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0483A - 음이온 발생부가 구비된 led 조명등 - Google Patents

음이온 발생부가 구비된 led 조명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0483A
KR20170040483A KR1020150139513A KR20150139513A KR20170040483A KR 20170040483 A KR20170040483 A KR 20170040483A KR 1020150139513 A KR1020150139513 A KR 1020150139513A KR 20150139513 A KR20150139513 A KR 20150139513A KR 20170040483 A KR20170040483 A KR 201700404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gative ion
anion
ion generator
led
f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9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38504B1 (ko
Inventor
김성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다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다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다이엔지
Priority to KR10201501395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8504B1/ko
Publication of KR20170040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04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8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85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22Ion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F21V21/03Ceiling bases, e.g. ceiling roses
    • H05B37/0245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5Supporting means, e.g. stands, hooks, holes for hang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이온 발생부가 구비된 LED 조명등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음이온 발생부가 설치되면서 LED가 장착된 본체의 내부에 팬을 설치 구성하므로서, 상기 팬에서 발생 되는 바람이 음이온을 내포한 상태에서 외부로 빠르고 넓게 방출되기 때문에 넓은 지역을 정화시킬 수 있도록 한 음이온 발생부가 구비된 LED 조명등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면커버와, LED 모듈이 구비된 백커버와, 상기 전면커버와 백커버 사이에 장착되는 음이온 발생기로 구성되는 음이온 발생부가 구비된 LED 조명등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 발생부는, 상기 백커버의 저면에 장착되며, 케이스 내부 일측에 장착되는 음이온 발생기와, 상기 음이온 발생기의 타측에 장착되는 음이온 발생용 인쇄회로기판이 구비된 음이온 발생기 케이스; 상기 음이온 발생기 케이스의 저면에 장착되며, 내측으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음이온 발생기 케이스와 소정의 개구를 형성하는 팬브릿지; 상기 팬브릿지 저면에 장착되는 음이온 발진부; 상기 음이온 발진부 저면에 장착되어, 상기 음이온 발진부에서 발진되는 음이온을 방출하기 위한 방출그릴; 상기 방출그릴의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전면커버; 및 상기 관통홀을 커버하며, 상기 방출그릴이 안착되어 지지되는 방출그릴 안착홀이 형성된 방출그릴 고정커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음이온 발생부가 구비된 LED 조명등{LED LIGHTING WITH ANION GENERATOR}
본 발명은 음이온 발생부가 구비된 LED 조명등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LED 조명등에 음이온 발생부가 설치되어 실내에 음이온을 제공할 수 있는 음이온 발생부가 구비된 LED 조명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LED(Light Emitting Diode)는 저전력, 고효율로 작동하는 것으로서, 형광등이나 백열전구 등과 같은 광원에 비해 수명을 길어졌으며 전기 에너지가 빛 에너지로 직접 변하기 때문에 저 전력과 효율 증대 및 점등되는 시간이 매우 짧아서 실생활에 널리 사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리고 음이온은 마이너스(-) 극성을 갖는 것으로서, 대기 중에 섞여 있는 유기질 물질이나, 휘발성 화학물질, 등 각종 오염물질들을 정화하는 것으로서, 탈취기능 및 제연 기능이 탁월하여 그 사용 빈도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최소한의 공간을 차지하며 음이온 발생기 뿐만 아니라 다른 효과를 가지는 음이온 발생기의 개발이 필요하다, 이에 종래기술 공개특허 제10-2012-0025700호는 LED 램프와 음이온 발생기를 하나로 구성하는 발명을 한 바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음이온 발생부의 기능과 LED 조명등을 일체로 형성하여 공간의 효율을 극대화하고, 전력의 소모를 줄일 수 있는 음이온 발생기능을 가진 음이온 발생부가 구비된 LED 