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0477A - 휴대용 장치의 원격 제어 기능을 환경설정하는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장치의 원격 제어 기능을 환경설정하는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0477A
KR20170030477A KR1020167033626A KR20167033626A KR20170030477A KR 20170030477 A KR20170030477 A KR 20170030477A KR 1020167033626 A KR1020167033626 A KR 1020167033626A KR 20167033626 A KR20167033626 A KR 20167033626A KR 20170030477 A KR20170030477 A KR 201700304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ance
app
content
smart device
network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36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폴 디. 알링
패트릭 에이치. 헤이즈
아샴 하탐베이키
Original Assignee
유니버샬 일렉트로닉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4/282,785 external-priority patent/US20140337879A1/en
Application filed by 유니버샬 일렉트로닉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유니버샬 일렉트로닉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70030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04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04N21/41265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having a remote control device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client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6Channel or content management, e.g. generation and management of keys and entitlement messages in a conditional access system, merging a VOD unicast channel into a multicast channel
    • H04N21/2668Creating a channel for a dedicated end-user group, e.g. insertion of targeted commercials based on end-user pro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4Touch pad or touch panel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2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vertisement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executable data, e.g. software
    • H04N21/818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executable data, e.g. software specially adapted to be executed by a peripheral of the client device, e.g. by a reprogrammable remote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광고 컨텐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사용되는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제1 장치상에 설치된 제1 앱은 광고 컨텐트를 추출하고 그 광고 컨텐트를 제2 장치상에 설치된 제2 앱에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제2 장치상에 설치된 제2 앱은 광고 컨텐트가 제2 장치에 연결된 디스플레이 내에 오버레이로서 디스플레이되게 할 것이다.

Description

휴대용 장치의 원격 제어 기능을 환경설정하는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CONFIGURING THE REMOTE CONTROL FUNCTIONALITY OF A PORTABLE DEVICE}
태블릿 컴퓨터, 스마트폰, 휴대용 이메일 장치, 이-북, 휴대용 게임기 및/또는 게임 컨트롤러, 휴대용 미디어 플레이어 등과 같은 개인용 통신, 생산성 및 엔터테인먼트 장치(이하 모두 "스마트 장치"라 함)는 컬러 터치 스크린상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무선 인터넷 기능, 및, 예컨대, 달력, 이메일, 지도 및 내비게이션 등과 같은 부수적인 애플리케이션(종종 "앱"이라 함)에 대한 서포트와 같은 특징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부수적인 애플리케이션은 스마트 장치에 미리 설치될 수도 있고, 또는 사용자가 다운로드하여 사용 가능하도록 만들어질 수도 있다. 어느 이러한 앱은, 예컨대, 이러한 특징부를 제공하는 GUI 및 당업계에 공지된 범용 원격 제어(universal remote control) 기능 및 채널 선택 등을 가능하게 하는 TV 가이드 디스플레이와 함께 엔터테인먼트 및 다른 어플라이언스(appliance)에 커맨드를 발행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이러한 원격 제어 앱은 상이한 타입 및/또는 제조사의 복수의 어플라이언스를 제어(소위 "범용 원격")하는데 적합한 프로토콜 및 커맨드 데이터의 라이브러리를 제공 받을 수 있다. 이러한 커맨드 라이브러리 및 어플라이언스로 동작 커맨드를 전송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는 스마트 장치 자체에 통합될 수도 있고, 또는 스마트 장치에 의해 사용 가능하게 될 수 있고, 또는 스마트 장치와 통신하도록 설치된 별도의 외부 장치(즉, 중계 장치 또는 소위 "블라스터")의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이와 무관하게, 제어되는 어플라이언스의 최초 설치 또는 후속 교체 시, 이러한 범용 원격 제어 앱은 일반적으로 제어될 각각의 특정 어플라이언스를 라이브러리 내의 커맨드 데이터 및 프로토콜의 적절한 세트와 일치시키도록 환경설정(configure) 되어야 한다. 이러한 환경설정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친화적이고 편리한 방법이 여기 개시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광고 컨텐트를 디스플레이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1 장치상에 설치된 제1 앱은 광고 컨텐트를 추출한 후 제2 장치상에 설치된 제2 앱에 그 광고 컨텐트를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제2 장치상에 설치된 제2 앱은 광고 컨텐트가 제2 장치에 연결된 디스플레이 내에 오버레이(overlay)로서 디스플레이되게 만들 것이다. 광고 컨텐트는 네트워크 서버로부터 추출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1 장치 및 제2 장치는 스마트 텔레비전, 미디어 스트리밍 장치 및 스마트 폰 등과 같은 스마트 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시적인 실시예를 나열하고 청구된 발명의 원리가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을 나타내는 아래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된 도면을 통해 아래에 청구된 본 발명의 목적, 이점, 특징, 속성 및 관계가 더 잘 이해될 것이다.
본 시스템 및 방법의 다양한 형태를 더 잘 이해하기 위해, 아래의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참조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스마트 장치 앱이 사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스마트 장치(들)의 환경설정 동안 사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상호연결을 도시한다.
도 3은 HDMI 이네이블드(HDMI-enabled) 셋업 프로세스 동안 스마트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일련의 단계들을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스마트 장치 앱을 환경설정 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어플라이언스 식별정보 데이터베이스 레코드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도 1의 스마트 장치(들)의 환경설정이 달성될 수 있는 다른 예시적인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6은 어플라이언스 이네이블드 셋업 프로세스 동안 스마트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일련의 단계들을 도시한다.
도 7은 HDMI 이네이블드 셋업 프로세스 동안 스마트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다른 일련의 단계들을 도시한다.
도 8은 컨텐트 소유자로부터의 광고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는 다른 예시적인 시스템을 도시한다.
예컨대, 도 1a 및 도 1b는 스마트 장치(100)가 TV(106), 셋톱박스(STB)(108), DVD 플레이어(110) 등과 같은 제어 가능한 어플라이언스에 커맨드를 발행하도록 조절될 수 있는 예시적인 시스템(102 및 104)을 도시한다. TV, STB 및 DVD 플레이어를 포함하는 홈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의 환경이 도시되어 있으나, 제어 가능한 어플라이언스는 텔레비전, VCR, DVR, DVD 플레이어, 케이블 또는 위성 컨버터 셋톱박스("STB"), 증폭기, AV 수신기, CD 플레이어, 게임 콘솔, 홈 라이팅(home lighting), 휘장(drapery), 팬(fan), HVAC 시스템, 써모스탯, 퍼스널 컴퓨터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도 1a의 설명을 위한 예에서, 스마트 장치(100)는 범용 원격 제어 앱 및 어플라이언스(106-110)로 커맨드의 직접 전송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필수적인 하드웨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어플라이언스 커맨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적외선 신호(112) 형태로 발행될 수도 있고, 또는 각각의 특정 어플라이언스의 제어에 적합한 임의의 다른 적절한 포맷으로, 예컨대, RF 신호 RF4CE, 지웨이브(Zwave), 블루투스(Bluetooth) 등에 의해 고려되는 것과 같은 RF 신호; 초음파 신호; 가시광 등을 통해 발행될 수도 있다. 도 1a의 예에서, 이러한 커맨드 신호는, 예컨대, 그 전체가 참조로서 본 명세서에 통합된 동시 계류중인 미국 특허 출원 제13/043,915호에 서술된 기술을 이용하여 스마트 장치(102)에 의해 직접 발행될 수 있다. 도 1b에 도시된 대안의 실시예에서, 어플라이언스 커맨드(112)는, 예컨대, 그 전체가 참조로서 본 명세서에 통합된 동시 계류 중인 미국 특허 출원 제13/071,661호에 서술된 것과 같이, 스마트 장치(100) 내에 상주하는 범용 원격 제어 앱으로부터 수신된 무선 통신(116)에 응답하는 릴레이 장치(114)를 통해 간접적으로 발행될 수도 있다.
