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8316A -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8316A
KR20170038316A KR1020150137537A KR20150137537A KR20170038316A KR 20170038316 A KR20170038316 A KR 20170038316A KR 1020150137537 A KR1020150137537 A KR 1020150137537A KR 20150137537 A KR20150137537 A KR 20150137537A KR 20170038316 A KR20170038316 A KR 201700383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demo
electronic device
external devic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7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5086B1 (ko
Inventor
박준원
고재호
권현정
이혜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375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5086B1/ko
Priority to US15/283,261 priority patent/US9936334B2/en
Publication of KR201700383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83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50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50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60Subscription-based services using application servers or record carriers, e.g. SIM application toolk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software upgrading or downloa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0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2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games or graphical anim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무선 통신 모듈, 디스플레이, 메모리, 및 상기 무선 통신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및 상기 메모리와 기능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컨텐츠를 위한 가이드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 하고, 상기 가이드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컨텐츠 다운로드 또는 컨텐츠 실행을 판단하고, 컨텐츠 실행에 응답하여, 외부 장치로부터 데모 컨텐츠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하고, 컨텐츠 다운로드에 응답하여,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컨텐츠를 다운로드 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ELECTRONIC DEVICE AND OPERATING MEHTOD THEREOF}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사용자 경험(UX, User Experience)에 기반하여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무선 기술의 발달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는 유선 네트워크가 무선 네트워크로 대체되고 있다. 즉, 유선 네트워크가 가지고 있는 이동성 제약을 무선 기술로 해결할 수 있게 되므로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많은 기술들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전자 장치는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외부 서버(예: 컨텐츠 서버, 스토어 서버, 마켓 서버 등)에 접속하여 다양한 컨텐츠(예: 게임, 어플리케이션, 동영상 등)를 다운로드 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다운로드된 컨텐츠를 전자 장치에 설치(또는 저장)하여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다양한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들은 관심 컨텐츠(예: 새로운 게임)를 외부 서버 내에서 검색(탐색)하고, 검색된 컨텐츠를 외부 장치로부터 다운로드 후 설치하여 사용(예: 플레이(play))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컨텐츠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관심 컨텐츠를 검색하여 전자 장치에 설치한 후에야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외부 서버에서 제공되는 컨텐츠는 그 순위(예: 게임 순위)가 자주 변경되지 않으므로, 사용자의 관심 컨텐츠(예: 신규 게임)에 대한 검색(탐색)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관심 컨텐츠를 검색했다고 하더라도, 관심 컨텐츠에 대한 정보가 매우 한정적이므로, 사용자는 검색된 관심 컨텐츠가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컨텐츠와 실제 일치하는지 판단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서버에서는 컨텐츠에 대해 사용자 리뷰, 스크린샷, 관련 영상 등의 단편적인 정보만을 제공하고 있는 실정이며, 사용자가 이로부터 해당 컨텐츠가 사용자가 실제 원하는 컨텐츠인지 여부를 판단(결정)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사용자가 컨텐츠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컨텐츠 검색(탐색) -> 다운로드 및 설치 -> 플레이 -> 전자 장치 내에서 실행 등의 단계를 반드시 거쳐야 해당 컨텐츠의 사용 여부를 최종 판단(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자 장치에 설치한 컨텐츠를 실행한 후에 사용자 경험에 따라, 해당 컨텐츠가 사용자가 원하는 컨텐츠가 아닌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전자 장치에서 해당 컨텐츠를 삭제(제거)하고, 다시 상기의 절차를 반복하여 다른 컨텐츠를 경험한 후 결정하는 등의 복잡한 검증 과정을 수행해야 한다. 이는 다양한 또는 다수의 컨텐츠를 전자 장치에 설치하고자 하는 니즈(needs)가 있는 사용자에게는 매우 번거로운 과정이며 사용자에게 불편을 초래하고, 전자 장치에서도 설치 및 삭제의 반복으로 인하여 전자 장치에 설치된 다양한 컨텐츠(예: 운영체제, 게임, 어플리케이션 등)의 사용 시 그 동작이 느려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사용자의 컨텐츠 사용 히스토리(history)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컨텐츠 추천할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추천된 컨텐츠에 대해 사용자 경험(UX, User Experience)에 의해 선택적으로 다운로드 및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사용자가 전자 장치를 통해, 전자 장치에 설치되지 않은 컨텐츠를 클라우드 기반으로 미리 경험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에 설치되지 않은 컨텐츠를 클라우드 기반으로 경험할 시, 해당 컨텐츠의 다운로드, 동일 카테고리의 다른 컨텐츠의 빠른 탐색을 지원할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무선 통신 모듈, 디스플레이, 메모리, 및 무선 통신 모듈, 디스플레이 및 메모리와 기능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컨텐츠를 위한 가이드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 하고, 가이드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컨텐츠 다운로드 또는 컨텐츠 실행을 판단하고, 컨텐츠 실행에 응답하여, 외부 장치로부터 데모 컨텐츠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하고, 컨텐츠 다운로드에 응답하여, 외부 장치로부터 컨텐츠를 다운로드 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무선 통신 모듈, 메모리, 및 무선 통신 모듈과 메모리와 기능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외부 장치의 데모 컨텐츠 요청에 응답하여, 데모 컨텐츠를 외부 장치에 스트리밍 전송하고, 데모 컨텐츠의 스트리밍 전송 중에 데모 컨텐츠의 사용 중지 여부를 검출하고, 데모 컨텐츠의 사용 중지를 결정하면, 데모 컨텐츠의 스트리밍을 중지하고, 데모 컨텐츠의 스트리밍 중지 이후, 컨텐츠 요청을 감지하면, 컨텐츠 요청에 대응하여 컨텐츠 다운로드, 컨텐츠 내비게이션 또는 컨텐츠 라이크 등록을 처리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컨텐츠를 위한 가이드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 가이드 인터페이스에 기반하여 사용자 입력을 검출하는 과정,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컨텐츠 다운로드 또는 컨텐츠 실행을 판단하는 과정, 컨텐츠 실행에 응답하여, 외부 장치로부터 데모 컨텐츠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 컨텐츠 다운로드에 응답하여, 외부 장치로부터 컨텐츠를 다운로드 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외부 장치의 데모 컨텐츠 요청에 응답하여, 데모 컨텐츠를 외부 장치에 스트리밍 전송하는 과정, 데모 컨텐츠의 스트리밍 전송 중에 데모 컨텐츠의 사용 중지 여부를 검출하는 과정, 데모 컨텐츠의 사용 중지를 결정하면, 데모 컨텐츠의 스트리밍을 중지하는 과정, 및 데모 컨텐츠의 스트리밍 중지 이후, 컨텐츠 요청을 감지하면, 컨텐츠 요청에 대응하여 컨텐츠 다운로드, 컨텐츠 내비게이션 또는 컨텐츠 라이크 등록을 처리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상기 방법을 프로세서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은, 사용자의 컨텐츠 사용 히스토리(history)에 기반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컨텐츠를 추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사용자는 추천된 컨텐츠(예: 게임)에 대해 전자 장치에 다운로드 및 설치하기 이전에 사용자 경험(UX, User Experience)으로 미리 체험한 후 해당 컨텐츠의 설치 여부를 보다 효과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사용자는 전자 장치에 설치되지 않은 컨텐츠를 전자 장치에 설치 이전에 클라우드 기반으로 미리 경험할 수 있고, 컨텐츠의 설치 전에 미리 경험하는 중에 해당 컨텐츠의 다운로드의 라이크(like), 또는 실시간 다운로드를 보다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컨텐츠를 미리 경험하는 중에 동일 카테고리의 다른 컨텐츠를 보다 빠르고 편리하게 탐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사용자 경험에 의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 및 전자 장치를 구현함으로써, 컨텐츠 사용을 위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그에 따라 전자 장치의 사용성, 편의성, 접근성 및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시스템에서 컨텐츠를 제공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 도 5,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유저 인터페이스의 예시를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데모 컨텐츠를 실행하는 화면 예시를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위시 리스트의 예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예시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예시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서버의 동작 예시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는 개시된 기술 내용의 설명 및 이해를 위해 제시된 것이며, 본 발명에서 기재된 기술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모든 변경 또는 다양한 다른 실시 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제안하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사용자 경험(UX, User Experience)에 기반하여 컨텐츠를 선택적으로 다운로드하여 설치하도록 지원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전자 장치와 외부 서버(예: 컨텐츠 서버, 클라우드 서버, 스토어 서버, 마켓 서버 등)와 연동하여, 클라우드 기반으로 컨텐츠를 제공하고, 클라우드 기반의 컨텐츠를 사용자 경험에 의해 미리 체험한 후 컨텐츠의 실제 설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컨텐츠는 게임, 어플리케이션, 동영상 등 전자 장치에 다운로드 또는 설치하여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외부 장치는 컨텐츠를 스트리밍(streaming) 방식으로 전자 장치에 제공될 수 있고,
이하의 설명에서, 컨텐츠는 게임, 어플리케이션, 동영상 등 전자 장치에 다운로드 또는 설치하여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용어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와 통신 가능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통신 인터페이스(예: 이동통신 모듈, 무선 랜 모듈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전자 장치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기능(예: 사용자 경험 기반의 컨텐츠 제공 기능)을 지원하는 다양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면, AP(application processor)), CP(communication processor), GPU(Graphic Processing Unit), 및 CPU(central processing unit) 등의 다양한 프로세서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사용하는 모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영상 전화기, 전자책 리더기(e-book read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카메라(camera),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예: 스마트 안경,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등), 전자 의복, 전자 팔찌, 전자 목걸이, 전자 앱세서리(appcessory), 또는 스마트 와치(smart watch))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스마트 가전 제품(smart home appliance)일 수 있다. 스마트 가전 제품은, 예를 들면, 텔레비전, DVD(digital video disk) 플레이어, TV 박스(예: 삼성 HomeSyncTM, 애플TVTM, 또는 구글 TVTM), 게임 콘솔(예: XboxTM, PlayStationTM), 캠코더(camcorder), 또는 전자 액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자동차 인포테인먼트(infotainment) 장치, 또는 사물 인터넷 장치(internet of thing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전자 장치는 전술한 다양한 장치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 전자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기술 발전에 따른 새로운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자라는 용어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사람 또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장치(예: 인공지능 전자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모듈 또는 프로그램 모듈은 본 발명의 다양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거나, 일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모듈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heuristic)한 방법으로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동작은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이하에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이 하기에서 기술하는 내용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하기의 실시 예에 의거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에 적용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시스템은 서버(100), 네트워크(200), 그리고 전자 장치(30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서버(100)는 전자 장치(300)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다양한 서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버(100)는 통합 서버(integration server), 프로바이더 서버(provider server), 컨텐츠 서버(content server), 인터넷 서버(internet server), 또는 클라우드 서버(cloud server) 등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서버(100)는 전자 장치(300)의 요청에 대응하여 컨텐츠 또는 데모 컨텐츠(demo contents)를 전자 장치(300)에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데모 컨텐츠는 전자 장치에 실제 컨텐츠를 다운로드하여 설치하기 이전에 사용자가 해당 컨텐츠를 미리 직접 체험(예: 사용자 경험)할 수 있는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데모 컨텐츠는 완전한 실제 컨텐츠와 별도로 생성되어 제공되거나, 또는 실제 컨텐츠의 일부분(예: 일정 구간, 일정 시간(예: N분, N은 자연수)) 사용(예: 플레이) 가능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서버(100)는 다양한 컨텐츠들을 저장 및 관리하고, 전자 장치(300)에 다양한 컨텐츠들을 직접 제공할 수 있는 하나의 서버(110)(예: 통합 서버 또는 클라우드 서버 등)로 구현할 수 있다. 또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서버(100)는 실질적인 컨텐츠(예: 데모 컨텐츠 포함)를 제공하는 다른 외부 서버(130)(예: 프로바이더 서버, 컨텐츠 서버 등)와, 다른 외부 서버(130)와 네트워크(150)(예: 무선 네트워크,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다른 외부 서버(130)로부터 컨텐츠를 제공받고, 제공된 컨텐츠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300)에 추천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 및 데모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 등의 서비스 측면을 제공하는 서버(110)(예: 통합 서버, 관리 서버)로 구현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서버(110)은 네트워크(150)을 통해 컨텐츠 서버(예: 제1 컨텐츠 서버(131), 제2 컨텐츠 서버(132), 제3 컨텐츠 서버(133), 제4 컨텐츠 서버(134) 등)으로부터 각각의 컨텐츠를 수신하여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서버들의 조합에 의해 본 발명의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으며, 이하 설명에서는, 하나의 서버(100)로 통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전자 장치(300)는 네트워크(200)(예: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100)에 접속(연결)할 수 있고, 서버(100)로부터 컨텐츠를 다운로드 하여 저장 또는 설치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전자 장치(300)는 서버(100)로부터 데모 컨텐츠를 스트리밍 방식으로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데모 컨텐츠를 스트리밍으로 출력(예: 디스플레이, 오디오 출력 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전자 장치(300)는 서버(100)와 연동하여 실제 컨텐츠를 다운로드 하여 설치하기 전, 데모 컨텐츠의 사용자 경험을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를 제공할 수 있다. 전자 장치(300)는 유저 인터페이스에 기반으로 사용자와의 인터랙션(interaction)을 수행하고, 인터랙션에 따른 데이터(또는 신호)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서버(100)와 송수신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시스템에서 컨텐츠를 제공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300)는, 동작 201에서, 사용자 입력을 기반으로 서버(100)에 접속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전자 장치(300)는 서버(100)에 접속할 시 서버(100)에서 제공하는 컨텐츠(예: 게임, 어플리케이션 등)의 리스트 화면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사용자는 컨텐츠의 리스트에서 사용자가 희망하는 카테고리(예: 게임)의 컨텐츠를 검색(탐색)할 수 있다. 전자 장치(300)는 컨텐츠의 검색(탐색)을 위한 사용자 입력(예: 카테고리 선택)에 대응하는 컨텐츠 리스트의 전송을 서버(100)에 요청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300)는 리스트에서 특정 카테고리 항목(예: 게임 항목)이 선택될 시 선택된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신호를 서버(100)에 전송할 수 있다.
