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8767A -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of accident dangerous situation of vehicle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of accident dangerous situation of vehicle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28767A KR20170028767A KR1020150125803A KR20150125803A KR20170028767A KR 20170028767 A KR20170028767 A KR 20170028767A KR 1020150125803 A KR1020150125803 A KR 1020150125803A KR 20150125803 A KR20150125803 A KR 20150125803A KR 20170028767 A KR20170028767 A KR 2017002876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ehicle
- information
- situation
- determined
- providing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3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9000000725 suspens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06010039203 Road traffic accident Diseas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876 top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65 information process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92 self-diagno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5—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responding to signals from another vehicle, e.g. emergency vehicle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4—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using optical or ultrasonic detector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7—Controlling traffic signals
- G08G1/087—Override of traffic control, e.g. by signal transmitted by an emergency vehicle
-
- H04N5/225—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사고위험상황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차량의 사고위험상황 정보 제공 장치는, 차량의 비정상 상황 발생시 주행도로 영상 정보를 획득하는 영상 정보 획득부; 상기 차량의 비정상 상황에 처한 차량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차량 위치 정보 제공부; 상기 차량의 주행안전 제고를 위한 차량 정보를 획득하도록 접속하는 OBD-Ⅱ 단자; 상기 영상 취득부, 차량 위치 정보 제공부 및 OBD-Ⅱ 단자 중 적어도 하나의 획득 정보가 수신되는 스마트 기기; 및 상기 스마트 기기로부터 무선통신에 의해 수신된 상기 획득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따라 비정상 상황 여부를 판단하며, 판단 결과를 주변 차량에게 공유하는 주행안전 관리시스템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비정상 상황 발생시 영상 정보, 위치 정보 및 차량 정보 등을 통해 비정상 상황 또는 비상 상황 여부를 판단한 후 주변 차량에게 공유하여 사고위험상황 인지에 따른 안전 운전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고 위험이 높은 곳에 대한 구체적인 상황 정보 제공을 통한 안전 운전을 유도함과 동시에 교통 사고율 감소에 따른 사회적 지불 비용이 저감되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n accident risk situation information of a vehicle, and an apparatus for providing accident risk situation information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image information acquiring unit for acquiring roadway image information at the time of occurrence of an abnormal condition of the vehicle; A vehicle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in an abnormal state of the vehicle; An OBD-II terminal connected to obtain vehicle information for improving the running safety of the vehicle; A smart device receiving at least one acquisition information of the image acquisition unit, the vehicle position information providing unit, and the OBD-II terminal; And a driving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vehicle is in an abnormal state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acquired information received by wireless communication from the smart device and sharing the determination result with neighboring vehic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n abnormal state of a vehicle occurs, it is determined whether an abnormal state or an emergency state is present through video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and vehicle information, and then shared with neighboring vehicles to induce safe driving according to an accident risk situation have.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inducing safe driving through providing detailed situation information on a place where an accident risk is high, and reducing the social payment cost due to the reduction of the traffic accident rate.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의 사고위험상황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내 능동형 안전시스템 정보 등을 이용하여 사고위험상황에 대한 정보를 주변 차량에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an accident risk situation of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an accident risk situation to a nearby vehicle using active safety system information in the vehicle.
근래 차량의 주행안전을 제고하기 위한 능동형 안전시스템이 급속도로 개발되고 상용화되고 있다. Recently, an active safety system for improving the safety of a vehicle has been rapidly developed and commercialized.
더 나아가서는 하기와 같이 시스템은 의무장착이 요구되거나, 신차의 성능을 평가하는 주요 항목으로 채택되고 있다.Furthermore, as described below, the system is required to be mounted on the bench or adopted as a main item for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a new car.
- 에어백 장착 의무화 시행 (2014년 8월부터 택시 조수석 에어백 장착 의무화)- Mandatory installation of airbags (mandatory taxi passenger airbag installation from August 2014)
- 바퀴잠김 방지식 제동장치(ABS) 장착 의무화 시행- Mandatory installation of anti-wheel braking system (ABS)
- 차체자세제어장치(ESP, ESC, VDC) 장착이 2014년 1월부터 의무화- Installation of ESP, ESC, and VDC is mandatory from January 2014
- 타이어공기압 경보장치(TPMS)장착이 2014년 1월부터 의무화- Tire pressure alarm system (TPMS) is mandatory from January 2014
- 긴급자동브레이크장치(AEB)장착이 2015년부터 K-NCAP에 포함될 예정- Emergency automatic brake system (AEB) installation will be included in K-NCAP from 2015
- 전자제어 서스펜션(CDC, ECS)이 옵션으로 장착가능- Optional electronic control suspension (CDC, ECS)
더 나아가 배출가스 자가진단 장치(OBD-Ⅱ) 장착이 차종별로 2014년 1월부터 의무화되고 있으며, 주행안전을 지원하는 시스템의 작동유무 및 관련 센서 정보가 OBD-Ⅱ를 통하여 제공되고 있다.Furthermore, the installation of the OBD-II is mandatory in January 2014, and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system supporting the driving safety and the related sensor information are provided through OBD-II.
개발사에 따라 능동형 안전시스템의 작동조건은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이러한 시스템의 궁극적인 목적은 차량과 환경간 비정상적인 상황에 대해서 주행안전을 제고하기 위해서 개발되고 있다.Depending on the developer, the operating conditions of the active safety system may be somewhat different, but the ultimate goal of such a system is being developed in order to improve driving safety against abnormal conditions between the vehicle and the environment.
이렇게 주행안전을 제고하기 위한 장치와 관련된 기술이 공개특허 제2009-0040622호 및 공개특허 제2005-0112932호에 제안된 바 있다.The technology related to the device for improving the driving safety has been propos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9-0040622 and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5-0112932.
이하에서 종래기술로서 공개특허 제2009-0040622호 및 공개특허 제2005-0112932호에 개시된 차량 사고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이동체 사고 정보 제공 방법을 간략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vehicle accident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apparatu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s. 2009-0040622 and 2005-0112932 and a method of providing moving object accident information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ll be briefly described below.
