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4664A - 플렉시블 커넥터 - Google Patents

플렉시블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4664A
KR20170034664A KR1020150133265A KR20150133265A KR20170034664A KR 20170034664 A KR20170034664 A KR 20170034664A KR 1020150133265 A KR1020150133265 A KR 1020150133265A KR 20150133265 A KR20150133265 A KR 20150133265A KR 20170034664 A KR20170034664 A KR 201700346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nductive film
conductor
flexible
film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32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은국
양인철
Original Assignee
몰렉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몰렉스 엘엘씨 filed Critical 몰렉스 엘엘씨
Priority to KR10201501332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34664A/ko
Publication of KR20170034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46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5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mounted on a PCB [Printed Circuit Bo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웨어러블 기기에 적용할 수 있도록 플렉시블하고 두께가 얇은 커넥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커넥터는, 제 1 단자가 형성된 플렉시블한 제 1 전도성 필름부와, 제 1 전도성 필름부의 하부에 접착되고 제 1 단자와 접촉되는 제 2 단자가 형성된 플렉시블한 제 2 전도성 필름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플렉시블 커넥터{FLEXIBLE 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플렉시블한 전도성 필름을 적용한 플렉시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과 무선으로 연동해 사용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몸에 착용하는 안경이나 손목 시계, 밴드형 기기 등과 같은 웨어러블(wearable) 기기가 많이 개발되고 있다.
웨어러블 기기 등과 같은 전자기기에는 전기신호 접속을 위한 커넥터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웨어러블 기기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플렉시블하고 두께가 얇은 케넥터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커넥터는 단자를 하우징에 인서트 몰딩하여 구성하므로 사출물의 특성 상 플렉시블하지 못하고 하우징의 높이가 일정 수준 이상이어서 커넥터의 전체적인 두께가 두껍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기존의 커넥터를 플렉시블 또는 웨어러블 기기에 적용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1993-0020773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웨어러블 기기에 적용할 수 있도록 플렉시블하고 두께가 얇은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커넥터는, 제 1 단자가 형성된 플렉시블한 제 1 전도성 필름부; 및 상기 제 1 전도성 필름부의 하부에 접착되고, 상기 제 1 단자와 접촉되는 제 2 단자가 형성된 플렉시블한 제 2 전도성 필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단자 및 상기 제 2 단자 중 적어도 하나는 탄성을 갖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1 전도성 필름부와 상기 제 2 전도성 필름부가 접착될 때 상기 제 1 단자와 상기 제 2 단자는 탄성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전도성 필름부는, 플렉시블한 필름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 1 전도체; 상기 제 1 전도체의 중앙부에 홀 형태의 암단자를 형성하는 상기 제 1 단자; 및 상기 제 1 단자의 홀이 하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제 1 전도체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코팅되거나 플렉시블한 필름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 1 전도체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부착되는 제 1 절연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전도성 필름부는, 플렉시블한 필름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 2 전도체; 상기 제 2 전도체의 중앙부에 상부로 만곡된 탄성판을 갖는 수단자를 형성하는 상기 제 2 단자; 및 상기 제 2 단자의 탄성판이 상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제 2 전도체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코팅되거나 플렉시블한 필름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 2 전도체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부착되는 제 2 절연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전도성 필름부와 상기 제 2 전도성 필름부가 접착될 때 상기 제 2 단자가 상기 제 1 단자에 삽입되어 암수 체결되면서 상기 제 2 단자의 만곡된 탄성판이 상기 제 1 단자의 홀 내측면에 탄성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단자는 상기 제 1 및 제 2 전도성 필름부에 복수 개 구비되어 다중 접점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전도성 필름부는, 플렉시블한 필름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 1 전도체; 상기 제 1 전도체의 중앙부에 홀 형태의 암단자를 형성하고, 홀의 내주면에 탄성리브가 돌출 형성되는 상기 제 1 단자; 및 상기 제 1 단자의 홀이 상하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제 1 전도체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코팅되거나 플렉시블한 필름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 