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9113A - 친환경 지수 수로관 - Google Patents

친환경 지수 수로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9113A
KR20170029113A KR1020150126020A KR20150126020A KR20170029113A KR 20170029113 A KR20170029113 A KR 20170029113A KR 1020150126020 A KR1020150126020 A KR 1020150126020A KR 20150126020 A KR20150126020 A KR 20150126020A KR 20170029113 A KR20170029113 A KR 201700291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rtion portion
groove
fitting portion
guid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6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7175B1 (ko
Inventor
오창영
박병주
장세근
구덕근
Original Assignee
합자회사 대청인더스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합자회사 대청인더스트리 filed Critical 합자회사 대청인더스트리
Priority to KR10201501260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7175B1/ko
Publication of KR20170029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91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71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71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3/00Irrigation ditches, i.e. gravity flow, open channel water distribution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05Canals entirely situated above ground level, e.g. on pi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2Making or lining ca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친환경 지수 수로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단 및 양단이 개구되고 수로를 형성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단과 연결되고 끝단 면에 요홈이 형성되는 끼움부 및 상기 몸체의 타단과 연결되고 상기 끼움부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어 단차면이 형성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는 친환경 지수 수로관에 의해 달성된다. 이에 따라, 수로관들을 용이하게 연결 및 설치할 수 있고, 모르타르 주입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수로관들의 연결 부분에서 누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친환경 지수 수로관{Eco-friendly irrigation canal}
본 발명은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친환경 지수 수로관에 관한 것이다.
지금의 농업환경은 기존의 논농사 위주에서 밭농사 위로 변화되는 추세다. 즉, 쌀 개방이 이루어지면서 쌀값이 폭락하여 물이 많이 필요치 않는 특용작물의 밭농사 위주로 변화되고 있는 추세다.
그런데, 기존의 논농사에서 사용하던 수로관을 그대로 사용하다 보니 수로관의 연결부위에서 물이 새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논농사 위주에서는 수로관에서 물의 누수가 발생하더라도 물이 풍족하여 큰 문제점은 없었지만, 물이 부족한 현재에는 물의 누수는 커다란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일반적으로 수로관은 농업용수 또는 하수도 등과 같은 각종 수로를 만들 때 사용되는 것으로, 이러한 수로관은 철근 콘크리트로 제작되어 다수가 필요한 길이 만큼 현장에서 연속적으로 연결된다.
종래의 수로관은 바닥부와 측벽부를 구비하는 채널형으로 이루어지며, 이때 수로관의 일단에는 소켓부가 형성되고 그 타단에는 소켓부측으로 삽입하기 위한 결합부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수로관 시공시 양측의 소켓부와 결합부를 통하여 필요한 길이 만큼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에는 수로관을 연결함에 있어서 단순히 수로관의 소켓부에 또 하나의 수로관의 결합부를 얹혀서 수로관들을 서로 연결하였기 때문에 수로관의 연결부분인 소켓부와 결합부의 기밀성이 떨어져 누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누수로 인해 지반이 변화하여 부동침하가 발생하고, 나아가 수로관들이 서로 이탈하는 문제도 발생하였다.
한편, 누수를 해결하기 위해서 종래의 수로관은 소켓부의 둘레 또는 결합부의 둘레에 패킹을 추가로 설치하였다.
하지만, 수로관이 매우 무거운데다 수로관을 들어서 연결하기 때문에 패킹이 찢어져서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수로관 끝단과 수로관 끝단 사이에 패킹을 삽입하였는데 패킹이 햇빛에 노출되어 부식이 되거나 풍화작용에 의해 파손되어 누수가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별도의 콘크리트홈을 형성하고, 수로관들을 연결할 때 콘크리트홈에 콘크리트를 채워서 연결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콘크리트를 채우기 위해서 별도의 미장작업을 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특히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특2003-0001654(2003. 01. 08)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수로관들을 용이하게 연결 및 설치할 수 있고, 모르타르 주입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수로관들의 연결 부분에서 누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친환경 지수 수로관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수로관 연결시 패킹이 찢어지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수로관과 수로관이 서로 밀착될 수 있는 친환경 지수 수로관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단 및 양단이 개구되고 수로를 형성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단과 연결되고 끝단 면에 요홈이 형성되는 끼움부 및 상기 몸체의 타단과 연결되고 상기 끼움부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어 단차면이 형성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는 친환경 지수 수로관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끼움부의 둘레 및 상기 몸체의 둘레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마련되는 밀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밀착부는,
상기 삽입부에 일부가 끼워지거나 상기 삽입부의 끝단 면에 밀착될 수 있다.
