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9935A - 저분자량 베타글루칸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저분자량 베타글루칸을 함유하는 조성물 - Google Patents

저분자량 베타글루칸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저분자량 베타글루칸을 함유하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9935A
KR20170039935A KR1020150139140A KR20150139140A KR20170039935A KR 20170039935 A KR20170039935 A KR 20170039935A KR 1020150139140 A KR1020150139140 A KR 1020150139140A KR 20150139140 A KR20150139140 A KR 20150139140A KR 20170039935 A KR20170039935 A KR 201700399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ucan
molecular weight
beta
low molecular
kd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9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30619B1 (ko
Inventor
박혜림
김진국
고정남
이소헌
한창성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바이오랜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바이오랜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바이오랜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391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0619B1/ko
Publication of KR201700399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99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0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06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B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Preparation of polysacchar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B1/00 - C08B35/00;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06Homoglycans, i.e. polysaccharides having a main chain consisting of one single sugar, e.g. colominic acid
    • C08B37/0024Homoglycans, i.e. polysaccharides having a main chain consisting of one single sugar, e.g. colominic acid beta-D-Glucans; (beta-1,3)-D-Glucans, e.g. paramylon, coriolan, sclerotan, pachyman, callose, scleroglucan, schizophyllan, laminaran, lentinan or curdlan; (beta-1,6)-D-Glucans, e.g. pustulan; (beta-1,4)-D-Glucans; (beta-1,3)(beta-1,4)-D-Glucans, e.g. lichenan;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5Polysaccharides, i.e. hav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esters
    • A61K31/716Gluc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rd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분자량 베타글루칸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저분자량 베타글루칸을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베타글루칸을 함유하는 알칼리 용액에 50~200 KGy의 방사선을 조사함으로써 분자량이 2~20 KDa인 저분자량 베타글루칸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저분자량 베타글루칸은 피부 투과도가 우수하여 더욱 우수한 상처 치유 효과, 피부 노화 방지 효과, 면역 증진 효과를 발휘한다.

Description

저분자량 베타글루칸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저분자량 베타글루칸을 함유하는 조성물 {Method for production of low molecular weight beta glucan and composition with low molecular weight beta glucan therefrom}
본 발명은 저분자량 베타글루칸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저분자량 베타글루칸을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베타글루칸을 함유하는 알칼리 용액에 방사선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분자량 베타글루칸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저분자량 베타글루칸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상처 치유용 및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면역 증가용 및 상처 치유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글루칸은 D-글루코오스만을 구성당으로 하는 포도당 중합체로서 연결형태에 따라 베타(bata) 혹은 알파(alpha)형으로 구분된다. 이 중 베타글루칸(beta-glucan)은 여러 식용버섯, 효모, 보리, 귀리 등에 함유되어 추출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에(Saccharomyces cerevisiae) R4 계통과 애그로박테리움(Agrobacterium)속 미생물에 의해서도 생산되는 다당류이다.
베타글루칸은 분자 구조적으로 분자량, 가지 유무 등에 따라 종류가 다양하지만 공통적으로는 포도당 단위체가 베타 1,3 글리코시드 결합을 하고 있는 주 골격에 1,4 결합 혹은 1,6 결합을 측쇄로 가지고 있는 형태를 띠고 있다.
베타글루칸은 항암, 알러지 예방효과, 항균, 항바이러스, 항응고제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베타글루칸은 포도당의 결합 위치, 분자량, 측쇄의 유무, (1,6)-linked side chain의 분지도 그리고 이와 연관된 3차 구조 등이 달라짐에 따라 물리화학적 성질도 달라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치마버섯(Schizophyllum commune Fr.)은 싱어(Singer, R.)의 분류서에 의하면 분류학상으로 담자균류의 주름버섯목 송이과 치마버섯속에 속하는 목질부후균으로 β-1,6-분지-β-1,3-글루칸(β-1,6-branched-β-1,3-glucan) 다당류를 세포외로 생산하는 균주이다.
치마버섯의 자실체는 대가 없으며, 갓의 측면이 기질에 부착하고, 크기가 보통 1.0~3.0 ㎝이고, 모양은 부채형 또는 조개형이며, 종으로 주름이 있고, 말단은 불규칙하게 갈라지고, 미세한 털이 덮여 있다. 주름살은 백색이지만 성숙하게 되면 담회색 또는 담자갈색을 띄며, 조직은 건조한 경우 수축하게 되지만 수분을 흡수하면 회복된다. 포자문은 백색이고 포자는 4~6×1.5~2 ㎛ 크기의 원추형으로 평활하며 흰색을 띄고 있다.
이러한 치마버섯으로부터 유래된 시조필란(schizophyllan)은 베타-1,3-글루칸 주당쇄에 규칙적인 베타-1,6-잔기를 갖는 글루칸으로서, 표고버섯(Lentinus edodes), 느타리버섯(Pleurotus ostreatus), 상황버섯(Phellinus linteus) 등의 다른 버섯류로부터 생산된 베타글루칸의 분자량이 수십만 내지 200만인데 비해, 치마버섯 유래 시조필란(schizophyllan)의 분자량은 200만~600만 Da으로 상당히 크다. 또한, 다른 버섯류의 베타글루칸이 불균일한 당조성과 구조를 갖는데 비하여 시조필란은 분지된 균일하고 특유한 구조를 갖고 있으며, 세포 외로 분비되는 안정한 중성 다당류의 특성을 갖고 있다.
