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3962A - Wireless charging apparatus and charger charging a secondary cell - Google Patents

Wireless charging apparatus and charger charging a secondary cel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3962A
KR20170033962A KR1020150131807A KR20150131807A KR20170033962A KR 20170033962 A KR20170033962 A KR 20170033962A KR 1020150131807 A KR1020150131807 A KR 1020150131807A KR 20150131807 A KR20150131807 A KR 20150131807A KR 20170033962 A KR20170033962 A KR 201700339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econdary battery
power
tray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180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731855B1 (en
Inventor
나종국
백운용
Original Assignee
(주)갑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갑진 filed Critical (주)갑진
Priority to KR1020150131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1855B1/en
Publication of KR201700339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396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18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185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24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fluid-pressure operate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controllable charging terminal for a secondary battery, capable of effectively distributing electricity for the charging and discharging of a secondary battery while reducing the number of distributing wires, and a charger capable of charging or discharging secondary batteries of various standards. The charger comprises a body; a controllable charging terminal; and a jig. The body includes: a base including a power supply device; a floor plate placed on the base to be slid; a hanging plate fixed to the base to be located on the floor plate and comprising a plurality of hanging bars forming a hole into which a power terminal of the controllable charging terminal is inserted; and a crane elevating or lowering the jig to insert an electrode terminal of the secondary battery, placed in the jig, into the hole. The controllable charging terminal includes: a case placed on the floor plate; a pole including a plurality of power terminals protruding from the case to be inserted into each hole; and a controller installed in the case, and controlling the application of electricity, coming from the power supply device, to the power terminals. The jig includes a bracket holding a tray, in which the secondary battery is placed, to make the electrode terminal inserted into the hole, and installed in the crane for the elevation.

Description

2차 전지 충전용 무전선 제어형 충전단과 이를 장착한 충전기{WIRELESS CHARGING APPARATUS AND CHARGER CHARGING A SECONDARY CELL}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rger for charging a secondary battery,

본 발명은 배전용 전선의 개수와 길이를 최소화하면서도 2차 전지의 충,방전을 위한 전력 효율을 개선한 2차 전지 충전용 무전선 제어형 충전단과, 다양한 규격의 2차 전지를 충,방전할 수 있는 충전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charging and discharging secondary batteries of various sizes and a method of charging and discharging secondary batteries of various sizes by minimizing the number and length of power distribution lines and improving the power efficiency for charging and discharging secondary batteries, Lt; / RTI >

작용물질의 화학변화가 끝나면 수명(壽命)을 다하여 재생할 수 없는 1차 전지와는 달리, 2차 전지는 전기에너지 방출을 통한 작용물질의 변화 후에도 전기에너지를 공급(충전)하면 작용물질이 재생해서 전기에너지를 방출한다. 2차 전지의 이러한 충,방전(이하 '충전')은 되풀이가 가능하므로 휴대기기의 전기에너지 공급에 2차 전기가 축전지로 널리 활용된다.Unlike a primary battery, which can not be regenerated after the chemical change of the active material has been completed, the secondary battery can regenerate the active substance even when the electrical energy is supplied (charged) And emits electrical energy. This charging and discharging of the secondary battery can be repeated, so that secondary electricity is widely used as a battery for supplying electric energy to portable devices.

이러한 2차 전지는 제조과정에서 충,방전 테스트를 수회 반복해서 유효성에 대해 검사를 진행하고, 최종적으로 2차 전지를 완충시켜서 상품화한다.Such a secondary battery repeats charging and discharging tests several time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tests for effectiveness thereof, and ultimately, the secondary battery is buffered and commercialized.

2차 전지의 상품화 전용 충,방전기(이하 '충전기')는 대량 생산을 고려해서 1회에 다수 개의 2차 전지를 동시에 충전 또는 방전할 수 있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 종래 충전기는 특허공개번호 제10-2007-0072825호의 기술과 같이 다수 개의 2차 전지를 탑재하는 트레이와, 정류기와 인버터를 갖춘 전원장치와, 방전부하가 각각 분리돼 구성된다. 물론 충방전기의 트레이와 전원장치와 방전부하는 서로 간의 통전을 위해서 전용 전선이 배선된다.In order to mass-produce a rechargeable battery for commercialization of a secondary battery, a plurality of rechargeable batteries must be charged or discharged at the same time in consideration of mass production. For this purpose, a conventional charger is disclosed in Patent Publication No. 10- 2007-0072825, a power supply device having a rectifier and an inverter, and a discharge load are separately formed. Of course, a dedicated electric wire is wired to supply electricity between the tray of the charge / discharge machine and the power supply unit and the discharge unit.

종래 충전기의 모습을 도 1(종래 충전기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을 참고해서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충전기는 전원장치(10)와 본체(20)와 지그(30)로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원장치(10)는 정류기와 인버터를 갖추고, 본체(20)는 DC전력을 감압하여 2차 전지(B)를 충전하며 충전된 2차 전지(B)로부터의 DC전력을 승압하여 회생하는 충방전유닛과, 2차 전지(B)의 충,방전전류와 충,방전전압을 검출해서 충방전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충방전 제어유닛을 갖춘다. 한편, 지그(30)는 2차 전지(B)를 실장한 트레이(T)를 안착해서 2차 전지(B)를 충방전유닛과 연결한다. 여기서, 전원장치(10)와 본체(20)는 전선(CL)으로 연결되며, 전선(CL)을 통해서 충,방전을 위한 전기가 통전한다. Referring to FIG. 1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ventional charger) of a conventional charger, a charger includes a power supply device 10, a main body 20 and a jig 30 . As described above, the power supply apparatus 10 is equipped with a rectifier and an inverter. The main body 20 reduces the DC power to charge the secondary battery B and increases the DC power from the charged secondary battery B Discharge control unit for detecting the charge and discharge currents of the secondary battery (B) and the charge and discharge voltage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charge and discharge unit. The jig 30 seats the tray T on which the secondary battery B is mounted to connect the secondary battery B to the charge / discharge unit. Here, the power supply apparatus 10 and the main body 20 are connected by a wire CL, and electricity for charging and discharging is supplied through the wire CL.

