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1158A - 폐기물에 들어있는 유기 물질로부터 액체 및 기체 연료를 연속 생산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폐기물에 들어있는 유기 물질로부터 액체 및 기체 연료를 연속 생산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1158A
KR20170031158A KR1020177002955A KR20177002955A KR20170031158A KR 20170031158 A KR20170031158 A KR 20170031158A KR 1020177002955 A KR1020177002955 A KR 1020177002955A KR 20177002955 A KR20177002955 A KR 20177002955A KR 20170031158 A KR20170031158 A KR 201700311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gas
wastes
liquid
organic materi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2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알로이스 바시켁
Original Assignee
알파자르 그룹 에스.알.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파자르 그룹 에스.알.오. filed Critical 알파자르 그룹 에스.알.오.
Publication of KR20170031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1158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49/00Destructive distillation of solid carbonaceous materials by direct heating with heat-carrying agents including the partial combustion of the solid material to be treated
    • C10B49/02Destructive distillation of solid carbonaceous materials by direct heating with heat-carrying agents including the partial combustion of the solid material to be treated with hot gases or vapours, e.g. hot gases obtained by partial combustion of the charg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53/00Destructive distill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olid raw materials or solid raw materials in special form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53/00Destructive distill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olid raw materials or solid raw materials in special form
    • C10B53/02Destructive distill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olid raw materials or solid raw materials in special form of cellulose-contain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53/00Destructive distill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olid raw materials or solid raw materials in special form
    • C10B53/07Destructive distill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olid raw materials or solid raw materials in special form of solid raw materials consisting of synthetic polymeric materials, e.g. tyr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1/00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from oil-shale, oil-sand, or non-melting solid carbonaceous or similar materials, e.g. wood, coal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1/00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from oil-shale, oil-sand, or non-melting solid carbonaceous or similar materials, e.g. wood, coal
    • C10G1/02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from oil-shale, oil-sand, or non-melting solid carbonaceous or similar materials, e.g. wood, coal by distill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1/00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from oil-shale, oil-sand, or non-melting solid carbonaceous or similar materials, e.g. wood, coal
    • C10G1/10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from oil-shale, oil-sand, or non-melting solid carbonaceous or similar materials, e.g. wood, coal from rubber or rubber wast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2300/00Aspects relating to hydrocarbon processing covered by groups C10G1/00 - C10G99/00
    • C10G2300/10Feedstock materials
    • C10G2300/1003Waste materi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10Biofuels, e.g. bio-diesel
    • Y02E50/14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141Feedstock
    • Y02P20/143Feedstock the feedstock being recycled material, e.g. plastic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 For Refining Petroleum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기물, 특히 산업 폐기물, 농작물, 생활 폐기물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폐기물에 들어있는 유기 물질로부터 액체 및 기체 연료를 연속 생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방법은 이러한 폐기물을 사용가능한 저분자량 탄화수소계 연료나 다른 잔류 무기물 또는 재활용이나 매립을 위한 다른 물질로 열분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특히 종이, 플라스틱, 고무, 분쇄되지 않은 폐타이어, 목재 폐기물, 톱밥, 음식물 쓰레기, 폐기름, 포장지와 같이 유기 물질을 포함하는 처리된 폐기물을 공기가 접근하지 못하도록 구성된 밀폐된 반응 공간에서 가열된 가스 불활성 매체에 의해 열적으로 분해시키고, 이 때 유기 물질, 특히 고분자 물질의 분해로 인해 자연 발생된 정전기적 전하의 영향에 의해, 에어로졸(aerosol) 내의 캐리어 가스와 같은 가스 불활성 매체와의 혼합물에서 탄화수소의 형태로 저분자 물질이 분해되며, 그런 다음 생성된 에어로졸에 대해 냉각, 침전 및 그 안에 들어 있는 기체 및 액체 저분자 탄화수소의 상호 분리 공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밀폐된 반응 공간으로부터 유기 물질의 모든 부분이 분해된 후에, 처리된 폐기물의 모든 잔류 무기물 또는 다른 물질들이 점차적으로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폐기물에 들어있는 유기 물질로부터 액체 및 기체 연료를 연속 생산하기 위한 방법 {Method of continuous production of liquid and gaseous fuels from the part of organic substances in the waste}
본 발명은 폐기물, 특히 산업 폐기물, 농작물, 도시 쓰레기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폐기물에 들어있는 유기 물질로부터 액체 및 기체 연료를 연속 생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산업의 발달과 함께 연소식 엔진에 의한 에너지 사용이 증가하고 있으나, 석유, 석탄 및 천연 가스와 같은 화석 연료의 경우 유한한 매장량을 가지고 있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고체 연료의 사용 방법은 증기 기관을 사용하던 시대로부터 익히 알려져 있으며, 이들은 화력 발전소 및 일부 난방용 플랜트와 같은 안정화된 장치에서 지금까지도 실제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설계의 단순함과 적은 중량에 의한 탁월한 이동성으로 인해, 연소식 엔진이 실제 사용에 있어 독점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아직은 예측하기 힘들지만, 석유의 재고, 즉 액체 연료의 고갈 이후 증기 기관의 시대와 마찬가지로 고체 연료를 다시 사용하는 에너지 모바일 시스템(energy mobile system)으로 회귀할 가능성이 있다.