1 전도체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부착되는 제 1 절연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전도성 필름부는, 플렉시블한 필름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 2 전도체; 상기 제 2 전도체의 중앙부에 상부로 돌출된 돌기부를 갖는 수단자를 형성하는 상기 제 2 단자; 및 상기 제 2 단자의 돌기부가 상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제 2 전도체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코팅되거나 플렉시블한 필름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 2 전도체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부착되는 제 2 절연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전도성 필름부와 상기 제 2 전도성 필름부가 접착될 때 상기 제 2 단자가 상기 제 1 단자에 삽입되어 암수 체결되면서 상기 제 2 단자의 돌기부 외측면이 상기 제 1 단자의 홀 내측면에 형성된 탄성리브에 탄성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단자는 상기 제 1 및 제 2 전도성 필름부에 복수 개 구비되어 다중 접점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커넥터는, 상기 제 1 전도성 필름부와 상기 제 2 전도성 필름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 1 전도성 필름부와 상기 제 2 전도성 필름부를 접착시키고, 상기 제 2 단자가 관통하도록 개구부가 형성되는 양면접착 필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플렉시블 커넥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본 발명은 제 1 단자가 형성된 플레시블한 제 1 전도성 필름부와 제 2 단자가 형성된 플렉시블한 제 2 전도성 필름부를 접착하고 제 1 단자와 제 2 단자가 서로 암수 체결방식으로 착탈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플렉시블하고 두께가 얇은 커넥터 제작이 가능하며, 이러한 플렉시블 케넥터는 다양한 웨어러블(wearable) 기기에 적용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제 1 전도성 필름부와 제 2 전도성 필름부를 접착할 때, 제 2 단자의 만곡된 탄성판 또는 돌기부가 제 1 단자의 홀 내측면에 접촉되어 통전되는데, 이때, 제 1 단자와 제 2 단자가 서로 암수 체결방식으로 착탈되면서 제 1 단자의 홀 내측면에 형성된 탄성리브 또는 제 2 단자의 탄성판에 의해 탄성 접촉됨으로써 단자 접점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커넥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종단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커넥터를 기판에 실장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커넥터의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종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종단면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커넥터를 기판에 실장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커넥터를 적용하여 다중 접점을 형성하는 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커넥터를 적용하여 다중 접점을 형성하는 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커넥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커넥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종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종단면도이며,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커넥터를 기판에 실장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커넥터(100)는 제 1 전도성 필름부(110), 제 2 전도성 필름부(120) 및 양면접착 필름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플렉시블 커넥터(100)의 형상이 사각형태로 형성되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전도성 필름부(110)는 제 1 단자(113)가 형성된 플렉시블한 전도성 필름, 예를 들어 FPC 또는 도전성 코팅 필름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 1 전도성 필름부(110)는 플렉시블 커넥터(100)의 상부층을 형성한다.
제 1 전도성 필름부(110)는 제 1 전도체(111), 제 1 단자(113) 및 제 1 절연체(115)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전도체(111)는 플렉시블하고 얇은 두께를 갖는 필름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전도체(111)를 사각형으로 형성하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제 1 단자(113)는 제 1 전도체(111)의 중앙부에 단자홀(114)을 갖는 암단자를 형성한다. 제 1 단자(113)의 단자홀(114)에 후술할 제 2 단자(123)의 탄성판(124)이 삽입되어 접촉될 수 있도록 제 1 단자(113)의 단자홀(114)의 직경을 제 2 단자(123)의 탄성판(124)의 단변의 길이와 거의 일치되도록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단자홀(114)을 원형 형태로 형성하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각형의 단자홀(114)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제 1 단자(113)는 중앙부의 단자홀(114)과 연결되어 제 1 전도성 필름부(110)의 일측 외부로 노출되는 솔더링부가 형성되어 제 1 전도성 필름부(110)가 실장되는 제 1 기판(10)에 솔더링된다.
제 1 절연체(115)는 제 1 단자(113)의 단자홀(114)이 하부로 노출되도록 제 1 전도체(111)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코팅되거나 플렉시블하고 얇은 두께를 갖는 필름 형상으로 이루어져 제 1 전도체(111)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부착될 수 있다.
제 2 전도성 필름부(120)는 제 1 단자(113)와 접촉되는 제 2 단자(123)가 형성된 플렉시블한 전도성 필름, 예를 들어 FPC 또는 도전성 코팅 필름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 2 전도성 필름부(120)는 후술할 양면접착 필름부(130)에 의해 제 1 전도성 필름부(110)의 하부에 접착되어 플렉시블 커넥터의 하부층을 형성한다.
