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8740A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Laundry treat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8740A
KR20170028740A KR1020150125747A KR20150125747A KR20170028740A KR 20170028740 A KR20170028740 A KR 20170028740A KR 1020150125747 A KR1020150125747 A KR 1020150125747A KR 20150125747 A KR20150125747 A KR 20150125747A KR 20170028740 A KR20170028740 A KR 201700287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lifter
hole
inclined surface
slid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574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88373B1 (en
Inventor
김진웅
김성룡
김영민
곽병현
서현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257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8373B1/en
Priority to PCT/KR2016/009344 priority patent/WO2017039214A1/en
Priority to EP16186960.7A priority patent/EP3138946B1/en
Priority to US15/255,384 priority patent/US20170067198A1/en
Priority to CN201610803833.0A priority patent/CN106498658A/en
Publication of KR201700287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874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83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837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06F37/06Ribs, lifters, or rubbing means forming part of the receptacle
    • D06F37/065Ribs, lifters, or rubbing means forming part of the receptacle ribs or lifters having means for circulating the washing liqui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Y02B40/5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aundry treating apparatus to sufficiently wet laundry by spraying cleaning water in a tub to the laundry inside the drum without a motor. The laundry trea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ub accommodating cleaning water; a drum arranged to be rotatable in the tub and accommodating laundry; and a lifter arranged in the drum, and lifting up and dropping the laundry by rotatory power of the drum, wherein the drum has a drum hole formed therein communicating with an inner space of the lifter, wherein the lifter has a lifter hole formed therein spraying the cleaning water, introduced from the inside of the tub to the inner space of the lifter through the drum hole, to the laundry at a predetermined rotation location of the drum.

Description

세탁물 처리기기{LAUNDRY TREATING APPARATUS}{LAUNDRY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세탁물 처리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세탁물을 들어올려 낙하시키는 방식으로 세탁을 수행하는 세탁물 처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that performs washing by lifting and dropping laundry.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세탁수의 회전 수류를 이용하여 세탁을 수행하는 탑로드 세탁기와, 세탁물을 들어올려 낙하시키는 방식으로 세탁을 수행하는 드럼 세탁기로 구분된다. Generally, a washing machine is divided into a top-loading washing machine that performs washing using rotational water of washing water, and a drum washing machine that performs washing by lifting and dropping laundry.

즉, 상기 탑로드 세탁기는 세탁조인 내조가 지면에 대해 수직방향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내조의 바닥면에 구비된 펄세이터가 회전하면서 수류를 발생시키고 이 수류와 세탁물이 마찰되거나 상기 펄세이터가 세탁물에 충격을 가해 세탁되도록 하는 것인데 반해, 상기 드럼 세탁기는 세탁조인 내조가 지면에 대해 수평방향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내조가 회전하면서 세탁물이 상기 내조의 내벽면과 마찰되거나 낙하되는 과정에서 세탁되도록 하는 것이다. That is, the top-load washing machine is arranged such that the inner tank, which is a washing tub, rotates about a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paper surface, and the pulsator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tank generates a water flow, The drum washing machine is arranged such that the inner tub rotating as the washing tub rotates about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ground and the laundry is rotated with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inner tub as the inner tub rotates, Or washed in the process of falling.

상기 드럼 세탁기에는 상기 내조인 드럼의 회전시에 상기 세탁물을 들어올려 낙하시키기 위한 리프터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리프터는 상기 드럼의 내측에 상기 드럼의 회전방향인 원주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복수개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드럼과 함께 동시에 회전되게 된다. The drum washing machine is provided with a lifter for lifting and dropping the laundry when the inner drum is rotated. The lifters are disposed inside the drum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hich is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drum, and are simultaneously rotated together with the drum.

상기 리프터는 상기 드럼의 내측에 소정 높이로 돌출되어 있는 데, 그 돌출되는 높이는 상기 드럼이 저속으로 회전시에 상기 세탁물을 들어올리지 않고 상기 드럼이 고속으로 회전시에 상기 세탁물을 들어올릴 수 있는 높이로 형성된다. 즉, 상기 리프터는 상기 드럼이 소정의 속도로 회전시에만 상기 드럼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드럼 내에 수용되어 있는 상기 세탁물을 들어올려 낙하시키게 된다. The lifter is protruded to a predetermined height inside the drum. The height of the lifter does not lift the laundry when the drum rotates at low speed, and the height at which the laundry can be lifted when the drum rotates at a high speed . That is, the lifter lifts the laundry contained in the drum by us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um only when the drum rotates at a predetermined speed.

한편, 상기 드럼은 저수조인 터브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게 되는 데, 상기 터브의 바닥면에 고이는 세탁수는 상기 드럼의 바닥면으로 유입될 수 있는 높이만큼 고여 있게 되어서, 상기 드럼 내에 수용된 세탁물이 적셔지게 된다. Meanwhile, the drum is rotatably disposed in a tub which is a water tank. The washing water accumul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ub is accumulated at a height enough to flow into the bottom surface of the drum, and the laundry contained in the drum is wetted .

하지만, 드럼 내에 세탁물의 양이 많을 경우, 상기 드럼의 바닥면에 가깝게 배치된 세탁물만 적셔지기 때문에, 상기 드럼 내에 수용된 모든 세탁물이 충분히 적셔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드럼 세탁기에는 상기 터브 내에 고인 세탁수를, 상기 드럼의 상측으로 끌어올려 세탁물로 뿌리기 위한 모터가 설치되어야만 한다.
However, when the amount of laundry in the drum is large, only the laundry disposed close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drum is wetted. Therefore, in order to sufficiently wet all the laundry contained in the drum, A motor for raising the water to the upper side of the drum and sprinkling it with the laundry should be installed.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터브 내의 세탁수를 드럼 내의 세탁물로 뿌려 상기 세탁물을 충분히 적실 수 있는 세탁물 처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in which washing water in a tub is sprayed with laundry in a drum to sufficiently wet the laundry.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세탁물 처리기기는, 세탁수가 수용되는 터브와, 상기 터브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세탁물이 수용되는 드럼과, 상기 드럼 내에 배치되고 상기 드럼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세탁물을 들어 올려 낙하시키는 리프터를 포함하고, 상기 드럼에는 상기 리프터의 내부공간과 통하는 드럼홀이 형성되고, 상기 리프터에는 상기 드럼홀을 통해 상기 터브 내에서 상기 내부공간으로 유입된 세탁수를, 상기 드럼의 소정 회전 위치에서 상기 세탁물로 뿌리는 리프터홀이 형성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comprising: a tub receiving laundry; a drum rotatably disposed in the tub and containing a laundry; And a drum hole is formed in the drum so as to communicate with an inner space of the lifter, and the lifter is provided with a washing water inlet port A lifter hole sprinkled with the laundry at a predetermined rotational position of the drum is formed.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The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세탁물 처리기기는, 터브 내의 세탁수를 드럼의 상측으로 끌어올리기 위한 모터를 삭제할 수 있으므로, 가격이 저렴해지고, 무게가 가벼워지며, 전기가 절약되고, 소음이 저감되는 효과가 있다. 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liminate the motor for raising the washing water in the tub to the upper side of the drum, thereby reducing the cost, reducing the weight, saving electricity, and reducing the noise .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세탁물 처리기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드럼 및 리프터와, 터브를 나타는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드럼의 외측 및 리프터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리프터를 나타내는 정면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리프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리프터를 나타내는 배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세탁물 처리기기의 리프터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세탁물 처리기기의 리프터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세탁물 처리기기의 리프터를 나타내는 정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세탁물 처리기기의 리프터를 나타내는 배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세탁물 처리기기의 리프터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drum and a lifter shown in Fig. 1, a tub,
Fig. 3 is a view showing the outside of the drum and the lifter shown in Fig. 1,
4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ifter shown in Fig. 1, Fig.
Fig. 5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lifter shown in Fig. 4,
Fig. 6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ifter shown in Fig. 1,
7 is a view showing a lifter of a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 lifter of a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ifter of 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 lifter of a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bottom view showing a lifter of a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ow to accomplish them, will become apparent by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concept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s provided to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세탁물 처리기기를 도면들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a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세탁물 처리기기는, 포를 처리하는 모든 장치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세탁수를 이용하여 세탁물의 오염을 제거하는 세탁기와, 세탁기능과 건조기능을 모두 갖는 건조 겸용 세탁기를 포함한다. 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the apparatuses for treating the laundry. Specifically, the washing machine includes a washing machine for removing contamination of the laundry by using washing water, and a washing machine for both drying and washing functions.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세탁물 처리기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세탁물 처리기기는, 캐비닛(2)과, 캐비닛(2)에 설치된 컨트롤 패널(4)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abinet 2 and a control panel 4 installed in the cabinet 2.

