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4273A - 연료주입소의 단말기 시스템 - Google Patents

연료주입소의 단말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4273A
KR20170034273A KR1020150132715A KR20150132715A KR20170034273A KR 20170034273 A KR20170034273 A KR 20170034273A KR 1020150132715 A KR1020150132715 A KR 1020150132715A KR 20150132715 A KR20150132715 A KR 20150132715A KR 20170034273 A KR20170034273 A KR 201700342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information
terminal
amount information
fuel in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2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수
Original Assignee
박경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경수 filed Critical 박경수
Priority to KR10201501327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34273A/ko
Publication of KR201700342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42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1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 G06K19/0602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using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06Q20/145Payments according to the detected use or quant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Loading And Unloading Of Fuel Tanks Or Ships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오프라인 연료주입소 단말기를 구성하는데 있어서,
고객용 무선단말기 또는 서버와 송수신하여, 온라인 또는 고객용 무선단말기에서 주문된 연료정보와 금액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연료정보 또는 금액정보와 연동된 차량번호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연료주입소 단말기 및 상기 연료주입소 단말기와 연동된 무선 단말기에서, 진동, 알람, 음향출력, 프린터 출력 중 적어도 하나의 전기적인 이벤트가 발생하는 단계;
상기 연료주입소 단말기와 연동된 프린터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상기 차량번호와 연료정보와 금액정보가 출력되거나, 또는 표시되는 단계;로 구성된 연료주입소 단말기 시스템를 제공하는데 있다.

Description

연료주입소의 단말기 시스템{Fuel injection device system}
온라인에서 주문 및 결제한 정보를 오프라인에서 확인하는 기술이다.
연료주입소에서 사용할 수 있는 단말기 및 무선단말기의 프로세스에 대한 기술이다.
차량번호와 연동하여 주문된 정보를, 연료주입소의 단말기 및 무선단말기에서 확인할 수 있는 기술이다.
온라인에서 구매한 상품을 오프라인에서 확인하기 위해서는, 온라인에서 구매시 제공되는 거래내역서 또는 쿠폰을 보여주어야 했으며, 이것은 상기 온라인에서 상품을 구매한 자연인이, 상기 쿠폰 및 거래내역서를 지참하거나, 고객용 무선단말기에서 검색하여, 찾아서 보여줘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어왔다.
셀 프주유소와 같은 오프라인 연료주입소에서는 마그네틱 카드, NFC, IC칩과 같은 하드웨어 기반의 결제가 가능하며, 셀프 주유소에서는 온라인을 통하여 결제하는 방법이 없거나, 결제하는 과정이 불편하였다. 이로 인해서 오프라인 연료주입소에서, 실시간으로 온라인을 통한 결제방법들이 활성화 되기 어려웠다.
실제적으로 온라인에서는 다양한 결제가 가능하지만, 오프라인에서는 하드웨어적으로 구비된 결제방법 이외에는 사용하기 어렵거나 불편하였다. 이것은 상기 연료주입소를 방문하는 자연인에게, 결제의 선택권을 제약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주유소와 같은 오프라인 연료주입소에서, 온라인으로 결제한 금액을 확인하려면, 별도의 연료주입소 시스템에 로그인하여, 실제 결제를 했는지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온라인 결제를 확인할 수 있는 연료주입소의 시스템은 PC등으로 고정된 곳에 설치가 되어 있고, 주유와 결제를 하면서 이동하는 연료주입소의 관리자가, 상기 고정된 PC를 조작하여, 실시간으로 온라인에서 결제한 금액을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없거나, 시간이 소비가 되기 때문에, 불편할 수 밖에 없다. 그리고 설사 온라인에서 결제한 금액이 실시간으로 확인된다고 하더라도, 어떤 차에게 어떤 주유를 해야 하는지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
또한 주유소 현장에서 고객용 무선단말기로 온라인 결제할 경우, 실시간으로 누가 결제를 했는지를 확인 할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 이것은 온라인으로 결제가 되었다고 하더라도, 어떤 자연인인지 알 수 있는 방법이 없다는 것을 의미하며, 자연인은 먼저 온라인으로 결제했다고 구두로 요청한 경우에만, 연료주입소 직원이 인지할 수 밖에 없게 될 것이며, 이것은 자연인과 연료주입소 직원 모두에게 불편함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주유소 현장에서 고정된 연료주입소용 단말기에서 실시간으로, 온라인에서 결제한 정보를 구축한다고 하더라도, 해당 고정된 연료주입소용 단말기에서 연료주입소 직원이 없거나, 화면에만 표시된 경우, 연료주입소 직원이 실시간으로 대응을 할 수 없게 된다.