사용 가능한 고형물로부터 액체 연료를 생산하는 것은 새로운 개념은 아니며, 이미 제2차 세계대전 중 독일은 석탄에서 가솔린을 생산한 바 있다. 또한, 석탄 가스에서 에너지를 추출하여 가정 및 산업용 건물에 분배하는 시스템도 이미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방법들은 석탄의 열처리 방법에 의존하고 있는데, 즉 액체나 가스 상태로 존재하는 탄화수소 및 일산화탄소가 가열에 따라 석탄에서 분리되도록 구성된다. 재생 가능 자원으로부터 원자재를 추출하는 것이 아니므로, 이들은 석유계 공급원과 동일한 적용 분야에 있다.
액체 연료의 획득을 위한 다른 기 공지된 방법은 생명 공학과 관련되는데, 미생물의 사용에 의해 메탄 또는 알코올의 생산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발효와 관련된 생명 공학에서는 설탕의 고분자인 내재 물질, 특히 D-포도당에 함유된 영양소를 활용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다당류는 효소 또는 화학적 방법에 의해, 단순한 당으로 분리된 후 발효를 거치도록 구성된다. 최근, 이러한 기술은 곡물로부터 에탄올을 생산하는 방법에 의해 보완되었는데, 과거에 이러한 방법은 식용 알콜을 얻기 위해서만 실제적으로 사용되었다.
한편, 기체 및 액체 연료를 얻기 위한 상술한 방법들의 경우, 이들 기술들 모두 선정된 순수 원료 이외의 다른 곳에는 적용 불가능하다는 단점을 가진다. 폐기물 중에는 상이한 화학 성분을 가진 유기 물질과 무기 물질이 함께 존재하는데, 이러한 폐기물에서 유기 물질을 사용하는 기술은 많이 알려져 있지 않다. 기 공지된 기술들은 2개의 그룹으로 분류될 수 있는데, 그 중 하나는 열분해(pyrolysis) 방법으로서, 고온에 의해 가스 및 액체 생성물과 함께 비정형화된 조성을 갖는 베이크식(baked) 고분자 물질 형태의 열분해 잔류물이 항상 얻어지도록 구성된다. 열분해 생성물은 자체 반응의 과정에서 다양한 조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이러한 생성물은 천연 가스나 상기 언급된 다른 원료에 기초한 연료의 경우와 같이 보편적으로 사용할 수는 없다. 이러한 방법에 대해, 열분해 잔류물을 분리시키지 않는 공정을 더해 넣을 수도 있으나, 아직까지는 이에 대한 실용적이고 경제적인 해결 방안이 발견되지 않았다. 이러한 방법에서는, 특수한 챔버에서 전체 물질을 "플라즈마 형태로 증발시켜", 가스 형태로 만든 후 이들을 연소시키도록 구성된다. 플라즈마는 매우 효율적인 레이저에 의해 생성되도록 구성되는데, 레이저는 초기 투자비가 매우 높아 가격 부담을 초래하므로, 이러한 장치에 필요한 에너지 요구량과 관계없이 본 기술의 사용을 용이하지 않게 만든다.
다른 하나의 방법은 예컨대, 체코의 특허번호 CZ 283812호, "도시 쓰레기로부터 플라스틱을 처리하는 방법"에 개시된 바와 같은 부분 산화를 사용하는 방법으로서, 본 기술에서는, 플라스틱의 용융물이 연소하는 탄소의 환원성 분위기(reducing atmosphere)에서 분해되도록 구성된다. 이 방법은 입력 원료의 자체 조성과는 독립적으로 사용 가능하나, 반드시 용융물의 형태로 된 반응 환경에서 공정이 수행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본 기술은 선택 가능한 폐기물에 대해 제한을 받는 단점을 가진다.
