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2050A - 젠더 모듈 및 젠더 모듈과 연동하는 단말기기의 동작방법 - Google Patents

젠더 모듈 및 젠더 모듈과 연동하는 단말기기의 동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2050A
KR20170032050A KR1020150129827A KR20150129827A KR20170032050A KR 20170032050 A KR20170032050 A KR 20170032050A KR 1020150129827 A KR1020150129827 A KR 1020150129827A KR 20150129827 A KR20150129827 A KR 20150129827A KR 20170032050 A KR20170032050 A KR 201700320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ensor
sensor module
modu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9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54483B1 (ko
Inventor
김재준
박준기
이우석
Original Assignee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29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4483B1/ko
Publication of KR201700320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20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4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44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H01R31/065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with built-in electric apparat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4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with contacts abutting directly the printed circuit; Button contacts therefore provided on the printed circuit
    • H04M1/72522

Landscapes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임의의 센서모듈이 탈부착되는 소켓부 및 상기 센서모듈 부착시, 상기 센서모듈로부터 입력된 고유신호를 접속한 임의의 단말기기로 전달하고, 상기 단말기기로부터 전달된 구동신호에 대응하게 상기 센서모듈을 동작시켜 측정된 센서신호를 신호변환하여, 상기 단말기기로 전송하는 구동회로가 구현된 인쇄회로기판이 내장된 젠더 본체를 포함하는 젠더 모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젠더 모듈 및 젠더 모듈과 연동하는 단말기기의 동작방법{SENDER MODULE AND METHOD OF TERMINAL APPARATUS WITH LINKED TO THE SENDER MODULE}
본 발명은 젠더 모듈 및 젠더 모듈과 연동하는 단말기기의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단말기기 및 모듈화된 센서모듈이 서로 연동하기 용이하도록 하는 젠더 모듈 및 젠더 모듈과 연동하는 단말기기의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성능 컴퓨팅이 가능하고, 휴대가 편리하며 큰 디스플레이를 가지는 스마트폰은 센서를 구동하기에 매우 적합한 디바이스이다.
그래서 스마트폰에는 고해상도 카메라, 조도 센서, 터치 센서, 지문인식 센서, 근접 센서, GPS, 자기 센서, 중력 센서,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등 매우 다양한 센서가 내장되어 있다.
그러나 센서의 종류는 위에서 언급한 센서 이외에도 매우 다양하다. 예를 들면 미세 먼지 농도 검출 센서, 알콜 농도 측정 센서, 혈당 센서, 농약 검출 센서, 미각 센서, 냄새 센서, 방사능 농도 센서, 자외선 센서, 수분 센서 등이 있다. 모든 센서를 제한된 크기와 저전력을 요구하는 스마트폰에 내장시키는 것은 불가능하다.
또한, 개인마다 필요로 하는 센서의 종류가 다르다. 예를 들면 당뇨병이 있는 중년 남성은 스마트폰에 혈당측정 센서가 부착되어 있으면 유용하게 사용 가능 하고, 아이를 키우는 주부는 아이의 건강과 직결되는 미세먼지 농도에 민감해서 미세먼지 농도 측정 센서가 다른 센서보다 필요할 것이다. 음주가 잦은 직장인은 알콜농도 측정 센서가 필수적이다.
이처럼 센서는 사람과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쓰이지만 모두 컴퓨터 및 스마트폰에 내장할 수 없고 센서마다 단말기를 사서 가지고 다니는 것 또한 매우 불편하다.
