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9323A - 식습관 정보와 연계한 건강확인용 변기시스템 - Google Patents

식습관 정보와 연계한 건강확인용 변기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9323A
KR20170039323A KR1020150138300A KR20150138300A KR20170039323A KR 20170039323 A KR20170039323 A KR 20170039323A KR 1020150138300 A KR1020150138300 A KR 1020150138300A KR 20150138300 A KR20150138300 A KR 20150138300A KR 20170039323 A KR20170039323 A KR 201700393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health
food
toilet system
ch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8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수
신진영
김준헌
조대명
정태현
Original Assignee
김현수
신진영
정태현
조대명
김준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수, 신진영, 정태현, 조대명, 김준헌 filed Critical 김현수
Priority to KR10201501383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39323A/ko
Publication of KR201700393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93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iophys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습관 정보와 연계한 건강확인용 변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병원을 가지 않고도 평상시에 음식물 섭취와 배변을 통한 건강관리를 간편하게 할 수 있는 방법을 해결하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서구적 식습관으로 인해 대장암을 비롯한 성인질병의 위험이 갈수록 증가하고 있다. 대변은 사람의 건강과 바로 직결이 되며, 병원에서의 종합검사를 받기 전에 대변의 상태만 보고도 사람의 건강상태 확인이 가능 하다. 따라서 사회취약계층으로 분류되는 독거노인이나 요양병원의 환자들에게 배변상태를 통해 건강진단이 가능하다면 위험을 조기에 막을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식습관 정보와 연계한 건강확인용 변기시스템{HEALTH STATE CHECKING TOILET SYSTEM RELATING TO FEEDING BEHAVIOR INFORMATION}
본 발명은 식습관 정보와 연계한 건강확인용 변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병원을 가지 않고도 평상시에 음식물 섭취와 배변을 통한 건강관리를 간편하게 할 수 있는 방법을 해결하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서구적 식습관으로 인해 대장암을 비롯한 성인질병의 위험이 갈수록 증가하고 있다. 대변은 사람의 건강과 바로 직결이 되며, 병원에서의 종합검사를 받기 전에 대변의 상태만 보고도 사람의 건강상태 확인이 가능 하다. 따라서 사회취약계층으로 분류되는 독거노인이나 요양병원의 환자들에게 배변상태를 통해 건강진단이 가능하다면 위험을 조기에 막을 수 있게 된다.
종래의 기술에서는 사용자의 방귀 또는 소변 또는 대변의 상태에 따라 사용자의 식습관 상태 또는 건강 상태를 진단하고, 그 진단 결과를 출력부를 통해 제공하는 건강을 진단하는 다기능 변기시스템을 나타내고 있다.
사용자 진입감지부, 소변분석부, 대변분석부, 방귀분석부 및 분석판단결과 출력부를 포함하는 다기능변기시스템으로서 촬영카메라, 대변영상분석부, 대변색상진단부, 대변양진단부, 검사스틱 이동제어부, 대변잠혈진단부, 카메라이동제어부를 포함하는 다기능변기시스템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또한 기생충패턴정보 저장부, 촬영현미경, 기생충 진단부, 현미경 이동 제어부를 포함하는 다기능 변기시스템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나아가 촬영 카메라, 소변영상분석부, 소변색상진단부, 검사스틱 이동 제어부, 소변출혈진단부 및 카메라 이동제어부를 포함하는 다기능 변기시스템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또한 혈압 측정부, 사용자 무게측정부, 배설물 무게산출부, 데이터베이스, SMS전송부, 통계처리부를 포함하는 다기능변기시스템 기술이 소개된 바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사용자별 정보를 콜센터 서버에 공유되도록 처리하는 중앙처리부를 포함하는 다기능변기시스템을 기술하고 있다.