주유소와 같은 연료주입소의 관리자(주유원)는 결제와 주유를 동시에 하기 때문에, 주유소 부지 내에서, 주유기를 셋팅하고, 결제하고, 영수증을 챙기고, 주문을 받는 과정을, 상기 연료주입소 직원이 모두 처리하기 때문에, 상기 고정된 연료주입소용 단말기만을 바라볼 수는 없으며, 이것은 온라인 결제를 한 자연인이 무한정 기다려야 하는 결과와 불편함이 발생하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자연인이 차의 내부에서, 차의 문을 열거나, 차의 윈도우를 열어서, 주유와 같은 상품을 구두로 상품과 상품의 금액을 이야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며, 이러한 과정 중에 호객행위, 불친절한 행위, 잘못 전달되어 엉뚱한 금액이나 상품이 지급되는 행위들이 있어와서 불편함이 있었다.
또는 셀프 주유소에서도 셀프 주유기에서 제공하지 않는 온라인 결제를 한 경우, 셀프 주유소 사무실에 방문하여서, 결제를 확인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온라인에서 구매한 상품을 오프라인에서 간편하게 확인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오프라인에서, 결제 및 주문이 어려운 온라인의 결제를 실시간으로 간편하게 적용하는 방법이 필요하며, 다양한 온라인의 결제를 오프라인의 연료주입소에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며,
자연인에게 온라인에서 결제가 가능한 다양한 결제방법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자연인에게 다양한 결제의 선택권을 주는 방법이 필요하다.
상기 온라인에서 결제된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서, PC와 같은 고정적인 오프라인 연료주입소의 단말기가 아닌 방법을 제공하여, 이동하는 연료주입소 직원이 실시간으로, 상기 온라인에서 결제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또한 온라인에서 결제된 금액을, 어떤 차에게 어떤 주유(상품지급)를 해야 하는지 쉽게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또한 온라인의 결제방법으로 오프라인으로 연동시키는데, 연료주입소마다 틀린 하드웨어가 설치가 된 경우, 상기 온라인의 결제방법을 확산하는데 있어서, 시간적 문제, 호완적인 문제, 기술적인 연동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주유소와 같은 연료주입소의 관리자(주유원)은 결제와 주유를 동시에 하기 때문에, 주유소 부지 내에서, 주유기를 셋팅하고, 결제하고, 영수증을 챙기고, 주문을 받는 과정을, 상기 연료주입소 직원이 모두 처리하기 때문에, 상기 고정된 연료주입소용 단말기만을 바라볼 수는 없으며, 이것은 온라인 결제를 한 자연인이 무한정 기다려야 하는 결과와 불편함이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또한 자연인이 차의 내부에서, 차의 문을 열거나, 차의 윈도우를 열어서, 주유와 같은 상품을 구두로 상품과 상품의 금액을 이야기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자연인이 주문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호객행위, 불친절한 행위, 잘못 전달되어 엉뚱한 금액이나 상품이 지급되는 행위들이 없어지도록 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오프라인 연료주입소 단말기를 구성하는데 있어서,
고객용 무선단말기 또는 서버와 송수신하여, 온라인 또는 고객용 무선단말기에서 주문된 연료정보와 금액정보를 추출하도록 구성하며, 상기 연료정보 또는 금액정보와 연동된 차량번호를 추출하도록 구성하다.
이때 상기 연료주입소 단말기 및 상기 연료주입소 단말기와 연동된 무선 단말기에서, 진동, 알람, 음향출력, 프린터 출력 중 적어도 하나의 전기적인 이벤트가 발생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연료주입소 단말기와 연동된 프린터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상기 차량번호와 연료정보와 금액정보가 출력되거나, 또는 표시되도록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연료주입소 단말기가 자연인 신체에 접촉하여 진동 및 알람을 인지할 수 있는 무선단말기로 구성한다.