한편, 분자량이 약 600만 Da에 달하는 치마버섯 유래 베타글루칸은 매우 점도가 높은 배양액을 형성한다. 따라서, 베타글루칸을 저분자화 시키지 않고서는 화장품 및 의약/제약 분야에 원료로 활용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다.
베타글루칸을 저분자화하는 방법으로는, 초음파처리 (20 kHz)나 고압균질분쇄기 등을 이용하여 적정수준의 분자량으로 파쇄시킨 후, 세척과 아세톤을 이용한 침전법으로 분획하고, 동결건조시켜 베타글루칸을 저분자화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초음파 처리공정의 경우, 약 1%의 글루칸 수용액에 0.001 g/cm3의 초음파 처리를 30분간 수행하였을 때, 초기 분자량에서 45만 Da 수준까지 감소시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45만 Da의 분자량을 가지는 베타글루칸은 여전히 인체 흡수 및 소화가 효과적이지 않은 고분자량의 난분해성 다당체이다. 따라서, 베타글루칸의 유용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2만 Da 이하의 분자량을 가지도록 베타글루칸을 저분화하는 것이 필요한데, 아직까지 고분자량의 베타글루칸을 2만 Da 이하의 분자량으로 저분화하는 기술은 산업적인 측면에서 완성도가 부족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40683호 (등록일자: 2012.04.16)에는, 베타글루칸을 용매에 용해한 후 30~50 KGy인 방사선을 조사하여 24~32 KDa의 저분자량의 베타글루칸을 수득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다만, 본 발명은 베타글루칸을 '알칼리 조건' 하에서 50~200 KGy의 방사선을 조사함으로써 2~20 KDa의 저분자량의 베타글루칸을 수득함에 특징이 있는데, 등록특허 제10-1140683호에는 이에 대한 언급이 없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28877호 (등록일자: 2002.03.05)에는, 버섯 유래의 베타-1,6-분지-베타-1,3-글루칸 또는 이들의 저분자화 베타-1,6-분지-베타-1,3-글루칸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10중량%의 양으로 함유하는 항염증 및 피부자극완화 효과를 갖는 외용제 조성물에 대한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다만, 본 발명은 베타글루칸을 '알칼리 조건' 하에서 50~200 KGy의 방사선을 조사함으로써 2~20 KDa의 저분자량의 베타글루칸을 수득함에 특징이 있는데, 등록특허 제10-0328877호에는 이에 대한 언급이 없다.
본 발명은 베타글루칸을 함유하는 알칼리 용액에 방사선을 조사하여 2만 Da 이하의 분자량을 가지는 저분자량의 베타글루칸을 제조하는 방법을 개발하여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베타글루칸을 함유하는 알칼리 용액에 방사선을 조사하여 수득한 저분자량 베타글루칸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상처 치유용 또는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베타글루칸을 함유하는 알칼리 용액에 방사선을 조사하여 수득한 저분자량 베타글루칸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 증강용 또는 상처 치유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베타글루칸을 함유하는 알칼리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A); 및 상기 단계 (A)에서 제조한 베타글루칸을 함유하는 알칼리 용액에 50~200 KGy의 방사선을 조사하는 단계 (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자량이 2~20 KDa인 저분자량 베타글루칸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종래에는 고분자량의 베타글루칸을 2만 Da 이하의 분자량을 가지는 저분자량 베타글루칸으로 제조하는 것이 어려운 실정이였는데, 본 발명에서는 베타글루칸을 알칼리 용액에 용해하거나, '베타글루칸을 물에 용해한 후 알칼리 첨가제를 첨가하여 알칼리 상태'로 만든 다음, 50~200 KGy 방사선을 조사함으로써 2~20 KDa의 분자량을 가지는 저분자량 베타글루칸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알칼리 조건하에서 방사선을 조사하여 수득된 저분자량 베타글루칸의 양은 중성 조건하에서 방사선을 조사하여 수득된 저분자량 베타글루칸의 양과 거의 엇비슷하나, 수득된 저분자량 베타글루칸의 평균 분자량에 있어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얻어지는 저분자량 베타글루칸의 양은 비슷하나, 알칼리 조건하에서는 50~200 KGy의 방사선 조사만으로도 2~20 KDa의 분자량을 갖는 베타글루칸을 얻을 수 있고, 중성 조건하에서는 200 KGy의 방사선을 조사하여도 20 KDa 이하의 분자량을 얻을 수 없음을 확인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분자량이 2~20 KDa인 저분자량 베타글루칸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베타글루칸을 함유하는 알칼리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본 단계는 베타글루칸을 함유하는 알칼리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서는 3차 구조의 베타글루칸을 알칼리(alkaline) 조건하에 노출시키면, 랜덤 코일(random coil) 형태로 변성되어, 뒤이어 물리적 처리를 할 경우, 더욱 효율적으로 저분자화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하기 실험예에서는, 알칼리 조건하에 베타글루칸에 방사선을 조사하는 경우, 베타글루칸을 정제수(중성)에 용해한 후 방사선을 처리할 경우보다 효율적으로 저분자화가 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상기 알칼리 용액의 pH는, 바람직하게 pH 8~14인 것이 좋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pH 8~10인 것이 좋다. pH 8 이하의 알칼리 용액에서는 원하는 수준까지 저분화된 베타글루칸을 얻을 수 없고, pH 14 이상의 알칼리 용액에서는 정제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알칼리 용액은 알칼리 금속 화합물, 예를 들어 나트륨, 칼륨 등의 수산화물인 것이 좋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사용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베타글루칸을 함유하는 알칼리 용액은, 바람직하게 베타글루칸을 알칼리 용액에 첨가하여 제조하거나, 베타글루칸을 물에 용해한 후 알칼리 첨가제를 첨가하여 pH를 알칼리성으로 조정하여 제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베타글루칸은, 바람직하게 β-1,6-분지-β-1,3-글루칸(β-1,6-branched-β-1,3-glucan)인 것이 좋다. 상기 β-1,6-분지-β-1,3-글루칸 바람직하게 버섯류, 곡류 또는 미생물에서 수득될 수 있으며, 상기 버섯류로는 바람직하게 치마버섯(Schizophyllum commune Fr.)일 수 있다.
