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4483A - 근거리 통신기를 이용한 식품 자동 공급기 - Google Patents

근거리 통신기를 이용한 식품 자동 공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4483A
KR20170034483A KR1020150132781A KR20150132781A KR20170034483A KR 20170034483 A KR20170034483 A KR 20170034483A KR 1020150132781 A KR1020150132781 A KR 1020150132781A KR 20150132781 A KR20150132781 A KR 20150132781A KR 20170034483 A KR20170034483 A KR 201700344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unit
signal
receiving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2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현
Original Assignee
김도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도현 filed Critical 김도현
Priority to KR10201501327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34483A/ko
Publication of KR20170034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44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1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with dispensing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근거리 통신기를 이용한 식품 자동 공급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출근준비로 바빠서 아침식사를 거르는 직장인, 등교준비로 바쁜 학생들이 출근 및 등교 준비를 하면서 스마트폰 등 휴대용 기기를 이용하여 자신이 먹고 싶은 식품 및 양을 선택하면, 선택된 식품이 출근 및 등교 준비 시간에 자동으로 배출 혼합되어 사용자가 바로 먹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아침식사가 간단하면서도 편리하게 준비되도록 하는 식품 자동 공급기에 관한 것으로 고체 또는 액체 식품을 공급하는 식품 공급부(20), 상기 식품 공급부(20)를 내부에 수용하는 몸체, 상기 식품 공급부(20)를 제어하는 신호를 사용자부터 입력받아 송신하는 송신부(500), 상기 송신부(500)부터 의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300), 및 상기 수신부(300)에 구비되고 수신부(300)에서 수신한 신호에 의거 상기 식품 공급부(20)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근거리 통신기를 이용한 식품 자동 공급기{Food Dispenser using an automatic feeder with short-range communication}
본 발명은 근거리 통신기를 이용한 식품 자동 공급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출근준비로 바빠서 아침식사를 거르는 직장인, 등교준비로 바쁜 학생들이 출근 및 등교 준비를 하면서 스마트폰 등 휴대용 기기를 이용하여 자신이 먹고 싶은 식품 및 양을 선택하면, 선택된 식품이 출근 및 등교 준비 시간에 자동으로 배출 혼합되어 사용자가 바로 먹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아침식사가 간단하면서도 편리하게 준비되도록 하는 식품 자동 공급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현대인은 대부분 직장에서의 늦은 퇴근하거나, 늦게까지 진행되는 학업 등으로 귀가시간이 늦어서 아침에 일찍 일어나기가 힘이 들고, 일어나서도 출근 및 등교 준비로 항상 아침시간은 바쁘게 움직이고 있다. 이로 인해 아침식사를 거르고 출근하거나 등교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는 건강을 해치게 되는 원인이 되고 있다.
특히, 부부가 함께 직장에 다니는 맞벌이 부부의 경우, 주부는 자신의 출근준비뿐만 아니라, 자녀의 등교준비 등으로 너무 분주한 나머지 제대로 아침식사를 준비하기 못하고, 가족 모두가 아침식사를 하지 못하고 출근 또는 등교를 하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이러한 현대인을 위하여 편리하면도 간단하게 먹을 수 있는 아침식사 대용으로 시리얼과 같은 식품을 우유에 타서 먹는 가정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시리얼과 같은 식품이 다양하게 개발되어 판매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렇게 간단하게 먹을 수 있는 식품이 많이 개발되어 판매되고 있지만, 아침에 출근 및 등교 준비 등으로 바빠서 이마저도 챙겨먹지 못하고 출근하거나 등교하는 가정들이 중가하고 있으며, 이는 곧 가족의 건강을 악화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아침에 출근 및 등교 준비를 하면서 시간을 많이 들이지 않고도 편리하면서 간단하게 아침식사를 준비할 수 있는 식품 자동 공급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식품 자동 공급기는 디스펜서라고 하며, 디스펜서는 ‘버튼 또는 손잡이를 한번 누르면 정해진 양만이 공급되도록 하는 도구’를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음료, 얼음, 견과류, 시리얼, 방향제 등이 디스펜서를 이용해 공급되고 있고, 이 중 등록특허공보 특1991-0003955에 기재된 ‘고정식 혼합 과일쥬스 디스펜서’등록특허공보 10-0748230에 기재된 ‘음료수 디스펜서’등록특허공보 10-1085593에 기재된 ‘음료용 디스펜서 및 음료용 디스펜서의 경보 발령장치’등 음료와 등록특허공보 10-0510698에 기재된 ‘냉장고의 제빙장치용 디스펜서’등록특허공보 10-1257934에 기재된 ‘디스펜서 기능을 갖는 제빙장치’등록특허공보 10-1422005에 기재된 ‘디스펜서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등 얼음 디스펜서가 많이 알려져 있다.
