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8488A - 약재 혼합용 키트 - Google Patents

약재 혼합용 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8488A
KR20170028488A KR1020150124854A KR20150124854A KR20170028488A KR 20170028488 A KR20170028488 A KR 20170028488A KR 1020150124854 A KR1020150124854 A KR 1020150124854A KR 20150124854 A KR20150124854 A KR 20150124854A KR 20170028488 A KR20170028488 A KR 201700284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al
pack
medicinal
container
medica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4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지영
김인호
구자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더블유메디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더블유메디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더블유메디팜
Priority to KR10201501248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28488A/ko
Publication of KR201700284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84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89Containers or vials which are to be joined to each other in order to mix their cont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 종류의 약재를 상호 혼합하여 혼합 약재를 제조함에 있어서, 혼합 약재를 제조하는 제조자의 안전 사고를 예방하고, 처방받지 않은 약재가 환자에게 주입되지 않도록 하여 약화사고(medicine accident)를 예방할 수 있는 약재 혼합용 키트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약재 혼합용 키트는 바이알용기에 수용되는 제1약재와 약재팩용기에 수용되는 제2약재를 혼합하기 위한 약재 혼합용 키트이고, 바이알용기가 삽입되는 바이알수용공간이 구비된 바이알수용부와, 바이알수용부에서 연장되고 약재팩용기가 삽입되는 약재팩수용공간이 구비된 약재팩수용부와, 바이알수용공간과 약재팩수용공간을 분리하는 고정격벽부 및 양단부가 각각 바이알수용공간과 약재팩수용공간에 돌출되도록 고정격벽부에 관통 고정되는 연통바늘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약재 혼합용 키트{KIT FOR MIXING MEDICINE}
본 발명은 약재 혼합용 키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두 종류의 약재를 상호 혼합하여 혼합 약재를 제조함에 있어서, 혼합 약재를 제조하는 제조자의 안전 사고를 예방하고, 처방받지 않은 약재가 환자에게 주입되지 않도록 하여 약화사고(medicine accident)를 예방할 수 있는 약재 혼합용 키트에 관한 것이다.
인간과 동물에 대한 많은 처치에서, 의사가 처방한 혼합 약재를 인체에 투약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투약은 처방받은 제1약재를 제2약재가 들어 있는 약재팩용기 안에 주입하여 필요한 혼합약재를 제조하고, 이러한 혼합약재를 약재주입유닛을 통해 환자의 인체에 투약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여기서, 약재팩용기는 합성수지 필름을 열융착하여 만든 파우치(pouch)와, 파우치에 고정되는 튜브 형태의 약재팩입구부로 구성된다. 이때, 파우치에 제2약재가 수용된 상태에서 약재팩입구부의 자유단부는 고무 재질의 밀폐캡이 구비된 약재팩마개부가 결합되어 약재팩입구부를 밀폐한다.
하지만, 종래에는 제2약재가 수용된 바이알용기에서 주사기를 사용하여 제1약재를 뽑아낸 다음, 주사기의 주사바늘을 상기 약재팩입구부에 꽂아 제1약재를 상기 약재팩용기에 주입하기 때문에, 조금만 부주의해도 간호사가 주사바늘에 찔릴 수 있다. 또한, 여러 환자에개 투여할 다양한 종류의 혼합약재를 동시에 제조해야 하는 경우, 처방받지 않은 약재가 환자에게 주입되는 약화사고(medicine accident)가 발생하였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1-0003950호(발명의 명칭 : 약화사고 방지를 위한 주사액 혼합용 안전 소켓 및 이를 포함하는 수액 키트, 2011. 01. 13.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두 종류의 약재를 상호 혼합하여 혼합 약재를 제조함에 있어서, 혼합 약재를 제조하는 제조자의 안전 사고를 예방하고, 처방받지 않은 약재가 환자에게 주입되지 않도록 하여 약화사고(medicine accident)를 예방할 수 있는 약재 혼합용 키트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약재 혼합용 키트는 바이알용기에 수용되는 제1약재와, 약재팩용기에 수용되는 제2약재를 혼합하기 위한 약재 혼합용 키트이고, 상기 바이알용기가 삽입되는 바이알수용공간이 구비된 바이알수용부; 상기 바이알수용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약재팩용기가 삽입되는 약재팩수용공간이 구비된 약재팩수용부; 상기 바이알수용공간과 상기 약재팩수용공간을 분리하는 고정격벽부; 및 양단부가 각각 상기 바이알수용공간과 상기 약재팩수용공간에 돌출되도록 상기 고정격벽부에 관통 고정되는 연통바늘;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바이알수용공간에는, 상기 바이알용기에서 상기 제1약재가 입출되는 바이알입구부가 걸림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바이알걸림돌부;가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바이알걸림돌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바이알수용부의 절개에 의해 상기 바이알수용부에서 회동 가능한 바이알걸림편;에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바이알수용공간에는, 상기 