여기서 연료지급기를 설정할 수 있는 콘트롤 장치에, 상기 연료주입소 단말기를 근접 접촉하여, 상기 콘트롤 장치와 무선통신을 하게 되면, 상기 연료 지급기에서, 상기 연료정보와 금액정보에 해당하는 값만큼 연료의 주입이 가능 하도록 설정되한다.
여기서 상기 연료주입소 단말기에서 상기 프린터에서 출력된 바코드를 스캔하게 되면, 상기 연료주입소 단말기와 연동된 연료지급기로, 상기 연료정보와 금액정보가 설정되도록 전기적인 신호가 전송되도록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연료주입소 단말기에 표시된 상기 차량번호, 연료정보, 금액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기 전 또는 후에, 상기 연료주입소 단말기와 연동된 연료주급기를 선택할 수 있도록 소정의 메뉴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연료주입소 단말기에서, 상기 차량번호, 연료정보, 금액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상품지급이 완료되었다는 것을 표시할 수 있도록 소정의 메뉴는 제공하도록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결제되어 주문한 금액정보가 쿠폰정보, 할인정보, 단가정보, 판촉정보, 마일리지 정보, 신용카드 정보, 멤버쉽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따라서, 상기 금액정보가 변경되어 상기 연료주입소 무선단말기 화면에 표시되도록 구성한다.
온라인에서 구매한 상품을 오프라인에서 간편하게 확인하는 방법이 제공되어, 한정적으로 사용 할 수 밖에 없었던 오프라인에서, 다양한 온라인 결제와 주문을 간편하게 하는 편리함이 있다.
이를 통하여 자연인에게 다양한 온라인 결제방법을 사용할 수 있는 선택권을 부여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온라인에서 결제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되어, 실시간으로 오프라인에서 상품을 지급할 수 있는 간편함이 있다.
또한 온라인에서 결제된 금액에 대해서, 상품 지급해야 하는 대상자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여, 업무의 간편화와 자연인이 구두로 관리자에게 요청하면서 잘못 전달되거나 오해된 주문 및 결제로 인한 시시비비가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온라인의 결제방법으로 오프라인으로 연동시키는데 있어서, 연료주입소마다 틀린 하드웨어가 설치를 모두 연동 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상기 온라인의 결제방법을 확산하는데 있어서, 시간적 문제, 호완적인 문제, 기술을 연동 문제를 해결할 수가 있다.
자연인이 온라인에서 주문한 후, 오프라인에서 주문한 결과가 확인 안되어, 무한정 기다려야 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아, 자연인의 불편 및 불만이 없어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자연인이 차의 내부에서, 차의 문과 윈도우를 열지 않건, 별도로 연료주입소 사무실에 방문 하지 않고서도, 주문 및 결제를 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게 된다.
도1와 도4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바람직한 일 시실시예에 따른 블록도이다.
도2와 도3는 본 발명에서 무선단말기의 화면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연료주입소 단말기를 구성하는데 있어서,
고객용 무선단말기 또는 서버와 송수신하여, 온라인 또는 무선단말기에서 주문된 연료정보와 금액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연료정보 또는 금액정보와 연동된 차량번호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연료주입소 단말기 및 상기 연료주입소 단말기와 연동된 무선 단말기에서, 진동, 알람, 음향출력, 프린터 출력 중 적어도 하나의 전기적인 이벤트가 발생하는 단계;
상기 연료주입소 단말기와 연동된 프린터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상기 차량번호와 연료정보와 금액정보가 출력되거나, 또는 표시되는 단계;로 구성된 연료주입소 단말기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1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고객용 무선단말기(9)에서 주문된 연료정보(4-1)와 금액정보(3-1)를 연료주입소 단말기(1)에서 추출되도록 구성한다.
또는 고객용 무선단말기(9)의 정보를 저장한 서버와 송수신을 하거나, 온라인에서 주문되어 저장되어 있는 서버와 송수신하여, 상기 연료정보(4-1)과 금액정보(3-1)를 추출하도록 구성한다.
여기서 연료주입소 단말기로는 POS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단독의 무선단말기(1)로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POS와 무선단말기(1)가 서로 송수신하여, 상기 POS와 상기 무선단말기(1)를 결합하여, 상기 연료주입소 단말기로 구성할 수 있다.