캐비닛(2)은 세탁물 처리기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일 수 있다. 캐비닛(2)에는 포가 캐비닛(2) 내측으로 출입되기 위한 포 출입구(3)가 형성될 수 있다. 캐비닛(2)의 내부에는 세탁수가 담겨지는 터브(미도시, 도 2의 30)가 설치될 수 있다. The cabinet 2 may be a case forming the appearance of 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The cabinet 2 may be provided with a pop-in / out port 3 for entering and exiting the inside of the cabinets 2. A tub (not shown in FIG. 2) 30 in which washing water is contained may be installed inside the cabinet 2.

상기 터브의 내부에는 포가 담겨지는 드럼(4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캐비닛(2)의 내부에는 드럼(40)을 회전시키는 모터(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A drum (40) in which a bag is placed may be rotatably installed inside the tub. Inside the cabinet 2, a motor (not shown) may be installed to rotate the drum 40.

캐비닛(2)은 하나의 부재가 다수회 절곡되어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고, 다수의 부재가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캐비닛(2)은 베이스 팬(미도시)과, 베이스 팬에 설치되고 상기 터브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캐비닛 바디(8)와, 캐비닛 바디(8)의 전방에 배치되고 포 출입구(3)가 형성된 캐비닛 커버(10)와, 캐비닛 바디(8)의 상부에 배치되는 탑 커버(1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abinet 2 may be configured such that one member is bent a plurality of times, and a plurality of members are combined. A cabinet body 8 provided in the base pan and formed with a space in which the tub can be accommodated; a cabinet body 8 disposed in front of the cabinet body 8 and having a swinging door 3, And a top cover 12 dispos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cabinet body 8. The cabinet cover 10 includes a cabinet cover 10,

캐비닛 바디(8)는 하나의 부재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고, 복수개의 부재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캐비닛 바디(8)는 상기 베이스 팬의 좌측 상부에 배치되는 좌측 커버와, 상기 베이스 팬의 우측 상부에 배치되는 우측 커버와, 베이스 팬의 후방부 상부에 배치되는 리어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2)은 복수개 부재의 다양한 조합이 가능하고, 다양한 변형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The cabinet body 8 can be composed of one member, and can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members. The cabinet body 8 may include a left cover disposed on the left upper portion of the base pan, a right cover disposed on the upper right portion of the base pan, and a rear cover disposed on the rear portion of the base pan. Of course, the cabinet 2 can have various combinations of a plurality of members,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캐비닛(2)에는 포 출입구(3)를 여닫는 도어(14)가 설치될 수 있다. 도어(14)는 캐비닛(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포 출입구(3)를 여닫는 것이 가능하고, 캐비닛(2)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되어 포 출입구(3)를 여닫는 것이 가능하다. 도어(14)는 캐비닛(2)에 힌지기구로 연결되어 힌지기구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포 출입구(3)를 여닫을 수 있다. The cabinet (2) may be provided with a door (14) for opening and closing the hopper (3). The door 14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cabinet 2 and is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the port 3 and is slidably disposed in the cabinet 2 to open and close the port 3. The door (14) is connected to the cabinet (2) by a hinge mechanism, and can be opened and closed by rotating the swing door (3) while rotating around the hinge mechanism.

컨트롤 패널(4)은 세탁물 처리기기를 조작하는 조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 패널(4)은 세탁물 처리기기의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 패널(4)은 상기 조작부 및 상기 표시부를 함께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컨트롤 패널(4)은 캐비닛(2)에 설치될 수 있다. 컨트롤 패널(4)은 캐비닛 커버(1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컨트롤 패널(4)은 캐비닛(2)의 전면 상부에 위치될 수 있고, 세탁물 처리기기의 일부 외관을 구성할 수 있다. The control panel 4 may include an operation portion for operating the laundry processing device. The control panel 4 may include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information of 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The control panel 4 may include both the operating section and the display section. The control panel 4 may be installed in the cabinet 2. The control panel 4 may be disposed above the cabinet cover 10. The control panel 4 can be positioned above the front surface of the cabinet 2 and constitute a part of the appearance of 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컨트롤 패널(4)은 컨트롤 패널 바디(20)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 패널 바디(20)는 컨트롤 패널(4)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컨트롤 패널 바디(20)는 캐비닛 커버(10)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고, 컨트롤 패널 바디(20)에는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조작부와, 외부로 세탁물 처리기기의 각종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표시부가 위치될 수 있다. The control panel 4 may include a control panel body 20. The control panel body 20 can form the appearance of the control panel 4. [ The control panel body 20 can be positioned above the cabinet cover 10. The control panel body 20 is provided with an operation unit that can be operated by a user and a display unit Lt; / RTI >

컨트롤 패널(4)은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조작할 수 있는 로터리 놉(50)을 포함할 수 있다. 로터리 놉(50)은 세탁물 처리기기의 각종 코스를 선택하기 위해 설치될 수 있고, 사용자는 로터리 놉(50)을 잡고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세탁물 처리기기의 각종 코스를 선택할 수 있다. 컨트롤 패널 바디(20)에는 로터리 놉(50)보다 크기가 큰 개구부(22)가 형성될 수 있다. 로터리 놉(50)은 앞부분이 개구부(22)의 전방에 위치되게 배치될 수 있다. The control panel 4 may include a rotary knob 50 that the user can hold and operate. The rotary knob 50 can be installed to select various courses of 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and the user can select various courses of 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by rotating the rotary knob 50. The control panel body 20 may have an opening 22 larger than the rotary knob 50. The rotary knob 50 may be disposed such that the front portion thereof is positioned in front of the opening portion 22.

컨트롤 패널(4)은 로터리 놉(50) 주변에 위치되는 놉 데코(56)를 포함할 수 있다. 놉 데코(56)는 로터리 놉(50)의 외둘레와 개구부(22)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놉 데코(56)는 로터리 놉(50) 주변의 외관을 고급화할 수 있고, 컨트롤 패널 바디(20)와 그 외면의 색상이 동일할 수 있다. The control panel 4 may include a knob deck 56 positioned around the rotary knob 50. The knob deck 56 can be positioned between the outer periphery of the rotary knob 50 and the opening 22. The knob deck 56 can enhance the appearance around the rotary knob 50 and the color of the outer surface of the control panel body 20 can be the same.