어느 경우든, 원격 제어 앱 및/또는 연관된 릴레이 장치는 각각의 제어될 어플라이언스가 응답하는 특정 커맨드 데이터 및 프로토콜("코드셋")을 제공 받는다. 당분야에 공지된 바와 같이, 이것은 스마트 장치(100) 또는 릴레이 장치(114)의 메모리에 국부적으로(locally) 미리 저장된 코드셋 라이브러리로의 포인터 또는 인덱스; 환경설정 동안 이러한 장치로 다운로드되는 개별적인 코드셋; STB(108) 또는 TV(106)와 같은 어플라이언스 상에 또는 PC 상에 국부적으로 저장된 또는 헤드엔드(headend) 또는 인터넷 액세스 가능한 서버에 원격으로 저장된 라이브러리로부터 필요에 따른 기준에 따라 개별적인 코드셋 커맨드 코드의 항목별(item-by-item) 다운로드 등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이와 무관하게, 제어되는 어플라이언스에 대한 적절한 코드셋의 식별을 달성하기 위해 여기 서술된 방법이 상기 코드셋이 최종적으로 하나 이상의 언급된 장치에 제공되는 정확한 메커니즘과 무관하게 일반적으로 적용될 수 있기 때문에, 아래에 서술된 실시예가 단지 예시의 방법일 뿐이고 제공된 기술이 필요한 부분만 약간 수정하여 임의의 이러한 다양한 가능한 장치 및 코드 라이브러리 환경설정에 적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스마트 장치(100)(또는 STB 등과 같은 제어 기능을 갖춘 임의의 다른 장치)상에 상주하는 원격 제어 앱은 스마트 장치(100)의 HDMI 포트(206)를 제어될 어플라이언스, 예컨대, 도시된 예에서 TV(106)의 사용 가능한 HDMI 포트(210)에, HDMI 호환 케이블(208)을 통해, HDMI 케이퍼블 무선 링크(HDMI capable wireless link) 등을 통해, 일시적으로 연결함으로써 제어될 어플라이언스, 예컨대, TV 세트(106) 및/또는 케이블 STB(108) 및 DVD 플레이어(110)에 매칭될 수 있다. 연결이 이루어지면, 스마트 장치(100)의 원격 앱은 그 앱이, 예컨대, CEC 제조자 ID 및/또는 EDID 제조자 번호 및 제품 코드와 같은 TV(106)로부터의 장치 식별 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는 셋업 모드로 놓여질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그렇게 획득된 데이터는 스마트 장치로부터 서버(200)로, 예컨대, 인터넷(202)에 대한 와이파이(WiFi) 연결(204)을 통해 업로드될 수 있다. 서버(200)는 CEC 및/또는 EDID 장치 식별 데이터를 어플라이언스 커맨드 코드셋과 상호참조하는 데이터베이스(2016)를 포함할 수 있고, 이 데이터베이스는 예시적인 어플라이언스(106)의 제어를 위한 적절한 커맨드 코드셋을 판정하기 위해 참조될 수 있다. 대안의 실시예에서, 어플라이언스 커맨드 코드셋이 그 자체가 표준에 따라 참조되는 데이터와 상호 참조되는 데이터베이스는 스마트 장치 자치에 국부적으로 상주할 수도 있고; 또는, 예컨대, 로컬 PC 또는 STB와 같은, 와이파이 네트워크의 일부로서 액세스 가능한 어플라이언스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이와 무관하게, 판정된 후, 바람직한 코드셋은 로컬 데이터베이스로의 포인터 또는 인덱스의 형태, 또는 서버(200)에 저장된 코드셋 데이터베이스(218)로부터 다운로드되는 코드셋 블록의 형태 등으로, 적절하게 스마트 장치(100)의 원격 제어 앱에 제공될 수 있다.
이제 도 3에 제공된 흐름도를 참조하면, 예시적인 스마트 장치(100)가, 예컨대, HDMI 케이블(208) 또는 HDMI 무선 링크를 이용하여 어플라이언스와 통신하게 놓여진 후, 단계(300)에서, 그 스마트 장치상에 설치된 원격 제어 앱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셋업 프로그램이 당업계에 공지된 바와 같은 환경설정 또는 설정 메뉴를 통해 개시될 수 있다. 단계(302)에서, 셋업 프로그램은 각각의 가능한 타입의 특정 CEC 논리 장치 어드레스에 (HDMI 사양서 및 수반하는 CEC 보충서에 정의된 바와 같이) 연속적인 CEC 호환 가능한 <Polling Message> 트랜스미션(transmission)을 발행함으로써 시작할 수 있다. 설명의 방법으로, CEC 프로토콜은 최대 16개의 가능한 논리 어드레스 값을 지원할 수 있는데, 각각의 값은 특정 어플라이언스 타입에 할당된다. 예컨대, TV 장치는 오직 0 또는 14의 논리 어드레스를 상정할 수 있고, DVD 플레이어와 같은 재생 장치는 오직 4, 8, 또는 11의 논리 어드레스 중 하나만 이용할 수 있고, 튜닝 장치는 오직 3, 6, 7, 또는 10의 논리 어드레스 중 하나만 사용할 수 있다. 폴(poll)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기 위해, CEC 사양 중 한 버전에 따라 시작하는 장치(본 예에서 스마트 장치(100))는 항상 어드레스 15를 상정할 수 있다. 스마트 장치(100)가 TV(106)의 HDMI 포트(210)에만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있지만, CEC 프로토콜은 어플라이언스가 CEC 스위치로서 역할하는 것, 즉, 도시된 예에서 STB(108) 또는 DVD 플레이어(106)와 같은, 그것의 다른 HDMI 포트에 연결된 어플라이언스로/로부터의 CEC 통신을 투명하게 라우팅하는 것을 허용한다. 따라서, 이러한 기능이 스마트 장치가 테더링되는 호스트 어플라이언스에 의해 지원되는 경우에, 셋업 프로그램은 그로 인해 다운스트림 어플라이언스를 인테로게이팅(interrogate)하기 위해 활성화될 수 있다.