<베타글루칸을 함유하는 알칼리 용액에 50~200 KGy 방사선을 조사하여 저분자량 베타글루칸을 제조하는 단계>
본 단계는 베타글루칸을 함유하는 알칼리 용액에 50~200 KGy 방사선을 조사하여 저분자량 베타글루칸을 제조하는 단계로, 분자량이 2~20 KDa이 될 때까지 50~200 KGy 방사선을 조사하여 저분자량 베타글루칸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은 베타글루칸을 알칼리 조건하에 노출시키고, 방사선을 조사함으로써, 50~200 KGy 세기의 방사선 조사에도 불구하고, 분자량이 2~20 KDa인 저분자량 베타글루칸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방사선은 바람직하게 감마선 또는 전자선(전자빔)일 수 있다. 전자빔은 다른 화학적 처리방법과 달리 반응촉매가 불필요하여 불순물 제거공정 없이 고순도의 물질을 생산할 수가 있고, 비가열 방식이므로 열에 약한 물질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으며, 공정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방사선 조사 후, 반응생성물을 세척 및 농축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C) 후, 건조하는 단계 (D);를 더 포함하여 분자량이 2~20 KDa인 저분자량 베타글루칸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단계 (C) 및 (D)를 포함할 경우 더욱 순수한 저분자량 베타글루칸을 수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베타글루칸을 함유하는 알칼리 용액에 50~200 KGy의 방사선을 조사하여 제조된 분자량이 2~20 KDa인 저분자량 베타글루칸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바람직하게 상처 치유용 또는 피부 노화 방지용일 수 있다. 본 발명으로부터 제조된 저분자량 베타글루칸은 고분자 베타글루칸, 중성 조건하에서 방사선을 조사하여 저분자화된 베타글루칸보다 피부 투과도가 우수하고 더욱 우수한 상처 치유 또는 피부 노화 방지 효과를 발휘한다.
한편,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 예컨대 친수성 또는 친유성 겔화제,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보존제, 항산화제, 용매, 방향제, 충전제, 차단제, 안료, 흡취제 및 염료를 함유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바디로션 또는 바디클린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베타글루칸을 함유하는 알칼리 용액에 50~200 KGy의 방사선을 조사하여 제조된 분자량이 2~20 KDa인 저분자량 베타글루칸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바람직하게 면역 증진용 또는 상처 치유용일 수 있다. 본 발명으로부터 제조된 저분자량 베타글루칸은 고분자 베타글루칸, 중성 조건하에서 방사선을 조사하여 저분자화된 베타글루칸보다 보다 피부 투과도가 우수하고 더욱 우수한 면역 증진 효과 또는 상처 치유 효과를 발휘한다.
한편,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유효성분 이외에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사용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솔비톨, 만니톨, 자이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즈, 폴리비닐피롤리돈, 물, 메틸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가 있으며, 이들은 1종 이상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충진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또는 방부제 등이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제형은 사용방법에 따라 바람직한 형태일 수 있으며, 특히 투여된 후 활성 성분의 신속, 지속 또는 지연된 방출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채택하여 제형화 하는 것이 좋다. 구체적인 제형의 예로는 경고제(PLASTERS), 과립제(GRANULES), 로션제(LOTIONS), 리니멘트제(LINIMENTS), 리모나데제(LEMONADES), 방향수제(AROMATIC WATERS), 산제(POWDERS), 시럽제(SYRUPS), 안연고제(OPHTALMIC OINTMENTS), 액제(LIQUIDS AND SOLUTIONS), 에어로솔제(AEROSOLS), 엑스제(EXTRACTS), 엘릭실제(ELIXIRS), 연고제(OINTMENTS), 유동엑스제(FLUIDEXTRACTS), 유제(EMULSIONS), 현탁제(SUSPESIONS), 전제(DECOCTIONS), 침제(INFUSIONS), 점안제(OPHTHALMIC SOLUTIONS), 정제(TABLETS), 좌제(SUPPOSITIORIES), 주사제(INJECTIONS), 주정제(SPIRITS), 카타플라스마제(CATAPLSMA), 캅셀제(CAPSULES), 크림제(CREAMS), 트로키제(TROCHES), 틴크제(TINCTURES), 파스타제(PASTES), 환제(PILLS), 연질 또는 경질 젤라틴 캅셀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투여량은 투여방법, 사용자의 연령, 성별, 체중 및 질환의 중증도 등을 고려하여 결정하는 것이 좋다. 일예로,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는 유효성분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1일 0.1 내지 100 ㎎/㎏(체중)으로 1회 이상 투여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의 투여량은 예시하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하며, 사용자의 상태에 따라 의사의 처방에 의해 변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알칼리 조건하에서 베타글루칸에 50~200 KGy의 방사선을 조사함으로써 분자량이 2~20 KDa인 저분자량 베타글루칸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베타글루칸은 피부 투과도가 우수하여 더욱 우수한 상처 치유 효과, 피부 노화 방지 효과, 면역 증진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방사선 조사에 의해 분해되어 수득된 베타글루칸의 평균 분자량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저분자량 베타글루칸의 피부 투과도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3은 저분자량 베타글루칸의 면역 조절 효능을 확인한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하기 실시예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와 등가의 기술적 사상의 변형까지를 포함한다.
