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7180A - 차량용 거치대 - Google Patents
차량용 거치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37180A KR20170037180A KR1020150136395A KR20150136395A KR20170037180A KR 20170037180 A KR20170037180 A KR 20170037180A KR 1020150136395 A KR1020150136395 A KR 1020150136395A KR 20150136395 A KR20150136395 A KR 20150136395A KR 20170037180 A KR20170037180 A KR 2017003718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ngaging
- ball
- engaging portion
- front surface
- coupl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송풍구의 형태, 크기 등과 상관없이 송풍구 그릴에 견고하게 고정하여 휴대폰, IT 용품 등 각종 휴대용 기기를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는 차량용 거치대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차량용 거치대는 후면 상부에 차량 송풍구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좌우 한 쌍의 상부 다리부가 결합된 제1결합부; 상기 제1결합부 전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하부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거나 두꺼워지는 쐐기부; 상기 쐐기부 전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후면 하부에 차량 송풍구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좌우 한 쌍의 하부 다리부가 결합된 제2결합부; 상기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에 관통 결합되어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의 간격을 조절하는 결합부재; 및 휴대용 기기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제2결합부 전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거치부;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차량용 거치대는 후면 상부에 차량 송풍구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좌우 한 쌍의 상부 다리부가 결합된 제1결합부; 상기 제1결합부 전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하부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거나 두꺼워지는 쐐기부; 상기 쐐기부 전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후면 하부에 차량 송풍구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좌우 한 쌍의 하부 다리부가 결합된 제2결합부; 상기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에 관통 결합되어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의 간격을 조절하는 결합부재; 및 휴대용 기기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제2결합부 전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거치부;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송풍구의 형태, 크기 등과 상관없이 송풍구 그릴에 견고하게 고정하여 휴대폰, IT 용품 등 각종 휴대용 기기를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는 차량용 거치대에 대한 것이다.
차량의 송풍구는 거의 모든 차량의 전면 및 후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송풍구는 전면에 위치되는 그릴을 활용하여 휴대폰, IT 용품 등 휴대용 기기를 거치할 수 있는 최적의 장소이다.
이에 송풍구에 각종 휴대용 기기를 거치하기 위한 차량용 거치대가 다수 등장하였다.
종래 일반적인 송풍구 고정형 거치대는 클립 타입으로, 전면에 휴대용 기기가 결합 가능한 클립을 송풍구 그릴에 고정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거치대는 클립의 고정력이 약하여 휴대용 기기 고정 시 휴대용 기기의 자중으로 클립이 처지거나 빠질 수 있고, 휴대용 기기 착탈시 클립이 탈락하는 경우도 많았다.
그뿐만 아니라 차량 송풍구는 차량마다 형태, 각도, 방향 등이 상이하므로 단순히 클립 형태로는 차량에 따라 설치가 곤란한 경우도 빈번하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송풍구 그릴에 고정수단(10)의 걸림구(13)를 걸어 고정하고 고정수단(10) 전면에 베이스판(20)을 결합하며, 베이스판(20)에 나사 결합된 걸이구(40)에 휴대폰을 걸 수 있는 휴대폰 걸이대에 대한 기술이 출원되었다(공개특허 제10-2000-0073241호).