컨트롤 패널(4)은 로터리 놉(50)의 외둘레를 둘러싸게 배치되는 윈도우(8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세탁물 처리기기는 윈도우(82)로 광을 조사하는 광원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윈도우(82)로 조사된 광은 윈도우(82)를 투과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윈도우(82)로 조사된 광의 형상이나 광의 위치 등을 보고 세탁물 처리기기의 각종 정보를 인지할 수 있다. 윈도우(82)는 일부가 놉 데코(56)와 개구부(22) 사이를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고, 외부로 노출된 부분을 통해 광이 조사될 수 있다. The control panel 4 may further include a window 82 disposed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rotary knob 50. 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light source for irradiating light to the window 82 and the light irradiated to the window 82 may transmit the window 82, Various information of 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can be recognized by viewing the shape and the position of the light. A part of the window 82 can b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nodeco 56 and the opening 22 and light can be irradiated through the portion exposed to the outside.

드럼(40)의 내측에는 리프터(45)가 설치될 수 있다. 리프터(45)는 드럼(40)의 내주면을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설치될 수 있다. 리프터(45)는 드럼(40)의 회전시에 드럼(40)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리프터(45)는 드럼(40)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드럼(40) 내에 수용된 세탁물을 들어올려 낙하시켜서, 상기 세탁물이 세탁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리프터(45)는 드럼(40)의 회전속도가 저속이면 드럼(40) 내에 수용된 세탁물을 들어올리지 않을 수 있고, 드럼(40)의 회전속도가 고속이면 드럼(40) 내에 수용된 세탁물을 들어올려 낙하시킬 수 있다. A lifter 45 may be provided inside the drum 40. The lifters 45 may be arranged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um 40, The lifter 45 can be rotated together with the drum 40 when the drum 40 rotates. The lifter 45 lifts the laundry contained in the drum 40 by us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um 40 and drops the laundry so that the laundry can be washed. The lifter 45 may not lift the laundry contained in the drum 40 if the rotation speed of the drum 40 is low and lift the laundry contained in the drum 40 when the rotation speed of the drum 40 is high, .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드럼 및 리프터와, 터브를 나타는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드럼의 외측 및 리프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 2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drum and the lifter shown in FIG. 1 and the tub, and FIG. 3 is a view showing the outside of the drum and the lifter shown in FIG.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드럼(40)에는 터브(30) 내에 수용된 세탁수를 리프터(45)의 내부공간으로 안내하는 드럼홀(41)이 형성될 수 있다. 드럼홀(41)은 드럼(40)의 회전축방향(이하, 축방향)을 따라 3개가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터브(30) 내에 수용된 세탁수가 드럼홀(41)을 통해 리프터(45)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드럼홀(41)은 리프터(45)의 내부공간과 연통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드럼홀(41)의 개수는 3개로 한정되지 아니하고, 리프터(45)의 내부공간과 대응되는 위치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2 and 3, the drum 40 may be provided with a drum hole 41 for guiding the wash water stored in the tub 30 into the inner space of the lifter 45. [ The drum holes 41 are formed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of the drum 40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axial direc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drum hole 41 is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inner space of the lifter 45 so that the washing water contained in the tub 30 can be introduc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lifter 45 through the drum hole 41. The number of the drum holes 41 is not limited to three, but may be one or mor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inner space of the lifter 45.

드럼(40)에는 드럼홀(41)의 일측에 스쿠프(scoop;42)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스쿠프(42)는 드럼(40)의 외측이 오목하고 드럼(40)의 내측이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스쿠프(42)는 드럼(40)이 일방향으로 회전시에만 터브(40) 내의 세탁수를 드럼홀(41)로 안내할 수 있도록 드럼홀(41)의 일측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드럼(40)이 회전되는 일방향은 시계방향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스쿠프(42)는 드럼(4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드럼홀(41)보다 시계방향으로 전방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즉, 드럼(4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에만 스쿠프(42)는 터프(30) 내의 세탁수를 드럼홀(41)로 안내하여 드럼홀(41)을 통해 리프터(45)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A scoop 42 may be further formed on one side of the drum hole 41 in the drum 40. The scoop 42 may be formed such that the outer side of the drum 40 is concave and the inner side of the drum 40 is convex. The scoop 42 is preferably formed at one side of the drum hole 41 so that the washing water in the tub 40 can be guided to the drum hole 41 only when the drum 40 rotates in one direction. Here, one direction in which the drum 40 is rotated means clockwise,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scoop 42 is disposed in a clockwise direction ahead of the drum hole 41 when the drum 40 is rotated clockwise. That is, only when the drum 40 rotates clockwise, the scoop 42 guides the washing water in the tough 30 to the drum hole 41 and flows into the inner space of the lifter 45 through the drum hole 41 .

그리고, 리프터(45)에는 드럼홀(41)을 통해 터브(30) 내에서 내부공간으로 유입된 세탁수를, 드럼(40)의 소정 회전위치에서 세탁물로 뿌리는 리프터홀(45a)이 형성된다. 즉, 도 2의 A위치에서 드럼홀(41)을 통해 리프터(45)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된 세탁수는, 도 2의 B위치에서 리프터홀(45a)을 통해 빠져나와 세탁물의 상측에서 뿌려지게 된다. 리프터(45)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된 세탁수가 세탁물의 상측으로 뿌려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리프터홀(45a)은 드럼(40)의 접선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도 2의 A위치는 리프터(45)가 터브(30)의 바닥면을 지나는 위치로서, 세탁수가 터브(30) 내에 고여있는 위치를 의미한다. A lifter hole 45a is formed in the lifter 45 for discharging the washing water flowing into the inner space from the tub 30 through the drum hole 41 to the laundry at a predetermined rotational position of the drum 40 . That is, the wash water flowing into the inner space of the lifter 45 from the position A in FIG. 2 through the drum hole 41 is discharged at the position B in FIG. 2 through the lifter hole 45a, do. The lifter hole 45a is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tangent of the drum 40 so that the washing water flowing into the inner space of the lifter 45 can be sprayed to the upper side of the laundry. The position A in Fig. 2 means the position where the lifter 45 passes the bottom surface of the tub 30, and the wash water is accumulated in the tub 30.

리프터(45)는 3개로 구비되어, 드럼(40)의 내주면에 원주방향으로 120도 간격으로 하나씩 배치된다. 즉, 도 2에서 A위치와 B위치는 120도 간격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A위치에서 드럼홀(41)을 통해 리프터(45)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된 세탁수는, 드럼(40)이 120도 회전된 위치인 B위치에서 리프터홀(45a)을 통해 빠져나와 세탁물로 뿌려질 수 있다. 물론, 리프터(45)는 반드시 3개로 구비되는 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The lifters 45 are provided in three, and are arrang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um 40 at intervals of 120 degree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at is, in FIG. 2, the position A and the position B are 120 degrees apart. The washing water flowing into the inner space of the lifter 45 from the position A through the drum hole 41 is discharged through the lifter hole 45a at the position B where the drum 40 is rotated by 120 degrees It can be sprayed with me and laundry. Of course, the number of the lifters 45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ree.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리프터를 나타내는 정면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리프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Fig. 4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ifter shown in Fig. 1, and Fig. 5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lifter shown in Fig.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리프터(45)는 축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리프터(45)는 드럼(40) 내로 가장 많이 돌출되는 라운드면(46)과, 드럼(40)의 일방향 회전방향(시계방향)인 라운드면(46)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경사면(47)과, 드럼(40)의 타방향 회전방향인 라운드면(46)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2 경사면(48)과, 상기 라운드면(46), 제1 경사면(47) 및 제2 경사면(48)의 전단에서 연장되는 전방면(49)과, 상기 라운드면(46), 제1 경사면(47) 및 제2 경사면(48)의 후단에서 연장되는 후방면(미도시)을 포함한다. 4 and 5, the lifter 45 is elongated in the axial direction. The lifter 45 has a round surface 46 which protrudes most into the drum 40 and a first inclined surface 47 which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round surface 46 in the one- A second inclined surface 48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round surface 46 which is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drum 40 in the other direction and a second inclined surface 48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round surface 46, the first inclined surface 47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48, And a rear surface (not shown) extending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round surface 46, the first inclined surface 47,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48. [

