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5031A - 업무용 메신저 서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업무용 메신저 시스템 - Google Patents

업무용 메신저 서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업무용 메신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5031A
KR20170035031A KR1020150133532A KR20150133532A KR20170035031A KR 20170035031 A KR20170035031 A KR 20170035031A KR 1020150133532 A KR1020150133532 A KR 1020150133532A KR 20150133532 A KR20150133532 A KR 20150133532A KR 20170035031 A KR20170035031 A KR 201700350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enger
module
organization
business
employ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3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67958B1 (ko
Inventor
심현숙
김병구
Original Assignee
주이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이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335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7958B1/ko
Publication of KR201700350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50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79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79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50/3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4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업무용 메신저 서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업무용 메신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메신저가 동작하도록 하는 메신저동작부, 인증된 사용자만이 메신저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인증부, 메신저동작부에 의하여 전송되는 텍스트, 파일 등을 보안처리하는 보안처리부가 하나의 하드웨어 내에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여, 일체로 형성된 메신저 서버장치만을 설치하면 기업 내 메신저 시스템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메신저 프로그램, 보안 솔루션 등을 구매, 설치할 필요없이 업무용 메신저 시스템이 매우 저렴한 비용으로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고, 기업의 조직도를 메신저와 연동시키는 조직도연계부를 포함하여, 조직도에 포함된 사용자만이 메신저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해당 기업에 특화되고 보안성이 강화된 업무용 메신저 시스템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업무용 메신저 서버장치 및 업무용 메신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업무용 메신저 서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업무용 메신저 시스템{A Messenger Server Device for Business Use and a Messenger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업무용 메신저 서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업무용 메신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메신저가 동작하도록 하는 메신저동작부, 인증된 사용자만이 메신저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인증부, 메신저동작부에 의하여 전송되는 텍스트, 파일 등을 보안처리하는 보안처리부가 하나의 하드웨어 내에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여, 일체로 형성된 메신저 서버장치만을 설치하면 기업 내 메신저 시스템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메신저 프로그램, 보안 솔루션 등을 구매, 설치할 필요없이 업무용 메신저 시스템이 매우 저렴한 비용으로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고, 기업의 조직도를 메신저와 연동시키는 조직도연계부를 포함하여, 조직도에 포함된 사용자만이 메신저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해당 기업에 특화되고 보안성이 강화된 업무용 메신저 시스템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업무용 메신저 서버장치 및 업무용 메신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네트워크 통신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하고, 멀티미디어 기술이 다양화되면서 네트워크를 통한 다양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이 가능해지고 있다. 또한, 인터넷의 활용이 대중화되면서 인터넷을 통하여 정보의 송수신이 가능한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제공되고 있으며, 이러한 프로그램 중 하나가 채팅시스템을 이용한 메신저 프로그램이다.
메신저 프로그램은 일반적인 채팅창에서 상대와의 의사전달을 위한 기본적인 메신저 기능을 제공하는 기본 메신저로부터 파일전달, 공유 등의 부가기능과 멀티미디어 기능이 탑재된 메신저까지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기업에서도 대부분 메신저를 통하여 사내 업무의 처리가 가능하도록 하고 있으며, 단순한 텍스트 전송 외에도 그룹 채팅, 문서, 사진 등의 파일 전송 등이 가능하도록 한다. 최근에는 스마트폰의 보급이 보편화 됨에 따라 핸드폰에 탑재된 전화나 문자 서비스 이외에도 카카오톡, 라인, 마이피플 등의 민간 메신저를 설치하여 직원들간의 대화, 회의 및 파일 전송 등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아래 특허문헌과 같이 다양한 민간 메신저를 통합 활용하기 위한 기술도 개발되었으나, 최근 민간 메신저의 보안에 관한 취약성이 사회 문제로 대두되면서 기업들은 민간 메신저의 사용을 제한하고 있으며, 국가, 공공기관에서도 공무원들의 민간 메신저, 밴드 등의 프로그램의 사용을 제한하기 시작하였다.
따라서, 기업, 공공기관 등에서는 민간 메신저를 대체하여 직원들간의 소통 및 업무처리가 원활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도 보안성을 확보할 수 있는 메신저 시스템의 개발 및 설치가 시급한 상황이나, 각 기업 또는 공공기관들이 이러한 메신저 시스템을 개발하여 설치하기 위해서는 메신저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개별적인 보안 솔루션들을 각각 구입하여 설치하여야 하므로, 메신저 시스템의 설치를 위해 막대한 비용을 투자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어, 대기업을 제외한 중소기업들은 보안이 취약한 민간 메신저를 계속 사용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특허문헌)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85634호(2014. 07. 08. 공개)"다수의 메신저를 통합한 통합 메신저"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메신저가 동작하도록 하는 메신저동작부, 인증된 사용자만이 메신저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인증부, 메신저동작부에 의하여 전송되는 텍스트, 파일 등을 보안처리하는 보안처리부가 하나의 하드웨어 내에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여, 일체로 형성된 메신저 서버장치만을 설치하면 기업 내 메신저 시스템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메신저 프로그램, 보안 솔루션 등을 구매, 설치할 필요없이 업무용 메신저 시스템이 매우 저렴한 비용으로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업무용 메신저 서버장치 및 업무용 메신저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기업의 조직도를 메신저와 연동시키는 조직도연계부를 포함하여, 조직도에 포함된 사용자만이 메신저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해당 기업에 특화되고 보안성이 강화된 업무용 메신저 시스템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업무용 메신저 서버장치 및 업무용 메신저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조직도정보에 따라 부서와 부서별 직원목록을 표시하도록 하여 대화 또는 업무를 처리하고자 하는 직원을 쉽게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업무용 