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2735A - 휴대단말기 탈착형 복합 유해가스 측정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 탈착형 복합 유해가스 측정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2735A
KR20170032735A KR1020150130490A KR20150130490A KR20170032735A KR 20170032735 A KR20170032735 A KR 20170032735A KR 1020150130490 A KR1020150130490 A KR 1020150130490A KR 20150130490 A KR20150130490 A KR 20150130490A KR 20170032735 A KR20170032735 A KR 201700327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rminal
gas
unit
measuring device
noxious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0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헌
윤득중
Original Assignee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304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32735A/ko
Publication of KR20170032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27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5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 G01N21/31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 G01N21/35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using infrared light
    • G01N21/3504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using infrared light for analysing gases, e.g. multi-gas analysi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5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 G01N21/31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 G01N21/35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using infrared light
    • G01N21/359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using infrared light using near infrared ligh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 G01N27/1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of an electrically-heated body in dependence upon change of temperatu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403Cells and electrode assemblies
    • G01N27/406Cells and probes with solid electrolytes
    • G01N27/407Cells and probes with solid electrolytes for investigating or analysing ga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 G01N33/0027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 G01N33/0036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specially adapted to detect a particular compon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 G01N33/0027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 G01N33/0036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specially adapted to detect a particular component
    • G01N33/004CO or CO2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 G01N33/0027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 G01N33/0036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specially adapted to detect a particular component
    • G01N33/0044Sulphides, e.g. H2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 G01N33/006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measuring method or the display, e.g. intermittent measurement or digital display
    • G01N33/0063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measuring method or the display, e.g. intermittent measurement or digital display using a threshold to release an alarm or displaying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mmu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업현장 및 재난현장의 밀폐공간에서 복합적인 유해가스와 생존에 필요한 산소를 일반 휴대 단말기기들과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여 휴대단말기기와 연동하여 주요 측정 데이터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 탈착형 복합 유해가스 측정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가 도킹되는 휴대단말기 도크(dock);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거나, 데이터를 송수신하거나, 프로그램을 전송받기 위한 제1USB접속부(Outer USB); 휴대단말기의 USB 접속부와 접속하는 제2USB 접속부(Dock USB); 복합적인 유해가스와 생존에 필요한 산소 부족시 경고하는 경고램프부; 비분산 적외선(NDIR) 방식으로 복수의 유해가스를 검출하는 유해가스 검출기와, 유해가스 검출기에서의 가스 검출을 위한 적외선 광원을 제공하는 적외선 광원(IR Source)과, 적외선 광원의 광을 유해가스 검출기로 제공하는 광도파로가 형성된 광도파관; 전기화학방식으로 가스를 검출하는 가스 검출센서; 및 유해가스 검출기와, 가스검출센서의 유해가스나 산소가스 측정 데이터를 분석하여 제2USB 접속부를 통해 휴대단말기로 전송하고, 위험상황 발생 시 경고램프부를 통해 위험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휴대단말기 탈착형 복합 유해가스 측정 장치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탈착형 복합 유해가스 측정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 탈착형 복합 유해가스 측정 장치 및 방법{Detachable apparatus from mobile terminals and method for measurements of multi noxious gases}
본 발명은 복합유해가스 측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산업현장 및 재난현장의 밀폐공간에서 복합적인 유해가스와 생존에 필요한 산소를 일반 휴대 단말기기들과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여 휴대단말기기와 연동하여 주요 측정 데이터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 탈착형 복합 유해가스 측정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근로기준법과 함께 산업재해방지를 위한 유해ㆍ위험방지기준의 확립, 책임체제의 명확화, 자율적 활동의 촉진을 조치하는 등 그 방지에 관한 종합적, 계획적인 대책을 추진하는데 있어서 직장에서 근로자의 안전과 건강을 확보하고 아울러 쾌적한 작업환경의 형성을 촉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산업안전보건법이 1981년 12월 31일에 법률로 제정되었으며 이를 통하여 근로자의 안전을 보장하도록 하고 있다.
특히, 밀폐공간작업으로 인한 건강장해의 예방을 위한 규칙들을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619조에서 자세하게 제시하고 있다. 여기서 밀폐공간 작업이란 근로자가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공간으로 환기가 불충분한 상태에서 산소결핍, 유해가스로 인한 긴장장해와 인화성물질에 의한 화재 및 폭발 등의 위험이 있는 장소에서의 작업을 말한다.
따라서 사업주는 근로자가 밀폐공간에서 작업을 하는 경우에 작업을 시작할 때마다 사전에 산소 및 유해가스농도 측정에 관한 사항을 작업근로자에게 알리도록 되어 있으며 사업주는 근로자가 밀폐공간에서 작업을 하는 경우에 미리 산소농도 등을 측정하게 하고, 적정공기가 유지되고 있는지를 평가하게 하여야 하며 산소 및 가스농도 등의 측정자를 지정하도록 되어있다.
여기서 밀폐공간이란 산소결핍, 유해가스로 인한 화재·폭발 등의 위험이 있는 장소이고, 유해가스란 밀폐공간에서 탄산가스·황화수소 등의 유해물질이 가스 상태로 공기 중에 발생하는 것을 말한다.
이때 산소농도의 범위가 18퍼센트 이상 23.5퍼센트 미만, 탄산가스의 농도가 1.5퍼센트 미만, 황화수소의 농도가 10피피엠 미만인 수준의 공기인 경우 적정하며 공기 중의 산소농도가 18퍼센트 미만인 상태가 되면 산소결핍이 발생한다.
복합 유해가스 측정기는 산업현장에서의 산소 결핍, 유독성 가스, 가연성 가스로 인한 재해로부터 인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장치이며 특히 밀폐 공간 작업 시 각종 유해가스로 인한 질식 사망 사고는 매년 발생하고 있어서 이러한 위험 공간에서의 유해가스를 측정하기 위한 휴대용 측정 단말기는 반드시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매년 발생하는 밀폐공간 질식사고의 발생건수는 [표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증가하고 있으나, 복합가스 측정기 가격이 매우 고가이고 단일가스 측정기만으로는 현장에서의 다양한 유해가스에 대응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복합가스 측정기의 사용은 필수적이다.
