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1925A - 복수 단말기 간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복수 단말기 간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1925A
KR20170031925A KR1020150129515A KR20150129515A KR20170031925A KR 20170031925 A KR20170031925 A KR 20170031925A KR 1020150129515 A KR1020150129515 A KR 1020150129515A KR 20150129515 A KR20150129515 A KR 20150129515A KR 20170031925 A KR20170031925 A KR 201700319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xiliary
main
terminal
unit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9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37951B1 (ko
Inventor
이동군
Original Assignee
(주) 군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군월드 filed Critical (주) 군월드
Priority to KR10201501295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7951B1/ko
Publication of KR20170031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19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79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79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04M1/7252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주단말기와 보조단말기에 각각 다중 디스플레이가 가능하도록 구현한 복수 단말기 간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디스플레이상으로 표시되는 화면신호를 무선통신을 통해 전송해 주는 주단말기; 및 상기 주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화면신호를 무선통신을 통해 수신받아 디스플레이상으로 표시해 주는 보조단말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복수 단말기 간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Dual Display Device Between Multiple Terminals}
본 발명은 복수 단말기 간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의 주단말기와 보조단말기에 각각 다중 디스플레이가 가능하도록 구현한 복수 단말기 간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휴대폰의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컴퓨터의 디스플레이 장치나 내비게이션, PMP 보다 작은 해상도 및 크기를 사용하는 것이 통상적이다. 이것은 편리한 휴대성과 사용을 위하여 불가피한 선택이며, 해상도는 현재 사용되는 것보다 향상시킬 수 있으나 사용자가 동영상을 보거나, DMB 방송을 수신하는 등의 사용에는 적당하지 않다.
개인용 컴퓨터의 경우는 큰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면서도 듀얼 모니터를 이용할 수 있도록 개발되어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요즘은 시스템에서 기본으로 지원되고 있다.
휴대성을 가진 기기인 닌텐도 DS와 같은 경우에도 듀얼 모니터를 사용하여 사용자에게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PDA의 경우 탈착 가능한 형태의 듀얼 모니터를 지원하는 것도 있으나, 외부 모니터의 경우 너무 커서 휴대하여 사용하기에 불편함이 존재한다.
휴대폰의 경우 위에서 예시했던 것과 같이 영상, 동영상의 재생, 내비게이션 기능, DMB 방송과 같은 기능이 계속 추가되고 있으나, 전화를 받고, 걸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고, 편리한 휴대성을 위해 큰 사이즈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할 수 없다. 이러한 문제점은 사용자의 불편을 초래하여 별도의 기기를 구매하게 하여 사용자의 부담이 커지고, 휴대폰을 만드는 회사는 사용자의 요구를 제대로 충족시킬 수 있는 형태의 시스템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061538호(2009.06.16.)는 추가로 탈착이 가능한 형태를 가지며, 사용자의 요구에 맞는 크기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휴대폰에 탈착 가능한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는데, 휴대폰에서와 같이 작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현재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완함에 있어서, 기존의 그래픽 카드에서 여러 개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 이용하는 과정과, 처리 장치에서 추가 장비에 대한 연결과 같은 처리 수행을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과정, 사항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 연결 포트와 케이블을 이용하여 추가로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연결하는 과정과, 처리 내용을 위한 휴대용 단말기에 연결하여 사용할 목적으로 제작된다. 기재된 기술에 의하면, 사용자가 휴대폰 구입 시 필요에 따라 추가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매하여 사용하도록 적용될 수 있으며, 지금보다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될 것이며, 사용자는 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81637호(2014.03.31.)