디스펜서는 수동과 자동형으로 나뉘며, 수동형 디스펜서는 디스펜서에 어느 물건을 배치한 뒤 손으로 하나씩 뽑아 사용하거나, 손잡이를 회전하는 등의 방법으로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단적인 예로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48289의 컵 수납통을 구비해 상부에 뚜껑을 설치하고, 그 안에 라운드형 컵을 수납한 상태에서 아래로 하나씩 꺼내어 사용할 수 있는 라운드형 컵 디스펜서이 있으며, 이 외에도 Zevro사에서 출시, 판매하고 있는, 시리얼을 담을 수 있는 수납통과 수납통의 시리얼을 일정량씩 분배할 수 있는 러버블레이드 및 러버블레이드의 회전을 조절하는 조절 탭을 포함하는 시리얼 디스펜서가 있다.
자동형의 경우 버튼, 적외선 센서 등을 이용하여 특정한 물품을 배분하도록 하는 것을 의미하며, 자판기, 커피 자판기, 화장실에 구비되어 있는 적외선 센서를 이용한 물비누 디스펜서 등이 있다.
예로는 등록특허공보 10-0629970에 기재된 스위치를 눌러 작동시 디스펜서에 고정된 치약을 가압롤러가 압박하여 일정량의 치약을 제공하는 ‘치약 자동 디스펜서’등록특허공보 10-1301808에 기재된 용기의 높이를 결정하는 결정부와 초음파를 발사하여 액체의 양을 판단하는 검출부 및 비교부 등을 구비하여 액체의 높이를 판단하여 그 양의 추가, 정지를 판단하여 액체의 양을 공급할 수 있는 ‘음료용 얼음컵 자동 공급기’BREAKFIX사에서 개발한 견과류 또는 시리얼을 수납통에 넣고, 양조절 버튼으로 그 배출량을 조절하고, 배출버튼을 누르게 되면 배출량만큼의 견과류 또는 시리얼이 배출되는 자동형 시리얼 디스펜서, 국내 자판기 모델로 모델명 SSV-777H로 기재된 쥬스, 우유 및 시리얼을 포함하는 자판기가 있다.
이러한 자판기는 시리얼 디스펜서를 수동형으로 할 경우에는 배출되는 양을 회전수로 조절할 수는 있지만 그 양을 맞추기 위해 레버를 계속해 돌려줘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또한 복수개의 시리얼 디스펜서를 이용할 경우에는 각각의 시리얼 디스펜서 하나하나를 작동시켜야 하는 번거로움도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시리얼 디스펜서를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버튼 또는 터치센서뿐만 아니라, 적외선 센서,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 등과 같은 근거리 통신기를 이용한 식품 자동 공급기에 관한 것이며, 식품 자동 공급기에는 사용자가 입력하는 신호를 입력받아 송신하는 송신부의 신호를 수신 받는 수신부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먹고 싶은 음식을 송신기를 통해 입력하면 입력된 식품이 자동으로 배출 및 혼합되어 제공되도록 함으로서 사용자가 편리하고 간편하게 아침식사를 준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다.
또한, 고체식품인 시리얼을 사용자가 선택한 양만큼 배출될 수 있도록 고체을 공급하는 식품 공급부를 구비하고, 다양한 종류의 고체식품인 시리얼을 수용할 수 있도록 고체식품을 공급하는 식품 공급부를 다수 구비하며, 다양한 종류의 고체식품인 시리얼 중 사용자가 원하는 시리얼만 원하는 양만큼 혼합되어 배출되도록 하여 혼합 시리얼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추가적으로 견과류 및 건포도 등과 같은 건강식품도 고체식품인 시리얼에 혼합하여 제공하도록 하는 것에 있다.
