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9875A - 절연블록 및 이를 이용한 절연블록조립체 - Google Patents

절연블록 및 이를 이용한 절연블록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9875A
KR20170029875A KR1020150127010A KR20150127010A KR20170029875A KR 20170029875 A KR20170029875 A KR 20170029875A KR 1020150127010 A KR1020150127010 A KR 1020150127010A KR 20150127010 A KR20150127010 A KR 20150127010A KR 20170029875 A KR20170029875 A KR 201700298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plate
insulation block
partition
insulation
insu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7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진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닉스
Priority to KR10201501270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29875A/ko
Publication of KR20170029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98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56Insulating bod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38Fittings, e.g. caps; Fastenings there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5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06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having associated enclosures, e.g.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pa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절연블록 및 이를 이용한 절연블록조립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절연블록은, 상하좌우방향으로 조립됨으로써, 배전반에 설치된 복수 개의 부스바를 각각 격리시킨 채 내부에 수용하게 되는 절연블록으로서, 메인플레이트; 상하방향 조립을 통해 복수 개의 상기 부스바를 각각 격리, 수용하는 절연공간이 마련되도록,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형성된 격벽부; 및 상기 격벽부 상단에 마련되어 상하방향 조립이 이루어지게 하는 상방결합수단과, 상기 메인플레이트 및 상기 격벽부 중 적어도 어느 일측면에 마련되어 좌우방향 조립이 이루어지게 하는 측방결합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메인플레이트에 격벽을 구성하고 상하좌우방향으로 조립 가능한 구조의 결합부를 형성함으로써, 외부에 노출된 형태로 설치된 부스바의 길이에 맞춰 상하좌우로 선택적인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고, 이로 인해 부스바 전체를 둘러싸듯이 절연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작업자의 활선 등의 작업 시 부스바와의 직접 접촉으로 인한 감전의 위험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절연블록 및 이를 이용한 절연블록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절연블록 및 이를 이용한 절연블록조립체{Prefabricated block insulating bus bars and A insulation block assembly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절연블록 및 이를 이용한 절연블록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에 노출된 형태로 설치된 부스바의 길이에 맞춰 상하좌우로 선택적인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고, 부스바 전체를 둘러싸듯이 절연할 수 있어 부스바와의 직접 접촉으로 인한 감전의 위험이 원천적으로 방지될 수 있는 절연블록 및 이를 이용한 절연블록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수배전반은 발전소에서 공급되는 전력을 배분 및 개폐하는 장치로, 감전방지를 위한 폐쇄 외함에 주회로 차단기기와 감시 제어용 기기를 수납하여 사용자의 요구 조건에 따라 전력 계통 감시, 보호, 조작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수배전반은 수납 기기의 정격, 안전보호 등급, 적용 규격에 따라 제품의 종류 및 크기가 다양하다.
수배전반에는 각각의 차단기들을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분배하기 위해 복수 개로 부스바(bus-bar)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부스바는 송전에 따른 전력손실을 줄이기 위해 순동(純銅)을 사용하여 소정규격(IEC, JIS, KS)으로 압출성형하는 방식으로 제작됨이 일반적이다.
순동으로 제작되어 전기 도전율이 매우 우수한 부스바의 표면이 공기 중에 그대로 노출된 상태로 두는 것은 수배전반을 보수 또는 점검하는 작업자에게 고압감전의 위험을 주는 것이기 때문에 적절한 절연 작업이 반드시 필요하다.