는 두 개의 디스플레이 패널이 동시 구동되어 대화면을 제공할 수 있으면서도, 회동부를 통해 두 개의 디스플레이 패널이 접철 가능하게 회동되어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즉, 대면적 화면과 휴대의 용이성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는 듀얼스크린 기능이 구비된 스마트폰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기재된 기술에 의하면, 구동전원을 제공하는 구동배터리가 설치되며, 전면에는 제어신호에 따라 소정의 제1화면을 출력하는 제1디스플레이 패널이 배치되는 본체케이스; 본체케이스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본체케이스의 상부에 배치되고, 음향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와 음향신호를 입력하는 마이크가 설치되며, 전면에는 제어신호에 따라 소정의 제2화면을 출력하는 제2디스플레이 패널이 배치되는 커버케이스; 본체케이스와 커버케이스 중 어느 하나의 케이스에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슬라이딩홈 및, 두 케이스 중 다른 하나의 케이스에 돌출형성되어 슬라이딩홈에 삽입된 채로 슬라이딩되면서 수평방향으로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돌기를 포함하며 구비되어, 커버케이스가 본체케이스를 기준으로 슬라이딩되면서 본체케이스의 전면을 커버하도록 이동시키는 슬라이딩부; 제1디스플레이 패널 및 제2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출력되는 각각의 화면이 선택적으로 상호 연동된 하나의 화면으로 출력되거나 상호 독립된 화면으로 출력되도록 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슬라이딩부에 의한 커버케이스의 슬라이딩 이동을 감지하여 획득된 감지정보를 제어부로 출력하는 슬라이딩 감지부를 포함하며, 제어부는, 전달된 감지정보에 따라 슬라이딩 감지부로부터 커버케이스가 슬라이딩 이동하여 본체케이스의 상부에 배치된 것으로 판단되면, 자동적으로 제1디스플레이 패널은 구동을 정지시키며 제2디스플레이 패널은 해상도 또는 화면밝기가 미리 설정된 절전기준치로 구동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휴대폰 디스플레이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크기가 커지면서 이에 따라 과거보다 커진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반면에 일반적인 음성통화를 하거나 휴대 또는 보관할 경우에는 대형화된 단말 크기가 사용에 불편을 주는 부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휴대폰 디스플레이장치는, 과거보다 커진 영상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전원의 소모 역시 디스플레이 패널의 크기에 비례하여 증가하게 되어 구동 배터리의 충전 또는 교체 시기가 짧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061538호 한국등록특허 제10-1381637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의 주단말기와 보조단말기에 각각 다중 디스플레이가 가능하도록 구현한 복수 단말기 간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디스플레이상으로 표시되는 화면신호를 무선통신을 통해 전송해 주는 주단말기; 및 상기 주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화면신호를 무선통신을 통해 수신받아 디스플레이상으로 표시해 주는 보조단말기를 포함하는 복수 단말기 간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주단말기는, 상기 보조단말기와 무선 통신 연결을 수행한 후에 지정명령신호를 생성시켜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보조단말기로 전송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주단말기는, 듀얼 디스플레이 서비스 앱을 저장해 두기 위한 주메모리부; 영상데이터를 전달받아 표시해 주기 위한 주디스플레이부; 듀얼 디스플레이 서비스 앱을 구동시키며, 상기 주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기 위한 영상데이터를 상기 주디스플레이부로 전달해 주며, 상기 주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영상데이터를 화면신호로 변환시켜 전달하기 위한 주제어부; 및 상기 주제어부로부터 화면신호를 전달받아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보조단말기로 전송해 주기 위한 주송신부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주제어부는, 보조 입력 모드 시에 보조키패드명령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주송신부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보조단말기는, 상기 주단말기로부터 무선통신을 통해 수신되는 보조키패드명령신호에 따라 보조입력수단을 디스플레이상으로 표시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주제어부는, 상기 주단말기의 전원이 오프(off)된 경우 이를 확인하여 보조단말기전원오프명령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주송신부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주제어부는, 영상 확장 모드 시에 상기 주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영상데이터를 확장시켜 상기 주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기 위한 제1영상데이터와 상기 보조단말기로 전송해 주기 위한 화면신호에 해당하는 제2영상데이터로 분할하며, 제1영상데이터를 상기 주디스플레이부로 전달해 주며, 제2영상데이터를 화면신호로 변환시켜 상기 주송신부로 전달하고, 부분 선택 모드 시에 선택된 부분에 해당하는 영상데이터를 화면신호로 변환시켜 상기 주송신부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보조단말기는, 상기 주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화면신호를 무선통신을 통해 수신받기 위한 보조수신부; 상기 보조수신부에서 수신받은 화면신호를 화면데이터로 변환시켜 주기 위한 보조제어부; 및 상기 보조제어부에서 변환시킨 화면데이터를 표시해 주기 위한 보조디스플레이부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보조단말기는, 사용자에 의한 터치를 입력받아 이에 대응하는 터치입력값을 생성시켜 상기 보조제어부로 전달하기 위한 보조입력부; 및 터치입력값별로 이에 해당하는 명령데이터를 기 설정하여 저장해 두는 보조메모리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보조제어부는, 