서버(100)는, 동작 203에서, 컨텐츠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전자 장치(30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예: 사용자 선택에 대응하는 카테고리)를 식별할 수 있다. 서버(100)는 식별된 카테고리(예: 장르)의 컨텐츠(예: 액션 게임)를 추천 컨텐츠로 추출하고, 동작 205에서, 추출된 추천 컨텐츠의 컨텐츠 리스트를 전자 장치(300)에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서버(100)는 전자 장치(300)의 사용자의 컨텐츠 사용(예: 다운로드 또는 플레이 데이터 등)에 대한 히스토리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서버(100)는 전자 장치(300)이 접속될 시 전자 장치(300)에 대응하는 히스토리 정보를 판단하고, 히스토리 정보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300)의 사용자에게 적합한 추천 컨텐츠를 자동으로 추출하여 컨텐츠 리스트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300)는 사용자의 컨텐츠 사용에 대한 히스토리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고, 서버(100)에 접속 시 히스토리 정보를 서버(100)에 제공할 수 있다. 서버(100)는 전자 장치(300)로부터 수신된 히스토리 정보에 기반하여 추천 컨텐츠의 컨텐츠 리스트를 제공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서버(100)는 전자 장치(300)의 접속에 응답하여 서버(100)가 저장 및 관리하는 모든 컨텐츠들에 대한 컨텐츠 리스트를 전자 장치(300)에 제공할 수도 있다.
전자 장치(300)는, 동작 207에서, 컨텐츠 리스트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300)는 서버(100)가 제공하는 추천 컨텐츠의 컨텐츠 리스트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컨텐츠 리스트의 리스트 화면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300)는 사용자의 컨텐츠 사용에 대한 히스토리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전자 장치(300)는 서버(100)가 저장 및 관리하는 모든 컨텐츠들에 대한 컨텐츠 리스트를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300)는 히스토리 정보에 기반하여, 수신된 컨텐츠 리스트에서 추천 컨텐츠를 추출할 수 있고, 추천 컨텐츠에 기반하여 컨텐츠 리스트를 재구성한 후 디스플레이 할 수도 있다.
전자 장치(300)는, 동작 209에서, 컨텐츠 리스트에서 컨텐츠 선택을 감지하면, 동작 211에서, 컨텐츠 정보 전송을 위한 요청을 서버(100)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된 컨텐츠 리스트에서, 특정 컨텐츠를 선택(예: 터치)할 수 있다. 전자 장치(300)는 컨텐츠 리스트에서 특정 컨텐츠의 선택(예: 터치)을 감지하면, 선택된 컨텐츠의 컨텐츠 정보 요청을 서버(100)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300)는 디스플레이된 컨텐츠 리스트에서 특정 컨텐츠의 선택에 응답하여, 컨텐츠 선택 신호를 서버(100)에 전송할 수 있다.
서버(100)는, 동작 213에서, 가이드 인터페이스(guide interface)를 구성할 수 있고, 동작 215에서, 가이드 인터페이스를 전자 장치(300)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버(100)는 전자 장치(300)로부터 수신된 선택 신호에 대응하는 컨텐츠(요청된 컨텐츠)를 식별할 수 있고, 식별된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상세 정보(예: 컨텐츠 설명, 사용자 리뷰, 스크린 샷, 관련 영상 등의 정보)와 컨텐츠 사용 제어와 관련된 다양한 제어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가이드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제어 오브젝트는 해당 컨텐츠의 다운로드 이전에 미리 체험할 수 있는 즉, 사용자 경험을 수행할 수 있는 오브젝트(object)(예: 플레이 버튼 또는 체험 버튼)와, 컨텐츠 리스트 내의 다른 컨텐츠들 간의 내비게이션(navigation)을 위한 오브젝트(예: 이전 컨텐츠로 전환을 위한 이전 버튼, 다음 컨텐츠로 전환을 위한 다음 버튼), 해당 컨텐츠의 다운로드 또는 설치를 위한 오브젝트(예: 다운로드 버튼, 설치(install) 버튼), 또는 해당 컨텐츠의 라이크(like)(예: 이후 다운로드를 위한 담아두기 기능) 선택을 위한 오브젝트(예: 라이크 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가이드 인터페이스는 컨텐츠 리스트를 제공하는 시점, 또는 그 이전에 미리 구성되어 서버(100)에 저장될 수 있고, 서버(100)는 수신된 선택 신호에 대응하는 가이드 인터페이스를 검색하여 전자 장치(300)에 제공할 수도 있다.
전자 장치(300)는, 동작 217에서, 서버(100)로부터 수신된 가이드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300)는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상세 정보(예: 컨텐츠 설명, 사용자 리뷰, 스크린 샷, 관련 영상 등의 정보) 및 컨텐츠 제어와 관련된 제어 오브젝트(예: 이전 버튼, 다음 버튼, 플레이 버튼, 다운로드 버튼, 라이크 버튼 등을 포함하는 제어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가이드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전자 장치(300)는, 디스플레이된 가이드 인터페이스에서 컨텐츠 사용을 감지하면, 동작 221에서, 데모 컨텐츠 실행을 위한 요청을 서버(100)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된 가이드 인터페이스에서 해당 컨텐츠의 다운로드 이전에 사용자 경험(예: 미리 체험)을 수행하기 위해 플레이 버튼을 선택(예: 터치)할 수 있다. 전자 장치(300)는 가이드 인터페이스에서 플레이 버튼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면, 사용자 입력을 다운로드 이전에 해당 컨텐츠를 경험하기 위한 데모 컨텐츠 실행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전자 장치(300)는 데모 컨텐츠 실행을 판단하는 것에 기반하여 컨텐츠에 대응하는 데모 컨텐츠의 실행을 서버(100)에 요청할 수 있다.
서버(100)는, 동작 223에서, 데모 컨텐츠를 구성할 수 있고, 동작 225에서, 데모 컨텐츠를 전자 장치(300)에 스트리밍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버(100)는 전자 장치(300)로부터 데모 컨텐츠 실행 요청을 수신(감지)하면, 컨텐츠에 대응하는 데모 컨텐츠를 컨텐츠에 기반하여 생성하거나, 또는 컨텐츠에 대응하여 미리 구성된 데모 컨텐츠를 검색하여, 전자 장치(300)에 스트리밍 서비스로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데모 컨텐츠는 실제 컨텐츠에 기반하여 실제 컨텐츠의 일정 구간 사용 또는 일정 시간 사용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데모 컨텐츠에 대한 스트리밍 서비스는, 컨텐츠를 전자 장치(300)에 다운로드 없이 실시간으로 플레이할 수 있는 클라우드 기반의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300)는, 동작 227에서, 서버(100)에서 스트리밍 전송되는 데모 컨텐츠를 스트리밍으로 수신하고, 수신된 데모 컨텐츠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전자 장치(300)는, 동작 229에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전자 장치(300)를 통해 디스플레이 중인 데모 컨텐츠(예: 게임 데모 컨텐츠)의 동작(예: 게임 플레이)을 위한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300)는 게임 데모 컨텐츠의 실행 화면에서 게임 조작을 위한 조작 버튼들을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는 조작 버튼을 이용하여 게임 플레이를 위한 다양한 조작을 입력할 수 있다.
전자 장치(300)는, 동작 231에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조작 신호를 서버(100)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실행) 중인 데모 컨텐츠에서, 특정 조작 버튼을 선택(예: 터치)할 수 있다. 전자 장치(300)는 실행 중인 데모 컨텐츠에서 특정 조작 버튼의 선택(예: 터치)을 감지하면, 선택된 조작 버튼에 대응하는 조작 신호(선택 신호)를 서버(100)에 전송할 수 있다.
서버(100)는, 동작 233에서, 전자 장치(300)로부터 조작 신호를 수신하면, 수신된 조작 신호에 대응하여 데모 컨텐츠의 제어를 위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버(100)는 스트리밍 중인 게임 데모 컨텐츠에서 수신된 조작 신호에 대응하게 동작(예: 플레이)를 처리(반영)할 수 있다.
서버(100)는, 동작 235에서, 조작 신호에 따라 동작이 처리(반영)된 데모 컨텐츠를 전자 장치(300)에 스트리밍 전송할 수 있다.
전자 장치(300)는, 동작 237에서, 조작 신호에 따라 동작이 처리(반영)되어 스트리밍 전송되는 데모 컨텐츠를 스트리밍으로 수신하고, 수신된 데모 컨텐츠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동작 227, 동작 229, 동작 231, 동작 233, 동작 235, 동작 237은 데모 컨텐츠에 정해진 범위(예: 구간, 기간, 시간 등)의 만료(expiration), 데모 컨텐츠 사용에 대한 사용자에 의한 종료(end)(또는 완료(completion)) 이전까지 반복하여 수행될 수 있다.
전자 장치(300)는, 동작 239에서,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데모 컨텐츠의 종료 요청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데모 컨텐츠에 기반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사용자 경험에 기반하여 데모 컨텐츠의 대응하는 실제 컨텐츠의 다운로드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사용자는 데모 컨텐츠에 의해 실제 컨텐츠의 다운로드 결정 시 다운로드를 위한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컨텐츠를 실시간으로 다운로드 하여 설치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실제 컨텐츠의 다운로드 결정 시, 컨텐츠들의 내비게이션 이후에 일괄적으로 다운로드 하기 위해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해당 컨텐츠를 다운로드 대상으로 등록(예: 라이크) 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실제 컨텐츠의 다운로드를 결정하지 않고, 다른 컨텐츠의 검색(탐색)을 위해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다른 컨텐츠(예: 다른 컨텐츠의 가이드 인터페이스)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내비게이션(예: 화면 전환)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300)는, 상기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면 해당 동작을 처리할 수 있고, 또한 사용자 입력을 실행 중인 데모 컨텐츠의 종료 요청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전자 장치(300)는, 동작 241에서, 데모 컨텐츠의 종료를 위한 요청을 서버(100)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300)는 데모 컨텐츠의 실행 중에 데모 컨텐츠의 종료를 위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데모 컨텐츠의 종료를 위한 종료 신호를 서버(100)에 전송할 수 있다.
