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8974A - 단말 장치 성능을 보고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단말 장치 성능을 보고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8974A
KR20170028974A KR1020177003383A KR20177003383A KR20170028974A KR 20170028974 A KR20170028974 A KR 20170028974A KR 1020177003383 A KR1020177003383 A KR 1020177003383A KR 20177003383 A KR20177003383 A KR 20177003383A KR 20170028974 A KR20170028974 A KR 201700289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evice
information
performance
terminal
base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3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2578B1 (ko
Inventor
보 린
지안 왕
지에 마
전전 차오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70028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89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25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25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1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terminal or device proper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04W72/1289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말 장치 성능을 보고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단말 장치 성능을 보고하는 장치는: 단말 장치의 D2D 성능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프로세싱 모듈; 및 상기 단말 장치의 D2D 성능 정보를 기지국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송신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단말 장치 성능을 보고하는 방법 및 장치에서, 단말 장치는 D2D 성능 정보를 기지국에 보고하고, 이에 따라 기지국은 단말 장치의 D2D 통신을 위한 자원을 정확하게 스케줄링할 수 있다.

Description

단말 장치의 성능을 보고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REPORTING CAPABILITY OF TERMINAL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는 무선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며, 특히 단말 장치 성능을 보고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장치대장치(Device to Device, D2D) 통신은 단말 장치 간 직접 통신을 위한 기술이다. D2D 통신과 셀룰러 통신 기술의 차이점은 D2D 통신 동안 단말 장치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가 기지국에 의해 전송되지 않고 단말 간의 에어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직접 전송된다는 점이다.
D2D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 장치를 D2D 장치라 할 수 있다. D2D 장치는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에서 통신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D2D 통신도 수행할 수 있으며, D2D 장치가 D2D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하는 자원은 셀룰러 네트워크 내의 기지국에 의해 관리된다. D2D 통신은 여러 가지 특징을 포함하는데, 무선 통신 기술이 진화함에 따라, 단말 장치가 지원할 수 있는 D2D 특징도 점차 진화하고 있다. 즉, 서로 다른 D2D 장치는 서로 다른 D2D 특징을 지원할 수 있고, 기지국이 지원할 수 있는 D2D 특징은 D2D 장치가 지원할 수 있는 특징과는 다를 수 있다. 기지국은 D2D 통신을 위해서는 D2D 장치가 지원할 수 있는 D2D 특징에 따라 D2D 장치를 위해 대응하는 자원을 스케줄링해야 하기 때문에, 기지국은 D2D 장치가 지원하지 않는 D2D 특징에 대해 불필요한 자원을 스케줄링할 수도 있고, D2D 특징이 지원하는 자원을 위해 대응하는 자원을 스케줄링할 수도 없다.
결론적으로, 기지국이 D2D 통신에서 D2D 장치를 위한 자원을 정확하게 스케줄링할 수 있는 방법이 당기술분야에서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말 장치 성능을 보고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며, 단말 장치는 기지국에 D2D 성능 정보를 보고하며, 이에 따라 기지국은 단말 장치의 D2D 통신을 위한 자원을 정확하게 스케줄링할 수 있다.
제1 관점에 따라, 단말 장치 성능을 보고하는 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장치는:
단말 장치의 장치대장치(device to device, D2D) 성능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프로세싱 모듈; 및
상기 단말 장치의 D2D 성능 정보를 기지국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송신 모듈
을 포함한다.
제1 관점을 참조해서, 제1 관점의 제1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단말 장치의 D2D 성능 정보는 단말 장치의 D2D 무선 주파수 성능 정보 및 단말 장치의 D2D 특징 지원 정보 중 적어도 한 편을 포함한다.
제1 관점의 제1 가능한 실시 방식을 참조해서, 제1 관점의 제2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단말 장치의 D2D 무선 주파수 성능 정보는 다음의 정보:
단말 장치가 D2D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주파수 대역에 관한 정보, 단말 장치가 D2D 통신과 셀룰러 통신을 모두 지원하는 무선 주파수 대역에 관한 정보, 및 단말 장치가 D2D 통신과 반송파 집성을 모두 지원하는 성능 정보
중 적어도 한 편을 포함한다.
제1 관점 또는 제1 관점의 제1 내지 제2 가능한 실시 방식 중 임의의 가능한 실시 방식을 참조해서, 제1 관점의 제3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장치는: 상기 송신 모듈이 단말 장치의 D2D 성능 정보를 기지국에 송신하기 전에,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단말 성능 질의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수신 모듈을 더 포함한다.
제1 관점의 제3 가능한 실시 방식을 참조해서, 제1 관점의 제4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단말 성능 질의 메시지는 D2D 성능 보고 요구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D2D 성능 보고 요구 정보는 대응하는 D2D 성능 정보를 보고하도록 단말 장치에 명령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송신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D2D 성능 보고 요구 정보에 따라 상기 D2D 성능 보고 요구 정보에 대응하는 D2D 성능 정보를 기지국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관점 또는 제1 관점의 제1 내지 제2 가능한 실시 방식 중 임의의 가능한 실시 방식을 참조해서, 제1 관점의 제5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송신 모듈은 구체적으로 단말 장치의 D2D 성능 정보를 기지국에 주기적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관점 또는 제1 관점의 제1 내지 제2 가능한 실시 방식 중 임의의 가능한 실시 방식을 참조해서, 제1 관점의 제6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송신 모듈은 구체적으로 단말 장치의 D2D 성능 정보를 포함하는 등록 요구 메시지를 기지국에 송신하거나, 상기 수신 모듈이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등록 수신확인 메시지를 수신한 후 단말 장치의 D2D 성능 정보를 기지국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 관점에 따라, 단말 장치 성능을 보고하는 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장치는:
단말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단말 장치의 장치대장치(device to device, D2D) 성능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수신 모듈; 및
상기 단말 장치의 D2D 성능 정보에 따라 단말 장치의 D2D 성능을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프로세싱 모듈
을 포함한다.
제2 관점을 참조해서, 제2 관점의 제1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단말 장치의 D2D 성능 정보는 단말 장치의 D2D 무선 주파수 성능 정보 및 단말 장치의 D2D 특징 지원 정보 중 적어도 한 편을 포함한다.
제2 관점의 제1 가능한 실시 방식을 참조해서, 제2 관점의 제2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단말 장치의 D2D 무선 주파수 성능 정보는 다음의 정보:
단말 장치가 D2D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주파수 대역에 관한 정보, 단말 장치가 D2D 통신과 셀룰러 통신을 모두 지원하는 무선 주파수 대역에 관한 정보, 및 단말 장치가 D2D 통신과 반송파 집성을 모두 지원하는 성능 정보
중 적어도 한 편을 포함한다.
제2 관점 내지 제2 관점의 제2 가능한 실시 방식 중 임의의 가능한 실시 방식을 참조해서, 제2 관점의 제3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장치는: 상기 수신 모듈이 단말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단말 장치의 D2D 성능 정보를 수신하기 전에, 단말 장치에 단말 성능 질의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송신 모듈을 더 포함한다.
제2 관점의 제3 가능한 실시 방식을 참조해서, 제2 관점의 제4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단말 성능 질의 메시지는 D2D 성능 보고 요구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D2D 성능 보고 요구 정보는 대응하는 D2D 성능 정보를 보고하도록 단말 장치에 명령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수신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D2D 성능 보고 요구 정보에 따라 단말 장치에 의해 송신되고 상기 D2D 성능 보고 요구 정보에 대응하는 D2D 성능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 관점 내지 제2 관점의 제2 가능한 실시 방식 중 임의의 가능한 실시 방식을 참조해서, 제2 관점의 제5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수신 모듈은 구체적으로 단말 장치에 의해 주기적으로 송신되는 단말 장치의 D2D 성능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 관점 내지 제2 관점의 제2 가능한 실시 방식 중 임의의 가능한 실시 방식을 참조해서, 제2 관점의 제6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수신 모듈은 구체적으로 단말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단말 장치의 D2D 성능 정보를 포함하는 등록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거나, 단말 장치가 등록 수신확인 메시지를 수신한 후 단말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단말 장치의 D2D 성능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3 관점에 따라, 단말 장치 성능을 보고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단말 장치가, 단말 장치의 장치대장치(device to device, D2D) 성능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 장치가, 단말 장치의 D2D 성능 정보를 기지국에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제3 관점을 참조해서, 제3 관점의 제1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단말 장치의 D2D 성능 정보는 단말 장치의 D2D 무선 주파수 성능 정보 및 단말 장치의 D2D 특징 지원 정보 중 적어도 한 편을 포함한다.
