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3017A - 지폐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지폐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3017A
KR20170033017A KR1020150130802A KR20150130802A KR20170033017A KR 20170033017 A KR20170033017 A KR 20170033017A KR 1020150130802 A KR1020150130802 A KR 1020150130802A KR 20150130802 A KR20150130802 A KR 20150130802A KR 20170033017 A KR20170033017 A KR 201700330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pace
banknotes
roller
st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0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5142B1 (ko
Inventor
김준영
김석원
장현수
Original Assignee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30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5142B1/ko
Publication of KR20170033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30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5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51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7D11/0021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00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 B65H1/02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adapted to support articles on e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00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 B65H1/28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compartmented to receive piles side-by-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2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contact with rotating friction members, e.g. rollers, brushes, or cylin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2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friction forces between articles and separator
    • B65H3/06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24Pile receivers multiple or compartmented, e.d. for alternate, programmed, or selective filling
    • G07D11/0042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2Depositing operations within AT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5/00Parts for hol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5/30Other features of supports for sheets
    • B65H2405/33Compartmented support
    • B65H2405/331Juxtaposed compartments
    • B65H2405/3312Juxtaposed compartments for storing articles vertically or inclined (>4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Inspection Of Paper Currency And Valuable Securitie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 Pile Receivers (AREA)
  • Separation, Sorting, Adjustment, Or Bending Of Sheets To Be Conveye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금과 출금시 정상권과 리젝트권으로 감별된 지폐를 구분하여 일시저장하기 위한 일시보류부를 입출금부의 내부공간에 마련함으로써, 장치를 소형화함과 아울러 지폐의 입출금 처리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지폐처리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폐의 투입과 수취가 이루어지는 제1공간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1플레이트; 상기 제1플레이트와의 사이에 상기 제1공간을 형성하는 제2플레이트; 상기 제2플레이트의 후방에 위치되어, 입금시 리젝트권으로 감별된 지폐가 수납되는 제2공간을 상기 제2플레이트와의 사이에 형성하는 제3플레이트; 상기 제3플레이트의 후방에 위치되어, 입금시 정상권으로 감별된 지폐가 수납되는 제3공간을 상기 제3플레이트와의 사이에 형성하는 제4플레이트; 상기 제1공간의 지폐를 낱장 분리하여 반송로로 이송하기 위한 분리부; 및 상기 제2공간과 제3공간으로 지폐를 스택하기 위한 스택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플레이트와 제3플레이트 및 제4플레이트는 구동기구에 위해 위치가 전후방향으로 가변되어 입출금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지폐처리장치{Paper money processing device}
본 발명은 지폐의 입출금을 행하는 지폐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입출금부의 내부에 일시보류부가 구비된 지폐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융자동화기기(ATM; Automated Teller Machine)에는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부와, 금융서비스 메뉴 및 거래상황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부와 함께 지폐의 입출금을 위한 지폐처리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지폐처리장치는 고객이 입출금을 위하여 지폐를 투입하거나 수취하기 위한 입출금부, 상기 입출금부를 통해 입출금되는 지폐가 이송되는 반송로, 상기 반송로 상에 구비되어 지폐의 종류 및 이상 유무를 판별하는 감별부, 입금된 지폐가 적재되고 출금 요청이 있을 경우 지폐를 반출하는 다수 개의 리사이클박스, 지폐의 일시저장을 위한 일시저장부, 이상권 지폐가 저장되는 리젝트박스 등을 포함한다.