또, 상기 요홈은,
상기 삽입부의 끝단 면에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부에 형성된 요홈에 설치되거나 상기 삽입부 및 상기 끼움부에 형성된 요홈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설치되는 패킹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끼움부의 저면에 가이드돌기 및 상기 삽입부의 바닥면에 상기 가이드돌기에 대응하는 가이드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패킹은,
단면의 형상이 화살표, 원통, 사각, 마름모, 사다리꼴 및 삼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 또는 복합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 상기 가이드돌기 및 상기 가이드홈은 일면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 상기 가이드돌기는 타면이 경사지거나 단차지게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은 타면이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요홈과 상기 가이드홈을 연결하는 통로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로관들을 서로 연결하면 삽입부의 끝단이 밀폐됨으로써, 요홈에 모르타르 등의 접착물질을 주입할 때 수로관들의 연결된 부분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끼움부와 삽입부 사이의 틈새로 접착물질을 주입함으로써, 수로관들의 연결된 부분을 견고하게 밀폐할 수 있다.
또한, 끼움부의 끝단 면 및 삽입부의 끝단 면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패킹을 설치함으로써, 수로관들 연결시 패킹이 찢어지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패킹으로 수로관들의 연결부분을 밀폐함으로써, 접착물질이 누출되는 것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돌기가 가이드홈에 끼워짐으로써, 수로관들을 손쉽게 연결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돌기가 가이드홈의 경사면을 타고 미끄러지듯이 삽입됨으로써, 수로관들을 서로 더욱 밀착시킬 수 있고, 수로관들 사이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접착물질이 요홈 및 통로를 거쳐 가이드홈에 주입됨으로써, 수로관들을 더욱 견고하게 밀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지수 수로관의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지수 수로관들이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지수 수로관들이 서로 연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지수 수로관에서 밀착부의 다른 실시 예를 적용하여 수로관들을 서로 연결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지수 수로관에서 패킹을 적용하여 수로관들을 서로 연결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도 6의 "A"부 확대도면.
도 8은 도 7에서 요홈의 다른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확대도면.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지수 수로관에서 삽입부의 끝단 및 삽입부의 끝단과 끼움부의 끝단에 패킹이 적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지수 수로관에서 가이드돌기 및 가이드홈이 더 추가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도 11의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14는 도 13의 XIV-XIV선 부분확대 단면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된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지수 수로관(1)은, 몸체(2), 끼움부(3), 삽입부(4) 및 요홈(5)을 포함한다. 여기에, 밀착부(6), 가이드돌기(8), 가이드홈(7) 및 패킹(P)을 더 포함한다.
몸체(2)는, 대략 정단면이 "┗┛" 형태로, 전단, 후단 및 상단이 개구되고 콘크리트 등으로 형성되며, 지면을 굴착한 후 상단이 드러나도록 지면에 매설된다.
끼움부(3)는, 몸체(2)의 정단면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고, 몸체(2)의 후단에 일체로 형성된다.
삽입부(4)는, 몸체(2)의 전단에 일체로 형성되되, 끼움부(3)가 삽입되도록 삽입부(4)의 내폭이 끼움부(3)의 외폭보다 크게(5 ~15mm) 형성되고, 몸체(2)와 단차지게 형성되어 삽입부(4)의 내부 끝단에는 단차면(41)이 형성된다.