미국특허 출원번호 2008182911와 같은 특허문헌에, 산업 폐기물, 농작물 및 도시 쓰레기 중에 들어있는 유기 물질로부터 액체 및 기체 연료를 획득하기 위한 다른 방법이 개시되어 있는데, 본 기술에서는, 메탄올이 발생할 수 있는 바람직하고 적절한 비율로, 유기 물질을 포함하는 폐기물을 수소의 환원성 환경에서 이산화탄소의 전환하는 방법에 기초하여, 사용가능한 액체 연료로 전환하기 위한 방법 및 기구에 대해 개시한다. 또한, 다양한 파생물 형태의 액체 연료가 발생되도록 구성된다.
국제특허 공개번호 WO 2012/095288에는 바이오매스(biomass) 또는 유기 물질을 포함하는 폐기물이 함께 혼합된 석탄의 열수 탄화(hydrothermal carbonation)에 기초하여, 합성 원료 가스로부터 연료 가스를 제조하는 방법이 추가로 공지되어 있다. 이 과정에서 물질은 화염에 의해 가스화되는데, 이 때 발생하는 흡열 및 발열 반응은 평형 상태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에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는 가스화제(gasification agent) 및 탄화 물질 증기의 배수를 위한 수송제(transport agent)로서 작용하도록 구성된다. 이산화탄소와 별도의 탄화 생성물과의 반응에 의해 메탄올 및 추가의 연료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미국특허 출원번호 2008182911에 개시된 방법과 유사). 그러나 이 방법도 범용적인 사용에는 이르지 못하였다.
미국특허 출원번호 US 1992965104호를 우선권으로 주장하여 출원된 체코의 특허번호 CZ 283812호에는, 환원, 합성 또는 연료 가스의 제조를 위한 폐플라스틱의 재사용 방법이 공지되어 있는데, 여기서는 분말형 플라스틱이 이산화 티타늄, 바륨 탄산염, 활석(talk), 점토, 알루미나 또는 알루미노 실리케이트(aluminosilicates)에 기반한 무기물과 혼합되도록 구성된다. 이 공정에서 플라스틱 대신에 석탄 또는 액체 탄화수소의 폐기물도 동일하게 사용 가능하며, 이들 혼합물은 환원 가스의 형성과 함께 산화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본 방법의 단점은 독성을 가진 일산화탄소가 포함된 가스를 배출한다는 것으로, 이로 인해 생태계에 큰 부담을 줄 수 있으므로, 오늘날 폐플라스틱이 범람하더러도 본 방법의 적용은 어렵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방법들에 드러난 단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폐기물에 들어있는 유기 물질로부터 액체 및 기체 연료를 연속 생산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상술한 방법들에 드러난 단점들은 폐기물, 특히 산업 폐기물, 농작물, 생활 폐기물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폐기물에 들어있는 유기 물질로부터 액체 및 기체 연료를 연속 생산하는 방법에 의해 극복 가능하며, 본 방법은 이러한 폐기물을 사용가능한 저분자량 탄화수소계 연료나 다른 잔류 무기물 또는 재활용이나 매립을 위한 다른 물질로 열분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본 발명에 따르면, 특히 종이, 플라스틱, 고무, 분쇄되지 않은 폐타이어, 목재 폐기물, 톱밥, 음식물 쓰레기, 폐기름, 포장지와 같이 유기 물질을 포함하는 처리된 폐기물을 공기가 접근하지 못하도록 구성된 밀폐된 반응 공간에서 가열된 가스 불활성 매체에 의해 열적으로 분해시키고, 이 때 유기 물질, 특히 고분자 물질의 분해로 인해 자연 발생된 정전기적 전하의 영향에 의해, 에어로졸(aerosol) 내의 캐리어 가스와 같은 가스 불활성 매체와의 혼합물에서 탄화수소의 형태로 저분자 물질이 분해되며, 그런 다음 생성된 에어로졸에 대해 냉각, 침전 및 그 안에 들어 있는 기체 및 액체 저분자 탄화수소의 상호 분리 공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밀폐된 반응 공간으로부터 유기 물질의 모든 부분이 분해된 후에, 처리된 폐기물의 모든 잔류 무기물 또는 다른 물질들이 점차적으로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밀폐된 반응 공간을 통한 가스 불활성 매체의 