상기 입출금부 내부에는 입금과 출금시 각각 지폐가 수납될 수 있도록 다수의 플레이트에 의해 입금공간과 출금공간으로 구획된 지폐수납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지폐수납공간의 하부에는 입금공간의 지폐를 낱장 분리하는 분리부와, 출금공간으로 지폐를 집적하기 위한 집적부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지폐처리장치와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공개특허 제10-2012-0007701호에는, 입출금부의 내부에 다수개의 칸막이판이 구비되어, 칸막이판 사이에 입금공간과 출금공간이 마련되고, 중간에 구비된 칸막이판의 이동에 의해 이들 공간의 크기를 필요에 따라 조정하여 입금 거래시에 리젝트권 지폐를 출금공간에 직접 반송하여 수납할 수 있어 장치 본체에 리젝트권 지폐의 수납부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도록 구성된 지폐 입출금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지폐처리장치는 입출금부와 일시저장부가 본체 내에 별도로 마련되어 각각 설치공간을 차지하게 되므로 장치를 소형화하는데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입금과 출금시 정상권과 리젝트권으로 감별된 지폐를 구분하여 일시저장하기 위한 일시보류부를 입출금부의 내부공간에 마련함으로써, 장치를 소형화함과 아울러 지폐의 입출금 처리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지폐처리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지폐처리장치는, 지폐의 투입과 수취가 이루어지는 제1공간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1플레이트; 상기 제1플레이트와의 사이에 상기 제1공간을 형성하는 제2플레이트; 상기 제2플레이트의 후방에 위치되어, 입금시 리젝트권으로 감별된 지폐가 수납되는 제2공간을 상기 제2플레이트와의 사이에 형성하는 제3플레이트; 상기 제3플레이트의 후방에 위치되어, 입금시 정상권으로 감별된 지폐가 수납되는 제3공간을 상기 제3플레이트와의 사이에 형성하는 제4플레이트; 상기 제1공간의 지폐를 낱장 분리하여 반송로로 이송하기 위한 분리부; 및 상기 제2공간과 제3공간으로 지폐를 스택하기 위한 스택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플레이트와 제3플레이트 및 제4플레이트는 구동기구에 위해 위치가 전후방향으로 가변되고, 상기 스택부는 대향하는 한 쌍의 롤러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3플레이트의 위치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상기 제2플레이트와 제3플레이트 및 제4플레이트를 함께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스택부를 통과한 지폐를 상기 제2공간 또는 제3공간 중 어느 하나의 공간에 수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공간에는 출금시 정상권으로 감별된 지폐가 수납될 수 있다.
상기 제3공간에는 출금시 리젝트권으로 감별된 지폐가 수납될 수 있다.
제1실시예에서, 상기 스택부는 상기 제2공간으로 지폐를 스택하기 위한 제1스택롤러와, 상기 제3공간으로 지폐를 스택하기 위한 제2스택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2실시예에서, 상기 스택부는 상기 제2공간 또는 제3공간으로 지폐를 스택하기 위한 스택롤러와, 상기 스택롤러와 대향 배치되어 지폐를 이송하는 피드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3실시예와 제4실시예에서, 상기 제3공간의 지폐를 낱장 분리하여 반송로로 이송하기 위한 제2분리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3실시예에서, 상기 스택부는, 상기 제2공간으로 지폐를 스택하기 위한 제1스택롤러와, 상기 제3공간으로 지폐를 스택하기 위한 제2스택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제4실시예에서, 상기 스택부는, 상기 제2공간 또는 제3공간으로 지폐를 스택하기 위한 스택롤러와, 상기 스택롤러와 대향 배치되어 지폐를 이송하는 피드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실시예와 제3실시예에서, 상기 제3플레이트는, 상기 제2공간으로 지폐를 스택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스택롤러와 제2스택롤러가 외접하는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제2스택롤러 측으로 이동되어 위치하고, 상기 제3공간으로 지폐를 스택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스택롤러와 제2스택롤러가 외접하는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제1스택롤러 측으로 이동되어 위치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2실시예와 제4실시예에서, 상기 제3플레이트는, 상기 제2공간으로 지폐를 스택하는 경우에는 상기 스택롤러와 피드롤러가 외접하는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피드롤러 측으로 이동되어 위치하고, 상기 제3공간으로 지폐를 스택하는 경우에는 상기 스택롤러와 피드롤러가 외접하는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스택롤러 측으로 이동되어 위치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에서, 상기 제2플레이트와 제3플레이트 및 제4플레이트는, 상기 제3공간에 수납된 정상권 지폐의 입금수납시 또는 리젝트권 지폐의 회수시에는, 상기 분리부 측으로 함께 이동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3실시예와 제4실시예에서, 상기 제2플레이트와 제3플레이트 및 제4플레이트는, 상기 제3공간에 수납된 정상권 지폐의 입금수납시 또는 리젝트권 지폐의 회수시에는, 상기 제2분리부 측으로 함께 이동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폐처리장치에 의하면,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 사이에 지폐의 투입과 수취가 이루어지는 제1공간과, 