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1871A - 스마트폰 앱을 이용한 그래픽 마커 와 온,오프라인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폰 앱을 이용한 그래픽 마커 와 온,오프라인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1871A
KR20170031871A KR1020150129368A KR20150129368A KR20170031871A KR 20170031871 A KR20170031871 A KR 20170031871A KR 1020150129368 A KR1020150129368 A KR 1020150129368A KR 20150129368 A KR20150129368 A KR 20150129368A KR 20170031871 A KR20170031871 A KR 201700318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roduct
purchase
stor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9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편준범
Original Assignee
편준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편준범 filed Critical 편준범
Priority to KR10201501293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31871A/ko
Publication of KR201700318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18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06Q30/0643Graphical representation of items or shopper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 앱을 포함하는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 앱은, 편의점이나 미장원, 식당 등 주변 상가 벽면에 부착된 광고 또는 회화, 사진 등 그래픽 판넬에 표기된 상품에 대한 정보가 내장된 마커를 스캔하여, 그 상품에 대한 정보를 인식하는 마커 인식부; 구매하고자 하는 고객의 위치 입력받는 매장정보 마크 입력부; 및 상기 입력받은 구매 예정 상품에 대한 정보를 연결된 온라인 쇼핑몰 서버에 전송하는 상품 정보 전송부;를 포함하는 스마트폰 앱을 이용한 온,오프라인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원거리에 있는 고객이 상품을 구매하기 위해 매장에 방문하지 않고,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상기 그래픽 판넬에 포함되어 있는 그래픽 마크를 스캔하여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들을 선택하고 제휴된 온라인 몰에서 구매하는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마트폰 앱을 이용한 그래픽 마커 와 온,오프라인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On, Offline Shoppoing System with Smartphone APP }
스마트폰 앱을 포함하는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편의점이나 미장원, 식당 등 주변 상가 벽면에 부착된 광고 또는 회화, 사진 등 그래픽 판넬에 표기된 상품에 대한 정보가 내장된 마커를 스캔하여, 그 상품에 대한 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입력받은 구매 상품정보와 구객이 스캔한 그래픽 판넬 위치정보를 연결된 온라인 쇼핑몰 서버에 전송하여 온,오프라인 연결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히 원거리(해외)에 있는 고객이 상품을 구매하기 위해 매장에 방문하지 않고,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상기 그래픽 판넬에 포함되어 있는 그래픽 마크를 스캔하여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들을 선택하고 제휴된 온라인 몰에서 구매하는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스마트폰 앱을 이용한 온, 오프라인 연동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품을 구매하는 고객들이 매장에 직접 방문하여 쇼핑을 하지 않고 인터넷 등 온라인 쇼핑몰 등에서 상품을 구매하는 고객들이 있다.
그러나, 직접 매장을 방문하여 쇼핑을 하는 경우 상품을 직접 확인하고 물건을 고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온라인 쇼핑몰 등에서 쇼핑을 하는 경우 시간의 제약을 없애는 장점은 있지만 물건을 직접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고객들이 주문할 때 불안감을 느껴왔던 것 또한 사실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상품을 구매하기 위해 고객은 단지 거주지역에 있는 가맹점의 벽면에 걸려있는 해당 상품의 광고 또는 관련 그래픽 판넬에 스마트폰 앱을 이용하여 상품의 정보가 표기된 그래픽 마크을 스캔하여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들을 선택하고 제휴된 온라인 쇼핑몰에서 구매결정을 함으로써 원거리에서도 편리한 쇼핑이 가능해 지도록 하는 모바일 장치를 이용한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자동으로 고객들이 스캐닝한 그 매장만의 독특한 타입의 마커(바코드) 정보를 판독하여 매장 등의 위치를 정보와 상품 정보를 인식함으로써 원거리, 특히 해외 지역이라도 거리에 구애받지 않는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품평 등의 통계 정보를 분석하고 