바이알용기가 삽입될 때, 상기 바이알용기에 접촉 지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바이알지지돌부;가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바이알지지돌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바이알수용부의 절개에 의해 상기 바이알수용부에서 회동 가능한 바이알탄성편;에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바이알수용부에는, 상기 바이알수용공간의 입구 측에서 상기 바이알용기의 길이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바이알삽입홈부;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약재팩수용공간에는, 상기 약재팩용기에서 상기 제2약재가 입출되는 약재팩입구부가 걸림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약재팩걸림돌부;가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약재팩걸림돌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약재팩수용부의 절개에 의해 상기 액제팩수용부에서 회동 가능한 약재팩걸림편;에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연통바늘은, 상기 바이알수용부에서의 돌출 길이가 상기 약재팩수용부에서의 돌출 길이보다 짧다.
본 발명에 따른 약재 혼합용 키트는 상기 연통바늘의 양단부를 각각 감싸 지지하는 보호캡;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약재 혼합용 키트에 따르면, 두 종류의 약재를 상호 혼합하여 혼합 약재를 제조함에 있어서, 혼합 약재를 제조하는 제조자의 안전 사고를 예방하고, 처방받지 않은 약재가 환자에게 주입되지 않도록 하여 약화사고(medicine accident)를 예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바이알수용부와 약제팩수용부와 고정격벽부와 연통바늘이 일체형으로 고정됨에 따라 제조가 간단하고, 약재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며, 약재의 이동과정에서 약재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약재가 혼합되는 과정에서 바이알용기가 압력에 의해 일체형인 약재 혼합용 키트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바이알용기의 결합 상태를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바이알용기가 연통바늘에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바이알용기가 바이알수용부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바이알용기의 지지 및 삽탈을 부드럽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바이알수용부에서 바이알용기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고, 바이알용기의 가압을 편리하게 하여 바이알용기와 연통바늘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약재가 혼합되는 과정에서 약재팩용기가 압력에 의해 일체형인 약재 혼합용 키트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약재팩입구부의 길이에 따라 약재팩용기의 결합 상태를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약재와 제2약재가 각각의 용기 내에서 정체되는 것을 방지하고, 바이알용기의 제1약재와 약재팩용기의 제2약재가 충분히 혼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이알용기와 약재팩용기가 결합되지 않더라도 대기 중에서 연통바늘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고, 연통바늘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바이알용기와 약재팩용기의 결합에 따라 연통바늘의 세정 효과를 나타내고, 제1약재 또는 제2약재가 연통바늘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바이알용기의 가압에 따라 연통바늘과 바이알용기 사이의 밀폐를 증대시키고, 바이알용기와 바이알수용부의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재 혼합용 키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재 혼합용 키트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재 혼합용 키트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약재 혼합용 키트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은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재 혼합용 키트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재 혼합용 키트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재 혼합용 키트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재 혼합용 키트는 바이알용기(60)에 수용되는 제1약재와, 약재팩용기(70)에 수용되는 제2약재를 혼합하기 위한 약재 혼합용 키트이다.
여기서, 상기 바이알용기(60)는 수용되는 상기 제1약재를 확인하도록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예로, 상기 바이알용기(60)는 투명한 유리 재질이거나 투명한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이알용기(60)는 외력에 의해 외관의 변형되지 않도록 한다. 이때, 상기 바이알용기(60)에는 상기 제1약재가 입출되도록 돌출된 상태로 개구되는 바이알입구부(61)가 구비된다. 상기 바이알입구부(61)는 외력에 의해 외관이 변형되지 않도록 하여 후술하는 바이알수용부(10)에 안정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이알용기(60) 내부에 상기 제1약재가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바이알입구부(61)의 자유단부에는 고무 재질의 바이알마개부(62)가 결합됨으로써, 상기 바이알입구부(61)를 밀폐한다.