발행된 폴링 메시지에 응답하는 장치가 단계(304)에서 탐지되지 않는다면, 셋업 프로그램은 그 앱의 사용자에 의한 수동 환경설정을 허용하는 단계(320)를 계속한다. 그러나, 하나 이상의 응답이 탐지된다면, 단계(306)에서, CEC <Give Device Vender> 메시지가 제1 응답 논리 어드레스 값으로 전송된다. CEC 프로토콜에 따라, 이 메시지를 받은 어플라이언스는 고유한 24비트 벤더 ID로 응답할 수 있는데, 이 숫자는 표준에 따라 IEEE에 의해 CEC-컴플라이언트 제조자에게 할당된 것이다. 수신 후, 단계(308)에서, 이러한 벤더 ID 번호는, 그것이 발생된 CEC 논리 어드레스(어플라이언스의 타입을 나타냄)와 함께, 셋업 프로그램에 의해 코드셋 식별자, 예컨대, 서버(200) 상에 상주하는 웹 서비스로 보내질 수 있다.
코드셋 식별자 서비스로부터 응답을 수신한 후, 단계(310 및 312)에서, 셋업 프로그램은 그 응답이 지시된 어플라이언스에 커맨드를 발행하기 위해 사용하기 위한 코드셋의 긍정적인 식별정보를 구성하는지, 또는 그것이 중의성 해결(disambiguation)의 방식으로 추가 정보에 대한 요청을 포함하는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둘다 아니라면, 식별자 서비스가 적절한 코드셋을 식별하는 것에 실패했다고 가정하고, 셋업 프로세스는 식별될 추가 어플라이언스가 남아있는지 판정하는 단계(318)를 계속한다. 수신된 응답이 추가적인 중의성 해결 정보에 대한 요청을 포함한다면, 그러한 정보는 단계(316)에서 추출될 수 있고, 추가 프로세싱을 위해 코드셋 식별 서비스로 전송될 수 있다. 제한하지 않는 예로서, 이러한 중의성 해결 데이터 요청은 특정 실시예 또는 어플라이언스에 적절한, HDMI 인터페이스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추출 가능하고, 예컨대, 마이크로소프트-할당된 제조자 ID 및/또는 제조자-할당된 제품 코드에 대응하는 데이터 필드를 포함할 수 있는, 비디오 전자 표준위원회(VESA: Video Electronics Standards Association)에 의해 규정된 EDID(Extended Display Identification Data)에 대한 것; (그 어플라이언스가 현재 설치되어 있는 지역/마켓을 나타낼 수 있는) <Get Menu Language> CEC 요청에 대한 응답에 대한 것; <Give OSD Name> 또는 <Get CEC version> CEC 요청에 대한 응답에 대한 것; 호스트 어플라이언스에 의해 검색이 지원되는 호스트 어플라이언스(즉, 도시된 예의 TV(106))의 입력 HDMI 포트에 대응하는 SPD 데이터의 검색에 대한 것 등일 수 있다. SPD 데이터에 관하여 설명하자면, CEA 표준 CEA-861B는 비디오 데이터 소스가 선택적으로 그것의 출력 비디오 스트림에 주기적인 소스 제품 설명 정보 프레임(periodic Source Product Description information frame)을 삽입할 수 있음을 명시하고 있다. 이러한 "인포프레임(InfoFrame)"은 7바이트의 ASCII 벤더 명, 16바이트의 ASCII 제품 설명, 예컨대, 모델 번호), 및 1바이트의 이진 제품 유형 식별자(예컨대, 01h는 디지털 STB이고, 02h는 DVD 플레이어이고, 05h는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이다)를 포함할 수 있다. TV(106)와 같은 렌더링 장치는 선택적으로 이러한 데이터를 디코딩하고 그것을 온-스크린 메뉴 디스플레이 등을 늘리기(augment) 위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내용과 더불어 또는 그 대안으로서, CEC-컴플라이언트 어플라이언스가 지원되지 않는 피처에 관한 임의의 메시지에 대한 <Feature Abort> 응답을 발행할 것을 요구 받으므로, 몇몇 실시예에서, 코드셋 식별 서비스는 어떤 CEC 트랜스미션이 어플라이언스에 대하여 개시되고, 그 결과적인 응답(들)이 보고되도록 요청할 수 있고, 그로 인해 어느 피처에 대한 그것의 서포트(또는 그것의 부재)의 검증에 의해 어플라이언스의 정확한 식별이 가능하게 된다.
수신된 응답이 어플라이언스 제어 코드셋의 식별 정보를 나타내는 것으로 단계(310)에서 판정된다면, 단계(314)에서 스마트 장치(100)의 원격 제어 앱이 그에 따라 환경설정 될 수 있다. 당업계에 공지된 바와 같이, 이러한 환경설정은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적절하게, 커맨드 코드셋의 미리 로딩된 로컬 라이브러리에 대한 포인터 또는 인덱스를 저장하는 것, 서버 기반의 코드셋 라이브러리(218) 등으로부터 다운로드된 데이터인 요청된 코드셋의 프로비전(provision)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환경설정이 완료된 후, 단계(318)에서, 그 다음 셋업 프로그램은 식별될 추가적인 어플라이언스가 남아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만약 그러하다면, 프로세싱은 단계(306)로 되돌아가 다음 어플라이언스에 대하여 상기 식별 프로세스를 반복한다. 단계(302)의 폴링 요청에 응답했던 모든 어플라이언스가 식별 프로세스를 거친 후, 셋업은 필요에 따라 추가 사용자 입력이 요청될 수 있는 단계(320)를 계속한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은 CEC 폴링 요청에 응답하지 않았던 임의의 어플라이언스의 식별 및 환경설정을 완료하기 위해, 예컨대, 분명한 모델 번호 정보 및/또는 코드셋 번호 등의 프로비전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스마트 장치(100)의 원격 제어 앱의 초기 환경설정이 완료된 후에는 자동 코드셋 식별 서비스 등에 의해 고유하게 식별될 수 없다. 어플라이언스 커맨드 코드셋의 식별을 위한 다양한 대안의 방법이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므로, 간결함을 위해 이는 여기서 더 설명하지 않을 것이다.