그러나 상기 기술에 의한 휴대폰 걸이대는 송풍구 그릴의 수평 그릴(6)에만 고정되므로, 거치대가 수평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고 견고하게 고정이 안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송풍구의 형태, 크기 등과 상관없이 송풍구 그릴에 견고하게 고정 가능한 차량용 거치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송풍구 그릴의 수직 그릴 및 수평 그릴에 모두 지지가 가능하여 더욱 견고한 고정이 가능한 차량용 거치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후면 상부에 차량 송풍구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좌우 한 쌍의 상부 다리부가 결합된 제1결합부; 상기 제1결합부 전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하부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거나 두꺼워지는 쐐기부; 상기 쐐기부 전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후면 하부에 차량 송풍구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좌우 한 쌍의 하부 다리부가 결합된 제2결합부; 상기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에 관통 결합되어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의 간격을 조절하는 결합부재; 및 휴대용 기기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제2결합부 전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거치부;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거치대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 사이에는 스프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거치대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쐐기부는 제1결합부 또는 제2결합부에 자력에 의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거치대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제2결합부에는 상하로 긴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장공에 관통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거치대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상부 다리부 및 하부 다리부는 좌우 다리부의 간격이 조절 가능하게 각각 제1결합부 및 제2결합부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거치대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쐐기부는 제1결합부 또는 제2결합부 중 어느 하나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거치대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거치부는, 전면에 휴대용 기기가 고정되는 것으로 후면에 연결부로 연결되는 볼이 구비되는 고정부; 상기 제2결합부 전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일측이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상기 볼이 수납되는 볼수납부; 및 상기 고정부의 연결부가 관통 결합되고, 상기 볼수납부의 일측에 나사 결합되어 회전 조임에 따라 볼을 가압 또는 해제하는 볼고정부재;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거치대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볼고정부재의 외주면에는 볼고정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레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거치대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결합부재의 조임 여부에 따라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를 쐐기부에 밀착하여 상부 다리부와 하부 다리부의 일단부 간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차량용 거치대를 송풍구 그릴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제2결합부가 쐐기부의 경사면을 타고 자연스럽게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므로, 송풍구의 형태, 크기 등과 상관없이 고정할 수 있다.
둘째, 상부 다리부와 하부 다리부를 각각 좌우 폭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경우 송풍구 그릴의 수직 그릴 및 수평 그릴에 모두 지지시켜 더욱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다.
셋째, 볼수납부에 나사 결합되는 볼고정부재를 회전시켜 볼의 가압 여부를 조절하는 경우, 거치부의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하면서 볼고정부재를 볼수납부에 견고하게 고정하여 볼고정부재가 헐거워져 거치부가 탈락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넷째, 차량용 거치대를 선택적으로 장착할 수 있어 송풍구 그릴의 환기, 통풍 등의 기능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차량용 거치대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 차량용 거치대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차량용 거치대를 송풍구에 결합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4는 스프링이 구비된 본 발명 차량용 거치대의 측단면도.
도 5는 쐐기부가 제1결합부와 일체로 형성된 본 발명 차량용 거치대의 측면도.
도 6은 제2결합부에 결합되는 거치부 상세를 도시하는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 차량용 거치대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차량용 거치대를 송풍구에 결합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4는 스프링이 구비된 본 발명 차량용 거치대의 측단면도.
도 5는 쐐기부가 제1결합부와 일체로 형성된 본 발명 차량용 거치대의 측면도.
도 6은 제2결합부에 결합되는 거치부 상세를 도시하는 측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 차량용 거치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차량용 거치대를 송풍구에 결합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거치대는 후면 상부에 차량 송풍구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좌우 한 쌍의 상부 다리부(22)가 결합된 제1결합부(21); 상기 제1결합부(21) 전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하부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거나 두꺼워지는 쐐기부(23); 상기 쐐기부(23) 전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후면 하부에 차량 송풍구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좌우 한 쌍의 하부 다리부(25)가 결합된 제2결합부(24); 상기 제1결합부(21)와 제2결합부(24)에 관통 결합되어 제1결합부(21)와 제2결합부(24)의 간격을 조절하는 결합부재(26); 및 휴대용 기기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제2결합부(24) 전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거치부(27);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결합부(21)는 후면 상부에 한 쌍의 상부 다리부(22)가 좌우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결합되는 것으로, 상부 다리부(22)를 차량 송풍구에 삽입하여 제1결합부(21)가 차량 송풍구에 결합된다.
상기 상부 다리부(22)는 외부를 실리콘 튜브 등으로 피복하여 송풍구 그릴(1)의 흠집이나 파손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결합부(24)는 후면 하부에 한 쌍의 하부 다리부(25)가 좌우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결합되는 것으로, 하부 다리부(25)를 차량 송풍구에 삽입하여 제2결합부(24)가 차량 송풍구에 결합된다.