추가로 고체식품인 시리얼에 따서 먹는 우유 또는 음료 등의 액체식품을 공급하는 식품 공급부를 추가로 구비하여, 자동으로 고체식품과 액체식품이 혼합되어 배출되도록 구성함으로서 사용자가 고체식품과 액체식품을 혼합하는 번거로움이 없도록 제공할 뿐만 아니라, 액체식품을 공급하는 식품 공급부에 냉각장치를 추가하여 신선한 액체식품을 사용자에게 항상 제공하도록 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식품 자동 공급기(10)는, 고체 또는 액체 식품을 공급하는 식품 공급부(20), 상기 식품 공급부(20)를 내부에 수용하는 몸체, 상기 식품 공급부(20)를 제어하는 신호를 사용자부터 입력받아 송신하는 송신부(500), 상기 송신부(500)부터 의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300), 및 상기 수신부(300)에 구비되고 수신부(300)에서 수신한 신호에 의거 상기 식품 공급부(20)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식품 공급부(20) 중 고체식품을 공급하는 식품 공급부(20)의 하단에는 러버블레이드(110)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식품 공급부(20)의 하단에는 판넬(130)이 구비되고, 판넬(130)에는 수신부(300)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송신부(500) 및 수신부(300)는 근거리 통신수단에 의해 신호가 송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근거리 통신수단은 적외선 센서, 와이파이 센서, 블루투스 센서로 이루어진 통신수단 중 어느 하나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판넬(130)에는 상기의 러버블레이드(110)를 회전시키는 DC모터(141) 및 DC모터의 회전을 감속하는 감속부(14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액체식품을 공급하는 식품 공급부(20)의 판넬(130)에는 액체을 공급하는 식품 공급부(20)의 온도를 저온으로 유지시키는 냉각장치(21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판넬(130)의 하부에는 액체식품의 배출을 제어하는 액체식품 제어 밸브(221)를 포함하는 배출부(22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출부(220)의 액체식품 제어 밸브(221)는 서보모터(230)에 의해 개폐가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적외선 센서, 와이파이, 블루투스, 터치 센서 또는 버튼(410)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적외선 센서, 와이파이, 블루투스, 터치 센서, 버튼(410) 중 어느 하나의 신호에 의해 식품 공급부(20)가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신부(300)는 아두이노 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아두이노 프로그램으로 프로그램 된 제어 프로그램이 수록된 아두이노 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근거리 통신기를 이용한 식품 자동 공급기(10)의 구동 시스템은 식품 자동 공급기(10)로 사용자의 입력신호를 입력받아 송신하는 송신부(500), 송신부(500)로부터 신호를 수신 받아 식품 자동 공급기(10)가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수신부(300), 수신부(300)에는 송신부(500)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따라 고체 또는 액체 식품을 공급하는 식품 공급부(20)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되고, 식품 자동 공급기(10)에 구비되고 제어부 또는 송신부(500)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식품 자동 공급기(10)에 구비된 각각의 기기를 작동하는 작동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신부(300)는 적외선 센서, 블루투스, 와이파이, 버튼(410) 또는 터치센서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작동부에 신호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신부(300)에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부가 추가로 구비되고, 상기 프로그램은 수신부(300)에 입력되는 신호의 순서대로 작동부에 신호를 전달하여 각 기기가 전달된 신호의 순서대로 작동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송신부(500)는 리모컨, 핸드폰, 컴퓨터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입력신호를 수신부(300) 또는 작동부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작동부에는 적외선 센서,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 센서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추가로 구비되어 수신부(300) 또는 송신부(500)에서 보내는 신호를 전달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근거리 통신기를 이용한 식품 자동 공급기(10)는 버튼식 또는 터치식 또는 근거리 통신수단 등을 이용한 자동형 디스펜서로서 버튼식 또는 터치식 또는 근거리 통신수단으로 특정한 신호를 보낼 시 자동적으로 일정량의 고체식품인 시리얼 또는 견과류와 액체식품인 우유 또는 음료가 혼합되어 추출되도록 하여 아침에 출근 및 등교 준비 등으로 시간적 여유가 없는 현대인에게 빠르고 간편하게 아침식사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액체식품을 공급하는 식품 공급부(20)에 냉각장치를 구비하여 언제나 신선한 음료를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고체식품을 공급하는 식품 공급부(20)를 복수 개 구비하여 다양한 고체식품을 공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고체식품인 시리얼 또는 견과류 및 건포도 등을 일정하게 혼합하여 먹을 수 있게 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식품 자동 공급기(10)를 간단하게 도시한 투시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식품 자동 공급기(10)의 고체식품을 공급하는 식품 공급부(20)를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고체식품을 공급하는 식품 공급부(20)의 공급량 조절을 위한 감속부(140)를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액체식품을 공급하는 식품 공급부(20)에 이용되는 서보모터(23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냉각장치를 포함한 액체식품을 공급하는 식품 공급부(2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식품 자동 공급기(1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식품 자동 공급기(10)에 신호를 보내어 작동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식품 자동 공급기(10)가 작동되는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에 앞서 제어부는 이하 설명할 식품 공급부(20)의 작동을 제어하고, 식품 공급부(20)에 의해 배출되는 고체식품 및 액체식품의 양을 조절할 뿐만 아니라, 식품 자동 공급기(10)에 구비되는 모든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의미하며, 상기 제어부는 송신부(500)의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300)에 구비된다.