라운드면(46)은 드럼(40)의 중심을 향해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되고, 제1 경사면(47) 및 제2 경사면(48)은 드럼(40)의 내측면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고, 전체적으로 평평하게 형성된다. 제1 경사면(47) 및 드럼(40)의 내측면 사이의 내각(a)은 제1 각도로 형성되고, 제2 경사면(48) 및 드럼(40)의 내측면 사이의 내각(b)은 상기 제1 각도보다 큰 제2 각도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각도는 48도로 형성된다. The first inclined surface 47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48 ar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inner surface of the drum 40, And is formed entirely flat. The inner angle a between the first inclined surface 47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drum 40 is formed at a first angle and the inner angle b between the second inclined surface 48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drum 40 And is formed at a second angle larger than the first ang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angle is formed at 48 degrees.

제1 경사면(47) 및 제2 경사면(48)은 일단이 라운드면(46)에서 연장되고, 타단은 드럼(40)에 결합될 수 있다. The first inclined surface 47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48 may extend from the round surface 46 at one end and be coupled to the drum 40 at the other end.

그리고, 리프터홀(45a)은 라운드면(46) 및 제1 경사면(47)에 형성되고, 제2 경사면(48)에는 형성되지 않는다. 리프터홀(45a)은, 제1 경사면(47)의 전체에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형성되고, 라운드면(46)의 일부에 제1 경사면(47)에 형성된 리프터홀(45a)과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라운드면(46)에는 복수의 리프터홀(45a)이 1열로 배치되고, 제1 경사면(47)에는 리프터홀(45a)이 복수열로 배치된다. The lifter hole 45a is formed on the round surface 46 and the first inclined surface 47 and is not formed on the second inclined surface 48. [ A plurality of lifter holes 45a are formed at equal intervals on the entire first inclined surface 47 and correspond to a lifter hole 45a formed in the first inclined surface 47 on a part of the round surface 46 . A plurality of lifter holes 45a are arranged in one row on the round surface 46 and a plurality of lifter holes 45a are arranged on the first sloped surface 47. [

본 실시예에서 리프터(45)의 홀비(hole ratio)는 0.8을 갖는다. 상기 홀비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40)의 중심과 가장 가깝게 배치되는 리프터홀(45a)의 중심에서부터 제1 경사면(47)의 끝단까지의 직선길이(L) 중, 리프터홀(45a)들이 차지하는 길이를, 나머지 길이로 나눈값을 의미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hole ratio of the lifter 45 is 0.8. 5, of the linear length L from the center of the lifter hole 45a disposed closest to the center of the drum 40 to the end of the first inclined surface 47, the hole ratio 45a ) Divided by the remaining length.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리프터를 나타내는 배면 사시도이다. 6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ifter shown in Fig.

도 2 및 도 6을 참조하면, 리프터(45)의 배면 및 드럼(40)에는 리프터(45)가 드럼(40)에 장착되기 위한 체결구조물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구조물은 드럼(40)에 형성된 제1 슬라이딩홀(43a), 제2 슬라이딩홀(43b) 및 체결홀(44)과, 리프터(45)에 형성된 슬라이딩돌기(45b) 및 체결부(45c)를 포함한다. 2 and 6, a fastening structure for mounting the lifter 45 to the drum 40 is form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lifter 45 and the drum 40. The fastening structure includes a first sliding hole 43a, a second sliding hole 43b and a fastening hole 44 formed in the drum 40 and a sliding protrusion 45b and a fastening part 45c formed on the lifter 45. [ .

제1 슬라이딩홀(43a) 및 제2 슬라이딩홀(43b)은 드럼홀(41)로부터 일측으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체결홀(44)은 드럼홀(41)로부터 타측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The first sliding hole 43a and the second sliding hole 43b are spaced apart from the drum hole 41 and the locking hole 44 is formed apart from the drum hole 41 to the other side.

제1 슬라이딩홀(43a)은 축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축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의 폭이 제2 슬라이딩홀(43b)보다 넓게 형성된다. 제2 슬라이딩홀(43b)은 제1 슬라이딩홀(43a)에서 연장되어 축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축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의 폭이 제1 슬라이딩홀(43a)보다 좁게 형성된다. The first sliding hole 43a is elongated in the axial direction, and the width of the first sliding hole 43a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axial direction is wider than the second sliding hole 43b. The second sliding hole 43b extends from the first sliding hole 43a and is formed to be longer in the axial direction and is narrower than the first sliding hole 43a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axial direction.

슬라이딩돌기(45b)는 축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슬라이딩돌기(45b)는 리프터(45) 내의 일측에 형성되고, 보다 상세하게는 제1 경사면(47)에 형성된다. 체결부(45c)는 리프터(45) 내의 타측에 형성되고, 보다 상세하게는 제2 경사면(48)에 형성된다. The sliding protrusions 45b are elongated in the axial direction. The sliding protrusion 45b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lifter 45, more specifically, on the first inclined surface 47. [ The fastening portion 45c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lifter 45, and more specifically, on the second slanted surface 48. [

슬라이딩돌기(45b)는 드럼(40)에 형성된 제1 슬라이딩홀(43a)로 삽입된 후, 제1 슬라이딩홀(43a)에서 제2 슬라이딩홀(43b)로 슬라이딩되어 드럼(40)에 결합된다. 슬라이딩돌기(45b)가 제2 슬라이딩홀(43b)에 위치되어 드럼(40)에 결합되면, 제1 슬라이딩홀(43a)은 리프터(45)의 내부공간과 통하게 된다. 따라서, 드럼(40)이 일방향으로 회전시에 터브(30) 내의 세탁수는 드럼홀(41)을 통해 리프터(45)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됨과 아울러, 제1 슬라이딩홀(43a)을 통해서도 리프터(45)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 The sliding protrusion 45b is inserted into the first sliding hole 43a formed in the drum 40 and then slid from the first sliding hole 43a to the second sliding hole 43b to be coupled to the drum 40. [ When the sliding protrusion 45b is positioned in the second sliding hole 43b and is coupled to the drum 40, the first sliding hole 43a communicates with the inner space of the lifter 45. [ When the drum 40 rotates in one direction, the washing water in the tub 30 flows into the inner space of the lifter 45 through the drum hole 41, and also flows through the first sliding hole 43a to the lifter 45, respectively.

슬라이딩돌기(45b)는 제2 슬라이딩홀(43b)과 밀착되어 드럼(40)에 결합될 수 있도록, 슬라이딩돌기(45b)는 제2 슬라이딩홀(43b)의 길이 및 폭과 대응되는 길이 및 폭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The sliding protrusion 45b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sliding hole 43b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drum 40 so that the sliding protrusion 45b has a length and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and width of the second sliding hole 43b .