또한, 상기 약재팩용기(70)는 수용되는 제2약재를 확인하도록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약재팩용기(70)는 투명한 합성수지 재질의 필름을 열융착하여 내부에 상기 제2약재가 수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재팩용기(70)는 압력에 의해 외관이 변형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약재팩용기(70)에는 상기 제2약재가 입출되도록 돌출된 상태로 개구되는 약재팩입구부(71)가 구비된다. 상기 약재팩입구부(71)는 외력에 의해 외관이 변형되지 않도록 하여 후술하는 약재팩수용부(20)에 안정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재팩입구부(71)는 외력에 의해 탄성 변경이 가능하도록 하여 후술하는 약재팩수용부(20)에 안정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재팩용기(70) 내부에 상기 제2약재가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약재팩입구부(71)의 자유단부에는 고무 재질의 약재팩마개부(72)가 결합됨으로써, 상기 약재팩입구부(71)를 밀폐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재 혼합용 키트는 바이알수용부(10)와, 약재팩수용부(20)와, 고정격벽부(30)와, 연통바늘(40)을 포함한다.
상기 바이알수용부(10)는 중공의 통 형상으로, 일단부가 개구되고, 타단부는 상기 고정격벽부(30)에 의해 폐쇄된다. 상기 바이알수용부(10)에는 상기 바이알용기(60)가 삽입되는 바이알수용공간(11)이 구비된다.
상기 바이알수용부(10)는 삽입되는 상기 바이알용기(60) 또는 상기 바이알입구부(61)의 삽입 상태가 확인되도록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예로, 상기 바이알수용부(10)는 투명한 유리 재질이거나 투명한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이알수용부(10)는 외력에 의해 외관의 변형되지 않는 것이 유리하다. 또한, 상기 바이알수용부(10)는 외력에 의해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바이알수용공간(11)에는 바이알걸림돌부(15)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이알걸림돌부(15)는 상기 바이알용기(60)에서 상기 제1약재가 입출되는 상기 바이알입구부(61)가 걸림 고정된다. 상기 바이알걸림돌부(15)는 적어도 하나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바이알입구부(61)가 걸림 상태를 안정화시킬 수 있다. 상기 바이알걸림돌부(15)는 외력에 의해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상기 바이알걸림돌부(15)는 상기 고정격벽부(30) 측에 구비되어 삽입된 상기 바이알입구부(61)와의 결합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바이알걸림돌부(15)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바이알걸림편(14)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바이알걸림편(14)은 상기 바이알수용부(10)의 절개에 의해 상기 바이알수용부(10)에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바이알걸림편(14)은 탄성을 가지고, 외력에 의해 탄성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이알수용공간(11)에는 바이알지지돌부(12)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이알지지돌부(12)는 상기 바이알용기(60)가 상기 바이알수용공간(11)에 삽입될 때, 상기 바이알용기(60)에 접촉 지지된다. 상기 바이알지지돌부(12)는 적어도 하나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바이알용기(60)의 지지 상태를 안정화시킬 수 있다. 상기 바이알지지돌부(12)는 외력에 의해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상기 바이알지지돌부(12)는 상기 바이알수용공간(11)의 입구 측에 구비되어 상기 바이알수용공간(11)에 삽입되는 상기 바이알용기(60)를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이알지지돌부(12)는 상기 바이알용기(60)가 상기 바이알수용공간(11)에 완전히 삽입되었을 때, 상기 바이알용기(60)의 바닥에 걸림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바이알지지돌부(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바이알지지편(13)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바이알지지편(13)은 상기 바이알수용부(10)의 절개에 의해 상기 바이알수용부(10)에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바이알지지편(13)은 탄성을 가지고, 외력에 의해 탄성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이알수용부(10)에는 바이알삽입홈부(1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바이알삽입홈부(16)는 상기 바이알수용공간(11)의 입구 측에서 상기 바이알용기(60)의 길이 방향으로 함몰 형성된다. 상기 바이알삽입홈부(16)가 형성됨에 따라 상기 바이알용기(60)에 가해지는 가압력을 증대시켜 상기 연통바늘(40)의 단부가 상기 바이알마개부(62)를 용이하게 관통하도록 한다.