도 1은 공개특허 제2009-0040622호(이하 '종래기술 1'이라 함)에서 차량 사고 정보 제공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기술 1의 차량 사고 정보 제공 장치는 차량의 사고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사고 상황의 분석에 필요한 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150), 상기 차량의 주행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차량의 사고 발생 시에 상기 차량의 주행 정보를 상기 저장부(150)에 저장하는 주행 정보 수집부(120), 그리고 상기 차량의 사고 발생 시에 주변 차량과의 통신으로 상기 주변 차량의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저장부(150)에 저장하는 차량 정보 수집부(110)를 포함한다.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n apparatus for providing vehicle accident information in Patent Publication No. 2009-0040622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1"). As shown in FIG. 1, the apparatus for providing vehicle accident information of the prior art 1 includes a
그러나 종래기술 1에 의한 차량 사고 정보 제공 장치는 차량의 사고 발생 시에 주변 차량과의 통신으로 주변 차량의 정보를 수집하여 차량용 블랙박스에 저장할 뿐 주변 차량에게는 사고 정보를 전송하지 않으므로 주변 차량에서 사고 상황에 대한 인지가 난해한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apparatus for providing vehicle acciden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ior art 1 collects information on nearby vehicles through communication with neighboring vehicles in the event of a vehicle accident, stores them in a black box for vehicles, and does not transmit accident information to neighboring vehicles.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recognition of the situation was difficult.
도 2는 공개특허 제2005-0112932호(이하 '종래기술 2' 함)에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동체의 ECU 시스템에 대한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기술 2의 이동체 ECU 시스템(100)은, 이동체의 주행 속도를 감지하기 위한 차속 감지 센서(10)와, 브레이크 패달의 작동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브레이크 인게이지 센서(11)와, 스티어링 휠의 조향 각도를 감지하기 위한 스티어링 휠 센서(12)와, 에어백의 작동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에어백 센서(13)와, 핸즈프리(17)를 통하여 전달되는 상대방 음성 등을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14)와, 핸즈프리(17)를 통하여 이동통신 단말기(200)로 운전자 음성 등을 입력하기 위한 마이크(15) 및 각각의 센서(10 내지 13)에서 감지한 결과 및 그에 따른 이동체 사고 발생 이벤트 신호를 이동통신 단말기(2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6) 및 이동 통신 단말기(200)를 ECU 시스템(100)에 연결하기 위한 핸즈프리(17)를 포함한다.FIG. 2 is a block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n ECU syste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oving object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5-0112932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2"). 2, the mobile
그러나 종래기술 2에 의한 이동체 ECU 시스템(100)은 이동체 사고 발생 전후의 이동체 주변 정황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기술로, 종래기술 1과 같이 사고 발생 후에 주변 차량에게는 사고 정보를 전송하지 않아 재차 2차 사고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으면서 주변 차량에서 사고 상황에 대한 인지가 난해한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moving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의 비정상 상황 발생시 영상 정보, 위치 정보 및 차량 정보 등을 통해 비정상 상황 또는 비상 상황 여부를 판단한 후 주변 차량에게 공유하여 사고위험상황 인지에 따른 안전 운전을 유도할 수 있게 한 차량의 사고위험상황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an accident risk situation of a vehicle that can induce safe driving according to the recognition of a dangerous situation.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차량의 비정상 상황 발생시 주행도로 영상 정보를 획득하는 영상 정보 획득부; 상기 차량의 비정상 상황에 처한 차량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차량 위치 정보 제공부; 상기 차량의 주행안전 제고를 위한 차량 정보를 획득하도록 접속하는 OBD-Ⅱ 단자; 상기 영상 취득부, 차량 위치 정보 제공부 및 OBD-Ⅱ 단자 중 적어도 하나의 획득 정보가 수신되는 스마트 기기; 및 상기 스마트 기기로부터 무선통신에 의해 수신된 상기 획득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따라 비정상 상황 여부를 판단하며, 판단 결과를 주변 차량에게 공유하는 주행안전 관리시스템을 포함하는 차량 내 능동형 안전시스템 정보를 이용한 사고위험상황 정보 제공 장치를 통해 달성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an image information obtaining unit that obtains image information of a traveling road when an abnormal condition of a vehicle occurs; A vehicle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in an abnormal state of the vehicle; An OBD-II terminal connected to obtain vehicle information for improving the running safety of the vehicle; A smart device receiving at least one acquisition information of the image acquisition unit, the vehicle position information providing unit, and the OBD-II terminal; And a running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determining whether the vehicle is in an abnormal state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acquired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mart device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nd sharing the determination result with neighboring vehicles, And using the accident risk situation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또한, 본 발명에서의 상기 영상 정보 획득부는 스마트 기기 또는 차량용 블랙박스의 내장형 카메라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image information obtaining unit may be a smart device or a built-in camera for a vehicle black box.
또한, 본 발명에서의 상기 차량 위치 정보 제공부는 스마트 기기 또는 네비게이션에 내장된 GPS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vehicle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unit may be a smart device or a GPS built in navigation.
또한, 본 발명에서의 상기 OBD-Ⅱ 단자에 의해 입력받는 차량 정보는 능동형 안전 시스템 작동 정보 및 차량 센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vehicle information received by the OBD-II terminal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ctive safety system operation information and vehicle sensor information.
또한, 본 발명에서의 상기 차량 정보는 에어백 전개 신호, 바퀴잠김 방지식 제동장치(ABS), 차체자세제어장치(ESP, ESC, VDC), 타이어공기압 경보장치(TPMS), 긴급자동브레이크장치(AEB), 전자제어 서스펜션(CDC, ECS)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vehicle informa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various types of vehicles such as an airbag deployment signal, a wheel lock braking system (ABS), a body posture control system (ESP, ESC, VDC), a tire air pressure alarm system (TPMS), an emergency automatic braking system ), And electronically controlled suspension (CDC, ECS).