조명등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천장에 부착되는 LED 조명등과 함께 작동되거나 조명등과 별도로 작동될 수 있는 음이온 발생부가 구비된 LED 조명등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컨트롤박스 및 리모콘을 이용하여 음이온 발생부의 시간에 따른 예약 설정 및 팬 구동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음이온 발생부가 구비된 LED 조명등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면커버와, LED 모듈이 구비된 백커버와, 상기 전면커버와 백커버 사이에 장착되는 음이온 발생기로 구성되는 음이온 발생부가 구비된 LED 조명등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 발생부는, 상기 백커버의 저면에 장착되며, 케이스 내부 일측에 장착되는 음이온 발생기와, 상기 음이온 발생기의 타측에 장착되는 음이온 발생용 인쇄회로기판이 구비된 음이온 발생기 케이스; 상기 음이온 발생기 케이스의 저면에 장착되며, 내측으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음이온 발생기 케이스와 소정의 개구를 형성하는 팬브릿지; 상기 팬브릿지 저면에 장착되는 음이온 발진부; 상기 음이온 발진부 저면에 장착되어, 상기 음이온 발진부에서 발진되는 음이온을 방출하기 위한 방출그릴; 상기 방출그릴의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전면커버; 및 상기 관통홀을 커버하며, 상기 방출그릴이 안착되어 지지되는 방출그릴 안착홀이 형성된 방출그릴 고정커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이온 발생부가 구비된 LED 조명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음이온 발생기 케이스는, 측면에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다수의 공기흡입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음이온 발진부는, 음이온 발진부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측에 장착되는 팬과, 상기 팬의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팬의 회전축 역할을 하며 음이온을 발진하는 음이온 발진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방출그릴은, 중심에는 회오리 형상의 그릴이 형성되고, 방출그릴 바디의 가장자리 외측을 따라서는 링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링돌출부가 상기 방출그릴 안착홀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방출그릴 고정 커버는, 상기 방출그릴 안착홀의 일측에 형성되는 LED 점멸등 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LED 점멸등 홀에는 LED 점멸등이 장착되어, 상기 음이온 발생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음이온 발생부의 작동여부에 따라 점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인쇄회로기판에는, 컨트롤러가 더 형성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음이온 발생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음이온 발생부는, 상기 LED 조명등의 전원에 연결되어 상기 LED 조명등의 스위치에 의해 ON/OFF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컨트롤러는, 상기 음이온 발생부가 일정시간 단위로 ON/OFF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음이온 발생부는, 상기 LED 점멸등 홀의 측면에 더 형성되는 리모콘 수신기와, 상기 리모콘 수신기와 통신하는 리모콘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음이온 발생부는 리모콘에 의해 ON/OFF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음이온 발생부는, 별도로 설치되는 컨트롤 박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 박스는, 상기 음이온 발생부의 작동시간, 팬의 구동속도 및 작동 타이머를 컨트롤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 발생부가 구비된 LED 조명등는 음이온 발생기와 LED 조명등을 일체로 형성하여 공간의 효율을 극대화하고, 전력의 소모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음이온 발생기가 천장에 설치됨에 따라 소음이 줄어들고, 음이온 발생부에 설치된 팬을 이용하여 음이온을 골고루 분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 발생부가 구비된 LED 조명등은 벽면에 컨트롤박스 및 리모콘을 구비하여 원거리에서도 시간에 따른 예약 설정 및 팬 구동 속도를 조절하는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 발생부가 구비된 LED 조명등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 발생부가 구비된 LED 조명등의 다른 각도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 발생부가 구비된 LED 조명등의 측면단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 발생부가 구비된 LED 조명등의 백 커버와 전면 커버를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인 방에 설치된 음이온 LED와 컨트롤박스 및 리모콘을 나타낸 도이다.