Figure pat00001
질식을 일으키는 유해물질로는 일산화탄소(CO), 황화수소(H2S), 염화메틸렌(CH2CI2), 시안화물(KCN) 등이 대표적이며 특히 이들 유해가스는 산소농도가 정상적일 때에도 우리 몸에 노출될 경우 질식작용을 일으키기 때문에 이들 가스가 발생할 우려가 있는 곳에서는 산소농도뿐만 아니라 발생 가능한 유해가스 농도의 확인이 필요하며, 따라서 복합유해가스를 측정할 수 있는 장비는 밀폐공간 작업 시 필수적이다.
이와 같이 밀폐공간 작업에서의 복합 유해가스를 측정할 수 있는 장비는 필수적이지만 현재 국내의 상황은 고가 수입 제품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며, 경제적인 여건상 이러한 필수 장비를 현장에서 사용하지 못하고 있는 영세 사업자들이 대부분이다.
휴대형 유해가스 측정기 부문에서 글로벌기업인 RAE System사의 제품이 세계 120개국 이상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여러 회사에서 수입하여 공급하고 있다.
도 1 및 도 2에서는 RAE System사의 휴대형 유해가스 측정을 위한 측정기 사진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격이 고가(단일 센서의 경우에도 40-50만원)여서 경제적인 여건상 영세 사업자들에게는 부담이 되며, 고장이 발생한 경우 A/S에 많은 시간이 걸리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와 같은 휴대형 유해가스 측정기에서는 구난요청 전송 기능이 없어 가스사고가 급작스럽게 진행되는 경우 대처 방안이 없다는 문제도 있다.
따라서, 경제적이고 신뢰성 있으며, 사고 발생 시 즉각적인 대처가 가능한 휴대형 유해가스 측정기의 개발이 매우 시급하다고 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2-0072913호(발명의 명칭 : 스마트폰용 탈부착 복합 가스센서 모듈)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단점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산업현장 및 재난현장의 밀폐공간에서 복합적인 유해가스와 생존에 필요한 산소를 일반 휴대 단말기기들과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여 휴대단말기기와 연동하여 주요 측정 데이터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 탈착형 복합 유해가스 측정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휴대단말기 탈착형 복합 유해가스 측정 장치는 복합 유해가스를 측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휴대단말기가 도킹되는 휴대단말기 도크(dock);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거나, 데이터를 송수신하거나, 프로그램을 전송받기 위한 제1USB접속부(Outer USB); 상기 휴대단말기의 USB 접속부와 접속하는 제2USB 접속부(Dock USB); 복합적인 유해가스와 생존에 필요한 산소 부족시 경고하는 경고램프부; 비분산 적외선(Non-Dispersive Infrared, NDIR)방식의 유해가스 검출기(Thermopile Detector)와, 상기 유해가스 검출기(Thermopile Detector)에서의 가스 검출을 위한 적외선 광원을 제공하는 적외선 광원(IR Source)과, 상기 적외선 광원의 광을 상기 유해가스 검출기로 제공하는 광도파로가 형성된 광도파관; 전기화학방식으로 가스를 검출하는 가스 검출센서; 및 유해가스 검출기와, 상기 가스검출센서의 유해가스나 산소가스 측정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제2USB 접속부를 통해 상기 휴대단말기로 전송하고, 위험상황 발생 시 상기 경고램프부를 통해 위험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휴대단말기 탈착형 복합 유해가스 측정 장치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유해가스 검출기는 비분산 적외선 방식으로 이산화탄소, 일산화탄소 및 탄화수소(HS)를 측정하고, 상기 가스검출센서는 황화수소(H2S)를 검출하는 제1가스 검출센서와 생존에 필요한 산소를 검출하는 제2가스 검출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휴대단말기 탈착형 복합 유해가스 측정 장치는 유해가스 검출기에서 검출된 유해가스와 상기 가스 검출센서에서 검출된 가스 성분의 검출이 용이하도록 이득을 각각 조절하는 이득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휴대단말기 탈착형 복합 유해가스 측정 장치는, 휴대단말기 탈착형 복합 유해가스 측정 장치에서 필요로 하는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와, 배터리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경고 신호 발생 시 상기 경고 램프부로 공급하고, 유해가스 측정 시 상기 적외선 광원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전원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휴대단말기는, 휴대단말기 탈착형 복합 유해가스 측정 장치로부터 전송된 가스 측정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휴대단말기 탈착형 복합 유해가스 측정 장치와 접속하기 위한 USB접속부와, 휴대단말기가 외부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와, 휴대단말기 동작이나 휴대단말기 탈착형 복합 유해가스 측정 장치로부터 전송된 데이터 및 구동에 필요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메모리부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면 상기 휴대단말기 탈착형 복합 유해가스 측정 장치로부터 전송된 각종 분석 데이터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앱(app) 구동부와, 휴대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수신하는 GPS 수신부와, 휴대 단말기의 모션을 센싱하는 모션감지 센싱부와, 휴대단말기로 수신된 음성 또는 각종 경고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음성출력부와, 앱 구동부가 구동되면 상기 휴대단말기 탈착형 복합 유해가스 측정 장치로부터 전송된 각종 가스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모션감지 센싱부를 통해 기 설정된 모션 이상이 상기 앱 구동부로부터 이상으로 감지되면 상기 음성출력부를 통해 이상을 출력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GPS 수신부를 통해 위치를 정보를 포함하여 미리 설정된 외부로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휴대단말기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유해가스 검출기는 NDIR방식(CO2,CO,HC)과 전기화학식(O2, H2s) 측정을 동시에 구현하는 하이브리드(Hybrid) 방식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광도파관은, 광이 유입되는 입구와, 상기 입구를 통해 유입된 광이 이동하는 도파공간과 상기 도파공간을 통해 전파된 광이 배출되는 출구를 가지는 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몸체의 도파공간에는, 입구로 유입된 광을 집광하는 각도로 반사하는 집광반사면과, 상기 집광반사면에서 반사되어 전파되는 광을 유입받아 확산하는 각도로 상기 집광반사면 측 방향을 반사하도록 된 확산반사면이 구비되되; 상기 집광반사면과 상기 확산반사면을 통해 반사되어 전파되는 광은, 점차 상기 출구 측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전파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집광반사면은 