제3 관점의 제1 가능한 실시 방식을 참조해서, 제3 관점의 제2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단말 장치의 D2D 무선 주파수 성능 정보는 다음의 정보:
단말 장치가 D2D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주파수 대역에 관한 정보, 단말 장치가 D2D 통신과 셀룰러 통신을 모두 지원하는 무선 주파수 대역에 관한 정보, 및 단말 장치가 D2D 통신과 반송파 집성을 모두 지원하는 성능 정보
중 적어도 한 편을 포함한다.
제3 관점 내지 제3 관점의 제2 가능한 실시 방식 중 임의의 가능한 실시 방식을 참조해서, 제3 관점의 제3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단말 장치가, 단말 장치의 D2D 성능 정보를 기지국에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장치가,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단말 성능 질의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한다.
제3 관점의 제3 가능한 실시 방식을 참조해서, 제3 관점의 제4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단말 성능 질의 메시지는 D2D 성능 보고 요구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D2D 성능 보고 요구 정보는 대응하는 D2D 성능 정보를 보고하도록 단말 장치에 명령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단말 장치가, 단말 장치의 D2D 성능 정보를 기지국에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D2D 성능 보고 요구 정보에 따라 상기 D2D 성능 보고 요구 정보에 대응하는 D2D 성능 정보를 기지국에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제3 관점 내지 제3 관점의 제2 가능한 실시 방식 중 임의의 가능한 실시 방식을 참조해서, 제3 관점의 제5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단말 장치가, 단말 장치의 D2D 성능 정보를 기지국에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장치가, 단말 장치의 D2D 성능 정보를 기지국에 주기적으로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제3 관점 내지 제3 관점의 제2 가능한 실시 방식 중 임의의 가능한 실시 방식을 참조해서, 제3 관점의 제6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단말 장치가, 단말 장치의 D2D 성능 정보를 기지국에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장치가, 단말 장치의 D2D 성능 정보를 포함하는 등록 요구 메시지를 기지국에 송신하는 단계; 또는
상기 단말 장치가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등록 수신확인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단말 장치가 단말 장치의 D2D 성능 정보를 기지국에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제4 관점에 따라, 단말 장치 성능을 보고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기지국이, 단말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단말 장치의 장치대장치(device to device, D2D) 성능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이, 상기 단말 장치의 D2D 성능 정보에 따라 단말 장치의 D2D 성능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제4 관점을 참조해서, 제4 관점의 제1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단말 장치의 D2D 성능 정보는 단말 장치의 D2D 무선 주파수 성능 정보 및 단말 장치의 D2D 특징 지원 정보 중 적어도 한 편을 포함한다.
제4 관점의 제1 가능한 실시 방식을 참조해서, 제4 관점의 제2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단말 장치의 D2D 무선 주파수 성능 정보는 다음의 정보:
단말 장치가 D2D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주파수 대역에 관한 정보, 단말 장치가 D2D 통신과 셀룰러 통신을 모두 지원하는 무선 주파수 대역에 관한 정보, 및 단말 장치가 D2D 통신과 반송파 집성을 모두 지원하는 성능 정보
중 적어도 한 편을 포함한다.
제4 관점 내지 제4 관점의 제2 가능한 실시 방식 중 임의의 가능한 실시 방식을 참조해서, 제4 관점의 제3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기지국이, 단말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단말 장치의 D2D 성능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기지국이 단말 장치에 단말 성능 질의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한다.
제4 관점의 제3 가능한 실시 방식을 참조해서, 제4 관점의 제4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단말 성능 질의 메시지는 D2D 성능 보고 요구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D2D 성능 보고 요구 정보는 대응하는 D2D 성능 정보를 보고하도록 단말 장치에 명령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기지국이, 단말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단말 장치의 D2D 성능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기지국이, 상기 D2D 성능 보고 요구 정보에 따라 단말 장치에 의해 송신되고 상기 D2D 성능 보고 요구 정보에 대응하는 D2D 성능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제4 관점 내지 제4 관점의 제2 가능한 실시 방식 중 임의의 가능한 실시 방식을 참조해서, 제4 관점의 제5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기지국이, 단말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단말 장치의 D2D 성능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기지국이 단말 장치에 의해 주기적으로 송신되는 단말 장치의 D2D 성능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제4 관점 내지 제4 관점의 제2 가능한 실시 방식 중 임의의 가능한 실시 방식을 참조해서, 제4 관점의 제6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기지국이, 단말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단말 장치의 D2D 성능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기지국이, 단말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단말 장치의 D2D 성능 정보를 포함하는 등록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또는
상기 기지국이, 단말 장치가 등록 수신확인 메시지를 수신한 후 단말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단말 장치의 D2D 성능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단말 장치 성능을 보고하는 방법 및 장치에서, 단말 장치의 D2D 성능 정보가 획득되고, 단말 장치의 D2D 성능 정보는 기지국에 보고되며, 이에 따라 기지국은 단말 장치에 의해 지원되는 D2D 성능을 알 수 있으므로 단말 장치의 D2D 통신을 위한 자원을 정확하게 할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적 솔루션을 더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실시예 또는 종래기술을 설명하는 데 필요한 첨부된 도면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한다. 당연히, 이하의 실시예의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일부의 실시예에 지나지 않으며, 당업자라면 창조적 노력 없이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다른 도면을 도출해낼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단말 장치 성능을 보고하는 장치의 실시예 1에 대한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단말 장치 성능을 보고하는 장치의 실시예 2에 대한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단말 장치 성능을 보고하는 장치의 실시예 3에 대한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단말 장치 성능을 보고하는 장치의 실시예 4에 대한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단말 장치 성능을 보고하는 방법의 실시예 1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단말 장치 성능을 보고하는 방법의 실시예 2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단말 장치 성능을 보고하는 방법의 실시예 3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단말 장치 성능을 보고하는 방법의 실시예 4에 대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목적, 기술적 솔루션, 및 이점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솔루션에 대해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한다. 당연히,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가 아닌 일부에 지나지 않는다. 당업자가 창조적 노력 없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획득하는 모든 다른 실시예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롱텀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시스템이 진화하는 과정에서, 릴리즈 8, 릴리즈 10, 및 릴리즈 12와 같은 여러 시스템 버전이 있다. 버전이 향상됨에 따라 기지국 및 단말 장치는 더 많은 특징을 지원하며 새 버전은 이전 버전과 호환된다. 시스템 버전이 업그레이드되면 네트워크상의 모든 기지국과 터미널 장치를 동시에 업그레이드하거나 교체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여러 버전의 시스템이 불가피하게 네트워크상에 공존한다.
D2D 통신에 있어서, D2D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단말 장치에 의해 사용되는 모든 자원은 기지국에 의해 스케줄링된다. 기지국의 시스템 버전이 단말 장치의 시스템 버전보다 높으면, 기지국은 단말 장치에 의해 지원되지 않는 특징에 불필요한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기지국의 시스템 버전이 단말 장치의 시스템 버전보다 낮은 경우, 기지국은 단말 장치의 일부 특징에 자원을 할당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단말 장치 성능을 보고하는 장치의 실시예 1에 대한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의 단말 장치 성능을 보고하는 장치는:
단말 장치의 D2D 성능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프로세싱 모듈(11)
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단말 장치 성능을 보고하는 장치는 D2D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단말 장치에 설치된다.
