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3123A - 바이패스 밸브와 이를 포함하는 바이패스 밸브 조립체 - Google Patents

바이패스 밸브와 이를 포함하는 바이패스 밸브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3123A
KR20170043123A KR1020150142055A KR20150142055A KR20170043123A KR 20170043123 A KR20170043123 A KR 20170043123A KR 1020150142055 A KR1020150142055 A KR 1020150142055A KR 20150142055 A KR20150142055 A KR 20150142055A KR 20170043123 A KR20170043123 A KR 201700431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fluid
passage
bypass
in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2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33466B1 (ko
Inventor
이창훈
문국찬
최봉기
이경민
송종은
박철순
정동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니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니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니크
Priority to KR10201501420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3466B1/ko
Publication of KR201700431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31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34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34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3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relating to lubrication supply, e.g. pumps ; Pressure control
    • F16H57/0435Pressure control for supplying lubricant; Circuits or valve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68Inputs being a function of gearing status
    • F16H59/72Inputs being a function of gearing status dependent on oil characteristics, e.g. temperature, viscos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38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 F16H61/40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hydrostatic
    • F16H61/4043Control of a bypass val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temperature vari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Temperature-Responsive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이패스 밸브와 이를 포함하는 바이패스 밸브 조립체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온도 감응형 물질의 팽창에 의해 밸브를 개폐하는 바이패스 밸브와 이를 포함하는 바이패스 밸브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 유로와, 상기 유입 유로와 이격되어 형성된 유출 유로, 상기 유입 유로와 상기 유출 유로를 연결하는 바이패스 유로가 내부에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유체의 온도에 따라 바이패스 유로 내를 이동하여 바이패스 유로를 단속하는 밸브체; 상기 밸브체를 상기 유입 유로 방향으로 가압하는 메인 스프링; 및 상기 밸브체를 상기 유출 유로 방향으로 가압하는 리턴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 밸브와 이를 포함하는 바이패스 밸브 조립체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저온 시 유체인 오일을 바이패스 시켜 웜업(Warm-Up) 성능을 개선시킬 수 있으며, 고온 시 오일을 냉각기로 통과시켜 트랜스미션 오일의 냉각성능을 개선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바이패스 밸브와 이를 포함하는 바이패스 밸브 조립체{BYPASS VALVE AND BYPASS VALVE ASSEMBLY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바이패스 밸브와 이를 포함하는 바이패스 밸브 조립체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온도 감응형 물질의 팽창에 의해 밸브를 개폐하는 바이패스 밸브와 이를 포함하는 바이패스 밸브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바이패스 밸브는 물, 증기, 기름 등의 유체가 이동하는 유로의 바이패스에 설치하는 밸브로서, 각종 오일이 사용되는 차량에도 사용된다. 이러한 바이패스 밸브는 차량의 변속기 오일을 일정한 온도로 유지시키는 구조에도 사용된다. 이 경우, 바이패스 밸브는 변속기 오일의 온도에 따라 변속기 오일을 바이패스 시켜 변속기로 다시 이동시키거나, 냉각기로 이동시켜 냉각 후 변속기로 이동시킨다.
하지만, 기존의 바이패스 밸브는 오일, 즉, 유체의 온도에 따라 민감하게 반응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이에 따라, 이를 해결할 수 있는 구조의 바이패스 밸브가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9-0016686호(1999.05.25.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트랜스 미션이 최적의 오일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바이패스 밸브와 이를 포함하는 바이패스 밸브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 유로와, 상기 유입 유로와 이격되어 형성된 유출 유로, 상기 유입 유로와 상기 유출 유로를 연결하는 바이패스 유로가 내부에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유체의 온도에 따라 바이패스 유로 내를 이동하여 바이패스 유로를 단속하는 밸브체; 상기 밸브체를 상기 유입 유로 방향으로 가압하는 메인 스프링; 및 상기 밸브체를 상기 유출 유로 방향으로 가압하는 리턴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 밸브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트랜스미션으로부터 유체가 이동하는 유체 유출 이동관과, 트랜스미션으로 유체가 이동하는 유체 유입 이동관을 포함하는 유체 이동관과,
상기 유체 유출 이동관으로부터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 유로와, 상기 유입 유로와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유체 유입 이동관과 연결된 유출 유로, 상기 유입 유로와 상기 유출 유로를 연결하는 바이패스 유로가 내부에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유체의 온도에 따라 바이패스 유로 내를 이동하여 바이패스 유로를 단속하는 밸브체; 상기 밸브체를 상기 유입 유로 방향으로 가압하는 메인 스프링; 및 상기 밸브체를 상기 유출 유로 방향으로 가압하는 리턴 스프링;을 포함하는 바이패스 밸브와,
상기 유체 유입 이동관을 통해 이동하는 유체를 냉각하여 상기 유체 유출 이동관으로 이동시키는 냉각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 밸브 조립체를 제공한다.