서버(100)는, 동작 243에서, 전자 장치(300)로부터 데모 컨텐츠의 종료 신호를 수신하면, 수신된 종료 신호에 대응하여 데모 컨텐츠의 스트리밍을 중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서버(100)는 데모 컨텐츠의 스트리밍 중지 시 종료 신호 수신 시점에서 데모 컨텐츠의 스트리밍을 중지하고, 데모 컨텐츠가 중지된 화면에 가이드 인터페이스를 구성하여 전자 장치(300)에 제공할 수 있다. 또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서버(100)는 데모 컨텐츠의 스트리밍 중지 시 수행된 동작 결과의 인터페이스를 생성하여 전자 장치(300)에 제공할 수도 있다.
서버(100)는, 동작 245에서, 전자 장치(300)의 종료 요청에 대응하여 데모 컨텐츠에 대한 종료 응답을 전자 장치(300)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버(100)는 데모 컨텐츠의 스트리밍을 중지하고, 중지된 데모 컨텐츠의 중지 화면에 컨텐츠 제어와 관련된 제어 오브젝트를 포함하여 전자 장치(300)에 전송할 수 있다.
전자 장치(300)는, 동작 247에서, 제어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데모 컨텐츠 중지 화면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300)는 데모 컨텐츠의 중지 화면에 제어 오브젝트를 포함하여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300)는 전술한 동작 215에서와 같은 가이드 인터페이스로 전환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이후, 전자 장치(300)는 제어 오브젝트에 기반하여 검출되는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실제 컨텐츠의 다운로드, 이후 실제 컨텐츠의 다운로드를 위한 라이크 등록, 이전 컨텐츠 또는 다음 컨텐츠의 내비게이션 등에 대응하는 해당 동작을 처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데모 컨텐츠의 실행 중지는, 전자 장치(300)의 요청이 아닌, 서버(100)에서 판단하여 처리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서버(100)는 데모 컨텐츠를 스트리밍 전송 중에, 데모 컨텐츠에 정해진 범위(또는 구간, 기간, 시간 등)의 만료를 감지하면, 데모 컨텐츠의 스트리밍 중지를 결정할 수 있다. 서버(100)는 데모 컨텐츠의 스트리밍 중지를 결정할 시, 동작 243에 대응하는 동작을 처리할 수 있고, 전자 장치(300)에 데모 컨텐츠의 중지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300)는, 무선 통신 모듈, 디스플레이, 메모리, 및 무선 통신 모듈, 디스플레이 및 메모리와 기능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컨텐츠를 위한 가이드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 하고, 가이드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컨텐츠 다운로드 또는 컨텐츠 실행을 판단하고, 컨텐츠 실행에 응답하여, 외부 장치로부터 데모 컨텐츠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하고, 컨텐츠 다운로드에 응답하여, 외부 장치로부터 컨텐츠를 다운로드 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데모 컨텐츠는, 컨텐츠의 다운로드 이전에, 컨텐츠의 사용을 미리 체험할 수 있도록 외부 장치에서 스트리밍 전송되는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가이드 인터페이스는, 컨텐츠에 대응하는 컨텐츠 상세 정보와 컨텐츠 사용 제어와 관련된 제어 오브젝트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제어 오브젝트는,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 경험을 수행할 수 있는 제1 오브젝트, 컨텐츠 리스트 내의 다른 컨텐츠들 간의 내비게이션(navigation)을 위한 제2 오브젝트, 컨텐츠의 다운로드를 위한 제3 오브젝트, 컨텐츠의 라이크(like) 선택을 위한 제4 오브젝트, 및 제어 오브젝트의 토글을 위한 제5 오브젝트를 포함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프로세서는, 제1 오브젝트에 의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면, 컨텐츠에 대응하는 데모 컨텐츠를 외부 장치에 요청하고, 외부 장치로부터 데모 컨텐츠의 스트리밍 수신에 의해 컨텐츠 실행을 제공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프로세서는, 제1 오브젝트에 의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면, 가이드 인터페이스를 데모 컨텐츠의 실행 화면으로 전환하고, 데모 컨텐츠의 실행 중에 외부 장치와 연동하여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신호 송수신을 처리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프로세서는, 제2 오브젝트에 의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면, 외부 장치와 연동하여, 컨텐츠의 이전 컨텐츠 또는 다음 컨텐츠의 가이드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설정되고, 제3 오브젝트에 의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면, 외부 장치와 연동하여, 컨텐츠를 다운로드 하도록 설정되고, 및 제4 오브젝트에 의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면, 외부 장치와 연동하여, 컨텐츠의 위시 리스트 등록을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서버(100)는, 무선 통신 모듈, 메모리, 및 무선 통신 모듈과 메모리와 기능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외부 장치의 데모 컨텐츠 요청에 응답하여, 데모 컨텐츠를 외부 장치에 스트리밍 전송하고, 데모 컨텐츠의 스트리밍 전송 중에 데모 컨텐츠의 사용 중지 여부를 검출하고, 데모 컨텐츠의 사용 중지를 결정하면, 데모 컨텐츠의 스트리밍을 중지하고, 데모 컨텐츠의 스트리밍 중지 이후, 컨텐츠 요청을 감지하면, 컨텐츠 요청에 대응하여 컨텐츠 다운로드, 컨텐츠 내비게이션 또는 컨텐츠 라이크 등록을 처리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프로세서는, 외부 장치 사용자의 컨텐츠 사용에 대한 히스토리 정보에 기반하여 추천 컨텐츠의 컨텐츠 리스트를 외부 전자 장치에 제공하도록 설정되고, 컨텐츠 리스트에 기반하여 컨텐츠 다운로드 또는 데모 컨텐츠 실행 요청을 수신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프로세서는, 데모 컨텐츠 실행 요청을 수신하면, 컨텐츠에 대응하는 데모 컨텐츠를 컨텐츠에 기반하여 생성하거나, 또는 컨텐츠에 대응하여 미리 구성된 데모 컨텐츠를 검색하고, 생성되거나 또는 검색된 데모 컨텐츠를 외부 장치에 스트리밍 서비스로 제공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스트리밍 서비스는, 컨텐츠를 외부 장치에 다운로드 없이 실시간으로 플레이할 수 있는 클라우드 기반의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프로세서는, 데모 컨텐츠를 스트리밍 전송 중에, 데모 컨텐츠에 정해진 범위의 만료 감지, 또는 외부 장치의 데모 컨텐츠의 종료 요청 수신에 대응하여 데모 컨텐츠의 사용 중지를 결정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300)은 무선 통신부(310), 사용자 입력부(320), 터치스크린(touchscreen)(330), 오디오 처리부(340), 메모리(350), 인터페이스부(360), 카메라 모듈(370), 제어부(380), 그리고 전원 공급부(39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전자 장치(300)은 도 3에 도시된 구성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도 3에 도시된 구성들보다 많은 구성들을 가지거나, 또는 그보다 적은 구성들을 가지는 것으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310)은 전자 장치(300)와 다른 외부 장치(예: 다른 전자 장치, 또는 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310)은 이동통신 모듈(311), 무선 랜(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모듈(313), 근거리 통신 모듈(315), 그리고 위치 산출 모듈(317)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311)은 이동통신 네트워크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전자 장치, 그리고 다양한 서버들(예: 통합 서버, 프로바이더 서버, 컨텐츠 서버, 인터넷 서버, 또는 클라우드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신호는 음성통화 신호, 화상통화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311)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데이터들(예: 컨텐츠(contents), 메시지(message), 메일(mail), 이미지, 동영상, 날씨 정보, 위치 정보, 또는 시간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이동통신 모듈(311)은 전자 장치(300)와 네트워크(예: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외부 장치(예: 다른 전자 장치 또는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어 다양한 데이터들을 획득(수신)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311)은 전자 장치(300)의 동작에 필요한 다양한 데이터들을 사용자 요청에 응답하여 외부 장치(예: 서버 또는 다른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311)은 다양한 통신 방식에 기반하여 무선 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방식은, 이들에 한정하지는 않지만, LTE(Long-Term Evolution), LTE-A(LTE Advance),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또는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등의 통신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랜 모듈(313)은 무선 인터넷 접속 및 다른 외부 장치와 무선 랜 링크(link)를 형성하기 위한 모듈을 나타낼 수 있다. 무선 랜 모듈(313)은 전자 장치(3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iFi(Wireless Fidelity),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또는 mmWave(millimeter Wav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무선 랜 모듈(313)은 전자 장치(300)와 네트워크(예: 무선 인터넷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다른 외부 장치(예: 다른 전자 장치 또는 서버)와 연동하여, 전자 장치(300)의 다양한 데이터들을 외부 장치로 전송하거나, 또는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무선 랜 모듈(313)은 상시 온(on) 상태를 유지하거나, 전자 장치(300)의 설정 또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턴-온(turn-on)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315)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을 나타낼 수 있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저전력 블루투스(BLE, Bluetooth Low Energy),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315)은 전자 장치(300)와 네트워크(예: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다른 전자 장치와 연동하여, 전자 장치(300)의 다양한 데이터들을 다른 전자 장치로 전송하거나 수신 받을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315)은 상시 온 상태를 유지하거나, 전자 장치(300)의 설정 또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턴-온(turn-on)될 수 있다.