기지국이 D2D 장치의 D2D 통신을 위한 자원을 정확하게 스케줄링할 수 있게 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단말 장치 성능을 보고하는 장치에서의 프로세싱 모듈(11)은 먼저 단말 장치의 D2D 성능 정보를 획득한다. 단말 장치의 D2D 성능 정보는 단말 장치가 D2D 통신을 수행하는 다양한 성능을 나타낸다.
단말 장치의 D2D 성능 정보는 예를 들어 단말 장치의 D2D 무선 주파수 성능 정보 및 단말 장치의 D2D 특징 지원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단말 장치의 D2D 무선 주파수 성능 정보는 다음의 정보: 단말 장치가 D2D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주파수 대역에 관한 정보, 단말 장치가 D2D 통신과 셀룰러 통신을 모두 지원하는 무선 주파수 대역에 관한 정보, 및 단말 장치가 D2D 통신과 반송파 집성을 모두 지원하는 성능 정보 중 적어도 한 편을 포함한다. 단말 장치의 D2D 성능 지원 정보는 단말 장치에 의해 지원되는 D2D 특징을 포함한다.
즉, 단말 장치의 D2D 성능 정보는 2가지 양태의 정보를 포함한다: 하나의 양태는 D2D 무선 주파수 성능이고, 다른 양태는 D2D 지원-특징 성능이다. D2D 통신은 셀룰러 네트워크의 스펙트럼의 업링크 주파수 대역을 통해 작동하고, 단말 장치가 위치하는, 셀룰러 네트워크의 셀은 복수의 업링크 주파수 대역을 지원할 수 있으며, 단말 장치는 일부의 업링크 주파수 대역만을 통한 D2D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따라서, D2D 무선 주파수 성능은 단말 장치가 D2D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주파수 대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단말 장치는 D2D 통신 및 셀룰러 통신 모두를 지원할 수 있고, 단말 장치는 일부의 주파수 대역에 걸쳐 D2D 통신 및 셀룰러 통신 모두를 지원한다. 따라서, D2D 무선 주파수 성능은 단말 장치가 D2D 통신 및 셀룰러 통신 모두를 지원하는 무선 주파수 대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단말 장치는 반송파 집성(Carrier Aggregation, CA)을 더 지원할 수 있다. 단말 장치가 CA를 지원하는 경우, 단말 장치는 복수의 다운링크 반송파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동시에 수신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단말 장치는 하나의 업링크 반송파를 통해 D2D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따라서, D2D 무선 주파수 성능은 단말 장치가 D2D 통신 및 반송파 집성을 모두를 지원하는 성능 정보를 포함한다. D2D 지원-성능 정보는 예를 들어, D2D 발견 성능, D2D 브로드캐스트 통신 성능, D2D 점대점 전송 성능, D2D 멀티캐스트 통신 성능 및 D2D 릴레이 통신 성능을 포함한다.
단말 장치의 D2D 성능 정보는 단말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 및 소프트웨어 구성에 의해 결정되는데, 즉, D2D 성능 정보는 단말 장치의 고유한 속성이며, 단말 장치의 D2D 성능 정보는 단말 장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가 업그레이드된 후에만 변경된다. 따라서, 프로세싱 모듈(11)은 단말 장치의 미리 설정된 정보로부터 D2D 성능 정보를 획득하거나, 또는 프로세싱 모듈(11)은 단말 장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에 따라 D2D 성능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단말 장치의 D2D 성능 정보를 송신하도록 기지국에 구성되어 있는 송신 모듈(12).
구체적으로, 프로세싱 모듈(11)이 단말 장치의 D2D 성능 정보를 획득한 후, 송신 모듈(12)은 단말 장치의 D2D 성능 정보를 기지국에 송신함으로써, 기지국이 단말 장치의 D2D 성능 정보를 획득한다. 이 방법에서, 기지국은 단말 장치의 D2D 성능 정보에 따라 단말 장치가 지원하는 D2D 성능을 알 수 있고, 또한 대응하는 자원을 단말 장치에 할당하여 D2D 통신을 완료할 수 있다.
송신 모듈(12)은 단말 장치의 D2D 성능 정보를 기지국에 주기적으로 송신할 수 있거나, 또는 송신 모듈(12)은 단말 장치에 보고하는 장치가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단말 성능 질의 메시지를 수신한 후 단말 장치의 D2D 성능 정보를 기지국에 송신할 수 있다.
송신 모듈(12)에 의해 기지국에 송신되는 D2D 성능 정보는 특정한 성능 정보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D2D 발견 성능이 지원되거나, D2D 브로드캐스트 통신 성능이 지원되며, 또는 송신 모듈(12)은 단말 장치의 시스템 버전 번호를 기지국에 송신할 수 있다. 서로 다른 시스템 버전에서 지원되는 D2D 성능은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단말 장치의 시스템 버전을 알게 된 후, 기지국은 단말 장치의 D2D 성능 정보를 알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단말 장치의 D2D 성능 정보가 획득되고, 단말 장치의 D2D 성능 정보는 기지국에 보고되어, 기지국은 단말 장치에 의해 지원되는 D2D 성능을 알 수 있으므로 단말 장치의 D2D 통신을 위한 자원을 정확하게 할당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단말 장치 성능을 보고하는 장치의 실시예 2에 대한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에 기초하여, 이 실시예에서 단말 장치를 보고하는 장치는:
송신 모듈(12)이 단말 장치의 D2D 성능 정보를 기지국에 송신하기 전에,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단말 성능 질의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수신 모듈(13)
을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D2D 통신은 일반적으로 비상 통신 수단이기 때문에, 기지국은 단말 장치의 D2D 성능 정보를 실시간으로 알 필요가 없고, 대신에 단말 장치가 D2D 통신을 수행해야 할 때만 단말 장치의 D2D 성능 정보를 알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단말 장치 성능을 보고하는 장치는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단말 성능 질의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모듈(13)을 더 포함한다.
기지국이 단말 장치의 D2D 통신을 지원하는 경우, 단말 장치가 D2D 통신을 수행할 필요가 있음을 알 때 기지국은 먼저 단말 성능 질의 메시지를 단말 장치에 송신한다. 단말 장치에 배치되어 단말 장치 성능을 보고하는 장치 내의 수신 모듈(13)은 단말 성능 질의 메시지를 수신 한 다음, 송신 모듈(12)은 단말 장치의 D2D 성능 정보를 기지국에 송신한다. 단말 성능 질의 메시지는 단말 장치의 성능 정보를 질의하는데 사용되며, 단말 장치의 성능 정보는 D2D 성능 정보를 포함한다. 즉, 기지국이 단말 장치의 D2D 성능 정보를 알 필요가 있을 때, 수신 모듈(13)은 단말 성능 질의 메시지를 수신한 다음, 송신 모듈(12)은 이 경우에만 단말 장치의 D2D 성능 정보를 기지국에 송신한다. 주기적인 보고와 비교해 보면, D2D 성능 정보를 보고하는 이 방법이 D2D 성능 정보를 보고하는 데 필요한 자원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이 실시예에서, 단말 성능 질의 메시지는 D2D 성능 보고 요구 정보를 포함하고, D2D 성능 보고 요구 정보는 대응하는 D2D 성능 정보를 보고하도록 단말 장치에 명령하는데 사용되며, 송신 모듈(12)은 구체적으로 D2D 성능 보고 요구 정보에 따라 D2D 성능 보고 요구 정보에 대응하는 D2D 성능 정보를 기지국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D2D 성능 정보는 복수 유형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수신 모듈(13)이 질의 요구 메시지를 수신할 때마다 단말 장치의 모든 D2D 성능 정보가 기지국에 전송되면 많은 전송 자원이 점유된다. 따라서, D2D 성능 정보를 보고 할 것을 단말 장치에 요구할 때, 기지국은 단말 장치가 기지국이 알고자 하는 D2D 성능 정보를 보고하는 것을 추가로 지정할 수 있다. 수신 모듈(13)에 의해 수신된 단말 성능 질의 메시지는 D2D 성능 보고 요구 정보를 포함하고, D2D 성능 보고 요구 정보는 대응하는 D2D 성능 정보를 보고하도록 단말 장치에 명령하는데 사용된다. 그런 다음, 송신 모듈(12)은 D2D 성능 보고 요구 정보에 따라, D2D 성능 보고 요구 정보에 대응하는 D2D 성능 정보를 기지국에 송신한다.
