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0748A - Snow removing apparatus for connected house - Google Patents

Snow removing apparatus for connected hous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0748A
KR20170030748A KR1020150128039A KR20150128039A KR20170030748A KR 20170030748 A KR20170030748 A KR 20170030748A KR 1020150128039 A KR1020150128039 A KR 1020150128039A KR 20150128039 A KR20150128039 A KR 20150128039A KR 20170030748 A KR20170030748 A KR 201700307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unit
power
limit sensor
guide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80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820079B1 (en
Inventor
김유용
윤남규
김병갑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to KR1020150128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0079B1/en
Publication of KR201700307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074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00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007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6Dismountable or portable greenhouses ; Greenhouses with sliding roof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6Electric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16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against adverse conditions, e.g. extreme climate, pes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snow removing apparatus for connected houses, which removes snow lying on the connected house by receiving power at ordinary times. The snow removing apparatus for connected houses comprises: a rail install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between the connected houses; a body including a snow removing unit which moves forward and backward along the rail and removes snow; a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body; and a bus bar install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ed houses, connected to a power generation unit and supplying power to the power generation unit. The snow removing apparatus for connected houses can effectively remove snow lying on the connected houses.

Description

연동하우스 제설장치{SNOW REMOVING APPARATUS FOR CONNECTED HOUSE}{SNOW REMOVING APPARATUS FOR CONNECTED HOUSE}

본 발명은 연동하우스 제설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설장치가 전력을 상시 공급받으며 연동하우스에 쌓인 눈을 제거하는 연동하우스 제설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rlocking house snow remov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terlocking house snow removing apparatus which receives power at all times and removes snow accumulated in an interlocking house.

일반적으로, 하우스설비는 과일이나 채소를 재배하는 것으로, 태양광이 쉽게 유입되는 투명재질로 외부와 격리된 공간을 만들어 그 속에 태양 에너지를 저장하거나 난방기기의 이용으로, 이를 제어함으로서 작물의 생육에 적합한 온실 환경을 조성하여 식물을 재배하는 구조물이다. 이러한 하우스설비의 이용으로 한랭기간에서의 농작물 재배가 가능하게 되어, 많은 농작물이 1년 내내 공급되고 있다. Generally, a house facility grows fruit or vegetables. It is a transparent material that allows sunlight to flow easily. It makes a space isolated from the outside and stores solar energy in it, or by using heating equipment, it controls the growth of crops. It is a structure that grows plants by creating suitable greenhouse environment. With the use of these house facilities, it is possible to cultivate crops during the cold season, and many crops are supplied throughout the year.

이러한 하우스설비는 다수개의 골조를 나열하여 고정설치한 후 그 외부에 투명재질로 외벽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그 구조가 간단하여 내구성과 지지력이 약해 비바람이 몰아치는 악천후에 파손되는 경우가 많으며, 특히 폭설로 인하여 하우스설비 상측에 많은 눈이 쌓이게 되면 눈의 하중을 견디지 못하여 붕괴되는 경우가 빈번하다.Such a house facility is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frames are arranged and fixed, and then an outer wall is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on the outside thereof. The structure is simple in that the durability and the supporting force are weak due to the simple structure, and it is often broken by bad weather caused by wind and rain. Due to the large amount of snow on the upper side of the house equipment, the snow can not withstand the load and often collapses.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부스바(bus bar)를 구비하여 전력을 상시 공급받아 동력 유지가 용이한 연동하우스 제설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nterlocking house snow removing apparatus provided with a bus bar and always powered to maintain power.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레일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해주는 연동하우스 제설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terlocking house snow removing apparatus that prevents the snow from falling off the rai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복수의 하우스들이 인접하여 형성된 연동하우스의 상기 하우스들 사이에 형성되는 눈을 제설하기 위한 연동하우스 제설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동하우스 사이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레일, 상기 레일을 따라 왕복 가능한 대차 상판, 상기 대차 상판에 설치되어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송부, 상기 대차 상판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부가 이동하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 발생부, 상기 동력 발생부로부터 발생한 동력을 상기 이송부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 및 상기 대차 상판의 전방과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이송부의 왕복에 의해 연동하우스의 눈을 제설하는 제설부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레일의 하부에 상기 연동하우스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상기 동력발생부에 연결되어 상기 동력발생부로 전력을 공급하는 부스바(bus bar)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rlocking house snow removing apparatus for snowing snow formed between houses of an interlocking house formed adjacent to a plurality of hous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wer generating unit that is installed on the upper deck and installed on the upper deck so as to generate a power to move the conveying unit, a power generator that generates power from the power generating unit, A main body including a power transmitting portion for transmitting the power to the conveying portion, and a snow removing portion disposed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car upper plate for snowing the eyes of the interlocking house by reciprocating the conveying portion, a control portion for controlling the main body, And a power generation unit connected to the power generation unit, And a busbar (bus bar) supplying power part force generation.

상기 이송부는, 상기 동력 전달부에 연결되어 상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레일을 왕복하는 이송롤러, 및 상기 이송롤러가 상기 레일에서 탈선하는 것을 방지하는 가이드 롤러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onveying unit may include a conveying roller connected to the power transmitting unit and receiving the power to reciprocate the rail, and a guide roller unit for preventing the conveying roller from derailing from the rail.

