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7875A - Tdd 구성의 동적 변경에서의 d2d를 위한 자원 할당 - Google Patents

Tdd 구성의 동적 변경에서의 d2d를 위한 자원 할당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7875A
KR20170037875A KR1020167021550A KR20167021550A KR20170037875A KR 20170037875 A KR20170037875 A KR 20170037875A KR 1020167021550 A KR1020167021550 A KR 1020167021550A KR 20167021550 A KR20167021550 A KR 20167021550A KR 20170037875 A KR20170037875 A KR 201700378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link
configuration
radio resource
resourc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1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7672B1 (ko
Inventor
히로아키 다카노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70037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78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76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76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04W72/04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AREA)
  • Bidirectional Digital Transmission (AREA)

Abstract

장치는 TDD(time division duplex) 캐리어의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을 동적으로 변경하는 회로를 포함한다. 회로는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에 대한 장치간 통신용의 무선 자원을 단말 장치에 통지한다. 무선 자원은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의 적어도 1개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무선 자원이다.

Description

TDD 구성의 동적 변경에서의 D2D를 위한 자원 할당{RESOURCE ALLOCATION FOR D2D IN DYNAMIC CHANGE OF TDD CONFIGURATION}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원은 2014년 7월 29일자로 출원된 일본 우선권 특허 출원 JP 2014-153812의 이익을 주장하며, 그 전체 내용이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다.
기술 분야
본 개시는 장치 및 방법과 관련된다.
장치간 통신(D2D 통신)은 기지국과 단말 장치가 신호를 송수신하는 일반적인 셀룰러 통신과는 달리, 2개 이상의 단말 장치가 직접적으로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이다. 그로 인해, D2D 통신에서는, 상기 일반적인 셀룰러 통신과는 다른, 단말 장치의 새로운 이용 형태가 생겨나게 되는 것이 기대된다. 예를 들어, 근접하는 단말 장치간 또는 근접하는 단말 장치의 그룹 내에 있어서의 데이터 통신에 의한 정보 공유, 설치된 단말 장치로부터의 정보의 배포, M2M(machine to machine) 통신이라고 불리는 기계간의 자율 통신 등, 다양한 응용이 생각된다.
또한, 최근의 스마트폰 증가에 의한, 데이터 트래픽의 현저한 증가에 대하여 D2D 통신을 데이터의 오프로딩에 활용하는 것도 생각된다. 예를 들어, 최근 들어, 동화상의 스트리밍 데이터의 송수신에 대한 요구가 급속하게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동화상은 데이터 양이 많으므로, RAN(radio access network)에 있어서 많은 자원을 소비한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단말 장치간의 거리가 작은 경우와 같이, 단말 장치끼리가 D2D 통신에 적합한 상태라면, 동화상 데이터를 D2D 통신에 오프로딩함으로써, RAN에 있어서의 자원의 소비 및 처리의 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D2D 통신은, 통신 사업자 및 사용자의 양쪽에 있어서 이용 가치가 있다. 그로 인해, 현재, D2D 통신은,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표준화 협회로부터 LTE(long term evolution)에 필요한 중요한 하나의 기술 영역으로서 인식되어, 주목받고 있다.
예를 들어, 비특허문헌 1에는, TDD(time division duplex)의 경우에, 네트워크 커버리지 내에서는 업링크 서브프레임에서 D2D 통신이 행하여지는 것이 개시되고 있다.
선행기술 문헌
비특허 문헌
[NPL 1] 3GPP TR 36.843 V12.0.0 (March 2014)
예를 들어, D2D 통신을 위해 사용 가능한 무선 자원으로서, 주기적인 무선 자원이 할당된다. 예를 들어, 무선 프레임의 정수배 주기로, 특정한 서브프레임의 무선 자원이, D2D 통신을 위해 사용 가능한 무선 자원으로서 할당된다. 따라서, 특정한 서브프레임에서 D2D 통신이 행하여진다.
예를 들어, TDD 캐리어에서 D2D 통신이 행하여지는 경우에, 네트워크 커버리지 내에서는, TDD 캐리어의 업링크/다운링크 구성(UL/DL 구성)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무선 자원이 D2D 통신에 사용 가능한 무선 자원으로서 할당된다. 따라서, 업링크 서브프레임에서, D2D 통신이 행하여진다.
그러나, TDD 캐리어의 UL/DL 구성이 동적으로 변경될 경우에는, D2D 통신이 행하여지고 있었던 업링크 서브프레임이,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또는 특수 서브프레임으로 변경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또는 특수 서브프레임에서 D2D 통신이 행하여질 수 있다. 즉, 셀룰러 통신 표준을 따르지 않는 D2D 통신이 행하여져 버리는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TDD의 환경 하에서 단말 장치가 적절하게 D2D 통신을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TDD(time division duplex) 캐리어의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을 동적으로 변경하도록 구성되는 회로를 포함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회로는 상기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에 대한 장치간 통신용의 무선 자원을 단말 장치에 통지한다. 상기 무선 자원은 상기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의 적어도 1개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무선 자원이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프로세서에 의해, TDD(time division duplex) 캐리어의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을 동적으로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에 대한 장치간 통신용의 무선 자원을 단말 장치에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무선 자원은 상기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의 적어도 1개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무선 자원이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기지국에 의해 동적으로 변경되는 TDD 캐리어의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에 대한 장치간 통신용의 무선 자원을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하도록 구성되는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회로는 상기 무선 자원을 사용하는 장치간 통신을 제어하도록 더 구성되는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무선 자원은 상기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의 적어도 1개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무선 자원이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기지국에 의해 동적으로 변경되는 TDD(time division duplex) 캐리어의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에 대한 장치간 통신용의 무선 자원을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 및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무선 자원을 사용하는 장치간 통신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무선 자원은 상기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의 적어도 1개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무선 자원이다.
전술한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의하면, TDD 환경 하에서 단말 장치가 적절하게 D2D 통신을 행할 수 있지만, 본 개시는 이 효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효과와 함께 또는 그 대신에, 본 명세서에 나타나는 임의의 효과 또는 본 명세서로부터 이해될 수 있는 다른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도 1은 D2D 통신의 사용례의 구체 예를 설명하기 위한 제1 설명도이다.
도 2는 D2D 통신의 사용례의 구체 예를 설명하기 위한 제2 설명도이다.
도 3은 FDD에 있어서의 PSS 및 SSS의 타이밍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4는 TDD에 있어서의 PSS 및 SSS의 타이밍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5는 셀룰러 시스템에 있어서의 무선 프레임 및 서브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6은 자원 풀(resource pool)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7은 자원 풀에서 송신되는 신호 및 정보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8은 UL/DL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0은 동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구성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1은 동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구성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2는 D2D 자원의 제1 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3은 UL/DL 구성의 변경에 따른 D2D 자원의 통지 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4는 D2D 자원의 제2 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5는 D2D 자원의 제3 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6은 D2D 자원의 제4 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7은 D2D 자원의 제5 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8은 구성마다의 주기의 제1 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9는 구성마다의 주기의 제2 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20은 동 실시예에 따른 처리 흐름의 제1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1은 동 실시예에 따른 처리 흐름의 제2의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처리 흐름의 제3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3은 eNB의 개략적인 구성의 제1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4는 eNB의 개략적인 구성의 제2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5는 스마트폰의 개략적인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6은 차량 내비게이션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첨부 도면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및 구성을 갖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함으로써 이러한 구성 요소의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첨부 도면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및 구성을 갖는 요소는 일부 예에서 동일 부호에 첨부된 상이한 문자에 의해 구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및 구성을 갖는 복수의 요소는 적절한 경우에 단말 장치(10A, 10B 및 10C 등)로서 구별된다. 한편,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및 구성을 갖는 복수의 요소의 각각을 특히 구별할 필요가 없을 경우, 동일 부호만을 부여한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10A, 10B 및 10C)를 특별히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간단히 단말 장치(10)라고 칭한다.
이하, 설명은 다음의 순서로 진행된다.
1. 서론
2.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과제
3. 통신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
4. 각 장치의 구성
4.1. 기지국의 구성
4.2. 단말 장치의 구성
5.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특징
5.1. 제1 기술적 특징
5.2. 제2 기술적 특징
5.3. 기타의 기술적 특징
6. 처리의 흐름
7. 응용예
8. 결론
<<1. 서론>>
먼저,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D2D 통신에 관련하는 기술을 설명한다.
(D2D 통신의 사용례)
통상의 LTE의 시스템에서는, eNB(evolved NodeB)와 UE(User Equipment)가 무선 통신을 행하지만, UE가 서로 무선 통신할 일은 없었다. 그러나, 공중 안전을 위한 응용(예를 들어, 충돌 방지 등의 응용) 또는 데이터 오프로딩을 위해서, UE가 서로 직접적으로 무선 통신하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D2D 통신에 관한 사용례가 3GPP의 SA(service and systems aspects) 1 등에서 논의되고, TR 22.803에 기재되고 있다. 또한, TR 22.803에는, 사용례가 개시되고 있지만, 구체적인 실현 수단은 개시되어 있지 않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사용례의 구체 예를 설명한다.
도 1은 D2D 통신의 사용례 구체 예를 설명하기 위한 제1 설명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복수의 UE(10) 및 eNB(20)가 도시된다. 제1 사용례로서, 예를 들어 네트워크 커버리지 영역 내에(예를 들어, eNB(20)의 셀(21) 내에) 위치하는 UE(10A) 및 UE(10B)가 D2D 통신을 행한다. 이러한 D2D 통신을 인 커버리지(In-Coverage) D2D 통신이라 칭한다. 제2 사용례로서, 예를 들어 네트워크 커버리지 영역 밖에 위치하는 UE(10C) 및 UE(10D)가 D2D 통신을 행한다. 이러한 D2D 통신을 아웃 커버리지(Out-of-Coverage) D2D 통신이라 칭한다. 제3 사용례로서, 예를 들어 네트워크 커버리지 영역 내에 위치하는 UE(10E)와, 네트워크 커버리지 영역 밖에 위치하는 UE(10F)가 D2D 통신을 행한다. 이러한 D2D 통신을 부분 커버리지(Partial-Coverage) D2D 통신이라 칭한다. 공중 안전의 관점에서, 아웃 커버리지 D2D 통신 및 부분 커버리지 D2D 통신도 중요하다. 또한, 네트워크 커버리지 영역은 셀룰러 네트워크의 커버리지 영역을 지칭한다. 즉, 셀의 집합이 네트워크 커버리지 영역을 형성한다.
도 2는 D2D 통신의 사용례의 구체 예를 설명하기 위한 제2 설명도이다. 도 2을 참조하면, UE(10A) 및 UE(10B), 및 eNB(20A) 및eNB(20B)가 도시된다. 이 예에서는, eNB(20A)는 제1 MNO(mobile network operator)에 의해 운용되고, eNB(20B)는 제2 MNO에 의해 운용되고 있다. 그리고, 제1 네트워크 커버리지 영역 내에(예를 들어, eNB(20A)의 셀(21A) 내에) 위치하는 UE(10A)와, 제2 네트워크 커버리지 영역 내에(예를 들어, eNB(20B)의 셀(21B) 내에) 위치하는 UE(10B)가 D2D 통신을 행한다. 공중 안전의 관점에서, 이러한 D2D 통신도 중요하다.
(D2D 통신까지의 흐름)
예를 들어, 동기화(Synchronization), 발견(Discovery) 및 접속 확립이 순차적으로 행해지고, 그 후 D2D 통신이 행하여진다. 이하, 동기화, 발견 및 접속 확립의 단계의 고찰을 설명한다.
(a) 동기화
2개의 UE가 네트워크 커버리지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경우, 2개의 UE는 eNB로부터의 다운링크 신호를 사용해서 eNB와의 동기화를 획득함으로써, 서로 어느 정도 동기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D2D 통신을 행하고자 하는 2개의 UE 가운데 적어도 한쪽이 네트워크 커버리지 영역 밖에 위치하는 경우, 2개의 UE 중 적어도 한쪽이 D2D 통신에서의 동기화를 위하여 동기화 신호를 송신할 필요가 있다.
(b) 다른 UE의 발견
다른 UE의 발견은 예를 들어 발견 신호의 송수신에 의해 행하여진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2개의 UE 중 한쪽의 UE가 발견 신호를 송신하고, 2개의 UE 중 다른 쪽의 UE가 발견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한쪽의 UE와의 통신을 시도한다.
발견 신호는, 시간 방향에 있어서 소정의 타이밍에 송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수신측의 UE가 발견 신호의 수신을 시도하는 타이밍을 한정할 수 있다. 또한, 전제로서, D2D 통신을 행하고자 하는 2개의 UE는, 발견 신호의 수신 전에 미리 동기화를 획득할 수 있다.
(c) 접속 확립
D2D 통신을 행하고자 하는 2개의 UE는,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이 접속을 확립할 수 있다. 먼저, 제1 UE가 발견 신호를 송신하고, 제2 UE가 발견 신호를 수신한다. 그 후, 제2 UE는, 접속의 확립을 요구하는 요구 메시지를 제1 UE에 송신한다. 그리고, 제1 UE는, 요구 메시지에 따라, 접속의 확립이 완료한 것을 나타내는 완료 메시지를 제2 UE에 송신한다.
(eNB에 의해 송신되는 동기화 신호)
LTE에서, eNB는, 동기화 신호로서, PSS(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및 SSS(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을 송신한다. PSS 및 SSS는, 무선 프레임의 프레임 구조에 있어서의 소정의 타이밍에 송신된다. 이하, 도 3 및 도 4을 참조하여,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및 TDD(time division duplex)에 있어서의 PSS 및 SSS의 타이밍의 구체 예를 설명한다.
