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7233A - 차이브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차이브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7233A
KR20170037233A KR1020150136508A KR20150136508A KR20170037233A KR 20170037233 A KR20170037233 A KR 20170037233A KR 1020150136508 A KR1020150136508 A KR 1020150136508A KR 20150136508 A KR20150136508 A KR 20150136508A KR 20170037233 A KR20170037233 A KR 201700372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eptococcus
oral
extract
composition
chi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6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9228B1 (ko
Inventor
유정헌
이상화
김소은
문교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501365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9228B1/ko
Publication of KR201700372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72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92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92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6Liliaceae (Lily family), e.g. daylily, plantain lily, Hyacinth or narcissus
    • A61K36/8962Allium, e.g. garden onion, leek, garlic or ch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Abstract

본 발명은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이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차이브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은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 효과가 우수하며, 천연물 유래의 물질이어서 독성이 없으며, 인체에 적용하여도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아 활용도가 높다.

Description

차이브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Oral composition comprising chives extract}
본 발명은 구강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구강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치아건강의 개념이 사회생활개념으로 변화되면서 구강건강에 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으며 구강질환의 예방과 치료뿐만 아니라, 사회생활을 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대인관계의 장애가 되는 구취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치아조직은 에나멜질, 시멘트질 및 상아질로 구성되어 있다.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치아의 바깥쪽은 에나멜질로 덮여 있고, 치조골 내에 위치하는 치아 뿌리 부분의 바깥쪽은 시멘트질로 덮여 있으며, 이들 내부에 상아질이 존재한다. 상아질에는 상아세관이라는 미세한 관이 상아질 전체에 걸쳐 분포하고 있다.
치아의 시린이 증상은 노출된 치아의 상아질 부분이 찬 공기나 자극적인 음식물 등에 접촉되었을 때 민감하게 느껴지는 것으로서, 이 증상의 근본적인 원인으로서 치아의 상아질에 존재하는 많은 세관이 외부로 노출되면서 나타난다. 치아의 시린이 증상은 가벼운 증상에서 격렬하고 지속적인 통증까지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또한, 치아는 특성상 재생이 되지 않기 때문에 진통제나 소염제 등의 복용은 시린 현상의 근본적인 해결책이 되지 못하므로 시린이 증상을 완화하기 위한 여러 치료법이 발달하였다.
시린이 증상의 치료는 크게 상아세관 밀봉법과 치수신경 탈감작법 두가지가 있다. 상아세관 밀봉법은 노출된 상아세관을 레진 등으로 메우거나 불소 도포 등으로 손실된 법랑질을 다시 회복하는 방법이고, 치수신경 탈감작법은 신경전달이 나트륨 이온과 칼륨 이온의 적정 비율에 의해 조절되는 점을 감안하여 칼륨 이온의 함량을 인위적으로 높여줌으로써 신경이 시린 통증을 느끼지 못하게 하는 치료법이다. 그러나 이러한 전문 치료법의 시술은 치과에 가서 받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어 평소 생활에서 시린이를 치료 또는 예방할 수 있는 시린이를 위한 치약들이 판매되고 있다.
이러한 치약들은 상기 2가지 치료방법에 유용한 유효성분을 함유하고 있다. 그러나 이 중 제이인산칼륨 성분 등을 함유하여 치수신경 탈감작 효능이 나타나도록 구성된 치약은 효능이 나타나는 시간이 15일 정도로 길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효능이 빨리 나타나는 상아세관 밀봉법에 의한 효능을 갖는 치약이 선호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상아세관 밀봉효과를 활용한 시린이 전문 치약의 경우 상아세관을 밀봉하기 위하여 유효성분의 미세한 파우더를 함유하게 되는데 통상적으로 칫솔질하는 과정에서 금방 묽게 희석되고, 물로 헹구는 과정에서 대부분 씻겨나가는 바람에 세관이 밀봉되지 못하고 다시 노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구취의 원인은 크게 구강 내 원인, 구강 외 원인, 심인적 원인으로 분류되고 그 중 구취 원인의 80~90% 정도를 차지하는 구강 내 원인으로 타액량 감소, 타액 점조도 증가, 수소이온농도 완충능력 감소, 구강 미생물의 양과 활동성 증가 및 혀의 배면에 부착된 설태와 치료되지 않은 치아 우식증과 치주질환과 같은 구강질환 등이 있다.