제 2 전도성 필름부(120)는 제 2 전도체(121), 제 2 단자(123) 및 제 2 절연체(125)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전도체(121)는 플렉시블하고 얇은 두께를 갖는 필름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2 전도체(121)를 제 1 전도체(111)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사각형으로 형성하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제 2 단자(123)는 제 2 전도체(121)의 중앙부에 상부로 볼록하게 만곡된 탄성판(124)을 갖는 수단자를 형성한다. 제 2 단자(123)의 탄성판(124)이 제 1 단자(113)의 단자홀(114)에 삽입되어 암수 체결을 통해 접촉될 수 있도록 제 2 단자(123)의 탄성판(124)의 단변의 길이를 제 1 단자(113)의 단자홀(114)의 직경과 거의 일치되도록 형성하고, 탄성판(124)의 장변의 길이를 제 1 단자(113)의 단자홀(114)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함으로써 제 2 단자(123)를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한다.
또한, 제 2 단자(123)는 탄성판(124)의 일측과 연결되어 제 2 전도성 필름부(120)의 일측 외부로 노출되는 솔더링부가 형성되어 제 2 전도성 필름부가 실장되는 제 2 기판(20)에 솔더링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단자(113)의 솔더링부(113a)와 제 2 단자(123)의 솔더링부(123a)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하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 1 단자(113)의 솔더링부(113a)와 제 2 단자(123)의 솔더링부(123a)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제 2 절연체(125)는 제 2 단자(123)의 탄성판(124)이 상부로 노출되도록 제 2 전도체(121)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코팅되거나 플렉시블하고 얇은 두께를 갖는 필름 형상으로 이루어져 제 2 전도체(121)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부착될 수 있다.
제 1 전도성 필름부(110)와 제 2 전도성 필름부(120)가 후술할 양면접착 필름부(130)에 의해 서로 접착될 때, 제 2 단자(123)가 제 1 단자(113)에 삽입되어 암수 체결되면서 제 2 단자(123)의 만곡된 탄성판(124)이 제 1 단자(113)의 단자홀(114) 내측면에 탄성 접촉된다. 따라서, 두 개의 플렉시블한 필름부(110)(120)를 접착하여 각각의 필름부(110)(120)에 형성된 제 1 단자(113)와 제 2 단자(123)가 서로 암수 체결방식으로 착탈되어 탄성 접촉됨으로써 두께가 얇고 플렉시블한 커넥터의 단자 접점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양면접착 필름부(130)는 제 1 전도성 필름부(110)와 제 2 전도성 필름부(120) 사이에 위치하여 제 1 전도성 필름부(110)와 제 2 전도성 필름부(120)를 서로 접착시킨다. 이러한 양면접착 필름부(130)는 양면접착 테이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양면접착 필름부(130)는 제 1 전도성 필름부(110)와 제 2 전도성 필름부(120)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제 2 단자(123)의 탄성판(124)이 관통하도록 탄성판(124)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 개구부(131)가 형성된다.
또한, 양면접착 필름부(130)를 절연성 양면접착테이프로 구현할 경우, 예를 들어, 절연성 필름부재의 양면에 점착성 물질을 도포한 접착테이프로 제작할 경우에는, 제 1 전도성 필름부(110)의 하면과 제 2 전도성 필름부(120)의 상면에 절연체를 형성할 필요가 없다.
