다.
구직자 정보 관리 시스템(4)은 구직자들로부터 이력서, 자기 소개서, 및 기초 역량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수신하여 구직자 정보 DB(43)를 생성하여 관리한다.
기업 정보 관리 시스템(50)은 기업 정보 운영 서버(51)와 기업 정보 DB(53)를 포함한다.
기업 정보 운영 서버(51)는 구인자인 기업들에 대한 정보를 기업 정보 DB(53)를 생성하여 관리한다. 여기서, 기업 정보는 기업의 위치, 재무, 인재상, 임금 등에 대한 기본 정보를 포함한다.
국가 직무능력 표준 관리 시스템(60)은 국가 직무능력 표준 운영 서버(61) 및 국가 직무능력 표준 DB(63)을 포함한다. 국가 직무능력 표준 운영 서버(61)는 구직자들이 갖추어야 할 기초능력을 정의한 국가 직무능력 표준 DB(63)을 생성하고 관리한다.
도 5는 구직자들이 갖추어야 할 기초 능력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국가 직무능력 표준 DB(63)는 그러한 기초 능력을 정의하고 있다. 또한, 도 4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국가 직무능력 표준 DB(63)는 부서별(분야별)로 구직자가 구비되어야 할 능력도 정의하고 있다.
국가 직무능력 표준 관리 시스템(60)은, https://www.ncs.go.kr/ 에 의해 접속되는 시스템과 같이 국가나 지방 자치 단체나 기관에 의해 운영되는 장치이거나, 그러한 국가나 지방 자치 단체나 기관에 의해 운영되는 장치로부터 기초 능력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하여 자체적으로 국가 직무능력 표준 DB(63)를 구성하는 장치일 수 있다.
지능형 인재 발굴 서비스 서버(10)는 상술한 DB 시스템들이 관리하는 데이터들을 참조하여, 해당 동작을 수행한다.
단말기(70)는, 구직자들 및/또는 구직자(기업)들이 구비한 장치이다.
단말기(70)를 통해서 자기 소개서, 이력서, 기초능력 정보, 기업정보를 해당 DB 시스템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원 명세서에서, 단말기(70)는 예를 들면 스마트폰, 스마트워치, 테블릿 PC, PDA 폰 등과 같이 메시지를 수신하고 영상과 음성을 출력할 수 있는 장치이다. 여기서, 스마트폰은 전화 통화 뿐만 아니라 PC(퍼스널 컴퓨터)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들도 같이 제공할 수 있는 기기를 의미하고, 스마트 워치는 일반적인 시계가 제공하는 기능 뿐만 아니라 보다 향상된 기능들을 제공하는 기기를 의미하며, 테블릿 PC는 터치 스크린을 주 입력 장치로 장착한 휴대용 PC(퍼스널 컴퓨터)이고, PDA 폰은 이동통신모듈이 구비된 PDA(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개인정보단말기)를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인재 발굴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인재 발굴 서비스 방법은, 구직자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구직자 정보 DB에서 구직자가 원하는 전문 능력 - 자격증 또는 경력 - 을 가진 제1 후보자들을 선택하는 단계(S101), 구직자 직업기초 역량을 저장하고 있는 구직자 직업기초 역량 DB에서, 구인자 측에서 원하는 부서에 대한 기초능력 - 부서별로 갖추어야 할 기초 능력 - 을 가진 제2후보자들을 선택하는 단계(S103), 제1후보자들과 제2후보자들에 모두 해당된 후보자들을 구인자에게 추천할 인재들로 선택하는 단계(S105), 및 S105 단계에서 선택된 인재들을 리스트로 구성하여 구인자에게 제공하는 단계(S107)를 포함한다.