또한, 기지국에 등록 요구 메시지를 송신하는 경우, 송신 모듈(12)은 D2D 성능 정보를 등록 요구 메시지에 추가로 부가할 수 있거나, 수신 모듈(13)이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등록 확인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후 송신 모듈(12)은 단말 장치의 D2D 성능 정보를 기지국으로 송신할 수 있다. 즉, D2D 성능 정보는 단말 장치의 등록 프로세스에서 기지국에 보고되고, 이러한 방식으로, 단말 장치가 기지국에 등록될 때, 기지국은 단말 장치의 D2D 성능 정보를 알 수 있으며, 그 결과 단말 장치의 D2D 통신을 위한 자원을 정확하게 할당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단말 장치 성능을 보고하는 장치의 실시예 3에 대한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 단말 장치 성능을 보고하는 장치는:
단말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단말 장치의 D2D 성능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수신 모듈(31)
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이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단말 장치 성능을 보고하는 장치는 네트워크상의 기지국에 설치되고, 기지국은 단말 장치의 D2D 통신을 지원한다.
단말 장치의 D2D 통신을 위한 자원을 정확하게 할당하기 위해, 이 실시예에서 단말 장치 성능을 보고하는 장치는 단말 장치의 D2D 성능 정보에 따라 대응하는 자원을 단말 장치에 할당하기 위해 단말 장치의 D2D 성능 정보를 알아야 한다. 그러므로 수신 모듈(31)은 단말 장치에 의해 송신된 D2D 성능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단말 장치의 D2D 성능 정보는 예를 들어 단말 장치의 D2D 무선 주파수 성능 정보 및 단말 장치의 D2D 특징 지원 정보 중 적어도 한 편을 포함한다. 단말 장치의 D2D 무선 주파수 성능 정보는 다음의 정보: 단말 장치가 D2D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주파수 대역에 관한 정보, 단말 장치가 D2D 통신과 셀룰러 통신을 모두 지원하는 무선 주파수 대역에 관한 정보, 및 단말 장치가 D2D 통신과 반송파 집성을 모두 지원하는 성능 정보 중 적어도 한 편을 포함한다. 단말 장치의 D2D 특징 지원 정보는 단말 장치에 의해 지원되는 D2D 특징을 포함한다.
즉, 단말 장치의 D2D 성능 정보는 2가지 양태의 정보를 포함한다: 하나의 양태는 D2D 무선 주파수 성능이고, 다른 양태는 D2D 지원-특징 성능이다. D2D 통신은 셀룰러 네트워크의 스펙트럼의 업링크 주파수 대역을 통해 작동하고, 단말 장치가 위치하는, 셀룰러 네트워크의 셀은 복수의 업링크 주파수 대역을 지원할 수 있으며, 단말 장치는 일부의 업링크 주파수 대역만을 통한 D2D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따라서, D2D 무선 주파수 성능은 단말 장치가 D2D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주파수 대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단말 장치는 D2D 통신 및 셀룰러 통신 모두를 지원할 수 있고, 단말 장치는 일부의 주파수 대역에 걸쳐 D2D 통신 및 셀룰러 통신 모두를 지원한다. 따라서, D2D 무선 주파수 성능은 단말 장치가 D2D 통신 및 셀룰러 통신 모두를 지원하는 무선 주파수 대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단말 장치는 CA를 더 지원할 수 있고, 단말 장치가 CA를 지원하는 경우, 단말 장치는 복수의 다운링크 반송파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동시에 수신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단말 장치는 하나의 업링크 반송파를 통해 D2D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따라서, D2D 무선 주파수 성능은 단말 장치가 D2D 통신 및 반송파 집성을 모두를 지원하는 성능 정보를 포함한다. D2D 지원-성능 정보는 예를 들어, D2D 발견 성능, D2D 브로드캐스트 통신 성능, D2D 점대점 전송 성능, D2D 멀티캐스트 통신 성능 및 D2D 릴레이 통신 성능을 포함한다.
단말 장치의 D2D 성능 정보는 단말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 및 소프트웨어 구성에 의해 결정되는데, 즉, D2D 성능 정보는 단말 장치의 고유한 속성이며, 단말 장치의 D2D 성능 정보는 단말 장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가 업그레이드된 후에만 변경된다. 따라서, 단말 장치는 미리 설정된 정보로부터 D2D 성능 정보를 획득할 수 있거나, 또는 단말 장치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에 따라 D2D 성능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수신 모듈(31)은 단말 장치에 의해 송신된 D2D 성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단말 장치의 D2D 성능 정보에 따라 단말 장치의 D2D 성능을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프로세싱 모듈(32).
구체적으로, 수신 모듈(31)이 단말 장치의 D2D 성능 정보를 수신한 후, 프로세싱 모듈(31)은 단말 장치의 D2D 성능 정보에 따라 단말 장치에 의해 지원되는 D2D 성능을 알게 되고, 대응하는 자원을 단말 장치에 할당하여 D2D 통신을 완료한다.
단말 장치가 D2D 통신을 수행할 때, 서로 다른 D2D 특징이 필요로 하는 자원은 서로 다르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는 일부의 주파수 대역만을 통해 D2D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데, 수신 모듈(31)에 의해 수신된 D2D 성능 정보는 D2D 통신이 수행될 수 있는 주파수 대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므로 프로세싱 모듈(32)은 단말 장치가 D2D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을 알 수 있고, 그 결과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의 자원을 단말 장치에 할당할 수 있다.
수신 모듈(31)에 의해 수신되는 D2D 성능 정보는 특정한 성능 정보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D2D 발견 성능이 지원되거나, D2D 브로드캐스트 통신 성능이 지원되며, 또는 수신 모듈(31)은 단말 장치에 의해 송신된 시스템 버전 번호를 수신할 수 있다. 서로 다른 시스템 버전에서 지원되는 D2D 성능은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단말 장치의 시스템 버전을 알게 된 후, 프로세싱 모듈(32)은 단말 장치의 D2D 성능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단말 장치에 의해 송신된 D2D 성능 정보가 수신되며, 단말 장치에 의해 송신된 D2D 성능 정보가 결정되어, 단말 장치의 D2D 통신을 위한 자원이 정확하게 할당된다.
수신 모듈(31)은 단말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단말 장치의 D2D 성능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할 수 있거나, 단말 장치에 보고하는 장치가 단말 성능 질의 메시지를 단말 장치에 송신한 후, 수신 모듈(31)은 단말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단말 장치의 D2D 성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단말 장치 성능을 보고하는 장치의 실시예 4에 대한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3에 기초하여, 이 실시예에서 단말 장치 성능을 보고하는 장치는:
수신 모듈(31)이 단말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단말 장치의 D2D 성능 정보를 수신하기 전에, 단말 장치에 단말 성능 질의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송신 모듈(33)
을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D2D 통신은 일반적으로 비상 통신 수단이기 때문에, 기지국은 단말 장치의 D2D 성능 정보를 실시간으로 알 필요가 없고, 대신에 단말 장치가 D2D 통신을 수행해야 할 때만 단말 장치의 D2D 성능 정보를 알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단말 장치 성능을 보고하는 장치는 송신 모듈(33)을 더 포함하며, 기지국이 단말 장치의 D2D 성능을 알 필요가 있을 때, 송신 모듈(33)은 단말 장치에 단말 성능 질의 정보를 송신한다.