본 실시예에서는 양면접착 필름부(130)를 이용하여 제 1 전도성 필름부(110)와 제 2 전도성 필름부(120)를 접착하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양면접착 필름부를 없애고 제 1 전도성 필름부(110)의 하면과 제 2 전도성 필름부(120)의 상면에 각각 접착제를 도포하여 제 1 전도성 필름부(110)와 제 2 전도성 필름부(120)를 직접 접착할 수도 있다. 또한, 클립이나 단추 등 기구적인 방식을 이용하여 제 1 전도성 필름부(110)와 제 2 전도성 필름부(120)를 서로 체결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플렉시블 커넥터(100)의 제 1 단자(113)와 제 2 단자(123)가 PCB 또는 FPCB 형태의 기판에 솔더링되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플렉시블 커넥터(100)의 제 1 단자(113) 및 제 2 단자(123) 중 적어도 하나의 단자를 카드 소켓(미도시)의 단자와 접속되도록 하거나, SD카드 등과 같은 정보저장매체(미도시)의 단자와 접속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커넥터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종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종단면도이며,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커넥터를 기판에 실장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플렉시블 커넥터(200)는 제 1 전도성 필름부(210), 제 2 전도성 필름부(220) 및 양면접착 필름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플렉시블 커넥터(200)의 형상이 사각형태로 형성되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전도성 필름부(210)는 제 1 단자(213)가 형성된 플렉시블한 전도성 필름, 예를 들어 FPC 또는 도전성 코팅 필름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 1 전도성 필름부(210)는 플렉시블 커넥터의 상부층을 형성한다.
제 1 전도성 필름부(210)는 제 1 전도체(211), 제 1 단자(213) 및 제 1 절연체(215)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전도체(211)는 플렉시블하고 얇은 두께를 갖는 필름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전도체(211)를 사각형으로 형성하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 1 단자(213)는 제 1 전도체(211)의 중앙부에 단자홀(214)을 갖는 암단자를 형성한다. 제 1 단자(213)의 단자홀(214)에 후술할 제 2 단자(223)의 돌기부(224)가 삽입되어 접촉될 수 있도록 제 1 단자(213)의 단자홀(214)의 직경을 제 2 단자(223)의 돌기부(224) 직경과 거의 일치되도록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단자홀(214)을 원형 형태로 형성하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각형의 홀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제 1 단자(213)는 단자홀(214)의 내주면에 탄성리브(212)가 돌출 형성된다. 예를 들어, 탄성리브(212)는 제 1 단자(213)의 원형 단자홀(214) 내주면을 따라 원형의 띠 형태를 갖는 탄성편이 내측으로 약간 돌출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탄성리브(212)는 원주상으로 절개부가 다수 개 형성되어 제 2 단자(223)의 돌기부(224)가 제 1 단자(213)의 단자홀(214)에 삽입되어 탄성리브(212)와 접촉될 때 탄성리브(212)가 측방향으로 탄성 변형 및 복원이 용이하도록 한다.
또한, 제 1 단자(213)는 중앙부의 단자홀(214)과 연결되어 제 1 전도성 필름부(210)의 일측 외부로 노출되는 솔더링부(213a)가 형성되어 제 1 전도성 필름부(210)가 실장되는 제 1 기판(10)에 솔더링된다.
제 1 절연체(215)는 제 1 단자(213)의 단자홀(214)이 상하부로 노출되도록 제 1 전도체(211)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코팅되거나 플렉시블하고 얇은 두께를 갖는 필름 형상으로 이루어져 제 1 전도체(211)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부착될 수 있다.
제 2 전도성 필름부(220)는 제 1 단자(213)와 접촉되는 제 2 단자(223)가 형성된 플렉시블한 전도성 필름, 예를 들어 FPC 또는 도전성 코팅 필름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 2 전도성 필름부(220)는 후술할 양면접착 필름부(230)에 의해 제 1 전도성 필름부(210)의 하부에 접착되어 플렉시블 커넥터의 하부층을 형성한다.
제 2 전도성 필름부(220)는 제 2 전도체(221), 제 2 단자(223) 및 제 2 절연체(225)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전도체(221)는 플렉시블하고 얇은 두께를 갖는 필름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2 전도체(221)를 제 1 전도체(211)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사각형으로 형성하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제 2 단자(223)는 제 2 전도체(221)의 중앙부에 상부로 돌출된 돌기부(224)를 갖는 수단자를 형성한다. 제 2 단자(223)의 돌기부(224)는 제 1 단자(213)의 단자홀(214)에 삽입되어 암수 체결을 통해 접촉될 수 있도록 제 1 단자(213)의 단자홀(214)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 1 단자(213)의 단자홀(214)을 원형으로 형성할 경우 제 2 단자(223)의 돌기부(224)는 제 1 단자(213)의 원형 단자홀(214)의 직경과 거의 일치되는 직경을 갖는 원형돌기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제 2 단자(223)는 돌기부(224)의 일측과 연결되어 제 2 전도성 필름부(220)의 일측 외부로 노출되는 솔더링부(223a)가 형성되어 제 2 전도성 필름부(220)가 실장되는 제 2 기판(20)에 솔더링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단자(213)의 솔더링부(213a)와 제 2 단자(223)의 솔더링부(223a)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하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 1 단자(213)의 솔더링부(213a)와 제 2 단자(223)의 솔더링부(223a)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제 2 절연체(225)는 제 2 단자(223)의 돌기부(224)가 상부로 노출되도록 제 2 전도체(221)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코팅되거나 플렉시블하고 얇은 두께를 갖는 필름 형상으로 이루어져 제 2 전도체(221)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부착될 수 있다.
