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0013A - 매체 분리집적장치, 매체보관함 및 금융 기기 - Google Patents

매체 분리집적장치, 매체보관함 및 금융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0013A
KR20170040013A KR1020150139340A KR20150139340A KR20170040013A KR 20170040013 A KR20170040013 A KR 20170040013A KR 1020150139340 A KR1020150139340 A KR 1020150139340A KR 20150139340 A KR20150139340 A KR 20150139340A KR 20170040013 A KR20170040013 A KR 201700400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um
roller shaft
gate roller
clutch
g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9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62509B1 (ko
Inventor
김도완
김경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Priority to KR10201501393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2509B1/ko
Publication of KR201700400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00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25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25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7D11/0021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12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means of the nip between two, or between two sets of, moving tapes or bands or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3/00Use of control, check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devices comprising an element for sensing a variable
    • B65H43/04Use of control, check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devices comprising an element for sensing a variable detecting, or responding to, presence of faulty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06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rollers or balls, e.g. between rollers
    • B65H5/062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rollers or balls, e.g. between rollers between rollers or b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00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 B65H7/02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by feelers or detectors
    • B65H7/06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by feelers or detectors responsive to presence of faulty articles or incorrect separation or feed
    • G07D11/0006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1Accessories of AT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50Machine elements
    • B65H2402/52Bearings, e.g. magnetic or hydrostatic b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40Toothed g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70Clutches; Couplings
    • B65H2403/72Clutches, brakes, e.g. one-way clutch +F20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12Banknotes, bills and chequ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체 분리집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매체 분리집적장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피드롤러축; 상기 피드롤러축에 설치되는 피드롤러; 상기 피드롤러축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게이트롤러축; 상기 게이트롤러축에 설치되는 게이트롤러; 상기 게이트롤러축에 설치되며, 매체를 타격하기 위한 복수의 시트를 구비하는 시트롤러; 상기 복수의 시트가 이송 경로에서 벗어난 위치에서 상기 게이트롤러축이 정지되도록 하기 위한 클러치; 및 상기 클러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매체 분리집적장치, 매체보관함 및 금융 기기{Medium separating and stacking apparatus, Medium storage box and Financial device}
본 발명은 매체 분리집적장치, 매체보관함 및 금융 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융 기기는, 지폐 및 수표 등을 입금하거나 출금 등을 처리하는 등의 고객이 원하는 금융 업무를 처리하는 기기를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지폐 및 수표 등을 통틀어 "매체"라고 칭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금융 기기는 매체의 수납, 인출, 감별, 집적 등을 하는 각각의 모듈(Module)을 구비할 수 있고, 상기 각각의 모듈은 복수의 이송 경로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그리고 매체는 상기 이송 경로를 경유하여 각각의 모듈로 이송된다.
여기서 매체가 집적되는 모듈에는, 매체를 분리하거나 매체를 집적하는 매체 분리집적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매체 분리집적장치를 구성하는 스택롤러(Stack roller)는, 그 외주면에 복수개의 스택시트(Stack sheet)를 구비하여, 매체를 보관하는 매체 저장부에 집적할 때에는, 상기 스택시트가 매체의 일면을 타격하여 매체를 상기 매체 저장부에 집적시키고, 매체를 상기 매체 저장부로부터 매체를 분리할 때에는 상기 매체와 간섭되지 않도록 매체의 이동 경로에서 상기 스택시트가 회피된다.
즉 상기 스택시트는, 상기 스택롤러의 외주면 전체에 걸쳐 형성되지 않고 상기 스택롤러의 외주면의 일부에만 형성되어, 매체의 집적시에는 매체의 이송 경로상에 진입하여 매체를 타격하고, 매체 분리시에는 상기 매체의 이송 경로상으로부터 회피될 수 있다.
그런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0-0054706호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0-0069069호에 개시된, 상기 스택시트를 매체 이송 경로에서 회피시키기 위한 복귀수단은, 스프링(Spring)과 같은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반복적 사용에 의해 탄성력이 저하된다는 문제점과, 이로 인하여 상기 스택시트를 정확한 위치에 회피시키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복귀수단은, 설치된 스프링 사이에 이물질이 축적되는 경우, 스프링의 수축 및 이완 동작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잦은 고장이 발생한다는 문제점도 있다.