또한, 센서 제조사마다 다른 프로그램 및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함으로 센서 데이터 값의 호환성도 전혀 없다. 또한, 센서 단말기마다 전원을 공급해야 함으로 많은 센서를 추가적으로 사용할 경우 규격이 다른 전원 케이블을 모두 준비 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는 모듈화된 센서모듈을 생성함에 있어,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기기에 접속가능하도록 하는 기기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단말기기 및 모듈화된 센서모듈이 서로 연동하기 용이하도록 하는 젠더 모듈 및 젠더 모듈과 연동하는 단말기기의 동작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현재 존재하는 다양한 형태의 센서모듈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사용하도록, 센서모듈을 규격화하여 탈부착이 용이한 젠더 모듈 및 젠더 모듈과 연동하는 단말기기의 동작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젠더 모듈은, 임의의 센서모듈이 탈부착되는 소켓부 및 상기 센서모듈 부착시, 상기 센서모듈로부터 입력된 고유신호를 접속한 임의의 단말기기로 전달하고, 상기 단말기기로부터 전달된 구동신호에 대응하게 상기 센서모듈을 동작시켜 측정된 센서신호를 신호변환하여, 상기 단말기기로 전송하는 구동회로가 구현된 인쇄회로기판이 내장된 젠더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젠더 모듈은, 상기 젠더 본체 및 상기 단말기기에 서로 접속되며, 상기 단말기기로 상기 고유신호 및 상기 센서신호가 신호변환된 디지털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구동회로로 상기 구동신호를 전달하는 젠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젠더는, 상기 단말기기와 접속하는 유에스비, 마이크로 유에스비 및 오디오 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켓부는, 상기 센서모듈 부착시, 상기 센서모듈 및 상기 구동회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속부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접속부는, 상기 센서모듈과 접속하는 부분이 단자 타입, 핀 타입 및 케이블 타입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회로는, 상기 단말기기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고유신호 입력시, 상기 단말기기로 상기 고유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단말기기로부터 전송된 상기 구동신호에 따라 상기 센서모듈을 동작시켜 측정 입력된 센서신호를 변환하여 상기 단말기기로 송신되게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고유신호 및 상기 센서신호가 신호변환된 디지털신호를 설정된 통신방식에 따라 상기 단말기기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신호변환부 및 상기 고유신호 및 상기 고유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디지털신호가 상기 단말기기로 송신되게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며, 상기 구동신호 입력시 상기 센서모듈을 동작제어하는 프로세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신호변환부는, 상기 센서신호를 상기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ADC 컨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프로세서부로부터 입력된 상기 고유신호 및 상기 디지털신호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젠더 모듈의 동작방법은, 임의의 센서모듈의 부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센서모듈 부착시, 상기 센서모듈로부터 입력된 고유신호를 접속한 임의의 단말기기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기로부터 고유신호가 전달되면, 상기 센서모듈을 동작시켜 측정된 센서신호를 디지털신호로 신호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기로 상기 디지털신호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기의 동작방법은, 임의의 센서모듈이 탈부착되는 젠더 모듈로부터 상기 센서모듈의 고유신호에 대한 수신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고유신호 수신 시, 상기 고유신호에 대응하는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라 상기 센서모듈을 동작시키는 구동신호를 상기 젠더 모듈으로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젠더 모듈로부터 상기 센서모듈에서 측정 입력된 센서신호를 신호변환한 디지털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디지털신호에 대응하는 센서값을 상기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단계는, 상기 고유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센서모듈의 센서종류를 인식하고, 상기 센서종류에 대응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젠더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센서모듈에 대한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필요한 센서모듈을 선택하여 휴대하는 단말기기에 접속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젠더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센서모듈을 사용자 편의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으로써, 센서모듈의 수요를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기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모듈이 탈부착되는 젠더 모듈과 서로 연동하며, 센서모듈을 별도로 제어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젠더 모듈을 간략하게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젠더 모듈의 제어구성을 나타낸 제어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젠더 모듈의 동작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젠더 모듈을 간략하게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낸 젠더 모듈의 제어구성을 나타낸 제어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젠더 모듈 및 젠더 모듈과 연동하는 단말기기를 나타낸 도이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낸 단말기기의 동작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젠더 모듈을 간략하게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젠더 모듈(100)은 소켓부(110) 및 젠더 본체(1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소켓부(110)는 젠더 본체(120)에서 임의의 센서모듈(10)이 탈부착되도록 함몰된 영역일 수 있다.