다만, 기(旣)설치된 부스바에 대한 절연 작업은 감전사고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서 수배전반에 설치된 차단기를 통해 공급전력을 차단한 후 수행해야 하는데, 다수의 기계장치들이 설치된 대규모 공장의 경우, 공급전력을 일시에 차단하게 되면 재가동에 따른 경제적 손실 및 기계장치의 고장 등이 유발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적절히 절연되지 않은 부위에서는 변압기에서 공급되는 고전압 또는 불안정한 전력공급으로 인해 강한 스파크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때, 해당 부스바에는 강한 충격이 가해져 파손이나 부스바 간의 단락이 발생하는 위험이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부스바의 절연을 위해 절연기능을 갖는 열수축튜브를 이용하여 피복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었으며, 이를 위해서는 각각의 부스바에 열수축튜브를 일일이 끼워서 삽입한 다음, 열을 가하여 밀착 고정시키는 번거로운 과정을 거쳤다. 열수축튜브를 이용한 절연은 부스바에 완전 밀착되기 때문에 전기 절연, 방수 및 소자 보호에 효과가 있으나, 상대적으로 비싸고 생산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선행기술 중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442071호는 조립 및 시공이 간단하며, 상부고정대와 하부고정대를 다양한 규격의 부스바가 지지될 수 있도록 착탈식으로 형성하여, 상부지지대와 하부지지대는 그대로 사용하고, 다른 규격의 부스바가 연결될 때 그 부스바의 규격에 맞는 상부고정대와 하부고정대만 교체하여 사용함으로써 비용 절감의 효과가 큰 부스바용 절연 지지대에 대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상술한 선행기술은 다양한 규격의 부스바에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부스바의 양단부에서만 절연된 지지대가 설치되는 것이므로, 부스바 양단부 이외에는 절연이 이루어지지 않고, 공기 중에 그대로 노출됨에 따라 상술한 문제점을 그대로 갖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442071호(공고일 2008.10.06)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에 노출된 형태로 설치된 부스바의 길이에 맞춰 상하좌우로 선택적인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고, 부스바 전체를 둘러싸듯이 절연할 수 있어 부스바와의 직접 접촉으로 인한 감전의 위험이 원천적으로 방지될 수 있는 절연블록 및 이를 이용한 절연블록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상하좌우방향으로 조립됨으로써, 배전반에 설치된 복수 개의 부스바를 각각 격리시킨 채 내부에 수용하게 되는 절연블록으로서, 메인플레이트; 상하방향 조립을 통해 복수 개의 상기 부스바를 각각 격리, 수용하는 절연공간이 마련되도록,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형성된 격벽부; 및 상기 격벽부 상단에 마련되어 상하방향 조립이 이루어지게 하는 상방결합수단과, 상기 메인플레이트 및 상기 격벽부 중 적어도 어느 일측면에 마련되어 좌우방향 조립이 이루어지게 하는 측방결합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블록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격벽부는, 서로 높이가 다른 제1격벽과 제2격벽으로 이루어져 교대로 형성되되, 제1격벽은 L높이로, 제2격벽은 H-L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방결합수단은, 상기 제1격벽 및 상기 제2격벽 중 어느 한쪽 상단면에 형성되는 상방결합돌기와 다른 한쪽 상단면에 상기 상방결합돌기가 끼워질 수 있는 형상으로 된 상방결합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측방결합수단은, 상기 메인플레이트 및 상기 격벽부 중 적어도 어느 일측면에 형성되는 측방결합돌기와 다른 타측면에 상기 측방결합돌기가 끼워질 수 있는 형상으로 된 측방결합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양단부에는 상기 배전반 일측에 상기 절연블록을 고정할 수 있도록, 외측으로 연장형성된 확장고정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플레이트, 상기 격벽부 및 상기 결합부는, 테프론, 폴리크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폴리비니리덴포르라이드, 폴리페닐렌설파이드, 폴리아릴 에테르 케톤, MC 나일론, 아크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합성수지를 혼합한 것을 사출하여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제1격벽과 상기 제2격벽은, 각각 2개씩 형성되고, 이들 간의 이격거리는 65mm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기 절연블록이 상하좌우방향으로 조립되어 형성되는 절연블록조립체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절연블록조립체의 양단부에는, 상기 절연공간을 밀폐할 수 있도록 상기 측방결합수단과 좌우방향 조립이 이루어지는 밀폐플레이트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메인플레이트에 격벽을 구성하고 상하좌우방향으로 조립 가능한 구조의 결합부를 형성함으로써, 외부에 노출된 형태로 설치된 부스바의 길이에 맞춰 상하좌우로 선택적인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고, 이로 인해 부스바 전체를 둘러싸듯이 절연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작업자의 활선 등의 작업 시 부스바와의 직접 접촉으로 인한 감전의 