메신저 서버장치 및 업무용 메신저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대화상대로 초대된 직원에게 초대알림을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신속한 대화 또는 업무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업무용 메신저 서버장치 및 업무용 메신저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조직도정보에 포함된 직원 중 메신저에 가입하지 않은 직원을 초대할 수 있도록 하여 모든 직원을 통합하여 메신저를 통한 대화 및 업무처리 등이 가능하도록 하는 업무용 메신저 서버장치 및 업무용 메신저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 내에서 대화내용 및 파일 등의 암호화처리가 이루어 지도록 하고, 전달되는 대화내용 및 파일 등이 암호화되어 저장되도록 하며, 메신저를 통해 첨부되는 문서를 이미지화하도록 하고,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 캡쳐를 방지하도록 하여 업무용 메신저 서버장치만으로 메신저의 보안성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하는 업무용 메신저 서버장치 및 업무용 메신저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업무용 메신저 서버장치는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텍스트, 파일 등의 전송이 가능한 메신저가 동작하도록 하는 메신저동작부와,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사용자를 인증하여 인증된 사용자만이 메신저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인증부와, 상기 메신저동작부에 의하여 전송되는 텍스트, 파일 등을 보안처리하는 보안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신저동작부, 사용자인증부, 보안처리부는 하나의 하드웨어 내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업무용 메신저 서버장치는 상기 업무용 메신저를 사용하는 기업의 조직도를 메신저와 연동시키는 조직도연계부를 포함하여 조직도에 포함된 사용자만이 메신저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조직도연계부는 조직도정보를 수신하는 조직도정보수신모듈과, 상기 조직도정보수신모듈에 의하여 수시된 조직도정보를 저장하는 조직도정보저장모듈과, 상기 조직도정보저장모듈에 의하여 저장된 조직도정보를 상기 메신저에 적용하도록 하는 조직도정보적용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업무용 메신저 서버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신저동작부는 사용자단말기에 대화방을 제공하는 대화방제공부와, 조직도에 포함된 직원을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직원검색부를 포함하고, 상기 직원검색부는 상기 조직도정보에 따라 부서의 목록을 사용자단말기에 표시하는 부서목록표시모듈과, 상기 부서목록표시모듈에 의하여 표시된 부서를 선택하면 해당 부서의 직원목록을 표시하는 부서별직원표시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업무용 메신저 서버장치에 있어서, 상기 대화방제공부는 사용자단말기에 대화방을 생성하는 대화방생성모듈과, 상기 대화방생성모듈에 의해 생성된 대화방으로 상기 조직도정보에 포함된 직원을 초대하는 대화방초대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대화방초대모듈은 상기 조직도정보에 따라 부서 및 부서별직원을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하는 조직도표시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업무용 메신저 서버장치에 있어서, 상기 대화방초대모듈은 상기 조직도표시모듈에 의하여 표시된 직원목록에서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직원을 표시하는 초대상대표시모듈과, 상기 초대상대표시모듈에 의하여 표시된 직원에게 초대알림을 보내도록 하는 초대알림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업무용 메신저 서버장치에 있어서, 상기 직원검색부는 상기 조직도정보에 포함된 직원 중 상기 메신저에 가입하지 않은 직원을 초대하는 회원초대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업무용 메신저 서버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안처리부는 사용자단말기 내에서 대화내용 및 파일 등의 암호화처리가 이루어져 전달되도록 하는 구간보안모듈과, 전달되는 대화내용 및 파일 등이 암호화되어 저장되도록 하는 암호화저장모듈과, 상기 메신저를 통해 첨부되는 문서를 이미지화하는 문서변환모듈과, 사용자단말기의 화면 캡쳐를 방지하는 화면캡쳐방지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업무용 메신저 시스템은 사용자단말기에 업무용 메신저를 제공하는 업무용 메신저 서버장치, 상기 업무용 메신저 서버장치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메신저가 실행되는 사용자단말기, 상기 업무용 메신저 서버장치와 연결되어 메신저의 사용상태를 확인하고 조직도정보를 입력하는 관리자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단말기는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단말기와, 컴퓨터 등의 웹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메신저가 동작하도록 하는 메신저동작부, 인증된 사용자만이 메신저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인증부, 메신저동작부에 의하여 전송되는 텍스트, 파일 등을 보안처리하는 보안처리부가 하나의 하드웨어 내에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여, 일체로 형성된 메신저 서버장치만을 설치하면 기업 내 메신저 시스템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메신저 프로그램, 보안 솔루션 등을 구매, 설치할 필요없이 업무용 메신저 시스템이 매우 저렴한 비용으로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기업의 조직도를 메신저와 연동시키는 조직도연계부를 포함하여, 조직도에 포함된 사용자만이 메신저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해당 기업에 특화되고 보안성이 강화된 업무용 메신저 시스템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조직도정보에 따라 부서와 부서별 직원목록을 표시하도록 하여 대화 또는 업무를 처리하고자 하는 직원을 쉽게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대화상대로 초대된 직원에게 초대알림을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신속한 대화 또는 업무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조직도정보에 포함된 직원 중 메신저에 가입하지 않은 직원을 초대할 수 있도록 하여 모든 직원을 통합하여 메신저를 통한 대화 및 업무처리 등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 내에서 대화내용 및 파일 등의 암호화처리가 이루어 지도록 하고, 전달되는 대화내용 및 파일 등이 암호화되어 저장되도록 하며, 메신저를 통해 첨부되는 문서를 이미지화하도록 하고,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 캡쳐를 방지하도록 하여 업무용 메신저 서버장치만으로 메신저의 보안성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무용 메신저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업무용 메신저 서버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3은 도 2의 메신저동작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4는 도 3의 대화방제공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5는 도 4의 대화방초대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6은 도 3의 직원검색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7은 도 2의 조직도연계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8은 도 2의 보안처리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9는 도 1의 모바일단말기의 초기화면을 나타내는 참고도
도 10은 도 1의 모바일단말기의 대화방 화면을 나타내는 참고도
도 11은 도 1의 모바일단말기의 즐겨찾기 화면을 나타내는 참고도
도 12는 도 1의 모바일단말기의 대화초대 화면을 나타내는 참고도
도 13은 도 1의 모바일단말기의 직원검색 화면을 나타내는 참고도