제휴된 온라인 쇼핑몰 등에 제공하여 줌으로써, 온라인 쇼핑몰 등의 마케팅 자료 등에 활용될 수 있는 모바일 장치를 이용한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스마트폰 앱을 포함하는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 앱은, 그래픽 마커인식부에 의해 인식된 상품에 대한 정보와 매장정보를 근거리 가맹점에 설치된 광고 혹은 그래픽 반넬에 내장된 그래픽 마커를 스캔하여 고객의 구매 정보를 인식하고 그 인식된 정보를 활용하여 제휴된 온라인 쇼핑몰에서 상기 구매 예정 상품에 대한 정보를 전송받고, 그 전송받은 가격 정보를 바탕으로 제휴된 온라인 쇼핑몰 서버에 그 전송요청부가 입력받은 회원정보를 전송하여 회원인증을 수행하도록 요청하고, 그 제휴된 온라인 쇼핑몰 서버로부터 회원 인증 성공 정보를 전송받아 온라인 상에서 쇼핑이 진행되도록 하는 서비스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마트폰 앱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 SNS)와 연동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그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받은 상품평 정보를 포함한 상품 관련 정보를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전송하여 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로 하여금 그 전송받은 상품 관련 정보를 등록하고, 다른 사용자들에게 전파하거나 또는 다이렉트 메세지를 보내도록 요청하는 SNS연동부를 더 포함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상품을 구매하기 위해 상품 판매 매장을 방문하지 않고 스마트 폰을 이용하여 상품에 부착된 바코드를 스캔하여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들을 선택하고 제휴된 온라ㅗ인 쇼핑몰에서 구매결정을 함으로써, 원거리에서도 간편하게 스마트폰으로 고객들은 직접 상품을 확인하고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폰을 이용한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고객들이 매장을 방문할 필요없이 매장에서 직접 구매한 상품 또는 상품북이나 카탈로그 등에 부착되어 있는 그래픽 마크를 스캔하여 제휴된 온라인 쇼핑몰에서 구매결정을 함으로써, 매번 매장을 방문할 필요가 없이 신뢰할 수 있는 상품을 구매할 수 있고 쇼핑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스마트폰 앱을 이용한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으로 고객들이 스마트 폰 앱을 활용한 쇼핑을 즐기고 있는 매장만의 독특한 타입의 마커(바코드) 정보를 판독하여 매장 등의 위치를 파악하고 인식하고 상품 정보를 인식함으로써 장소에 구애받지 않는 범용의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와 연동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고객들이 직접 구매 상품 등에 대한 상품평 정보 등을 입력하고 이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해 다른 소비자들에게 전파되도록 하여 상품 뿐만 아니라 판매 매장에 대한 홍보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그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품평 등의 통계 정보를 분석하고 제휴된 온라인 쇼핑몰 등에 제공하여 줌으로써, 온라인 쇼핑몰 등의 마케팅 자료 등에 활용될 수 있는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의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부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래픽 마커 및 스마트폰 앱 예시도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모바일 장치를 이용한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볼 때, 본 발명의 스마트폰 앱을 이용한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스마트폰 앱(100)를 포함한다.
그리고, 스마트폰 앱(100)는 매장정보 마크(101) 상품정보 마크 (102), 매장정보 마크(103)를 포함한다.
그리고, 중앙쇼핑서버는 상품상세정보데이터베이스(301), 인증정보데이터베이스(302), 모바일 결제 시스템(303), 마크정보 인증부(304), 통계 산출부(305) 배송 관리부(306), 통계 전송부 (307) 및 정보제공부(308)를 포함한다.
먼저, 매장정보 마크(103)와 상품정보 마크 (102)는 스마트폰 앱을 활용하여 벽면에 걸려있는 그래픽에 포함된 상품에 대한 정보가 내장된 그래픽 마커를 스캔하여 그 상품에 대한 정보를 인식하고 그 인식된 상품에 대한정보를 지정 온라인 쇼핑몰에서 정보를 스마트폰으로 불러와 고객에게 표시하야 준다.
여기서, 상품 정보를 내장하고 있는 그래픽 마커는 K.Spot이라는 그래픽 내에 컬러나 특정 표식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이에 한정되지 않고 향후 상품 정보 인식이 가능한 모든 수단이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한편, 고객들은 가맹 매장에 방문하여 그래픽을 스마트폰 앱으로 스캐닝 하는 것 만으로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들을 스마트폰으로 선택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매장정보 마크(103)가 고객의 현재 위치한 매장의 정보를 파악하고, 그 파악된 현재 위치에 대응되는 매장 정보를 상품정보 마크 (102)에서 검색한 상품을 정확히 인식한다.
