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5313A - 전자연구노트 작성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연구노트 작성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5313A
KR20170035313A KR1020160024127A KR20160024127A KR20170035313A KR 20170035313 A KR20170035313 A KR 20170035313A KR 1020160024127 A KR1020160024127 A KR 1020160024127A KR 20160024127 A KR20160024127 A KR 20160024127A KR 20170035313 A KR20170035313 A KR 201700353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research note
snippet
research
sty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4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진
Original Assignee
(주)사이버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사이버라인 filed Critical (주)사이버라인
Priority to KR10201600241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35313A/ko
Publication of KR201700353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53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F17/248
    • G06F17/212
    • G06F17/24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연구노트 작성 시스템은 연구노트의 내용이 입력되는 연구노트 입력부, 그리고 상기 연구노트 입력부를 작성하기 위한 기능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스니펫을 제공하는 스니펫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니펫 제공부의 제1 스니펫을 이용하여 상기 연구노트 입력부에 제1 단위양식을 생성하는 경우, 상기 제1 단위양식에 상기 제1 스니펫의 기능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전자연구노트 작성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ELECTRONIC LABORATORY NOTE}
전자연구노트 작성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
대학, 공공연구기관, 기업의 연구실은 연구 활동을 통해 다양한 성과를 만들어내고, 연구실 단위로 연구 자금의 획득, 선행 연구에 관한 정보교환, 아이디어에 관한 브레인스토밍, 연구진행 방법이나 데이터 해석, 연구 장치나 시약의 구입과 사용 등을 통해 연구 활동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러한 연구 활동을 기록한 자료를 연구노트라고 한다.
기술분야 별로 연구노트에 대한 활용성이 조금씩 다르고, 외국에 비해 연구노트 작성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여 연구노트 작성이 크게 활성화되어 있는 상황은 아니지만, 점점 연구노트 활성화를 위한 정부의 정책과 규정의 확대로 연구노트 작성은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연구노트는 서면을 통해 수기로 작성하는 서면연구노트와 컴퓨터와 같은 전자 시스템을 이용하여 작성하는 전자연구노트로 구분될 수 있고, 연구노트 관리에 대한 편의성 측면에서 전자연구노트의 비중이 점차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연구노트는 일반적인 문서와 달리 연구의 진실성을 증명할 수 있는 자료로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전자연구노트는 연구기록 입력일과 시간을 자동적으로 기록하는 기능, 기록자와 점검자가 서명 인증을 하는 기능, 위변조 여부를 검증할 수 있는 기능이 구비되어야 한다. 또한, 연구원이 연구 내용을 다양한 자료와 방법을 이용하여 자유롭게 작성할 수 있어야 하므로 연구노트를 편리하게 작성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해야 한다.
종래의 전자연구노트 시스템은 전자연구노트 작성을 위한 에디터를 제공하고 있지만,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워드, 한글과컴퓨터의 한글과 같은 일반적인 문서편집도구와 유사한 에디터를 제공할 뿐이다. 이러한 일반적인 문서편집도구와 유사한 에디터로 작성하는 전자연구노트 시스템은 연구노트가 장 또는 쪽 단위로 작성되기 때문에, 참고자료, 로우 데이터(raw data) 등의 자료 및 데이터를 용이하게 활용하여 연구노트를 작성하기가 쉽지 않다. 또한, 종래의 전자연구노트 시스템은 작성된 연구노트의 필요한 내용만 추출하여 다른 문서를 생성할 수 있는 기능이 없어 연구노트의 활용도가 떨어진다.