식품 자동 공급기(10)에 구비되는 모든 기기는 판넬(130)에 구성되는 감속부(140), 수신부(300)가 구성되지 않았거나 수신부(300)가 송신부(500)의 신호를 수신하지 못했을 경우 식품 공급부(20)를 작동시키는 버튼(410) 및 터치센서 등을 식품 자동 공급기(10)에 구비되는 모든 장치를 의미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식품 자동 공급기(10)의 제어부는 아두이노 프로그램으로 프로그램 된 제어 프로그램을 아두이노 보드에 수록하여 이루어진 것을 적용할 수도 있다.
도 1은 근거리 통신기를 이용한 식품 자동 공급기(10)를 간단하게 도시한 투시도이다.
도면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식품 자동 공급기(10)는 도면의 좌측 정면 부분에 도시되어 있는 수신부(300)와 고체식품 또는 액체식품을 수용하였다가 배출하는 식품 공급부(20)와 마지막으로 이들을 감싸는 몸체부로 크게 나눌 수 있으며, 근거리 통신수단을 통해 별도로 구비되는 송신부(500)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받아서 작동이 제어된다.
수신부(300)는 적외선 센서, 와이파이 센서, 블루투스 센서 등 근거리 통신수단으로 이루어지고, 리모컨, 핸드폰, 컴퓨터 등으로 이루어진 송신부(500)에서 송신하는 제어신호를 수신하게 된다.
상기의 수신부(300)의 경우 일반적으로 제작되는 기판을 사용할 수도 있지만, 마이크로프로세서나 컴퓨터 하드웨어 등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이 없는 사람들이 여러 가지 마이크로프로세서를 기반으로 하여 LED, LCD, 터치센서, 모터 등을 쉽게 제어할 수 있도록 구현된 아두이노 보드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수신부(300)에서 수신하는 신호는 버튼(410), 터치패드 등으로 사용자 직접 입력하는 신호일 수도 있다.
상기 송신부(500)는 스마트폰에 탑재되는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상에서 먹고 싶은 고체식품의 종류 및 양을 선택할 수 있고, 액체식품인 음료의 종류 및 양을 선택할 수 있다.
버튼(410) 또는 터치센서는 적외선 센서, 블루투스 센서, 와이파이 센서와 같은 근거리 통신 센서가 없는 경우 사용하는 것으로 몸체 외부로 수신부(300)의 일부를 돌출시켜 구성하며, 버튼(410) 또는 터치센서에 의한 제어신호를 확인 할 수 있는 모니터(420)가 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있다.
식품 공급부(20)는 상기 수신부(300)에서 수신한 신호에 따라 상기 고체식품 또는 액체식품을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에 의해 그 작동이 제어되며, 작동시 시리얼, 견과류, 건포도 등과 같은 고체식품이나 우유, 주스, 물 등과 같은 액체식품을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는 고체식품을 배출하는 식품 공급부(20)를 도시한 도면으로 고체식품인 시리얼 뿐만 아니라 시리얼에 곁들여 먹을 수 있는 견과류, 건포도 등도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식품 공급부(20)에는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덮개(40)가 식품 공급부(20)의 상단부에 구비되고, 식품 공급부(20)의 하단부에는 러버블레이드(110)의 가장 큰 지름의 길이 보다 크지만 러버블레이드(110)로 하단부를 최대한 막았을 경우 식품 공급부(20)에 포함되는 고체식품이 통과 할 수 없도록 된 역원뿔의 원통 모양의 배출구(22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배출구(220)에는 러버블레이드(110)가 장착되어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배출구(200)의 일측 양단에는 러버블레이드(110)의 회전축에서 연장되어 형성된 고정부(120)가 관통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러버블레이드(110)는 수신부(300)의 제어신호에 의거 회전되는 DC모터에 연결된 감속부(140)에 의해 회전력 전달되며, 수신부(300)의 제어신호에 의해 러버블레이드(110)의 회전수가 제어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양만큼의 고체식품이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러버블레이드(110)에는 배출되는 고체식품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날이 형성되어 있으며, 날의 크기 및 날 사이의 각도, 날의 개수는 사용자가 임의로 조절할 수 있으며, 날의 개수는 둘 또는 둘 이상의 복수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도시된 러버블레이드(110)는 본 발명의 실시예 중 하나로 이를 한정 짓는 것이 아니다.