도 3은 FDD에 있어서의 PSS 및 SSS의 타이밍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무선 프레임에 포함되는 10개의 서브프레임이 도시된다. FDD에서는, 서브프레임 번호가 0, 5인 서브프레임(즉, 1번째의 서브프레임 및 6번째의 서브프레임)에서, PSS 및 SSS가 송신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서브프레임 각각에 포함되는 제1 슬롯의 6번째 심볼에서 SSS가 송신되고, 제1 슬롯의 7번째의 심볼에서 PSS가 송신된다.
도 4는 TDD에 있어서의 PSS 및 SSS의 타이밍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무선 프레임에 포함되는 10개의 서브프레임이 도시된다. TDD에서는, 서브프레임 번호가 1, 6인 서브프레임(즉, 2번째의 서브프레임 및 7번째의 서브프레임)의 각각에서 PSS가 송신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서브프레임 각각에 포함되는 제1 슬롯의 3번째의 심볼에서, PSS가 송신된다. 또한, TDD에서는, 서브프레임 번호가 0, 5인 서브프레임(즉, 1번째의 서브프레임 및 6번째의 서브프레임) 각각에서, SSS가 송신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서브프레임 각각에 포함되는 제2 슬롯의 7번째의 심볼에서, SSS가 송신된다.
UE는, PSS의 검출 시에, 서브프레임마다의 타이밍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UE는, SSS의 검출 시에, 어느 서브프레임이 서브프레임 #0인지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UE는, PSS의 시퀀스에 기초하여, 3개의 셀 그룹 중에서 PSS를 송신하는 eNB에 의해 형성되는 셀이 속하는 셀 그룹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UE는, SSS의 시퀀스에 기초하여, 1개의 셀 그룹에 속하는 168개의 셀 후보 중에서, SSS를 송신하는 eNB에 의해 형성되는 셀을 식별할 수 있다. 즉, UE는, PSS의 시퀀스 및 SSS의 시퀀스에 기초하여, 504개의 셀 후보 중에서, PSS 및 SSS를 송신하는 eNB에 의해 형성되는 셀을 식별할 수 있다.
(D2D 통신의 동기화 신호)
예를 들어, UE가 네트워크 커버리지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eNB에 의해 송신되는 동기화 신호에 기초하여, D2D 통신을 위한 동기화가 수행된다. 예를 들어, UE가, 네트워크 커버리지 영역 밖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다른 UE에 의해 송신되는 동기화 신호에 기초하여, D2D 통신을 위한 동기화가 수행된다. 또한, 동기화 신호는, 릴레이된 신호일 수 있다.
D2D 통신을 위하여 단말 장치에 의해 사용되는 동기화 신호는, 다양한 속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동기화 신호는, 송신원의 속성을 가질 수 있다. 송신원은 eNB 또는 UE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동기화 신호는, 릴레이의 유무 속성을 가질 수 있다.
동기화 신호가 무선으로 릴레이될 경우에는, 중심 주파수의 정밀도가 열화되는 것이 염려된다. 그로 인해, 릴레이의 횟수(홉 수)가 보다 적은 것이 바람직하다.
동기화 신호의 송신원은, UE보다도 eNB가 바람직하다. 이는 UE의 발진기의 정밀도보다 eNB의 발진기의 정밀도가 높기 때문이다.
(D2D 통신을 위해 사용 가능한 무선 자원)
(a)자원 풀
D2D 통신을 위해 사용 가능한 무선 자원으로서, 자원 풀이라고 불리는 무선 자원이 준비된다. 자원 풀로서, 주기적인 무선 자원이 고려된다. 예를 들어, 자원 풀은, 주기 및 (시간 방향의) 오프셋에 의해 표현된다.
자원 풀의 사용 방법으로서 2개의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제1 방법에서는, 관리 노드(예를 들어, eNB 또는 UE)가 자원 풀 중에서 무선 자원을 UE에 할당하고, 무선 자원을 UE에 통지한다. UE는, 할당된 상기 무선 자원에서 D2D 통신을 행할 수 있다. 제2 방법에서는, UE는, 자원 풀 중에서 무선 자원을 선택하고, 무선 자원에서 D2D 통신을 행한다. 제1 방법은 비경쟁 기반 방법이며, 충돌이 일어나지 않는다. 한편, 상기 제2 방법은 경쟁 기반 방법이며, 충돌이 일어날 수 있다.
(b) 복수의 자원 풀
복수의 자원 풀이 준비되는 것도 당연히 생각된다. 이 경우에, 자원 풀의 주기 및 오프셋은, 다른 자원 풀의 주기 및 오프셋과 상이한 경우도 있다. 또한, 자원 풀의 주기는, 다른 자원 풀의 주기와 같지만, 자원 풀의 오프셋은, 다른 자원 풀의 오프셋과 상이한 경우도 있다.
이하, 도 5을 참조하여, 셀룰러 시스템에 있어서의 시간의 단위로서 사용되는 무선 프레임 및 서브프레임을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여, 자원 풀의 구체 예를 설명한다.
도 5는 셀룰러 시스템에 있어서의 무선 프레임 및 서브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5을 참조하면, 무선 프레임과, 1개의 무선 프레임에 포함되는 10개의 서브프레임이 도시된다. 각 무선 프레임은 10ms이며, 각 서브프레임은 1ms이다. 각 무선 프레임은, 0 내지 1023 중 어느 하나인 SFN(system frame number)을 갖고, 1024개의 무선 프레임이 반복 제공된다.
도 6은 자원 풀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2개의 자원 풀(즉, 자원 풀 #1 및 자원 풀 #2)이 도시된다. D2D 통신을 위해 사용 가능한 무선 자원이 주기적으로 서브프레임에 배치되는 것으로 간주된다. 예를 들어, 자원 풀 #1은, 주기(33)로 반복하는 서브프레임(31)의 무선 자원이며, 자원 풀 #2는, 주기(37)로 반복하는 서브프레임(35)의 무선 자원이다. 예를 들어, 주기(33)는 200ms이며, 주기(37)은 400ms이다. 또한, 이 예에서는, 자원 풀 #1 및 자원 풀 #2는 오프셋이 상이하다.
(c) 자원 풀에서 송신되는 신호/정보
예를 들어, 자원 풀에서는, 동기화 신호 및 동기화 정보가 대표적인 UE에 의해 송신된다. 또한, UE는 자원 풀 중, 동기화 신호 및 동기화 정보가 송신되는 무선 자원 이외의 무선 자원에서 D2D 통신을 행한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그의 구체 예를 설명한다.
도 7은 자원 풀에서 송신되는 신호 및 정보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N개의 자원 풀(즉, 자원 풀 #1 내지 #N)이 도시된다. N개의 자원 풀의 각각에서, 동기화 신호 및 동기화 정보가 송신된다. 또한, N개의 자원 풀의 각각에서, 동기화 신호 및 정보가 송신되는 무선 자원 이외의 무선 자원에서 D2D 통신이 행하여질 수 있다. 또한, 1개의 UE가 2개 이상의 자원 풀에서 동기화 신호 및 동기화 정보를 송신해도 된다.
<<2.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과제>>
먼저, 도 8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과제를 설명한다.
(상정되는 사항)
예를 들어, D2D 통신을 위해 사용 가능한 무선 자원으로서, 주기적인 무선 자원이 할당된다. 예를 들어, 무선 프레임의 정수배 주기로, 특정한 서브프레임의 무선 자원이, D2D 통신을 위해 사용 가능한 무선 자원으로서 할당된다. 따라서, 특정한 서브프레임에서 D2D 통신이 행하여진다.
예를 들어, TDD 캐리어에서 D2D 통신이 행하여지는 경우에, 네트워크 커버리지 영역 내에서는, TDD 캐리어의 UL/DL 구성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무선 자원이, D2D 통신을 위해 사용 가능한 무선 자원으로서 할당된다. 따라서, 업링크 서브프레임에서, D2D 통신이 행하여진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그의 구체 예를 설명한다.
도 8은 UL/DL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TDD 캐리어의 UL/DL 구성으로서 선택될 수 있는 7개의 구성(구성 0 내지 6)이 도시된다. 각 구성은, 무선 프레임에 포함되는 10개의 서브프레임의 각각을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업링크 서브프레임 또는 특수 서브프레임으로서 정한다. 일례로서, TDD 캐리어의 UL/DL 구성이, 구성 2일 경우에, 서브프레임 번호가 2, 7인 서브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무선 자원이, D2D 통신을 위해 사용 가능한 무선 자원으로서 할당된다. 다른 예로서, TDD 캐리어의 UL/DL 구성이, 구성 3일 경우에, 서브프레임 번호가 2, 3, 4인 서브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무선 자원이, D2D 통신을 위해 사용 가능한 무선 자원으로서 할당된다.
(제1 기술적 과제)
인 커버리지의 경우, 기지국은 D2D 통신에 사용 가능한 무선 자원을 단말 장치에 통지할 수 있다. 그러나, 기지국이 D2D 통신에 사용 가능한 무선 자원을 제약 없이 자유롭게 선택할 때, 기지국은 D2D 통신에 사용 가능한 무선 자원을 통지하기 위해 많은 무선 자원을 사용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무선 자원의 관점에서, 기지국에 대한 부하가 커질 수 있다.
도 8을 다시 참조하면, 예를 들어 TDD 캐리어의 UL/DL 구성이 구성 2일 때, 서브프레임 번호가 7인 서브프레임의 무선 자원이 D2D 통신을 위해 사용 가능한 무선 자원으로서 할당된다. 그 후, UL/DL 구성이, 구성 2로부터 구성 3으로 변경된다. 그로 인해, 서브프레임 번호가 7인 서브프레임이,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이 된다. 그 결과,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에서 D2D 통신이 행하여질 수 있다.
따라서, TDD의 환경 하에서 단말 장치가 적절하게 D2D 통신을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TDD 환경 하에서 단말 장치가 계속하여 업링크 서브프레임에서 D2D 통신을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기술적 과제)
또한, TDD 캐리어의 UL/DL 구성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무선 자원이 D2D 통신을 위해 사용 가능한 무선 자원으로서 자유롭게 할당될 때, 기지국 및 단말 장치의 사이에서의 TDD 무선 통신에 악영향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업링크 서브프레임이 D2D 통신에 할당되면, 업링크 서브프레임에서는, 단말 장치는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예를 들어 단말 장치의 업링크에서의 통신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일례로서, 단말 장치의 사용자가 통화할 경우에, 단말 장치에 의한 음성 데이터의 송신 간격이 길어질 수 있다. 그로 인해, 음성 데이터의 송신에 지연이 발생할 수 있다. 그 결과, 통신 품질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다른 예로서, 업링크에서의 단말 장치에 의한 ACK/NACK(즉, 다운링크 데이터에 관한 ACK/NACK)의 송신이, 적절한 타이밍에 행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것으로 간주된다. 구체적으로는, 업링크에서 ACK/NACK가 송신될 때 에러 또는 지연이 발생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따라서, TDD의 환경 하에서 단말 장치가 적절하게 D2D 통신을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D2D 통신에 기인하여 기지국과 단말 장치와의 사이의 TDD 무선 통신에 발생하는 악영향을 작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통신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
계속해서, 도 9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1)의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한다. 도 9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1)의 개략적인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9을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1)은 기지국(100) 및 단말 장치(200)을 포함한다. 통신 시스템(1)은, 예를 들어 셀룰러 시스템이며, 일례로서, LTE, LTE-Advanced, 또는 이들에 준하는 통신 표준에 준거한 시스템이다.
(기지국(100))
기지국(100)은 단말 장치와의 무선 통신을 행한다. 예를 들어, 기지국(100)은 기지국(100)의 셀(101) 내에 위치하는 단말 장치(200)와 무선 통신을 행한다.
특히,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기지국(100)은 TDD에서 무선 통신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기지국(100)은 TDD 캐리어를 사용하고,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에서 다운링크 신호를 송신하고, 업링크 서브프레임에서 업링크 신호를 수신한다. TDD 캐리어는, TDD 무선 통신을 위한 캐리어이며, 예를 들어 구성 요소 캐리어이다.
또한, 도 9에는, 통신 시스템(1)에 포함되는 1개의 기지국(즉, 기지국(100))만이 도시된다. 물론, 통신 시스템(1)은 복수의 기지국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기지국의 집합이 네트워크 커버리지 영역(즉, 셀룰러 네트워크의 커버리지 영역)을 형성한다.
(단말 장치(200))
단말 장치(200)는 기지국과 무선 통신을 행한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200)는 기지국(100)의 셀(101) 내에 위치할 경우에, 단말 장치(200)는 기지국(100)과의 무선 통신을 행한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200)는 TDD에서 기지국과의 무선 통신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단말 장치(200)는 TDD 캐리어를 사용하고,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에서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하고, 업링크 서브프레임에서 업링크 신호를 송신한다.
특히,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단말 장치(200)는 D2D 통신을 행한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200)는 다른 단말 장치(200)과의 D2D 통신을 행한다.
<<4. 각 장치의 구성>>
계속해서,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기지국(100) 및 단말 장치(200)의 구성 일례를 설명한다.
<4.1. 기지국의 구성>>
도 10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100)의 구성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기지국(100)은 안테나부(110), 무선 통신부(120), 네트워크 통신부(130), 기억부(140) 및 처리부(150)를 포함한다.
(안테나부(110))
안테나부(110)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무선 신호를 무선 통신부(120)에 출력한다. 또한, 안테나부(110)는 무선 통신부(120)에 의해 출력된 송신 신호를 송신한다.