전자연구노트와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 2014-0146848은 템플릿메이커를 이용하여 기록자가 특정한 형태의 도형 및 도식을 작성하고 개인 템플릿저장소에 저장하는 내용이 개시되어 있지만, 여전히 다양한 자료 및 데이터를 용이하게 활용하여 연구노트를 작성하는 것이 힘들고, 작성된 연구노트의 내용을 활용할 수 있는 기능이 부족하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는 전자연구노트의 작성을 편리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는 작성된 전자연구노트의 내용을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 이외에도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른 과제를 달성하는 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연구노트 작성 시스템은 연구노트의 내용이 입력되는 연구노트 입력부, 그리고 상기 연구노트 입력부를 작성하기 위한 기능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스니펫을 제공하는 스니펫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니펫 제공부의 제1 스니펫을 이용하여 상기 연구노트 입력부에 제1 단위양식을 생성하는 경우, 상기 제1 단위양식에 상기 제1 스니펫의 기능이 제공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연구노트 작성 시스템은 상기 제1 단위양식을 삭제, 복사 또는 이동시키고 상기 제1 단위양식의 내용을 편집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단위양식 편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연구노트 작성 시스템은 상기 제1 단위양식에 대한 메모를 작성하여 등록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단위양식 점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스니펫이 드래그되어 상기 연구노트 입력부에 드롭되는 경우, 상기 제1 단위양식이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니펫 제공부는 상기 연구노트 입력부에 파일을 첨부하여 상기 파일의 이름을 표시하고, 상기 파일이 클릭되는 경우, 상기 파일을 여는 스니펫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연구노트 작성 시스템은 상기 연구노트 입력부의 복수개의 단위양식 중 선택된 단위양식을 추출하는 단위양식 추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연구노트 작성 방법은 전자연구노트 작성 시스템이 연구노트의 내용이 입력되는 연구노트 입력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연구노트 입력부를 작성하기 위한 기능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스니펫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연구노트 입력부에 상기 복수개의 스니펫 중 제1 스니펫과 대응되는 제1 단위양식을 생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1 단위양식에 상기 제1 스니펫의 기능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연구노트 작성 방법은 전자연구노트 작성 시스템이 상기 제1 단위양식을 삭제, 복사, 또는 이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연구노트 작성 방법은 전자연구노트 작성 시스템이 상기 제1 단위양식에 대한 메모를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연구노트 작성 방법은 전자연구노트 작성 시스템이 상기 연구노트 입력부의 복수개의 단위양식 중 선택된 단위양식을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는 전자연구노트의 작성을 편리하게 할 수 있고, 작성된 전자연구노트의 내용을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연구노트 작성 시스템이 제공하는 화면의 예시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연구노트 작성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연구노트 작성 시스템 화면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연구노트 작성 시스템의 스니펫을 이용하여 단위양식을 생성하는 화면의 예시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연구노트 작성 시스템의 연구노트 편집도구를 나타내는 화면의 예시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연구노트 작성 시스템을 이용하여 작성한 연구노트를 나타내는 화면의 예시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단위양식 편집부의 예시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단위양식 점검부의 예시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단위양식 추출부를 이용하여 단위양식을 추출하는 기능을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연구노트 작성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가 사용되었다. 또한 널리 알려져 있는 공지기술의 경우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스니펫"이라는 용어는 글자, 그림, 표, 수식 등의 전자연구노트의 내용을 입력할 수 있는 편집 영역에 텍스트(text) 삽입, 이미지 삽입, 파일첨부, 화학식 입력, 엑셀양식 제공 등의 연구노트 작성에 필요한 기능을 제공해 주는 도구로서, 전자연구노트 작성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스니펫 별로 연구노트 작성에 필요한 서로 다른 기능을 제공해 줄 수 있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단위양식"이라는 용어는 전자연구노트의 내용을 입력할 수 있는 편집 영역에 스니펫이 대응되어 해당 스니펫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모양과 형식이 편집 영역의 일부분에 생성된 것을 의미한다.
단위양식은 스니펫이라는 용어로 대체되어 사용되어도 무방하지만, 이하에서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단위양식과 스니펫의 용어를 구분하여 사용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연구노트 작성 시스템이 제공하는 화면의 예시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연구노트 작성 시스템은 웹 기반으로 구축되어, 사용자가 웹을 통해 로그인함으로써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연구노트 작성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노트 작성하기 버튼(10)을 클릭하여 연구노트를 작성할 수 있다. 연구노트의 특성상 연구기간과 점검자를 지정할 수 있는 항목(20, 30)이 존재할 수 있다.