상기 이송롤러는 상기 레일 상에서 눈에 의한 슬립을 방지하기 위한 톱니형상이며, 상기 레일은 상기 이송롤러에 대응하여 홈이 형성될 수 있다. The conveying roller may have a sawtooth shape to prevent slippage on the rail by eye, and the rail may be formed with a groove corresponding to the conveying roller.

상기 가이드 롤러 유닛은 상기 레일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1 가이드 롤러 및 The guide roller unit includes a first guide roller position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rail,

상기 레일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 가이드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이드 롤러 는 가이드 롤러 연결부에 의하여 상기 제2 가이드 롤러와 연결되어 상기 레일을 그립(grip)할 수 있다.And a second guide roller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rail, wherein the first guide roller is connected to the second guide roller by a guide roller connecting portion so as to grip the rail.

상기 가이드 롤러 연결부는 장력을 가지는 인장스프링일 수 있다. The guide roller connection portion may be a tension spring having a tension.

상기 가이드 롤러 유닛은 상기 레일 상에서의 상기 가이드 롤러 유닛의 위치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The guide roller unit may include a sensor for transmitting the position of the guide roller unit on the rail to the control unit.

상기 레일의 양 끝단에 상기 본체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리미트 센서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And a limit sensor unit for limiting movement of the main body at both ends of the rail.

상기 센서는 상기 리미트 센서유닛을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로 송신할 수 있다. The sensor may detect the limit sensor unit and transmit it to the control unit.

상기 리미트 센서유닛은 상기 레일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를 정지시키기 위한 제1 리미트 센서 및 상기 레일의 단부에 이격 형성되어 상기 본체를 감속하기 위한 제2 리미트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일 단의 상기 제1 리미트 센서 신호가 검출되면, 상기 동력발생부를 정지시킨 후, 상기 동력발생부의 회전방향을 전환하여 상기 본체를 타 단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타 단의 제2 리미트 센서 신호가 검출되면 동력발생부를 제어하여 상기 본체를 감속할 수 있다. Wherein the limit sensor unit includes a first limit sensor formed at an end of the rail for stopping the main body and a second limit sensor spaced apart from an end of the rail for decelerating the main body, When the first limit sensor signal of the other end is detected, the control unit stops the power generating unit, and then moves the main body to the other end by switching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power generating unit. When the second limit sensor signal of the other end is detected, The main body can be decelerated by controlling the generator.

상기 제설부는, 상기 연동 사이 형상과 밀착되도록 상기 하우스들 사이의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The snow remover may be form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shape between the houses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ter-operable opening.

상기 부스바는, 전원이 공급되는 케이블, 상기 케이블의 외부 면을 따라 구비되고 개구영역을 포함하는 부스바 브라켓, 및 상기 레일에 상기 부스바 브라켓을 고정하는 부스바 고정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The bus bar may include a cable to which power is supplied, A bus bar bracket provided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cable and including an opening area, and a bus bar fixing bracket for fixing the bus bar bracket to the rail.

상기 동력발생부는 상기 부스바 브라켓의 개구영역을 통하여 상기 케이블의 전력을 공급받는 전원연결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power generat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power connection unit that receives power from the cable through an opening area of the bus bar bracket.

상기 부스바는 눈에 의한 합선을 방지하기 위하여 정온열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bus bar may further include a constant temperature hot wire to prevent a short circuit due to snow.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부스바가 연결되어 연동하우스 제설장치의 동력발생부의 동력을 항상 유지할 수 있어, 연동하우스에 쌓인 눈을 효과적으로 제설 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booster bar is connected to maintain the power of the power generating unit of the peristaltic house snow remover at all times, and snow accumulated in the peristaltic house can be effectively snowed.

또한, 연동하우스 제설장치에 가이드 롤러 유닛이 설치되어 연동하우스 제설장치의 이동시 흔들림이 보완되어, 폭설에 의한 연동하우스 제설장치의 손상 없이 안정적으로 제설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guide roller unit is installed in the pertinent house snow remover so that the movement of the pertinent house snow remover can be compensated for, and snow can be stably produced without damaging the pertinent house remov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연동하우스 제설장치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의 연동하우스 제설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연동하우스 제설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연동하우스 제설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연동하우스 제설장치를 하부에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레일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의 본체의 제어알고리즘을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n interlocking house snow remo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terlocking house snow removal apparatus of FIG.
3 is a side view of the interlocking house snow removal apparatus of FIG.
Fig. 4 is a front view showing the interlocking house snow removing apparatus of Fig. 1;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terlocking house snow remover of FIG. 1 from below.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ail of FIG.
7 is a view showing a control algorithm of the main body of FIG.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form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ing" or "having ", and the like, are intended to specify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연동하우스 제설장치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1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n interlocking house snow remo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연동하우스(10) 제설장치는 복수의 하우스들이 인접하여 형성된 연동하우스(10)의 상기 하우스들 사이에 형성되는 눈을 제설하기 위한 장치이다. The interlocking house 10 snow removing apparatus is an apparatus for snowing snow formed between the houses of the interlocking house 10 formed by a plurality of adjacent houses.