그런데, 전선(CL)은 고효율의 전도성 재질이긴 하지만 자체 저항도 작지 않으므로 전선(CL)이 길수록 저항은 증가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종래 충전기는 2차 전지(B)가 위치하는 트레이(T)와 전원장치(10) 간 전선(CL)의 저항이, 2차 전지(B) 충전을 위해 공급되는 전력의 소모전력을 높이는 하나의 원인이 되었다.However, although the electric wire CL is a high-efficiency conductive material, its resistance is not so small, and therefore, the resistance is necessarily increased as the electric wire CL is longer. Therefore, in the conventional charger, the resistance of the electric line CL between the tray T where the secondary battery B is located and the power supply device 10 increases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electric power supplied for charging the secondary battery B It became one cause.

한편, 2차 전지(B)는 전류용량별로 다양한 규격이 존재하고, 종래 충전기는 2차 전지(B)의 규격에 맞춰서 다양한 형태와 규격으로 제작됐다. 따라서, 2차 전지(B) 생산업자는 2차 전지(B)의 규격별로 다수의 종래 충전기를 비치해야 했다.Meanwhile, the secondary battery (B) has various specifications according to current capacity, and the conventional charger is manufactured in various shapes and sizes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 of the secondary battery (B). Therefore, the manufacturer of the secondary battery (B) had to supply a plurality of conventional chargers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 of the secondary battery (B).

하지만, 제한된 공간에 비치할 수 있는 종래 충전기의 수는 한정될 수밖에 없고, 더욱이 종래 충전기는 규격별로 다양한 종류를 비치해야 하므로, 생산업자가 한번에 생산할 수 있는 한 종류 규격의 2차 전지(B) 수는 제한이 있을 수밖에 없었다.However, the number of conventional chargers that can be provided in a limited space is limited. Further, since the conventional charger has to be provided with various types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s, the number of secondary batteries (B) There was a limit.

선행기술문헌 1. 특허공개번호 제10-2007-0072825호(2007.07.05 공개)Prior Art Document 1. Patent Publication No. 10-2007-0072825 (published on July 7, 2007)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2차 전지와 전원을 연결하는 전선의 길이 및 개수를 최소화해서 2차 전지의 충전에 소모되는 전력량을 줄이고, 다양한 종류의 2차 전지 충전을 가능하게 하는 2차 전지 충전용 무전선 제어형 충전단과 이를 장착한 충전기의 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econdary battery which can minimize the length and the number of electric wires connecting the secondary battery and the power source to reduce the amount of power consumed in charging the secondary battery, The present invention aims at solving the provision of a charger for charging a secondary battery and a charger equipped with the charger.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케이스;case;

상기 케이스 상에 돌출한 다수의 전원단자를 갖춘 폴; 및A pole having a plurality of power terminals protruded on the case; And

상기 케이스에 내설되며, 전원단자로의 전기 인가를 제어하는 컨트롤러;A controller installed in the case and controlling the application of electricity to the power supply terminal;

를 포함하는 2차 전지 충전용 무전선 제어형 충전단이다.
Charge-free type charging terminal for charging the secondary battery.

또한, 상기의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원장치를 내설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슬라이딩하게 안착하는 밑판과, 상기 밑판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베이스에 고정되고 제어형 충전단의 전원단자가 삽입하는 홀을 이룬 다수의 걸림대로 된 걸림판과, 지그에 안착된 2차 전지의 전극단자가 상기 홀에 삽탈하도록 지그를 승,하강시키는 크레인;을 구비한 본체,A base for inserting a power supply; A plurality of latching plates fixed to the base so as to be positioned above the bottom plate and having a hole for inserting a power terminal of the control type charging terminal; And a crane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jig so that the electrode terminal is inserted into and removed from the hole,

상기 밑판에 안착하는 케이스; 상기 홀 별로 삽입하는 다수의 전원단자가 케이스에 돌출된 폴; 상기 케이스에 내설되며, 전원장치로부터 유입된 전기에 대한 전원단자로의 인가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한 제어형 충전단,A case that seats on the bottom plate; A pole having a plurality of power terminals to be inserted into the holes protruding from the case; And a controller which is installed in the case and controls the application of electricity to the power terminal from the power source,

상기 전극단자가 홀에 삽입하도록 2차 전지를 탑재한 트레이를 거치하며, 승,하강을 위해 상기 크레인에 설치되는 거치대;를 구비한 지그,A jig provided with a tray mounted with a secondary battery so that the electrode terminal is inserted into the hole and installed in the crane for lifting and lowering,

를 포함하는 충전기이다. .

상기의 본 발명은, 2차 전지와 전원 간 배전선 길이를 최단화해서 2차 전지 충전에 소모되는 전력량을 줄이고, 다양한 규격의 2차 전지 충전을 가능하게 해서 2차 전지 생산업자가 필요한 규격의 2차 전지를 충분한 양으로 충전해서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horten the length of the distribution line between the secondary battery and the power source to reduce the amount of power consumed for charging the secondary battery and to charge the secondary battery of various sizes, There is an effect that the battery can be produced by filling the battery with sufficient capacity.

도 1은 종래 충전기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충전기의 정면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충전기에 탑재하는 제어형 충전단의 정면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A-A' 단면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충전기의 평면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충전기의 2차 전지가 제어형 충전단과 연결하는 정면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8에서 제어형 충전단의 전원단자가 2차 전지의 전극단자와 접하는 부분인 'D'의 측면모습을 확대해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도 8에 도시한 동작 이후 충전기의 평면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의 도 10에서 제어형 충전단의 전원단자가 2차 전지의 전극단자와 접하는 부분을 확대해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도 10에서 도시한 동작 이후 충전기의 측면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은 도 12에서 제어형 충전단의 전원단자가 2차 전지의 전극단자와 접하는 부분을 확대해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of a conventional charger,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front view of a char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ront view of a control-type charge stage mounted on a char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
5 to 7 ar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 plan view of a char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ront view of a secondary battery of a char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nected to a control-type charging terminal,
FIG. 9 is an enlarged view of a side view of 'D', which is a portion where the power source terminal of the control type charge stage contacts the electrode terminal of the secondary battery in FIG. 8,
FIG. 10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lan view of the charger after the operation shown in FIG. 8,
Fig. 11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where the power source terminal of the control-type charge terminal contacts the electrode terminal of the secondary battery in Fig. 10,
FIG. 1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ide view of the charger after the operation shown in FIG. 10,
FIG. 13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where the power source terminal of the control-type charging terminal contacts the electrode terminal of the secondary battery in FIG.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bove and other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possible.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form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이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충전기의 정면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인 바, 이를 참고해 설명한다.FIG.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ront view of a char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본 발명에 따른 충전기는 전원장치(100); 전원장치(100)와 제어형 충전단(300)과 지그(400)를 탑재하는 본체(200); 트레이(T)를 거치하며 본체(200)에서 승,하강하는 지그(400);를 포함한다.A char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ower supply device (100); A main body 200 for mounting the power supply device 100, the control charging terminal 300 and the jig 400; And a jig 400 that lifts up and down the main body 200 by receiving the tray T.