사용자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연구노트 작성 시스템을 이용하여 두 가지 방법으로 연구노트를 작성할 수 있다. 첫 번째는 다른 전자문서 편집기를 이용하여 작성한 파일을 업로드하여 해당 파일의 내용을 불러옴으로써 연구노트를 작성할 수 있고, 두 번째는 직접 전자연구노트 작성 시스템의 편집 영역(111)에서 연구노트의 내용을 입력함으로써 연구노트를 작성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연구노트 작성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연구노트 작성 시스템 화면의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연구노트 작성 시스템의 스니펫을 이용하여 단위양식을 생성하는 화면의 예시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연구노트 작성 시스템의 연구노트 편집도구를 나타내는 화면의 예시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연구노트 작성 시스템을 이용하여 작성한 연구노트를 나타내는 화면의 예시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연구노트 작성 시스템(100)은 연구노트 입력부(110), 스니펫 제공부(120), 단위양식 편집부(130), 단위양식 점검부(140), 단위양식 추출부(150)를 포함한다.
연구노트 입력부(110)는 연구과정 및 연구성과를 포함하는 연구노트의 내용이 입력된다. 사용자는 연구노트 입력부(110)에 직접 글을 입력하여 연구노트를 작성할 수 있고, 스니펫을 이용하여 연구노트 입력부(110)에 글을 작성할 수도 있다.
스니펫 제공부(120)는 연구노트 입력부(110)를 작성하기 위한 기능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스니펫을 제공한다. 스니펫 제공부(120)는 연구노트 작성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다양한 기능의 스니펫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니펫 제공부(120)는 텍스트 삽입 스니펫, 이미지 삽입 스니펫, 파일첨부 스니펫, 화학식 입력 스니펫, 엑셀양식 제공 스니펫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스니펫 제공부(120)는 동물실험 군분리 단위양식, 세포배양 단위양식 등과 같이 기술 분야 별 특수한 단위양식을 제공할 수 있다.
스니펫은 전자연구노트 작성 시스템(100)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고, 사용자는 미리 저장되어 있는 스니펫을 이용해 연구노트를 작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연구노트 작성에 필요한 기능을 포함하는 스니펫을 생성하고, 생성된 스니펫을 이용하여 연구노트를 작성할 수 있다. 사용자는 연구노트를 작성할 때 자주 쓰는 기능 및 양식을 제공하는 스니펫을 생성할 수 있다.
연구노트 입력부(11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편집 영역(111)을 포함할 수 있고, 스니펫 제공부(120)는 복수개의 스니펫을 트리 형태로 제공하는 스니펫 제공 영역(121)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스니펫 제공부(120)의 스니펫을 이용하여 연구노트 입력부(110)에서 해당 스니펫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스니펫 제공 영역(121)의 복수개의 스니펫 중 한 개의 스니펫을 이용하여 편집 영역(111)에 단위양식(112)을 생성하고, 생성된 단위양식(112)에서 제공하는 스니펫의 기능을 사용하여 연구노트의 내용을 작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스니펫 제공 영역(121)의 스니펫을 드래그(drag)하여 편집 영역(111)에 드롭(drop)함으로써 스니펫에 대응하는 단위양식(112)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스니펫 제공 영역(121)의 텍스트 스니펫(122a)을 이용하여 편집 영역(111)에 텍스트 스니펫(122a)과 대응되는 단위양식(112a)을 생성하는 경우, 단위양식(112a)은 제목을 포함한 텍스트를 편리하게 작성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목과 내용을 구분 시키기 위해 글씨 크기와 양식을 별도로 조절할 필요 없이, 텍스트 스니펫(122a)을 이용하여 제목과 내용을 구분시켜 연구노트를 작성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스니펫 제공 영역(121)의 첨부파일 스니펫(122b)을 이용하여 편집 영역(111)에 첨부파일 스니펫(122b)과 대응되는 단위양식(112b)을 생성하는 경우, 단위양식(112b)은 선택된 파일을 첨부하고, 첨부파일과 관련된 내용을 입력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첨부파일은 해쉬값으로 저장되어 변조를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첨부파일을 클릭함으로써 첨부파일을 다운로드 하지 않고 바로 열람할 수 있다.
사용자는 스니펫에 대응되는 단위양식(112)을 이용하여 연구노트를 작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구노트 편집도구(113)를 이용하여 글씨 크기, 글자 정렬, 문단 조절, 사진 삽입 등의 편집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연구노트 편집도구(113)는 사용자가 단위양식(112)에 내용을 입력하거나 편집하는 경우에도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는 연구노트 입력부(110)와 스니펫 제공부(120)를 포함한 전자연구노트 작성 시스템(100)을 이용함으로써 도 6과 같은 일정한 양식에 따라 연구노트를 편리하게 작성할 수 있다.