한국특허 공개번호 2013-0016995호(공개일자: 2013.02.19. 명칭: 건강을 진단하는 다기능 변기시스템)
종래의 기술에서 방귀, 소변, 대변의 색상, 형태, 양을 분석하고 검사스틱과 현미경을 사용하여 잠혈 및 기생충유무를 분석하는 것을 카메라 쵤영만으로 대변의 색상과 형태를 분석하여 건강진단이 가능하도록 하므로서 기술의 구현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진입시 감지하는 기능과 앉으면 무게를 측정하여 배변의 양을 산출하는 기능을 RFID 를 장착하여 사용자를 식별가능하게 하고 사용자의 무게를 측정함으로써 건강이상유무를 체크하는 기능을 갖도록 하므로서 해결할 수 있다.
사용자의 식습관 상태정보, 혈압정보, 무게정보를 통계처리하는 기능과 이 정보를 콜센터 서버에 공유되도록 처리하는 중앙처리부는 식탁위 음식물 섭취정보와 실시간으로 연계하여 정보를 처리하고 이를 중앙서버 혹은 스마트기기에 공유되도록 하므로써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음식물 섭취에 있어 종래의 기술은 음식물 정보 획득수단, 식습관 정보 검출수단, 식습관 관리수단을 포함하는 다중센서를 이용한 식습관 관리장치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는 음식물 종류 판단수단, 음식물 성분 검색수단, 음식물 상태 확인수단, 식사량 측정수단을 포함하는 다중센서를 이용한 식습관 관리장치 기술과 획득한 정보를 벡터로 표현하고 전처리로 학습하는 다중센서를 이용한 식습관 관리장치기술과 감지정보와 영상정보에 있어 특정 구성요소를 포함하도록 기술한 식습관 관리장치기술과 상태정보관리단계, 영상정보획득단계, 식습관정보 검출단계를 바탕으로 다중센서를 이용한 식습관 관리방법과 감지정보 및 영상정보를 비교, 판단, 검색, 파악하고 식사량을 측정하는 다중센서를 이용한 식습관 관리 기술 및 감지정보와 영상정보의 구성요소를 포함한 다중센서를 이용한 식습관 관리 기술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본 기술에서는 식습관 관리장치에 있어, 감지정보와 영상정보를 활용하여 학습정보와 음식물정보를 획득하는 기술과 무관하게 사전학습된 정보와 영상정보를 가지고 음식물에 대한 정보 획득이 가능하도록 한다.
감지정보와 영상정보를 활용하여 식습관 검출수단에 있어 이와는 무관하게 사전학습된 정보와 영상정보를 가지고 식습관 정보 검출이 가능하도록 하며 식습관 정보검출수단에서 검출한 정보를 바탕으로 식습관을 관리하는 기술은 이를 건강관리 다기능 변기시스템과 연계하여 식습관 및 건강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므로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음식물 정보 획득수단으로서 식탁위 음식물 정보를 외부의 영상 촬영 수단에서 촬영한 영상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음식물 정보 획득을 가능하게 하며, 학습정보 관리수단으로서 영상정보에 상응하는 음식물의 종류를 관리를 가능하게 하며, 식습관 정보 검출수단으로서 상기 음식물 정보 획득수단에서 획득한 영상정보에 상응하는 음식물의 종류 및 식사량을 상기 학습정보 관리수단을 이용하여 검출가능하게 한다.
식습관 관리수단으로서 상기 식습관 정보 검출수단에서 검출한 음식물의 종류 및 식사량을 바탕으로 식습관을 관리가능하게 하며, 음식물 종류 판단수단으로서 상기 음식물 정보 획득수단에서 획득한 영상정보와 상기 학습정보 관리수단에서 관리하고 있는 영상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획득한 영상정보에 상응하는 음식물의 종류를 판단가능하게 하며, 데이터베이스는 음식물 종류 및 식사량 기반한 식습관 정보가 저장되며, 영상촬영부는 사용자의 대변의 모습을 촬영하는 카메라로 구성되며, 영상분석부는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대변의 색상, 형태, 양을 판단가능하게 하며, 데이터베이스는 사용자별 건강 진단 결과, 식습관 상태정보가 저장되며, SMS 전송부는 사용자의 건강 진단 결과, 식습관 상태정보가 사용자의 단말기에 SMS로 전송되도록 하며, 통계처리부는 사용자의 건강진단결과 식습관 상태 정보를 사용자의 요구에 맞게 통계처리 한 뒤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처리하며, 중앙처리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사용자별 건강진단결과, 식습관 상태정보를 중앙서버에 공유되도록 처리한다.