그리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2-0128980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택시트의 탄성력과 상기 스택시트를 고정시키는 스토퍼(Stopper)를 이용하여 상기 스택시트를 회피시키는 방법은, 소음이 발생하고, 잦은 사용시 스택시트의 탄성력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매체의 분리 시 시트 롤러가 정확한 위치에 정지되도록 하고, 시트 롤러의 정지된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매체 분리집적장치, 매체보관함 및 금융 기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매체 분리집적장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피드롤러축; 상기 피드롤러축에 설치되는 피드롤러; 상기 피드롤러축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게이트롤러축; 상기 게이트롤러축에 설치되는 게이트롤러; 상기 게이트롤러축에 설치되며, 매체를 타격하기 위한 복수의 시트를 구비하는 시트롤러; 상기 복수의 시트가 이송 경로에서 벗어난 위치에서 상기 게이트롤러축이 정지되도록 하기 위한 클러치; 및 상기 클러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매체보관함은, 매체가 저장되는 매체 저장부; 및 상기 매체 저장부에 저장된 매체를 분리하거나 상기 매체 저장부에 매체를 집적하는 매체 분리집적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매체 분리집적장치는, 상기 매체를 분리할 때 시트롤러가 설치된 회전축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일 방향 베어링과, 상기 매체의 집적 과정에서 매체의 집적 완료 시, 상기 회전축이 정지되도록 작동하는 클러치를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금융 기기는, 고객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고객 정보 획득부; 입금 또는 출금을 위한 메뉴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입금 또는 출금을 위한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 또는 선택 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고객에 의해 입금되거나 출금을 위한 매체를 보관하는 매체보관함으로 포함하고, 상기 매체보관함은, 출금을 위해 매체를 분리할 때 시트롤러가 설치된 회전축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일 방향 베어링과, 입금을 위해 매체를 집적할 때 매체의 집적 완료된 경우, 상기 회전축이 정지되도록 작동하는 클러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매체 분리집적장치와, 매체보관함 및 금융 기기에 의하면, 매체를 분리할 때, 설계된 정확한 위치에 시트 롤러를 정지시킬 수 있어, 시트와 매체의 간섭에 의한 잼(Jam)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시트 롤러의 회전축이 복수의 롤러에 의해서 정지되므로, 매체를 집적하는 과정에서 소음이 적고, 반복적인 사용에도 불구하고 마모나 탄성력 저하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아 고장의 우려가 적고 오랜 수명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금융 기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금융 기기의 구성도.
도 3은 도 1의 금융 기기에 구비된 매체 분리집적장치의 모습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피드롤러유닛과 게이트롤러유닛의 결합 모습을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회전 방지부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매체 집적 시 매체 분리집적 장치의 작동을 보여주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금융 기기는 일 례로 지폐, 수표 등과 같은 증권, 지로, 동전, 상품권 등과 같은 다양한 매체를 입수하여 입금 처리, 지로 수납, 상품권 교환 등과 같은 처리와 출금 처리, 지로 방출, 상품권 방출 등과 같은 처리와 같은 매체 처리를 수행하는 금융 업무를 수행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금융 기기의 예로는 현금 방출기 (CD: Cash Dispenser), 현금 입출금기 (Cash Recycling Device) 등과 같은 금융자동화기기 (ATM: Automated Teller Machine) 등이 될 수 있다. 하지만, 금융 기기는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FIS(Financial Information System)와 같이 금융 업무를 자동화하는 다양한 장치가 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금융 기기가 금융자동화기기인 것으로 가정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한다. 다만, 이러한 가정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 뿐,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금융자동화기기에 한정되어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금융 기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금융 기기의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금융 기기(1)는, 내부에 다수의 부품이 내장되는 본체(1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0)는, 지폐 또는 수표 등과 같은 매체를 입금하거나 출금할 수 있는 매체 입출부(13)를 포함한다.