[ 실시예 1: 베타글루칸을 함유하는 알칼리 용액에 방사선을 조사하여 저분자화된 베타글루칸 제조]
본 실시예에서는 초고분자량의 베타글루칸을 함유하는 알칼리 용액에 방사선을 조사하여 저분자화된 베타글루칸을 제조하였다.
베타글루칸은 치마버섯 자실체를 액체배양하여 얻은 β-1,6-분지-β-1,3-글루칸을 사용하였다. 베타글루칸 10 g을 0.25N NaOH 수용액 990 g에 넣고 강교반하여 용해시킨 후 전자빔을 처리하였다. 그 후, 초순수로 여러 번 세척하여 염 및 불순물을 제거하였다. 그 후, 고압증기멸균기(Autoclave)로 120℃에서 20분간 처리한 다음 건조하여 분해된 베타글루칸을 수득하였다. 하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전자빔의 세기에 따라 실시예 1-1 내지 1-5로 지칭하였다.
구 분 전자빔 세기
(KGy)
분해되어 수득된 베타글루칸 양1 )
(g)
실시예 1-1 30 8.8
실시예 1-2 50 7.6
실시예 1-3 70 5.1
실시예 1-4 100 4.7
실시예 1-5 200 1.2
주: 1) 최초 시료 10 g에서 수득된 양을 제외한 나머지 것은 0.5 KDa 이하의 초저분자 베타글루칸으로 수득을 위한 세척과정에서 유출된 것임.
[ 비교예 1: 베타글루칸을 함유하는 정제수에 방사선을 조사하여 저분자화된 베타글루칸 제조]
본 비교예에서는 초고분자량의 베타글루칸을 함유하는 정제수에 방사선을 조사하여 저분자화된 베타글루칸을 제조하였다.
베타글루칸은 치마버섯 자실체를 액체배양하여 얻은 β-1,6-분지-β-1,3-글루칸을 사용하였다. 베타글루칸 10 g을 정제수 990 g에 넣고 강교반하여 용해시킨 후 전자빔을 처리하였다. 그 후, 고압증기멸균기(Autoclave)로 120℃에서 20분간 처리한 다음 건조하여 분해된 베타글루칸을 수득하였다. 하기 표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전자빔의 세기에 따라 비교예 1-1 내지 1-5로 지칭하였다.
구 분 전자빔 세기
(KGy)
분해되어 수득된 베타글루칸 양1 )
(g)
비교예 1-1 30 9.2
비교예 1-2 50 9.0
비교예 1-3 70 7.3
비교예 1-4 100 5.5
비교예 1-5 200 5.4
주: 1) 최초 시료 10 g에서 수득된 양을 제외한 나머지 것은 0.5 KDa 이하의 초저분자 베타글루칸으로 수득을 위한 세척과정에서 유출된 것임.
[ 실험예 1: 분자량 측정]
본 실험예에서는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저분자화된 베타글루칸의 분자량을 측정하고자 하였다.
분자량 측정은 겔침투 크로마토그래피(GPC, gell permeation chromatography) 기기인 'VP-10AD, RID-10A(shimadzu, Japan)'를 이용하였으며, 컬럼(column)은 울트라하이드로겔(UltrahydrogelTM)120. 250 (7.8 mm×300 mm, Waters, USA)을 사용하였다. 또한, 용출액은 0.2M 염화나트륨 용액을 사용하였으며, 컬럼 온도는 40℃, 유속은 1 ㎖/분으로 하였다. 또한, 분자량 분석을 위한 표준물질로서는 에틸렌글리콜 고분자 (Service Inc., USA)를 사용하였다.
측정결과, 베타글루칸을 함유하는 알칼리 용액에 방사선을 조사 (실시예 1)할 경우, 50 KGy 세기의 방사선으로도 20 KDa 이하의 분자량을 가지는 베타글루칸을 수득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중성 조건하에서는 200 KGy 세기의 방사선을 조사하여도 20 KDa 이하의 분자량을 가지는 베타글루칸을 수득할 수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1). 도 1은 방사선 조사에 의해 분해되어 수득된 베타글루칸의 평균 분자량을 나타낸 것이다.
[ 실험예 2: 피부 투과도 측정]
본 실험예에서는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저분자화된 베타글루칸의 피부 투과도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1) 세포배양
Caco-2 세포를 소태아혈청 10%를 함유한 DMEM에 공(Well)당 3.6×104개를 현탁시켜 24 공(Well)에 접종한 후 면적이 0.33 cm2인 HTS-Transwell 인서트 (Coatar, Cambridge, USA)에서 배양하였다. 또한, 배지에는 100 U/㎖ 페니실린G (Aldrich, USA) 및 100 U/㎖의 스트렙토마이신 (JHA바이오사이언스사, USA)을 포함하였다. 배지는 매 이틀마다 교체해주었으며, 37℃, 상대습도 95% 및 5% CO2 조건하에서 배양하였다. 단층배양은 계대수가 20~40 DL 되는 세포로 약 21일간 진행하였으며, TEER값이 400Ωcm2 이상이 되는 세포만을 선택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TEER값은 Millicell-ERS(Millipore, USA)로 측정하였다.