제 1 전도성 필름부(210)와 제 2 전도성 필름부(220)가 후술할 양면접착 필름부(230)에 의해 서로 접착될 때, 제 2 단자(223)가 제 1 단자(213)에 삽입되어 암수 체결되면서 제 2 단자(223)의 돌기부(224) 외측면이 제 1 단자(213)의 단자홀(214) 내측면에 형성된 탄성리브(212)에 탄성 접촉된다. 따라서, 두 개의 플렉시블한 필름부(210)(220)를 접착하여 각각의 필름부(210)(220)에 형성된 제 1 단자(213)와 제 2 단자(223)가 서로 암수 체결방식으로 착탈되어 탄성 접촉됨으로써 두께가 얇고 플렉시블한 커넥터의 단자 접점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양면접착 필름부(230)는 제 1 전도성 필름부(210)와 제 2 전도성 필름부(220) 사이에 위치하여 제 1 전도성 필름부(210)와 제 2 전도성 필름부(220)를 서로 접착시킨다. 이러한 양면접착 필름부(230)는 양면접착 테이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양면접착 필름부(230)는 제 1 전도성 필름부(210)와 제 2 전도성 필름부(220)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제 2 단자(223)의 돌기부(224)가 관통하도록 돌기부(224)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 개구부(231)가 형성된다.
또한, 양면접착 필름부(230)를 절연성 양면접착테이프로 구현할 경우, 예를 들어, 절연성 필름부재의 양면에 점착성 물질을 도포한 접착테이프로 제작할 경우에는, 제 1 전도성 필름부(210)의 하면과 제 2 전도성 필름부(220)의 상면에 절연체를 형성할 필요가 없다.
본 실시예에서는 양면접착 필름부(230)를 이용하여 제 1 전도성 필름부(210)와 제 2 전도성 필름부(220)를 접착하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양면접착 필름부(230)를 없애고 제 1 전도성 필름부(210)의 하면과 제 2 전도성 필름부(220)의 상면에 각각 접착제를 도포하여 제 1 전도성 필름부(210)와 제 2 전도성 필름부(220)를 직접 접착할 수도 있다. 또한, 클립이나 단추 등 기구적인 방식을 이용하여 제 1 전도성 필름부(210)와 제 2 전도성 필름부(220)를 서로 체결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플렉시블 커넥터(200)의 제 1 단자(213)와 제 2 단자(223)가 PCB 또는 FPCB 형태의 기판에 솔더링되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플렉시블 커넥터(200)의 제 1 단자(213) 및 제 2 단자(223) 중 적어도 하나의 단자를 카드 소켓(미도시)의 단자와 접속되도록 하거나, SD카드 등과 같은 정보저장매체(미도시)의 단자와 접속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커넥터를 적용하여 다중 접점을 형성하는 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커넥터를 적용하여 다중 접점을 형성하는 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플렉시블 커넥터를 여러 개로 연결하여 다중 접점 커넥터를 구성할 수 있다. 즉, 제 1 및 제 2 전도성 필름부에 제 1 및 제 2 단자를 복수 개 구비하여 다중 접점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4핀 접점을 갖는 플레시블 커넥터(100)는 제 1 전도성 필름부(110)에 단자홀(114) 형태의 암단자를 형성하는 제 1 단자(110)를 4 개 형성하고, 제 2 전도성 필름부(120)에 만곡된 탄성판(114)을 갖는 수단자를 형성하는 제 2 단자(123)를 4개 형성하여, 제 1 전도성 필름부(110)와 제 2 전도성 필름부(120)를 접착할 때 제 2 단자(123)의 탄성판(124) 4개가 제 1 단자(113)의 단자홀(114) 4개에 각각 삽입되어 암수 체결되면서 4핀 접점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4핀 접점을 갖는 플레시블 커넥터(200)는 제 1 전도성 필름부(210)에 탄성리브(212)을 갖는 단자홀(214) 형태의 암단자를 형성하는 제 1 단자(213)를 4 개 형성하고, 제 2 전도성 필름부(220)에 돌출된 돌기부(224)를 갖는 수단자를 형성하는 제 2 단자(223)를 4개 형성하여, 제 1 전도성 필름부(210)와 제 2 전도성 필름부(220)를 접착할 때 제 2 단자(223)의 돌기부(224) 4개가 제 1 단자(213)의 탄성리브(212)를 갖는 단자홀(214) 4개에 각각 삽입되어 암수 체결되면서 4핀 접점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플렉시블 커넥터(100)(200)는, 제 1 단자(113)(213)가 형성된 플레시블한 제 1 전도성 필름부(110)(210)와 제 2 단자(123)(223)가 형성된 플렉시블한 제 2 전도성 필름부(120)(220)를 접착하고 제 1 단자(113)(213)와 제 2 단자(123)(223)가 서로 암수 체결방식으로 착탈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플렉시블하고 두께가 얇은 커넥터 제작이 가능하며, 이러한 플렉시블 케넥터(100)(200)는 다양한 웨어러블(wearable) 기기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제 