체결부(45c)는 체결부재인 스크류가 삽입되어 드럼(40)에 결합된다. 즉, 상기 스크류가 드럼(40)의 외측에서 체결홀(44)을 관통한 후 체결부(45c)로 삽입되어 체결되는 것에 의해, 리프터(45)의 타측은 드럼(40)에 결합된다. The fastening portion 45c is engaged with the drum 40 by inserting a screw as a fastening member. The other side of the lifter 45 is coupled to the drum 40 by inserting and fastening the screw into the fastening portion 45c after passing through the fastening hole 44 from the outside of the drum 40. [

상술한 바와 같이, 리프터(45)는 드럼(40)의 일방향 회전방향인 일측만이 슬라이딩돌기(45b)를 통해 드럼(40)에 슬라이딩 결합되고, 타측은 체결부(45c)를 통해 드럼(40)에 체결됨으로써, 드럼(40)이 일방향으로 회전시에 터브(30) 내의 세탁수가 드럼홀(41) 및 제1 슬라이딩홀(43a)을 통해 리프터(45)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도록 하고, 이 내부공간으로 유입된 세탁수가 리프터(45)의 타측을 통해 빠져나가지 않도록 하여서, 리터프(45) 내로 유입된 세탁수가 드럼(40)이 소정의 위치로 회전된 위치에서 리프터홀(45a)을 통해 세탁물로 뿌려질 수 있도록 한다. As described above, only one side of the lifter 45, which is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drum 40 in one direction, is slidably coupled to the drum 40 through the sliding protrusion 45b and the other side is coupled to the drum 40 So that the washing water in the tub 30 flows into the inner space of the lifter 45 through the drum hole 41 and the first sliding hole 43a when the drum 40 rotates in one direction, The washing water flowing into the inner space is prevented from escaping through the other side of the lifter 45 so that the washing water flowing into the lint 45 is discharged through the lifter hole 45a at a position where the drum 40 is rotat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It should be sprayed with laundry.

슬라이딩돌기(45b)를 제2 슬라이딩홀(43b)에 결합하여 리프터(45)의 일측을 먼저 드럼(40)에 결합한 후, 상기 스크류를 체결홀(44) 및 체결부(45c)로 삽입하여 리프터(45)의 타측을 결합함으로써, 리프터(45)를 드럼(40)에 장착하는 공정을 완료할 수 있다. The sliding protrusion 45b is coupled to the second sliding hole 43b so that one side of the lifter 45 is first coupled to the drum 40 and then the screw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44 and the coupling portion 45c, The step of mounting the lifter 45 on the drum 40 can be completed by engaging the other side of the drum 45 with the other side.

리프터(45)는 드럼(40)의 내측면에 접촉되는 면이 개방된다. 리프터(45)의 내부에는 상기 내부공간을 복수로 분할하는 분할벽(45d)이 복수로 형성된다. 분할벽(45d)은 제1 경사면(47), 라운드면(46) 및 제2 경사면(48)에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분할벽(45d)에는 드럼(40)의 내측면을 향하는 측의 일부가 함입된 함입부(45e)가 형성된다. 함입부(45e)는 드럼(40)에 형성된 드럼홀(41) 및 스쿠프(42)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드럼홀(41)을 통해 리프터(45)의 내부공간으로 이동된 세탁수는, 함입부(45e)를 통과하여 리프터(45) 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분할벽(45d) 중 제2 경사면(48)에서 연장되는 부분은, 체결부(45c)에서 연장될 수 있다. The surface of the lifter 45 contacting the inner surface of the drum 40 is opened. Inside the lifter 45, a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45d dividing the internal space into a plurality of parts are formed. The dividing wall 45d may extend from the first inclined surface 47, the round surface 46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48. [ The partition wall 45d is formed with a depression 45e in which a part of the side facing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drum 40 is embedded. The depressed portion 45e i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drum hole 41 and the scoop 42 formed in the drum 40. [ The wash water that has been moved to the inner space of the lifter 45 through the drum hole 41 can be moved in the axial direction in the lifter 45 through the penetration portion 45e. A portion of the dividing wall 45d extending from the second inclined surface 48 can extend from the fastening portion 45c.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세탁물 처리기기의 리프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여,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다른 점만을 설명하기로 한다.7 is a view showing the lifter of 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first embodiment,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nd only different points will be described.

도 7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세탁물 처리기기의 리프터(145)는, 전술한 제1 실시예의 리프터(45)와 다른 점을 알 수 있다. 즉,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는 리프터홀(45a)이, 제1 경사면(47)의 전체에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형성되고, 라운드면(46)의 일부에 제1 경사면(47)에 형성된 리프터홀(45a)과 대응되도록 형성되었으나, 본 제2 실시예에서는 리프터홀(45a)이 제1 경사면(47)의 전체에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형성되는 것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나, 라운드면(46)의 전체에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형성되는 것은 제1 실시예와 다르다. 본 제2 실시예에서 라운드면(46)에 형성된 복수의 리프터홀(45a)은 3열로 배치된다.Referring to FIG. 7, the lifter 145 of 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from the lifter 45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at is, in the above-described first embodiment, a plurality of lifter holes 45a are formed at equal intervals on the entire first inclined surface 47 and a plurality of lifter holes 45a are formed on the first inclined surface 47 The lifter holes 45a are formed on the first inclined surface 47 at equal intervals so as to correspond to the lifter holes 45a formed in the second embodiment. And is formed in a plurality of equidistantly spaced spaces on the entirety of the round surface 46, which is different from the first embodiment.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plurality of lifter holes 45a formed on the round surface 46 are arranged in three rows.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세탁물 처리기기의 리프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여,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다른 점만을 설명하기로 한다.8 is a view showing the lifter of 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first embodiment,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nd only different points will be described.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세탁물 처리기기의 리프터(245)는, 전술한 제1 실시예의 리프터(45)와 다른 점을 알 수 있다. 즉,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는 리프터홀(45a)이, 제1 경사면(47)의 전체에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형성되고, 라운드면(46)의 일부에 제1 경사면(47)에 형성된 리프터홀(45a)과 대응되도록 형성되었으나, 본 제3 실시예에서는 리프터홀(45a)이 제1 경사면(47)의 전체에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형성되는 것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나, 라운드면(46)에는 형성되지 않는 것은 제1 실시예와 다르다.Referring to FIG. 8, the lifter 245 of 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from the lifter 45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at is, in the above-described first embodiment, a plurality of lifter holes 45a are formed at equal intervals on the entire first inclined surface 47 and a plurality of lifter holes 45a are formed on the first inclined surface 47 It is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that the lifter holes 45a are formed on the entire first slope surface 47 at equal intervals so as to correspond to the lifter holes 45a formed in the third embodiment And is not formed on the round surface 46 is different from the first embodiment.