유동 및 그의 소산과 더불어 저분자 물질의 분산이, 이러한 반응 공간의 출구 압력을 감소시킴으로써 수행된다는 점에서 장점을 가지며, 반응 공간의 출구에 대한 온도 구배의 제어된 감소에 의해, 생성된 저분자 탄화수소에서 더 좁은 분포 곡선의 화학적 조성이 제공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반응 공간의 출구 압력의 감소는 0.01 내지 0.03 MPa의 부압치까지 수행됨으로써, 반응 공간에서의 가스 불활성 매체의 최적 유동 속도가 0.001 내지 0.02 m/s의 범위를 갖고 100 내지 350 K/m의 온도 구배가 구현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은 또한, 가스 불활성 매체가 50 내지 85%의 질소, 13 내지 25%의 이산화탄소 및 1 내지 5%의 일산화탄소의 체적 함량을 갖고, 나머지는 과열 수증기가 생성되도록 구성된다. 그런 다음, 본 발명의 최적 구현예에서, 가스 불활성 매체의 소비량은, 처리된 폐기물에서 10 내지 80초 동안 작동시, 처리된 폐기물 중 0.2 내지 3 m3/kg의 양이 소비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헬륨, 아르곤 및 이들의 혼합물과 같은 다른 가스 불활성 매체도 사용 가능하지만, 이들의 실제 사용은 가용성 및 가격에 의해 제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실제 구현예에서, 유기 물질을 함유한 폐기물은 5개의 연속된 기술적 단계에서 열적으로 분해되며, 제1단계에서 300 내지 900℃의 입력 온도에서 반응을 위한 가스 불활성 매체가 생성된 후, 제2단계에서 반응 공간 내에서 폐기물이 처리되는 공정의 방향으로 흘러 가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제2단계에서, 처리된 폐기물을 온도 구배에 비례하는 속도로 열적 분해시키도록 구성되는데, 이것이 의미하는 바는, 이미 상당 부분 부분적으로 분해 처리 완료된 폐기물을 여전히 고온으로 가열된 공간 내에서 공정을 거치도록 함으로써, 더 높은 분해 전환율과 함께 이로서 출력된 산물이 더 좁은 분포 곡선의 조성을 갖도록 보장한다는 것이다. 제3단계에서 생성된 에어로졸은 20℃ 이하의 온도로 냉각된 후, 제4단계에서, 에어로졸의 저분자 탄화수소의 액체 부분이 가스로부터 분리되고, 최종적으로 제5단계의 가스 불활성 매체에 대한 처리 공정에서 -40℃ 이하의 온도로 냉각시키거나 또는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4 MPa의 압력에서 압축하여 액화시키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실제 구현예에서, 반응 공간은 처리된 폐기물의 투입구에 장착되는 수직 또는 수평 반응기에서 생성되며, 충전 챔버 및 밀폐 시스템을 갖추도록 구성되는데, 이들은 또한 처리된 폐기물의 잔류 무기물 또는 다른 물질의 제거를 위해, 이 반응기의 출구에도 배치된다. 가스 불활성 매체의 발생은 반응기 중 특수하게 변형된 부분을 가진 곳인 출구 근처에서 수행되며, 이 곳에서는 또한, 이전 공정에 의해 분해되지 않은 유기 물질 중 마지막 잔류분에 대한 산화도 발생하도록 구성된다.
반응 공간에서 생성된 에어로졸은 냉각 시스템으로 이동되어 공기로 냉각되고, 10 내지 45 kV 전위의 고전압 자계의 통과에 의해 또는 바람직하게는 회전식 원심 분리기에서, 열의 수력학적 배출 및 에어로졸 생성물의 연속 응축이 모두 수행되며, 분해된 생성물 입자의 개별 전하가 분리기의 기계적 부분과의 접촉에 의해 방출되고, 파이프 라인에 의해 액체의 형태로 저장 탱크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의 장점은 폐기물에 들어있는 유기 물질로부터 가스 및 액체 연료를 제조하는 이전의 모든 유사한 방법에 적용 가능하는 것이며, 특히 이러한 공정에 의해 처리된 폐기물에 대한 완벽한 열 전달이 보장된다는 것과 동시에, 전 공정에 걸쳐 반응 공간에서 나온 모든 반응 생성물의 완벽한 배수가 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반응 공간 내에 특정한 중간 매체의 축적이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되는데, 이러한 축적은 처리된 폐기물의 전체적인 분해를 방지하며, 이는 모든 유사한 공지된 기술에서 발생하는 전형적인 문제점이다.