또한, 상기 식품 공급부(20)에서 배출되는 식품은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그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가 송신부(500)를 통해 선택한 식품의 종류 및 공급량을 수신부(300)를 통해 제어부가 입력받고, 제어부에 입력된 신호에 의거 적외선 송신부와 적외선 수신부가 한조로 이루어진 적외선 센서가 적외선을 식품이 공급되는 용기를 조사하여 용기에 담긴 식품으로부터 반사되어 돌아오는 신호로 식품의 배출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배출량이 제어부에 입력된 양으로 측정되면 제어부는 식품 공급부(20)의 밸브를 닫아 식품이 더 이상 배출되지 않도록 조절함으로서 식품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식품 공급부(20)에서 배출되는 식품의 배출량은 상기 적외선 센서를 이용한 방법 또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한 러버블레이드(110)의 회전수 제어 중 하나 또는 둘 다를 이용하여 조절되는 것이다.
식품 공급부(20) 하단부에는 판넬(130)이 구비되고, 판넬(130)에는 액체식품을 공급하는 식품 공급부(20) 하단에 형성된 배출구(220)가 끼워지는 원통형 구멍이 형성되고, 판넬(130)의 원통형 구멍 일측 양단에도 러버블레이드(110)의 회전축에서 연장되어 형성된 고정부(120)가 관통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판넬(130)에는 수신부(300)에서 수신한 신호에 의거 자동 식품 공급기(10)에 구비된 각 기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감속부, 근거리 통신 센서, 수신부(300)의 신호를 각 기기에 전달하는 전선 등이 설치되어 있다.
도 3은 판넬(130)에 구비되는 감속부(140)를 도시한 분해도이며, 감속부(140)는 판넬(130)에 설치된 DC모터(141)의 과회전을 막고 러버블레이드(110)의 회전수를 적절하게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감속부(140)는 몸체의 어느 일측에 DC모터(141)의 전선이 통과할 수 있도록 구멍을 만들고, 러버블레이드(110)가 DC모터(141)의 회전을 감속해서 전달 받을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DC모터(141)의 축과 약 10개정도의 톱니가 형성된 제1기어(144)의 축이 동일축으로 서로 연결되고, 제1기어(144)는 약 30개 이상의 톱니가 형성된 제2기어(145)와 톱니가 서로 결합되어 제1기어(144)의 회전력을 감속하고, 제2기어(145)와 동일축으로 연결된 약 10개의 톱니가 형성된 제3기어(146), 제3기어(146)는 다시 약 30개 이상의 톱니가 형성된 제4기어(147)와 톱니로 서로 결합되어 제3기어(146)의 회전력을 다시 감속하고, 제4기어(147)에서 최종적으로 감속된 회전력이 러버블레이드(110)에 전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4기어(147)와 러버블레이드(110)는 최종 볼트(143-B)에 의해 결합되며, 리버블레이드(110)의 고정부(120)가 결합되는 최종 볼트(143-B)의 단부에는 러버블레이드(110)의 고정부(120)와 그 형상이 동일한 다각형의 결합홈(143-C)이 형성되고, 최종 볼트(143-B)의 단부에 형성된 결합홈(143-C)에 러버블레이드(110)의 고정부(120)가 끼워져 DC모터(141)의 회전력이 감속부(140)를 경유해 러버블레이드(110)에 전달되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감속부(140)에서 기어의 수, 기어의 톱니 등은 임의로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으며, 그 내, 외부에 근거리 통신 센서, 전선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중 하나로 이를 한정짓는 것은 아니다.
도 4는 본 발명의 액체식품을 공급하는 식품 공급부(20)에 이용되는 서보모터(230)를 도시한 도면이다.
서보모터(230)는 DC모터(141)와 다르게 펄스의 주기로 정,역 정지의 동작을 하는 특수모터로 액체식품 공급부(20)의 배출부(220)에 설치되어 액체식품의 배출 시작 및 정지가 가능하도록 하는 액체식품 배출 제어 밸브(221)를 작동시키는 모터이다.
액체식품 배출 제어 밸브(221)는 서보모터(230)에 연결된 제1연결부(231), 제2연결부(232), 제3연결부(233) 순으로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개폐되며, 서보모터(230)와 제1연결부(231)와 제2연결부(232)와 제3연결부(233)는 제1고정부(241), 제2고정부(242), 제3고정부(243)에 의해 결합되고, 액체식품 배출 제어 밸브(221)는 제4고정부(244)에 결합되어 액체식품의 배출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잇으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중 하나로 본 발명을 이에 한정짓는 것은 아니다.