제2플레이트와 제3플레이트 사이에 입금 리젝트권 또는 출금 정상권이 일시 저장되는 제2공간, 및 제3플레이트와 제4플레이트 사이에 입금 정상권 또는 출금 리젝트권이 일시 저장되는 제3공간을 마련하고, 제1공간에 수납된 지폐의 분리 또는 제3공간에 수납된 지폐의 분리를 위한 분리부, 및 제2공간 또는 제3공간으로 지폐를 스택하기 위한 스택부를 구비하되, 제2 내지 제4플레이트는 구동기구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위치가 가변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지폐처리장치를 소형화함과 아울러 지폐의 입출금 처리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폐처리장치에 구비되는 입출금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폐처리장치에서 정상권의 입금계수시 동작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폐처리장치에서 리젝트권의 입금계수시 동작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폐처리장치에서 입금수납시 동작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폐처리장치에서 정상권의 출금시 동작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폐처리장치에서 리젝트권의 출금시 동작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폐처리장치에서 출금 리젝트권의 회수시 동작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지폐처리장치에 구비되는 입출금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지폐처리장치에 구비되는 입출금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지폐처리장치에서 정상권의 입금계수 시 동작 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지폐처리장치에서 리젝트권의 입금계수시 동작 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지폐처리장치에서 입금수납시 동작 상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지폐처리장치에서 정상권의 출금시 동작 상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지폐처리장치에서 리젝트권의 출금시 동작 상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지폐처리장치에서 출금 리젝트권의 회수시 동작 상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지폐처리장치에 구비되는 입출금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에서 방향의 기준은 도면의 우측을 ‘전방’으로, 도면의 좌측을 ‘후방’으로 정의하여 설명한다.
도 1과 도 2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폐처리장치(1)는, 입출금을 위하여 지폐를 투입하거나 수취하기 위한 입출금부(100), 상기 입출금부(100)를 통해 입출금되는 지폐가 반송되는 반송로(200), 상기 반송로(200) 상에 구비되어 지폐의 권종 및 이상 유부를 감별하는 감별부(300), 입금된 지폐가 적재되고 출금 요청이 있을 경우 지폐를 반출하는 다수개의 리사이클박스(400), 및 이상이 있는 것으로 감별된 리젝트권이 저장되는 리젝트박스(5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폐처리장치(1)의 입출금부(100)의 내부에는, 입금시 지폐를 투입하거나 출금시 지폐를 수취하기 위한 제1공간(S1)과, 입금시 리젝트권으로 감별된 지폐 또는 출금시 정상권으로 감별된 지폐가 수납되는 제2공간(S2), 및 입금시 정상권으로 감별된 지폐 또는 출금시 리젝트권으로 감별된 지폐가 수납되는 제3공간(S3)이 마련되고, 입출금부(100)의 전방 상부에는 상기 제1공간(S1)을 개폐하기 위한 셔터(101)가 구비된다.
상기 제1공간(S1)은 제1플레이트(110)와 제2플레이트(120)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제2공간(S2)은 제2플레이트(120)와 제3플레이트(130)의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제3공간(S3)은 제3플레이트(130)와 제4플레이트(140)의 사이에 마련된다.
상기 제1플레이트(110)는 상단부가 힌지(미도시됨)로 연결되고,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분리부(150)의 상측을 덮는 위치에 있도록 탄성지지되며, 제2플레이트(120)가 전방측으로 이동되어 제1플레이트(110)의 후면을 전방으로 밀게 되면, 힌지를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분리부(150)의 상부가 개방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2플레이트(120)와 제3플레이트(130) 및 제4플레이트(140)는, 각각의 구동기구(미도시됨)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위치가 가변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입출금부(100)의 전방 하부에는, 제1공간(S1)에 적재되는 지폐, 또는 제3공간(S3)에 적재되는 정상권 지폐의 입금수납 또는 출금 리젝트권의 회수시, 지폐를 반송로(200)로 분리하기 위한 분리부(150)가 구비된다.
상기 분리부(150)는, 지폐의 낱장 분리를 유도하는 픽업롤러(151)와, 상기 픽업롤러(151)에 의해 분리된 지폐에 이송력을 부여하는 피드롤러(152), 및 상기 피드롤러(152)와 대향 배치되어 지폐의 2매 분리를 방지하는 가이드롤러(153)를 포함한다.
상기 제2공간(S2)과 제3공간(S3)의 하부에는 대향하는 한 쌍의 롤러로 이루어져 상기 제2공간(S2)과 제3공간(S3)에 지폐를 선택적으로 스택하기 위한 스택부(160;160-1)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택부(160;160-1)는, 입금시 리젝트권으로 감별된 지폐 또는 출금시 정상권으로 감별된 지폐를 상기 제2공간(S2)으로 스택하기 위한 제1스택롤러(160a)와, 입금시 정상권으로 감별된 지폐 또는 출금시 리젝트권으로 감별된 지폐를 상기 제3공간(S3)으로 스택하기 위한 제2스택롤러(160b)를 포함한다.