상기 연동하우스(10) 제설장치는 상기 연동하우스(10) 사이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레일(20), 상기 레일(20)을 따라 왕복 이동하며 상기 연동하우스(10)의 눈을 제설하는 본체(30), 상기 본체(30)를 제어하는 제어부(40), 및 상기 레일(20)의 하부에 상기 연동하우스(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상기 본체(30)로 전력을 공급하는 부스바(bus bar)(50)를 포함한다.The interlocking house 10 snow removing apparatus includes a rail 20 install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between the interlocking houses 10 and a body 20 which reciprocates along the rail 20 and snowes the interlocking house 10, (30), a controller (40) for controlling the main body (30), and a booth (40) install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terlocking house (10) And a bus bar (50).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본체(30)의 외부에서 연결된 시스템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본체(30)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3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본체(30)의 운전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제어반(미도시)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반은 상기 본체(30)에 설치될 수 있다. 1, the control unit 40 is a system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30, but the control unit 40 is installed in the main body 30 to control the main body 30. [ have.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40 may include a control panel (not shown) that can select an operation mode of the main body 30, and the control panel may be installed in the main body 30.

이하, 도면들을 참고하여, 상기 연동하우스(10) 제설장치의 본체(30)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the main body 30 of the snow removing apparatus 1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2는 도 1의 연동하우스 제설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연동하우스 제설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연동하우스 제설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또한, 도 5는 도 1의 레일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1의 연동하우스 제설장치를 하부에서 나타낸 사시도이다.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terlocking house snow removing apparatus of FIG. 1, FIG. 3 is a side view of the interlocking house snow removing apparatus of FIG. 1, and FIG. 4 is a front view of the interlocking house snow removing apparatus of FIG.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ail of Fig. 1, and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inked house snow remover of Fig. 1 from the bottom.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30)는 상기 레일(20)을 따라 왕복 가능한 대차 상판(100), 상기 대차 상판(100)에 설치되어 레일(20)을 따라 이동하는 이송부(200), 상기 대차 상판(100)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부(200)가 이동하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 발생부(300), 상기 동력 발생부(300)로부터 발생한 동력을 상기 이송부(200)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400), 및 상기 대차 상판(100)의 전방과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이송부(200)의 왕복에 의해 연동하우스(10)의 눈을 제설하는 제설부(500)를 포함한다. 1, the main body 30 includes a carriage upper plate 100 reciprocable along the rail 20, a conveyance unit 200 installed on the carriage upper plate 100 and moving along the rail 20, A power generation unit 300 mounted on the upper plate 100 to generate power for moving the conveyance unit 200 and a power transmission unit 300 for transmitting power generated from the power generation unit 300 to the conveyance unit 200, And a snow removing unit 500 disposed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upper vehicle upper plate 100 and for snowing the interlocking house 10 by reciprocating the conveying unit 200.

상기 동력 발생부(300)는, 도2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차 상판(100)에 설치되며, 상기 동력 발생부(300)는 회전속도 1800rpm, 최대출력 1.5W를 가지는 모터(310)를 포함 할 수 있다. 2 to 5, the power generating unit 300 is installed in the upper plate 100. The power generating unit 300 is a motor having a rotational speed of 1800 rpm and a maximum output of 1.5 W 310).

상기 동력 발생부(300)는 전원연결장치(320)를 더 포함하여 상기 부스바(5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The power generation unit 300 may further include a power connection unit 320 to receive power from the bus bar 50.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부스바(50)는 전원이 공급되는 케이블(52), 상기 케이블(52)의 외부 면을 따라 구비되고 개구영역을 포함하는 부스바 브라켓(54), 및 상기 레일(20)에 상기 부스바 브라켓(54)을 고정하는 부스바 고정브라켓(56)을 포함할 수 있다. 2 to 5, the bus bar 50 includes a cable 52 to which power is supplied, a bus bar bracket 54 provided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cable 52 and including an opening area, And a bus bar fixing bracket 56 for fixing the bus bar bracket 54 to the rail 20.

상기 케이블(52)은 도체로 구성되어있으며, 상기 케이블(52)을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부스바(50) 브라켓(54)이 상기 케이블(52)을 둘러싸는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케이블(52)은 상기 부스바(50) 브라켓(54)의 개구영역을 통하여 상기 전원연결장치(320)와 접촉 연결되어 상기 동력 발생부(300)로 전달한다. The cable 52 is formed of a conductor and the bracket 54 of the bus bar 50 may surround the cable 52 to protect the cable 52. The cable 52 is in contact with the power connection unit 320 through an opening area of the bracket 54 of the bus bar 50 and transmits the power to the power generation unit 300.

한편, 상기 동력 전달부(400)는 배터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브라켓(54)을 통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Meanwhile, the power transmission unit 400 may include a battery (not shown), and the battery may be charged through the bracket 54.