이제 도 4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어플라이언스 식별 데이터베이스(216)는 각각의 뚜렷하게 식별 가능한 어플라이언스에 대하여 하나씩, 한 그룹의 레코드(400)를 포함할 수 있는데, 각각의 레코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련의 필드(402 내지 436')를 포함한다. 제공된 예에서, 각각의 어플라이언스 레코드(400)는 어플라이언스 타입(402), 브랜드(404), 모델 번호(406), 일련번호 또는 날짜 범위(408, 410)(예컨대, 제조자가 모델 런(run)의 중간에 어플라이언스 피처를 변경하였을 때 고유 식별을 보장하기 위해 필요한 경우)와 같은 데이터 필드 및 어플라이언스의 동작 지휘에 사용하기 위한 어플라이언스 커맨드 코드셋의 식별자(412)를 포함할 수 있는 기본 어플라이언스 식별정보(440)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경우에, 그래픽 또는 마켓 영역 코드(414)는 또한 기본 어플라이언스 식별정보의 일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기본 어플라이언스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는 어플라이언스의 동작을 지휘하도록 제어 장치를 설정하기 위한, 예컨대, 사용자 제공된 브랜드 및 모델 번호를 일치시키기 위한, 수동적으로 공개될 셋업 코드 리스트를 인쇄하기 위한, 특정 어플라이언스 타입 및 브랜드(및 종종 지역) 등에 대응하는 코드셋을 순차적으로 테스트하기 위한 다양한 종래 기술의 방법에 사용될 수 있는데, 이들 모두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상기 기본 어플라이언스 식별정보 데이터와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어플라이언스 식별 데이터베이스 레코드(400)는 동일한 어플라이언스에 대한 제2 전자 식별정보(450)를 포함하는 추가 필드(416 내지 436')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전자 식별정보는 예컨대, 도시된 실시예의 HDMI 상호연결(208)을 통해, 어플라이언스로부터 전자적으로 요청받을 수 있는 데이터 항목의 도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는 제한 없이 CEC 벤더 ID(416), CEC 버전(418), CEC OSD 명(420), EDID 제조자 ID(422), EDID 제품 코드(424), EDID 버전/리버전 번호(426), SPD 벤더 명(428), 및 SPD 제품 설명(430)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그래픽 영역 코드(414)는 또한, 이들이 CEC <Get Menu Language> 응답으로부터 도출 가능할 수 있기 때문에, 전자 어플라이언스 식별정보의 일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사적 라벨링, 멀티-소싱 등과 같은 프랙티스로 인해, 벤더/제조자 ID 및 이름 필드(416, 422 및 428)가 서로 또는 브랜드 필드(404)와 반드시 동기화되는 것은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어플라이언스에 대한 고유 식별을 보장하기 위해 필요한 경우, 추가 데이터 필드는 어플라이언스 식별 레코드(400)의 일부분일 수 있다. 이들은, 예컨대, 비디오 포맷 및 지원되는 해상도, 타이밍 데이터 등과 같은 다른 EDID 구별 가능한 파라미터(432 내지 432') 및/또는 CEC 챌린지/응답 데이터 필드(434, 436)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챌린지/응답 필드는 어플라이언스로 발행될 전자 커맨드 또는 질문(434)과 함께 어플라이언스에 의해 반환될 예상 응답(436)을 포함한다. 제한하지 않는 예로서, DVR 옵션의 존재 또는 부재에 의해서만 차이가 나는 유사한 케이블 STB 간의 구별을 위해, CEC <Give Deck Status> 요청이 DVR STB 응답이 CEC <Feature Abort> 메시지가 아닐 것이라는 예상 하에서 발행될 수 있다. 특정 어플라이언스의 정확한 식별을 보장하는 것이 필요하다면, 복수의 챌린지/응답 데이터 필드(434', 436')가 제공될 수도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어플라이언스 타입(402) 및 코드셋 식별자(412)를 제외하면, 특정 어플라이언스에 대하여 적용 불가능하거나 사용 불가능한 데이터 필드는 "널(null)"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련 번호 범위 필드(408, 410)가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고, 어느 어플라이언스 유형은 EDID 등을 지원하지 않을 수도 있다.
어플라이언스를 고유하게 식별하기 위해, 서버(200)에 상주하거나, 및/또는 서버에 연결된, 예컨대, 서버(200)에 의해 접근 가능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상에 저장된 명령어에 의해 구현되고, 도 3의 플로우차트와 연관지어 앞서 서술된 로직에 따라 일반적으로 동작하는 예시적인 스마트 장치 설정 앱과 상호작용하는 예시적인 어플라이언스 식별 서비스는 CEC 벤더 ID를 어플라이언스 타입의 지시(벤더 ID가 추출되었던 CEC 논리 어드레스)와 함께 포함하는 스마트 장치(100)로부터의 최초 통신을 수신할 수 있다. 어플라이언스 식별 서비스는 이들 값을 데이터베이스(216) 중 요청된 기준에 부합(즉, 어플라이언스로부터 추출된 CEC 논리 어드레스 값이 내포하는 어플라이언스 타입과 필드(402)의 일치, 및 어플라이언스로부터 추출된 CEC 벤더 ID와 필드(416)의 일치)하는 레코드(400)만 선택하기 위한 마스크로서 적용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이러한 최초 통신의 데이터 컨텐트는 상기 언급된 값을 대신하여 또는 그와 더불어, 예컨대, SPD 벤더 명 및 제품 설명과 같은 다른 값을 포함할 수도 있고, 그러한 경우 선택 마스크 또한 그에 따라 조절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오직 단일 매칭 결과라면, 식별은 완료되고, 그 레코드의 필드(412)로부터의 대응하는 코드셋 식별자 값은 스마트 장치(100)에 상주하는 셋업 앱으로 반환될 수 있다. 그러나, 복수의 레코드가 선택 기준을 충족한다면, 어플라이언스 식별 서비스는 남은 서브셋 내의 어떤 데이터 필드가 가장 큰 포괄성(diversity)을 나타내는지 판정하기 위해 그 레코드들의 컨텐트를 검사할 수 있다. 판정이 이루어지면, 어플라이언스로부터 그 데이터 아이템의 검색을 위한 요청이 스마트 장치(100) 내에 상주하는 셋업 앱으로 보내질 수 있다. 요청된 데이터 아이템이 앱에 의해 반환된 때, 그 아이템은 선택 마스크에 추가될 수 있고, 선택 프로세스가 반복된다. 요청된 아이템이 사용 불가능한 경우, 예컨대, 현재 호스트 어플라이언스가 SPD 디코딩을 지원하지 않는데 SPD 데이터가 요청된 경우, 스마트 장치 셋업 앱은 부정적으로 응답할 수 있고, 이러한 경우에 현재 요청된 아이템이 어플라이언스 식별 매칭 프로세스로부터 삭제되고, 대안의 데이터 아이템에 대한 새로운 요청이 발행될 수 있다. 