기지국이 단말 장치의 D2D 통신을 지원하는 경우, 기지국은 먼저 단말 장치가 D2D 통신을 수행할 필요가 있음을 알 때 기지국 성능 질의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송신 모듈(33)이 단말 성능 질의 메시지를 단말 장치로 송신한 후, 수신 모듈(31)은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단말 장치의 D2D 성능 정보를 수신한다. 단말 성능 질의 메시지는 단말 장치의 성능 정보를 질의하는데 사용되며, 단말 장치의 성능 정보는 D2D 성능 정보를 포함한다. 즉, 기지국이 단말 장치의 D2D 성능 정보를 알 필요가 있을 때만, 송신 모듈(33)은 단말 성능 질의 메시지를 단말 장치에 송신하고, 그런 다음 수신 모듈(31)은 단말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단말 장치의 D2D 성능 정보를 수신한다. 주기적인 보고와 비교해 보면, D2D 성능 정보를 보고하는 이 방법이 D2D 성능 정보를 보고하는 데 필요한 자원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성능 질의 메시지는 D2D 성능 보고 요구 정보를 포함하고, D2D 성능 보고 요구 정보는 대응하는 D2D 성능 정보를 보고하도록 단말 장치에 명령하는데 사용되며, 수신 모듈(31)은 구체적으로, D2D 성능 보고 요구 정보에 따라 단말 장치에 의해 송신되고, D2D 성능 보고 요구 정보에 대응하는 D2D 성능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D2D 성능 정보는 복수 유형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송신 모듈(33)이 질의 요구 메시지를 단말 장치에 송신할 때마다 단말 장치가 모든 D2D 성능 정보를 보고할 필요가 있으면 많은 전송 자원이 점유된다. 따라서, D2D 성능 정보를 보고 할 것을 단말 장치에 요구할 때, 기지국은 단말 장치가 기지국이 알고자 하는 D2D 성능 정보를 보고하는 것을 추가로 지정할 수 있다. 송신 모듈(33)에 의해 송신된 단말 성능 질의 메시지는 D2D 성능 보고 요구 정보를 포함하고, D2D 성능 보고 요구 정보는 대응하는 D2D 성능 정보를 보고하도록 단말 장치에 명령하는데 사용된다. 그런 다음, 수신 모듈(31)은 D2D 성능 보고 요구 정보에 따라, 단말 장치에 의해 송신되고 D2D 성능 보고 요구 정보에 대응하는 D2D 성능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단말 장치가 등록 요구 메시지를 송신하는 경우, 수신 모듈(31)은 D2D 성능 정보를 추가로 수신할 수 있거나 - 여기서 등록 요구 메시지는 D2D 성능 정보를 반송하며 - , 송신 모듈(33)이 단말 장치에 등록 수신확인 메시지를 송신한 후, 수신 모듈(31)은 단말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단말 장치의 D2D 성능 정보를 송신한다. 즉, D2D 성능 정보는 단말 장치의 등록 프로세스에서 기지국에 보고되고, 이러한 방식으로, 단말 장치가 기지국에 등록될 때, 기지국은 단말 장치의 D2D 성능 정보를 알 수 있으며, 그 결과 단말 장치의 D2D 통신을 위한 자원을 정확하게 할당할 수 있다.
단말 장치의 RRC 계층이 RRC_connected 상태에 있을 때 기지국에 보고되는 정보는 현재의 "발견 수신 상태에 관한 정보"를 지정한다. 발견 수신 상태에 관한 정보는 2가지 상태: 수신 시작 및 수신 중단을 포함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단말 장치 성능을 보고하는 방법의 실시예 1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의 방법은 다음을 포함한다:
단계 S501: 단말 장치는 단말 장치의 D2D 성능 정보를 획득한다.
단계 S502: 단말 장치는 단말 장치의 D2D 성능 정보를 기지국에 송신한다.
이 실시예에서의 단말 장치 성능을 보고하는 방법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단말 장치 성능을 보고하는 장치의 프로세싱을 수행하는 데 사용되고, 그 실행 원리 및 기술적 효과에 대해서는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단말 장치의 D2D 성능 정보는 단말 장치의 D2D 무선 주파수 성능 정보 및 단말 장치의 D2D 특징 지원 정보 중 적어도 한 편을 포함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단말 장치의 D2D 무선 주파수 성능 정보는 다음의 정보: 단말 장치가 D2D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주파수 대역에 관한 정보, 단말 장치가 D2D 통신과 셀룰러 통신을 모두 지원하는 무선 주파수 대역에 관한 정보, 및 단말 장치가 D2D 통신과 반송파 집성을 모두 지원하는 성능 정보 중 적어도 한 편을 포함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단말 장치 성능을 보고하는 방법의 실시예 2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의 방법은 다음을 포함한다:
단계 S601: 단말 장치는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단말 성능 질의 메시지를 수신한다.
단계 S602: 단말 장치는 단말 장치의 D2D 성능 정보를 획득한다.
단계 S603: 단말 장치는 단말 장치의 D2D 성능 정보를 기지국에 송신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이 실시예에서, 단말 성능 질의 메시지는 D2D 성능 보고 요구 정보를 포함하고, D2D 성능 보고 요구 정보는 대응하는 D2D 성능 정보를 보고하도록 단말 장치에 명령하는데 사용되며, 단계 S603은: 단말 장치가 D2D 성능 보고 요구 정보에 따라 D2D 성능 보고 요구 정보에 대응하는 D2D 성능 정보를 기지국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의 단계 S502 또는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의 단계 S603은: 단말 장치가, 단말 장치의 D2D 성능 정보를 기지국에 주기적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의 단계 S502 또는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의 단계 S603은: 단말 장치가, 단말 장치의 D2D 성능 정보를 포함하는 등록 요구 메시지를 기지국에 송신하는 단계; 또는 단말 장치가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등록 수신확인 메시지를 수신한 후 단말 장치의 D2D 성능 정보를 기지국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단말 장치 성능을 보고하는 방법의 실시예 3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의 방법은 다음을 포함한다:
단계 S701: 기지국은 단말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단말 장치의 D2D 성능 정보를 수신한다.
단계 S702: 기지국은 단말 장치의 D2D 성능 정보에 따라 단말 장치의 D2D 성능을 결정한다.
이 실시예에서의 단말 장치 성능을 보고하는 방법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단말 장치 성능을 보고하는 장치의 프로세싱을 수행하는 데 사용되고, 그 실행 원리 및 기술적 효과에 대해서는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단말 장치의 D2D 성능 정보는 단말 장치의 D2D 무선 주파수 성능 정보 및 단말 장치의 D2D 특징 지원 정보 중 적어도 한 편을 포함한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단말 장치의 D2D 무선 주파수 성능 정보는 다음의 정보: 단말 장치가 D2D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주파수 대역에 관한 정보, 단말 장치가 D2D 통신과 셀룰러 통신을 모두 지원하는 무선 주파수 대역에 관한 정보, 및 단말 장치가 D2D 통신과 반송파 집성을 모두 지원하는 성능 정보 중 적어도 한 편을 포함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단말 장치 성능을 보고하는 방법의 실시예 4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의 방법은 다음을 포함한다:
단계 S801: 기지국은 단말 장치에 단말 성능 질의 메시지를 송신한다.
단계 S802: 기지국은 단말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단말 장치의 D2D 성능 정보를 수신한다.
단계 S803: 기지국은 단말 장치의 D2D 성능 정보에 따라 단말 장치의 D2D 성능을 결정한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이 실시예에서, 단말 성능 질의 메시지는 D2D 성능 보고 요구 정보를 포함하고, D2D 성능 보고 요구 정보는 대응하는 D2D 성능 정보를 보고하도록 단말 장치에 명령하는데 사용되며, 단계 S802는: 기지국이, D2D 성능 보고 요구 정보에 따라 단말 장치에 의해 송신되고 D2D 성능 보고 요구 정보에 대응하는 D2D 성능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의 단계 S701 또는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의 단계 S802는: 기지국이 단말 장치에 의해 주기적으로 송신되는 단말 장치의 D2D 성능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의 단계 S701 또는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의 단계 S802는: 기지국이, 단말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단말 장치의 D2D 성능 정보를 포함하는 등록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또는 기지국이, 단말 장치가 등록 수신확인 메시지를 수신한 후 단말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단말 장치의 D2D 성능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2D 성능 정보의 특정한 내용은 이상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단말 정보 성능을 보고하는 방법 및 장치를 추가로 설명하기 위해 이하에서 예로 사용된다.