소켓부(110)는 젠더 본체(120) 내에 배치된 인쇄회로기판(미도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센서모듈(10)과 접속되는 접속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센서모듈(10)은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센서가 서로 동일 종류의 센서이거나, 서로 다른 종류의 센서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접속부는 젠더 본체(120) 내에 배치된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센서모듈(10)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으며, 센서모듈(10)과 접속하기 용이하도록 단자 타입, 핀 타입 및 케이블 타입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즉, 상기 접속부는 일측이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구현된 구동회로(미도시)에 연결되고, 타측이 센서모듈(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구동회로에 대한 제어 구성에 대한 설명은 도 2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구현된 상기 구동회로는 센서모듈(10)이 상기 접속부에 접속되면, 센서모듈(10)로부터 입력된 고유신호를 접속한 임의의 단말기기(미도시)로 전달할 수 있다.
이후, 상기 구동회로는 상기 단말기기로부터 전달된 구동신호에 대응하게 센서모듈(10)을 동작시켜 측정된 센서신호를 변환하여, 상기 단말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낸 젠더 모듈(100)은 상기 단말기기와 무선 접속되도록 상기 구동회로에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젠더 모듈의 제어구성을 나타낸 제어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젠더 모듈(100)은, 통신부(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할 수 있으며, 통신부(150) 및 제어부(160)는 도 1에서 상술한 구동회로에 포함되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통신부(150)는 단말기기(20)와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접속할 수 있다.
이때, 통신부(150)는 제어부(160)로부터 센서모듈(10)의 고유신호(id) 및 센서모듈(10)에서 입력한 센서신호(AS)를 변환한 디지털신호(DS)가 전달되면, 단말기기(20)로 고유신호(id) 및 디지털신호(DS)를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150)는 예를 들어, 블루투스 모듈 및 NFC 모듈 등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또한, 통신부(150)는 단말기기(20)로부터 전송된 구동신호(vd)를 제어부(16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통신부(150)는 디지털신호(DS)를 설정된 통신방식에 따라 단말기기(20)로 송신하며, 예를 들어, 통신부(150)는 단말기기(20)와 시리얼 통식 방식으로 송수신하는 경우, 디지털신호(DS)를 시리얼 통신 방식에 따른 데이터로 변환하여 송신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신호변환부(162), 프로세서부(164) 및 저장부(166)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변환부(162)는 센서모듈(10)로부터 입력된 센서신호(AS)를 디지털신호(DS)로 변환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ADC 컨버터 및 DSP(Digital Signal Process)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이후, 신호변환부(162)는 디지털신호(DS)를 프로세서부(164)로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부(164)는 도 1에서 상술한 접속부에 센서모듈(10) 접속시, 센서모듈(10)로부터 고유신호(id)를 입력받아 단말기기(20)에 전송되게 통신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부(164)는 통신부(150)로부터 전송된 구동신호(vd)에 따라 센서모듈(10)로 구동신호(vd)를 전달하여 동작을 제어하며, 신호변환부(162)로부터 디지털신호(DS)를 전달받을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부(164)는 센서모듈(10)로 구동신호(vd)를 전달함과 동시에 센서모듈(10)로 구동전원(vcc)를 공급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부(164)는 센서모듈(10)로 구동전원(vcc)을 공급하는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단말기기(20)로부터 전송된 구동신호(vd)가 구동전원(vcc)에 대한 무선전력신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센서모듈(10) 내에 구동전원(vcc)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프로세서부(164)는 디지털신호(DS)가 단말기기(20)로 전송되게 통신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부(164)는 고유신호(id) 및 디지털신호(DS)가 저장부(166)에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저장부(166)는 고유신호(id)에 대응되게 디지털신호(DS)를 저장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젠더 모듈의 동작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젠더 모듈(100)의 프로세서부(164)는 센서모듈(10)의 부착 여부를 판단한다(S210).
즉, 프로세서부(164)는 소켓부(110)에 센서모듈(10) 부착 시, 소켓부(110)에 형성되어 센서모듈(10)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부(미도시)를 통하여 센서모듈(10)에 설정된 센서 종류를 나타낸 고유신호(id)의 입력 여부에 따라 부착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S210) 단계에서, 소켓부(110)에 센서모듈(10)이 부착된 것으로 판단하면, 프로세서부(164)는 고유신호(id)가 접속한 단말기기(20)로 전송되게 통신부(150)를 제어하며(S220), (S210) 단계에서 소켓부(110)에 센서모듈(10)이 탈착 또는 미부착된 것으로 판단하면 (S210) 단계로 리턴한다.
