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4280A - Block for engineering work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Block for engineering work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4280A
KR20170034280A KR1020150153793A KR20150153793A KR20170034280A KR 20170034280 A KR20170034280 A KR 20170034280A KR 1020150153793 A KR1020150153793 A KR 1020150153793A KR 20150153793 A KR20150153793 A KR 20150153793A KR 20170034280 A KR20170034280 A KR 201700342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reinforcing material
blocks
retaining wall
insertio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379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정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포스
Publication of KR201700342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428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7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eans incorporating sheet piles or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3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lock for a civil engineering structure, and a construction method of a civil engineering structure using the same. A reinforcing material insertion groove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a block to directly connect a band-type fiber reinforcing material which has a size and weight to be constructed by manpower, and is buried in reinforcement soil to the block without using a separate subsidiary material. The reinforcing material insertion groove is opened to a rear of the through holes formed on an inner side of the block in a horizontally symmetric shape to reduce a weight of the block. A reinforcing material insertion groove of a convex shape is formed between the through holes on both sides to insert a reinforcing material in a loop shape to connect the reinforcing material to maximize connection strength of the block and the reinforcing material, and prevents local damage or fatigue concentration of the reinforcing material to provide excellent durability.

Description

토목구조물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토목구조물의 시공방법{Block for engineering work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lock for civil engineering structures,

본 발명은 사면(斜面)에서의 평탄한 부지(site) 조성을 위한 보강토 옹벽이나 조경용 담장이나 기둥 등을 축조하는데 사용되는 토목구조물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토목구조물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인력으로 운반하여 시공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와 무게를 가지며, 블록 상면에 보강재 삽입홈이 형성되어 별도의 부자재를 사용하지 않고 띠형 섬유보강재를 고리 형태로 끼워 연결함으로써 블록과 보강재 사이의 결속력 및 연결강도를 극대화함과 동시에 보강재의 국부적인 손상이나 응력 집중이 발생하지 않아 내구성이 우수한 토목구조물을 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ECHNIC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lock for a civil engineering structure used for constructing a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for a flat site on a slope, a fencing pillar or a pillar, and a construction method of the civil engineering structure using the same. The reinforcing material insertion groov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lock so that the band-like fiber reinforcing material is connected in a ring shape without using any additional material, thereby maximizing the bonding force and the connection strength between the block and the reinforcing material. At the same time, local damage or stress concentration of the reinforcing material does not occur, so that the civil engineering structure having excellent durability can be constructed.

일반적으로, 흙의 유실 방지 또는 경사지에서의 평탄한 부지를 확보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블록식 보강토 옹벽에서는 주로 지오그리드(geogrid) 보강재를 사용하고 있는데, 이 지오그리드 보강재는 폴리머 재질을 이용하여 격자 모양(그물망 모양)으로 제작되며, 종방향 리브와 횡방향 리브로 구성되어 있다. Generally, geogrid reinforcement is mainly used in block-type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s used to prevent soil loss or to provide a flat site on a slope. This geogrid reinforcement is formed by lattice-shaped (mesh-shaped) And consists of longitudinal ribs and transverse ribs.

이러한 격자 구조를 가진 지오그리드를 생산하는 방법으로는 직조, 천공 후 연신, 레이저 융착, 열 융착 또는 초음파 융착 등이 있고, 이렇게 생산된 지오그리드는 격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연결핀 또는 블록 상,하면의 요철을 이용하여 축조하므로 옹벽용 블록과의 연결이 비교적 쉬우며, 토사 내에서의 마찰 계수가 큰 장점이 있다.As a method of producing the geogrid having such a lattice structure, there are weaving, stretching after perforation, laser welding, heat welding, ultrasonic welding, etc. Since the geogrid produced in this way has a lattice shape, So that it is relatively easy to connect to the retaining wall block, and the coefficient of friction in the soil is large.

하지만 지오그리드 보강재를 이용한 방법들은 일반적으로 제품의 인장 강도 보다는 경사와 위사가 만나는 접점의 강도가 적어서 블록과의 연결 강도가 인장 강도에 훨씬 못 미칠 뿐 아니라, 횡방향 리브를 형성하기 위하여 비교적 고가의 생산 장비를 사용하여 추가 공정을 거쳐야 하므로 압출 성형하는 방식의 띠형 섬유보강재에 비하여 생산 비용이 높을 수밖에 없다.However, the methods using the geogrid reinforcement generally have a lower contact strength at which the warp meets warp than the tensile strength of the product, so that the connection strength with the block is far lower than the tensile strength.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an additional process using the equipment, so that the production cost is higher than that of the strip-type fiber reinforcement in the method of extrusion molding.

또, 지오그리드 보강재를 블록에 연결하는 방식에 있어서도 이를 상,하부 블록 사이에 끼우고 연결핀을 끼우는 정도에 그침으로써 블록과 보강재 간의 연결강도가 높지 않고, 특히, 곡선형 옹벽의 경우에는 소정 폭의 지오그리드 보강재를 펼쳐서 시공하여야 하므로 좌우로 인접하는 블록 사이에 지오그리드 보강재를 펼치게 될 경우 지오그리드 보강재의 선단이 온전하게 눌리는 부분이 있는 반면 돌출부위에 위치한 블록에는 지오그리드 보강재의 선단 일부만이 눌리게 되어 결합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옹벽을 이루는 블록의 수직 분포에 있어서도 옹벽 하부 측의 지오그리드 보강재는 상부에 위치하는 다수 블록의 하중에 의해 블록과의 결합력이 높은 반면, 옹벽의 상단부 특히 최상단부에 위치하는 지오그리드 보강재의 경우에는 상부에서 눌러주는 블록의 하중이 상대적으로 가벼워 블록과의 결속력 및 연결강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고, 상,하부 블록 사이에 눌린 보강재 연결부의 손상으로 인해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연결강도 유지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method of connecting the geogrid reinforcement to the block, the connection strength between the block and the stiffener is not high by interposing it between the upper and lower blocks and fitting the connecting pin. Particularly, in the case of the curved retaining wall, Since the geogrid reinforcement needs to be expanded and deployed, when the geogrid reinforcement is expanded between the adjacent blocks, only the tip of the geogrid reinforcement is pressed against the block positioned above the protrusion, In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the blocks constituting the retaining wall, the geogrid reinforcement on the lower side of the retaining wall has a high binding force with the block due to the load of the plurality of blocks located on the upper side. On the other hand, In the upper part Press, and the disadvantage that the weight of the block relative to the light falling cohesion and strength of the connection block and that, there is a long-term reliable connection strength is maintained difficult due to damage of the connection reinforcement is press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blocks.

따라서, 지오그리드 보강재 대신 저렴한 띠형 섬유보강재를 사용하면서도 블록과의 결합력이 우수하며, 시공성 또한 우수한 새로운 타입의 토목구조물용 블록이 절실히 필요한 시점이다.Therefore, it is an urgent need for a new type civil engineering structure block which has excellent bonding strength with the block and excellent in workability, while using an inexpensive staple fiber reinforcing material instead of the geogrid reinforcement.

한국등록특허 제10-0414010호(2003.12.22.등록)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0414010 (registered on December 22, 2003) 한국등록특허 제10-0432363호(2004.05.10.등록)Korean Patent No. 10-0432363 (registered on May 10, 2004)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089817호(2010.08.12.공개)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0-0089817 (Dec. 12, 2010) 미국출원공개 US2008/0289283(2008.11.27.공개)U.S. Application No. US2008 / 0289283 (published on November 27, 2008)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첫째, 옹벽이나 담장 또는 기둥과 같은 토목 구조물을 축조함에 있어서 장비를 사용하지 않고도 인력으로 축조할 수 있는 크기의 블록을 제공하되 보강재를 상,하 블록 사이에 끼워서 연결하던 종래 연결 방식 대신 보강재를 블록 자체에 별도의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직접 연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블록과 보강재 사이의 결속력 및 연결강도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lock having a size that can be constructed by a manpower without using equipment in constructing a civil engineering structure such as a retaining wall, a fence, The stiffener can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block itself without using a separate member in place of the conventional connecting method in which the stiffener is interpos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blocks, thereby maximizing the coupling force and the coupling strength between the block and the stiffener .

둘째, 본 발명은 보강재를 직접 블록에 연결함으로써 옹벽의 높이에 무관하게 블록과 보강재 사이의 연결강도를 균일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안정된 구조의 토목구조물을 축조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Second,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nect a reinforcing material directly to a block,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construct a civil structure having a stable structure capable of maintaining a uniform connection strength between the block and the reinforcement regardless of the height of the retaining wall.

셋째, 본 발명은 직선형 옹벽이든 곡선형 옹벽이든 코너부 옹벽이든 무관하게 좌우 방향으로의 보강재 포설 간격 및 포설된 보강재의 분포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옹벽의 형태나 적층 높이에 무관하게 옹벽을 구성하는 개개의 블록과 보강재 간의 연결상태가 균일한 토목구조물을 축조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Third, the present invention can uniformly maintain the spacing of the reinforcing material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the distribution of the reinforced stiffener regardless of the shape of the retaining wall or the height of the stack, regardless of whether it is a straight retaining wall, a curved retaining wall or a corner retaining wall. And to construct a civil engineering structure having a uniform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individual blocks and the reinforcing member.