또한, 상기 부스바는, 도 2 또는 도 4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220V의 DC전력을 공급하는 부스바일 경우, 상기 전력의 순환을 위하여 상기 부스바 고정브라켓(56)에 의해 한 쌍의 부스바(50)들이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부스바들은 눈에 의한 합선이 일어날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부스바(50)들 사이에 정온열선(미도시)을 더 포함하여 상기 합선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정온열선은 상기 부스바들 상부 또는 사이에 쌓인 눈을 녹일 수 있도록 85℃ 정도의 열을 발산할 수 있다. 2 or 4 to 5, for example, when the booth bar supplies DC power of 220 V, the booth bar fixing bracket 56 is installed for circulation of the electric power, A pair of bus bars 50 can be installed. Accordingly, short-circuit due to snow may occur in the bus bars. In order to prevent this short-circuit, the bus bars 50 may further include a constant-temperature heat wire (not shown) between the bus bars 50 to prevent the short-circuit. The above-mentioned constant-temperature heat ray can dissipate heat of about 85 ° C so as to melt snow piled up above or between the bus bars.

상기 동력 전달부(400)는 상기 동력 발생부(300)에서 발생하는 동력을 전달받는 동력 감속기(410) 및 상기 동력 감속기(410)의 회전을 상기 이송부(200)로 전달하는 체인(420)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ower transmission unit 400 includes a power reducer 410 for receiving the power generated by the power generator 300 and a chain 420 for transmitting the rotation of the power reducer 410 to the transfer unit 200 .

상기 이송부(200)는 상기 동력 발생부(300)에서 발생한 동력을 상기 동력 전달부(400)를 통하여 전달받아 상기 대차 상판(100)을 왕복 이송함으로서, 상기 본체(30)를 상기 레일(20) 상에서 왕복 이동할 수 있다. The conveyance unit 200 receives the power generated by the power generating unit 300 through the power transmission unit 400 and reciprocates the upper plate 100 to rotate the main body 30 along the rail 20, Lt; / RTI >

상기 이송부(200)는,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동력 전달부(400)에 연결되어 상기 체인(420)을 통해 상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레일(20)을 왕복하는 이송롤러(210), 및 상기 이송롤러(210)가 상기 레일(20)에서 탈선하는 것을 방지하는 가이드 롤러 유닛(220)을 포함할 수 있다. 3, the conveyance unit 200 includes a conveyance roller 210 connected to the power transmission unit 400 and receiving the power through the chain 420 to reciprocate the rail 20, And a guide roller unit 220 for preventing the conveyance roller 210 from deviating from the rail 20.

한편, 상기 이송롤러(210)는, 상기 레일(20) 상에 쌓여있는 눈에 의하여 슬립될 수 있으므로, 예를 들어, 톱니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레일(20)은 상기 이송롤러(210)에 대응하여 홈(22)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송롤러(210)와 상기 홈(22)이 대응하여 상기 이송롤러(210)의 슬립을 방지할 수 있다. The conveying roller 210 may have a saw tooth shape because the conveying roller 210 can be slipped by the snow piled on the rail 20 and the rail 20 is rotated by the conveying roller 210, The grooves 22 may be formed. Therefore, the conveying roller 210 and the groove 22 correspond to each other to prevent the conveying roller 210 from slipping.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이송롤러(210)는 톱니형상으로 도시되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상기 이송롤러(210)가 눈에 의하여 상기 레일(20) 상에서 슬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또 다른 형상일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conveying roller 210 is shown in a saw-tooth shape,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nother shape capable of preventing the conveying roller 210 from slipping on the rail 20 by eye. .

한편, 상기 가이드 롤러 유닛(22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일(20)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1 가이드 롤러(222), 및 상기 레일(20)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 가이드 롤러(224)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이드 롤러(222)는 가이드 롤러 연결부(226)에 의하여 상기 제2 가이드 롤러(224)와 연결될 수 있다. 4, the guide roller unit 220 includes a first guide roller 222 position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rail 20 and a second guide roller 222 located at a lower portion of the rail 20, And the first guide roller 222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guide roller 224 by a guide roller connecting portion 226. [

예를 들어, 상기 가이드 롤러 연결부(226)는 장력을 가지는 인장스프링 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가이드 롤러(222)와 상기 제2 가이드 롤러(224)가 상기 인장스프링의 장력으로 연결되어 상기 레일(20)을 단단히 그립(grip)할 수 있어, 상기 이송롤러(210)가 상기 레일(20)을 따라 이동할 때, 상기 레일(20)에서 탈선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본체(30)가 상기 레일(20) 상에서 좌우로 흔들리는 것을 보완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guide roller connection portion 226 may be a tension spring having a tension. The first guide roller 222 and the second guide roller 224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tension of the tension spring so as to grip the rail 20 firm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main body 30 from deviating from the rail 20 and to compensate the swaying of the main body 30 on the rail 20 when the main body 30 moves along the rail 20. [

상기 가이드 롤러 유닛(220)은,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차 상판(100)의 하부에 설치되며, 두 개 이상 설치되어 상기 본체(30)의 흔들림을 더욱 보완 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 the guide roller unit 220 is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bulkhead upper plate 100, and two or more guide roller units 220 may be installed to supplement the swing of the main body 30 have.