또한, 본 발명에서의 상기 주행안전 관리시스템은 상기 능동형 안전 시스템에 의한 입력 정보를 DB 화하고, 업데이트될 수 있다.Further, the running safety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pdated by converting the input information by the active safety system into a DB.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비정상 상황 발생시 영상 정보, 위치 정보 및 차량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영상 정보, 위치 정보 및 차량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획득 정보가 스마트 기기로 수신되는 단계; 상기 스마트 기기로부터 무선통신에 의해 수신된 상기 영상 정보, 위치 정보 및 차량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따라 주행안전 관리시스템에서 비정상 상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가 상기 주행안전 관리시스템을 통해 주변 차량에게 공유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내 능동형 안전시스템 정보를 이용한 사고위험상황 정보 제공 방법을 통해 달성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controlling a vehicle, comprising: obtaining at least one of image information, position information, and vehicle information when an abnormal condition of a vehicle occurs; Receiving at least one acquisition information of the image information, the position information, and the vehicle information at a smart device; Determining whether the vehicle is in an abnormal state in the driving safe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image information, the position information, and the vehicl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mart device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nd a step in which the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s shared with the neighboring vehicle through the driving 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the in-vehicle active safety system information.
또한, 본 발명에서의 상기 판단 결과 공유 단계는, 상기 주행안전 관리시스템을 통한 비정상 상황 확인 후 map을 기반으로 가상 안전선(virtual safety line)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가상 안전선 통과 차량에서 전방 도로에 대한 상황 정보 요청 여부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전방 도로에 대한 상황 정보를 요청하는 경우 비정상 상황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haring of the determination result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setting a virtual safety line based on the map after checking the abnormal situation through the driving safety management system; Selecting whether or not to request status information on a forward road in the virtual safe-passage passing vehicle; And providing abnormal situation information when requesting the situation information on the road ahead.
또한, 본 발명에서의 상기 비정상 상황 여부 판단 단계는 전방 추돌 위험(또는 급제동) 상황, 2차(또는 측방) 추돌 위험 상황, 도로 미끄럼 상황, 급선회 위험 상황 및 도로 파손 상황 중에 적어도 하나의 상황에 대해 판단할 수 있다.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abnormal situa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may include determining at least one of a frontal collision risk (or a sudden collision) situation, a secondary (or side) collision risk situation, a road slip situation, It can be judged.
또한, 본 발명에서의 상기 전방 추돌 위험(또는 급제동) 상황 판단은, 에어백 전개 신호가 출력되고 사고로 인한 정지차량으로 판단되면 비상 상황인 것으로 판단하고, ABS 작동 신호가 출력되고 상기 ABS 작동 신호가 날씨 또는 전방 차량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판별되면 비정상 상황인 것으로 판단하며, AEB 작동 신호가 출력되어 급제동 상황인 것으로 판단되면 비정상 상황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determined that the collision danger (or rapid braking) situation is an emergency situation when an airbag deployment signal is output and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a stopped vehicle due to an accident. If it is determined that it is caused by the weather or the front vehicle,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in an abnormal condi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AEB operation signal is outputted and the vehicle is in a sudden braking condition,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in an abnormal condition.
또한, 본 발명에서의 상기 2차(또는 측방) 추돌 위험 상황 판단은, TPMS를 통한 타이어 파손 상황 신호가 출력되면 ESC 작동 신호 유무를 통한 비상 또는 비정상 상황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ary (or side) collision risk situation judgment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judged to be an emergency or an abnormal situation through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ESC operation signal when the tire damage status signal through the TPMS is output.
또한, 본 발명에서의 상기 도로 미끄럼 상황 판단은, ESC 작동 신호가 출력되어 날씨 정보를 이용한 도로 미끄럼 상황인 것으로 판단되면 비정상 상황인 것으로 판단하고, ABS 작동 신호가 출력되어 날씨 또는 전방 차량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판별되면 비정상 상황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If the ESC operation signal is output and it is judged that the vehicle is in a road slip situation using weather information,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in an abnormal state, and the ABS operation signal is output and is generated by the weather or the front vehicle It can be judged that it is an abnormal situation.
또한, 본 발명에서의 상기 급선회 위험 상황 판단은, ESC 작동 신호가 출력되어 도로지형 정보를 이용한 급선회 위험 상황인 것으로 판단되면 추천 주행 속도를 판단할 수 있다.Also,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recommended traveling speed when the ESC operation signal is output and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in the emergency situation using the road topography information.
또한, 본 발명에서의 상기 도로 파손 상황 판단은, CDC의 수직방향 가속도 정보가 출력되어 노면 파손 상황인 것으로 판단되면 비정상 상황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judge that the road condition is abnormal if the vertical acceleration information of the CDC is outputted and it is judged that the road surface is damaged.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비정상 상황 발생시 영상 정보, 위치 정보 및 차량 정보 등을 통해 비정상 상황 또는 비상 상황 여부를 판단한 후 주변 차량에게 공유하여 사고위험상황 인지에 따른 안전 운전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n abnormal state of a vehicle occurs, it is determined whether an abnormal state or an emergency state is present through video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and vehicle information, and then shared with neighboring vehicles to induce safe driving according to an accident risk situation have.
또한, 본 발명은 사고 위험이 높은 곳에 대한 구체적인 상황 정보 제공을 통한 안전 운전을 유도함과 동시에 교통 사고율 감소에 따른 사회적 지불 비용이 저감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inducing safe driving through providing detailed situation information on a place where an accident risk is high, and reducing the social payment cost due to the reduction of the traffic accident rate.
