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6607A - 타어어 렌탈 서비스 시스템 및 타이어 렌탈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타어어 렌탈 서비스 시스템 및 타이어 렌탈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6607A
KR20170036607A KR1020160113990A KR20160113990A KR20170036607A KR 20170036607 A KR20170036607 A KR 20170036607A KR 1020160113990 A KR1020160113990 A KR 1020160113990A KR 20160113990 A KR20160113990 A KR 20160113990A KR 20170036607 A KR20170036607 A KR 201700366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ire
user
service
stora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3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기
Original Assignee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139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36607A/ko
Publication of KR201700366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6607A/ko
Priority to KR1020190065577A priority patent/KR1022611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45Rental transactions;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Coin-Freed Apparatuses For Hir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의 정보를 적어도 저장하는 사용자 정보 제어부, 상기 사용자의 차량에 장착하도록 렌탈한 타이어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 제1 타이어 정보 저장부, 상기 사용자가 렌탈하여 장착한 시점으로부터 기산하여 설정 기간이 도과되었는지 판단하는 설정 기간 제어부, 상기 설정 기간 제어부의 판단 결과 설정 기간이 도과한 경우에 상기 설정 기간 도과후의 상기 렌탈한 타이어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제2 타이어 정보 저장부 및 상기 제1 타이어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타이어 정보와 상기 제2 타이어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타이어 정보의 상호 비교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될 타이어 서비스 정보를 저장하는 서비스 정보 제어부를 포함하는 타이어 렌탈 서비스 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타어어 렌탈 서비스 시스템 및 타이어 렌탈 서비스 제공 방법{Tire rental servic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ire rental servic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타어어 렌탈 서비스 시스템 및 타이어 렌탈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들이 운행하는 차량은 많은 부품들로 이루어져 있고, 그 중 타이어는 실질적으로 차량의 구동에 큰 영향을 주고, 특히 사용자의 안전 확보를 위한 핵심 부품 중 하나라 할 수 있다.
특히, 산업의 발전으로 인하여 물류의 이동 증가, 개인의 업무량등의 증가로 인한 이동량 증가 및 가족 생활 증가로 인한 자동차 운행량은 갈수록 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자동차의 운행 시 안전 운행을 위한 타이어 관리는 핵심적이라 할 수 있다.
차량별로 타이어의 안전 주기에 대해서는 각 타이어 회사 또는 차량 회사별로 일괄적으로 미리 대략적인 기간, 예를들면 차량 운행 후 3 내지 4년 도과 후에 전체 타이어 교체 또는 6만 킬로미터 주행 후 전체 타이어 교체 등의 일반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포괄적이고 비정량적인 정보로 인하여 타이어 사용자들은 가능하면 타이어 교체 시기를 늦추는 경향이 있고, 특히 1번의 타이어 교체 후에는 거의 타이어 관리 및 재구매에 대한 관심이 적어져 사용자의 타이어 관리에 곤란한 점이 있고, 이로 인하여 사용자의 안전 운행에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자의 타이어 관리의 효율성 향상 및 이를 통한 사용자의 안전 운행 특성을 향상하는 타이어 렌탈 서비스 시스템 및 타이어 렌탈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의 정보를 적어도 저장하는 사용자 정보 제어부, 상기 사용자의 차량에 장착하도록 렌탈한 타이어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 제1 타이어 정보 저장부, 상기 사용자가 렌탈하여 장착한 시점으로부터 기산하여 설정 기간이 도과되었는지 판단하는 설정 기간 제어부, 상기 설정 기간 제어부의 판단 결과 설정 기간이 도과한 경우에 상기 설정 기간 도과후의 상기 렌탈한 타이어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제2 타이어 정보 저장부 및 상기 제1 타이어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타이어 정보와 상기 제2 타이어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타이어 정보의 상호 비교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될 타이어 서비스 정보를 저장하는 서비스 정보 제어부를 포함하는 타이어 렌탈 서비스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 제어부는, 상기 타이어를 렌탈하려는 사용자의 정보를 인식하는 사용자 정보 인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정보 인식부가 인식한 사용자의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정보를 판단하는 사용자 정보 판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타이어 정보 저장부는, 상기 렌탈한 타이어의 차량 장착 시 차량의 바퀴의 위치별로 구별하여 저장하는 위치별 타이어 정보 구별 저장부 및 상기 사용자가 렌탈하여 차량에 장착한 시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시간 저장부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설정 기간 제어부는, 임의의 시간이 사전에 설정되어 저장된 기본 설정 기간 저장부 및 상기 설정 기간이 변경되어 저장되는 설정 기간 변경부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타이어 정보 저장부는, 상기 설정 기간 도과후의 타이어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차량의 바퀴의 위치별로 구별하여 저장하는 위치별 타이어 상태 정보 저장부 및 상기 위치별 타이어 상태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바퀴의 위치를 인식 가능한 영역에 각 타이어 별로 타이어의 상태를 표시한 정보가 저장된 타이어 종합 정보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정보 제어부는 상기 제1 타이어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타이어 정보와 상기 제2 타이어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타이어 정보의 상호 비교에 따라 사용자에게 제공될 서비스의 내용과 관련된 서비스 정보를 생성하는 서비스 정보 생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정보와 관련된 내용을 상기 사용자에게 고지하는 서비스 정보 고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사용자의 정보를 적어도 저장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사용자 정보 제어 단계, 상기 사용자의 차량에 장착하도록 렌탈한 타이어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제1 타이어 정보 저장 단계, 상기 사용자가 렌탈하여 장착한 시점으로부터 기산하여 설정 기간이 도과되었는지 판단하는 설정 기간 제어 단계, 상기 설정 기간 제어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설정 기간이 도과한 경우에 상기 설정 기간 도과후의 상기 렌탈한 타이어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제2 타이어 정보 저장 단계 및 상기 제1 타이어 정보 저장 단계에 저장된 타이어 정보와 상기 제2 타이어 정보 저장 단계에 저장된 타이어 정보의 상호 비교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될 타이어 서비스 정보를 저장하는 서비스 정보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타이어 렌탈 서비스 제공 방법을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 제어 단계는, 상기 타이어를 렌탈하려는 사용자의 정보를 인식하는 사용자 정보 인식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 제어 단계는, 상기 사용자 정보 인식 단계에서 인식한 사용자의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타이어 정보 저장 단계는, 상기 렌탈한 타이어의 차량 장착 시 차량의 바퀴의 위치별로 구별하여 저장하는 위치별 타이어 정보 구별 저장 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렌탈하여 차량에 장착한 시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시간 저장 단계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설정 기간 제어 단계는, 임의의 시간을 사전에 설정하여 저장하는 기본 설정 기간 저장 단계 및 상기 설정 기간을 변경하여 저장하는 설정 기간 변경 단계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타이어 정보 저장 단계는, 상기 설정 기간 도과후의 타이어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차량의 바퀴의 위치별로 구별하여 저장하는 위치별 타이어 상태 정보 저장 단계 및 상기 위치별 타이어 상태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바퀴의 위치를 인식 가능한 영역에 각 타이어 별로 타이어의 상태를 표시한 정보가 저장된 타이어 종합 정보 저장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정보 제어 단계는 상기 제1 타이어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타이어 정보와 상기 제2 타이어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타이어 정보의 상호 비교에 따라 사용자에게 제공될 서비스의 내용과 관련된 서비스 정보를 생성하는 서비스 정보 생성 제어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정보와 관련된 내용을 상기 사용자에게 고지하는 서비스 정보 고지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 렌탈 서비스 시스템 및 타이어 렌탈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의 타이어의 관리를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사용자의 안전 운행 능력을 향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 렌탈 서비스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는 도 1의 사용자 정보 제어부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b는 도 2a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제1 타이어 정보 저장부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설정 기간 제어부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제2 타이어 정보 저장부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제 서비스 정보 제어부의 선택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서비스 정보 생성 부재의 선택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 렌탈 서비스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 렌탈 서비스 시스템, 사용자 및 이들간의 연결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 렌탈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단계(S10)의 선택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11의 단계(S50)의 선택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 렌탈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 렌탈 서비스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타이어 렌탈 서비스 시스템(100)은 사용자 정보 제어부(110), 제1 타이어 정보 저장부(120), 설정 기간 제어부(130), 제2 타이어 정보 저장부(140) 및 서비스 정보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사용자 정보 제어부(110)는 사용자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 정보 제어부(110)는 하나 이상의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 제어부(110)는 차량에 장착할 타이어를 렌탈하는 사용자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의 정보는 다양할 수 있다. 예를들면 사용자 정보 제어부(110)는 타이어를 렌탈하는 사용자의 인적 정보를 저장하는 인정 정보 저장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구체적인 예로서 사용자의 이름, 주소, 전화 번호 및 이메일 기타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사용자 정보 제어부(110)는 사용자 소유의 차량의 정보를 저장하는 차량 정보 저장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또한 타이어를 렌탈하여 장착하려는 차량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들면 사용자 정보 제어부(110)는 차량의 종류, 차량의 연식, 차량의 연비, 차량의 색상 또는 차량에 장착된 옵션 상태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사용자 정보 제어부(110)는 사용자의 지불 수단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지불 수단 저장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사용자 정보 제어부(110)는 사용자의 지불 수단이 카드일 경우, 카드의 번호, 비밀번호, 유효 일자 등을 저장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사용자의 계속된 렌탈 서비스 사용 시 결제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비밀번호 및 암호 인증에 대한 사용자의 사전 사용 허락을 얻어서 사용자의 별도의 입력이나 확인 없이 자동 결제를 진행할 수도 있다.