도 5는 액체식품 공급부(20)에 서보모터(230) 및 냉각장치(210), 액체식품 배출 제어 밸브(221)를 구비한 도면이다.
액체식품을 공급하는 식품 공급부(20)에는 기본적으로 고체식품인 시리얼에 제공되는 우유를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주스와 같은 음료 또는 물 등도 포함 할 수 있다.
액체식품을 공급하는 식품 공급부(20)에 수용되는 액체식품은 장기간 보관이 어렵고 쉽게 변질되는 것이므로, 액체식품의 변질을 예방하고, 일정기간 액체식품을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냉각장치(210)를 추가로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냉각장치(210)는 판넬(130)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액체식품을 공급하는 식품 공급부(20)의 일부를 감싸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이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 중 하나로 그 구성 및 내용을 한정짓는 것은 아니다.
상기의 액체식품을 공급하는 식품 공급부(20)에는 액체식품을 용기에서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배출부(220)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배출부(220)는 액체식품을 공급하는 식품 공급부(20)와 연결되어 액체식품이 용기에 정확하게 배출 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하기 위해 판넬(130)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배출부(220)에는 서보모터(230)에 의해 작동하는 액체식품 배출 제어 밸브(221)가 구비되어 액체식품의 배출을 단속하게 된다.
또한, 액체식품을 공급하는 식품 공급부(20)에 액체식품을 수용할 경우도 고체식품을 수용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근거리 통신 센서 등을 포함하여, 수신부(300)를 통한 제어뿐 아니라 송신부(500)의 신호를 직접적으로 받아 제어되도록 구성할 수 도 있다.
또한, 상기의 액체식품을 공급하는 식품 공급부(20)에도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그 배출량을 조절 할 수도 있다.
도 6은 상기의 내용으로 제작된 근거리 통신기를 이용한 식품 자동 공급기(10)의 예시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버튼(410) 및 터치센서를 구성하여, 식품 공급부(20)를 지정해 누르는 횟수로 고체식품인 시리얼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지만, 상기에 기재된 송신부(500) 또는 판넬(130)에 구성된 근거리 통신 센서에서 수신한 제어신호에 의해 고체식품인 시리얼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7은 리모컨, 컴퓨터, 핸드폰 등의 송신부(500)에서 신호를 보내어 작동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으로 송신부(500)에서 보내지는 신호는 수신부(300)를 통해 제어부에 전달되어, 제어부에 의해 제어신호가 식품 자동 공급기(10)에 구성되는 고체 또는 액체 식품을 공급하는 식품 공급부(20), 스피커, 모니터(420) 등의 각 기기에 전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또는 송신부(500)에서 식품 자동 공급기(10)에 구성되는 고체 및 액체 식품을 공급하는 식품 공급부(20), 스피커, 모니터(420) 등의 각 기기에 근거리 통신 센서 등을 이용하여 직접 신호를 전달할 수도 있다.
송신부(500)는 식품 자동 공급기(10)에 구비된 수신부(300)에 근거리 통신 센서 등으로 구성된 장치를 이용하여 신호를 송신할 수 있고, 또한, 식품 자동 공급기(10)의 각 기기에 구비된 근거리 통신 센서 등으로 구성된 장치를 통해 식품 자동 공급기(10)의 각 기기에 직접 신호를 송신할 수 도 있다. 도 7에 도시된 리모컨, 스마트폰, 휴대용 기기, 컴퓨터는 송신부(500)의 예시로 보여준 것이지 그것을 한정짓는 것은 아니다.
식품 자동 공급기(10)의 작동의 흐름도는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은데, 송신부(500)는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입력하는 신호를 받아 수신부(300)에 신호를 송신하고, 수신부(300)는 송신부(50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송신부(500)와 수신부(300)는 근거리 통신 센서를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하고, 수신부(300)에서 수신한 신호는 제어부에 전달되어 식품 자동 공급기(10)의 각 기기를 제어하게 된다.
또한, 근거리 통신 센서가 없어 근거리 신호를 보낼 수 없을 경우에도 식품 자동 공급기(10)를 사용할 수 있도록 몸체 외부로 수신부(300)의 일부를 돌출시켜 버튼(410) 또는 터치센서를 구성하고, 버튼(410) 또는 터치센서의 작동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모니터(420)가 구비되어 버튼(410) 또는 터치센서의 신호의 상태를 표시하게 된다.