또한, 상기 가이드 롤러 유닛(220)은 상기 레일(20) 상에서의 상기 가이드 롤러 유닛(220)의 위치를 상기 제어부(40)로 전송하는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상기 레일(20)에 구비되어 있는 리미트 센서유닛들을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40)로 송신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센서로부터 수신받은 상기 리미트 센서유닛들의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본체(30)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다. The guide roller unit 220 may include a sensor (not shown) for transmitting the position of the guide roller unit 220 on the rail 20 to the control unit 40. The sensor may detect limit sensor units provided on the rail 20 and transmit the detected limit sensor units to the control unit 40. That is, the control unit 40 can control the movement of the main body 30 by analyzing the signals of the limit sensor units received from the sensor.

상기 레일(20)은,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일(20)의 양 끝단에 상기 본체(30)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상기 리미트 센서유닛들을 포함할 수 있다. The rail 20 may include the limit sensor units for limiting movement of the main body 30 at both ends of the rail 20, for example, as shown in FIG.

상기 리미트 센서유닛들은 상기 레일(20)의 일 단부에 형성되는 제1 리미트 센서유닛(24) 및 상기 레일(20)의 타 단부에 형성되는 제2 리미트 센서유닛(26)을 포함할 수 있다. The limit sensor units may include a first limit sensor unit 24 formed at one end of the rail 20 and a second limit sensor unit 26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rail 20.

각각의 상기 제1 및 제2 리미트 센서유닛(24, 26)은 상기 레일(20)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30)를 정지시키기 위한 제1 리미트 센서(24a, 26a) 및 상기 레일(20)의 단부에 이격 형성되어 상기 본체(30)를 감속하기 위한 제2 리미트 센서(24b, 26b)를 포함할 수 있다.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limit sensor units 24 and 26 includes a first limit sensor 24a and 26a formed at an end of the rail 20 to stop the main body 30, And second limit sensors 24b and 26b spaced from the ends of the main body 30 to decelerate the main body 30. [

상기 제1 리미트 센서유닛(24)의 제1 리미트 센서(24a) 와 제2 리미트 센서(24b)의 간격(A)과 상기 제2 리미트 센서유닛(26)의 제2 리미트 센서(26a)와 제2 리미트 센서(26b)의 간격(A')은 동일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리미트 센서(24a) 와 제2 리미트 센서(24b)의 간격(A), 상기 제2 리미트 센서유닛(26)의 제2 리미트 센서(26a)와 제2 리미트 센서(26b)의 간격(A') 및 제1 리미트 센서유닛(24)의 제2 리미트 센서(24b)와 상기 제2 리미트 센서유닛(26)의 제2 리미트 센서(26b)의 간격(B)를 포함한 레일(20)의 길이는 상기 연동하우스(10)의 길이방향과 같거나 보다 길 수 있다. The interval A between the first limit sensor 24a and the second limit sensor 24b of the first limit sensor unit 24 and the interval A between the second limit sensor 26a and the second limit sensor 26a of the second limit sensor unit 26 The distance A 'between the first limit sensor 24a and the second limit sensor 26b may be the same as the distance A between the first limit sensor 24a and the second limit sensor 24b, The distance A 'between the second limit sensor 26a and the second limit sensor 26b and the distance A' between the second limit sensor 24b and the second limit sensor unit 26 of the first limit sensor unit 24, The length of the rail 20 including the interval B of the two limit sensors 26b may be equal to or longer than the length direction of the interlocking house 10. [

상기 센서 및 상기 리미트 센서유닛들에 따른 상기 제어부(40)의 상기 본체(30)를 제어하는 방법은 제어 알고리즘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A method of controlling the main body 30 of the control unit 40 according to the sensor and the limit sensor unit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a control algorithm.

도 7은 도 1의 본체(30)의 제어알고리즘을 나타낸 도면이다. 7 is a diagram showing a control algorithm of the main body 30 of FIG.

사용자는 상기 제어반(미도시)을 통하여 상기 제설작업의 운전모드를 설정한다(S1). 상기 선택된 운전모드가 오토모드가 아닐 시, 상기 운전모드는 매뉴얼모드로 넘어갈 수 있다. 상기 매뉴얼 모드는 사용자가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상기 본체(30)를 자율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The user sets the operation mode of the snow removal operation through the control panel (not shown) (S1). If the selected operation mode is not the auto mode, the operation mode can be shifted to the manual mode. In the manual mode, a user can autonomously move the main body 30 using a remote controller.