(2) 저분자화된 베타글루칸의 Caco -2 세포 투과 실험
실험을 수행하기 전에 10 mM HEPES (N-2-hydroxyethylpiperazine N'-2-ethanesulfonic acid, sigma, USA)를 함유하는 HBSS 완충 용액 배지로 교체하였으며, 상층구획과 하층구획이 모두 pH 7.4임을 확인하였다. 단층배양세포는 완충 용액으로 2회 세척하였으며 TEER 값의 보전을 확인 후, 사용하였다.
베타글루칸을 함유하는 알칼리 용액에 방사선을 조사하여 저분자화 한 베타글루칸 (실시예 1)과 베타글루칸을 함유하는 정제수에 방사선을 조사하여 저분자화 한 베타글루칸 (비교예 1)을 각각 500 ㎍/㎖의 농도로 만들어 실험하였다. 상층구획의 용액부피는 0.2 ㎖이고, 하층구획의 용액부피는 0.6 ㎖이며, 37℃에서 2시간 배양하였다. 2시간 후, 하층구획의 베타글루칸 농도를 GPC로 분석하였다.
겔침투 크로마토그래피(GPC, gell permeation chromatography)는 VP-10AD, RID-10A(shimadzu, Japan) 기기를 이용하였으며, 컬럼(column)은 울트라하이드로겔(UltrahydrogelTM)120. 250 (7.8 mm×300 mm, Waters, USA)을 사용하였다. 용출액은 0.2 M 염화나트륨 용액을 사용하였으며, 컬럼온도 40℃, 유속은 1 ㎖/분으로 하였다. 분자량 분석을 위한 표준물질로서는 에틸렌글리콜 고분자 (Service Inc., USA)를 사용하였다.
GPC 분석에 의해 얻어진 Caco-2 세포를 투과한 저분자량 베타글루칸 및 대조군인 고분자량 베타글루칸의 농도를 가지고 세포 투과도를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계산하였다. 또한, 베타글루칸의 분자량에 따른 세포 투과도를 측정한 결과는 하기 표 3 및 도 2와 같았다.
Figure pat00001
시료 무게평균분자량 (Da) 세포 투과도 (%)
초고분자량 베타글루칸 5.17 ×106 0.21±0.84
실시예 1-1 114,000 11.75±1.63
실시예 1-2 16,000 26.91±3.42
실시예 1-3 8,100 39.95±4.18
실시예 1-4 3,700 42.12±2.59
비교예 1-1 492,000 2.32±1.35
비교예 1-2 208,000 5.17±2.22
비교예 1-3 66,000 6.84±1.76
비교예 1-4 34,000 19.54±4.68
실험결과, 저분자량 베타글루칸은 고분자량 베타글루칸보다 세포 투과도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분자량이 낮아짐에 따라 유의적으로 세포 투과도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2). 도 2는 저분자량 베타글루칸의 피부 투과도를 확인한 결과이다.
[ 실험예 3 : 면역 조절 효능 확인 - Dectin -1, TNF -α, IL- mRNA 발현량 조사]
본 실험예에서는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저분자화된 베타글루칸의 면역 조절 효능을 확인하고자 Dectin-1, TNF-α, IL-1β mRNA 발현량을 측정하였다.
60 mm 디쉬에 인간 단핵백혈구인 THP-1 세포를 접종하여 24시간 배양한 뒤, 배양된 세포의 배지를 세럼 프리(serum-free) 배지로 교체하고 시료(초고분자량 베타글루칸, 실시예 1-4, 비교예 1-4)를 농도별 (10, 100 ㎍/㎖)로 처리하여 3시간, 6시간, 12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세포를 TRIzol (Invitrogen, USA)로 모아 제조사의 방법에 따라 'QubitTM fluorometer (Invitrogen, USA)'와 'Qubit RNA BR Assay Kit(Invitrogen,USA)'를 사용하여 RNA를 분리하여 정량하였다.
RT-PCR은 1 ㎍의 RNA와 'A one step RT-PCR Kit(SuperScriptOne-Step, Invitrogen, USA)'를 사용하였고 키트(Kit)의 방법에 의해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PCR 장치는 'ProFlex PCR system (Applied Biosystems, CA, USA)'을 사용하였다. RT-PCR을 실시한 후 반응 산물(reaction product)은 2% 아가로스 겔(Agarose gel, Amresco, USA)에 전기영동한 후 'image anaylysis system (BIO-RAD, USA)'을 이용하여 정량하였다. PCR에 사용된 프라이머(primer)는 코스모진텍사 (Korea)에서 합성하여 사용하였으며 시퀀스(sequence)와 반응조건은 하기 표 4에 기재한 바와 같았다. 또한, Dectin-1, TNF-α, IL-1β mRNA 발현량 측정 결과는 하기 표 5 및 도 3에 나타내었다.