한편, 구강질환 중 치아 우식증과 치주질환은 통증, 저작기능 장애, 치주조직의 파괴 및 구취와 같은 다양한 임상적인 증상을 유발하고 치아상실을 초래하는 주된 요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식생활의 변화로 치아 우식의 원인요소는 더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치면세균막 내에 서식하면서 치아우식, 치주질환 및 구취를 유발하는 구강병원균 증식을 억제하는 방법으로, 이들 세균들에 대한 살균 및 정균작용을 갖는 항생제를 포함한 다양한 종류의 항균제제가 충치, 치주질환, 치수 및 치근단 감염의 억제 및 치료제로써 개발되어 왔다.
그런데, 항생제는 우리 몸에 대한 전신적인 부작용과 함께 구강 내 내성균의 출현 및 균교대증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장기적인 사용이 곤란하여 단지 치료제로만으로 이용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항균제인 불소의 경우는 충치예방효과는 뚜렷하지만 아직까지 치주나 치수, 치근단 질환에 대한 효과는 보고된 바가 없다. 그 외에 치약, 양치액, 기타 구강청정제에 사용되고 있는 항균제제로는 생귀나린(sanguinarine), 리스테린(listerine), 퍼록사이드(peroxide), 클로르헥시딘(chlorhexidine) 등이 있는데, 생귀나린은 구강 내에서 세균에 대한 효과가 불분명하고 치주질환 치료효과에 대해서는 더욱 불분명할 뿐만 아니라 가격도 비싸다는 단점이 있고, 리스테린은 알코올이 주성분으로 실제 구강 내에서는 일시적인 효과 내지는 약간의 정균작용이 있으나 장기간 사용시 조직에 대해 위해작용도 나타날 수 있는 단점이 있으며, 최근 미백효과를 위해 첨가되고 있는 퍼록사이드는 세균에 대한 독성 작용이 있으나 동시에 인체조직에도 독성 작용을 나타내어 안전성에 문제가 있을 뿐 아니라 간혹 세균에서 퍼록사이드에 대한 내성균이 출현하기도 한다. 또한 클로르헥시딘은 치태형성억제와 더불어 치주질환 예방 및 치료제로써 현재까지 알려진 제제 중에서 가장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조직에 대한 자극, 조직의 착색 및 변성, 특히 자극적인 맛이 강하고 냄새가 심한 부작용을 나타내는 문제점이 있을 뿐 아니라, 그 외도 균교대증이 유발될 수 있고, 발암성이 있어 임신부의 경우 사용이 제한되는 등 치료나 특히 예방의 목적으로 장기간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Contemporary periodontics [ed. R.J. Genco et al.], p161∼169, p368∼369, p433, C.V. Mosby Company, St. Louis, 1990).
이에 따라,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부작용에 대한 우려가 없으면서도 구강질환, 즉 치아우식, 치주질환, 구취, 시린이 등의 예방 및 개선에 효과가 뛰어난 천연소재를 도출하기 위해 연구를 수행하였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031512호
이에 본 발명자들은 차이브 추출물이 구강질환에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는 사실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이브(chive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구강용 제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구현예로서, 본 발명은 차이브(chives, Allium schoenoprasum)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조성물은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구강질환은 예를 들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구취, 시린이, 치아 우식증, 치은염, 치주염, 구강 내 점막 궤양 및 치근단 질환 등을 포함하는 포괄적 개념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구강질환은 바람직하게는 시린이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예방"은 상기 구강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질환을 억제 또는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치료"는 상기 구강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질환의 증세가 완화되거나 완치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완화"는 상기와 같은 구강질환 증상 등이 줄어들거나 누그러지는 것을 의미하며, 개선, 예방, 치료 등을 포함하는 넓은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개선"은 구강질환 등을 치료하여 증상을 원래의 상태에 가깝도록 회복시키는 것을 의미하는 넓은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구취"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후천적인 전신질환에 의해서나 타액중의 단백질, 음식물 찌꺼기 등이 구강 내에서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어 생성된 물질이 분해되어 악취를 유발하는 물질을 생성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다. 구취를 유발하는 1차 원인인 구강 내 미생물에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스트렙토코커스(Streptococcus) 속, 포피로모나스(Porphyromonas) 속, 악티노마이세스(Actinomyces) 속, 악티노바실러스(Actinobacillus) 속 등이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치아 우식증"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구강 내 박테리아에 의해 치아가 손상되어 충치가 생기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치아 표면에 생성된 바이오필름인 플라크(plaque)가 원인일 수 있다. 상기 구강 내 박테리아는 스트렙토코커스(Streptococcus) 속, 포피로모나스(Porphyromonas) 속 등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치은염" 및 "치주염"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치은연하치태내에 존재하는 스트렙토코커스(Streptococcus) 속, 포피로모나스(Porphyromonas) 속 등의 세균이 적절한 생육조건이 형성되었을 때 치은 부위의 연조직에 감염을 일으켜 치은염 또는 치주염의 치주질환으로 발전하여 잇몸의 염증을 일으키는 구강질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구강 내 점막 궤양"은 구내염(stomatitis)이라고도 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구강 내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등에 의한 감염으로 인해 구강 내 점막(혜, 잇몸, 입술, 볼 안쪽 등)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을 의미하며 상기 세균은 스트렙토코커스(Streptococcus) 속, 포피로모나스(Porphyromonas) 속 등의 세균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치근단 질환"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치아의 뿌리 끝을 의미하는 치근단에 염증이 발생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치근단 질환으로는 치근단 낭종, 치근단 농양, 치근단 골육종 등이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스트렙토코커스(Streptococcus) 속, 포피로모나스(Porphyromonas) 속 등의 세균에 의해서 발생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시린이"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충치나 다른 병적인 원인과 별개로, 외부 자극에 대해 예리하고 일시적이거나 지속적인 통증이 나타나는 모든 현상을 의미한다. 상기 외부 자극은 보통 온도 자극을 의미하며, 대개 차가운 온도 자극에 증상을 호소하는데 뜨거운 온도에 통증이 나타나기도 한다. 이와 같은 온도 자극 외에도 치아의 건조, 외부 물질과의 접촉, 달거나 신 음식을 통한 삼투압 등의 자극에 의해서도 통증이 나타날 수 있다. 이는 치아 전체에 전반적으로 나타나기도 하며, 상악이나 하악, 또는 오른쪽이나 왼쪽 등 특정 부위에 한정되어 나타나기도 하고, 상아질 지각과민증(dentine hyperesthesia), 우식, 치수 염증과 동반하기도 한다.