다른 예로서 사용자의 지불 수단이 계좌 이체의 방법일 경우에도 사용자 정보 제어부(110)는 계좌 번호 등을 미리 저장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 사용자의 허락을 얻어서 비밀 번호 및 암호 인증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고, 이를 통하여 자동 결제와 같은 결제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사용자 정보 제어부(110)는 사용자 등급 판단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사용자 정보 제어부(110)는 타이어를 렌탈하려는 사용자의 인적 정보를 인식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사용자의 등급을 분류할 수 있고, 하나의 예시로서 사용자의 신용도의 등급을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선택적 실시예로서 사용자 정보 제어부(110)는 사용자의 신용도 평가를 위하여 금융 기관, 신용 평가 기관 등 외부 업체와 연결되어 이들로부터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정보들은 모두 사용자 정보 제어부(11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등급 판단을 통하여 사용자의 렌탈 서비스 지속 이용 시, 사용 후 결제, 할부 결제 등 사용자의 편의를 확보하는 결제 수단의 적용 여부, 적용 범위 등을 사용자 별로 선별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사용자 정보 제어부(110)는 사용자를 인식하는 인식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사용자의 정보를 최초로 한 번 사용자 정보 제어부(110)를 통하여 저장한 경우에, 그 후에 상기 사용자가 타이어 렌탈을 하려는 경우에 사용자 정보 제어부(110)는 상기 사용자를 인식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 및 후술할 모든 경우의 실시예, 변형예들에 있어서 타이어 렌탈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적용 시에 타이어를 렌탈하려는 사용자는 타이어 렌탈 또는 서비스를 진행하는 소정의 장소, 예를들면 타이어 렌탈 스페이스에 방문할 수 있고, 이러한 방문 시에 사용자 정보 제어부(110)가 사용자를 인식하도록 인식 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사용자 정보 제어부(110)가 사용자를 인식하도록 인식 부재(미도시)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정보를 인식한 경우에, 사용자 정보 제어부(110)에 저장된 사용자들의 정보들과 비교하여 동일 정보가 있는 경우 기존 이용 사용자임을 인식할 수 있다. 예를들면 사용자의 신체 또는 차량의 번호 등의 외관을 인식하는 광학적 감지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사용자 정보 제어부(110)의 인식 부재는 RFID인식 부재, 바코드 인식 부재, QR코드 인식 부재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이에 대응하는 태그(미도시)를 사용자의 차량 등에 부착할 수 있다.
제1 타이어 정보 저장부(120)는 상기 사용자의 차량에 장착하도록 렌탈한 타이어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다. 예를들면 전술한 것과 같이 사용자가 렌탈 서비스를 타이어 렌탈 스페이스 또는 사용자에게로 직접 방문하여 렌탈 서비스를 진행하여 타이어를 렌탈한 경우에 제1 타이어 정보 저장부(120)는 렌탈하여 장착한 타이어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제1 타이어 정보 저장부(120)가 저장한 사용자의 렌탈 타이어의 정보는 다양할 수 있다. 예를들면 타이어의 정보는 타이어의 종류, 제조 연도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장착된 차량의 바퀴의 위치별로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타이어의 상태가 저장될 수 있고, 타이어의 상태는 항목별 수치일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제1 타이어 정보 저장부(120)는 타이어의 표면 상태를 촬영한 사진 등의 이미지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타이어 정보 저장부(120)는 사용자가 렌탈하여 장착한 시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설정 기간 제어부(130)는 상기 사용자가 렌탈하여 장착한 시점으로부터 기산하여 설정 기간에 도달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들면, 설정 기간 제어부(130)는, 제1 타이어 정보 저장부(120)가 사용자가 렌탈하여 장착한 시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 경우, 이러한 시간 정보로부터 기산하여 설정 기간에 도달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설정 기간"이란 미리 임의로 설정된 기간일 수 있다. 예를들면 "설정 기간"은 4개월, 6개월 또는 1년일 수 있다.
만일 "설정 기간"이 6개월인 경우 설정 기간 제어부(130)는 사용자가 렌탈하여 장착한 시점으로부터 6개월이 지났는지 판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설정 기간"은 렌탈하여 장착한 타이어의 점검이 필요하여 임의로 설정한 기간일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사용자가 최로 렌탈시로부터 첫 번 째 "설정 기간"이 도과하여 후술할 제2 타이어 정보 저장부(140)에 렌탈한 타이어 정보가 첫 번째로 저장되고 나면, 이러한 정보를 이용하여 "설정 기간"을 재설정할 수 있고, 이 때의 "설정 기간", 즉 두 번 째 "설정 기간"은 최초의 "설정 기간"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즉, 두 번째부터의 "설정 기간"은 사용자 별로 상이하게 정해질 수 있다.
또한, 두 번 째부터의 "설정 기간"은 동일 사용자에 대해서도 시기에 따라 다르게 정해질 수 있다. 즉, 후술할 서비스 정보 제어부(150)를 통하여 정보 생성 시 사용자의 운전 습관을 파악하여 "설정 기간"을 다르게 재설정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차량 운행 거리가 많거나 운전 습관이 거칠거나 차량을 운행하는 장소의 노면이 거친 경우의 "설정 기간"은 그렇지 않은 경우의 "설정 기간"보다 짧을 수 있다. 예를들면 사용자의 차량 운행 거리가 1년에 만 킬로 미터를 초과하는 경우 "설정 기간"을 4개월로 설정하고, 차량 운행 거리가 1년에 만 킬로 미터 이하인 경우 "설정 기간"은 6개월로 정해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설정 기간 제어부(130)는 "설정 기간"이 도과한 경우 이를 사용자에게 고지하는 설정 기간 알람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고지 방법은 다양한 데, 이를 위하여 설정 기간 제어부(130)는 이메일 발송부(미도시), 푸쉬 발송부(미도시), SMS발송부(미도시) 기타 다양한 고지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타이어 정보 저장부(140)는 설정 기간 제어부(130)의 판단 결과 설정 기간이 도과한 경우에 상기 설정 기간 도과후의 상기 렌탈한 타이어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들면 "설정 기간"이 도과하여 렌탈하여 장착하여 사용한 타이어에 대하여 서비스를 받기 위하여 사용자가 렌탈 서비스를 진행할 렌탈 스페이스에 방문하거나 또는 렌탈 스페이스의 작업자 및 서비스 요원들이 직접 사용자를 방문하여 타이어의 상태를 체크할 수 있고, 이러한 정보는 제2 타이어 정보 저장부(140)에 저장될 수 있다.
제2 타이어 정보 저장부(140)가 저장한 렌탈한 타이어의 정보는 다양할 수 있다. 예를들면 타이어의 정보는 타이어의 표면 상태, 타이어의 마모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타이어 정보 저장부(140)는 사용자의 차량의 바퀴의 위치별로 구분하여 타이어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즉, 제2 타이어 정보 저장부(140)는 사용자의 차량의 우측 앞바퀴, 좌측 앞바퀴, 우측 뒷바퀴 및 좌측 뒷바퀴별로 구분하여 각각 타이어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타이어 정보 저장부(140)는 타이어의 표면 상태를 촬상하거나 이미지 형태로 변형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타이어 정보 저장부(140)는 타이어의 사용자의 차량의 우측 앞바퀴, 좌측 앞바퀴, 우측 뒷바퀴 및 좌측 뒷바퀴별로 각각 영역 별 마모상태, 마모의 정도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타이어 정보 저장부(140)는 타이어의 사용자의 차량의 우측 앞바퀴, 좌측 앞바퀴, 우측 뒷바퀴 및 좌측 뒷바퀴별로 각각 변형 상태 및 변형 정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사용자가 첫 번 째 "설정 기간"이 도과한 경우에 제2 타이어 정보 저장부(140)에 정보가 저장되고 나서, 다시 두 번 째, 또는 그 후의 순차적인 "설정 기간"들이 도과시에 각각의 타이어의 정보를 순차적으로 제2 타이어 정보 저장부(140)에 저장할 수 있다.
서비스 정보 제어부(150)는 상기 제1 타이어 정보 저장부(120)에 저장된 타이어 정보와 상기 제2 타이어 정보 저장부(140)에 저장된 타이어 정보의 상호 비교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될 서비스의 내용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상호 비교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될 서비스를 결정하는 것은 타이어 렌탈 공정을 진행할 렌탈 스페이스의 작업자 또는 관리자가 진행할 수 있다.
예를들면 타이어의 마모 상태, 즉 제1 타이어 정보 저장부(120)에 저장된 타이어의 표면 상태와 제2 타이어 정보 저장부(140)에 저장된 타이어의 표면 상태를 비교하여 표면 상태의 등급을 판단할 수 있고, 선택적으로 이 때, "즉시 교체", "소정 기간 후 교체" 또는 "정상"등의 제공 서비스 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이러한 서비스 정보를 서비스 정보 제어부(150)에 저장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타이어의 장착 위치별로, 즉 차량의 좌, 우, 앞 및 뒤의 타이어 별로 각각 제1 타이어 정보 저장부(120)에 저장된 타이어의 표면 상태와 제2 타이어 정보 저장부(140)에 저장된 타이어의 표면 상태를 비교하여 표면 상태의 등급을 판단할 수 있고, 선택적으로 이 때, "앞 타이어와 뒷타이어 위치 변경" 또는 "좌측 타이어와 우측 타이어 위치 변경"의 서비스 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서비스 정보 제어부(150)는 이러한 서비스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서비스 정보 제어부(150)는 상기 서비스 정보가 생성되어 서비스 정보대로 사용자의 타이어에 대하여 서비스를 진행한 경우 이러한 진행 서비스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서비스 정보 제어부(150)는 상기 제1 타이어 정보 저장부(120)에 저장된 타이어 정보와 상기 제2 타이어 정보 저장부(140)에 저장된 타이어 정보를 상호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될 서비스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들면 상기 제1 타이어 정보 저장부(120)에 저장된 타이어 정보와 상기 제2 타이어 정보 저장부(140)에 저장된 타이어 정보는 수치 데이터로 저장될 수 있고, 이러한 수치 데이터를 상호 비교하여,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설정 조건에 매칭되는 서비스 정보의 내용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정해진 서비스 정보의 내용을 저장할 수 있다.