도 14는 도 1의 모바일단말기의 직원표시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15는 도 1의 웹단말기의 메신저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업무용 메신저 시스템의 구성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업무용 메신저 서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업무용 메신저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무용 메신저 시스템을 도 1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업무용 메신저 시스템은 사용자단말기(3)에 업무용 메신저를 제공하는 업무용 메신저 서버장치(1), 상기 업무용 메신저 서버장치(1)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메신저가 실행되는 사용자단말기(3), 상기 업무용 메신저 서버장치(1)와 연결되어 메신저의 사용상태를 확인하고 조직도정보를 입력하는 관리자단말기(5)를 포함한다. 상기 업무용 메신저 시스템은 일체로 형성되는 상기 업무용 메신저 서버장치(1)를 중심으로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단말기(31)와, PC 등의 웹단말기(32) 등이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모바일단말기(31), 웹단말기(32) 등의 사용자단말기(3)를 통해 메신저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모바일단말기(31) 및 웹단말기(32)의 메신저화면은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모바일단말기(31)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메신저라 함은 사용자단말기(3)를 통해 접속한 사람들 간에 텍스트의 전송을 통한 대화, 문서, 사진 등의 파일 전송, 음성통화 등이 가능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으로, 종래에는 스마트폰, PC 등에 메신저 프로그램이나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사용하였다. 앞서 배경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최근에는 기업들이 신속한 업무처리와 회의 등을 위하여 메신저를 적극 활용하고 있으나 메신저의 보안 문제가 사회문제로 부각되면서 민간 메신저의 사용이 제한되고 있으며, 국가 및 공공기관의 공무원들도 민간 메신저의 사용이 금지되었다. 따라서, 기업들은 보안이 강화된 자체적인 메신저 시스템의 설치를 강구하고 있으나, 메신저 시스템의 설치를 위해서는 메신저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다양한 종류의 보안 솔루션들을 개별적으로 구입하여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메신저 시스템의 설치를 위해 막대한 비용이 소모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대기업을 제외한 중소기업들은 민간 메신저의 사용을 계속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보안 문제가 심각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업무용 메신저 시스템은 메신저 프로그램과 각종 보안솔루션들이 일체로 형성된 업무용 메신저 서버장치(1)를 개발하여 업무용 메신저 시스템의 단가를 획기적으로 낮추고 업무용 메신저 시스템의 설치가 매우 용이하도록 하였다. 본 발명을 통하여 기업들은 매우 저렴한 비용으로 상기 메신저 서버장치(1)를 구입하고, 상기 업무용 메신저 서버장치(1)만을 일정 장소에 설치함으로써 업무용 메신저 시스템의 설치를 완료할 수 있으며, 상기 업무용 메신저 서버장치(1)에 대한 외부인의 접근을 차단함으로써 업우용 메신저 시스템의 보안성을 더욱 강화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업무용 메신저 시스템은 해당 기업의 조직도를 연계하여 메신저가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외부인의 접근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고, 직원들간의 메신저 사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업무용 메신저 서버장치(1)는 메신저 프로그램과 보안솔루션 등이 일체로 형성된 하나의 하드웨어 장치로, 스마트폰 등의 사용자단말기(3)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업무용 메신저를 제공하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업무용 메신저 서버장치(1)의 설치만으로 기업 내 업무용 메신저 시스템의 설치가 완료되도록 한다. 상기 업무용 메신저 서버장치(1)는 메신저 시스템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숫자에 따라 복수개가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업무용 메신저 서버장치(1)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신저 기능 외에 소모임 등을 구성하거나 공지사항을 게시하는 기능을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업무용 메신저 서버장치(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단말기(3)에 텍스트, 파일 등의 전송이 가능한 메신저가 동작하도록 하는 메신저동작부(11)와, 메신저에 기업의 조직도를 연계시키는 조직도연계부(12)와, 상기 사용자단말기(3)의 사용자를 인증하여 인증된 사용자만이 메신저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인증부(13)와, 상기 메신저동작부(11)에 의하여 전송되는 텍스트, 파일 등을 보안처리하는 보안처리부(14)와, 상기 사용자단말기(3)에 알림메시지를 전송하는 푸시알림부(15)와, 조직도정보 등의 각종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16)를 포함한다.
상기 메신저동작부(11)는 상기 사용자단말기(3)를 통하여 메신저가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조직도연계부(12)에 의해 연동된 조직도정보를 이용하여 메신저가 동작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메신저동작부(11)는 상기 사용자단말기(3)에 메신저화면(311,321)을 제공하며, 텍스트, 파일 등의 전송 등이 가능하도록 하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단말기(3)에 대화방을 제공하는 대화방제공부(111)와, 조직도에 포함된 직원을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직원검색부(112)와, 즐겨찾기를 제공하는 즐겨찾기제공부(113)를 포함한다.
상기 대화방제공부(111)는 상기 사용자단말기(3)에 대화방을 생성하여 대화에 참여한 직원들간에 대화 및 파일의 전송 등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단말기(3)에 대화방을 생성하는 대화방생성모듈(111a)과, 상기 대화방생성모듈(111a)에 의하여 생성된 대화방목록을 생성하는 대화방목록생성모듈(111b)과, 상기 대화방생성모듈(111a)에 의해 생성된 대화방으로 상기 조직도정보에 포함된 직원을 초대하는 대화방초대모듈(111c)과, 대화방에 텍스트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대화입력모듈(111d)과, 입력된 텍스트가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는 대화표시모듈(111e)과, 파일이 첨부되도록 하는 파일첨부모듈(111f)을 포함한다.
상기 대화방생성모듈(111a)은 사용자 간에 텍스트의 전송을 통한 대화, 파일의 첨부 등이 가능한 대화방을 생성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단말기(3)의 초기화면(311a)에서 대화방생성영역(311a-2)을 선택함으로써 실행되도록 할 수 있으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대화방화면(311b)을 생성한다.
상기 대화방목록생성모듈(111b)은 상기 대화방생성모듈(111a)에 의하여 대화방이 생성되면, 생성된 대화방의 정보를 대화방목록으로 생성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사용자가 생성된 대화방을 나오더라도 대화방목록에 저장되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단말기(3)의 초기화면(311a)에 표시되어 추후 대화방 생성이 용이하도록 한다.
상기 대화방초대모듈(111c)은 생성된 대화방에 새로운 사용자를 초대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대화방생성모듈(111a)에 의한 대화방 생성시 초대하고자 하는 사용자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으며, 대화방화면에서 별도의 아이콘(미도시)을 클릭하여 선택하도록 할 수도 있고,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단말기(3)에 대화초대화면(311d)을 표시하여 초대하고자 하는 직원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대화방초대모듈(111c)은 상기 조직도연계부(12)에 의하여 연계된 조직도정보에 따라 초대하고자 하는 직원을 찾을 수 있으며, 직접 직원의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등으로 검색을 하도록 할 수도 있고, 상기 즐겨찾기제공부(113)에 의해 저장된 직원 중에서 선택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대화방초대모듈(111c)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직도정보에 따라 부서 및 부서별직원을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하는 조직도표시모듈(111c-1), 즐겨찾기된 직원을 표시하는 즐겨찾기표시모듈(111c-2), 직접 직원을 검색하는 직원검색모듈(111c-3), 선택된 초대상대를 표시하는 초대상대표시모듈(111c-4), 상기 초대상대표시모듈에 의하여 표시된 직원에게 초대알림을 보내도록 하는 초대알림모듈(111c-5)을 포함한다.