위치 산출 모듈(317)은 전자 장치(300)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위치 산출 모듈(315)은 삼각 측량의 원리로 전자 장치(300)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 산출 모듈(317)은 3개 이상의 기지국들로부터 떨어진 거리 정보와 시간 정보를 산출한 다음 산출된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위도(latitude), 경도(longitude), 및 고도(altitude)에 따른 3차원의 현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또는 위치 산출 모듈(317)은 3개 이상의 위성들로부터 전자 장치(300)의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계속 수신함으로써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전자 장치(300)의 위치 정보는 다양한 방법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320)는 전자 장치(3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발생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320)는 사용자의 다양한 입력을 검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입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320)은 키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물리 버튼, 터치패드(정압/정전), 조그셔틀(jog & shuttle), 그리고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센서는, 예를 들면, 물리량을 계측하거나 전자 장치(300)의 작동 상태를 감지하여, 계측 또는 감지된 정보를 전기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센서는, 예를 들면, 홍채 인식 센서(iris scan sensor), 지문 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이미지 센서(image sensor) 또는 조도 센서(illuminance senso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센서는 제스처 센서(gesture sensor), 자이로 센서(gyro sensor), 압력 센서(pressure sensor), 마그네틱 센서(magnetic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지자기 센서(terrestrial sensor), 동작 인식 센서(motion recognition sensor), 그립 센서(grip sensor), 근접 센서(proximity sensor), 컬러 센서(color sensor)(예: RGB(red, green, blue) 센서), 생체 센서(medical sensor), 온/습도 센서(temperature-humidity sensor), UV(ultra violet) 센서, 또는 HRM(heart rate monitor) 센서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센서는, 예를 들면, 후각 센서(E-nose sensor), EMG 센서(electromyography sensor), EEG 센서(electroencephalogram sensor), ECG 센서(electrocardiogram sensor), IR 센서(infrared senso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320)는 일부가 전자 장치(300)의 외부에 버튼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일부 또는 전체가 터치 패널(touch panel)로 구현될 수도 있다. 사용자 입력부(320)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300)의 동작(예: 사용자 경험 기반의 컨텐츠 실행, 컨텐츠 다운로드 등)을 개시(initiation)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고, 사용자 입력에 따른 입력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320)는 컨텐츠 실행, 어플리케이션 실행, 데이터 입력(작성, 삽입), 전자 장치(300)의 자세 변화, 네트워크 연결, 데이터 전송 또는 수신 등을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고, 사용자 입력에 따른 입력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330)은 입력 기능과 표시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입출력 수단을 나타내며, 디스플레이(331)와 터치감지부(333)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330)은 전자 장치(300)와 사용자 사이에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전자 장치(300)에게 전달할 수 있고, 또한 전자 장치(300)로부터의 출력을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매개체 역할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330)은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출력(visual output)을 보여줄 수 있다. 시각적 출력은 텍스트(text), 그래픽(graphic), 비디오(video)와 이들의 조합의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터치스크린(330)은 디스플레이(331)를 통해 전자 장치(300)의 동작에 따른 다양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화면은, 예를 들면, 컨텐츠 화면, 데모 컨텐츠 화면, 컨텐츠 리스트 화면, 메신저 화면, 통화 화면, 게임 화면, 동영상 재생 화면, 갤러리(gallery) 화면, 웹 페이지 화면, 홈 화면, 또는 전자 장치 연결 화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330)은 디스플레이(331)를 통해 특정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 중에 터치감지부(333)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터치(touch), 호버링(hovering) 또는 에어 제스처(air gesture)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는 이벤트(예: 터치 이벤트, 근접 이벤트, 호버링 이벤트, 에어 제스처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고, 이벤트에 따른 입력 신호를 제어부(380)에게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380)은 전달되는 이벤트를 구분하고, 구분된 이벤트에 따른 동작 수행을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331)는 전자 장치(300)에서 처리되는 다양한 정보를 디스플레이(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331)은 전자 장치(300)가 사용자 경험 기반의 컨텐츠를 제공하는 동작과 관련된 유저 인터페이스 또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 Graphical UI)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디스플레이(331)는 전자 장치(300)의 회전 방향(또는 놓인 방향)에 따라 가로모드에 의한 화면 디스플레이, 세로모드에 의한 화면 디스플레이, 또는 가로모드와 세로모드 간의 변화에 따른 화면 디스플레이를 지원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331)는 다양한 디스플레이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331)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발광 다이오드(LED, Light-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ED) 디스플레이, 능동형 OLED(AMOLED, Active Matrix OLED), 마이크로 전자기계 시스템(MEMS,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디스플레이, 또는 전자 종이(electronic paper) 디스플레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디스플레이는 투명형 또는 광투명형으로 구성되는 투명 디스플레이(transparent display)로 구현될 수 있다. 일부 디스플레이는 종이처럼 얇고 유연한 기판을 통해 손상 없이 휘거나 구부리거나 말 수 있는 벤디드 디스플레이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감지부(333)는 디스플레이(331)에 안착될 수 있으며, 터치스크린(330) 표면에 접촉 또는 근접하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은 싱글터치(single-touch), 멀티터치(multi-touch), 호버링(hovering), 또는 에어 제스처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입력되는 터치 이벤트 또는 근접 이벤트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감지부(333)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전자 장치(300)의 사용과 관련된 동작을 개시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고, 사용자 입력에 따른 입력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은 터치(touch), 탭(tap), 드래그(drag), 스윕(sweep), 플릭(flick), 드래그앤드롭(drag&drop), 또는 드로잉 제스처(drawing gesture)(예: 필기) 등)의 방식으로 입력될 수 있다.
터치감지부(333)는 디스플레이(33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33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 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감지부(333)는 입력 수단(예: 사용자 손가락, 전자 펜 등)이 디스플레이(331)의 표면 상에 터치 또는 근접되는 위치 및 면적을 검출할 수 있다. 터치감지부(333)는 적용한 터치 방식에 따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340)는 제어부(380)로부터 입력 받은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SPK, speaker)(341)로 전송하고, 마이크(MIC, microphone)(343)로부터 입력 받은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제어부(380)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340)는 음성/음향 데이터를 제어부(380)의 제어에 따라 스피커(341)를 통해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마이크(343)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380)에게 전달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340)는 데이터에 삽입된 오디오 처리 정보(예: 효과음, 음악 파일 등)에 따라 사용자 입력에 반응하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341)는 무선 통신부(310)로부터 수신되거나, 또는 메모리(35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341)는 전자 장치(300)에서 수행되는 다양한 동작(기능)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스피커(341)는 탈부착 가능한(attachable and detachable) 이어폰(ear phone), 헤드폰(head phone) 또는 헤드셋(head set)이 외부 포트를 통해 전자 장치(300)에 연결될 수 있다.
마이크(343)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할 수 있다. 마이크(343)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noise reduction algorithm)이 구현될 수 있다. 마이크(343)는 음성 명령(예: 컨텐츠 실행, 데모 컨텐츠 실행, 컨텐츠 다운로드 등의 동작을 개시하기 위한 음성 명령) 등과 같은 오디오 스트림(audio stream)의 입력을 담당할 수 있다. 마이크(343)는 음성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마이크(343)는 전자 장치(300)에 실장되는 내장 마이크와 전자 장치(300)에 연결되는 외장 마이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350)는 제어부(380)에 의해 실행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그램들(one or more programs)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은 예를 들어, 컨텐츠, 컨텐츠 사용자에 대한 히스토리 정보, 메신저 데이터(예: 대화 데이터), 컨택트(contact) 정보(예: 유선 또는 무선 전화번호 등), 메시지, 또는 미디어 파일(예: 오디오, 동영상, 이미지, 사진 등의 파일)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메모리(350)는 획득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담당하며, 실시간으로 획득된 데이터는 일시적인 저장 장치에 저장할 수 있고, 저장하기로 확정된 데이터는 오래 보관 가능한 저장 장치에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350)는 전자 장치(300)의 사용자 경험 기반의 컨텐츠 제공 기능과 관련되는 다양한 프로그램들과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35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데모 컨텐츠 실행 및 실제 컨텐츠의 다운로드를 처리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그램들 및 그에 따라 처리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350)는 데모 컨텐츠에 기반한 사용자 경험에 따라 실제 컨텐츠의 다운로드 여부를 수행하는 기능을 실행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350)는 전자 장치(300)의 동작에 따른 사용 빈도(예: 컨텐츠 사용 빈도), 중요도 및 우선 순위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350)는 전자 장치(300)의 운영 체제(OS, operating system), 터치스크린(330)을 이용한 입력 및 디스플레이 제어와 관련된 프로그램, 전자 장치(300)의 다양한 동작(기능)들의 제어와 관련된 프로그램, 그리고 각 프로그램들의 동작에 의해 발생되는 다양한 데이터 등을 지속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350)는 확장 메모리(예: 외장 메모리) 또는 내부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35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마이크로 타입(micro type), 및 카드 타입(예컨대, SD 카드(Secure Digital Card) 또는 XD 카드(eXtream Digital Card)) 등의 메모리와,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M), ROM(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M), 자기 메모리(MRAM, Magnetic RAM), 자기 디스크(magnetic disk), 및 광디스크(optical disk) 타입의 메모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 매체(storage medium)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300)은 인터넷 상에서 메모리(35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메모리(350)은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는 운영 체제(operating system) 소프트웨어 모듈, 통신 소프트웨어 모듈, 그래픽 소프트웨어 모듈, 유저 인터페이스 소프트웨어 모듈,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모듈 및 카메라 소프트웨어 모듈,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인 모듈은 명령어들의 집합으로 표현할 수 있으므로, 모듈을 명령어 세트(instruction set)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모듈은 또한 프로그램으로 표현하기도 한다.
운영 체제 소프트웨어 모듈은 일반적인 시스템 동작(system operation)을 제어하는 여러 가지의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일반적인 시스템 작동의 제어는, 예를 들면, 메모리 관리 및 제어, 전력 제어 및 관리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운영 체제 소프트웨어 모듈은 여러 가지의 하드웨어(장치)와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모듈) 사이의 통신을 원활하게 하는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통신 소프트웨어 모듈은 무선 통신부(310)을 통해 컴퓨터, 서버 또는 휴대용 단말기 등 다른 전자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소프트웨어 모듈은 해당 통신 방식에 해당하는 프로토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그래픽 소프트웨어 모듈은 터치스크린(330) 상에 그래픽을 제공하고 표시하기 위한 여러 가지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그래픽(graphics)이란 용어는 텍스트(text), 웹 페이지(web page), 아이콘(icon), 디지털 이미지(digital image), 비디오(video), 애니메이션(animation) 등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유저 인터페이스 소프트웨어 모듈은 사용자 인터페이스(UI)에 관련한 여러 가지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저 인터페이스의 상태가 어떻게 변경되는지 또는 유저 인터페이스 상태의 변경이 어떤 조건에서 이루어지는지 등에 대한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MPEG 모듈은 디지털 컨텐츠(예: 비디오, 오디오) 관련 프로세스 및 기능들(예: 컨텐츠의 생성, 플레이, 배포 및 전송 등)을 가능하게 하는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소프트웨어 모듈은 카메라 관련 프로세스 및 기능들을 가능하게 하는 카메라 관련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모듈은 렌더링 엔진(rendering engine)을 포함하는 웹브라우저(browser), 이메일(email), 즉석 메시지(instant message), 워드 프로세싱(word processing), 키보드 에뮬레이션(keyboard emulation), 어드레스 북(address book), 위젯(widget), 디지털 저작권 관리(DRM, digital right management), 홍채 인식(iris scan), 상황 인지(context cognition), 음성 인식(voice recognition), 위치 기반 서비스(location based servic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모듈은 서버(100)와 연동하여, 실제 컨텐츠의 다운로드(설치) 이전에 사용자 경험을 위한 데모 컨텐츠를 실행하고, 데모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 경험에 따른 결과에 기반하여 실제 컨텐츠를 다운로드 하거나, 다른 데모 컨텐츠의 내비게이션을 수행하는 동작(기능)을 처리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360)는 전자 장치(3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 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360)은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 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전자 장치(300) 내부의 각 구성들에 전달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360)는 전자 장치(3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오디오 입/출력(Input/Output) 포트, 비디오 입/출력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360)에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370)은 전자 장치(300)의 촬영 기능을 지원하는 구성을 나타낸다. 카메라 모듈(370)은 제어부(380)의 제어에 따라 임의의 피사체를 촬영하고, 촬영된 데이터(예: 이미지)를 디스플레이(331) 및 제어부(380)에 전달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370)은 하나 이상의 이미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370)은 전자 장치(300)의 전면(예: 디스플레이(331)와 동일한 평면) 상에 구비되는 전면 센서(예: 전면 카메라)와 전자 장치(300)의 후면(예: 배면) 상에 구비되는 후면 센서(예: 후면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80)은 전자 장치(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80)는 스트리밍 수신되는 컨텐츠 실행(예: 클라우드 기반의 컨텐츠 실행), 음성 통신, 데이터 통신, 화상 통신 등에 관련된 다양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380)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one or more processors)로 구현되거나, 또는 제어부(380)를 프로세서로 칭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80)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P, Communication Processor),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Application Processor), 인터페이스(예: GPIO(General Purpose Input/Output)), 또는 내부 메모리 등을 별개의 구성 요소로 포함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집적화된 회로에 집적화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여러 가지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전자 장치(300)를 위한 여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음성 통신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처리 및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80)는 메모리(350)에 저장되어 있는 특정한 소프트웨어 모듈(명령어 세트(instruction set))을 실행하여 그 모듈에 대응하는 특정한 여러 가지의 기능을 수행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제어부(380)는 서버(100)와 연동하여, 실제 컨텐츠의 다운로드(설치) 이전에 사용자 경험을 위한 데모 컨텐츠를 실행하고, 데모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 경험에 따른 결과에 기반하여 실제 컨텐츠를 다운로드 하거나, 다른 데모 컨텐츠의 내비게이션하거나, 컨텐츠의 위치 리스트에 등록(라이크 등록)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과 관련된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제어부(380)은 메모리(35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모듈들과 연동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30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380)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제어 동작은 후술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380)는 상기의 기능 외에 전자 장치(300)의 통상적인 기능과 관련된 각종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80)는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그의 운영 및 화면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80)는 터치 기반 또는 근접 기반의 입력 인터페이스(예: 터치스크린(330))에서 지원하는 다양한 터치 이벤트 또는 근접 이벤트 입력에 대응하는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그에 따른 기능 운영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80)는 유선 통신 기반 또는 무선 통신 기반으로 각종 데이터의 송수신을 제어할 수도 있다.