Actin Sense 5'-GAG ACC TTC AAC ACC CCA GCC-3'
Antisense 5'-GGC CAT CTC TTG CTC GAA GTC-3'
반응조건 - 50℃에서 30분간 역전사 후 94℃에서 2분간 역전사 효소를 불활성화
- 94℃ 30초, 60℃ 30초, 72℃ 1분간 30 cycle로 PCR
Dectin-1 Sense 5'-TCA ATG TAA GAG GAA GGG TG-3'
Antisense 5'-GCC AAG CTC TCT AAA CAT TT-3'
반응조건 - 50℃에서 30분간 역전사 후 94℃에서 2분간 역전사 효소를 불활성화
- 94℃ 15초, 52℃ 20초, 72℃ 15초간 40 cycle로 PCR
TNF-α Sense 5'-GGA CGT GGA GCT GGC CGA GG-3'
Antisense 5'-TGG GAG TAG ATG AGG TAC AGG CCC-3'
반응조건 - 50℃에서 30분간 역전사 후 94℃에서 2분간 역전사 효소를 불활성화
- 94℃ 30초, 55℃ 30초, 72℃ 1분간 35 cycle로 PCR
IL-1β Sense 5'-ATG AAG TGC TCC TTC CAG GAC CTG-3'
Antisense 5'-CCT GGA GTG GAG AGC TTC AGT T-3'
반응조건 - 50℃에서 30분간 역전사 후 94℃에서 2분간 역전사 효소를 불활성화
- 94℃ 30초, 66℃ 30초, 72℃ 1분간 40 cycle로 PCR
시간 시료 농도 (㎍/㎖) Dectin-1
(Actin 보정)
TNF-α
(Actin 보정)
IL-1β
(Actin 보정)
Control 100.00 100.00 100.00
3시간 초고분자량
베타글루칸
10 100.48 100.08 103.89
100 101.39 101.49 105.49
실시예1-4 10 104.29 105.48 107.74
100 112.49 113.08 115.51
비교예1-4 10 103.98 103.09 106.44
100 108.95 108.77 109.24
6시간 초고분자량베타글루칸 10 112.52 113.54 114.27
100 118.41 120.67 122.20
실시예1-4 10 138.69 137.11 136.24
100 150.53 148.11 147.02
비교예1-4 10 120.99 120.94 123.76
100 130.34 132.05 134.29
12시간 초고분자량
베타글루칸
10 108.81 109.79 110.77
100 107.67 107.99 108.03
실시예1-4 10 103.79 102.76 100.87
100 101.28 101.45 100.03
비교예1-4 10 107.23 106.37 105.95
100 105.46 105.03 104.99
실험 결과, 초고분자량 베타글루칸, 실시예 1-4, 비교예 1-4 모두 처리 6시간 이후부터 대조군(Control) 대비 Dectin-1, TNF-α, IL-1β 발현이 증가하고 12시간 이후부터는 다시 감소하는 경향을 보임으로써 면역반응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실시예 1-4가 가장 뛰어난 면역 조절 효과를 발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3). 도 3은 저분자량 베타글루칸의 면역 조절 효능을 확인한 결과이다.
상기와 같은 결과로부터, 베타글루칸을 함유하는 알칼리 용액에 방사선을 조사하여 수득한 저분자량 베타글루칸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면역 조절 효과를 발휘할 것을 알 수 있었다.
[ 실험예 4: 섬유아세포 증식 효과 확인 - 노화 방지 또는 상처 치유 효과 확인]
본 실험예에서는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저분자화된 베타글루칸의 섬유아세포 증식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한편, MTT assay는 살아있는 세포의 수를 측정함으로써 세포 증식이나 독성에 많이 사용되는 실험법으로 살아있는 세포는 미토콘드리아 내에서 수용성이고 노란색의 염인 MTT(3-[4,5-dimethylthiazole-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가 숙신산탈수소효소(succinate dehydrogenase 또는 mitochondrialdehydrogenase라고도 불림)에 의해 수불용성인 파란색의 포르마잔(formazan) 유도체로 환원되는 원리를 이용하는 것이다. 생성된 포르마잔(formazan) 유도체는 용해제(보통 dimethylsulfoxide 사용)를 넣고 용해시킨 후 흡광도를 측정한다.
실험방법은 다음과 같았다. 인간 섬유아세포 (ATCC,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Cat. No. CRL-2076)를 5×104 cells/㎖의 농도로 하여 12 웰 플레이트(well plate)에 접종하였다. 배지는 소혈청 10%를 함유한 IMDM (Iscove's Modified Dulbecco's Medium; GIBCO, USA)을 사용하였다. 접종 후 24시간 배양한 뒤, 배양된 세포의 배지를 세럼 프리(serum-free) 배지로 교체하고, 시험 시료 (초고분자량 베타글루칸, 실시예 1-4, 비교예 1-4)를 농도별 (1, 10, 50, 100, 250, 500 ㎍/㎖)로 첨가한 후 72시간 동안 37℃, 5% CO2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였다. 배양이 끝난 세포에 2.5 mg/㎖의 MTT 용액을 10배 희석시킨 배지로 교체하여 반응시킨 후 상등액을 제거하고 DMSO 0.5 ㎖를 첨가하여 생성된 MTT-formazan 결정체를 용해시켜 Infinite M200 ELISA reader (Tecan, Austria)로 5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세포증식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흡광도의 백분율로 나타내었으며, 세포 증식율은 하기의 수학식 2를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또한, 실험결과는 하기 표 6에 나타내었고, 양성대조군으로서 섬유아세포의 증식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FBS(Fetal Bovine Serum, Gibco)를 사용하였다.
Figure pat00002
시료 농도 (㎍/㎖) 세포 증식율 (%) 표준편차
Control 100.00 4.34
FBS 2% 133.88 2.54
초고분자량 베타글루칸 1 100.52 5.91
10 102.65 6.08
50 103.78 2.13
100 104.22 4.14
250 106.24 3.59
500 108.95 0.19
실시예 1-4 1 103.02 3.93
10 108.23 3.43
50 113.00 3.51
100 120.01 2.85
250 127.56 2.15
500 136.11 3.88
비교예 1-4 1 101.87 6.08
10 103.78 0.97
50 105.77 3.72
100 110.47 3.05
250 113.67 1.20
500 119.47 0.82
실험결과, 초고분자량 베타글루칸, 실시예 1-4, 비교예 1-4 모두 섬유아세포 증식 효능을 나타내었지만, 실시예 1-4에서 제조된 저분자량 베타글루칸은 섬유아세포의 증식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FBS의 세포 증식효과와 가장 유사한 효과를 발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은 결과로부터, 베타글루칸을 함유하는 알칼리 용액에 방사선을 조사하여 수득한 저분자량 베타글루칸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피부 노화 방지 또는 상처 치유 효과를 발휘할 것을 알 수 있었다.