상기 밸브체는 상기 유입 유로에서 상기 바이패스 유로로 이동하는 유체를 단속하는 밸브판과, 상기 밸브판을 관통하는 밸브 작동편, 상기 밸브판의 하단에서 상기 밸브 작동편에 관통 고정된 밸브판 고정링, 상기 밸브 작동편의 상단을 상기 하우징에 고정시킴과 동시에 상기 바이패스 유로의 상단을 폐쇄하는 밸브 캡을 포함한다.
상기 밸브 작동편은, 상부가 개방된 작동편 케이스와, 상기 작동편 케이스 내에 구비된 밸브 러버, 상기 작동편 케이스와 상기 밸브 러버 사이에 충진된 온도 감응형 물질, 상기 작동편 케이스의 상부를 폐쇄하는 작동편 커버, 상기 밸브 러버의 내측에 구비되며, 일측이 상기 작동편 커버를 관통하여 노출된 밸브 핀을 포함한다.
상기 메인 스프링은 상기 밸브판의 상면을 가압하며, 상기 리턴 스프링은 상기 밸브판의 하면을 가압한다.
상기 온도 감응형 물질은 상기 유체의 온도가 소정 온도 이상일 경우 팽창하며, 소정 온도 미만일 경우 팽창하기 전의 부피로 복귀한다.
본 발명은 유체의 온도에 따라 작동하는 작동편을 구비하여 저온 시 유체인 오일을 바이패스 시켜 웜업(Warm-Up) 성능을 개선시킬 수 있으며, 고온 시 오일을 냉각기로 통과시켜 트랜스미션 오일의 냉각성능을 개선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이패스 밸브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이패스 밸브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바이패스 밸브 조립체의 조립 사시도.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바이패스 밸브 조립체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이패스 밸브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바이패스 밸브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가 이동하는 바이패스 유로(1300)과 유입 유로(1100) 및 유출 유로(1200)가 형성된 하우징(1000)과, 유체의 온도에 따라 바이패스 유로(1300) 내를 이동하여 바이패스 유로(1300)을 단속하는 밸브체(2000), 밸브체(2000)를 유입 유로(1100) 방향으로 가압하는 메인 스프링(3000), 및 밸브체(2000)를 유출 유로(1200) 방향으로 가압하는 리턴 스프링(4000)을 포함한다.
하우징(1000)은 밸브체(2000)와 메인 스프링(3000) 및 리턴 스프링(4000)을 수납하며, 내부에 유체가 이동하는 유로를 제공한다. 이러한 하우징(1000)은 전술된 바와 같이,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 유로(1100)와, 유입 유로(1100)와 이격되어 형성되며 유입 유로(1100)에서 유입된 유체가 유출되는 유출 유로(1200), 유입 유로(1100)와 유출 유로(1200)를 연통하는 바이패스 유로(1300)이 형성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는 유입 유로(1100)가 유출 유로(1200)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예시한다. 또한, 바이패스 유로(1300)은 유입 유로(1100)와 유출 유로(1200)를 서로 연결하되, 유입 유로(1100)와 유출 유로(1200)의 중간에 형성된다. 또한, 유입 유로(1100)는 하우징(1000) 내부를 관통하되, 하우징(1000) 외부로 개방되는 유입 유로(1100) 입구와 유입 유로(1100) 출구를 포함하며, 유출 유로(1200) 역시 하우징(1000) 내부를 관통하고 유출 유로(1200) 입구와 유출 유로(1200) 출구를 포함한다. 바이패스 유로(1300)은 밸브체(2000)와 메인 스프링(3000) 및 리턴 스프링(4000)을 하우징(1000) 내에 조립하기 위해서 상부가 외부로 개방되어 있으며, 하부는 유입 유로(1100)와 연결된다. 여기서, 유입 유로(1100)와 연결되는 바이패스 유로(1300)의 하부를 바이패스 유로(1300) 입구라 정의한다.