전원 공급부(390)는 제어부(3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 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전원 공급부(390)는 제어부(380)의 제어에 의해 디스플레이(331), 카메라 모듈(370), 무선 통신부(310) 등에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on/off)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은 소프트웨어(software), 하드웨어(hardware)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computer)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은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unit)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기록 매체는 실제 컨텐츠의 다운로드(설치) 이전에 사용자 경험을 위한 데모 컨텐츠를 실행하고, 데모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 경험에 따른 결과에 기반하여 실제 컨텐츠의 다운로드, 다른 데모 컨텐츠의 내비게이션, 또는 컨텐츠의 위치 리스트 등록(라이크 등록)하는 동작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이 제어부(3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 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300)가 수행하는 기능 중의 적어도 일부는 그 외부 장치(예: 서버(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버(100)는 제어부(380)에 대응하는 처리 모듈(예: 프로세서)을 포함하고, 처리 모듈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300)에서 전송되는 정보의 적어도 일부에 기반하여 컨텐츠의 다운로드 이전에 실제 컨텐츠에 대응하는 다양한 동작을 사용자가 미리 체험할 수 있는, 즉 사용자 경험을 수행할 수 있는 데모 컨텐츠에 기반하여 컨텐츠 서비스를 지원하는 것과 관련된 기능의 적어도 일부를 처리하고 그 결과를 전자 장치(300)에 전송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서버(100)는 도 3에 도시된 전자 장치(300)의 구성에 대응하는 적어도 일부(예: 메모리, 프로세서, 무선 통신 모듈 등)를 포함하여 구현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유저 인터페이스의 예시를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도 4는 컨텐츠 카테고리의 리스트가 제공되는 화면 예시를 나타내고, 도 5는 사용자 선택에 따른 특정 컨텐츠 카테고리(예: 게임 카테고리)의 컨텐츠의 리스트가 제공되는 화면 예시를 나타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도 4의 컨텐츠 카테고리(예: 게임(403), 음악(405), 동영상(407), 어플리케이션(409) 등)는 사용자의 컨텐츠 사용에 대한 히스토리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300) 또는 서버(100)에서 추천되어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도 5의 특정 컨텐츠 카테고리(예: 게임 카테고리)의 컨텐츠(예: 제1 게임(503), 제2 게임(505), 제3 게임(507), 제4 게임(509), 제5 게임(511), 제6 게임(513) 등)는 사용자의 컨텐츠 사용에 대한 히스토리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300) 또는 서버(100)에서 추천되어 제공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300)는, 하우징(또는 본체)(400)과, 하우징(400)에 형성되어 전자 장치(300)의 기능 수행을 위한 부가 장치(410, 420, 43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부가 장치는 최근 실행 앱 버튼(410), 홈 버튼(420), 취소 버튼(4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부가 장치는 제1 스피커, 제2 스피커, 마이크, 센서(예: 전면 카메라 모듈, 조도 센서 등), 통신 인터페이스(예: 충전 또는 데이터 입/출력(Input/Output) 포트, 오디오 입/출력 포트 등), 파워 버튼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최근 실행 앱 버튼(410)은 전자 장치(300)에서 최근 실행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디스플레이 하는 버튼을 나타낼 수 있다. 홈 버튼(420)은 홈 화면으로 이동을 위한 기능을 비롯하여, 홈 버튼(420)에 대한 사용자 설정에 따른 다양한 기능을 바로 실행할 수 있는 버튼을 나타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홈 버튼(420)은 지문을 인식하기 위한 지문 인식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취소 버튼(430)은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 또는 컨텐츠의 실행을 취소하거나, 뒤로 가기 기능을 포함하는 버튼을 나타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취소 버튼(430)은 디스플레이된 리스트 간의 전환(예: 카테고리 리스트 <-> 컨텐츠 리스트), 가이드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컨텐츠 리스트로의 전환 등의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전자 장치(400)는 도 4와 같이 카테고리 리스트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특정 카테고리(403)(예: 게임)의 선택(예: 터치) 감지에 응답하여, 도 5와 같이 컨텐츠 리스트(예: 게임 리스트)로 전환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전자 장치(400)는 특정 리스트(예: 도 5의 게임 리스트)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취소 버튼(430)의 선택(예: 터치)에 응답하여, 도 4와 같이 카테고리 리스트로 전환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취소 버튼(430)에 대응하는 기능 실행은 음성 명령 입력, 전자 장치(300)를 이용한 모션 입력, 터치 기반의 제스처 입력, 또는 리스트에서 주어지는 아이콘 입력 등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유저 인터페이스의 예시를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도 6은 가이드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는 화면 예시를 나타내고, 도 7은 데모 컨텐츠가 실행되는 경우의 화면 예시를 나타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400)은 도 5와 같은 컨텐츠 리스트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특정 컨텐츠(예: 제3 게임(507)) 항목의 선택을 감지할 시, 선택된 컨텐츠의 가이드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가이드 인터페이스는 도 1을 참조한 설명 부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선택된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상세 정보(670)(예: 컨텐츠 설명, 사용자 리뷰, 스크린 샷, 관련 영상 등의 정보)와 컨텐츠 제어를 위한 다양한 제어 오브젝트(6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제어 오브젝트(600)는 컨텐츠의 다운로드 이전에 미리 체험할 수 있는 즉, 사용자 경험을 수행할 수 있는 오브젝트(620)(예: 플레이 버튼 또는 체험 버튼)와, 컨텐츠 리스트 내의 다른 컨텐츠들 간의 내비게이션(navigation)을 위한 오브젝트(610, 630)(예: 이전 컨텐츠로 전환을 위한 이전 버튼(610), 다음 컨텐츠로 전환을 위한 다음 버튼(630)), 컨텐츠의 다운로드 또는 설치를 위한 오브젝트(640)(예: 다운로드 버튼, 설치(install) 버튼), 또는 해당 컨텐츠의 라이크(like)(예: 이후 다운로드를 위한 담아두기 기능) 선택을 위한 오브젝트(650)(예: 라이크 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제어 오브젝트(600)는 제어 오브젝트(600)의 상기한 오브젝트들(610, 620, 630, 640, 650)을 토글(toggle)(예: 온/오프, 활성화/비활성화)하기 위한 토글 오브젝트(660)(예: 토글 버튼)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300)는 도 6과 같이 제어 오브젝트(600)가 활성화(또는 온)된 상태에서 토글 오브젝트(660)의 선택(예: 터치) 감지에 응답하여, 도 7과 같이 제어 오브젝트(600)를 비활성화(또는 오프)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가이드 인터페이스는 컨텐츠 상세 정보(670)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고, 컨텐츠 상세 정보(670)가 디스플레이 되는 일 영역에 토글 오브젝트(660)가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토글 오브젝트(660)는 도 6과 같이 제어 오브젝트(600)의 활성화 상태에서는 비활성화(또는 오프) 전환을 지시하는 아이콘 형태(예:
Figure pat00001
)로 제공할 수 있고, 도 7과 같이 제어 오브젝트(600)의 비활성화 상태에서는 활성화(또는 온) 전환을 지시하는 아이콘 형태(예:
Figure pat00002
)로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제어 오브젝트(600)의 온/오프 토글은 데모 컨텐츠의 실행 여부에 대응하여 자동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데모 컨텐츠의 실행을 위해 가이드 인터페이스의 제어 오브젝트(660)에서 플레이 버튼(620)을 선택(예: 터치)할 수 있다. 전자 장치(300)는 플레이 버튼(620) 선택을 감지하면, 서버(100)와 연동하여, 데모 컨텐츠를 스트리밍 수신하여 데모 컨텐츠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전자 장치(300)는 데모 컨텐츠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 할 때, 제어 오브젝트(600)은 비활성화 하여 실행 화면에서 디스플레이를 하지 않고, 도 7의 예시와 같이 토글 오브젝트(660)를 데모 컨텐츠의 실행 화면의 일 영역에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도 6 또는 도 7과 같은 상태에서, 전자 장치(300)는 취소 버튼(430)의 선택(예: 터치)을 감지하면, 도 5와 같이 리스트 화면으로 전환하여 컨텐츠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도 6과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이전 버튼(610), 다음 버튼(630)을 이용하여 다른 컨텐츠들의 내비게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현재 디스플레이된 컨텐츠가 도 5의 제3 컨텐츠(507)인 경우를 가정하면, 사용자는 이전 버튼(610) 선택에 의해 제2 컨텐츠(505)로 전환을 요청할 수 있고, 전자 장치(300)는 이전 버튼(610) 선택에 응답하여 제2 컨텐츠(505)에 관련된 가이드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다음 버튼(630) 선택에 의해 제4 컨텐츠(509)로 전환을 요청할 수 있고, 전자 장치(300)는 다음 버튼(630) 선택에 응답하여 제4 컨텐츠(509)에 관련된 가이드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사용자의 컨텐츠 내비게이션 수행에 따라 각 컨텐츠들의 가이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때, 해당 컨텐츠에 대응하는 컨텐츠 상세 정보가 제공될 수 있고, 각 컨텐츠 상세 정보가 디스플레이 되는 일 영역에 제어 오브젝트(600)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컨텐츠 상세 정보는 컨텐츠 전환에 따라 해당 컨텐츠에 대응하게 변경될 수 있고, 제어 오브젝트(600)는 컨텐츠 전환에 관계 없이 고정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컨텐츠 내비게이션은 도 5와 같이 추천된 컨텐츠들의 리스트에 포함된 컨텐츠들에 대해 수행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도 6과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다운로드 버튼(640)을 이용하여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컨텐츠의 다운로드를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컨텐츠의 다운로드는 데모 컨텐츠를 실행하는 중에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데모 컨텐츠를 사용 중에 토글 오브젝트(660)를 이용하여 제어 오브젝트(600)를 호출할 수 있고, 제어 오브젝트(600)에서 다운로드 버튼(640)을 이용하여 컨텐츠의 다운로드를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도 6과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라이크 버튼(650)을 이용하여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컨텐츠의 라이크 등록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컨텐츠의 라이크 등록은 데모 컨텐츠를 실행하는 중에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데모 컨텐츠를 사용 중에 토글 오브젝트(660)를 이용하여 제어 오브젝트(600)를 호출할 수 있고, 제어 오브젝트(600)에서 다운로드 버튼(640)을 이용하여 컨텐츠의 다운로드를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300)는 데모 컨텐츠를 실행하는 중에(예: 도 7의 예시), 토글 오브젝트(660)의 선택을 감지하면, 데모 컨텐츠의 실행을 중지하고, 데모 컨텐츠의 실행 화면 상에 제어 오브젝트(600)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데모 컨텐츠의 실행 중지는, 전자 장치(300)와 서버(100)의 연동(예: 중지 신호 송수신)에 의해 수행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데모 컨텐츠를 실행하는 화면 예시를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도 8은 전자 장치(300)가 서버(100)로부터 데모 컨텐츠(예: 게임 컨텐츠)를 스트리밍 수신하여 제고하는 화면 예시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제공된 컨텐츠의 사용자 경험을 위해 제어 오브젝트(600)의 플레이 버튼(620)을 선택(예: 터치)할 수 있다. 전자 장치(300)는 플레이 버튼(620) 선택을 감지하면, 서버(100)와 연동하여, 데모 컨텐츠(예: 게임 컨텐츠)를 스트리밍 수신하여 도 8의 예시와 같은 데모 컨텐츠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데모 컨텐츠의 실행 화면에서는 제어 오브젝트(600)는 비활성화 될 수 있고, 토글 오브젝트(660)를 데모 컨텐츠의 실행 화면의 일 영역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데모 컨텐츠의 실행 시 제어 오브젝트(600)의 활성화에서 비활성화 전환과 함께, 데모 컨텐츠에 대응하는 컨텐츠 제어 오브젝트(850)(예: 게임 조작 버튼)이 데모 컨텐츠의 실행 화면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는 데모 컨텐츠를 통해 실제 컨텐츠를 전자 장치(300)에 다운로드(또는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과 같이 미리 경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스트리밍에 따라 실시간으로 변화되는 데모 컨텐츠(예: 게임 컨텐츠)를 조작하기 위해 컨텐츠 제어 오브젝트(850)(예: 조작 버튼)를 통해 입력할 수 있다.