(무선 통신부(120))
무선 통신부(120)는 신호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20)는 단말 장치로 다운링크 신호를 송신하고, 단말 장치로부터 업링크 신호를 수신한다.
(네트워크 통신부(130))
네트워크 통신부(130)는 정보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통신부(130)는 다른 노드로 정보를 송신하고, 다른 노드로부터 정보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다른 노드는, 다른 기지국 및 코어 네트워크 노드를 포함한다.
(기억부(140))
기억부(140)는 기지국(10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기억한다.
(처리부(150))
처리부(150)는 기지국(100)의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처리부(150)는 정보 취득부(151) 및 제어부(153)를 포함한다. 또한, 처리부(150)는 이들 구성 요소 이외의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처리부(150)는 이들 구성 요소의 동작 이외의 동작도 행할 수 있다.
정보 취득부(151) 및 제어부(153)의 동작은 나중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4.2. 단말 장치의 구성>>
도 1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200)의 구성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단말 장치(200)는 안테나부(210), 무선 통신부(220), 기억부(230) 및 처리부(240)를 구비한다.
(안테나부(210))
안테나부(210)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무선 신호를 무선 통신부(220)에 출력한다. 또한, 안테나부(210)는 무선 통신부(220)에 의해 출력된 송신 신호를 송신한다.
(무선 통신부(220))
무선 통신부(220)는 신호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220)는 기지국으로부터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하고, 기지국에 업링크 신호를 송신한다. 또한,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220)는 다른 단말 장치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다른 단말 장치에 신호를 송신한다.
(기억부(230))
기억부(230)는 단말 장치(20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기억한다.
(처리부(240))
처리부(240)는 단말 장치(200)의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처리부(240)는 정보 취득부(241) 및 제어부(243)을 포함한다. 또한, 처리부(240)는 이들 구성 요소 이외의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처리부(240)는 이들 구성 요소의 동작 이외의 동작도 행할 수 있다.
정보 취득부(241) 및 제어부(243)의 동작은 나중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5.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특징>>
계속해서, 도 12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특징을 설명한다.
<5.1. 제1 기술적 특징>
먼저, 도 12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제1 기술적 특징을 설명한다. 제1 기술적 특징은, 예를 들어 상술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제1 기술적 과제에 대응하는 특징이다.
(UL/DL 구성의 동적인 변경)
기지국(100)(제어부(153))은 TDD 캐리어의 UL/DL 구성을 동적으로 변경한다.
(a) 복수의 구성
예를 들어, 기지국(100)(제어부(153))은 복수의 구성 중 1개의 구성으로부터, 복수의 구성 중 다른 구성으로 UL/DL 구성을 변경한다.
예를 들어, 복수의 구성은, 도 8에 나타나는 7개의 구성(구성 0 내지 6)을 포함한다. 즉, 기지국(100)(제어부(153))은 7개의 구성 중 1개의 구성으로부터 다른 구성으로 UL/DL 구성을 변경한다.
구체적인 처리로서, 예를 들어 제어부(153)는 UL/DL 구성을 지정하는 동작 파라미터를 변경함으로써 UL/DL 구성을 변경한다. 또한, 이것은 구체적인 처리의 단순한 일례이며, 당연히, 제어부(153)는 실장에 따른 다른 처리를 행해도 된다.
(b) UL/DL 구성의 통지
예를 들어, 기지국(100)(제어부(153))은 TDD 캐리어의 상기 UL/DL 구성을 단말 장치에 통지한다.
(b-1) 통지 방법
- 시스템 정보의 보고
예를 들어, 기지국(100)(제어부(153))은 UL/DL 구성을 나타내는 시스템 정보의 보고에 의해, UL/DL 구성을 단말 장치에 통지한다. 예를 들어, 시스템 정보는 SIB(system information block)1이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접속 모드의 단말 장치뿐만 아니라, 아이들 모드의 단말 장치도, UL/DL 구성을 아는 것이 가능해진다.
- 개별 시그널링
기지국(100)(제어부(153))은 시스템 정보의 보고 외에, 개별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UL/DL 구성을 접속 모드의 단말 장치에 통지해도 된다. 개별 시그널링은 RRC(radio resource control) 시그널링이어도 된다. 접속 모드의 단말 장치는, 예를 들어 단말 장치(200)이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UL/DL 구성의 변경 신속한 통지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b-2) 단말 장치(200)의 동작
예를 들어, 단말 장치(200)(정보 취득부(241))는 UL/DL 구성을 취득한다. 따라서, 단말 장치(200)(제어부(243))는 UL/DL 구성에 따라, TDD 캐리어를 사용하여 기지국과의 무선 통신을 행한다.
(D2D 통신용의 무선 자원의 통지)
기지국(100)(제어부(153))은 UL/DL 구성에 적합한 D2D 통신용의 무선 자원을 단말 장치에 통지한다. 무선 자원은 TDD 캐리어의 무선 자원이다. 또한, 이하에서는, "D2D 통신용의 무선 자원"는, 간단히 "D2D 자원"라고 불릴 수 있다.
한편, 단말 장치(200)(정보 취득부(241))는 UL/DL 구성(즉, 기지국(100)에 의해 동적으로 변경되는 TDD 캐리어의 UL/DL 구성)에 적합한 D2D 자원을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한다. 따라서, 단말 장치(200)는 D2D 자원을 사용하여 D2D 통신을 행한다. 단말 장치(200)의 제어부(243)는 D2D 자원을 사용하는 D2D 통신을 제어한다.
(a) UL/DL 구성에 적합한 D2D 자원
UL/DL 구성에 적합한 D2D 자원은 UL/DL 구성 중 적어도 1개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무선 자원이다.
도 8을 다시 참조하면, 일례로서, UL/DL 구성이 구성 1일 경우에는, UL/DL 구성에 적합한 D2D 자원은 서브프레임 번호가 2, 3, 7, 8인 서브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의 서브프레임 무선 자원이다. 다른 예로서, UL/DL 구성이 구성 4일 경우에는, UL/DL 구성에 적합한 D2D 자원은, 서브프레임 번호가 2, 3인 서브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의 서브프레임 무선 자원이다.
또한, 예를 들어 D2D 자원은, 주기적인 무선 자원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D2D 자원은, 무선 프레임의 정수배 주기로 반복하는 무선 자원이다. 이 경우에, 주기가 1 무선 프레임이 아닌 한, D2D 자원은 한정된 무선 프레임의 특정한 서브프레임의 무선 자원이다. D2D 자원은, 자원 풀이라고 불릴 수 있다. 주기(및 오프셋)을 각각 갖는 복수의 자원 풀이 준비될 수 있다. D2D 자원은, 무선 프레임의 주기(및 오프셋) 및 서브프레임에 의해 나타날 수 있다.
(b) 통지 방법
예를 들어, 기지국(100)(제어부(153))은 UL/DL 구성에 적합한 D2D 자원을 나타내는 시스템 정보의 보고에 의해, D2D 자원을 단말 장치에 통지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접속 모드의 단말 장치뿐만 아니라, 아이들 모드의 단말 장치도 D2D 자원을 아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기지국(100)(제어부(153))은 개별 시그널링에 의해, D2D 자원을 단말 장치(200)에 통지해도 된다. 개별 시그널링은 RRC 시그널링이어도 된다.
(c) 통지 형태
(c-1) UL/DL 구성의 변경에 따른 D2D 자원의 통지
상술한 바와 같이, 기지국(100)(제어부(153))은 복수의 구성 중 1개의 구성으로부터 복수의 구성 중 다른 구성으로 UL/DL 구성을 변경한다.
제1 통지 형태로서, 예를 들어 기지국(100)(제어부(153))은 UL/DL 구성의 변경에 따라 다른 구성에 적합한 D2D 자원을 단말 장치에 통지한다. 다른 구성에 적합한 D2D 자원은 다른 구성의 적어도 1개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무선 자원이다.
한편, 단말 장치(200)(정보 취득부(241))는 기지국(100)이 단말 장치(200)에 통지한 D2D 자원을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한다. 따라서, 단말 장치(200)는 기지국(100)이 단말 장치(200)에 통지한 D2D 자원을 사용하고, D2D 통신을 행한다. 즉, 단말 장치(200)의 제어부(243)는 기지국(100)이 단말 장치(200)에 통지한 D2D 자원을 사용하는 D2D 통신을 제어한다.
이하,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기지국(100)이 단말 장치에 통지한 D2D 자원의 구체 예를 설명한다.
도 12는, D2D 자원의 제1 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구성 0 내지 6이 도시된다. 이 예에서는, 구성마다, 1개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이 D2D 자원으로서 준비되어 있다. 예를 들어, 구성 0, 1, 3, 4, 6의 각각에 적합한 D2D 자원은 서브프레임 번호가 3인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무선 자원이다. 또한, 예를 들어 구성 2, 5의 각각에 적합한 D2D 자원은 서브프레임 번호가 2인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무선 자원이다.
도 13은, UL/DL 구성의 변경에 따른 D2D 자원의 통지 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예를 들어 TDD 캐리어의 UL/DL 구성이, 구성 0로부터 구성 2로 변경된다. 구성 0에 적합한 D2D 자원은, 서브프레임 번호가 3인 서브프레임의 무선 자원이다. 구성 2에 적합한 D2D 자원은, 서브프레임 번호가 2인 서브프레임의 무선 자원이다. 이 경우에, 기지국(100)(제어부(153))은 UL/DL 구성의 변경에 따라, 서브프레임 번호가 2인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무선 자원을 D2D 자원으로서 단말 장치에 통지한다. 그 결과, 단말 장치(200)는 UL/DL 구성의 변경 후에는, 서브프레임 3인 서브프레임에서는 D2D 통신을 행하지 않고, 서브프레임 번호가 2인 서브프레임에서 D2D 통신을 행한다.
이와 같이, 예를 들어 UL/DL 구성이 구성 0, 1, 3, 4, 6 중 어느 하나로 변경된 경우에는, 기지국(100)(제어부(153))은 서브프레임 번호가 3인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무선 자원을 D2D 자원으로서 단말 장치에 통지한다. 또한, 예를 들어 UL/DL 구성이 구성 2, 5 중 어느 하나에 변경된 경우에는, 기지국(100)(제어부(153))은 서브프레임 번호가 2인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무선 자원을 D2D 자원으로서 단말 장치에 통지한다.
또한, 도 12의 예에서는, D2D 자원은 무선 프레임 내의 1개의 서브프레임의 무선 자원이다. 그러나, 당연히, D2D 자원은 무선 프레임 내의 2개 이상의 서브프레임의 무선 자원이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D2D 자원은 주기적인 무선 자원이며, 주기(및 오프셋)을 갖는다. 이 경우에, 예를 들어 기지국(100)(제어부(153))은 D2D 자원의 통지 시에, 서브프레임뿐만 아니라, 주기(및 오프셋)도 통지한다. 예를 들어, 주기는, 무선 프레임의 정수배 주기이다.
이상과 같이, 예를 들어 기지국(100)(제어부(153))은 UL/DL 구성의 변경에 따라, 다른 구성(즉, 변경된 구성)에 적합한 D2D 자원을 단말 장치에 통지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TDD 환경 하에서 단말 장치가 계속하여 업링크 서브프레임에서 D2D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TDD 캐리어의 UL/DL 서브프레임이 변경되었다고 해도, 기지국(100)은 변경 후의 구성에 적합한 D2D 자원(업링크 서브프레임의 무선 자원)을 단말 장치(200)에 통지하고, 단말 장치(200)는 업링크 서브프레임에서 D2D 통신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기지국(100)은 UL/DL 구성의 변경의 직전으로부터 UL/DL 구성의 다음 변경의 직전까지, 다른 구성(즉, 변경 후의 구성)을 나타내는 시스템 정보를 보고한다. 기지국(100)은 UL/DL 구성의 변경의 직전에, 개별 시그널링에 의해, 다른 구성(즉, 변경 후의 구성)을 단말 장치(200)에 통지해도 된다.
(c-2) 복수의 구성의 각각에 적합한 D2D 자원의 통지
상술한 바와 같이, 기지국(100)(제어부(153))은 복수의 구성 중 1개의 구성으로부터 복수의 구성 중 다른 구성으로 UL/DL 구성을 변경한다.
제2 통지 형태로서, 예를 들어 기지국(100)(제어부(153))은 복수의 구성의 각각에 적합한 D2D 자원을 단말 장치에 통지한다.
- 제1 예: 구성마다의 D2D 자원
제1 예로서, 복수의 구성의 각각에 적합한 무선 자원은, 구성마다의 D2D 자원을 포함한다. 즉, 기지국(100)(제어부(153))은 복수의 구성에 포함되는 구성마다의 D2D 자원을 단말 장치에 통지한다.
도 12를 다시 참조하면, 예를 들어 복수의 구성은 구성 0 내지 6이다. 구성마다의 D2D 자원이 도시된다. 예를 들어, 기지국(100)(제어부(153))은 이러한 구성마다의 D2D 자원을 단말 장치에 통지한다.
한편, 단말 장치(200)(정보 취득부(241))은 기지국(100)이 단말 장치에 통지한 UL/DL 구성에 기초하여, 복수의 구성의 각각에 적합한 D2D 자원 중 UL/DL 구성에 적합한 D2D 자원을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한다. 따라서, 단말 장치(200)는 D2D 자원을 사용하여 D2D 통신을 행한다.
도 13을 다시 참조하면, 예를 들어 TDD 캐리어의 UL/DL 구성이, 구성 0으로부터 구성 2로 변경된다. 이 경우에, 기지국(100)은 구성 2를 단말 장치에 통지하고, 단말 장치(200)(정보 취득부(241))는 구성 0 내지 6의 각각에 적합한 D2D 자원 중 구성 2에 적합한 D2D 자원을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한다. 따라서, 단말 장치(200)는 구성 2에 적합한 D2D 자원으로 D2D 통신을 행한다.