상기 제1스택롤러(160a)와 제2스택롤러(160b)는 몸체의 외주면 일부 구간에 탄성시트가 부착되어, 상기 탄성시트에 의해 지폐의 하단부가 상측으로 타격되어 지폐의 스택을 유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폐처리장치(1)에서 지폐의 입금 및 출금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폐처리장치(1)에서의 입금과정을 설명한다.
이용자가 입금명령을 입력하면, 셔터(101)가 개방되고, 사용자가 제1공간(S1)에 지폐의 투입을 완료하면, 셔터(101)가 닫힌 후에 분리부(150)에 의한 지폐의 분리 및 입금계수 동작이 수행된다.
지폐의 입금계수시, 제2플레이트(120)는 제1플레이트(110) 측으로 이동되고, 제1플레이트(110)는 제1공간(S1)에 수납된 지폐에 의해 전방측으로 가압되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며, 제1공간(S1)에 수납된 지폐는 픽업롤러(151)에 의해 낱장분리되어 반송로(200)로 반송된다. 상기 반송로(200)로 반송된 지폐는 감별부(300)를 통과하면서 지폐의 권종과 이상 유무가 판별된다.
상기 감별부(300)에서의 감별 결과, 입금 지폐 중 정상권으로 감별된 지폐(입금 정상권)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스택롤러(160b)에 의해 제3공간(S3)으로 스택된다. 이 경우, 상기 제3플레이트(130)는 스택되는 지폐와의 간섭이 방지되도록 제1스택롤러(160a)와 제2스택롤러(160b)가 외접하는 위치를 기준으로 제1스택롤러(160a) 측으로 이동되어 위치하게 되며, 상기 제3공간(S3)으로 스택되는 입금 정상권은 제4플레이트(140)의 전면에 지지된 상태에서 일시 저장된다.
상기 감별부(300)에서의 감별 결과, 입금 지폐 중 리젝트권으로 감별된 지폐(입금 리젝트권)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스택롤러(160a)에 의해 제2공간(S2)으로 스택된다. 이 경우, 상기 제3플레이트(130)는 제1스택롤러(160a)와 제2스택롤러(160b)가 외접하는 위치를 기준으로 제2스택롤러(160b) 측으로 이동되어 위치하게 되며, 상기 제2공간(S2)으로 스택되는 입금 리젝트권은 제2플레이트(120)의 후면에 지지된 상태에서 일시 저장된다.
이와 같은 입금계수 과정이 완료되면, 입금수납 동작이 수행된다.
상기 입금 지폐 중 입금 리젝트권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제2공간(S2)이 셔터(101)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제2플레이트(120)와 제3플레이트(130) 및 제4플레이트(140)가 함께 전방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 후, 셔터(101)가 개방되고, 이용자가 입금 리젝트권을 수취하게 되면, 셔터(101)가 닫히고, 제3공간(S3)이 셔터(101)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제2플레이트(120)와 제3플레이트(130) 및 제4플레이트(140)는 전방측으로 더 이동하게 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공간(S3)에 적재된 입금 정상권은 분리부(150)에 의해 분리되어 반송로(200)를 따라 감별부(300)를 경유한 후에 리사이클박스(400)로 반송되어 적재된다.
이하,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폐처리장치(1)에서의 출금과정을 설명한다.
이용자가 출금명령을 입력하면, 리사이클박스(400)에 적재되어 있던 지폐는 반송로(200)로 반송되고, 반송로(200) 상에 구비된 감별부(300)에서 출금 지폐의 정상 유무를 감별하게 된다.
상기 감별부(300)에서의 감별 결과, 출금 지폐 중 정상권으로 감별된 지폐(출금 정상권)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스택롤러(160a)에 의해 제2공간(S2)으로 스택된다. 이 경우, 상기 제3플레이트(130)는 제1스택롤러(160a)와 제2스택롤러(160b)가 외접하는 위치를 기준으로 제2스택롤러(160b) 측으로 이동되어 위치하게 되며, 상기 제2공간(S2)으로 스택되는 출금 정상권은 제2플레이트(120)의 후면에 지지된 상태에서 일시 저장된다.