본 발명은 배변기에 카메라 모듈을 설치하여 배변상태를 확인 한 후 스마트폰 및 휴대용기기를 통해 서버로 데이터를 전송하여 본인을 비롯한 가족 및 병원등의 전문기관에서 매일매일 건강상태를 체크 할 수 있도록 발명되었다.
추가적인 건강관리를 위해서 식탁위에 카메라모듈을 설치하여 매일 섭취한 음식물의 정보가 서버에 입력이 되고 그와 함께 배변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면 개인별 건강관리시스템이 된다.
본 발명은 식습관 정보와 연계한 건강확인용 변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병원을 가지 않고도 평상시에 음식물 섭취와 배변을 통한 건강관리를 간편하게 할 수 있는 방법을 해결하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종래의 기술에서 방귀, 소변, 대변의 색상, 형태, 양을 분석하고 검사스틱과 현미경을 사용하여 잠혈 및 기생충유무를 분석하는 것을 카메라 쵤영만으로 대변의 색상과 형태를 분석하여 건강진단이 가능하도록 하므로서 기술의 구현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서구적 식습관으로 인해 대장암을 비롯한 성인질병의 위험이 갈수록 증가하고 있다. 대변은 사람의 건강과 바로 직결이 되며, 병원에서의 종합검사를 받기 전에 대변의 상태만 보고도 사람의 건강상태 확인이 가능 하다.
독거노인과 요양병원의 환자는 사회취약계층이다. 이들은 항상 질병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또한 이들이 아플경우 의료보험에서 지원하는 사회적비용과 개인부담역시 커진다. 따라서 본발명의 건강관리시스템을 통해 저렴하게 질병을 예방할 수 있으면 큰 사회적 효과를 가지고 올 수 있다고 판단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스템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음식물 정보 획득수단으로서 식탁위 음식물 정보를 외부의 영상 촬영 수단에서 촬영한 영상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음식물 정보 획득을 가능하게 하며, 학습정보 관리수단으로서 영상정보에 상응하는 음식물의 종류를 관리를 가능하게 하며, 식습관 정보 검출수단으로서 상기 음식물 정보 획득수단에서 획득한 영상정보에 상응하는 음식물의 종류 및 식사량을 상기 학습정보 관리수단을 이용하여 검출가능하게 한다.
식습관 관리수단으로서 상기 식습관 정보 검출수단에서 검출한 음식물의 종류 및 식사량을 바탕으로 식습관을 관리가능하게 하며, 음식물 종류 판단수단으로서 상기 음식물 정보 획득수단에서 획득한 영상정보와 상기 학습정보 관리수단에서 관리하고 있는 영상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획득한 영상정보에 상응하는 음식물의 종류를 판단가능하게 하며, 데이터베이스는 음식물 종류 및 식사량 기반한 식습관 정보가 저장되며, 영상촬영부는 사용자의 대변의 모습을 촬영하는 카메라로 구성되며, 영상분석부는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대변의 색상, 형태, 양을 판단가능하게 하며, 데이터베이스는 사용자별 건강 진단 결과, 식습관 상태정보가 저장되며, SMS 전송부는 사용자의 건강 진단 결과, 식습관 상태정보가 사용자의 단말기에 SMS로 전송되도록 하며, 통계처리부는 사용자의 건강진단결과 식습관 상태 정보를 사용자의 요구에 맞게 통계처리 한 뒤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처리하며, 중앙처리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사용자별 건강진단결과, 식습관 상태정보를 중앙서버에 공유되도록 처리한다.