상기 약재팩수용부(20)는 상기 바이알수용부(10)에서 연장되는 중공의 통 형상으로, 일단부가 개구되고, 타단부는 상기 고정격벽부(30)에 의해 폐쇄된다. 상기 약재팩수용부(20)에는 상기 약재팩용기(70)가 삽입되는 약재팩수용공간(21)이 구비된다.
상기 약재팩수용부(20)는 삽입되는 상기 약재팩용기(70) 또는 상기 약재팩입구부(71)의 삽입 상태가 확인되도록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약재팩수용부(20)는 투명한 유리 재질이거나 투명한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약재팩수용부(20)는 외력에 의해 외관의 변형되지 않는 것이 유리하다. 또한, 상기 약재팩수용부(20)는 외력에 의해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약재팩수용공간(21)에는 약재팩걸림돌부(22)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약재팩걸림돌부(22)는 상기 약재팩용기(70)에서 상기 제2약재가 입출되는 상기 약재팩입구부(71)가 걸림 고정된다. 상기 약재팩걸림돌부(22)는 적어도 하나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약재팩입구부(71)가 걸림 상태를 안정화시킬 수 있다. 상기 약재팩걸림돌부(22)는 상기 약재팩수용부(20)의 길이 방향으로 따라 복수로 이격 배치되어 상기 약재팩입구부(71)의 삽입 깊이를 조절하여 상기 약재팩입구부(71)에서 상기 연통바늘(40)이 상기 약재팩마개부(72)를 관통하는 것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약재팩걸림돌부(22)는 외력에 의해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상기 약재팩걸림돌부(22)는 상기 약재팩수용부(20)의 내주면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실질적인 등간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약재팩걸림돌부(2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약재팩걸림편(23)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약재팩걸림편(23)은 상기 약재팩수용부(20)의 절개에 의해 상기 약재팩수용부(20)에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약재팩걸림편(23)은 탄성을 가지고, 외력에 의해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상기 고정격벽부(30)는 상기 바이알수용공간(11)과 상기 약재팩수용공간(21)을 분리한다. 중공의 상기 바이알수용부(10)와 중공의 상기 약재팩수용부(20)가 일체로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격벽부(30)가 일체화됨으로써, 상기 고정격벽부(30)가 상기 바이알수용공간(11)과 상기 약재팩수용공간(21)을 분리하도록 한다.
상기 연통바늘(40)은 양단부가 각각 상기 바이알수용공간(11)과 상기 약재팩수용공간(21)에 돌출되도록 상기 고정격벽부(30)에 관통 고정된다. 상기 연통바늘(40)은 양단부가 개구된 중공의 통 형상으로 상기 고정격벽부(30)에 관통 고정됨으로써, 상기 연통바늘(40)의 양단부가 각각 상기 바이알마개부(62)와 상기 약재팩마개부(72)를 관통하면, 상기 제1약재와 상기 제2약재가 혼합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연통바늘(40)의 돌출 길이는 상기 바이알수용부(10)의 길이보다 작고, 상기 연통바늘(40)의 돌출 길이는 상기 약재팩수용부(20)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연통바늘(40)의 돌출 길이에 대하여 상기 바이알수용부(10)에서의 돌출 길이가 상기 약재팩수용부(20)에서의 돌출 길이보다 짧게 형성하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재 혼합용 키트는 보호캡(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캡(50)은 상기 연통바늘(40)의 양단부에 각각 구비된다. 상기 보호캡(50)은 상기 연통바늘(40)의 양단부를 각각 감싸 지지한다. 상기 보호캡(50)은 탄성을 가지고 있으며,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연통바늘(40)에 의해 관통되고, 상기 연통바늘(40)을 감싼 상태로 외력에 의해 상기 연통바늘(40)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바이알수용부(10) 측에서 돌출 형성된 상기 연통바늘(40)의 단부에서는 상기 바이알용기(60)가 결합됨에 따라 상기 보호캡(50)은 상기 고정격벽부(30)와 상기 바이알마개부(62) 사이에서 상기 연통바늘(40)을 감싼 상태로 압착될 수 있다.