도 8의 (A) 화면 예시와 같이 사용자는 게임 오브젝트(810)(예: 사람 형상의 오브젝트)의 동작(예: 슬라이딩 동작) 제어를 위해 컨텐츠 제어 오브젝트(850)의 특정 조작 버튼을 선택(예: 터치)할 수 있다. 전자 장치(300)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조작 버튼의 조작 신호를 서버(100)에 전송할 수 있다. 서버(100)는 조작 신호에 대응하여 데모 컨텐츠를 제어(예: 게임 오브젝트(810)의 슬라이딩 동작 처리)할 수 있다. 서버(100)는 제어된 결과를 스트리밍 중인 데모 컨텐츠에 반영하여 전자 장치(300)에 제공할 수 있고, 전자 장치(300)는 도 8의 (B) 화면 예시와 같이 제어된 결과가 반영된 데모 컨텐츠의 실행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데모 컨텐츠는 실제 컨텐츠의 사용과 같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데모 컨텐츠는 전자 장치(300) 또는 서버(100)의 결정에 따라 그 실행이 중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300)는 토글 오브젝트(660)를 통해 제어 오브젝트(600)의 활성화 전환을 감지하면, 데모 컨텐츠의 실행 종료로 판단할 수 있다. 전자 장치(300)는 전자 장치(300)의 취소 버튼(430)을 통해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면, 데모 컨텐츠의 실행 종료로 판단할 수 있다. 전자 장치(300)는 서버(100)로부터 데모 컨텐츠의 종료 신호 수신을 감지하면, 데모 컨텐츠의 실행 종료로 판단할 수 있다. 서버(100)는 데모 컨텐츠를 스트리밍 중에 데모 컨텐츠에 정해진 범위(또는 구간, 기간, 시간 등)의 만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서버(100)는 데모 컨텐츠의 만료를 결정하면, 데모 컨텐츠의 스트리밍을 중지할 수 있고 그에 따른 종료 신호를 전자 장치(300)에 제공할 수 있다.
도 8의 화면 예시와 같이 데모 컨텐츠가 동작 중에 전술한 어느 하나의 조건에 따라 데모 컨텐츠의 실행이 중지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데모 컨텐츠의 실행이 중지되면, 전자 장치(300)는 서버(100)와 연동하여 데모 컨텐츠의 중지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8의 예시와 같이 동작하는 중에 데모 컨텐츠의 실행을 중지할 시, 도 9의 예시와 같이 제어 오브젝트(600)를 자동 활성화 하여 데모 컨텐츠의 실행 화면 상에 제공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데모 컨텐츠가 실행 중지된 화면 상에 제어 오브젝트(600)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데모 컨텐츠가 중지될 시 도 6과 같은 가이드 인터페이스로 전환되어 제어 오브젝트(600)을 제공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위시 리스트의 예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도 10은 사용자가 도 5의 컨텐츠 리스트 내 컨텐츠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해, 클라우드 기반의 데모 컨텐츠로 사용자 경험을 진행하면서, 라이크 등록(예: 라이크 버튼(650))이 선택된 컨텐츠들의 리스트(예: 위시 리스트) 예시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0에서는 도 5의 컨텐츠 리스트의 컨텐츠(예: 게임) 중에서, 제2 게임(1001), 제4 게임(1003), 제5 게임(1005), 그리고 제9 게임(1007)의 컨텐츠가 라이크 등록된 경우의 화면 예시를 나타낼 수 있다. 전자 장치(300)는 위시 리스트에서 다운로드 버튼(1010)을 통해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면, 서버(100)와 연동하여 위시 리스트에 등록된 컨텐츠들을 일괄 또는 선택 다운로드 할 수 있다. 전자 장치(300)는 위시 리스트에서 삭제 버튼(1020)을 통해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면, 위시 리스트에 등록된 컨텐츠들을 일괄 또는 선택 삭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위시 리스트에 등록된 컨텐츠들에서, 다운로드 또는 삭제 대상을 선택 지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체크 버튼(1030)의 선택에 의해 대상 컨텐츠를 지정할 수 있고, 이후 다운로드 버튼(1010) 또는 삭제 버튼(1020)을 선택할 수 있다. 전자 장치(300)는 위시 리스트의 컨텐츠 다운로드 또는 위시 리스트의 컨텐츠 삭제를 수행할 시, 체크 버튼(1030)에 기반하여 선택된 대상 컨텐츠에 기반하여 해당 동작 수행(예: 일괄 또는 선택 다운로드, 일괄 또는 선택 삭제)을 처리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예시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동작 1101에서, 전자 장치(300)의 제어부(380)는 컨텐츠 리스트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80)는 서버(100)가 제공하는 추천 컨텐츠의 컨텐츠 리스트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컨텐츠 리스트의 리스트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380)는 서버(100)가 저장 및 관리하는 컨텐츠들에 대한 컨텐츠 리스트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380)는 메모리(350)에 저장된 히스토리 정보에 기반하여, 수신된 컨턴츠 리스트에서 추천 컨텐츠를 추출하고, 추천 컨텐츠에 기반하여 컨텐츠 리스트를 재구성한 후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동작 1103에서, 제어부(380)는 컨텐츠 선택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380)는 디스플레이된 컨텐츠 리스트에서, 특정 컨텐츠가 선택(예: 터치)되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380)는 컨텐츠 선택을 감지하면, 선택된 컨텐츠의 컨텐츠 정보 요청을 서버(100)에 전송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00)는 컨텐츠 리스트에서 컨텐츠의 선택에 응답하여, 선택된 컨텐츠에 대한 선택 신호를 생성하여 서버(100)에 전송할 수 있다.
동작 1105에서, 제어부(380)는 가이드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380)는 컨텐츠 선택 감지에 응답하여, 서버(100)로부터 가이드 인터페이스를 수신하고, 수신된 가이드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가이드 인터페이스는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상세 정보(예: 컨텐츠 설명, 사용자 리뷰, 스크린 샷, 관련 영상 등의 정보) 및 컨텐츠 제어와 관련된 제어 오브젝트(예: 이전 버튼, 다음 버튼, 플레이 버튼, 다운로드 버튼, 라이크 버튼 등을 포함하는 제어 오브젝트)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동작 1107에서, 제어부(380)는 컨텐츠 사용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가이드 인터페이스에서 컨텐츠의 다운로드 이전에 컨텐츠에 대응하는 데모 컨텐츠에서 사용자 경험(예: 미리 체험)을 수행하기 위해 플레이 버튼을 선택(예: 터치)할 수 있다. 제어부(380)는 가이드 인터페이스의 제어 오브젝트에서 플레이 버튼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면, 사용자 입력을 컨텐츠의 다운로드 이전에 컨텐츠를 경험하기 위한 데모 컨텐츠 실행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380)는 데모 컨텐츠 실행을 판단하는 것에 기반하여 컨텐츠에 대응하는 데모 컨텐츠의 실행을 서버(100)에 요청할 수 있다.
동작 1109에서, 제어부(380)는 데모 컨텐츠를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380)는 서버(100)가 스트리밍 전송하는 데모 컨텐츠를 스트리밍 수신하고, 수신된 데모 컨텐츠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제어부(380)는 데모 컨텐츠 실행 중에, 사용자의 다양한 조작 신호에 따라 데모 컨텐츠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 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동작 1111에서, 제어부(380)는 데모 컨텐츠 실행 중지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380)는 사용자 요청, 또는 서버(100) 요청에 의한 데모 컨텐츠 실행 중지를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380)는 데모 컨텐츠의 실행 중에 토글 오브젝트를 통해 제어 오브젝트의 활성화 전환을 감지하면, 데모 컨텐츠의 실행 중지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380)는 전자 장치(300)의 취소 버튼을 통해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면, 데모 컨텐츠의 실행 중지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380)는 서버(100)로부터 데모 컨텐츠의 종료 신호 수신을 감지하면, 데모 컨텐츠의 실행 중지로 판단할 수 있다. 서버(100)에 의한 데모 컨텐츠의 실행 중지는, 데모 컨텐츠에 정해진 범위(또는 구간, 기간, 시간 등)의 만료 여부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동작 1113에서, 제어부(380)는 서버(100)와 연동하여 데모 컨텐츠의 실행을 중지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동작 1115에서, 제어부(380)는 데모 컨텐츠의 실행 중지 화면 또는 가이드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제어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380)는 데모 컨텐츠의 실행이 중지되면, 제어 오브젝트를 자동 활성화 하여 데모 컨텐츠의 실행 화면 상에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380)는 데모 컨텐츠의 실행이 중지되면, 가이드 인터페이스로 전환하고, 제어 오브젝트를 자동 활성화 하여 가이드 인터페이스의 컨텐츠 상세 정보 상에 제공할 수 있다.
동작 1117에서, 제어부(380)는 실제 컨텐츠의 다운로드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데모 컨텐츠에 기반하여 실제 컨텐츠에 대한 사용 경험 결과에 따라 다운로드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다운로드 결정 시 제어 오브젝트의 다운로드 버튼을 이용하여 다운로드를 요청할 수 있다. 제어부(380)는 다운로드 버튼을 통해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면, 실제 컨텐츠의 다운로드를 결정할 수 있다.
동작 1119에서, 제어부(380)는 컨텐츠의 다운로드 결정에 따라 서버(100)와 연동하여, 컨텐츠의 다운로드 동작을 처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제어부(3850)는 다운로드 하는 컨텐츠의 타입에 따라 다운로드된 컨텐츠에 설치(install)를 자동 수행하거나, 또는 다운로드된 컨텐츠를 메모리(350)에 저장하는 등의 동작을 처리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380)는 제어 오브젝트에 기반하여 검출되는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컨텐츠의 다운로드 동작 이외에, 이후 실제 컨텐츠의 다운로드를 위한 라이크 등록, 이전 컨텐츠 또는 다음 컨텐츠의 내비게이션 등에 대응하는 해당 동작을 처리할 수도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예시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동작 1201에서, 제어부(380)는 디스플레이된 제어 오브젝트(600)에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 오브젝트(600)는 가이드 인터페이스 화면, 데모 컨텐츠 실행 화면, 또는 데모 컨텐츠 실행 중지 화면 등을 통해 사용자 입력에 따라 디스플레이 되거나, 전자 장치(300)와 서버(100) 간의 동작에 따라 자동으로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전자 장치(300)를 통해 디스플레이된 제어 오브젝트(600)에서 컨텐츠의 사용과 관련된 특정 오브젝트를 선택할 수 있다.
동작 1203에서, 제어부(380)는 제어 오브젝트(600)에서 감지된 사용자 입력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380)는 제어 오브젝트(600)를 통한 사용자 입력이, 플레이 버튼(620), 이전 버튼(610), 다음 버튼(630), 라이크 버튼(650), 다운로드 버튼(640), 또는 토글 버튼(660)에서 감지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동작 1203에서, 제어부(380)는 플레이 버튼(620)에 의한 사용자 입력 감지를 판단하면, 동작 1205에서, 서버(100)와 연동하여, 데모 컨텐츠 실행 화면의 디스플레이와 관련된 동작을 처리할 수 있다.
동작 1203에서, 제어부(380)는 이전 버튼(610)에 의한 사용자 입력 감지를 판단하면, 동작 1207에서, 서버(100)와 연동하여, 이전 컨텐츠와 관련된 컨텐츠 상세 정보와 제어 오브젝트(600)을 포함하는 가이드 인터페이스의 디스플레이와 관련된 동작을 처리할 수 있다.