이것은 상기 연료주입소 단말기가 하나의 단말기로만 구성된다는 것을 의미하진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상기 연료주입소 단말기는 POS로만 구성되거나, 또는 단독의 무선단말기(1)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연료정보(4-1)와 금액정보(3-1)는 상기 고객용 무선단말기(9)로 부터 직접 무선신호를 받거나, 상기 고객용 무선단말기(9)와 송수신이 가능한 서버로부터 전달 받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무선신호는 NFC 프로토콜, RFID 프로토콜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상기 고객용 무선단말기(9)의 화면에 바코드와 같은 이미지 코드를 스캔할 수 있는 무선장치(스캔은 유선이 아니기 때문에, 무선신호라고 봐야한다.)를 적용할 수 도 있다.
상기 연료정보(4-1)과 금액정보(3-1)는 온라인의 쇼핑몰에서 주문 또는 결제된 후에, 주문 또는 결제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달되어, 상기 연료주입소 단말기에서 추출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연료정보(4-1) 또는 금액정보(3-1)와 연동된 차량번호(3)를 추출하도록 구성한다.
이것은 상기 연료정보(4-1) 또는 금액정보(3-1)가 상기 차량번호(3)와 연동되어, 상기 서버 또는 상기 고객용 무선단말기(9)에 저장되어 있어야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연료주입소 단말기에서 상기 연료정보(4-1) 또는 금액정보(9)를 추출하는 과정에서, 고객 또는 차의 번호를 식별할 수 있는 코드를 분석, 추출하여 상기 차량번호를 추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것은 상기 차량번호가 상기 연료정보(4-1) 또는 금액정보(9)를 전송 받는 과정 중에, 고객의 전화번호, 계정정보, 로그인 정보 등의 부수적인 식별정보를 해석하고, 상기 해석한 식별정보와 미리 연동되어 저장된 차량번호를 추출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 연료주입소 단말기 및 상기 연료주입소 단말기와 연동된 무선 단말기에서, 진동, 알람, 음향출력, 프린터 출력 중 적어도 하나의 전기적인 이벤트가 발생되도록 구성한다.
이것은 상기 연료주입소 단말기에서, 상기 차량번호(2)와 연료정보(4)와 금액정보(3)가 추출되었다는 것을 진동 또는 알람이라는 전기적인 이벤트가 발생하도록 하여, 상기 연료주입소 직원(6)이, 상기 전기적인 이벤트를 인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연료주입소 단말기와 연동된 스피커에서, 자연인의 음성 및 음향이 출력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프린터가 출력되도록 하여, 상기 연료주입소 직원(6)이 인지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프린터에 출력되는 인쇄물에는 차량번호(2)와 연료정보(4)와 금액정보(3)가 출력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프린터에서 프린터가 출력되는 소리에 의해서, 상기 연료주입소 직원(6)이 인지할 수 있거나, 상기 진동, 알람, 음향출력, 프린터 출력이 복수로 동작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상기 차량번호(2)와 연료정보(4)와 금액정보(3)가, 상기 연료주입소 단말기와 연동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이때 모니터는 터치화면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무선단말기(1)는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등에서 별도의 어플리케이션(APP)을 다운받아 설치한 후, 상기 연료주입소 단말기로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연료주입소 단말기가 자연인 신체에 접촉하여 진동 및 알람을 인지할 수 있는 무선단말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무선단말기는 스마트 왓치(시계모양으로 손목에 부착할 수 있는 무선단말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연료지급기를 설정할 수 있는 콘트롤 장치에, 상기 연료주입소 단말기를 근접 접촉하여, 상기 콘트롤 장치와 무선통신을 하게 되면, 상기 연료 지급기에서, 상기 연료정보와 금액정보에 해당하는 값만큼 연료의 주입이 가능 하도록 설정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도1를 참조하면,