또한, 예를 들어 D2D 자원은 주기적인 무선 자원이며, 주기(및 오프셋)을 갖는다. 이 경우에, 예를 들어 기지국(100)(제어부(153))은 D2D 자원의 통지 시에, 서브프레임뿐만 아니라, 주기(및 오프셋)도 통지한다. 예를 들어, 주기는 무선 프레임의 정수배 주기이다.
이상과 같이, 기지국(100)(제어부(153))은 복수의 구성에 포함되는 구성마다의 D2D 자원을 단말 장치에 통지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TDD 환경 하에서 단말 장치가 계속하여 업링크 서브프레임에서 D2D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TDD 캐리어의 UL/DL 서브프레임이 변경되었다고 해도, 단말 장치(200)가 변경 후의 구성에 적합한 D2D 자원(업링크 서브프레임의 무선 자원)을 특정하고, 업링크 서브프레임에서 D2D 통신을 행할 수 있다.
- 제2 예: 복수의 구성에 공통인 D2D 자원
제2 예로서, 복수의 구성의 각각에 적합한 무선 자원은, 복수의 구성 사이에 공통되는 적어도 1개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무선 자원이어도 된다. 즉, 기지국(100)(제어부(153))은 복수의 구성 간에서 공통되는 적어도 1개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무선 자원을 D2D 자원으로서 단말 장치에 통지해도 된다.
한편, 단말 장치(200)(정보 취득부(241))는 기지국(100)이 단말 장치에 통지한 D2D 자원(즉, 복수의 구성 간에서 공통되는 적어도 1개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무선 자원)을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해도 된다. 따라서, 단말 장치(200)는 기지국(100)이 단말 장치(200)에 통지한 D2D 자원을 사용하고, D2D 통신을 행해도 된다. 즉, 단말 장치(200)의 제어부(243)는 기지국(100)이 단말 장치(200)에 통지한 D2D 자원을 사용한 D2D 통신을 제어해도 된다.
이하, 도 14를 참조하여, D2D 자원의 구체 예를 설명한다.
도 14는 D2D 자원의 제2 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구성 0 내지 6이 도시된다. 이 예에서는, 구성 0 내지 6 의 사이에 공통되는 업링크 서브프레임(즉, 서브프레임 번호가 2인 서브프레임)의 무선 자원이 D2D 자원으로서 준비되어 있다. 이 경우에, 기지국(100)은 서브프레임 번호가 2인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무선 자원을 D2D 자원으로서 단말 장치에 통지한다. 따라서, 단말 장치(200)는 TDD 캐리어의 UL/DL 서브프레임의 변경 전 및 변경 후의 어느 것이든, 서브프레임 번호가 2인 업링크 서브프레임에서 D2D 통신을 행한다.
복수의 구성 간에서 공통되는 서브프레임이 서브프레임 번호가 2인 서브프레임인 예를 설명했지만, 복수의 구성 간에서 공통되는 서브프레임은 그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복수의 구성은 7개의 구성(즉, 구성 0 내지 6)이 아니고, 7개의 구성의 일부이어도 된다. 따라서, 복수의 구성 간에서 공통되는 서브프레임은 서브프레임 번호가 2인 서브프레임과 다른 서브프레임이어도 된다. 이하, 도 15를 참조하여 그의 구체 예를 설명한다.
도 15는 D2D 자원의 제3 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구성 0, 1, 3, 4, 6이 도시된다. 이 예에서는, 복수의 구성은, 구성 0, 1, 3, 4, 6이다. 따라서, 구성 0, 1, 3, 4, 6 사이에서 공통되는 업링크 서브프레임(예를 들어, 서브프레임 번호가 3인 서브프레임)의 무선 자원이 D2D 자원으로서 준비되어 있다. 이 경우에, 기지국(100)은 서브프레임 번호가 3인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무선 자원을 D2D 자원으로서 단말 장치에 통지한다. 따라서, 단말 장치(200)는 TDD 캐리어의 UL/DL 서브프레임의 변경 전 및 변경 후의 어느 것이든, 서브프레임 번호가 3인 업링크 서브프레임에서 D2D 통신을 행한다.
또한, 예를 들어 D2D 자원은 주기적인 무선 자원이며, 주기(및 오프셋)을 갖는다. 이 경우에, 예를 들어 기지국(100)(제어부(153))은 D2D 자원의 통지 시에, 서브프레임뿐만 아니라, 주기(및 오프셋)도 통지한다. 예를 들어, 주기는 무선 프레임의 정수배 주기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기지국(100)(제어부(153))은 복수의 구성 간에서 공통되는 적어도 1개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무선 자원을 D2D 자원으로서 단말 장치에 통지해도 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TDD 환경 하에서 단말 장치가 계속하여 업링크 서브프레임에서 D2D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TDD 캐리어의 UL/DL 서브프레임의 변경 전 및 변경 후의 어느 것이든, 단말 장치(200)는 업링크 서브프레임에서 D2D 통신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D2D 자원의 주기(및 오프셋)도 복수의 구성 간에서 공통이어도 된다. 즉, 복수의 구성 간에서 공통되는 D2D 자원이 준비되어도 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UL/DL 구성의 변경에 관계없이, 단말 장치가 D2D 자원으로 D2D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기지국(100)(제어부(153))은 UL/DL 구성에 적합한 D2D 자원을 단말 장치에 통지한다. 또한, 예를 들어 D2D 자원은 주기(및 오프셋)을 갖는 자원 풀이며, 기지국(100)(제어부(153))은 복수의 자원 풀의 각각에 대해서, UL/DL 구성에 적합한 자원 풀(D2D 자원)을 단말 장치에 통지할 수 있다.
<5.1. 제2 기술적 특징>
이어서, 도 16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제2 기술적 특징을 설명한다. 제2 기술적 특징은 예를 들어 상술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제2 기술적 과제에 대응하는 특징이다.
(UL/DL 구성에 적합한 D2D 자원)
상술한 바와 같이, 기지국(100)(제어부(153))은 UL/DL 구성에 적합한 D2D 통신용의 무선 자원(D2D 자원)을 단말 장치에 통지한다. 또한, UL/DL 구성에 적합한 D2D 자원은 UL/DL 구성 중 적어도 1개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무선 자원이다.
(a) 서브프레임의 특징
(a-1) 2개 이상의 연속하는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일부
예를 들어, 적어도 1개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각각은 UL/DL 구성의 2개 이상의 연속하는 업링크 서브프레임에 포함된다. 즉, UL/DL 구성에 적합한 D2D 자원은, UL/DL 구성의 2개 이상의 연속하는 업링크 서브프레임에 각각 포함되는 적어도 1개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무선 자원이다. 또한, 2개 이상의 연속하는 업링크 서브프레임 중 1개 이상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은 적어도 1개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에 포함되지 않는다. 이하, 도 16을 참조하여, D2D 자원의 구체 예를 설명한다.
도 16은 D2D 자원의 제4 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구성 0 내지 6이 도시된다. 예를 들어, 구성 0에 적합한 D2D 자원은 서브프레임 번호가 3, 8인 서브프레임의 무선 자원이다. 구성 0에 있어서, 서브프레임 번호가 3인 서브프레임은 3개의 연속하는 업링크 서브프레임에 포함되고, 서브프레임 번호가 8인 서브프레임도 3개의 연속하는 업링크 서브프레임에 포함된다. 구성 1에 적합한 D2D 자원은 서브프레임 번호가 3, 8인 서브프레임의 무선 자원이다. 구성 3, 4에 적합한 D2D 자원은 서브프레임 번호가 3인 서브프레임의 무선 자원이다. 구성 6에 적합한 D2D 자원은 서브프레임 번호가 3, 7인 서브프레임의 무선 자원이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D2D 통신에 기인하여 기지국과 단말 장치와의 사이의 TDD 무선 통신에 발생하는 악영향을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D2D 통신에 의해 업링크 서브프레임이 TDD 무선 통신에서 사용할 수 없다고 해도, TDD 무선 통신에서 사용되는 업링크 서브프레임 간의 최대의 간격이 대부분 길어지지 않는다. 그로 인해,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간격이 커지는 것에 의한 업링크의 통신 품질 저하가 억제된다.
- D2D 통신의 한정
예를 들어, 기지국(100)(제어부(153))은 UL/DL 구성이 2개 이상의 연속하는 업링크 서브프레임을 포함하는 경우에, UL/DL 구성에 적합한 D2D 자원을 단말 장치에 통지한다. 한편, 기지국(100)(제어부(153))은 UL/DL 구성이 2개 이상의 연속하는 업링크 서브프레임을 포함하지 않은 경우에, UL/DL 구성에 적합한 D2D 자원을 단말 장치에 통지하지 않는다.
즉, UL/DL 구성이 2개 이상의 연속하는 업링크 서브프레임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D2D 통신이 행해지고, UL/DL 구성이 2개 이상의 연속하는 업링크 서브프레임을 포함하지 않은 경우에는, D2D 통신이 행하여지지 않는다.
도 16을 다시 참조하면, 예를 들어 TDD 캐리어의 UL/DL 구성이 구성 0, 1, 3, 4, 6 중 어느 하나일 경우에, 기지국(100)(제어부(153))은 UL/DL 구성에 적합한 D2D 자원을 단말 장치에 통지한다. 한편, TDD 캐리어의 UL/DL 구성이 구성 2, 5 중 어느 하나일 경우에는, 기지국(100)(제어부(153))은 UL/DL 구성에 적합한 D2D 자원을 단말 장치에 통지하지 않는다. 즉, UL/DL 구성이 구성 0, 1, 3, 4, 6 중 어느 하나일 경우에는, D2D 통신이 행해지고, UL/DL 구성이 구성 2, 5 중 어느 하나일 경우에는, D2D 통신이 행하여지지 않는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2개 이상의 연속하는 업링크 서브프레임 각각에 포함되는 적어도 1개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무선 자원을 D2D 자원으로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 구성의 한정
또는, TDD 캐리어의 UL/DL 구성은 2개 이상의 연속하는 업링크 서브프레임을 포함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도 16을 다시 참조하면, 예를 들어 TDD 캐리어의 UL/DL 구성은 구성 0, 1, 3, 4, 6 중 어느 하나이어도 된다. 즉, 2개 이상의 연속하는 업링크 서브프레임을 포함하지 않는 구성 2, 5가 제외되어도 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2개 이상의 연속하는 업링크 서브프레임에 각각 포함되는 적어도 1개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무선 자원을 D2D 자원으로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a-2)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수
상술한 바와 같이, UL/DL 구성에 적합한 D2D 자원은 UL/DL 구성 중 적어도 1개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무선 자원이다.
적어도 1개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에 포함되는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수는 UL/DL 구성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수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L/DL 구성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수가 더 큰 경우에, UL/DL 구성에 적합한 D2D 자원은 더 많은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무선 자원이어도 된다. 이하, 도 17을 참조하여, D2D 자원의 구체 예를 설명한다.
도 17은, D2D 자원의 제5 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구성 0 내지 6이 도시된다. 예를 들어, 구성 0은 6개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을 포함한다. 구성 1은 4개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을 포함한다. 구성 2는 2개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을 포함한다. 구성 3은 3개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을 포함한다. 구성 4는 2개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을 포함한다. 구성 5는 1개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을 포함한다. 구성 6은 5개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을 포함한다. 구성 0, 1, 6은 많은 업링크 서브프레임(예를 들어, 4개 이상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을 포함하므로, 구성 0, 1, 6의 각각에 적합한 D2D 자원은 2개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무선 자원이다. 한편, 구성 2, 3, 4, 5는 적은 업링크 서브프레임(예를 들어, 3개 이하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을 포함하므로, 구성 2, 3, 4, 5의 각각에 적합한 D2D 자원은 1개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무선 자원이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D2D 통신에 기인하여 기지국과 단말 장치와의 사이의 TDD 무선 통신에 발생하는 악영향을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D2D 통신에 의해 업링크 서브프레임이 TDD 무선 통신에서 사용할 수 없다고 해도, 어떠한 구성에서도, TDD 무선 통신에서 사용되는 업링크 서브프레임이 어느 정도 확보될 수 있다. 따라서, 구성에 따라서는, 업링크 서브프레임이 존재하지 않거나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수가 격감하는 상황이 방지될 수 있다. 그로 인해,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수가 감소하는 것에 의한 업링크의 통신 품질 저하가 억제될 수 있다.
- D2D 통신의 한정
기지국(100)(제어부(153))은 UL/DL 구성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수가 소정 수 이상인 경우에, UL/DL 구성에 적합한 D2D 자원을 단말 장치에 통지해도 된다. 한편, 기지국(100)(제어부(153))은 UL/DL 구성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수가 소정 수 미만인 경우에, UL/DL 구성에 적합한 D2D 자원을 단말 장치에 통지하지 않아도 된다.
즉, UL/DL 구성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수가 소정 수 이상인 경우에, D2D 통신이 행해질 수 있고,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수가 소정 수 미만인 경우에, D2D 통신이 행하여지지 않아도 된다.
일례로서, 소정 수는 3이어도 된다. 이 경우에, UL/DL 구성이 구성 0, 1, 3, 6 중 어느 하나일 경우에, 기지국(100)(제어부(153))은 UL/DL 구성에 적합한 D2D 자원을 단말 장치에 통지해도 된다. 한편, UL/DL 구성이 구성 2, 4, 5 중 어느 하나일 경우에, 기지국(100)(제어부(153))은 UL/DL 구성에 적합한 D2D 자원을 단말 장치에 통지하지 않아도 된다. 즉, UL/DL 구성이 구성 0, 1, 3, 6 중 어느 하나일 경우에는, D2D 통신이 행해질 수 있고, UL/DL 구성이 구성 2, 4, 5 중 어느 하나일 경우에는, D2D 통신이 행하여지지 않아도 된다.