이러한 시린이 증상의 원인으로는 상아세관의 입구 노출을 고려할 수 있다.
에나멜질 또는 시멘트질이 파괴되어 상아세관의 입구가 외부로 노출되면 상아세관의 세포돌기, 신경 및 상아질액에 의하여 자극이 치수 쪽으로 전달되어 통증을 느낄 수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차이브 추출물이 치아 표면 및/또는 상아세관 내에 잘 흡착될 수 있는 특성을 가져 시린이 증상의 예방 및 완화에 탁월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추출물"은 차이브의 추출 처리에 의하여 얻어지는 추출액, 상기 추출액의 희석액이나 농축액, 상기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상기 추출액의 조정제물이나 정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 추출액 자체 및 추출액을 이용하여 형성 가능한 모든 제형의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차이브 추출물은, 상기 차이브의 천연, 잡종 또는 변종 식물의 다양한 기관으로부터 추출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차이브의 종자(씨앗), 뿌리, 지상부, 줄기, 잎, 꽃, 열매의 몸통, 열매의 껍질뿐만 아니라 식물 조직 배양물로부터도 추출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상기 차이브 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차이브의 종자 또는 지상부의 추출물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지상부 추출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지상부는 차이브의 지상부라면 어느 부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바람직하게는 지상부 전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차이브 추출물에 있어서, 상기 차이브를 추출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에 따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추출 방법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용매 추출법, 열수 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여과법, 환류 추출법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수행되거나 2 종 이상의 방법을 병용하여 수행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용매 추출법을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차이브를 추출하는 데에 사용되는 추출 용매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추출 용매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물, 증류수,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아세톤, 에테르, 벤젠,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메틸렌클로라이드, n-헥산, 염산, 초산, 포름산, 구연산, 디에틸에테르 및 사이클로헥산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용매 등을 들 수 있으며, 알코올을 용매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바람직하게는 C1 내지 C4의 알코올(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차이브의 추출 용매로 보다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증류수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은 스트렙토코커스(streptococcus) 속 또는 포피로모나스(Porphyromonas) 속, 더욱 상세하게는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 스트렙토코커스 상귀스(streptococcus sanguis), 스트렙토코커스 상귀니스(Streptococcus sanguinis), 스트렙토코커스 살리바리우스 종 써모필스(Streptococcus salivarius subsp. thermophils), 및 포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Porphyromonas gingivalis)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세균에 항균 효과가 탁월하여 구강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우수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더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은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 또는 포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Porphyromonas gingivalis) 세균에 항균 효과가 탁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차이브(chives)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 내지 10 중량% 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3 내지 7 중량% 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4 내지 6 중량% 일 수 있다. 상기 차이브(chives) 추출물이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 중량% 미만인 경우 구강질환에 효과가 미비할 수 있으며, 10 중량% 초과인 경우 양치 시 맛 등의 사용감이 좋지 않아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은 상기 차이브 추출물 이외에, 그 제형 및 사용 목적에 따라 통상적으로 성분들로서, 습윤제, 연마제, 약효제, 감미제, pH조정제, 방부제, 결합제, 향료, 기포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습윤제로는 농글리세린, 글리세린, 소르비톨수용액, 비결정성 소르비톨수용액, 폴리에틸렌글리콜류 및 프로필렌글리콜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하며, 그 사용량은 구강용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1 내지 70중량% 포함될 수 있다.