전원장치(100)는 외부로부터 인가하는 교류전류를 정류하는 정류기(미도시함)와, 필요 전압으로 변압하는 인버터(미도시함)를 포함하며, 본체(200)에 탑재되어서 제어형 충전단(3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전원장치(100)의 내부 구조는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여기서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The power supply device 100 includes a rectifier (not shown) for rectifying an alternating current applied from the outside and an inverter (not shown) for converting the voltage into a required voltage. The power supply device 100 is mounted on the main body 200, ). Since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power supply apparatus 100 is a known techniqu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ere.

본체(200)는 전원장치(100)를 설치하며 본체(200)의 기초를 이루는 베이스(210)와, 제어형 충전단(300)을 수용하며 베이스(210)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시트(220)와, 지그(400)를 승,하강 가능하게 지지하며 베이스(210)에 설치되는 크레인(230)을 포함한다.The main body 200 includes a base 210 that forms a base of the main body 200 and a seat 220 that accommodates the control type charging end 300 and is movably installed on the base 210, And a crane 230 installed on the base 210 to support the jig 400 so as to be able to ascend and descend.

본체(200)의 각 구성요소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Each component of the main body 2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베이스(210)는 충전기를 지탱하면서 전원장치(100)를 설치하는 기초를 이룬다. 본 실시 예에서는 베이스(210)가 평판 형상인 것으로 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The base 210 forms the foundation for installing the power supply 100 while supporting the charger. In this embodiment, the base 210 is a flat plat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시트(220)는 제어형 충전단(300)을 수용하며, 베이스(210)에서 횡 방향으로 이동하게 설치된다. 이를 위해서 베이스(210)는 시트(220)를 지지하는 레일(211)이 돌출 형성되고, 시트(220)의 밑판(221)에는 레일(211)과 맞물려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더(221a)가 형성된다. 계속해서, 시트(220)는 시트(220)의 기초를 이루는 밑판(221)과, 제어형 충전단(300)의 전원단자(343)와 2차 전지(B)의 전극단자(B1)를 함께 수용할 수 있는 홀이 형성된 걸림대(222a)를 갖추며 베이스(210)에 설치되는 걸림판(222)과, 밑판(221)이 횡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동력을 일으키는 스위치(223, 223')를 포함한다. 여기서 스위치(223, 223')는 밑판(221)의 횡 방향 이동 동력을 일으키는 스크류 구동모터, 유압 실린더, 렉 피니언 구동모터 등 다양할 수 있으며, 횡 방향 이동 동력을 일으킬 수 있는 동력원이라면 이하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참고로, 밑판(221)과 걸림판(222)은 서로 분리되어서, 밑판(221)의 슬라이딩과는 무관하게 걸림판(222)은 베이스(210)의 설치위치를 고수한다. 또한, 제어형 충전단(300)은 전원단자(343)가 걸림대(222a)의 홀에 삽입한 상태로 시트(220)에 안착한다.The seat 220 receives the regulated charge stage 300 and is installed to move transversely at the base 210. A rail 211 for supporting the seat 220 is protruded from the base 210 and a slider 221a is formed on the bottom plate 221 of the seat 220 to engage with the rail 211 to slide. Subsequently, the seat 220 receives the base plate 221 of the seat 220, the power supply terminal 343 of the control type charging terminal 300 and the electrode terminal B1 of the secondary battery B together And a switch 223 and 223 'for generating power to move the base plate 221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latching plate 222 is provided with a latching hole 222a formed in the base plate 210, Here, the switches 223 and 223 'may be various types such as a screw drive motor, a hydraulic cylinder, and a rack-and-pinion drive motor that generate a lateral movement power of the bottom plate 221. If a power source capable of generating a lateral movement power, And may be variously carried out within a range not exceeding the range. The bottom plate 221 and the engaging plate 222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so that the engaging plate 222 adheres to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base 210 irrespective of the sliding of the bottom plate 221. In addition, the control-type charging terminal 300 is seated on the seat 220 in a state where the power supply terminal 343 is inserted into the hole of the latch 222a.

지그(400)는 트레이(T)를 탈착 가능하게 거치하는 거치대(410)와, 거치대(410)에 거치된 트레이(T)의 위치를 조정하는 제1세터(420)와, 거치대(410)에 거치된 트레이(T)의 위치를 조정하는 제2세터(430)를 포함한다. The jig 400 includes a cradle 410 for detachably mounting the tray T, a first setter 420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tray T mounted on the cradle 410, And a second setter 430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stationary tray T.