상기 조직도표시모듈(111c-1)은 상기 조직도연계부(12)에 의하여 연계된 조직도정보에 따라 직원들의 목록을 표시하여 초대하고자 하는 직원의 검색이 용이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조직도정보에 따른 부서를 표시하는 부서목록표시모듈(111c-1')과, 각 부서에 따른 직원들의 목록을 표시하는 부서별직원표시모듈(111c-1'')을 포함하며, 직원검색부(112)에 의한 화면과 동일하게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서목록표시모듈(111c-1')에 의해 각 부서가 표시되고, 사용자가 부서를 선택하면 해당 부서의 직원목록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사진 등의 정보와 함께 사용자단말기(3)에 표시된다.
상기 즐겨찾기표시모듈(111c-2)은 상기 즐겨찾기제공부(113)에 의하여 즐겨찾기된 직원의 목록을 대화초대화면(311d)에 표시하여, 즐겨찾기된 직원의 대화 초대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직원검색모듈(111c-3)은 초대하고자 하는 직원의 이름, 전화번호 등을 이용하여 직접 초대하고자 하는 직원을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화초대화면(311d)에 검색영역(311d-3)을 제공하고, 입력된 내용에 따라 직원의 검색이 이루어져 결과가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초대상대표시모듈(111c-4)은 상기 조직도표시모듈(111c-1), 즐겨찾기표시모듈(111c-2), 직원검색모듈(111c-3)에 의하여 표시된 목록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직원을 표시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대하기 위해 선택된 직원의 목록이 대화초대화면(311d)의 선택대화상대표시영역(311d-2)에 표시되도록 한다.
상기 초대알림모듈(111c-5)은 사용자가 초대할 상대를 모두 선택한 후,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화초대화면(311d)의 선택확인영역(311d-6)을 터치하거나 클릭하면, 초대된 직원에게 알림메시지를 발송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푸시알림부(15)를 통하여 스마트폰 등의 문자메시지를 이용하지 않고 알림메시지가 전송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대화입력모듈(111d)은 사용자가 대화방을 통해 텍스트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도 10의 (a) 내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화입력영역(311b-1)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텍스트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대화표시모듈(111e)은 사용자가 상기 대화입력모듈(111d)에 의해 제공된 대화입력영역(311b-1)에 텍스트를 입력하여 전송하면, 대화방화면(311b)에 해당텍스트가 표시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사용자 간의 대화가 가능하도록 하며, 도 10의 (a) 내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화표시영역(311b-2)에 전송된 텍스트가 표시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대화표시모듈(111e)에 의하여 표시되는 텍스트는 후술할 구간보안모듈(141)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3) 내에서 암호화가 이루어져 전송되도록 한다.
상기 파일첨부모듈(111f)은 사용자가 문서, 사진 등의 파일을 첨부하여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사진을 첨부하도록 하는 사진첨부모듈(111f-1), 직접 카메라로 촬영하여 사진을 첨부하도록 하는 카메라촬영모듈(111f-2), 문서를 첨부하도록 하는 문서첨부모듈(111f-3)을 포함한다.
상기 사진첨부모듈(111f-1)은 도 10의(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단말기(3)의 대화방화면(311b)에서 사진첨부영역(311b-3)이 선택되어 사용자가 사진파일을 첨부할 경우 해당 사진을 첨부하여 전송하도록 하며, 해당 사진 파일 역시 후술할 구간보안모듈(141)에 의해 사용자단말기(3)에서 암호화되어 전송되고, 또한, 후술할 암호화저장모듈(142)에 의해 암호화되어 데이터베이스(16)에 저장되며, 이에 따라 다른 사용자에 의해 다운로드 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카메라촬영모듈(111f-2)은 도 10의(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화방화면(311b)에서 촬영영역(311b-4)이 선택되면 사용자단말기(3)의 카메라촬영이 실행되며, 촬영된 사진이 첨부되어 전송되도록 한다. 사진 파일의 전송은 상기 사진첨부모듈(111f-1)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상기 문서첨부모듈(111f-3)은 사용자가 대화방에서 문서파일을 첨부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도 10의(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문서첨부영역(311b-5)을 선택하여 문서파일을 첨부하면, 첨부된 문서를 전송하도록 한다. 첨부된 문서는 후술할 문서변환모듈(143)에 의해 이미지 형태로 변환되고, 후술할 구간보안모듈(141)에 의해 암호화되며, 후술할 암호화저장모듈(142)에 의해 암호화되어 저장된다. 또한, 저장된 문서파일은 다른 사용자에 의해 다운로드 될 수 있다.
상기 직원검색부(112)는 조직도정보에 포함된 직원을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사용자단말기(3)의 초기화면(311a)에서 직원검색영역(311a-4)을 선택함으로써 실행되도록 할 수 있으며, 도 13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단말기(3)에 직원검색화면(311e)을 제공함으로써 직원을 검색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직원검색부(112)에 의한 직원의 검색은 상기 조직도연계부(12)에 의하여 연계된 조직도정보를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직원검색부(11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직도정보에 따라 부서의 목록을 사용자단말기(3)에 표시하는 부서목록표시모듈(112a)과, 상기 부서목록표시모듈(112a)에 의하여 표시된 부서를 선택하면 해당 부서의 직원목록을 표시하는 부서별직원표시모듈(112b)과, 상기 부서별직원표시모듈(112b)에 의해 표시된 직원에게 대화를 신청하는 대화신청모듈(112c), 전화를 발신하는 전화걸기모듈(112d), 이메일을 작성하는 이메일작성모듈(112e), 아직 메신저에 가입되지 않은 직원에게 회원으로 초대하는 회원초대모듈(112f)을 포함한다.
상기 부서목록표시모듈(112a)은 상기 조직도연계부(12)에 의하여 연계된 조직도정보에 따라 부서의 목록을 표시하는 구성으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테고리별로 분류된 부서의 목록을 표시하도록 한다.
상기 부서별직원표시모듈(112b)은 부서별 직원의 목록을 표시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사용자가 상기 부서목록표시모듈(112a)에 의해 표시된 부서목록에서 하나를 선택하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부서의 직원목록이 표시된다. 직원목록에는 해당 직원의 이름, 사진, 전화번호, 이메일 등의 정보가 함께 표시되도록 한다.