위험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절연블록 및 이를 이용한 절연블록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단순하고 조립이 용이한 구조의 절연블록을 부스바와 관련된 다양한 설치규격에 맞춰 각각 모듈화함으로써, 규격별 제품의 대량생산이 가능하며, 공급전력의 차단이 없이도 부스바에 대한 절연 작업이 보다 쉽고 빠르며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절연블록 및 이를 이용한 절연블록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부에 놓인 절연블록의 상방결합돌기가 아래쪽에 놓인 절연블록의 상방결합홈과 측방결합홈이 서로 연통되는 홈을 통해 슬라이딩 되듯이 끼워져 조립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립의 정확성과 편의성이 비약적으로 향상될 수 있는 절연블록 및 이를 이용한 절연블록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연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절연블록을 상하방향으로 조립하여 이루어지게 되는 절연블록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절연블록을 상하좌우방향으로 조립하는 과정을 간략히 나타내는 조립상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절연블록의 상하방향 조립의 편의성을 보여주기 위한 일부 단면 사시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도 1의 절연블록이 배전반에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와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연블록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절연블록을 상하방향으로 조립하여 이루어지게 되는 절연블록조립체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절연블록을 상하좌우방향으로 조립하는 과정을 간략히 나타내는 조립상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1의 절연블록의 상하방향 조립의 편의성을 보여주기 위한 일부 단면 사시도이고, 도 5a 및 도 5b는 도 1의 절연블록이 배전반에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와 측면도이다.
도면에 나타난 X, Y, Z 축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임의로 정한 것으로, X축이 전(화살표 쪽), 후(화살표 반대쪽)방향을 지시하고, Y축은 좌, 우방향을 지시하며, Z축은 상, 하방향을 지시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이하 설명에서 각 방향을 지시하는 단어는 이에 기초한 것이다.
(절연블록)
본 발명에 따른 절연블록(100)은 변압기에서 분기되는 배선선로나 배전반 등에 사용되어 대전류를 전송하는 복수 개(3상 3선 또는 3상 4선)의 부스바(B, Bus Bar, 母線)를 절연하기 위한 단일한 형태의 조립블럭으로, 상하(서로 마주보는 방향), 좌우(서로 나란한 방향)로 각각 조립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절연블록(100)은 부스바(B)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개가 상호 조립되어 절연블록조립체(200)를 이룸으로써 복수 개의 부스바(B)를 각각 격리시킨 채 내부에 수용하게 된다.
이는 종래 배선선로나 배전반 등에 설치된 부스바(B)를 절연하기 위해 공급전력을 차단한 후 열수축튜브를 이용하여 피복하던 방식을 개선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절연블록(100)은 외부에 노출된 형태로 설치된 부스바(B)의 길이에 맞춰 상하좌우로 선택적인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부스바(B) 전체를 둘러싸듯이 절연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작업자의 활선 등의 작업 시 부스바(B)와의 직접 접촉으로 인한 감전의 위험이 원천적으로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단순하고 조립이 용이한 구조로 이루어진 절연블록(100)을 부스바(B)와 관련된 다양한 설치규격에 맞춰 각각 모듈화함으로써, 규격별 제품의 대량생산이 가능해 질뿐만 아니라, 공급전력의 차단이 없이도 부스바(B)에 대한 절연 작업이 보다 쉽고 빠르며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부스바(B)와의 접촉에 의한 작업자의 감전사고를 방지하고, 쉽고 빠르며 안전한 부스바(B) 절연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절연블록(100)은 메인플레이트(110), 격벽부(120) 및 결합부(13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메인플레이트(110), 격벽부(120) 및 결합부(130)는 절연성, 내열성, 강성이 우수한 합성수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히 테프론(PTFE, Poly Tetra Fluoro Ethylene), 폴리크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PCTFE, PolyChloroTriFluoroEthylene), 폴리비니리덴포르라이드(PVDF, Polyvinylidene Fluoride),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 Poly Phenylene Sulfide), 폴리아릴 에테르 케톤(PEEK, Polyether ether ketone), MC 나일론(Mono Cast Nylon) 등과 같은 다양한 소재를 사출하여 일체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각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하자면 다음과 같다.