이하 상기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아래에서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 발생부가 구비된 LED 조명등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 발생부가 구비된 LED 조명등의 다른 각도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 발생부가 구비된 LED 조명등의 측면단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 발생부가 구비된 LED 조명등의 백 커버와 전면 커버를 나타낸 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인 방에 설치된 음이온 LED와 컨트롤박스 및 리모콘을 나타낸 도면을 통하여 음이온 발생부가 구비된 LED 조명등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과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커버(500)와, LED모듈(120)이 구비된 백 커버(100)와, 전면 커버(500)와 백 커버(100) 사이에 장착되는 음이온 발생기(220)로 구성되는 음이온 발생부(1)가 구비된 LED 조명등에 있어서, 음이온 발생부(1)는, 백 커버(100)의 저면에 장착되며, 케이스(200) 내부 일측에 장착되는 음이온 발생기(220)와, 음이온 발생기(220)의 타측에 장착되는 음이온 발생용 인쇄회로기판(210)이 구비된 음이온 발생기 케이스(200)와, 음이온 발생기 케이스(200)의 저면에 장착되며, 내측으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음이온 발생기 케이스(200)와 소정의 개구를 형성하는 팬브릿지(300)와, 팬브릿지(300) 저면에 장착되는 음이온 발진부(400)와 음이온 발진부(400) 저면에 장착되어, 음이온 발진부(400)에서 발진되는 음이온을 방출하기 위한 방출그릴(600)과, 방출그릴(600)의 관통되는 관통홀(510)이 형성되는 전면 커버(500)와, 관통홀(510)을 커버하며, 방출그릴(600)이 안착되어 지지되는 방출그릴 안착홀(740)이 형성된 방출그릴 고정 커버(700)로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은 LED 조명등에 음이온 발생부(1)를 설치 구성하고, 음이온 발생기(220)에서 생성 되는 음이온을 음이온 발진부(400)의 내부에 설치 구성된 팬(410)을 작동시켜 외부로 빠르고 널리 방출 분포하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음이온 발생기 케이스(200)는, 내측에 필터(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고, 팬(410)이 작동할 때 음이온 발생부(1) 내부에 들어오는 먼지를 필터를 통해 필터링 할 수도 있다.
또한, 여기서 음이온 발생기 케이스(200)는, 측면에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다수의 공기흡입구(240)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흡입구(240)를 통해 공기가 흡입되고, 흡입된 공기는 음이온 발생기 케이스(200) 일측에 장착되는 음이온 발생기(220)에 의해 발생되는 음이온과 함께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여기서 음이온 발진부(400)는, 음이온 발진부 케이스(440)와, 케이스 내측에 장착되는 팬(410)과, 팬(410)의 내측에 형성되어 팬(410)의 회전축 역할을 하며 음이온을 발진하는 음이온 발진기(420)로 구성된다. 여기서, 팬(410)은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음이온 발진기(420)에서 방출되는 음이온을 방출그릴(600)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킨다. 또한, 팬(410)의 구동속도를 조절하여 음이온의 방사거리를 조절할 수도 있다.
또한, 여기서 음이온 방출 그릴(600)은, 중심에서 회오리 형상의 그릴이 형성되고, 방출그릴(600) 바디의 가장자리 외측을 따라 링돌출부(620)가 형성되어, 링돌출부(620)가 방출그릴 안착홀(740)에 안착된다. 즉, 회오리 형상의 그릴을 통해 음이온이 방출되어 회전하는 기류운동으로 방 구석구석 음이온을 배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여기서 방출그릴 고정 커버(700)는, 방출그릴 안착홀(740)의 일측에 형성되는 LED 점멸등 홀(710)을 더 포함하고, LED 점멸등 홀(710)에는 LED 점멸등(730)이 장착되어, 음이온 발생부(1)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음이온 발생부(1)의 작동 여부에 따라 점멸된다. 즉, 사용자는 음이온 발생부(1)가 작동할 경우 LED 점멸등(730)이 점멸되기 때문에, 음이온 발생부(1)를 통해 음이온이 방출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인쇄회로기판(210)에는, 컨트롤러가 더 형성되고, 컨트롤러는 음이온 발생부(1)의 작동을 제어한다. 또한, 컨트롤 박스(2)와 리모콘(3)의 수신호를 통해 음이온 발생부(1)의 작동을 제어한다.