상기 대화신청모듈(112c)은 해당직원에게 대화를 신청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원검색화면(311e)의 대화신청영역(311e-4)을 선택하면 해당 직원에게 대화가 신청된다. 상기 대화신청모듈(112c)에 의하여 대화가 신청되면 상기 푸시알림부(15)에 의하여 해당 직원에게 초대 메시지가 발송된다.
상기 전화걸기모듈(112d)은 해당직원에게 전화를 걸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부서별직원표시모듈(112b)에 의해 직원의 목록이 표시될 때, 해당 직원의 전화번호를 선택하면 해당 직원에게 전화가 발신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이메일작성모듈(112e)은 해당직원에게 이메일을 작성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부서별직원표시모듈(112b)에 의해 직원의 목록이 표시될 때, 해당 직원의 이메일을 선택하면 해당 직원에게 이메일을 작성하여 발송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회원초대모듈(112f)은 조직도에 포함된 직원 중 아직 메신저 시스템에 가입되지 않은 직원에게 회원 초대 알림을 보내도록 하는 구성으로, 새로운 조직도에 포함된 신입사원 등이 이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회원초대모듈(112f)은 상기 부서별직원표시모듈(112b)에 의해 표시된 직원 중 회원초대영역(311e-3)이 활성화된 직원을 선택함으로써 회원으로 초대할 수 있다. 상기 회원초대모듈(112f)이 실행되면, 상기 푸시알림부(15)를 통해 해당 직원에게 초대 메시지가 발송된다.
상기 즐겨찾기제공부(113)는 자주 대화를 신청하는 직원을 즐겨찾기로 설정하여 별도로 표시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사용자단말기(3)의 초기화면(311a)에서 즐겨찾기선택영역(311a-3)을 선택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즐겨찾기화면(311c)이 표시되며, 즐겨찾기된 직원의 이름, 사진, 전화번호, 이메일 등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직원검색부(112)와 마찬가지로 직원에게 대화를 신청하거나 전화통화, 이메일 등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대화방초대모듈(111c)의 즐겨찾기표시모듈(111c-2)에 의해 즐겨찾기된 직원이 표시되도록 한다.
상기 조직도연계부(12)는 업무용 메신저를 사용하는 기업의 조직도를 메신저와 연동시키는 구성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직도정보를 수신하는 조직도정보수신모듈(121), 상기 조직도정보수신모듈(121)에 의하여 수시된 조직도정보를 저장하는 조직도정보저장모듈(122)과, 상기 조직도정보저장모듈(122)에 의하여 저장된 조직도정보를 메신저 시스템에 적용하도록 하는 조직도정보적용모듈(123)을 포함한다.
상기 조직도정보수신모듈(121)은 상기 관리자단말기(5)로부터 조직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로 일정 포맷으로 작성된 부서와 부서별 직원들의 조직도정보를 수신하도록 하며, 조직도정보에는 직원들의 이름, 사진, 소속, 전화번호, 이메일 등의 정보 뿐만 아니라 상기 메신저 시스템에 접속하기 위한 아이디, 비밀번호 등의 정보도 함께 저장되고, 수신되는 조직도정보는 후술할 구간보안모듈(141)에 의하여 보안화되어 전달되도록 한다.
상기 조직도정보저장모듈(122)은 상기 조직도정보수신모듈(121)에 의하여 수신된 조직도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16)에 저장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후술할 암호화저장모듈(142)에 의해 암호화되어 저장된다.
상기 조직도정보적용모듈(123)은 상기 조직도정보저장모듈(122)에 의하여 저장되는 조직도정보가 상기 메신저 시스템에 적용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조직도표시모듈(111c-1)에 의하여 표시되는 부서목록과 부서별 직원목록, 직원검색부(112)에서 표시되는 부서목록과 부서별 직원목록, 상기 사용자인증부(13) 등이 새로운 조직도정보에 따라 변경되도록 한다.
상기 사용자인증부(13)는 인증된 사용자만이 상기 업무용 메신저 시스템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아이디, 비밀번호의 입력을 요구하여 사용자 인증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나 그 밖에 다양한 인증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 인증을 위한 정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조직도정보에 포함되어 저장, 적용되며, 저장된 조직도정보에 따라 사용자 인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변경된 조직의 정보가 메신저 시스템에 수시로 반영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업무용 서버장치(1)는 차단된 일정 지역에 설치되고, 메신저 시스템에 대한 접속 권한은 조직도 정보에 포함된 직원에 제한되므로 상기 업무용 메신저 시스템의 보안성은 매우 향상될 수 있다.
상기 보안처리부(14)는 상기 업무용 메신저 서버장치(1)에 의하여 제공되는 메신저에 대한 보안을 실시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필요한 보안솔루션이 상기 업무용 메신저 서버장치(1) 안에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여 여러가지 보안 솔루션을 별도로 구매하여 설치할 필요 없이 상기 업무용 메신저 서버장치(1) 하나 만을 설치하면 메신저 시스템에 대한 보안을 강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보안처리부(14)는 하나의 하드웨어 장치는 업무용 메신저 서버장치(1) 내에 포함되어 기업 내의 차단된 일정 지역에 설치되므로, 그 보안성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상기 보안처리부(14)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단말기(3) 내에서 대화내용 및 파일 등의 암호화처리가 이루어져 전달되도록 하는 구간보안모듈(141)과, 전달되는 대화내용 및 파일 등이 암호화되어 저장되도록 하는 암호화저장모듈(142)과, 상기 메신저를 통해 첨부되는 문서를 이미지화하는 문서변환모듈(143)과, 사용자단말기의 화면 캡쳐를 방지하는 화면캡쳐방지모듈(144)을 포함한다.
상기 구간보안모듈(141)은 상기 사용자단말기(3)에서 전송되는 텍스트, 파일 등의 정보를 사용자단말기(3) 내에서 보안화하여 전달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종래에는 전송된 정보를 서버 등에서 보안화하여 해킹 등의 가능성이 매우 높았으나, 본 시스템에서는 사용자단말기(3) 내에서 암호화되어 전송되도록 함으로써 해킹 가능성을 낮추도록 한다. 또한, 상기 구간보안모듈(141)은 상기 관리자단말기(5)에서 전송되는 조직도정보 등도 관리자단말기(5) 내에서 암호화하여 전달하도록 함으로써 보안성을 더욱 강화하도록 한다.