요홈(5)은, 대략 단면의 형상이 반원형, 사다리꼴 및 삼각형 중 어느 하나의 모양으로 형성되고, 삽입부(4)의 끝단 면에 형성되되 넓은 쪽이 전방을 향해 형성된다. 이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밀착부(6)는, 대략 단면의 형상이 쐐기 형태로 끼움부(3)와 몸체(2)에 일체로 형성되되 끼움부(3) 및 몸체(2)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다.
이때, 밀착부(6)는 경사진 면이 삽입부(4)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후방으로 갈수록 벌어져 형성된다. 이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가이드돌기(8)는, 대략 단면의 형상이 역 사다리꼴 모양으로 형성되고, 끼움부(3)의 저면에 돌출형성되되, 가이드돌기(8)의 전면 및 후면은 경사져서 전방 경사면(82) 및 후방 경사면(81)이 형성된다.
또한, 가이드돌기(8)는 전면에 끼움부(3)의 요홈(5)과 연결되는 통로(83)가 형성되고, 후술할 가이드홈(7)에 끼워진다.(도 11 내지 도 14 참조)
가이드홈(7)은, 가이드돌기(8)에 대응하되, 가이드홈(7)의 전면은 수직이게 형성되고, 후면은 가이드돌기(8)의 후방 경사면(81)에 대응하는 경사안내면(71)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가이드돌기(8)가 가이드홈(7)에 끼워지면 가이드돌기(8)의 후방 경사면(81)이 가이드홈(7)의 경사안내면(71)을 타고 가이드돌기(8)가 미끄러지듯이 가이드홈(7)에 끼워진다.
따라서, 전방의 친환경 지수 수로관(1)과 후방의 친환경 지수 수로관(1)은 서로 밀착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전방에 배치된 친환경 지수 수로관(1)의 삽입부(4)의 단차면(41)과 후방에 배치된 친환경 지수 수로관(1)의 끼움부의 끝단 면(31)이 서로 밀착된다.
또한, 가이드돌기(8)가 가이드홈(7)에 끼워지면 가이드돌기(8)의 전방 경사면(82)으로 인하여 가이드홈(7)의 전방에는 눕혀진 삼각기둥 형태의 공간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끼움부(3)의 요홈(5)과 가이드홈(7)은 가이드돌기(8)에 형성된 통로(83)에 의해서 서로 연결된다.(도 11 내지 도 14 참조)
여기서, 가이드돌기(8) 및 가이드홈(7)의 길이는 끼움부(3)의 저면의 폭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미도시)될 수 있으며, 통로(83)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돌기(8)의 전방 경사면은 계단 형태로 단차져 형성(미도시)될 수도 있다.
한편, 밀착부(6')는 도 5,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요홈(5)은 삽입부(4)의 끝단 면에 더 형성될 수도 있다.
패킹(P)은, 대략 고무, 라텍스 또는 메모리 폼 등과 같은 재질로 형성되고, 단면의 형상이 화살표, 원형, 사각형, 마름모, 사다리꼴 및 삼각형 중 어느 하나의 모양으로 형성되거나 이들의 결합형태로 형성되며, 삽입부(4)의 요홈(5) 및 끼움부(3)의 요홈(5)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설치 된다.(도 6 내지 도 10 참조)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지수 수로관(1)들의 결합상태 및 결합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친환경 지수 수로관(1)을 서로 연결할 때, 후방에 배치된 친환경 지수 수로관(1)의 끼움부(3)를 전방에 배치된 친환경 지수 수로관(1)의 삽입부(4)에 삽입한다.
후방에 배치된 친환경 지수 수로관(1)의 끼움부의 끝단 면(31)이 전방에 배치된 친환경 지수 수로관(1)의 삽입부(4)의 단차면(41)에 밀착되도록 후방에 배치된 친환경 지수 수로관(1)을 밀어서 삽입한다.
이때, 밀착부(6)의 선단 부분은 삽입부(4)의 내측 모서리에 밀착되어 끼움부(3)와 삽입부(4) 사이는 밀폐된다.