[ 제제예 1: 저분자량 베타글루칸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제조]
(1) 유연 화장수 ( 스킨 ) 제조
하기 표 7에 기재된 바와 같이, 실시예 1-4에서 수득한 저분자량 베타글루칸을 함유하는 유연화장수 (스킨)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번호 원 료 함량(중량%)
1 실시예 1-4 1.0
2 글리세린 3.0
3 부틸렌 글리콜 2.0
4 프로필렌 글리콜 2.0
5 폴리옥시에칠렌(60)경화 피마자유 1.00
6 에탄올 10.0
7 트리에탄올아민 0.1
8 방부제 미량
9 색소 미량
10 향료 미량
11 정제수 잔량
(2) 영양 화장수 (로션) 제조
하기 표 8에 기재된 바와 같이, 실시예 1-4에서 수득한 저분자량 베타글루칸을 함유하는 영양 화장수 (로션)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번호 원 료 함량(중량%)
1 실시예 1-4 1.0
2 시토 스테롤 1.70
3 폴리글리세릴 2-올레이트 1.50
4 세테아레스-4 1.2
5 콜레스테롤 1.5
6 디세틸포스페이트 0.4
7 농글리세린 5.0
8 선플라워오일 10.0
9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2
10 산탄검 0.3
11 방부제 미량
12 향료 미량
13 정제수 잔량
(3) 영양크림 제조
하기 표 9에 기재된 바와 같이, 실시예 1-4에서 수득한 저분자량 베타글루칸을 함유하는 영양크림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번호 원 료 함량(중량%)
1 실시예 1-4 1.0
2 시토 스테롤 4.0
3 폴리글리세릴 2-올레이트 3.0
4 세테아레스-4 2.0
5 콜레스테롤 3.0
6 디세틸포스페이트 0.4
7 농글리세린 5.0
8 선플라우어오일 22.0
9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5
10 트리에탄올아민 0.5
11 방부제 미량
12 향료 미량
13 정제수 잔량
(4) 에센스 제조
하기 표 10에 기재된 바와 같이, 실시예 1-4에서 수득한 저분자량 베타글루칸을 함유하는 에센스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번호 원 료 함량(중량%)
1 실시예 1-4 1.0
2 시토 스테롤 1.70
3 폴리글리세릴 2-올레이트 1.50
4 세테아레스-4 2.0
5 콜레스테롤 3.0
6 디세틸포스페이트 0.4
7 농글리세린 5.0
8 선플라우어오일 22.0
9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5
10 트리에탄올아민 0.5
11 방부제 미량
12 향료 미량
13 정제수 잔량
(5) 파운데이션 제조
하기 표 1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실시예 1-4에서 수득한 저분자량 베타글루칸을 함유하는 파운데이션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번호 원 료 함량(중량%)
1 실시예 1-4 1.0
2 밀납 2.0
3 사이크로메치콘 2.0
4 유동파라핀 5.0
5 스쿠알란 5.0
6 스테아린산 2.0
7 친유성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3.0
8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4.0
9 글리세린 4.0
10 프로필렌글리콜 3.0
11 부틸렌글리콜 3.0
12 트리에탄올아민 1.0
13 알루미늄마그네슘실리케이트 0.5
14 안료 12
15 방부제 미량
16 향료 미량
17 정제수 잔량
[ 제제예 2: 저분자량 베타글루칸을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 제조]
하기와 같이, 실시예 1-4에서 수득한 저분자량 베타글루칸을 함유한 피부외용제 (연고)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번호 원 료 함량(중량%)
1 실시예 1-4 0.5
2 백색 바세린 250
3 스테아릴 알콜 220
4 에칠(또는 메칠)p-옥시벤조에이트 0.25
5 프로필렌 글리콜 120
6 라우릴 황산 나트륨 15
7 프로필 p-옥시벤조에이트 0.15

Claims (14)

  1. 베타글루칸을 함유하는 알칼리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A); 및
    상기 단계 (A)에서 제조한 베타글루칸을 함유하는 알칼리 용액에 50~200 KGy의 방사선을 조사하는 단계 (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자량이 2~20 KDa인 저분자량 베타글루칸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의 알칼리 용액의 pH는,
    pH 8~1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자량이 2~20 KDa인 저분자량 베타글루칸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타글루칸을 함유하는 알칼리 용액은,
    베타글루칸을 알칼리 용액에 첨가하여 제조하거나, 베타글루칸을 물에 용해한 후, 알칼리 첨가제를 첨가하여 pH를 알칼리성으로 조정하여 제조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분자량이 2~20 KDa인 저분자량 베타글루칸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타글루칸은,
    β-1,6-분지-β-1,3-글루칸(β-1,6-branched-β-1,3-gluca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자량이 2~20 KDa인 저분자량 베타글루칸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β-1,6-분지-β-1,3-글루칸은,
    버섯류, 곡류 또는 미생물로부터 수득된 베타글루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자량이 2~20 KDa인 저분자량 베타글루칸의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버섯류는,
    치마버섯(Schizophyllum commune F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자량이 2~20 KDa인 저분자량 베타글루칸의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선은,
    감마선 또는 전자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자량이 2~20 KDa인 저분자량 베타글루칸의 제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방사선 조사 후, 세척 및 농축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C) 후, 건조하는 단계 (D);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자량이 2~20 KDa인 저분자량 베타글루칸의 제조방법.