상기 하부 다리부(25)는 외부를 실리콘 튜브 등으로 피복하여 송풍구 그릴(1)의 흠집이나 파손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부(21)와 제2결합부(24) 사이에는 쐐기부(23)가 구비된다.
상기 쐐기부(23)를 하부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거나 두꺼워지는 것으로, 제1결합부(21)와 제2결합부(24)를 결합부재(26)로 조임에 따라 제2결합부(24)가 쐐기부(23)의 경사면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제2결합부(24)가 쐐기부(23)에 밀착되며 동시에 제1결합부(21)도 쐐기부(23)에 밀착된다.
상기 쐐기부(23)는 결합부재(26)가 제1결합부(21)에 결합되는 것을 간섭하지 않도록 ㄷ자형 또는 ㅁ자형 등 내부가 빈 형상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부재(26)는 제1결합부(21)와 제2결합부(24)에 관통 결합되어 제1결합부(21)와 제2결합부(24) 사이의 간격을 조절한다.
상기 결합부재(26)는 볼트로 구성 가능하다.
본 발명의 차량용 거치대는 도 3의 (a)와 같이 제2결합부(24)와 쐐기부(23)가 이격된 상태로 송풍구 그릴(1)에 삽입한다.
이후, 결합부재(26)인 볼트를 조이면 도 3의 (b)와 같이 제1결합부(21)와 제2결합부(24)가 쐐기부(23)에 밀착된다. 이때, 상기 쐐기부(23)로 인해 제1, 2결합부(21, 24)는 상부와 하부의 간격이 다르게 밀착되어 상부 다리부(22)와 하부 다리부(25)의 단부 상하 간격이 벌어지거나 오므려진다.
따라서 상부 다리부(22)와 하부 다리부(25)가 평행하게 배치되지 않고 서로 소정의 경사각을 이루도록 위치되기 때문에, 차량용 거치대가 송풍구 그릴(1) 외측으로 뽑힐 수 없어 송풍구 그릴(1)로부터 탈락하지 않는다.
도 3의 (b)에 도시된 실시예는 하부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쐐기부(23)에 제2결합부(24)가 밀착되면서 상부 다리부(22)와 하부 다리부(25)의 일단부 간 거리가 줄어들었다. 즉, 하부 다리부(25)가 상부 다리부(22)와 일정한 경사각을 지니므로, 제1결합부(21)와 제2결합부(24)가 송풍구 그릴(1)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외부로 탈락하지 않는다.
상기 제2결합부(24) 전면에는 휴대용 기기를 고정하기 위한 거치부(27)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거치부(27)는 휴대용 기기가 고정되는 고정부(271)를 휴대용 기기의 폭이나 길이에 따라 크기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휴대용 기기의 양단을 가압하여 거치부(27)의 고정부(271) 내측에 휴대용 기기를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결합부재(26)의 조임 여부에 따라 제1결합부(21)와 제2결합부(24)가 쐐기부(23)에 밀착하여 상부 다리부(22)와 하부 다리부(25) 단부 간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차량용 거치대를 송풍구 그릴(1)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특히, 제2결합부(24)가 쐐기부(23)의 경사면을 타고 자연스럽게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므로, 송풍구의 형태, 크기 등과 상관없이 차량용 거치대를 고정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상부 다리부(22)와 하부 다리부(25)를 각각 좌우 폭 조절 가능하도록 하여 송풍구 그릴(1)의 수직 그릴(1b) 또는 수평 그릴(1a)에 모두 지지하도록 하는 경우, 보다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다.
상기 쐐기부(23)는 제1결합부(21) 또는 제2결합부(24)에 자력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26)를 조이기 전에는 제1결합부(21)와 제2결합부(24)의 사이 간격이 넓어 이들 사이의 공간으로 쐐기부(23)가 이탈할 수 있다.