스니펫 제공부(120)가 제공하는 스니펫은 회사 또는 연구기관에서 공통으로 사용되는 양식 및 연구 자료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기 때문에, 회사 또는 연구기관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연구노트 작성 시스템(100)의 스니펫을 이용하여 전자연구노트의 양식을 편리하게 수정하고 추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스니펫을 이용하여 연구노트를 편리하게 작성할 수 있어, 연구노트 작성에 대한 부담을 줄일 수 있고, 연구 기록에 대한 관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9를 참고로 하여 단위양식 편집부(130), 단위양식 점검부(140), 단위양식 추출부(150)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본다.
도 7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단위양식 편집부의 예시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단위양식 점검부의 예시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단위양식 추출부를 이용하여 단위양식을 추출하는 기능을 나타낸다.
단위양식 편집부(130)는 각각의 단위양식(112)을 삭제, 복사, 이동시키거나 단위양식(112)의 내용을 편집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 경우, 사용자는 작성한 연구노트의 내용을 단위양식(112) 별로 삭제, 복사, 이동시킬 수 있어 연구노트를 더 편리하게 작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단위양식 편집부(130)에서 제공하는 편집 버튼(131)을 이용하여 그림이 삽입된 단위양식(112)을 삭제, 복사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편집 버튼(131)을 이용하여 단위양식(112)에 들어가는 내용을 편집할 수 있다.
단위양식 점검부(140)는 각각의 단위양식(112)에 대해 작성된 메모를 등록할 수 있다. 연구노트 작성자는 단위양식 점검부(140)를 이용하여 단위양식(112) 별로 중요도를 지정하고 메모를 입력할 수 있고, 연구노트 점검자는 단위양식 점검부(140)를 이용하여 단위양식(112) 별로 해당 단위양식(112)의 중요도를 지정하고 내용에 대한 의견을 등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구노트 점검자는 점검 버튼(141)을 눌러 생성된 메모 창(142)을 통해 첨부파일 단위양식(112)에 대한 의견을 등록하고 중요도를 지정할 수 있다.
단위양식 점검부(140)를 이용하는 경우, 연구노트 작성자는 연구노트 점검자로부터 연구노트의 내용을 단위양식(112) 별로 점검 받을 수 있어 연구노트 관리를 편리하게 할 수 있으며, 점검자도 단위양식(112) 별로 의견을 등록함으로써 연구노트 작성자가 작성한 연구노트 내용을 편리하게 점검할 수 있다.
단위양식 추출부(150)는 연구노트 입력부(110)의 복수개의 단위양식(112) 중 선택된 단위양식(112)을 추출한다. 사용자는 단위양식 추출부(150)를 이용해 복수개의 단위양식(112)으로 이루어진 연구노트의 내용 중 필요한 내용을 담고 있는 단위양식(112)만을 추출하여, 새로운 문서를 생성하거나 해당 내용을 열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복수개의 단위양식(112c-112f)으로 구성된 편집 영역(111)에서 추출 버튼(151)을 클릭하여 단위양식(112c, 112e)을 선택함으로써 선택된 단위양식(112c, 112e)으로만 구성된 새로운 문서를 생성할 수 있다.