  9. 제1항에 의해 제조된 분자량이 2~20 KDa인 저분자량 베타글루칸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처 치유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노화 방지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2. 제1항에 의해 제조된 분자량이 2~20 KDa인 저분자량 베타글루칸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면역 증진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상처 치유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KR1020150139140A 2015-10-02 2015-10-02 저분자량 베타글루칸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저분자량 베타글루칸을 함유하는 조성물 KR1017306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9140A KR101730619B1 (ko) 2015-10-02 2015-10-02 저분자량 베타글루칸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저분자량 베타글루칸을 함유하는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9140A KR101730619B1 (ko) 2015-10-02 2015-10-02 저분자량 베타글루칸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저분자량 베타글루칸을 함유하는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9935A true KR20170039935A (ko) 2017-04-12
KR101730619B1 KR101730619B1 (ko) 2017-04-26

Family

ID=58580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9140A KR101730619B1 (ko) 2015-10-02 2015-10-02 저분자량 베타글루칸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저분자량 베타글루칸을 함유하는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06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74129A (zh) * 2017-09-04 2018-02-09 珠海伊斯佳科技股份有限公司 裂褶多糖磷酸化衍生物及其制备方法、应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8877B1 (ko) 1999-11-15 2002-03-20 서경배 베타-1, 6-분지-베타-1, 3-글루칸을 함유하는 항염증 및피부자극 완화효과를 갖는 외용제 조성물
KR101140683B1 (ko) 2009-10-23 2012-04-25 한국원자력연구원 방사선 조사에 의한 저 분자량의 베타글루칸의 제조 방법 및 방사선 조사에 의하여 제조된 저 분자량의 베타글루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8877B1 (ko) 1999-11-15 2002-03-20 서경배 베타-1, 6-분지-베타-1, 3-글루칸을 함유하는 항염증 및피부자극 완화효과를 갖는 외용제 조성물
KR101140683B1 (ko) 2009-10-23 2012-04-25 한국원자력연구원 방사선 조사에 의한 저 분자량의 베타글루칸의 제조 방법 및 방사선 조사에 의하여 제조된 저 분자량의 베타글루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74129A (zh) * 2017-09-04 2018-02-09 珠海伊斯佳科技股份有限公司 裂褶多糖磷酸化衍生物及其制备方法、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0619B1 (ko) 2017-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i et al. Purification, characterization and immunomodulatory activity of a novel polysaccharide from Grifola frondosa
Lee et al. Mechanism of macrophage activation induced by polysaccharide from Cordyceps militaris culture broth
Mao et al. Antitumor and immunomodulatory activity of a water-soluble polysaccharide from Grifola frondosa
Li et al. Anti-tumor and immunomodulating activities of proteoglycans from mycelium of Phellinus nigricans and culture medium
KR100847104B1 (ko) 아토피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
Ren et al. Immunomodulatory effects of an acidic polysaccharide fraction from herbal Gynostemma pentaphyllum tea in RAW264. 7 cells
Li et al. Preparation, structure-function relationship and application of Grifola umbellate polysaccharides
KR102144318B1 (ko) 인삼열매 다당체를 포함하는 면역 증강용 조성물
KR101063825B1 (ko) 낙엽진흙버섯으로부터 추출한 항바이러스 활성을 갖는 약학조성물
AU2006273151A1 (en) Compositions comprising fucoidan or a fucoidan hydrolysate and an immuno-stimulating material
Wang et al. Polysaccharides purified from the submerged culture of Ganoderma formosanum stimulate macrophage activation and protect mice against Listeria monocytogenes infection
Wang et al. Improved production and antitumor activity of intracellular protein-polysaccharide from Trametes versicolor by the quorum sensing molecule-tyrosol
Wang et al. Quorum sensing molecule-farnesol increased the production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from Trametes versicolor
KR20160014445A (ko) 효소처리 인삼유래 면역기능 증강용 다당분획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17218B1 (ko) 아스페르길루스 크리스타투스 균주로 발효시킨 발효 콩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용 개선용 조성물
Li et al. Structural characterization of novel comb-like branched α-D-glucan from Arca inflata and its immunoregulatory activities in vitro and in vivo
KR101730619B1 (ko) 저분자량 베타글루칸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저분자량 베타글루칸을 함유하는 조성물
KR101973640B1 (ko) 잎새버섯 자실체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Peng et al. Isolation, characterization and anti-UVB irradiation activity of an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produced by Lacticaseibacillus rhamnosus VHPriobi O17
KR102004150B1 (ko) 아스페르길루스 크리스타투스 균주로 발효시킨 발효 인삼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용 개선용 조성물
Lin et al. Extraction, structure and bioactivities of polysaccharides from Sanghuangporus spp.: A review
SG174111A1 (en) NOVEL ß-GLUCANS ISOLATED FROM HIGHER BASIDIOMYCETES MUSHROOM GANODERMA TSUGAE VAR. JANNIEAE
Jen et al. Comparative anti-inflammatory characterization of selected fungal and plant water soluble polysaccharides
KR20180114782A (ko) 아스페르길루스 크리스타투스 균주로 발효시킨 발효 표고버섯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용 개선용 조성물
KR20180114783A (ko) 아스페르길루스 크리스타투스 균주로 발효시킨 발효 콩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용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