상기 매체 입출부(13)에는, 고객에 의해 접근 가능한 매체 수납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수납공간은 셔텨(Shutter) 또는 커버(Cover) 등과 같은 가림부재에 의해서 개폐될 수 있으며, 때로는 개폐되지 않고 개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융 기기(1)는 통장의 입출을 위한 통장 입출부(14)와, 카드의 입출을 위한 카드 입출부(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통장 입출부(14) 또는 카드 입출부(15)는 고객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고객 정보 획득부라 이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고객 정보 획득부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으며, RFID 태그 또는 USB에 기록된 정보를 획득하거나 지문 등을 이용하여 고객 정보를 획득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금융 기기(1)는, 입금 또는 출금을 위한 메뉴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입금 또는 출금을 위한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 또는 선택 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융 기기(1)는 매체를 안내하는 이송 경로(19)를 포함한다. 상기 이송 경로(19)는 상기 금융 기기(1) 내부에 구비되는 각각의 모듈을 서로 연결한다
상기 금융 기기(1)는 감별부(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별부(20)는 매체를 수납하거나 인출할 때 매체의 종류를 식별하거나, 불량 매체를 판별할 수 있다. 상기 금융 기기(1)는 지폐가 임시로 집적되는 지폐 임시 집적부(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폐 임시 집적부(30)는 고객이 지폐를 상기 금융 기기(1)에 입금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매체 입출부(13)를 통하여 수납된 지폐를 임시적으로 저장한다. 상기 지폐 임시 집적부(30)에 집적된 지폐는 고객이 지폐 수납을 최종적으로 결정한 때에 후술할 지폐 보관함(41, 42, 43)으로 이송된다.
상기 금융 기기(1)는, 매체를 보관하기 위한 매체보관함(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보관함(40)은, 하나 이상의 지폐 보관함(41, 42, 43)과, 하나 이상의 수표 보관함(44)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지폐 보관함(41, 42, 43) 및 수표 보관함(44)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상기 매체보관함(40)은, 이송된 매체가 투입되는 부분인 매체입구와 그 내부에 집적된 매체가 분리되어 반출되는 부분인 매체출구를 구비한 매체 저장부(150)와, 상기 매체 저장부(150)에 집적된 매체를 분리하거나 상기 매체 저장부(150)에 매체를 집적하는 매체 분리집적장치(도 3의 100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융 기기(1)는 수표 입금함(5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표 입금함(54)에는 정상적으로 입금된 수표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수표 입금함(54)과 상기 수표 보관함(44)는 분리된 별도의 모듈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수표 입금함(54)과 상기 수표 보관함(44)이 단일의 보관함 내에 구비되고, 다만, 단일의 보관함 내부의 공간이 입금을 위한 수표가 저장되는 공간과 출금을 위한 수표가 저장되는 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
상기 금융 기기(1)는, 입금 과정에서 불량인 것으로 판단되는 지폐 또는 수표가 저장되는 제1회수함(50)과, 출금 과정에서 불량인 것으로 판단되는 지폐 또는 수표가 저장되는 제2회수함(52)과, 회수 보충함(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회수함(52) 및 상기 제2회수함(52)은 각각 다수 개로 구비되어, 수표 회수함과 지폐 회수함으로 각각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회수 보충함(60)은 지폐 또는 수표를 상기 지폐 보관함(41, 42, 43) 또는 수표 보관함(44)에 보충하거나, 상기 지폐 보관함(41, 42, 43) 또는 수표 보관함(44)으로부터 지폐 또는 수표를 회수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금융 기기(1)는 출금을 위하여 상기 매체 입출부(13)로 방출된 매체를 고객이 미수취한 경우에 미수취 매체가 회수되는 제3회수함(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금융 기기(1)에서, 상기 회수함(50, 52) 및 회수 보충함(60)은 생략 가능하다. 또한, 상기 회수함(50, 52) 및 회수 보충함(60)의 개수에도 제한이 없다.