이러한 단계들은 단일 데이터베이스 레코드가 남고, 그것의 코드셋 식별자(412)가 셋업 앱으로 보내질 수 있을 때; 또는 사용 가능한 다른 선택 기준이 없을 때까지, 즉, 모든 데이터 필드(414 내지 436')가 사용되었거나 또는 널 값을 포함함을 알게 되었을 때까지 반복될 수 있는데, 후자의 경우에 스마트 장치 셋업 앱으로 '실패'가 보내져, 그것이 대안의 셋업 방법을 채용할 것을 제안하는 사용자 메시지를 개시하는 것을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적인 스마트 장치 셋업 앱은, 호출된 때(700), 의도된 타겟 어플라이언스를 포함하는 홈 엔터테인먼트 시스템 내의 복수의 어플라이언스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초기 통신을 수신할 수 있다(702). 이전과 마찬가지로, 이러한 데이터는 어플라이언스 타입의 지시(벤더 ID가 추출되었던 CEC 논리 어드레스, 또는 SPD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그 다음, 어플라이언스 식별 서비스는 타겟 어플라이언스를 식별하기 위해(704), 타겟 어플라이언스에 커맨드를 발행하도록 제어 장치를 환경설정 하기(714) 위해 충분하다면, 수신된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식별이 완료되고 그 레코드의 필드(412)로부터 대응하는 코드셋 식별자 값이 스마트 장치(100) 내에 상주하는 셋업 앱으로 반환될 수 있다. 그러나, 어플라이언스로부터 수신된 데이터가 타겟 어플라이언스를 식별하는데 충분하지 못하다면, 이 서비스는 어떤 타입의 어플라이언스가 타겟 어플라이언스가 아닌지 분간하기 위해 수신된 타입 식별 데이터를 이용할 것이다(706). 예를 들어, SPD 데이터가 의도된 타겟 어플라이언스에 사용 불가능하지만, 홈 엔터테인먼트 시스템 내의 블루레이 플레이어 및 A/V 수신기를 식별하는 SPD 데이터가 수신된다면, 이 서비스는 이러한 값들을 제공된 데이터와 일치하지 않는 데이터베이스(216)의 이들 레코드(400)를 선택하기 위한 마스크로서 적용할 것이다, 즉, 그것은 블루레이 플레이어 및 A/V 수신기에만 적용 가능한 이러한 코드셋들을 고려대상에 제거할 것이다. 그 다음, 이러한 제거 프로세스가 단일 레코드 매치를 야기한다면(710), 그 레코드의 필드(412)로부터 대응하는 코드셋 식별자 값이 상술한 바와 같이 스마트 장치를 환경설정(714) 하는데 사용하기 위해 스마트 장치(100) 내에 상주하는 셋업 앱으로 반환될 것이다. 그러나, 복수의 레코드가 남아 있다면, 타겟 어플라이언스로부터 추가 데이터 아이템의 추출 요청이 요구될 수 있고(712), 상술한 바와 같이 스마트 장치(100)에 상주하는 셋업 앱으로 전송된다(716). 앞서와 마찬가지로, 이러한 단계는 단일 데이터베이스 레코드가 남고 그것의 코드셋 식별자(412)가 셋업 앱으로 보내질 수 있을 때, 또는 사용 가능한 다른 선택 기준(718)이 없을 때까지, 즉, 모든 필드(414 내지 436')가 사용되었거나, 널 값을 포함하는 것을 알게 될 때까지 반복될 수 있고, 후자의 경우에 스마트 장치 셋업 앱으로 '실패'가 전송될 수 있고, 이는 그것이 대안의 셋업 방법을 채용할 것을 제안하는 사용자 메시지를 개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고객의 어플라이언스의 제어를 위해 필요한 커맨드 코드셋이 완전히 제공된 후, 어느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장치 원격 제어 앱은 예시적인 HDMI 커넥션을 통해 제어되는 어플라이언스와 물리적으로 통신하는 동안 추가적인 커스터마이제이션(customization)을 거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CEC <Get Menu Language> 요청에 대한 응답(들)이 제어되는 어플라이언스에 의해 사용되는 것과 일치하도록 원격 제어 앱의 메뉴, 키 라벨 등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반대로, 고객 요청시 스마트 장치가 현재 지역화되어 있는 언어가 CEC <Set Menu Language> 요청을 통해 제어되는 어플라이언스로 전달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스마트 장치의 사용자 선호 셋팅과 일치하도록 어플라이언스 디스플레이가 조정된다.
TV(106)와 같은 어플라이언스가 앞서 언급한 CEC 스위칭 기능을 수행하도록 조절되어 있고 그러한 질문을 지원하도록 장착되어 있는 경우에, 그 스위칭 어플라이언스는 그것의 어떤 물리적 HDMI 포트(예컨대, 210, 212, 및 214)가 어떤 다운스트림 CEC 논리 어드레스(예컨대, STB(108), DVD 플레이어(110) 등)와 연관되어 있는지 나타내도록 요청 받을 수 있다. 그 다음, 그렇게 획득된 데이터는 활성 매크로, 제한하지 않는 예로서, "TV 시청" 또는 "영화 시청"을 구성하기 위해 스마트 장치 원격 제어 앱에 의해 사용될 수 있고, 그로 인해 그러한 활동이 개시된 때 TV(106)의 적절한 HDMI 입력을 선택하기 위한 커맨드가 자동적으로 발행되게 된다. 이러한 매크로 구성은 완전히 자동일 수도 있고, 또는 사용자 입력을 필요로 할 수도 있다. 예컨대, 복수의 미디어 재생 어플라이언스가 환경설정에서 탐지된 경우(예컨대, DVD 플레이어 및 디맨드 박스(demadn box) 상의 부두(Vudu) 스트리밍 비디오 모두), 사용자는 어떤 어플라이언스가 "영화 시청" 활동을 위해 사용될 것인지 선택하도록 프롬프팅될 수 있다(이와 같은 경우에 복수의 "영화 시청" 활동도 구성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희망의 어플라이언스의 사용자 식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프롬프트는 적절하다면, CEC <Get OSD name> 요청, 코드셋 식별 서비스에 의해 제공되는 어플라이언스 브랜드 명 및/또는 모델 번호, TV 입력 포트 번호, 또는 임의의 이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추출된 어플라이언스 자가-제공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제 도 5를 참조하면, 대안의 실시예에서, 스마트 장치(100) 내에 상주하는 원격 제어 앱, 즉, 실재적 판독 가능한 매체 상에 저장된 컴퓨터 실행 가능한 명령어는 어플라이언스, 예컨대, STB(108)와 함께 제공된 종래의 범용 원격 제어(500)의 셋업 동안 이미 판정되었던 코드셋 식별정보를 어플라이언스로부터 추출하기 위해 STB(108)와 같은 어플라이언스와 상호작용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셋 식별정보는, 예컨대, 커맨드 데이터에 관한 정보 및 TV(107) 및 DVD 플레이어(110)의 제어에 적합한 프로토콜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스마트폰 원격 제어 앱의 환경설정을 달성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 중 단계(600)에서 사용자는, 예컨대, 미국 특허 제7,969,514호 및 U.S. 특허 출원 제13/026,768호에 서술된 바와 같이, STB(108) 내에 상주하는 상호작용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범용 원격 제어(500)을 최초로 환경설정할 수 있는데, 상기 개시물들은 그 전체가 참조로서 본 명세서에 통합되어 있고, 본 출원은 그것의 일부 계속 출원이다. 이들 개시물의 교시에 따라 원격 제어(500)의 셋업의 완료 후, 예컨대, TV(106) 및 DVD 플레이어(110)의 동작을 지휘하는데 원격 제어(500)에 의해 사용될 코드셋의 식별정보가 STB(108)에 알려지고, 그 내부에 저장될 수 있다.