도 1은 종래기술 1에 의한 차량 사고 정보 제공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 2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동체의 ECU 시스템에 대한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사고위험상황 정보 제공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사고위험상황 정보 제공 방법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사고위험상황 정보 제공 방법에서 판단 결과 공유 단계를 세분화한 구성 단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사고위험상황 정보 제공 방법에서 비정상 상황 여부를 판단하여 판단 결과를 주변 차량에게 공유하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n apparatus for providing vehicle acciden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ior art 1.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n ECU syste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oving object according to a conventional art 2;
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accident risk situation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an accident risk situation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step of subdividing the determination result sharing step in the accident risk situation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abnormality is determined in a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an accident risk situation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determination result is shared with neighboring vehicles.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intended to mean that the inventiv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accordance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the inventor can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explain its invention in the best way Should be interpreted as a concept.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의한 전방위 영상을 이용한 공간정보 구축 방법에 대한 실시 예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method of constructing spatial information using an omnidirectional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사고위험상황 정보 제공 장치가 개략도로 도시되어 있다.FIG. 3 is a schematic view of an accident risk situatio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 도면에 의하면, 본 발명의 차량의 사고위험상황 정보 제공 장치(100)는 영상 정보 획득부(110), OBD-Ⅱ 단자(120), 차량 위치 정보 제공부(130), 스마트 기기(140) 및 주행안전 관리시스템(150)을 포함한다.2, an
영상 정보 획득부(110)는 차량의 비정상 상황 발생시 해당 시간에 대한 주행도로의 영상 정보를 한 개 이상의 연속 촬영 사진으로 획득하는 기능을 하며, 스마트 기기 또는 차량용 블랙박스 등의 내장형 카메라가 이에 적용된다.The image
이때, 비정상 상황이라 함은 노면이 빙판 등에 의해 미끄럽거나 파손된 상태 또는 앞차의 급제동 상황을 뜻하고, 이미 사고가 발생하여 정차되어 있거나 에어백이 전개된 상황은 응급상황이라고 칭한다.In this case, the abnormal condition means a state in which the road surface is slippery or broken by the ice sheet, or a sudden braking state of the front vehicle, and a situation where an accident has occurred and the airbag is deployed is called an emergency situation.
OBD-Ⅱ 단자(120)는 차량의 주행안전 제고를 위해 차량 정보를 획득하도록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커넥터 단자로, 상기 OBD-Ⅱ 단자(120)를 이용하여 능동형 안전 시스템의 작동 유무 및 관련 센서 정보를 획득하게 된다.The OBD-II
여기서, OBD-Ⅱ(On-Board Diagnostic version Ⅱ)는 배출가스 자가진단 장치로, 차종별로 장착이 의무화되고 있으며 주행안전을 지원하는 시스템의 작동 유무 및 관련 센서 정보가 이를 통하여 제공되고 있다.Here, OBD-II (On-Board Diagnostic version II) is an exhaust gas self-diagnosis device, and it is obligatory to install it according to the type of vehicle, and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system supporting the driving safety and related sensor information are provided through it.
한편, 상기 OBD-Ⅱ 단자(120)에 의해 입력받는 차량 정보는 능동형 안전 시스템 작동 정보 및 차량 센서 정보이며, 에어백 전개 신호, 바퀴잠김 방지식 제동장치(ABS), 차체자세제어장치(ESP, ESC, VDC), 타이어공기압 경보장치(TPMS), 긴급자동브레이크장치(AEB), 전자제어 서스펜션(CDC, ECS) 등이 이에 적용될 수 있다.The vehicle information received by the OBD-
여기서, 능동형 안전 시스템의 종류는 바퀴잠김 방지식 제동장치(ABS), 전자제어 서스펜션(CDC, ECS) 및 긴급자동브레이크장치(AEB) 등이 포함되고, 차량 센서의 종류에는 차량 속도, 요레이트, 스티어링 각, 수직 가속도, 타이어 압력[타이어공기압 경보장치(TPMS)], 횡방향 offset 등이 포함되며, 장착된 시스템의 구성에 따라 모두 제공이 되지 않을 수도 있다.Here, the types of active safety systems include ABS, electronic control suspension (CDC, ECS) and emergency automatic brake system (AEB), and the types of vehicle sensors include vehicle speed, yaw rate, Steering angle, vertical acceleration, tire pressure [tire air pressure alarm (TPMS)], lateral offset, etc. may not be all provided depending on the configuration of the installed system.
차량 위치 정보 제공부(130)는 차량의 비정상 상황에 처한 차량의 위치 정보를 위도와 경도를 통해 제공하는 기능을 하며, 스마트 기기 또는 네비게이션 등에 내장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가 이에 적용된다.The vehicle location
스마트 기기(140)는 영상 정보 획득부(110)에 의한 영상 정보, OBD-Ⅱ 단자(120)에 의한 차량 정보 및 차량 위치 정보 제공부(130)에 의한 위치 정보를 포함한 획득 정보가 수신되는 기기로, 스마트 폰 또는 테블릿 PC 등이 이에 적용된다.The smart device 140 receives the acquisi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image information by the image
즉, 상기 스마트 기기(140)는 비정상 상황 판단기술을 기반으로 해당 시간의 영상 정보를 획득한 후 영상 정보와 비정상 상황 판단에 사용되었던 정보, 그리고 GPS 정보를 동시에 후술할 주행안전 관리시스템(150)으로 전송하는 것이다.That is, the smart device 140 acquires the image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time based on the abnormal situation determination technique, and then transmits the image information, the information used for the abnormal situation determination, and the GPS information to the driving
더욱이, 상기 스마트 기기(140)는 비전센서와 GPS가 내장되므로 이를 통하여 능동형 안전 시스템 관련 정보, 영상정보, 그리고 위치정보를 통합하여 획득하게 된다.Furthermore, since the smart device 140 includes a vision sensor and a GPS, the smart device 140 collectively acquires active safety system related information, image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한편, 상기 스마트 기기(140)는 비정상 상황 발생시 주행안전 관리시스템(150)과 무선 통신, 일예로 3G/LTE 나 LTE-A 등의 무선 이동통신 규격을 통해 정보를 발신 또는 수신하게 된다.Meanwhile, the smart device 140 transmits / receives information to / from the driving