도 3은 도 1의 금융 기기에 구비된 매체 분리집적장치의 모습을 보인 단면도 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피드롤러유닛과 게이트롤러유닛의 결합 모습을 보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회전 방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매체보관함(40)은 매체(M)가 저장되는 상기 매체 저장부(150)와, 상기 매체 저장부(150)에 집적된 매체(M)를 분리하거나 상기 매체 저장부(150)로 매체(M)를 집적하기 위한 매체 분리집적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 분리집적장치(100)는 상기 매체 저장부(150)에 인접 배치되어, 상기 매체 저장부(150)에 집적된 매체(M)를 분리하거나 상기 매체 저장부(150)로 매체(M)를 이송 및 집적하는 장치로써, 픽업롤러(110), 피드롤러유닛(120) 및 게이트롤러유닛(130)을 포함한다.
상기 픽업롤러(110)는 상기 매체 저장부(150)에서 매체(M)가 반출되는 출구측에 구비되어 상기 매체 저장부(150)에 집적된 매체(M)를 분리한다.
상기 피드롤러유닛(120)은, 피드롤러축(121)과, 상기 피드롤러축(121)에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피드롤러(122: feed roller)와, 상기 피드롤러축(121)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상기 피드롤러축(121)을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원(M)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드롤러축(121)의 타단에는 제1기어(160)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피드롤러축(121)에 다수의 피드롤러(121)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다수의 피드롤러(121)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피드롤러유닛(120)는 상기 피드롤러축(121)에 결합되고 상기 픽업롤러(110)와 인접 배치된다. 상기 피드롤러유닛(120)는 이송 경로(C)를 통하여 매체(M)를 상기 매체 저장부(150) 방향(B)으로 이송하거나,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A) 이송한다. 그리고 상기 피드롤러축(121)은 상기 금융 기기(1)의 프레임(미도시)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롤러유닛(130)은, 게이트롤러축(131)과, 상기 게이트롤러축(131)에 결합되는 게이트롤러(132: gate roller)와, 상기 게이트롤러축(131)에 결합되는 시트롤러(133: sheet rolle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트롤러(133)는 매체의 집적 과정에서 매체를 타격할 수 있는 복수의 시트(133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롤러유닛(130)은, 상기 프레임(미도시)에 설치된 게이트롤러축(131)에 결합되고, 상기 이송 경로(C)를 사이에 두고, 상기 피드롤러유닛(120)와 인접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피드롤러축(121)과 상기 게이트롤러축(131)은 서로 평행하게 상기 프레임(미도시)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롤러유닛(130)의 일단에는 일 방향 베어링(212)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일 방향 베어링(212)은 한 방향으로만 동력을 전달하고 반대 방향으로는 동력을 전달하지 않은 베어링을 의미한다. 일 방향 베어링은 일 예로 내부체, 외부체 및 내부체와 외부체 사이에 구비되는 복수의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일 방향 베어링(212)의 외부체에는 제2기어(214)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일 방향 베어링(212)의 내부체에는 상기 게이트롤러축(131)이 결합된다. 상기 게이트롤러축(131)은 상기 일 방향 베어링(212)의 내부체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2기어(214)는 상기 제1기어(160)와 맞물린다.
상기 게이트롤러축(131)의 타단에는 전달 기어(216)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전달 기어(216)는 상기 게이트롤러축(131)과 함께 회전되도록 상기 게이트롤러축(131)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롤러유닛(130)은 매체 분리 과정에서 상기 시트롤러(133)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시트롤러(133)의 회전 각도를 감지하여 상기 동력원(미도시)에 동력차단 신호를 보내는 위치감지센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치감시센서부는 위치감지 휠(135)과 인터럽트 센서(13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치감지 휠(135)은 상기 게이트롤러축(131)에 고정 결합되고 일측에 슬릿(135a)이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위치감지 휠(135)은 상기 게이트롤러축(131)과 함께 회전되어 상기 시트롤러(133)가 상기 이송 경로(19)에서 회피되는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게이트롤러축(131)의 회전이 정지될 수 있도록 상기 게이트롤러축(131)과 고정 결합된다.