상기 보조입력부로부터 터치입력값을 전달받아 상기 보조메모리부로부터 이에 따른 명령데이터를 판독하며, 판독한 명령데이터에 대응하는 명령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주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주단말기와 보조단말기에 각각 다중 디스플레이가 가능하도록 구현한 복수 단말기 간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과거보다 커진 영상을 제공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패널의 크기가 큰 듀얼 디스플레이를 구비하여, 일반적인 음성통화를 하거나 휴대 또는 보관할 수 있는 기존 이동통신단말의 디스플레이를 대형화할 필요성을 상쇄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보조 단말기의 자체의 전원 공급장치를 구비함으로써, 과거보다 커진 영상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전원의 소모가 디스플레이 패널의 크기에 비례하여 증가하더라도 주단말기 구동 배터리의 충전 또는 교체시기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수 단말기 간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주단말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보조단말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보조 입력 모드, 영상 확장 모드 및 부분 선택 모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수 단말기 간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수 단말기 간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복수 단말기 간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주단말기(100) 및 보조단말기(200)를 포함한다.
주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상으로 표시되는 화면신호를 무선통신(예를 들어, Bluetooth, Wifi 또는 LTE 등의 이동통신망 등)을 통해 전송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주단말기(100)는, 듀얼 디스플레이 서비스 앱(즉, 듀얼 디스플레이를 구동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 등)을 설치 구비하며, 입력수단(예를 들어, 스마트폰 또는 MP3 등의 액정화면 등)을 통해 입력값을 입력받으며, 화면신호를 무선통신을 통해 보조단말기(200)로 전송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주단말기(100)는, 보조단말기(200)와 무선 통신 연결을 수행한 후에 지정명령신호를 생성시켜 무선통신을 통해 보조단말기(200)로 전송해 줄 수 있다. 이때, 주단말기(100)는, 보조단말기(200)와의 무선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보조단말기(200)의 유무 확인을 시작하며, 보조단말기(200)의 존재가 확인될 시 해당 보조단말기(200)로 지정명령신호를 전송시켜 서브 단말기(즉, 화면신호를 무선통신을 통해 수신받아 디스플레이상으로 표시해 주기 위한 단말기)로 지정하며, 보조단말기(200)의 존재가 확인되지 않을 시 보조단말기(200)의 검색을 실시하며, 보조단말기(200)의 검색이 완료되면(즉, 보조단말기(200)의 존재가 확인되면) 해당 보조단말기(200)로 지정명령신호를 전송시켜 서브 단말기로 지정할 수 있다.
보조단말기(200)는, 주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되는 화면신호를 무선통신을 통해 수신받아 디스플레이상으로 표시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보조단말기(200)는, 주단말기(100)와 같이 듀얼 디스플레이 서비스 앱(즉, 듀얼 디스플레이를 구동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 등)을 설치 구비하고 있으며, 주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되는 화면신호를 디스플레이상으로 표시해 주기 위한 표시수단(예를 들어, LED 또는 LCD 등의 화상 표시 장치 등)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보조단말기(200)는, 주단말기(100)에서 표시되는 화면의 해상도와 동일한 해상도의 표시 장치를 구비할 수 있지만, 주단말기(100)에서 표시되는 화면의 해상도와 동일하지 아니한 해상도의 표시 장치를 구비해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주단말기(100)가 FHD(1920 x 1080)의 해상도를 가질 때 보조단말기(200) 또한 FHD(1920 x 1080)의 해상도를 가지거나, 주단말기(100)가 FHD(1920 x 1080)의 해상도를 가질 때 보조단말기(200)는 UHD(1920 x 1080)의 해상도(4096 x 2160) 또는 HD(1280 x 720) 등의 해상도를 가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복수 단말기 간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주단말기(100) 및 보조단말기(200)에 각각 다중 디스플레이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과거보다 커진 영상을 제공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패널의 크기가 큰 보조단말기(200) 구비하여, 일반적인 음성통화를 하거나 휴대 또는 보관할 수 있는 기존 주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를 대형화할 필요성을 상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복수 단말기 간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보조단말기(200)에 자체적인 전원 공급장치를 구비함으로써, 과거보다 커진 영상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전원의 소모가 디스플레이 패널의 크기에 비례하여 증가하더라도 주단말기(100) 구동 배터리의 충전 또는 교체 시기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주단말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주단말기(100)는, 주메모리부(110), 주디스플레이부(120), 주제어부(130) 및 주송신부(140)를 포함한다.