밸브체(2000)는 유체의 온도에 따라 바이패스 유로(1300) 내를 상하 이동하며 유입 유로(1100)에서 바이패스 유로(1300)로의 유체의 이동을 단속한다. 이를 위해서, 밸브체(2000)는 유입 유로(1100)에서 바이패스 유로(1300)로 이동하는 유체를 단속하는 밸브판(2100)과, 밸브판(2100)을 관통하는 밸브 작동편(2200), 밸브판(2100)의 하단에서 밸브 작동편(2200)에 관통 고정된 밸브판 고정링(2300), 밸브 작동편(2200)의 상단을 하우징(1000)에 고정시킴과 동시에 바이패스 유로(1300)의 상단을 폐쇄하는 밸브 캡(2400)을 포함한다.
밸브판(2100)은 바이패스 유로(1300) 입구를 직접적으로 개폐하여 유체가 바이패스 유로(1300)로 유입되는 것을 단속한다. 본 실시예는 바이패스 유로(1300)이 원형 관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예시하며, 이에 따라, 바이패스 유로(1300) 입구 역시 원형이므로 밸브판(2100)이 원형 판 형상인 것으로 예시한다. 물론,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바이패스 유로(1300) 입구 형상에 맞춰서 밸브판(2100)의 형상을 변경할 수 도 있다. 하지만, 밸브판(2100)은 바이패스 유로(1300) 입구를 기밀하게 막을 수 있다면 그 형상은 원판, 타원판, 다각형판 등 어떠한 형상으로라도 형성될 수 있다.
밸브 작동편(2200)은 유체의 온도에 따라 바이패스 유로(1300) 내에서 상하 이동하며, 이에 따라, 밸브 작동편(2200)에 고정된 밸브판(2100)이 바이패스 유로(1300) 입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밸브 작동편(2200)은 상부가 개방된 작동편 케이스(2210)와, 작동편 케이스(2210) 내에 구비된 밸브 러버(2220), 작동편 케이스(2210)와 밸브 러버(2220) 사이에 충진된 왁스(2230), 작동편 케이스(2210)의 상부를 폐쇄하는 작동편 커버(2240), 밸브 러버(2220)의 내측에 구비되며 일측이 작동편 커버(2240)를 관통하여 노출된 밸브 핀(2250)을 포함한다.
작동편 케이스(2210)는 그 내부에 밸브 작동편(2200) 자체가 바이패스 유로(1300) 내에서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구비하며, 해당 구성이 구비되는 영역을 메인 케이스(2211)로 정의한다. 또한, 작동편 케이스(2210)의 외부에는 바이패스 유로(1300) 입구를 개폐할 수 있는 구성을 구비한다. 이를 위해서, 작동편 케이스(221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공간의 상부는 개방된다. 여기서, 작동편 케이스(2210)의 개방된 상부를 작동편 케이스 개방부(2212)로 정의한다. 또한, 개방된 방향의 반대편인 메인 케이스(2211)의 하단에는 밸브판(2100)을 장착할 수 있도록 케이스 핀(2213)이 연장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케이스 핀(2213)은 밸브판(2100)이 관통되어 끼워지는 제1 케이스 핀(2213a)과, 밸브 러버(2220)가 관통되어 끼워져 밸브판(2100)을 하부에서 지지하며 제1 케이스 핀(2213a)보다 지름이 작은 제2 케이스핀을 포함한다. 또한, 제2 케이스핀의 둘레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밸브 러버(2220)가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술된 작동편 케이스 개방부(2212)는 메인 케이스(2211)의 가장자리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향 절곡되며, 메인 케이스(2211)보다 작동편 케이스 개방부(2212)의 지름이 크게 된다. 또한, 메인 케이스(2211)에는 작동편 케이스 개방부(2212)의 지름보다는 작고 메인 케이스(2211)의 지름보다는 크거나 같은 메인 스프링(3000)을 끼워, 작동편 케이스 개방부(2212)에 의해 지지되도록 한다.