메인플레이트(110)는 부스바(B)와 작업자 간의 접촉을 차단하기 위한 구성요소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 사각형 형상의 판재로 이루어진다. 이때, 메인플레이트(110)의 길이(긴쪽)는 부스바(B)의 설치형태와 한국전기공업협동조합 규격에서 정하는 전압별 부스바(B)의 상(相)간 이격거리를 고려하여 다양한 길이로 제작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플레이트(110)는 공칭전압 6600V일 때 상간 이격거리가 65mm임을 고려하여 3상 3선 기준으로 적어도 19.5cm(65mm X 3)의 길이를 갖는 판재 형상으로 제작하며, 3상 4선인 경우는 적어도 26cm(65mm X 4)의 길이로 제작한다.
그리고 메인플레이트(110)는 다양한 길이로 노출된 부스바(B)에 대해 좌우방향(서로 나란한 방향) 조립을 통해 적절한 절연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폭(짧은쪽) 길이를 세분화하여 제작할 수 있다.
즉, 일례로 메인플레이트(110)의 폭 길이는 2cm 내지 20cm의 범위에서 선택적으로 정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조립 작업의 편의성 및 효율성과 조립된 상태에서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고, 부스바(B)의 길이나 절곡지점에 대하여 원활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10cm와 5cm의 폭을 갖는 메인플레이트(110)를 각각 개별 제작하게 된다.
또한, 메인플레이트(110)의 두께는 부스바(B)에 흐르는 대전류의 크기에 비례하는 두께로 형성함으로써 절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대략 10T 내외의 두께로 메인플레이트(110)를 형성하게 된다.
한편, 메인플레이트(110)의 양단부에는 외측으로 연장형성된 확장고정부(11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여기에는 볼트가 관통할 수 있는 체결공(112A)이 형성된다. 이러한 확장고정부(112)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절연블록(100)은 배전반(10) 일측, 구체적으로는 배전반 내측 프레임 상에 볼트체결 방식으로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도 5a참조)
메인플레이트(110) 표면에는 메인플레이트(110)의 휨이나 비틀림 강도를 증대하기 위해 요철형태로 돌출된 보강부(114)가 형성될 수 있으며, 부스바(B)를 볼트 등을 이용하여 절연공간(S) 내에 견고히 고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고정공(116)이 형성될 수 있다.
격벽부(120)는 본 발명에 따른 절연블록(100)이 상하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며 조립되어 도 2에서처럼 절연블록조립체(200)를 이루는 경우, 복수 개로 나란히 설치된 부스바(B)들 사이에 위치하여 상(相)간 절연 내지 차폐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격벽부(120)는 메인플레이트(110)와 함께 절연공간(S)을 이루게 됨에 따라 복수 개의 부스바(B)는 절연블록조립체(200) 내에 각각 격리, 수용된다. 이렇게 부스바(B) 각각이 격리, 수용됨으로써, 불안정한 전력공급으로 인해 발생하는 인접한 부스바(B) 간의 강한 스파크가 방지될 수 있으며, 스파크 발생과 함께 부스바(B)에 가해지는 강한 충격에 따른 부스바(B) 간 파손 및 단락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격벽부(120)는 기본적으로 메인플레이트(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형성되는데, 이때의 간격은 부스바(B)의 설치형태와 한국전기공업협동조합 규격에서 정하는 전압별 부스바(B)의 상간 이격거리에 맞춰 다양한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3상 3선식 부스바(B)가 65mm 간격으로 설치되는 경우라면, 격벽부(120) 또한 3개의 부스바(B)를 벽(壁)체로 각각 격리, 수용하여 차폐할 수 있도록 65mm 간격으로 4개가 형성된다. 그리고 3상 4선식의 경우라면, 격벽부(120)는 4개의 부스바(B)를 벽(壁)체로 각각 격리, 수용하여 차폐할 수 있도록 65mm 간격으로 5개가 형성된다.