상기 입구와 마주보는 위치에 면이 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출구는 상기 집광반사면과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확산반사면은 상기 입구와 출구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집광반사면은 오목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확산반사면은 블록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휴대단말기 탈착형 복합 유해가스 측정 방법은 휴대단말기에 복합유해가스 측정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휴대단말기를 휴대단말기 도크가 형성된 휴대단말기 탈착형 복합 유해가스 측정 장치에 부착하고, 상기 휴대단말기의 USB 접속부와 상기 휴대단말기 탈착형 복합 유해가스 측정 장치의 USB 접속부가 접속되도록 상기 휴대단말기가 휴대단말기 탈착형 복합 유해가스 측정 장치와 도킹하는 단계; 휴대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애플리케이션 구동부가 구동되면, 상기 휴대단말기 탈착형 복합 유해가스 측정 장치는 유해가스 검출기와 가스 검출센서에서 측정한 가스 데이터를 USB 접속부를 통해 상기 휴대단말기의 USB 접속부로 전송하는 단계; 휴대단말기의 상기 애플리케이션 구동부는 전송된 데이터를 상기 휴대 단말기의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 휴대단말기 탈착형 복합 유해가스 측정 장치와 상기 휴대단말기의 상기 애플리케이션 구동부는 이벤트가 발생하였는가를 판단하여 모션이상 및 가스 이상 시에는 모션 이상을 상기 휴대단말기의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출력부와 상기 휴대단말기 탈착형 복합 유해가스 측정 장치의 경고 램프부를 통해 출력하고, 설정된 시간이라면 상기 휴대단말기의 상기 애플리케이션 구동부는 현재까지의 측정 데이터를 상기 휴대단말기의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휴대단말기는, 스마트폰을 이용할 수 있고,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휴대단말기 탈착형 복합 유해가스 측정 장치로부터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거나, 상기 휴대단말기 탈착형 복합 유해가스 측정 장치 제조사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거나 온라인 마켓을 통해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는 것 중 하나를 통해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모션 이상은 휴대단말기 탈착형 복합 유해가스 측정 장치의 모션 이상으로 상기 휴대단말기의 자이로 센서를 통해 상기 휴대단말기 탈착형 복합 유해가스 측정 장치에 부착된 상기 휴대단말기의 움직임이 없거나, 상기 휴대단말기가 뒤집어 지거나, 상기 휴대단말기가 좌우 양옆으로 미리 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기운 경우 중 하나 이상이고, 가스 이상은 상기 휴대단말기 탈착형 복합 유해가스 측정 장치에서 측정한 가스의 이상이 있는 경우로 유해가스가 설정된 기준치 이상으로 높거나, 산소가스가 부족한 경우 중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한편 음성출력부와 상기 경고 램프부를 통해 모션이나 가스 이상을 출력함과 함께 상기 휴대단말기의 통신부를 통해 설정된 외부의 관리자 휴대단말기로 가스 이상 또는 모션 이상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스마트 App. 기능을 이용한 체계적인 사고예방 및 사고 시 구조체계 구축이 가능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인명 및 재산보호에 효과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
둘째, 무선통신 기능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 구난요청 전송이 가능하다.
셋째, 실시간 데이터 저장이 가능하다.
넷째, GPS를 이용한 위치추적이 가능하다.
다섯째, 모션감지센서를 이용한 작업자 위험을 감지할 수 있다.
여섯째, 경제적인 가격으로 각종 산업현장에 보급할 수 있다.
일곱째, 수입품 대비 절반 가격에 보급이 가능하므로 수입대체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기존제품과의 차별성으로 해외시장 공략이 가능하다.
여덟째, 각종 유해환경 산업현장 (밀폐공간 작업, 갱도 작업, 화재현장, 유독가스 취급현장 등) 에서의 사고예방을 위한 휴대용 측정단말기로 활용하여 실시간 작업환경 데이터를 관리감독자에게 전송할 수 있는 기능으로 유사시 즉각적인 대응이 가능하다.
도 1 내지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RAE System사의 휴대형 유해가스 측정을 위한 측정기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 탈착형 복합 유해가스 측정 장치의 외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 탈착형 복합 유해가스 측정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 탈착형 복합 유해가스 측정장치에서 휴대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광도파관을 보인 개략 단면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도파관의 사용상태를 보인 개략 단면 예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12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도파관에서의 광의 도파경로를 개략적으로 보인 예시도이다.
도 13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 탈착형 복합 유해가스 측정 장치의 휴대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 구현시 화면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 탈착형 복합 유해가스 측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는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으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 탈착형 복합 유해가스 측정 장치의 외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 탈착형 복합 유해가스 측정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 탈착형 복합 유해가스 측정장치에서 휴대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 탈착형 복합 유해가스 측정 장치(100)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휴대단말기 도크(dock)(110)와, 제1USB접속부(Outer USB)(120), 제2USB 접속부(Dock USB)(130), 경고램프부(140), 유해가스 검출기(Thermopile Detector)(151), 적외선 광원(IR Source)(152), 광도파관(150), 가스 검출센서(161, 162 : 160), 이득제어부(171, 172 :170), 배터리부(180), 전원제어부(190) 및 휴대단말기 탈착형 복합 유해가스 측정 장치 제어부(195)로 구성된다.
그리고 휴대단말기(200)는 표시부(210), USB접속부(220), 통신부(230), 메모리부(240), 애플리케이션(앱 : app) 구동부(250), GPS 수신부(260), 모션감지 센싱부(270), 음성출력부(280), 전원부(290) 및 휴대단말기 제어부(295)로 구성된다.