연료지급기를 설정할 수 있는 콘트롤 장치로는, 상기 연료지급기에 부착되거나, 상기 연료지급기와 연동된 장치이며, 상기 연료지급기에 상기 연료정보(4)와 금액정보(3)가 설정될 수 있는 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여기서 콘트롤 장치에 대한 예를 들어보면, 상기 연료지급기인 주유기(18)를 설정할 수 있는 장치이며, 상기 콘트롤 장치는 주유기(18)의 내부에 설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콘트롤 장치는 POS로 구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콘트롤 장치로 사용되는 POS의 무선장치에, 상기 무선단말기(1)를 접촉하게 되면, 상기 무선단말기(1)에 표시된 연료정보(4)와 금액정보(3)가, 상기 POS로 전송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POS에서는 상기 연료주입기로, 상기 연료정보(4)와 금액정보(3)가 전송되도록 구성되어 있어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POS에서 전달받은 상기 연료정보(4)와 금액정보(3)에 의해서, 상기 연료주입기는 연료의 주입이 가능 하도록 설정되게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무선단말기(1)에서는 상기 연료정보(4) 또는 금액정보(3)와 연동된, 바코드 및 QR코드와 같은 이미지 코드를 표시하고, 상기 이미지 코드를 상기 콘트롤 장치와 연동된 스캐너에 의해서, 스캔되게 되면, 상기 콘트롤 장치에서, 상기 이미지코드를 분석하여, 상기 연료정보(4)와 금액정보(3)를 추출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연료주입소 단말기에서 상기 프린터에서 출력된 바코드를 스캔하게 되면, 상기 연료주입소 단말기와 연동된 연료지급기로, 상기 연료정보와 금액정보가 설정되도록 전기적인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것은 상기 프린터에서 출력되는 인쇄물이 차량번호(2)와 연료정보(4)와 금액정보(3)일 수도 있지만, 상기 차량번호(2)와 함께 바코드가 출력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료주입소 단말기에 부착된 스캐너를 스캔하게 되면, 상기 바코드와 연동되 연료정보(4)와 금액정보(3)가 자동으로 추출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추출된 정보에 의해서, 상기 연료지급기로 상기 연료정보(4)와 금액정보(3)가 설정될 수 있도록, 전기적인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출력된 바코드를 스캔하기 전에, 다수의 연료주입기 중, 설정하고자하는 연료주입기의 번호를, 상기 연료주입소 단말기에서 연료주입소 직원(6) 또는 자연인이 수동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소정의 메뉴를 제공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것은 상기 차량번호(2)가 근접해 있는 차(8)를, 연료주입소 직원(6)이 시력으로 확인하고, 상기 연료주입소 직원(6)이 상기 연료주입기인 주유기(18)의 번호를 선택하여, 어떤 연료주입기가 설정되어야하는지 지정할 수 있도록 소정의 메뉴를 구성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연료주입소 단말기에 표시된 상기 차량번호, 연료정보, 금액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기 전 또는 후에, 상기 연료주입소 단말기와 연동된 연료주급기를 선택할 수 있도록 소정의 메뉴를 제공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도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연료주입소 단말기 중에 하나인 POS(35)에서 상기 상품정보(4-5)와 차량번호(2-8)와 금액정보(3-10)가 표시되도록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상품정보(4-5)와 차량번호(2-8)와 금액정보(3-10) 중 적어도 하나를 연료주입소 직원이 선택가능 하도록 구성한다.
이때 상기 연료주입소 직원이 상기 POS(35)와 연동된 연료지급기 중에 하나인 주유기(18-1)를 선택하기 위해서, 상기 주유기를 설정할 수 있는 설정메뉴(38)를 선택 가능 하도록 구성한다.
이대 상기 주유기 번호(40)가 지정되게 되면, 상기 주유기 번호(40)에 상품정보(4-7)과 금액정보(3-12)를 설정할 것인가를 묻는 팝업창이 발생하도록 구성한다. 이때 상기 주유기 번호(40)를 연료주입소 직원이 선택하게 되면, 선택된 주유기(18-1)에서 상기 금액정보(3-12)의 값에 해당하는 상품정보(4-5)의 유종이 지급되도록 설정되도록 구성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주유기번호(40)는 상기 상품정보(4-5), 차량번호(2-8), 금액정보(3-10)를 선택하기 이전에, 상기 연료주입소 직원이 미리 선택할 수도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POS(36)에 상기 상품정보(4-5)와 금액정보(3-10)를 대표하는 바코드(32-2)가 표시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바코드(32-2)를 상기 POS(36)에 부착된 스캐너(34-1)를 이용하여 스캔하게 되면, 상기 상품정보(4-7)와 금액정보(3-12)가 자동으로 표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주유기번호(40)를 선택하게 되면, 해당 주유기 번호(40)에 해당하는 주유기(18-1)가 주유 가능하도록 설정되도록 구성된다.