상기 인터럽트 센서(136)는 발광부와 수광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일 예로 상기 발광부와 상기 수광부 사이에 상기 위치감지 휠(135)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위치감지 휠(135)의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인터럽트 센서(136)의 발광부와 상기 슬릿(135a)이 정렬되면, 상기 인터럽트 센서(136)의 발광부에서 조사된 광이 상기 인터럽트 센서(136)의 수광부에 도달하게 된다.
상기 인터럽트 센서(136)의 발광부에서 조사된 광이 상기 인터럽트 센서(136)의 수광부에 도달하는 경우,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는 상기 게이트롤러축(131)이 회전이 정지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매체 분리집적장치(100)는, 상기 게이트롤러축(131)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회전 방지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 방지부(180)는 상기 전달 기어(216)와 연결되는 일 방향 베어링(185)과, 상기 전달 기어(216)와 연결되는 클러치(18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클러치(183)는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서 온되거나 오프될 수 있는 전자 클러치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클러치(183)는 고정축에 결합되어 있어 제어부에 의해서 온될 경우 회전이 정지되고 오프될 경우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클러치(183)가 온되면 상기 전달 기어(216)는 회전이 정지될 수 있고, 상기 클러치(183)가 오프되면 상기 전달 기어(216)는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전달 기어(216)는 상기 게이트롤러축(131)에 고정 설치되므로, 상기 전달 기어(216)의 회전이 정지되면, 상기 게이트롤러축(131)도 회전이 정지될 수 있다.
상기 일 방향 베어링(185)은 상기 게이트롤러축(131)이 제1방향으로 회전될 때에는 상기 전달 기어(216)에 대해서 아이들 상태가 되고, 상기 게이트롤러축(131)이 제2방향으로 회전되려고 할 때에는 상기 전달 기어의 회전을 제한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일 방향 베어링(185)은 상기 게이트롤러축(131)이 제1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회전을 제한한다.
한편, 상기 게이트롤러(132)는, 매체(M)가 상기 매체 저장부(150)로부터 분리될 때 매체(M)와 마찰을 발생시켜, 픽업된 매체(M)가 상기 피드롤러(122)와 상기 게이트롤러(132)에 의해서 한 장씩 분리되어 이송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상기 픽업롤러(110), 피드롤러유닛(120) 및 게이트롤러유닛(130)는 동력원(123)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픽업롤러(110)는 상기 피드롤러유닛(120)의 회전력을 전달받거나 상기 피드롤러유닛(120)의 동력원(123)과 별개의 동력원에 의해서 회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매체 저장부(150)는 매체(M)가 집적되는 지지판(150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판(150a)은, 상기 픽업롤러(110)에 의해 매체(M)가 분리될 때 매체(M)를 상기 픽업롤러(110) 방향으로 가압한다.
상기 게이트롤러(132)는 상기 게이트롤러축(131)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피드롤러(122)가 제2방향(도 3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게이트롤러(132)는 도면상 반시계 방향(제1방향이라고 할 수 있음)으로 회전하여, 매체(M)를 상기 이송 경로(C)를 통하여 상기 매체 저장부(150)로 이송시킨다.
그리고 매체(M)가 상기 매체 저장부(150)로부터 분리될 때 상기 게이트롤러(132)는 정지한 상태가 된다. 정지한 상기 게이트롤러(132)는, 매체(M)와 마찰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픽업된 매체(M)가 상기 피드롤러(122)와 상기 게이트롤러(132)에 의해서 한 장씩 분리되어 이송될 수 있다.