지그(400)의 각 구성요소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Each component of the jig 4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거치대(410)는 트레이(T)를 탈착 가능하게 거치하되 트레이(T)에 탑재된 2차 전지(B)가 밑판(221)에 탑재된 제어형 충전단(300)의 전원단자(343)와 마주하며 접촉하도록 중앙에 구멍을 형성한다. 따라서 거치대(410)는 상기 구멍의 둘레를 감싸는 링 형상 또는 3방이 둘러싸인 고리 형상을 이루고, 트레이(T)는 가장자리가 거치대(410)에 안착해서 상기 구멍을 덮는 구조를 이룬다. 본 실시 예에서 거치대(410)는 상기 구멍으로 돌출한 제1돌기(411)에 트레이(T)의 가장자리가 걸려서 안착한다. 계속해서, 거치대(410)는 상기 구멍을 중심으로 좌,우측에 각각 제2돌기(412)가 상방으로 돌출해서, 제1돌기(411)에 안착한 트레이(T)가 제한범위를 벗어나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구멍을 중심으로 거치대(410)의 선두에 스토퍼(413)를 형성한다. 스토퍼(413)는 제2돌기(412)와 같이 트레이(T)가 제한범위를 벗어나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The holder 410 detachably mounts the tray T so that the secondary battery B mounted on the tray T contacts the power terminal 343 of the control type charging terminal 300 mounted on the base plate 221, And a hole is formed at the center to make contact. Thus, the holder 410 has a ring shape surrounding the perimeter of the hole or an annular shape surrounded by three chambers, and the tray T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edge is seated on the holder 410 to cover the hole. In this embodiment, the cradle 410 is seated on the first protrusion 411 protruding from the hole with the edge of the tray T being caught. The second protrusion 412 protrudes upwar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ole and the tray T seated on the first protrusion 411 moves out of the limit range prevent. On the other hand, a stopper 413 is formed at the head of the holder 410 around the hole. The stopper 413 prevents the tray T from moving out of the limit range like the second projection 412. [

제1세터(420)는 상기 구멍을 중심으로 후미에 설치되어서, 거치대(410)에 안착한 트레이(T)를 선두로 밀어 위치를 조정한다. 제1세터(420)는 트레이(T)를 선두로 밀기 위해서 유압 실린더 방식이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The first setter 420 is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hole and adjusts the position by pushing the tray T seated on the mount 410 to the front. The first setter 420 may be a hydraulic cylinder type for pushing the tray T to the head, but is not limited thereto.

제2세터(430)는 상기 구멍을 중심으로 좌,우측에 각각 설치되어서, 거치대(410)에 거치한 트레이(T)의 위치를 조정한다. 도 5에서 보인 바와 같이, 제2센터(430)는 트레이(T)의 좌우 위치를 조정하며 트레이(T)를 잡는 홀더(431)와, 2차 전지(B) 또는 트레이(T)의 규격에 맞춰서 홀더(431)의 위치를 조정하는 제1포지셔닝(432)과, 걸림대(222a)에 삽입된 2차 전지(B)의 전극단자(B1)가 걸림대(222a)의 일면에 밀착하도록 트레이(T)를 잡은 홀더(431)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제2포지셔닝(433)을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제2세터(430)는 홀더(431)와 제1포지셔닝(432)과 제2포지셔닝(433)이 일렬로 연결되고, 제1포지셔닝(432)은 홀더(431)와 제2포지셔닝(433) 사이에 배치되어서 2차 전지(B)의 규격에 맞춰서 트레이(T)의 위치를 조정하는 홀더(431)와 제2포지셔닝(433) 간의 길이를 조절한다.
The second setter 430 is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ole, respectively,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tray T that is placed on the table 410. 5, the second center 430 includes a holder 431 for adjusting the left and right positions of the tray T and holding the tray T, and a holder 431 for holding the tray T, A first positioning 432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holder 431 and a second positioning 432 for aligning the electrode terminal B1 of the secondary battery B inserted in the latch 222a with the tray T And a second positioning 433 for moving the position of the holder 431 holding the holder 431.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cond setter 430 includes a holder 431, a first positioning 432 and a second positioning 433 are connected in a line, a first positioning 432 includes a holder 431 and a second positioning The length between the holder 431 and the second positioning 433, which is disposed between the second positioning member 433 and the position of the tray T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tray T in accordance with the specification of the secondary battery B,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충전기에 탑재하는 제어형 충전단의 정면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A-A' 단면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인 바, 이를 참고해 설명한다.FIG. 3 is a front view of a control-type charge stage mounted on a char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본 발명에 따른 제어형 충전단(300)은 2차 전지(B)의 충전을 제어하는 충전제어수단과, 2차 전지(B)와의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통전수단이 일체로 구성되어서 전선에 의한 배선 길이를 최단으로 하고, 충전기의 소형화에 일조한다. 또한, 트레이(T)에 안착하는 2차 전지(B)의 규격에 맞춰서 상기 충전제어수단과 통전수단을 충전기에서 일체로 교체할 수 있다. 또한, 충전기에 다수 개의 제어형 충전단(300)을 설치할 수 있으므로, 동일 규격의 2차 전지(B)를 트레이(T)에 일렬로 배치하는 방식으로 다양한 규격의 2차 전지(B)를 하나의 트레이(T)에 함께 안착시켜서, 1 대의 충전기에서 다양한 규격의 2차 전지(B)를 동시에 충전할 수도 있다.The control type charging stage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charging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charging of the secondary battery B and energizing means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secondary battery B to each other, Keep the length as short as possible to help miniaturize the charger. In addition, the charging control means and the energizing means can be integrally replaced by the charger in accordance with the standard of the secondary battery (B) to be placed on the tray (T). In addition, since the plurality of control type charging stages 300 can be provided in the charger, the secondary batteries B of various sizes can be arranged in one line in the manner of arranging the secondary batteries B of the same size in a line on the tray T. It is possible to simultaneously charge the secondary batteries B of various sizes in one charger by putting them together in the tray T.

이를 위한 제어형 충전단(300)은 케이스(310)와, 케이스(310)에 설치된 보드 타입의 컨트롤러(330)를 냉각하고 환기시키는 팬(320, 320')과, 2차 전지(B)의 충전을 제어하는 컨트롤러(330)와, 컨트롤러(330)로부터 인가된 전기를 2차 전지(B)와 접촉해 통전시키는 폴(340)을 포함한다.The control type charging stage 300 for this purpose includes a case 310, fans 320 and 320 'for cooling and ventilating the board type controller 330 installed in the case 310, And a pawl 340 for bringing the electricity applied from the controller 330 into contact with the secondary battery B to supply electricity.

제어형 충전단(300)의 각 구성요소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Each component of the controlled charging stage 3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케이스(310)는 컨트롤러(330)를 수용하며 컨트롤러(3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폴(340)을 지지한다.The case 310 receives the controller 330 and supports a pole 34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ler 330.

팬(320, 320')은 컨트롤러(330)가 설치된 케이스(310) 내부를 냉각 및 환기시켜서, 전원장치(100)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동작하며 가열되는 컨트롤러(330)를 냉각한다.The fans 320 and 320 'cool and ventilate the inside of the case 310 in which the controller 330 is installed to cool the controller 330 which is operated by receiving electricity from the power supply 100.