주행안전 관리시스템(150)은 인근 차량 식별을 통한 비정상 상황 정보 제공 즉, 스마트 기기(140)로부터 무선통신에 의해 수신된 영상 정보, 위치 정보 및 차량 정보 등을 이용하여 종합적으로 정보를 분석하고, 비정상 상황에 대한 제공 정보를 구성한 후 비정상 상황 여부를 판단하며, 판단 결과를 주변 차량에게 공유하게 된다.The driving
특히, 상기 주행안전 관리시스템(150)은 OBD-Ⅱ 단자(120)에 의해 입력받는 차량 정보 중 능동형 안전 시스템에 의한 입력 정보를 DB 화하고, map 정보와 같이 주행안전 관리시스템(150) 내에서 업데이트(Update) 된다.Particularly, the driving
더욱이, 상기 주행안전 관리시스템(150)은 통신 차량의 비정상 상황 확인과, map 기반 가상 안전선(virtual safety line)을 설정하며, 정보 요청 차량(가상 안전선 통과 차량)으로의 비정상 상황 정보를 제공 및 공유하게 한다.Further, the running
이때, 상기 가상 안전선은 상기 주행안전 관리시스템(150)에서 후행 차량(V2)의 속도와 비정상 상황이 발생된 위치(일예로 빙판 형성 위치)에 기초하여 설정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virtual safety line is set based on the speed of the trailing vehicle V2 in the driving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사고위험상황 정보 제공 방법이 블록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사고위험상황 정보 제공 방법에서 판단 결과 공유 단계를 세분화한 구성 단계가 블록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6에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사고위험상황 정보 제공 방법에서 비정상 상황 여부를 판단하여 판단 결과를 주변 차량에게 공유하는 상태가 개략도로 도시되어 있다.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providing accident risk information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providing accident risk information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abnormal state is determined in a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an accident risk situation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determination result is shared with neighboring vehicles.
이들 도면에 의하면, 본 발명의 차량의 사고위험상황 정보 제공 방법은 영상 정보, 위치 정보 및 차량 정보 획득 단계(S200), 획득 정보 수신 단계(S210), 비정상 상황 여부 판단 단계(S220) 및 판단 결과 공유 단계(S230)를 포함한다.According to these drawings, a method for providing accident risk situation information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ep of acquiring image information, a position information and a vehicle information (S200), an acquisition information receiving step (S210), an abnormality determination step (S220) And a sharing step S230.
영상 정보, 위치 정보 및 차량 정보 획득 단계(S200)는 영상 정보 획득부(110)에 의한 영상 정보, OBD-Ⅱ 단자(120)에 의한 차량 정보 및 차량 위치 정보 제공부(130)에 의한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이다.The image information, the position information and the vehicle information acquiring step S200 may include acquiring image information by the image
한편, 영상 정보, 위치 정보 및 차량 정보 획득 단계(S200)에서 영상 정보 획득부(110)는 차량의 비정상 상황 발생시 해당 시간에 대한 주행도로 영상 정보를 한 개 이상의 연속 촬영 사진으로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기기 또는 차량용 블랙박스 등의 내장형 카메라이고, OBD-Ⅱ 단자(120)는 차량의 주행안전 제고를 위해 차량 정보를 획득하도록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커넥터 단자이며, 차량 위치 정보 제공부(130)는 차량의 비정상 상황에 처한 차량의 위치 정보를 위도와 경도를 통해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기기 또는 네비게이션 등에 내장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이다.On the other hand, in the image information, position information, and vehicle information acquiring step (S200), the image
획득 정보 수신 단계(S210)는 상기 영상 정보, 위치 정보 및 차량 정보 획득 단계(S200) 수행 후에 영상 정보, 위치 정보 및 차량 정보를 포함하는 획득 정보가 스마트 기기(140)로 수신되는 단계이다.The acquiring information receiving step S210 is a step in which the acquir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image information, the position information, and the image information, the position information, and the vehicle information after the vehicle information obtaining step S200 is performed is received by the smart device 140. [
비정상 상황 여부 판단 단계(S220)는 획득 정보 수신 단계(S210) 수행 후에 스마트 기기(140)로부터 무선통신에 의해 수신된 영상 정보, 위치 정보 및 차량 정보에 따라 비정상 상황 여부를 주행안전 관리시스템에서 판단하는 단계이다.In the abnormal state determination step S220, whether or not the abnormal state is determined in the driving safe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image information, the position information, and the vehicl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mart device 140 via the wireless communication after the acquisition information reception step S210 .
한편, 상기 비정상 상황 여부 판단 단계(S220)는 전방 추돌 위험(또는 급제동) 상황, 2차(또는 측방) 추돌 위험 상황, 도로 미끄럼 상황, 급선회 위험 상황 및 도로 파손 상황에 대해 판단하는 단계이다.The abnormal state determination step S220 is a step of determining a danger of a frontal collision (or a sudden braking), a secondary (or lateral) collision risk, a road slip situation, a rush hour risk situation, and a road damage situation.
이때, 상기 비정상 상황 여부 판단 단계(S220)에서 판단하는 전방 추돌 위험(또는 급제동) 상황은, 에어백 전개 신호가 출력되고 사고로 인한 정지차량으로 판단되면 비상 상황인 것으로 판단하고, 바퀴잠김 방지식 제동장치(ABS) 작동 신호가 출력되고 상기 바퀴잠김 방지식 제동장치(ABS) 작동 신호가 날씨 또는 전방 차량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판별되면 비정상 상황인 것으로 판단하며, 긴급자동브레이크장치(AEB) 작동 신호가 출력되어 급제동 상황인 것으로 판단되면 비정상 상황인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in a state of emergency due to an accident by outputting an airbag deployment signal, the front collision risk (or rapid braking) state determined in the abnormal state determination step S220 is determined as an emergency situation. (ABS) operation signal is output and it is determined that the wheel lock braking device (ABS) operation signal is generated by the weather or the preceding vehicle, it is determined that the emergency braking device (AEB) activation signal And it is judged that there is an abnormal situation when it is judged that it is a sudden braking situation.