본 발명에 따라, 상술한 방법들에 드러난 단점들을 해결 가능한, 폐기물에 들어있는 유기 물질로부터 액체 및 기체 연료를 연속 생산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실시예1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제1실시예에서, 너비 1m의 정사각형 기저부 및 4.5m의 높이를 갖는 직립식 밀봉 반응기가 사용되었으며, 가스 불활성 매체 발생기를 포함하는 반응기의 하부는 무기물용 배출구를 위한 장치를 갖도록 구성되고, 반응기의 상부는 충전부로서, 1입방 미터의 부피를 갖는 2개의 클로저(closure)를 갖는 밀폐 챔버가 형성되어 있다. 반응기의 중간부는 반응 생성물의 출구를 위한 출구 개구를 상부에 구비하고, 이 개구는 고체 입자, 응축기용 분리기 및 에어로졸에서 발생한 탄화수소의 미세액적과 같은 입자용 추출 분리기와 연결된다. 분리기는 액체 생성물용 집열기(collector)와 연결되며, 출력된 매체는 -15 ℃의 냉각 온도에서 응축기를 통과했다. 이러한 응축기에서 나온 출력물은 작업장 밖의 파이프에서 꺼내지고, 나머지는 버너에 의해 소각되도록 구성되었다.
반응기의 반응 공간 또는 밀폐 챔버는 30㎜ 크기의 입자로 구성된 150㎏의 혼합 폐기물로 채워졌으며, 이들의 중량 함량을 보면 종이가 32%, 톱밥 14%, 페트병 27%, PS컵 11% 및 나머지 16%는 음식 잔재물과 포장재 등의 형태로 된 불명확한 폐기물로 구성되어 있다. 반응 개시 후, 가스 불활성 매체의 입구 온도는 670℃, 진공 압력은 0.03MPa, 반응기 출구에서의 에어로졸 온도는 178℃ 였고, 소비 된 폐기물은 충전 장치의 챔버를 통해 상부로부터 공급된 후, 중력의 작용에 의해 반응기의 바닥으로 떨어지도록 구성되었다. 반응 공간 내 가스 불활성 매체의 유동 속도는 0.011 m/s이고 온도 구배는 145 K/m이었다. 본 특정 구현예에서, 가스 불활성 매체는 62%의 질소, 14.5%의 이산화탄소 및 1%의 일산화탄소의 체적 함량을 갖고, 나머지는 과열 수증기가 형성되었다. 가스 불활성 매체의 소비량은, 처리된 폐기물 상에서 45초간 작동시, 처리된 폐기물 중 1.2 m3/kg의 양이 소비되었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4시간 동안 반응기를 작동하여 1,250 kg의 폐기물을 처리하였으며, 이로부터 36.4 MJ/kg의 열량을 가진 액체 생성물 726 kg, 37.1 MJ/kg의 열량을 가진 액화 가스 130 kg 및 무기 폐기물 75 kg이 얻어졌다.
에어로졸을 분리한 후 얻어진 액체 생성물에 대해, 각 분획물의 분석을 비점(boiling point)에 따라 실시하였다. 정확도 ±5 %의 SOP 20/01 방법에 의해, 최대 100℃까지는 2%의 용적을 재증류(redistill)하고, 최대 200℃까지는 15%의 용적을 재증류하며, 최대 250℃까지는 41%의 용적을 재증류하고, 최대 300℃까지는 81%의 용적을 재증류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나머지 19%의 용적은 증류 잔류물이었다.
실시예2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제2실시예에서, 제1실시예에 기술된 장치에서 1,426 kg의 폐타이어를 처리하였다. 충전 챔버를 통해, 분쇄되지 않은 타이어를 반응기 내에 서서히 채웠고, 주로 강철선으로 구성된 무기물 부분은 본 장치의 배출구를 통해 추출되었다. 반응기로 유입되는 가스 불활성 매체의 온도는 220℃, 출구에서는 620℃였으며, 진공 압력은 0.025MPa였다.