1 전도성 필름부(110)(210)와 제 2 전도성 필름부(120)(220)를 접착할 때, 제 2 단자(123)(223)의 만곡된 탄성판(124) 또는 돌기부(224)가 제 1 단자(113)(213)의 단자홀(114)(214) 내측면에 접촉되어 통전되는데 이때, 제 1 단자(113)(213)와 제 2 단자(123)(223)가 서로 암수 체결방식으로 착탈되면서 제 1 단자(213)의 단자홀(214) 내측면에 형성된 탄성리브(212) 또는 제 2 단자(123)의 탄성판(124)에 의해 탄성 접촉됨으로써 단자 접점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자격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 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200 : 플렉시블 커넥터
110, 210: 제 1 전도성 필름부
111, 211 : 제 1 전도체
113, 213 : 제 1 단자
114, 214 : 단자홀
115, 215 : 제 1 절연체
120, 220 : 제 2 전도성 필름부
121, 212 : 제 2 전도체
123, 223 : 제 2 단자
124 : 탄성판
125, 225 : 제2 절연체
130, 230 : 양면접착 필름부
212 : 탄성리브
224 : 돌기부

Claims (9)

  1. 제 1 단자가 형성된 플렉시블한 제 1 전도성 필름부; 및
    상기 제 1 전도성 필름부의 하부에 접착되고, 상기 제 1 단자와 접촉되는 제 2 단자가 형성된 플렉시블한 제 2 전도성 필름부;를 포함하는 플렉시블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자 및 상기 제 2 단자 중 적어도 하나는 탄성을 갖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1 전도성 필름부와 상기 제 2 전도성 필름부가 접착될 때 상기 제 1 단자와 상기 제 2 단자는 탄성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커넥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도성 필름부는,
    플렉시블한 필름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 1 전도체;
    상기 제 1 전도체의 중앙부에 단자홀 형태의 암단자를 형성하는 상기 제 1 단자; 및
    상기 제 1 단자의 단자홀이 하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제 1 전도체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코팅되거나 플렉시블한 필름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 1 전도체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부착되는 제 1 절연체;를 포함하는 플렉시블 커넥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도성 필름부는,
    플렉시블한 필름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 2 전도체;
    상기 제 2 전도체의 중앙부에 상부로 만곡된 탄성판을 갖는 수단자를 형성하는 상기 제 2 단자; 및
    상기 제 2 단자의 탄성판이 상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제 2 전도체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코팅되거나 플렉시블한 필름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 2 전도체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부착되는 제 2 절연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전도성 필름부와 상기 제 2 전도성 필름부가 접착될 때 상기 제 2 단자가 상기 제 1 단자에 삽입되어 암수 체결되면서 상기 제 2 단자의 만곡된 탄성판이 상기 제 1 단자의 단자홀 내측면에 탄성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커넥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단자는 상기 제 1 및 제 2 전도성 필름부에 복수 개 구비되어 다중 접점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커넥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도성 필름부는,
    플렉시블한 필름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 1 전도체;
    상기 제 1 전도체의 중앙부에 단자홀 형태의 암단자를 형성하고, 단자홀의 내주면에 탄성리브가 돌출 형성되는 상기 제 1 단자; 및
    상기 제 1 단자의 단자홀이 상하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제 1 전도체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코팅되거나 플렉시블한 필름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 1 전도체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부착되는 제 1 절연체;를 포함하는 플렉시블 커넥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도성 필름부는,