상기 시트롤러(133)는 상기 게이트롤러(132)와 인접하여 상기 게이트롤러축(131)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시트롤러(133)는 매체(M)를 상기 매체 저장부(150)로 이송할 때, 매체(M)의 일면을 타격하여 매체(M)가 지지판(150a)에 안정적으로 집적되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시트롤러(133)는 상기 게이트롤러축(131)에 결합된 시트롤러 몸체(133a)와 상기 복수의 시트(133b)를 포함 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시트(133b)는 매체(M)를 상기 매체 저장부(150)로부터 분리할 때, 매체(M)와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상기 이송 경로(C)에서 회피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기 복수의 시트(133b)는, 상기 시트롤러 몸체(133a)의 외주면 일측에 일정 각도 범위 내에만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매체 집적 시 매체 분리집적 장치의 작동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매체를 집적하기 위하여, 동력원(123)으로부터 발생된 동력을 전달받아 피드롤러 축(121)이 도면 상 시계 방향(이하 “제2방향”이라 함)으로 회전된다. 상기 피드롤러 축(121)의 제2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게이트롤러축(121)은 도면 상 반시계 방향(이하 “제1방향”이라 함)으로 회전된다.
상기 피드롤러 축(121)이 제2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피드롤러(122)도 상기 피드롤러 축(121)과 함께 제2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게이트롤러축(131)이 제1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게이트롤러(132) 및 상기 시트롤러(133)도 상기 게이트롤러축(121)과 함께 상기 제1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매체의 집적 과정에서는 상기 클러치(183)는 오프된 상태가 유지된다.
상기 피드롤러(122)가 제2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게이트롤러(131)가 반시계 방향을 회전되면, 매체(M)가 화살표(B) 방향으로 상기 피드롤러(120)와 상기 게이트롤러(132) 사이에 형성된 상기 이송 경로(C)를 통하여 상기 매체 저장부(150) 방향으로 이송된다.
그리고 상기 매체(M)가 상기 매체 저장부(150)의 내부로 인입되면, 상기 제1방향으로 회전하는 상기 시트롤러(133)에 구비된 복수의 시트(133b) 중 하나의 시트는 상기 매체 저장부(150)의 내부로 인입된 매체(M)의 상면을 타격하게 되고, 상기 복수의 시트(133b) 중 하나의 시트에 의해 타격된 매체(M)는 상기 매체 저장부(150)의 상기 지지판(150a)에 집적된다.
매체의 집적 과정이 완료되면, 상기 게이트롤러축(131)의 회전이 정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시트롤러(133)의 복수의 시트(133b)가 상기 이송 경로(C)에서 벗어난 위치에서 상기 게이트롤러축(131)이 정확하게 정지되어야 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인터럽트 센서(136)의 발광부에서 조사된 빛이 상기 수광부에서 도달할 때, 상기 복수의 시트(133b)의 위치가 상기 이송 경로(C)에서 벗어난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인터럽트 센서(136)의 발광부에서 조사된 빛이 상기 수광부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원(123)을 오프시키고 상기 클러치(183)를 온시킬 수 있다.
상기 클러치(183)가 온되면 상기 전달 기어(216)의 회전이 정지되고 이에 따라 상기 게이트롤러축(131)의 회전이 정지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클러치(183)가 온되어 상기 게이트롤러축(131)의 회전이 정지되므로, 상기 시트롤러(133)의 정지 위치가 정확하게 제어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게이트롤러축을 정시키기 위한 별도의 구조물을 이용하여 강제로 상기 게이트롤러축(131)이 정지되도록 하지 않으므로, 상기 게이트롤러축(131)이 정지되는 과정에서 진동이나 소음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매체(M)를 상기 매체 저장부(150)로부터 분리하기 위하여, 상기 픽업롤러(110) 및 상기 피드롤러(120)는 상기 제1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지지판(150a)은 상기 매체(M)를 상기 픽업롤러(110) 방향으로 가압하는 분리동작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분리동작 이전에, 상기 시트롤러(133)의 복수의 시트(133b)가 상기 이송 경로(C)에서 벗어난 위치에서 상기 게이트롤러축(131)이 정확하게 정지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는 상기 인터럽트센서(136) 발광부에서 조사된 빛이 상기 수광부에서 수광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시트롤러(133)의 복수의 시트(133b)가 상기 이송 경로(C)에서 벗어난 위치에서 상기 게이트롤러축(131)이 정확하게 정지되었는지 확인 하여, 만약 상기 시트롤러(133)의 정지 위치가 정확하지 않았을 경우, 제어부는 상기 구동원(123)을 온시켜 상기 게이트롤러축(131)을 회전시키고 상기 인터럽트 센서(136)의 발광부에서 조사된 빛이 상기 수광부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원(123)을 오프시키고 상기 클러치(183)를 온시켜 상기 시트롤러(133)가 정확한 위치에서 정지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게이트롤러축(131)은 복수의 시트(133b)가 매체(M)의 상기 이송 경로(C)에서 회피된 위치에서 정지한 상태로 유지된다.