또한, 상기 비정상 상황 여부 판단 단계(S220)에서 판단하는 2차(또는 측방) 추돌 위험 상황은, 타이어공기압 경보장치(TPMS)를 통한 타이어 파손 상황 신호가 출력되면 전자제어 서스펜션(ESC) 작동 신호 유무를 통한 비상 또는 비정상 상황인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The secondary (or lateral) collision risk situation determined in the abnormality determination step S220 may be an electronic control suspension (ESC) activation signal or an electronic control suspension (ESC) activation signal when a tire damage alarm signal is output through the tire air pressure alarm It is judged that it is an emergency or an abnormal situation.
그리고 상기 비정상 상황 여부 판단 단계(S220)에서 판단하는 도로 미끄럼 상황은, 차체자세제어장치(ESC) 작동 신호가 출력되어 날씨 정보를 이용한 도로 미끄럼 상황인 것으로 판단되면 비정상 상황인 것으로 판단하고, 바퀴잠김 방지식 제동장치(ABS) 작동 신호가 출력되어 날씨 또는 전방 차량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판별되면 비정상 상황인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road slip situation is determined to be a road slip situation using the weather information by outputting an ESC operation signal, the road slip situation judged in the abnormality state determination step S220 is determined as an abnormal condi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braking device (ABS) operation signal is outputted and is generated by the weather or the preceding vehicle, it is determined that the braking device is abnormal.
그리고 상기 비정상 상황 여부 판단 단계(S220)에서 판단하는 급선회 위험 상황은, 차체자세제어장치(ESC) 작동 신호가 출력되어 도로지형 정보를 이용한 급선회 위험 상황인 것으로 판단되면 추천 주행 속도를 판단하게 된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emergency stop situation determination step S220 determines that the vehicle is in the emergency situation using the road topography information, the ESC operation signal is output and the recommended driving speed is determined.
마지막으로, 상기 비정상 상황 여부 판단 단계(S220)에서 판단하는 도로 파손 상황은, 전자제어 서스펜션(CDC)의 수직방향 가속도 정보가 출력되어 노면 파손 상황인 것으로 판단되면 비정상 상황인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Finally, if the vertical acceleration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ally controlled suspension (CDC) is outputted and it is determined that the road surface is damaged, the road damage condition determined in the abnormality determination step S220 is determined to be an abnormal condition.
판단 결과 공유 단계(S230)는 판단 결과가 주행안전 관리시스템(150)을 통해 주변 차량에게 공유되는 단계이며, 가상 안전선 설정 단계(S232), 가상 안전선 통과 차량에 대한 상황 정보 요청 여부 선택 단계(S234) 및 비정상 상황 정보 제공 단계(S236)를 포함한다.In step S230, the determination result is shared with the surrounding vehicles through the driving
가상 안전선 설정 단계(S232)는 주행안전 관리시스템(150)을 통한 비정상 상황 확인 후에 map을 기반으로 가상 안전선(virtual safety line)을 설정하는 단계이다.The virtual safety line setting step S232 is a step of setting a virtual safety line based on the map after checking the abnormal state through the driving
가상 안전선 통과 차량에 대한 상황 정보 요청 여부 선택 단계(S234)는 가상 안전선 통과 차량에서 전방 도로에 대한 상황 정보 요청 여부를 선택하는 단계이다.The step S234 of selecting whether or not to request the status information for the virtual safe-passage passing vehicle is a step for selecting whether or not to request the status information on the front road in the virtual safe-passing vehicle.
비정상 상황 정보 제공 단계(S236)는 전방 도로에 대한 상황 정보를 요청하는 경우 비정상 상황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이다.The abnormal situation information providing step S236 is a step of providing abnormal situation information when requesting the situation information on the road ahead.
즉, 상기 판단 결과 공유 단계(S230)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at is,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the sharing step S230 will be described as shown in FIG.
우선,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차량(V1)이 주행하다가 전방에 빙판 등에 의해 비정상 상황이 발생하면 OBD-Ⅱ 단자(120)에 의해 입력받는 능동형 안전 시스템 중 바퀴잠김 방지식 제동장치(ABS)와 전자제어 서스펜션(ECS) 등이 작동하면서 비정상 상황 시의 사진과 위치에 대한 정보가 스마트 기기(140)를 통해 주행안전 관리시스템(150)으로 전송된다.6 (a), when an unsteady situation occurs on the front side of the vehicle V1 while the vehicle is running, an active safety system, which is received by the OBD-
다음으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안전 관리시스템(150)에서 통신 차량의 비정상 상황 확인하고, map 기반 가상 안전선(virtual safety line)을 설정한 후 가상 안전선을 통과하는 인근 차량 즉, 후행 차량(V2)이 전방 도로 상황 정보를 요청하게 되면 요청한 후행 차량(V2)에 대해 비정상 상황(사진 및 이용자 정보 제공) 정보를 전달하고 공유하게 된다.Next, as shown in FIG. 6 (b), an abnormality of the communication vehicle is checked in the driving
결국, 차량 주행시 비정상적인 상황에 대해서 능동형 안전시스템의 장착 유무와 상관없이 주변 차량에 알려줌으로써 운전자는 앞으로 올 비정상적인 상황에 대해서 좀 더 미리 대비함으로써 안전운전을 유도할 수 있는 것이다.As a result, the driver informs the surrounding vehicles irrespective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active safety system in the abnormal situation during the driving of the vehicle, so that the driver can drive the driving safely by preparing for the abnormal situation ahea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ertain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This is possible.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equivalents of the appended claims, as well as the appended claims.