따라서 자석 등을 이용하여 쐐기부(23)를 자력으로 제1결합부(21) 또는 제2결합부(24)에 부착하는 경우, 차량용 거치대 설치 중 쐐기부(23)가 이탈되지 않는다.
도 2, 도 4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결합부(24)에는 상하로 긴 장공(241)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재(26)는 상기 장공(241)에 관통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장공(241)을 따라 제2결합부(24)를 상하로 이동시켜 상부 다리부(22)와 하부 다리부(25)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송풍구 그릴(1)의 상하 폭에 따라 상부 다리부(22)와 하부 다리부(25) 사이의 간격 조절이 가능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다리부(22) 및 하부 다리부(25)는 좌우 다리부의 간격이 조절 가능하게 각각 제1결합부(21) 및 제2결합부(24)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 도 5 등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통상 차량 송풍구 그릴(1)은 전방에 수평 그릴(1a)이 있고 후방에 수직 그릴(1b)이 위치된다.
이때, 복수의 수직 그릴(1b)은 인접하는 수직 그릴(1b)의 간격에 따라 상부 다리부(22) 또는 하부 다리부(25)의 좌우 다리부 사이에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좌우 다리부의 간격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좌우 다리부를 벌려 수직 그릴(1b)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차량용 거치대를 송풍구 그릴(1)에 더욱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1결합부(21) 및 제2결합부(24)에 수평 장공(212, 242)을 형성하고 상부 다리부(22)나 하부 다리부(25)의 좌우 다리부 위치를 나사 또는 볼트로 고정하는 실시예를 고려할 수 있다.
아울러 다른 실시예로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에 의해 상부 다리부(22)나 하부 다리부(25)의 좌우 다리부 간격이 벌어지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는 스프링이 구비된 본 발명 차량용 거치대의 측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결합부(21)와 제2결합부(24) 사이에는 스프링(28)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28)은 제1결합부(21)와 제2결합부(24)를 결합부재(26)로 조이기 전에 제1결합부(21)와 제2결합부(24)가 상호 벌어진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제1결합부(21)와 제2결합부(24)가 덜렁거리지 않으므로 차량용 거치대의 설치가 용이하다.
도 4에는 결합부재(26) 외주면에 스프링(28)이 구비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스프링(28)이 제2결합부(24)를 가압할 수 있기만 하면 어느 위치에 스프링(28)을 설치해도 무방하다.
상기 스프링(28)은 코일스프링, 판스프링 등 다양한 형태의 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다.
도 5는 쐐기부가 제1결합부와 일체로 형성된 본 발명 차량용 거치대의 측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쐐기부(23)는 제1결합부(21) 또는 제2결합부(24) 중 어느 하나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결합부(21)의 전면 또는 제2결합부(24)의 후면을 경사지게 형성하여 쐐기부(23)를 제1결합부(21) 또는 제2결합부(24) 중 어느 하나와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그러면 차량용 거치대를 구성하는 부품 개수를 줄일 수 있으므로, 경제성이 향상되고 취급 및 시공이 용이하다.
도 5에는 제1결합부(21)의 전면에 하부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일체 형성된 쐐기부(23)의 실시예가 도시된다.
도 6은 제2결합부에 결합되는 거치부 상세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치부(27)는, 전면에 휴대용 기기가 고정되는 것으로 후면에 연결부(273)로 연결되는 볼(272)이 구비되는 고정부(271); 상기 제2결합부(24) 전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일측이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상기 볼(272)이 수납되는 볼수납부(274); 및 상기 고정부(271)의 연결부(273)가 관통 결합되고, 상기 볼수납부(274)의 일측에 나사 결합되어 회전 조임에 따라 볼(272)을 가압 또는 해제하는 볼고정부재(275); 로 구성될 수 있다.
즉, 휴대용 기기를 고정하는 거치부(27)는 휴대용 기기가 고정되는 고정부(271), 제2결합부(24)에 결합되는 볼수납부(274) 및 상기 고정부(271)와 볼수납부(274)를 연결하는 볼고정부재(275)로 구성된다.