메인플레이트(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형성되는 격벽부(120)의 높이(상하방향)는 동일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격벽부(120)와 같이, 서로 높이가 다른 제1격벽(121)과 제2격벽(122)으로 이루어지되, 메인플레이트(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을 두고 서로 교대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렇게 높이를 달리한 격벽구조를 형성하는 이유는 절연블록(100)이 상하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며 조립되어 절연블록조립체(200)를 이루었을 때 조립 결합되는 위치가 위아래로 지그재그 형태를 이룸으로써 강한 비틀림 응력이나 전단 응력이 작용하더라도 절연블록(100)이 쉽게 조립해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격벽(121)은 L 높이로, 제2격벽(122)은 H-L 높이로 메인플레이트(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교대로 형성됨으로써, 대략 최대 H 높이를 갖는 부스바(B)가 절연블록(100) 내의 절연공간(S)에 수용될 수 있게 된다.
특히, 대략 800A의 전류 용량을 갖는 10mm X 40mm 규격의 부스바(B)가 3상 3선식으로 65mm 간격으로 설치되는 경우라면, 이를 내부에 수용하기 위해 제1격벽(121) 및 제2격벽(122)은 각각 교대로 65mm의 이격거리를 두고 2개씩 형성되어 절연블록(100',100)을 이루게 된다.(도 3참조)
다만, 3상 4선식의 경우라면, 제1격벽(121)과 제2격벽(122)은 각각 교대로 65mm 이격거리를 두고 형성되되, 제1격벽(121)은 3개, 제2격벽(122)은 2개로 이루어지는 절연블록(100)과 제1격벽(121)은 2개, 제2격벽(122)은 3개로 이루어지는 절연블록(100')의 상하방향 조립을 통해 3상 4선식 부스바(B)를 각각 격리, 수용할 수 있게 된다.
결합부(130)는 본 발명에 따른 절연블록(100)이 상하방향(서로 마주보는 방향)과 좌우방향(서로 나란한 방향)으로 각각 조립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 구성요소로, 상방결합수단(132) 및 측방결합수단(134) 등을 포함하여 이루질 수 있다.
상방결합수단(132)은 격벽부(120) 상단에 마련되어 절연블록(100) 간의 상하방향(서로 마주보는 방향) 조립이 이루어지게 하는 구성요소로, 서로 인접하는 격벽부(120) 중 어느 한쪽 상단면에 형성되는 상방결합돌기(132A)와 다른 한쪽 상단면에는 상방결합돌기(132A)가 끼워질 수 있는 형상으로 된 상방결합홈(132B)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격벽부(120) 상단면에는 상방결합돌기(132A)와 상방결합홈(132B)이 교대로 형성되어 절연블록(100)이 상하방향으로 조립될 때, 서로 꼭 맞게 끼워지는 방식으로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방결합돌기(132A)는 격벽부(120) 상단면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단면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 형성되는 다수 개의 돌기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상방결합홈(132B)은 이러한 상방결합돌기(132A)에 대응하는 형상의 홈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꼭 맞게 끼워진다.'라는 의미는 상방결합홈(132B)의 내측 공간과 상방결합돌기(132A)의 외형이 물리적으로 완전히 일치한다는 의미가 아니고, 양측의 접촉면에서 마찰력이 발생하여 별도의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에서는 쉽게 빠지지 않을 정도로 유격이 최소화된 것을 포괄하는 의미로, 이하 동일한 의미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격벽부(120)가 서로 높이가 다른 제1격벽(121)과 제2격벽(122)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도, 상방결합수단(132)은 제1격벽(121) 상단면에 형성되는 상방결합돌기(132A)와, 제2격벽(122) 상단면에 상방결합돌기(132A)가 끼워질 수 있는 형상으로 된 상방결합홈(132B)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측방결합수단(134)은 