상기 암호화저장모듈(142)은 상기 사용자단말기, 관리자단말기(5) 등으로부터 전달되는 텍스트, 사진, 문서, 조직도 등의 정보를 암호화화여 상기 데이터베이스(16)에 저장하도록 함으로써 보안성을 강화한다.
상기 문서변환모듈(143)은 상기 문서첨부모듈(111f-3)에 의하여 문서가 첨부될 때, 첨부되는 문서를 이미지로 변환하여 전송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문서가 해킹 등에 의해 변조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화면캡쳐방지모듈(144)은 사용자단말기(3)의 메신저화면(311,321)이 캡쳐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으로, 메신저화면(311,321)이 캡쳐되어 노출되거나 정보가 도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상기 푸시알림부(15)는 상기 업무용 메신저 서버장치(1)가 상기 모바일단말기(31)에 대하여 알림메시지를 전송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APNS, C2DM, GCM 등의 메시지 솔루션을 이용하여 상기 업무용 메신저 서버장치(1)로부터 모바일단말기(31)로 직접 알림메시지가 전송되도록 한다. 상기 푸시알림부(15)는 상기 초대알림모듈(111c-5), 대화신청모듈(112c), 회원초대모듈(112f) 등에 의하여 동작할 수 있으며, 사용자단말기(3)를 통해 알림메시지를 전송하여 초대, 대화신청 등을 알리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16)는 메신저 시스템의 작동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저장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텍스트, 첨부된 사진, 문서 등의 파일, 관리자단말기(5)로부터 전달된 조직도정보 등이 저장되며, 상기 암호화저장모듈(142)에 의하여 암호화되어 저장된다.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16)는 별도의 데이터베이스관리모듈(161)을 포함하여 정보들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메신저 시스템에 주어지는 부하를 최소화한다.
상기 사용자단말기(3)는 상기 업무용 메신저 서버장치(1)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메신저가 실행되는 구성으로,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단말기(31)와 컴퓨터, 노트북 등의 웹단말기(32)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업무용 메신저 서버장치(1)로부터 제공되는 메신저와 보안솔루션들을 모바일단말기(31)와 웹단말기(32)에서 모두 실행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어디에서나 업무용 메신저 시스템에 접속하여 대화, 파일 전송 등의 업무를 처리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단말기(31)와 웹단말기(32)에는 각각 메신저화면(311,321)이 제공되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각의 메신저화면(311,321)은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모바일단말기(31)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모바일단말기(31)의 메신저화면(311)은 메신저 구동시에 출력되는 초기화면(311a), 대화방 생성시에 출력되는 대화방화면(311b), 즐겨찾기가 표시되는 즐겨찾기화면(311c), 대화방 생성시 또는 대화방 내에서 별도로 선택하여 다른 사용자를 초대할 수 있도록 하는 대화초대화면(311d), 직원을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직원검색화면(311e)을 포함한다.
상기 초기화면(311a)은 사용자가 아이디, 비밀번호 등의 입력에 따라 사용자인증을 마치고 메신저에 접속하면 초기에 사용자단말기(3)에 출력되는 화면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화방목록(311a-1), 대화방생성영역(311a-2), 즐겨찾기선택영역(311a-3), 직원검색영역(311a-4)을 포함하며, 상기 대화방목록(311a-1)에는 상기 대화방목록생성모듈(111b)에 의하여 생성된 대화방목록(311a-1)이 표시되고, 상기 대화방생성영역(311a-2)을 선택하면 상기 대화방생성모듈(111a)이 실행되며, 상기 즐겨찾기선택영역(311a-3)을 선택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즐겨찾기된 직원의 목록이 표시되고, 상기 직원검색영역(311a-4)을 선택하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원검색화면(311e)이 표시된다.
상기 대화방화면(311b)은 상기 대화방생성모듈(111a)에 의해 대화방이 생성되면 사용자단말기(3)에 표시되는 구성으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텍스트를 입력할 수 있는 대화입력영역(311b-1), 상기 대화입력영역(311b-1)에 입력되어 전송된 텍스트가 표시되는 대화표시영역(311b-2), 사진 첨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사진첨부영역(311b-3), 카메라로 촬영하여 사진을 첨부할 수 있도록 하는 촬영영역(311b-4), 문서를 첨부할 수 있도록 하는 문서첨부영역(311b-5)을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대화입력영역(311b-1)에 텍스트를 입력하여 대화를 진행할 수 있으며, 상기 대화표시영역(311b-2)에 표시되는 다른 사용자의 텍스트를 볼 수 있고, 사진첨부영역(311b-3)을 선택하여 이미지 등의 사진을 첨부할 수 있으며, 촬영영역(311b-4)을 선택하여 직접 촬영한 사진을 첨부할 수 있고, 문서첨부영역(311b-5)을 선택하여 문서파일을 첨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즐겨찾기화면(311c)은 상기 초기화면(311a)에서 즐겨찾기선택영역(311a-3)을 선택하면 표시되는 화면으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즐겨찾기된 직원의 목록이 표시되며, 직원의 사진, 이름, 전화번호, 소속, 이메일 등이 함께 표시되고, 대화를 신청하거나 전화통화, 이메일 작성, 메시지 전송 등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대화초대화면(311d)은 상기 대화방생성모듈(111a)에 의한 대화방 생성시나 대화방에서 별도의 메뉴를 선택하여 표시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대화방초대모듈(111c)에 의해 대화 상대방을 초대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대화초대화면(311d)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직도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는 조직도선택영역(311d-1), 선택된 대화상대가 표시되도록 하는 선택대화상대표시영역(311d-2), 초대하려는 사용자를 직접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검색영역(311d-3), 대화중인 상대를 표시하는 대화중상대표시영역(311c-4), 즐겨찾기된 사용자를 표시하는 즐겨찾기표시영역(311d-5), 선택된 상대방의 초대를 실행하는 선택확인영역(311d-6)을 포함한다.
따라서, 조직도선택영역(311d-1)을 선택하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동일한 부서목록표시영역(311e-1)이 표시되고, 부서를 선택하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동일한 직원표시영역(311e-2)이 표시되어 초대하고자 하는 직원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선택대화상대표시영역(311d-2)에는 현재 초대하기 위해 선택된 상대방의 목록이 표시되고, 상기 검색영역(311d-3)에는 초대하고자 하는 상대방의 이름, 전화번호 등을 직접 입력하여 검색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대화중상대표시영역(311c-4)에는 현재 대화중인 상대의 목록이 표시되고, 상기 즐겨찾기표시영역(311d-5)에는 상기 즐겨찾기제공부(113)에 의하여 즐겨찾기된 사용자가 표시되어 용이한 선택이 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선택확인영역(311d-6)을 선택하면 상기 선택대화상대표시영역(311d-2)에 표시된 사용자에 대해 상기 초대알림모듈(111c-5)이 실행되어 상기 푸시알림부(15)에 의해 초대 메시지가 발송된다.
