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9337A - 링거 관리 장치, 운영 서버, 및 이들을 포함하는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링거 관리 장치, 운영 서버, 및 이들을 포함하는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9337A
KR20170039337A KR1020150138322A KR20150138322A KR20170039337A KR 20170039337 A KR20170039337 A KR 20170039337A KR 1020150138322 A KR1020150138322 A KR 1020150138322A KR 20150138322 A KR20150138322 A KR 20150138322A KR 20170039337 A KR20170039337 A KR 201700393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er
bed
infusion
patient
in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8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인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인슐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인슐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인슐린
Priority to KR10201501383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39337A/ko
Publication of KR201700393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93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31Monitoring, detecting, signalling or eliminating infusion flow anomalies
    • A61M5/1684Monitoring, detecting, signalling or eliminating infusion flow anomalies by detecting the amount of infusate remaining, e.g. signalling end of infu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77Adjusting flow; Devices for setting a flow 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86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for measuring fluid flow rate, i.e. flowmet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자에게 투여되는 주사액의 잔량 및 진행 상태를 원거리의 관리자가 실시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주사액의 투여 속도을 조절할 수 있는 링거 관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인터페이싱을 통해 NFC 태그에 저장된 침대 아이디를 획득하기 위한 NFC 리더와, 상기 링거 관리 장치에 거치된 용기에 담긴 주사액의 무게를 일정 시간 간격으로 센싱하기 위한 무게 센서와, 상기 NFC 리더로부터 제공된 침대 아이디와 무게 센서로부터 제공된 센싱 값에 기초하여 상기 환자에게 투여되는 주사액의 잔량, 주사액의 투여 속도, 주사액의 주입 경과 시간 및 남은 시간을 계산하는 CPU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링거 관리 장치, 운영 서버, 및 이들을 포함하는 관리 시스템{DEVICE AND OPERATION SEVER FOR MANAGING RINGER, AND MANAGEMENT SYSTEM INCLUDING THE SAME }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스마트 링거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환자에게 투여되는 주사액의 잔량 및 진행 상태를 원거리의 관리자가 실시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주사액의 투여 속도을 조절할 수 있도록 링거 관리 장치, 운영 서버, 및 이들을 포함하는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병원에서는 수액, 약물 또는 혈액 등의 주사액 공급을 위해 정맥 속에 직접 주사 바늘을 삽입하여 주입하는 정맥주사 요법이 사용된다. 정맥주사는 정맥 속에 직접 주사액을 주입하므로 정확하고 빠른 효과가 나타나는 반면, 주사액이 조금이라도 과하게 주입되면 부작용이 생길 수 있고 부족하게 주입되면 약 효과가 제대로 나타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정확한 속도로 주사액이 주입되는 것이 중요하다.
현재, 대부분의 병원에서는 주사액의 투여 시 주입 속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주사액이 공급되는 튜브에 수동 수액조절기를 장착하고 롤러를 돌리며 주사액의 주입 속도를 조절하고 있다. 하지만 수동으로 조절하다보니 조절하는 사람에 따라 주사액의 주입 속도가 일정하지 않고, 동작이 불편한 중증 환자의 경우 스스로 주입 속도를 조절하기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환자가 잠을 자거나 역류를 오랫동안 인식하지 못하면 위험할 수 있으며, 특히 병원에서는 당직 인원이 적어서 소수의 간호사가 직접 돌아다니면서 각 환자마다 주사액을 조절하는데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게 된다. 