밸브 러버(2220)는 작동편 케이스(2210) 내에 구비되어 왁스(2230)가 작동편 케이스(2210)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밸브 러버(2220)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밸브 핀(2250)이 삽입될 수 있다. 밸브 러버(2220)의 개방된 상부 가장자리에는 외측으로 단턱이 연장되어 형성되며, 단턱은 작동편 케이스 개방부(2212)에 걸려 밸브 러버(2220)가 일정 깊이 이상 작동편 케이스(2210) 내로 삽입되지 않도록 한다. 이에 따라, 밸브 러버(2220)와 작동편 케이스(2210)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후술될 왁스(2230)가 충진된다.
왁스(2230)는 작동편 케이스(2210)와 밸브 러버(2220) 사이에 충진되며, 바이패스 유로(1300)로 온도가 높은 유체가 유입되면 팽창한다. 또한, 팽창한 왁스(2230)는 밸브 러버(2220)를 가압하며, 가압된 밸브 러버(2220)는 내측에 위치된 밸브 핀(2250)을 밀어낸다. 이때, 밸브 핀(2250)은 밸브 커버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밸브핀 대신 작동편 케이스(2210)가 아래로 밀려나게 되며, 이에 따라, 밸브판(2100)이 아래로 이동하여 바이패스 유로(1300) 입구를 폐쇄한다. 한편, 왁스(2230)는 섭씨 69도 내지 섭씨 84도에서 팽창하며, 팽창 시 부피는 약 11%가 증가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왁스(2230)를 사용하였으나, 본 발명은 왁스(2230)가 아니더라도 유체의 온도에 따라 부피가 변화하는 온도 감응형 물질이면 어떠한 물질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작동편 커버(2240)는 작동편 케이스(2210)의 개방된 상부를 덮어, 작동편 케이스(2210) 내부에 수납된 왁스(2230)와 밸브 러버(2220)가 작동편 케이스(2210)의 개방된 상부로 유출되거나, 작동편 케이스(2210) 내에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작동편 커버(2240)에는 후술될 밸브 핀(2250)이 삽입되기 위한 홀이 형성된다.
밸브 핀(2250)은 작동편 커버(2240)를 관통하여 밸브 러버(2220)와 접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밸브 핀(2250)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전술된 밸브 러버(2220)와 결합된다. 이때, 밸브 러버(2220)의 내측에도 밸브 핀(2250)의 나사산과 대응되는 형상의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밸브 핀(2250)은 왁스(2230)가 팽창하면, 밸브 러버(2220)에 가압되어 작동편 커버(2240) 외부로 밀려나게 된다. 작동편 커버(2240) 외부로 밀려난 밸브 핀(2250)은 후술될 밸브 캡(2400)에 의해 작동편 케이스(2210)를 아래로 밀어낸다.
밸브판 고정링(2300)은 밸브판(2100)을 하방에서 지지하며, 리턴 스프링(4000)의 움직임을 최소화한다. 밸브판 고정링(2300)은 홀이 형성되어 제2 케이스핀에 끼워진다. 밸브판 고정링(2300)의 홀은 제1 케이스핀의 지름보다는 작고, 제2 케이스핀의 지름과 같거나 조금 작도록 하여 제1 케이스핀에 끼워지는 밸브판(2100)을 하방에서 지지하도록 한다. 또한, 밸브판 고정링(2300)의 내면과 제2 케이스핀의 외면에는 각각 나사산이 형성되어, 밸브판 고정링(2300)이 제2 케이스핀에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본 발명은 밸브체(2000)의 상하 움직임을 메인 스프링(3000)과 리턴 스프링(4000)으로 각각 제어하여, 어느 한쪽 스프링의 피로도가 증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밸브 캡(2400)은 리턴 스프링(4000)과 메인 스프링(3000) 및 작동편을 바이패스 유로(1300)에 삽입한 후, 개방된 바이패스 유로(1300)의 상부를 막기 위한 것으로서, 바이패스 유로(1300)의 개방된 상부에 끼워진다. 또한, 밸브 캡(2400)의 가장자리에는 바이패스 유로(1300)의 기밀성을 유지하기 위해 오-링이 구비되며, 밸브 캡(2400)의 상측에는 스냅링이 구비되어 밸브 캡(2400)이 바이패스 유로(1300)의 상부에서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유입 유로(1100)와 유출 유로(1200)는 직선 형태의 유로로 형성되고, 밸브 캡(2400)이 유출 유로(1200)를 차단하지 않도록 하여 불규칙적인 압력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리턴 스프링(4000)이 하우징 내에서 흔들리지 않도록 하우징(1000)에 리세스 형상인 리턴 스프링 안착부(1400)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리턴 스프링(4000)은 측면과 하면이 리턴 스프링 안착부(1400)에 지지되어, 오일 흐름에 의한 흔들림 및 저항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리턴 스프링 안착부(1400)의 가장자리는 소정각도(θ)로 테이퍼지도록 하고, 리턴 스프링 안착부(1400)와 유입 유로(1100) 사이의 두께를 증가시켜 초기유량을 증대시키고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소정각도(θ)는 18도인 것이 효과적이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바이패스 밸브가 트랜스미션과 냉각기에 장착된 바이패스 조립체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후술할 내용 중 본 발명에 따른 바이패스 밸브의 설명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거나 간략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이패스 밸브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바이패스 밸브 조립체의 조립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바이패스 밸브 조립체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랜스미션(T/M)의 유체가 이동하는 유체 이동관(OP)과, 유체 이동관(OP)으로 이동하는 유체를 냉각시키는 냉각기(OC), 및 유체 이동관(OP)에서 냉각기(OC)로 유체가 이동하는 것을 단속하는 바이패스 밸브를 포함한다.