여기서 휴대단말기 도크(dock)(110)는 휴대단말기 탈착형 복합 유해가스 측정장치(100)와 휴대단말기(200)가 도킹하기 위한 구성이다.
제1USB접속부(Outer USB)(120)는 휴대단말기 탈착형 복합 유해가스 측정장치(100)가 외부의 전원을 공급받거나, 데이터를 송수신하거나, 프로그램을 전송받기 위한 구성이다.
제2USB 접속부(Dock USB)(130)는 휴대단말기(200)의 USB 접속부(220)가 접속한다.
경고램프부(140)는 복합적인 유해가스와 생존에 필요한 산소 부족시 경고하기 위한 구성이다.
유해가스 검출기(Thermopile Detector)(151)는 비분산 적외선(Non-Dispersive Infrared, NDIR)방식으로 복수의 유해가스를 검출하는 검출기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 유해가스 검출기(151)는 이산화탄소, 일산화탄소 및 탄화수소(HS)를 측정한다.
적외선 광원(IR Source)(152)은 유해가스 검출기(Thermopile Detector)(151)에서의 가스 검출을 위한 적외선 광원을 제공한다.
광도파관(150)은 적외선 광원(152)의 광을 유해가스 검출기(151)로 제공하기 위한 광도파로가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적외선(Infra Red Radiation)은 가시광선이나 자외선에 비해 강한 열을 발산하기 때문에 열선이라고 한다.
이러한, 적외선이 이렇게 강한 열 효과를 가지는 것은 적외선의 주파수가 물질을 구성하고 있는 분자의 고유진동수와 거의 같은 정도의 범위에 있기 때문이며, 이는 물질에 적외선이 부딪치면 전자기적 공진 현상을 일으켜 광파의 에너지가 효과적으로 흡수되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액체나 기체 상태의 물질은 각각의 물질마다 특유한 파장의 적외선을 강하게 흡수하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이 흡수 스펙트럼을 조사하여 물질의 화학적 조성, 반응과정 또는 분자구조를 정밀하게 추정하는 수단으로 사용하는데, 이것을 적외선 분광분석이라 한다.
이와 관련된 비분산 적외선(Non-Dispersive Infrared, NDIR) 가스 센서는 이와 같은 적외선의 특성을 이용하여 시료 중 특정 가스의 농도를 분석하는 정량분석 기기이다.
이와 같은 NDIR은, 시험 가스를 통과하도록 적외선을 방사하는 적외선 광원(Infared source)과, 시험 가스를 통과한 적외선 중 특정 파장 대의 것만을 선택적으로 감지하여 광량을 측정하기 위한 적외선 센서(IR Detector)와, 광원으로부터 방사된 적외선 광이 기기 외부로 누출되거나 산란 또는 분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밀폐된 반사경을 광 공동(OpticalCavity)으로 구성된다.
특히, 광 공동은 광원에서 방사된 적외선이 광센서에 도달하기까지 특정 가스와 충돌하여 적외선이 흡수되는 광 통로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적외선이 시험 가스를 통과하여 이동하는 광 경로가 길수록 목적하는 가스에 의한 흡수량이 커지고 그에 따라 광센서가 측정하는 측정치의 오차를 줄여 기기의 정밀도를 높이게 된다.
가스 검출센서(160)는 전기화학방식으로 가스를 검출하는데 이때, 유해가스 중 하나인 황화수소(H2S)를 검출하는 제1가스 검출센서(161)와 생존에 필요한 산소를 검출하는 제2가스 검출센서(162)로 구성된다.
참고로, 질식을 일으키는 유해물질로는 일산화탄소(CO), 황화수소(H2S), 염화메틸렌(CH2CI2), 시안화물(KCN) 등이 대표적이며 특히 이들 유해가스는 산소농도가 정상적일 때에도 우리 몸에 노출될 경우 질식작용을 일으키기 때문에 이들 가스가 발생할 우려가 있는 곳에서는 산소농도뿐만 아니라 발생 가능한 유해가스 농도의 확인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복합유해가스를 측정할 수 있는 장비는 밀폐공간 작업 시 필수적이다. 여기서 질식이란, 우리 몸에 정상적으로 산소가 공급되지 않은 상태를 말하며 산업안전보건법에서는 적정 공기농도를 산소농도 18%이상으로 정하고 있다. 그리고 밀폐 공간 내 적정공기농도: CO2 1500ppm미만, CO 25ppm미만, H2S 10ppm미만 폭발성가스(HC) 10%LEL 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 탈착형 복합 유해가스 측정 장치(100)에서는 유해가스 검출기(151)와, 제1, 제2 가스검출센서(161)(162)를 통해 이산화탄소, 일산화탄소, 탄화수소 및 황화수소와 같은 복수의 유해가스와 산소 가스 농도측정이 가능하다.
이득제어부(170)는 제1이득제어부(171)와 제2이득제어부(172)로 구성되어 각각 유해가스 검출기(151)에서 검출된 유해가스와 제1, 제2가스 검출센서(161, 162)에서 검출된 가스 성분의 검출이 용이하도록 이득을 조절한다.
배터리부(180)는 휴대단말기 탈착형 복합 유해가스 측정 장치(100)에서 필요로 하는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제어부(190)는 배터리부(180)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부(195)의 제어에 따라 경고 신호 발생 시 경고 램프부(140)로 공급하고, 유해가스 측정 시 적외선 광원(152)에 전원을 공급한다.
휴대단말기 탈착형 복합 유해가스 측정 장치 제어부(195)는 휴대단말기 탈착형 복합 유해가스 측정 장치(100)를 제어하여, 유해가스 검출기(151)와, 가스검출센서(160)의 유해가스나 산소가스 측정 데이터를 분석하여 제2USB 접속부(130)를 통해 휴대단말기(200)로 전송하고, 위험상황 발생 시 경고램프부(140)를 통해 위험을 출력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을 제어부(195)의 메모리(도시하지 않음)에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단말기(200)의 표시부(210)는 휴대단말기 탈착형 복합 유해가스 측정 장치(100)로부터 전송된 가스 측정 데이터를 표시한다.