넷째, 본 발명은 보강재를 블록에 직접 연결하되 보강재가 블록 사이에 짓눌려 보강재가 손상되어 내구력이 저하될 우려가 있던 종래의 방식 대신 보강재의 손상이 발생하지 않는 방식으로 블록에 연결함으로 안정적인 축조상태를 반영구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토목구조물을 축조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Fourth,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iffener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block, and instead of the conventional method in which the stiffener is damaged due to the collapse of the stiffener between the blocks, the stiffener is connected to the block in such a manner as not to damage the stiffener, And to construct semi-permanent civil structur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면 양측에 상,하 블록 사이의 인터록킹을 위한 연결핀이 끼워지는 연결핀 삽입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핀 삽입구멍 사이에는 상하로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의 후방으로는 후면으로 개방된 보강재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의 전방으로는 보강재 삽입홈이 형성되어 보강재가 상기 보강재 삽입홈에 고리 형태로 연결되는 토목구조물용 블록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s a connection pin inserted into a hole which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pin for interlocking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both sides of upper and lower blocks are formed, it is formed with through-holes and down between the connecting pin insertion hole, rearward of the through-hole is a reinforcement groove open to the rear is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through-hole provides a block for civil engineering structures that connect the reinforcement is reinforcement insertion hole is formed in a ring shape on the reinforcement insert groove .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상기 블록은 대체로 편평한 상태의 상면과 하면, 천연석의 표면 질감을 갖도록 스플릿 가공된 전면, 상기 전면에서 후방을 향하여 소정의 각도로 테이퍼진 좌,우 측면 및 2개의 돌출부와 하나의 만입부로 이루어진 후면을 갖는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block comprises a generally planar top surface and a bottom surface, a splitted front surface having a surface texture of natural stone, a left and right side tapered at a predetermined angle rearward from the front surface, And has a rear face made of an indented portion.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상기 연결핀 삽입구멍은 복수 개 형성되되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되어 연결핀의 삽입 위치를 달리하는 것에 의해 수직 옹벽이나 경사 옹벽의 축조가 가능하도록 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plurality of connection pin insertion holes are formed in a diagonal direction so that a vertical retention wall or an inclined retaining wall can be constructed by changing the insertion positions of the connection pins.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상기 측면의 후단부에는 파지홈이 형성되어 운반이 용이하도록 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a gripping groove is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side surface to facilitate transportation.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상기 관통공 사이에 형성되는 보강재 삽입홈은 전방으로 볼록한 원호 형으로 이루어져 보강재가 급격하게 꺾이지 않고 소정의 곡률로 완만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reinforcing material insertion grooves formed between the through holes are formed in a forward convex circular arc shape so that the reinforcing material can be gently connected with a predetermined curvature without breaking rapidly.

본 발명은 또, 상기 블록과 기본적으로 동일한 형태를 이루되 후면 일측의 돌출부가 제거되고, 좌우의 일측면이 전면과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인접하는 블록끼리 상호 직각을 이루도록 축조할 수 있는 토목구조물용 코너 블록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applicable to a civil engineering structure which is basically the same as the above-described block and has protrusions on one side of the rear side thereof removed, one side surface of the left side and the other side of which are perpendicular to the front surface, Corner block.

본 발명은 또, 상기 블록으로 옹벽이나 담장 또는 기둥 등을 포함하는 토목구조물의 페이싱(표면)을 형성하고, 블록의 후방에서 띠형 섬유보강재를 동일 평면상에서 인접하는 블록 사이에 연속으로 연결하는 것에 의해 블록과 블록이 상호 인터록킹되도록 하는 토목구조물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characterized in that the block is formed by a pacing (surface) of a civil engineering structure including a retaining wall, a fence or a pillar and the like, and successively connecting the staple fiber reinforcements between adjacent blocks on the same plane And the block and the block ar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본 발명에 의하면 띠형 섬유보강재가 별도의 부자재 없이도 블록에 직접 연결됨으로써 블록과 보강재 간의 결속력 및 연결강도가 우수함은 물론 경제적인 시공이 가능하고, 직선형 옹벽이나 담장은 물론 곡선형 옹벽이나 담장의 축조시에도 개개의 블록과 보강재 간의 결속력이 균일하며, 옹벽의 시공높이에 무관하게 블록과 보강재 사이의 연결강도가 동일하므로 시공 후 블록 벽체의 배부름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블록의 밀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블록 벽체의 국부적인 변위를 최소화할 수 있는 등 내구성이 우수한 토목구조물을 축조할 수 있으며, 블록의 보강재 삽입홈에 보강재를 루프 형태로 직접 연결하는 방식이므로 보강재의 국부적인 응력집중이 없고 보강재의 표면 손상이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band-shaped fiber reinforcing material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block without any additional auxiliary material,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conomical construction as well as an excellent bonding force and connection strength between the block and the reinforcement. Further, the straight reinforcing wall, Since the bond strength between individual blocks and the reinforcement is uniform and the connection strength between the block and the reinforcement is the same irrespective of the height of the retaining wall, it is possible to minimize occurrence of occurrence of the block wall after the construction, It is possible to construct a civil engineering structure having excellent durability such as minimizing the local displacement of the block wall and to directly connect the stiffener to the reinforcing material insertion groove of the block in the form of a loop so that the local stress of the stiffener There is no concentration and the surface damage of the reinforcing material does not occur.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블록과 코너 블록을 사용하여 순수 인력만으로 또는 인양장비 등을 사용하여 부지조성을 위한 다양한 형태의 중력식 또는 보강토 옹벽이나 조경용 담장 및 기둥이나 벤치 등을 저렴한 비용으로 견고하게 축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by using the block and corner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nstruct various types of gravity type or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s, landscaping walls, pillars, benches, and the like for site composition only by pure attraction or by using lifting equipment, There is an advantag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표준형 블록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블록의 배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블록의 정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블록의 평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블록의 저면도,
도 6은 직선형 수직 옹벽의 축조상태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도 7의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9는 직선형 경사 옹벽의 축조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10은 직선형 경사 옹벽의 축조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11은 도 10에서 상,하 블록 간의 인터록킹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12는 곡선형 옹벽의 축조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13은 블록에 보강재가 연결된 상태의 사시도,
도 14는 도 13의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15는 곡선형 옹벽에 보강재가 균일하게 배치된 상태의 평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코너 블록의 사시도,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코너 블록의 평면도,
도 18은 옹벽의 코너부 축조상태를 도시한 전면부 사시도,
도 19는 도 18의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20은 2단 유니트화 된 블록의 축조상태를 도시한 옹벽의 사시도,
도 21은 도 20의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
도 22는 1단 및 2단 유니트화 된 블록의 혼합 축조상태를 도시한 옹벽의 사시도,
도 23은 3단 유니트화 된 블록의 축조상태를 도시한 옹벽의 사시도,
도 24는 교대 부분의 옹벽 시공시 보강재의 포설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5는 옹벽 후부에 기둥이 배치된 경우 보강재의 포설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6은 옹벽 후부에 장방형 콘크리트 구조물이 있을 경우 보강재의 포설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7은 옹벽 후부에 맨홀이 있을 경우 보강재의 포설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8은 본 발명의 블록으로 조경용 기둥을 축조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9는 도 28에 도시된 기둥의 평면도,
도 30은 본 발명의 블록으로 조경용 담장을 축조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31은 본 발명의 블록으로 벤치를 축조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2는 본 발명의 블록으로 축조된 조경용의 낮은 경사형 중력식 옹벽의 측단면도,
도 33은 본 발명의 블록으로 낮게 축조된 중력식 옹벽의 평면도,
도 34는 본 발명의 블록으로 축조된 좁은 폭 담장의 평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ndard type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block shown in FIG. 1,
Figure 3 is a front view of the block shown in Figure 1,
Figure 4 is a top view of the block shown in Figure 1,
Figure 5 is a bottom view of the block shown in Figure 1,
Fig. 6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ate of the linear vertical retaining wall,
Fig. 7 is a plan view showing the state of Fig. 6,
FIG. 8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the state of FIG. 7,
Fig. 9 is a plan view showing the state of the rectilinear slant retaining wall,
10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the state of the rectilinear slant retaining wall being built,
11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n interlocking state between upper and lower blocks in Fig. 10,
12 is a plan view showing the state of the curved retaining wall,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reinforcing member is connected to a block,
Fig. 14 is a plan view showing the state of Fig. 13,
15 is a plan view of a state in which a reinforcing material is uniformly arranged on a curved retaining wall,
16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rner blo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plan view of the corner block shown in Fig. 16,
18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ate of the corner portion of the retaining wall,
Fig. 19 is a plan view showing the state of Fig. 18,
FIG. 20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taining wall showing a built state of a two-stage unitized block,
Fig. 21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the state of Fig. 20 ,
2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struction showing a mixed state of the 1 and 2 units of screen retaining wall blocks,
Fig. 23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taining wall showing the state of building of a three-stage unitized block,
2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reinforcing material is installed when a retaining wall of an alternate portion is constructed,
2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reinforcing material is installed when a column is disposed at a rear wall of the retaining wall,
FIG. 2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reinforcing material is installed when a rectangular concrete structure is present at a rear portion of the retaining wall,
Fig. 2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reinforcing material is installed when a manhole is provided at a rear wall of the retaining wall,
2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lumn for landscaping is constructed as a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29 is a plan view of the column shown in Fig. 28,
30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gardening fence is constructed as a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3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bench is constructed with a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low inclination gravity type retaining wall for landscaping constructed as a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3 is a plan view of a gravity retaining wall constructed as a low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4 is a top view of a narrow width fence built with block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토목구조물용 표준형 블록이 도시되어 있다.1 to 5 show a standard block for a civil engineer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 예의 표준형 블록(1)은 상면 양측에 In the standard type block 1 of this embodiment, 상,하Upper, lower 블록 사이의  Between blocks 인터록킹을Interlocking 위한 연결핀(3)이 끼워지는 연결핀 삽입구멍(12)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핀 삽입구멍(12) 사이에는 상하로  A connection pin insertion hole 12 into which the connection pin 3 for insertion is inserted is formed, 관통공(14)이The through hole (14) 형성되며, 상기  And 관통공(14)의Of the through-hole (14) 후방으로는 후면으로 개방된 보강재  A rearwardly open rear stiffener 삽입홈(16)이The insertion groove 16 형성되고, 상기  Is formed, 관통공(14)의Of the through-hole (14) 전방으로는 보강재  In the forward direction, 삽입홈(18)이The insertion groove 18 형성되어 보강재(2)가 상기 보강재  So that the reinforcing material (2) 삽입홈(16,18)에In the insertion grooves 16, 고리 형태로 연결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And can be connected in the form of a ring.

