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1333A - 사용패턴의 통계적 처리를 통한 gui가 표시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패턴의 통계적 처리를 통한 gui가 표시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1333A
KR20170031333A KR1020150128684A KR20150128684A KR20170031333A KR 20170031333 A KR20170031333 A KR 20170031333A KR 1020150128684 A KR1020150128684 A KR 1020150128684A KR 20150128684 A KR20150128684 A KR 20150128684A KR 20170031333 A KR20170031333 A KR 201700313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touch
display device
frequency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86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충윤
김용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아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아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아이티
Priority to KR10201501286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31333A/ko
Priority to PCT/KR2015/011312 priority patent/WO2017043691A1/ko
Publication of KR201700313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13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사용패턴의 통계적 처리를 통한 GUI가 표시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을 개시한다. 본 명세서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툴바가 포함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출력부; 상기 화면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센싱하는 센싱부; 및 상기 센싱부에서 수신된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치에 있어서, 상기 툴바는 다수의 입력창이 포함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창에 대한 입력 횟수, 빈도, 주기 분석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상기 입력창 중 사용 빈도가 높은 입력창을 사용자의 눈높이에 해당하는 위치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용패턴의 통계적 처리를 통한 GUI가 표시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DISPLAY APPARATUS DISPLAYING GUI THROUGH THE STATISTICAL PROCESSING OF USAGE PATTERN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명세서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패턴의 통계적 처리를 통한 GUI가 표시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형 디스플레이 기술의 발전에 따라, 기존 칠판 또는 빔프로젝트 대신 전자칠판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교육 환경에서는 전자칠판을 이용하여 효율적인 학습을 수행하고 있고 있으며, 사업현장에서는 프레젼테이션 등 다양한 콘텐츠를 표시하는 용도로 활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디스플레이를 사용하는 제품의 경우, 화면 하단, 좌우측면에 다양한 기능을 입력할 수 있는 툴바(TOOL BAR)를 표시하기 마련이다. 하지만, 사용자에 따라 자주 사용하는 메뉴가 다양함에도 미리 고정된 메뉴가 고정된 위치에 표시되는 것은 사용자를 불편하게 만드는 요소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을 인식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패턴의 통계적 처리를 통한 GUI가 표시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툴바가 포함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출력부; 상기 화면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센싱하는 센싱부; 및 상기 센싱부에서 수신된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툴바는 다수의 입력창이 포함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창에 대한 입력 횟수, 빈도, 주기 분석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상기 입력창 중 사용 빈도가 높은 입력창을 사용자의 눈높이에 해당하는 위치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 빈도가 높은 입력창이 사용자의 눈 높이에 맞추어 표시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가 향상된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에 따라 툴바가 표시된 화면의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통신부(110), 입력부(120), 센싱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통신부(1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통신 시스템 사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100) 사이,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1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디스플레이 장치 내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디스플레이 장치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팁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디스플레이 장치(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와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센싱부(140)는 디스플레이 장치 내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고, 이에 대응하는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제어부(180)는 이러한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동 또는 동작을 제어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처리,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 할 수 있다. 센싱부(140)에 포함될 수 있는 다양한 센서 중 대표적인 센서들의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근접 센서(141)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 등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이러한 근접 센서(141)는 위에서 살펴본 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근접 센서(141)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 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터치 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 근접 센서(141)는 전도성을 갖는 물체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물체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센서) 자체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 있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 터치 스크린 상에 물체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물체가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명명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물체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명명한다.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물체가 근접 터치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물체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물체가 상기 터치 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위와 같이, 근접 센서(141)를 통해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데이터(또는 정보)를 처리하며, 나아가, 처리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시각적인 정보를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시킬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 상의 동일한 지점에 대한 터치가, 근접 터치인지 또는 접촉 터치인지에 따라, 서로 다른 동작 또는 데이터(또는 정보)가 처리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 방식, 적외선 방식, 초음파 방식, 자기장 방식 등 여러 가지 터치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또는 디스플레이부(151))에 가해지는 터치(또는 터치입력)을 감지한다.
일 예로서,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 상에 터치를 가하는 터치 대상체가 터치 센서 상에 터치 되는 위치, 면적, 터치 시의 압력, 터치 시의 정전 용량 등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터치 대상체는 상기 터치 센서에 터치를 인가하는 물체로서, 예를 들어, 손가락, 터치펜 또는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포인터 등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터치 제어기는, 제어부(180)와 별도의 구성요소일 수 있고, 제어부(180) 자체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스크린 이외에 구비된 터치키)을 터치하는,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하거나,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할지 또는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지는, 현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상태 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위에서 살펴본 터치 센서 및 근접 센서는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되어, 터치 스크린에 대한 숏(또는 탭) 터치(short touch), 롱 터치(long touch), 멀티 터치(multi touch), 드래그 터치(drag touch), 플리크 터치(flick touch), 핀치-인 터치(pinch-in touch), 핀치-아웃 터치(pinch-out 터치), 스와이프(swype) 터치, 호버링(hovering) 터치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의 터치를 센싱할 수 있다.
초음파 센서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광 센서와 복수의 초음파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정보를 통해, 파동 발생원의 위치를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파동 발생원의 위치는, 광이 초음파보다 매우 빠른 성질, 즉, 광이 광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이 초음파가 초음파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보다 매우 빠름을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광을 기준 신호로 초음파가 도달하는 시간과의 시간차를 이용하여 파동 발생원의 위치가 산출될 수 있다.
한편, 입력부(120)의 구성으로 살펴본, 카메라(121)는 카메라 센서(예를 들어, CCD, CMOS 등), 포토 센서(또는 이미지 센서) 및 레이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카메라(121)와 레이저 센서는 서로 조합되어, 3차원 입체영상에 대한 감지대상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포토 센서는 디스플레이 소자에 적층될 수 있는데, 이러한 포토 센서는 터치 스크린에 근접한 감지대상의 움직임을 스캐닝하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포토 센서는 행/열에 Photo Diode와 TR(Transistor)를 실장하여 Photo Diode에 인가되는 빛의 양에 따라 변화되는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포토 센서 위에 올려지는 내용물을 스캔한다. 즉, 포토 센서는 빛의 변화량에 따른 감지대상의 좌표 계산을 수행하며, 이를 통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입체영상을 표시하는 입체 디스플레이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입체 디스플레이부에는 스테레오스코픽 방식(안경 방식), 오토 스테레오스코픽 방식(무안경 방식), 프로젝션 방식(홀로그래픽 방식) 등의 3차원 디스플레이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명세서에 따라 툴바가 표시된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화면의 좌측 모서리에 툴바(tool bar)가 표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툴바는 상기 입력부(120)의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 다양한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아이콘들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도 2에 도시된 툴바의 형태 및 포함된 아이콘의 개수 및 종류는 일 예시에 불과하며 다양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다만, 상기 툴바가 표시된 영역으로 인해, 화면에 표시된 컨텐츠의 일부가 가려진다거나, 필기와 같은 터치 입력이 제한되는 상황이 발생하기도 한다.
대형 디스플레이의 경우, 필기를 진행하는 사용자는 매우 근접하게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모든 입력창이 모두 사용자의 눈높이에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입력창에 대한 입력 횟수, 빈도, 주기 분석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상기 입력창 중 사용 빈도가 높은 입력창을 사용자의 눈높이에 해당하는 위치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상기 구성들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명세서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디스플레이 장치
110: 통신부
120: 입력부
140: 센싱부
150: 출력부
160: 인터페이스부
170: 메모리
180: 제어부
190: 전원공급부