이것은 상기 POS(35)의 프로그램 일부로 본 발명을 구성할 수도 있지만, 상기 POS(35)에 별도의 상기 차량번호(2-8)와 상품정보(4-5)와 금액정보(3-10)를 표시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별도의 연료주입소 단말기로 사용할 수 있는 무선단말기(1-8)에 APP를 다운받거나,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상기 차량번호(2-8)와 상품정보(4-5)와 금액정보(3-10)가 표시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이때도 상기 금액정보(4-5)에 해당하는 바코드(32-3)을 상기 무선단말기(1-8)에서 표시가 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바코드(32-3)를 상기 POS(35)의 스캐너(34-2)로 스캔하게되면, 상기 POS(35)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상기 바코드(32-3)에 해당하는 상품정보(4-7)와 금액정보(3-12)가 표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연료주입소 직원은 상기 차(8-1)를 시력으로, 번호판(13-2)을 보고서, 상기 차량번호(2-8)을 식별하고, 상기 연료주입소 직원은 상기 차(8-1)에서 가까운 주유기(18-1)을 인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주유기(18-1)에 해당하는 주유기번호(40)를, 상기 연료주입소 직원이 선택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차량번호(2-9)는 상기 연료주입소 단말기와 연동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표시되거나, 또는 상기 연료주입소와 연동된 프린터에서 출력된 인쇄물에서 확인할 수가 있도록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연료주입소에서 상기 차량번호(2-8), 금액정보(3-10), 상품정보(4-5) 중에 적어도 하나가 표시되고, 나머지 표시가 되지 않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것은 상기 차량번호(2-8), 금액정보(3-10), 상품정보(4-5)가, 상기 연료주입소 단말기에 표시되지 않다가, 상기 바코드(32-1, 32-3) 또는 상기 POS(35)에서 제공하는 소정의 주문메뉴를 선택하게 되면, 상기 차량번호(2-8), 금액정보(3-10), 상품정보(4-5)가 표시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여기서 상기 프린터에서 인쇄된, 인쇄물(37)에서 상기 차량번호(2-8), 금액정보(3-10), 상품정보(4-5)와 함께, 상기 금액정보(3-10)가 결제가 되었는지, 단순한 주문인지를 인지하기 위해서, 상기 결제정보(39)가 표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연료주입소 단말기에서, 상기 차량번호, 연료정보, 금액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상품지급이 완료되었다는 것을 표시할 수 있도록 소정의 메뉴는 제공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도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연료주입소 단말기로 사용할 수 있는 무선단말기(1-1)에 다수의 차량번호(2-1,2-2,2-3)가 표시되고, 상기 차량번호(2-1)를 선택하게 되면, 상기 상품정보(4-2)와 금액정보(3-2)가 표시되도록 구성한다. 이때 상기 연료주입소 직원이 상기 주유기를 설정하여, 주유를 완료하게 되며, 이때 상기 연료주입소 직원은 완료되었다는 것을 구분하기 위해서, 상기 완료버튼(17)을 선택할 수 있도록 소정의 메뉴를 제공하도록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차량번호(2-2)가 주유 완료 되었다 라는 것을, 확인표시(14-1.14-2,14-3)에 표시된 내용을 보고서 확인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결제되어 주문한 금액정보가 쿠폰정보, 할인정보, 단가정보, 판촉정보, 마일리지 정보, 신용카드 정보, 멤버쉽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따라서, 상기 금액정보가 변경되어 상기 연료주입소 무선단말기 화면에 표시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도3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연료주입소 단말기로 사용되는 무선단말기(1-5)의 화면에, 금액정보(3-7)가 표시되고, 상기 무선단말기(1-5)에서 제공하는 판촉정보가 자동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제공된 판촉정보(30)가 상기 금액정보(3-7)에서 1,000원이 할인된다는 것이 표시되었으며, 상기 무선단말기(1-5)에서 서버와 송신을 하거나, 또는 상기 무선단말기(1-5)가 고객의 무선단말기로부터 전달 받은 쿠폰정보(29)에 의해서, 상기 금액정보(3-7)가 5,000원 할인될 수 있도록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금액정보(3-7)은 상기 판촉정보(30)과 쿠폰정보(29)에 의해서, 1000원과 5,000원이 할인되어, 상기 금액정보(3-7)과 틀린 금액정보(16-1)로 변경되어 상기 무선단말기(1-5)에 표시될 수 있다.