본 실시 예에서, 상기 In this embodiment, 관통공(14)은The through- 좌우 양측에 2개가 형성되되 블록 후면과 블록 측면 방향으로 연장되어 L자 형태를 이루고 있다. Two block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lock, extending in the direction of the block back side and block side, forming an L shape.

본 실시 예의 표준형 블록(1)은 대체로 편평한 상태의 상면(10)과 하면(20), 천연석의 표면 질감을 갖도록 스플릿 가공된 전면(30), 상기 전면(30)에서 후방을 향하여 소정의 각도로 테이퍼진 좌,우 측면(40,50) 및 2개의 돌출부(62)와 하나의 만입부(64)로 이루어진 후면(60)을 갖고 있다.The standard block 1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top surface 10 and a bottom surface 20 in a generally flat state, a front surface 30 that is split to have a surface texture of natural stone, And a rear surface 60 made of tapered left and right side surfaces 40 and 50 and two projections 62 and one indentation 64. [

상기 표준형 블록(1)의 전면(3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천연석 질감 외에도 성형틀에 의해 다양한 패턴으로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natural stone texture as shown in the drawing, the front surface 30 of the standard block 1 may be formed in various patterns by a molding frame.

본 실시 예의 표준형 블록은 30~50kg 정도의 중량을 갖도록 콘크리트로 성형되어 장비를 사용하지 않고도 수작업으로 운반하여 옹벽이나 담장 등을 축조할 수 있는데, 운반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측면(40,50)의 후단부에 파지홈(42,52)이 형성되어 있다.The standard type block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med of concrete so as to have a weight of about 30 to 50 kg, and can be constructed manually by hand without using equipment to construct a retaining wall, a fence, etc. For convenience of transportation, And gripping grooves 42 and 52 are formed at the rear end thereof.

본 실시 예의 표준형 블록은 옹벽의 표면을 형성하는 대체로 편평하고 표면적이 넓은 전면(30)의 면적에 비해 단면 형태가 블록의 중량이 상대적으로 가볍도록 설계되어 있어 블록 축조식 보강토 옹벽의 시공성 향상 및 물류비와 재료비의 절감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The standard type block of this embodiment is designed such that the weight of the block is relatively light in comparison with the area of the generally flat and large surface area forming front surface 30 of the retaining wall so that improvement in workability of the block- And the material cost can be reduced.

즉, 본 실시 예에 의한 표준형 블록은 대체로 편평한 전면(30)에 비해 평단면의 형태가 경량화된 구조를 이루는바,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블록(1) 몸통의 내측에 좌우 대칭으로 형성된 L자 형태의 관통공(14)과, 블록(1) 후면의 양측으로 테이퍼 형태를 이루면서 뻗은 가느다란 돌출부(62) 및 상기 돌출부(62) 사이에 깊고 넓게 파여진 만입부(64)의 형태에 의해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e standard type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shape of the flat cross-section is lightweight compared with the generally flat front surface 30. More specifically, the L- The light weight can be reduced by the shape of the through hole 14 and the thin and deep projection 62 extending in a tapered shape on both sides of the rear face of the block 1 and the deep and waved indentation 64 between the projection 62 You can do it.

한편, 상기 파지홈(42,52)의 후방으로는 파지홈의 깊이가 깊지 않아 불완전한 파지가 이루어지는 것을 보완할 수 있도록 상기 파지홈(42,52)과 반대방향으로 즉, 외측으로 돌출된 돌기(44,54)가 형성되어 있어 파지홈(42,52)으로부터 손가락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In order to compensate for incomplete grasping due to the depth of the grasping grooves at the rear of the grasping grooves 42 and 52, protrusions protruding outwardly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grasping grooves 42 and 52 44 and 54 are formed to prevent the fingers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gripping grooves 42 and 52.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상면(10) 양측에 형성되는 연결핀 삽입구멍(12)은 3개씩 형성되어 있는데, 이 연결핀 삽입구멍(12)은 평면상에서 볼 때, 후방 외측을 향하여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어서 연결핀을 어느 삽입구멍(12)에 끼워주는가에 따라 상부에 위치하는 블록의 뒷 물림 각도 및 회전각도를 달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ree connection pin insertion holes 12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10, and the connection pin insertion holes 12 are arranged in a diagonal direction toward the rear outer side when seen in plan view The rear engagement angle and the rotation angle of the block located at the upper portion can be made different depending on which insertion hole 12 the connection pin is inserted.

즉,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블록(1b)을 하부 블록(1a)에 대하여 수직상태를 이루도록 축조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부 블록(1b)을 하부 블록(1a)과 엇쌓기 방식으로 수직이 되도록 올린 후, 연결핀(3)을 상부 블록(1b) 맨 뒤의 연결핀 삽입구멍(12c)에 끼워주게 되면 연결핀(3)의 하부가 하부 블록(1a)의 관통공(14)의 전면(14a)에 밀착되어 상부 블록(1b)이 하부 블록(1a)과 수직상태를 이루면서 앞으로 밀리는 것이 방지되게 된다.6 to 8, when the upper block 1b is constructed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the lower block 1a, the upper block 1b is formed in a manner of being offset from the lower block 1a The connecting pin 3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pin insertion hole 12c at the rear end of the upper block 1b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connecting pin 3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14 of the lower block 1a. The upper block 1b is prevented from being pushed forward while being perpendicular to the lower block 1a.

한편,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블록(1b)을 하부 블록(1a)에 대하여 후방으로 후퇴된 상태를 이루도록 축조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부 블록(1b)을 하부 블록(1a)과 엇쌓기 방식으로 뒷 물림을 하여 올린 후, 연결핀(3)을 상부 블록(1b) 맨 앞의 연결핀 삽입구멍(12a)에 끼워주게 되면 연결핀(3)의 하부가 하부 블록(1a)에 형성된 관통공(14)의 전면(14a)에 밀착되어 상부 블록(1b)이 하부 블록(1a)에 대하여 후퇴한 상태를 이루면서 앞으로 밀리는 것이 방지되게 되며, 연결핀(3)을 중간의 연결핀 삽입구멍(12b)에 끼워주면 도 7에 도시된 수직상태와 도 9에 도시된 경사각의 중간 정도의 각도가 되도록 축조할 수 있다.9 to 11, when the upper block 1b is constructed to be retracted rearward with respect to the lower block 1a, the upper block 1b is divided into the lower block 1a, The connection pin 3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pin insertion hole 12a at the front of the upper block 1b so that the lower portion of the connection pin 3 is formed in the lower block 1a The upper block 1b is retreated relative to the lower block 1a while being prevented from being pushed forward and the connection pin 3 is prevented from being pushed forward by the intermediate connection pin insertion hole 7 and the inclination angle shown in FIG. 9 by inserting it into the recess 12b.