메인플레이트(110) 및 격벽부(120) 중 적어도 어느 일측면에 마련되어 절연블록(100) 간의 좌우방향(서로 나란한 방향) 조립이 이루어지게 하는 구성요소로, 메인플레이트(110) 일측면이나 격벽부(120) 일측면이나 또는 메인플레이트(110) 및 격벽부(120) 모두의 일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방결합수단(134)은 메인플레이트(110) 및 격벽부(120)의 일측면을 따라 형성되는 측방결합돌기(134A)와 다른 타측면에 이러한 측방결합돌기(134A)가 끼워질 수 있는 형상으로 된 측방결합홈(134B)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메인플레이트(110) 및 격벽부(120)의 양 측면에 측방결합돌기(134A)와 측방결합홈(134B)이 각각 형성되어 절연블록(100)이 좌우방향(서로 나란한 방향)으로 조립될 때, 서로 꼭 맞게 끼워지는 방식으로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세로방향과 가로방향으로 이루어지는 측방결합돌기(134A)가 이에 대응하는 측방결합홈(134B)에 세로방향과 가로방향으로 각각 끼움 결합하게 되는 구조로 인해, 절연블록조립체(200)는 배전반(10) 내에서 발생하는 진동이나 비틀림 충격에도 견고하게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측방결합돌기(134A)는 메인플레이트(110) 및 격벽부(120) 일측면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측면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 형성되는 다수 개의 돌기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측방결합홈(134B)은 이러한 측방결합돌기(134A)에 대응하는 형상의 홈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제2격벽(122)에 형성된 상방결합홈(132B)과 메인플레이트(110) 및 격벽부(120, 제2격벽(122))의 타측면에 형성된 측방결합홈(134B)은 서로 연통되는 홈(H)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는 위아래로 놓인 절연블록(100',100) 간의 연직 상하방향으로의 조립뿐만 아니라, 위쪽에 놓인 절연블록(100')의 상방결합돌기(132A')가 아래쪽에 놓인 절연블록(100)의 상방결합홈(132B)과 측방결합홈(134B)이 서로 연통되는 홈(H)을 통해 비스듬히 슬라이딩 되듯이 끼워져 조립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로 인해 조립의 정확성과 편의성이 비약적으로 향상될 수 있다.(도 4참조)
그리고 이렇게 돌기와 일단이 막힌 홈 형상의 구조로 이루어지는 상방결합수단(132)에 의해서 상하방향으로 절연블록(100)이 조립되고 나면, 아래쪽 절연블록(100)의 제2격벽(122)에 형성된 상방결합홈(132B)과 여기에 끼워지는 위쪽 절연블록(100')의 상방결합돌기(132A')에 의해 위쪽 절연블록(100')은 좌측방향(Y축 화살표 반대방향) 이동이 억제된다.(도 4참조)
그리고 아래쪽 절연블록(100)의 제1격벽(121)에 형성된 상방결합돌기(132A)와 여기에 끼워지는 위쪽 절연블록(100')의 상방결합홈(132B')에 의해 위쪽 절연블록(100')은 우측방향(Y축 화살표 방향) 이동이 억제된다.(도 3참조)
이로 인해 상하방향으로 조립된 절연블록조립체(200)는 좌우방향으로 이탈되지 않고 견고하게 조립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절연블록조립체)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절연블록(100)이 상하좌우방향으로 조립되면, 절연블록조립체(200)를 이루게 된다.
이러한 절연블록조립체(200)는 내부에 복수 개의 부스바(B)를 각각 격리시킨 채 수용하게 됨으로써, 이후 작업자의 활선(活線) 등의 작업 시 부스바(B)와의 직접 접촉으로 인한 감전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절연블록조립체(200)를 이루는 절연블록(100)에 대한 설명은 앞서 설명한 내용으로 대체하고,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절연블록조립체(200)를 조립하는 과정을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절연블록(100)의 격벽부(120)가 상방을 향해 돌출된 형태를 갖도록 부스바(B) 아래쪽에 절연블록(100)을 위치시킨다.