버튼(410) 또는 터치센서의 작동 방식은 상기의 수신부(300)와 동일하게 특정 버튼(410)으로 식품 자동 공급기(10) 내부에 구성된 고체 및 액체 식품을 공급하는 식품 공급부(20)의 각각을 작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배출되는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누름 횟수에 따라 고체식품을 공급하는 식품 공급부(20)의 러버블레이드(110)의 회전수를 제어하고, 또한 액체식품을 공급하는 식품 공급부(20)의 액체식품 배출 제어 밸브(221)의 동작 횟수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어부에는 제어신호에 따라 각 기기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저장부를 구비하고, 사전에 특정한 신호 순서 또는 버튼(410)의 입력 순서를 따라 각 기기의 작동 순서를 프로그램으로 저장하여 특정한 버튼(410) 입력시 수용된 내용물의 추출을 순서에 따라 자동적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제어하게 된다.
또한, 식품 자동 공급기(10)는 사용자가 송신부(500)에 신호를 입력하게 되면 사용자의 입력 신호를 송신부(500)에서 송신하고, 송신부(500)에서 송신된 신호는 수신부(300)에서 수신하고, 수신부(500)에서 수신된 신호는 제어부에서 각의 기기를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만약 송신부(500)의 신호를 수신부(300)가 수신 받지 못하였을 경우, 송신부(500)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적외선 센서,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 센서와 같은 근거리 통신 센서가 구비된 각 기기에 직접 신호가 전달되어 각 기기는 송신부(500)의 신호에 의해 작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송신부(500)의 신호를 수신부(300)가 수신하지 못할 경우 식품 자동 공급기(10)에 구비된 버튼(410) 또는 터치센서를 이용해 사용자가 직접 식품 자동 공급기(10)에 구비된 각 기기들을 작동시킬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은 예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예들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식품 자동 공급기 20 : 식품 공급부
30 : 트레이 40 : 덮개
110 : 러버블레이드 120 : 고정부
130 : 판넬 140 : 감속부
141 : DC모터 142 : 회선
143-A : 볼트 143-B : 최종 볼트
143-C : 러버블레이드 접합부
144 : 제1기어 145 : 제2기어
146 : 제3기어 147 : 제4기어
148 : 너트 149 : 감속부 몸체
210 : 냉각장치 220 : 배출부
221 : 액체식품 제어 밸브 230 : 서보모터
231 : 제1연결부 232 : 제2연결부
233 : 제3연결부 241 : 제1고정부
242 : 제2고정부 243 : 제3고정부
244 : 제4고정부 300 : 수신부
410 : 버튼 420 : 모니터
500 : 송신부

Claims (17)

  1. 고체 또는 액체 식품을 공급하는 식품 공급부(20);
    상기 식품 공급부(20)를 내부에 수용하는 몸체;
    상기 식품 공급부(20)를 제어하는 신호를 사용자부터 입력받아 송신하는 송신부(500);
    상기 송신부(500)의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300); 및
    상기 수신부(300)에 구비되고 수신부(300)에서 수신한 신호에 의거 상기 식품 공급부(20)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기를 포함하는 식품 자동 공급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공급부(20) 중 고체식품을 공급하는 식품 공급부(20)의 하단에는 러버블레이드(110)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기를 포함하는 식품 자동 공급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공급부(20)의 하단에는 판넬(130)이 구비되고, 판넬(130)에는 수신부(300)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기를 포함하는 식품 자동 공급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500) 및 수신부(300)는 근거리 통신수단에 의해 신호가 송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기를 포함하는 식품 자동 공급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수단은 적외선 센서, 와이파이 센서, 블루투스 센서로 이루어진 통신수단 중 어느 하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기를 포함하는 식품 자동 공급기.
  6.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판넬(130)에는 상기의 러버블레이드(110)를 회전시키는 DC모터(141) 및 DC모터의 회전을 감속하는 감속부(14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기를 포함하는 식품 자동 공급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식품을 공급하는 식품 공급부(20)의 판넬(130)에는 액체을 공급하는 식품 공급부(20)의 온도를 저온으로 유지시키는 냉각장치(21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기를 포함하는 식품 자동 공급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판넬(130)의 하부에는 액체식품의 배출을 제어하는 액체식품 제어 밸브(221)를 포함하는 배출부(22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기를 포함하는 식품 자동 공급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220)의 액체식품 제어 밸브(221)는 서보모터(230)에 의해 개폐가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기를 포함하는 식품 자동 공급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적외선 센서, 와이파이, 블루투스, 터치 센서 또는 버튼(410)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적외선 센서, 와이파이, 블루투스, 터치 센서, 버튼(410) 중 어느 하나의 신호에 의해 식품 공급부(20)가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기를 포함하는 식품 자동 공급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300)는 아두이노 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기를 포함하는 식품 자동 공급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아두이노 프로그램으로 프로그램 된 제어 프로그램이 수록된 아두이노 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기를 포함하는 식품 자동 공급기.