100: 차량의 사고위험상황 정보 제공 장치
110: 영상 정보 획득부
120: OBD-Ⅱ 단자
130: 차량 위치 정보 제공부
140: 스마트 기기
150: 주행안전 관리시스템100: Vehicle accident hazard situation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110:
120: OBD-II terminal
130: Vehicle position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140: Smart devices
150: Driving safety management system
Claims (14)
상기 차량의 비정상 상황에 처한 차량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차량 위치 정보 제공부;
상기 차량의 주행안전 제고를 위한 차량 정보를 획득하도록 접속하는 OBD-Ⅱ 단자;
상기 영상 취득부, 차량 위치 정보 제공부 및 OBD-Ⅱ 단자 중 적어도 하나의 획득 정보가 수신되는 스마트 기기; 및
상기 스마트 기기로부터 무선통신에 의해 수신된 상기 획득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따라 비정상 상황 여부를 판단하며, 판단 결과를 주변 차량에게 공유하는 주행안전 관리시스템을 포함하는 차량의 사고위험상황 정보 제공 장치.An image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for acquiring image information of the running road at the time of occurrence of an abnormal condition of the vehicle;
A vehicle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in an abnormal state of the vehicle;
An OBD-II terminal connected to obtain vehicle information for improving the running safety of the vehicle;
A smart device receiving at least one acquisition information of the image acquisition unit, the vehicle position information providing unit, and the OBD-II terminal; And
And a running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vehicle is in an abnormal condition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acquired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mart device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nd sharing the determination result with neighboring vehicles, .
상기 영상 정보 획득부는 스마트 기기 또는 차량용 블랙박스의 내장형 카메라인 차량의 사고위험상황 정보 제공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mage information obtaining unit is a built-in camera of a smart device or a black box for a vehicle.
상기 차량 위치 정보 제공부는 스마트 기기 또는 네비게이션에 내장된 GPS인 차량의 사고위험상황 정보 제공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vehicle position information providing unit is a smart device or a GPS incorporated in navigation.
상기 OBD-Ⅱ 단자에 의해 입력받는 차량 정보는 능동형 안전 시스템 작동 정보 및 차량 센서 정보인 차량의 사고위험상황 정보 제공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vehicle information received by the OBD-II terminal is active safety system operation information and vehicle sensor information.
상기 차량 정보는 에어백 전개 신호, 바퀴잠김 방지식 제동장치(ABS), 차체자세제어장치(ESP, ESC, VDC), 타이어공기압 경보장치(TPMS), 긴급자동브레이크장치(AEB), 전자제어 서스펜션(CDC, ECS) 중 적어도 하나인 차량의 사고위험상황 정보 제공 장치.5. The method of claim 4,
The vehicle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an airbag deployment signal, an ABS, a body position control system (ESP, ESC, VDC), a tire air pressure alarm system (TPMS), an emergency automatic braking system (AEB), an electronic control suspension CDC, ECS) of the vehicle.
상기 주행안전 관리시스템은 상기 능동형 안전 시스템에 의한 입력 정보를 DB 화하고, 업데이트되는 차량의 사고위험상황 정보 제공 장치.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running safety management system DBs the input information by the active safety system and is updated.
상기 영상 정보, 위치 정보 및 차량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획득 정보가 스마트 기기로 수신되는 단계;
상기 스마트 기기로부터 무선통신에 의해 수신된 상기 영상 정보, 위치 정보 및 차량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따라 주행안전 관리시스템에서 비정상 상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가 상기 주행안전 관리시스템을 통해 주변 차량에게 공유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사고위험상황 정보 제공 방법.Acquiring at least one of image information, position information, and vehicle information when an abnormal condition of the vehicle occurs;
Receiving at least one acquisition information of the image information, the position information, and the vehicle information at a smart device;
Determining whether the vehicle is in an abnormal state in the driving safe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image information, the position information, and the vehicl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mart device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nd
And the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s shared with neighboring vehicles through the driving safety management system.
상기 주행안전 관리시스템을 통한 비정상 상황 확인 후 map을 기반으로 가상 안전선(virtual safety line)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가상 안전선 통과 차량에서 전방 도로에 대한 상황 정보 요청 여부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전방 도로에 대한 상황 정보를 요청하는 경우 비정상 상황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사고위험상황 정보 제공 방법.[8] The method of claim 7,
Setting a virtual safety line based on the map after checking the abnormal situation through the running safety management system;
Selecting whether or not to request status information on a forward road in the virtual safe-passage passing vehicle; And
And providing abnormal situation information when requesting the situation information on the road ahead.
상기 비정상 상황 여부 판단 단계는 전방 추돌 위험(또는 급제동) 상황, 2차(또는 측방) 추돌 위험 상황, 도로 미끄럼 상황, 급선회 위험 상황 및 도로 파손 상황 중에 적어도 하나의 상황에 대해 판단하는 차량의 사고위험상황 정보 제공 방법.8. The method of claim 7,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abnormality is determined includes determining a risk of an accident of a vehicle that determines at least one of a forward collision danger (or a sudden collision) situation, a secondary (or side) collision hazard situation, a road slip situation, How to provide context information.
에어백 전개 신호가 출력되고 사고로 인한 정지차량으로 판단되면 비상 상황인 것으로 판단하고,
ABS 작동 신호가 출력되고 상기 ABS 작동 신호가 날씨 또는 전방 차량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판별되면 비정상 상황인 것으로 판단하며,
AEB 작동 신호가 출력되어 급제동 상황인 것으로 판단되면 비정상 상황인 것으로 판단하는 차량의 사고위험상황 정보 제공 방법.10.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the forward collision risk (or rapid braking)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airbag deployment signal is output and that the vehicle is an accidental vehicle,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in an emergency situ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ABS operation signal is output and the ABS operation signal is generated by the weather or the preceding vehicle,
AEB operation signal is outputted and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in a sudden braking state,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in an abnormal condition.
TPMS를 통한 타이어 파손 상황 신호가 출력되면 ESC 작동 신호 유무를 통한 비상 또는 비정상 상황인 것으로 판단하는 차량의 사고위험상황 정보 제공 방법.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secondary (or lateral)
A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an accident risk situation of a vehicle which is judged to be an emergency or abnormality through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ESC operation signal when a tire damage signal is output through TPMS.