다른 예로서, 소정 수는 2이어도 된다. 이 경우에, UL/DL 구성이 구성 0, 1, 2, 3, 4, 6 중 어느 하나일 경우에, 기지국(100)(제어부(153))은 UL/DL 구성에 적합한 D2D 자원을 단말 장치에 통지해도 된다. 한편, UL/DL 구성이 구성 5일 경우에, 기지국(100)(제어부(153))은 UL/DL 구성에 적합한 D2D 자원을 단말 장치에 통지하지 않아도 된다. 즉, UL/DL 구성이 구성 0, 1, 2, 3, 4, 6 중 어느 하나일 경우에는, D2D 통신이 행해질 수 있고, UL/DL 구성이 구성 5일 경우에는, D2D 통신이 행하여지지 않아도 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구성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수가 적은 경우에도, D2D 통신에 의해 업링크 서브프레임이 TDD 무선 통신에서 사용할 수 없게 되는 것을 회피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 구성의 한정
또는, UL/DL 구성은 소정 수 이상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을 포함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일례로서, 소정 수는 3이어도 된다. 이 경우에, TDD 캐리어의 UL/DL 구성은 구성 0, 1, 3, 6 중 어느 하나이어도 된다. 즉,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수가 3 미만인 구성 2, 4, 5가 제외되어도 된다.
다른 예로서, 소정 수는 2이어도 된다. 이 경우에, TDD 캐리어의 UL/DL 구성은 구성 0, 1, 2, 3, 4, 6 중 어느 하나이어도 된다. 즉,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수가 2 미만인 구성 5가 제외되어도 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구성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수가 적은 경우에도, D2D 통신에 의해 업링크 서브프레임이 TDD 무선 통신에서 사용할 수 없게 되는 것을 회피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b) 주기의 특징
UL/DL 구성에 적합한 D2D 자원은 UL/DL 구성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수에 대응하는 주기로 반복하는 주기적인 무선 자원이어도 된다.
(b-1) 제1 예
UL/DL 구성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수가 보다 큰 경우에, UL/DL 구성에 적합한 D2D 자원의 주기가 더 짧아도 된다. 이하, 도 18을 참조하여, 구성마다의 주기의 구체 예를 설명한다.
도 18은 구성마다의 주기의 제1 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7개의 구성(구성 0 내지 6)의 각각의 주기 및 서브프레임이 도시된다. 이 예에서는, 도 12에 나타나는 예와 마찬가지로, 각 구성에 적합한 D2D 자원은 1개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무선 자원이다. 예를 들어, 구성 0, 1, 6은 4개 이상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을 포함하고, 구성 0, 1, 6에 적합한 D2D 자원의 주기는 100ms(즉, 10 무선 프레임)이다. 구성 2, 3, 4는, 2개 또는 3개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을 포함하고, 구성 0, 1, 6에 적합한 D2D 자원의 주기는 200ms(즉, 20 무선 프레임)이다. 구성 5는 1개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을 포함하고, 구성 5에 적합한 D2D 자원의 주기는 400ms(즉, 40 무선 프레임)이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구성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수가 많을수록, 보다 많은 D2D 자원(보다 짧은 주기의 D2D 자원)이 확보된다. 그로 인해, 기지국과 단말 장치와의 사이의 TDD 무선 통신에의 영향을 억제하면서, 가능한 한 많은 D2D 자원이 확보될 수 있다.
(b-2) 제2 예
UL/DL 구성에 적합한 D2D 자원은, UL/DL 구성이 제1 구성일 경우에, 제1 수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무선 자원이며, 제1 주기로 반복하는 주기적인 무선 자원이어도 된다. 한편, UL/DL 구성에 적합한 D2D 자원은, UL/DL 구성이 제2 구성일 경우에, 제1 수보다도 작은 제2 수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무선 자원이며, 제1 주기보다도 짧은 제2 주기로 반복하는 주기적인 무선 자원이어도 된다.
즉, D2D 자원은 무선 자원이 보다 많은 업링크 서브프레임을 가질 때 더 긴 주기를 갖고, 무선 자원이 더 적은 업링크 서브프레임을 가질 때 더 짧은 주기를 갖는다. 이하, 도 19를 참조하여, 구성마다의 주기의 구체 예를 설명한다.
도 19는 구성마다의 주기의 제2 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7개의 구성(구성 0 내지 6)의 각각의 주기 및 서브프레임이 도시된다. 예를 들어, 구성 0, 1, 6은 4개 이상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을 포함하고, 구성 0, 1, 6의 각각에 적합한 D2D 자원은 2개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무선 자원이며, 400ms(즉, 40 무선 프레임)의 주기를 갖는다. 또한, 구성 2, 3, 4, 5는, 3개 이하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을 포함하고, 구성 2, 3, 4, 5의 각각에 적합한 D2D 자원은 1개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무선 자원이며, 200ms(즉, 20 무선 프레임)의 주기를 갖는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구성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수가 적으면, D2D 자원은 적은 수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이 무선 프레임에 포함되고 더 짧은 주기를 갖는 무선 자원이다. 그로 인해, 개개의 무선 프레임에 있어서, 기지국과 단말 장치와의 사이의 TDD 무선 통신에의 영향이 억제되면서, 구성 간에서의 D2D 자원의 양의 격차가 작아질 수 있다.
<<6. 처리의 흐름>>
계속해서, 도 20 내지 도 22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처리의 예를 설명한다.
(제1 예)
도 20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처리의 개략적인 흐름의 제1의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기지국(100)은 TDD 캐리어의 UL/DL 구성으로서 제1 구성을 나타내는 시스템 정보를 보고한다(S401). 또한, 기지국(100)은 상기 제1 구성에 적합한 D2D 자원을 나타내는 시스템 정보를 보고한다(S403).
단말 장치(200)는 기지국(100)이 단말 장치(200)에 통지한 D2D 자원(즉, 제1 구성에 적합한 D2D 자원)을 사용하고, D2D 통신을 행한다(S405).
그 후, 기지국(100)은 TDD 캐리어의 UL/DL 구성을 제1 구성으로부터 제2 구성으로 변경하는 것을 결정하고, UL/DL 구성으로서 제2 구성을 나타내는 시스템 정보를 보고한다(S407). 또한, 기지국(100)은 제2 구성에 적합한 D2D 자원을 나타내는 시스템 정보를 보고한다(S409).
단말 장치(200)는 기지국(100)이 단말 장치(200)에 통지한 D2D 자원(즉, 상기 제2 구성에 적합한 D2D 자원)을 사용하고, D2D 통신을 행한다(S411).
(제2 예)
도 2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처리의 개략적인 흐름의 제2의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기지국(100)은 TDD 캐리어의 UL/DL 구성으로서 제1 구성을 나타내는 시스템 정보를 보고한다(S421). 또한, 기지국(100)은 복수의 구성의 각각에 적합한 D2D 자원을 나타내는 시스템 정보를 보고한다(S423). 특히, 이 예에서는, 기지국(100)은 복수의 구성에 포함되는 구성마다의 D2D 자원을 나타내는 시스템 정보를 보고한다.
단말 장치(200)는 복수의 구성의 각각에 적합한 D2D 자원 중 제1 구성에 적합한 D2D 자원을 사용하고, D2D 통신을 행한다(S425).
그 후, 기지국(100)은 TDD 캐리어의 UL/DL 구성을 제1 구성으로부터 제2 구성에 변경하는 것을 결정하고, UL/DL 구성으로서 제2 구성을 나타내는 시스템 정보를 보고한다(S427).
단말 장치(200)는 복수의 구성의 각각에 적합한 D2D 자원 중 제2 구성에 적합한 D2D 자원을 사용하고, D2D 통신을 행한다(S429).
(제3 예)
도 2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처리의 개략적인 흐름의 제3의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기지국(100)은 TDD 캐리어의 UL/DL 구성으로서 제1 구성을 나타내는 시스템 정보를 보고한다(S441). 또한, 기지국(100)은 복수의 구성의 각각에 적합한 D2D 자원을 나타내는 시스템 정보를 보고한다(S443). 특히, 이 예에서는, 기지국(100)은 복수의 구성의 사이에 공통되는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무선 자원을 나타내는 시스템 정보를 보고한다. 또한, 예를 들어 무선 자원은, 복수의 구성 간에서 공통되는 D2D 자원(즉, 서브프레임, 주기 및 오프셋이 상기 복수의 구성의 사이에 공통인 D2D 자원)이다.
단말 장치(200)는 기지국(100)이 단말 장치(200)에 통지한 D2D 자원(즉, 복수의 구성 간에서 공통되는 D2D 자원)을 사용하고, D2D 통신을 행한다(S445).
또한, 예를 들어 그 후, 기지국(100)이 TDD 캐리어의 UL/DL 구성을 상기 제1 구성으로부터 제2 구성으로 변경한다. 단말 장치(200)는 이 변경에 관계없이 D2D 자원(즉, 상기 복수의 구성간에서 공통되는 D2D 자원)을 계속하여 사용하고, D2D 통신을 행한다.
<<7. 응용예>>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은 다양한 제품에 응용 가능하다. 기지국(100)은 매크로 eNB 또는 소형 eNB 등의 임의 종류의 eNB(evolved Node B)로서 실현되어도 된다. 소형 eNB는 피코 eNB, 마이크로 eNB 또는 홈(펨토) eNB와 같이 매크로 셀보다 작은 셀을 커버하는 eNB일 수 있다. 그 대신에, 기지국(100)은 NodeB 또는 BTS(base transceiver station) 등의 임의의 다른 종류의 기지국으로서 실현되어도 된다. 기지국(100)은 무선 통신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본체(기지국 장치라고도 함) 및 본체와는 다른 장소에 배치되는 1개 이상의 RRH(remote radio head)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여러 종류의 단말기가 일시적으로 또는 반영구적으로 기지국 기능을 실행함으로써, 기지국(100)로서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기지국(100)의 적어도 일부의 구성 요소는 기지국 장치 또는 기지국 장치를 위한 모듈 내에 실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200)는 스마트폰, 태블릿 PC(personal computer), 노트북 PC, 휴대형 게임 단말기, 휴대형/동글형의 모바일 라우터 또는 디지털 카메라 등의 모바일 단말기, 또는 차량 내비게이션 장치 등의 차량 탑재 단말기로서 실현되어도 된다. 또한, 단말 장치(200)는 M2M(machine-to-machine) 통신을 행하는 단말기(MTC(machine type communication) 단말기라고도 함)로서 실현되어도 된다. 또한, 단말 장치(200)의 적어도 일부의 구성 요소는 단말기 각각에 탑재되는 모듈(예를 들어, 1개의 다이를 포함하는 집적 회로 모듈)일 수 있다.
<7.1. 기지국에 관한 응용예>
(제1 응용예)
도 23은 본 개시의 기술의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eNB의 개략적인 구성의 제1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eNB(800)는 1개 이상의 안테나(810) 및 기지국 장치(820)를 포함한다. 각 안테나(810) 및 기지국 장치(820)는 RF 케이블을 통하여 서로 접속될 수 있다.
안테나(810)의 각각은 단일 또는 복수의 안테나 요소(예를 들어, MIMO 안테나에 포함된 복수의 안테나 요소)를 포함하고, 기지국 장치(820)에 의한 무선 신호의 송수신을 위하여 사용된다. eNB(800)는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안테나(810)을 포함한다. 예로서, 복수의 안테나(810)는 eNB(800)가 사용하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에 적합할 수 있다. 또한, 도 23에는 eNB(800)가 복수의 안테나(810)를 포함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eNB(800)은 단일 안테나(810)을 포함할 수도 있다.
기지국 장치(820)은 제어기(821), 메모리(82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23) 및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25)을 구비한다.