연구노트의 내용에 회사 기밀과 같이 외부에 공개하기 어려운 내용이 있는 경우, 사용자는 단위양식 추출부(150)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공개용 문서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는 단위양식 추출부(150)를 이용하여 연구노트의 활용 폭을 크게 넓힐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연구노트 작성 시스템(100)은 복수개의 스니펫을 모아 한 개의 템플릿으로 생성하고, 템플릿을 이용하여 연구노트를 작성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연구노트를 작성할 때마다 각각의 스니펫을 선택하지 않고, 자주 이용하는 스니펫의 모음인 템플릿을 이용하여 연구노트를 빠르게 작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0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연구노트 작성 방법을 설명한다. 전자연구노트 작성 시스템(100)의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연구노트 작성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먼저, 전자연구노트 작성 시스템(100)이 연구노트의 내용이 입력되는 연구노트 입력부(110)를 생성한다(S11). 그리고, 전자연구노트 작성 시스템(100)은 연구노트 입력부(110)를 작성하기 위한 기능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스니펫을 제공한다(S12). 전자연구노트 작성 시스템(100)은 연구노트 입력부(110)에 복수개의 스니펫 중 한 개의 스니펫과 대응되는 단위양식(112)을 생성한다(S13). 이 경우, 전자연구노트 작성 시스템(100)은 복수개의 스니펫 중 드래그되어 연구노트 입력부(110)에 드롭된 스니펫과 대응되는 단위양식(112)을 연구노트 입력부(110)에 생성할 수 있다. 전자연구노트 작성 시스템(100)은 생성된 연구노트 입력부(110)의 단위양식(112)에 대응되는 스니펫의 기능을 제공한다(S14).
또한, 전자연구노트 작성 시스템(100)은 단위양식(112)을 삭제, 복사, 이동할 수 있고, 단위양식(112)에 대해 작성된 메모를 등록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연구노트 작성 시스템(100)은 연구노트 입력부(110)의 복수개의 단위양식(112) 중 선택된 단위양식(112)을 추출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 전자연구노트 작성 시스템 110 : 연구노트 입력부
111 : 편집 영역 112 : 단위양식
120 : 스니펫 제공부 130 : 단위양식 편집부
140 : 단위양식 점검부 150 : 단위양식 추출부

Claims (8)

  1. 연구노트의 내용이 입력되는 연구노트 입력부,
    상기 연구노트 입력부를 작성하기 위한 기능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스니펫을 제공하는 스니펫 제공부 ― 상기 스니펫 제공부의 제1 스니펫을 이용하여 상기 연구노트 입력부에 제1 단위양식을 생성하는 경우, 상기 제1 단위양식에 상기 제1 스니펫의 기능이 제공됨 ―, 및
    연구노트 입력부에 생성된 복수개의 단위양식에 대해서 연구노트의 내용을 점검하여 각각의 단위양식에 대해 작성된 메모를 등록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단위양식 점검부
    를 포함하는 전자연구노트 작성 시스템.
  2. 제1항에서,
    상기 제1 단위양식을 삭제, 복사 또는 이동시키고 상기 제1 단위양식의 내용을 편집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단위양식 편집부를 더 포함하는 전자연구노트 작성 시스템.
  3. 제1항에서,
    상기 제1 스니펫이 드래그되어 상기 연구노트 입력부에 드롭되는 경우, 상기 제1 단위양식이 생성되는 전자연구노트 작성 시스템.
  4. 제1항에서,
    상기 스니펫 제공부는 상기 연구노트 입력부에 파일을 첨부하여 상기 파일의 이름을 표시하고, 상기 파일이 클릭되는 경우, 상기 파일을 여는 스니펫을 포함하는 전자연구노트 작성 시스템.
  5. 제1항에서,
    상기 연구노트 입력부의 복수개의 단위양식 중 선택된 단위양식을 추출하는 단위양식 추출부를 더 포함하는 전자연구노트 작성 시스템.
  6. 전자연구노트 작성 시스템이,
    연구노트의 내용이 입력되는 연구노트 입력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연구노트 입력부를 작성하기 위한 기능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스니펫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연구노트 입력부에 상기 복수개의 스니펫 중 제1 스니펫과 대응되는 제1 단위양식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단위양식에 상기 제1 스니펫의 기능을 제공하는 단계, 및
    연구노트 입력부에 생성된 복수개의 단위양식에 대해서 연구노트의 내용의 점검을 점검하여 각각의 단위양식에 대해 작성된 메모를 등록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자연구노트 작성 방법.
  7. 제6항에서,
    상기 제1 단위양식을 삭제, 복사, 또는 이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연구노트 작성 방법.
  8. 제6항에서,
    상기 연구노트 입력부의 복수개의 단위양식 중 선택된 단위양식을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연구노트 작성 방법.