주메모리부(110)는, 듀얼 디스플레이 서비스 앱을 저장해 둔다.
주디스플레이부(120)는, 주제어부(130)로부터 화상데이터를 전달받으며, 해당 전달받은 화상데이터를 표시해 준다. 이때, 주디스플레이부(120)는, 스마트폰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 즉 LCD 또는 LED 모니터를 지칭할 수 있다.
주제어부(130)는, 주메모리부(110)에 저장된 듀얼 디스플레이 서비스 앱을 구동시키며, 주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하기 위한 영상데이터(즉, 주단말기(100)에 표시해 주기 위한 영상데이터)를 주디스플레이부(120)로 전달해 주며, 주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되는 영상데이터를 화면신호로 변환시키며, 해당 변환된 화면신호를 주송신부(140)로 전달한다. 따라서 주단말기(100)에서 표시되는 화면과 보조단말기(200)에서 표시되는 화면이 동일한 경우이다.
일 실시 예에서, 주제어부(130)는, 보조 입력 모드 시(도 4를 참조)(즉, 보조단말기(200)를 주단말기(100)의 입력장치로서의 키보드, 마우스, 조이스틱 또는 무선포인터 등으로 사용하는 경우, 설명의 편의상 도 4에는 키보드만을 예시하였지만,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마우스가 필요한 경우에는 터치식 마우스, 게임을 하는 경우에는 조이스틱 등)에 보조키패드명령신호를 생성시켜 주송신부(140)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주송신부(140)는, 주제어부(130)로부터 보조키패드명령신호를 전달받으며, 해당 전달받은 보조키패드명령신호를 무선통신을 통해 보조단말기(200)로 전송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보조단말기(200)는, 주단말기(100)로부터 무선통신을 통해 보조키패드명령신호를 수신받으며, 해당 수신받은 보조키패드명령신호에 따라 보조입력수단(즉, 키보드, 마우스, 조이스틱 또는 무선포인터 등)을 디스플레이상으로 표시해 줄 수 있다. 이에 따라, 주단말기(100)는, 한정된 LCD창 상에 키보드를 디스플레이해 줄 필요 없이 보조단말기(200)에 디스플레이해 주어 입력신호를 받도록 함으로써, LCD창을 보다 넓게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주단말기(100)는, 자체로 구비한 LCD 등의 표시창에 키보드, 마우스, 조이스틱 또는 무선포인터 등의 입력수단을 표시할 필요없이, 보조단말기(200)의 LCD 등의 표시창에 키보드, 마우스, 조이스틱 또는 무선포인터 등의 입력수단을 표시한 후 명령을 입력받음으로써, 메신저, SNS 또는 게임 등을 할 시 작은 화면에 구애받지 않고 보다 넓은 입력환경(즉, 보조단말기(200)의 표시창)에서 입력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주제어부(130)는, 주단말기(100)의 전원이 오프(off)된 경우 이를 확인하며, 해당 확인된 주단말기(100)의 전원이 오프(off)에 따라 보조단말기전원오프명령신호를 생성시키며, 해당 생성된 보조단말기전원오프명령신호를 주송신부(140)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주송신부(140)는, 주제어부(130)로부터 보조단말기전원오프명령신호를 전달받으며, 해당 전달받은 보조단말기전원오프명령신호를 무선통신을 통해 보조단말기(200)로 전송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보조단말기(200)는, 주송신부(140)로부터 무선통신을 통해 보조단말기전원오프명령신호를 수신하며, 해당 수신된 보조단말기전원오프명령신호에 따라 전원을 오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조단말기(200)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전원을 오프하지 않는 경우에도 주단말기(100)의 전원 오프에 대응하여 자동으로 전원을 오프함으로써, 불필요한 전원의 낭비를 예방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주제어부(130)는, 영상 확장 모드 시(도 4를 참조)(즉, 주단말기(100)에 표시되는 