여기서, S101 단계와 S103 단계는 선후가 없도록 구현되거나 또는 S101 단계와 S103 단계 중 어느 하나를 먼저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한편, S103 단계를 수행할 때, 제1 후보자들 중에서 제2 후보자들을 선택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다르게는, S101 단계를 수행할 때, 제2 후보자들 중에서 제1 후보자들을 선택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인재 발굴 서비스 방법은, 지능형 인재 발굴 서비스 서버(10)에 설치되어 실행되는 프로그램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능형 인재 발굴 서비스 서버(10)는 컴퓨터 프로세서(미도시)와 메모리(미도시)를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지능형 인재 발굴 서비스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상기 메모리에 로딩되어 컴퓨터 프로세서의 제어하에 실행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초능력데이터를 생성하고 검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초능력데이터를 생성하고 검증하는 방법은, 이력서를 수신하는 단계(S201), 자기 소개서를 수신하는 단계(S203), 기초 능력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205), 자기 소개서 및/또는 기초 능력에 대한 정보로부터 기초 능력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S209), 이력서에서 전문 능력 추출하는 단계(S207), S207 단계에서 추출된 전문 능력을 이용해서 S209 단계에서 추출된 기초 능력 데이터를 검증하는 단계(S211), 및 기초 능력 데이터를 확정하는 단계(S21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이력서를 수신하는 단계(S201), 자기 소개서를 수신하는 단계(S203), 기초 능력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205)는 선후가 없도록 구현될 수 있다. 다르게는, 이력서를 수신하는 단계(S201), 자기 소개서를 수신하는 단계(S203), 및 기초 능력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205) 전부 또는 일부 단계를 먼저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초능력데이터를 생성하고 검증하는 방법은 예를 들면 도 1과 같은 시스템에 적용되어 구현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들에서는, 국가직무능력 표준에서 정의된 기초 능력을 사용하는 것을 전제로 하였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다른 공인 기관이나 사설 기관 또는 기업에서 요구하는 기초 능력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적 개념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적 개념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적 개념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적 개념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지능형 인재 발굴 서비스 서버
20: 구직자 직업기초역량 데이터 관리 시스템
30: 기업 직업기초역량 데이터 관리 시스템
40: 구직자 정보 관리 시스템
50: 기업 정보 관리 시스템
60: 국가 직무능력 표준 관리 시스템
70: 단말기

Claims (10)

  1. 구직자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구직자 정보 DB에서 구직자가 원하는 전문 능력 - 자격증 또는 경력 - 을 가진 제1 후보자들을 선택하는 단계;
    구직자 직업기초 역량을 저장하고 있는 구직자 직업기초 역량 DB에서, 구인자 측에서 원하는 부서에 대한 기초능력 - 부서별로 갖추어야 할 기초 능력 - 을 가진 제2후보자들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후보자들과 상기 제2후보자들에 모두 해당된 후보자들을 구인자에게 추천할 인재들로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인재 발굴 서비스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직자 직업기초 역량 DB는 각 구직자가 구비한 기초 능력을 정의한 데이터 - 기초 능력 데이터 -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인재 발굴 서비스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직자 직업 기초 역량 DB는, i) 구직자가 제출한 이력서 및 자기 소개서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생성된 자동 기초 능력 데이터, 및 ii) 구직자로부터 입력받은 기초 능력 정보로부터 생성된 수동 기초 능력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인재 발굴 서비스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기초 능력 데이터를 검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자동 기초 능력 데이터를 검증하는 단계는, 기초 능력을 나타내는 키워드를 상기 이력서 및 자기 소개서에서 검색하고, 검색된 키워드가 적어도 1개 이상 이력서 및 자기 소개서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로서 검증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인재 발굴 서비스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 기초 능력 데이터를 검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동 기초 능력 데이터를 검증하는 단계는, 구직자가 제출한 이력서에 포함된 경력 및 자격증으로부터 추출된 전문능력을 기준으로 상기 수동 기초 능력 데이터에 대한 검증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인재 발굴 서비스 방법.