상기 직원검색화면(311e)은 상기 초기화면(311a)에서 직원검색영역(311a-4)을 선택하면 표시되는 화면으로, 상기 직원검색부(112)에 의하여 실행되며,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직도정보에 따른 부서목록을 표시하고,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부서별 직원목록을 표시하도록 하여 조직도에 따른 직원의 검색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직원검색화면(311e)은 부서목록이 표시되는 부서목록표시영역(311e-1), 부서별 직원목록이 표시되는 직원표시영역(311e-2), 해당 직원을 회원으로 초대할 수 있는 회원초대영역(311e-3), 해당 직원에 대해 대화를 신청할 수 있는 대화신청영역(311e-4)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부서목록표시영역(311e-1)에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직도정보에 따른 카테고리별 부서목록이 표시되며, 사용자가 하나의 부서를 선택하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부서의 직원목록이 직원표시영역(311e-2)에 표시되고, 아직 회원가입하지 않은 직원의 일측에는 회원초대영역(311e-3)이 표시되어 상기 회원초대모듈(112f)에 의한 회원으로의 초대가 가능하도록 하며, 회원가입된 직원의 일측에는 대화신청영역(311e-4)이 표시되어 상기 대화신청모듈(112c)에 의한 대화의 신청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직원표시영역(311e-2)에 표시된 직원목록에서 해당 직원의 전화번호를 선택하면 상기 전화걸기모듈(112d)이 실행되고, 이메일주소를 선택하면 이메일작성모듈(112e)이 실행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관리자단말기(5)는 상기 업무용 메신저 서버장치(1)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업무용 메신저의 사용상태를 확인하고, 조직도정보 등을 상기 업무용 메신저 서버장치(1)에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관리자단말기(5)는 상기 사용자단말기(3)와 같이 인터넷 등에 의해 상기 업무용 메신저 서버장치(1)와 연결되도록 할 수 있으나, 별도의 내무 네트워크망에 의해 상기 업무용 메신저 서버장치(1)와 연결되도록 하여 보안성을 강화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업무용 메신저 시스템을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업무용 메신저 시스템의 다른 구성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무용 메신저 시스템과 모두 동일하며, 데이터베이스(16)가 상기 업무용 메신저 서버장치(1) 내에 포함되지 않고 별도로 내부 내트워크 망에 의하여 상기 업무용 메신저 서버장치(1)에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와 같이 데이터베이스(16)를 상기 업무용 메신저 서버장치(1) 내에 일체로 포함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대규모 조직에 업무용 메신저 시스템을 설치하는 경우 많은 양의 데이터를 처리하고 저장하기 위하여 상기 서버장치(1)의 외부에 데이터베이스(16)가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업무용 메신저 서버장치
11: 메신저동작부 111: 대화방제공부
111a: 대화방생성모듈 111b: 대화방목록생성모듈 111c: 대화방초대모듈
111c-1: 조직도표시모듈 111c-1': 부서목록표시모듈
111c-1'': 부서별직원표시모듈 111c-2: 즐겨찾기표시모듈
111c-3: 직원검색모듈 111c-4: 초대상대표시모듈
111c-5: 초대알림모듈
111d: 대화입력모듈 111e: 대화표시모듈 111f: 파일첨부모듈
111f-1: 사진첨부모듈 111f-2: 카메라촬영모듈 111f-3: 문서첨부모듈
112: 직원검색부
112a: 부서목록표시모듈 112b: 부서별직원표시모듈 112c: 대화신청모듈
112d: 전화걸기모듈 112e: 이메일작성모듈 112f: 회원초대모듈
113: 즐겨찾기제공부
12: 조직도연계부 121: 조직도정보수신모듈
122: 조직도정보저장모듈 123: 조직도정보적용모듈
13: 사용자인증부
14: 보안처리부 141: 구간보안모듈 142: 암호화저장모듈
143: 문서변환모듈 144: 화면캡쳐방지모듈
15: 푸시알림부
16: 데이터베이스 161: 데이터베이스관리모듈
3: 사용자단말기 31: 모바일단말기 32: 웹단말기
5: 관리자단말기

Claims (8)

  1. 스마트폰 등의 사용자단말기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업무용 메신저를 제공하는 업무용 메신저 서버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텍스트, 파일 등의 전송이 가능한 메신저가 동작하도록 하는 메신저동작부와,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사용자를 인증하여 인증된 사용자만이 메신저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인증부와,
    상기 메신저동작부에 의하여 전송되는 텍스트, 파일 등을 보안처리하는 보안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신저동작부, 사용자인증부, 보안처리부는 하나의 하드웨어 내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무용 메신저 서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업무용 메신저 서버장치는
    상기 업무용 메신저를 사용하는 기업의 조직도를 메신저와 연동시키는 조직도연계부를 포함하여 조직도에 포함된 사용자만이 메신저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조직도연계부는 조직도정보를 수신하는 조직도정보수신모듈과, 상기 조직도정보수신모듈에 의하여 수시된 조직도정보를 저장하는 조직도정보저장모듈과, 상기 조직도정보저장모듈에 의하여 저장된 조직도정보를 상기 메신저에 적용하도록 하는 조직도정보적용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무용 메신저 서버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신저동작부는
    사용자단말기에 대화방을 제공하는 대화방제공부와, 조직도에 포함된 직원을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직원검색부를 포함하고,
    상기 직원검색부는 상기 조직도정보에 따라 부서의 목록을 사용자단말기에 표시하는 부서목록표시모듈과, 상기 부서목록표시모듈에 의하여 표시된 부서를 선택하면 해당 부서의 직원목록을 표시하는 부서별직원표시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무용 메신저 서버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대화방제공부는
    사용자단말기에 대화방을 생성하는 대화방생성모듈과, 상기 대화방생성모듈에 의해 생성된 대화방으로 상기 조직도정보에 포함된 직원을 초대하는 대화방초대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대화방초대모듈은 상기 조직도정보에 따라 부서 및 부서별직원을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하는 조직도표시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무용 메신저 서버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대화방초대모듈은
    상기 조직도표시모듈에 의하여 표시된 직원목록에서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직원을 표시하는 초대상대표시모듈과, 상기 초대상대표시모듈에 의하여 표시된 직원에게 초대알림을 보내도록 하는 초대알림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무용 메신저 서버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직원검색부는
    상기 조직도정보에 포함된 직원 중 상기 메신저에 가입하지 않은 직원을 초대하는 회원초대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무용 메신저 서버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처리부는
    사용자단말기 내에서 대화내용 및 파일 등의 암호화처리가 이루어져 전달되도록 하는 구간보안모듈과, 전달되는 대화내용 및 파일 등이 암호화되어 저장되도록 하는 암호화저장모듈과, 상기 메신저를 통해 첨부되는 문서를 이미지화하는 문서변환모듈과, 사용자단말기의 화면 캡쳐를 방지하는 화면캡쳐방지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무용 메신저 서버장치.