상기 오토모드 선택 시,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센서로부터 제1 리미트 센서유닛(24)의 제1 리미트 센서(24a)신호의 수신여부를 판단한다(S3). 상기 제어부(40)가 제1 리미트 센서유닛(24)의 제1 리미트 센서(24a)신호를 수신하지 못했다면, 상기 본체(30)는 제1 리미트 센서유닛(24)의 방향으로 상기 본체(30)의 최고속도의 1/3 속도로 이동하기 시작한다. 반면, 상기 제어부(40)가 제1 리미트 센서유닛(24)의 제1 리미트 센서(24a)신호를 수신했다면,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동력 발생부(300)를 제어하여 상기 본체(30)를 정지시킨다. 상기 본체(30)는 정지된 시점으로부터 3초간 정지 상태를 유지한 후, 제2 리미트 센서유닛의 방향으로 상기 본체(30)의 최고속도의 1/3 속도로 이동하기 시작한다. 상기 이동하기 시작한 본체(30)는 10초간 가속하며, 10초 후 상기 제어부(40)는 제2 리미트 센서유닛(26)의 제2 리미트 센서(26b)신호를 수신할 때까지 상기 본체(30)를 최고속도로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40)가 상기 제2 리미트 센서유닛(26)의 제2 리미트 센서(26b)신호를 수신하면(S4),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본체(30)의 속도를 상기 본체(30)의 최고속도의 1/3으로 감속하여 상기 센서가 제2 리미트 센서유닛(26)의 제1 리미트 센서(26a)신호를 수신할 때까지 상기 본체(30)를 이동시키고, 상기 제2 리미트 센서유닛(26)의 제1 리미트 센서(26a)신호를 상기 센서가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40)로 송신하면(S5)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동력 발생부(300)를 제어하여 상기 본체(30)를 정지시킨다. 정지한 상기 본체(30)는 다시 정지된 시점으로부터 3초간 정지상태를 유지한 후 제1 리미트 센서유닛의 방향으로 상기 본체(30)의 최고속도의 1/3 속도로 이동하기 시작한다. 상기 이동하기 시작한 본체(30)는 10초간 가속하여 10초 후 상기 제어부(40)는 제1 리미트 센서유닛(24)의 제2 리미트 센서(24b)신호를 수신할 때까지 최고속도로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40)가 상기 제1 리미트 센서유닛(24)의 제2 리미트 센서(24b)신호를 수신하면(S6),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본체(30)의 속도를 상기 센서가 제1 리미트 센서유닛(24)의 제1 리미트 센서(24a)신호를 수신할 때까지 최고속도의 1/3으로 감속하여 이동시킨다. 상기 제1 리미트 센서유닛(24)의 제1 리미트 센서(24a)신호를 상기 센서가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40)로 송신하면(S7),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동력 발생부(300)를 제어하여 상기 본체(30)를 정지시킨다. When the auto mode is selected, the control unit 40 determines whether the first limit sensor 24a of the first limit sensor unit 24 is received from the sensor (S3). If the control unit 40 does not receive the first limit sensor 24a signal of the first limit sensor unit 24, the main body 30 moves to the first limit sensor unit 24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limit sensor unit 24, Of the maximum speed of the vehicle. If the control unit 40 receives the first limit sensor 24a signal of the first limit sensor unit 24, the control unit 40 controls the power generation unit 300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ain body 30, . The main body 30 starts to move at a speed of 1/3 of the maximum speed of the main body 30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limit sensor unit after maintaining the stop state for 3 seconds from the point of time when the main body 30 is stopped. The control unit 40 accelerates the main body 30 until the second limit sensor 26b of the second limit sensor unit 26 receives the signal. To the highest speed. When the control unit 40 receives the second limit sensor 26b signal of the second limit sensor unit 26 in step S4, the controller 40 controls the speed of the main body 30 to the main body 30, The first limit sensor unit 26 is decelerated to 1/3 of the maximum speed of the second limit sensor unit 26 and the main body 30 is moved until the sensor receives the first limit sensor 26a signal of the second limit sensor unit 26, The controller detects the first limit sensor 26a signal of the first limit sensor 26 and transmits the first limit sensor 26a signal to the controller 40 in step S5, . The stopped main body 30 starts to move at a speed of 1/3 of the maximum speed of the main body 30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limit sensor unit after maintaining the stop state for 3 seconds from the point of time of stopping again. The control unit 40 controls the vehicle body 30 at the maximum speed until it receives the second limit sensor 24b signal of the first limit sensor unit 24 after 10 seconds of acceleration for 10 seconds. When the control unit 40 receives the second limit sensor 24b signal of the first limit sensor unit 24 at step S6, the control unit 40 controls the speed of the main body 30 such that the first Decelerates and moves to 1/3 of the maximum speed until the first limit sensor 24a signal of the limit sensor unit 24 is received. When the sensor detects the first limit sensor 24a signal of the first limit sensor unit 24 and transmits the signal to the control unit 40 in step S7, the control unit 40 controls the power generation unit 300 Thereby stopping the main body 30.

이러한 상기 본체(30)의 왕복운동으로, 상기 대차 상판(100)의 전방 과 후방에 배치된 제설부(500)가 상기 연동하우스(10)에 쌓인 눈을 효과적으로 제설 할 수 있다. As a result of the reciprocating motion of the main body 30, the snow removing unit 500 disposed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truck upper plate 100 can effectively snow accumulated in the linked house 10.

또한, 상기 본체(30)는 상기 연동하우스(10)에 쌓이는 눈의 적설량을 검출할 수 있는 적설량 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눈의 적설량에 따라 상기 본체(10)의 구동을 제어 할 수 있다. The main body 30 further includes a snow accumulation sensor (not shown) capable of detecting snow accumulation amount accumulated in the interlocking house 10 so as to control the driving of the main body 10 according to snow accumulation amount .