송풍구 그릴(1)은 차량마다 각도가 제각각이며, 사용자가 운전자인지 동승자인지 여부 또는 사용자의 신장이나 바람 분사 방향 등에 따라 거치부(27)의 각도 조절이 필요하다.
상기 고정부(271)는 볼수납부(274) 내부에 수납된 볼(272)에 의하여 용이하게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고정부(271)의 연결부(273)가 관통하도록 볼고정부재(275)의 일면에 형성된 관통공은 지름을 연결부(273)의 지름보다 크게 하여, 고정부(271)를 볼(272)과 연결하는 연결부(273)의 회전이 자유롭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종래 볼 조인트는 장기간 사용시 헐거워지거나 휴대용 기기의 자중에 의해 처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도 6의 (a) 내지 (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볼수납부(274)에 나사 결합되는 볼고정부재(275)를 회전시켜 볼(272)의 가압 여부를 조절한다. 따라서 볼고정부재(275)가 헐거워져 거치부(27)가 탈락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며, 상기 볼고정부재(275)는 볼수납부(274)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상기 볼고정부재(275)의 외주면에는 볼고정부재(275)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레버(27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 레버(276)는 볼고정부재(275)를 회전시켜 적은 힘으로 볼(272)을 가압 또는 해제한다.
상기 볼수납부(274) 및 볼고정부재(275)의 피치를 크게 할 경우, 회전 레버(276)의 각도 변화를 크게 하지 않아도 볼고정부재(275)의 풀림 또는 조임 정도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다.
1: 송풍구 그릴
1a: 수평 그릴
1b: 수직 그릴 21: 제1결합부
212: 수평 장공 22: 상부 다리부
23: 쐐기부 24: 제2결합부
241: 장공 242: 수평 장공
25: 하부 다리부 26: 결합부재
27: 거치부 271: 고정부
272: 볼 273: 연결부
274: 볼수납부 275: 볼고정부재
276: 회전 레버 28: 스프링
1b: 수직 그릴 21: 제1결합부
212: 수평 장공 22: 상부 다리부
23: 쐐기부 24: 제2결합부
241: 장공 242: 수평 장공
25: 하부 다리부 26: 결합부재
27: 거치부 271: 고정부
272: 볼 273: 연결부
274: 볼수납부 275: 볼고정부재
276: 회전 레버 28: 스프링
Claims (8)
- 후면 상부에 차량 송풍구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좌우 한 쌍의 상부 다리부(22)가 결합된 제1결합부(21);
상기 제1결합부(21) 전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하부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거나 두꺼워지는 쐐기부(23);
상기 쐐기부(23) 전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후면 하부에 차량 송풍구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좌우 한 쌍의 하부 다리부(25)가 결합된 제2결합부(24);
상기 제1결합부(21)와 제2결합부(24)에 관통 결합되어 제1결합부(21)와 제2결합부(24)의 간격을 조절하는 결합부재(26); 및
휴대용 기기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제2결합부(24) 전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거치부(27);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거치대.
- 제1항에서,
상기 제1결합부(21)와 제2결합부(24) 사이에는 스프링(28)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거치대.
- 제1항에서,
상기 쐐기부(23)는 제1결합부(21) 또는 제2결합부(24)에 자력에 의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거치대.
- 제1항에서,
상기 제2결합부(24)에는 상하로 긴 장공(241)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재(26)는 상기 장공(241)에 관통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거치대.
- 제1항에서,
상기 상부 다리부(22) 및 하부 다리부(25)는 좌우 다리부의 간격이 조절 가능하게 각각 제1결합부(21) 및 제2결합부(24)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거치대.
- 제1항에서,
상기 쐐기부(23)는 제1결합부(21) 또는 제2결합부(24) 중 어느 하나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거치대.
