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5102A - 5~13 mm 순환 굵은골재를 혼합하여 제조되는 콘크리트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5~13 mm 순환 굵은골재를 혼합하여 제조되는 콘크리트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5102A
KR20170035102A KR1020150133752A KR20150133752A KR20170035102A KR 20170035102 A KR20170035102 A KR 20170035102A KR 1020150133752 A KR1020150133752 A KR 1020150133752A KR 20150133752 A KR20150133752 A KR 20150133752A KR 20170035102 A KR20170035102 A KR 201700351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rse aggregate
aggregate
mixing
recycled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3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5709B1 (ko
Inventor
한민철
송영우
한천구
조만기
이홍규
이순재
Original Assignee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동원레미콘 청주공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동원레미콘 청주공장 filed Critical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33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5709B1/ko
Publication of KR20170035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51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57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57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5/00Apparatus or methods for producing mixtures of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e.g. slurries, mortars, porous or fibrous compositions
    • B28C5/003Methods for mix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7/00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pparatus for producing mixtures of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Supplying or proportioning the ingredients for mixing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Discharging the mixture
    • B28C7/04Supplying or proportioning the ingredients
    • B28C7/0481Plant for proportioning, supplying or batching

Abstract

본 발명 일반굵은골재와 폐골재에서 채굴된 순환 굵은골재를 혼합하여 콘크리트를 제조하는 제조방법에 있어서, 설정된 크기의 순환 굵은골재를 선별하는 순환 굵은골재 선별단계; 상기 순환 굵은골재 선별단계에서 선별된 순환 굵은골재와 일반 굵은골재를 혼합하는 굵은골재 혼합단계; 상기 굵은골재 혼합단계를 거쳐 혼합된 굵은골재와 잔골재, 시멘트, 물 및 AE 감수제를 계량하여 혼합탱크에 투입하는 계량 투입단계; 및 상기 계량 투입단계를 통해 상기 혼합탱크에 투입된 재료들을 혼합하는 재료 혼합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기존 13~25 mm 굵은골재만 단독사용하는 콘크리트의 품질저하 문제를 경제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13 mm이하 순환 굵은골재를 20~40 % 치환할 경우 골재의 갭 그레이딩 방지로 인해 유동성 개선, 압축강도 향상 및 건조수축 저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순환골재의 활용성 증진으로 환경부하 저감과 저비용으로 콘크리트의 품질을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5~13 mm 순환 굵은골재를 치환하여 제조되는 콘크리트 및 그 제조방법{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CONCRETE IS PREPARED BY REPLACING THE 5 ~ 13 mm COARSE AGGREGATE}
본 발명은 콘크리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배합시 5~13 mm 순환 굵은골재를 13~25 mm 천연골재에 30 % 치환하여 혼합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폐자원의 재순환과 콘크리트의 성능을 개선시키는 5~13 mm 순환 굵은골재를 치환하여 제조되는 콘크리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멘트는 건축, 토목용 구조 재료로서 널리 사용되는 것으로, 재료 구입이 용이하고 압축강도가 크며 내화성이 우수하고 내구성이 좋은 것이 특징이다.
그러나, 시멘트는 철강이나 목재처럼 재사용이 불가능하여 건물이나 교량의 철거시 많은 폐기물을 발생시키고 이에 따른 처리 비용이 날로 증가하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의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골재 자원은 향후 20년 내에 고갈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으며, 남북문제의 주요 의제로 한강하구 개발로 인한 골재자원확보를 추구할 만큼 오늘날의 골재 부족현상은 매우 심각하다.
골재 자원의 특징은 자연으로부터 채취하게 됨으로 자연환경 훼손이라는 문제가 부가적으로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골재 자원문제의 해결방안의 핵심은 기존의 폐콘크리트를 재활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기존의 폐콘크리트는 단순히 파쇄하여 도로보조기층용 또는 성복토용과 같은 매립용으로만 사용되어 왔다. 정부는 1995년 재생골재에 대한 품질기준을 마련하여 재생골재의 품질을 확보하여 콘크리트 제조시 의무적으로 사용하게 함으로서 골재수급문제를 해결하고자 했다.