그 다음, 단계(602)에서, 사용자는 도 5의 시스템의 어플라이언스의 동작을 지휘하는데 앱을 사용하기 위해 스마트 장치에 대한 원격 제어 앱을 획득하고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교시에 따라, 단계(604)에서, 이러한 스마트 장치 앱은 호환 가능한 STB 어플라이언스, 예컨대, 앞서 상호작용 셋업을 수행했고, 코드셋 식별정보를 저장하고 있고, 그것을 스마트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는 STB(108)와 같은 어플라이언스가 사용자의 장치 환경설정 내에 존재하는지 판정할 수 있다. 이러한 발견 및 통신은, 예컨대, 와이파이(204), 블루투스 또는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편리한 임의의 다른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무선 연결(502)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호환 가능한 어플라이언스(들)의 발견은, 예컨대, 스마트 장치가 최초로 호출된 때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호환 가능한 어플라이언스(예컨대, STB(108))의 동작을 지휘하기 위해 스마트 장치 앱의 최초 사용자 환경설정 시 발생할 수도 있고; 사용자에 의해 수동적으로 개시될 수도 있고; 또는 적절하다면 이들의 임의의 조합도 가능하다. 호환 가능한 어플라이언스가 단계(604)에서 탐지되지 않았다면, 이 방법은 본 명세서에 앞서 서술된 것과 같은 방법 또는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다른 적절한 어플라이언스 커맨드 세트 식별 방법을 이용하여 스마트 장치 앱의 대안의 환경설정을 수행하기 위해 단계(614)에서 계속될 수 있다. 그러나, 호환 가능한 어플라이언스가 탐지된다면, 단계(606)에서, 스마트 장치 앱은 사용자의 어플라이언스의 밸런스의 오퍼레이션을 지휘하기 위해 앱을 자동으로 환경설정하는 옵션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거부하면, 앱은 단계(614)의 대안의 환경설정 방법을 계속한다. 사용자가 승인하면, 단계(610)에서, 스마트 장치는 호환 가능한 어플라이언스, 예컨대, STB(108)로부터 범용 원격 제어(500)가 그것의 동작을 지휘하도록 설정되었던 다른 어플라이언스에 적용 가능한 코드셋 식별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러한 식별 정보가 추출되고 스마트 장치로 로딩된 후, 몇몇 실시예에서 단계(612)에서 스마트 장치 앱 환경설정이 추가될 어플라이언스의 목록이 사용자 확인을 위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해하는 바와 같이, 이러한 목록은 코드셋 식별자 자체, (STB(108)로부터 추출된 데이터 내에 포함될 수 있는; 스마트 장치(100) 내에 국부적으로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내에 상호 참조된; 원격 데이터베이스(216, 218)로부터 추출 가능한;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인) 그 식별자와 연관된 브랜드 명 및/또는 모델 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원하는 환경설정을 확인한 후, 단계(616)에서, 스마트 장치는, 예컨대, 도 3의 단계(314)와 연관지어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선택된 어플라이언스의 동작을 지휘하도록 자신을 환경설정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어느 실시예에서, 단계(314)의 임의의 방법을 대신하여, 하나 이상의 어플라이언스 코드셋(즉, 커맨드 데이터 및 프로토콜 정보)가 STB(108) 자체로부터 직접 다운로드될 수도 있다.
또한, SPD 데이터가 홈 엔터테인먼트 시스템 내에 다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장치로부터 추출될 수도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제2 어플라이언스(예컨대, STB)와 통신하는 제1 어플라이언스(예컨대, 스마트 TV)는 제2 어플라이언스와 관련된 제1 어플라이언스 상에서 사용할 앱, 예컨대, 제2 어플라이언스와 연관된 컨텐트 서비스 제공자에게 적합한 앱을 자동으로 다운로드하기 위해 제2 어플라이언스로부터 추출된 SPD를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앱은, 예컨대, 앱이 그것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자동으로 갱신하기 위해 제2 장치로부터 수신된 컨텐트 스트림 내의 메타데이터를 이용하게 함으로써, 제1 장치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데이터가 제2 장치의 동작과 자동으로 동기화되는, 제1 장치상에 EPG 또는 EPG 형 오버레이를 제공하기 위한 앱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도 8은 디스플레이 장치(106), 예컨대, 텔레비전이 광고 컨텐트(804)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조정될 수 있는 예시적인 시스템(806)을 도시한다.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106)와 통신하는 미디어 스트리머(802)는 대응하는 앱(800B)이 디스플레이 장치(106) 상의 오버레이로서 수신된 광고 컨텐트를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하고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106)에 제공되는 대응하는 앱(800B)에 의해 사용될 광고 컨텐트를 제공하도록 기능하는 앱(800A)을 가진다. 앱(800A)의 기능이 앱(800B)에 광고 컨텐트를 제공하는 것이지만, 앱(800A)이 당업계에 주지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6)상에 표시하기 위한 오디오/시각적 미디어 컨텐트와 같은 추가 컨텐트를 디스플레이 장치(106)에 제공할 수도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앱(800A)에 의해 앱(800B)에 제공되는 광고 컨텐트는 (예컨대, 앱(800A), 또는 미디어 스트리머(802) 상에 설치된 다른 앱의 사용을 통해) 미디어 스트리머(802)가 디스플레이 장치(106)에 제공하고 있는 컨텐트와 관련된 것일 수 있고, 미디어 스트리머 장치(802) 및/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6) 자체, 미디어 스트리머 장치(802) 및/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6)의 제조자, 디스플레이 장치(106) 상에 제공되는 컨텐트 등에 관한 것일 수도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미디어 서버(802)의 앱(800A)은 원격 서버로부터, 원격 서버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광고 컨텐트를 액티브하게 추출할 수 있고, 이러한 정보는 그것에 의해 획득된, 및/또는 그로부터 추출된, 및/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6)의 앱(800B)에 의해 원격 서버에 제공된다. 이와 더불어 또는 대안으로서, 앱(800A)은 원격 서버로부터 광고 컨텐트를 푸시받을 수 있는데, 이러한 푸시되는 정보는 앱(800A)이 원격 서버로 제공하는 앞서 언급된 또는 다른 정보를 기초로 할 수 있다. 