  8. 사용자단말기에 업무용 메신저를 제공하는 업무용 메신저 서버장치,
    상기 업무용 메신저 서버장치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메신저가 실행되는 사용자단말기,
    상기 업무용 메신저 서버장치와 연결되어 메신저의 사용상태를 확인하고 조직도정보를 입력하는 관리자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단말기는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단말기와, 컴퓨터 등의 웹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업무용 메신저 서버장치는 상기 청구항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업무용 메신저 서버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무용 메신저 시스템.
KR1020150133532A 2015-09-22 2015-09-22 업무용 메신저 서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업무용 메신저 시스템 KR1017679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3532A KR101767958B1 (ko) 2015-09-22 2015-09-22 업무용 메신저 서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업무용 메신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3532A KR101767958B1 (ko) 2015-09-22 2015-09-22 업무용 메신저 서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업무용 메신저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5031A true KR20170035031A (ko) 2017-03-30
KR101767958B1 KR101767958B1 (ko) 2017-08-14

Family

ID=58503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3532A KR101767958B1 (ko) 2015-09-22 2015-09-22 업무용 메신저 서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업무용 메신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7958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9375A (ko) * 2017-05-26 2018-12-05 네이버 주식회사 메신저를 이용한 결재 방법 및 시스템
KR102055380B1 (ko) 2019-07-02 2019-12-12 (주)팍스넷 보안이 강화된 메시지 송수신 기법
KR102179865B1 (ko) * 2019-10-04 2020-11-17 (주)씰커뮤니케이션 보안 기능이 강화된 모바일 sns 메신저 시스템
KR20210014554A (ko) 2019-07-30 2021-02-09 (주)팍스넷 비밀 채팅을 통해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기법
KR20210015570A (ko) 2019-07-31 2021-02-10 (주)팍스넷 채팅방 공유 기법
KR102333287B1 (ko) * 2020-07-30 2021-12-01 주식회사 발카리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는 복수의 노드 장치들과 연동하여 보안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채팅 서비스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KR102533361B1 (ko) * 2022-07-12 2023-05-17 주식회사 제이니스 인사정보와 연계된 메신저 운용방법
KR102560483B1 (ko) * 2022-08-29 2023-07-27 주식회사 세퍼드 메신저를 이용한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5084A (ko) 2022-05-26 2023-12-05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보안 메시징 서비스 제공 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9375A (ko) * 2017-05-26 2018-12-05 네이버 주식회사 메신저를 이용한 결재 방법 및 시스템
KR102055380B1 (ko) 2019-07-02 2019-12-12 (주)팍스넷 보안이 강화된 메시지 송수신 기법
KR20210014554A (ko) 2019-07-30 2021-02-09 (주)팍스넷 비밀 채팅을 통해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기법
KR20210015570A (ko) 2019-07-31 2021-02-10 (주)팍스넷 채팅방 공유 기법
KR102179865B1 (ko) * 2019-10-04 2020-11-17 (주)씰커뮤니케이션 보안 기능이 강화된 모바일 sns 메신저 시스템
KR102333287B1 (ko) * 2020-07-30 2021-12-01 주식회사 발카리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는 복수의 노드 장치들과 연동하여 보안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채팅 서비스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KR102533361B1 (ko) * 2022-07-12 2023-05-17 주식회사 제이니스 인사정보와 연계된 메신저 운용방법
KR102560483B1 (ko) * 2022-08-29 2023-07-27 주식회사 세퍼드 메신저를 이용한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WO2024048852A1 (ko) * 2022-08-29 2024-03-07 주식회사 세퍼드 메신저를 이용한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7958B1 (ko) 2017-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7958B1 (ko) 업무용 메신저 서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업무용 메신저 시스템
US1175054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electronic communications
US7996464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user directory
KR100967126B1 (ko) 피어-투-피어 그룹 관리 프레임워크 및 방법론
US9185184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alendar and speed dating features for matching users in a network environment
US9576276B2 (en) Context-informed summarization of communications
JP7101314B2 (ja) グループベースコミュニケーションシステムにおいて外部許可提供及び外部メッセージングコミュニケーションリクエストを管理する装置及び方法
US20130176895A1 (en) Methods, systems,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 for creating and managing ad-hoc groups linked to an event and spanning multiple modes of communication
US10078872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nd processing channel lines in a communication network
CA2740733A1 (en) Method of and system for advising level of availability in a digital communication
US11245737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ximity-based contact transfer
US20110307565A1 (en) Group messaging integratio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WO2021091676A1 (en) Intelligent event time bridge across domains
KR20110005946A (ko) 위키와 통합커뮤니케이션을 활용한 가상 협업 시스템
US11196700B1 (en) Single-user non-transferrable communication client for public communication networks
US20200359186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ximity-based contact transfer
KR20150145896A (ko) 폐쇄형 개인정보 보호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AU2017272289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chine-to-machine privacy and security brokered transactions
KR101898546B1 (ko) 채팅 서비스 제공 단말,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채팅 서비스 방법이 구현된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EP2294780B1 (en) A method for masking data
US20170126676A1 (en) Protection of Content Displayed on a Communal Device
KR101093441B1 (ko) 발신 단말기 및 착신자의 단말기로의 명함 정보 제공 방법
EP2386989A1 (en) Dynamic and customizable email distribution list
Ko et al. The Real-Time User Consent Acquisition System for Secure Use of Personal Information
KR20190110780A (ko) 온라인 시스템을 통한 만남 주선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