한편, 구매 예정 상품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도록 요청하면, 중앙쇼핑서버의 마크정보 인증부(304)에 회원정보와 구매 예정 상품 정보를 전송하면, 중앙쇼핑서버의 마크정보 인증부(304)가 제휴된 온라인 쇼핑몰(200)의 인증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인증정보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상품전송부(108)로부터 회원정보와 구매 예정 상품 정보를 전송받고, 제휴된 온라인 쇼핑몰(200) 서버에 회원 인증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마크정보 인증부(304)에서 인증이 성공하는 경우 그 제휴된 온라인 쇼핑몰(200) 서버에 구매 예정 상품 정보를 저장되고 배송 관리부(306)가 배송정보를 서버에 저장한다.
이때, 정보수집부(305)가 제휴된 온라인 쇼핑몰(200)의 서버로부터 전송받아 인증정보데이터베이스(302)에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휴된 온라인 쇼핑몰(300)은 위치인식부에 의해 인식된 상품 판매 매장과 제휴된 온라인 쇼핑몰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스마트폰 앱(100)의 상품출력부(109)는 온라인 쇼핑몰 서버에 저장된 구매 예정 상품에 대한 정보를 출력한다.
그리고, 중앙쇼핑서버의 상품상세정보데이터베이스(301)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휴된 온라인 쇼핑몰(300)에서 판매되는 상품에 대한 가격을 포함한 상세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중앙쇼핑서버의 정보제공부(308)는 제휴된 온라인 쇼핑몰(300)의 서버로부터 통계 정보 제공을 요청받고, 모바일 결제 시스템(303)에서 통계 정보를 검색하여 그 제휴된 온라인 쇼핑몰(300)의 서버에 전송한다.
또한, 스마트폰 앱(100)의 SNS연동부(103)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 SNS)(400)와 연동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그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받은 상품평 정보를 포함한 상품 관련 정보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400) 제공 서버에 전송하여 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400) 제공 서버로 하여금 그 전송받은 상품 관련 정보를 등록하고, 다른 사용자들에게 전파하거나 또는 다이렉트 메세지를 보내도록 요청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부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래픽 마커 및 스마트폰 앱 예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면, 먼저, 스마트폰 앱(100)가 벽면에 설치된 그래픽을 통해 상품에 대한 정보가 내장된 그래픽 마커를 스캔하여 그 상품에 대한 정보를 인식한다(단계 S100).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단계 S100은 고객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고, 그 파악된 현재 위치에 대응되는 상품판매 매장 정보와 상품정보 마크 (102)에서 검색하여 검색된 상품정보를 인식한다.
그 다음, 단계 S100에서 인식된 상품에 대한 정보를 마커정보데이터베이스(101)에 저장한다(단계 S200). 그 다음, 단계 S200에서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품에 대한 정보 중 구매하고자 하는 어느 하나 이상의 구매 예정 상품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인터페이스를 통해 고객으로부터 입력받는다(단계 S300).
그 다음, 제휴된 온라인 쇼핑몰 중에서 단계 S300에서 입력받은 구매 예정 상품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어느 하나의 온라인 쇼핑몰을 결정한다(단계 S400).
그 다음, 중앙쇼핑서버로부터 제휴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되는 구매 예정 상품에 대한 가격 정보를 수신한다(단계 S400).
그 다음, 온라인 쇼핑몰에 대해 산출된 제품정보를 사용자인터페이스를 통해 고객에게 제공한다(단계S500).
한편, 단계 S400은, 단계 S100에서 인식된 상품 판매 매장과 제휴된 온라인 쇼핑몰을 단계 S300에서 입력받은 구매 예정 상품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온라인 쇼핑몰로 결정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그 결정된 온라인 쇼핑몰(300)의 서버로부터 회원 인증 성공 정보를 수신하면 단계 S400에서 입력받은 구매 예정 상품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도록 그 온라인 쇼핑몰(300)의 서버에 전송한다(단계 S500).
그 다음, 중앙쇼핑서버가, 상품 판매 매장별 또는 제휴된 온라인 쇼핑몰별 판매 상품 순위를 포함한 각종통계 정보를 산출하여 그 산출된 통계 정보를 모바일 결제 시스템(303)에 저장한다.