상기 감별부(300)에서의 감별 결과, 출금 지폐 중 리젝트권으로 감별된 지폐(출금 리젝트권)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스택롤러(160b)에 의해 제3공간(S3)으로 스택된다. 이 경우, 상기 제3플레이트(130)는 제1스택롤러(160a)와 제2스택롤러(160b)가 외접하는 위치를 기준으로 제1스택롤러(160a) 측으로 이동되어 위치하게 되며, 상기 제3공간(S3)으로 스택되는 출금 리젝트권은 제4플레이트(140)의 전면에 지지된 상태에서 일시 저장된다.
상기 제2공간(S2)과 제3공간(S3)에 출금 지폐의 일시 저장이 완료되면, 제2공간(S2)이 셔터(101)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제2플레이트(120)와 제3플레이트(130) 및 제4플레이트(140)가 함께 전방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 후, 셔터(101)가 개방되고, 이용자가 출금 정상권을 수취하게 되면, 셔터(101)가 닫히게 된다.
상기 제3공간(S3)에 출금 리젝트권이 있는 경우에는, 제3공간(S3)이 셔터(101)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제2플레이트(120)와 제3플레이트(130) 및 제4플레이트(140)는 전방측으로 더 이동하게 되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공간(S3)에 적재된 출금 리젝트권은 분리부(150)에 의해 분리되어 반송로(200)를 따라 감별부(300)를 경유한 후에 리젝트박스(500)로 반송되어 회수된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지폐처리장치(1)의 구성을 설명하되, 전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지폐처리장치(1)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스택부(160)의 구성을 변형한 점에서 차이가 있고, 기타의 구성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제2실시예에 따른 스택부(160;160-2)는, 상기 제2공간(S2) 또는 제3공간(S3)으로 지폐를 스택하기 위한 스택롤러(160a)와, 상기 스택롤러(160a)와 대향 배치되어 지폐를 이송하는 피드롤러(160c)로 구성된다.
제2실시예에서, 상기 제2공간(S2)으로 입금 리젝트권 또는 출금 정상권이 스택되는 경우, 상기 제3플레이트(130)는 스택되는 지폐와의 간섭이 방지되도록 스택롤러(160a)와 피드롤러(160c)가 외접하는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피드롤러(160c) 측으로 이동되어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제3공간(S3)으로 입금 정상권 또는 출금 리젝트권이 스택되는 경우, 상기 제3플레이트(130)는 스택롤러(160a)와 피드롤러(160c)가 외접하는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스택롤러(160a) 측으로 이동되어 위치한다.
또한, 전술한 제1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3공간(S3)에 수납된 입금 정상권의 입금수납시 또는 출금 리젝트권의 회수시, 상기 제2플레이트(120)와 제3플레이트(130) 및 제4플레이트(140)는 상기 분리부(150) 측으로 함께 이동하게 된다.
이하, 도 9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지폐처리장치(1)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되, 전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지폐처리장치(1)는, 제1실시예의 구성을 모두 포함하고, 지폐입출금부(100)의 후방 하부에는 제3공간(S3)에 적재된 지폐를 낱장 분리하여 반송로(200)로 이송하기 위한 제2분리부(170)가 추가로 구비된 점에서 차이가 있다. 상기 제2분리부(170)는, 제1분리부(150)와 마찬가지로 픽업롤러(171)와 피드롤러(172) 및 가이드롤러(173)로 구성될 수 있다.
제3실시예에서, 도 10에 도시된 입금 정상권의 입금계수 과정은 전술한 도 2에 도시된 제1실시예의 입금 정상권의 입금계수 과정과 동일하고, 도 11에 도시된 입금 리젝트권의 입금계수 과정은 전술한 도 3에 도시된 제1실시예의 입금 리젝트권의 입금계수 과정과 동일하다.
제3실시예에서, 입금 정상권의 입금수납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플레이트(120)와 제3플레이트(130) 및 제4플레이트(140)는 제2분리부(170) 측으로 함께 이동되고, 제3공간(S3)에 수납된 입금 정상권은 제2분리부(170)에 의해 분리되어 반송로(200)를 따라 반송되어 리사이클박스(400)에 적재된다.