서비스 정보의 내용은 상기와 동일하다. 즉, 서비스 정보는 전술한 타이어의 "즉시 교체", "소정 기간 후 교체" 또는 "정상"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타이어의 장착 위치별로, 즉 차량의 좌, 우, 앞 및 뒤의 타이어 별로 각각 에 대한 정보, 각각의 위치 변경에 대한 내용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서비스 정보 제어부(150)는 상기 제1 타이어 정보 저장부(120)에 저장된 타이어 정보와 상기 제2 타이어 정보 저장부(140)에 저장된 타이어 정보를 상호 비교하여 사용자의 타이어 이용 예상 패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2 타이어 정보 저장부(140)에 복수 개의 정보가 순차적으로 저장될 경우 제2 타이어 정보 저장부(140)에 저장된 순차적인 2회의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타이어 이용 예상 패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별로 다른 타이어 이용 예상 패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에서 언급한 대로 선택적 실시예로서 서비스 정보 제어부(150)는 상기 제1 타이어 정보 저장부(120)에 저장된 타이어 정보와 상기 제2 타이어 정보 저장부(140)에 저장된 타이어 정보의 상호 비교할 수 있다. 즉, "설정 기간"이 도과 시, 사용자의 타이어가 얼만큼 표면이 마모되었는지, 타이어의 각각의 영역별로 어디가 더 마모되었는지, 또 차량의 바퀴별로 마모도의 특성 분포가 어떠한지에 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이를 기초로 사용자 별로 "타이어 이용 예상 패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서비스 정보 제어부(150)는 이러한 타이어 이용 예상 패턴 정보에 따라 서비스가 필요한 시기를 계산, 즉 "설정 기간"을 설정하고, "설정 기간"이 도과하면 사용자에게 필요한 서비스 정보를 고지할 수 있다.
물론, 이 때 "설정 기간"은 서비스 정보 제어부(150)에서 생성한 타이어 이용 예상 패턴 정보에 따라 설정 기간 제어부(130)가 설정할 수도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서비스 정보 제어부(150)는 "타이어 이용 예상 패턴 정보"생성 시 시뮬레이션 부재(미도시)를 이용하여 생성할 수 있다.
즉, 서비스 정보 제어부(150)는 "타이어 이용 예상 패턴 정보"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여 필요한 서비스를 진행해야 할 시기인 "설정 기간"을 설정할 수 있고, 설정에 대한 정보를 설정 기간 제어부(130)에 전달할 수도 있다.
물론, 이 때 서비스 정보 제어부(150)는 타이어의 장착 위치별로, 즉 차량의 좌, 우, 앞 및 뒤의 타이어 별로 상기 "타이어 이용 예상 패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서비스 정보 제어부(150)는 "타이어 이용 예상 패턴 정보"을 이용하여 "설정 기간"이 도과한 경우에 사용자에게 미리 필요한 서비스 정보를 고지할 수 있다.
예를들면 첫 번 째 "설정 기간"이 도과한 결과 앞바퀴와 뒷바퀴의 위치 변경이 필요하다는 정보를 생성한 경우에 사용자는 이러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즉 앞바퀴와 뒷바퀴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변경할 수 있고, 서비스 정보 제어부(150)는 이러한 위치 변경 서비스를 진행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서비스 정보 제어부(150)가 전술한 대로 앞바퀴와 뒷바퀴의 위치 변경이 필요하다는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나서, 서비스 정보 제어부(150)는 전술한 것과 같이 "타이어 이용 예상 패턴 정보"을 생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기존 "설정 기간" 또는 새로 설정된 "설정 기간"에 따라 미리 사용자에게 필요한 서비스 정보를 고지할 수 있다.
물론, 선택적 실시예로서 서비스 정보 제어부(150)는 "타이어 이용 예상 패턴 정보"와 상관 없이 "설정 기간" 도과하여 서비스를 진행한 후, 예를들면 타이어의 위치 변경 서비스를 진행한 후에, 다시 "설정 기간"이 도과하면 미리 사용자에게 기존에 진행한 서비스 정보, 즉 타이어의 위치 변경 서비스 정보의 내용, 예를들면 앞바퀴와 뒷바퀴의 위치를 변경했던 이력에 대한 서비스 이력을 제공할 수 있다. 추가로 앞바퀴와 뒷바퀴의 교체 또는 앞바퀴 또는 뒷바퀴의 교체에 대한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타이어 렌탈 시스템(100)은 사용자 정보 제어부(110)를 통하여 사용자의 정보를 저장하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인식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정보를 저장한 후에 사용자가 렌탈하여 장착한 타이어의 정보를 제1 타이어 정보 저장부(120)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들면 차량의 각 바퀴 위치별로 장착한 새 타이어의 정보의 구체적인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설정 기간 제어부(130)을 통하여 "설정 기간", 예를들면 6개월이 도과한 후에 상기 렌탈하여 장착한 타이어의 상태를 제2 타이어 정보 저장부(140)에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서비스 정보 제어부(150)는 상기 제1 타이어 정보 저장부(120)에 저장된 타이어 정보와 상기 제2 타이어 정보 저장부(140)에 저장된 타이어 정보의 상호 비교에 따라 사용자에게 제공할 서비스의 내용을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작업자 또는 관리자가 상기 서비스의 내용을 생성할 수도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서비스 정보 제어부(150)가 생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나서, 렌탈 스페이스의 작업자 또는 관리자는 렌탈 스페이스에서 또는 방문하여 사용자에게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사용자의 타이어의 관리를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서비스 정보 제어부(150)는 이러한 정보를 이용하여 "타이어 예상 패턴 정보"를 사용자 별로 생성할 수 있고, 또한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 별로 또는 동일 사용자 별로 "설정 기간"을 설정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사용자가 최초로 렌탈하여 첫 번 째 "설정 기간"이 도과하여 필요한 서비스를 진행한 후에, 지속적으로 순차적으로 필요한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하고, 이때 한번의 "타이어 예상 패턴 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지속적으로 이용할 수도 있고, 주기적으로 타이어 정보를 저장 및 상호 비교하여 변경된 "타이어 예상 패턴 정보"를 생성하고, 이에 따라서 "설정 기간"도 동일하거나 또는 다르게 적용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지속적으로 사용자에게 필요한 서비스가 무엇인지 생성할 수 있고, 또한, 이러한 서비스를 미리 선택적으로 사용자에게 고지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타이어 관리의 효율성을 증대할 수 있다.
도 2a는 도 1의 사용자 정보 제어부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b는 도 2a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 도면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사용자 정보 제어부(110')는 사용자 정보 인식부(111'), 사용자 정보 판단부(112') 및 사용자 정보 저장부(113')를 포함한다.
도 2a에는 사용자 정보 인식부(111'), 사용자 정보 판단부(112') 및 사용자 정보 저장부(113')가 모두 도시되어 있으나, 선택적 실시예로서 사용자 정보 인식부(111'), 사용자 정보 판단부(112') 및 사용자 정보 저장부(11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사용자 정보 인식부(111')는 타이어를 렌탈하려는 사용자의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사용자의 정보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또는 렌탈 서비스를 진행하는 진행자의 입력에 따라 입력한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사용자 정보 인식부(111')는 별도의 입력 작업을 인식하는 것 대신, 인식 과정만을 거칠 수도 있다.
*예를들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타이어 렌탈 시스템 또는 타이어 렌탈 서비스 제공 방법은 타이어가 보관되거나 타이어를 교체할 수 있는 타이어 렌탈 스테이지에서 진행될 수 있다.
이 때 타이어를 렌탈을 하려는 사용자가 타이어 렌탈 스페이스에 진입 시에 사용자 정보 인식부(111')는 사용자 또는 사용자의 차량을 인식하여 사용자의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들면 사용자 정보 인식부(111')는 광학적 인식 부재로서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사용자 정보 인식부(111')는 바코드 인식 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QR코드 인식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도 2b에 도시한 것과 같이 사용자의 차량(AC)에 부착된 태그(DM)를 사용자 정보 인식부(111')가 인식할 수 있고, 태그(DM)는 바코드, QR코드, RFID태그 등 다양한 종류의 인식 태그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정보 인식부(111')는 사용자의 차량의 번호를 광학적으로 인식하여 사용자의 정보를 인식할 수도 있다.
사용자 정보 저장부(113')는 타이어를 렌탈하는 사용자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의 정보는 다양할 수 있다. 예를들면 타이어를 렌탈하는 사용자의 인적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사용자 정보 저장부(113')는 사용자 소유의 차량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또한 사용자가 타이어를 렌탈하여 장착하려는 차량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사용자 정보 저장부(113')는 사용자의 지불 수단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 판단부(112')는 타이어를 렌탈하려는 사용자의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사용자 정보 인식부(111')에서 인식한 사용자의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정보를 판단할 수 있고, 예를들면 사용자 정보 저장부(113')에 저장된 정보들과 비교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 정보 인식부(111')에서 인식한 사용자의 정보와 매칭되는 사용자 정보 저장부(113')에 저장된 정보를 찾을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서비스 정보 제어부(150)에서 이용할 정보를 선택 또는 제어하는 과정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정보 판단부(112')는 사용자 정보 인식부(111')에서 인식한 사용자의 정보와 매칭되는 정보가 사용자 정보 저장부(113')에 없을 경우에는 사용자를 최초 방문자로 판단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제1 타이어 정보 저장부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제1 타이어 정보 저장부(120')는 위치별 타이어 정보 구별 저장부(121') 및 시간 저장부(122')를 포함한다. 도 3에는 위치별 타이어 정보 구별 저장부(121') 및 시간 저장부(122')가 모두 도시되어 있으나, 선택적 실시예로서 위치별 타이어 정보 구별 저장부(121') 및 시간 저장부(122') 중 하나가 포함될 수도 있다.
위치별 타이어 정보 구별 저장부(121')는 사용자가 렌탈한 타이어의 정보를 저장 시에 차량의 바퀴의 위치, 즉 앞, 뒤, 좌, 우로 각각 구별하여 저장한다.