단말 장치가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단말 성능 질의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메시지가 단말 장치의 무선 주파수 성능 정보를 질의하는 것을 요구하는 것으로 가정하면, 단말 장치가 주파수 대역을 통한 D2D 통신을 지원하는 경우, 단말 장치에 의해 기지국에 보고되는 정보는 다음과 같을 수 있다:
SupportedBandEUTRA-r12 ::= SEQUENCE {
bandEUTRA FreqBandIndicator,
halfDuplex BOOLEAN
ULreception BOOLEAN
SupportedBandEUTRA-r12는 단말 장치가 지원하는 주파수 대역의 버전 번호가 EUTRA-r12임을 나타내며, FreqBandIndicator는 주파수 대역의 지표이며 정보가 어떤 주파수 대역에 관한 것인지를 나타내며; halfDuplex는 반이중 작업 상태를 나타내며, ULreception은 업링크 주파수 대역을 통해 수신이 수행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셀룰러 통신에서, 업링크 주파수 대역은 신호를 송신하는 데만 사용되지만, D2D 통신에서는 업링크 주파수 대역이 신호를 수신하는 데도 사용될 수 있으며, 그러므로 단말 장치가 기지국에 전술한 정보를 송신한 후에, 기지국은 단말 장치가 주파수 대역을 통한 D2D 통신을 지원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대안을, 단말 장치가 주파수 대역을 통한 D2D 통신을 지원하면, 단말 장치에 의해 기지국에 보고되는 저보는 추가로 다음과 같을 수 있다:
ULBandInfoEUTRA ::= SEQUENCE {
ULBandList ULBandList OPTIONAL
}
ULBandList ::= SEQUENCE (SIZE (1..maxBandsxx)) OF
ULBandInfo
ULBandInfo::= SEQUENCE {
SupportD2DReception BOOLEAN
}
ULBandList는 업링크 전송을 지원하는 주파수 대역의 목록을 나타내고, SupportD2DReception은 업링크 주파수 대역이 D2D 수신을 지원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단말 장치가 주파수 대역을 통한 셀룰러 통신 및 D2D 통신을 모두 지원하면, 단말 장치에 의해 기지국에 보고되는 정보는 다음과 같을 수 있다;
BandParameters-r12 ::= SEQUENCE {
bandEUTRA-r10 FreqBandIndicator,
bandParametersUL-r10 BandParametersUL-r10 OPTIONAL,
bandParametersDL-r10 BandParametersDL-r10, OPTIONAL
ULreception BOOLEAN
DL&ULreception BOOLEAN
}
CellularD2DcombinationParameters:: SEQUENCE {(SIZE
(1..maxSimultaneousBands-r10)) OF BandParameters
ULreception은 업링크 주파수 대역을 통해 수신이 수행될 수 있음을 나타내고, DL&ULreception은 수신이 업링크 주파수 대역 및 다운링크 주파수 대역 모두에서 수행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CellularD2DcombinationParameters는 셀룰러 통신과 D2D 통신의 결합된 파라미터이다. 단말 장치가 주파수 대역을 통해 업링크 주파수 대역 및 다운링크 주파수 대역을 통해 수신하는 것과, CellularD2DcombinationParameters를 획득하는 것을 모두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된 후, 기지국은 주파수 대역을 통해 셀룰러 통신 및 D2D 통신 모두를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단말 장치가 CA 성능을 가지면서 D2D 통신도 지원하는 경우, 단말 장치는 CA 능력을 기지국에 보고하면서 CellularD2DcombinationParameters를 보고하고, 기지국은 단말 장치가 CA 및 D2D 통신을 모두 지원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단말 장치가 CellularD2DcombinationParameters를 보고하지 않고, 대신 CA 기능을 기지국에 보고하는 동안 SupportedBandEUTRA-r12 또는 ULBandInfoEUTRA만 보고하는 경우, 기지국은 단말 장치가 CA 또는 D2D 통신을 지원하지만 둘 모두를 지원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프로세싱 모듈(11)은 단말 장치의 프로세서와 대응할 수 있고, 여기서 프로세서는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또는 주문형 집적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또는 본 발명을 실시예를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집적회로일 수 있다. 송신 모듈(12)은 단말 장치의 전송기에 대응할 수 있거나, 단말 장치의 송수신기에 대응할 수 있다. 수신 모듈(13)은 단말 장치의 수신기에 대응할 수 있거나, 단말 장치의 송수신기에 대응할 수 있다. 단말 장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메모리는 명령 코드를 저장하도록 구성되며, 프로세서는 메모리의 명령 코드를 불러내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송신 모듈(12) 및 수신 모듈(13)이 전술한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수신 모듈(31)은 기지국의 수신기에 대응할 수 있거나, 기지국의 송수신기에 대응할 수 있다. 프로세싱 모듈(32)은 기지국의 프로세서에 대응할 수 있고, 여기서 프로세서는 CPU일 수 있거나, ASIC일 수 있거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집적회로일 수 있다.
송신 모듈(33)은 기지국의 전송기에 대응할 수 있거나, 기지국의 송수신기에 대응할 수 있다. 기지국은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메모리는 명령 코드를 저장하도록 구성되며, 프로세서는 메모리의 명령 코드를 불러내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수신 모듈(31) 및 송신 모듈(33)이 전술한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당업자라면 방법 실시예의 단계 중 일부 또는 전부는 관련 하드웨어에 명령을 내리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방법 실시예에서의 단계들이 수행된다. 전술한 저장 매체는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하며, 예를 들어, ROM, RAM, 자기디스크, 또는 광디스크가 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전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솔루션을 설명하기 위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것이 아님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을 전술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당업자라면 전술한 실시예에 설명된 기술적 솔루션에 대한 수정, 또는 기술적 특징 중 일부 또는 전부에 대한 등가의 대체를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범위의 보호 범위에 해당되어야 한다.

Claims (28)

  1. 단말 장치 성능을 보고하는 장치로서,
    단말 장치의 장치대장치(device to device, D2D) 성능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프로세싱 모듈; 및
    상기 단말 장치의 D2D 성능 정보를 기지국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송신 모듈
    을 포함하는 단말 장치 성능을 보고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의 D2D 성능 정보는 단말 장치의 D2D 무선 주파수 성능 정보 및 단말 장치의 D2D 특징 지원 정보 중 적어도 한 편을 포함하는, 단말 장치 성능을 보고하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의 D2D 무선 주파수 성능 정보는 다음의 정보:
    단말 장치가 D2D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주파수 대역에 관한 정보, 단말 장치가 D2D 통신과 셀룰러 통신을 모두 지원하는 무선 주파수 대역에 관한 정보, 및 단말 장치가 D2D 통신과 반송파 집성을 모두 지원하는 성능 정보
    중 적어도 한 편을 포함하는, 단말 장치 성능을 보고하는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듈이 단말 장치의 D2D 성능 정보를 기지국에 송신하기 전에,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단말 성능 질의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수신 모듈
    을 더 포함하는 단말 장치 성능을 보고하는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성능 질의 메시지는 D2D 성능 보고 요구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D2D 성능 보고 요구 정보는 대응하는 D2D 성능 정보를 보고하도록 단말 장치에 명령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송신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D2D 성능 보고 요구 정보에 따라 상기 D2D 성능 보고 요구 정보에 대응하는 D2D 성능 정보를 기지국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단말 장치 성능을 보고하는 장치.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듈은 구체적으로 단말 장치의 D2D 성능 정보를 기지국에 주기적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단말 장치 성능을 보고하는 장치.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듈은 구체적으로 단말 장치의 D2D 성능 정보를 포함하는 등록 요구 메시지를 기지국에 송신하거나, 상기 수신 모듈이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등록 수신확인 메시지를 수신한 후 단말 장치의 D2D 성능 정보를 기지국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단말 장치 성능을 보고하는 장치.