연마제로는 침강실리카, 실리카겔, 지르코늄실리케이트, 인산일수소칼슘, 무수인산일수소칼슘, 함수알루미나, 경질탄산칼슘, 중질탄산칼슘, 칼슘피로인산염, 불용성메타인산염 및 알루미늄실리케이트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1종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연마제의 사용량은 일반적으로 구강용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 내지 60 중량%일 수 있다. 또한 소량 사용되는 첨가제로는 통상 사용되는 성분들로서 감미제, pH 조정제, 방부제, 착색제, 결합제가 포함될 수 있다.
약효제는 불화나트륨, 일불소인산나트륨, 불화나트륨, 불화주석, 클로로헥시딘, 알란토인 클로로히드록시알루미네이트, 아미노카프론산, 염화아연, 염산피리독신, 초산토코페롤, 효소류 등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결합제로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카보머, 카라기난, 잔탄검, 알지네이트류 등을 사용할 수 있고, 기포제로서 알킬황산나트륨, 라우릴황산나트륨, 자당지방산에스테르, 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등의 음이온 및 비이온 계면 활성제를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결합제의 사용량은 일반적으로 구강용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1 내지 3 중량%이며, 바람직하게 0.5 내지 2 중량%일 수 있다.
감미제로서는 사카린,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아스파탐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감미제의 사용량은 일반적으로 구강용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5 내지 2 중량%일 수 있다.
pH조정제로는 인산나트륨, 인산이나트륨, 구연산, 트리에탄올아민(Triethanol amine(TEA))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방부제로서는 안식향산, 메틸파라벤, 프로필파라벤, 안식향산나트륨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향료로는 페퍼민트 오일, 스피아민트 오일, 멘톨 등을 혼합하여 사용하기도 하며, 기타 첨가제로서 덱스타라나제 등의 효소류를 사용할 수도 있다.
기포제로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인 라우릴황산나트륨,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인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의 공중합체(폴록사머),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 지방산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기포제의 사용량은 일반적으로 구강용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5 내지 5 중량%이며, 바람직하게 0.5 내지 3.5 중량%일 수 있다.
그밖에 잔량의 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구강용 제품을 제공한다.
차이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구강용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구강 건강을 위해 제조, 시판되는 제품들에 모두 포함될 수 있는 구강용 조성물로서, 적용되는 구강용 제품에는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상기 구강용 제품으로는 치약, 구강 스프레이, 구강 세정제, 구강용 연고, 구강 청정제, 가글링 제품, 껌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구강용 제품은 액상, 고상, 현탁액, 젤상, 에어로졸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차이브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은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 효과가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물 유래의 물질이어서 독성이 없으며, 인체에 적용하여도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아 활용도가 높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재료 준비
차이브 추출물의 제조
차이브 지상부 약 100g을 분쇄한 후 200mL의 증류수를 가하여 실온에서 1회 추출한 후 여과하여 물 추출물을 얻었다.
< 실험예 1>
시린이 현상 억제 정도 비교
시린이 억제정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우선 치약을 제조하기 위해 하기 표 1과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라우릴황산나트륨, 글리세린(농글리세린(98%)), 소르비톨 수용액(70%), 실리카류(침강 실리카), 잔탄검, 불화나트륨, 향료, 사카린, 구연산, 트리에탄올아민(Triethanol amine(TEA)) 등을 사용하여 대조군 치약을 만들었고, 여기에 차이브 추출물이 5 중량% 함유된 실험군 치약을 제조하였다.