이 때, 반응 공간 내 바스 불활성 매체의 유동 속도는 0.015 m/s, 온도 구배는 136 K/m이었다. 본 특정 구현예에서, 가스 불활성 매체는 64%의 질소, 13.5%의 이산화탄소 및 0.1%의 일산화탄소의 체적 함량을 갖고 나머지는 과열 수증기가 형성되었다. 가스 불활성 매체의 소비량은, 처리된 폐기물 상에서 75초간 작동시, 처리된 폐기물 중 0.7 m3/kg의 양이 소비되었다.
처리된 타이어로부터 34.3 MJ/kg의 열량을 가진 액체 연료 626 리터, 170 kg의 액화 가스, 173 kg의 철 및 137 kg의 애쉬가 얻어졌다.
에어로졸을 분리한 후 얻어진 액체 생성물에 대해, 각 분획물의 분석을 비점에 따라 실시하였다. 정확도 ±5 %의 SOP 20/01 방법에 의해, 최대 100℃까지는 12%의 용적을 재증류하고, 최대 200℃까지는 35%의 용적을 재증류하며, 최대 250℃까지는 75%의 용적을 재증류하고, 최대 300℃까지는 93%의 용적을 재증류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나머지 7%의 용적은 증류 잔류물이었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연료 및 가스 연료의 연속 생산 방법은 효과적인 폐기물 처리 및 발생된 생성물에 대한 적어도 부분적 평가에 광범위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방법은 열 기계 및 열 발생 장치의 적용에 적합하다.

Claims (6)

  1. 폐기물, 특히 산업 폐기물, 농작물, 생활 폐기물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폐기물에 들어있는 유기 물질로부터 액체 및 기체 연료를 연속 생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이러한 폐기물을 사용가능한 저분자 탄화수소계 연료나 다른 잔류 무기물 또는 재활용이나 매립을 위한 다른 물질로 열분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특히 종이, 플라스틱, 고무, 분쇄되지 않은 폐타이어, 목재 폐기물, 톱밥, 음식물 쓰레기, 폐기름, 포장지와 같이 유기 물질을 포함하는 처리된 폐기물을 공기가 접근하지 못하도록 구성된 밀폐된 반응 공간에서 가열된 가스 불활성 매체에 의해 열적으로 분해시키고, 이 때 유기 물질, 특히 고분자 물질의 분해로 인해 자연 발생된 정전기적 전하의 영향에 의해, 에어로졸(aerosol) 내의 캐리어 가스와 같은 가스 불활성 매체와의 혼합물에서 탄화수소의 형태로 저분자 물질이 분해되며, 그런 다음 생성된 에어로졸에 대해 냉각, 침전 및 그 안에 들어 있는 기체 및 액체 저분자 탄화수소의 상호 분리 공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밀폐된 반응 공간으로부터 유기 물질의 모든 부분이 분해된 후에, 처리된 폐기물의 모든 잔류 무기물 또는 다른 물질들이 점차적으로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에 들어있는 유기 물질로부터 액체 및 기체 연료를 연속 생산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 공간의 출구 압력을 감소시킴으로써, 밀폐된 반응 공간을 통한 가스 불활성 매체의 유동 및 그에 따른 소산과 더불어 저분자 물질의 분산이 수행되고, 반응 공간의 출구에 대한 온도 구배의 감소된 제어에 의해, 생성된 저분자 탄화수소에서 더 좁은 분포 곡선의 화학적 조성이 제공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에 들어있는 유기 물질로부터 액체 및 기체 연료를 연속 생산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반응 공간의 출구 압력을 0.01 내지 0.03 MPa의 부압치까지 감소시킴으로써, 반응 공간에서의 가스 불활성 매체의 최적 유동 속도가 0.001 내지 0.02 m/s의 범위를 갖고 100 내지 350 K/m의 온도 구배가 구현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에 들어있는 유기 물질로부터 액체 및 기체 연료를 연속 생산하는 방법.
  4. 제1항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스 불활성 매체는 50 내지 85%의 질소, 13 내지 25%의 이산화탄소 및 1 내지 5%의 일산화탄소의 체적 함량을 갖고 나머지는 과열 수증기가 생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에 들어있는 유기 물질로부터 액체 및 기체 연료를 연속 생산하는 방법.
  5. 제1항 내지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스 불활성 매체의 소비량은, 처리된 폐기물에서 10 내지 80초 동안 작동시, 처리된 폐기물 중 0.2 내지 3 m3/kg의 양이 소비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에 들어있는 유기 물질로부터 액체 및 기체 연료를 연속 생산하는 방법.