Claims (1)

  1. 툴바가 포함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출력부;
    상기 화면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센싱하는 센싱부; 및
    상기 센싱부에서 수신된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툴바는, 다수의 입력창이 포함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창에 대한 입력 횟수, 빈도, 주기 분석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상기 입력창 중 사용 빈도가 높은 입력창을 사용자의 눈높이에 해당하는 위치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50128684A 2015-09-11 2015-09-11 사용패턴의 통계적 처리를 통한 gui가 표시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 KR2017003133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8684A KR20170031333A (ko) 2015-09-11 2015-09-11 사용패턴의 통계적 처리를 통한 gui가 표시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
PCT/KR2015/011312 WO2017043691A1 (ko) 2015-09-11 2015-10-26 사용패턴의 통계적 처리를 통한 gui가 표시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8684A KR20170031333A (ko) 2015-09-11 2015-09-11 사용패턴의 통계적 처리를 통한 gui가 표시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1333A true KR20170031333A (ko) 2017-03-21

Family

ID=58240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8684A KR20170031333A (ko) 2015-09-11 2015-09-11 사용패턴의 통계적 처리를 통한 gui가 표시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70031333A (ko)
WO (1) WO201704369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82287A1 (ko) * 2017-03-28 2018-10-04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의 저전력 구동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4318B1 (ko) * 2008-10-14 2015-11-0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방법
DE112010005736B4 (de) * 2010-07-13 2020-03-26 Lg Electronics Inc. Mobiles Endgerät und Konfigurationsverfahren für einen Ruhebildschirm desselben
KR20120011752A (ko) * 2010-07-30 2012-02-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사용 패턴에 따라 변화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그 방법
US20130152001A1 (en) * 2011-12-09 2013-06-13 Microsoft Corporation Adjusting user interface elements
KR20150068672A (ko) * 2013-12-12 2015-06-22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사용자 맞춤형 메뉴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82287A1 (ko) * 2017-03-28 2018-10-04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의 저전력 구동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US11106307B2 (en) 2017-03-28 2021-08-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low power driving of display and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43691A1 (ko) 2017-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62809B1 (en) Eyewear device with finger activated touch sensor
US10444908B2 (en) Virtual touchpads for wearable and portable devices
US9377873B2 (en) Flexible glass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0241613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8797317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70068418A1 (en) Electronic apparatus, recording medium, and operation method of electronic apparatus
EP393354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 bending state of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US10114501B2 (en) Wearable electronic device using a touch input and a hovering input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19009112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2015026882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computer program
US20170024124A1 (en) Input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put device
US11308704B2 (en) Mobile terminal for controlling VR imag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20150177947A1 (en) Enhanced User Interface Systems and Methods for Electronic Devices
KR200477008Y1 (ko) 마우스 겸용 스마트폰
EP2772833A1 (en) System and method of determining stylus location on touch-sensitive display
KR102227290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31333A (ko) 사용패턴의 통계적 처리를 통한 gui가 표시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
KR2015013783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정보 제공방법
KR20170031332A (ko) 화면에 표시된 소프트웨어에 따라 입력가능영역이 제한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
KR20170031331A (ko) 투명도 조절이 가능한 툴바가 표시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
KR101397812B1 (ko) 원격 터치 및 드래그 방식 입력 시스템
US20140247228A1 (en) System and method of determining stylus location on touch-sensitive display
KR101838609B1 (ko) 영상의 일절 범위에 대한 화질 확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146377A (ko)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KR101624799B1 (ko) 이동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