성분명(단위 : 중량%) 실험군(실시예) 대조군(비교예)
침강 실리카 20.0 20.0
농글리세린 (98%) 30.0 30.0
소르비톨 수용액 (70%) 30.0 30.0
라우릴황산나트륨 1.0 1.0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0.5 0.5
잔탄검 0.5 0.5
차이브 추출물 5 -
불화나트륨 0.22 0.22
항료 1.0 1.0
사카린 1.0 1.0
구연산, Triethanol amine (TEA) 적량 적량
정제수 To 100 To 100
상기에서 제조한 조성물들의 시린이 현상 억제 정도를 비교 측정하였다. 즉, 지각과민치아를 가진 사람으로 이 실험에 참여하기를 동의한 지원자 40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총 연구대상 치아는 80개이다. 또한, 지원자 중 남자가 20명, 여자가 20명이었고, 연령은 20세 내지 50세였다. 연구 대상자들은 치약 내용물을 알지 못하도록 하였고, 총 시험기간은 2주로 하였다.
온도자극을 가한 후 환자의 반응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을 실시하기 전에 미리 각 지원자의 지각과민 치아의 과민부위를 체크하였고, 치아의 시린부위에 약 5℃의 차가운 물을 스포이드로 떨어뜨려 평점을 한 후 2주간 각각의 조성물을 1일 3회 사용하게 하고, 2주가 지나 다시 약 5℃의 차가운 물을 스포이드로 떨어뜨려 평점을 하였다. 자극 후 환자의 반응 평점 기준은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0점: 아무런 불편감이 없다., 1점: 약간 불편하거나 시리다., 3점: 아프다.). 통계처리는 실험실시 전과 2주 후의 자극 점수를 paired student-t test로 검정하였다.
2주 후의 온도자극에 대한 반응점수는 다음 표 2와 같다.
대조군 실험군
0주 2.22±0.21 2.23±0.21
2주 2.21±0.05 1.17±0.22
p>0.05 *p<0.05
< 실험예 2>
구취 제거 효과 실험
구취제거 정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상기 표 1과 같은 구성으로 대조군 및 실험군 치약을 제조하였다.
치아우식증이 없는 남녀 50명을 선정하여 대상 음료에 대하여 교차 반복 실험(Cross-over test)을 실시하였다. 시판하는 마늘분을 물에 분산시켜 24시간 방치한 후 희석하여 할리미터(Halimeter) 측정값이 700ppb 이상이 되도록 하여, 상기 희석액을 구취 유발원으로 사용하였다. 마늘분 희석액 15ml로 30초간 가글을 한 후 1분 뒤에 할리미터로 구취정도를 측정한 후, 대조군, 실험군 치약을 사용하여 30초~1분간 양치질하였다. 양치질 수 1분, 5분, 30분 경과 후 할리미터로 구취정도를 측정하여 구취억제의 지속여부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3과 같다.
대조군 실험군
1분 62.4% 93.5%
5분 40.2% 85.7%
30분 31.7% 71.3%
< 실험예 3>
항균 효과 실험
치아우식과 치주질환 대표유발 세균인, 그람양성균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와 그람음성균인 포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Porphyromonas gingivalis)를 이용하여 균주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지 페이퍼 디스크 검사법을 사용하여 항균력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상기 각 세균들은 하기 표 4의 최적 배양조건에서 활성을 키운 후, 각 균의 최적배지에서 4~6시간 정도 배양하여 배양액의 탁도를 Macfarland turbidity No. 0.5 (1.5x108)가 되도록 맞춘 후, 0.1ml를 골고루 도말하였다. 멸균한 페이퍼 디스크(Whatman no.5 paper, 8mm diameter)에 차이브 추출물을 10mg/disc 농도로 접종하여 1시간 동안 흡수건조시킨 뒤 사용하였다. 상기의 각 세균의 최적온도에서 24-48시간 배양 후 생육저지환의 크기(직경 mm)를 측정하였다.
균주 최적조건
그람염색 (Gram staining) 균주명 온도 배지 형질
Gram (+) Streptococcus mutans 37℃ BHI Facultative anaerobic
Gram (-) Porphyromonas gingivalis 37℃ TSA Hemin Menadione medium Anaerobic
그 결과는 하기 표 5에 나타낸 것과 같다.