USB접속부(220)는 휴대단말기 탈착형 복합 유해가스 측정 장치(100)와 접속하기 위한 구성이다.
통신부(230)는 휴대단말기(200)가 외부와 통신하기 위한 구성이다.
메모리부(240)는 휴대단말기(200) 동작이나 휴대단말기 탈착형 복합 유해가스 측정 장치(10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 및 구동에 필요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저장한다.
앱(app) 구동부(250)는 메모리부(24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면 휴대단말기 탈착형 복합 유해가스 측정 장치(100)로부터 전송된 각종 분석 데이터를 표시부(210)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GPS 수신부(260)는 휴대 단말기(200)의 현재 위치를 수신한다.
모션감지 센싱부(270)는 휴대 단말기(200)의 모션을 센싱한다. 예를 들면 자이로 센서 등일 수 있다.
음성출력부(280)는 휴대단말기(200)로 수신된 음성을 출력하는데, 각종 경고를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전원부(290)는 휴대단말기(200)에 전원을 공급한다.
휴대단말기 제어부(295)는 앱 구동부(250)가 구동되면 휴대단말기 탈착형 복합 유해가스 측정 장치(100)로부터 전송된 각종 가스를 표시부(210)에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모션감지 센싱부(270)를 통해 기 설정된 모션 이상이 앱 구동부(250)로부터 이상으로 감지되면 음성출력부(280)를 통해 이상을 출력하고, 통신부(220)를 통해 미리 설정된 외부로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하며 이때, GPS 수신부(260)를 통해 위치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도파관을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도파관(150)은, 광원에서 발광된 광이 유입되는 입구(153)와, 입구(153)를 통해 유입된 광이 이동하는 도파공간(154)과, 도파공간(154)을 통해 전파된 광이 배출되는 출구(155)를 구비하는 몸체(156)를 가진다.
이에 따라, 몸체(156)의 도파공간(154)에서 광이 전파되면서 도파공간(154)에 잔존하는 가스와 충돌하게 되어 가스에 의한 광의 흡수가 발생하고, 이를 기반으로 가스를 감지하게 된다.
이때 입구(153)에는 광이 방출되는 광방출요소(157)가 배치되며, 출구(155)에는 광을 수광하는 수광요소(158)가 배치되어 광의 방출과 수광이 이루어지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의한 도파관(150)에서 몸체(156)의 도파공간(154)에는 입구(153)로 유입된 광을 집광하는 각도로 반사하는 집광반사면(159a)과, 집광반사면(159a)에서 반사되어 전파되는 광을 유입받아 확산하는 각도로 집광반사면(159a) 측 방향을 반사하도록 된 확산반사면(159b)이 구비된다.
이에 따라, 도 8 내지 도 1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입구(153)를 통해 도파공간(154)으로 유입된 광이 집광반사면(159a)과 확산반사면(159b)의 사이를 전파하여 이동하는 광이 지그재그형태로 집광과 확산을 하면서 도파된다.
따라서, 구조적으로 도파공간(154)에 대한 광의 도파경로가 최대화되어, 광의 도파되는 면적이 치밀하게 이루어지고 가스에 의한 광 흡수량이 커지고 그에 따라 측정하는 측정치의 오차가 줄어 기기의 정밀도가 높게 된다.
따라서, 도파공간(154)이 소형으로 이루어지더라도, 가스감지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어, 특히 소형의 가스감지센서의 정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도파관(150)에서, 집광반사면(159a)과 확산반사면(159b)을 통해 반사되어 전파되는 광은 점차 출구(155) 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전파되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집광반사면(159a)과 확산반사면(159b)의 형상이 입력되는 광에 대한 반사각이 출구(155) 측방향으로 유도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도파관(150)에서, 집광반사면(159a)은 입구(153)와 마주보는 위치에 면이 접하도록 배치되며, 출구(155)는 집광반사면(159a)과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입구(153)와 출구(155)가 집광반사면(159a)에 대하여 마주보는 위치에 각각 구비되어 광의 입력과 배출이 동일방향에서 이루어지도록 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확산반사면(159b)은 입구(153)와 출구(155)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광이 입구(153)를 통해 도파공간(154)으로 유입된 후, 집광반사면(159a)을 통해 확산반사면(159b)으로 반사되며, 집광반사면(159a)으로 재반사되는 과정을 반복한 후, 최종적으로 집광반사면(159a)에서 출구(155)로 반사되어, 광량을 측정하도록 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여기서 집광반사면(159a)은 오목면으로 이루어지고, 확산반사면(159b)은 블록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의한 도파관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 예에 의한 도파관(150)은, 입구(153)에는 광이 방출되는 광방출요소(157)가 배치되고, 출구(155)에는 광을 수광하는 수광요소(158)가 배치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예에 의한 도파관(150)은, 광방출요소(157)에서 광이 방출되면,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집광반사면(159a)으로 전파된 후, 확산반사면(159b)으로 반사되며, 집광반사면(159a)으로 재반사되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도파공간(154) 상에서 지그재그형태로 집광과 확산을 반복하면서 도파된다.
즉, 도파공간(154)에 대한 광의 도파경로가 구조적으로 최대화되어, 광의 도파되는 면적이 치밀하게 이루어지며, 도파공간(154)에 잔존하는 가스에 의해 흡수되는 광흡수량을 제외한 나머지 광이 출구(155)로 배출된 후, 수광요소(158)에 의해 수광되어 검출된다.