다음으로, 상하방향(서로 마주보는 방향) 결합을 위해 위쪽에 위치하는 절연블록(100')의 상방결합돌기(132A')가 아래쪽에 놓인 절연블록(100)의 상방결합홈(132B)과 측방결합홈(134B)이 서로 연통되는 홈(H)을 통해 좌측으로 슬라이딩 되듯이 끼워지도록 조립한다.(도 4참조)
이렇게 상하방향 조립이 이루어지면, 아래쪽 절연블록(100)의 제1격벽(121)과 제2격벽(122) 상단면에 교대로 형성된 상방결합돌기(132A)와 상방결합홈(132B)에 의해 위쪽 절연블록(100')은 좌우측방향(도 3 및 도 4참조)으로 모두 이동이 억제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다시 설명하면, 아래쪽 절연블록(100)의 상방결합홈(132B)에 위쪽 절연블록(100')의 상방결합돌기(132A')가 끼워져 조립됨으로써 좌측방향(Y축 화살표 반대방향) 이동이 억제되고, 아래쪽 절연블록(100)의 상방결합돌기(132A)가 위쪽 절연블록(100')의 상방결합홈(132B')에 끼워져 조립됨으로써 우측방향(Y축 화살표 방향) 이동이 억제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하방향으로 조립되어 절연블록조립체(200)를 이루게 되면 각각의 절연블록(100)은 좌우방향으로 이탈이 방지되며 조립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다음으로, 좌우방향(서로 나란한 방향) 결합을 위해 좌측에 위치하는 절연블록(100)의 측방결합홈(134B)에 우측에 놓인 절연블록(100)의 측방결합돌기(134A)가 꼭 맞게 끼워지도록 조립한다.(도 3 및 4참조)
마지막으로, 외부에 노출된 복수 개의 부스바(B)의 길이만큼 상하좌우방향으로 조립을 반복수행함으로써, 대전류가 흐르는 부스바(B)는 완전하게 절연될 수 있다.
한편, 개방된 절연공간(S)이 보이는 절연블록조립체(200)의 양단부는 부스바(B)의 단부가 노출되게 되므로, 이러한 부스바(B)의 단부와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해 절연블록조립체(200)의 양단부에는, 절연공간(S)을 밀폐 내지 차폐할 수 있도록 측방결합수단(134)과 좌우방향 조립이 이루어지는 밀폐플레이트(30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즉, 이러한 밀폐플레이트(300)는 측방결합돌기(134A)에 대응하는 홈(310B)이 형성된 밀폐플레이트(300B)와 측방결합홈(134B)에 대응하는 돌기(310A)가 형성된 밀폐플레이트(300A)로 각각 제작되거나, 또는 일면에 측방결합돌기(134A)에 대응하는 홈이 형성되고 타면에 측방결합홈(134B)에 대응하는 돌기가 형성된 단일형태의 밀폐플레이트(300)로 제작될 수도 있다.
도 5는 배전반(10) 안쪽에서 3상 부스바(B)가 설치된 경로를 따라 조립된 절연블록조립체(200)의 모습을 정면(도 5a)과 측면(도 5b)에서 각각 도시하고 있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부스바(B)는 외부에 전혀 노출되지 않게 된다. 이로 인해 배전반(10) 내부 작업 중 발생될 수 있는 작업자의 감전사고는 원천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배전반
100: 본 발명에 따른 절연블록
110: 메인플레이트 112: 확장고정부
114: 보강부 120: 격벽부
121: 제1격벽 122: 제2격벽
130: 결합부 132: 상방결합수단
132A: 상방결합돌기 132B: 상방결합홈
134: 측방결합수단 134A: 측방결합돌기
134B: 측방결합홈 200: 절연블록조립체
300: 밀폐플레이트

Claims (9)

  1. 상하좌우방향으로 조립됨으로써, 배전반에 설치된 복수 개의 부스바를 각각 격리시킨 채 내부에 수용하게 되는 절연블록으로서,
    메인플레이트;
    상하방향 조립을 통해 복수 개의 상기 부스바를 각각 격리, 수용하는 절연공간이 마련되도록,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형성된 격벽부; 및
    상기 격벽부 상단에 마련되어 상하방향 조립이 이루어지게 하는 상방결합수단과, 상기 메인플레이트 및 상기 격벽부 중 적어도 어느 일측면에 마련되어 좌우방향 조립이 이루어지게 하는 측방결합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블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부는,
    서로 높이가 다른 제1격벽과 제2격벽으로 이루어져 교대로 형성되되, 제1격벽은 L높이로, 제2격벽은 H-L높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블록.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방결합수단은,
    상기 제1격벽 및 상기 제2격벽 중 어느 한쪽 상단면에 형성되는 상방결합돌기와 다른 한쪽 상단면에 상기 상방결합돌기가 끼워질 수 있는 형상으로 된 상방결합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블록.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측방결합수단은,
    상기 메인플레이트 및 상기 격벽부 중 적어도 어느 일측면에 형성되는 측방결합돌기와 다른 타측면에 상기 측방결합돌기가 끼워질 수 있는 형상으로 된 측방결합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블록.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양단부에는,
    상기 배전반 일측에 상기 절연블록을 고정할 수 있도록, 외측으로 연장형성된 확장고정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블록.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 있어서,
    상기 메인플레이트, 상기 격벽부 및 상기 결합부는,
    테프론, 폴리크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폴리비니리덴포르라이드, 폴리페닐렌설파이드, 폴리아릴 에테르 케톤, MC 나일론, 아크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합성수지를 혼합한 것을 사출하여 일체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블록.