그러나, 아직까지 이러한 순환골재를 활용하여 건설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대량의 레미콘을 제조하기에는 많은 기술적 문제가 따르게 된다. 특히, 순환골재를 활용하여 배합할 경우 콘크리트 강도확보를 위하여 실리카흄 및 플라이애쉬 및 고성능 혼화제와 같은 고가의 혼화제를 사용하여 배합하게 되므로 가격경쟁에서 뒤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예가 선행기술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8-0022814호 `순환 굵은골재를 이용한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및 그제조방법`에서 개시 되었다.
종래기술은 폐콘크리트로 제조된 순환 굵은골재를 활용하여 건설 구조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순환 굵은골재를 이용한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은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제조방법에 있어서, 제 1단계 : 직경 13~40㎜ 크기의 순환 굵은골재를 선별하는 단계, 제 2단계 : 순환 굵은골재 3.9~ 19.9중량%, 일반 굵은골재 21.3~42.0중량%, 잔골재 36중량%, 시멘트 16중량%, 물 7.0중량% 및 AE 감수제 0.1중량%를 계량 투입하는 단계, 제 3단계 : 상기 투입된 재료를 혼합하는 단계 및 제 4단계 : 레미콘 트럭으로 이동시키거나 직접 현장에서 사용하는 단계로 구성됨으로써, 폐콘크리트로 제조된 순환 굵은골재를 사용함으로써 유한 자원인 골재의 재활용율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연자원인 골재의 채취양을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골채 재취를 위한 환경파괴를 줄일 수 있다.
한국산업규격 기준을 만족할 정도로 충분한 품질이 유지되기 때문에 건설 구조물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격이 저렴하기 때문에 각종 건축 및 토목시공 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레디믹스트 콘크리트는 미립자인 시멘트와 혼화재료를 포함하여 잔골재 및 굵은골재 등 입자크기별 적정비율로 균질하게 혼합되어 제조되는 것이 기본으로 이 경우 구성재료의 크기별 연속입도로 말미암아 콘크리트의 제반 품질이 안정적으로 발현된다.
그런데, 최근 레미콘 제조회사에서는 레미콘 제조시 경제적인 이유로 최대크기 25 mm의 굵은골재 중 13 mm이하 크기의 골재는 아스콘용으로 전용하여 사용하고 실제로는 13~25 mm 크기의 골재만을 사용하는 경우가 상당수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 경우 배합상 13 mm이하 굵은골재의 부족으로 인해 잔골재가 그 부분을 채움으로서 잔골재율이 비정상적으로 높아지게 되며 그로 인해 목표 슬럼프를 만족하기 위한 단위수량의 증가로 이어지게 된다.