주사액의 주입이 완료되면 환자나 보호자가 간호사에게 이를 알려야 하거나 혹은 간호사가 수시로 확인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환자에게 투여되는 주사액의 잔량 및 진행 상태를 원거리의 관리자가 실시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주사액의 투여 속도을 조절할 수 있는 링거 관리 장치, 운영 서버, 및 이들을 포함하는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링거 관리 장치는, 인터페이싱을 통해 NFC 태그에 저장된 침대 아이디를 획득하기 위한 NFC 리더와, 상기 링거 관리 장치에 거치된 용기에 담긴 주사액의 무게를 일정 시간 간격으로 센싱하기 위한 무게 센서와, 상기 NFC 리더로부터 제공된 침대 아이디와 무게 센서로부터 제공된 센싱 값에 기초하여 상기 환자에게 투여되는 주사액의 잔량, 주사액의 투여 속도, 주사액의 주입 경과 시간 및 남은 시간을 계산하는 CPU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링거 관리 장치는 유량 조절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량 조절 장치는 링거 관리 장치로부터 수신된 유량 제어 신호에 따라 주사액이 흐르는 튜브에 가해지는 압력을 변화시킴으로써, 주사액의 투여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링거 관리 시스템은, 수액 투여 시 환자의 혈액이 역류하는 경우에 환자가 수면 중이거나 이를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라도 간호사가 컴퓨터를 통해 인지할 수 있기 때문에 문제 처리시간을 감소시켜 환자의 불안감을 해소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원거리에서 무선 통신으로 주사액의 투여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간호사가 일일이 환자를 체크하러 다니지 않아도 되므로 인력 낭비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상세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링거 관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링거 관리 장치와 운영서버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은 채, 제1구성 요소는 제2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 요소는 제1구성 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의 모듈(module)이라 함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각각의 명칭에 따른 기능과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하드웨어를 의미할 수도 있고, 특정한 기능과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의미할 수도 있고, 특정한 기능과 동작을 수행시킬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가 탑재된 전자적 기록 매체, 예컨대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모듈이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또는 상기 하드웨어를 구동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및/또는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링거 관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링거 관리 장치와 운영서버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링거 관리 시스템은 링거 관리 장치(100),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태그(110), 운영 서버(200), 및 관리자 단말기(300)를 포함할 수 있다.
링거 관리 장치(100)와 NFC 태그(110)는 인터페이싱(interfacing), 예컨대 스캔(scan) 또는 비접촉 태깅(contactless tagging)을 통하여 서로 통신할 수 있다.
NFC 태그(110)는 운영 서버(200)로부터 발급된 침대 아이디(BED_ID)를 저장할 수 있고, 링거 관리 장치(100)와의 인터페이싱을 통해 침대 아이디(BED_ID)를 링거 관리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NFC 태그(110)는 병원 내에서 환자를 위해 사용 및 관리되는 침대(10)마다 하나씩 부착될 수 있고, 침대 아이디(BED_ID)는 침대들(10) 각각을 구별하기 위한 식별 코드일 수 있다.
링거 관리 장치(100)는 환자에게 투여될 주사액이 담긴 용기(20)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침대(10) 또는 용기 운반대(미도시)에 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링거 관리 장치(100)는 CPU(130), NFC 리더(140), 무게 센서(150), 및 통신 모듈(160)을 포함할 수 있다. CPU(130)는 NFC 리더(140), 무게 센서(150), 및 통신 모듈(160)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고, NFC 리더(140), 무게 센서(150), 및 통신 모듈(160)과 명령 및/또는 데이터를 주거나 받을 수 있다.
NFC 리더(140)는 인터페이싱, 예컨대 스캔(scan) 또는 비접촉 태깅 (contactless tagging)을 통하여 NFC 태그(110)에 저장된 침대 아이디(BED_ID)를 획득할 수 있다.
예컨대, 관리자는 환자에게 주사액을 투여하기에 앞서 링거 관리 장치(100)에 포함된 NFC 리더(140)를 이용하여 상기 환자가 이용할 침대에 부착된 NFC 태그(110)를 태깅함으로써, 상기 환자의 주사액 관리를 위한 침대 아이디(BED_ID)를 획득할 수 있다. 획득된 침대 아이디(BED_ID)는 CPU(130)의 제어에 따라 운영 서버 (200)로 전송될 수 있다.
무게 센서(150)는 링거 관리 장치(100)에 거치된 용기(20)에 담긴 주사액의 무게를 일정 시간 간격으로 센싱하고, 센싱 값(WG)을 CPU(13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CPU(130)는 무게 센서(150)로부터 제공된 센싱 값(WG)을 침대 아이디 (BED_ID)와 함께 운영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CPU(130)는 무게 센서 (150)로부터 제공된 센싱 값(WG)에 기초하여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고, 처리된 결과를 운영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 처리는 무게 센서(150)로부터 제공된 센싱 값(WG)에 기초하여, 현재 남아있는 주사액의 양, 주사액의 투여 속도, 주사액의 주입 경과 시간 및 남은 시간을 계산하는 것일 수 있다.