네트워크 서버는 또한, 예컨대, 네트워크 스트리머(102)로 스트리밍되고 있는(현재 또는 과거에) 미디어의 임의의 모니터링을 기초로 하는, 자신이 가진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앱(800A)은 앱(800B)에 추후 제공을 위해 네트워크 서버로부터 수신된 광고 컨텐트를 저장할 수 있고, 및/또는 앱(800A)은 단지 네트워크 서버로부터 수신된 광고 컨텐트를 앱(800B)으로 바로 전달하는 기능을 할 수도 있다. 앱(800A)이 수신된 광고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능을 하는 경우에, 앱(800B)은 요청에 따라 또는 원한다면 앱(800A)으로부터 대용량 전송(bulk-transfer)으로 광고 컨텐트를 제공받을 수 있다. 원격 서버로부터 광고 컨텐트를 추출하는 것 및/또는 원격 서버로부터 광고 컨텐트를 푸시하는 것은 언급된 바와 같이 요청에 따라 수행될 수도 있고, 및/또는, 예컨대, 네트워크 활동이 피크가 아닌 시간 동안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앱(800A 및 800B)은 이러한 목적으로 데이터-동기화된 것이 바람직하고, 이와 같이, 앱(800A 및 800B)은 앱들이 자신들 간에 및/또는 그들이 프로비전 되어 있는 하드웨어와 상호 작동 가능하게 유지됨을 보장하기 위해 필요한 때 업데이트를 요청하도록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호 동작 가능한 앱(800)이 복수의 엔터테인먼트 장치에 설치될 수도 있고, 그러한 경우에 광고 컨텐트(804)는 미디어 스트리머(802)에 의해 및/또는 스마트 장치(100)에 제공된 앱(800C)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106) 상에 설치된 동일한 앱(800B)에 제공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TV, 미디어 스트리머 및 스마트 장치를 포함하는 홈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의 환경을 예로 들었으나, 앱은 제한하지 않는 예로서 텔레비전, VCR, DVR, DVD 플레이어, 케이블 또는 위성 컨버터 셋탑밧스("STB"), 증폭기, AV 수신기, CD 플레이어, 게임 콘솔, 네트워크 비디오 스트리머, 퍼스널 컴퓨터,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및 포함하지 않는 휴대용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는 어플라이언스 상에 설치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어느 환경에서, 광고 컨텐트(804)는 디스플레이 장치(106)가 (미디어 컨텐트를 보고 및/또는 듣기 위해) 특정 입력으로 설정된 때 및/또는 미디어 스트리머(802)가 특정 비디오 컨텐트 소스로 튜닝된 때, 디스플레이 장치(106) 상에 오버레이로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광고가 디스플레이 장치(106) 상에 표시 가능한 상태로 장치를(들을) 놓기 위해, 그 장치가(들이) 임의의 필요한 액션을 수행하게 만들기 위한 커맨드 시퀀스("매크로")가 제어 장치(100)와 같은 제어 장치에 의해 실행될 셋업 프로세스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엔터테인먼트 어플라이언스의 제어 및/또는 매크로의 사용 방법이 당업계에 주지되어 있으므로, 여기서 그것을 더 설명하지는 않을 것인데, 추가 정보에 대하여 관심있는 독자들은, 예컨대, 그 전체가 참조로서 본 명세서에 통합되어 있고 공동 소유된 "최적의 어플라이언스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이란 제목의 미국 특허 출원 제13/657,176호, 또는 "스마트 장치를 통해 어플라이언스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 및 방법"이란 제목의 제13/071,661호를 참조할 수 있을 것이다.
다양한 개념들이 상세하게 설명되었으나, 당업자들은 그러한 개념에 대한 다양한 변형 및 대안이 본 개시물의 전체적인 교시를 통해 개발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앞서 제공된 예시적인 장비 구성은 HDMI 상호연결 초점으로서 텔레비전 세트 및 스마트 장치의 부착을 위한 호스트 어플라이언스 또는 미리 구성된 원격 제어 설정의 추출을 위한 STB를 이용하지만, 대안의 구성에서 AV 수신기, PC, 게임 콘솔 등과 같은 다른 장치들이 스마트 장치가 일시적으로 부착되는 또는 스마트 장치가 셋업 목적으로 통신할 수 있는 호스트 어플라이언스 또는 추출 소스로서 동등한 역할을 잘 수행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뿐만 아니라, 환경설정 내에 CEC 스위치 기능을 지원할 수 있는 어플라이언스가 없는 경우라 하더라도,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장치가 전자적으로 활성화되는 셋업을 수행하기 위해 순차적으로 복수의 어플라이언스에 개별적으로 부착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또한, 어느 실시예어서, 효율성을 위해, 상술된 바와 같이 단계적 방식이 아니라, 복수의 어플라이언스-식별 데이터 아이템이 수집될 수 있고 단일 트랜잭션(transaction)으로서 어플라이언스 식별 서비스로 함께 전송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이러한 정보는 타겟 어플라이언스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그것을 환경설정되고 있는 장치에 제공할 수 있는 중개 장치를 이용하도록 구성된 장치로 전달될 수도 있다. 더불어, HDMI 연결, CEC 프로토콜, 및 SPD 인포프레임 데이터를 이용하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IP 데이터와 같은, 다양한 다른 연결 및 어플라이언스 식별 데이터 수집 방법이 여기 서술된 목적에 동등하게 적용 가능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고; 표준들이 추가적인 피처 등을 지원하기 위해 진화 또는 수정될 수 있고, 따라서, 여기 제공된 예시적인 어플라이언스 식별 데이터베이스 컨텐트가 단지 설명을 위한 것이고, 여기 서술된 어플라이언스 식별 방법에 의한 사용을 위해 사용 가능하거나 사용 가능하게 될 수 있는 모든 가능한 식별 데이터 포인트 또는 파라미터의 배타적인 표로서 의도된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기능 모듈의 환경으로 서술되고 블록도 및/또는 플로우차트 형식을 이용하여 도시되었으나, 다르게 언급되지 않았다면, 하나 이상의 서술된 기능 및/또는 피처는 단일 물리적 장치 및/또는 소프트웨어 모듈에 통합될 수도 있고, 하나 이상의 기능 및/또는 피처는 개별 물리적 장치 또는 소프트웨어 모듈 내에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각각의 모듈의 실제 구현에 대한 상세한 설명들이 본 발명의 가능한 이해를 위해 필수적인 것은 아님이 이해될 것이다. 그보다는, 이러한 모듈의 실제 구현은 본 개시물의 시스템 내의 다양한 기능 모듈의 특성, 기능, 및 상호 관계를 고려하여, 엔지니어의 통상적인 기술 내에서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통상의 기술을 가진 당업자들은 과도한 실험없이 청구항에 나열된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개시된 특정 개념들이 단지 설명을 위한 것일 뿐이며, 첨부된 청구항 및 그것의 임의의 동등물의 전체 범위를 고려하여야 하는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인용된 모든 특허들은 그 전체가 참조로서 여기 통합되어 있다.