  6. 전술항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기 물질을 함유한 폐기물은 5개의 연속된 기술적 단계에서 열적으로 분해되며, 제1단계에서 300 내지 900℃의 입력 온도에서 반응을 위한 가스 불활성 매체가 생성되고, 제2단계에서 반응 공간 내에서 폐기물이 처리되는 공정의 방향으로 흘러 가도록 구성되며, 제3단계에서 생성된 에어로졸은 20℃ 이하의 온도로 냉각된 후, 제4단계에서, 에어로졸의 저분자 탄화수소 중 액체 부분이 가스로부터 분리되고, 최종적으로 제5단계의 가스 불활성 매체에 대한 처리 공정에서 -40℃ 이하의 온도로 냉각시키거나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4 MPa의 압력에서 압축하여 액화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에 들어있는 유기 물질로부터 액체 및 기체 연료를 연속 생산하는 방법.
KR1020177002955A 2014-07-15 2015-07-09 폐기물에 들어있는 유기 물질로부터 액체 및 기체 연료를 연속 생산하기 위한 방법 KR2017003115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Z2014-488A CZ306376B6 (cs) 2014-07-15 2014-07-15 Způsob kontinuální výroby kapalných a plynných paliv z podílu organických látek v odpadech
CZPV2014-488 2014-07-15
PCT/CZ2015/000074 WO2016008460A1 (en) 2014-07-15 2015-07-09 Method of continuous production of liquid and gaseous fuels from the part of organic substances in the wast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1158A true KR20170031158A (ko) 2017-03-20

Family

ID=53879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2955A KR20170031158A (ko) 2014-07-15 2015-07-09 폐기물에 들어있는 유기 물질로부터 액체 및 기체 연료를 연속 생산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20170174997A1 (ko)
EP (1) EP3169751B1 (ko)
JP (1) JP2017529416A (ko)
KR (1) KR20170031158A (ko)
CN (1) CN106574188A (ko)
BR (1) BR112017000792A2 (ko)
CZ (1) CZ306376B6 (ko)
EA (1) EA201790197A1 (ko)
ES (1) ES2768726T3 (ko)
PL (1) PL3169751T3 (ko)
SI (1) SI3169751T1 (ko)
WO (1) WO20160084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35939B2 (en) * 2017-05-30 2020-11-17 Chevron U.S.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thermal destruction of undesired substances by smoldering combustion
CA3143312C (en) 2019-09-09 2023-09-05 Wai Mun Teng Systems and methods for conversion of unsorted solid wastes
CN111500334A (zh) * 2020-04-18 2020-08-07 张宏 一种煤渣不易碎裂的高燃烧率煤块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29558A (en) * 1971-06-21 1974-08-13 Us Health Education & Welfare Disposal of waste plastic and recovery of valuable products therefrom
US4951583A (en) * 1989-07-27 1990-08-28 Mcgill Environmental Systems, Inc. Thermal destruction system for toxic substances
CZ283812B6 (cs) * 1995-03-03 1998-06-17 V. S. K, S. R. O. Kroměříž Způsob zpracování plastů z komunálních a průmyslových odpadů
JP2008062253A (ja) * 2006-09-05 2008-03-21 Denso Corp はんだ付け用フラックスおよびはんだペースト組成物
WO2008053571A1 (fr) * 2006-10-31 2008-05-08 Medical Safety System, Inc. Procédé de pyrolyse de déchets contenant de la matière organique, appareil correspondant et système de gaséification pyrolitique
US7655703B2 (en) * 2007-01-26 2010-02-02 Inentec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methanol and other fuel production
JP4281819B2 (ja) * 2007-04-02 2009-06-17 ソニー株式会社 撮像画像データ処理装置、視聴情報生成装置、視聴情報生成システム、撮像画像データ処理方法、視聴情報生成方法
WO2008144381A2 (en) * 2007-05-17 2008-11-27 Riverside Technologies Inc. Pyrolyzed rubber products and processes
US9140490B2 (en) * 2007-08-24 2015-09-22 Exxonmobil Upstream Research Company Natural gas liquefaction processes with feed gas refrigerant cooling loops
US8236535B2 (en) * 2008-04-30 2012-08-07 Xyleco, Inc. Processing biomass
KR100937214B1 (ko) * 2008-10-08 2010-01-20 주식회사 에이쓰 폐타이어 재활용 시스템
IT1396562B1 (it) * 2009-03-24 2012-12-14 Rebai Metodo e reattore chimico per la produzione di idrocarburi gassosi derivanti da materie plastiche.