시간 저장부(122')는 타이어를 렌탈하여 차량에 장착한 시점에 대한 정보, 예를들면 렌탈을 진행한 날의 연, 월, 일 및 시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설정 기간 제어부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설정 기간 제어부(130')는 제1 타이어 정보 저장부가 저장한 사용자가 렌탈하여 장착한 시점으로부터 기산하여 설정 기간에 도달했는지 판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설정 기간 제어부(130')는 기본 설정 기간 저장부(131') 및 설정 기간 변경부(132')를 포함한다. 도 4에는 기본 설정 기간 저장부(131') 및 설정 기간 변경부(132')가 모두 도시되어 있으나, 선택적 실시예로서 기본 설정 기간 저장부(131') 및 설정 기간 변경부(132')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기본 설정 기간 저장부(131')은 임의의 시간, 예를들면 6개월 등으로 미리 설정된 "설정 기간"을 저장하고 있다.
설정 기간 변경부(132')는 설정 기간을 변경 및 변경된 설정 기간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들면 타이어를 렌탈하려는 사용자 별로 "설정 기간"을 상이하게 정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동일 사용자에 대하여도 시기 별로 "설정 기간"을 다르게 정하여 저장할 수 있다.
예를들면 사용자가 최로 렌탈시로부터 "설정 기간"이 도과하여 제2 타이어 정보 저장부에 렌탈한 타이어 정보가 첫 번째로 저장된다. 이러한 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 정보 제어부(150)는 제1 타이어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와 제2 타이어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를 비교하여 서비스 정보를 생성하는데, 이 때 이를 이용하여 새로운 "설정 기간"을 설정할 수 있다.
그러므로 추후 사용시에는 새로운 "설정 기간"이 도과한 후에 타이어 정보를 제2 타이어 정보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서비스 정보 제어부는 제2 타이어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첫 번째 정보와 두 번째 정보를 비교하여 두 번째 서비스 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또 다른 "설정 기간"을 설정할 수도 있다.
도 5는 도 1의 제2 타이어 정보 저장부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제2 타이어 정보 저장부(140')는 설정 기간 제어부의 판단 결과 설정 기간이 도과한 경우에 상기 설정 기간 도과후의 상기 렌탈한 타이어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제2 타이어 정보 저장부(140')는 위치별 타이어 상태 정보 저장부(141'), 타이어 종합 정보 저장부(142') 및 시간 저장부(143')를 포함한다.
위치별 타이어 상태 정보 저장부(141')는 설정 기간 도과후의 타이어 상태에 관한 정보를 차량의 바퀴의 위치별로, 즉, 앞, 뒤, 좌, 우로 구별하여 각각 저장할 수 있다.
타이어 종합 정보 저장부(142')는 위치별 타이어 상태 정보 저장부(141')에 저장된 각 타이어의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바퀴의 위치에 따른 타이어의 정보를 전체적으로 비교할 수 있는 상태로 저장할 수 있다. 예를들면 타이어 종합 정보 저장부(142')는 차량의 바퀴의 위치를 알 수 있도록 영역을 표시한 도면, 그래프 등의 시각 정보를 포함한 영역에 각 타이어 별로 타이어의 상태를 대응하여 표시한 형태의 도식화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타이어 종합 정보 저장부(142')는 이를 위하여 위치별 타이어 상태 정보 저장부(141')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바퀴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는 정보, 예를들면 위치를 알 수 있도록 영역을 표시한 도면, 그래프 등의 시각 정보를 포함한 영역에 각 타이어 별로 타이어의 상태를 대응하여 표시한 형태의 이미지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저장할 수 있다
시간 저장부(143')는 "설정 기간"이 도과하여 제2 타이어 정보 저장부(140')에 렌탈한 타이어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 시점을 저장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서비스를 이용할 경우 두 번째 "설정 기간"이 도과한 경우, 이 때의 타이어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제2 타이어 정보 저장부(140')에 저장할 수 있는데, 이 때 저장한 시점을 시간 저장부(143')에 저장할 수 있다.
즉, 이를 통하여 사용자의 서비스 누적 시 타이어 상태에 관한 정보는 차수 별로 누적되어 제2 타이어 정보 저장부(140')에 저장되고, 시간 저장부(143')에 저장 시점에 대한 시간이 정확히 저장되어 사용자의 타이어에 대한 지속적 관리를 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제 서비스 정보 제어부의 선택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서비스 정보 생성 부재의 선택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서비스 정보 제어부(150')는 서비스 정보 저장부(151') 및 서비스 정보 생성 제어부(152')를 포함한다.
서비스 정보 저장부(151')는 제1 타이어 정보 저장부(120)에 저장된 타이어 정보와 상기 제2 타이어 정보 저장부(140)에 저장된 타이어 정보의 상호 비교에 따라 사용자에게 제공될 서비스의 내용을 저장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서비스 정보 저장부(151')는 서비스 정보가 생성되어 서비스 정보대로 사용자의 타이어에 대하여 서비스를 진행한 경우 이러한 진행 서비스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정보 저장부(151')는 다양한 정보를 더 저장할 수 있고, 구체적인 내용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서비스 정보 생성 제어부(152')는 제1 타이어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타이어 정보와 상기 제2 타이어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타이어 정보의 상호 비교에 따라 사용자에게 제공될 서비스의 내용과 관련된 서비스 정보를 생성한다.
도 7에 도시한 것과 같이 서비스 정보 생성 제어부(152')의 선택적 실시예로서 서비스 정보 생성 제어부(152")는 서비스 정보 생성부(152"a), 타이어 이용 예상 패턴 정보 생성부(152"b) 및 설정 기간 제어부(152"c)를 포함한다.
서비스 정보 생성부(152"a)는 제1 타이어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타이어 정보와 상기 제2 타이어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타이어 정보를 상호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될 서비스의 내용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들면 상기 제1 타이어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타이어 정보와 상기 제2 타이어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타이어 정보는 수치 데이터로 저장될 수 있고, 이러한 수치 데이터 또는 이미지 데이터를 상호 비교하여,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설정 조건에 매칭되는 서비스의 내용을 정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정해진 서비스의 내용은 전술한 서비스 정보 저장부(151')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들면 서비스 정보 생성부(152"a)는 "즉시 교체", "소정 기간 후 교체" 또는 "정상"등의 제공 서비스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서비스 정보 생성부(152"a)는 타이어의 장착 위치별로, 즉 차량의 좌, 우, 앞 및 뒤의 타이어 별로 각각 제1 타이어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타이어의 표면 상태와 제2 타이어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타이어의 표면 상태를 비교하여 표면 상태의 등급을 판단할 수 있고, 선택적으로 이 때, "앞 타이어와 뒷타이어 위치 변경" 또는 "좌측 타이어와 우측 타이어 위치 변경"의 서비스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서비스 정보는 전술한 서비스 정보 저장부(151')에 저장할 수 있다.
타이어 이용 예상 패턴 정보 생성부(152"b)는 상기 제1 타이어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타이어 정보와 상기 제2 타이어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타이어 정보를 상호 비교하여 사용자의 "타이어 이용 예상 패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2 타이어 정보 저장부에 복수 개의 정보가 순차적으로 저장될 경우 제2 타이어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순차적인 2회의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타이어 이용 예상 패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타이어 이용 예상 패턴 정보"는 다양한 형태일 수 있는데, 제1 타이어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타이어 정보와 상기 제2 타이어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타이어 정보의 상호 비교 데이터, 즉 수치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를 상호 비교한 값과, 제1 타이어 정보 저장 시점으로부터 제2 타이어 정보 저장 시점, 즉 "설정 기간"을 고려하여 "타이어 이용 예상 패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동일 기간 내에 차량 운행이 많아 타이어 마모가 심한 사용자, 주행 습관으로 좌, 우 타이어의 마모 불균형이 심한 사용자 또는 앞, 뒤 타이어의 불균형이 심한 사용자 등에 따라 상이한 "타이어 이용 예상 패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타이어 이용 예상 패턴 정보"는 전술한 서비스 정보 저장부(151')에 저장할 수 있다.
설정 기간 제어부(152"c)는 타이어 이용 예상 패턴 정보 생성부(152"b)가 생성한 "타이어 이용 예상 패턴 정보"을 이용하여 "설정 기간"을 생성하거나 설정 기간 제어부가 설정 기간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하고, 예를들면 설정 기간을 생성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설정 기간 제어부(152"c)는 "타이어 이용 예상 패턴 정보"에 따라 사용자 별로 서비스가 필요한 시기를 계산, 즉 "설정 기간"을 설정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서비스 정보 제어부 또는 타이어 렌탈 서비스 시스템은 이러한 "설정 기간"이 도과하면 사용자에게 필요한 서비스 정보를 고지하는 서비스 정보 고지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서비스 정보 고지부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통신 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예를들면 사용자에게 하나 이상의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도록, 이메일 발송부(미도시), 푸쉬 발송부(미도시) 또는 SMS발송부(미도시) 기타 다양한 고지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 렌탈 서비스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타이어 렌탈 서비스 시스템(200)은 사용자 정보 제어부(210), 제1 타이어 정보 저장부(220), 설정 기간 제어부(230), 제2 타이어 정보 저장부(240), 서비스 정보 제어부(250) 및 서비스 정보 고지부(260)를 포함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술한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 정보 제어부(210)는 사용자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 정보 제어부(210)는 하나 이상의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 제어부(210)는 전술한 실시예 및 변형예의 사용자 정보 제어부 의 구성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제1 타이어 정보 저장부(220)는 상기 사용자의 차량에 장착하도록 렌탈한 타이어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다. 제1 타이어 정보 저장부(220)는 전술한 실시예 및 변형예의 제1 타이어 정보 저장부의 구성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설정 기간 제어부(230)는 상기 사용자가 렌탈하여 장착한 시점으로부터 기산하여 설정 기간에 도달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설정 기간 제어부(230)는 전술한 실시예 및 변형예의 설정 기간 제어부의 구성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제2 타이어 정보 저장부(240)는 설정 기간 제어부(230)의 판단 결과 설정 기간이 도과한 경우에 상기 설정 기간 도과후의 상기 렌탈한 타이어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제2 타이어 정보 저장부(240)는 전술한 실시예 및 변형예의 제2 타이어 정보 저장부의 구성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서비스 정보 제어부(250)는 상기 제1 타이어 정보 저장부(220)에 저장된 타이어 정보와 상기 제2 타이어 정보 저장부(240)에 저장된 타이어 정보의 상호 비교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될 서비스의 내용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상호 비교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될 서비스를 결정하는 것은 타이어 렌탈 공정을 진행할 렌탈 스페이스의 작업자 또는 관리자가 진행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서비스 정보 제어부(250)는 상기 서비스 정보가 생성되어 서비스 정보대로 사용자의 타이어에 대하여 서비스를 진행한 경우 이러한 진행 서비스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서비스 정보 제어부(250)는 상기 제1 타이어 정보 저장부(220)에 저장된 타이어 정보와 상기 제2 타이어 정보 저장부(240)에 저장된 타이어 정보를 상호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될 서비스 정보의 내용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정해진 서비스의 내용을 저장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서비스 정보 제어부(250)는 상기 제1 타이어 정보 저장부(220)에 저장된 타이어 정보와 상기 제2 타이어 정보 저장부(240)에 저장된 타이어 정보를 상호 비교하여 사용자의 타이어 이용 예상 패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2 타이어 정보 저장부(240)에 복수 개의 정보가 순차적으로 저장될 경우 제2 타이어 정보 저장부(240)에 저장된 순차적인 2회의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타이어 이용 예상 패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서비스 정보 제어부(250)는 전술한 실시예 및 변형예의 서비스 정보 제어부 의 구성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으므로 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서비스 정보 고지부(260)는 서비스 정보 제어부(250)에서 생성한 "타이어 이용 예상 패턴 정보"을 이용하여 "설정 기간"이 도과한 경우에 사용자에게 미리 필요한 서비스 정보를 고지할 수 있다.