또한, 본 제3 실시예의 리프터(245)는 리프터홀(45a)이 형성된 제1 경사면(47)이, 축방향 가운데를 기준으로 전후 비대칭으로 형성되어, 드럼(40)이 일방향으로 회전시에 리프터(245)가 세탁수를 내부공간에 머금은 채로 소정의 위치까지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In the lifter 245 of the third embodiment, the first inclined surface 47 having the lifter hole 45a is formed a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in the axial direction so that when the drum 40 rotates in one direction, (245) allows the washing water to be mov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while staying in the inner space.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세탁물 처리기기의 리프터를 나타내는 정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세탁물 처리기기의 리프터를 나타내는 배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세탁물 처리기기의 리프터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여기서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여,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다른 점만을 설명하기로 한다.Fig. 9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a lifter of a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 lifter of 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bottom view showing the lifter of 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Her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first embodiment,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nd only different points will be described.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세탁물 처리기기의 리프터(345)는, 전술한 제1 실시예의 리프터(45)와 다른 점을 알 수 있다. 즉, 전술한 제1 실시예의 리프터(45)는 리프터홀(45a)이 라운드면(46) 및 제1 경사면(47)에 형성되었으나, 본 제4 실시예의 리프터(345)는 리프터홀(45a)이 라운드면(46)에만 형성된다. 본 제4 실시예의 리프터(345)에 형성되는 복수의 리프터홀(45a)은 라운드면(46)에 1열로 배치된다.9 to 11, the lifter 345 of 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from the lifter 45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at is, although the lifter 45a of the above-described first embodiment is formed on the round surface 46 and the first inclined surface 47, the lifter 345 of the fourth embodiment has the lifter hole 45a, Is formed only on the round surface (46). A plurality of lifter holes 45a formed in the lifter 345 of the fourth embodiment are arranged in a row on the round surface 46. [

또한, 전술한 제1 실시예의 드럼(40)에는 제1 슬라이딩홀(43a) 및 제2 슬라이딩홀(43b)이 드럼홀(41)로부터 일측으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체결홀(44)이 드럼홀(41)로부터 타측으로 이격되어 형성되었으나, 본 제4 실시예의 드럼(40)에는 제1 슬라이딩홀(43a) 및 제2 슬라이딩홀(43b)이 드럼홀(41)로부터 일측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나, 제3 슬라이딩홀(44a) 및 제4 슬라이딩홀(44b)이 드럼홀(41)로부터 타측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은 제1 실시예와 다르다. 여기서, 제3 슬라이딩홀(44a)은 제1 슬라이딩홀(43a)의 구조 및 기능이 동일하고, 제4 슬라이딩홀(44b)은 제2 슬라이딩홀(43b)의 구조 및 기능과 동일하다.The first sliding hole 43a and the second sliding hole 43b are spaced apart from the drum hole 41 in the drum 40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first sliding hole 43a and the second sliding hole 43b are spaced apart from the drum hole 41 at one side in the drum 40 of the fourth embodiment, The third embodiment differs from the first embodiment in that the third sliding hole 44a and the fourth sliding hole 44b are formed apart from the drum hole 41 to the other side. Here, the third sliding hole 44a has the same structure and function as the first sliding hole 43a, and the fourth sliding hole 44b has the same structure and function as the second sliding hole 43b.

그리고, 전술한 제1 실시예의 리프터(45)에는 슬라이딩돌기(45b)가 제1 경사면(47)에만 형성되고, 제2 경사면(48)에는 체결부(45c)가 형성되었으나, 본 제4 실시예에서는 제1 경사면(47) 및 제2 경사면(48)에 모두 슬라이딩돌기(45b,45f)가 형성된다. 즉, 슬라이딩돌기(45b,45f)는 제1 슬라이딩홀(43a)에서 제2 슬라이딩홀(43b)로 슬라이딩되어 결합되는 제1 슬라이딩돌기(45b)와, 제3 슬라이딩홀(44a)에서 제4 슬라이딩홀(44b)로 슬라이딩되어 결합되는 제2 슬라이딩돌기(44f)를 포함한다.Although the sliding protrusion 45b is formed only on the first inclined surface 47 and the engaging portion 45c is formed on the second inclined surface 48 in the lifter 45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sliding protrusions 45b and 45f are formed on the first inclined surface 47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48, respectively. That is, the sliding protrusions 45b and 45f include a first sliding protrusion 45b which is slidably engaged with the second sliding hole 43b from the first sliding hole 43a, And a second sliding protrusion 44f slidably coupled to the hole 44b.

제1 슬라이딩돌기(45b)가 제2 슬라이딩홀(43b)에 위치하면, 제1 슬라이딩홀(43a)은 개방되어, 드럼(40)이 일방향으로 회전시에 터브(30) 내의 세탁수가 드럼홀(41) 및 제1 슬라이딩홀(43a)을 통해 리프터(345)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When the first sliding protrusion 45b is positioned in the second sliding hole 43b, the first sliding hole 43a is opened and the washing water in the tub 30 is discharged into the drum hole 41 and the first sliding hole 43a into the inner space of the lifter 345. [

한편, 제2 슬라이딩돌기(45f)의 일측에는 차폐벽(45g)이 더 형성된다. 차폐벽(45g)은 제2 슬라이딩돌기(45f)가 제4 슬라이딩홀(44b)에 위치시에, 제3 슬라이딩홀(44a)을 차폐하여, 드럼(40)이 일방향으로 회전될 때 리프터(345)의 내부공간에 담긴 세탁수가 제3 슬라이딩홀(44a)을 통해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a shielding wall 45g is further formed on one side of the second sliding projection 45f. The shielding wall 45g shields the third sliding hole 44a when the second sliding projection 45f is located in the fourth sliding hole 44b so that when the drum 40 is rotated in one direction, So that the washing water contained in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sliding hole 44a can not escape through the third sliding hole 44a.

또한, 본 제4 실시예의 드럼(40)에는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체결홀(44)과 대응되는 구성인 체결홀(44)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체결홀(44)은 리프터(345)의 전방부와 대응되는 부분에 하나가 형성되고, 리프터(345)의 후방부와 대응되는 부분에 하나가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rum 40 of the fourth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fastening hole 44, which is a configuration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hole 44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One of the fastening holes 44 may be formed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ront portion of the lifter 345 and may be formed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rear portion of the lifter 345.

그리고, 리프터(345)에는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체결부(45c)와 대응되는 구성인 체결부(45c)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45c)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체결부재인 스크류를 통해 드럼(40)에 결합될 수 있다. 즉, 드럼(40)의 외측에서 체결홀(44)을 관통한 체결부재가 체결부(45c)로 삽입되어 체결되는 것에 의해, 리프터(345)는 드럼(40)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Further, the lifter 345 may further have a fastening portion 45c, which is a constitution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portion 45c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fastening portion 45c can be coupled to the drum 40 through a fastening member screw as in the first embodiment. That is, the fastening member passing through the fastening hole 44 from the outside of the drum 40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portion 45c and fastened, so that the lifter 345 can be firmly coupled to the drum 40. [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세탁물 처리기기는, 터브(30) 내의 세탁수가 드럼홀(41)을 통해 리프터(45,145,245,345)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된 후, 드럼(40)의 소정 회전 위치에서 리프터홀(45a)을 통해 세탁물로 뿌려지기 때문에, 터브(30) 내의 세탁수를 드럼(40)의 상측으로 끌어올리기 위한 모터를 삭제할 수 있으므로, 가격이 저렴해지고, 무게가 가벼워지며, 전기가 절약되고, 소음이 저감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ashing water in the tub 30 flows into the inner space of the lifters 45, 145, 245, and 345 through the drum holes 41, Since the motor for raising the washing water in the tub 30 to the upper side of the drum 40 can be eliminated, the cost is reduced, the weight is reduced, The noise is reduced.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and non-restrictive in every respec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 equivalents thereof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30: 터브 40: 드럼
41: 드럼홀 42: 스쿠프
43a: 제1 슬라이딩홀 43b: 제2 슬라이딩홀
44: 체결홀 44a: 제3 슬라이딩홀
44b: 제4 슬라이딩홀 45,145,245,345: 리프터
45a: 리프터홀 45b: 슬라이딩돌기
45c: 체결부 45f: 제2 슬라이딩돌기
45g: 차폐벽 46: 라운드면
47: 제1 경사면 48: 제2 경사면
30: tub 40: drum
41: Drum hole 42: Scoop
43a: first sliding hole 43b: second sliding hole
44: fastening hole 44a: third sliding hole
44b: fourth sliding hole 45, 145, 245, 345: lifter
45a: Lifter hole 45b: Sliding projection
45c: fastening portion 45f: second sliding protrusion
45g: shielding wall 46: round side
47: first inclined plane 48: second inclined plane