영상과 보조단말기(200)에 표시되는 영상이 다른 경우)에 주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되는 영상데이터를 확장시켜 주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하기 위한 제1영상데이터와 보조단말기(200)로 전송해 주기 위한 화면신호에 해당하는 제2영상데이터로 분할하며, 해당 분할된 제1영상데이터를 주디스플레이부(120)로 전달해 주며, 해당 분할된 제2영상데이터를 화면신호로 변환시키며, 해당 변환된 화면신호를 주송신부(140)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주송신부(140)는, 주제어부(130)로부터 화면신호를 전달받으며, 해당 전달받은 화면신호를 무선통신을 통해 보조단말기(200)로 전송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보조단말기(200)는, 주송신부(140)로부터 무선통신을 통해 화면신호를 수신받으며, 해당 수신받은 화면신호에 대응하는 제2영상데이터를 디스플레이(즉, 도 3에서 후술할 보조디스플레이부(230))상으로 표시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주제어부(130)는, 부분 선택 모드 시(도 4를 참조)(즉, 주단말기(100)에 표시되는 영상 중 일 부분만을 선택하여 보조단말기(200)에 표시해 주는 경우)에 선택된 부분에 해당하는 영상데이터를 화면신호로 변환시키며, 해당 변환된 화면신호를 주송신부(140)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주송신부(140)는, 주제어부(130)로부터 화면신호를 전달받으며, 해당 전달받은 화면신호를 무선통신을 통해 보조단말기(200)로 전송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보조단말기(200)는, 주송신부(140)로부터 무선통신을 통해 화면신호를 수신받으며, 해당 수신받은 화면신호에 대응하는 제2영상데이터를 디스플레이(즉, 도 3에서 후술할 보조디스플레이부(230))상으로 표시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주제어부(130)는, 영상 확장 모드 시에 주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되는 영상데이터를 확장시켜 주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하기 위한 제1영상데이터와 보조단말기(200)로 전송해 주기 위한 화면신호에 해당하는 제2영상데이터로 분할하며, 제1영상데이터를 주디스플레이부(120)로 전달해 주며, 제2영상데이터를 화면신호로 변환시켜 주송신부(140)로 전달하고, 부분 선택 모드 시에 선택된 부분에 해당하는 영상데이터를 화면신호로 변환시켜 주송신부(140)로 전달할 수 있다.
주송신부(140)는, 주제어부(130)로부터 화면신호를 전달받으며, 해당 전달받은 화면신호를 무선통신을 통해 보조단말기(200)로 전송해 준다. 이때, 주송신부(140)는, 화면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무선통신 규격으로 대용량 전송이 가능한 통신망인 블루투스 또는 WiFi망을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주단말기(100)는, 입력부(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는, 보조 입력 모드, 영상 확장 모드 또는 부분 선택 모드를 선택받으며, 해당 선택받은 보조 입력 모드, 영상 확장 모드 선택 또는 부분 선택 모드 선택을 주제어부(130)로 전달한다.
도 3은 도 1에 있는 보조단말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보조단말기(200)는, 보조수신부(210), 보조제어부(220) 및 보조디스플레이부(230)를 포함한다.
보조수신부(210)는, 주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되는 화면신호를 무선통신을 통해 수신받으며, 해당 수신받은 화면신호를 보조제어부(220)로 전달한다.
보조제어부(220)는, 보조수신부(210)로부터 화면신호를 전달받으며, 해당 전달받은 화면신호를 화면데이터로 변환시키며, 해당 변환된 화면데이터를 보조디스플레이부(230)로 전달한다.