따라서, 도파공간(154)에 가스의 잔존여부를 데이터화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의한 도파관(150)은 도파공간(154) 상에서 광이 집광반사면(159a)과 확산반사면(159b)의 사이를 확산과 집광을 반복하면서 지그재그형태로 도파됨에 따라, 구조적으로 도파공간(154)에 대한 광의 도파경로가 최대화되도록 된 것을 기술적 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광도파관(150)을 휴대단말기 탈착형 복합 유해가스 측정 장치에 실장하고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측정치들로부터 각 유해가스의 농도로 변환하는 알고리즘 적용 시험하고, 가스농도 변화에 따른 유해 판정 알고리즘 적용 시험하며, 환산된 유해가스의 농도를 비교하여 유해환경 조건산출 알고리즘 적용을 시험한다. 이러한 측정가스의 종류 및 측정 범위는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2
도 13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 탈착형 복합 유해가스 측정 장치의 휴대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 구현시 화면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 탈착형 복합 유해가스 측정 장치의 휴대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 구현시 화면 상태는 도 13 또는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현할 수 있는데, 휴대단말기 탈착형 복합 유해가스 측정 장치(100)에서 측정된 각종 가스의 농도를 휴대단말기(200)의 표시부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예를 들어 위험한 상태라면 휴대단말기 탈착형 복합 유해가스 측정 장치(100)의 경고램프부(140)를 통해서도 출력되지만 휴대단말기(200)의 표시부(210)에서도 경고를 표시할 수도 있고, 음성출력부(280)를 통해서는 음성으로 출력될 수도 있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 탈착형 복합 유해가스 측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 탈착형 복합 유해가스 측정 방법은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휴대단말기(200)에 복합유해가스 측정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한다(S100). 여기서 휴대단말기(200)는 스마트폰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애플리케이션은 휴대단말기 탈착형 복합 유해가스 측정 장치(100)로부터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거나, 휴대단말기 탈착형 복합 유해가스 측정 장치(100) 제조사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거나 온라인 마켓을 통해 다운로드 받아 설치할 수 있다.
그 다음 휴대단말기(200)를 휴대단말기 탈착형 복합 유해가스 측정 장치(100)에 부착한다(S110). 이때, 휴대단말기 도크(110)와 휴대단말기(100)가 도킹한다.
이어 휴대단말기(200)의 애플리케이션 구동부(250)가 구동되면(S120), 휴대단말기 탈착형 복합 유해가스 측정 장치(100)에서는 유해가스 검출기(151)와 가스 검출센서(160)에서 측정한 가스 데이터를 제2USB 접속부(130)를 통해 휴대단말기(100)의 USB 접속부(120)로 전송한다(S130).
휴대단말기(200)의 애플리케이션 구동부(250)는 전송된 데이터를 휴대 단말기의 표시부(210)에 표시한다(S140).
한편 휴대단말기 탈착형 복합 유해가스 측정 장치(100)와 휴대단말기(200)의 애플리케이션 구동부(250)는 이벤트가 발생하였는가를 판단한다(S150).
이와 같은 이벤트로는 모션이상, 가스 이상, 설정시간 등이 있다.
판단결과(S150), 모션 이상은 휴대단말기 탈착형 복합 유해가스 측정 장치(100)의 모션 이상으로 예를 들면 자이로 센서를 통해 휴대단말기 탈착형 복합 유해가스 측정 장치(100)에 부착된 휴대단말기(200)의 움직임이 없거나, 휴대단말기(200)가 뒤집어 지거나, 좌우 양옆으로 미리 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기울어져 있는 등 모션이 이상하다면 모션 이상을 음성출력부(280)와 경고 램프부(140)를 통해 출력한다. 이때, 작업자 또는 주변 다른 작업자 등이 해당 이상을 감지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통신부(230)를 통해 설정된 외부의 관리자 휴대단말기로 모션 이상 메시지를 전송한다(S160).
그러나 판단결과(S150), 가스 이상은 휴대단말기 탈착형 복합 유해가스 측정 장치(100)에서 측정한 가스의 이상이 있는 경우로 유해가스가 설정된 기준치 이상으로 높거나, 산소가스가 부족한 경우에는 음성출력부(280)와 경고 램프부(140)를 통해 가스 이상을 출력한다. 이때, 작업자 또는 주변 다른 작업자 등이 해당 이상을 감지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통신부(230)를 통해 설정된 외부의 관리자 휴대단말기로 모션 이상 메시지를 전송한다(S170).
한편 판단결과(S150) 설정된 시간이라면 휴대단말기(200)의 애플리케이션 구동부(250)는 현재까지의 측정 데이터를 메모리부(240)에 저장한다(S180).
그리고 애플리케이션 구동부(250)는 애플리케이션이 종료되는가를 주기적으로 체크한다(S190).
이상과 같은 예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예들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휴대단말기 탈착형 복합 유해가스 측정 장치
110 : 휴대단말기 도크(dock) 120 : 제1USB접속부(Outer USB)
130 : 제2USB 접속부(Dock USB) 140 : 경고램프부
150 : 광도파관
151 : 유해가스 검출기(Thermopile Detector)
152 : 적외선 광원(IR Source) 153 : 입구
154 : 도파공간 155 : 출구
156 : 몸체 157 : 광방출요소
158 : 수광요소 159a : 집광반사면
159b : 확산반사면
160, 161, 162 : 가스 검출센서 170, 171, 172 : 이득제어부
180 : 배터리부 190 : 전원제어부
195 : 휴대단말기 탈착형 복합 유해가스 측정 장치 제어부
200 : 휴대단말기 210 : 표시부
220 : USB접속부 230 : 통신부
240 : 메모리부 250 : 앱(app) 구동부
260 : GPS 수신부 270 : 모션감지 센싱부
280 : 음성출력부 290 : 전원부
295 : 휴대단말기 제어부

Claims (12)

  1. 복합 유해가스를 측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휴대단말기가 도킹되는 휴대단말기 도크(dock);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거나, 데이터를 송수신하거나, 프로그램을 전송받기 위한 제1USB접속부(Outer USB);
    상기 휴대단말기의 USB 접속부와 접속하는 제2USB 접속부(Dock USB);
    복합적인 유해가스와 생존에 필요한 산소 부족시 경고하는 경고램프부;
    비분산 적외선(Non-Dispersive Infrared, NDIR) 방식으로 복수의 유해가스를 검출하는 유해가스 검출기(Thermopile Detector);
    상기 유해가스 검출기(Thermopile Detector)에서의 가스 검출을 위한 적외선 광원을 제공하는 적외선 광원(IR Source);
    상기 적외선 광원의 광을 상기 유해가스 검출기로 제공하는 광도파로가 형성된 광도파관;
    전기화학방식으로 가스를 검출하는 가스 검출센서; 및
    상기 유해가스 검출기와, 상기 가스검출센서의 유해가스나 산소가스 측정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제2USB 접속부를 통해 상기 휴대단말기로 전송하고, 위험상황 발생 시 상기 경고램프부를 통해 위험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휴대단말기 탈착형 복합 유해가스 측정 장치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탈착형 복합 유해가스 측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해가스 검출기는 비분산 적외선 방식으로 이산화탄소, 일산화탄소 및 탄화수소(HS)를 측정하고, 상기 가스검출센서는 황화수소(H2S)를 검출하는 제1가스 검출센서와 생존에 필요한 산소를 검출하는 제2가스 검출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탈착형 복합 유해가스 측정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 탈착형 복합 유해가스 측정 장치는