CZ2009473A3 (cs) * 2009-07-22 2011-02-02 Mališ@Josef Zpusob tepelného rozkladu pryže a/nebo plastu a zarízení k jeho provádení
WO2011009419A1 (en) * 2009-07-22 2011-01-27 Dockal Miroslav Method and device for thermal decomposition of rubber and/or plastic
GB201014020D0 (en) * 2010-08-20 2010-10-06 Univ Aston Thermal treatment
US8999017B2 (en) * 2010-09-10 2015-04-07 Coates Engineering,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fast pyrolysis of biomass in rotary kilns
US9121644B2 (en) * 2011-04-07 2015-09-01 Renewable Oil International,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a combination moving bed thermal treatment reactor and moving bed filter
US20130098751A1 (en) * 2011-06-28 2013-04-25 Andritz Inc. Method for the torrefaction of lignocellulosic material
US8203024B2 (en) * 2011-08-23 2012-06-19 Advanced Toffefaction Systems, LLC Torrefaction systems and methods including catalytic oxidation and/or reuse of combustion gases directly in a torrefaction reactor, cooler, and/or dryer/preheater
JP2015007207A (ja) * 2013-06-25 2015-01-15 メモリアルネットワーク有限会社 有機物熱分解装置及び熱分解ガスのエネルギー化方法
WO2015035077A1 (en) * 2013-09-04 2015-03-12 Foster Agblevor Catalytic pyrolysis of olive mill was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7000792A2 (pt) 2017-11-14
CZ306376B6 (cs) 2016-12-28
CN106574188A (zh) 2017-04-19
EP3169751A1 (en) 2017-05-24
US20170174997A1 (en) 2017-06-22
EP3169751B1 (en) 2019-10-30
ES2768726T3 (es) 2020-06-23
CZ2014488A3 (cs) 2016-02-03
EA201790197A1 (ru) 2017-08-31
JP2017529416A (ja) 2017-10-05
WO2016008460A1 (en) 2016-01-21
PL3169751T3 (pl) 2020-11-02
SI3169751T1 (sl) 2020-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53498A (en) Production of high energy fuel gas from municipal wastes
RU2600650C2 (ru) Получение газового потока
US4152122A (en)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of methane containing gas by hydrogasification
US965686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eeding municipal solid waste to a plasma gasifier reactor
US3846096A (en) Gasification of carbonaceous solids
CN103013568B (zh) 一种固体有机废弃物等离子气化处理系统
Saghir et al. Recent trends in gasification based waste-to-energy
Xu et al. Nitrogen evolution during rapid hydropyrolysis of coal
KR20170031158A (ko) 폐기물에 들어있는 유기 물질로부터 액체 및 기체 연료를 연속 생산하기 위한 방법
EP2834323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verting plastic/rubber to hydrocarbon fuel by thermo-catalytic process
USRE29312E (en) Gasification of carbonaceous solids
EP2596083A1 (en) System and method for thermal conversion of carbon based materials
Syed Hassan et al. Characterization Study of Petroleum Oily Sludge Produced from North Refineries Company Baiji to Determine the Suitability for Conversion into Solid Fuel
Dang et al. Recovery of aluminum from plastic packages containing aluminum by gasification
Ibrahimoglu et al. Energy recovery from waste tires with plasma method
Isicheli et al. Pyrolytic conversion of waste plastics using African apple seed-based activated carbon catalyst
WO2012071005A1 (en) A method of producing bio oil using ultra high temperature steam pyrolysis of carbonaceous solids
KR100773605B1 (ko) 폐비닐을 이용한 재생유 제조 장치 및 그 방법
CN110283626B (zh) 油煤浆裂解气化反应装置和方法
Abdulqader et al. Characterization study of oily sludge produced from North Refineries Company Baiji to determine the suitability for conversion into solid fuel
Meng et al. Controlled Air Oxidation of Plastic and Biomass in a Packed‐Bed Reactor
KR20040055507A (ko) 폐합성수지의 유화장치
BG1522U1 (bg) Инсталация за преработка на отпадни въглеводородни продукти и оползотворяване на получените от преработката продукти
WO2016170000A1 (en) Method of thermochemical decomposition of waste
Simunin et al. Processing of aliphatic polymer wastes in brown coal synthesis ga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