또,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곡선형 옹벽을 축조하는 경우에는 옹벽이 형성하는 곡률에 따라서 연결핀의 삽입 위치를 선택하면 되는바, 본 실시 예의 블록은 연결핀 삽입구멍(12)이 블록(1)의 좌우 양 외측에 위치하고 있고, 이 연결핀 삽입구멍(12)에 끼워진 연결핀(3)이 걸리는 관통공(14)은 좌우 양측의 연결핀 삽입구멍(12) 사이의 내측에 위치하므로 상부 블록(1b)의 뒷 물림에 의한 옹벽 벽체의 기울기를 전체적으로 동일하게 유지하면서도 연결핀과 관통공을 상호 인터록킹이 가능하도록 시공할 수 있다.12, the insertion position of the connecting pin may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curvature formed by the retaining wall. In this embodiment, the connecting pin insertion hole 12 is formed in the block 1 and the through holes 14 in which the connecting pins 3 inserted in the connecting pin inserting holes 12 are engaged are located inside the connecting pin inserting holes 12 o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The connecting pin and the through hole can b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while maintaining the inclination of the wall of the retaining wall due to the rear bite of the block 1b as a whole.

도 12에는 곡선형 경사 옹벽이 도시되어 있으나, 본 실시 예의 블록은 곡선형 수직 옹벽을 축조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the curved sloped retaining wall is shown in Fig. 12,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block of this embodiment can also form a curved vertical retaining wall.

본 실시 예에서는 복수의 연결핀 삽입구멍(12a,12b,12c)이 평면상에서 볼 때, 블록(1)의 후방 외측을 향하여 대각선으로 배치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실시 예와 상반되게 즉, 블록 상면 좌,우측에 형성된 복수의 연결핀 삽입구멍(12a,12b,12c)이 블록(1)의 전방 외측을 향하여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lurality of connection pin insertion holes 12a, 12b, and 12c are arranged diagonally toward the rear outside of the block 1 when viewed in a plan view.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In other words, it is needless to say that a plurality of connection pin insertion holes 12a, 12b and 12c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lock may be disposed diagonally toward the front outside of the block 1.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연결핀 삽입구멍(12a,12b,12c)의 상부는 일체로 오목하게 연결되어 있는데, 이 연결핀 삽입구멍(12)의 상부는 상부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어서 연결핀(3)의 삽입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upper portions of the connection pin insertion holes 12a, 12b, and 12c are integrally and concave. The upper portion of the connection pin insertion hole 12 is formed to be wider toward the upper portion, So that the insertion operation of the pin 3 can be facilitated.

상기 연결핀 삽입구멍(12)에 끼워지는 연결핀(3)은 내부식성을 갖는 금속재나 섬유 강화 수지 막대로 제작되며, 밑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단에 머리를 형성함으로써 적정한 길이 즉, 하부 블록의 관통공 전면 중간 부분까지 닿을 정도의 길이로 제작하면 된다.The connection pin 3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pin insertion hole 12 is made of a metal material having a corrosion resistance or a fiber reinforced resin rod and is formed with a head at the upper end in order to prevent it from falling down, The length of the through hole can reach the middle portion.

상기 연결핀 삽입구멍(12) 사이에 형성되는 관통공(14)은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관통공(14)은 블록(1)의 후면(60)과 측면(40,50)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대체로 L자 형태를 이루고 있으며, 내측의 전면(14a)은 블록(1)의 전면(30) 과 평행한 평면 형태를 이루고 있어 상부 블록에서 끼워진 연결핀이 밀착되게 된다.The through holes 14 formed between the connecting pin insertion holes 12 are form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of the rear surface 60 and the side surfaces 40 and 50 of the block 1 And the inner front surface 14a is in the form of a plane parallel to the front surface 30 of the block 1, so that the connection pin inserted in the upper block is closely contacted.

상기 관통공(14)은 도 4의 평면도 및 도 5의 저면도에서 파악되는 바와 같이 상부는 넓고 하부는 상대적으로 좁게 완만한 테이퍼형을 이루고 있어서 성형틀의 코어가 용이하게 이탈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4 and the bottom view of FIG. 5, the through hole 14 has a wide upper portion and a relatively narrow lower tapered shape so that the core of the forming mold can be easily detached .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양측 관통공(14)의 후방으로는 후면(60)으로 개방된 보강재 삽입홈(16)이 소정 깊이로 형성되어 있고, 양측 관통공(14) 사이에는 전방으로 볼록한 원호 형의 보강재 삽입홈(18)이 형성되어 있어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 보강재 삽입홈(16)에 끼워진 보강재(2)가 고리 형태(U자형)로 블록(1)에 직접 연결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reinforcing material insertion grooves 16 opened to the rear surface 60 are formed at a predetermined depth behind the both side through holes 14, and between the both side through holes 14, And the stiffener 2 inserted into the side stiffener insertion grooves 16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block 1 in a ring shape (U-shape) as shown in Figs. 13 and 14 .

본 실시 예에 의한 블록(1)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길이의 띠형 섬유보강재(2) 선단부가 반 폭으로 접혀서 연결되고, 보강재(2)의 양단은 블록 후방의 보강토체 위에 전 폭으로 펼쳐진 상태로 포설될 수도 있고, 길이가 긴 띠형 섬유보강재를 좌우로 인접하는 블록에 지그재그 상태가 되도록 연속으로 연결하여 시공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In the block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the drawing, the leading end of the band-shaped fiber reinforcing member 2 of a predetermined length is folded in half width and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reinforcing member 2,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staple fiber reinforcing material having a long length is continuously connected to the left and right adjacent blocks so as to be in a staggered state.

상기 보강재 삽입홈(16)은 후면(60)을 형성하는 2개의 돌출부(62)를 따라 후방으로 개방되어 블록(1)의 후방의 보강토체에 매립되는 보강재가 끼워질 수 있도록 되어 있는데, 본 실시 예에서 사용하는 보강재(2)는 띠형 섬유보강재로 이를 반 폭으로 접어서 블록(1)의 보강재 삽입홈(16,18)에 끼워서 연결함으로써 급격한 꺾임이 발생하지 않아 보강재에 국부적인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종래의 지오그리드 보강재와 같이 보강재를 상,하부 블록 사이에 넣고 블록의 하중과 마찰력에 의해 보강재를 블록에 연결하던 방식에 비하여 보강재가 짓눌리거나 긁히는 등의 상처가 발생하지 않아 알칼리성 소재인 콘크리트 블록과의 장기간 접촉으로 인한 화학적인 손상을 예방할 수 있다.The reinforcing material insertion groove 16 is opened rearward along the two projections 62 forming the rear surface 60 so that a reinforcing material embedded in the reinforcing material at the rear of the block 1 can be fitted. The reinforcing material 2 used in the example is a band-like fiber reinforcing material which is folded in half width and is inserted into the reinforcing material inserting grooves 16 and 18 of the block 1, so that a sudden bending does not occur and local stress is concentrated on the reinforcing material The stiffener is prevented from being scratched or scratched by the stiffener as compared with the method of connecting the stiffener to the block by the load and the frictional force of the block by inserting the stiffener between the upper and lower blocks like the conventional geogrid reinforcement, It is possible to prevent chemical damage due to long-term contact with the concrete block as a material.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보강재 삽입홈(16,18)의 깊이는 보강재(2)를 반 폭으로 접었을 때 보강재(2)가 블록 상면(10) 위로 돌출이 되지 않도록 충분한 깊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필요 이상으로 깊게 형성할 경우에는 블록의 구조적인 강도가 저하될 수 있으므로 사용되는 보강재의 폭과 두께를 감안하여 그 깊이와 폭을 적정하게 설계하면 된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depth of the reinforcing material insertion grooves 16 and 18 is formed to a sufficient depth so that the reinforcing material 2 does not protrude above the block upper surface 10 when the reinforcing material 2 is folded in half width If it is formed deeper than necessary, the structural strength of the block may be lowered. Therefore, the width and thickness of the stiffener to be used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to design the depth and width appropriately.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보강재 삽입홈(16,18)은 보강재(2)가 블록(1)의 중심 내측으로 깊고 넓게 끼움 결합된 상태를 이루게 되므로 블록과 보강재 사이의 결합력이 우수하고, 보강재에 걸리는 인장력이 블록의 후단부에만 가해지지 않고 블록에 거의 전체적으로 가해지게 되며, 보강재 또한 기존의 핀 결합 방식에 의한 국부적인 꺾임이 없이 큰 반경의 루프 상태로 끼워지게 되므로 국부적인 응력의 집중이 발생하지 않음은 물론, 보강토체의 부등침하 발생시에도 보강토체에 전폭으로 펼쳐진 부위와 블록의 보강재 삽입홈에 반 폭으로 접혀서 삽입된 경계부위가 유연하게 변위를 흡수하게 됨으로써 보강재의 절단현상이 발생하는 등의 사고가 발생하지 않는다.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reinforcing member insertion grooves 16 and 18 have a deep and wide fitting state of the reinforcing member 2 inside the center of the block 1, the connecting force between the block and the reinforcing member is excellent, The tensile force is not applied to the rear end of the block but applied almost entirely to the block, and the stiffener is also inserted into the large-radius loop state without local bending due to the conventional pin coupling method, In addition, even when a differential settlement of the reinforced soil occurs, it is possible to flexibly fold the reinforcement material into the reinforcement material in a half width, .