컨트롤러(330)는 전원단자(343)별 온오프를 제어하는 채널보드(331)가 실장되되, 채널보드(331)는 전원단자(343)로의 전기 인가를 제어한다. 본 실시 예에서 컨트롤러(330)는 다수 개의 전원단자(343)에 대응해서 다수 개의 채널보드(331)가 구성되며, 각각의 채널보드(331)는 전원단자(343)와 짝을 맞춰서 전기 인가를 제어한다. 결국, 컨트롤러(330)는 설정된 OS에 따라 채널보드(331)가 지정하는 전원단자(343)로 지정 크기의 전류를 인가하므로, 하나의 트레이(T)에 다양한 규격의 배터리(B)를 탑재해서 동시에 충전할 수 있다.The controller 330 is mounted with a channel board 331 for controlling the ON and OFF of the power terminal 343 while the channel board 331 controls the electric power applied to the power terminal 343. In this embodiment, the controller 330 includes a plurality of channel boards 331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power terminals 343, and each channel board 331 is electrically coupled to the power terminals 343 . The controller 330 applies a current of a predetermined magnitude to the power terminal 343 designated by the channel board 331 according to the set OS so that a battery B of various sizes is mounted on one tray T It can be charged at the same time.

컨트롤러(300)는 전원장치(100)와 연결된 컨덕터(311)와 연결되어서, 전원장치(100)로부터 2차 전지(B)의 충전을 위한 필요 전기를 공급받는다. 계속해서, 컨트롤러(330)는 폴(340)과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서, 폴(340)에 구성된 슬롯(342)에 끼워지는 접속코드(332)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폴(340)에 슬롯(342)이 형성되고, 컨트롤러(330)에 접속코드(332)가 형성된 것으로 했으나, 이와 반대일 수 있다. 계속해서, 컨트롤러(330)는 링커(333)가 폴(340)의 고정대(341)에 고정되어서, 컨트롤러(330)와 폴(340)이 일체로 된다.The controller 300 is connected to a conductor 311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apparatus 100 and receives power required for charging the secondary battery B from the power supply apparatus 100. [ The controller 330 includes a connection cord 332 that fits into the slot 342 configured in the pawl 340 for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pawl 340. [ In this embodiment, a slot 342 is formed in the pawl 340 and a connection cord 332 is formed in the controller 330, but the opposite can be made. Subsequently, the linker 333 is fixed to the fixed base 341 of the pawl 340 so that the controller 330 and the pawl 340 are integrated with each other.

폴(340)은 케이스(310)에 고정되는 고정대(341)와, 컨트롤러(330)의 접속코드(332)가 삽입해서 전원단자(343)에 통전시키는 슬롯(342)과, 2차 전지(B)의 전극단자(B1)와 접촉해서 슬롯(342)으로 통전한 전기를 2차 전지(B)로 인가하는 전원단자(343)를 포함한다. 전원단자(343)는 다수 개의 2차 전지(B)와 접촉하도록 다수 개가 구성된다. 참고로, 전원단자(343)는 +극과 -극으로 구분되는 전극단자(B1)에 맞춰서 +극과 -극으로 구분해 구성된다.
The pawl 340 includes a fixing base 341 fixed to the case 310 and a slot 342 for inserting the connection cord 332 of the controller 330 into the power terminal 343, And a power supply terminal 343 for applying electricity to the secondary battery B in contact with the electrode terminal B1 of the secondary battery B1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lot 342. [ A plurality of power terminals 343 are form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plurality of secondary batteries (B). For reference, the power terminal 343 is divided into a positive electrode and a negative electrode according to an electrode terminal B1 divided into a positive electrode and a negative electrode.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충전기의 평면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인 바, 이를 참고해서 설명한다. 5 to 7 ar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 plan view of a char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se figures.

1) 트레이 거치1) Tray mounting

작업자는 2차 전지(B)를 수용한 트레이(T)를, 도 5에서 보인 바와 같이 거치대(410)에 거치한다. 거치대(4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중앙 부분에 구멍이 형성되는데, 트레이(T)는 상기 구멍을 덮게끔 거치한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 거치대(410)의 구멍 가장자리에는 제1돌기(411)가 형성되고, 트레이(T)는 가장자리 부분이 거치대(410)에 거치하게 한다.The operator places the tray T containing the secondary battery B on the holder 410 as shown in FIG. The holder 410 is formed with a hole at the central portion as described above, and the tray T is mounted to cover the hole.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protrusion 411 is formed at the edge of the hole of the cradle 410, and the edge of the tray T is placed on the cradle 410.

참고로, 트레이(T)에 수용된 2차 전지(B)는 제어형 충전단(300)의 위치에 맞춰 거치대(410) 상에 정확히 거치해야 하나, 초기 안착 과정에서는 정확한 위치로의 거치가 곤란하다.
For reference, the secondary battery B accommodated in the tray T must be correctly mounted on the cradle 410 in accordance with the position of the control-type charging terminal 300, but it is difficult to mount the battery C in the correct position in the initial seating process.

2) 트레이 위치 1차 조정2) Tray position 1st adjustment

도 6에서 보인 바와 같이, 트레이(T)가 거치대(410)에 거치하면 상기 구멍을 중심으로 후미에 위치한 제1세터(420)는 푸쉬패널(421)을 이용해서 트레이(T)의 일측을 선두로 밀어 이동시킨다. 이렇게 이동한 트레이(T)는 상기 구멍을 중심으로 선두를 향해 이동하며, 선두에 이르면 스토퍼(413)에 이르러 정지한다.6, when the tray T is mounted on the cradle 410, the first setter 420 positioned at the rear with respect to the hole is moved to one side of the tray T by using the push panel 421 Push to move. The tray T thus moved moves toward the head about the hole, reaches the stopper 413, and stops.

결국, 트레이(T)는 거치대(410)에서 1차로 위치를 조정한다.
As a result, the tray T adjusts the position of the tray 410 primarily.