상기 제설부(500)는,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도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연동하우스(10) 사이의 형상과 밀착하도록, 상기 연동하우스(10) 사이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2, the snow remover 500 has a shape of a plate, and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drawings. The snow remover 500 may be formed in the interlocking house 10 10, respectively.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동력 발생부(300), 상기 동력 전달부(400) 등 상기 대차 상판(100)에 부착된 부품에 눈 등 이물질이 부착되지 않도록 분해 조립이 용이한 커버를 설치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 cover that can be easily disassembled and assembled is installed so that snow and other foreign substances are not adhered to the parts attached to the above-mentioned vehicle upper plate 100, such as the power generating unit 300 and the power transmitting unit 400 .

이와 같이 부스바를 구비하여 전력을 상기 공급받아 동력 유지가 용이한 상기 연동하우스 제설장치는, 제어부에 의하여 상기 동력전달부가 제어되어 레일을 안정적으로 이동하며 제설장치의 손상 없이 제설 할 수 있다.
In the interlocking house snow removing apparatus provided with the booth bar and powered by the power supply,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power transmission unit so that the rail can be stably moved and snowed without damaging the snow removal apparatus.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 : 연동하우스 20: 레일
22: 홈 30: 본체
40: 제어부 50: 부스바
52: 케이블 54: 부스바 브라켓
56: 부스바 고정브라켓 100: 대차 상판
200: 이송부 210: 이송롤러
220: 가이드 롤러유닛 222: 제1 가이드 롤러
224: 제2 가이드 롤러 226: 가이드 롤러 연결부
300: 동력 발생부 310: 모터
320: 전원연결장치 400: 동력 전달부
410: 감속기 420: 체인
500: 제설부
10: Interlocking House 20: Rail
22: groove 30: body
40: control unit 50: booth bar
52: Cable 54: Bus bar bracket
56: Busbar fixing bracket 100: Balance top plate
200: conveying unit 210: conveying roller
220: Guide roller unit 222: First guide roller
224: second guide roller 226: guide roller connecting portion
300: Power generating unit 310: Motor
320: Power connection unit 400: Power transmission unit
410: Reducer 420: Chain
500: snow removing section

Claims (13)

복수의 하우스들이 인접하여 형성된 연동하우스의 사이에 형성되는 눈을 제설하기 위한 연동하우스 제설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동하우스 사이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레일;
상기 레일을 따라 왕복 가능한 대차 상판, 상기 대차 상판에 설치되어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송부, 상기 대차 상판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부가 이동하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 발생부, 상기 동력 발생부로부터 발생한 동력을 상기 이송부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 및 상기 대차 상판의 전방과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이송부의 왕복에 의해 상기 연동하우스의 눈을 제설하는 제설부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레일의 하부에 상기 연동하우스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상기 동력발생부에 연결되어 상기 동력발생부로 전력을 공급하는 부스바(bus bar)를 포함하는 연동하우스 제설장치.
An interlocking house snow removing apparatus for snowing snow formed between adjacent interlocking houses formed by a plurality of houses,
A rail install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between the interlocking houses;
A power generating unit that is installed on the upper deck and installed on the upper deck so as to generate a power to move the conveying unit, a power generating unit that generates power generated by the power generating unit, A main body including a power transmitting portion for transmitting the power to the conveying portion, and a snow removing portion disposed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car upper plate for snowing the interlocking house by reciprocation of the conveying portion;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main body; And
And a bus bar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rail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terlocking house and connected to the power generating unit to supply electric power to the power generating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동력 전달부에 연결되어 상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레일을 왕복하는 이송롤러; 및
상기 이송롤러가 상기 레일에서 탈선하는 것을 방지하는 가이드 롤러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동하우스 제설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veying unit includes:
A conveying roller connected to the power transmitting portion and reciprocating the rail by receiving the power; And
And a guide roller unit for preventing the conveying roller from deviating from the rail.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롤러는 상기 레일 상에서 눈에 의한 슬립을 방지하기 위한 톱니형상이며, 상기 레일은 상기 이송롤러에 대응하여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동하우스 제설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nveying roller has a sawtooth shape for preventing slippage on the rail by eyes, and the rail is formed with a groove corresponding to the conveying roll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롤러 유닛은 상기 레일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1 가이드 롤러 및
상기 레일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 가이드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이드 롤러 는 가이드 롤러 연결부에 의하여 상기 제2 가이드 롤러와 연결되어 상기 레일을 그립(grip)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동하우스 제설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guide roller unit includes a first guide roller position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rail,
And a second guide roller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rail, wherein the first guide roller is connected to the second guide roller by a guide roller connecting portion to grip the rail.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롤러 연결부는 장력을 가지는 인장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동하우스 제설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guide roller connecting portion is a tension spring having a tens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롤러 유닛은 상기 레일 상에서의 상기 가이드 롤러 유닛의 위치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동하우스 제설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guide roller unit includes a sensor for transmitting the position of the guide roller unit on the rail to the control uni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의 양 끝단에 상기 본체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리미트 센서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동하우스 제설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nd a limit sensor unit for limiting the movement of the main body at both ends of the rail.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리미트 센서유닛을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동하우스 제설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ensor detects the limit sensor unit and transmits the detected limit sensor unit to the control uni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리미트 센서유닛은 상기 레일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를 정지시키기 위한 제1 리미트 센서 및 상기 레일의 단부에 이격 형성되어 상기 본체를 감속하기 위한 제2 리미트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일 단의 상기 제1 리미트 센서 신호가 검출되면, 상기 동력발생부를 정지시킨 후, 상기 동력발생부의 회전방향을 전환하여 상기 본체를 타 단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타 단의 제2 리미트 센서 신호가 검출되면 상기 동력발생부를 제어하여 상기 본체를 감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동하우스 제설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limit sensor unit includes a first limit sensor formed at an end of the rail for stopping the main body and a second limit sensor spaced apart from the end of the rail for decelerating the main body,
Wherein the control unit stops the power generating unit and switches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power generating unit to move the main body to the other end when the first limit sensor signal is detected at one end, And when the signal is detected, controls the power generating unit to decelerate the main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설부는, 상기 연동하우스 사이 형상과 밀착되도록 상기 연동하우스 사이의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동하우스 제설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now removing unit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between the interlocking house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shape of the interlocking hous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스바는,
전원이 공급되는 케이블;
상기 케이블의 외부 면을 따라 구비되고 개구영역을 포함하는 부스바 브라켓; 및
상기 레일에 상기 부스바 브라켓을 고정하는 부스바 고정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동하우스 제설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ooth bar
Powered cable;
A bus bar bracket disposed along an outer surface of the cable and including an opening area; And
And a booster bar fixing bracket for fixing the booster bar bracket to the rail.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발생부는 상기 부스바 브라켓의 개구영역을 통하여 상기 케이블의 전력을 공급받는 전원연결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동하우스 제설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power generating unit further comprises a power connection unit that receives power of the cable through an opening area of the bus bar brack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스바는 눈에 의한 합선을 방지하기 위하여 정온열선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동하우스 제설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ooth bar further comprises a constant temperature hot wire to prevent a short circuit due to snow.
KR1020150128039A 2015-09-10 2015-09-10 Snow removing apparatus for connected house KR10182007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8039A KR101820079B1 (en) 2015-09-10 2015-09-10 Snow removing apparatus for connected hou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8039A KR101820079B1 (en) 2015-09-10 2015-09-10 Snow removing apparatus for connected hous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0748A true KR20170030748A (en) 2017-03-20
KR101820079B1 KR101820079B1 (en) 2018-01-19