상기 측면(40,50)은 전면(30)에서 후방을 향하여 소정의 각도로 테이퍼진 상태를 이룸으로써 좌우로 인접하는 블록간의 간섭을 없애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선형 옹벽의 축조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측면(40,50)은 후면(60)을 형성하는 돌출부(62) 쪽으로 계단 형태로 연장되어 있다.The side surfaces (40, 50) are tapered at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front surface (30) to the rear side so as to eliminate the interference between adjacent block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so that the curved retaining wall can be constructed And the side surfaces 40 and 50 extend in a stepped manner toward the protruding portion 62 forming the rear surface 60.

상기 후면(60)을 형성하는 2개의 돌출부(62) 사이에는 움푹한 만입부(64)가 형성되어 있어 블록의 경량화를 도모함과 동시에 보강토체와의 입체적인 결합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만입부(64)는 보강토체나 배수용 골재가 채워지게 되므로 블록과 보강토체와의 접촉면이 넓고 깊숙하게 결합될 수 있다.A recessed depressed portion 64 is formed between the two projecting portions 62 forming the rear surface 60 so that the weight of the block can be reduced and stereoscopic connection with the reinforcing soil can be achieved. That is, since the indentation portion 64 is filled with the reinforcing material or the drainage aggregate, the contact surface between the block and the reinforcing material can be coupled to the wide and deep portion.

또, 본 실시 예에 의한 블록은 도 15에서 파악되는 바와 같이 곡선형 옹벽을 축조한 경우에도 보강재(2)가 수평방향으로 균일한 분포를 이루게 되고, 보강재와 개별 블록 사이의 연결상태 및 연결강도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옹벽의 높이 즉, 수직 분포에 따라서도 블록과 보강재가 하중에 의한 마찰력에 의한 결합 방식이 아니고 끼움 결합 방식으로 연결되므로 블록과 보강재의 연결강도는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균일한 상태를 이룰 수 있으므로 안정적인 보강토 옹벽의 축조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15, even when a curved retaining wall is constructed as shown in Fig. 15, the reinforcing member 2 is uniformly distribu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connection state and the connection strength between the reinforcing member and the individual blocks So that the block and the stiffener are connected to each other not by the frictional force due to the load but by the fitting method so that the connection strength between the block and the stiffener is uniform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It is possible to construct a stable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도 16 및 도 17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코너 블록(1')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상기 실시 예의 표준형 블록(1)과 기본적으로 동일한 형태를 이루되 후면 일측의 돌출부가 제거되고, 좌우의 일측면이 전면과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인접하는 블록끼리 상호 직각을 이루도록 축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Figs. 16 and 17 show a corner block 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basically the same as the standard block 1 of the embodiment, except that the projection on one side of the rear side is removed, The left and right side surfaces are formed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the front surface so that adjacent blocks can be formed at right angles to each other.

이를 다시 설명하면 상기 코너 블록(1')은 상면(10) 일측에 상,하 블록 사이의 인터록킹을 위한 연결핀이 끼워지는 연결핀 삽입구멍(12)이 형성되고, 상면 좌우측에 좌우 대칭으로 2개의 관통공(14)이 형성되며, 상기 양측 관통공(14)의 후방으로는 후면으로 개방된 보강재 삽입홈(16)이 형성되고, 양측 관통공(14) 사이에는 보강재 삽입홈(18)이 형성되어 보강재(2)가 양측 보강재 삽입홈(16)과 중간의 보강재 삽입홈(18)에 고리(루프) 형태로 연결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To be more specific, the corner block 1 'has a connection pin insertion hole 12 through which a connection pin for interlocking between the upper and lower blocks is inserted,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10, A reinforcing material insertion groove 16 is formed in the rear of the both side through holes 14 and a reinforcing material insertion groove 18 is formed between the both side through holes 14, So that the stiffener 2 can be connected to both the stiffener insertion slots 16 and the intermediate stiffener insertion slots 18 in the form of a loop.

본 실시 예의 코너 블록(1')은 대체로 편평한 상태의 상면(10)과 하면(20), 천연석의 표면 질감을 갖도록 스플릿 가공된 전면(30), 상기 전면(30)과 직각을 형성하며 상기 전면(30)과 같이 천연석의 표면 질감을 갖도록 스플릿 가공된 일 측면(40) 및 상기 전면(30)에서 후방을 향하여 소정의 각도로 테이퍼진 타 측면(50), 상기 타 측면(50)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하나의 돌출부(62)와 하나의 만입부(64)로 이루어진 후면(60)을 갖고 있다.The corner block 1 'of this embodiment includes a top surface 10 and a bottom surface 20 in a generally flat state, a front surface 30 that is split to have a surface texture of natural stone, (50) having a tapered surface at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rear direction from the front surface (30) and a rear surface (50) extending from the front surface (30) And has a rear face 60 made up of one extended portion 62 and one indented portion 64.

상기 코너 블록(1')은 상기 일 측면(40)의 후단에서는 후방으로 돌출부가 형성되지 않은 미돌출면(62a)이 형성되어 있으며, 옹벽 등 토목구조물의 직각 코너부에서 이 미돌출면(62a)에 표준형 블록 또는 코너 블록의 측면(50)이 인접하게 된다.The corner block 1 'is formed with a non-protruding surface 62a in which the protruding portion is not formed rearward at the rear end of the one side surface 40. The protruding surface 62a is formed at a right corner portion of the civil engineering structure, Is adjacent to the side 50 of the standard block or corner block.

상기 코너 블록(1')의 전면(30)과 일 측면(4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천연석 질감 외에도 성형틀에 의해 다양한 패턴으로 형성할 수 있다.The front face 30 and the side face 40 of the corner block 1 'may be formed in various patterns by a molding frame in addition to the natural stone texture as shown in the drawing.

또, 본 실시 예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30)과 직각을 형성하는 측면(40)이 전면(30)의 우측이 아닌 좌측에 형성된 형태도 세트로 제작하여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옹벽 코너부의 좌측 및 우측에 교차로 축조된다.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the figure, The side surface 40 is formed on the left side of the front surface 30 rather than on the right side thereof. The side surface 40 is formed as a set, and is formed as an intersection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orner portion of the retaining wall as shown in FIG.

도 18에는 돌출형 직각 코너부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 의한 코너 블록(1')은 만입형 직각 코너부에도 상하로 교차시키는 것에 의해 축조가 가능하다.Although the protruding rectangular corner portion is shown in FIG. 18, the corner block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formed by vertically crossing the recessed rectangular corner portion.

상기 직각 코어부의 축조시에 사용된 코너 블록(1')의 측부에는 표준형 블록(1)이 인접하여 배치되는 것에 의해 소정 길이의 옹벽을 축조할 수 있다.The standard block 1 is disposed adjacent to the side of the corner block 1 'used at the time of constructing the rectangular core portion, so that a retaining wall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can be constructed.

도 19에는 도 18에 도시된 옹벽의 직각 코너부에 띠형 섬유보강재(2)가 포설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는데, 상호 직각을 형성하는 표준형 블록(1)의 후방으로는 띠형 섬유보강재(2)가 직각으로 교차하여 포설되고, 코너 블록(1')에는 한쪽은 표준형 블록(1)에 연결된 띠형 섬유보강재(2)와 대체로 45°각도로 즉, 대각선 방향으로 띠형 섬유보강재(2)가 교차하도록 포설되게 되며, 다른 쪽은 일측 표준형 블록(1)에 연결된 띠형 섬유보강재(2)와 평행하게 포설된 상태로 상태로 보강토체에 매립되게 되므로 보강토 옹벽의 코너부를 견고하게 축조할 수 있다.Fig. 19 shows a state in which a band-shaped fiber reinforcement 2 is installed at a right corner portion of the retaining wall shown in Fig. 18. At the rear of the standard block 1 forming a right angle with the band-like fiber reinforcement 2, And one side of the corner block 1 'is laid on the corner block 1' so as to intersect with the staple fiber reinforcement 2 connected to the standard block 1 at an angle of substantially 45 °, that is, diagonal to the staple fiber reinforcement 2 And the other is buried in the reinforcing soil body in a state of being installed in parallel with the band-shaped fiber reinforcement 2 connected to the one standard type block 1, so that the corner portion of the reinforcing earth retaining wall can be solidly built.