보조디스플레이부(230)는, 보조제어부(220)로부터 화면데이터를 전달받으며, 해당 전달받은 화면데이터를 표시해 준다. 이때, 보조디스플레이부(230)는, LED 또는 LCD 등의 화상 표시 장치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보조디스플레이부(230)는, 주단말기(100)에서 표시되는 화면의 해상도와 동일한 해상도를 가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단말기(100)에서 표시되는 화면의 해상도와 동일하지 아니한 해상도를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주단말기(100)가 FHD(1920 x 1080)의 해상도를 가질 때 보조디스플레이부(230) 또한 FHD(1920 x 1080)의 해상도를 가지거나, 주단말기(100)가 FHD(1920 x 1080)의 해상도를 가질 때 보조디스플레이부(230) UHD(1920 x 1080)의 해상도(4096 x 2160) 또는 HD(1280 x 720) 등의 해상도를 가질 수 있다. 해상도뿐만 아니라 화면 크기 또한 주단말기(100)에서 표시되는 화면의 크기와 동일한 크기를 가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단말기(100)에서 표시되는 화면의 크기보다 크거나 작은 화면의 크기를 가질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보조단말기(200)는, 보조입력부(240) 및 보조메모리부(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입력부(240)는, 사용자에 의한 터치를 입력받으며, 해당 입력받은 터치에 대응하는 터치입력값을 생성시키며, 해당 생성시킨 터치입력값을 보조제어부(220)로 전달한다.
일 실시 예에서, 보조입력부(240)는, 보조디스플레이부(230)의 표면에 형성되며, CRT나 LCD 등과 조합시켜 문장과 그림 등이 표시되어 있는 장소를 직접 누름으로써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투명 스위치 패널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투명스위치에는 적외선을 사용한 광학식과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ITO(인듐산화 주석)막을 피복한 투명 도전막의 접점을 사용하는 투명전극식, 스테인리스 강선을 투명 도전성 필름에 묻은 투명 도전성 필름, 정전용량의 변화를 검출하는 정전용량식, 패널에 닿은 손끝의 압력을 패널 주변에 배치한 압력센서에 대한 힘의 배분으로부터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보조입력부(240)는, 터치 방식 이외에도, 보조단말기(200)의 일측 또는 양측에 버튼 형태로 형성되어, 버튼의 누름을 감지하여 이에 대응하여 입력값을 생성시키며, 해당 생성시킨 입력값을 보조제어부(220)로 전달할 수 있다.
보조메모리부(250)는, 터치입력값별로 이에 해당하는 명령데이터(예를 들어, 화면 밝기 조절, 볼륨 조절 등)를 기 설정하여 저장해 둔다.
일 실시 예에서, 보조제어부(220)는, 보조입력부(240)로부터 터치입력값을 전달받아 이에 해당하는 명령데이터를 보조메모리부(250)로부터 판독하며, 판독한 명령데이터에 대응하는 명령신호를 생성시켜 후술할 송신부(209)를 통해 주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주단말기(100)는, 보조메모리부(250)로부터 명령신호를 수신받으며, 해당 수신받은 명령신호에 대응하여 제어(예를 들어, 화면 밝기 조절, 볼륨 조절 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보조단말기(200)는, 보조송신부(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송신부는, 보조제어부(220)로부터 명령신호를 전달받으며, 해당 전달받은 명령신호를 주단말기(100)로 무선통신을 통해 전송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주단말기
110: 주메모리부
120: 주디스플레이부
130: 주제어부
140: 주송신부
200: 보조단말기
210: 보조수신부
220: 보조제어부
230: 보조디스플레이부
240: 보조입력부
250: 보조메모리부

Claims (10)

  1. 디스플레이상으로 표시되는 화면신호를 무선통신을 통해 전송해 주는 주단말기; 및
    상기 주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화면신호를 무선통신을 통해 수신받아 디스플레이상으로 표시해 주는 보조단말기를 포함하는 복수 단말기 간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단말기는,
    상기 보조단말기와 무선 통신 연결을 수행한 후에 지정명령신호를 생성시켜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보조단말기로 전송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단말기 간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단말기는,
    듀얼 디스플레이 서비스 앱을 저장해 두기 위한 주메모리부;
    영상데이터를 전달받아 표시해 주기 위한 주디스플레이부;
    듀얼 디스플레이 서비스 앱을 구동시키며, 상기 주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기 위한 영상데이터를 상기 주디스플레이부로 전달해 주며, 상기 주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영상데이터를 화면신호로 변환시켜 전달하기 위한 주제어부; 및
    상기 주제어부로부터 화면신호를 전달받아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보조단말기로 전송해 주기 위한 주송신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단말기 간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주제어부는,
    보조 입력 모드 시에 보조키패드명령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주송신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단말기 간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단말기는,
    상기 주단말기로부터 무선통신을 통해 수신되는 보조키패드명령신호에 따라 보조입력수단을 디스플레이상으로 표시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단말기 간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주제어부는,
    상기 주단말기의 전원이 오프(off)된 경우 이를 확인하여 보조단말기전원오프명령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주송신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단말기 간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주제어부는,