유체 이동관(OP)은 트랜스미션(T/M)으로부터 유체가 이동하고, 이동된 유체가 다시 트랜스미션(T/M)으로 이동하는 관으로서, 바이패스 밸브의 유체 유입관과 유체 유출관과 연결된다. 이를 위해서, 유체 이동관(OP)은 트랜스미션(T/M)으로부터 유체가 유출되는 유체 유출 이동관(5200)과, 유출되었던 유체가 트랜스미션(T/M)으로 유입되는 유체 유입 이동관(5100)을 포함한다. 또한, 유체 유출 이동관(5200)은 바이패스 밸브의 유체 유입관과 연결되고, 유체 유입 이동관(5100)은 바이패스 밸브의 유체 유출관과 연결된다. 이때, 유체 이동관(OP)은 바이패스 밸브에 볼트 체결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냉각기(OC)는 바이패스 밸브를 통해 이동한 유체를 냉각시킨다. 여기서, 냉각기(OC)는 공랭식인 것을 예시한다. 여기서, 냉각기(OC)는 바이패스 밸브의 유체 유입관으로부터 냉각기 유입관(6200)을 통해 이동한 유체를 냉각시킨 후, 냉각기 유출관(6100)을 통해 바이패스 밸브의 유체 유출관으로 배출한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바이패스 밸브의 작동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바이패스 밸브 조립체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바이패스 밸브 조립체는 트랜스미션(T/M)의 오일 온도가 높지 않을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 이동관(OP)의 유체 유출 이동관(5200)을 통해 트랜스미션(T/M)의 오일이 바이패스 밸브(BV)의 유입 유로(1100)로 이동한다. 유입 유로(1100)로 이동한 오일은 바이패스 유로(1300)를 통해 유출 유로(1200)로 이동하며, 유출 유로(1200)로 이동한 오일은 다시 유체 이동관(OP)의 유체 유입 이동관(5100)을 통해 트랜스미션(T/M)으로 주입된다.
이후, 트랜스미션(T/M)의 오일 온도가 높아지면, 온도가 높아진 오일이 바이패스 유로(1300) 내를 통과하면서 바이패스 밸브(BV) 내의 작동편의 온도를 증가시킨다. 이와 같이, 작동편의 온도가 증가하다가 일정 온도 이상이 되면 작동편 내의 왁스(2230)가 팽창하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편이 바이패스 유로(1300) 내에서 하방으로 이동하여 바이패스 유로(1300)를 폐쇄한다. 이에 따라, 바이패스 밸브(BV)는 바이패스 유로(1300)는 폐쇄되고, 유입 유로(1100)로 유입된 오일은 냉각기(OC)로 이동한다. 또한, 냉각기(OC)에서 냉각된 오일은 유출 유로(1200)와 유체 유입 이동관(5100)을 통해 트랜스미션(T/M)으로 주입된다. 이때, 오일이 냉각기(OC)에서 충분히 냉각되면, 작동편의 온도는 감소되고, 이에 따라, 작동편이 상향으로 이동하여 도 4와 같이 바이패스 유로(1300)가 개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유체의 온도에 따라 작동하는 작동편을 구비하여 저온 시 유체인 오일을 바이패스 시켜 웜업(Warm-Up) 성능을 개선시킬 수 있으며, 고온 시 오일을 냉각기로 통과시켜 트랜스미션 오일의 냉각성능을 개선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0: 하우징 1100: 유입 유로
1200: 유출 유로 1300: 바이패스 유로
1400: 리턴 스프링 안착부 2000: 밸브체
2100: 밸브판 2200: 밸브 작동편
2210: 작동편 케이스 2211: 메인 케이스
2212: 작동편 케이스 개방부 2213: 케이스 핀
2213a: 제1 케이스 핀 2213b: 제2 케이스 핀
2220: 밸브 러버 2230: 왁스
2240: 작동편 커버 2250: 밸브 핀
2300: 밸브판 고정링 2400: 밸브 캡
3000: 메인 스프링 4000: 리턴 스프링
5100: 유체 유입 이동관 5200: 유체 유출 이동관
6100: 냉각기 유출관 6200: 냉각기 유입관
OP: 유체 이동관 BV: 바이패스 밸브
OC: 냉각기 T/M: 트랜스미션

Claims (10)

  1.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 유로와,
    상기 유입 유로와 이격되어 형성된 유출 유로,
    상기 유입 유로와 상기 유출 유로를 연결하는 바이패스 유로가 내부에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유체의 온도에 따라 바이패스 유로 내를 이동하여 바이패스 유로를 단속하는 밸브체;
    상기 밸브체를 상기 유입 유로 방향으로 가압하는 메인 스프링; 및