상기 게이트롤러축(131)이 정지되면, 상기 게이트롤러(132) 및 상기 시트롤러(133)도 정지된 상태가 유지된다.
매체(M)가 분리되어 이송되는 과정에서 상기 매체(M)는 상기 게이트롤러(132)와 접촉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매체(M)의 이송력이 상기 게이트롤러(132)로 전달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일 방향 베어링(185)에 의해서 상기 게이트롤러축(131) 및 게이트 롤러(132)가 상기 제2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때, 매체(M)의 분리 과정에서 상기 클러치(183)는 오프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또는, 매체(M)의 분리 과정에서 상기 클러치(183)는 온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게이트 축(131)의 회전을 방지시킬 수도 있다. 상기 클러치(183)가 온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게이트 축(131)의 회전을 방지 경우, 상기 일 방향 베어링(185)은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매체의 분리 과정에서 게이트롤러는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매체가 이송되는 과정에서 게이트롤러는 매체와 마찰하게 된다. 그런데, 게이트롤러가 항상 일정한 위치에 정지되어 있는 경우, 상기 게이트롤러의 일 부분에만 매체와 마찰하게 되어 상기 게이트롤러의 편마모 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이 경우의 매체의 이송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는 매체의 분리 과정에서 게이트롤러의 편마모 현상이 방지되도록 상기 게이트롤러는 일 방향 베어링에 의해서 상기 게이트롤러축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게이트롤러의 제1방향 회전 과정에서 상기 게이트롤러축과 상기 게이트롤러의 상대 회전이 가능하게 되어 상기 게이트롤러축의 정지 시 상기 게이트롤러의 정지 위치가 달라질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9)

  1.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피드롤러축;
    상기 피드롤러축에 설치되는 피드롤러;
    상기 피드롤러축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게이트롤러축;
    상기 게이트롤러축에 설치되는 게이트롤러;
    상기 게이트롤러축에 설치되며, 매체를 타격하기 위한 복수의 시트를 구비하는 시트롤러;
    상기 복수의 시트가 이송 경로에서 벗어난 위치에서 상기 게이트롤러축이 정지되도록 하기 위한 클러치; 및
    상기 클러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매체 분리집적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롤러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위치감지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위치감지 센서부에서 상기 복수의 시트가 상기 이송 경로에서 벗어난 위치로 이동한 것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게이트롤러 축이 정지되도록 하기 상기 클러치를 온 시키는 매체 분리집적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매체 집적 완료 후 또는 매체 분리 전에 상기 복수의 시트가 이송 경로에서 벗어난 위치에서 상기 게이트롤러축이 정지되도록 상기 클러치를 제어하는 매체 분리집적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매체의 분리 과정에서는 상기 클러치를 오프시키는 매체 분리집적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매체의 분리 과정에서 상기 게이트롤러 축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일 방향 베어링을 더 포함하는 매체 분리집적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매체의 집적 과정에서 상기 클러치 및 상기 일 방향 베어링은 상기 게이트롤러 축이 회전 가능하도록 작용하는 매체 분리집적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롤러축에 연결되는 전달 기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클러치 및 상기 일 방향 베어링은 각각 상기 전달 기어에 연결되는 매체 분리집적장치.