즉, 프로세서부(164)는 고유신호(id)가 입력되면 센서모듈(10)이 부착된 것으로 판단하고, 고유신호(id)가 접속한 단말기기(20)에 전송되게 통신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부(164)는 고유신호(id)가 미 입력되면 센서모듈(10)이 탈착 또는 미부착된 것으로 판단하고, 고유신호(id)가 입력되는지 지속적으로 판단한다.
(S220) 단계 이후, 프로세서부(164)는 통신부(150)으로부터 구동신호(vd)가 전달되면, 센서모듈(10)로 구동신호(vd)를 전달함과 동시에 구동전원(vcc)를 공급하여 센서모듈(10)을 동작시킬 수 있다(S230).
즉, 프로세서부(164)는 단말기기(20)로부터 전송된 구동신호(vd)가 통신부(150)를 통하여 전달되면, 센서모듈(10)로 구동신호(vd)를 전달하고 구동전원(vcc)을 공급하여, 센서모듈(10)이 동작되게 제어할 수 있다.
(S230) 단계 이후, 신호변환부(162)는 센서모듈(10)에서 측정 입력되는 센서신호(AS)를 디지털신호(DS)로 신호변환하여 프로세서부(164)로 전달한다(S240).
프로세서부(164)는 신호변환부(162)에서 입력한 디지털신호(DS)가 단말기기(20)로 전송되게 통신부(150)를 제어하며, 디지털신호(DS)를 고유신호(id)에 대응되게 저장부(166)에 저장한다(S250).
이때, 통신부(150)는 디지털신호(DS)를 설정된 통신 방식에 따라 단말기기(20)로 전송한다(S260).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젠더 모듈를 간략하게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젠더 모듈(300)은 소켓부(310), 젠더 본체(320) 및 젠더(3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소켓부(310)는 도 1에 나타낸 소켓부(110)와 동일하게 젠더 본체(320)에서 임의의 센서모듈(미도시)이 탈부착되도록 함몰된 영역일 수 있다.
소켓부(310)는 젠더 본체(320) 내에 배치된 인쇄회로기판(미도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센서모듈과 접속되는 접속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상기 센서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센서가 서로 동일 종류의 센서이거나, 서로 다른 종류의 센서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접속부는 젠더 본체(320) 내에 배치된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센서모듈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으며, 상기 센서모듈과 접속하기 용이하도록 단자 타입, 핀 타입 및 케이블 타입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즉, 상기 접속부는 일측이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구현된 구동회로(미도시)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센서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구동회로에 대한 제어 구성에 대한 설명은 도 5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구현된 상기 구동회로는 상기 센서모듈(10)이 상기 접속부에 접속되면, 상기 센서모듈로부터 입력된 고유신호를 접속한 임의의 단말기기(미도시)로 전달할 수 있다.