    플렉시블한 필름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 2 전도체;
    상기 제 2 전도체의 중앙부에 상부로 돌출된 돌기부를 갖는 수단자를 형성하는 상기 제 2 단자; 및
    상기 제 2 단자의 돌기부가 상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제 2 전도체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코팅되거나 플렉시블한 필름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 2 전도체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부착되는 제 2 절연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전도성 필름부와 상기 제 2 전도성 필름부가 접착될 때 상기 제 2 단자가 상기 제 1 단자에 삽입되어 암수 체결되면서 상기 제 2 단자의 돌기부 외측면이 상기 제 1 단자의 홀 내측면에 형성된 탄성리브에 탄성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커넥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단자는 상기 제 1 및 제 2 전도성 필름부에 복수 개 구비되어 다중 접점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커넥터.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도성 필름부와 상기 제 2 전도성 필름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 1 전도성 필름부와 상기 제 2 전도성 필름부를 접착시키고, 상기 제 2 단자가 관통하도록 개구부가 형성되는 양면접착 필름부를 더 포함하는 플렉시블 커넥터.
KR1020150133265A 2015-09-21 2015-09-21 플렉시블 커넥터 KR201700346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3265A KR20170034664A (ko) 2015-09-21 2015-09-21 플렉시블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3265A KR20170034664A (ko) 2015-09-21 2015-09-21 플렉시블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4664A true KR20170034664A (ko) 2017-03-29

Family

ID=58498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3265A KR20170034664A (ko) 2015-09-21 2015-09-21 플렉시블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3466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20773A (ko) 1992-03-19 1993-10-20 오찌아이 히로따로 전기 커넥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20773A (ko) 1992-03-19 1993-10-20 오찌아이 히로따로 전기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6894B1 (ko) 간단한 구조를 가지며 안정된 접속이 가능한 전기접속 부재및 그것을 사용하는 커넥터
JP4210725B2 (ja) 電子デバイスモジュールソケットおよび電子デバイスモジュール
TW200908455A (en) Connector and connector connecting body
US10305205B2 (en) Connector, and header and socket which are used in connector
US10680362B2 (en) Connector, and header and socket which are used in connector
US10566723B2 (en) Connector, and header and socket which are used in connector
US9039453B2 (en) Electrical connector
EP2831494B1 (en) A lighting module
KR20140062550A (ko) 인터포저 및 그 제조 방법
KR20170034664A (ko) 플렉시블 커넥터
WO2019098391A1 (ja) スイッチ用可動接点体及びスイッチ
JP2020187981A (ja) 接続方法、接続構造、コンタクトおよびコネクタ
JP5778940B2 (ja) ハウジングの接続構造
TW201444189A (zh) 電連接器
JP6543020B2 (ja) 電気回路端子装置
RU2528603C1 (ru) Конструкция соединителя
TW201637302A (zh) 電連接器組合及其對接方法
JP2009123428A (ja) カメラモジュール用コネクタ
JP2013232331A (ja) チップ型led用ソケット
KR20160095296A (ko) 배터리 커넥터
KR200254993Y1 (ko) 탄성 고분자 기판을 이용한 전기 커넥터
TWM483556U (zh) 電連接器
TWI545843B (zh) 電連接器
JP5696422B2 (ja) プッシュスイッチ
TWM445285U (zh) 電子卡連接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