  6. 구직자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구직자 정보 DB;
    구직자 직업기초 역량을 저장하고 있는 구직자 직업기초 역량 DB; 및
    상기 구직자 정보 DB에서 구인자가 원하는 전문 능력 - 자격증 또는 경력 - 을 가진 제1 후보자들을 선택하고, 상기 구직자 직업기초 역량 DB에서 구인자가 원하는 부서에 대한 기초능력 - 부서별로 갖추어야 할 기초 능력 - 을 가진 제2후보자들을 선택하고, 제1후보자들과 상기 제2후보자들에 모두 해당된 후보자들을 구인자에게 추천할 인재들로 선택하는 지능형 인재 발굴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인재 발굴 서비스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직자 직업기초 역량 DB는 각 구직자가 구비한 기초 능력을 정의한 데이터 - 기초 능력 데이터 -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인재 발굴 서비스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구직자 직업 기초 역량 DB는, i) 구직자가 제출한 이력서 및 자기 소개서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생성된 자동 기초 능력 데이터, 및 ii) 구직자로부터 입력받은 기초 능력 정보로부터 생성된 수동 기초 능력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인재 발굴 서비스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구직자 직업 기초 역량 운영 서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자동 기초 능력 데이터는, 상기 구직자 직업 기초 역량 운영 서버가, 기초 능력을 나타내는 키워드를 상기 이력서 및 자기 소개서에서 검색하고, 검색된 키워드가 적어도 1개 이상 포함된 이력서 및 자기 소개서를 제출한 구직자를 기초 능력을 구비한 것으로 판단하여 생성한 데이터임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인재 발굴 서비스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구직자 직업 기초 역량 운영 서버는,
    상기 구직자가 제출한 이력서에 포함된 경력 및 자격증을 참조하여 상기 수동 기초 능력 데이터에 대한 진실 또는 거짓인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인재 발굴 서비스 시스템.
KR1020150143019A 2015-10-13 2015-10-13 지능형 인재 발굴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1700433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3019A KR20170043357A (ko) 2015-10-13 2015-10-13 지능형 인재 발굴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3019A KR20170043357A (ko) 2015-10-13 2015-10-13 지능형 인재 발굴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3357A true KR20170043357A (ko) 2017-04-21

Family

ID=58705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3019A KR20170043357A (ko) 2015-10-13 2015-10-13 지능형 인재 발굴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4335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96869A (zh) * 2018-02-27 2019-09-03 深圳微盐传媒科技有限公司 一种人才信息智能匹配方法、系统及互动终端
KR20210077417A (ko) * 2019-12-17 2021-06-25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자기소개서 정량화 장치 및 방법
KR20210097264A (ko) * 2020-01-29 2021-08-09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강화학습 기반 경력자 전문능력 추천 시스템 및 추천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96869A (zh) * 2018-02-27 2019-09-03 深圳微盐传媒科技有限公司 一种人才信息智能匹配方法、系统及互动终端
CN110196869B (zh) * 2018-02-27 2023-10-13 深圳微盐传媒科技有限公司 一种人才信息智能匹配方法、系统及互动终端
KR20210077417A (ko) * 2019-12-17 2021-06-25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자기소개서 정량화 장치 및 방법
KR20210097264A (ko) * 2020-01-29 2021-08-09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강화학습 기반 경력자 전문능력 추천 시스템 및 추천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49865B2 (en) Streamlined data entry paths using individual account context on a mobile device
CN109154935B (zh) 一种用于分析用于任务完成的捕获的信息的方法、系统及可读存储设备
US10699227B2 (en) Workforce strategy insights
CN108629558B (zh) 软件开发管理系统
US10318116B2 (en) Dynamic presentations management
US20100153288A1 (en) Collaborative career development
US9696865B2 (en) Contextually relevant digital collaboration
US20160028895A1 (en) Identifying topic experts among participants in a conference call
EP3905162A2 (en) Schedule management service system and method
KR101964632B1 (ko) 구인 구직 서비스에서의 이력서 양식 제공 방법
KR20170043357A (ko) 지능형 인재 발굴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US20140136256A1 (en) Methods for Identifying Subject Matter Expertise Across An Organization Hierarchy
Neumann et al. The Covid 19 pandemic and its effects on agile software development
US20200175609A1 (en) Augmented reality badges
US20140350994A1 (en) Providing best practice workflow to aid user in completing project that is constantly updated based on user feedback
US20190325397A1 (en) Process and method for cost and time optimization of background investigation of employment applicants
US8984045B2 (en) Digital method of recruitment
JP6273515B2 (ja) 検索処理装置、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160342947A1 (en) System and method for human resource management
US20150026087A1 (en) Generating a curriculum vitae update report
KR20130011271A (ko) 인력/기업 추천/비-추천 정보 지원시스템
WO2015024237A1 (en) Improved daily task tools that interface with backend systems
KR20170032794A (ko) 학생정보관리시스템
US20140172733A1 (en) School-finding tool
US11118931B2 (en) Enhanced endpoint directions in a mapping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