제어기(821)는 예를 들어 CPU 또는 DSP일 수 있으며, 기지국 장치(820)의 상위 계층의 다양한 기능을 동작시킨다. 예를 들어, 제어기(821)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25)에 의해 처리된 신호 내의 데이터로부터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고, 생성한 패킷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23)을 통해 전송한다. 제어기(821)는 복수의 기저 대역 프로세서로부터의 데이터를 번들링함으로써 번들 패킷을 생성하고, 생성한 번들 패킷을 전송해도 된다. 제어기(821)는 무선 자원 제어, 무선 베어러 제어, 이동성 관리, 허가 제어 또는 스케줄링 등의 제어를 실행하는 논리적인 기능을 가져도 된다. 제어는 주변의 eNB 또는 코어 네트워크 노드와 제휴하여 실행되어도 된다. 메모리(822)은 RAM 및 ROM을 포함하고, 제어기(821)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및 다양한 종류의 제어 데이터(예를 들어, 단말기 리스트, 송신 전력 데이터 및 스케줄링 데이터 등)을 기억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23)는 기지국 장치(820)을 코어 네트워크(824)에 접속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이다. 제어기(821)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23)을 통해 코어 네트워크 노드 또는 다른 eNB와 통신해도 된다. 그 경우에, eNB(800)와, 코어 네트워크 노드 또는 다른 eNB는 논리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S1 인터페이스 또는 X2 인터페이스)에 의해 서로 접속되어도 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23)는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일 수 있거나, 무선 백홀을 위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이어도 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23)가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일 경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23)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25)에 의해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보다도 보다 높은 주파수 대역을 무선 통신에 사용해도 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25)는 LTE(long term evolution) 또는 LTE-Advanced 등의 임의의 셀룰러 통신 방식을 지원하고, 안테나(810)를 통해 eNB(800)의 셀 내에 위치하는 단말기에 무선 접속을 제공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25)는 전형적으로는 예로서 기저 대역(BB) 프로세서(826) 및 RF 회로(827)를 포함할 수 있다. BB 프로세서(826)는 예를 들어 부호화/복호화, 변조/복조 및 다중화/역다중화 등을 행해도 되고, 계층(예를 들어, L1, MAC(medium access control), RLC(radio link control) 및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의 다양한 종류의 신호 처리를 실행한다. BB 프로세서(826)는 제어기(821) 대신에 상술한 논리적인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가져도 된다. BB 프로세서(826)는 통신 제어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메모리, 또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 및 관련 회로를 포함하는 모듈일 수 있다. BB 프로세서(826)의 기능은 프로그램의 업데이트에 의해 변경 가능할 수 있다. 모듈은 기지국 장치(820)의 슬롯에 삽입되는 카드 또는 블레이드일 수 있다. 대안으로서, 모듈은 카드 또는 상기 블레이드에 탑재되는 칩이어도 된다. 한편, RF 회로(827)는 믹서, 필터 및 증폭기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안테나(810)을 통해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25)는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BB 프로세서(826)를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복수의 BB 프로세서(826)는 eNB(800)가 사용하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에 적합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25)는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RF 회로(827)를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복수의 RF 회로(827)는 복수의 안테나 요소에 적합할 수 있다. 도 23에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25)가 복수의 BB 프로세서(826) 및 복수의 RF 회로(827)를 포함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25)는 단일 BB 프로세서(826) 또는 단일 RF 회로(827)를 포함해도 된다.
도 23에 나타낸 eNB(800)에 있어서,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어부(153)(및 정보 취득부(151))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25) 내에 구현될 수 있다. 또는, 이들 구성 요소의 적어도 일부는 제어기(821) 내에 구현될 수도 있다. 일례로서, eNB(800)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25)의 일부(예를 들어, BB 프로세서(826)) 또는 전부, 및/또는 제어기(821)를 포함하는 모듈을 탑재하고, 모듈 내에 제어부(153)(및 정보 취득부(151))가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모듈은 프로세서를 제어부(153)(및 정보 취득부(151))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환언하면, 프로세서에 제어부(153)(및 정보 취득부(151))의 동작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하고, 프로그램을 실행해도 된다. 다른 예로서, 프로세서를 제어부(153)(및 정보 취득부(151))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eNB(800)에 설치되고,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25)(예를 들어, BB 프로세서(826)) 및/또는 제어기(821)가 프로그램을 실행해도 된다. 이상과 같이, 제어부(153)(및 정보 취득부(151))를 포함하는 장치로서, eNB(800), 기지국 장치(820) 또는 모듈이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를 제어부(153)(및 정보 취득부(151))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제공되어도 된다. 또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제공되어도 된다.
또한, 도 23에 나타낸 eNB(800)에 있어서,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무선 통신부(120)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25)(예를 들어, RF 회로(827)) 내에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안테나부(110)는 안테나(810) 내에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통신부(130)는 제어기(821) 및/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23) 내에 구현될 수 있다.
(제2 응용예)
도 24는 본 개시의 기술의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eNB의 개략적인 구성의 제2의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eNB(830)는 1개 이상의 안테나(840), 기지국 장치(850) 및 RRH(860)를 포함한다. 각 안테나(840) 및 RRH(860)는 RF 케이블을 통하여 서로 접속될 수 있다. 기지국 장치(850) 및 RRH(860)는 광섬유 케이블 등의 고속 회선을 통해 서로 접속될 수 있다.
안테나(840) 각각은 단일 또는 복수의 안테나 요소(예를 들어, MIMO 안테나 내에 포함된 복수의 안테나 요소)을 포함하고, RRH(860)에 의한 무선 신호의 송수신을 위하여 사용된다. eNB(830)는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안테나(84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복수의 안테나(840)는 eNB(830)가 사용하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에 적합할 수 있다. 도 24에는 eNB(830) 복수의 안테나(840)을 포함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eNB(830)는 단일 안테나(840)을 가져도 된다.
기지국 장치(850)는 제어기(851), 메모리(85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53),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55) 및 접속 인터페이스(857)을 포함한다. 제어기(851), 메모리(85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53)는 도 23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어기(821), 메모리(82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23)와 동일하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55)는 LTE 또는 LTE-Advanced 등의 임의의 셀룰러 통신 방식을 지원하고, RRH(860) 및 안테나(840)을 통해 RRH(860)에 대응하는 섹터 내에 위치하는 단말기에 무선 통신을 제공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55)는 전형적으로는 예로서 BB 프로세서(856)를 포함할 수 있다. BB 프로세서(856)는 BB 프로세서(856)가 접속 인터페이스(857)을 개재하여 RRH(860)의 RF 회로(864)와 접속되는 것을 제외하고, 도 23을 참조하여 설명한 BB 프로세서(826)와 동일하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55)는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BB 프로세서(856)를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복수의 BB 프로세서(856)는 eNB(830)가 사용하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에 적합할 수 있다. 도 24에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55)가 복수의 BB 프로세서(856)를 포함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55)는 단일 BB 프로세서(856)을 포함해도 된다.
접속 인터페이스(857)은 기지국 장치(850)(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55))를 RRH(860)와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접속 인터페이스(857)는 기지국 장치(850)(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55))와 RRH(860)를 접속하는 상기 고속 회선에서의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이어도 된다.
RRH(860)는 접속 인터페이스(861) 및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63)을 포함한다.
접속 인터페이스(861)는 RRH(860)(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63))를 기지국 장치(850)와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접속 인터페이스(861)는 상기 고속 회선에서의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이어도 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63)는 안테나(840)을 개재하여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63)는 전형적으로는 RF 회로(86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RF 회로(864)는 믹서, 필터 및 증폭기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안테나(840)를 개재하여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63)는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RF 회로(864)를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복수의 RF 회로(864)는 복수의 안테나 요소를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도 24에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63)가 복수의 RF 회로(864)를 포함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63)는 단일 RF 회로(864)을 포함해도 된다.
도 24에 나타낸 eNB(830)에 있어서,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어부(153)(및 정보 취득부(151))은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55) 및/또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63) 내에 구현될 수 있다. 또는, 이들 구성 요소의 적어도 일부는 제어기(851) 내에 구현될 수도 있다. 일례로서, eNB(830)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55)의 일부(예를 들어, BB 프로세서(856)) 또는 전부, 및/또는 제어기(851)를 포함하는 모듈을 탑재하고, 모듈 내에 제어부(153)(및 정보 취득부(151))가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모듈은 프로세서를 제어부(153)(및 정보 취득부(151))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환언하면, 프로세서에 제어부(153)(및 정보 취득부(151))의 동작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하고, 프로그램을 실행해도 된다. 다른 예로서, 프로세서를 제어부(153)(및 정보 취득부(151))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eNB(830)에 설치될 수 있고,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55)(예를 들어, BB 프로세서(856)) 및 /또는 제어기(851)가 프로그램을 실행해도 된다. 이상과 같이, 제어부(153)(및 정보 취득부(151))를 포함하는 장치로서, eNB(830), 기지국 장치(850) 또는 모듈이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를 제어부(153)(및 정보 취득부(151))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제공되어도 된다. 또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제공되어도 된다.
또한, 도 24에 나타낸 eNB(830)에 있어서, 예를 들어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무선 통신부(120)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63)(예를 들어, RF 회로(864)) 내에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안테나부(110)는 안테나(840) 내에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통신부(130)는 제어기(851) 및/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53) 내에 구현될 수 있다.
<7.2. 단말 장치에 관한 응용예>
(제1 응용예)
도 25는 본 개시의 기술의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스마트폰(900)의 개략적인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스마트폰(900)은 프로세서(901), 메모리(902), 스토리지(903), 외부 접속 인터페이스(904), 카메라(906), 센서(907), 마이크로폰(908), 입력 장치(909), 표시 장치(910), 스피커(911),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12), 1개 이상의 안테나 스위치(915), 1개 이상의 안테나(916), 버스(917), 배터리(918) 및 보조 제어기(919)을 구비한다.
프로세서(901)는 예를 들어 CPU 또는 SoC(system on Chip)일 수 있으며, 스마트폰(900)의 애플리케이션 계층 및 그 밖의 계층의 기능을 제어한다. 메모리(902)는 RAM 및 ROM을 포함하고, 프로세서(901)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기억한다. 스토리지(903)는 반도체 메모리 또는 하드 디스크 등의 기억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접속 인터페이스(904)는 메모리 카드 또는 USB(universal serial bus) 장치 등의 외장형 장치를 스마트폰(900)에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카메라(906)는 예를 들어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등의 화상 센서를 갖고, 촬상된 화상을 생성한다. 센서(907)는 측정 센서, 자이로 센서, 지자기 센서 및 가속도 센서 등의 센서 군을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908)은 스마트폰(900)에 입력되는 음성을 음성 신호에 변환한다. 입력 장치(909)는 예를 들어 표시 장치(910)의 화면 상으로의 터치를 검출하는 터치 센서, 키패드, 키보드, 버튼 또는 스위치 등을 포함하고, 사용자로부터의 조작 또는 정보 입력을 수신한다. 표시 장치(910)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 등의 화면을 포함하고, 스마트폰(900)의 출력 화상을 표시한다. 스피커(911)는 스마트폰(900)으로부터 출력되는 음성 신호를 음성으로 변환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12)은 LTE 또는 LTE-Advanced 등의 임의의 셀룰러 통신 방식을 지원하고, 무선 통신을 실행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12)는 전형적으로는 예로서 BB 프로세서(913) 및 RF 회로(914)를 포함할 수 있다. BB 프로세서(913)는 예를 들어 부호화/복호화, 변조/복조 및 다중화/역 다중화 등을 행해도 되고, 무선 통신을 위한 다양한 종류의 신호 처리를 실행한다. 한편, RF 회로(914)는 믹서, 필터 및 증폭기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안테나(916)을 개재하여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12)는 BB 프로세서(913) 및 RF 회로(914)를 집적한 1 칩 모듈이어도 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12)는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BB 프로세서(913) 및 복수의 RF 회로(914)를 포함해도 된다. 또한, 도 25에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12)가 복수의 BB 프로세서(913) 및 복수의 RF 회로(914)를 포함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12)는 단일 BB 프로세서(913) 또는 단일 RF 회로(914)을 포함해도 된다.
또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12)는 셀룰러 통신 방식 외에, 단거리 무선 통신 방식, 근거리장 통신 방식 및 무선 LAN(local area network) 방식 등의 다른 종류의 무선 통신 방식을 지원할 수 있다. 그 경우에,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12)는 무선 통신 방식마다의 BB 프로세서(913) 및 RF 회로(914)를 포함해도 된다.
안테나 스위치(915) 각각은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12)에 포함되는 복수의 회로(예를 들어, 다른 무선 통신 방식을 위한 회로) 사이에서 안테나(916)의 접속처를 전환한다.
안테나(916) 각각은, 단일 또는 복수의 안테나 요소(예를 들어, MIMO 안테나 내에 포함된 복수의 안테나 요소)을 포함하고,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12)에 의한 무선 신호의 송수신을 위하여 사용된다. 스마트폰(900)은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안테나(916)를 포함해도 된다. 또한, 도 25에는 스마트폰(900)이 복수의 안테나(916)를 갖는 예를 나타냈지만, 스마트폰(900)은 단일 안테나(916)를 포함해도 된다.
또한, 스마트폰(900)은 무선 통신 방식마다 안테나(916)을 포함해도 된다. 그 경우에, 안테나 스위치(915)는 스마트폰(900)의 구성으로부터 생략되어도 된다.
버스(917)는 프로세서(901), 메모리(902), 스토리지(903), 외부 접속 인터페이스(904), 카메라(906), 센서(907), 마이크로폰(908), 입력 장치(909), 표시 장치(910), 스피커(911),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12) 및 보조 제어기(919)을 서로 접속한다. 배터리(918)는 도면 중에 파선에서 부분적으로 나타낸 급전 라인을 개재하여 도 25에 나타낸 스마트폰(900)의 각 블록에 전력을 공급한다. 보조 제어기(919)는 예를 들어 슬립 모드에 있어서, 스마트폰(900)의 최소 필요 기능을 동작시킨다.
도 25에 나타낸 스마트폰(900)에 있어서,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정보 취득부(241) 및 제어부(243)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12) 내에 구현될 수 있다. 또는, 이들 구성 요소의 적어도 일부는, 프로세서(901) 또는 보조 제어기(919) 내에 구현될 수도 있다. 일례로서, 스마트폰(900)은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12)의 일부(예를 들어, BB 프로세서(913)) 또는 전부, 프로세서(901), 및/또는 보조 제어기(919)를 포함하는 모듈을 탑재할 수 있고, 모듈 내에 정보 취득부(241) 및 제어부(243)가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모듈은 프로세서를 정보 취득부(241) 및 제어부(243)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환언하면, 프로세서에 정보 취득부(241) 및 제어부(243)의 동작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하고, 프로그램을 실행해도 된다. 다른 예로서, 프로세서를 정보 취득부(241) 및 제어부(243)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스마트폰(900)에 설치되어,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12)(예를 들어, BB 프로세서(913)), 프로세서(901), 및/또는 보조 제어기(919)가 프로그램을 실행해도 된다. 이상과 같이, 정보 취득부(241) 및 제어부(243)를 포함하는 장치로서, 스마트폰(900) 또는 모듈이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를 정보 취득부(241) 및 제어부(243)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제공되어도 된다.