그러면, 상술한 약재 혼합용 키트에서 상기 연통바늘(40)의 양단부가 각각 상기 바이알마개부(62)와 상기 약재팩마개부(72)를 관통하도록 상기 바이알용기(60) 또는 상기 바이알입구부(61)를 상기 바이알수용공간(11)에 삽입하고, 상기 약재팩용기(70)의 상기 약재팩입구부(71)를 상기 약재팩수용공간에 삽입한다.
그리고 상기 약재팩용기(70)를 주무르면, 상기 제2약재가 상기 연통바늘(40)을 거쳐 상기 바이알용기(60) 내부로 이동하기도 하고, 상기 제1약재가 상기 연통바늘(40)을 거쳐 상기 약재팩용기(70)의 내부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약재와 상기 제2약재가 혼합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약재 혼합용 키트에 따르면, 두 종류의 약재를 상호 혼합하여 혼합 약재를 제조함에 있어서, 혼합 약재를 제조하는 제조자의 안전 사고를 예방하고, 처방받지 않은 약재가 환자에게 주입되지 않도록 하여 약화사고(medicine accident)를 예방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바이알수용부(10)와, 상기 약재팩수용부(20)와, 상기 고정격벽부(30)와, 상기 연통바늘(40)이 일체형으로 고정됨에 따라 제조가 간단하고, 약재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며, 약재의 이동과정에서 약재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약재가 혼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바이알용기(60)가 압력에 의해 일체형인 약재 혼합용 키트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바이알용기(60)의 결합 상태를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이알용기(60)가 상기 연통바늘(40)에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상기 바이알용기(60)가 상기 바이알수용부(1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바이알용기(60)의 지지 및 삽탈을 부드럽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이알수용부(10)에서 상기 바이알용기(60)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고, 상기 바이알용기(60)의 가압을 편리하게 하여 상기 바이알용기(60)와 상기 연통바늘(40)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약재가 혼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약재팩용기(70)가 압력에 의해 일체형인 약재 혼합용 키트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약재팩입구부(71)의 길이에 따라 상기 약재팩용기(70)의 결합 상태를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약재와 상기 제2약재가 각각의 용기 내에서 정체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바이알용기의 상기 제1약재와 상기 약재팩용기의 상기 제2약재가 충분히 혼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바이알용기(60)와 상기 약재팩용기(70)가 결합되지 않더라도, 대기 중에서 상기 연통바늘(40)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연통바늘(40)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이알용기(60)와 상기 약재팩용기(70)의 결합에 따라 상기 연통바늘(40)의 세정 효과를 나타내고, 상기 제1약재 또는 상기 제2약재가 상기 연통바늘(40)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이알용기(60)의 가압에 따라 상기 연통바늘(40)과 상기 바이알용기(60) 사이의 밀폐를 증대시키고, 상기 바이알용기(60)와 상기 바이알수용부(10)의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다.