이는 건조수축의 증가에 따른 균열발생 증가와 압축강도 저하라는 문제점을 유발하는데, 이러한 비정상적인 골재의 사용에 대한 대응방안이 요구되고 있으나, 실무 레미콘업계에서는 경제적인 이유로 인해 13 mm이하의 골재를 레미콘에 적용하는 것을 기피하는 실정이고, 발주처의 요구조건에 의한 경우에만 부분적으로 연속입도의 골재를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10-2009-0097575호(발명의 명칭: 순환 굵은 골재를 이용한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및 그제조방법)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가격이 비교적 저렴한 순환 굵은골재를 13 mm이하로 입도선별하여 이를 기존 13~25 mm 굵은골재만 사용한 레미콘에 치환 사용할 경우 원재료 크기별 적절한 입도를 유지하여 콘크리트의 품질을 안정화하는 5~13 mm 순환 굵은골재를 치환하여 제조되는 콘크리트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5~13 mm 순환 굵은골재를 치환하여 제조방법은, 일반 굵은골재와 폐골재에서 채굴된 순환 굵은골재를 혼합하여 콘크리트를 제조하는 제조방법에 있어서, 설정된 크기의 순환 굵은골재를 선별하는 순환 굵은골재 선별단계 상기 순환 굵은골재 선별단계에서 선별된 순환 굵은골재와 일반 굵은골재를 혼합하는 굵은골재 혼합단계 상기 굵은골재 혼합단계를 거쳐 혼합된 굵은골재와 잔골재, 시멘트, 물 및 AE감수제를 계량하여 혼합탱크에 투입하는 계량 투입단계 및 상기 계량 투입단계를 통해 상기 혼합탱크에 투입된 재료들을 혼합하는 재료 혼합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순환 굵은골재 선별단계는, 상기 골재거름망을 이용하여 13mm이하의 순환 굵은골재를 선별하고, 상기 굵은골재 혼합단계는, 상기 13mm이하의 순환 굵은골재와 상기 13~25mm 일반 굵은골재를 혼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굵은골재 혼합단계는, 선별된 상기 순환 굵은골재의 치환비율을 설정된 비율로 조정해가면서 일반 굵은골재를 대체하는 치환비율 조정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5~13 mm 순환 굵은골재를 치환하여 제조되는 콘크리트 제조방법에 의해서 제조되는 콘크리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 5~13 mm 순환 굵은골재를 치환하여 제조되는 콘크리트 및 그 제조방법은, 기존 13~25 mm 굵은골재만 단독사용하는 콘크리트의 품질저하 문제를 경제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13 mm이하 순환 굵은골재를 20~40 % 치환할 경우 골재의 갭 그레이딩 방지로 인해 유동성 개선, 압축강도 향상 및 건조수축 저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순환골재의 활용성이 증진되고 환경부하 저감과 저비용으로 콘크리트의 품질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13 mm 이하 순환 굵은골재를 13~25 mm 굵은골재에 10~100 % 까지 치환사용으로 유동성이 증가하고, 공기량은 골재간의 공극충전효과로 인해 감소한다.
또한, 골재간의 연속입도 구성으로 콘크리트 내부에 공극이 감소되어 강도의 향상과 건조수축이 감소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5~13 mm 순환 굵은골재를 치환하여 제조되는 콘크리트 제조방법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5~13 mm 순환 굵은골재를 치환하여 제조되는 콘크리트의 실험계획을 나타낸 테이블 1과 콘크리트 배합사항을 나타낸 테이블 2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시멘트 및 골재의 물리적 성질을 나타낸 테이블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혼화제와 AE제의 물리적 성질을 나타낸 테이블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13~25 mm 부순 굵은골재에 대한 13 mm이하 순환 굵은골재의 치환율을 변화시켜 입도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
도 6은 W/C별 13 mm이하 순환 굵은골재의 치환율 증가에 따른 콘크리트의 슬럼프를 나타낸 그래프.
도 7은 W/C별 13 mm이하 순환 굵은골재의 치환율 증가에 따른 공기량을 나타낸 그래프.
도 8은 13 mm이하 순환 굵은골재의 치환사용에 따른 단위용적 질량을 나타낸 그래프.
도 9는 W/C별 13 mm이하 순환 굵은골재 및 부순 굵은골재의 치환율 증가에 따른 압축강도를 나타낸 그래프.
도 10은 W/C 별로 13 mm 이하 순환 굵은골재 및 부순 굵은골재의 치환율 증가에 따른 건조수축 길이변화율을 나타낸 그래프.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5 ` 13 mm 순환 굵은골재를 혼합하여 제조되는 콘크리트의 제조방법순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시시예에 따른 5 ` 13 mm 순환 굵은골재를 혼합하여 제조되는 콘크리트의 실험계획을 나타낸 테이블 1과 콘크리트 배합사항을 나타낸 테이블 2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시멘트 및 골재의 물리적 성질을 나타낸 테이블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혼화제와 AE제의 물리적 성질을 나타낸 테이블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13~25 mm 부순 굵은골재에 대한 13 mm이하 순환 굵은골재의 치환율을 변화시켜 입도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6은 W/C별 13 mm이하 순환 굵은골재의 치환율 증가에 따른 콘크리트의 슬럼프를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7은 W/C별 13 mm이하 순환 굵은골재의 치환율 증가에 따른 공기량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8은 13 mm이하 순환 굵은골재의 치환사용에 따른 단위용적 질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9는 W/C별 13 mm이하 순환 굵은골재 및 부순 굵은골재의 치환율 증가에 따른 압축강도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10은 W/C 별로 13 mm 이하 순환 굵은골재 및 부순 굵은골재의 치환율 증가에 따른 건조수축 길이변화율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이다.