마지막으로, 중앙쇼핑서버가, 제휴된 온라인 쇼핑몰(300)의 서버로부터 통계 정보 제공을 요청받고, 통계정보데이터베이스에서 통계 정보를 검색하여 제휴된 온라인 쇼핑몰은 배송을 진행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스마트폰 앱 101 : 매장정보 마크
102 : 상품정보 마크 103 : 마크정보 전송부
301 : 상품상세정보데이터베이스 302 : 인증정보데이터베이스
303 : 모바일 결제 시스템 304 : 마크정보 인증부
305 : 통계 산출부 306 : 배송 관리부
307 : 동계 전송부 308 : 정보 제공부

Claims (1)

  1. 스마트폰 앱을 포함하는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 앱은, 편의점이나 미장원, 식당 등 주변 상가 벽면에 부착된 광고 또는 회화, 사진 등 그래픽 판넬에 표기된 상품에 대한 정보가 내장된 마커를 스캔하여, 그 상품에 대한 정보를 인식하는 마커 인식부; 구매하고자 하는 고객의 위치 입력받는 매장정보 마크 입력부; 및 상기 입력받은 구매 예정 상품에 대한 정보를 연결된 온라인 쇼핑몰 서버에 전송하는 상품 정보 전송부;를 포함하는 스마트폰 앱을 이용한 온,오프라인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원거리에 있는 고객이 상품을 구매하기 위해 매장에 방문하지 않고,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상기 그래픽 판넬에 포함되어 있는 그래픽 마크를 스캔하여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들을 선택하고 제휴된 온라인 몰에서 구매하는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시스템.
KR1020150129368A 2015-09-13 2015-09-13 스마트폰 앱을 이용한 그래픽 마커 와 온,오프라인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0318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9368A KR20170031871A (ko) 2015-09-13 2015-09-13 스마트폰 앱을 이용한 그래픽 마커 와 온,오프라인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9368A KR20170031871A (ko) 2015-09-13 2015-09-13 스마트폰 앱을 이용한 그래픽 마커 와 온,오프라인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1871A true KR20170031871A (ko) 2017-03-22

Family

ID=58497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9368A KR20170031871A (ko) 2015-09-13 2015-09-13 스마트폰 앱을 이용한 그래픽 마커 와 온,오프라인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3187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098744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location-based incentives and purchase opportunities to reward program members
US9760896B2 (en) Acquiring customer insight in a retail environment
US20160247149A1 (en)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executing a mobile transaction
US20130282533A1 (en) Providing an online consumer shopping experience in-store
US20130339113A1 (en) Systems and/or methods for managing "show-rooming" practices
US20130332291A1 (en) Shopping information system and method
CA2840179A1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 dynamic purchase incentive
KR20190085763A (ko) 추천 가맹점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추천 가맹점 정보 제공 장치
US20140278858A1 (en) METHOD FOR GENERATING, DISTRIBUTING, and REDEEMING ELECTRONIC COUPONS
KR102257596B1 (ko) 스마트 제품 등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국경간 온라인 상거래 시스템
US20160292731A1 (en) Contextual real-time marketing
KR101669882B1 (ko) 증강 현실 기반 쇼핑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US20150178768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rmediating electronic commerce using offline transaction information
KR20190083460A (ko) 이동식 점포를 이용한 배달 주문 서비스 시스템
US20150348005A1 (en) System for wirelessly transmitting transaction data to a mobile computing device of a user
KR101576874B1 (ko) 상품 거래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70085281A (ko) 증강 현실 기반 쇼핑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JP2019144425A (ja) クーポン・広告情報の表示を最適化する自動販売機、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120087594A (ko) 위치기반 상품, 및 서비스 중개 시스템
US20170270503A1 (en) Shopping service system and method using smart reader, and smart commerce method using same
KR20140134769A (ko) 단말장치를 이용한 포인트 적립/사용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2008941B1 (ko) 통합 쇼핑몰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585579B1 (ko) 상품 할인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24245A (ko) 상품 이미지 등 상품 식별을 위한 최소 정보를 활용하여 상품 주문/결제 커머스 모델
KR101613277B1 (ko) 증강 현실 기반 쇼핑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