이로 인하여, 끼움부(3)와 삽입부(4) 사이에는 요홈(5) 및 틈새(G)가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요홈(5) 및 틈새(G)에 모르타르(M)(접착물질)를 주입한다.
요홈(5) 및 틈새(G)에 모르타르(M)가 가득 채워지면 모르타르(M)를 건조하여 굳힌다.
모르타르(M)가 건조되면 끼움부(3)와 삽입부(4) 사이가 견고하게 밀폐되어 친환경 지수 수로관(1)으로 물이 흐를 때 수로관들의 연결 부분에서 누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는 대부분의 수로관이 콘크리트로 형성되기 때문에 끼움부(3)의 외측 폭과 삽입부(4)의 내측 폭을 정확하게 맞추기 어렵기 때문에 삽입부(4)의 내측 폭을 5~15mm정도 크게 형성하는 것이다.
만약, 끼움부(3)의 외측 폭에 맞춰 삽입부(4)의 내측 폭을 정확하게 형성하기 위해서 오차범위를 줄이면, 끼움부(3)를 삽입부(4)에 끼울 때 정확하게 끼우기가 사실상 불가능하다. 특히 끼우는 과정에서 끼움부(3)의 외측 모서리 또는 삽입부(4)의 내측 모서리가 서로 충돌하여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게다가 끼움부(3)의 외측면 또는 삽입부(4)의 내측면이 평탄하지 않으면 끼움부(3)가 삽입부(4)에 제대로 끼워지지 않는 상황이 발생한다. 따라서, 끼움부(3)의 외측 폭보다 삽입부(4)의 내측 폭을 더 크게 형성하는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홈(5)이 삽입부(4)의 끝단 면에 더 형성된 경우에는 삽입부(4)의 끝단 면이 밀착부(6')의 전면에 밀착되고, 끼움부의 끝단 면(31)이 삽입부(4)의 단차면(41)에 밀착되며, 끼움부(3)와 삽입부(4) 사이에는 틈새(G)가 형성된다.
끼움부(3)의 요홈(5), 삽입부(4)의 요홈(5) 및 틈새(G)에 모르타르(M)를 주입하여 요홈(5) 및 틈새(G)를 가득 채운다.
이후 모르타르(M)를 건조하여 굳히면, 끼움부(3)와 삽입부(4) 사이가 견고하게 밀폐되어 누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킹(P)이 끼움부(3)의 요홈(5)에 설치된 경우에는 패킹(P)이 삽입부(4)의 단차면(41)에 밀착되고, 밀착부(6)가 삽입부(4)와 밀착된다.
만약, 밀착부(6)와 삽입부(4)가 서로 밀착되지 않으면, 끼움부(3)를 삽입부(4)쪽으로 밀어서 밀착부(6)와 삽입부(4)를 밀착시킨다. 이때, 패킹(P)은 눌려서 옆으로 소정 정도 팽창한다. 이에 따라, 밀착부(6)와 삽입부(4)를 손쉽게 밀착시킬 수 있다.
따라서, 끼움부(3)의 전방은 패킹(P)과 단차면(41)이 밀착되어 밀폐되고, 삽입부(4)의 후방은 밀착부(6)와 삽입부(4)가 밀착되어 밀폐된다.
이로 인하여 끼움부(3)와 삽입부(4) 사이에는 틈새(G)가 발생한다. 이 틈새(G)에 모르타르(M)를 주입하여 틈새(G)를 채우고 모르타르(M)를 건조 시키면, 끼움부(3)와 삽입부(4) 사이의 틈새(G)가 제거되어 끼움부(3)와 삽입부(4) 사이로 물이 누수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패킹(P)이 눌려서 이동거리를 조절함으로써, 밀착부(6)와 삽입부(4)를 용이하게 밀착시킬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킹(P)이 삽입부(4)의 요홈(5)에 설치된 경우에는 패킹(P)이 밀착부(6')의 전면에 밀착되고, 끼움부의 끝단 면(31)은 삽입부(4)의 단차면(41)에 밀착된다. 이에 따라, 끼움부(3)와 삽입부(4) 사이에는 틈새(G)가 발생한다.