Claims (16)

  1. 광고 컨텐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으로서,
    광고 컨텐트를 추출하기 위해 제1 장치상에 설치된 제1 앱을 이용하는 단계; 및
    상기 광고 컨텐트가 상기 제1 장치상에 설치된 상기 제1 앱으로부터 제2 장치상에 설치된 제2 앱으로 제공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장치상에 설치된 상기 제2 앱은 상기 제2 장치와 연관된 디스플레이 내에 오버레이(overlay)로서 상기 광고 컨텐트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컨텐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치상에 설치된 상기 제1 앱이 네트워크 서버로부터 광고 컨텐트를 추출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컨텐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치상에 설치된 상기 제1 앱이 상기 광고 컨텐트를 추출함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서버에 의해 사용될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서버에 제공하게 하는 단계를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컨텐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치상에 설치된 상기 제1 앱에 의해 상기 네트워크 서버로 제공되는 상기 정보는 상기 제2 장치상에 설치된 상기 제2 앱에 의해 상기 제1 장치상에 설치된 상기 제1 앱에 먼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컨텐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서버로 제공되는 상기 정보는 상기 제2 장치를 식별하는 기능을 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컨텐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서버로 제공되는 상기 정보는 상기 제2 장치가 상기 디스플레이 내에 디스플레이되게 하고 있는 미디어 컨텐트를 식별하는 기능을 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컨텐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서버로 제공되는 상기 정보는 상기 제1 장치가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상기 제2 장치에 제공하고 있는 미디어 컨텐트를 식별하는 기능을 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컨텐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앱은 상기 제1 앱에 상기 네트워크 서버로부터 상기 광고 컨텐트의 추출을 개시하도록 명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컨텐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서버로 제공되는 정보는 상기 제2 장치가 상기 디스플레이 내에 디스플레이되게 하고 있는 미디어 컨텐트를 식별하는 기능을 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컨텐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앱은 미리 정해진 시간에 상기 네트워크 서버로부터 광고 컨텐트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컨텐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치는 상기 제1 앱에 의한 상기 제2 앱으로의 추후 제공을 위해 상기 광고 컨텐트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컨텐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치는 미디어 스트리밍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장치는 텔레비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컨텐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치는 스마트폰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장치는 텔레비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컨텐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치상에 설치된 상기 제1 앱과 상기 제2 장치상에 설치된 상기 제2 앱을 데이터-동기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컨텐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앱으로부터 상기 제2 앱으로 상기 광고 컨텐트를 제공하기 위해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컨텐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네트워크는 RF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컨텐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KR1020167033626A 2014-05-20 2015-05-12 휴대용 장치의 원격 제어 기능을 환경설정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3047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282,785 2014-05-20
US14/282,785 US20140337879A1 (en) 2006-09-05 2014-05-20 System and method for configuring the remote control functionality of a portable device
PCT/US2015/030258 WO2015179165A1 (en) 2014-05-20 2015-05-12 System and method for configuring the remote control functionality of a portable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0477A true KR20170030477A (ko) 2017-03-17

Family

ID=54554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3626A KR20170030477A (ko) 2014-05-20 2015-05-12 휴대용 장치의 원격 제어 기능을 환경설정하는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2) EP3146727A4 (ko)
JP (1) JP6529580B2 (ko)
KR (1) KR20170030477A (ko)
CN (1) CN106537926A (ko)
WO (1) WO201517916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22285A1 (ko) * 2021-08-19 2023-02-23 주식회사 오성전자 Edid 정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코드를 설정하는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8884A (ko) 2018-12-06 2020-06-1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11968360B (zh) * 2020-08-27 2021-05-28 高斯贝尔数码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电子产品遥控功能定制方法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12238A (ja) * 2000-04-05 2002-04-12 Masanobu Kujirada テレビcm画像を含む番組の放送方法、及び、テレビcm画像タイプ切換え装置
CN1444399A (zh) * 2002-03-07 2003-09-24 金宝电子工业股份有限公司 电视荧幕上显示广告的方法及其装置
US7907222B2 (en) 2005-09-08 2011-03-15 Universal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simplified setup of a universal remote control
CN101079868A (zh) * 2006-05-22 2007-11-28 深圳Tcl新技术有限公司 电视广告网络下载方法
US8659400B2 (en) * 2006-09-05 2014-02-25 Universal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figuring the remote control functionality of a portable device
GB2460802B (en) * 2007-03-20 2012-09-05 Prysm Inc Delivering and displaying advertisment or other application data to display systems
US20080231762A1 (en) * 2007-03-22 2008-09-25 Son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application dependent universal remote control
US20100043046A1 (en) * 2008-07-07 2010-02-18 Shondip Sen Internet video receiver
US20100228611A1 (en) * 2009-03-06 2010-09-09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associating content and advertisement
JP2011193326A (ja) * 2010-03-16 2011-09-29 Kddi Corp 放送映像に付加情報を重畳する放送映像出力装置、プログラム及び方法
US8819726B2 (en) * 2010-10-14 2014-08-26 Cyandia, Inc. Methods, apparatus, and systems for presenting television programming and related information
US20120284758A1 (en) * 2011-05-06 2012-11-08 Eric Adjesson System to enhance television viewing by merging television and the internet
US20130085851A1 (en) * 2011-09-30 2013-04-04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Targeted Advertising of Products Shown in Media Content
US9930311B2 (en) * 2011-10-20 2018-03-27 Geun Sik Jo System and method for annotating a video with advertising information
US10290017B2 (en) * 2011-11-15 2019-05-14 Tapad, Inc. Managing associations between device identifier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22285A1 (ko) * 2021-08-19 2023-02-23 주식회사 오성전자 Edid 정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코드를 설정하는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46727A1 (en) 2017-03-29
EP3146727A4 (en) 2017-04-19
JP6529580B2 (ja) 2019-06-12
JP2017523740A (ja) 2017-08-17
WO2015179165A1 (en) 2015-11-26
EP3896978A1 (en) 2021-10-20
CN106537926A (zh) 2017-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264192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figuring the remote control functionality of a portable device
US9530308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figuring the remote control functionality of a portable device
US9087100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figuring the remote control functionality of a portable device
US9454899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figuring the remote control functionality of a portable device
KR102495076B1 (ko) 휴대용 장치의 리모트 컨트롤 기능을 설정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30477A (ko) 휴대용 장치의 원격 제어 기능을 환경설정하는 시스템 및 방법
CN107408331B (zh) 用于配置便携式设备的遥控功能的系统和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