Claims (16)

세탁수가 수용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세탁물이 수용되는 드럼; 및
상기 드럼 내에 배치되고, 상기 드럼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세탁물을 들어 올려 낙하시키는 리프터;를 포함하고,
상기 드럼에는 상기 리프터의 내부공간과 통하는 드럼홀이 형성되고, 상기 리프터에는 상기 드럼홀을 통해 상기 터브 내에서 상기 내부공간으로 유입된 세탁수를, 상기 드럼의 소정 회전 위치에서 상기 세탁물로 뿌리는 리프터홀이 형성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A tub receiving the wash water;
A drum rotatably disposed in the tub and receiving laundry; And
And a lifter disposed in the drum and lifting the laundry by a rotational force of the drum to drop the laundry,
The drum is provided with a drum hole communicating with the inner space of the lifter, and the lifter, which has been introduced into the inner space from the tub through the drum hole, Wherein a lifter hole is form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드럼에는 상기 드럼홀의 일측에 상기 터브 내의 세탁수를 상기 드럼홀로 안내하는 스쿠프가 더 형성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coop guiding the wash water in the tub to the drum hole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drum hole in the drum.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쿠프는 상기 드럼의 외측이 오목하고 상기 드럼의 내측이 볼록하게 형성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coop has a concave outer side of the drum and a convex inner side of the drum.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쿠프는 상기 드럼이 일방향으로 회전시에 상기 세탁수를 상기 드럼홀로 안내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coop guides the washing water to the drum hole when the drum rotates in one direc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프터홀은 상기 드럼의 접선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ifter hole is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 tangent of the drum.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프터는, 상기 드럼 내로 가장 많이 돌출되는 라운드면과, 상기 드럼의 일방향 회전방향인 상기 라운드면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경사면과, 상기 드럼의 타방향 회전방향인 상기 라운드면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2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리프터홀은 상기 라운드면 및 상기 제1 경사면에 형성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ifter includes a first round surface that protrudes most into the drum, a first sloped surface that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round surface that is one direction of the drum, and a second sloped surface that is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round surface And a second inclined surface,
Wherein the lifter hole is formed on the round surface and the first inclined surface.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리프터홀은, 상기 제1 경사면의 전체에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라운드면의 일부에 상기 제1 경사면에 형성된 상기 리프터홀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lifter holes are formed in a plurality of spaced apart equally spaced portions on the first inclined surface and ar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lifter holes formed in the first inclined surface on a part of the round surface.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리프터홀은, 상기 라운드면 및 상기 제1 경사면의 전체에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형성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lifter holes are formed in a plurality of equal intervals on the entirety of the round surface and the first inclined surfa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프터는, 상기 드럼 내로 가장 많이 돌출되는 라운드면과, 상기 드럼의 일방향 회전방향인 상기 라운드면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경사면과, 상기 드럼의 타방향 회전방향인 상기 라운드면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2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리프터홀은 상기 제1 경사면에 형성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ifter includes a first round surface that protrudes most into the drum, a first sloped surface that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round surface that is one direction of the drum, and a second sloped surface that is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round surface And a second inclined surface,
Wherein the lifter hole is formed on the first inclined surface.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리프터홀은, 상기 제1 경사면의 전체에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형성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lifter holes are formed in a plurality of equal intervals on the entire first inclined surface.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 경사면은 축방향 가운데를 기준으로 전후 비대칭으로 형성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first inclined surface is formed asymmetrically back and forth with respect to the center in the axial direc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프터는, 상기 드럼 내로 가장 많이 돌출되는 라운드면과, 상기 드럼의 일방향 회전방향인 상기 라운드면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경사면과, 상기 드럼의 타방향 회전방향인 상기 라운드면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2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리프터홀은 상기 라운드면에 형성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ifter includes a first round surface that protrudes most into the drum, a first sloped surface that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round surface that is one direction of the drum, and a second sloped surface that is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round surface And a second inclined surface,
Wherein the lifter hole is formed on the round surfa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프터는, 상기 드럼 내로 가장 많이 돌출되는 라운드면과, 상기 드럼의 일방향 회전방향인 상기 라운드면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경사면과, 상기 드럼의 타방향 회전방향인 상기 라운드면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2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경사면은 상기 드럼의 내측면과의 사이 내각이 제1 각도로 형성되고, 상기 제2 경사면은 상기 드럼의 내측면과의 사이 내각이 상기 제1 각도보다 큰 제2 각도로 형성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ifter includes a first round surface that protrudes most into the drum, a first sloped surface that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round surface that is one direction of the drum, and a second sloped surface that is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round surface And a second inclined surface,
Wherein the first inclined surface is formed at a first angle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drum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is formed at a second angle larger than the first angle with an inner angle between the second inclined surfac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drum Processing equipmen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드럼에는,
상기 리프터의 내부공간과 통하는 제1 슬라이딩홀과, 상기 제1 슬라이딩홀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1 슬라이딩홀보다 축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의 폭이 작은 제2 슬라이딩홀이, 상기 드럼홀로부터 일측으로 이격되어 더 형성되고,
체결홀이 상기 드럼홀로부터 타측으로 이격되어 더 형성되며,
상기 리프터에는,
상기 제1 슬라이딩홀에서 상기 제2 슬라이딩홀로 슬라이딩되어 결합되는 슬라이딩돌기가 더 형성되고,
상기 체결홀을 관통한 체결부재가 삽입되어 체결되는 체결부가 더 형성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drum,
And a second sliding hole extending from the first sliding hole and having a smaller width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axial direction than the first sliding hole is spaced apart from the drum hole Further,
Wherein a fastening hole is further formed spaced from the drum hole to the other side,
In the lifter,
A sliding protrusion slidably coupled to the second sliding hole in the first sliding hole is further formed,
Wherein a fastening portion is formed in which a fastening member penetrating through the fastening hole is inserted and fasten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드럼에는,
상기 리프터의 내부공간과 통하는 제1 슬라이딩홀과, 상기 제1 슬라이딩홀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1 슬라이딩홀보다 축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의 폭이 작은 제2 슬라이딩홀이, 상기 드럼홀로부터 일측으로 이격되어 더 형성되고,
제3 슬라이딩홀과, 상기 제3 슬라이딩홀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3 슬라이딩홀보다 축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의 폭이 작은 제4 슬라이딩홀이, 상기 드럼홀로부터 타측으로 이격되어 더 형성되며,
상기 리프터에는,
상기 제1 슬라이딩홀에서 상기 제2 슬라이딩홀로 슬라이딩되어 결합되는 제1 슬라이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3 슬라이딩홀에서 상기 제4 슬라이딩홀로 슬라이딩되어 결합되는 제2 슬라이딩돌기와, 상기 제2 슬라이딩돌기가 상기 제4 슬라이딩홀에 위치시에 상기 제3 슬라이딩홀을 차폐하는 차폐벽이 더 형성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drum,
And a second sliding hole extending from the first sliding hole and having a smaller width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axial direction than the first sliding hole is spaced apart from the drum hole Further,
A fourth sliding hole extending from the third sliding hole and having a smaller width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axial direction than the third sliding hole is further formed apart from the drum hole to the other side,
In the lifter,
A first sliding protrusion is formed in the first sliding hole to be engaged with the second sliding hole,
A second sliding protrusion slidably coupled to the fourth sliding hole in the third sliding hole and a shielding wall formed to shield the third sliding hole when the second sliding protrusion is positioned in the fourth sliding hole, Processing equipment.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드럼에는 체결홀이 더 형성되고,
상기 리프터에는 상기 체결홀을 관통한 체결부재가 삽입되어 체결되는 체결부가 더 형성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drum is further provided with a fastening hole,
Wherein the lifter further comprises a fastening part for fastening the fastening member inserted through the fastening hole.
KR1020150125747A 2015-09-04 2015-09-04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2488373B1 (en)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5747A KR102488373B1 (en) 2015-09-04 2015-09-04 Laundry treating apparatus
PCT/KR2016/009344 WO2017039214A1 (en) 2015-09-04 2016-08-23 Laundry processing machine
EP16186960.7A EP3138946B1 (en) 2015-09-04 2016-09-02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15/255,384 US20170067198A1 (en) 2015-09-04 2016-09-02 Laundry treating apparatus
CN201610803833.0A CN106498658A (en) 2015-09-04 2016-09-05 Clothes treatment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5747A KR102488373B1 (en) 2015-09-04 2015-09-04 Laundry treat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8740A true KR20170028740A (en) 2017-03-14
KR102488373B1 KR102488373B1 (en) 2023-01-12