끼움부(3)의 요홈(5)과 틈새(G)에 모르타르(M)를 주입하여 가득 채운 후 모르타르(M)를 건조 시키면, 마찬가지로 끼움부(3)와 삽입부(4) 사이의 틈새(G)가 제거되어 물이 누수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또한 패킹(P)이 눌려서 이동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삽입부(4)의 단차면(41)에 끼움부의 끝단 면(31)을 용이하게 밀착시킬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킹(P)이 끼움부(3)의 요홈(5) 및 삽입부(4)의 요홈(5)에 설치된 경우에는 삽입부(4)에 설치된 패킹(P)이 밀착부(6')의 전면에 밀착되고, 끼움부(3)에 설치된 패킹(P)이 삽입부(4)의 단차면(41)에 밀착된다. 이에 따라, 끼움부(3)와 삽입부(4) 사이에는 틈새(G)가 발생한다.
이 틈새(G)에 모르타르(M)를 주입하여 가득 채운 후 모르타르(M)를 건조 시킨다.
모르타르(M)가 건조되면 끼움부(3)와 삽입부(4) 사이의 틈새(G)가 제거되고, 끼움부(3)와 삽입부(4) 사이가 견고하게 밀폐되어 물이 누수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양쪽의 패킹(P)이 눌려서 이동거리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으면서 전방의 친환경 지수 수로관(1)을 기준으로 후방의 친환경 지수 수로관(1)의 각도가 0~3° 정도 꺾이더라도 패킹(P)의 신축성으로 인하여 끼움부(3)와 삽입부(4) 사이를 손쉽게 밀폐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돌기(8)가 가이드홈(7)에 끼워지면 가이드돌기(8)의 후방 경사면(81)이 가이드홈(7)의 경사안내면(71)에 밀착된다. 이에 따라, 후방에 배치된 친환경 지수 수로관(1)은 전방에 배치된 친환경 지수 수로관(1)에 더욱 밀착되어 끼움부의 끝단 면(31)이 단차면(41)에, 밀착부(6)가 삽입부(4)에 더욱 견고하게 밀착시킬 수 있다.
또한, 끼움부(3)의 요홈(5)에 모르타르(M)를 주입하면 통로(83)를 통해서 가이드홈(7)의 전방으로 주입되어 가이드돌기(8)와 가이드홈(7) 사이가 밀폐된다. 따라서, 가이드돌기(8)와 가이드홈(7) 사이로 물이 누수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요홈을 끼움부의 끝단 면 또는 삽입부의 끝단 면에 형성함으로써 탈형이 용이하고, 끼움부와 삽입부 사이에 모르타르를 주입함으로써 끼움부와 삽입부 사이를 견고하게 밀폐하여 누수를 방지할 수 있으며, 요홈에 패킹을 설치함으로써, 패킹이 찢어지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패킹의 일부가 햇빛에 노출되어 손상되더라도 끼움부와 삽입부 사이에는 모르타르가 굳어있기 때문에 패킹이 손상되더라도 누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그 실시 예가 상이하더라도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고, 필요에 따라 그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 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된다. 따라서 상기에서 설명한 것 외에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설명만으로도 쉽게 상기 실시 예와 동일 범주 내의 다른 형태의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거나, 본 발명과 균등한 영역의 발명을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친환경 지수 수로관
2; 몸체
3; 끼움부
31; 끼움부의 끝단 면
4; 삽입부
41; 단차면
5; 요홈
6, 6'; 밀착부
7; 가이드홈
71; 경사안내면
8; 가이드돌기
81; 후방 경사면
82; 전방 경사면
83; 통로
G; 틈새
M; 모르타르
P; 패킹

Claims (4)

  1. 상단 및 양단이 개구되고 수로를 형성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일단과 연결되고 끝단 면에 요홈이 형성되는 끼움부;
    상기 몸체의 타단과 연결되고 상기 끼움부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어 단차면이 형성되는 삽입부;
    상기 끼움부의 저면에 형성되는 가이드돌기; 및
    상기 삽입부의 바닥면에 상기 가이드돌기에 대응하는 가이드홈;을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요홈과 상기 가이드홈을 연결하는 통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지수 수로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의 둘레 및 상기 몸체의 둘레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마련되는 밀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지수 수로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에 형성된 요홈에 설치되거나 상기 삽입부 및 상기 끼움부에 형성된 요홈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설치되는 패킹;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지수 수로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돌기 및 상기 가이드홈은 일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지수 수로관.