또한, 음이온 발생부(1)는, LED 조명등의 전원에 연결되어 LED 조명등의 스위치에 의해 ON/OFF 될 수 있다. 즉, LED 조명등의 전원과 함께 ON/OFF 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는, 음이온 발생부(1)가 일정시간 단위로 ON/OFF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음이온 발생부(1)의 동작 시간을 설정하여 두면 설정된 시간만큼 음이온 발생부(1)가 작동된다. 예를 들어 작동시간을 2시간으로 설정해 놓을 경우 2시간 동안 음이온 발생부(1)에서 음이온이 배출되며, 또는 예약 설정을 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3시간 후에 한 시간동안 음이온이 방출되도록 설정 할 수도 있다.
또한, 음이온 발생부(1)는, LED 점멸등 홀(710)의 측면에 더 형성되는 리모콘 수신기(770)와, 리모콘 수신기(770)와 통신하는 리모콘(3)을 더 포함하고, 음이온 발생부(1)는 리모콘(3)에 의해 ON/OFF 될 수 있다. 즉, 리모콘(3)을 이용하여 음이온 발생부(1)를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음이온 발생부(1)는, 벽이나 특정장소 등에 별도로 설치되는 컨트롤 박스(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 박스(2)는, 음이온 발생부(1)의 작동시간, 팬(410)의 구동속도 및 작동 타이머를 컨트롤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컨트롤 박스(2)는 컨트롤러와 연동하여 팬(410)의 속도를 조절하여 음이온 방사거리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음이온 발생부(1)의 동작시간을 설정하여 2시간 뒤에 ON/OFF 되는 등의 타이머 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결합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 커버(100)에 구비되는 볼트홀(110)과, 음이온 발생기 케이스(200)에 구비되는 볼트홀(230)과, 팬브릿지(300)에 구비되는 음이온 발생기 케이스 볼트홀(320)에 볼트(750)가 체결되어 고정되고, 팬브릿지(300)에 구비되는 음이온 발진부 볼트홀(310)과, 음이온 발진부(400)에 구비되는 볼트홀(430)과 음이온 방출 그릴(600)에 구비된 돌출 홈(610)에 볼트(750)가 체결되어 고정되며, 전면 커버(500)에 구비되는 볼트홀(520)과, 고정 커버(700)에 구비되는 볼트홀(720)에 볼트(750)가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위와 같은 결합구조로 인해 음이온 발생부(1)가 구비된 LED 조명등이 하나로 결합하게 된다.
본 발명의 동작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전반적인 동작은 LED 조명등을 ON/OFF하는 버튼(미도시)을 이용하거나, 리모콘(3)을 통해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LED 조명등의 음이온 발생부(1)의 작동시간, 팬(410)의 구동속도 및 작동 타이머를 컨트롤하는 등의 세부적인 기능을 컨트롤 박스(2)를 이용하여 제어할 수도 있다.
평상시 LED 조명등의 사용은, 조명등의 스위치를 ON으로 위치시키면 LED모듈(120)에 전원이 인가되어 실내에 빛을 방사하게 된다. 또한, 필요한 경우 LED 조명등 컨트롤러를 설치하고, 조명등 컨트롤러를 통해 LED 조명등의 조도를 조절하여 필요한 밝기로 사용하기도 한다.
음이온 발생부(1)의 사용은 전원이 인가되면, 음이온 발생기(220)에서 음이온이 생성되며, 음이온 발진부(400)를 통해서 외부로 방출되며, 음이온 발진부(400)를 둘러싸고 있는 팬(410)이 작동하여 공기와 함께 방출그릴(600)을 통과해 외부로 배출된다. 여기서, 팬(410)이 작동하여 음이온 발생부(1) 내부로 공기가 흡입되는 경우, 음이온 발생기 케이스(200) 내측에 형성된 필터(미도시)를 장착하여 먼지를 필터링할 수도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이온 발생부(1)가 구비된 LED 조명등과 컨트롤 박스(2)는 방의 벽에 설치될 수 있다. 컨트롤 박스(2)를 이용하여 LED 조명등의 조도를 조절할 수 있음과 아울러, 음이온 발생부(1)의 구동 및 작동시간 등을 컨트롤 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컨트롤 박스(2)의 작동을 리모콘(3)에 의해서도 할 수 있다.