Family

ID=56853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5747A KR102488373B1 (en) 2015-09-04 2015-09-04 Laundry treating apparatus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70067198A1 (en)
EP (1) EP3138946B1 (en)
KR (1) KR102488373B1 (en)
CN (1) CN106498658A (en)
WO (1) WO2017039214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60697A (en) * 2017-08-30 2017-12-1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A kind of inner cylinder, washing machine and washing methods
CN109423817B (en) * 2017-08-31 2022-04-22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Inner tube promotes muscle and washing machine for washing machine
CN109423801B (en) * 2017-08-31 2022-04-22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Washing machine
CN110195306A (en) * 2018-02-27 2019-09-03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A kind of washing machine
CN110195315A (en) * 2018-02-27 2019-09-03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A kind of inner cylinder lifting rib and washing machine free of cleaning
GB201815678D0 (en) * 2018-09-26 2018-11-07 Xeros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a substrate with solid particles
EP3690104B1 (en) * 2019-02-01 2021-03-17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EP3690110B1 (en) * 2019-02-01 2021-06-02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EP3831998B1 (en) * 2019-02-01 2024-03-06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200096047A (en) * 2019-02-01 2020-08-11 엘지전자 주식회사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200096049A (en) 2019-02-01 2020-08-11 엘지전자 주식회사 Laundry treating apparatus
EP3690106B1 (en) 2019-02-01 2021-03-31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TR201904579A2 (en) * 2019-03-27 2020-10-21 Arcelik As WASHING MACHINE INCLUDING A FLOW REGULATING BLADE
CN112011963B (en) * 2019-05-28 2022-09-09 青岛海尔洗涤电器有限公司 Clothes lifting device for washing machine and roller washing machine
CN112962269A (en) * 2019-12-12 2021-06-15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Inner barrel of roller washing machine and assembly method of inner barrel of roller washing machine
KR102422407B1 (en) * 2020-03-06 2022-07-18 엘지전자 주식회사 Laundry treating apparatus
WO2023184643A1 (en) * 2022-03-31 2023-10-05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Inner tub of clothes treatment device, and clothes treatment devic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7666B1 (en) * 2005-06-10 2006-10-24 삼성전자주식회사 Drum type washing machine
KR100713946B1 (en) * 2005-06-07 2007-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Drum type washing machine
KR100808204B1 (en) * 2007-04-10 2008-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Drum washing machine
KR20130034911A (en) * 2011-09-29 2013-04-08 삼성전자주식회사 Lifter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KR20140129781A (en) * 2013-04-30 2014-1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A washing machin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712118A1 (en) * 1986-05-06 1987-11-12 Bosch Siemens Hausgeraete DRUM WASHING MACHINE
KR100195453B1 (en) * 1996-05-11 1999-06-15 윤종용 Lifter of drum type washing machine
US20050009792A1 (en) * 2003-07-08 2005-01-13 Deluca Hector F. (20S)-1alpha-hydroxy-2-methylene-19-nor-vitamin D3 and its uses
EP1529866A1 (en) * 2003-11-10 2005-05-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rum type washing machine
KR200358903Y1 (en) * 2004-05-15 2004-08-12 엘지전자 주식회사 Lifter mounting structure of drum type washing machine
DE602006013402D1 (en) * 2006-02-02 2010-05-20 Electrolux Home Prod Corp Carrier of a drum of a laundry washing machine
US20090276966A1 (en) * 2006-07-06 2009-11-12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ate Gmbh Washing machine with hollow agitators
US20090027696A1 (en) * 2007-07-24 2009-01-29 Quintana Jason M Printmode architecture
DE102008029911A1 (en) * 2008-06-24 2009-12-31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Drum for washing machines and dryers comprises a flat catch side having a surface which is partly provided with a material which is gentle to laundry
ES2351128B1 (en) * 2008-11-26 2011-11-28 Bsh Electrodomesticos España, S.A. DRUM AND MACHINE FOR CARE OF CLOTHING.
JP5289514B2 (en) * 2011-07-07 2013-09-11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Cable protection guide device
CN103306100B (en) * 2013-06-14 2016-09-07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Washing machine
CN204112106U (en) * 2014-06-25 2015-01-21 苏州三星电子有限公司 A kind of lifting rib and comprise the roller washing machine of this lifting rib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3946B1 (en) * 2005-06-07 2007-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Drum type washing machine
KR100637666B1 (en) * 2005-06-10 2006-10-24 삼성전자주식회사 Drum type washing machine
KR100808204B1 (en) * 2007-04-10 2008-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Drum washing machine
KR20130034911A (en) * 2011-09-29 2013-04-08 삼성전자주식회사 Lifter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KR20140129781A (en) * 2013-04-30 2014-1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A wash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067198A1 (en) 2017-03-09
EP3138946B1 (en) 2019-01-02
EP3138946A1 (en) 2017-03-08
WO2017039214A1 (en) 2017-03-09
CN106498658A (en) 2017-03-15
KR102488373B1 (en) 2023-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28740A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0808204B1 (en) Drum washing machine
EP2488689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EP3243952A1 (en) Washing machine
CN111492102B (en) Washing machine
PL1770198T3 (en) Top-loading clothes washing machine with lid interlock means
KR100465691B1 (en) Structure for installing door of the drum type washer
KR102368502B1 (en) Wall mounted washing machine, and detergent case thereof
US20190203397A1 (en) Washing machine
KR100997138B1 (en) washing machine
KR20040011307A (en) A circulating apparatus of washer
US11939717B2 (en) Hinge assembly for an appliance
JP6123075B2 (en) Drum washing machine
JP2013074964A (en) Electric washing machine
KR20090005042U (en) Drum Type Washer
KR101186308B1 (en) Front part structure of drum type washing machine
KR20190020562A (en) Washing machine
KR200395272Y1 (en) Washing machine
KR101517868B1 (en) Drum washing machine
JP6111428B2 (en) Drum washing machine
US20220243386A1 (en) Flexible portion for a cover member of an appliance
KR20050086200A (en) Control apparatus of washing machine
US11293133B2 (en) Washing tub array and washing machine including the same
US20220243385A1 (en) Flexible cover member for an appliance
CN113718493B (en) Door body washing mechanism with washing barrel and wash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