생육저지환 직경 (mm)
S.mutans P. gingivalis
무처리 - (No inhibition) - (No inhibition)
차이브 추출물 처리 9 11.5
상기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구취, 시린이, 치아 우식증, 치은염, 치주염, 구강 내 점막 궤양 및 치근단 질환 등의 구강 질환에 탁월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14)

  1. 차이브(chive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용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질환은 구취, 시린이, 치아 우식증, 치은염, 치주염, 구강 내 점막 궤양 및 치근단 질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질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용 조성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질환은 시린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용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이브(chives) 추출물은 차이브에 물, 증류수,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아세톤, 에테르, 벤젠,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메틸렌클로라이드, n-헥산, 염산, 초산, 포름산, 구연산, 디에틸에테르 및 사이클로헥산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용매를 첨가하여 추출한 용매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용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이브(chives) 추출물은 물 또는 증류수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용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이브 추출물은 차이브의 종자 또는 지상부를 추출하여 수득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용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이브(chives)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 내지 1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용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스트렙토코커스(streptococcus) 속 또는 포피로모나스(Porphyromonas) 속에 항균 효과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용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렙토코커스(streptococcus) 속 또는 포피로모나스(Porphyromonas) 속은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 스트렙토코커스 상귀스(streptococcus sanguis), 스트렙토코커스 상귀니스(Streptococcus sanguinis), 스트렙토코커스 살리바리우스 종 써모필스(Streptococcus salivarius subsp. thermophils), 및 포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Porphyromonas gingivalis)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용 조성물.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렙토코커스(streptococcus) 속 또는 포피로모나스(Porphyromonas) 속은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 또는 포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Porphyromonas gingivali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용 조성물.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이브(chives) 추출물은 치아 표면 또는 상아세관 내에 흡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용 조성물.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구강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구강용 제품.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용 제품은 치약, 가글링 제품, 껌, 구강 스프레이, 구강용 연고, 구강 세정제 및 구강 청정제로 이루어지는 군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용 제품.
KR1020150136508A 2015-09-25 2015-09-25 차이브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 KR1023792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6508A KR102379228B1 (ko) 2015-09-25 2015-09-25 차이브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6508A KR102379228B1 (ko) 2015-09-25 2015-09-25 차이브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7233A true KR20170037233A (ko) 2017-04-04
KR102379228B1 KR102379228B1 (ko) 2022-03-24

Family

ID=58588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6508A KR102379228B1 (ko) 2015-09-25 2015-09-25 차이브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922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1512A (ko) 2012-09-03 2014-03-13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오미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치료 및 구취 억제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1512A (ko) 2012-09-03 2014-03-13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오미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치료 및 구취 억제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Rattanachaikunsopon P, and Phumkhachorn P. Biosci Biotechnol Biochem, 72(11), 2008, 2987-2991 *
Wijaya, C. Hanny 외. 인도네시아에서 자라는 몇 가지 알리윰 (Allium spp.)의 항혈소판 응집 성능. Natural Product Sciences (Natural Product Sciences). 1996, Vol. 2(1), pp. 37-42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9228B1 (ko) 2022-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81032A (ko) 갈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09579B1 (ko) 카사바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
KR20170103476A (ko) 금앵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81636B1 (ko) 갈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97684B1 (ko) 아마란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
KR20170037231A (ko) 퍼슬린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
KR20170142740A (ko) 천연 복합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03012483A (ja) 口腔用組成物
KR20160061852A (ko) 금속이온 봉쇄제와 이소프로필메틸페놀을 함유하는 구강 조성물
KR20170051006A (ko) 이소프로필메틸페놀과 구강조직수렴제를 함유하는 구강 조성물
KR102597685B1 (ko) 파슬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
KR102379228B1 (ko) 차이브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
KR101344803B1 (ko) 후박 추출물과 금속이온 봉쇄제를 포함하는 구강 위생용 조성물
KR20020082308A (ko) 귀전우 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KR20170103494A (ko) 과체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70103482A (ko) 연전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18211B1 (ko) 우방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0138248B1 (ko)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구강위생 증진용 조성물
KR20230001978A (ko) 히노키티올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KR102562829B1 (ko) 고량강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70142975A (ko) 익모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62830B1 (ko) 지부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70103517A (ko) 화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70118984A (ko) 익모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70103458A (ko) 초오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