도 1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먼저, 도 1에 도시된 일반 굵은골재와 폐골재에서 채굴된 순환 굵은골재를 혼합하여 콘크리트를 제조하는 제조방법순서도에 따르면, 본 발명의 콘크리트 제조방법은 순환 굵은골재 선별단계(S100), 굵은골재 혼합단계(S200), 계량 투입단계(S300) 및 재료 혼합단계(S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순환 굵은골재 선별단계(S100)는 골재거름망(200)을 이용하여 설정된 크기의 순환 굵은골재(100)를 선별하는 단계이다.
상기 굵은골재 혼합단계(S200)은 순환 굵은골재 선별단계(S100)에서 선별된 순환 굵은골재(100)와 일반 굵은골재를 혼합하는 단계이다.
상기 계량 투입단계(S300)는 굵은골재 혼합단계(S200)를 거쳐 혼합된 굵은골재와 잔골재, 시멘트, 물 및 AE 감수제를 계량하여 혼합탱크(300)에 투입하는 단계이다.
상기 재료 혼합단계(S300)는 계량 투입단계(S300)를 통해 혼합탱크(300)에 투입된 재료들을 혼합하는 단계이다.
상기 순환 굵은골재 선별단계(S100)는 골재거름망(200)을 이용하여 13mm이하의 순환 굵은골재(100)를 선별할 수 있다.
상기 굵은골재 혼합단계(S200)는 13mm이하의 순환 굵은골재(100)와 13~25mm 일반 굵은골재를 혼합할 수 있다.
상기 굵은골재 혼합단계(S200)는 선별된 순환 굵은골재(100)의 치환비율을 설정된 비율로 조정해가면서 일반 굵은골재를 대체하는 치환비율 조정단계(S2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제조방법에 의해서 제조되는 콘크리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에서 순환 굵은골재(100)를 채취하기 위해서는 작업자는 폐콘크리트를 해머드릴이나 분쇄기로 분쇄하 사용하였다. 혼화제인 고성능 감수제는 국내산으로 폴리칼본산계, AE제는 역시 국내산으로 음이온계를 사용하였는데, 각각의 물리적 성질은 도 3 및 4와 같다.
본 발명의 실험방법으로는 콘크리트 혼합은 강제식 팬타입 믹서를 사용하여 혼합하였다.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실험으로 슬럼프, 공기량 및 단위용적질량은 각각 KS F 2402, 2421, 2409 규정에 의거하여 실시하였다.
경화 콘크리트 실험으로 압축강도 및 건조수축 길이변화율은 각각 KS F 2405, 2424 규정에 의거하여 실시하였다.