이것은 상기 금액정보(3-7)가, 상기 쿠폰정보(30)와 판촉정보(29)에 의해서, 새로운 금액정보(3-7, 16-1)로 변경되어 표시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차량번호(2-6)과 연동되어 있는 멤버쉽 혜택에 의해서, 상기 금액정보(3-7)는, 상기 연료주입기 또는 상기 연료주입소 단말기에서 선 셋팅된 상품의 단가보다 할인 된다는 것을 추출하여, 상기 연료주입소 단말기와 연동된 디스플레이에서 표시가 되도록 구성할 수가 있다.
여기서 상기 멤버쉽 혜택은 별도로 상기 연료주입소와 거래가 되어, 서버 또는 상기 연료주입소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어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여기서 상기 금액정보(3-7)는 기존에 적립되었던 마일리지의 일부 금액이 자동으로 반영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며, 또한 신용카드에서 제공되는 마일리지 점수 및 신용카드를 사용하는 대가로 제공되는 할인 혜택등에 의해서 상기 금액정보(3-7)는 변경되어, 상기 무선단말기(1-5)에 표시가 될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단말기(1-6)에서는 상기 쿠폰정보(32-1), 할인정보, 단가정보, 판촉정보, 마일리지 정보, 신용카드 정보, 멤버쉽 정보 중에 적어도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소정의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쿠폰정보(32-1)가 표시되더라도, 상기 쿠폰정보(32-1)가 이미 사용된 쿠폰정보(32-1)일 수도 있으며, 이때 상기 무선단말기(1-6)이 아닌, 다른 POS 및 유선단말기에서, 상기 바코드(32-1)를 스캔하거나, 상기 바코드(32-1)에 해당하는 쿠폰코드(33-1)를 입력하여, 상기 바코드(32-1) 또는 쿠폰코드(33-1)가 유효한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쿠폰정보가 유효할 경우, 상기 무선단말기(1-5)에서는 연료주입소 직원이 상기 선택버튼(7-3)이 유효하다 라고 표시할 수 있도록 소정의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쿠폰정보에 해당하는 값만큼이 반영된 틀린 금액정보(17-3)가 표시되도록 구성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때 상기 선택버튼(7-3)을, 상기 연료주입소 직원이 선택하게되면, 상기 무선단말기(1-7)에서 자동으로 상기 쿠폰정보가 유효한지가 표시되도록 구성할 수가 있다.
여기서 상기 금액정보(3-8)은 하나의 금액정보로 구성되지 않고, 다수의 금액정보로 표시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금액정보(3-8)은 연료를 주입하고자 주문한 금액으로만 표시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것은 상기 무선단말기(1-7)에서 단가정보 등이 반영될 경우, 금액이 아닌 리터로 표시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1)무선단말기 2)차량번호 3)금액정보
4)상품정보 5)손목 6)연료주입소 직원
7)선택버튼 8)차 9)고객용 무선단말기
10)연료주입소정보 11)수정메뉴 12)결제메뉴
13)번호판 14)확인표시 15)키패드
16)틀린 금액정보 17)완료버튼
18)주유기 19)셋팅장치 20)화면
21)서버 24)지도맵 25)속도
26)연료주입소 위치 27)저장메뉴 28)요청메뉴
29)쿠폰정보 30)판촉정보 31)입력란
32)바코드 33)쿠폰코드 34)스캐너
35)POS 36)터치화면 37)인쇄물
38)결재정보 39)설정메뉴 40)주유기번호

Claims (7)

  1. 오프라인 연료주입소 단말기를 구성하는데 있어서,
    고객용 무선단말기 또는 서버와 송수신하여, 온라인 또는 고객용 무선단말기에서 주문된 연료정보와 금액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연료정보 또는 금액정보와 연동된 차량번호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연료주입소 단말기 및 상기 연료주입소 단말기와 연동된 무선 단말기에서, 진동, 알람, 음향출력, 프린터 출력 중 적어도 하나의 전기적인 이벤트가 발생하는 단계;
    상기 연료주입소 단말기와 연동된 프린터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상기 차량번호와 연료정보와 금액정보가 출력되거나, 또는 표시되는 단계;로 구성된 연료주입소 단말기 시스템.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연료주입소 단말기가 자연인 신체에 접촉하여 진동 및 알람을 인지할 수 있는 무선단말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주입소 단말기 시스템.