서비스 정보 고지부(260)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통신 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예를들면 사용자에게 하나 이상의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도록, 이메일 발송부(미도시), 푸쉬 발송부(미도시) 또는 SMS발송부(미도시) 기타 다양한 고지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서비스 정보 고지부(260)는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에 서비스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 렌탈 서비스 시스템, 사용자 및 이들간의 연결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단말기와 타이어 렌탈 서비스 시스템의 연결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8의 타이어 렌탈 서비스 시스템(200)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9를 참조하면 타이어 렌탈 서비스 시스템(200)은 네트워크(NW)에 의하여 복수의 사용자의 각각의 단말기(T1, T2, T3, … , Tn)과 연결될 수 있다. 즉, 전술한 타이어 렌탈 서비스 시스템(200)은 사용자의 단말기(T1, T2, T3, … , Tn)와 구별되고 사용자의 단말기(T1, T2, T3, … , Tn)와 분리된 채 네트워크(NW)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타이어 렌탈 서비스 시스템(200)의 일부(200A)는 사용자의 단말기(T1)내에 포함되고, 다른 일부(200B)는 네트워크(NW)를 통하여 사용자의 단말기(T1)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들면 도 8의 타이어 렌탈 서비스 시스템(200)의 부재들 중 서비스 정보 고지부(260)의 적어도 일부(200A)는 사용자의 단말기(T1)내에 포함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 렌탈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타이어 렌탈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 정보 제어 단계(S10), 제1 타이어 정보 저장 단계(S20), 설정 기간 제어 단계(S30), 제2 타이어 정보 저장 단계(S40) 및 서비스 정보 제어 단계(S50)를 포함한다.
사용자 정보 제어 단계(S10)는 사용자의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 정보 제어 단계(S10)는 하나 이상의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 제어 단계(S10)는 차량에 장착할 타이어를 렌탈하는 사용자의 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의 정보는 다양할 수 있다. 예를들면 사용자 정보 제어 단계(S10)는 타이어를 렌탈하는 사용자의 인적 정보를 인정 정보 저장부에 저장하거나, 사용자 소유의 차량의 정보를 차량 정보 저장부에 저장하거나, 사용자의 지불 수단에 대한 정보를 지불 수단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사용자 정보 제어 단계(S10)는 사용자 등급 판단부를 이용하여 사용자 등급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통신망을 이용하여 금융 기관, 신용 평가 기관 등 외부 업체와 연결되어 이들로부터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사용자 정보 제어 단계(S10)는 인식 부재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사용자의 정보를 최초로 한 번 사용자 정보 제어 단계(S10)를 통하여 저장한 경우에, 그 후에 상기 사용자가 타이어 렌탈을 하려는 경우에 사용자 정보 제어 단계(S10)에서 상기 사용자인지 아닌지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사용자 정보 제어 단계(S10)에서 사용자를 인식하도록 인식 부재(미도시)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정보를 인식한 경우에, 사용자 정보 제어 단계(S10)에서 저장한 사용자들의 정보들과 비교하여 동일 정보가 있는 경우 기존 이용 사용자임을 인식할 수 있다. 예를들면 사용자의 신체 또는 차량의 번호 등의 외관을 인식하는 광학적 감지 수단을 이용하여 인식하는 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사용자 정보 제어 단계(S10)의 인식 단계 진행 시 RFID인식 부재, 바코드 인식 부재, QR코드 인식 부재 등을 이용하여 인식 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
제1 타이어 정보 저장 단계(S20)는 상기 사용자의 차량에 장착하도록 렌탈한 타이어에 관한 정보를 제1 타이어 정보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를들면 전술한 것과 같이 사용자가 렌탈 서비스를 타이어 렌탈 스페이스 또는 사용자에게로 직접 방문하여 렌탈 서비스를 진행하여 타이어를 렌탈한 경우에 제1 타이어 정보 저장 단계(S20)는 렌탈하여 장착한 타이어의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타이어 정보 저장 단계(S20)에서 저장한 사용자의 렌탈 타이어의 정보는 다양할 수 있다. 예를들면 타이어의 정보는 타이어의 종류, 제조 연도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장착된 차량의 바퀴의 위치별로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타이어의 상태가 저장될 수 있고, 타이어의 상태는 항목별 수치일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제1 타이어 정보 저장 단계(S20)는 타이어의 표면 상태를 촬영한 사진 등의 이미지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타이어 정보 저장 단계(S20)는 사용자가 렌탈하여 장착한 시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설정 기간 제어 단계(S30)는 상기 사용자가 렌탈하여 장착한 시점으로부터 기산하여 설정 기간에 도달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들면, 설정 기간 제어 단계(S30)는, 제1 타이어 정보 저장 단계(S20)에서 사용자가 렌탈하여 장착한 시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 경우, 이러한 시간 정보로부터 기산하여 설정 기간에 도달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설정 기간"은 미리 임의로 설정된 기간일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설정 기간"은 렌탈하여 장착한 타이어의 점검이 필요하여 임의로 설정한 기간일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사용자가 최로 렌탈시로부터 첫 번 째 "설정 기간"이 도과하여 후술할 제2 타이어 정보 저장 단계(S30)에서 렌탈 타이어 정보가 첫 번째로 저장되고 나면, 이러한 정보를 이용하여 "설정 기간"을 재설정할 수 있고, 이 때의 "설정 기간", 즉 두 번 째 "설정 기간"은 최초의 "설정 기간"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즉, 두 번째부터의 "설정 기간"은 사용자 별로 상이하게 정해질 수 있다.
또한, 두 번 째부터의 "설정 기간"은 동일 사용자에 대해서도 시기에 따라 다르게 정해질 수 있다. 즉, 후술할 서비스 정보 제어 단계(S50)를 통하여 정보 생성 시 사용자의 운전 습관을 파악하여 "설정 기간"을 다르게 재설정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차량 운행 거리가 많거나 운전 습관이 거칠거나 차량을 운행하는 장소의 노면이 거친 경우의 "설정 기간"은 그렇지 않은 경우의 "설정 기간"보다 짧을 수 있다. 예를들면 사용자의 차량 운행 거리가 1년에 만 킬로 미터를 초과하는 경우 "설정 기간"을 4개월로 설정하고, 차량 운행 거리가 1년에 만 킬로 미터 이하인 경우 "설정 기간"은 6개월로 정해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설정 기간 제어 단계(S30)는 "설정 기간"이 도과한 경우 이를 사용자에게 고지하는 설정 기간 알람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설정 기간 알람 단계를 진행하는 방법은 다양한 데, 이를 위하여 설정 기간 제어 단계(S30)는 이메일 발송 단계(미도시), 푸쉬 발송 단계(미도시), SMS발송 단계(미도시) 기타 다양한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타이어 정보 저장 단계(S40)는 설정 기간 제어 단계(S30)의 판단 결과 설정 기간이 도과한 경우에 상기 설정 기간 도과후의 상기 렌탈한 타이어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제2 타이어 정보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들면 "설정 기간"이 도과하여 렌탈하여 장착하여 사용한 타이어에 대하여 서비스를 받기 위하여 사용자가 렌탈 서비스를 진행할 렌탈 스페이스에 방문하거나 또는 렌탈 스페이스의 작업자 및 서비스 요원들이 직접 사용자를 방문하여 타이어의 상태를 체크할 수 있고, 이러한 정보는 제2 타이어 정보 저장 단계(S40)에서 저장할 수 있다.