도 20 및 도 21에는 표준형 블록(1)을 2장씩 20 and 21 show two standard block 1 유니트화Unitization 하여 옹벽을 축조한 예를 보여주고 있고, 도 22에는  22 shows an example of constructing a retaining wall, and Fig. 22 유니트화Unitization 한 블록(U)과 표준형 블록(1)을  One block (U) and one standard block (1) 엇쌓기Thoughts 식으로 교대 축조한 예를 보여주고 있는데, 본 발명에 의한 표준형 블록(코너 블록도 마찬가지)은 하나씩 인력에 의한 운반 및 축조를 하는 방법 외에도 블록을 2단 또는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상으로 동일한 위치에 형성된 연결핀 삽입구멍에 연결핀을 끼워서 수직으로  (The same applies to corner block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method of carrying and constructing by gravity one by one, it is also possible to arrange blocks in two stages or more as shown in FIG. 23 Place the connecting pin in the insertion hole in the position 적층하여Laminated 유니트화Unitization 한 후, 이  After this, 유니트화Unitization 된 블록(U)을 인양 장비 등을 사용 Block (U) is used for lifting equipment Ha 여 한꺼번에 들어올려 W Lift it all at once. 엇쌓기Thoughts 방식으로 기계적으로 축조할 수도 있어 시공속도의 향상 및 인건비의 절감과 작업자의 육체적인 피로를 경감할 수도 있으며, 외관상으로도 단조로운 1단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construction speed, reduce the labor cost, reduce the physical fatigue of the worker, 엇쌓기Thoughts 축조방식 외에 연결핀으로 일체화한 다단(2~3단)형  Multi-stage (2 ~ 3 stages) type integrated with connecting pin in addition to the construction method 유니트Unit 블록을 개별 또는 혼합 축조함으로써 1종의 소형 블록으로 주변환경과 조화되는 웅장하면서도 다양한 패턴을 연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The blocks are individually or mixedly constructed so that one kind of small block can produce a magnificent and various pattern harmonious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도 24에는 본 발명의 표준형 블록과 코너 블록을 사용하여 교량(bridge)의 교대(abutment) 옹벽을 시공한 상태 및 교대 옹벽 시공시 보강재의 포설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24 shows a state in which abutment retaining walls of bridges are installed using the standard type blocks and corner block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state in which the stiffeners are installed at the time of constructing the alternate retaining walls.

도시된 바와 같이 교대 As shown, 옹벽의 경우에는In the case of retaining walls 상부에서 오는 수직, 수평하중을 지반에 전달하는 동시에 배후에서 오는 토압에서 저항하는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정면과  In order to transmit the vertical and horizontal loads from the upper part to the ground and to resist the earth pressure coming from the rear, 좌,우 측면의Left, right 삼면이 모두 옹벽 면을 형성하게 되며, 이 3방향으로의  All three sides form a retaining wall surface, 토압에 대한 변형을 방지할To prevent deformation against earth pressure 수 있도록 정면과  To be frontal and 좌,우 측면의Left, right 옹벽을 형성하는 블록 및 코너 블록을 지지하기 위한  To support the blocks and corner blocks forming the retaining wall 띠형Band type 섬유보강재(2)를  Fiber reinforcement (2) 보강토체Reinforced soil 내부에 직각 및 사선방향으로 교차하여 매설하게 되는데, 이때, 교대 내부에 설치된 파일(P; 기둥)을 우회하거나 보강재  (P) installed in the alternate inside, and the reinforcing member 매설경로상에서의Buried 간섭 발생시 보강재를 부분적으로 세워줄 수 있으므로 연속으로 지그재그 상태를 이루도록 매설하는 것이 가능하여 기둥의 간섭에 의해 보강재의 단절이나 생략 등의 부실시공 없이 안정적인 교대 옹벽의 축조가 가능하게 된다. Since the reinforcing material can be partly erected when interference occurs, it is possible to embed the stiffening material in a continuous zigzag state, so that it is possible to construct a stable alternate retaining wall without the need of disconnection or omission of the reinforcing material due to the interference of the columns.

도 25는 옹벽 후부에 파일이 배치된 경우 보강재의 포설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 경우 또한 도 24에서와 마찬가지로 옹벽 후부에 설치된 파일(P)을 피하여 사선방향으로 연속으로 지그재그 상태를 이루도록 매설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보강재의 단절이나 생략 등의 부실시공 없이 안정적인 옹벽의 축조가 가능하다.Fig. 25 shows a state in which a reinforcing material is installed when a pile is disposed in a rear portion of the retaining wall. In this case, as in Fig. 24, the pile is continuously buried in a zigzag manner in an oblique direction It is possible to construct a stable retaining wall without any trouble such as disconnection or omission of the reinforcement.

도 26은 옹벽 후부에 장방형 콘크리트 구조물이 있을 경우 보강재의 포설 상태가 도시되어 있는데, 콘크리트 구조물(S)의 존재시에는 이로 인해 보강재의 부설 길이가 짧아지게 되므로 보강재(2)를 콘크리트 구조물(S)에 고정한 앵커(A)에 걸어서 연속으로 지그재그 상태를 유지하도록 시공함으로써 보강재 부설 길이의 미확보로 인한 부실시공을 방지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26 shows a state in which a reinforcing material is installed when a rectangular concrete structure is present at the rear wall of the retaining wall. When the concrete structure S is present, the length of the reinforcing material is shorten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accidental installation due to the unsupported length of the stiffener by installing the stiffener in such a manner that the stiffener is continuously stood in a zigzag state.

도 27은 옹벽 후부에 맨홀이 있을 경우 보강재의 포설 상태가 도시되어 있는데, 맨홀(M)이 있는 부분에는 별도의 FIG. 27 shows a state where a reinforcing material is installed when a manhole is provided at a rear portion of a retaining wall. In a portion where the manhole M is present, 앵커작업대신Instead of anchor work 띠형Band type 섬유보강재(2)를 맨홀(M) 외곽을 둘러서 매설함으로써 보강재의 단절이 없이  By disposing the fiber reinforcing material 2 around the manhole M and without interrupting the stiffener 연속으로 시공이 가능하다Continuous construction is possible ..

본 발명에 의한 블록은 도 24 The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내지 도To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As shown in FIG. 27 띠형Band type 섬유보강재를 직접 연결하여 지그재그 상태로 연속으로 매설하거나 개별적으로 매설하는 경우,  When fiber reinforcements are directly connected and buried continuously in a zigzag form or buried individually, 보강토체Reinforced soil 내부의 파일이나 콘크리트 구조물 또는 맨홀 등과 같은 각종  Various files such as internal files, concrete structures or manholes 지장물Obstacle 의 존재시에도 보강재의 훼손이나 단절 또는 보강재 부설 길이의 단축 등 옹벽의 구조적인 안정성에 악영향을 끼치지 않고 보강재가 The reinforcement material does not adversely affect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retaining wall such as the damage or breakage of the reinforcing material or the shortening of the length of the reinforcement. 지장물을Hindrance 우회하도록 시공하거나  Do it to bypass 지장물을Hindrance 이용하여  using 앵커링Anchoring 또는 둘러서 시공하는 등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옹벽 시공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Or it can be applied at various construction sites of the retaining wall because it can use methods such as laying and laying.

위에서는 본 발명의 표준형 블록(1)과 코너 블록(1')을 사용하여 보강토 옹벽을 축조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는바,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표준형 블록과 코너 블록을 또 다른 용도 즉, 조경용 기둥이나 담장 또는 중력식의 낮은 옹벽을 축조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is constructed using the standard block 1 and the corner block 1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the standard block and the corner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for another application, An example of constructing a low-retaining wall of a fence or a gravity type will be described.

도 28 및 도 29에는 코너 블록(1')을 사용하여 정원이나 공원의 입구 등에 설치하는 조경용 기둥(P)을 축조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Figs. 28 and 29 show a state in which a column P for landscaping, which is installed at the entrance of a garden or a park, is constructed by using the corner block 1 '.

도면에 도시된 기둥(P)은 모두 코너 블록(1')만을 사용하여 정방형으로 축조한 것이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코너 블록(1')과 표준형 블록(1)을 조합하여 장방형의 기둥을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a combination of a corner block 1 'and a standard block 1 may be used to form a rectangular pillar 1' Of course.

도면 중 부호 C는 기둥(P) 위에 씌워지는 캡 스톤이다.In the drawing, reference character C denotes a cap stone which is put on the column P.

도 28에 도시된 기둥(P)은 도 29의 평면도에서 파악되는 바와 같이 4개의 코너 블록(1')을 상호 직각이 되도록 돌려서 축조한 것인데, 한 층은 왼쪽에 돌출부가 형성된 코너 블록을 사용하고 그 위에는 오른쪽에 돌출부가 형성된 코너 블록을 사용하여 교차로 축조하면 엇쌓기 패턴으로의 축조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the plan view of FIG. 29, the pillars P shown in FIG. 28 are constructed by turning four corner blocks 1 'so as to be at right angles to each other. One of the pillars P uses a corner block having a protrusion on the left And a corner block having a protrusion formed on the right side thereof is used to construct a crossing pattern.