본 발명은 배변기에 카메라 모듈을 설치하여 배변상태를 확인 한 후 스마트폰 및 휴대용기기를 통해 서버로 데이터를 전송하여 본인을 비롯한 가족 및 병원등의 전문기관에서 매일매일 건강상태를 체크 할 수 있도록 발명되었다.
추가적인 건강관리를 위해서 식탁위에 카메라모듈을 설치하여 매일 섭취한 음식물의 정보가 서버에 입력이 되고 그와 함께 배변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면 개인별 건강관리시스템이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

  1. 음식물 종류 판단수단, 음식물 성분 검색수단, 음식물 상태 확인수단, 식사량 측정수단을 포함하는 식습관 정보 획득 단계;
    상기 획득한 정보를 벡터로 표현하고 전처리로 학습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정보와 전처리로 학습된 정보를 비교하여 식습관을 관리하는 식습관 정보와 연계한 건강확인용 변기시스템
KR1020150138300A 2015-10-01 2015-10-01 식습관 정보와 연계한 건강확인용 변기시스템 KR201700393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8300A KR20170039323A (ko) 2015-10-01 2015-10-01 식습관 정보와 연계한 건강확인용 변기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8300A KR20170039323A (ko) 2015-10-01 2015-10-01 식습관 정보와 연계한 건강확인용 변기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9323A true KR20170039323A (ko) 2017-04-11

Family

ID=58580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8300A KR20170039323A (ko) 2015-10-01 2015-10-01 식습관 정보와 연계한 건강확인용 변기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3932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6995A (ko) 2011-08-09 2013-02-19 장황진 건강을 진단하는 다기능 변기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6995A (ko) 2011-08-09 2013-02-19 장황진 건강을 진단하는 다기능 변기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33430B2 (en) Toilet usage management system and cat toilet
KR102468412B1 (ko) 욕실 환경에 사용하기 위한 바이오 모니터링 장치, 방법 및 시스템
KR101312559B1 (ko) 건강을 진단하는 다기능 변기시스템
EP3159691A1 (en) Feces color detection device
JP6100447B1 (ja) 健康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健康モニタリング方法および健康モニタリングプログラム
JP2018109597A (ja) 健康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健康モニタリング方法および健康モニタリングプログラム
CN105256871A (zh) 智能马桶
US20200100725A1 (en) Toilet sense system for health diagnostics
US20220346720A1 (en) Apparatuses and systems for tracking bowel movement and urination and methods of using same
US20190212322A1 (en) Health monitoring system, health monitoring method, and health monitoring program
JP2008054835A (ja) 健康状態診断システム
TWI669434B (zh) 具有醫療偵測裝置的智慧型馬桶
JP2021015642A (ja) 生体情報取得システム、健康管理サーバーおよびシステム
Donohue et al. Establishing reference values for temporal kinematic swallow events across the lifespan in healthy community dwelling adults using high-resolution cervical auscultation
CN110993043A (zh) 医疗健康管理系统
WO2021132732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端末プログラム
US20180085008A1 (en) Health Metric Validation System
WO2018207711A1 (ja) 健康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健康モニタリング方法および健康モニタリングプログラム
JP6948705B2 (ja) 健康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健康モニタリング方法および健康モニタリングプログラム
TWM553851U (zh) 具有醫療偵測裝置的智慧型馬桶
US20230074448A1 (en) Excrement determination method, excrement determination device,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KR20170039323A (ko) 식습관 정보와 연계한 건강확인용 변기시스템
KR100680678B1 (ko) 배설물측정장치
KR20220041770A (ko)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생체정보 측정 시스템
KR20170039326A (ko) 배변량으로 측정하는 건강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