3) 트레이 위치 2차 조정3) Tray position 2nd adjustment

도 7에서 보인 바와 같이, 거치대(410)의 선두에 위치가 트레이(T)를 제2세터(430)가 트레이(T)의 좌,우측을 밀어서 2차로 위치를 조정한다. 이를 위해서 본 실시 예는 제2세터(430)의 홀더(431)가 트레이(T)의 좌,우측을 함께 눌러서 트레이(T)의 좌,우측 위치를 잡고, 아울러 트레이(T)를 홀딩한 상태에서 트레이(T)의 후속된 위치 조정을 전담한다. 참고로, 홀더(431)는 트레이(T)를 미는 푸쉬패널(431b)을 갖추며, 푸쉬패널(431b)은 트레이(T)의 좌,우측에 각각 형성된 오목홈(T1)으로 삽입하여 트레이(T)의 위치 조정을 안정하게 수행한다.As shown in Fig. 7, the tray T is positioned at the head of the cradle 410, and the second setter 430 is positioned at the second position by pushing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tray T. The holder 431 of the second setter 430 presses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tray T together to hold the left and right positions of the tray T and holds the tray T To adjust the subsequent position of the tray (T). The holder 431 is provided with a push panel 431b for pushing the tray T and the push panel 431b is inserted into the concave groove T1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tray T, ) Can be stably performed.

참고로, 홀더(431)를 트레이(T) 또는 2차 전지(B)의 규격에 맞추기 위해서 본 실시 예는 제2세터(430)의 자체 길이를 조절하는 제1포지셔닝(432)을 홀더(431)와 제2포지셔닝(433) 사이에는 구성한다. 따라서, 거치대(410)에 트레이(T)를 거치하기 전에는 트레이(T) 또는 2차 전지(B)의 규격을 확인하고, 상기 규격에 맞춰서 제1포지셔닝(432)을 동작시켜 제2세터(430)의 자체 길이를 조절한다.
In order to match the holder 431 to the tray T or the secondary battery B,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positioning 432 for adjusting the length of the second setter 430, ) And the second positioning 433. Therefore, the size of the tray T or the secondary battery B is checked before the tray T is mounted on the table 410, and the first positioning 432 is operated in accordance with the standard to set the second setter 430 ).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충전기의 2차 전지가 제어형 충전단과 연결하는 정면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8에서 제어형 충전단의 전원단자가 2차 전지의 전극단자와 접하는 부분인 'D'의 측면모습을 확대해 도시한 도면인 바, 이를 참고해 설명한다.FIG. 8 is a schematic front view of a secondary battery of a char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nected to a control-type charging terminal. FIG. 9 is a cross- D ", which is an enlarged view of the sid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4) 트레이 위치 조정4) Tray position adjustment

거치대(410) 상의 지정된 위치에 트레이(T)가 거치하면, 도 9에서 보인 바와 같이 지그(400)는 하강해서 트레이(410)에 안착한 2차 전지(B)의 전극단자(B1)가 걸림대(222a)의 홀에 삽입한다. 걸림대(222a)에 삽입한 전극단자(B1)는 전원단자(343)와 마주한다.9, the jig 400 is lowered and the electrode terminal B1 of the secondary battery B, which is placed on the tray 410, is lowered to the stopper (not shown) 222a. The electrode terminal B1 inserted into the latching portion 222a faces the power supply terminal 343.

참고로, 거치대(410)의 하강은 본체(200)의 크레인(230)에 의해 이루어지며, 본 실시 예에서 크레인(230)은 베이스(210)에 입설된 승강실린더(231)와, 승강실린더(231)의 유압에 따라 승,하강하며 거치대(410)에 고정되는 승강피스톤(232)으로 구성된다.The lowering of the cradle 410 is performed by a crane 230 of the main body 200. In this embodiment, the crane 230 includes a lifting cylinder 231 installed in the base 210, And an elevating piston 232 which is moved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hydraulic pressure of the elevating shaft 231 and is fixed to the elevating table 410.

본 실시 예에서 크레인(230)은 승강실린더(231)의 유압 조정에 의해 승강피스톤(232)을 승,하강하는 것으로 했으나, 이외에도 볼 스크류, 렉 피니언, 크랭크 등의 기술이 적용될 수도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rane 230 is configured to raise and lower the lifting piston 232 by adjusting the hydraulic pressure of the lifting cylinder 231, but other techniques such as a ball screw, a rack pinion, and a crank may be applied.

도 10은 도 8에 도시한 동작 이후 충전기의 평면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의 도 10에서 제어형 충전단의 전원단자가 2차 전지의 전극단자와 접하는 부분을 확대해 도시한 도면인 바, 이를 참고해 설명한다.FIG. 10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lan view of the charger after the operation shown in FIG. 8, and FIG. 11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where the power source terminal of the control type charging terminal contacts the electrode terminal of the secondary battery in FIG. The drawing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is figure.

5) 전극단자 위치 조정5) Adjustment of electrode terminal position

2차 전지(B)의 전극단자(B1)가 걸림대(222a)의 홀에 삽입하면, 전극단자(B1)는 걸림대(222a)의 내벽으로부터 다소 이격된 배치 상태를 보인다. 이는 전극단자(B1)가 걸림대(222a)의 홀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홀에 미처 삽입되지 못하고 걸림대(222a)에 걸리는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서, 전극단자(B1)의 삽입 위치 조준을 상기 홀의 중앙부분으로 맞추었기 때문이다.When the electrode terminal B1 of the secondary battery B is inserted into the hole of the latch 222a, the electrode terminal B1 is slightly spaced from the inner wall of the latch 222a. In order to prevent an accident that the electrode terminal B1 is inserted into the hole of the latch 222a and is caught in the latch 222a after the electrode terminal B1 is inserted into the hole of the latch 222a, .

그런데, 제어형 충전단(300)의 전원단자(343)와 2차 전지(B)의 전극단자(B1)가 통전을 위해 접촉하려면 서로 간의 긴밀하면서도 안정한 접촉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그러나 전극단자(B1)가 상기 홀의 중앙부분에 위치하면 전원단자(343)와 접촉할 때 서로 간의 긴밀한 접촉성과 안정한 접촉성을 보장할 수 없다.However, in order for the power source terminal 343 of the control-type charging terminal 300 and the electrode terminal B1 of the secondary battery B to contact each other for power supply, a tight and stable contact state must be maintained between them. However, when the electrode terminal B1 is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hole, it is impossible to ensure close contact with the power terminal 343 and stable contact.