동작 1203에서, 제어부(380)는 다음 버튼(630)에 의한 사용자 입력 감지를 판단하면, 동작 1209에서, 서버(100)와 연동하여, 다음 컨텐츠와 관련된 컨텐츠 상세 정보와 제어 오브젝트(600)를 포함하는 가이드 인터페이스의 디스플레이와 관련된 동작을 처리할 수 있다.
동작 1203에서, 제어부(380)는 라이크 버튼(650)에 의한 사용자 입력 감지를 판단하면, 동작 1211에서, 서버(100)와 연동하여, 현재 제공(디스플레이)된 컨텐츠를 위시 리스트에 등록(라이크 등록)하는 것과 관련된 동작을 처리할 수 있다.
동작 1203에서, 제어부(380)는 다운로드 버튼(640)에 의한 사용자 입력 감지를 판단하면, 동작 1213에서, 서버(100)와 연동하여, 현재 제공(디스플레이)된 컨텐츠의 다운로드와 관련된 동작을 처리할 수 있다.
도 12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어부(380)는 토글 버튼(660)에 의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시, 제어 오브젝트(600)의 활성화/비활성화와 관련된 동작을 처리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300)는, 컨텐츠를 위한 가이드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 가이드 인터페이스에 기반하여 사용자 입력을 검출하는 과정,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컨텐츠 다운로드 또는 컨텐츠 실행을 판단하는 과정, 컨텐츠 실행에 응답하여, 외부 장치로부터 데모 컨텐츠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 컨텐츠 다운로드에 응답하여, 외부 장치로부터 컨텐츠를 다운로드 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동작을 처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데모 컨텐츠는, 컨텐츠의 다운로드 이전에, 컨텐츠의 사용을 미리 체험할 수 있도록 외부 장치에서 스트리밍 전송되는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가이드 인터페이스는, 컨텐츠에 대응하는 컨텐츠 상세 정보와 컨텐츠 사용 제어와 관련된 제어 오브젝트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제어 오브젝트는,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 경험을 수행할 수 있는 제1 오브젝트, 컨텐츠 리스트 내의 다른 컨텐츠들 간의 내비게이션(navigation)을 위한 제2 오브젝트, 컨텐츠의 다운로드를 위한 제3 오브젝트, 컨텐츠의 라이크(like) 선택을 위한 제4 오브젝트, 및 제어 오브젝트의 토글을 위한 제5 오브젝트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데모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과정은, 제1 오브젝트에 의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면, 컨텐츠에 대응하는 데모 컨텐츠를 외부 장치에 요청하고, 외부 장치로부터 데모 컨텐츠의 스트리밍 수신에 의해 컨텐츠를 실행하는 과정, 제2 오브젝트에 의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면, 외부 장치와 연동하여, 컨텐츠의 이전 컨텐츠 또는 다음 컨텐츠의 가이드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 제3 오브젝트에 의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면, 외부 장치와 연동하여, 컨텐츠를 다운로드 하는 과정, 및 제4 오브젝트에 의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면, 외부 장치와 연동하여, 컨텐츠의 위시 리스트 등록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서버의 동작 예시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동작 1301에서, 서버(100)는 전자 장치(300)로부터 컨텐츠 요청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버(100)는 전자 장치(300) 사용자의 컨텐츠 사용에 대한 히스토리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추천 컨텐츠의 컨텐츠 리스트를 전자 장치(300)에 제공할 수 있다. 전자 장치(300)는 컨텐츠 리스트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서버(100)에 컨텐츠 다운로드 또는 데모 컨텐츠 실행 등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요청할 수 있다.
동작 1303에서, 서버(100)는 전자 장치(300)의 컨텐츠 요청이 데모 컨텐츠 요청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버(100)는 전자 장치(300)가 실제 컨텐츠의 다운로드 이전에 실제 컨텐츠에 대해 미리 체험할 수 있는 즉, 사용자 경험을 수행할 수 있는 데모 컨텐츠의 전송 요청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동작 1303에서, 서버(100)는 데모 컨텐츠 요청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면(동작 1303의 아니오), 동작 1305에서, 해당 동작 수행을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버(100)는 전자 장치(300)에 요청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전자 장치(300)에 전송하거나, 컨텐츠 내비게이션 요청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상세 정보를 전자 장치(300)에 전송하는 것과 관련된 동작을 처리할 수 있다.
동작 1303에서, 서버(100)는 데모 컨텐츠 요청인 것으로 판단하면(동작 1303의 예), 동작 1307에서, 데모 컨텐츠를 전자 장치(300)에 스트리밍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버(100)는 전자 장치(300)로부터 데모 컨텐츠 실행 요청을 수신(감지)하면, 컨텐츠에 대응하는 데모 컨텐츠를 컨텐츠에 기반(예: 컨텐츠의 적어도 일부 구간, 컨텐츠의 적어도 일부 플레이 시간 등)하여 생성하거나, 또는 컨텐츠에 대응하여 미리 구성된 데모 컨텐츠를 검색하여, 전자 장치(300)에 스트리밍 서비스로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데모 컨텐츠는 실제 컨텐츠에 기반하여 실제 컨텐츠의 일정 구간 사용 또는 일정 시간 사용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데모 컨텐츠에 대한 스트리밍 서비스는, 컨텐츠를 전자 장치(300)에 다운로드 없이 실시간으로 플레이할 수 있는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1309에서, 서버(100)는 데모 컨텐츠의 사용 중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버(100)는 데모 컨텐츠를 스트리밍 전송 중에, 데모 컨텐츠에 정해진 범위(또는 구간, 기간, 시간 등)의 만료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300)는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데모 컨텐츠의 종료 요청을 감지하면, 데모 컨텐츠의 사용 중지를 위한 요청을 서버(100)에 전송할 수 있고, 서버(100)는 전자 장치(300)로부터 데모 컨텐츠의 사용 중지를 위한 요청의 수신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동작 1309에서, 서버(100)는 데모 컨텐츠의 사용 중지가 검출되지 않으면(동작 1309의 아니오), 동작 1307로 진행하여 동작 1307 이하의 동작 수행을 처리할 수 있다.
동작 1309에서, 서버(100)는 데모 컨텐츠의 사용 중지를 결정하면(동작 1309의 예), 동작 1311에서, 데모 컨텐츠의 스트리밍을 중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버(100)는 데모 컨텐츠에 정해진 범위의 만료, 또는 전자 장치(300)로부터의 사용 중지 요청 수신을 검출하면, 데모 컨텐츠의 스트리밍 중지를 결정할 수 있다. 서버(100)는 데모 컨텐츠의 스트리밍 중지를 결정할 시, 전자 장치(300)에 대한 데모 컨텐츠 스트리밍을 중지할 수 있다.
동작 1313에서, 서버(100)는 컨텐츠 요청을 감지하면, 동작 1315, 동작 1319, 동작 1323에서, 컨텐츠 요청이 다운로드 요청인지, 내비게이션 요청인지, 또는 라이크 등록 요청인지 등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300)는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실제 컨텐츠의 다운로드, 이후 실제 컨텐츠의 다운로드를 위한 라이크 등록, 이전 컨텐츠 또는 다음 컨텐츠의 내비게이션 등에 대응하는 요청 신호를 서버(100)에 전송할 수 있다.
동작 1315에서, 서버(100)는 컨텐츠 요청이 다운로드 요청인 것으로 판단하면(동작 1315의 예), 동작 1317에서, 전자 장치(300)에 데모 컨텐츠에 대응하는 실제 컨텐츠를 전송하는 것과 관련된 동작을 처리할 수 있다.
동작 1319에서, 서버(100)는 컨텐츠 요청이 내비게이션 요청인 것으로 판단하면(동작 1319의 예), 동작 1321에서, 전자 장치(300)의 요청에 따라, 현재 컨텐츠의 이전 컨텐츠 또는 다음 컨텐츠와 관련된 컨텐츠 상세 정보와 제어 오브젝트(600)을 포함하는 가이드 인터페이스를 전자 장치(300)에 전송하는 것과 관련된 동작을 처리할 수 있다.
동작 1323에서, 서버(100)는 컨텐츠 요청이 라이크 등록 요청인 것으로 판단하면(동작 1323의 예), 동작 1325에서, 데모 컨텐츠에 대응하는 실제 컨텐츠의 라이크 등록과 관련된 동작을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버(100)는 전자 장치(300)와 연동하여 실행된 데모 컨텐츠에 대응하는 실제 컨텐츠를 이후 다운로드 가능하도록 전자 장치(300)의 위시 리스트에 등록(라이크 등록)하여 관리할 수 있다.
동작 1315, 동작 1319, 동작 1323에서, 서버(100)는 컨텐츠 요청이 다운로드, 내비게이션, 라이크 등록이 아닌 다른 요청인 것으로 판단하면, 동작 1327에서, 해당 동작 수행을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버(100)는 전자 장치(300)로부터 다른 카테고리의 컨텐츠 요청을 수신할 수 있고, 요청된 카테고리에 대한 추천 컨텐츠의 컨텐츠 리스트를 구성하여 전자 장치(300)에 전송하는 것과 관련된 동작을 처리할 수 있다. 서버(100)는 컨텐츠 리스트를 구성할 시 전자 장치(300) 사용자의 컨텐츠 사용에 대한 히스토리 정보에 기반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서버(100)는, 외부 장치의 데모 컨텐츠 요청에 응답하여, 데모 컨텐츠를 외부 장치에 스트리밍 전송하는 과정, 데모 컨텐츠의 스트리밍 전송 중에 데모 컨텐츠의 사용 중지 여부를 검출하는 과정, 데모 컨텐츠의 사용 중지를 결정하면, 데모 컨텐츠의 스트리밍을 중지하는 과정, 및 데모 컨텐츠의 스트리밍 중지 이후, 컨텐츠 요청을 감지하면, 컨텐츠 요청에 대응하여 컨텐츠 다운로드, 컨텐츠 내비게이션 또는 컨텐츠 라이크 등록을 처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동작을 처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서버(100)는, 외부 장치 사용자의 컨텐츠 사용에 대한 히스토리 정보에 기반하여 추천 컨텐츠의 컨텐츠 리스트를 외부 전자 장치에 제공하는 과정, 및 컨텐츠 리스트에 기반하여 컨텐츠 다운로드 또는 데모 컨텐츠 실행 요청을 수신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서버(100)는, 데모 컨텐츠 실행 요청을 수신하면, 컨텐츠에 대응하는 데모 컨텐츠를 컨텐츠에 기반하여 생성하거나, 또는 컨텐츠에 대응하여 미리 구성된 데모 컨텐츠를 검색하는 과정, 및 생성되거나 또는 검색된 데모 컨텐츠를 외부 장치에 스트리밍 서비스로 제공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스트리밍 서비스는, 컨텐츠를 외부 장치에 다운로드 없이 실시간으로 플레이할 수 있는 클라우드 기반의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서버(100)는, 데모 컨텐츠를 스트리밍 전송 중에, 데모 컨텐츠에 정해진 범위의 만료 감지, 또는 외부 장치의 데모 컨텐츠의 종료 요청 수신에 대응하여 데모 컨텐츠의 사용 중지를 결정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서버
300: 전자 장치
310: 무선 통신부 320: 사용자 입력부
330: 터치스크린 331: 디스플레이
333: 터치감지부 340: 오디오 처리부
341: 스피커 343: 마이크
3450: 메모리 360: 인터페이스부
370: 카메라 모듈 380: 제어부
390: 전원 공급부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무선 통신 모듈,
    디스플레이,
    메모리, 및
    상기 무선 통신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및 상기 메모리와 기능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컨텐츠를 위한 가이드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 하고,
    상기 가이드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컨텐츠 다운로드 또는 컨텐츠 실행을 판단하고,
    컨텐츠 실행에 응답하여, 외부 장치로부터 데모 컨텐츠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하고,
    컨텐츠 다운로드에 응답하여,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컨텐츠를 다운로드 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모 컨텐츠는
    상기 컨텐츠의 다운로드 이전에, 컨텐츠의 사용을 미리 체험할 수 있도록 상기 외부 장치에서 스트리밍 전송되는 컨텐츠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인터페이스는
    상기 컨텐츠에 대응하는 컨텐츠 상세 정보와 컨텐츠 사용 제어와 관련된 제어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오브젝트는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 경험을 수행할 수 있는 제1 오브젝트,
    컨텐츠 리스트 내의 다른 컨텐츠들 간의 내비게이션(navigation)을 위한 제2 오브젝트,
    컨텐츠의 다운로드를 위한 제3 오브젝트,
    컨텐츠의 라이크(like) 선택을 위한 제4 오브젝트, 및
    상기 제어 오브젝트의 토글을 위한 제5 오브젝트를 포함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오브젝트에 의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컨텐츠에 대응하는 데모 컨텐츠를 상기 외부 장치에 요청하고,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데모 컨텐츠의 스트리밍 수신에 의해 상기 컨텐츠 실행을 제공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오브젝트에 의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가이드 인터페이스를 상기 데모 컨텐츠의 실행 화면으로 전환하고,
    상기 데모 컨텐츠의 실행 중에 상기 외부 장치와 연동하여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신호 송수신을 처리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오브젝트에 의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외부 장치와 연동하여, 상기 컨텐츠의 이전 컨텐츠 또는 다음 컨텐츠의 가이드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제3 오브젝트에 의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외부 장치와 연동하여, 상기 컨텐츠를 다운로드 하도록 설정되고, 및
    상기 제4 오브젝트에 의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외부 장치와 연동하여, 상기 컨텐츠의 위시 리스트 등록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8. 전자 장치에 있어서,
    무선 통신 모듈,
    메모리, 및
    상기 무선 통신 모듈과 상기 메모리와 기능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외부 장치의 데모 컨텐츠 요청에 응답하여, 데모 컨텐츠를 상기 외부 장치에 스트리밍 전송하고,
    상기 데모 컨텐츠의 스트리밍 전송 중에 상기 데모 컨텐츠의 사용 중지 여부를 검출하고,