통신 모듈(160)은 네트워크를 통해 침대 아이디(BED_ID), 센싱 값(WG), 및/또는 CPU(130)에 의해 처리된 정보를 운영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고, 운영 서버(200)로부터 유량 제어 신호(CR_F)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링거 관리 시스템은 유량 조절 장치(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량 조절 장치(120)는 통신 모듈(160)로부터 유량 제어 신호(CR_F)를 수신하고, 수신된 유량 제어 신호(CR_F)에 따라 주사액이 흐르는 튜브에 가해지는 압력을 변화시킴으로써, 주사액의 투여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장치일 수 있다. 따라서, 유량 조절 장치(120)는, 링거 관리 장치(100)의 제어에 따라, 주사액의 투여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유량 조절 장치(120)는 분당 50ml의 주사액 투여 속도를 분당 10ml의 주사액 투여 속도로 조절할 수도 있다.
도 2에서는 비록 유량 조절 장치(120)가 링거 관리 장치(100)와 분리된 별개의 구성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유량 조절 장치(120)는 링거 관리 장치 (100)와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운영 서버(200)는 링거 관리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환자들 각각에게 투여되는 주사액 정보에 관한 모니터링 서비스와 알람 서비스를 원거리의 관리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운영 서버(200)는 주사액의 잔량 및 진행 상태, 주사액의 경과 시간 및 남은 시간에 관한 대한 모니터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주사액의 교체 시기에 대한 알람 및 주사액 주입 이상 시 긴급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운영 서버(200)는 약물 지급 및 주사 처방 대한 알람을 제공할 수 있고, 주사액 종류를 자동으로 분류하여 관리할 수 있다.
운영 서버(200)는 침대 ID 관리 모듈(210), 주사액 관리 모듈(220), 및 통신 모듈(230)을 포함할 수 있다. 침대 ID 관리 모듈(210)은 병원 내에서 환자를 위해 사용되는 침대마다 고유의 침대 아이디(BED_ID)를 부여하고, 침대 아이디(BED_ID)를 저장하는 NFC 태그를 관리할 수 있다.
주사액 관리 모듈(200)은, 링거 관리 장치(100)로부터 전송된 침대 아이디 (BED_ID)와 전송된 주사액의 무게 정보(WG)에 기초하여, 해당 침대를 이용하는 환자에게 투여된 주사액의 종류, 주사액의 잔량, 경과 시간, 남은 시간, 및 주사액 투여 속도 등을 계산하고, 계산된 결과를 관리자 단말(30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주사액 관리 모듈(200)은 주사액 잔량이 일정량 이하로 떨어지면 해당 주사액의 교체를 알리는 알람 신호를 관리자 단말(3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주사액 관리 모듈(200)은 주사액의 잔량을 지속적으로 체크하여 일정 시간 동안 변화가 없는 경우, 긴급 알람 신호를 관리자 단말(300)로 전송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300)은 병원 내 환자를 관리하는 간호사 등이 사용하는 PC 또는 모바일 컴퓨팅 장치일 수 있다. 관리자 단말(300)은 운영 서버(200)로부터 제공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관리자는 운영 서버(200)로부터 제공된 정보를 모니터링함으로써, 원거리에서 환자에게 투여된 주사액에 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는 특정 환자에게 투여된 주사액의 투여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 신호(CR_F)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 신호(CR_F)를 운영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링거 관리 장치(100)는 운영 서버(200)로부터 전송된 제어 신호(CR_F)에 응답하여 유량 조절 장치(120)의 주사액 투여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링거 관리 장치(100)와 유량 조절 장치(120)는 블루투스 또는 지그비와 같은 근거리 통신을 할 수 있다. 또한, 링거 관리 장치(100)와 유량 조절 장치(120)는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침대
20 : 주사액 용기
100 : 링거 관리 장치
110 : NFC 태그
120 : 유량 조절 장치
130 : CPU
140 : NFC 리더
150 : 무게 센서
160 : 통신모듈
200 : 운영 서버
210 : 침대 ID 관리 모듈
220 : 주사액 관리 모듈
230 : 통신 모듈
300 : 관리자 단말

Claims (2)

  1. 환자에게 투여된 주사액을 관리하기 위한 링거 관리 장치에 있어서,
    인터페이싱을 통해 NFC 태그에 저장된 침대 아이디를 획득하기 위한 NFC 리더와, 상기 링거 관리 장치에 거치된 용기에 담긴 주사액의 무게를 일정 시간 간격으로 센싱하기 위한 무게 센서와, 상기 NFC 리더로부터 제공된 침대 아이디와 무게 센서로부터 제공된 센싱 값에 기초하여 상기 환자에게 투여되는 주사액의 잔량, 주사액의 투여 속도, 주사액의 주입 경과 시간 및 남은 시간을 계산하는 CPU를 포함하는 링거 관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거 관리 장치는 유량 조절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량 조절 장치는 링거 관리 장치로부터 수신된 유량 제어 신호에 따라 주사액이 흐르는 튜브에 가해지는 압력을 변화시킴으로써, 주사액의 투여 속도를 조절하는 링거 관리 장치.