    상기 유해가스 검출기에서 검출된 유해가스와 상기 가스 검출센서에서 검출된 가스 성분의 검출이 용이하도록 이득을 각각 조절하는 이득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탈착형 복합 유해가스 측정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 탈착형 복합 유해가스 측정 장치는,
    상기 휴대단말기 탈착형 복합 유해가스 측정 장치에서 필요로 하는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와,
    상기 배터리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경고 신호 발생 시 상기 경고 램프부로 공급하고, 유해가스 측정 시 상기 적외선 광원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전원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탈착형 복합 유해가스 측정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는,
    상기 휴대단말기 탈착형 복합 유해가스 측정 장치로부터 전송된 가스 측정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휴대단말기 탈착형 복합 유해가스 측정 장치와 접속하기 위한 USB접속부와,
    상기 휴대단말기가 외부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와,
    상기 휴대단말기 동작이나 휴대단말기 탈착형 복합 유해가스 측정 장치로부터 전송된 데이터 및 구동에 필요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메모리부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면 상기 휴대단말기 탈착형 복합 유해가스 측정 장치로부터 전송된 각종 분석 데이터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앱(app) 구동부와,
    상기 휴대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수신하는 GPS 수신부와,
    상기 휴대 단말기의 모션을 센싱하는 모션감지 센싱부와,
    상기 휴대단말기로 수신된 음성 또는 각종 경고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음성출력부와,
    상기 앱 구동부가 구동되면 상기 휴대단말기 탈착형 복합 유해가스 측정 장치로부터 전송된 각종 가스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모션감지 센싱부를 통해 기 설정된 모션 이상이 상기 앱 구동부로부터 이상으로 감지되면 상기 음성출력부를 통해 이상을 출력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GPS 수신부를 통해 위치를 정보를 포함하여 미리 설정된 외부로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휴대단말기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탈착형 복합 유해가스 측정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해가스 검출기는
    NDIR방식(CO2,CO,HC)과 전기화학식(O2, H2s) 측정을 동시에 구현하는 하이브리드(Hybrid) 방식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탈착형 복합 유해가스 측정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도파관은,
    광이 유입되는 입구와, 상기 입구를 통해 유입된 광이 이동하는 도파공간과 상기 도파공간을 통해 전파된 광이 배출되는 출구를 가지는 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한 몸체의 도파공간에는,
    상기 입구로 유입된 광을 집광하는 각도로 반사하는 집광반사면과, 상기 집광반사면에서 반사되어 전파되는 광을 유입받아 확산하는 각도로 상기 집광반사면 측 방향을 반사하도록 된 확산반사면이 구비되되;
    상기 집광반사면과 상기 확산반사면을 통해 반사되어 전파되는 광은, 점차 상기 출구 측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전파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탈착형 복합 유해가스 측정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집광반사면은 상기 입구와 마주보는 위치에 면이 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출구는 상기 집광반사면과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확산반사면은 상기 입구와 출구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집광반사면은 오목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확산반사면은 블록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탈착형 복합 유해가스 측정 장치.
  9. 휴대단말기에 복합유해가스 측정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휴대단말기를 휴대단말기 도크가 형성된 휴대단말기 탈착형 복합 유해가스 측정 장치에 부착하고, 상기 휴대단말기의 USB 접속부와 상기 휴대단말기 탈착형 복합 유해가스 측정 장치의 USB 접속부가 접속되도록 상기 휴대단말기가 휴대단말기 탈착형 복합 유해가스 측정 장치와 도킹하는 단계;
    상기 휴대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애플리케이션 구동부가 구동되면, 상기 휴대단말기 탈착형 복합 유해가스 측정 장치는 유해가스 검출기와 가스 검출센서에서 측정한 가스 데이터를 USB 접속부를 통해 상기 휴대단말기의 USB 접속부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휴대단말기의 상기 애플리케이션 구동부는 전송된 데이터를 상기 휴대 단말기의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휴대단말기 탈착형 복합 유해가스 측정 장치와 상기 휴대단말기의 상기 애플리케이션 구동부는 이벤트가 발생하였는가를 판단하여 모션이상 및 가스 이상 시에는 모션 이상을 상기 휴대단말기의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출력부와 상기 휴대단말기 탈착형 복합 유해가스 측정 장치의 경고 램프부를 통해 출력하고, 설정된 시간이라면 상기 휴대단말기의 상기 애플리케이션 구동부는 현재까지의 측정 데이터를 상기 휴대단말기의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탈착형 복합 유해가스 측정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는,
    스마트폰을 이용할 수 있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휴대단말기 탈착형 복합 유해가스 측정 장치로부터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거나, 상기 휴대단말기 탈착형 복합 유해가스 측정 장치 제조사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거나 온라인 마켓을 통해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는 것 중 하나를 통해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탈착형 복합 유해가스 측정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 이상은
    상기 휴대단말기 탈착형 복합 유해가스 측정 장치의 모션 이상으로 상기 휴대단말기의 자이로 센서를 통해 상기 휴대단말기 탈착형 복합 유해가스 측정 장치에 부착된 상기 휴대단말기의 움직임이 없거나, 상기 휴대단말기가 뒤집어 지거나, 상기 휴대단말기가 좌우 양옆으로 기운 경우 중 하나 이상이고,
    상기 가스 이상은 상기 휴대단말기 탈착형 복합 유해가스 측정 장치에서 측정한 가스의 이상이 있는 경우로 유해가스가 설정된 기준치 이상으로 높거나, 산소가스가 부족한 경우 중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탈착형 복합 유해가스 측정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출력부와 상기 경고 램프부를 통해 모션이나 가스 이상을 출력함과 함께 상기 휴대단말기의 통신부를 통해 설정된 외부의 관리자 휴대단말기로 가스 이상 또는 모션 이상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탈착형 복합 유해가스 측정 방법.