이후, 상기 구동회로는 상기 단말기기로부터 전달된 구동신호에 대응하게 상기 센서모듈을 동작시켜 측정된 센서신호를 디지털신호로 신호변환하여, 상기 단말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젠더(330)는 상기 단말기기에 접속되며, 상기 구동회로에서 신호변환된 상기 디지털신호를 상기 단말기기로 전달하고, 상기 센서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동신호 및 상기 센서모듈을 동작시키는 구동전원을 상기 단말기기로부터 입력받아 상기 구동회로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젠더(330)는 상기 단말기기와 접속하는 유에스비, 마이크로 유에스비 및 오디오 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낸 젠더 모듈의 제어구성을 나타낸 제어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젠더 모듈(300)은, 젠더 본체(320) 내에 배치된 구동회로에 포함되며 젠더(330)에 연결된 통신부(350) 및 제어부(36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350)는 단말기기(40)와 젠더(330)를 통하여 접속하며, 제어부(360)로부터 센서모듈(30)의 고유신호(id) 및 센서모듈(30)에서 측정 입력한 센서신호(AS)를 신호변환한 디지털신호(DS)가 전달되면, 단말기기(40)로 고유신호(id) 및 디지털신호(DS)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350)는 단말기기(40)로부터 전송된 구동신호(vd) 및 구동전원(vcc)을 제어부(36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통신부(350)는 디지털신호(DS)를 설정된 통신방식에 따라 단말기기(40)로 송신하며, 예를 들어, 통신부(350)는 단말기기(40)와 시리얼 통식 방식으로 송수신하는 경우, 디지털신호(DS)를 시리얼 통신 방식에 따른 데이터로 변환하여 송신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통신부(350)는 구동신호(vd) 및 구동전원(vcc)을 모두 제어부(360)로 전달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젠더(330)가 젠더 본체(320)에 형성된 인쇄회로기판을 통하여 센서모듈(30)로 구동전원(vcc) 및 통신부(350)로 구동신호(vd)을 분리하여 공급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제어부(360)는 신호변환부(362), 프로세서부(364) 및 저장부(366)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변환부(362)는 센서모듈(30)로부터 측정 입력된 센서신호(AS)를 디지털신호(DS)로 변환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ADC 컨버터 및 DSP(Digital Signal Process)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이후, 신호변환부(362)는 디지털신호(DS)를 프로세서부(364)로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부(364)는 상기 접속부에 센서모듈(30) 접속시, 센서모듈(30)로부터 고유신호(id)를 입력받아 단말기기(40)에 전송되게 통신부(350)를 제어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부(364)는 통신부(350)로부터 전송된 구동신호(vd) 및 구동전원(vcc)에 따라 센서모듈(30)로 구동신호(vd) 및 구동전원(vcc)을 전달하여 동작을 제어하며, 신호변환부(362)로부터 디지털신호(DS)를 입력받을 수 있다.
프로세서부(364)는 디지털신호(DS)가 단말기기(40)로 전송되게 통신부(350)를 제어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부(364)는 고유신호(id) 및 디지털신호(DS)가 저장부(366)에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저장부(366)는 고유신호(id)에 대응되게 디지털신호(DS)를 저장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젠더 모듈 및 젠더 모듈과 연동하는 단말기기를 나타낸 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단말 시스템(400)은 젠더 모듈(500) 및 단말기기(60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젠더 모듈(500)은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젠더 모듈(300)으로 설명한다.
젠더 모듈(500)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센서모듈(50)이 탈부착되는 소켓부(510), 센서모듈(50)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동회로가 구현된 인쇄회로기판이 배치된 젠더 본체(520) 및 젠더 본체(520)와 단말기기(600)를 서로 연결하는 젠더(530)를 포함할 수 있다.
젠더 모듈(500)은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젠더 모듈(300)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단말기기(600)는 젠더(530)가 연결되고, 젠더(530)를 통하여 센서모듈(50)의 고유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때, 단말기기(600)는 상기 고유신호에 대응하여 센서모듈(50)을 동작시킬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이후, 단말기기(600)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대응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이후 사용자에 의해 입력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입력명령에 대응하는 구동신호 및 구동전원을 젠더(530)를 통하여 젠더 본체(520)에 형성된 상기 구동회로로 전달할 수 있다.
단말기기(600)는 젠더(530)을 통하여 전달된 디지털신호에 대응하는 센서값을 상기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단말기기(600)는 예를 들어, 데스크탑 컴퓨터(desktop computer), 랩탑 컴퓨터(laptop computer), 태블릿(tablet) PC, 무선전화기(wireless phone), 모바일폰(mobile phone), 스마트 폰(smart phone), 스마트 워치(smart 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e-book 리더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휴대용 게임기,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재생기, 디지털 음성 녹음기(digital audio recorder), 디지털 음성 재생기(digital audio player), 디지털 영상 녹화기(digital picture recorder), 디지털 영상 재생기(digital picture player), 디지털 동영상 녹화기(digital video recorder), 디지털 동영상 재생기(digital video player) 등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낸 단말기기의 동작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단말기기(600)는 젠더 모듈(500)으로부터 센서모듈(50)의 고유신호에 대한 수신 여부를 판단한다(S710).