Family

ID=58502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8039A KR101820079B1 (en) 2015-09-10 2015-09-10 Snow removing apparatus for connected hous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0079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1703U (en) * 2020-01-14 2021-07-22 강원경 Rail system for a moving apparatus in greenhouse
KR102471372B1 (en) * 2022-08-08 2022-11-28 김용석 Automatic paint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6570Y1 (en) * 2006-06-30 2006-09-13 최규형 sweep the snow machine
KR100709571B1 (en) * 2007-01-15 2007-04-20 동양컨설턴트주식회사 Cable protecting unit of an apartment house
KR101561836B1 (en) * 2013-09-13 2015-10-20 주식회사 태광 Personal Mono Rail Drive rolling Apparatu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1703U (en) * 2020-01-14 2021-07-22 강원경 Rail system for a moving apparatus in greenhouse
KR102471372B1 (en) * 2022-08-08 2022-11-28 김용석 Automatic paint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0079B1 (en) 2018-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84704B2 (en) Solar panel cleaning system
CN101513733B (en) Overhead network barrier-clearance and detection robot
CN101309001B (en) Cable deicing robot
KR101820079B1 (en) Snow removing apparatus for connected house
JP2004186632A (en) Solar battery panel apparatus
CN206759385U (en) A kind of photovoltaic module automatic snow-melting defroster
CN105032821A (en) Fixed cleaning apparatus for photovoltaic cell panels
WO2019167079A1 (en) Automatic cleaning vehicle for photovoltaic panels
KR20190099740A (en) Automatic cleaning apparatus for solar cell panel
Rao et al. Smart IoT based solar panel cleaning system
CN104393531A (en) Remote control type cleaning machine and cleaning method for high-tension transmission line foreign body
KR101427645B1 (en) Cleaning apparatus having variable block guide rail and self-generator for solar cell using rainwater
CN108816851B (en) Sweeper, system and method for front and rear row transfer of tiled roof photovoltaic power station
KR102386421B1 (en) Snow Removing Apparatus for vinyl house
KR20150049339A (en) Intelligent snow removing robot for greenhouse
CN104210893A (en) Wire bundle traction equipment
CN208585721U (en) A kind of conveying equipment adjusts package distance means in real time
KR20170005532A (en) Device for removing snow
CN111755982B (en) Ray detection robot for power transmission line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WO2019046086A1 (en) Automated solar collector cleaning device
KR101193232B1 (en) Marine eletric window wiper control system using inverter
CN103769377A (en) Large-scale photovoltaic array water-free cleaning system
KR20150001437U (en) apparatus for feeding cable
CN204030422U (en) Live line working remote control glider
KR102035659B1 (en) Cleaning apparatus of convey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