  13. 근거리 통신기를 이용한 식품 자동 공급기(10)의 구동 시스템에 있어서,
    식품 자동 공급기(10)로 사용자의 입력신호를 입력받아 송신하는 송신부(500),
    송신부(500)로부터 신호를 수신 받아 식품 자동 공급기(10)가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수신부(300),
    수신부(300)에는 송신부(500)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따라 고체 또는 액체 식품을 공급하는 식품 공급부(20)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되고,
    식품 자동 공급기(10)에 구비되고 제어부 또는 송신부(500)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식품 자동 공급기(10)에 구비된 각각의 기기를 작동하는 작동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기를 이용한 식품 자동 공급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300)는 적외선 센서, 블루투스, 와이파이, 버튼(410) 또는 터치센서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작동부에 신호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기를 이용한 식품 자동 공급 시스템.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300)에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부가 추가로 구비되고, 상기 프로그램은 수신부(300)에 입력되는 신호의 순서대로 작동부에 신호를 전달하여 각 기기가 전달된 신호의 순서대로 작동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기를 이용한 식품 자동 공급 시스템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500)는 리모컨, 핸드폰, 컴퓨터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입력신호를 수신부(300) 또는 작동부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기를 이용한 식품 자동 공급 시스템.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에는 적외선 센서,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 센서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추가로 구비되어 수신부(300) 또는 송신부(500)에서 보내는 신호를 전달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기를 이용한 식품 자동 공급 시스템.
KR1020150132781A 2015-09-21 2015-09-21 근거리 통신기를 이용한 식품 자동 공급기 KR201700344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2781A KR20170034483A (ko) 2015-09-21 2015-09-21 근거리 통신기를 이용한 식품 자동 공급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2781A KR20170034483A (ko) 2015-09-21 2015-09-21 근거리 통신기를 이용한 식품 자동 공급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4483A true KR20170034483A (ko) 2017-03-29

Family

ID=58498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2781A KR20170034483A (ko) 2015-09-21 2015-09-21 근거리 통신기를 이용한 식품 자동 공급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3448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30105A1 (zh) * 2018-08-10 2020-02-13 佛山市饭小二煮饭机器人科技有限公司 烹饪物料的混合方法及装置
KR20230058805A (ko) 2021-10-25 2023-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30105A1 (zh) * 2018-08-10 2020-02-13 佛山市饭小二煮饭机器人科技有限公司 烹饪物料的混合方法及装置
KR20230058805A (ko) 2021-10-25 2023-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470330B (zh) 制造食物产品的方法及设备
US10881240B2 (en) Adjustable portafilter and grind adjustment
US9393533B2 (en) Blender
RU2011127986A (ru) Интегрированный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для дозирования и перемешивания/смешивания ингредиентов напитка
RU2009131459A (ru) Автономная машина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еды и напитков
US10702839B2 (en) Precision dispensing and mixing apparatus
US20110163127A1 (en) Beverage apparatus for preparing, storing, and dispensing infant formula
AU2014334495A1 (en) Adjustable portafilter and grind adjustment
KR20170034483A (ko) 근거리 통신기를 이용한 식품 자동 공급기
US6711990B1 (en) Baby formula preparation and multiple dispensing apparatus
US8813682B2 (en) Device for dispensing a fluidic consumable for an animal
AU2005244963A1 (en) Drink making machine
US20060043115A1 (en) Food dispensing apparatus
WO2019211409A1 (en) Machine and capsule for rehydrating dehydrated pet foods
KR20030048639A (ko) 사료 자동급이기의 적량 공급장치
WO2011151490A8 (es) Dispositivo para la preparación de biberones
EP1619981B1 (en) Domestic appliance for the processing of alimentary products
KR20230106428A (ko) 스마트 반려동물 케어 시스템
CN211910069U (zh) 一种投喂结构及其宠物喂食系统
CN212037206U (zh) 一种智能化饮料机
CN215305070U (zh) 配料机
US20120012614A1 (en) Beverage Additive Storage and Dispensing Station
CN111297195A (zh) 一种智能化饮料机
CN2935285Y (zh) 饮料粉末自动售货机
EP2878245A3 (en) Blending and dispensing appli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4853;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1011

Effective date: 20190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