KR1020150126020A 2015-09-07 2015-09-07 친환경 지수 수로관 KR1017171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6020A KR101717175B1 (ko) 2015-09-07 2015-09-07 친환경 지수 수로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6020A KR101717175B1 (ko) 2015-09-07 2015-09-07 친환경 지수 수로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9113A true KR20170029113A (ko) 2017-03-15
KR101717175B1 KR101717175B1 (ko) 2017-03-16

Family

ID=58403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6020A KR101717175B1 (ko) 2015-09-07 2015-09-07 친환경 지수 수로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717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1654A (ko) 2001-06-25 2003-01-08 신을호 수로관
KR20060102567A (ko) * 2005-03-04 2006-09-28 경성콘크리트공업 주식회사 식생용 수로관과 그 식생용 수로관의 제조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식생용 수로관의 제조방법
KR20110028325A (ko) * 2011-02-18 2011-03-17 권태우 관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수로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1654A (ko) 2001-06-25 2003-01-08 신을호 수로관
KR20060102567A (ko) * 2005-03-04 2006-09-28 경성콘크리트공업 주식회사 식생용 수로관과 그 식생용 수로관의 제조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식생용 수로관의 제조방법
KR20110028325A (ko) * 2011-02-18 2011-03-17 권태우 관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수로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7175B1 (ko) 2017-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149764A (zh) 一种预制拼装综合管廊承插口防水结构
KR102096488B1 (ko) 세그먼트와 세그먼트 조립체 및 그라우팅 장치
KR101609811B1 (ko) 친환경 지수 수로관
KR101048628B1 (ko) 유닛 쏘일 네일링용 상부밀봉마개 및 하부밀봉마개, 상기 상/하부밀봉마개가 구비된 유닛 쏘일 네일링 및 이를 이용한 그라우팅 시공방법
KR102120676B1 (ko) 세미쉴드 공법의 추진관 수밀구조
KR101717175B1 (ko) 친환경 지수 수로관
CN109268031A (zh) 联络通道洞口处管节可充填囊袋式的封堵结构及施工方法
KR101817712B1 (ko) 암거 및 암거 시공방법
CN208733617U (zh) 一种防渗漏的地连墙锁扣桩
KR100950956B1 (ko) 암거블록
JP6901879B2 (ja) トンネル止水構造、トンネル止水方法及びトンネル止水密閉部材
KR200410574Y1 (ko) 그라우팅용 중공관
KR101209837B1 (ko) 개거수로관 시공방법과 기밀성이 향상된 개거수로관
JP2016079660A (ja) オープンシールド工法
KR101165347B1 (ko) 연결부위에 턱이 없는 개거수로관과 개거수로관 시공방법
CN113833167A (zh) 用于保温结构一体化的管线穿墙装置及其制作、施工工艺
KR20130052272A (ko) 복합 배관 및 그 조립 방법
CN205530136U (zh) 组合式水利水渠快速成型装置
CN214466947U (zh) Hdpe缠绕管连接密封结构
JP5739318B2 (ja) トンネル用セグメントの止水構造及びトンネル用セグメントの施工方法
KR102412563B1 (ko) 세그먼트 뒷채움용 약제 주입구
CN210510602U (zh) 一种承插式排水管
JP2012112215A (ja) 覆工材および覆工壁の補修方法
KR20030094979A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누수 방지를 위해 설치되는시공이음부의 지수판과 신축 이음부의 익스펜숀죠인트부재와의 접속 부위에 사용하는 지수판 접속부재
KR100524188B1 (ko) 콘크리트 흄관의 연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