    상기 밸브체를 상기 유출 유로 방향으로 가압하는 리턴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 밸브.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는 상기 유입 유로에서 상기 바이패스 유로로 이동하는 유체를 단속하는 밸브판과,
    상기 밸브판을 관통하는 밸브 작동편,
    상기 밸브판의 하단에서 상기 밸브 작동편에 관통 고정된 밸브판 고정링,
    상기 밸브 작동편의 상단을 상기 하우징에 고정시킴과 동시에 상기 바이패스 유로의 상단을 폐쇄하는 밸브 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 밸브.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밸브 작동편은, 상부가 개방된 작동편 케이스와,
    상기 작동편 케이스 내에 구비된 밸브 러버,
    상기 작동편 케이스와 상기 밸브 러버 사이에 충진된 온도 감응형 물질,
    상기 작동편 케이스의 상부를 폐쇄하는 작동편 커버,
    상기 밸브 러버의 내측에 구비되며, 일측이 상기 작동편 커버를 관통하여 노출된 밸브 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 밸브.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메인 스프링은 상기 밸브판의 상면을 가압하며,
    상기 리턴 스프링은 상기 밸브판의 하면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 밸브.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온도 감응형 물질은 상기 유체의 온도가 소정 온도 이상일 경우 팽창하며, 소정 온도 미만일 경우 팽창하기 전의 부피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 밸브.
  6. 트랜스미션으로부터 유체가 이동하는 유체 유출 이동관과, 트랜스미션으로 유체가 이동하는 유체 유입 이동관을 포함하는 유체 이동관과,
    상기 유체 유출 이동관으로부터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 유로와, 상기 유입 유로와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유체 유입 이동관과 연결된 유출 유로, 상기 유입 유로와 상기 유출 유로를 연결하는 바이패스 유로가 내부에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유체의 온도에 따라 바이패스 유로 내를 이동하여 바이패스 유로를 단속하는 밸브체; 상기 밸브체를 상기 유입 유로 방향으로 가압하는 메인 스프링; 및 상기 밸브체를 상기 유출 유로 방향으로 가압하는 리턴 스프링;을 포함하는 바이패스 밸브와,
    상기 유체 유입 이동관을 통해 이동하는 유체를 냉각하여 상기 유체 유출 이동관으로 이동시키는 냉각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 밸브 조립체.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는 상기 유입 유로에서 상기 바이패스 유로로 이동하는 유체를 단속하는 밸브판과,
    상기 밸브판을 관통하는 밸브 작동편,
    상기 밸브판의 하단에서 상기 밸브 작동편에 관통 고정된 밸브판 고정링,
    상기 밸브 작동편의 상단을 상기 하우징에 고정시킴과 동시에 상기 바이패스 유로의 상단을 폐쇄하는 밸브 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 밸브 조립체.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밸브 작동편은, 상부가 개방된 작동편 케이스와,
    상기 작동편 케이스 내에 구비된 밸브 러버,
    상기 작동편 케이스와 상기 밸브 러버 사이에 충진된 온도 감응형 물질,
    상기 작동편 케이스의 상부를 폐쇄하는 작동편 커버,
    상기 밸브 러버의 내측에 구비되며, 일측이 상기 작동편 커버를 관통하여 노출된 밸브 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 밸브 조립체.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메인 스프링은 상기 밸브판의 상면을 가압하며,
    상기 리턴 스프링은 상기 밸브판의 하면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 밸브 조립체.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온도 감응형 물질은 상기 유체의 온도가 소정 온도 이상일 경우 팽창하며, 소정 온도 미만일 경우 팽창하기 전의 부피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 밸브 조립체.