  3. 청구항1에 있어서,
    연료지급기를 설정할 수 있는 콘트롤 장치에, 상기 연료주입소 단말기를 근접 접촉하여, 상기 콘트롤 장치와 무선통신을 하게 되면, 상기 연료 지급기에서, 상기 연료정보와 금액정보에 해당하는 값만큼 연료의 주입이 가능 하도록 설정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주입소 단말기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료주입소 단말기에서 상기 프린터에서 출력된 바코드를 스캔하게 되면, 상기 연료주입소 단말기와 연동된 연료지급기로, 상기 연료정보와 금액정보가 설정되도록 전기적인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주입소 단말기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료주입소 단말기에 표시된 상기 차량번호, 연료정보, 금액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기 전 또는 후에, 상기 연료주입소 단말기와 연동된 연료주급기를 선택할 수 있도록 소정의 메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주입소 단말기 시스템.
  6. 상기 연료주입소 단말기에서, 상기 차량번호, 연료정보, 금액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상품지급이 완료되었다는 것을 표시할 수 있도록 소정의 메뉴는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주입소 단말기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제되어 주문한 금액정보가 쿠폰정보, 할인정보, 단가정보, 판촉정보, 마일리지 정보, 신용카드 정보, 멤버쉽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따라서, 상기 금액정보가 변경되어 상기 연료주입소 무선단말기 화면에 표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번호와 연동하여 주문 처리하는 연료주입소 단말기 시스템.




KR1020150132715A 2015-09-18 2015-09-18 연료주입소의 단말기 시스템 KR201700342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2715A KR20170034273A (ko) 2015-09-18 2015-09-18 연료주입소의 단말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2715A KR20170034273A (ko) 2015-09-18 2015-09-18 연료주입소의 단말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4273A true KR20170034273A (ko) 2017-03-28

Family

ID=58495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2715A KR20170034273A (ko) 2015-09-18 2015-09-18 연료주입소의 단말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3427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917372B (zh) 燃油分销环境中提供改进的用户体验的系统与方法
US7774231B2 (en) Electronic payment methods for a mobile device
JP6174116B2 (ja) 商品の供給のための装置
US20130246171A1 (en) Fuel Dispensing Environment Utilizing Mobile Payment
US20080235105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n application-specific user interface on a personal communication device for conducting transactions with retail devices
KR101660103B1 (ko) 주유소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WO2008156577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receipts, advertising, promotion, loyalty programs, and contests to a consumer via an application-specific user interface on a personal communication device
WO2008154037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ducting transactions with other retail devices
US20080313028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sumer notification that an order is ready for pick up via an application-specific user interface on a personal communication device
KR101919916B1 (ko) 스마트 결제를 위한 사용자단말기, 무인판매기, 결제서버 및 이를 이용한 무인판매기 결제 방법
KR20170034273A (ko) 연료주입소의 단말기 시스템
KR20170032549A (ko) 차량번호와 연동하여 주문 처리하는 가맹점의 단말기 시스템
KR20140115862A (ko) 모바일 연동 결제 방법 및 시스템
KR20170040048A (ko) 연료 주입소 수락 시스템
KR20130057929A (ko) 휴대폰 모바일을 이용한 안심 결제시스템에 있어 가맹점 자동 인식방법
KR20190031616A (ko) 관리자 단말 또는 서버에서 연료주입기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KR102298714B1 (ko) 연료 주입 방법
KR100476244B1 (ko) 신용결제시스템
KR20170029740A (ko) 계좌이체 거래내역과 차량번호를 이용한 주문 시스템
KR20170027444A (ko) 차량번호와 연동하여 주문 처리하는 가맹점의 무선단말기 시스템
KR20210112284A (ko) 차량 충전소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KR20200112778A (ko) 연료주입소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무선단말기에서 설정하는 방법
KR20220100806A (ko) 연료의 주입 및 결제처리 방법
KR20220102597A (ko) 연료의 주입 및 결제처리 방법
KR20230160750A (ko) 거래카드가 사용되면 등록된 신용카드로 즉시 결제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