-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거치부(27)는, 전면에 휴대용 기기가 고정되는 것으로 후면에 연결부(273)로 연결되는 볼(272)이 구비되는 고정부(271); 상기 제2결합부(24) 전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일측이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상기 볼(272)이 수납되는 볼수납부(274); 및 상기 고정부(271)의 연결부(273)가 관통 결합되고, 상기 볼수납부(274)의 일측에 나사 결합되어 회전 조임에 따라 볼(272)을 가압 또는 해제하는 볼고정부재(275);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거치대.
- 제7항에서,
상기 볼고정부재(275)의 외주면에는 볼고정부재(275)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레버(276)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거치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36395A KR101735081B1 (ko) | 2015-09-25 | 2015-09-25 | 차량용 거치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36395A KR101735081B1 (ko) | 2015-09-25 | 2015-09-25 | 차량용 거치대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37180A true KR20170037180A (ko) | 2017-04-04 |
KR101735081B1 KR101735081B1 (ko) | 2017-05-12 |
Family
ID=58588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36395A KR101735081B1 (ko) | 2015-09-25 | 2015-09-25 | 차량용 거치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35081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86313Y1 (ko) * | 2017-11-10 | 2018-05-02 | 윤세형 | 차량용 송풍구 거치대 |
KR200488233Y1 (ko) * | 2018-02-07 | 2018-12-31 | 강영철 | 비행기용 휴대폰 거치대 |
WO2019151565A1 (ko) * | 2018-01-31 | 2019-08-08 | 김재문 | 송풍구 고정형 휴대전화 거치대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83720B1 (ko) | 2017-12-05 | 2019-09-03 | 정석하 |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의 고정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202743152U (zh) * | 2012-08-20 | 2013-02-20 | 范裕雄 | 用于车内送风窗的固定装置 |
-
2015
- 2015-09-25 KR KR1020150136395A patent/KR101735081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86313Y1 (ko) * | 2017-11-10 | 2018-05-02 | 윤세형 | 차량용 송풍구 거치대 |
WO2019151565A1 (ko) * | 2018-01-31 | 2019-08-08 | 김재문 | 송풍구 고정형 휴대전화 거치대 |
KR200488233Y1 (ko) * | 2018-02-07 | 2018-12-31 | 강영철 | 비행기용 휴대폰 거치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35081B1 (ko) | 2017-05-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35081B1 (ko) | 차량용 거치대 | |
RU2601253C1 (ru) | Регулируемый держатель для перенос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 |
US20070195983A1 (en) | Combination wind screen and microphone shock mount | |
US20120120626A1 (en) | Fixing apparatus for portable device | |
KR101591831B1 (ko) |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 |
US7621550B1 (en) | Detachable kickstand support with mounting bracket | |
CN202392400U (zh) | 万向调节投影机墙壁挂架 | |
CN204805899U (zh) | 便携式多自由度摄像机固定架 | |
KR101616922B1 (ko) | 차량용 거치대 | |
KR20120124742A (ko) | 흡착구 | |
KR101690077B1 (ko) | 차량용 거치대 | |
US20110168867A1 (en) | Microphone support system | |
KR20160004443U (ko) |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 |
EP2412578B1 (en) | Device for detachably attaching a holder for an electronic device | |
KR20160065664A (ko) | 차량용 스마트폰 고정 거치대 | |
CN210950723U (zh) | 一种车载显示器支架 | |
KR200486313Y1 (ko) | 차량용 송풍구 거치대 | |
US20200203973A1 (en) | Wireless Charging System and Method for Electronic Device Grip Holder | |
KR20120088946A (ko) | 개인휴대단말기의 차량거치대용 가변형홀더 | |
KR20200002597U (ko) | 방향제를 꽂을 수 있는 휴대품 거치대 | |
WO2010007362A3 (en) | Duct support assemblies | |
CN202429299U (zh) | 一种新型车辆后视镜 | |
US20170349115A1 (en) | Electronic device holding system and methods of operating the same | |
KR102281665B1 (ko) | 휴대용 단말기용 거치대 | |
CN204161243U (zh) | 车载平板电子设备支架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