KR1020150130490A 2015-09-15 2015-09-15 휴대단말기 탈착형 복합 유해가스 측정 장치 및 방법 KR201700327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0490A KR20170032735A (ko) 2015-09-15 2015-09-15 휴대단말기 탈착형 복합 유해가스 측정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0490A KR20170032735A (ko) 2015-09-15 2015-09-15 휴대단말기 탈착형 복합 유해가스 측정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2735A true KR20170032735A (ko) 2017-03-23

Family

ID=58496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0490A KR20170032735A (ko) 2015-09-15 2015-09-15 휴대단말기 탈착형 복합 유해가스 측정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32735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90087A1 (ko) * 2019-03-20 2020-09-24 김경용 가스감지장치와 감지방법 및 운용방법
KR20210137627A (ko) 2020-05-11 2021-11-18 주식회사 와이즈컨 산업현장의 유해가스 감지 및 근로자 상태 확인 시스템
KR102379605B1 (ko) * 2021-09-08 2022-03-29 (주)세성 샘플링 수단을 구비한 확산식 휴대용 가스 측정기
KR20220116876A (ko) * 2021-02-16 2022-08-23 주식회사 휘라포토닉스 스마트팜에 이용되는 센서 시스템
EP4063832A1 (en) * 2021-03-23 2022-09-28 Honeywell International Inc. Integrated sensor
KR20230068755A (ko) 2021-11-11 2023-05-18 주식회사 이형정보기술 고정 및 이동 가능한 탈부착형 가스 측정기
CN117972273A (zh) * 2024-04-02 2024-05-03 四川希尔得科技有限公司 一种电池式工商业用气体报警装置的低功耗控制方法
KR20240113209A (ko) 2023-01-13 2024-07-22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유해가스 감지 변색 센서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2913A (ko) 2010-12-24 2012-07-04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폰용 탈부착 복합 가스센서 모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2913A (ko) 2010-12-24 2012-07-04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폰용 탈부착 복합 가스센서 모듈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90087A1 (ko) * 2019-03-20 2020-09-24 김경용 가스감지장치와 감지방법 및 운용방법
KR20210137627A (ko) 2020-05-11 2021-11-18 주식회사 와이즈컨 산업현장의 유해가스 감지 및 근로자 상태 확인 시스템
KR20220116876A (ko) * 2021-02-16 2022-08-23 주식회사 휘라포토닉스 스마트팜에 이용되는 센서 시스템
EP4063832A1 (en) * 2021-03-23 2022-09-28 Honeywell International Inc. Integrated sensor
US20220308029A1 (en) * 2021-03-23 2022-09-29 Honeywell International Inc. Integrated sensor
US11774424B2 (en) 2021-03-23 2023-10-03 Honeywell International Inc. Integrated sensor
KR102379605B1 (ko) * 2021-09-08 2022-03-29 (주)세성 샘플링 수단을 구비한 확산식 휴대용 가스 측정기
KR20230068755A (ko) 2021-11-11 2023-05-18 주식회사 이형정보기술 고정 및 이동 가능한 탈부착형 가스 측정기
KR20240113209A (ko) 2023-01-13 2024-07-22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유해가스 감지 변색 센서 및 이의 제조방법
CN117972273A (zh) * 2024-04-02 2024-05-03 四川希尔得科技有限公司 一种电池式工商业用气体报警装置的低功耗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32735A (ko) 휴대단말기 탈착형 복합 유해가스 측정 장치 및 방법
US8586383B2 (en)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on of harmful substances
US7288770B2 (en) Real-time UV spectroscopy for the quantification gaseous toxins utilizing open-path or closed multipass white cells
EP2092289B1 (en) Leak detection system and method
US6165347A (en) Method of identifying a gas
JP2014194433A5 (ko)
US20140284222A1 (en) Detection Of Synergistic And Additive Trace Gases
CN102770749B (zh) 气体浓度监视器
US9546950B2 (en) Optical gas sensing apparatus with explosion-proof enclosure
EP3571489A1 (en) Close-coupled analyser
CN104729996A (zh) 反射式的激光在线气体分析仪光路装置
CN103376252A (zh) 基于多检测管颜色信息识别的便携式气体检测仪
Coffey et al. Direct-reading methods for workplace air monitoring
CN203720081U (zh) 一种激光吸收光谱的气体参量多点传感测量的光路结构
Hawe et al. CO2 monitoring and detection using an integrating sphere as a multipass absorption cell
JP2008232918A (ja) ガス検知装置
CN114062617A (zh) 一种面向危险化学品事故的气体检测装置
KR20170089475A (ko) 직류전원형 plc 모뎀 플랫폼 시스템 및 방법
RU2614831C1 (ru) Устройство контроля параметров атмосферы
Frish et al. Progress in reducing size and cost of trace gas analyzers based on Tunable Diode Laser Absorption Spectroscopy
CN101776593A (zh) 主动式气体探测方法及其报警装置
KR101922664B1 (ko) 무선 데이터 전송 기능이 구비된 탈착식 가스 검지기
EP3899493B1 (en) Laser-based system for the detection of benzene in ambient air
KR102379605B1 (ko) 샘플링 수단을 구비한 확산식 휴대용 가스 측정기
CN118225981B (zh) 一种用于危险化学品的便携式实验装置及其实验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