    상기 데모 컨텐츠의 사용 중지를 결정하면, 상기 데모 컨텐츠의 스트리밍을 중지하고,
    상기 데모 컨텐츠의 스트리밍 중지 이후, 컨텐츠 요청을 감지하면, 컨텐츠 요청에 대응하여 컨텐츠 다운로드, 컨텐츠 내비게이션 또는 컨텐츠 라이크 등록을 처리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장치 사용자의 컨텐츠 사용에 대한 히스토리 정보에 기반하여 추천 컨텐츠의 컨텐츠 리스트를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제공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컨텐츠 리스트에 기반하여 컨텐츠 다운로드 또는 데모 컨텐츠 실행 요청을 수신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데모 컨텐츠 실행 요청을 수신하면, 컨텐츠에 대응하는 데모 컨텐츠를 컨텐츠에 기반하여 생성하거나, 또는 컨텐츠에 대응하여 미리 구성된 데모 컨텐츠를 검색하고,
    생성되거나 또는 검색된 데모 컨텐츠를 상기 외부 장치에 스트리밍 서비스로 제공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리밍 서비스는,
    컨텐츠를 외부 장치에 다운로드 없이 실시간으로 플레이할 수 있는 클라우드 기반의 서비스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데모 컨텐츠를 스트리밍 전송 중에, 데모 컨텐츠에 정해진 범위의 만료 감지, 또는 상기 외부 장치의 데모 컨텐츠의 종료 요청 수신에 대응하여 상기 데모 컨텐츠의 사용 중지를 결정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3.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컨텐츠를 위한 가이드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
    상기 가이드 인터페이스에 기반하여 사용자 입력을 검출하는 과정,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컨텐츠 다운로드 또는 컨텐츠 실행을 판단하는 과정,
    컨텐츠 실행에 응답하여, 외부 장치로부터 데모 컨텐츠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
    컨텐츠 다운로드에 응답하여,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컨텐츠를 다운로드 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데모 컨텐츠는, 상기 컨텐츠의 다운로드 이전에, 컨텐츠의 사용을 미리 체험할 수 있도록 상기 외부 장치에서 스트리밍 전송되는 컨텐츠를 포함하는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인터페이스는 상기 컨텐츠에 대응하는 컨텐츠 상세 정보와 컨텐츠 사용 제어와 관련된 제어 오브젝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오브젝트는,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 경험을 수행할 수 있는 제1 오브젝트,
    컨텐츠 리스트 내의 다른 컨텐츠들 간의 내비게이션(navigation)을 위한 제2 오브젝트,
    컨텐츠의 다운로드를 위한 제3 오브젝트,
    컨텐츠의 라이크(like) 선택을 위한 제4 오브젝트, 및
    상기 제어 오브젝트의 토글을 위한 제5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데모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은
    상기 제1 오브젝트에 의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컨텐츠에 대응하는 데모 컨텐츠를 상기 외부 장치에 요청하고,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데모 컨텐츠의 스트리밍 수신에 의해 상기 컨텐츠를 실행하는 과정,
    상기 제2 오브젝트에 의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외부 장치와 연동하여, 상기 컨텐츠의 이전 컨텐츠 또는 다음 컨텐츠의 가이드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
    상기 제3 오브젝트에 의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외부 장치와 연동하여, 상기 컨텐츠를 다운로드 하는 과정, 및
    상기 제4 오브젝트에 의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외부 장치와 연동하여, 상기 컨텐츠의 위시 리스트 등록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17.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외부 장치의 데모 컨텐츠 요청에 응답하여, 데모 컨텐츠를 상기 외부 장치에 스트리밍 전송하는 과정,
    상기 데모 컨텐츠의 스트리밍 전송 중에 상기 데모 컨텐츠의 사용 중지 여부를 검출하는 과정,
    상기 데모 컨텐츠의 사용 중지를 결정하면, 상기 데모 컨텐츠의 스트리밍을 중지하는 과정, 및
    상기 데모 컨텐츠의 스트리밍 중지 이후, 컨텐츠 요청을 감지하면, 컨텐츠 요청에 대응하여 컨텐츠 다운로드, 컨텐츠 내비게이션 또는 컨텐츠 라이크 등록을 처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 사용자의 컨텐츠 사용에 대한 히스토리 정보에 기반하여 추천 컨텐츠의 컨텐츠 리스트를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제공하는 과정, 및
    상기 컨텐츠 리스트에 기반하여 컨텐츠 다운로드 또는 데모 컨텐츠 실행 요청을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데모 컨텐츠 실행 요청을 수신하면, 컨텐츠에 대응하는 데모 컨텐츠를 컨텐츠에 기반하여 생성하거나, 또는 컨텐츠에 대응하여 미리 구성된 데모 컨텐츠를 검색하는 과정, 및
    상기 생성되거나 또는 검색된 데모 컨텐츠를 상기 외부 장치에 스트리밍 서비스로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스트리밍 서비스는,
    컨텐츠를 외부 장치에 다운로드 없이 실시간으로 플레이할 수 있는 클라우드 기반의 서비스를 포함하는 방법.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데모 컨텐츠의 사용 중지를 검출하는 과정은
    상기 데모 컨텐츠를 스트리밍 전송 중에, 데모 컨텐츠에 정해진 범위의 만료 감지, 또는 상기 외부 장치의 데모 컨텐츠의 종료 요청 수신에 대응하여 상기 데모 컨텐츠의 사용 중지를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KR1020150137537A 2015-09-30 2015-09-30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5350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7537A KR102535086B1 (ko) 2015-09-30 2015-09-30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15/283,261 US9936334B2 (en) 2015-09-30 2016-09-30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7537A KR102535086B1 (ko) 2015-09-30 2015-09-30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8316A true KR20170038316A (ko) 2017-04-07
KR102535086B1 KR102535086B1 (ko) 2023-05-22

Family

ID=58407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7537A KR102535086B1 (ko) 2015-09-30 2015-09-30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936334B2 (ko)
KR (1) KR1025350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15881B2 (en) * 2016-11-01 2020-07-14 Facebook, Inc. Providing interactive elements with a live video presentation
US20210121784A1 (en) * 2019-10-23 2021-04-29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Inc. Like butt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37802A (ko) * 2010-10-12 2012-04-20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멀티미디어 컨텐츠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150097547A (ko) * 2012-12-21 2015-08-26 마이크로소프트 테크놀로지 라이센싱, 엘엘씨 추천 미디어 콘텐츠의 지능적 사전 인출 기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35636B2 (ja) * 2003-12-26 2008-08-20 ヤマハ株式会社 電子音楽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を実現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
WO2005109907A2 (en) * 2004-04-30 2005-11-17 Vulcan Inc. Maintain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state that is based on a selected time
WO2005109908A2 (en) * 2004-04-30 2005-11-17 Vulcan Inc. Maintain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state that is based on a selected piece of content
KR20060085151A (ko) * 2005-01-21 2006-07-26 엘지전자 주식회사 기록매체, 기록매체 재생장치와 재생방법
US7283841B2 (en) * 2005-07-08 2007-10-16 Microsoft Corporation Transforming media device
US20070060135A1 (en) * 2005-08-22 2007-03-15 Jeng-Tay Lin Method and device for streaming wireless digital content
US8001472B2 (en) * 2006-09-21 2011-08-16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udio and visual cues via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7802719B2 (en) * 2006-09-29 2010-09-28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System and method for presenting multiple transaction options in a portable device
US20080104112A1 (en) * 2006-10-27 2008-05-01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ethod and Apparatus for Music Play List Control
US8365235B2 (en) * 2007-12-18 2013-01-29 Netflix, Inc. Trick play of streaming media
JP2008152279A (ja) * 2008-02-01 2008-07-03 Yamaha Corp 電子音楽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を実現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
US20090249206A1 (en) * 2008-03-28 2009-10-01 Nokia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esenting a media history
US20110150426A1 (en) * 2009-12-21 2011-06-23 Son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actively managing play back of demo content by a display device based on detected radio frequency signaling
WO2011083496A1 (en) * 2010-01-07 2011-07-14 Sarkar Subhanjan Crm application for analysing and generating actionable reports based on activity of users on a product portal
GB2514393A (en) * 2013-05-22 2014-11-26 Retail In Motion In-Vehicle entertainment system
US20150082239A1 (en) * 2013-09-13 2015-03-19 Curious Olive, Inc. Remote Virtualization of Mobile Apps with Transformed Ad Target Preview
US10311496B2 (en) * 2013-09-14 2019-06-04 DemoChimp, Inc. Web-based automated product demonstration
US9081421B1 (en) * 2014-06-30 2015-07-14 Linkedin Corporation User interface for presenting heterogeneous conten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37802A (ko) * 2010-10-12 2012-04-20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멀티미디어 컨텐츠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150097547A (ko) * 2012-12-21 2015-08-26 마이크로소프트 테크놀로지 라이센싱, 엘엘씨 추천 미디어 콘텐츠의 지능적 사전 인출 기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936334B2 (en) 2018-04-03
US20170094442A1 (en) 2017-03-30
KR102535086B1 (ko) 2023-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4257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using blank area in screen
US1095877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working between electronic devices
US10430460B2 (en) Metadata-based photo and/or video animation
KR102415870B1 (ko) 적응적으로 작업 수행의 주체를 변경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TWI525522B (zh) 目標元素移動方法、裝置及電子設備
WO2015035796A1 (zh) 桌面显示方法、装置及终端
US20150020013A1 (en) Remote operation of applications using received data
US20170046123A1 (en) Device for providing sound user interface and method thereof
KR102476290B1 (ko) 파일 공유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전자 장치
KR20170017289A (ko) 콘텐츠를 송수신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1027505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input using display
KR102257474B1 (ko) 전자 장치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전자 장치
CN108900407B (zh) 会话记录的管理方法、装置及存储介质
KR102535086B1 (ko)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277217B1 (ko) 블록을 설정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WO2015039623A1 (zh) 一种终端设备执行的信息显示方法和终端设备
KR102386100B1 (ko) 리스트 표시 방법 및 장치
KR102160105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482606B1 (ko) 히든 메시지 출력을 위한 인터랙션이 설정된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CN114415893A (zh) 一种图像显示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