또한, 도 25에 나타낸 스마트폰(900)에 있어서, 예를 들어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 무선 통신부(220)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12)(예를 들어, RF 회로(914)) 내에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안테나부(210)는 안테나(916) 내에 구현될 수 있다.
(제2 응용예)
도 26은 본 개시의 기술의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차량 내비게이션 장치(920)의 개략적인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차량 내비게이션 장치(920)는 프로세서(921), 메모리(922),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924), 센서(925), 데이터 인터페이스(926), 콘텐츠 플레이어(927), 기억 매체 인터페이스(928), 입력 장치(929), 표시 장치(930), 스피커(931),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33), 1개 이상의 안테나 스위치(936), 1개 이상의 안테나(937) 및 배터리(938)를 포함한다.
프로세서(921)는 예를 들어 CPU 또는 SoC일 수 있으며, 차량 내비게이션 장치(920)의 내비게이션 기능 및 그 밖의 기능을 제어한다. 메모리(922)는 RAM 및 ROM을 포함하고, 프로세서(921)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기억한다.
GPS 모듈(924)은 GPS 위성으로부터 수신되는 GPS 신호를 사용하여, 차량 내비게이션 장치(920)의 위치(예를 들어, 위도, 경도 및 고도)을 측정한다. 센서(925)는 예를 들어 자이로 센서, 지자기 센서 및 기압 센서 등의 센서 군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인터페이스(926)는 예를 들어 도시하지 않은 단말기를 개재하여 차량 탑재 네트워크(941)에 접속되고, 차속 데이터 등의 차량에 의해 생성되는 데이터를 취득한다.
콘텐츠 플레이어(927)는 기억 매체 인터페이스(928)에 삽입되는 기억 매체(예를 들어, CD 또는 DVD)에 기억되고 있는 콘텐츠를 재생한다. 입력 장치(929)는 예를 들어 표시 장치(930)의 화면 상으로의 터치를 검출하는 터치 센서, 버튼 또는 스위치 등을 포함하고, 사용자로부터의 조작 또는 정보 입력을 접수한다. 표시 장치(930)는 LCD 또는 OLED 디스플레이 등의 화면을 갖고, 내비게이션 기능 또는 재생되는 콘텐츠의 화상을 표시한다. 스피커(931)는 내비게이션 기능 또는 재생되는 콘텐츠의 음성을 출력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33)는 LTE 또는 LTE-Advanced 등의 임의의 셀룰러 통신 방식을 지원하고, 무선 통신을 실행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33)는 전형적으로는, BB 프로세서(934) 및 RF 회로(93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BB 프로세서(934)는 예를 들어 부호화/복호화, 변조/복조 및 다중화/역다중화 등을 행해도 되고, 무선 통신을 위한 다양한 종류의 신호 처리를 실행한다. 한편, RF 회로(935)는 믹서, 필터 및 증폭기 등을 포함해도 되고, 안테나(937)을 개재하여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33)는 BB 프로세서(934) 및 RF 회로(935)를 집적한 1 칩 모듈이어도 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33)는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BB 프로세서(934) 및 복수의 RF 회로(935)를 포함해도 된다. 도 26에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33)가 복수의 BB 프로세서(934) 및 복수의 RF 회로(935)을 포함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33)는 단일 BB 프로세서(934) 또는 단일 RF 회로(935)를 포함해도 된다.
또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33)는 셀룰러 통신 방식 외에, 단거리 무선 통신 방식, 근거리장 통신 방식 또는 무선 LAN 방식 등의 다른 종류의 무선 통신 방식을 지원할 수 있다. 그 경우,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33)는 무선 통신 방식마다의 BB 프로세서(934) 및 RF 회로(935)를 포함해도 된다.
안테나 스위치(936) 각각은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33)에 포함되는 복수의 회로(예를 들어, 다른 무선 통신 방식을 위한 회로)의 사이에서 안테나(937)의 접속처를 전환한다.
안테나(937) 각각은 단일 또는 복수의 안테나 요소(예를 들어, MIMO 안테나 내에 포함된 복수의 안테나 요소)을 포함하고,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33)에 의한 무선 신호의 송수신을 위하여 사용된다. 차량 내비게이션 장치(920)는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안테나(937)을 가져도 된다. 도 26에는 차량 내비게이션 장치(920)가 복수의 안테나(937)를 갖는 예를 나타냈지만, 차량 내비게이션 장치(920)는 단일 안테나(937)을 가져도 된다.
또한, 차량 내비게이션 장치(920)은 무선 통신 방식마다 안테나(937)를 구비해도 된다. 그 경우에, 안테나 스위치(936)는 차량 내비게이션 장치(920)의 구성으로부터 생략되어도 된다.
배터리(938)는 도면 중에 파선에서 부분적으로 나타낸 급전 라인을 개재하여 도 26에 나타낸 차량 내비게이션 장치(920)의 각 블록에 전력을 공급한다. 배터리(938)는 차량으로부터 급전되는 전력을 축적한다.
도 26에 나타낸 차량 내비게이션 장치(920)에 있어서,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 정보 취득부(241) 및 제어부(243)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33) 내에 구현될 수 있다. 또는, 이들 구성 요소의 적어도 일부는 프로세서(921) 내에 구현될 수도 있다. 일례로서, 차량 내비게이션 장치(920)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33)의 일부(예를 들어, BB 프로세서(934)) 또는 전부 및/또는 프로세서(921)를 포함하는 모듈을 탑재할 수 있고, 모듈 내에 정보 취득부(241) 및 제어부(243)가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모듈은 프로세서를 정보 취득부(241) 및 제어부(243)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환언하면, 프로세서에 정보 취득부(241) 및 제어부(243)의 동작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하고, 프로그램을 실행해도 된다. 다른 예로서, 프로세서를 정보 취득부(241) 및 제어부(243)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차량 내비게이션 장치(920)에 설치되고,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33)(예를 들어, BB 프로세서(934)) 및/또는 프로세서(921)가 프로그램을 실행해도 된다. 이상과 같이, 정보 취득부(241) 및 제어부(243)을 포함하는 장치로서, 차량 내비게이션 장치(920) 또는 모듈이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를 정보 취득부(241) 및 제어부(243)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제공되어도 된다.
또한, 도 26에 나타낸 차량 내비게이션 장치(920)에 있어서, 예를 들어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 무선 통신부(220)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33)(예를 들어, RF 회로(935)) 내에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안테나부(210)는 안테나(937) 내에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기술의 실시예는 차량 내비게이션 장치(920)의 하나 이상의 블록, 차량 탑재 네트워크(941) 및 차량 모듈(942)을 포함하는 차량 탑재 시스템(또는 차량)(940)으로서 실현되어도 된다. 즉, 정보 취득부(241) 및 제어부(243)를 포함하는 장치로서, 차량 탑재 시스템(또는 차량)(940)이 제공되어도 된다. 차량 모듈(942)은 차속, 엔진 속도 또는 고장 정보 등의 차량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한 데이터를 차량 탑재 네트워크(941)에 출력한다.
<<8. 결론>>
위에서는 도 1 내지 도 26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각 장치 및 각 처리 등을 설명하였다.
본 개시에 관한 실시예에 의하면, 기지국(100)은 TDD 캐리어의 UL/DL 구성을 동적으로 변경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부(153)를 포함한다. 제어부(153)는 UL/DL 구성에 적합한 D2D 통신용의 무선 자원을 단말 장치에 통지한다. 무선 자원은 UL/DL 구성의 적어도 1개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무선 자원이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에 의하면, 기지국(100)에 의해 동적으로 변경되는 TDD 캐리어의 UL/DL 구성에 적합한 D2D 통신용의 무선 자원을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하도록 구성되는 정보 취득부(241) 및 무선 자원을 사용한 D2D 통신을 제어하는 제어부(243)가 포함된다. 무선 자원은 UL/DL 구성의 적어도 1개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무선 자원이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TDD의 환경 하에서 단말 장치가 적절하게 D2D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분야의 기술자들은 다양한 수정들, 조합들, 하위 조합들 및 변경들이 첨부된 청구항들 및 이들의 균등물들의 범위 내에 있는 한은 설계 재요구 및 다른 팩터에 따라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제1 기술적 특징과 제2 기술적 특징을 설명했지만, 제1 기술적 특징과 제2 기술적 특징이 조합할 수 없어도 된다.
예를 들어, 제1 기술적 특징은 제2 기술적 특징의 이용 없이도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기술적 특징은 제1 기술적 특징의 이용 없이도 이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TDD 캐리어의 UL/DL 구성은 동적으로 변경되지 않아도 된다. 일례로서, 기지국(정보 취득부)은 UL/DL 구성(동적으로 변경되지 않음)에 적합한 D2D 자원을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제어부)은 D2D 자원을 단말 장치에 통지해도 된다. D2D 자원은 UL/DL 구성의 적어도 1개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무선 자원이어도 된다. 따라서, D2D 자원에는 제2 기술적 특징(즉, 제2 기술적 특징 중 어느 하나)이 적용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통신 시스템이 LTE, LTE-Advanced, 또는 이들에 준하는 통신 표준에 준거한 시스템인 예를 설명했지만, 본 개시는 그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통신 시스템은, 다른 통신 표준에 준거한 시스템이어도 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처리에 있어서의 처리 단계는 흐름도에서 설명되는 순서를 따라서 시계열적으로 실행되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어, 처리에 있어서의 처리 단계는 흐름도로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순서와 상이한 순서에서 실행되어도 되고, 병렬로 실행되어도 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장치(예를 들어, 기지국, 기지국을 위한 기지국 장치, 또는 기지국 장치를 위한 모듈, 또는 단말 장치 또는 단말 장치를 위한 모듈) 내에 포함되는 프로세서(예를 들어, CPU, DSP 등)를 장치의 구성 요소(예를 들어, 정보 취득부 및/또는 제어부)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환언하면, 프로세서에 장치의 구성 요소의 동작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도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도 제공되어도 된다.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메모리와,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는 1개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장치(예를 들어, 완성품, 또는 완성품을 위한 모듈(예로서, 구성 요소, 처리 회로 또는 칩 등))도 제공되어도 된다. 또한, 장치의 구성 요소(예를 들어, 정보 취득부 및/또는 제어부 등)의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도 본 개시에 따른 기술의 실시예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효과는 어디까지나 설명적 또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한정적이지 않다. 즉, 본 개시에 따른 기술은 본 명세서에 기초하는 효과와 함께 또는 그를 대신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들에게 명확한 다른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기술은 아래와 같이 구성될 수도 있다.
(1) 장치로서,
TDD(time division duplex) 캐리어의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을 동적으로 변경하고,
상기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에 대한 장치간 통신용의 무선 자원을 단말 장치에 통지하도록 구성되는 회로
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자원은 상기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의 적어도 1개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무선 자원인 장치.
(2) (1)에 있어서, 상기 회로는 복수의 구성 중 1개의 구성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구성 중 다른 구성으로 상기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을 변경하도록 더 구성되는 장치.
(3) (2)에 있어서, 상기 회로는 상기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의 상기 변경에 따라 상기 다른 구성에 대한 장치간 통신용의 상기 무선 자원을 상기 단말 장치에 통지하도록 더 구성되며,
상기 다른 구성에 대한 상기 무선 자원은 상기 다른 구성의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무선 자원인 장치.
(4) (2)에 있어서, 상기 회로는 상기 복수의 구성 각각에 대한 장치간 통신용의 상기 무선 자원을 상기 단말 장치에 통지하도록 더 구성되는 장치.
(5) (4)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구성 각각에 대한 상기 무선 자원은 구성마다의 장치간 통신용의 무선 자원을 포함하고,
구성마다의 상기 무선 자원은 상기 구성 중 적어도 1개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무선 자원인 장치.
(6) (4)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구성 각각에 대한 상기 무선 자원은 상기 복수의 구성 사이에 공통되는 적어도 1개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무선 자원인 장치.
(7)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1개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에 포함되는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수는 상기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수에 따라 다른 장치.
(8)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무선 자원은 상기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수에 따른 주기로 반복되는 주기적인 무선 자원인 장치.
(9)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무선 자원은 상기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이 제1 구성일 때 제1 수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무선 자원이고, 제1 주기로 반복되는 주기적인 무선 자원이며, 상기 무선 자원은 상기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이 제2 구성일 때 상기 제1 수보다도 작은 제2 수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무선 자원이고, 상기 제1 주기보다도 짧은 제2 주기로 반복되는 주기적인 무선 자원인 장치.
(10)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회로는 상기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수가 사전 결정된 수 이상일 때 상기 무선 자원을 단말 장치에 통지하도록 더 구성되는 장치.
(11)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은 적어도 사전 결정된 수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을 포함하는 구성인 장치.
(12) (1) 내지 (1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1개의 업링크 서브프레임 각각은 상기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의 2개 이상의 연속하는 업링크 서브프레임 내에 포함되고,
상기 2개 이상의 연속하는 업링크 서브프레임 중 1개 이상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은 상기 적어도 1개의 업링크 서브프레임 내에 포함되지 않는 장치.
(13) (12)에 있어서, 상기 회로는 상기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이 2개 이상의 연속하는 업링크 서브프레임을 포함할 때 상기 무선 자원을 단말 장치에 통지하도록 더 구성되는 장치.
(14) (12)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은 2개 이상의 연속하는 업링크 서브프레임을 포함하는 구성인 장치.
(15) (1) 내지 (1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회로는 상기 무선 자원을 나타내는 시스템 정보를 보고함으로써 상기 무선 자원을 단말 장치에 통지하도록 더 구성되는 장치.