    영상 확장 모드 시에 상기 주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영상데이터를 확장시켜 상기 주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기 위한 제1영상데이터와 상기 보조단말기로 전송해 주기 위한 화면신호에 해당하는 제2영상데이터로 분할하며, 제1영상데이터를 상기 주디스플레이부로 전달해 주며, 제2영상데이터를 화면신호로 변환시켜 상기 주송신부로 전달하고, 부분 선택 모드 시에 선택된 부분에 해당하는 영상데이터를 화면신호로 변환시켜 상기 주송신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단말기 간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단말기는,
    상기 주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화면신호를 무선통신을 통해 수신받기 위한 보조수신부;
    상기 보조수신부에서 수신받은 화면신호를 화면데이터로 변환시켜 주기 위한 보조제어부; 및
    상기 보조제어부에서 변환시킨 화면데이터를 표시해 주기 위한 보조디스플레이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단말기 간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단말기는,
    사용자에 의한 터치를 입력받아 이에 대응하는 터치입력값을 생성시켜 상기 보조제어부로 전달하기 위한 보조입력부; 및
    터치입력값별로 이에 해당하는 명령데이터를 기 설정하여 저장해 두는 보조메모리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단말기 간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제어부는,
    상기 보조입력부로부터 터치입력값을 전달받아 상기 보조메모리부로부터 이에 따른 명령데이터를 판독하며, 판독한 명령데이터에 대응하는 명령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주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단말기 간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50129515A 2015-09-14 2015-09-14 복수 단말기 간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 KR1017379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9515A KR101737951B1 (ko) 2015-09-14 2015-09-14 복수 단말기 간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9515A KR101737951B1 (ko) 2015-09-14 2015-09-14 복수 단말기 간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1925A true KR20170031925A (ko) 2017-03-22
KR101737951B1 KR101737951B1 (ko) 2017-05-19

Family

ID=58497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9515A KR101737951B1 (ko) 2015-09-14 2015-09-14 복수 단말기 간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795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1538A (ko) 2007-12-11 2009-06-16 김동환 휴대폰에 탈착 가능한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
KR101381637B1 (ko) 2012-10-11 2014-04-09 김길호 듀얼스크린 기능이 구비된 스마트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1538A (ko) 2007-12-11 2009-06-16 김동환 휴대폰에 탈착 가능한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
KR101381637B1 (ko) 2012-10-11 2014-04-09 김길호 듀얼스크린 기능이 구비된 스마트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7951B1 (ko) 2017-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17861A1 (en) Method of displaying graphic user interface and electronic device
WO2018113675A1 (zh) 视频播放的方法及终端设备
WO2018090575A1 (zh) 双屏终端、屏幕显示方法及装置
JP2022031339A (ja) 表示方法およびデバイス
US20200341600A1 (en) Method for Page Displaying and Terminals
KR101990567B1 (ko) 외부 입력 장치와 결합된 모바일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0782081B1 (ko) 휴대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데이터 통신 방법
US20120001852A1 (en) Computer keyboard having detachable multi-functional touchpad
CN103530032A (zh) 移动终端、图像显示装置及使用其的用户接口提供方法
KR20140111088A (ko) 문지르기 제스처를 검출하여 미리보기를 제공하는 모바일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30129745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40074141A (ko) 단말에서 애플리케이션 실행 윈도우 표시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US2015023459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keypad of electronic device
WO2021037074A1 (zh) 音频输出方法及电子设备
KR101737927B1 (ko)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
KR20150050883A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41610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8601195B2 (en) Primary display with selectively autonomous secondary display modules
KR20110016094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20140143610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20140028546A (ko) 키 입력 제어 장치 및 방법
CN104461430A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KR20140145480A (ko) 이동 단말기, 전자 펜 및 이의 제어 방법
CN111447598B (zh) 一种交互方法和显示设备
KR20140089868A (ko) 하이브리드 위젯을 제공하는 모바일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