13mm 이하 순환골재 치환에 따른 골재 입도 변화를 주면서 실험한 결과 도 5는 13~25 mm 부순 굵은골재에 대한 13 mm이하 순환 굵은골재(100)의 치환율을 변화시켜 입도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13 mm이하 순환 굵은골재(100)를 치환하지 않은 플레인 배합에서는 KS F 2526에 만족하는 입도를 나타내고 있지만, 미립자의 부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에, 13 mm이하 순환 굵은골재(100)의 치환율이 증가할수록 미립자가 보충되며 연속입도 분포가 유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특성에 대해서 도 6은 W/C별 13 mm이하 순환 굵은골재(100)의 치환율 증가에 따른 콘크리트의 슬럼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전반적으로 W/C에 관계없이 13 mm이하 순환 굵은골재(100)의 치환율이 증가할수록 플레인 배합보다 슬럼프가 다소 증가하는 경향으로 나타났고, 치환율 20 %에서 가장 높은 슬럼프를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당초 순환 굵은골재(100)의 치환율이 증가할 경우 골재에 부착되어 있는 미립분 및 높은 흡수율에 의해 유동성의 저하를 예상하였지만, 13 mm이하 순환 굵은골재(100)의 100 % 치환을 제외하고 목표 범위를 만족하며 치환율이 증가함에도 큰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13 mm이하 순환 굵은골재(100)가 치환됨에 따라 골재의 연속입도분포가 이루어지고 최밀 충전이 됨에 따라 슬럼프가 저하하지 않는 것으로 사료된다. 한편 13 mm이하 순환 굵은골재(100)의 치환과 성능비교를 위하여 동일 크기 부순 굵은골재를 20, 40 % 치환한 경우도 13~25 mm 부순 굵은골재만을 사용한 플레인 배합에 비하여 슬럼프가 다소 증가하며 13 mm이하 순환 굵은골재(100)를 사용한 경우와 비교하여 유사하거나 다소 높은 값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국, 13 mm이하 굵은골재를 치환함에 따라 골재의 종류에 관계없이 슬럼프는 13~25 mm 굵은골재만 사용한 경우에 비해 연속입도에 의한 공극감소 및 최밀 충전효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콘크리트 중 골재의 연속입도 유지가 중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7은 W/C별 13 mm이하 순환 굵은골재(100)의 치환율 증가에 따른 공기량을 나타낸 것이다. 전반적으로 W/C에 관계없이 13 mm이하 순환 굵은골재(100)의 치환율이 증가할수록 공기량은 플레인에 비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13 mm이하 순환 굵은골재(100)가 치환됨에 따라 콘크리트 내부에 굵은골재간의 연속입자 분포를 유지하게 되고 이로 인해 공극률 감소 및 최밀 충전으로 인해 콘크리트의 공기량이 감소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13 mm이하 순환 굵은골재(100)의 치환율 50 %이상에서는 굵은골재간의 연속입도량 증가와 순환골재 자체의 공극함유로 인해 공기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한편, 13 mm이하 부순 굵은골재를 20, 40 % 치환한 경우 플레인에 비해 역시 공기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동일 크기의 순환 굵은골재(100)를 동일량 치환한 경우와 비교하여 공기량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골재 연속입도에 의한 최밀 충전 및 순환 굵은골재(100) 표면의 미세 공극으로 인해 나타난 결과로 사료된다.
한편, 도 8은 13 mm이하 순환 굵은골재(100)의 치환사용에 따른 단위용적 질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전반적으로 공기량과 마찬가지로 W/C와 관계없이 공기량의 영향으로 공기량이 감소하면 단위용적질량이 큰 차이는 아니지만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본 발명의 실험에 따른 경화 콘크리트의 특성으로 도 9는 W/C별 13 mm이하 순환 굵은골재(100) 및 부순 굵은골재 치환율 증가에 따른 압축강도를 나타낸 것이다. 전반적으로 13 mm이하 순환 굵은골재(100)의 치환율이 증가함에 따라 플레인 배합보다 증가 또는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13 mm이하 순환굵은골재(100)의 치환율 30 %에서는 W/C 상관없이 재령 56일에서 플레인 배합에 비하여 약 3 MPa정도 높은 압축강도를 나타냈다. 이는 당초, 순환골재 자체의 낮은 품질로 인해 압축강도의 저하를 예상하였지만, 13 mm 순환 굵은골재(100)가 13~25 mm 부순 굵은골재에 치환됨에 따라 공기량의 감소와 굵은골재의 연속입자분포의 구성으로 콘크리트 내부의 공극이 밀실하게 채워짐으로 순환골재를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압축강도가 증가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13 mm이하 부순 굵은골재를 20 % 와 40 % 치환한 경우 도 8에서 볼 수 있듯이 플레인보다 높은 압축강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동일 치환율에서의 순환 굵은골재(100) 치환 콘크리트와 비교할 경우 전반적으로 유사하거나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었다.