제3실시예에서, 출금시, 리사이클박스(400)로부터 반출된 지폐가 감별부(300)에서 정상권으로 감별된 경우에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스택롤러(160a)에 의해 제2공간(S2)으로 스택되고, 감별부(300)에서 리젝트권으로 감별된 경우에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스택롤러(160b)에 의해 제3공간(S2)으로 스택된다.
제3실시예에서, 출금 리젝트권의 회수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플레이트(120)와 제3플레이트(130) 및 제4플레이트(140)는 제2분리부(170) 측으로 함께 이동되고, 제3공간(S3)에 수납된 출금 리젝트권은 제2분리부(170)에 의해 분리되어 반송로(200)를 따라 반송되어 리젝트박스(500)에 회수된다.
이하,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지폐처리장치(1)의 구성을 설명하되, 전술한 제3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6을 참조하면, 제4실시예에 따른 지폐처리장치(1)는, 제3실시예와 비교하여 스택부(160)의 구성을 변형한 점에 차이가 있고, 기타의 구성은 제3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택부(160;160-2)는, 상기 제2공간(S2) 또는 제3공간(S3)으로 지폐를 스택하기 위한 스택롤러(160a)와, 상기 스택롤러(160a)와 대향 배치되어 지폐를 이송하는 피드롤러(160c)로 구성되며, 상기 스택부(160;160-2)의 구성 및 작용은 전술한 제2실시예와 동일하게 적용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입출금부(100)의 내부에 입금 또는 출금 지폐의 일시저장을 위한 일시보류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제2공간(S2)과 제3공간(S3)을 마련함으로써, 지폐처리장치(1)의 소형화가 가능해지고, 정상권과 리젝트권의 입출금 단계에 대응하여 제2내지 제4플레이트(120,130,140)의 위치를 가변시킴으로써 지폐의 입출금 처리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 : 지폐처리장치 100 : 입출금부
101 : 셔터 110 : 제1플레이트
120 : 제2플레이트 130 : 제3플레이트
140 : 제4플레이트 150 : 제1분리부(분리부)
151 : 픽업롤러 152 : 피드롤러
153 : 가이드롤러 160,160-1,160-2 : 스택부
160a : 제1스택롤러(스택롤러) 160b : 제2스택롤러
160c : 피드롤러 170 : 제2분리부
171 : 픽업롤러 172 : 피드롤러
173 : 가이드롤러 S1 : 제1공간
S2 : 제2공간 S3 : 제3공간
200 : 반송로 300 : 감별부
400 : 리사이클박스 500 : 리젝트박스

Claims (12)

  1. 지폐의 투입과 수취가 이루어지는 제1공간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1플레이트;
    상기 제1플레이트와의 사이에 상기 제1공간을 형성하는 제2플레이트;
    상기 제2플레이트의 후방에 위치되어, 입금시 리젝트권으로 감별된 지폐가 수납되는 제2공간을 상기 제2플레이트와의 사이에 형성하는 제3플레이트;
    상기 제3플레이트의 후방에 위치되어, 입금시 정상권으로 감별된 지폐가 수납되는 제3공간을 상기 제3플레이트와의 사이에 형성하는 제4플레이트;
    상기 제1공간의 지폐를 낱장 분리하여 반송로로 이송하기 위한 분리부; 및
    상기 제2공간과 제3공간으로 지폐를 스택하기 위한 스택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플레이트와 제3플레이트 및 제4플레이트는 구동기구에 위해 위치가 전후방향으로 가변되고,
    상기 스택부는 대향하는 한 쌍의 롤러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3플레이트의 위치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상기 제2플레이트와 제3플레이트 및 제4플레이트를 함께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스택부를 통과한 지폐를 상기 제2공간 또는 제3공간 중 어느 하나의 공간에 수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공간에는 출금시 정상권으로 감별된 지폐가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공간에는 출금시 리젝트권으로 감별된 지폐가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택부는, 상기 제2공간으로 지폐를 스택하기 위한 제1스택롤러와, 상기 제3공간으로 지폐를 스택하기 위한 제2스택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택부는, 상기 제2공간 또는 제3공간으로 지폐를 스택하기 위한 스택롤러와, 상기 스택롤러와 대향 배치되어 지폐를 이송하는 피드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공간의 지폐를 낱장 분리하여 반송로로 이송하기 위한 제2분리부를 더 포함하는 지폐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택부는, 상기 제2공간으로 지폐를 스택하기 위한 제1스택롤러와, 상기 제3공간으로 지폐를 스택하기 위한 제2스택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택부는, 상기 제2공간 또는 제3공간으로 지폐를 스택하기 위한 스택롤러와, 상기 스택롤러와 대향 배치되어 지폐를 이송하는 피드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장치.