따라서 전극단자(B1)가 걸림대(222a)의 내벽에 밀착하도록 2차 전지(B)의 위치를 조정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 예에서는 제2포지셔닝(433)을 동작시켜서 트레이(T)를 후미로 이동하고, 이를 통해서 트레이(T)에 안착한 2차 전지(B)를 후미로 이동시켜서 2차 전지(B)의 전극단자(B1)가 걸림대(222a)의 내벽에 밀착하게 한다.
Therefore, the position of the secondary battery B is adjusted so that the electrode terminal B1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latching portion 222a. For this,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positioning 433 is operated to move the tray T to the rear, and the secondary battery B, which is seated on the tray T, So that the electrode terminal B1 of the latch 222a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latch 222a.

도 12는 도 10에서 도시한 동작 이후 충전기의 측면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은 도 12에서 제어형 충전단의 전원단자가 2차 전지의 전극단자와 접하는 부분을 확대해 도시한 도면인 바, 이를 참고해 설명한다.FIG. 1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ide view of the charger after the operation shown in FIG. 10, and FIG. 13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portion where the power source terminal of the control type charge terminal contacts the electrode terminal of the secondary battery in FIG. In this section, we will refer to it.

6) 단자 접촉6) Terminal contact

걸림대(222a)의 홀 내 위치를 모두 조정하면, 제어형 충전단(300)을 안착한 시트(220)의 밑판(221)을 이동시켜서, 제어형 충전단(30)의 전원단자(343)가 걸림대(222a)의 홀 내에서 전극단자(B1)에 접촉하게 한다.The power supply terminal 343 of the control type charging terminal 30 is moved to the retention base 222a by moving the base plate 221 of the seat 220 on which the control type charging stage 300 is seated, In contact with the electrode terminal B1.

이를 위해서, 밑판(221)을 슬라이딩하는 스위치(223, 223')를 동작해서 베이스(210)에서 밑판(221)을 이동시키고, 이를 통해서 제어형 충전단(300)도 함께 이동시킨다. 물론, 제어형 충전단(300)과 일체로 된 전원단자(343)도 상기 홀 내에서 이동해서, 걸림대(222a)의 내벽에 밀착한 전극단자(B1)와 긴밀하게 접촉한다. 참고로, 본 실시 예에서 스위치(223, 223')는 한 쌍이 본체(200)의 베이스(210)에 각각 배치 고정되고, 선두로 돌출한 암(223a)을 매개로 시트(220)의 밑판(221)과 연결되어서, 암(223a)을 전후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제어형 충전단(300)의 전후 이동을 제어한다.To do this, the switches 223 and 223 'for sliding the base plate 221 are operated to move the base plate 221 in the base 210, thereby moving the controllable charging terminal 300 together therewith. Of course, the power supply terminal 343 integrated with the control-type charging terminal 300 also moves in the hole and contacts the electrode terminal B1 closely contacting the inner wall of the latching base 222a. In this embodiment, the pair of switches 223 and 223 'are arranged and fixed to the base 210 of the main body 200, respectively. The switches 223 and 223' are connected to the base 220 of the main body 200 via the arm 223a, 221 to move the arm 223a back and forth to control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control-type charging terminal 300. [

전원단자(343)와 전극단자(B1)가 긴밀하게 접촉하면, 2차 전지(B)에 대한 충전 또는 방전이 진행된다.When the power source terminal 343 and the electrode terminal B1 are in intimate contact with each other, charging or discharging of the secondary battery B proceeds.

이후, 2차 전지(B)에 대한 충전 또는 방전이 완료하면, 전술한 과정의 역순으로 충전기가 동작해서, 트레이(T)를 충전기로부터 분리한다.
Thereafter, when the charging or discharging of the secondary battery B is completed, the charger is operated in the reverse order of the above-described procedure to separate the tray T from the charger.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해 설명했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0; 전원장치 200; 본체 210; 베이스
211; 레일 220; 시트 221; 밑판
222; 걸림판 222a; 걸림대 223, 223'; 스위치
230; 크레인 231; 승강실린더 232; 승강피스톤
300; 제어형 충전단 310; 케이스 311; 컨덕터
320, 320'; 팬 330; 컨트롤러 331; 채널보드
332; 접속코드 333; 링커 340; 폴
341; 고정대 342; 슬롯 343; 전원단자
400; 지그 410; 거치대 411; 제1돌기
412; 제2돌기 413; 스토퍼 420; 제1세터
430; 제2세터 431; 홀더 432; 제1포지셔닝
433; 제2포지셔닝
100; Power supply 200; A body 210; Base
211; Rail 220; Sheet 221; Base plate
222; An engagement plate 222a; The latches 223 and 223 '; switch
230; A crane 231; Lifting cylinder 232; Lift piston
300; Controlled charge stage 310; Case 311; Conductor
320, 320 '; Fan 330; A controller 331; Channel board
332; Access code 333; Linker 340; pole
341; A fixing table 342; Slot 343; Power terminal
400; Jig 410; A cradle 411; The first projection
412; A second projection 413; Stopper 420; First setter
430; A second setter 431; Holder 432; First Positioning
433; Second Positioning

Claims (7)