한편, 본 실시 예에 의한 기둥(P)의 축조시에는 도 29의 평면도에서 파악되는 바와 같이 띠형 섬유보강재(2)를 4개의 코너 블록(1')에 십자형으로 연속하여 연결해주는 것에 의해 동일 평면상에 배치된 인접한 코너 블록(1') 간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고, 상,하의 코너 블록(1') 사이에는 연결핀(도시 생략됨)이 체결되어 인터록킹되므로 견고한 기둥의 축조가 가능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at the time of constructing the columns P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the plan view of Fig. 29, the band-shaped fiber reinforcement members 2 are connected to the four corner blocks 1 ' And the connection pins (not shown) are fasten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corner blocks 1 'so as to b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so that a solid column can be constructed .

상기 띠형 섬유보강재(2)는 중간의 교차부위에서는 수평으로 납작하게 펼쳐지게 되므로 교차가 가능하며, 띠형 섬유보강재의 양단은 보강재 삽입홈(16)에 쐐기로 고정하거나 교차하는 부위에서 접착 테이프를 사용한 결속에 의해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The staple fiber reinforcing members 2 are flatly spread horizontally flat at an intersecting portion of the staple fiber reinforcing member 2 so that crossing is possible. Both ends of the staple fiber reinforcing member are fixed with a wedge in the stiffener insertion groove 16, The flow can be prevented.

도 30에는 표준형 블록(1)만을 사용하여 앞뒤로 폭이 넓은 조경용 담장(F)을 축조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는데, 본 실시 예에서는 블록(1)의 전면(30)이 담장의 전후 페이싱을 형성하도록 배치하되, 표준형 블록(1)의 후면(60)을 형성하는 돌출부(62)가 서로 맞닿도록 한 상태에서 띠형 섬유보강재(2)를 연속으로 지그재그 상태로 연결하며, 상하로는 표준형 블록(1)을 엇쌓기 방식으로 축조하면서 연결핀을 사용하여 인터록킹시키면 된다.30 shows a state in which a landscape fence F having a wide width is formed using only the standard type block 1 and in this embodiment the front face 30 of the block 1 forms the front and back faces of the fence Like stiffeners 2 are connected in a zigzag fashion in a state in which the projections 62 forming the rear face 60 of the standard block 1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t is necessary to interlock using a connecting pin while constructing it in a way of a front panel.

도 31에는 표준형 블록(1)과 코너 블록(1')을 사용하여 조경용 벤치(B)를 축조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는데, 2~4단 정도의 높이로 축조하고, 그 위에 평판형의 캡 스톤(C)을 안치하여 벤치로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31 shows a state in which the landscape bench B is constructed using the standard block 1 and the corner block 1 '. The bench block B is constructed with a height of about 2 to 4 stages, and a plate- (C) can be placed and used as a bench.

도 32에는 표준형 블록을 사용하여 낮은 중력식 옹벽을 축조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는데, 주택이나 공원의 정원 등에 수작업으로 1~2m 정도의 높이로 축조할 수 있으며, 이러한 중력식 옹벽의 축조는 일반 블록 축조방식을 따르면 되며,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옹벽 페이싱의 후부에 간헐적으로 블록(1)을 페이싱을 형성하는 블록(1)과 배향(背向)되도록 배치하여 내측의 블록(1)과 페이싱을 형성하는 블록(1) 사이에 연속으로 띠형 섬유보강재(2)를 지그재그 상태로 연결하면 내측의 블록(1)이 일종의 앵커 역할을 하여 견고한 구조의 중력식 옹벽을 축조할 수 있다.FIG. 32 shows a state in which a low gravity type retaining wall is constructed using a standard block. The height of the gravity type retaining wall can be manually adjusted to a height of about 1 to 2 meters in a house or park garden. And as shown in FIG. 33, the block 1 is intermittently arranged at the rear portion of the retaining wall face facing the block 1 forming the facing to form the facing with the inner block 1 Shaped fiber reinforcing material 2 in a staggered state continuously between the blocks 1 of the inner block 1, the inner block 1 serves as a kind of anchor, so that a gravity type retaining wall of a solid structure can be constructed.

도 34에는 폭이 좁은 담장을 축조한 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표준형 블록(1)을 앞뒤로 배치하되 일측 블록(1) 후면(60)의 돌출부(62)가 타측 블록(1) 후면(60)의 만입부(64)에 위치하도록 하여 담장의 폭을 좁게 축조할 수 있으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직선형 담장이 아닌 곡선형 담장의 축조도 가능하다.34 shows an example in which a narrow width fence is formed by arranging the standard block 1 back and forth such that the protrusion 62 of the rear face 60 of the one block 1 faces the rear face 60 of the other block 1 The width of the fence can be narrowly constructed so as to be located at the indentation 64 and a curved fence that is not a straight fence as shown in the figure can be built.

1 : 블록 1a : 하부 블록
1b : 상부 블록 1' : 코너 블록
2 : 보강재 3 : 연결핀
10 : 상면 12,12a,12b,12c : 연결핀 삽입구멍
14 : 관통공 14a : 전면
16 : 보강재 삽입홈 18 : 보강재 삽입홈
20 : 하면 30 : 전면
40,50 : 측면 42,52 : 파지홈
44,54 : 돌기 60 : 후면
62 : 돌출부 62a : 미돌출면
64 : 만입부 A : 앵커
B : 벤치 C : 캡 스톤
F : 담장 M : 맨홀
P : 파일 S : 콘크리트 구조물
U : 유니트화 된 블록
1: block 1a: lower block
1b: upper block 1 ': corner block
2: stiffener 3: connecting pin
10: upper surface 12, 12a, 12b, 12c: connection pin insertion hole
14: Through hole 14a: Front
16: Stiffener insertion groove 18: Stiffener insertion groove
20: bottom 30: front
40, 50: side 42, 52:
44, 54: projection 60: rear
62: projecting portion 62a: non-projecting surface
64: indented part A: anchor
B: Bench C: Capstone
F: Fence M: Manhole
P: file S: concrete structure
U: Unitized block

Claims (17)