  9. 제4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플레이트는,
    상기 제2공간으로 지폐를 스택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스택롤러와 제2스택롤러가 외접하는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제2스택롤러 측으로 이동되어 위치하고,
    상기 제3공간으로 지폐를 스택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스택롤러와 제2스택롤러가 외접하는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제1스택롤러 측으로 이동되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장치.
  10. 제5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플레이트는,
    상기 제2공간으로 지폐를 스택하는 경우에는 상기 스택롤러와 피드롤러가 외접하는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피드롤러 측으로 이동되어 위치하고,
    상기 제3공간으로 지폐를 스택하는 경우에는 상기 스택롤러와 피드롤러가 외접하는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스택롤러 측으로 이동되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플레이트와 제3플레이트 및 제4플레이트는,
    상기 제3공간에 수납된 정상권 지폐의 입금수납시 또는 리젝트권 지폐의 회수시에는, 상기 분리부 측으로 함께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장치.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플레이트와 제3플레이트 및 제4플레이트는,
    상기 제3공간에 수납된 정상권 지폐의 입금수납시 또는 리젝트권 지폐의 회수시에는, 상기 제2분리부 측으로 함께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장치.
KR1020150130802A 2015-09-16 2015-09-16 지폐처리장치 KR1024251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0802A KR102425142B1 (ko) 2015-09-16 2015-09-16 지폐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0802A KR102425142B1 (ko) 2015-09-16 2015-09-16 지폐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3017A true KR20170033017A (ko) 2017-03-24
KR102425142B1 KR102425142B1 (ko) 2022-07-25

Family

ID=58500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0802A KR102425142B1 (ko) 2015-09-16 2015-09-16 지폐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514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52912A (ja) * 2004-06-11 2005-12-22 Hitachi Omron Terminal Solutions Corp 紙幣処理装置
KR20120007701A (ko) * 2010-07-15 2012-01-25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지폐 입출금 장치 및 지폐 입출금 방법
KR20130115527A (ko) * 2012-04-12 2013-10-22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지폐처리장치
KR101480606B1 (ko) * 2013-04-30 2015-01-08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매체 처리 장치 및 금융기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52912A (ja) * 2004-06-11 2005-12-22 Hitachi Omron Terminal Solutions Corp 紙幣処理装置
KR20120007701A (ko) * 2010-07-15 2012-01-25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지폐 입출금 장치 및 지폐 입출금 방법
KR20130115527A (ko) * 2012-04-12 2013-10-22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지폐처리장치
KR101480606B1 (ko) * 2013-04-30 2015-01-08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매체 처리 장치 및 금융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5142B1 (ko) 2022-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21585B2 (ja) 紙幣処理装置
US20160163144A1 (en) Financial device
KR101456367B1 (ko) 매체 처리 장치
KR101310499B1 (ko) 지폐처리장치
JP2018116339A (ja) 紙幣処理装置
KR101965857B1 (ko) 매체 분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한 금융기기
KR101345957B1 (ko) 지폐처리장치
KR102508447B1 (ko) 지폐처리장치
KR20200037685A (ko) 지폐 처리 장치
JP5277757B2 (ja) 紙幣処理装置
JP6330109B2 (ja) 紙葉類取扱装置及び紙葉類取扱方法
KR101775779B1 (ko) 매체 처리 장치 및 금융 기기
KR101631791B1 (ko) 금융 기기
KR20170033017A (ko) 지폐처리장치
KR20170033018A (ko) 지폐처리장치
KR102625029B1 (ko) 지류 입금 장치
KR101672597B1 (ko) 매체 처리 장치 및 금융 기기
JP4320281B2 (ja) 紙幣処理装置
KR101217900B1 (ko) 지폐입출금장치의 전판
KR20140116321A (ko) 매체 처리 장치 및 매체 처리 방법
KR101764971B1 (ko) 매체 보관기능을 구비한 감별계수장치
KR20160077777A (ko) 지폐입출금장치
JP2017107281A (ja) 紙葉類処理装置、紙葉類処理システムおよび紙葉類処理方法
JP6590702B2 (ja) 紙葉類処理装置、紙葉類処理システムおよび紙葉類処理方法
KR101761478B1 (ko) 매체 처리 장치 및 금융 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