  8. 단말 장치 성능을 보고하는 장치로서,
    단말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단말 장치의 장치대장치(device to device, D2D) 성능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수신 모듈; 및
    상기 단말 장치의 D2D 성능 정보에 따라 단말 장치의 D2D 성능을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프로세싱 모듈
    을 포함하는 단말 장치 성능을 보고하는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의 D2D 성능 정보는 단말 장치의 D2D 무선 주파수 성능 정보 및 단말 장치의 D2D 특징 지원 정보 중 적어도 한 편을 포함하는, 단말 장치 성능을 보고하는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의 D2D 무선 주파수 성능 정보는 다음의 정보:
    단말 장치가 D2D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주파수 대역에 관한 정보, 단말 장치가 D2D 통신과 셀룰러 통신을 모두 지원하는 무선 주파수 대역에 관한 정보, 및 단말 장치가 D2D 통신과 반송파 집성을 모두 지원하는 성능 정보
    중 적어도 한 편을 포함하는, 단말 장치 성능을 보고하는 장치.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모듈이 단말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단말 장치의 D2D 성능 정보를 수신하기 전에, 단말 장치에 단말 성능 질의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송신 모듈
    을 더 포함하는 단말 장치 성능을 보고하는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성능 질의 메시지는 D2D 성능 보고 요구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D2D 성능 보고 요구 정보는 대응하는 D2D 성능 정보를 보고하도록 단말 장치에 명령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수신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D2D 성능 보고 요구 정보에 따라 단말 장치에 의해 송신되고 상기 D2D 성능 보고 요구 정보에 대응하는 D2D 성능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단말 장치 성능을 보고하는 장치.
  13.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모듈은 구체적으로 단말 장치에 의해 주기적으로 송신되는 단말 장치의 D2D 성능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단말 장치 성능을 보고하는 장치.
  14.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모듈은 구체적으로 단말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단말 장치의 D2D 성능 정보를 포함하는 등록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거나, 단말 장치가 등록 수신확인 메시지를 수신한 후 단말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단말 장치의 D2D 성능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단말 장치 성능을 보고하는 장치.
  15. 단말 장치 성능을 보고하는 방법으로서,
    단말 장치가, 단말 장치의 장치대장치(device to device, D2D) 성능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 장치가, 단말 장치의 D2D 성능 정보를 기지국에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 성능을 보고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의 D2D 성능 정보는 단말 장치의 D2D 무선 주파수 성능 정보 및 단말 장치의 D2D 특징 지원 정보 중 적어도 한 편을 포함하는, 단말 장치 성능을 보고하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의 D2D 무선 주파수 성능 정보는 다음의 정보:
    단말 장치가 D2D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주파수 대역에 관한 정보, 단말 장치가 D2D 통신과 셀룰러 통신을 모두 지원하는 무선 주파수 대역에 관한 정보, 및 단말 장치가 D2D 통신과 반송파 집성을 모두 지원하는 성능 정보
    중 적어도 한 편을 포함하는, 단말 장치 성능을 보고하는 방법.
  18. 제15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가, 단말 장치의 D2D 성능 정보를 기지국에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장치가,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단말 성능 질의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단말 장치 성능을 보고하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성능 질의 메시지는 D2D 성능 보고 요구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D2D 성능 보고 요구 정보는 대응하는 D2D 성능 정보를 보고하도록 단말 장치에 명령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단말 장치가, 단말 장치의 D2D 성능 정보를 기지국에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D2D 성능 보고 요구 정보에 따라 상기 D2D 성능 보고 요구 정보에 대응하는 D2D 성능 정보를 기지국에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 성능을 보고하는 방법.
  20. 제15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가, 단말 장치의 D2D 성능 정보를 기지국에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장치가, 단말 장치의 D2D 성능 정보를 기지국에 주기적으로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 성능을 보고하는 방법.
  21. 제15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가, 단말 장치의 D2D 성능 정보를 기지국에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장치가, 단말 장치의 D2D 성능 정보를 포함하는 등록 요구 메시지를 기지국에 송신하는 단계; 또는
    상기 단말 장치가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등록 수신확인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단말 장치가 단말 장치의 D2D 성능 정보를 기지국에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 성능을 보고하는 방법.
  22. 단말 장치 성능을 보고하는 방법으로서,
    기지국이, 단말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단말 장치의 장치대장치(device to device, D2D) 성능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이, 상기 단말 장치의 D2D 성능 정보에 따라 단말 장치의 D2D 성능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 성능을 보고하는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의 D2D 성능 정보는 단말 장치의 D2D 무선 주파수 성능 정보 및 단말 장치의 D2D 특징 지원 정보 중 적어도 한 편을 포함하는, 단말 장치 성능을 보고하는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의 D2D 무선 주파수 성능 정보는 다음의 정보:
    단말 장치가 D2D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주파수 대역에 관한 정보, 단말 장치가 D2D 통신과 셀룰러 통신을 모두 지원하는 무선 주파수 대역에 관한 정보, 및 단말 장치가 D2D 통신과 반송파 집성을 모두 지원하는 성능 정보
    중 적어도 한 편을 포함하는, 단말 장치 성능을 보고하는 방법.
  25. 제22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이, 단말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단말 장치의 D2D 성능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기지국이 단말 장치에 단말 성능 질의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단말 장치 성능을 보고하는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성능 질의 메시지는 D2D 성능 보고 요구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D2D 성능 보고 요구 정보는 대응하는 D2D 성능 정보를 보고하도록 단말 장치에 명령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기지국이, 단말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단말 장치의 D2D 성능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기지국이, 상기 D2D 성능 보고 요구 정보에 따라 단말 장치에 의해 송신되고 상기 D2D 성능 보고 요구 정보에 대응하는 D2D 성능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 성능을 보고하는 방법.
  27. 제22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이, 단말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단말 장치의 D2D 성능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기지국이 단말 장치에 의해 주기적으로 송신되는 단말 장치의 D2D 성능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 성능을 보고하는 방법.
  28. 제22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이, 단말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단말 장치의 D2D 성능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기지국이, 단말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단말 장치의 D2D 성능 정보를 포함하는 등록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또는
    상기 기지국이, 단말 장치가 등록 수신확인 메시지를 수신한 후 단말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단말 장치의 D2D 성능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 성능을 보고하는 방법.