10: 바이알수용부 11: 바이알수용공간 12: 바이알지지돌부
13: 바이알지지편 14: 바이알걸림편 15: 바이알걸림돌부
16: 바이알삽입홈부 20: 약재팩수용부 21: 약재팩수용공간
22: 약재팩걸림돌부 23: 약재팩걸림편 30: 고정격벽부
40: 연통바늘 50: 보호캡 60: 바이알용기
61: 바이알입구부 62: 바이알 마개부 70: 약재팩용기
71: 약재팩입구부 72: 액재책마개부

Claims (10)

  1. 바이알용기에 수용되는 제1약재와, 약재팩용기에 수용되는 제2약재를 혼합하기 위한 약재 혼합용 키트이고,
    상기 바이알용기가 삽입되는 바이알수용공간이 구비된 바이알수용부;
    상기 바이알수용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약재팩용기가 삽입되는 약재팩수용공간이 구비된 약재팩수용부;
    상기 바이알수용공간과 상기 약재팩수용공간을 분리하는 고정격벽부; 및
    양단부가 각각 상기 바이알수용공간과 상기 약재팩수용공간에 돌출되도록 상기 고정격벽부에 관통 고정되는 연통바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재 혼합용 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알수용공간에는,
    상기 바이알용기에서 상기 제1약재가 입출되는 바이알입구부가 걸림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바이알걸림돌부;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재 혼합용 키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알걸림돌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바이알수용부의 절개에 의해 상기 바이알수용부에서 회동 가능한 바이알걸림편;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재 혼합용 키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알수용공간에는,
    상기 바이알용기가 삽입될 때, 상기 바이알용기에 접촉 지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바이알지지돌부;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재 혼합용 키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알지지돌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바이알수용부의 절개에 의해 상기 바이알수용부에서 회동 가능한 바이알탄성편;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재 혼합용 키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알수용부에는,
    상기 바이알수용공간의 입구 측에서 상기 바이알용기의 길이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바이알삽입홈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재 혼합용 키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재팩수용공간에는,
    상기 약재팩용기에서 상기 제2약재가 입출되는 약재팩입구부가 걸림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약재팩걸림돌부;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재 혼합용 키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약재팩걸림돌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약재팩수용부의 절개에 의해 상기 액제팩수용부에서 회동 가능한 약재팩걸림편;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재 혼합용 키트.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바늘은,
    상기 바이알수용부에서의 돌출 길이가 상기 약재팩수용부에서의 돌출 길이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재 혼합용 키트.
  10.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바늘의 양단부를 각각 감싸 지지하는 보호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재 혼합용 키트.
KR1020150124854A 2015-09-03 2015-09-03 약재 혼합용 키트 KR201700284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4854A KR20170028488A (ko) 2015-09-03 2015-09-03 약재 혼합용 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4854A KR20170028488A (ko) 2015-09-03 2015-09-03 약재 혼합용 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8488A true KR20170028488A (ko) 2017-03-14

Family

ID=58459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4854A KR20170028488A (ko) 2015-09-03 2015-09-03 약재 혼합용 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2848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3950A (ko) 2009-07-07 2011-01-13 대한약품공업 주식회사 약화사고 방지를 위한 주사액 혼합용 안전 소켓 및 이를 포함하는 수액 키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3950A (ko) 2009-07-07 2011-01-13 대한약품공업 주식회사 약화사고 방지를 위한 주사액 혼합용 안전 소켓 및 이를 포함하는 수액 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01745B2 (ja) 注入アダプタ
EP3551157B1 (en) Liquid transfer devices with integral telescopic vial adapter for use with infusion liquid container and discrete injection vial
CN104780958B (zh) 药物输送设备
US11154457B2 (en) Fluid transfer device and packaging therefor
US9526841B2 (en) Spraying device
AU770228B2 (en) Closure device for a medical container
EP1323446A2 (en) Syringe-type container for liquid medicine
JP2021166736A (ja) 注入システムおよびその構成要素
KR20210049084A (ko) 이중 성분 약물 제제 전달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HU207664B (en) Joining shape anf throwable equipment containing the same
RU2647441C2 (ru) Узел, содержащий переходник для сопряжения с медицинским контейнером и блистерную упаковку
JP7209710B2 (ja) 容器アダプタ、送達アセンブリ、および液体を患者へと送達する方法
KR101079144B1 (ko) 약화사고 방지를 위한 주사액 혼합용 안전 소켓 및 이를 포함하는 수액 키트
CN111450346B (zh) 用于药物转移组件的适配器帽盖
KR20210026371A (ko) 약병접속소켓
KR20110003950A (ko) 약화사고 방지를 위한 주사액 혼합용 안전 소켓 및 이를 포함하는 수액 키트
KR20170028488A (ko) 약재 혼합용 키트
EP3166663A2 (en) A masking package
JP6839180B2 (ja) 充填補助具
JP5991642B2 (ja) 薬液混注器具
KR101982004B1 (ko) 약제 용기 및 약제 용기 결합형 수액 용기
KR20220033280A (ko) 약제 혼합용 키트
US20150272829A1 (en) Reconstitution device with tip cap
AU2013358999A1 (en) Syringe devices, components of syringe devices, and methods of forming components and syringe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