제2 타이어 정보 저장 단계(S40)에서 저장한 렌탈한 타이어의 정보는 다양할 수 있다. 예를들면 타이어의 정보는 타이어의 표면 상태, 타이어의 마모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타이어 정보 저장 단계(S40)는 사용자의 차량의 바퀴의 위치별로 구분하여 타이어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즉, 제2 타이어 정보 저장 단계(S40)는 사용자의 차량의 우측 앞바퀴, 좌측 앞바퀴, 우측 뒷바퀴 및 좌측 뒷바퀴별로 구분하여 각각 타이어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타이어 정보 저장 단계(S40)는 타이어의 표면 상태를 촬상하는 단계 또는 타이어의 표면 형태를 이미지 형태로 변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러한 촬상 단계 또는 변형 단계를 거친 후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타이어 정보 저장 단계(S40)는 타이어의 사용자의 차량의 우측 앞바퀴, 좌측 앞바퀴, 우측 뒷바퀴 및 좌측 뒷바퀴별로 각각 영역 별 마모상태, 마모의 정도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타이어 정보 저장 단계(S40)는 타이어의 사용자의 차량의 우측 앞바퀴, 좌측 앞바퀴, 우측 뒷바퀴 및 좌측 뒷바퀴별로 각각 변형 상태 및 변형 정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타이어 정보 저장 단계(S40)는 위치별 타이어 상태 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바퀴의 위치를 인식 가능한 영역에 각 타이어 별로 타이어의 상태를 표시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사용자가 첫 번 째 "설정 기간"이 도과한 경우에 제2 타이어 정보 저장 단계(S40)에서 정보를 저장하고 나서, 다시 두 번 째, 또는 그 후의 순차적인 "설정 기간"들이 도과시에 각각의 타이어의 정보를 순차적으로 제2 타이어 정보 저장 단계(S40)에 저장할 수 있다.
서비스 정보 제어 단계(S50)는 상기 제1 타이어 정보 저장 단계(S20)에 저장된 타이어 정보와 상기 제2 타이어 정보 저장 단계(S40)에 저장된 타이어 정보의 상호 비교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될 서비스의 내용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상호 비교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될 서비스를 결정하는 것은 타이어 렌탈 공정을 진행할 렌탈 스페이스의 작업자 또는 관리자가 진행할 수 있다.
예를들면 타이어의 마모 상태, 즉 제1 타이어 정보 저장 단계(S20)에 저장된 타이어의 표면 상태와 제2 타이어 정보 저장 단계(S40)에 저장된 타이어의 표면 상태를 비교하여 표면 상태의 등급을 판단할 수 있고, 선택적으로 이 때, "즉시 교체", "소정 기간 후 교체" 또는 "정상"등의 제공 서비스 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이러한 서비스 정보를 서비스 정보 제어 단계(S50)에서 저장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타이어의 장착 위치별로, 즉 차량의 좌, 우, 앞 및 뒤의 타이어 별로 각각 제1 타이어 정보 저장 단계(S20)에서 저장한 타이어의 표면 상태와 제2 타이어 정보 저장 단계(S40)에서 저장한 타이어의 표면 상태를 비교하여 표면 상태의 등급을 판단할 수 있고, 선택적으로 이 때, "앞 타이어와 뒷타이어 위치 변경" 또는 "좌측 타이어와 우측 타이어 위치 변경"의 서비스 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서비스 정보 제어 단계(S50)에서는 이러한 서비스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서비스 정보 제어 단계(S50)에서는 상기 서비스 정보가 생성되어 서비스 정보대로 사용자의 타이어에 대하여 서비스를 진행한 경우 이러한 진행 서비스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서비스 정보 제어 단계(S50)는 상기 제1 타이어 정보 저장 단계(S20)에 저장된 타이어 정보와 상기 제2 타이어 정보 저장 단계(S40)에 저장된 타이어 정보를 상호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될 서비스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들면 상기 제1 타이어 정보 저장 단계(S20)에서 저장한 타이어 정보와 상기 제2 타이어 정보 저장 단계(S40)에서 저장한 타이어 정보는 수치 데이터로 저장할 수 있고, 이러한 수치 데이터를 상호 비교하여,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설정 조건에 매칭되는 서비스 정보의 내용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정해진 서비스 정보의 내용을 저장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서비스 정보 제어 단계(S50)는 상기 제1 타이어 정보 저장 단계(S20)에서 저장한 타이어 정보와 상기 제2 타이어 정보 저장 단계(S40)에서 저장한 타이어 정보를 상호 비교하여 사용자의 타이어 이용 예상 패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2 타이어 정보 저장 단계(S40)에서 복수 개의 정보가 순차적으로 저장할 경우 제2 타이어 정보 저장 단계(S40)에서 저장한 순차적인 2회의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타이어 이용 예상 패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별로 다른 타이어 이용 예상 패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에서 언급한 대로 선택적 실시예로서 서비스 정보 제어 단계(S50)는 상기 제1 타이어 정보 저장 단계(S20)에서 저장한 타이어 정보와 상기 제2 타이어 정보 저장 단계(S40)에서 저장한 타이어 정보의 상호 비교할 수 있다. 즉, "설정 기간"이 도과 시, 사용자의 타이어가 얼만큼 표면이 마모되었는지, 타이어의 각각의 영역별로 어디가 더 마모되었는지, 또 차량의 바퀴별로 마모도의 특성 분포가 어떠한지에 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이를 기초로 사용자 별로 "타이어 이용 예상 패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서비스 정보 제어 단계(S50)에서는 이러한 타이어 이용 예상 패턴 정보에 따라 서비스가 필요한 시기를 계산, 즉 "설정 기간"을 설정하고, "설정 기간"이 도과하면 사용자에게 필요한 서비스 정보를 고지할 수 있다.
물론, 이 때 "설정 기간"은 서비스 정보 제어 단계(S50)에서 생성한 타이어 이용 예상 패턴 정보에 따라 설정 기간 제어 단계(S30)에서 설정할 수도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서비스 정보 제어 단계(S50)에서는 "타이어 이용 예상 패턴 정보"생성 시 시뮬레이션 부재(미도시)를 이용하여 생성할 수 있다.
즉, 서비스 정보 제어 단계(S50)에서는 "타이어 이용 예상 패턴 정보"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여 필요한 서비스를 진행해야 할 시기인 "설정 기간"을 설정할 수 있고, 설정에 대한 정보를 설정 기간 제어 단계(S30)에서 이용할 수도 있다.
물론, 이 때 서비스 정보 제어 단계(S50)에서는 타이어의 장착 위치별로, 즉 차량의 좌, 우, 앞 및 뒤의 타이어 별로 상기 "타이어 이용 예상 패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서비스 정보 제어 단계(S50)에서는 "타이어 이용 예상 패턴 정보"을 이용하여 "설정 기간"이 도과한 경우에 사용자에게 미리 필요한 서비스 정보를 고지할 수 있다.
예를들면 첫 번 째 "설정 기간"이 도과한 결과 앞바퀴와 뒷바퀴의 위치 변경이 필요하다는 정보를 생성한 경우에 사용자는 이러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즉 앞바퀴와 뒷바퀴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변경할 수 있고, 서비스 정보 제어 단계(S50)에서는 이러한 위치 변경 서비스를 진행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서비스 정보 제어 단계(S50)에서 전술한 대로 앞바퀴와 뒷바퀴의 위치 변경이 필요하다는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나서, 서비스 정보 제어 단계(S50)에서는 전술한 것과 같이 "타이어 이용 예상 패턴 정보"을 생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기존 "설정 기간" 또는 새로 설정된 "설정 기간"에 따라 미리 사용자에게 필요한 서비스 정보를 고지할 수 있다.
물론, 선택적 실시예로서 서비스 정보 제어 단계(S50)에서는 "타이어 이용 예상 패턴 정보"와 상관 없이 "설정 기간" 도과하여 서비스를 진행한 후, 예를들면 타이어의 위치 변경 서비스를 진행한 후에, 다시 "설정 기간"이 도과하면 미리 사용자에게 기존에 진행한 서비스 정보, 즉 타이어의 위치 변경 서비스 정보의 내용, 예를들면 앞바퀴와 뒷바퀴의 위치를 변경했던 이력에 대한 서비스 이력을 제공할 수 있다. 추가로 앞바퀴와 뒷바퀴의 교체 또는 앞바퀴 또는 뒷바퀴의 교체에 대한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2는 도 11의 단계(S10)의 선택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사용자 정보 제어 단계(S10')는 사용자 정보 인식 단계(S11'), 사용자 정보 판단 단계(S12') 및 사용자 정보 저장 단계(S13')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 인식 단계(S11')에서는 타이어를 렌탈하려는 사용자의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사용자의 정보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또는 렌탈 서비스를 진행하는 진행자의 입력에 따라 입력한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사용자 정보 인식 단계(S11')는 별도의 입력 작업을 인식하는 것 대신, 인식 과정만을 거칠 수도 있다.
예를들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타이어 렌탈 시스템 또는 타이어 렌탈 서비스 제공 방법은 타이어가 보관되거나 타이어를 교체할 수 있는 타이어 렌탈 스테이지에서 진행될 수 있다.
이 때 타이어를 렌탈을 하려는 사용자가 타이어 렌탈 스페이스에 진입 시에 사용자 정보 인식 단계(S11')에서는 사용자 또는 사용자의 차량을 인식하여 사용자의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들면 사용자 정보 인식 단계(S11')에서는 광학적 인식 부재, 예를들면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용자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사용자 정보 인식 단계(S11')에서는 바코드 인식 부재를 이용하여 진행할 수 있고, QR코드 인식 부재를 이용하여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정보 인식 단계(S11')에서는 사용자의 차량의 번호를 광학적으로 인식하여 사용자의 정보를 인식할 수도 있다.
사용자 정보 저장 단계(S13')에서는 타이어를 렌탈하는 사용자의 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의 정보는 다양할 수 있다. 예를들면 타이어를 렌탈하는 사용자의 인적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사용자 정보 저장 단계(S13')에서는 사용자 소유의 차량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또한 사용자가 타이어를 렌탈하여 장착하려는 차량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사용자 정보 저장 단계(S13')는 사용자의 지불 수단에 대한 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 판단 단계(S12')에서는 사용자 정보 인식 단계(S11')에서 인식한 사용자의 정보를 사용자 정보 저장 단계(S13')에서 저장한 정보들과 비교한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 정보 인식 단계(S11')에서 인식한 사용자의 정보와 매칭되는 사용자 정보 저장 단계(S13')에서 저장한 정보를 찾을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서비스 정보 제어 단계(S50)에서 이용할 정보를 선택 또는 제어하는 과정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정보 판단 단계(S12')는 사용자 정보 인식 단계(S11')에서 인식한 사용자의 정보와 매칭되는 정보가 사용자 정보 저장 단계(S13')에서 저장한 정보에 없을 경우에는 사용자를 최초 방문자로 판단할 수 있다.