ESC 작동 신호가 출력되어 날씨 정보를 이용한 도로 미끄럼 상황인 것으로 판단되면 비정상 상황인 것으로 판단하고,
ABS 작동 신호가 출력되어 날씨 또는 전방 차량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판별되면 비정상 상황인 것으로 판단하는 차량의 사고위험상황 정보 제공 방법.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road slip situation determination comprises: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ESC operation signal is outputted and is a road slip situation using weather information, it is determined that the situation is abnormal.
When the ABS operation signal is outputted and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caused by the weather or the preceding vehicle,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in an abnormal condition.
ESC 작동 신호가 출력되어 도로지형 정보를 이용한 급선회 위험 상황인 것으로 판단되면 추천 주행 속도를 판단하는 차량의 사고위험상황 정보 제공 방법.10. The method of claim 9,
ESC operation signal is outputted to determine the recommended driving spe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in a dangerous situation of a sudden turn using the road topographical information.
CDC의 수직방향 가속도 정보가 출력되어 노면 파손 상황인 것으로 판단되면 비정상 상황인 것으로 판단하는 차량의 사고위험상황 정보 제공 방법.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road-
And if the vertical acceleration information of the CDC is outputted and it is judged that the road surface is damaged,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in an abnormal conditio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25803A KR20170028767A (en) | 2015-09-04 | 2015-09-04 |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of accident dangerous situation of vehicle and method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25803A KR20170028767A (en) | 2015-09-04 | 2015-09-04 |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of accident dangerous situation of vehicle and method thereof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28767A true KR20170028767A (en) | 2017-03-14 |
Family
ID=58460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25803A KR20170028767A (en) | 2015-09-04 | 2015-09-04 |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of accident dangerous situation of vehicle and method thereof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70028767A (en)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091156A (en) * | 2017-12-14 | 2018-05-29 | 合肥寰景信息技术有限公司 | Travel safety ensuring system based on big data platform |
CN109785616A (en) * | 2019-01-03 | 2019-05-21 | 深圳壹账通智能科技有限公司 | Information cuing metho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
KR20200005905A (en) * | 2018-07-09 | 2020-01-17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Method for guiding a slip on the road using the telematics system and telematics unit and telematics server therefor |
KR20210142794A (en) * | 2020-05-18 | 2021-11-26 | 팅크웨어(주) |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slip accident using mobile device |
KR102591288B1 (en) * | 2023-05-24 | 2023-10-20 | (주)트리포스 | Vehicle control system and method using black box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112932A (en) | 2004-05-28 | 2005-12-01 |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 Method for furnishing the information of car accident using mobile terminal |
KR20090040622A (en) | 2007-10-22 | 2009-04-27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vehicle accident information |
-
2015
- 2015-09-04 KR KR1020150125803A patent/KR20170028767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112932A (en) | 2004-05-28 | 2005-12-01 |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 Method for furnishing the information of car accident using mobile terminal |
KR20090040622A (en) | 2007-10-22 | 2009-04-27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vehicle accident information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091156A (en) * | 2017-12-14 | 2018-05-29 | 合肥寰景信息技术有限公司 | Travel safety ensuring system based on big data platform |
KR20200005905A (en) * | 2018-07-09 | 2020-01-17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Method for guiding a slip on the road using the telematics system and telematics unit and telematics server therefor |
CN109785616A (en) * | 2019-01-03 | 2019-05-21 | 深圳壹账通智能科技有限公司 | Information cuing metho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
KR20210142794A (en) * | 2020-05-18 | 2021-11-26 | 팅크웨어(주) |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slip accident using mobile device |
KR20220026566A (en) * | 2020-05-18 | 2022-03-04 | 팅크웨어(주) |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slip accident using mobile device |
US11790781B2 (en) | 2020-05-18 | 2023-10-17 | Thinkware Corporation |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slip accident using mobile device |
KR102591288B1 (en) * | 2023-05-24 | 2023-10-20 | (주)트리포스 | Vehicle control system and method using black box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092970B2 (en) | Autonomous vehicle systems utilizing vehicle-to-vehicle communication | |
EP3156298B1 (en) | Driving aid arrangement, a vehicle and a method of controlling a longitudinal velocity of a vehicle | |
CN106904163B (en) |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vehicle | |
US20180086263A1 (en) | Method For Detecting Forward Collision | |
US20170274897A1 (en) |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and/or backing up video data in a motor vehicle | |
US20180081368A1 (en) | Vehicle and operation system for transport vehicle for mine | |
US20150081188A1 (en) | Driver assistance system for a motor vehicle | |
KR20170028767A (en) |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of accident dangerous situation of vehicle and method thereof | |
KR101604805B1 (en) | Weight measuring device for vehicle based on a camera and method thereof | |
CN103038109A (en) | Method for automatically preventing aquaplaning | |
JP7431546B2 (en) | Vehicle control device | |
CN104973052A (en) | Speed bump detection apparatus and navigation data updat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the same | |
CN110998685B (en) | Travel obstacle detection device and vehicle navigation system | |
CN104252722A (en) | Integrated vehicle traffic camera | |
JP5003381B2 (en) | Driving support system, driving support method, and driving support program | |
US9321441B1 (en) | GPS based learned control event prediction | |
CN111653086B (en) | Method for prioritizing transmission of sensed objects for collaborative sensor sharing | |
CN110949375A (en) |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server | |
KR20180086833A (en) | Hacking test apparatus for vehicle electric device | |
JP2015176324A (en) | Vehicular warning device | |
CN110936891A (en) | Method for emergency reaction in the event of tire pressure loss and vehicle | |
US20180114443A1 (en) | Collision avoidance apparatus, collision avoidance system, and driving support method | |
KR101555051B1 (en) | Rear vehicle collision prevention device | |
KR20170005078A (en) | Method and system for the adaptation of the driving of a vehicle on a roadway in association with taking a curve | |
WO2016158857A1 (en) | Cruise control device and vehicle control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90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2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7051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7020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