상면 양측에 상,하 블록 사이의 인터록킹을 위한 연결핀(3)이 끼워지는 연결핀 삽입구멍(12)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핀 삽입구멍(12) 사이에는 상하로 관통공(14)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14)의 후방으로는 후면으로 개방된 보강재 삽입홈(16)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14)의 전방으로는 보강재 삽입홈(18)이 형성되어 보강재(2)가 상기 보강재 삽입홈(16,18)에 고리 형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구조물용 블록.
A connecting pin insertion hole 12 in which the connecting pin 3 for interlocking between the upper and lower blocks is inserted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onnecting pin insertion hole 12, And a reinforcing material insertion groove 16 is formed at the rear of the through hole 14. A reinforcing material insertion groove 18 is formed in front of the through hole 14 to form the reinforcing material 2, Are connected to the reinforcing material insertion grooves (16, 18) in a ring-like mann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14)은 좌우 양측에 2개가 형성되되 블록 후면과 블록 측면 방향으로 연장되어 L자 형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구조물용 블록.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hrough-holes (14)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eft and right sides, and extend in the direction of the block side and the block side to form an L-shap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핀 삽입구멍(12)은 복수 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구조물용 블록.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lurality of the connection pin insertion holes (12) are form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블록(1)은 대체로 편평한 상태의 상면(10)과 하면(20), 천연석의 표면 질감을 갖도록 스플릿 가공된 전면(30), 상기 전면(30)에서 후방을 향하여 소정의 각도로 테이퍼진 좌,우 측면(40,50) 및 2개의 돌출부(62)와 하나의 만입부(64)로 이루어진 후면(60)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구조물용 블록.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lock 1 includes a top surface 10 and a bottom surface 20 in a generally flat state, a front surface 30 that is split to have a surface texture of natural stone, , The right side (40,50), and the rear surface (60) consisting of two projections (62) and one indentation (64).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측면(40,50)의 후단부에 파지홈(42,5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구조물용 블록.
The method of claim 4,
And gripping grooves (42, 52) are formed at the rear ends of the side surfaces (40, 50).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파지홈(42,52)의 후방으로는 돌기(44,5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구조물용 블록.
The method of claim 5,
And protrusions (44, 54) are formed behind the grip grooves (42, 52).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연결핀 삽입구멍(12)의 상부는 일체로 오목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구조물용 블록.
The method of claim 3,
And the upper portions of the plurality of connection pin insertion holes (12) are integrally connected concavely.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14) 내측의 전면(14a)은 블록(1)의 전면(30)과 평행한 평면 형태를 이루어 상부 블록에서 끼워진 연결핀(3)이 밀착되고, 상기 관통공(14)의 상부는 넓고 하부는 상대적으로 좁게 테이퍼형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구조물용 블록.
The method of claim 2,
The front surface 14a on the inside of the through hole 14 is in the form of a plane parallel to the front surface 30 of the block 1 so that the connecting pin 3 fitted in the upper block is closely contacted, And the lower part is tapered relatively narrowly.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측면(40,50)은 전면(30)에서 후방을 향하여 소정의 각도로 테이퍼진 상태를 이루며, 상기 측면(40,50)은 후면(60)을 형성하는 돌출부(62)로 계단 형태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구조물용 블록.
The method of claim 4,
The side surfaces 40 and 50 are tapered at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front surface 30 to the rear side and the side surfaces 40 and 50 are extended in a stepped shape by protrusions 62 forming the rear surface 60 Of the block (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 삽입홈(18)은 전방으로 볼록한 원호 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구조물용 블록.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inforcing material insertion groove (18) is formed in a forward convex circular arc shape.
상면(10) 일측에 상,하 블록 사이의 인터록킹을 위한 연결핀이 끼워지는 연결핀 삽입구멍(12)이 형성되고, 상면(10) 좌우 측에 2개의 관통공(14)이 형성되며, 상기 양측 관통공(14)의 후방으로는 후면으로 개방된 보강재 삽입홈(16)이 형성되고, 양측 관통공(14) 사이에는 보강재 삽입홈(18)이 형성되어 보강재(2)가 상기 보강재 삽입홈(16,18)에 고리 형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구조물용 코너 블록.
A connection pin insertion hole 12 in which a connection pin for interlocking between the upper and lower blocks is inserted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10 and two through holes 14 are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upper surface 10, A reinforcing material insertion groove 16 is formed in the rear of the both side through holes 14 and a reinforcing material insertion groove 18 is formed between the both side through holes 14 so that the reinforcing material 2 is inserted into the reinforcing material insertion groove 16. [ Are connected to the grooves (16, 18) in a ring-like manner.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코너 블록은 대체로 편평한 상태의 상면(10)과 하면(20), 천연석의 표면 질감을 갖도록 스플릿 가공된 전면(30), 상기 전면(30)과 직각을 형성하며 상기 전면(30)과 같이 천연석의 표면 질감을 갖도록 스플릿 가공된 일 측면(40) 및 상기 전면(30)에서 후방을 향하여 소정의 각도로 테이퍼진 타 측면(50), 상기 타 측면(50)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하나의 돌출부(62)와 하나의 만입부(64)로 이루어진 후면(60)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구조물용 코너 블록.
The method of claim 11,
The corner block includes a top surface 10 and a bottom surface 20 in a generally flat state, a front surface 30 that is split so as to have a surface texture of natural stone, a front surface 30 that forms a right angle with the front surface 30, A side surface 50 tapered rearward at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front surface 30 and a rear surface extending from the other side surface 50, 62) and one indent (64). ≪ RTI ID = 0.0 > 11. < / RTI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2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의한 블록으로 토목구조물의 페이싱(표면)을 형성하고, 상기 블록의 후방에서 띠형 섬유보강재(2)를 동일 평면상에서 인접하는 블록 사이에 연속으로 연결하는 것에 의해 블록과 블록이 상호 인터록킹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구조물의 시공방법.
(Facing) of a civil engineering structure with a block according to one of claims 1 to 12, and successively connecting the staple fiber reinforcement 2 at the rear of the block between adjacent blocks on the same plane Thereby allowing the block and the block to interlock with each other.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토목구조물은 옹벽, 담장, 기둥, 벤치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구조물의 시공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civil engineering structure is one of a retaining wall, a fence, a column, and a bench.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옹벽은 중력식 옹벽이고, 옹벽 페이싱의 후부에 간헐적으로 블록을 반대방향으로 배치하여 이 블록과 페이싱을 형성하는 블록 사이에 연속으로 띠형 섬유보강재(2)를 지그재그 상태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구조물의 시공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Characterized in that the retaining wall is a gravity type retaining wall and is intermittently arranged in the reverse direction of the retaining wall facings so that the blocks are connected in a zigzag manner continuously between the blocks and the blocks forming the facings, Construction method of structure.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토목구조물은 담장이고, 블록의 전면(30)이 담장의 전후 페이싱을 형성하도록 배치하되, 블록의 후면(60)을 형성하는 돌출부(62)가 서로 맞닿도록 한 상태에서 띠형 섬유보강재(2)를 앞뒤의 블록에 연속으로 지그재그 상태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구조물의 시공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civil engineering structure is a fence and the front face of the block is disposed so as to form the front and rear faces of the fence, wherein the protrusions forming the rear face of the block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re continuously connected to the front and rear blocks in a staggered state.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토목구조물은 기둥이고, 코너 블록을 상호 직각이 되도록 축조하되 띠형 섬유보강재(2)를 4개의 코너 블록에 십자형으로 연속하여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구조물의 시공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civil engineering structure is a column, and the corner block is formed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wherein the staple fiber reinforcing material (2) is continuously connected to the four corner blocks in a cross shape.
KR1020150153793A 2015-09-18 2015-11-03 Block for engineering work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20170034280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132236 2015-09-18
KR1020150132236 2015-09-18
KR1020150141182 2015-10-07
KR20150141182 2015-10-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4280A true KR20170034280A (en) 2017-03-28

Family

ID=58495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3793A KR20170034280A (en) 2015-09-18 2015-11-03 Block for engineering work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34280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2240A (en) 2017-08-25 2019-03-06 주식회사 한포스 block for construct retaining wall
KR102390543B1 (en) * 2021-08-27 2022-04-25 강병준 Segmental Blocks for Mechanically Stabilized Earth Wall
KR102628189B1 (en) * 2023-10-24 2024-01-23 주식회사 한포스 A block for retaining wall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4010B1 (en) 1998-10-13 2004-01-07 키스톤 리테이닝 월 시스템스, 아이엔씨 Retaining wall block
KR100432363B1 (en) 1999-02-11 2004-05-20 키스톤 리테이닝 월 시스템즈, 인크. Retaining wall block system
US20080289283A1 (en) 2007-05-22 2008-11-27 Sung Min Hong Segmental retaining wall system incorporating the extruded polymer strip as a reinforcement
KR20100089817A (en) 2007-11-08 2010-08-12 키스톤 리테이닝 월 시스템스, 아이엔씨 Wall block with weight bearing pads and method of producing wall block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4010B1 (en) 1998-10-13 2004-01-07 키스톤 리테이닝 월 시스템스, 아이엔씨 Retaining wall block
KR100432363B1 (en) 1999-02-11 2004-05-20 키스톤 리테이닝 월 시스템즈, 인크. Retaining wall block system
US20080289283A1 (en) 2007-05-22 2008-11-27 Sung Min Hong Segmental retaining wall system incorporating the extruded polymer strip as a reinforcement
KR20100089817A (en) 2007-11-08 2010-08-12 키스톤 리테이닝 월 시스템스, 아이엔씨 Wall block with weight bearing pads and method of producing wall block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2240A (en) 2017-08-25 2019-03-06 주식회사 한포스 block for construct retaining wall
KR102390543B1 (en) * 2021-08-27 2022-04-25 강병준 Segmental Blocks for Mechanically Stabilized Earth Wall
KR102628189B1 (en) * 2023-10-24 2024-01-23 주식회사 한포스 A block for retaining wall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2333B1 (en) Prestressed pile and Self reliance retaining wall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US20130008125A1 (en) Construction method for new underground structure
KR20170034280A (en) Block for engineering work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615614B1 (en) A construction method of a structure with modular retaining wall and double wall
KR102135594B1 (en) Retaining Wall Block System
KR101425030B1 (en) Retaining wall with a lattice structure
KR100290257B1 (en) Assembly block for construction of retaining wall
KR100878716B1 (en) Coupling Block for Revetment Construction with Vegetation
KR101599931B1 (en) Retaining Wall using Precast Panels and PHC Piles having Steel Bands, and Constructing Method of such Retaining Wall
KR101000915B1 (en) Revetment for directly connecting front and reinforcement
KR102616011B1 (en) Reinforced wall panel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CN103046512B (en) Novel octagonal retaining wall building block with interlocking pourable holes arrayed on each other layer in staggered manner
KR100808977B1 (en) Connecting structure of corner supporting beam for temporary soil sheathing work
KR200238747Y1 (en) Anchor block for constructing retaining wall
KR102352069B1 (en) A reinforcing support system of retaining wall block for excellent seismic performance and the contruction method thereof
KR102178399B1 (en) A reinforced earth wall block with supporting structure of reinforced earth for excellent seismic performance and the contruction method thereof
JP2003003474A (en) Reinforcing earth structure and reinforcing earth block
CN203049612U (en) Novel retaining wall built by high shearing strength building blocks in staggered mode
KR20020076558A (en) Frp stiffener for supporting block of block type retaing wall and retaing wall structure used frp stiffener
KR101804342B1 (en) Pc pile structure and pc pile structure using the same
KR100456219B1 (en) A coupling device of assembly block for Wall systems
JP2002220834A (en) Reinforced earth structure and reinforced earth block
KR102075861B1 (en) Front Block for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and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Structure using the Same
KR200245413Y1 (en) A coupling device of assembly block for Wall systems
JP2006022565A (en) Stress bearing member and construction method of underground continuous wa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