도 13은 도 11의 단계(S50)의 선택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서비스 정보 제어 단계(S50')는 서비스 정보 저장 단계(S51') 및 서비스 정보 생성 제어 단계(S52')를 포함한다.
서비스 정보 저장 단계(S51')는 제1 타이어 정보 저장 단계(S20)에서 저장한 타이어 정보와 상기 제2 타이어 정보 저장 단계(S40)에서 저장한 타이어 정보의 상호 비교에 따라 사용자에게 제공될 서비스의 내용을 저장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서비스 정보 저장 단계(S51')에서는 서비스 정보가 생성되어 서비스 정보대로 사용자의 타이어에 대하여 서비스를 진행한 경우 이러한 진행 서비스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서비스 정보 생성 제어 단계(S52')에서는 제1 타이어 정보 저장 단계에서 저장한 타이어 정보와 제2 타이어 정보 저장 단계에서 저장한 타이어 정보의 상호 비교에 따라 사용자에게 제공될 서비스의 내용과 관련된 서비스 정보를 생성한다.
서비스 정보 생성 제어 단계(S52')는 선택적 실시예로서 서비스 정보 생성 단계, 타이어 이용 예상 패턴 정보 생성 단계 및 설정 기간 제어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정보 생성 단계에서는 제1 타이어 정보 저장 단계에서 저장한 타이어 정보와 상기 제2 타이어 정보 저장 단계에서 저장한 타이어 정보를 상호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될 서비스의 내용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들면 상기 제1 타이어 정보 저장 단계에서 저장한 타이어 정보와 상기 제2 타이어 정보 저장 단계에서 저장한 타이어 정보는 수치 데이터로 저장될 수 있고, 이러한 수치 데이터 또는 이미지 데이터를 상호 비교하여,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설정 조건에 매칭되는 서비스의 내용을 정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정해진 서비스의 내용은 전술한 서비스 정보 저장 단계(S51')에서 저장할 수 있다.
예를들면 서비스 정보 생성 단계는 "즉시 교체", "소정 기간 후 교체" 또는 "정상"등의 제공 서비스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서비스 정보 생성 단계는 타이어의 장착 위치별로, 즉 차량의 좌, 우, 앞 및 뒤의 타이어 별로 각각 제1 타이어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타이어의 표면 상태와 제2 타이어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타이어의 표면 상태를 비교하여 표면 상태의 등급을 판단할 수 있고, 선택적으로 이 때, "앞 타이어와 뒷타이어 위치 변경" 또는 "좌측 타이어와 우측 타이어 위치 변경"의 서비스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서비스 정보는 전술한 서비스 정보 저장 단계(S51')에서 저장할 수 있다.
타이어 이용 예상 패턴 정보 생성 단계는 상기 제1 타이어 정보 저장 단계에서 저장한 타이어 정보와 상기 제2 타이어 정보 저장 단계에서 저장한 타이어 정보를 상호 비교하여 사용자의 "타이어 이용 예상 패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2 타이어 정보 저장 단계에서 복수 개의 정보가 순차적으로 저장할 경우 제2 타이어 정보 저장부에 저장한 순차적인 2회의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타이어 이용 예상 패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타이어 이용 예상 패턴 정보"는 다양한 형태일 수 있는데, 제1 타이어 정보 저장 단계에서 저장한 타이어 정보와 제2 타이어 정보 저장 단계에서 저장한 타이어 정보의 상호 비교 데이터, 즉 수치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를 상호 비교한 값과, 제1 타이어 정보 저장 시점으로부터 제2 타이어 정보 저장 시점, 즉 "설정 기간"을 고려하여 "타이어 이용 예상 패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동일 기간 내에 차량 운행이 많아 타이어 마모가 심한 사용자, 주행 습관으로 좌, 우 타이어의 마모 불균형이 심한 사용자 또는 앞, 뒤 타이어의 불균형이 심한 사용자 등에 따라 상이한 "타이어 이용 예상 패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타이어 이용 예상 패턴 정보"는 전술한 서비스 정보 저장 단계(S51')에서 저장할 수 있다.
설정 기간 제어 단계는 타이어 이용 예상 패턴 정보 생성 단계에서 생성한 "타이어 이용 예상 패턴 정보"을 이용하여 "설정 기간"을 생성하거나 설정 기간 제어부가 설정 기간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하고, 예를들면 설정 기간을 생성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설정 기간 제어 단계는 "타이어 이용 예상 패턴 정보"에 따라 사용자 별로 서비스가 필요한 시기를 계산, 즉 "설정 기간"을 설정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서비스 정보 제어 단계 또는 타이어 렌탈 서비스 제공 방법은 이러한 "설정 기간"이 도과하면 사용자에게 필요한 서비스 정보를 고지하는 서비스 정보 고지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서비스 정보 고지 단계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통신 부재를 이용하여 진행할 수 있고, 예를들면 사용자에게 하나 이상의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도록, 이메일 발송부(미도시), 푸쉬 발송부(미도시) 또는 SMS발송부(미도시) 기타 다양한 고지 수단을 이용하여 진행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 렌탈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타이어 렌탈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 정보 제어 단계(S110), 제1 타이어 정보 저장 단계(S120), 설정 기간 제어 단계(S130), 제2 타이어 정보 저장 단계(S140), 서비스 정보 제어 단계(S150) 및 서비스 정보 고지 단계(S160)를 포함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술한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 정보 제어 단계(S110)는 사용자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 정보 제어 단계(S110)는 하나 이상의 저장부를 이용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 제어 단계(S110)는 전술한 실시예의 단계(S10) 및 변형예(S10')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제1 타이어 정보 저장 단계(S120)는 상기 사용자의 차량에 장착하도록 렌탈한 타이어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다. 제1 타이어 정보 저장 단계(S120)는 전술한 실시예의 단계(S20)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설정 기간 제어 단계(S130)는 상기 사용자가 렌탈하여 장착한 시점으로부터 기산하여 설정 기간에 도달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설정 기간 제어 단계(S130)는 전술한 실시예의 단계(S30)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제2 타이어 정보 저장 단계(S140)는 설정 기간 제어 단계(S130)에서 판단한 결과 설정 기간이 도과한 경우에 상기 설정 기간 도과후의 상기 렌탈한 타이어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제2 타이어 정보 저장 단계(S140)는 전술한 실시예의 단계(S40)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서비스 정보 제어 단계(S150)에서는 상기 제1 타이어 정보 저장 단계(S120)에서 저장한 타이어 정보와 상기 제2 타이어 정보 저장 단계(S140)에서 저장한 타이어 정보의 상호 비교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될 서비스의 내용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상호 비교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될 서비스를 결정하는 것은 타이어 렌탈 공정을 진행할 렌탈 스페이스의 작업자 또는 관리자가 진행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서비스 정보 제어 단계(S150)에서는 상기 서비스 정보가 생성되어 서비스 정보대로 사용자의 타이어에 대하여 서비스를 진행한 경우 이러한 진행 서비스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서비스 정보 제어 단계(S150)에서는 상기 제1 타이어 정보 저장 단계(S120)에서 저장한 타이어 정보와 상기 제2 타이어 정보 저장 단계(S140)에서 저장한 타이어 정보를 상호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될 서비스 정보의 내용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정해진 서비스의 내용을 저장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서비스 정보 제어 단계(S150)는 상기 제1 타이어 정보 저장 단계(S120)에서 저장한 타이어 정보와 상기 제2 타이어 정보 저장 단계(S140)에서 저장한 타이어 정보를 상호 비교하여 사용자의 타이어 이용 예상 패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2 타이어 정보 저장 단계(S140)에서 복수 개의 정보가 순차적으로 저장될 경우 제2 타이어 정보 저장 단계(S140)에서 저장한 순차적인 2회의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타이어 이용 예상 패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서비스 정보 제어 단계(S150)는 전술한 실시예의 단계(S50) 및 변형예의 단계(S50')에서 설명한 것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서비스 정보 고지 단계(S160)는 서비스 정보 제어 단계(S150)에서 생성한 "타이어 이용 예상 패턴 정보"을 이용하여 "설정 기간"이 도과한 경우에 사용자에게 미리 필요한 서비스 정보를 고지할 수 있다.