케이스;
상기 케이스 상에 돌출한 다수의 전원단자를 갖춘 폴; 및
상기 케이스에 내설되며, 전원단자로의 전기 인가를 제어하는 컨트롤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 전지 충전용 무전선 제어형 충전단.
case;
A pole having a plurality of power terminals protruded on the case; And
A controller installed in the case and controlling the application of electricity to the power supply terminal;
And a charging unit for charging the secondary batter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지정된 전원단자로의 전기 인가를 각각 제어하는 다수의 채널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 전지 충전용 무전선 제어형 충전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ler further comprises a plurality of channel boards for respectively controlling application of electric power to designated power terminals.
전원장치를 내설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슬라이딩하게 안착하는 밑판과, 상기 밑판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베이스에 고정되고 제어형 충전단의 전원단자가 삽입하는 홀을 이룬 다수의 걸림대로 된 걸림판과, 지그에 안착된 2차 전지의 전극단자가 상기 홀에 삽탈하도록 지그를 승,하강시키는 크레인;을 구비한 본체,
상기 밑판에 안착하는 케이스; 상기 홀 별로 삽입하는 다수의 전원단자가 케이스에 돌출된 폴; 상기 케이스에 내설되며, 전원장치로부터 유입된 전기에 대한 전원단자로의 인가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한 제어형 충전단,
상기 전극단자가 홀에 삽입하도록 2차 전지를 탑재한 트레이를 거치하며, 승,하강을 위해 상기 크레인에 설치되는 거치대;를 구비한 지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기.
A base for inserting a power supply; A plurality of latching plates fixed to the base so as to be positioned above the bottom plate and having a hole for inserting a power terminal of the control type charging terminal; And a crane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jig so that the electrode terminal is inserted into and removed from the hole,
A case that seats on the bottom plate; A pole having a plurality of power terminals to be inserted into the holes protruding from the case; And a controller which is installed in the case and controls the application of electricity to the power terminal from the power source,
A jig provided with a tray mounted with a secondary battery so that the electrode terminal is inserted into the hole and installed in the crane for lifting and lowering,
≪ / RTI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홀로 삽입된 전극단자 및 전원단자가 서로 접하도록, 제어형 충전단의 이동을 위해 밑판을 슬라이딩시키는 스위치를 갖춘 시트;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기.
The method of claim 3,
A seat having a switch for sliding the bottom plate for movement of the control-type charging end so that the hole-inserted electrode terminal and the power terminal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 / RTI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는 거치대에 거치된 트레이를 미는 제1세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거치대는 제1세터에 밀린 트레이를 정지시키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기.
The method of claim 3,
The jig further comprises a first setter pushing a tray mounted on the cradle;
Wherein the holder further comprises a stopper for stopping the tray pushed by the first setter.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는
상기 거치대에 거치된 트레이를 양측에서 가압해 홀딩하는 홀더와, 2차 전지의 전극단자가 상기 걸림대의 홀 내벽에 접하도록 트레이를 이동시키기 위해서 홀더를 이동시키는 제2포지셔닝을 갖춘 제2세터;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기.
4. The apparatus of claim 3, wherein the jig
A second setter having a second holder for moving the holder so as to move the tray so that the electrode terminals of the secondary battery are in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hole of the holding table;
≪ / RTI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세터는
상기 홀더와 제2포지셔닝 간 거리를 조절해서 제2세터의 길이를 조절하는 제1포지셔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기.
7. The apparatus of claim 6, wherein the second setter
Further comprising a first positioning to adjust a length of the second setter by adjusting a distance between the holder and the second positioning.
KR1020150131807A 2015-09-17 2015-09-17 Wireless charging apparatus and charger charging a secondary cell KR10173185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1807A KR101731855B1 (en) 2015-09-17 2015-09-17 Wireless charging apparatus and charger charging a secondary cel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1807A KR101731855B1 (en) 2015-09-17 2015-09-17 Wireless charging apparatus and charger charging a secondary cel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3962A true KR20170033962A (en) 2017-03-28
KR101731855B1 KR101731855B1 (en) 2017-05-04

Family

ID=58495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1807A KR101731855B1 (en) 2015-09-17 2015-09-17 Wireless charging apparatus and charger charging a secondary cel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1855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3326B1 (en) * 2018-12-06 2019-03-28 (주)하나기술 Prismatic battery charge/discharge device
KR102183180B1 (en) * 2020-02-03 2020-11-25 주식회사 인에이블인터내셔널 Systemp for charging battery
CN113659729A (en) * 2021-08-06 2021-11-16 康威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Self-adaptive intelligent charging station for rail robot and charging metho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2825A (en) 2006-01-02 2007-07-05 (주)갑진 Charge and discharge system of a direct current regenerative form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28382B2 (en) 2001-08-08 2009-02-25 株式会社ジーエス・ユアサコーポレーション Charge / discharge device
KR200331886Y1 (en) * 2003-07-21 2003-11-01 주식회사 컨버테크 Battery charger and discharg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2825A (en) 2006-01-02 2007-07-05 (주)갑진 Charge and discharge system of a direct current regenerative form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3326B1 (en) * 2018-12-06 2019-03-28 (주)하나기술 Prismatic battery charge/discharge device
KR102183180B1 (en) * 2020-02-03 2020-11-25 주식회사 인에이블인터내셔널 Systemp for charging battery
CN113659729A (en) * 2021-08-06 2021-11-16 康威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Self-adaptive intelligent charging station for rail robot and charging method
CN113659729B (en) * 2021-08-06 2023-09-08 康威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Self-adaptive intelligent charging station and charging method for track robo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1855B1 (en) 2017-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1855B1 (en) Wireless charging apparatus and charger charging a secondary cell
JP3105032U (en) Battery charger
EP2557654A3 (en) Energy storage apparatus and energy storage system
CN1744372A (en) Charger
KR101806236B1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supplying electrode stack to be used for manufacturing a secondary battery
WO2012031458A1 (en) Parallel charging device for multiple power batteries
KR100987941B1 (en) A construction of contact pin in lithium polymer battery jig
JP5582173B2 (en) Charger
CN104578298A (en) Button battery electric discharging machine
JP6411318B2 (en) Charging current setting method, charging method, charging device and actuator
CN109449496A (en) Soft package power lithium ion battery forming and capacity dividing clamps movement mechanism
KR101730628B1 (en) Charger improving efficiency for charge
KR101761720B1 (en) Battery charging method being simplified action machanism
CN213517476U (en) Electricity core testing arrangement
KR101685746B1 (en) Charger-recharger for secondary battery
CN210335723U (en) Fixed tool for processing lead storage battery
CN210327105U (en) Multi-section timing type automatic charger
CN111370790A (en) Cylindrical lithium ion battery formation and capacity-dividing equipment
CN211741513U (en) Mechanism module with lifting device
JP2016194841A (en) Usb fan device with charge function
KR200347860Y1 (en) Multi-charger for cell phone
CN216720027U (en) Electricity core end plate loading attachment
KR102344206B1 (en) Power-integrated charging/discharging jig unit for formation and power-integrated charging/discharging jig system for formation including the same
TW201415692A (en) Alignment device of conductive probe for power cell
KR20150049475A (en) Electrode Tab Flattening Apparatus And Method For Electrode Tab Flatten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