위에서 몇몇의 실시예가 예시적으로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이 이의 취지 및 범주에서 벗어남 없이 다른 여러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자명한 사항에 불과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범위 및 이의 동등 범위내의 모든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주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 음이온 발생부 2 : 컨트롤 박스
3 : 리모콘 100 : 백 커버
110 : 볼트홀 120 : LED모듈
200 : 음이온 발생기 케이스 210 : 인쇄회로기판
220 : 음이온 발생기 230 : 볼트홀
240 : 공기흡입구 300 : 팬브릿지
310 : 음이온 발진부 볼트홀 320 : 음이온 발생기 케이스 볼트홀
400 : 음이온 발진부 410 : 팬
420 : 음이온 발진기 430 : 볼트홀
440 : 음이온 발진부 케이스 500 : 전면 커버
510 : 관통홀 520 : 볼트홀
600 : 방출그릴 610 : 돌출 홈
620 : 링돌출부
700 : 방출그릴 고정 커버 710 : LED 점멸등 홀
720 : 볼트홀 730 : LED 점멸등
740 : 방출그릴 안착홀 750 : 볼트
760 : 리모콘 수신기 홀 770 : 리모콘 수신기

Claims (10)

  1. 전면커버와, LED 모듈이 구비된 백커버와, 상기 전면커버와 백커버 사이에 장착되는 음이온 발생기로 구성되는 음이온 발생부가 구비된 LED 조명등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 발생부는,
    상기 백커버의 저면에 장착되며, 케이스 내부 일측에 장착되는 음이온 발생기와, 상기 음이온 발생기의 타측에 장착되는 음이온 발생용 인쇄회로기판이 구비된 음이온 발생기 케이스;
    상기 음이온 발생기 케이스의 저면에 장착되며, 내측으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음이온 발생기 케이스와 소정의 개구를 형성하는 팬브릿지;
    상기 팬브릿지 저면에 장착되는 음이온 발진부;
    상기 음이온 발진부 저면에 장착되어, 상기 음이온 발진부에서 발진되는 음이온을 방출하기 위한 방출그릴;
    상기 방출그릴의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전면커버; 및
    상기 관통홀을 커버하며, 상기 방출그릴이 안착되어 지지되는 방출그릴 안착홀이 형성된 방출그릴 고정커버;
    를 포함하는 음이온 발생부가 구비된 LED 조명등.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 발생기 케이스는,
    측면에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다수의 공기흡입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이온 발생부가 구비된 LED 조명등.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 발진부는,
    음이온 발진부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측에 장착되는 팬과, 상기 팬의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팬의 회전축 역할을 하며 음이온을 발진하는 음이온 발진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이온 발생부가 구비된 LED 조명등.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출그릴은,
    중심에는 회오리 형상의 그릴이 형성되고, 방출그릴 바디의 가장자리 외측을 따라서는 링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링돌출부가 상기 방출그릴 안착홀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이온 발생부가 구비된 LED 조명등.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출그릴 고정 커버는, 상기 방출그릴 안착홀의 일측에 형성되는 LED 점멸등 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LED 점멸등 홀에는 LED 점멸등이 장착되어, 상기 음이온 발생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음이온 발생부의 작동여부에 따라 점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이온 발생부가 구비된 LED 조명등.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에는, 컨트롤러가 더 형성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음이온 발생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이온 발생부가 구비된 LED 조명등.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 발생부는, 상기 LED 조명등의 전원에 연결되어 상기 LED 조명등의 스위치에 의해 ON/OFF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이온 발생부가 구비된 LED 조명등.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음이온 발생부가 일정시간 단위로 ON/OFF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이온 발생부가 구비된 LED 조명등.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 발생부는,
    상기 LED 점멸등 홀의 측면에 더 형성되는 리모콘 수신기와, 상기 리모콘 수신기와 통신하는 리모콘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음이온 발생부는 리모콘에 의해 ON/OFF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이온 발생부가 구비된 LED 조명등.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 발생부는, 별도로 설치되는 컨트롤 박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 박스는, 상기 음이온 발생부의 작동시간, 팬의 구동속도 및 작동 타이머를 컨트롤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이온 발생부가 구비된 LED 조명등.