KR1020150138322A 2015-10-01 2015-10-01 링거 관리 장치, 운영 서버, 및 이들을 포함하는 관리 시스템 KR201700393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8322A KR20170039337A (ko) 2015-10-01 2015-10-01 링거 관리 장치, 운영 서버, 및 이들을 포함하는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8322A KR20170039337A (ko) 2015-10-01 2015-10-01 링거 관리 장치, 운영 서버, 및 이들을 포함하는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9337A true KR20170039337A (ko) 2017-04-11

Family

ID=58580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8322A KR20170039337A (ko) 2015-10-01 2015-10-01 링거 관리 장치, 운영 서버, 및 이들을 포함하는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3933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71328A (zh) * 2018-03-27 2018-10-19 哈工大机器人集团有限公司 一种智能输液监护装置、系统及方法
KR20200071897A (ko) 2018-12-11 2020-06-22 폴스타헬스케어(주) IoT 기반의 수액량 모니터링 시스템
CN111956903A (zh) * 2020-08-25 2020-11-20 深圳市群索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nfc技术的输液用监测仪及其使用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71328A (zh) * 2018-03-27 2018-10-19 哈工大机器人集团有限公司 一种智能输液监护装置、系统及方法
KR20200071897A (ko) 2018-12-11 2020-06-22 폴스타헬스케어(주) IoT 기반의 수액량 모니터링 시스템
CN111956903A (zh) * 2020-08-25 2020-11-20 深圳市群索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nfc技术的输液用监测仪及其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362463A1 (en) Infusion system and pump with configurable closed loop delivery rate catch-up
JP6851532B2 (ja) 治療薬剤注入器機を制御するハンドセット機との間の送受信の管理
CN103948986B (zh) 一种用于智慧医疗的输液实时监控系统
AU2014302608B2 (en) Infusion system configured for transfer of data
US9886550B2 (en) Medical pump with operator-authorization awareness
US20180261322A1 (en) Smart syringe: monitoring medical intervention information
US20130144206A1 (en) Medical Device With Contextual Awareness
KR20230035133A (ko) 가정용 의료 장치 시스템
KR101897000B1 (ko) 원격 수액 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격 수액 모니터링 시스템
US20180271753A1 (en) Medication dispensing phone case system
KR20170039337A (ko) 링거 관리 장치, 운영 서버, 및 이들을 포함하는 관리 시스템
KR20170070596A (ko) 링거 관리 장치, 운영 서버, 및 이들을 포함하는 관리 시스템
US9931463B2 (en) Infusion channel identifiers
JP2021041154A (ja) 計数器デバイス
US20240165324A1 (en) Infusion management system
KR20180040043A (ko) 인퓨전 펌프를 이용하여 환자에게 약물을 주입하는 방법, 서버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EP3148611B1 (en) Infusion system and pump with configurable closed loop delivery rate catch-up
WO2024039748A1 (en) Multi-pump closed-loop management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