서비스 정보 고지 단계(S160)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통신 부재를 포함하여 진행할 수 있고, 예를들면 사용자에게 하나 이상의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도록, 이메일 발송부를 이용한 이메일 발송 단계, 푸쉬 발송부를 이용한 푸쉬 발송 단계 또는 SMS발송부를 이용한 SMS발송 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서비스 정보 고지 단계(S160)는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에 서비스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실시예는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은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또는/및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제어 또는 다른 제어 장치들에 의해서 다양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는, 메모리, 프로세싱, 로직(logic), 룩 업 테이블(look-up table) 등과 같은 직접 회로 구성들을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의 구성 요소들이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는 것과 유사하게, 실시 예는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는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매커니즘", "요소", "수단", "구성"과 같은 용어는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구성들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는 프로세서 등과 연계하여 소프트웨어의 일련의 처리들(routines)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제공 방법들, 소프트웨어, 상기 제공 방법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실시예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실시 예들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실시 예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00: 타이어 렌탈 서비스 제공 방법
110: 사용자 정보 제어부
120: 제1 타이어 정보 저장부
130: 설정 기간 제어부
140: 제2 타이어 정보 저장부
150: 서비스 정보 제어부

Claims (16)

  1. 사용자의 정보를 적어도 저장하는 사용자 정보 제어부;
    상기 사용자의 차량에 장착하도록 렌탈한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렌탈한 타이어의 종류를 포함하는 정보를 저장한 제1 타이어 정보 저장부;
    상기 사용자가 렌탈하여 장착한 시점으로부터 기산하여 설정 기간이 도과되었는지 판단하는 설정 기간 제어부;
    상기 설정 기간 제어부의 판단 결과 설정 기간이 도과한 경우에 상기 설정 기간 도과후의 상기 렌탈한 타이어의 적어도 외형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제2 타이어 정보 저장부; 및
    상기 제1 타이어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타이어 정보와 상기 제2 타이어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타이어 정보의 상호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상기 설정 기간 동안 주행한 상기 렌탈한 타이어의 변화 정도를 파악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될 타이어 서비스 정보를 저장하는 서비스 정보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정보 제어부는 상기 제1 타이어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타이어 정보와 상기 제2 타이어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타이어 정보의 상호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상기 설정 기간 동안 주행한 상기 렌탈한 타이어의 변화 정도를 파악하여 사용자 별로 다른 타이어 이용 예상 패턴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타이어 이용 예상 패턴 정보에 따라 사용자 별로 서비스가 필요한 시기를 계산하여 상기 설정 기간 후의 새로운 설정 기간을 설정하는 타이어 렌탈 서비스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 제어부는,
    상기 타이어를 렌탈하려는 사용자의 정보를 인식하는 사용자 정보 인식부를 더 포함하는 타이어 렌탈 서비스 시스템.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정보 인식부가 인식한 사용자의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정보를 판단하는 사용자 정보 판단부를 더 포함하는 타이어 렌탈 서비스 시스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타이어 정보 저장부는,
    상기 렌탈한 타이어의 차량 장착 시 차량의 바퀴의 위치별로 구별하여 저장하는 위치별 타이어 정보 구별 저장부 및 상기 사용자가 렌탈하여 차량에 장착한 시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시간 저장부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타이어 렌탈 서비스 시스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기간 제어부는,
    임의의 시간이 사전에 설정되어 저장된 기본 설정 기간 저장부 및 상기 설정 기간이 변경되어 저장되는 설정 기간 변경부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타이어 렌탈 서비스 시스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타이어 정보 저장부는,
    상기 설정 기간 도과후의 타이어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차량의 바퀴의 위치별로 구별하여 저장하는 위치별 타이어 상태 정보 저장부 및 상기 위치별 타이어 상태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바퀴의 위치를 인식 가능한 영역에 각 타이어 별로 타이어의 상태를 표시한 정보가 저장된 타이어 종합 정보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타이어 렌탈 서비스 시스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정보 제어부는 상기 제1 타이어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타이어 정보와 상기 제2 타이어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타이어 정보의 상호 비교에 따라 사용자에게 제공될 서비스의 내용과 관련된 서비스 정보를 생성하는 서비스 정보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타이어 렌탈 서비스 시스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정보와 관련된 내용을 상기 사용자에게 고지하는 서비스 정보 고지부를 더 포함하는 타이어 렌탈 서비스 시스템.
  9. 적어도 사용자의 정보가 사용자 정보 저장부에 저장되는 단계를 구비하는 사용자 정보 제어 단계;
    상기 사용자의 차량에 장착하도록 렌탈한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렌탈한 타이어의 종류를 포함하는 정보가 제1 타이어 정보 저장부에 저장되는 제1 타이어 정보 저장 단계;
    설정 기간 제어부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가 렌탈하여 장착한 시점으로부터 기산하여 설정 기간이 도과되었는지 판단되는 설정 기간 제어 단계;
    상기 설정 기간 제어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설정 기간이 도과한 경우에 상기 설정 기간 도과후의 상기 렌탈한 타이어의 적어도 외형의 상태에 관한 정보가 제2 타이어 정보 저장부에 저장되는 제2 타이어 정보 저장 단계; 및
    서비스 정보 제어부를 통하여 상기 제1 타이어 정보 저장 단계에 저장된 타이어 정보와 상기 제2 타이어 정보 저장 단계에 저장된 타이어 정보의 상호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상기 설정 기간 동안 주행한 상기 렌탈한 타이어의 변화 정도를 파악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될 타이어 서비스 정보를 저장하는 서비스 정보 제어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정보 제어 단계는 상기 제1 타이어 정보 저장 단계에서 저장된 타이어 정보와 상기 제2 타이어 정보 저장 단계에서 저장된 타이어 정보의 상호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상기 설정 기간 동안 주행한 상기 렌탈한 타이어의 변화 정도를 파악하여 사용자 별로 다른 타이어 이용 예상 패턴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타이어 이용 예상 패턴 정보에 따라 사용자 별로 서비스가 필요한 시기를 계산하여 상기 설정 기간 후의 새로운 설정 기간을 설정하는 타이어 렌탈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 제어 단계는,
    상기 타이어를 렌탈하려는 사용자의 정보를 인식하는 사용자 정보 인식 단계를 더 포함하는 타이어 렌탈 서비스 제공 방법.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 제어 단계는,
    상기 사용자 정보 인식 단계에서 인식한 사용자의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정보를 판단하는 사용자 정보 판단 단계를 더 포함하는 타이어 렌탈 서비스 제공 방법.
  12.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타이어 정보 저장 단계는,
    상기 렌탈한 타이어의 차량 장착 시 차량의 바퀴의 위치별로 구별하여 저장하는 위치별 타이어 정보 구별 저장 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렌탈하여 차량에 장착한 시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시간 저장 단계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타이어 렌탈 서비스 제공 방법.
  13.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기간 제어 단계는,
    임의의 시간을 사전에 설정하여 저장하는 기본 설정 기간 저장 단계 및 상기 설정 기간을 변경하여 저장하는 설정 기간 변경 단계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타이어 렌탈 서비스 제공 방법.
  14.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타이어 정보 저장 단계는,
    상기 설정 기간 도과후의 타이어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차량의 바퀴의 위치별로 구별하여 저장하는 위치별 타이어 상태 정보 저장 단계 및 상기 위치별 타이어 상태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바퀴의 위치를 인식 가능한 영역에 각 타이어 별로 타이어의 상태를 표시한 정보가 저장된 타이어 종합 정보 저장단계를 더 포함하는 타이어 렌탈 서비스 제공 방법.
  15.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정보 제어 단계는 상기 제1 타이어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타이어 정보와 상기 제2 타이어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타이어 정보의 상호 비교에 따라 사용자에게 제공될 서비스의 내용과 관련된 서비스 정보를 생성하는 서비스 정보 생성 제어 단계를 더 포함하는 타이어 렌탈 서비스 제공 방법.
  16.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정보와 관련된 내용을 상기 사용자에게 고지하는 서비스 정보 고지 단계를 더 포함하는 타이어 렌탈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60113990A 2016-09-05 2016-09-05 타어어 렌탈 서비스 시스템 및 타이어 렌탈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7003660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3990A KR20170036607A (ko) 2016-09-05 2016-09-05 타어어 렌탈 서비스 시스템 및 타이어 렌탈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90065577A KR102261196B1 (ko) 2016-09-05 2019-06-03 타어어 렌탈 서비스 시스템 및 타이어 렌탈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3990A KR20170036607A (ko) 2016-09-05 2016-09-05 타어어 렌탈 서비스 시스템 및 타이어 렌탈 서비스 제공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5582 Division 2015-09-24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5577A Division KR102261196B1 (ko) 2016-09-05 2019-06-03 타어어 렌탈 서비스 시스템 및 타이어 렌탈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6607A true KR20170036607A (ko) 2017-04-03

Family

ID=58589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3990A KR20170036607A (ko) 2016-09-05 2016-09-05 타어어 렌탈 서비스 시스템 및 타이어 렌탈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3660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5478A (ko) * 2018-03-05 2019-09-17 에스케이네트웍스 주식회사 렌터카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
KR20210009718A (ko) * 2019-07-17 2021-01-27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타어어 관련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타이어 관련 서비스 제공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5478A (ko) * 2018-03-05 2019-09-17 에스케이네트웍스 주식회사 렌터카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
KR20190109700A (ko) * 2018-03-05 2019-09-26 에스케이네트웍스 주식회사 렌터카 서비스 장치 및 그 장치에서의 차량 임대 전자 계약 서비스 방법
KR20210009718A (ko) * 2019-07-17 2021-01-27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타어어 관련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타이어 관련 서비스 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86792B2 (en) Crowdsourced servicing of on-demand electric-vehicles
US10063438B2 (en) Security implementation for resource distribution
EP3876130A1 (en) Integrity of data records
US20150186991A1 (en) Creditor alert when a vehicle enters an impound lot
US11449837B2 (en) Maintenance equipment management method, system and data management server
US20170169399A1 (en)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pricing
US10121037B1 (en) System controlled by data bearing records
KR20190067139A (ko) 타어어 렌탈 서비스 시스템 및 타이어 렌탈 서비스 제공 방법
JP2011248813A (ja) レンタサイクルシステム
CN108876522A (zh) 车辆监控方法、装置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1226848B1 (ko) 무인대여 자전거 통합 시스템 및 그 방법
US11704514B1 (en) System controlled by data bearing records
CN111292085B (zh) 交易风险评估的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170036607A (ko) 타어어 렌탈 서비스 시스템 및 타이어 렌탈 서비스 제공 방법
CN109146386A (zh) 购物车的控制方法、装置及电子设备
KR102317217B1 (ko) 중고 전자기기를 대상으로 하는 금융서비스 제공방법
US10372953B1 (en) System controlled by data bearing records
KR101748794B1 (ko) 구매 관리 시스템 및 구매 관리 방법
WO2020060958A1 (en) Management of vehicles on public infrastructure
US20190213667A1 (en) System for managing a fleet of dealership courtesy vehicles
CN110428258A (zh) 交易风险监控方法及装置
JP2005050262A (ja) Icモジュール、icカード、携帯端末、及びサービス処理方法
JP2005050263A (ja) 携帯端末及びサービス処理方法
JP2015106161A (ja) 電子マネーチャージプログラム、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10662171B (zh) 一种交通工具的处理方法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