  7.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 있어서,
    상기 제1격벽과 상기 제2격벽은,
    각각 2개씩 형성되고, 이들 간의 이격거리는 6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블록.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기 절연블록이 상하좌우방향으로 조립되어 형성되는 절연블록조립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블록조립체의 양단부에는,
    상기 절연공간을 밀폐할 수 있도록 상기 측방결합수단과 좌우방향 조립이 이루어지는 밀폐플레이트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블록조립체.
KR1020150127010A 2015-09-08 2015-09-08 절연블록 및 이를 이용한 절연블록조립체 KR201700298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7010A KR20170029875A (ko) 2015-09-08 2015-09-08 절연블록 및 이를 이용한 절연블록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7010A KR20170029875A (ko) 2015-09-08 2015-09-08 절연블록 및 이를 이용한 절연블록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9875A true KR20170029875A (ko) 2017-03-16

Family

ID=58497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7010A KR20170029875A (ko) 2015-09-08 2015-09-08 절연블록 및 이를 이용한 절연블록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2987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2071A (ko) 2002-11-12 2004-05-20 박영민 인터넷 홈페이지를 활용한 경조사 자동알림 및 게시판 자동등록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2071A (ko) 2002-11-12 2004-05-20 박영민 인터넷 홈페이지를 활용한 경조사 자동알림 및 게시판 자동등록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91413B2 (en) Bus bar arrangement and a shroud for the same
US8420934B2 (en) Crossing bus support apparatus, connectors, systems, and assemblies and methods of installing same
KR20170033720A (ko) 부스바용 포크형 커넥터 및 이와 결합된 절연결합체
US9608414B2 (en) Rack positioning assembly for an electric panel, electric panel comprising one such assembly and method for fitting this assembly
KR20170029877A (ko) 부스바용 도어형 절연블록
US10177549B2 (en) Interconnection and insulation module for busbars
US9646738B2 (en) System for isolating power conductors using folded insulated sheets
US9917432B2 (en) System for isolating power conductors using molded assemblies
EP3163694A1 (en) Electrically insulating cover for terminal assembly
EP3151352A2 (en) System for isolating power conductors using cover assemblies
KR102246825B1 (ko) 접속클립 및 이를 구비하는 mcc
EP3382832A1 (en) Power bus connection system with fusible conductive material
US20130327570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upling different size busway sections
KR200331163Y1 (ko) 배전반
US9667051B2 (en) Power terminal enclosure for power conductors
KR101186275B1 (ko) 아크발생이 방지되는 친환경 산업용 안전 분전반
KR20110091249A (ko) 스토퍼를 구비하는 부스 덕트 접속부
KR20170033719A (ko) 절연서포트, 절연블록유닛 및 이를 이용한 절연블록조립체
KR20170029875A (ko) 절연블록 및 이를 이용한 절연블록조립체
KR20170033718A (ko) T형 절연서포트, 절연블록유닛 및 이를 이용한 절연블록조립체
KR20170029878A (ko) 부스바용 분기형 절연블록
KR20170029876A (ko) 절곡부용 절연블록 및 이를 이용한 절연블록조립체
KR20180033023A (ko) 부스바들 간의 연결부위에 씌워지는 부스바 절연커버
US10297985B2 (en) Modular electrical devices and methods for assembling and mounting the same
KR20170034666A (ko) 리시브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