즉, 단말기기(600)는 젠더 모듈(500)에 포함된 젠더(530)로부터 젠더 모듈(500)에 탈부착되는 센서모듈(50)의 고유신호에 대한 수신 유무를 판단하여, 젠더 모듈(500)의 접속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말기기(600)는 상기 고유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고유신호에 대응하는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S720).
즉, 단말기기(600)는 상기 고유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고유신호를 기반으로 센서모듈(50)의 센서 종류를 판단하고, 센서 종류에 따라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이때, 단말기기(600)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사용자로부터 입력명령이 입력되게 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S720) 단계 이후, 단말기기(600)는 사용자로부터 센서모듈(50)의 동작을 위해 입력된 입력명령에 대응하는 구동신호 및 구동전원을 젠더 모듈(500)으로 전달한다(S730).
단말기기(600)는 젠더 모듈(500)으로부터 센서모듈(50)에서 측정 입력된 센서신호를 신호변환한 디지털신호를 수신하고(S740), 상기 디지털신호에 대응하는 센서값을 상기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한다(S750).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3)

  1. 임의의 센서모듈이 탈부착되는 소켓부; 및
    상기 센서모듈 부착시, 상기 센서모듈로부터 입력된 고유신호를 접속한 임의의 단말기기로 전달하고, 상기 단말기기로부터 전달된 구동신호에 대응하게 상기 센서모듈을 동작시켜 측정된 센서신호를 신호변환하여, 상기 단말기기로 전송하는 구동회로가 구현된 인쇄회로기판이 내장된 젠더 본체를 포함하는 젠더 모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젠더 본체 및 상기 단말기기에 서로 접속되며, 상기 단말기기로 상기 고유신호 및 상기 센서신호가 신호변환된 디지털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구동회로로 상기 구동신호를 전달하는 젠더;를 더 포함하는 젠더 모듈.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젠더는,
    상기 단말기기와 접속하는 유에스비, 마이크로 유에스비 및 오디오 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젠더 모듈.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켓부는,
    상기 센서모듈 부착시, 상기 센서모듈 및 상기 구동회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속부가 형성된 젠더 모듈.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는,
    상기 센서모듈과 접속하는 부분이 단자 타입, 핀 타입 및 케이블 타입 중 어느 하나인 젠더 모듈.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회로는,
    상기 단말기기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고유신호 입력시, 상기 단말기기로 상기 고유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단말기기로부터 전송된 상기 구동신호에 따라 상기 센서모듈을 동작시켜 측정 입력된 센서신호를 변환하여 상기 단말기기로 송신되게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젠더 모듈.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고유신호 및 상기 센서신호가 신호변환된 디지털신호를 설정된 통신방식에 따라 상기 단말기기로 송신하는 젠더 모듈.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신호변환부; 및
    상기 고유신호 및 상기 고유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디지털신호가 상기 단말기기로 송신되게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며, 상기 구동신호 입력시 상기 센서모듈을 동작제어하는 프로세서부;를 포함하는 젠더 모듈.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신호변환부는,
    상기 센서신호를 상기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ADC 컨버터를 포함하는 젠더 모듈.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프로세서부로부터 입력된 상기 고유신호 및 상기 디지털신호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젠더 모듈.
  11. 임의의 센서모듈의 부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센서모듈 부착시, 상기 센서모듈로부터 입력된 고유신호를 접속한 임의의 단말기기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기로부터 구동신호가 전달되면, 상기 센서모듈을 동작시켜 측정된 센서신호를 디지털신호로 신호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기로 상기 디지털신호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젠더 모듈의 동작방법.
  12. 임의의 센서모듈이 탈부착되는 젠더 모듈으로부터 상기 센서모듈의 고유신호에 대한 수신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고유신호 수신 시, 상기 고유신호에 대응하는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라 상기 센서모듈을 동작시키는 구동신호를 상기 젠더 모듈으로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젠더 모듈으로부터 상기 센서모듈에서 측정 입력된 센서신호를 신호변환한 디지털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디지털신호에 대응하는 센서값을 상기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기기의 동작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단계는,
    상기 고유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센서모듈의 센서종류를 인식하고, 상기 센서종류에 대응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말기기의 동작방법.