KR1020177003383A 2014-08-08 2014-08-08 단말 장치 성능을 보고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9225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4/084017 WO2016019581A1 (zh) 2014-08-08 2014-08-08 终端设备能力上报方法和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8974A true KR20170028974A (ko) 2017-03-14
KR101922578B1 KR101922578B1 (ko) 2019-02-20

Family

ID=55263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3383A KR101922578B1 (ko) 2014-08-08 2014-08-08 단말 장치 성능을 보고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10397931B2 (ko)
EP (1) EP3160206B1 (ko)
JP (1) JP2017524305A (ko)
KR (1) KR101922578B1 (ko)
CN (1) CN105519223B (ko)
AU (1) AU2014402993B2 (ko)
BR (1) BR112017001759A2 (ko)
MX (1) MX367807B (ko)
RU (1) RU2671309C2 (ko)
WO (1) WO2016019581A1 (ko)
ZA (1) ZA20170048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75473B2 (en) 2019-09-27 2022-06-28 Commscope Technologies Llc Detection of a physical move of a remote unit of a centralized radio access network (C-RA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53501B2 (ja) 2016-07-28 2022-04-12 オッポ広東移動通信有限公司 通信方法、ネットワーク機器及び端末装置
US10349442B2 (en) * 2016-08-12 2019-07-09 Qualcomm Incorporated Cross-carrier scheduling for V2X communication
EP3529917B1 (en) 2016-10-21 2020-12-30 Viasat, Inc. Ground-based beamformed communications using mutually synchronized spatially multiplexed feeder links
CN108135031B (zh) * 2016-12-01 2022-11-2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资源调度方法、装置及系统
US20180343689A1 (en) * 2017-05-26 2018-11-29 Mediatek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Problem Cell In Mobile Communications
KR102354587B1 (ko) * 2017-09-08 2022-01-24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방법 및 장치
CN112672384B (zh) * 2017-10-31 2022-08-1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上报射频能力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CN110034884B (zh) * 2018-01-12 2023-07-0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终端设备能力传输的方法、装置及系统
CN115484685A (zh) * 2018-09-27 2022-12-16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能力与资源分配的方法、终端设备和控制设备
CN113016218A (zh) * 2019-01-04 2021-06-22 株式会社Ntt都科摩 无线通信方法及设备
CN111490998B (zh) * 2019-01-25 2022-02-25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装置、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WO2021026708A1 (zh) * 2019-08-09 2021-02-18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用于侧行链路的能力上报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WO2021027942A1 (en) * 2019-08-15 2021-02-1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capability information transfer
WO2023105652A1 (ja) * 2021-12-07 2023-06-15 株式会社Nttドコモ 端末及び通信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75382A1 (en) * 2010-05-06 2011-11-10 Sami-Jukka Hakola Measurements and Fast Power Adjustments in D2D Communications
CN103379654A (zh) * 2012-04-17 2013-10-3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D2D终端接入控制方法、D2D终端、eNB和MME
CN103686976A (zh) * 2013-09-27 2014-03-26 北京邮电大学 一种d2d系统中功率控制的方法及其实现装置
CN103686691A (zh) * 2012-09-18 2014-03-26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信号及配置信息发送和终端发现方法与设备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527621A (zh) * 2003-03-07 2004-09-08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无线通信网络中建立点到点对等通信的方法和装置
US7759747B2 (en) 2006-08-31 2010-07-20 Micron Technology, Inc. Tantalum aluminum oxynitride high-κ dielectric
EP2342932B1 (en) * 2008-10-29 2023-04-12 Nokia Technologies Oy Apparatus and method for dynamic communication resource allocation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055105B2 (en) 2009-05-29 2015-06-09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engaging in a service or activity using an ad-hoc mesh network
CN102792745B (zh) * 2009-12-11 2015-05-13 诺基亚公司 用于在无线通信网络中分配资源的方法、设备和计算机程序产品
CN102291711B (zh) * 2011-08-12 2014-03-19 电信科学技术研究院 终端设备的能力上报方法和设备
WO2013048296A1 (en) * 2011-09-30 2013-04-04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arrangement for handling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CN103209403A (zh) * 2012-01-13 2013-07-1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用户设备能力查询、上报方法及装置
EP2826164B1 (en) * 2012-03-16 2018-10-24 Intel Corporation Down-sampling of cell-specific reference signals (crs) for a new carrier type (nct)
TWI631871B (zh) * 2012-04-27 2018-08-01 內數位專利控股公司 支援鄰近發現程序方法及裝置
PT2850902T (pt) * 2012-05-16 2017-03-02 ERICSSON TELEFON AB L M (publ) Método e configuração numa rede de comunicações
US9154267B2 (en) * 2012-07-02 2015-10-06 Intel Corporation Sounding reference signal (SRS) mechanism for intracell device-to-device (D2D) communication
EP2879307A4 (en) * 2012-07-26 2016-03-16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SUPPORTING COMMUNICATION USING AT LEAST TWO RADIO ACCESS TECHNOLOGIES AND DEVICE THEREOF
CN103580791A (zh) * 2012-07-31 2014-02-12 华为技术有限公司 用户设备到用户设备的通信方法及设备
US10028204B2 (en) * 2012-08-24 2018-07-17 Blackberry Limited Supporting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in a rich communication service context
JP5886968B2 (ja) * 2012-08-28 2016-03-16 京セラ株式会社 基地局、ユーザ端末及びプロセッサ
US9497644B2 (en) * 2012-10-01 2016-11-1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User equipment, network node and methods therein
CN104885552A (zh) * 2012-11-06 2015-09-02 诺基亚技术有限公司 用于装置-到-装置通信的方法和设备
WO2014180519A1 (en) * 2013-05-08 2014-11-13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Improved selection of scheduling policy for network communications links and d2d communications links
WO2015000130A1 (en) * 2013-07-02 2015-01-08 Nokia Corporation Adaptive resource allocation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cellular and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s
US9888519B2 (en) * 2014-03-24 2018-02-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D2D transmission in connected state
EP3125626B1 (en) 2014-03-28 2019-07-17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device-to-device (d2d) operation performed by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terminal using the method
US9986423B2 (en) * 2014-08-11 2018-05-2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D2D and cellular operation on different carrier frequencies or frequency band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75382A1 (en) * 2010-05-06 2011-11-10 Sami-Jukka Hakola Measurements and Fast Power Adjustments in D2D Communications
CN103379654A (zh) * 2012-04-17 2013-10-3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D2D终端接入控制方法、D2D终端、eNB和MME
CN103686691A (zh) * 2012-09-18 2014-03-26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信号及配置信息发送和终端发现方法与设备
CN103686976A (zh) * 2013-09-27 2014-03-26 北京邮电大学 一种d2d系统中功率控制的方法及其实现装置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2-142634* *
3GPP TS 36.331 V12.2.0*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75473B2 (en) 2019-09-27 2022-06-28 Commscope Technologies Llc Detection of a physical move of a remote unit of a centralized radio access network (C-RAN)
US11729741B2 (en) 2019-09-27 2023-08-15 Commscope Technologies Llc Detection of a change of a remote unit of a centralized radio access network (C-RA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397931B2 (en) 2019-08-27
AU2014402993A1 (en) 2017-02-02
RU2017107212A (ru) 2018-09-10
EP3160206A1 (en) 2017-04-26
WO2016019581A1 (zh) 2016-02-11
RU2671309C2 (ru) 2018-10-30
KR101922578B1 (ko) 2019-02-20
ZA201700485B (en) 2018-04-25
AU2014402993B2 (en) 2018-08-09
BR112017001759A2 (pt) 2017-11-21
MX2017001654A (es) 2017-05-09
RU2017107212A3 (ko) 2018-09-10
US20170150491A1 (en) 2017-05-25
JP2017524305A (ja) 2017-08-24
CN105519223A (zh) 2016-04-20
MX367807B (es) 2019-09-06
EP3160206A4 (en) 2017-07-12
EP3160206B1 (en) 2020-07-29
CN105519223B (zh) 2020-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2578B1 (ko) 단말 장치 성능을 보고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00052247A (ko) Anr의 구성 방법, 단말기 디바이스, 기지국 및 코어 네트워크 디바이스
US11317425B2 (en) Data transmission method, related device, and system
US11825403B2 (en)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entity for transmitting system information in a 5G network
KR101997901B1 (ko)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 전송 방법, 기지국 장치, 및 사용자 장비
US20190174444A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CN110876168B (zh) 一种数据传输方法、相关设备、装置及相关系统
EP3277048B1 (en) Data transmission and resource scheduling methods and devic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WO2022082556A1 (en) Multi-subscriber identity module capability signaling framework
KR20230062574A (ko) 송신기 스위칭 방법 및 관련 장치
JP2021501481A5 (ko)
KR20210015964A (ko) 사이드링크 카테고리를 결정하는 방법,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 장치
US20210219314A1 (en) User apparatus and base station apparatus
EP3484220B1 (en) Resource indication method and related device
CN112203306B (zh) 终端、通信方法、装置及存储介质
WO2022205070A1 (en) Radio link failure handling in sidelink relay
US20230292375A1 (en) Method for data transmission and terminal device
WO2023206344A1 (en) Co-channel coexistence of multiple sidelink radio access technologies
WO2024092842A1 (en) Terminal,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a dynamic switching procedure
US20230413382A1 (en) Techniques for Emergency Service Fall Back Error Handling
EP4278667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device type and channel state information feedback over initial access message in wireless communication
CN115767580A (zh) 通信方法及相关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