KR1020150142055A 2015-10-12 2015-10-12 바이패스 밸브와 이를 포함하는 바이패스 밸브 조립체 KR1017334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2055A KR101733466B1 (ko) 2015-10-12 2015-10-12 바이패스 밸브와 이를 포함하는 바이패스 밸브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2055A KR101733466B1 (ko) 2015-10-12 2015-10-12 바이패스 밸브와 이를 포함하는 바이패스 밸브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3123A true KR20170043123A (ko) 2017-04-21
KR101733466B1 KR101733466B1 (ko) 2017-05-11

Family

ID=58705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2055A KR101733466B1 (ko) 2015-10-12 2015-10-12 바이패스 밸브와 이를 포함하는 바이패스 밸브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346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5329A (ko) * 2017-11-13 2020-07-14 쯔지앙 산후아 오토모티브 컴포넌츠 컴퍼니 리미티드 자동온도조절 밸브
KR20210002238A (ko) * 2019-06-28 2021-01-07 주식회사 유니크 차량용 바이패스 밸브 및 그 제조방법
CN117199625A (zh) * 2023-11-07 2023-12-08 深圳市昂佳科技有限公司 一种自冷却磷酸铁锂电池包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22560B2 (ja) 2013-11-08 2017-11-01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バイパスバルブ
KR101542989B1 (ko) * 2014-04-30 2015-08-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밸브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5329A (ko) * 2017-11-13 2020-07-14 쯔지앙 산후아 오토모티브 컴포넌츠 컴퍼니 리미티드 자동온도조절 밸브
KR20210002238A (ko) * 2019-06-28 2021-01-07 주식회사 유니크 차량용 바이패스 밸브 및 그 제조방법
CN117199625A (zh) * 2023-11-07 2023-12-08 深圳市昂佳科技有限公司 一种自冷却磷酸铁锂电池包
CN117199625B (zh) * 2023-11-07 2024-02-02 深圳市昂佳科技有限公司 一种自冷却磷酸铁锂电池包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3466B1 (ko) 2017-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33952B2 (en) Thermostatic bypass valve with a unique valve seat
US20060245930A1 (en) Thermostat valve for a cooling system of a combustion engine
KR101542989B1 (ko) 차량용 밸브
CN109699183B (zh) 具有双内部阀的热交换器
MX2008003804A (es) Termostato para motor que tiene un pasaje de derivación del fluido de amortiguamiento de la presión.
KR101733466B1 (ko) 바이패스 밸브와 이를 포함하는 바이패스 밸브 조립체
EP2799744A1 (en) Fluid control valve
KR101744812B1 (ko) 차량용 밸브
JP2019516925A (ja) サーモスタチックバルブ
US9360873B2 (en) Thermostat that the reactivity thereof is improved
US9298195B2 (en) Thermally actuated power element with integral valve member
US10302208B2 (en) Control valve with external relief bias member
KR101875625B1 (ko) 써모스탯
JP2006329272A (ja) 弁装置
US20150316939A1 (en) Four Way Valve With Oil Filled Actuator
US4492219A (en) Valve and system incorporating same
RU2253785C2 (ru) Клапан радиатора
US6536676B2 (en) Valves
JP5102681B2 (ja) 流体制御装置の流体排出構造
KR102463202B1 (ko) 냉각수 제어밸브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엔진 냉각 시스템
US7641452B2 (en) Manually operated vacuum pump and refill device
KR101793791B1 (ko) 유로 차단 기능을 구비한 감압밸브 장치
KR101843089B1 (ko) 차량용 워머의 바이패스 밸브
RU2659865C2 (ru) Клапа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JP2015161275A (ja) 内燃機関のサーモ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