이는 결국 13 mm이하 굵은골재를 치환하여 연속입도가 구현되면 순환 굵은골재(100)를 사용한 콘크리트도 압축강도가 부순 굵은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 수준에 도달할 수 있고 더욱이 13~25 mm 굵은골재만을 사용한 콘크리트보다 10 %이상 높은 강도를 발휘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향후 13 mm이하 순환 굵은골재(100)를 적정량 치환할 경우 현행 13~25 mm 굵은골재만 사용한 콘크리트에 비해 압축강도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도 10은 W/C 별로 13 mm 이하 순환 굵은골재(100) 및 부순 굵은골재 치환율 증가에 따른 건조수축 길이변화율을 나타낸 것이다.
13 mm이하 부순 굵은골재를 20, 40 % 치환한 경우 건조수축 길이변화율은 플레인 배합에 비하여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동일 치환율의 13 mm이하 순환굵은골재(100)를 사용한 경우와 비교할 경우 감소하거나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을 종합하면, 기존에 경제성 차원에서 13~25 mm 굵은골재만으로 콘크리트를 제조하는 경우 불연속입도분포에 의한 품질저하 현상을 13 mm이하 순환 굵은골재를 20~40 % 내외로 치환할 경우 연속입도 및 최밀 충전효과에 기인한 유동성 개선, 압축강도 향상 및 건조수축의 감소 등 전반적인 품질향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청구항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변형이나 변경 실시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0 : 순환 굵은골재
200 : 골재거름망
300 : 혼합탱크

Claims (4)

  1. 일반굵은골재와 폐골재에서 채굴된 순환 굵은골재를 혼합하여 콘크리트를 제조하는 제조방법에 있어서,
    설정된 크기의 순환 굵은골재를 선별하는 순환 굵은골재 선별단계;
    상기 순환 굵은골재 선별단계에서 선별된 순환 굵은골재와 일반 굵은골재를 혼합하는 굵은골재 혼합단계;
    상기 굵은골재 혼합단계를 거쳐 혼합된 굵은골재와 잔골재, 시멘트, 물 및 AE 감수제를 계량하여 혼합탱크에 투입하는 계량 투입단계; 및
    상기 계량 투입단계를 통해 상기 혼합탱크에 투입된 재료들을 혼합하는 재료 혼합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5~13 mm 순환 굵은골재를 치환하여 제조되는 콘크리트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순환 굵은골재 선별단계는,
    상기 골재거름망을 이용하여 13mm이하의 순환 굵은골재를 선별하고,
    상기 굵은골재 혼합단계는,
    상기 13mm이하의 순환 굵은골재와 상기 13~25mm 일반 굵은골재를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5~13 mm 순환 굵은골재를 치환하여 제조되는 콘크리트 제조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굵은골재 혼합단계는,
    선별된 상기 순환굵은골재의 치환비율을 설정된 비율로 조정해가면서 일반굵은골재를 대체하는 치환비율 조정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5~13 mm 순환 굵은골재를 치환하여 제조되는 콘크리트 제조방법.
  4. 청구항 1 내지 3 중의 어느 한 항에 의한 제조방법에 의해서 제조되는 콘크리트.