KR1020160024127A 2016-02-29 2016-02-29 전자연구노트 작성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353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4127A KR20170035313A (ko) 2016-02-29 2016-02-29 전자연구노트 작성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4127A KR20170035313A (ko) 2016-02-29 2016-02-29 전자연구노트 작성 시스템 및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3563 Division 2015-09-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5313A true KR20170035313A (ko) 2017-03-30

Family

ID=58503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4127A KR20170035313A (ko) 2016-02-29 2016-02-29 전자연구노트 작성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35313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5510A (ko) 2018-11-30 2020-06-09 김시용 발명노트를 이용한 연관된 발명 추출 시스템
KR20200065516A (ko) 2018-11-30 2020-06-09 김시용 부호를 자동입력 가능한 특허문서 변환 시스템
KR20200065528A (ko) 2018-11-30 2020-06-09 김시용 발명노트
KR20200065512A (ko) 2018-11-30 2020-06-09 김시용 발명노트를 이용한 특허문서 변환 시스템
KR20200079699A (ko) 2018-12-26 2020-07-06 이재갑 전자 필기구를 이용한 연구 관리 시스템
KR20200079698A (ko) 2018-12-26 2020-07-06 이재갑 전자 필기의 공인 인증 관리 시스템
WO2021215551A1 (ko) * 2020-04-20 2021-10-28 (주)사이버라인 블록체인 기반의 전자 연구노트 검증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자 연구노트 관리 장치
KR102496620B1 (ko) 2022-10-26 2023-02-06 김정열 Ai 기반 검색 기능을 가지는 ocr 전자연구노트 관리 시스템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5510A (ko) 2018-11-30 2020-06-09 김시용 발명노트를 이용한 연관된 발명 추출 시스템
KR20200065516A (ko) 2018-11-30 2020-06-09 김시용 부호를 자동입력 가능한 특허문서 변환 시스템
KR20200065528A (ko) 2018-11-30 2020-06-09 김시용 발명노트
KR20200065512A (ko) 2018-11-30 2020-06-09 김시용 발명노트를 이용한 특허문서 변환 시스템
KR20200079699A (ko) 2018-12-26 2020-07-06 이재갑 전자 필기구를 이용한 연구 관리 시스템
KR20200079698A (ko) 2018-12-26 2020-07-06 이재갑 전자 필기의 공인 인증 관리 시스템
WO2021215551A1 (ko) * 2020-04-20 2021-10-28 (주)사이버라인 블록체인 기반의 전자 연구노트 검증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자 연구노트 관리 장치
KR102496620B1 (ko) 2022-10-26 2023-02-06 김정열 Ai 기반 검색 기능을 가지는 ocr 전자연구노트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35313A (ko) 전자연구노트 작성 시스템 및 방법
Strauss et al.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US7269787B2 (en) Multi-document context aware annotation system
Edhlund Nvivo 9 essentials
RU2498391C2 (ru) Обмен информацией между пользовательским интерфейсом внутреннего пространства редактора документов и пользовательским интерфейсом внешнего пространства редактора документов
US20120166922A1 (en) Content Management System for Resume and Portfolio Data for Producing Multiple Interactive Websites
KR20150087405A (ko) E-리더에 콘텐츠의 노트 기반 주석을 제공하는 방법
KR20150132444A (ko) 클리핑 기능을 이용하는 협업 저작을 위한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JP6834060B2 (ja) 文書整理支援システム
Carbone Computer forensics with FTK
US9514112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vealing hidden information in electronic documents
US20080155501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vising an Electronic Draft
Habraken Microsoft Office 2010 In Depth
Liu et al. Hidden information in Microsoft word
KR102043434B1 (ko) 조사 보고서 작성 장치 및 조사 보고서 작성 디스플레이 방법
Marmel Teach Yourself Visually Office 2013
Owan et al. A Digital Library for Researchers, Scientists, and Scholars: Mendeley Desktop Application
Graham TechMatters:" Qiqqa" than you can say Reference Management: A tool to organize the research process
KR20240079861A (ko) 연구노트 작성시스템
Sherwin Introduction to EndNote X9
Weverka et al. Office 365 All-in-one for Dummies
Murray Microsoft Word 2010 Inside Out
Baker et al. Adobe Acrobat 6: The Professional User's Guide
CN114691790A (zh) 数据收藏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Hart-Davis et al. Office 2010 made simp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