KR1020150129827A 2015-09-14 2015-09-14 젠더 모듈 및 젠더 모듈과 연동하는 단말기기의 동작방법 KR1017544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9827A KR101754483B1 (ko) 2015-09-14 2015-09-14 젠더 모듈 및 젠더 모듈과 연동하는 단말기기의 동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9827A KR101754483B1 (ko) 2015-09-14 2015-09-14 젠더 모듈 및 젠더 모듈과 연동하는 단말기기의 동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2050A true KR20170032050A (ko) 2017-03-22
KR101754483B1 KR101754483B1 (ko) 2017-07-06

Family

ID=58497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9827A KR101754483B1 (ko) 2015-09-14 2015-09-14 젠더 모듈 및 젠더 모듈과 연동하는 단말기기의 동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448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124433A1 (de) 2017-03-14 2018-09-20 Hyundai Motor Company Äußere Leuchtdiodeneinheit für ein Fahrzeug
KR20190093266A (ko) * 2018-02-01 2019-08-09 (주)포인트엔지니어링 모듈 어레이 삽입형 모바일기기 케이스 및 모듈 어레이 삽입형 확장형 모듈부
KR20210008999A (ko) * 2019-07-16 2021-01-26 센서클라우드주식회사 포터블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1738B1 (ko) 2018-09-21 2019-06-21 배상은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센서 데이터 병합 전송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3823B1 (ko) * 2012-05-25 2013-11-29 백상구 교체형 센서모듈이 구비된 환경정보모니터링시스템
KR101362430B1 (ko) 2013-09-09 2014-02-21 (주)소하테크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저전력 가스센서 모듈 및 그를 이용한 가스 측정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124433A1 (de) 2017-03-14 2018-09-20 Hyundai Motor Company Äußere Leuchtdiodeneinheit für ein Fahrzeug
KR20190093266A (ko) * 2018-02-01 2019-08-09 (주)포인트엔지니어링 모듈 어레이 삽입형 모바일기기 케이스 및 모듈 어레이 삽입형 확장형 모듈부
KR20210008999A (ko) * 2019-07-16 2021-01-26 센서클라우드주식회사 포터블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4483B1 (ko) 2017-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59271B2 (en) Electronic device to control screen property based on distance between pen input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KR102481292B1 (ko)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9685805B2 (en) Assembled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279036B1 (ko) 무선 데이터 입출력 방법 및 장치
US11353968B2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providing display coordinates on an external display device
US11222729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stress index corresponding to activity of user
KR101754483B1 (ko) 젠더 모듈 및 젠더 모듈과 연동하는 단말기기의 동작방법
KR20190111557A (ko) 사용자 입력 지원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2476127B1 (ko) 전자 장치와 연결된 스타일러스 펜과 연관된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장치 및 그에 관한 방법
US10456039B2 (en) Electronic apparatus,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622247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US11545061B2 (en) Electronic device for displaying screen through display in low-power mod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11307618B2 (en) Electronic device for displaying information regarding stylus pen and method thereof
CN111095157A (zh) 使用输入设备的方法和电子设备
KR102472489B1 (ko) 전자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WO2018176611A1 (zh) 一种显示方法和电子设备
US9075575B2 (en) Multimedia device having detachable controller functioning as remote control while detached
US20210093198A1 (en) Method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by using biosensor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US20110113165A1 (en) Terminal apparatus usign a peripheral apparatus of another terminal via the control of one terminal, and interface method thereof
US11445604B2 (en)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feedback corresponding to input for housing
US20130271386A1 (en) Electronic device having handwriting input function
KR102493561B1 (ko)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외부 장치의 연결을 제어하는 방법
EP3734416A1 (en) Head mounted display system capable of indicating a tracking unit to track a hand gesture or a hand movement of a user or not, related method and relate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KR101336989B1 (ko) 확장용 터치스크린
US20120117187A1 (en) Interactive electronic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