KR1020150139513A 2015-10-05 2015-10-05 음이온 발생부가 구비된 led 조명등 KR1017385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9513A KR101738504B1 (ko) 2015-10-05 2015-10-05 음이온 발생부가 구비된 led 조명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9513A KR101738504B1 (ko) 2015-10-05 2015-10-05 음이온 발생부가 구비된 led 조명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0483A true KR20170040483A (ko) 2017-04-13
KR101738504B1 KR101738504B1 (ko) 2017-05-22

Family

ID=58579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9513A KR101738504B1 (ko) 2015-10-05 2015-10-05 음이온 발생부가 구비된 led 조명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850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1005B1 (ko) 2019-08-21 2020-08-04 (주)에이치비라이팅 플라즈마 발생 구조의 엘이디 조명 장치
KR20230006092A (ko) 2021-07-02 2023-01-10 구다해 살균 기능을 가진 조명 기기
KR20230074866A (ko) 2021-11-22 2023-05-31 구다해 조명 기기용 이온 발생기 및 이를 가진 조명 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8008A (ko) 2021-08-20 2023-02-28 주식회사 예인 유해전자파 감쇠기능을 구비한 음이온 발생 led 조명등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7843B1 (ko) * 2007-02-08 2007-09-11 태원전기산업 주식회사 음이온 발생용 조명기구
KR200462725Y1 (ko) * 2011-08-29 2012-09-26 박용규 음이온 공기청정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1005B1 (ko) 2019-08-21 2020-08-04 (주)에이치비라이팅 플라즈마 발생 구조의 엘이디 조명 장치
KR20230006092A (ko) 2021-07-02 2023-01-10 구다해 살균 기능을 가진 조명 기기
KR20230074866A (ko) 2021-11-22 2023-05-31 구다해 조명 기기용 이온 발생기 및 이를 가진 조명 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8504B1 (ko) 2017-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8504B1 (ko) 음이온 발생부가 구비된 led 조명등
US5422795A (en) Lighting fixture with air cleaning and ventilating means
JP2010205439A (ja) 照明器具
KR101329889B1 (ko) 엘이디가 장착된 써크라인 조명등 장치
JP6495642B2 (ja) イオン発生機
JP5451996B2 (ja) 照明装置
JP6748964B2 (ja) 照明器具
US11608979B2 (en) LED tube apparatus
KR101476332B1 (ko) 조명기능을 가지는 공기 청정기
JP2010029554A (ja) イオン発生装置
KR20120005509U (ko) 엘이디 그릴 조립체를 구비하는 환풍기
CN214840706U (zh) 具有消杀功能的无叶风扇筒灯
JP6857843B2 (ja) 電気機器
CN108506825B (zh) 照明器具
KR20140136779A (ko) 조명과 음향이 발생되는 탈취장치
KR20130141838A (ko) 밝기 조절 및 음이온 발생 기능을 구비한 엘이디램프
JP2018133257A (ja) 照明器具
US20150377480A1 (en) Fan and Light Combination
JP6952262B2 (ja) 照明器具
US20050214175A1 (en) Lunimair airfresh comined unit
WO2005029652A1 (ja) ランプソケット
JP2019009056A (ja) 照明装置
CN221035497U (zh) 发光结构及使用其的家电设备
JP6803541B2 (ja) 照明装置
KR100580432B1 (ko) 실내등 일체형 무팬 공기청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