KR1020150133752A 2015-09-22 2015-09-22 5~13 mm 순환 굵은골재를 혼합하여 제조되는 콘크리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7857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3752A KR101785709B1 (ko) 2015-09-22 2015-09-22 5~13 mm 순환 굵은골재를 혼합하여 제조되는 콘크리트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3752A KR101785709B1 (ko) 2015-09-22 2015-09-22 5~13 mm 순환 굵은골재를 혼합하여 제조되는 콘크리트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5102A true KR20170035102A (ko) 2017-03-30
KR101785709B1 KR101785709B1 (ko) 2017-11-15

Family

ID=58503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3752A KR101785709B1 (ko) 2015-09-22 2015-09-22 5~13 mm 순환 굵은골재를 혼합하여 제조되는 콘크리트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570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6168A (ko) 2017-08-07 2019-02-18 민원 단위용적질량을 이용한 건설폐기물 선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순환골재 생산방법
KR20190032927A (ko) 2017-09-20 2019-03-28 현대환경(주) 골재의 단위용적질량과 생산량 동시 측정장치를 이용한 순환골재 생산방법
KR20220003490A (ko) * 2019-12-10 2022-01-10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eNi 괴재슬래그 재활용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7575A (ko) 2008-03-12 2009-09-16 충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순환 굵은 골재를 이용한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및 그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1789B1 (ko) 2007-02-13 2008-06-27 주식회사 석진레미콘 국문 : 구조용 항균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제조방법
KR100975671B1 (ko) * 2010-05-13 2010-08-17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저탄소 혼합시멘트, 기능성 진사토, 친수성 단섬유 신소재, 경관명색용 안료 및 무기계수용액과 보강용 매쉬를 이용한 고내구성 친환경 투수성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투수성 포장의 제조방법
KR101366003B1 (ko) 2013-04-26 2014-02-25 한일에코산업 주식회사 무시멘트 결합재를 사용한 콘크리트 블록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7575A (ko) 2008-03-12 2009-09-16 충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순환 굵은 골재를 이용한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및 그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6168A (ko) 2017-08-07 2019-02-18 민원 단위용적질량을 이용한 건설폐기물 선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순환골재 생산방법
KR20190032927A (ko) 2017-09-20 2019-03-28 현대환경(주) 골재의 단위용적질량과 생산량 동시 측정장치를 이용한 순환골재 생산방법
KR20220003490A (ko) * 2019-12-10 2022-01-10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eNi 괴재슬래그 재활용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5709B1 (ko) 2017-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slani et al. Experimental investigation into the properties of self‐compacting rubberised concrete incorporating polypropylene and steel fibers
Granata Pumice powder as filler of self-compacting concrete
Lee et al. Evaluation of pre-coated recycled concrete aggregate for hot mix asphalt
Nepomuceno et al. Methodology for the mix design of self-compacting concrete using different mineral additions in binary blends of powders
Hanumesh et al. Influence of polypropylene fibres on recycled aggregate concrete
Obla et al. Crushed returned concrete as aggregates for new concrete
CN106167371A (zh) 一种特细砂水工大体积常态混凝土
KR101785709B1 (ko) 5~13 mm 순환 굵은골재를 혼합하여 제조되는 콘크리트 및 그 제조방법
Ozioko et al. Effect of fine aggregate types on the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Jose et al. Characteristics of concrete containing waste foundry sand and slag sand
Saraswathy et al. Valorization of crushed glass as a potential replacement for sand in cement stabilized fly ash bricks
Ogar The effects of recycled aggregates on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Kamaruddin Self-Compacting concrete with incorporation of recycled concrete aggregates
Sayahi et al. Effect of steel fibres extracted from recycled tyres on plastic shrinkage cracking in self-compacting concrete
Prathima et al. Optimum utilization of alternate material for aggregates—An approach for waste management in urban areas for sustainability
Sri Rama Chand et al. Mix model for self-compacting concrete with recycled aggregate
Alsadey Properties of concrete using crushed brick as coarse aggregate
Soni et al. Sustainable mortar mix using recycled fines obtained from construction and demolition waste
Karthik et al. Determination of properties and environment due to the usage of Flyash and Marble waste Powder in concrete
Han et al. Self-compacting concrete
Molla Concrete with Recycled Fine Aggregate (RFA) and Manufactured Sand (MS): Compressive Strength and Cost
Sam et al. Self compacting concrete with recycled coarse aggregates
Afrifa et al. Performance of Concrete Using Shredded Waste Plastics as Replacement for Coarse Aggregate
Valle et al. Use of recycled aggregates from civil construction in self-compacting mortar
Tomar et al. Strength chracteristics of self-compacting concrete partially replaced with waste marble pow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