  8. 매체가 저장되는 매체 저장부; 및
    상기 매체 저장부에 저장된 매체를 분리하거나 상기 매체 저장부에 매체를 집적하는 매체 분리집적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매체 분리집적장치는, 상기 매체를 분리할 때 시트롤러가 설치된 회전축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일 방향 베어링과,
    상기 매체의 집적 과정에서 매체의 집적 완료 시, 상기 회전축이 정지되도록 작동하는 클러치를 포함하는 매체보관함.
  9. 고객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고객 정보 획득부;
    입금 또는 출금을 위한 메뉴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입금 또는 출금을 위한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 또는 선택 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고객에 의해 입금되거나 출금을 위한 매체를 보관하는 매체보관함으로 포함하고,
    상기 매체보관함은, 출금을 위해 매체를 분리할 때 시트롤러가 설치된 회전축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일 방향 베어링과,
    입금을 위해 매체를 집적할 때 매체의 집적 완료된 경우, 상기 회전축이 정지되도록 작동하는 클러치를 포함하는 금융기기.
KR1020150139340A 2015-10-02 2015-10-02 매체 분리집적장치, 매체보관함 및 금융 기기 KR1017625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9340A KR101762509B1 (ko) 2015-10-02 2015-10-02 매체 분리집적장치, 매체보관함 및 금융 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9340A KR101762509B1 (ko) 2015-10-02 2015-10-02 매체 분리집적장치, 매체보관함 및 금융 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0013A true KR20170040013A (ko) 2017-04-12
KR101762509B1 KR101762509B1 (ko) 2017-07-27

Family

ID=58580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9340A KR101762509B1 (ko) 2015-10-02 2015-10-02 매체 분리집적장치, 매체보관함 및 금융 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250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1071A (ko) * 2017-08-22 2019-03-05 주식회사 에이텍에이피 매체 보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금융기기
WO2019062520A1 (zh) * 2017-09-30 2019-04-04 山东新北洋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薄片类介质输送机构、纸币集积分离装置及存取款机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1071A (ko) * 2017-08-22 2019-03-05 주식회사 에이텍에이피 매체 보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금융기기
WO2019062520A1 (zh) * 2017-09-30 2019-04-04 山东新北洋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薄片类介质输送机构、纸币集积分离装置及存取款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2509B1 (ko) 2017-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49448B1 (en) BIll and cheque acceptor
KR101599131B1 (ko) 경로전환장치, 매체처리장치 및 금융 기기
KR101636129B1 (ko) 매체 분리집적장치, 매체보관함 및 금융 기기
EP3101632B1 (en) Financial device and medium stacking apparatus
KR101761483B1 (ko) 매체 보관함 및 금융기기
KR101362607B1 (ko) 매체 보관함, 매체처리장치 및 금융 기기
KR101762509B1 (ko) 매체 분리집적장치, 매체보관함 및 금융 기기
KR20170031365A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류 저장장치
KR101732825B1 (ko) 금융기기 및 매체집적장치
KR101280658B1 (ko) 매체보관함 및 금융기기
KR101793333B1 (ko) 매체 감지장치 및 금융 기기
KR101529677B1 (ko) 금융기기, 매체처리장치 및 매체분리장치
KR101609455B1 (ko) 매체 보관함 및 금융기기
KR101781686B1 (ko) 경로전환장치, 매체처리장치 및 금융기기
KR20150091833A (ko) 매체처리장치 및 금융기기
KR101919310B1 (ko) 매체 분리집적 장치 및 금융 기기
KR101864143B1 (ko) 매체집적장치 및 금융기기
KR101385878B1 (ko) 매체집적장치를 포함한 금융기기 및 그 제어 방법
JP2013023308A (ja) 紙葉類取扱装置、および、現金自動取扱装置
KR101815385B1 (ko) 매체집적장치, 금융기기, 및 금융기기의 제어방법
KR101815384B1 (ko) 매체 두께 감지장치
KR102004729B1 (ko) 금융기기
KR101559250B1 (ko) 매체의 스큐보정장치 및 금융기기
KR101883318B1 (ko) 매체보관함, 금융기기, 및 금융기기의 제어방법
KR101892478B1 (ko) 금융기기, 매체처리장치 및 매체분리집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