(16) (1) 내지 (1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회로는 상기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을 상기 단말 장치에 통지하도록 더 구성되는 장치.
(17) 방법으로서,
프로세서에 의해, TDD(time division duplex) 캐리어의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을 동적으로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에 대한 장치간 통신용의 무선 자원을 단말 장치에 통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자원은 상기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의 적어도 1개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무선 자원인 방법.
(18) 장치로서,
기지국에 의해 동적으로 변경되는 TDD(time division duplex) 캐리어의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에 대한 장치간 통신용의 무선 자원을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무선 자원을 사용하는 장치간 통신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회로
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자원은 상기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의 적어도 1개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무선 자원인 장치.
(19) (18)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은 복수의 구성 중 1개의 구성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구성 중 다른 구성으로 변경되는 구성이며,
상기 회로는 상기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구성 각각에 적합한 장치간 통신용의 무선 자원 중 상기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에 대한 상기 무선 자원을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하도록 더 구성되는 장치.
(20) 방법으로서,
기지국에 의해 동적으로 변경되는 TDD(time division duplex) 캐리어의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에 대한 장치간 통신용의 무선 자원을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 및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무선 자원을 사용하는 장치간 통신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자원은 상기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의 적어도 1개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무선 자원인 방법.
(21)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로 하여금,
TDD(time division duplex) 캐리어의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을 동적으로 변경하는 것; 및
상기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에 대한 장치간 통신용의 무선 자원을 단말 장치에 통지하는 것
을 실행하게 하고,
상기 무선 자원은 상기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의 적어도 1개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무선 자원인 프로그램.
(22)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로 하여금,
TDD(time division duplex) 캐리어의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을 동적으로 변경하는 것; 및
상기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에 대한 장치간 통신용의 무선 자원을 단말 장치에 통지하는 것
을 실행하게 하고,
상기 무선 자원은 상기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의 적어도 1개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무선 자원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23)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로 하여금,
기지국에 의해 동적으로 변경되는 TDD(time division duplex) 캐리어의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에 대한 장치간 통신용의 무선 자원을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하는 것; 및
상기 무선 자원을 사용하는 장치간 통신을 제어하는 것
을 실행하게 하고,
상기 무선 자원은 상기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의 적어도 1개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무선 자원인 프로그램.
(24)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로 하여금,
기지국에 의해 동적으로 변경되는 TDD(time division duplex) 캐리어의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에 대한 장치간 통신용의 무선 자원을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하는 것; 및
상기 무선 자원을 사용하는 장치간 통신을 제어하는 것
을 실행하게 하고,
상기 무선 자원은 상기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의 적어도 1개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무선 자원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1: 통신 시스템
100: 기지국
101: 셀
150: 처리부
151: 정보 취득부
153: 제어부
200: 단말 장치
240: 처리부
241: 정보 취득부
243: 제어부

Claims (20)

  1. 장치로서,
    TDD(time division duplex) 캐리어의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을 동적으로 변경하고,
    상기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에 대한 장치간 통신용의 무선 자원을 단말 장치에 통지하도록 구성되는 회로
    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자원은 상기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의 적어도 1개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무선 자원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는 복수의 구성 중 1개의 구성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구성 중 다른 구성으로 상기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을 변경하도록 더 구성되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는 상기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의 상기 변경에 따라 상기 다른 구성에 대한 장치간 통신용의 상기 무선 자원을 상기 단말 장치에 통지하도록 더 구성되며,
    상기 다른 구성에 적합한 상기 무선 자원은 상기 다른 구성의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무선 자원인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는 상기 복수의 구성 각각에 대한 장치간 통신용의 상기 무선 자원을 상기 단말 장치에 통지하도록 더 구성되는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구성 각각에 대한 상기 무선 자원은 구성마다의 장치간 통신용의 무선 자원을 포함하고,
    구성마다의 상기 무선 자원은 상기 구성 중 적어도 1개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무선 자원인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구성 각각에 대한 상기 무선 자원은 상기 복수의 구성 사이에 공통되는 적어도 1개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무선 자원인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1개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에 포함되는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수는 상기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수에 따라 다른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자원은 상기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수에 따른 주기로 반복되는 주기적인 무선 자원인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자원은 상기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이 제1 구성일 때 제1 수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무선 자원이고, 제1 주기로 반복되는 주기적인 무선 자원이며, 상기 무선 자원은 상기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이 제2 구성일 때 상기 제1 수보다도 작은 제2 수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무선 자원이고, 상기 제1 주기보다도 짧은 제2 주기로 반복되는 주기적인 무선 자원인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는 상기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수가 사전 결정된 수 이상일 때 상기 무선 자원을 단말 장치에 통지하도록 더 구성되는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은 적어도 사전 결정된 수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을 포함하는 구성인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1개의 업링크 서브프레임 각각은 상기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의 2개 이상의 연속하는 업링크 서브프레임 내에 포함되고,
    상기 2개 이상의 연속하는 업링크 서브프레임 중 1개 이상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은 상기 적어도 1개의 업링크 서브프레임 내에 포함되지 않는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는 상기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이 2개 이상의 연속하는 업링크 서브프레임을 포함할 때 상기 무선 자원을 단말 장치에 통지하도록 더 구성되는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은 2개 이상의 연속하는 업링크 서브프레임을 포함하는 구성인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는 상기 무선 자원을 나타내는 시스템 정보를 보고함으로써 상기 무선 자원을 단말 장치에 통지하도록 더 구성되는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는 상기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을 상기 단말 장치에 통지하도록 더 구성되는 장치.
  17. 방법으로서,
    프로세서에 의해, TDD(time division duplex) 캐리어의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을 동적으로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에 대한 장치간 통신용의 무선 자원을 단말 장치에 통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자원은 상기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의 적어도 1개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무선 자원인 방법.
  18. 장치로서,
    기지국에 의해 동적으로 변경되는 TDD(time division duplex) 캐리어의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에 대한 장치간 통신용의 무선 자원을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무선 자원을 사용하는 장치간 통신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회로
    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자원은 상기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의 적어도 1개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무선 자원인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은 복수의 구성 중 1개의 구성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구성 중 다른 구성으로 변경되는 구성이며,
    상기 회로는 상기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구성 각각에 대한 장치간 통신용의 무선 자원 중 상기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에 대한 상기 무선 자원을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하도록 더 구성되는 장치.
  20. 방법으로서,
    기지국에 의해 동적으로 변경되는 TDD(time division duplex) 캐리어의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에 대한 장치간 통신용의 무선 자원을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 및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무선 자원을 사용하는 장치간 통신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자원은 상기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의 적어도 1개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무선 자원인 방법.
KR1020167021550A 2014-07-29 2015-07-14 Tdd 구성의 동적 변경에서의 d2d를 위한 자원 할당 KR1023976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153812 2014-07-29
JP2014153812A JP6458385B2 (ja) 2014-07-29 2014-07-29 装置及び方法
PCT/JP2015/003567 WO2016017100A1 (en) 2014-07-29 2015-07-14 Resource allocation for d2d in dynamic change of tdd configur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7875A true KR20170037875A (ko) 2017-04-05
KR102397672B1 KR102397672B1 (ko) 2022-05-16

Family

ID=53785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1550A KR102397672B1 (ko) 2014-07-29 2015-07-14 Tdd 구성의 동적 변경에서의 d2d를 위한 자원 할당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3) US9974102B2 (ko)
EP (2) EP3175670B1 (ko)
JP (1) JP6458385B2 (ko)
KR (1) KR102397672B1 (ko)
CN (1) CN105981464B (ko)
AU (2) AU2015298077A1 (ko)
CA (1) CA2938902A1 (ko)
ES (1) ES2802375T3 (ko)
MX (1) MX365682B (ko)
MY (1) MY181198A (ko)
PH (1) PH12016501597B1 (ko)
RU (1) RU2678081C2 (ko)
SG (1) SG11201606338UA (ko)
TW (1) TWI674019B (ko)
WO (1) WO20160171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903358B1 (en) * 2012-09-27 2019-11-13 Kyocera Corpo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er terminal, base station, and processor
JP6458385B2 (ja) 2014-07-29 2019-01-30 ソニー株式会社 装置及び方法
JP6311515B2 (ja) * 2014-07-30 2018-04-18 ソニー株式会社 装置
US9735926B2 (en) * 2014-08-26 2017-08-15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transmission of device-to-device user equip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287370B1 (ko) * 2014-12-23 2021-08-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단말 및 그것의 자원 할당 방법
CN105517191B (zh) * 2016-01-07 2019-04-12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D2d中继通信中的连接管理方法及装置、终端和基站
US10506402B2 (en) * 2016-03-31 2019-12-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ssion of control and data in vehicle to vehicle communication
EP3515138B1 (en) * 2016-11-04 2021-06-16 Huawei Technologies Co., Ltd. Resource configuration method, and terminal device and base station
CN108282319B (zh) * 2017-01-06 2021-03-09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资源指示方法及相关设备
EP3716704A4 (en) * 2017-12-12 2020-11-11 Huawei Technologies Co., Ltd. DATA TRANSMISSION PROCESS AND APPARATUS
PT3766286T (pt) * 2018-03-15 2022-05-25 Ericsson Telefon Ab L M Método para colocar um nó numa comunicação sem fios em modo de vigília, assim como o nó correspondente
CN112567855A (zh) * 2018-08-20 2021-03-26 富士通株式会社 终端装置、基站装置以及通信系统
EP3925346A1 (en) * 2019-02-14 2021-12-22 Sony Group Corporation Telecommunications apparatus and methods
US11659552B2 (en) * 2019-09-27 2023-05-23 Qualcomm Incorporated Time division duplex (TDD) slot format configuration indication for sidelink communications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07883B2 (en) * 2009-03-23 2012-01-31 Nokia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ference avoidance in mixed device-to-device and cellular environment
US8811359B2 (en) 2010-04-15 2014-08-19 Qualcomm Incorporated Multiplexing of peer-to-peer (P2P) communication and wide area network (WAN) communication
EP2604081A4 (en) * 2010-08-12 2016-10-19 Nokia Technologies Oy CONFIGURING AN UPLINK AND DOWNLINK DIVISION DIAGRAM FOR DEVICE (D2D) COMMUNICATION IN A CELLULAR NETWORK
US8908571B2 (en) * 2010-10-01 2014-12-09 Clearwire Ip Holdings Llc Enabling coexistence between wireless networks
WO2012108718A2 (ko) * 2011-02-10 2012-08-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송파 집성 시스템에서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
US8923274B2 (en) * 2011-08-15 2014-12-30 Blackberry Limited Notifying a UL/DL configuration in LTE TDD systems
CN104170493B (zh) * 2012-03-23 2018-09-07 联发科技股份有限公司 移动通信网络中分配调度请求资源的方法以及装置
US9503837B2 (en) 2012-10-08 2016-11-22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HARQ proces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2014116732A (ja) * 2012-12-07 2014-06-26 Toshiba Corp 無線通信装置
US9532340B2 (en) * 2012-12-14 2016-12-27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Techniques for enabling and performing HARQ transmissions in a D2D communication between wireless devices in a wireless telecommunications network
US9398438B2 (en) 2013-05-10 2016-07-19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TDD configuration for D2D open discovery
JP6262950B2 (ja) * 2013-07-19 2018-01-17 株式会社Nttドコモ 基地局、ユーザ装置及び干渉低減方法
US9668288B2 (en) * 2014-03-19 2017-05-30 Acer Incorporated Method of handling device-to-device operation and related communication device
US9918290B2 (en) * 2014-06-27 2018-03-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and apparatus for inter-cell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and discovery
JP6458385B2 (ja) 2014-07-29 2019-01-30 ソニー株式会社 装置及び方法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31992 *
3GPP R1-132654 *
3GPP R1-141195 *
3GPP R1-142017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H12016501597A1 (en) 2017-02-06
AU2015298077A1 (en) 2016-08-11
EP3720222A1 (en) 2020-10-07
CN105981464B (zh) 2020-10-20
AU2018203813B2 (en) 2019-08-29
US10674554B2 (en) 2020-06-02
EP3175670B1 (en) 2020-05-27
AU2018203813A1 (en) 2018-06-21
MY181198A (en) 2020-12-21
JP2016032204A (ja) 2016-03-07
US11317452B2 (en) 2022-04-26
TWI674019B (zh) 2019-10-01
RU2016132477A3 (ko) 2018-07-04
US20200275500A1 (en) 2020-08-27
KR102397672B1 (ko) 2022-05-16
JP6458385B2 (ja) 2019-01-30
ES2802375T3 (es) 2021-01-19
WO2016017100A1 (en) 2016-02-04
US20180249523A1 (en) 2018-08-30
MX365682B (es) 2019-06-10
TW201616899A (zh) 2016-05-01
PH12016501597B1 (en) 2017-02-06
MX2016010203A (es) 2016-10-13
SG11201606338UA (en) 2016-09-29
EP3175670A1 (en) 2017-06-07
RU2016132477A (ru) 2018-02-08
US9974102B2 (en) 2018-05-15
CA2938902A1 (en) 2016-02-04
CN105981464A (zh) 2016-09-28
US20160353499A1 (en) 2016-12-01
RU2678081C2 (ru) 2019-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17086B2 (en) Device and associated methodology for management of resource pools of resources used in device-to-device communications
US11317452B2 (en) Device and method
JP6631668B2 (ja) 車両および端末装置
CN107409379B (zh) 终端设备、无线通信设备、无线通信方法和计算机程序
US20200092705A1 (en)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terminal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KR20160071377A (ko) 통신 제어 장치, 통신 제어 방법 및 단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